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850A -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850A
KR20220049850A KR1020200133479A KR20200133479A KR20220049850A KR 20220049850 A KR20220049850 A KR 20220049850A KR 1020200133479 A KR1020200133479 A KR 1020200133479A KR 20200133479 A KR20200133479 A KR 20200133479A KR 20220049850 A KR20220049850 A KR 20220049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oling
cream
group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752B1 (ko
Inventor
김시내
박현정
김기선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7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나타내는 유화베이스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하여, 기존의 쿨링 화장료 조성물보다 건조함 없이 피부에 지속적으로 피부에 쿨링감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cooling cream with instant and lasting cooling feeling}
본 발명은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반복적으로 열에 노출될 경우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주름이 증가하는 등 피부 노화가 가속화된다. 정상 체온인 사람이 30분간 강렬한 햇볕에 노출되는 경우 피부 온도가 최대 섭씨 43 ℃까지 상승할 수 있다.
한편, 피부 온도가 37 ℃ 이상 올라가는 경우, 열에 의한 혈관의 수와 면적이 증가되고, 피부의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가 급격히 파괴되어 피부 열노화가 가속화된다. 이는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와 같은 메커니즘으로서, 더욱이 태양의 적외선에 의한 열이 자외선의 파장보다 길기 때문에 적외선에 의한 노화가 피부 깊은 곳에서부터 나타난다는 점은 보다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햇빛에 노출된 후, 정상적인 피부 온도로 회복할 수 있도록 피부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그와 함께 자극받은 피부를 부드럽게 진정시켜 주며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쿨링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쿨링감을 주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은 멘톨과 같이 피부의 신경을 자극하거나, 에탄올과 같은 휘발성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물질은 피부에 즉각적으로 청량감을 주지만, 지속성은 없으며, 다량 함유하였을 경우 피부 자극이나 건조를 유발하여 얼굴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강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휘발성 용제 없이 쿨링감을 주어 피부 건조증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보습효과를 주는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하다.
발명자들은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제형을 구현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부여하고, 건조함 없이 피부에 쿨링감을 주는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기존의 쿨링 화장료 조성물보다 건조함 없이 피부에 쿨링감을 주는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즉각적"은 도포 초기부터 쿨링감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지속적"은 쿨링감이 15분 이상 지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쿨링"은 차갑게 느껴지는 온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용어 "냉각"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쿨링은 28 내지 30 ℃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 증발 차단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 증발 차단제는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는 전체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10 내지 30.00 중량%, 0.10 내지 25.00 중량%, 0.10 내지 20.00 중량%, 0.10 내지 15.00 중량%, 1.00 내지 30.00 중량%, 1.00 내지 25.00 중량%, 1.00 내지 20.00 중량%, 1.00 내지 15.00 중량%, 3.00 내지 30.00 중량%, 3.00 내지 25.00 중량%, 3.00 내지 20.00 중량%, 3.00 내지 15.00 중량%, 5.00 내지 30.00 중량%, 5.00 내지 30.00 중량%, 5.00 내지 25.00 중량%, 5.00 내지 20.00 중량%, 예를 들어, 5.00 내지 15.00 중량%, 예를 들어, 10.0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는 융점 (Melting Point; MP)이 25.4 도이다. 따라서,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의 함량이 적을 경우에는 다른 왁스들에 의하여 제형을 유지할 수 있으나,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의 양이 많아질 경우에는 제형의 융점이 너무 낮아져서 셔벗 같은 제형이 아닌 제형의 일부가 녹아내리는 듯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는 전제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5 내지 4.00 중량%, 0.05 내지 3.50 중량%, 0.05 내지 3.00 중량%, 0.05 내지 2.50 중량%, 0.05 내지 2.00 중량%, 0.10 내지 4.00 중량%, 0.10 내지 3.50 중량%, 0.10 내지 3.00 중량%, 0.10 내지 2.50 중량%, 0.50 내지 4.00 중량%, 0.50 내지 3.50 중량%, 0.50 내지 3.00 중량%, 0.50 내지 2.50 중량 예를 들어, 0.50 내지 2.00 중량%, 예를 들어, 1.0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는 전체 쿨링 크림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함량이 4.00 중량% 이상인 경우 제형 안정도는 유지되나 자극감이 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점증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프로판다이올, 메틸프로판다이올 및 다이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증제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라일레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150다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아라키딜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알코올,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스테아릭애씨드,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미리스틸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디셔닝제는 데실코코에이트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다이에틸헥실카보네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이소도데케인,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다이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스쿠알란,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세틸이텔헥사노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트라이아이소스테아린,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부제는 1,2-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클로페네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에탄올 또는 멘톨을 첨가하지 않고서도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나타내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하여, 피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기존의 쿨링 화장료 조성물보다 건조함 없이 피부에 쿨링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제형 외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비교예 1 내지 5의 제형 외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비교예 5의 제형 외관 및 분리 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시예의 제조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번호 구성 성분 실시예 1
1 수분 증발 차단제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10.00
2 수분 증발 차단제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 1.00
3 보습제 글리세린 5.00
4 점증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40
5 유화제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1.89
6 유화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0.11
7 계면활성제 스테아릭애씨드 5.00
8 컨디셔닝제 데실코코에이트 10.00
9 방부제 1,2-헥산디올 1.00
10 방부제 펜틸렌글라이콜 2.00
11 용제 정제수 63.60
총합 (중량 %) 100.00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1,2-헥산디올, 글리세린, 펜틸렌글라이콜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교반 분산시켰다. 그 다음,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스테아릭애씨드, 데실코코에이트 및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를 70 내지 75 ℃로 가온 후 투입하여 호모 교반기 (Homo Mixer)를 이용하여 3000 RPM으로 5분간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메틸다이아이오스포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넣은 후 2500 RPM으로 3분간 혼합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크림 제형의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었다.
제조예 2. 비교예의 제조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또는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번호 구성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5
1 수분 증발 차단제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5.00 - 0.10 25.00 30.00
2 수분 증발 차단제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 - 1.00 0.05 3.50 4.00
3 보습제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4 점증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40 0.40 0.40 0.40 0.40
5 유화제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1.89 1.89 1.89 1.89 1.89
6 유화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0.11 0.11 0.11 0.11 0.11
7 계면활성제 스테아릭애씨드 5.00 5.00 5.00 5.00 5.00
8 컨디셔닝제 데실코코에이트 10.00 10.00 10.00 10.00 10.00
9 방부제 1,2-헥산디올 1.00 1.00 1.00 1.00 1.00
10 방부제 펜틸렌글라이콜 2.00 2.00 2.00 2.00 2.00
11 용제 정제수 69.60 73.60 74.45 46.10 40.60
총합 (중량%)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1,2-헥산디올, 글리세린, 펜틸렌글라이콜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교반 분산시켰다. 그 다음,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스테아릭애씨드, 데실코코에이트 및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를 70 내지 75 ℃로 가온 후 투입하여 호모 교반기 (Homo Mixer)를 이용하여 3000 RPM으로 5분간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메틸다이아이오스포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넣은 후 2500 RPM으로 3분간 혼합하였다.
다만, 비교예 1은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 비교예 2는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3 내지 5는 실시예 1 대비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또는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의 함량을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나머지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 제조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 내지 5의 크림 제형의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었다.
실험예 1. 크림 제형 형성의 여부 및 균질성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크림 제형을 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 제형의 외관을 비교 관찰하였다 (도 1 및 도 2).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셔벗 느낌의 크림 제형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도 셔벗 느낌의 크림 제형을 나타내었다. 다만, 도 3에 나타낸 비교예 5의 경우, 표면에 오일이 뜨면서 제대로 유화입자를 형성하지 못하고 분리현상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크림으로 적합한 사용감 및 성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혼합 비율이 가장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의 총합을 30 중량% 미만 포함하는 것이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구현에 있어서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쿨링감 평가
크림 제형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쿨링감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민감성 피부로 평가되는 성인 남, 녀 20 명 (나이 30±5)을 선발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를 양쪽 손등에 도포하고, 양쪽 손등에서 느껴지는 쿨링감의 정도와 지속력을 관능 평가하였다 (표 3).
쿨링감 발생 쿨링감 지속력(분)
실시예 1 초기부터 쿨링감 강하게 느껴짐 20 분 이상
비교예 1 초기에만 약하게 쿨링감 느껴짐 1 분 이상
비교예 2 도포 10초 후, 쿨링감이 약하게 느껴짐 1 분 이상
비교예 3 초기부터 쿨링감이 약하게 느껴짐 5 분 이상
비교예 4 초기부터 쿨링감이 강하게 느껴짐 20 분 이상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은 도포 초기부터 쿨링감이 강하게 느껴지고, 쿨링감이 15분 이상 지속되어 쿨링 지속력 또한 우수하였다.
반면,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초기에만 약하게 쿨링감이 느껴질 뿐 지속시간도 짧았다. 그리고,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는 도포시 쿨링감이 거의 없고 처음 도포하였을 10초 동안만 약한 쿨링감이 느껴질 뿐 지속시간이 짧았다.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를 0.10 중량%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0.05 중량% 범위로 포함하는 비교예 3은 도포하였을 때 도포 직후부터 쿨링감이 약하게 느껴지기 시작하였으나, 쿨링감의 지속력이 약 5분 정도로 오래 유지되지는 못하였다.
비교예 3이 쿨링감이 약하게 느껴진 이유는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을 섞었을 때 쿨링감은 나타났으나, 상기 두 성분의 사용량이 적어서 쿨링감의 강도가 약하였으며, 쿨링감이 오래 지속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를 25.00 중량%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3.50 중량% 포함하는 비교예 4의 경우, 도포 초기부터 강한 쿨링감이 느껴졌으며, 쿨링감이 20분 이상 지속되었다.
따라서,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또는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 성분을 포함할 때 보다 즉각적인 쿨링감 및 쿨링감 지속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피온아마이드를 모두 포함하더라도 혼합하는 함량에 따라서 느껴지는 쿨링감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쿨링 크림의 피부 온도 저감 효과 측정
크림 제형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피부 온도 저감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온도 저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민감성 피부로 평가되는 성인 남, 녀 20 명 (나이 30±5)을 선발하여, 도포 전 항온 항습실 (22±2 ℃, 40 ~ 60 %RH)에서 10 분간 대기한 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팔 안쪽 (하박내측 4 cm X 4 cm)에 도포 한 후 피부 온도를 측정하였다. 도포 전 (-5 분)과 도포 후 IR 카메라 (IRIS-XP (Gold), MEDICORE, Korea)를 이용하여 측정 이미지를 얻은 후, 측정 부위 내에 ROI (Regions of interest)를 설정하고 ROI 내 피부 온도의 평균값을 취하여 시간에 따른 피부의 온도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표 4).
시험제품 도포전 온도(℃) 도포후 온도(℃) 피부 온도 감소율(%)
무도포 25.70 25.70 0.00
실시예1 25.42 24.10 -5.48
비교예1 25.63 25.55 -0.31
비교예2 25.62 25.53 -0.35
비교예3 25.60 24.82 -3.14
비교예4 25.52 24.15 -5.67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온도 변화에 있어서 실시예 1은 비교예 1 및 2보다 양팔 내측 온도 저하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 1보다는 피부 온도 감소율이 낮지만, 피부온도 감소율 (%)이 3.14 %로 피시험자들이 쿨링감을 유의미하게 느낄 수 있는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비교예 4의 경우 실시예 1과 유사한 수준의 피부 온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다만, 비교예 4의 경우에는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의 함량이 높아 일부 피시험자가 피부 자극을 느꼈다.
따라서,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를 0.1 내지 25.00 중량%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0.05 내지 3.50 중량% 포함할 경우 피부 온도 저감 효과가 있었으며, 상기 두 성분이 각각 10.00 중량% 및 1.00 중량% 이상일 경우 유사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및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는 전체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10 내지 30.00 중량% 포함된 것인,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다이아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마이드는 전체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5 내지 4.00 중량% 포함된 것인,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점증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인,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프로판다이올, 메틸프로판다이올 및 다이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라일레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150다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아라키딜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알코올,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스테아릭애씨드,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미리스틸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제는 데실코코에이트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다이에틸헥실카보네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이소도데케인,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다이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스쿠알란,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세틸이텔헥사노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트라이아이소스테아린,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클로페네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33479A 2020-10-15 2020-10-15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479A KR102525752B1 (ko) 2020-10-15 2020-10-15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479A KR102525752B1 (ko) 2020-10-15 2020-10-15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850A true KR20220049850A (ko) 2022-04-22
KR102525752B1 KR102525752B1 (ko) 2023-04-26

Family

ID=8145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479A KR102525752B1 (ko) 2020-10-15 2020-10-15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7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641A (ko) * 2002-03-01 2004-11-16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냉감 조성물, 냉감 보조 조성물 및 이들의 용도
KR20070031429A (ko) * 2004-07-01 2007-03-19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화장용 조성물 및 감각기관의 청량감 발생 방법
KR101692769B1 (ko) * 2016-07-29 2017-01-05 주식회사 나우코스 상전이 왁스를 함유하는 피부 쿨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9152626A1 (en) * 2018-01-31 2019-08-08 L'oreal Cooling gel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641A (ko) * 2002-03-01 2004-11-16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냉감 조성물, 냉감 보조 조성물 및 이들의 용도
KR20070031429A (ko) * 2004-07-01 2007-03-19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화장용 조성물 및 감각기관의 청량감 발생 방법
KR101692769B1 (ko) * 2016-07-29 2017-01-05 주식회사 나우코스 상전이 왁스를 함유하는 피부 쿨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9152626A1 (en) * 2018-01-31 2019-08-08 L'oreal Cooling gel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752B1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90014A1 (en) Oil - in - polyhydric alcohol type warming base agent
KR101342292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5282B1 (ko) Oil/IPDI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피부 도포시 가역적인 상전이 성질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90122612A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1352642B1 (en) Use of solubilized, anionic polyurethanes in skin care compositions
KR101507090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101621942B1 (ko)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72543B1 (ko)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9198B1 (ko) 피부 각질 박리용 배니싱 크림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25752B1 (ko)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3508B1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32885B1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6076A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11941B1 (ko) 에리스리톨과 디실록산을 포함하는 냉감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3362B1 (ko) 유사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보습용 조성물
KR102236418B1 (ko) 청량감을 갖는 세라마이드 함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5537A (ko)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6392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4271A (ko) 온열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3531B1 (ko) 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