KR20220049878A - Portable water-coll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water-coll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878A
KR20220049878A KR1020200133541A KR20200133541A KR20220049878A KR 20220049878 A KR20220049878 A KR 20220049878A KR 1020200133541 A KR1020200133541 A KR 1020200133541A KR 20200133541 A KR20200133541 A KR 20200133541A KR 20220049878 A KR20220049878 A KR 20220049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condensing plate
air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4676B1 (en
Inventor
임현의
오선종
여선주
이천지
한규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3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676B1/en
Publication of KR20220049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6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28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humi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and in one embodiment, provided is a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including a thermoelectric module comprising a tubular heat sink, a tubular condensing plate surrounding the heat sink, and one or more thermoelectric elements disposed between the heat sink and the condensing pl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urning on/off of power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s,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s to heat the heat sink and cools the condensing plate to condense moisture in the air on the condensing plate to collect water. The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is easily carried and enables water to be collected from the air in extreme environments or disaster situations.

Description

휴대용 물 포집장치 {Portable water-collecting device} Portable water-collecting device {Portable water-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물을 포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이며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공기중 물을 응축하여 물을 포집하는 휴대용 물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llecting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water by condensing water in the air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사막과 같이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건조한 지역은 충분한 양의 비가 내리지 않아 사람들이나 동식물들에 필요한 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이러한 지역에서의 종래의 물공급 방법들은 바닷물을 담수로 바꾸어 사용하거나 지하수를 개발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의 경우 원거리의 물공급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지하수 개발을 위해 상당히 깊게 굴착해야 하는 등 물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 및 장치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In dry areas such as deserts whe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is severe, there is not enough rain, so water is absolutely insufficient for people, animals and plants. Conventional water supply methods in these areas include a method of using seawater by changing it to fresh water or developing and using groundwa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money, time, and equipment are required to secure water, such as excavation.

물을 확보하는 다른 방안으로서 공기 중의 수증기, 습한 공기, 안개 등으로부터 수증기를 응축하여 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으나 포집량이 많지 않아 크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은 대개 크고 무거운 설비를 필요로 하므로 예컨대 극한 환경이나 재난 상황시 물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As another method of securing water, there is a method of condensing water vapor from water vapor in the air, humid air, fog, etc. to produce water, but it is not widely used due to the lack of a large amount of collection. In addition, since these devices usually require large and heavy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for example, water cannot be secured in an extreme environment or a disaster situation.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80763호 (2009년 7월 27일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80763 (published on July 27, 2009) 특허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10-1676727호 (2016년 11월 16일 공고)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76727 (Notice on November 16, 2016)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하기 간편하고 극한 환경이나 재난 상황시 공기 중에서 물을 포집하여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수분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moisture collecting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that can capture and secure water in the air in extreme environments or disaster situa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물 포집장치로서, 통 형상의 방열판, 상기 방열판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응축판, 및 상기 방열판과 응축판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로 구성된 열전모듈; 및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방열판을 발열시키고 응축판을 냉각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판에서 응축하여 물을 포집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물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rtable water collection device, a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tubular heat sink, a tubular condensing plate surrounding the heat sink, and one or more thermoelectric elements disposed between the heat sink and the condensing plate. modul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n/off of the power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erein the controller applies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heat the heat sink and cools the condensing plate to condense moisture in the air on the condensing plate to provide a portable water collection device configured to collect w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방열판을 가열하고 응축판을 냉각하여 응축판에 물을 응축시켜 물을 포집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때 휴대하기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 케이스 내에 방열판과 응축판을 배치시켜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열전모듈을 통 형상으로 구성하되 내측에 방열판을 배치하고 외측에 응축판을 배치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 가능한 넓은 응축판 표면적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nciple of collecting water by heating a heat sink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oling the condensing plate to condense water on the condensing plate is used. At this time, since the heat sink and the condensing plate must be arranged in a case having a size suitable for carry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by arranging the heat sink on the inside and the condensing plate on the outside, a condensing plate as wide as possible in a limited space It was constructed to have a surface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방열판을 가열하고 응축판을 냉각하여 물을 포집하는 원리를 이용하되 휴대가 용이한 컴팩트한 크기의 휴대용 물 포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of a compact size that is easy to carry but uses the principle of heating a heat sink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oling a condensing plate to collect w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 포집 동작시 공기배출구로 찬바람이 배출되므로 포집장치를 냉방기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구동팬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여 공기 흐름을 반대로 하면 방열판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배출되므로 난방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냉방기/난방기 겸용으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ld wind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during the water collection operation, the collecting device can be used as a cooling device. Therefo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it as a combined air conditioner/heater if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의 방열판에 수분을 흡착하는 흡습제를 형성한 경우 수분 포집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방열판이 수분 흡착 모드에서 공기중 수분을 흡착하는 역할을 하고 수분 응축 모드에서 방열판의 수분을 증발시켜 응축판으로 전달하고 응축판에서 이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포집하므로 물 포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oisture absorbent for adsorbing moisture is formed on the heat sink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moisture trapping 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In other words, the heat sink plays a role in adsorbing moisture in the air in the moisture adsorption mode, and in the moisture condensation mode, the moisture of the heat sink is evaporated and delivered to the condensing plate, and the moisture is condensed on the condensing plate to collect water, so the water collection ability can be improved. there i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 포집장치의 사시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포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포집장치의 단면도,
도4 및 도5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방열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포집장치의 일부 기능부들의 블록도,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포집 방법의 흐름도,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포집 동작시 전압 인가와 수분 포집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and 5 are views showing a heat dissipation fin structur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of some functional parts of a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llect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voltage application and an amount of water collection during a water coll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above” (or “below,” “right,” or “left”) of another element, it is above (or below, right, or left of the other element). ),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일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such as 'upper', 'lower', 'left', 'right', 'front', 'rear' used to describ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mean the direction or position as an absolute standard. Howeve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it may be a relative expression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corresponding drawing.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된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또는 넓이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며 어느 한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의 상대적 크기도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fastened, attached, etc.)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fastened, attached, etc.) to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party between them. It means that it can be in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fastened, attached, etc.) through a component.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ength, thickness, or width of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and the relative sizes of one component and another component may also vary according to specific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of a component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the phrase specifically dictates otherwise. The expressions 'comprising', 'consisting of', and 'consisting of'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the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having enough knowledg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which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 포집장치(이하 간단히 “물 포집장치” 또는 “포집장치”라고도 한다)의 사시도이고 도2는 물 포집장치의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3은 물 포집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ater collection devic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water collection device” or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collection device, and FIG. 3 is water collec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is schematically shown.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 포집장치(100)는 상부 케이스(20)와 하부 케이스(30)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대략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모양을 가진다. 상부 케이스(20)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원통 또는 다각형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는 내부에 열전모듈(1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상부 케이스(20)의 외주면에는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 케이스(20)는 외주면에 버튼이나 디스플레이 등 사용자 명령을 입출력하고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1 to 3 , in the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pper case 20 and the lower case 30 are detachably fastened to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polygonal shape. The upper case 20 is a cylindrical member, the upper part is closed, the lower part is open, and may have a cylindrical or polygonal cylindrical shape. The upper case 20 has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therein. An air outlet 21 for discharging internal air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case 2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pper case 20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user commands such as buttons or a displa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일 실시예에서 상부 케이스(20)는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구(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관통구(24)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예컨대 관통구(24)를 덮는 두껑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다른 예로서 상부 케이스(20)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판(25)을 개폐수단으로 구현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회전판(25)은 표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25a)가 형성되며 체결 샤프트(27)에 의해 상부 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회전판(25)을 소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관통구(24,25a)를 통해 상부 케이스(2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연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pper case 20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hole 24 through which air passes, and an opening/closing means (eg, a through-hole 24)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hole 24 as needed. cover, etc.)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s another example, the rotating plate 25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20 is implemented as an opening/closing means.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ng plate 25 has one or more through-holes 25a formed on its surface and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case 20 by a fastening shaft 27 . Accordingly, as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plate 25 by a predetermined angle as needed,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upper case 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s 24 and 25a.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물 포집장치(100)는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포집장치(100)는 직경이 대략 20cm 내지 50cm 이고 높이가 대략 30cm 내지 60cm인 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백팩처럼 등에 매고 다닐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a size suitable for portable use.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about 20 cm to 50 cm and a height of about 30 cm to 60 cm, and thus the user can carry it on his or her back like a backpack.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열전모듈(10)은 통 형상의 방열판(12), 상기 방열판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응축판(14), 및 상기 방열판과 응축판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11)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방열판(12)과 응축판(14)이 각각 원통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대안적으로 방열판(12)과 응축판(14)이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 다각형 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2 and 3,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includes a tubular heat sink 12, a tubular condensing plate 14 surrounding the heat sink, and one disposed between the heat sink and the condensing plate. It may be composed of the above thermoelectric elements 11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eat sink 12 and the condensing plate 14 are each shown as having a cylindrical shape, but alternatively, the heat sink 12 and the condensing plate 14 may be configured in a polygonal cylindrical shape such as a square or hexagon.

방열판(12)과 응축판(14) 사이에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11)가 개재되어 있으며 열전소자(11)의 일측 면은 방열판(12)과 열적으로 접촉하고 타측 면은 응축판(14)과 열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물 포집장치(100)는 열전소자(11)에 인가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를 포함하며, 제어부에 의해 열전소자(11)에 전원을 인가하여 방열판(12)을 발열시키고 응축판(14)을 냉각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판(14)에서 응축하여 물을 포집할 수 있다. One or more thermoelectric elements 11 are interposed between the heat sink 12 and the condensing plate 14, and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is in thermal contact with the heat sink 12 and the other side is the condensing plate 14 and placed in thermal contac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ater collection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on/off of power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and applies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by the control unit to apply power to the heat sink. By heating (12) and cooling the condensing plate (14), moisture in the air can be condensed in the condensing plate (14) to collect water.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방열판(12)과 응축판(14) 사이의 공간에 단열재(도시 생략)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즉 방열판(12)과 응축판(14) 사이의 공간 중 열전소자(11)가 없는 영역에 단열재를 채울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열판(12)과 응축판(14) 사이에 열이 직접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a space between the heat sink 12 and the condensing plate 14 may be at least partially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That is, in the space between the heat sink 12 and the condensing plate 14,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an be filled in the area w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is not, thereby preventing direct heat transfer between the heat sink 12 and the condensing plate 14. can do.

방열판(12)과 응축판(14)은 각각 금속이나 합금 등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다. 방열판(12)의 내측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방열핀(13)이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 및/또는 수분과의 접촉 면적을 늘리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응축판(14)의 외측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응축핀(15)이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 및/또는 수분과의 접촉 면적을 늘리도록 구성된다. The heat sink 12 and the condensing plate 14 are each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 metal or an alloy. One or more heat dissipation fins 13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ink 12 to protrude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to increase a contact area with air and/or moisture. Similar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ensing plate 14, one or more condensing pins 15 are formed to protrude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air and/or moisture.

도시한 것처럼 방열판(12)에 방열핀(13)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하면 방열판(12) 중심의 제1 공기통로(P1)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가 서로 이웃하는 방열핀(13)들 사이를 흐르므로 방열핀(13)과의 접촉 면적을 늘려서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As shown, when the heat dissipation fins 13 are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heat sink 12, the air flo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P1 at the center of the heat sink 12 is between the adjacent heat dissipation fins 13. flow,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 dissipation fins 13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또한 응축판(14)에서도 응축판(15)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응축판(15)에 응축된 물방울이 아래쪽으로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응축량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densing plate 15 is also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ondensing plate 14 so that water droplets condensed on the condensing plate 15 can easily fall downward,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condensation.

일 실시예에서 응축핀(15)의 아래쪽 단부를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뾰족한 단부(15a)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뾰족한 단부(15a)를 형성하게 되면 응축핀(15)의 표면에 응축된 물이 단부(15a)쪽으로 안내되어 아래로 떨어지므로 응축핀(15)에 모인 물을 더 빨리 흘러내리게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condensing pin 15 is inclined downward to form the pointed end 15a, and when the pointed end 15a is formed in this way, water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condensing pin 15 Since it is guided toward the end (15a) and falls down, it is possible to make the water collected in the condensing pin (15) flow down faster.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방열판(12)과 방열핀(13)을 통한 열의 신속한 방출을 위해 방열판(12)/방열핀(13)의 높이를 열전소자(11) 밍 응축판(14)/응축핀(15)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한다. 즉 방열판(12)/방열핀(13)의 크기나 표면적을 응축판(14)/응축핀(15) 보다 더 크도록 구성하며, 예를 들어 방열판(12)과 방열핀(13)을 합한 표면적 또는 무게가 응축판(14)과 응축핀(15)을 합한 표면적 또는 무게보다 대략 2배 내지 4배 크도록 구성한다. 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heat sink 12 / heat dissipation fin 13 is increased for the rapid dissipation of heat through the heat sink 12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13. )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at is,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heat sink 12/heat radiation fin 13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condensation plate 14/condensation fin 15, for example, the combined surface area or weight of the heat sink 12 and the heat radiation fin 13 is configured to be approximately 2 to 4 times larger than the combined surface area or weight of the condensing plate 14 and the condensing pins 15.

대안적 실시예에서 방열핀(13) 및/또는 응축핀(15)의 배열이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방열핀(13)과 응축핀(15)은 특정 재질이나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arrangement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13 and/or the condensation fins 15 may be formed differently, and the heat dissipation fins 13 and the condensation fins 15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or shape.

도4와 도5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열핀(13)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4(a)와 도4(b)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방열판(12)은 내부 공간에 격자 형상의 방열핀(13-1 또는 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열핀(13-1,13-2)의 표면적을 늘릴 수 있어 방열판(12)에서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4 and 5 schematically show the structure of the heat dissipation fin 13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4 (a) and 4 (b) in the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12 has a grid-shaped heat dissipation fins 13-1 or 13-2 are formed in the inner space, an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eat dissipation fins 13- 1,13-2) can be increased, so that heat can be more effectively discharged from the heat sink 12 .

도5는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방열핀(13-3) 구조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방열핀(13-3)의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공기통로(P1)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도 방열핀(13-3) 사이의 지그재그 형상의 유로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유속이 감소하여 공기와 방열핀(13-3) 사이의 접촉면적 뿐만 아니라 접촉시간도 늘어나므로 방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5 shows a structure of a heat dissipation fin 13-3 according to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13-3 is elongated in a zigzag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ir flo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P1 also ), so that the flow rate is reduced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ir and the heat dissipation fins 13-3 as well as the contact time increase,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한편 일 실시예에서 방열판(12) 및/또는 방열핀(13)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수분을 흡착하는 흡습제(흡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 흡습제는 상온(예컨대 섭씨 10도 내지 40도)에서 수분을 흡착하고 고온(예컨대 섭씨 50도 이상)에서 탈착하는 성질을 갖는 흡습 성능이 높은 임의의 다공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a desiccant (adsorbent) for adsorbing moisture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12 and/or the heat radiation fin 13 . As the desiccant, any porous material with high moisture absorption performance having a property of adsorbing moisture at room temperature (eg, 10 to 40° C.) and desorbing at high temperature (eg, 50° C. or higher) may be used.

예를 들어 흡습제로서 금속 유기 구조체(MOF: Metal Organic Framework), 수소결합 유기 구조체(HOF: Hydrogen-bonded Organic Framework) 등의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Porous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질석(vermiculite), 규조토 등의 천연 광물, 실리카겔 같은 상용흡습제, 수분을 함유하는 하이드로젤, 친수성을 가지는 무기바인더 물질, 그리고 활성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a desiccant, porous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such as metal organic framework (MOF) and hydrogen-bonded organic framework (HOF), zeolite, bentonite, vermiculite (vermiculite), a natural mineral such as diatomaceous earth, a commercial desiccant such as silica gel, a hydrogel containing moisture, an inorganic binder material having hydrophilicity, and activated carbon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MOF 또는 HOF 등의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는 중심금속 이온이 유기 리간드와 결합하여 형성된 다공성의 유무기 고분자 화합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구조체 내에 유기물과 무기물을 모두 포함하고 분자크기 또는 나노 크기의 다공성 구조를 갖는 결정성 화합물이며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2010-0118580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A porous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 such as MOF or HOF can be defined as a porous organic-inorganic high molecular compound formed by combining a central metal ion with an organic ligand, and includes both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in the structure and has a molecular or nano-sized porous structure. It is a crystalline compound having a, for example, known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0-0118580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흡습제를 딥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서스펜션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법, 압착 및 열처리 코팅법, 및 기판성장 기반 코팅법 중 하나의 코팅법에 의해 방열판(12) 및/또는 방열핀(13)의 표면에 코팅하여 부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eat sink 12 and/or the heat sink fin 13 by a coating method of a moisture absorbent dip coa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 suspension plasma spray coating method, a compression and heat treatment coating method, and a substrate growth-based coating method. It can be attached by coating on the surface of

딥코팅법은 흡습체를 분산시킨 용액에 방열판(12)/방열핀(13) 구조체를 담그었다 빼어 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 열처리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3차원인 방열판(12)과 방열핀(13) 표면에 흡습체가 고르게 코팅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프레이 코팅법은 흡습체를 분산시킨 용액을 스프레이 건으로 방열판(12)이나 방열핀(13)에 분사한 뒤 필요에 따라 열처리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공정이 싸고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서스펜션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법은 흡습제의 미세 입자를 용매와 무기 바인더 등에 분산시킨 현탁액(Suspension)을 플라즈마 제트에 투입하여 방열판(12)이나 방열핀(13) 표면을 항해 분사함으로써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따로 분사하면서 열처리도 함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착 및 열처리 코팅법은 예컨대 흡습제 입자와 링커(linker) 등으로 구성된 파우더를 방열판(12)이나 방열핀(13) 표면에 도포하고 소정 시간동안 가압 가열하여 코팅하는 방법이다. 기판성장 기반 코팅법은 방열판(12)이나 방열핀(13)의 표면에 코팅 물질의 분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규칙적인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MOF 또는 HOF 등의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를 이러한 방식으로 코팅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대안적 실시예에서 공지의 임의의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흡습제를 방열판(12) 및/또는 방열핀(13)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dip coating method is a method of immersing the heat sink 12 / heat radiation fin 13 structure in a solution in which the absorbent material is dispersed, then drying it, and curing it with heat treatment if necessary.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of the heat sink 12 and the heat radiation fin 13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absorbent material is coated evenly. The spray coat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solution in which a moisture absorbent is dispersed is sprayed on the heat sink 12 or the heat radiation fin 13 with a spray gun, and then cured by heat treatment if necessary, and the process is cheap and easy. Suspension plasma spray coating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film on the surface by injecting a suspension in which fine particles of a desiccant are dispersed in a solvent and an inorganic binder, etc., into a plasma jet, and spraying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12 or heat sink 13.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eat treatment while spraying separately. The compression and heat treatment coating method is a method of coating, for example, by applying a powder composed of absorbent particles and a linker to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12 or heat sink 13 and heating it under pressur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ubstrate growth-based coating method forms a regular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12 or the heat radiation fin 13 through intermolecular interactions of the coating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orous organic-inorganic hybrid such as MOF or HOF is used as can be coated in this way. Of course,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desiccant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12 and/or the heat sink fin 13 using any known coating method.

다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물 포잡장치(100)의 하부 케이스(30)는 상부 케이스(2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30)의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영역(35)이 형성되고 관통영역(35)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 저장부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물 저장부는 하부 케이스(30)의 외주면(31), 내주면(32), 상부면(33), 및 하부면(34)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 to 3 , the lower case 30 of the water trapping device 1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20 . In one embodiment, a through region 35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case 30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condensed water is formed in at least a partial region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region 35 . . In one embodiment, the water storage part may be a region defined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1 ,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2 , the upper surface 33 , and the lower surface 34 of the lower case 30 .

이 때 하부 케이스(30)의 상부면(33)에는 소정 위치마다 관통홀(33a)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관통홀(33a)은 상부 케이스(20) 내에 설치된 물 수집부(22)의 관통홀(23)의 수직 하방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열전모듈(10)의 응축판(14)에 응축된 물이 응축판(14) 아래쪽에 배치된 물 수집부(22)를 따라 흘러내린 후 관통홀(23)과 관통홀(33a)을 통해 물 저장부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At this time, a through hole 33a may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33 of the lower case 30 at predetermined positions, and the through hole 33a penetrates the water collecting part 22 installed in the upper case 20 . The holes 23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respectively. Therefore, the water condensed on the condensing plate 14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flows down along the water collecting part 22 disposed below the condensing plate 14, and then through the through hole 23 and the through hole 33a. It flows into the water storage unit and is stored.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포집장치(100)는 열전모듈(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팬(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40)은 팬 구동부(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물 포집장치(100) 주위의 공기를 포집장치(100) 내부로 흡입하고 제1 공기통로(P1)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팬(40)의 구동에 의해 하부 케이스(30)의 관통영역(35)을 통해 포집장치(100) 하부의 공기가 포집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후 제1 공기통로(P1)를 따라 상승하고 그 후 (상부 케이스(200의 관통구(24,25a)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0)의 내측 상부 공간의 제2 공기통로(P2)를 거쳐 상부 케이스(20)와 응축판(14) 사이의 공간의 제3 공기통로(P3)로 이송된다. 그 후 공기가 제3 공기통로(P3)를 지날 때 응축판(14) 및 응축핀(15)과 접촉하면서 공기중 수분이 응축되고 나머지 공기는 공기배출구(21)를 통해 상부 케이스(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핀(40)을 적절한 회전속도로 구동하여 이러한 공기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an 40 disposed under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 The fan 40 may be driven by a fan driving unit (not shown), and the air around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0 is sucked into the collecting device 100 and transferred upward along the first air passage P1. can Accordingly, the air under the collecting device 100 is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device 100 through the through region 35 of the lower case 30 by the driving of the fan 40 and then along the first air passage P1. rises and thereafter (with the through-holes 24 and 25a of the upper case 200 clos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P2 of the inner upper space of the upper case 20 and the upper case 20 and the condensing plate It is transferred to the third air passage P3 in the space between 14. After that, w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P3,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densing plate 14 and the condensing pin 15, and moisture in the air is removed. The condensed and remaining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case 20 through the air outlet 21. At this time, the air flow may be controlled by driving the pin 40 at an appropriate rotation speed.

한편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물 포집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1 공기통로(P1)에서 상승하고 제3 공기통로(P3)에서 하강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러한 공기통로의 구성은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적 실시예에서 포집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1 공기통로(P1)를 따라 하강한 후 제3 공기통로(P3)에서 상승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관통영역(35)이나 공기배출구(21)의 설치 방향이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0 rises in the first air passage P1 and descends in the third air passage P3. may vary depending on For example,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device 100 may descend along the first air passage P1 and then rise in the third air passage P3. In this case, the penetration area ( 35) or the installation direction or location of the air outlet 21 may be different.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팬(40)이 열전모듈(10)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팬(40)이 제1 내지 제3 공기통로(P1,P2,P3) 중의 임의의 위치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Also,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an 40 is disposed below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but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fan 40 is located at any of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s P1, P2, and P3. More than one may be installed.

도6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물 포집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구성요소 중 일부를 기능블록으로 도시하였다. 도6을 참조하면,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물 포집장치의 온/오프, 장치의 동작모드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으로, 예컨대 버튼이나 스위치, 터치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포집장치의 온/오프 상태, 동작모드 상태 등을 표시하는 출력수단이다. 입력부(120)와 디스플레이(130)는 상부 케이스(20)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6 is a functional block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that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S. 1 to 3 . Referring to FIG. 6 , the input unit 120 is an input means through which the user can input user commands such as on/off of the water collection device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and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button, a switch, or a touch pad. there is. The display 130 is an output means for displaying an on/off state, an operation mode state, and the like of the collecting device. The input unit 120 and the display 130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of the upper case 20 .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소정 시간주기에 따라 전원부(150)를 제어하여 열전소자(11)에 전압을 인가하고 또한 팬 구동부(160)에 전압을 인가하여 팬(40)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열전소자(11)에 제1 방향의 전압을 인가하여 방열판(12)을 가열하고 응축판(14)을 냉각하여 물을 포집할 수 있고, 이 때 공기배출구(21)로 찬바람이 배출되므로 포집장치(100)를 냉방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팬(40)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기배출구(21)로 공기가 유입되고 관통영역(35)으로는 방열판(12)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배출되므로 난방기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40 applies a voltag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150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also applies a voltage to the fan driving unit 160 to drive the fan 40 . can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40 may apply a voltage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to heat the heat sink 12 and cool the condensing plate 14 to collect water, at this time the air outlet ( 21), so that the cold wind is discharged, the collecting device 100 may be used as a cooling device. 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40 can be reversed as needed. In this case, air flows into the air outlet 21 and the air heated by the heat sink 12 is discharged into the through area 35, so it serves as a heater. You may.

한편 방열판(12) 및/또는 방열핀(13)에 흡착제를 형성한 경우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열전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열전모듈(10)이 수분 흡착 모드와 수분 응축 모드에서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adsorbent is formed on the heat sink 12 and/or the heat radiation fin 13,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n/off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so that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operates in the moisture adsorption mode and the moisture condensation mode. It is also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llect water by operating sequentially.

이하에서 도7과 도8을 참조하여 제어부(140)의 이러한 물 포집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우선 단계(S110 및 S120)에서 제1 시간(T1) 동안 물 포집장치(100)가 열전모듈(10)의 방열판(12) 및/또는 방열핀(13)에 수분을 흡착하는 수분 흡착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1 시간(T1)은 기설정된 시간 주기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한 시간일 수 있다. 도8(a)에 도시한 것처럼 일 실시예에서 이 시간 동안 열전소자(11)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 제1 기간(T1) 동안 관통영역(35)을 통해 포집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방열판(12)과 접촉하며 공기중 수분이 흡습판에 흡착할 수 있다. 즉 이 시간(T1) 동안 응축판(14)이 수분을 응축하지 않으므로 포집량(C)은 0이지만 방열판(12)과 방열핀(13)에는 공기중 흡착되어 수분을 다량으로 포집하게 된다. Hereinafter, such a water collectio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Referring to FIGS. 7 and 8 , first, in steps S110 and S120 , for a first time T1 ,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0 is the heat sink 12 and/or the heat radiation fin 13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 It operates in a moisture adsorption mode that adsorbs The first time T1 may be a preset time period, but preferably may be a time arbitrarily determined by a user. As shown in Fig. 8(a), in one embodiment,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during this time. During the first period T1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device 100 through the through region 35 contacts the heat sink 12 , and moisture in the air may be adsorbed to the moisture absorption plate. That is, since the condensing plate 14 does not condense moisture during this time T1, the collection amount C is 0, but the heat dissipation plate 12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13 are adsorbed in the air to collect a large amount of moisture.

또한 이 때 바람직하게는 제1 기간(T1) 동안에는 가능한 많은 외부 공기가 방열판(12) 및 방열핀(13)을 통과하도록 하여 방열판(12)과 방열핀(13)이 가능한 많은 수분을 흡착하는 것이 좋으므로, 제1 기간(T1)에는 회전판(25)을 회전시켜 관통구(24,25a)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대안적 실시예에서, 예컨대 상부 케이스(20)의 전부나 일부가 물 포집장치(100)에서 탈착가능한 경우 상부 케이스(20)의 전부나 일부를 탈착하여 열전모듈(10)을 공기 중에 완전히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this time, preferably, during the first period (T1), as much external air as possible passes through the heat sink 12 and the heat sink 13, so that the heat sink 12 and the heat radiation fin 13 adsorb as much moisture as possible. ,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25 to open the through holes 24 and 25a during the first period T1. Or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for example, when all or part of the upper case 20 is detachable from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0, all or part of the upper case 20 is detached to completely expose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to the air. It may be desirable to do

대안적 실시예에서 열전소자(11)에 전압을 반대로 인가하여 방열판(12)을 소정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방열판(12)에 흡착되는 수분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1 시간(T1) 동안 팬(40)을 구동하여 약한 공기 흐름을 만들어 공기 정체를 방지할 수도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heat sink 12 may be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reversely applying a voltag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moisture adsorbed to the heat sink 12 . Also,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fan 40 may be driven during the first time T1 to create a weak air flow to prevent air stagnation.

제1 시간(T1)이 경과하거나 또는 제1 시간(T1)의 경과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20) 포집장치(100)는 제2 시간(T2) 동안 공기중 수분을 응축하여 제거하는 수분 응축 모드에서 동작한다(단계 S130 및 S140). 즉 제2 시간(T2) 동안에는 회전판(25)을 회전시켜 관통구(24,25a)를 폐쇄하고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열전소자(11)에 제1 전압(V1)을 인가하여 방열판(12)을 발열시키고 응축판(14)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2 시간(T2) 동안 팬(40)을 소정 회전속도로 구동한다. 열전소자(11)에 인가된 전압(V1)에 의해 방열판(12)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방열판(12)과 방열핀(13)에 흡착되어 있던 수분이 증발한다. 증발된 수분은 공기통로(P2,P3)를 따라 응축판(14)측으로 향한다. 이 때 열전소자의 인가 전압(V1)에 의해 응축판(14)이 냉각되므로 수분이 응축판(14)과 접촉하여 물방울로 응축되고 물방울이 응축판(14)에서 흘러내려 하부 케이스(30)의 물 저장부에 저장된다.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regardless of whether the first time (T1) has elapsed or the first time (T1) has elapsed (S120), the collection device 100 condenses and removes moisture in the air for the second time (T2) to operate in the moisture condensation mode (steps S130 and S140). That is, during the second time T2, the rotating plate 25 is rotated to close the through-holes 24 and 25a, and the first voltage V1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to apply the heat sink ( 12) is heated and the condensing plate 14 is cooled. And at the same time, the fan 40 is driven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for the second time T2. When the heat sink 12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by the voltage V1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 the moisture adsorbed to the heat sink 12 and the heat radiation fin 13 is evaporated. The evaporated moisture is directed toward the condensing plate 14 along the air passages P2 and P3. At this time, since the condensing plate 14 is cooled by the applied voltage (V1)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moistur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densing plate 14 and condensed into water droplets, and the water droplets flow down from the condensing plate 14 to form the lower case (30).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이와 같이 제2 시간(T2) 동안 열전소자(11)로의 전압(V1) 인가 및 팬(40)의 구동을 동시에 실행함으로써 도8(b)에 도시한 것처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분을 포집할 수 있다. 한편 제2 시간(T2)도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일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한 시간일 수 있다.In this way, by simultaneously applying the voltage V1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and driving the fan 40 for the second time T2, moisture can be collected over time as shown in FIG. 8(b). there is. Meanwhile, the second time T2 may also be a preset time period, but more preferably a time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user.

물 포집장치(100)는 수분을 응축하여 제거하는 제2 시간(T2)의 경과 후 다시 단계(S110)의 수분 흡착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고 위와 같은 수분 흡착 모드(S110,S120)와 수분 응축 모드(S130,S140)를 반복하며 물 포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시간(T1) 또는 제2 시간(T2)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에 도8에 도시한 것처럼 수분 흡착 모드와 후분 응축 모드를 반복할 때마다 제1 시간(T1)이나 제2 시간(T2)의 각각의 시간 길이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The water collection device 100 may operate in the moisture adsorption mode of step S110 again after the lapse of the second time T2 for condensing and removing moisture, and the above moisture adsorption modes (S110, S120) and moisture condensation mode By repeating steps S130 and S140, the water collec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time (T1) or the second time (T2) is a time that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as needed, the first time (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respective time lengths of T1) or the second time T2 may be different.

또한 도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서 수분 흡착 모드와 수분 응축 모드를 1회 또는 복수회 반복할 때마다 살균 모드(S150,S160)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S150,S160)에서, 제2 시간(T2) 이후의 제3 시간(T3) 동안, 제1 전압(V1)과 극성이 반대인 제2 전압(V2)을 열전소자(11)에 인가하여 방열판(12)을 냉각시키고 응축판(14)을 소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시킨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in one embodiment, the sterilization mode ( S150 , S160 )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whenever the moisture adsorption mode and the moisture condensation mode are repeated once or a plurality of times. In this step (S150 and S160), during the third time (T3) after the second time (T2), a second voltage (V2)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voltage (V1)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to cool the heat sink 12 and heat the condensing plate 14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제3 시간(T3)은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응축판(14)의 표면에 있는 박테리아(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을 살균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온도 이상까지 응축판(14)이 가열될 수 있는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 온도는 예컨대 섭씨 60도 또는 70도이고 제3 시간(T3)은 예컨대 수십 초 내지 수 분일 수 있다. 또한 제3 시간(T3) 동안 열전소자(11)가 방열판(12)을 냉각시키기 때문에 제2 시간(T2) 동안 가열되었던 방열판(12)을 상온 또는 그 이하로 냉각하여 다음번 사이클의 수분 흡착 모드(S110,S120)에서의 수분 흡착을 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S150,S160)까지 진행하여 방열판(12)의 냉각 및 응축판(14) 표면의 살균 동작을 완료하면 다시 단계(S110,S120)의 수분 흡착 모드로 진행할 수 있다.The third time (T3) may be a predetermined time set in advance, and preferably, the condensing plate ( 14) is preferably the time it can be heated. 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60 degrees Celsius or 70 degrees Celsius, and the third time T3 may be, for example, several tens of seconds to several minutes. In addition,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 cools the heat sink 12 for the third time T3, the heat sink 12, which has been heated for the second time T2, is cooled to room temperature or less, so that the moisture adsorption mode of the next cycle ( Moisture adsorption in S110 and S120) can be prepared. In this way, when the cooling of the heat sink 12 and the sterilization of the surface of the condensing plate 14 are completed by proceeding to steps S150 and S160, the moisture adsorption mode of steps S110 and S120 may be performed agai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의 발열면에 해당하는 방열판(12)이 수분을 적극적으로 흡착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열전소자 방식의 응축기에 비해 수분 포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열전소자 방식의 응축기에서는 열전소자의 방열판이 제습 동작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분 흡착 모드에서 방열판이 공기중 수분을 적극적으로 흡착하는 역할을 하고 수분 응축 모드에서 방열판의 수분을 증발시켜 응축판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수분 응축 모드에서 방열판의 고온의 에너지를 수분의 증발에 사용하기 때문에 방열판의 발열에 의한 주위 공기의 가열을 방지하거나 감소시켜 뜨거운 공기 배출을 근원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ink 12 corresponding to the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configured to actively absorb moisture, thereby increasing the moisture collecting 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denser of the general thermoelectric element method. can be improved In the conventional thermoelectric type condenser, the heat sink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did not contribute to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ink plays a role of actively adsorbing moisture in the air in the moisture adsorption mode, and in the moisture condensation mode, It serves to transfer to the condensing plate. In particular, in the moisture condensation mode, since the high-temperature energy of the heat sink is used to evaporate mois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reduce the heating of the surrounding air due to the heat of the heat sink, thereby fundamentally reducing the discharge of hot air.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열전모듈 11: 열전소자
12: 방열판 13, 13-1, 13-2, 13-3: 방열핀
14: 응축판 15: 응축핀
20: 상부 케이스 21: 공기배출구
22: 물 수집부 23: 관통홀
30: 하부 케이스 35: 관통 영역
40: 팬 P1, P2, P3: 공기통로
10: thermoelectric module 11: thermoelectric element
12: heat sink 13, 13-1, 13-2, 13-3: heat sink fin
14: condensing plate 15: condensing pin
20: upper case 21: air outlet
22: water collecting unit 23: through hole
30: lower case 35: through area
40: fan P1, P2, P3: air passage

Claims (10)

휴대용 물 포집장치로서,
통 형상의 방열판, 상기 방열판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응축판, 및 상기 방열판과 응축판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로 구성된 열전모듈; 및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방열판을 발열시키고 응축판을 냉각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판에서 응축하여 물을 포집하도록 구성된 것인, 휴대용 물 포집장치.
A portable water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module including a cylindrical heat sink, a cylindrical condensing plate surrounding the heat sink, and one or more thermoelectric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he heat sink and the condensing plate; and
Including; a control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power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control unit applies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heat the heat sink and cool the condensing plate to condense moisture in the air on the condensing plate to collect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을 둘러싸되 상부가 폐쇄되어 있고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물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ubular upper case surround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the upper part being closed and the lower part being open; and
A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that includes; a lower case detachably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공기가 관통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영역을 통해 상부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통 형상의 방열판의 중심부의 제1 공기통로(P1) 및 상기 응축판과 상부 케이스 사이의 제2 공기통로(P3)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인, 휴대용 물 포집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penetration region through which air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cas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through the through area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P1 at the center of the tubular heat sink and the second air passage P3 between the condensing plate and the upper case. After that, the portable water coll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 공기통로(P1)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팬 및 상기 팬을 구동하는 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물 포집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fan disposed under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configured to transfer external air to the first air passage (P1); and a fan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a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가 상기 응축판에서 응축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물 포집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case will include a 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water condensed in the condensing plate, a portable water collection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의 방열판의 내주면에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방열핀을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물 포집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extending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heat sink.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방열핀이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기통로(P1)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방열핀 간의 접촉시간과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휴대용 물 포집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is formed in a zigzag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crease the contact time and contact area betwe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P1)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the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과 방열핀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수분을 흡착하는 흡습제가 형성된 것인, 휴대용 물 포집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moisture absorbent for adsorbing moisture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and the heat sink fin, a portable water collect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가, 금속 유기 구조체(MOF), 수소결합 유기 구조체(HOF),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질석, 규조토, 실리카겔, 수분을 함유하는 하이드로젤, 친수성을 가지는 무기바인더, 및 활성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것인, 휴대용 물 포집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siccan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metal organic structure (MOF), a hydrogen bond organic structure (HOF), a zeolite, bentonite, vermiculite, diatomaceous earth, silica gel, a water-containing hydrogel, a hydrophilic inorganic binder, and activated carbon , portable water collection devic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상기 방열판을 발열시키고 응축판을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흡습제에서 증발된 수분을 상기 응축판으로 이송하여 응축판에서 응축시키도록 구성한 것인, 휴대용 물 포집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By heating the heat sink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oling the condensing plate, the moisture evaporated from the desiccant is transferred to the condensing plate and condensed in the condensing plate, a portable water collection device.
KR1020200133541A 2020-10-15 2020-10-15 Portable water-collecting device KR1024346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41A KR102434676B1 (en) 2020-10-15 2020-10-15 Portable water-coll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41A KR102434676B1 (en) 2020-10-15 2020-10-15 Portable water-collec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878A true KR20220049878A (en) 2022-04-22
KR102434676B1 KR102434676B1 (en) 2022-08-23

Family

ID=8145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541A KR102434676B1 (en) 2020-10-15 2020-10-15 Portable water-colle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6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780B1 (en) * 2022-06-13 2023-03-16 도윤서 atmospheric water harvesting generato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1337A (en) * 2007-10-24 2009-05-14 Yuuman Network:Kk Emergency simple fresh water producing device
KR20090080763A (en) 2008-01-22 2009-07-27 유재정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drinking water
KR20130125500A (en) * 2012-05-09 2013-11-19 안영후 Automatic water-supply flower pot
KR101676727B1 (en) 2015-05-06 2016-11-1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Coldness and warmth clean water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air cleaner
KR20190129227A (en) * 2018-05-10 2019-11-20 이용민 Pet watering device using the air water generating principle
KR20190133316A (en) * 2018-05-23 2019-12-03 하이월드테크 주식회사 Air Water Equipment with Moisture Absorbent pad
KR20200101016A (en) * 2019-02-19 2020-08-27 이윤희 Water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1337A (en) * 2007-10-24 2009-05-14 Yuuman Network:Kk Emergency simple fresh water producing device
KR20090080763A (en) 2008-01-22 2009-07-27 유재정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drinking water
KR20130125500A (en) * 2012-05-09 2013-11-19 안영후 Automatic water-supply flower pot
KR101676727B1 (en) 2015-05-06 2016-11-1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Coldness and warmth clean water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air cleaner
KR20190129227A (en) * 2018-05-10 2019-11-20 이용민 Pet watering device using the air water generating principle
KR20190133316A (en) * 2018-05-23 2019-12-03 하이월드테크 주식회사 Air Water Equipment with Moisture Absorbent pad
KR20200101016A (en) * 2019-02-19 2020-08-27 이윤희 Water Suppl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780B1 (en) * 2022-06-13 2023-03-16 도윤서 atmospheric water harvesting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676B1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39875B (en) Active atmospheric moisture collector
US6434857B1 (en) Combination closed-circuit washer and drier
CA2988600C (en) Moisture pump for enclosure
EP2431335A1 (en) Electrical discharge unit for liquid treatment, humidity conditioning apparatus, and water heater
JP2011036768A (en) Dehumidifier
KR102434676B1 (en) Portable water-collecting device
KR100512040B1 (en) Cold and heat device for combined dehumidify
KR20170042440A (en) Humidifier
KR20150069873A (en) Dehumidifier using Themoelectric Modules
JP6074595B2 (en) Dehumidifier
AU2002302151B2 (en) Regenerative dehumidifier
JP2003001047A (en) Dehumidification device and cold air generator using this dehumidification device
CN113668647B (en) Solar-driven adsorption type portable bottle for taking water from air and use method thereof
JPH07275642A (en) Dehumidifier
KR102222265B1 (en) Dehumidify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rmoelectric module
JP2010139145A (en) Thermal storage type heat transfer device
JP4463870B1 (en) Fresh water production equipment
JP7033065B2 (en)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KR20190133316A (en) Air Water Equipment with Moisture Absorbent pad
JP2000257895A (en) Heater
JP3106389U (en) Dehumidifier for moisture barrier
KR101511371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using oyster shell
JPH06121910A (en) Hygrostat
JP2005321119A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6187721A (en) Dehumid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