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319A -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319A
KR20220049319A KR1020200132822A KR20200132822A KR20220049319A KR 20220049319 A KR20220049319 A KR 20220049319A KR 1020200132822 A KR1020200132822 A KR 1020200132822A KR 20200132822 A KR20200132822 A KR 20200132822A KR 20220049319 A KR20220049319 A KR 20220049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discharge
gasket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도
이종환
김현구
오유원
박찬정
정웅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2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319A/ko
Priority to JP2023522565A priority patent/JP2023545449A/ja
Priority to PCT/KR2021/014236 priority patent/WO2022080891A1/ko
Priority to US18/248,786 priority patent/US20230382710A1/en
Publication of KR20220049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67D3/0064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41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정화시켜 정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를 상기 정수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탱크는, 상기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탱크본체부; 상기 수용공간의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버퍼부; 배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버퍼부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출수튜브; 및 상기 배출버퍼부 내의 정수의 출렁임(sloshing)이 저감되도록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버퍼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PURIFIED WATER TANK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정수로 여과시킨 후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는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될 수 있으나,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후 냉수로 제공되거나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로 제공되기도 한다.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제10-2018-0063022호)의 "수처리 기기" 및 한국 공개특허(제10-2014-0055169호)의 "냉수탱크"는 정수를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탱크를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탱크는 정수가 입수파이프를 거쳐서 탱크로 유입되며, 탱크에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정수는 탱크에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동안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며,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정수는 출수파이프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앞서 설명한 정수기 내부의 정수의 유동은 밸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수파이프에 구비된 입수 밸브가 개방되면, 정수는 탱크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는 출수파이프에 구비된 출수 밸브를 제거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수를 추출한 후에 소량의 정수, 즉 잔수가 임의로 추출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정수탱크 내부에 기체와 정수가 혼재하는 상태에서 입수 밸브를 개폐하게 되면, 탱크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동상태는 변화하고, 기체층의 압력 변화로 인해 진동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탱크 내부의 정수는 출렁이게 되며, 기체층의 진동 및 정수의 출렁임에 의해 소량의 정수는 출수파이프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처럼, 소정의 정수가 출수파이프 내측으로 유입되면, 출수파이프에 잔류하는 소량의 정수, 즉 잔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한국 공개특허(제10-2017-0125560호) 등의 "정수기"는 출수측의 밸브를 통하여 정수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소형 정수기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정수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정수기의 크기를 줄인 소형 정수기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입수 밸브 개폐에 따른 원치 않는 잔수의 추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63022호(2018.06.11 출원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55169호(2014.05.09 출원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25560호(2017.11.15 출원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정수탱크 내에 수용된 정수가 출렁이는 것을 저감시킴으로써 잔수의 추출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 수를 줄임으로써 소형화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밸브 수를 줄임으로써 밸브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내부 구성을 단순화하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을 정화시켜 정수를 제공하는 정수기(1)에 있어서, 물을 정화시켜 정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를 상기 정수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탱크는, 상기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탱크본체부; 상기 수용공간의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버퍼부; 배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버퍼부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출수튜브; 및 상기 배출버퍼부 내의 정수의 출렁임(sloshing)이 저감되도록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버퍼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버퍼부는 상기 배출버퍼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가스켓 보다 상측에 제공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하측 단부는 상기 가스켓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탱크는, 상기 탱크본체부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정수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는 입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가스켓 보다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배출버퍼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수용공간 내의 상기 정수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배출버퍼부로 유동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튜브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배출버퍼부 사이로 기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와 상기 배출버퍼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상기 배출버퍼부 및 상기 출수튜브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지지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탱크로 유입되는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입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가 개폐밸브를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입수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로의 상기 정수의 유동이 제어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탱크본체부; 상기 수용공간의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버퍼부; 배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를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버퍼부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출수튜브; 및 상기 배출버퍼부 내의 정수의 출렁임이 저감되도록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버퍼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정수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수탱크 내에 수용된 정수가 출렁이는 것을 저감시킴으로써 잔수의 추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 수를 줄임으로써 정수기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밸브 수를 줄임으로써 밸브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내부 구성을 단순화하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내에서 물이 유동하는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수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수탱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가스켓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유입', '배출', '유동', '연통'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입, 배출, 유동, 연통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하 방향은 도 1의 축 방향일 수 있으며, 전후 방향은 도 1의 y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은 도 1의 x축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여과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1)는 수도 등과 같은 물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물을 깨끗한 물로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1)는 프레임(100), 정수탱크(200), 입수밸브(300), 배출구(400), 필터(500) 및 배출유로(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정수기(1) 내부로 유입된 물은 원수, 정수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로부터 정수기(1) 내부로 유입된 물 중 필터(500)를 거치지 않은 물은 원수로 정의하며, 필터(500)를 거쳐서 여과된 물은 정수로 정의한다.
프레임(100)은 정수탱크(200), 입수밸브(300), 배출구(400) 및 필터(5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정수탱크(200), 입수밸브(300) 및 필터(5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외측에는 정수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400)가 지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정수탱크(100)는 정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정수가 소정 시간동안 잔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수탱크(100) 내부에 잔류하는 정수는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탱크(100)는 탱크본체부(210), 배출버퍼부(220), 출수튜브(230), 가스켓(240), 입수부(250), 격벽부재(260) 및 배플(270)을 포함할 수 있다.
탱크본체부(210)는 정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본체부(210) 내부의 공간은 격벽부재(260)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탱크본체부(210) 내부로 유입된 정수는 탱크본체부(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는 탱크본체부(210)의 상부로 유입되어 탱크본체부(210)의 하부에서 배출되며, 탱크본체부(210)로부터 배출된 정수는 배출버퍼부(220)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본체부(210)에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탱크본체부(210)는 냉각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211) 내의 정수는 냉각기에 의해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용공간(211)은 정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211)은 탱크본체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260)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공간을 따라 정수는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수용공간(211) 내의 정수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유동하는 동안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211)은 유입구(221) 및 연통구(222)를 통하여 배출통로(223)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211)의 하측으로 유동한 정수는 유입구(221)를 통하여 배출통로(223)로 유동하며, 배출통로(223)를 통하여 다시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수용공간(211)에는 정수와 기체가 혼재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211)의 상측에는 기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버퍼부(220)는 수용공간(211)의 정수를 출수튜브(23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버퍼부(2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탱크본체부(21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버퍼부(220)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해 속이 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출버퍼부(220)에는 유입구(221), 연통구(222) 및 배출통로(223)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221)는 수용공간(211)의 정수가 배출통로(223)로 유입되도록 수용공간(211) 및 배출통로(223)와 연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구(221)의 일측은 수용공간(211)과 연통하고, 타측은 배출통로(223)와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온도의 정수는 수용공간(211)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입구(221)는 배출버퍼부(220)의 하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공간(211) 하측에 잔류하는 낮은 온도의 정수는 유입구(221)를 통하여 배출통로(223)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221)는 가스켓(240) 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유입구(221)를 통하여 배출통로(223)로 유입된 정수는 가스켓(240)의 하측에서부터 차오르게 된다.
연통구(222)는 수용공간(211)에 잔류하는 기체가 배출통로(223)로 유동하기 위하여 배출버퍼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공간(211)에 정수가 차오르기 시작할 때, 수용공간(211)에 잔류하는 기체는 연통구(222) 및 출수튜브(230)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구(222)는 수용공간(211) 및 배출통로(223)와 연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구(221)의 일측은 수용공간(211)과 연통하고, 타측은 배출통로(223)와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연통구(222)는 배출버퍼부(2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배출버퍼부(22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통구(222)는 후술할 가스켓(240) 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출통로(223)는 정수 및 기체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통로(223)는 배출버퍼부(22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통로(223)는 유입구(221) 및 연통구(222)를 통하여 수용공간(211)과 연통할 수 있으며, 출수튜브(230)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통로(223)의 내측에는 가스켓(2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통로(223)는 가스켓(24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출수튜브(230)는 배출통로(223)의 정수를 배출구(400)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출수튜브(230)는 배출버퍼부(22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튜브(230)는 삽입부(231) 및 실링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31)는 배출버퍼부(22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제공되며, 정수를 후술할 배출유로(60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231)의 일측은 배출통로(223)와 연통할 수 있으며, 타측은 배출유로(600)와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2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31)는 하측 단부가 가스켓(240) 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가스켓(240)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231) 내에는 정수가 유동할 수 있다.
실링부(233)는 삽입부(231)와 배출버퍼부(220) 사이로 기체 및 액체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삽입부(231)와 배출버퍼부(22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는 삽입부(231)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배출통로(223)를 차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233)는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스켓(240)은 배출버퍼부(220)의 내측 공간, 즉 배출통로(223)에 잔류하는 정수의 출렁임(sloshing)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수밸브(300)가 개방되어 수용공간(211) 내에 정수가 유입될 때 또는 정수가 탱크본체부(210)에 유입된 후 입수밸브(300)가 차단될 때, 정수의 유동과 기체층의 압력 변화로 인해 진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진동은 수용공간(211)의 수용공간(211)의 정수를 출렁이게 하며, 배출통로(223)에 잔류하는 정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 경우 가스켓(240)은 배출통로(223)의 정수가 출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배출통로(223)에 잔류하는 정수가 삽입부(231)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출수튜브(230) 내측의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잔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가스켓(240)은 배출버퍼부(220) 및 출수튜브(230)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켓(240)은 배출버퍼부(220)의 내벽에 고정 지지되도록 제공되며, 출수튜브(230)는 가스켓(24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가스켓(240)은 출수튜브(230)에 고정 지지되도록 제공되며, 출수튜브(230)와 함께 배출버퍼부(2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가스켓(240)은 출수튜브(230)로부터 배출버퍼부(220)의 내주면으로 연장되어, 가스켓(240) 하측의 정수가 배출버퍼부(220)와 출수튜브(230) 사이로 출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스켓(240)은 출렁임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통로(223) 내에서의 가스켓(240)의 하측 공간과 가스켓(240)의 상측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켓(24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스켓(240)의 외주면은 배출버퍼부(22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240)은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출수튜브(230)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가스켓(24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관통홀(241)은 상하 방향으로 가스켓(240)을 관통하도록 가스켓(24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관통홀(241)을 통하여 기체는 가스켓(24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관통홀(241)은 수용공간(211)에 정수가 유입될 때, 수용공간(211)에 잔류하는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공간(211)에 정수가 유입될 때, 기체는 연통구(222)를 통하여 수용공간(211)으로부터 배출통로(223)로 유입된다. 이 경우 배출통로(223)로 유입된 기체는 관통홀(241)을 통하여 가스켓(240)의 하측으로 유동한 후, 출수튜브(230)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관통홀(241)이 형성됨으로써, 배출통로(223) 내에서 가스켓(240)에 의해 구획되는 가스켓(240)의 하측 공간은 가스켓(240)의 상측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24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관통홀(241)은 가스켓(24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관통홀(241)은 가스켓(240)의 내주면 보다 외주면에 더 인접하도록 가스켓(24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스켓(240)의 내주면은 출수튜브(2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24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홀(242)은 가스켓(24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231)가 관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홀(242)의 형상은 삽입부(231)의 외주면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입수부(250)는 탱크본체부(210)로 유입되는 정수를 수용공간(211)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입수부(250)는 입수밸브(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입수밸브(300)에 의해 유입되는 정수의 유량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입수부(250)는 입수되는 정수가 낮은 온도의 정수와 급격하게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탱크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입수부(250)를 통하여 수용공간(211)으로 입수되는 정수는 탱크본체부(210)의 상측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입수부(250)는 일 예로, 입수구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격벽부재(260)는 수용공간(211) 내의 정수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부재(260) 수용공간(211)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격벽부재(260)는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26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부재(260)의 일측 단부는 탱크본체부(210)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으며, 격벽부재(260)의 타측 단부는 탱크본체부(210)의 내벽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격벽부재(260)와 탱크본체부(2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정수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격벽부재(26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격벽부재(260)는 서로 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탱크본체부(210)에 지지될 수 있다.
배플(270)은 입수부(250)를 통해 탱크본체부(210)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를 격벽부재(26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배플(270)은 소정 온도 이상의 정수가 유입되면 수용공간(211) 내부의 정수와 바로 혼합되지 않고 일차적으로 배플(270)을 따라 유동한 후에 혼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수용공간(211)으로 유입된 정수가 수용공간(211) 내에 잔류하는 낮은 온도의 정수와 급격하게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211)의 정수는 낮은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플(27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탱크본체부(210)의 상측에서 탱크본체부(2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배플(270)은 입수부(25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입수밸브(300)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입수밸브(300)는 필터(500)에서 여과된 정수 중 냉각될 필요가 있는 일부를 정수탱크(200)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수밸브(300)가 개방되는 경우 정수는 정수탱크(20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입수밸브(300)가 차단될 때, 정수탱크(200)로 유입되는 정수는 차단되며, 소정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은 정수탱크(200) 상측에 잔류하는 기체층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211)의 정수를 출렁이게 한다.
배출구(400)는 정수탱크(200)에서 배출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400)는 프레임(100)의 외측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일부가 외부를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400)는 배출유로(600)와 연결되며, 배출유로(600)를 통과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400)는 콕크(cock) 또는 파우셋(fac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500)는 정수기(1) 내로 유입된 원수를 정수로 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500)에는 원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필터(500)에서 여과된 정수는 입수밸브(300)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필터(500)는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에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출유로(600)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삽입부(231)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배출구(40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유로(600)의 일측은 삽입부(231)와 연결되며, 타측은 배출구(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로(600)에 개폐밸브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배출유로(600) 내에 잔류하는 정수는 삽입부(231)로부터 유입된 정수에 의해 밀려나면서 배출구(400)로 유동한다. 다시 말해, 입수밸브(300)가 개방되어 정수가 정수탱크(100)로 유입되면, 배출유로(600) 내의 정수는 배출구(400)로 유동한다. 이처럼, 배출유로(600)에 개폐밸브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정수의 배출은 입수밸브(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수기(1)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원수를 여과시켜 정수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정수를 냉각하여 차가운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1)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원수는 필터(500)를 거쳐 여과된다. 필터(500)에서 여과된 정수는 입수밸브(300)를 거쳐서 정수탱크(200)로 유동할 수 있다.
입수밸브(300)에 의해 개방되면 입수부(250)가 개방되면 정수는 탱크본체부(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수용공간(211)에 유입된 정수는 배플(270) 및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260)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수용공간(211)에 정수가 채워지지 않은 초기 상태의 경우, 정수는 수용공간(211)의 하측으로 유동한 후 유입구(221)를 통과하여 배출통로(223)로 유동한다. 이 경우 수용공간(211)의 기체는 연통구(222), 관통홀(241) 및 출수튜브(230)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정수가 수용공간(211)에 유입되면 수용공간(211) 배출통로(223)에는 정수가 차오르게 되며,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될 수 있다.
배출통로(223)에서 차오르는 정수가 삽입부(231)의 하단을 넘어서면 기체는 더 이상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며, 소정 높이를 넘어서게 되면 기체층의 압력에 의해 정수는 삽입부(231)로 유입되게 된다. 삽입부(231)로 유입된 정수는 배출유로(600) 및 배출구(400)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입수밸브(300)가 개방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수는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입수밸브(300)가 폐쇄되면 탱크본체부(210)로 유입되는 정수가 차단됨으로써 정수는 더 이상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정수는 배출구(400), 출수튜브(230)의 내측관, 배출버퍼부(220) 및 탱크본체부(210)에 잔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출수튜브(230)에 입수밸브(300)와 같은 기능을 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수튜브(2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는 입수밸브(300)의 작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수밸브(300)가 개방되는 경우 정수는 탱크본체부(21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정수에 의해 배출통로(223)의 정수는 출수튜브(230)로 유입된다. 이러한 출수튜브(230)에 잔류하는 정수는 출수튜브(230)로 유입된 정수에 의해 밀리게 되며, 배출구(40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처럼, 출수튜브(230)에 개폐밸브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입수밸브(300)의 개폐만으로도 배출구(4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튜브(230)에 개폐밸브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정수기(1)의 크기가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수밸브(300)가 차단될 때, 수용공간(211)의 정수가 출렁이더라도 가스켓(240)이 배출통로(223)의 정수가 출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출수튜브(230)로 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정수기(1)의 외부로 배출되는 잔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정수기
100: 프레임 200: 정수탱크
210: 탱크본체부 211: 수용공간
220: 배출버퍼부 221: 유입구
222: 연통구 223: 배출통로
230: 출수튜브 231: 삽입부
233: 실링부
240: 가스켓 241: 관통홀
242: 삽입홀 250: 입수부
260: 격벽부재 270: 배플
300: 입수밸브 400: 배출구
500: 필터 600: 배출유로

Claims (10)

  1. 물을 정화시켜 정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를 상기 정수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탱크는,
    상기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탱크본체부;
    상기 수용공간의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버퍼부;
    배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버퍼부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출수튜브; 및
    상기 배출버퍼부 내의 정수의 출렁임(sloshing)이 저감되도록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버퍼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버퍼부는 상기 배출버퍼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가스켓 보다 상측에 제공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하측 단부는 상기 가스켓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는,
    상기 탱크본체부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정수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는 입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가스켓 보다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배출버퍼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수용공간 내의 상기 정수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배출버퍼부로 유동하는,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튜브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배출버퍼부 사이로 기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와 상기 배출버퍼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배출버퍼부 및 상기 출수튜브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지지되는,
    정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탱크로 유입되는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입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가 개폐밸브를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입수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로의 상기 정수의 유동이 제어되는,
    정수기.
  10.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탱크본체부;
    상기 수용공간의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버퍼부;
    배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를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버퍼부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출수튜브; 및
    상기 배출버퍼부 내의 정수의 출렁임이 저감되도록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버퍼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정수탱크.
KR1020200132822A 2020-10-14 2020-10-14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20049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822A KR20220049319A (ko) 2020-10-14 2020-10-14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2023522565A JP2023545449A (ja) 2020-10-14 2021-10-14 浄水タンク及びこれを含む浄水器
PCT/KR2021/014236 WO2022080891A1 (ko) 2020-10-14 2021-10-14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US18/248,786 US20230382710A1 (en) 2020-10-14 2021-10-14 Water purification tank and water purifie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822A KR20220049319A (ko) 2020-10-14 2020-10-14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319A true KR20220049319A (ko) 2022-04-21

Family

ID=8120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822A KR20220049319A (ko) 2020-10-14 2020-10-14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82710A1 (ko)
JP (1) JP2023545449A (ko)
KR (1) KR20220049319A (ko)
WO (1) WO202208089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169A (ko) 2012-10-30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KR20170125560A (ko)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63022A (ko) 2010-12-29 2018-06-11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8859A (en) * 1996-05-10 1998-08-04 Baldwin Filters, Inc. Self-evacuating water-separating fuel filter
KR101439831B1 (ko) * 2012-10-30 2014-09-15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KR101749394B1 (ko) * 2015-05-29 2017-06-20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냉수탱크
KR101976769B1 (ko) * 2017-08-23 2019-05-10 (주) 에타 급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기
KR102669901B1 (ko) * 2018-04-02 2024-05-29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022A (ko) 2010-12-29 2018-06-11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20140055169A (ko) 2012-10-30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KR20170125560A (ko)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5449A (ja) 2023-10-30
US20230382710A1 (en) 2023-11-30
WO2022080891A1 (ko)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293B2 (en) Reservoir tank
US6648180B2 (en) Duplex stopper-type water dispensing and water bottle supporting apparatus
WO2017056475A1 (ja) エクスパンションタンク
KR102033950B1 (ko) 오일 세퍼레이터
EP2204506B1 (en) Cold water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9262155A (ja) 濾過装置および濾過装置のための内部容器
KR101098212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KR20220049319A (ko)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4479792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た浄水器
KR20100054754A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KR100716469B1 (ko)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JP4536268B2 (ja) 圧力制御弁
JP2017176824A (ja) 加熱調理器
KR101976769B1 (ko) 급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기
KR20150134753A (ko) 정수기
JP2007165653A (ja) 気泡除去方法及び気泡除去装置
KR101075062B1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KR200236404Y1 (ko) 오존 살균 냉·온 정수기
KR102408675B1 (ko) 수처리용 카트리지 유닛
KR20230165414A (ko) 냉수 생성 장치
CN209254288U (zh) 一种净水系统用的中间水箱
KR20240053885A (ko) 냉수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20046950A (ko) 정수기
KR20230027686A (ko) 얼음정수기
JP2024512408A (ja) 燃料電池のアノードガスを調整するためのガス管理装置および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