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669A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669A
KR20220048669A KR1020200131818A KR20200131818A KR20220048669A KR 20220048669 A KR20220048669 A KR 20220048669A KR 1020200131818 A KR1020200131818 A KR 1020200131818A KR 20200131818 A KR20200131818 A KR 20200131818A KR 20220048669 A KR20220048669 A KR 20220048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article
heater assembly
heating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욱
김용환
이승원
장석수
한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13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669A/ko
Priority to US17/913,113 priority patent/US20230172275A1/en
Priority to PCT/KR2021/013993 priority patent/WO2022080805A1/en
Priority to EP21880452.4A priority patent/EP4106562A4/en
Priority to CN202180028133.8A priority patent/CN115397272A/zh
Priority to JP2022563481A priority patent/JP2023523712A/ja
Publication of KR2022004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669A/ko
Priority to KR1020230111478A priority patent/KR20230129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고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수용부 및 가열부를 결합하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수용부, 결합부, 및 가열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들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 및 흡연 물품들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흡연 물품이나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부품 결합용 구조품은 부품 간 간극을 최소화하며 결합력 및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부품 결합용 구조품은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조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 중 고온의 가열이 요구되지만 일반적으로 부품 결합용 구조품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은 부족한 내열성으로 고온에서 형상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품 간의 결합력 및 밀폐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발생한 고온의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들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온 가열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부품간 결합력 및 밀폐력을 갖는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고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수용부 및 가열부를 결합하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수용부, 결합부, 및 가열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고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수용부에 결합되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제1 가열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제2 가열부, 및 제1 가열부 및 제2 가열부를 결합하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수용부, 제1 가열부, 결합부, 및 제2 가열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히터 조립체, 히터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히터 조립체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 전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유추될 수 있는 사항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히터 조립체에 의하면, 내열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부품간의 결합에 적용함으로써 고온 가열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부품간 결합력 및 히터 조립체의 내부의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수명 단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각 부분 별로 가열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풍부한 에어로졸 발생량과 니코틴 이행량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효과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구성으로부터 유추 가능한 효과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의 결합부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에 의해 가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도 4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에 수용되어 가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도 11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에 수용되어 가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5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도 9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5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도 13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실시예'는 본 개시에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구분으로서, 실시예 각각이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 및/또는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되어 적용 및/또는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단수형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로 직접적으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또는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흡연을 하는데 이용되는 물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점화되어 연소되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일반 연소식 궐련일 수 있고,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의하여 가열되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가열식 궐련일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카트리지에 함유된 액상이 가열되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물품일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일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적용되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고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히터 조립체(100)는 수용부(110), 결합부(130), 및 가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1에 도시되는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요소들이 히터 조립체(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수용부(110), 결합부(130) 및 가열부(14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101)은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원통 형태를 갖는 수용 공간(101)의 단면 직경은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면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미소하게 클 수 있다.
수용부(11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를 의미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수용부(110)는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110)는 하나의 요소로 이루어진 일체형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요소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10)는 단부 수용부(111)와 측면 수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 수용부(111)는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측면 수용부(112)는 단부 수용부(111)와 결합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수용부(112)는 원통의 형태를 가지며 측면 수용부(112)의 일단이 단부 수용부(111)에 형성된 홈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단부 수용부(111)와 측면 수용부(112)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부 수용부(111)와 측면 수용부(112)의 결합의 용이성 및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수용부(110)는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술폰(PSU), 액정고분자(LCP),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페닐렌설폰(PPS), 및 폴리이미드(P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부 수용부(111) 및 측면 수용부(112) 각각은 동일한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부 수용부(111) 및 측면 수용부(112)는 모두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부 수용부(111)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고, 측면 수용부(112)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0)에 포함되는 플라스틱은 가열부(140)의 가열 온도와 플라스틱의 내열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수용부(110)는 수용 공간(10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5 내지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수용 공간(101)의 길이 방향은 수용 공간(101)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 또는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수용 공간(101)에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수용부(110)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5 내지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의 길이와 수용부(110)의 길이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요소를 포함하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2 부분은 담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각각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함에 따라 가열되는 온도가 서로 다르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의 길이를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의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히터 조립체(100)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가하는 열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의 히터 조립체(100)는 사용자에게 풍부한 에어로졸 발생량과 니코틴 이행량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수용부(110)는 사용자가 흡입 동작을 실시할 때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의 공기를 수용부(110)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 도입하기 위한 공기 구멍(1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구멍(102)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를 지지하는 단부 수용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구멍(102)을 통해 수용부(110)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 도입된 공기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결합부(13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을 포함하며 수용부(110)와 가열부(1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수용부(110)와 가열부(140)를 결합한다. 결합부(130)는 수용부(110)와 가열부(140)를 결합함과 동시에 수용 공간(101)의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란 강도와 탄성이 우수하며 고온의 조건에서도 사용 가능한 플라스틱을 의미한다. 플라스틱의 사용 온도 100℃를 기준으로 그보다 높은 플라스틱 재료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결합용 부품에 포함되는 실리콘이나 고무는 부족한 내열성으로 인하여 열이 가해질 경우, 물리적인 형상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결합용 부품의 결합력 및 밀폐력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의 결합부(130)는 고온의 가열이 수행되는 가열부(140)와 접촉하므로, 결합부(130)의 우수한 내열성이 요구된다. 히터 조립체(100)의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발생한 고온의 에어로졸이 히터 조립체(100)의 수용 공간(101)의 외부로 배출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실시될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열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내열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결합부(130)는 가열부(140)의 고온 가열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결합력 및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결합부(130)의 결합력 및 밀폐력이 향상될 경우, 히터 조립체(100)의 수용 공간(101)의 내부를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히터 조립체(100)의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유발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수명 단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이 히터 조립체(100)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온전히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술폰(PSU),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페닐렌설폰(PPS), 폴리이미드(PI), 및 액정고분자(LC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충분한 내열성을 갖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의 결합부(13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또한 결합부(130)는 측면 수용부(112)의 내측면 및 측면 수용부(112)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수용 공간(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130)와 수용부(110)의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결합부(130)와 수용부(11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30)는 가열부(140)의 내측면 및 가열부(140)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수용 공간(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130)와 가열부(140)의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결합부(130)와 수용부(11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01)의 기밀한 밀폐가 가능하여 가열부(140)로부터 수용 공간(101)에 공급되는 열이 수용 공간(101)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130)는 원통 형태의 가열부(140)의 단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결합부(130)가 가열부(140)의 단부의 전체와 결합함으로써 가열부(140)와 수용부(110)의 틈새로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과 가열부(140)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2 부분을 서로 상이한 온도로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은, 결합부(130)가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결합부(130)가 맞닿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측면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계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40)는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한다. 예를 들어, 가열부(14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원통 형상의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수용 공간(101)에 삽입되면, 가열부(14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가열부(14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40)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가열부(14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14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히터 조립체(1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가열부(14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도 4는 유도 가열식의 가열부(140)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열부(14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향하는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는 서셉터(susceptor)와 서셉터(S)의 외측에 배치되어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C)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도 가열 방식은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는 자성체에 주기적으로 방향이 변하는 교번 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을 인가하여 자성체를 발열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성체에 교번 자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자성체에는 와류손(eddy current loss) 및 히스테리시스손(hysteresis loss)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손실되는 에너지가 열에너지로서 자성체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자성체에 인가되는 교번 자기장의 진폭 또는 주파수가 클수록 자성체로부터 많은 열에너지가 방출될 수 있다. 히터 조립체(100)는 자성체에 교번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자성체로부터 열에너지를 방출시킬 수 있고, 자성체로부터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전달할 수 있다.
서셉터(S)의 적어도 일부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셉터(S)는 금속 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S)는 페라이트(ferrite), 강자성 합금(ferromagnetic alloy),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셉터(S)는 흑연(graphite), 몰리브덴(molybdenum),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니오븀(niobium), 니켈 합금(nickel alloy), 금속 필름(metal film), 지르코니아(zirconia) 등과 같은 세라믹, 니켈(Ni)이나 코발트(Co) 등과 같은 전이 금속, 붕소(B)나 인(P)과 같은 준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코일(C)은 히터 조립체(100)에 교번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코일(C)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코일(C)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C)에 교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코일(C)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서셉터(S)가 코일(C) 내부에 위치하여 주기적으로 방향이 변하는 교번 자기장에 노출되는 경우, 서셉터(S)가 발열할 수 있고, 히터 조립체(100)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가열될 수 있다.
코일(C)은 서셉터(S)에 교번 자기장을 인가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셉터(S)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향하는 내측에 배치되고 코일(C)은 서셉터(S)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C)의 크기 및 배치에 의해 코일(C)의 교번 자기장이 서셉터(S)에 인가되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코일(C)에 의해 형성되는 교번 자기장의 진폭 또는 주파수가 변경되는 경우 히터 조립체(100)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정도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코일(C)에 의한 자기장의 진폭 또는 주파수는 코일(C)에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코일(C)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가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코일(C)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의 진폭 및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코일(C)은 솔레노이드(solenoid)로 구현될 수 있다. 코일(C)은 히터 조립체(100)의 수용 공간(101)의 외측면을 따라 권선되는 솔레노이드일 수 있고, 솔레노이드의 내부 공간에 서셉터(S)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위치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를 구성하는 도선의 재질은 구리(Cu)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은(Ag), 금(Au), 알루미늄(Al), 텅스텐(W), 아연(Zn) 및 니켈(Ni)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이 솔레노이드를 구성하는 도선의 재질이 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에 의해 가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은 제1 부분(310), 제2 부분(320), 제3 부분(330), 및 제4 부분(3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310), 제2 부분(320), 제3 부분(330), 및 제4 부분(340)은 각각 에어로졸 발생 요소, 담배 요소, 냉각 요소, 및 필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부분(310)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부분(320)은 담배 물질 및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부분(330)은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을 통과하는 기류를 냉각시킬 수 있고, 제4 부분(340)은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부분(310), 제2 부분(320), 제3 부분(330), 및 제4 부분(34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길이 방향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길이 방향은, 제1 부분(310)에서 제4 부분(34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이 제1 부분(310), 제2 부분(320), 제3 부분(330), 및 제4 부분(340)을 순서대로 통과하며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연자는 제4 부분(340)으로부터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제1 부분(310)은 에어로졸 발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을 함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로졸 발생 요소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전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는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에어로졸 발생 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10)은 권축된 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요소는 권축된 시트에 함침된 상태로 제1 부분(3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와 같은 다른 첨가 물질들 및 가향액은 권축된 시트에 흡수된 상태로 제1 부분(310)에 포함될 수 있다.
권축된 시트는 고분자 소재로 구성된 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소재는 종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라이오셀(lyocell),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축된 시트는 고온으로 가열되더라도 열에 의한 이취가 발생되지 않는 종이 시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부분(31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말단부터 약 7 내지 약 20 mm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고, 제2 부분(320)은 제1 부분(310)이 끝나는 지점부터 약 7 내지 약 20 mm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수치범위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 각각이 연장되는 길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2 부분(320)은 담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요소는 특정 형태의 담배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요소는 담배 각초, 담배 입자(particle), 담배 시트(sheet), 담배 비즈(beads), 담배 과립(granule), 담배 분말(powder) 또는 담배 추출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잎, 담배 옆맥, 팽화 담배, 절단된 각초, 판상엽 각초, 및 재구성 담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330)은,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을 통과하는 기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3 부분(330)은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냉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30)은 폴리락트산(PLA) 섬유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제3 부분(330)은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3 부분(330)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은, 제한 없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30)은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필터 또는 지관 필터일 수 있다.
제4 부분(340)은,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부분(340)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제4 부분(34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4 부분(340)은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제4 부분(340)은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제4 부분(340)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4 부분(340)은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4 부분(34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제4 부분(34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은 제1 부분(310) 내지 제4 부분(340)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래퍼(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은 제1 부분(310) 내지 제4 부분(340) 전부를 둘러싸는 래퍼(350)를 포함할 수 있다. 래퍼(35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최외곽에 위치될 수 있으며, 래퍼(350)는 단일 래퍼일 수 있으나, 복수 개의 래퍼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제1 부분(310)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함유하는 권축된 주름진 시트를 포함하고, 제2 부분(320)은 담배 물질로서 판상엽 각초 및 보습제로서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부분(330)은 지관을 포함하고, 제4 부분(340)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5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이 도 4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에 수용되어 가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2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이 수용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되는 히터 조립체(100), 수용부(110), 가열부(140), 결합부(130)의 배치는 예시에 불과하고, 앞서 언급한 다른 배치 또한 가능할 수 있다. 특히, 가열부(140)는 서셉터(S)와 코일(C)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히터를 포함하고 있으나, 전기 저항성 히터가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이 히터 조립체(100)에 수용되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제1 부분(310)은 수용부(1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제2 부분(320)은 가열부(14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의 가열 온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의 계면은 결합부(1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담배 요소를 포함하는 제2 부분(320)은 에어로졸 발생 요소를 포함하는 제1 부분(310)에 비하여 높은 가열 온도가 요구될 수 있다.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의 계면이 결합부(130)에 의해 둘러싸임으로 인하여 가열부(140)로부터 제1 부분(310)에 도달하는 열이 감소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히터 조립체(100)는 가열부(140)와 결합되며 수용 공간(101)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여 수용 공간(101)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150)는 원통 형태의 가열부(140)의 단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단열부(150)가 가열부(140)의 단부의 전체와 결합함으로써 수용 공간(101)의 내부의 열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부(140)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단열부(150)는 가열부(140)의 내측면 및 가열부(140)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수용 공간(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열부(150)와 가열부(140)의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단열부(150)와 가열부(14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단열부(150)는 히터 조립체(100)의 수용 공간(101)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 구멍의 단면의 직경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면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면 직경보다 미소하게 클 수 있다. 삽입 구멍의 단면의 직경을 에어로졸 발생 물품 단면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히터 조립체(100)의 수용 공간(101) 내부의 단열성이 확보될 수 있다.
단열부(150)는 가열부(140)에서 공급되는 열에 저항하기 위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150)에 포함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전술한 결합부(130)에 포함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동일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선택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히터 조립체(200)는 수용부(210), 제1 가열부(220), 결합부(230), 제2 가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10에 도시되는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요소들이 히터 조립체(2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수용부(210), 제1 가열부(220), 결합부(230) 및 제2 가열부(24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20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201)은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원통 형태를 갖는 수용 공간(201)의 단면 직경은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면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미소하게 클 수 있다.
수용부(21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210)는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단부 수용부(111)와 대응될 수 있다. 즉, 수용부(210)는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단부 수용부(111)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가열부(220)는 수용부(210)에 결합되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할 수 있다. 제1 가열부(220)는 원통의 형태를 가지며 제1 가열부(220)의 일단이 수용부(210)에 형성된 홈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수용부(210)와 제1 가열부(220)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수용부(210)와 제1 가열부(220)의 결합의 용이성 및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가열부(220)는 수용 공간(20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5 내지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수용부(210) 및 제1 가열부(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과 제1 가열부(220)의 길이는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2 가열부(24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할 수 있다.
결합부(230)는 제1 가열부(220) 및 제2 가열부(240)를 결합하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30) 및 제2 가열부(240)는 도 1 및 도 2의 결합부(130) 및 가열부(140) 부분에서 전술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합부(230)는 제1 가열부(220)의 내측면 및 제1 가열부(220)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수용 공간(2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가열부(240)의 내측면 및 제2 가열부(240)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수용 공간(2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히터 조립체(200)에 삽입되었을 때, 제1 가열부(220)의 위치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이 대응되고, 제2 가열부(240)의 위치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2 부분이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열부(220) 및 제2 가열부(240)는 서로 다른 온도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될 필요가 있다. 제1 가열부(220) 및 제2 가열부(240)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각각 대응되게 배치하고, 제1 가열부(220) 및 제2 가열부(240)의 가열 온도를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가해지는 열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5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이 도 13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200)에 수용되어 가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가열부(220) 및 제2 가열부(240)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을 향하는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는 서셉터(S)와 서셉터(S)의 외측에 배치되어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열부(22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이고, 제2 가열부(240)는 서셉터(S)와 코일(C)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220) 및 제2 가열부(240) 모두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제1 부분(310)은 제1 가열부(2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제2 부분(320)은 제2 가열부(24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의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의 계면은 결합부(2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히터 조립체(200)는 제2 가열부(240)와 결합되며 수용 공간(201)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여 수용 공간(201)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250)는 도 8 및 도 9의 단열부(150) 부분에서 전술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는 도 5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이 도 9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5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이 도 11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히터 조립체(100, 200), 히터 조립체(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1) 및 히터 조립체(100, 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배터리(11), 프로세서(12) 및 히터 조립체(100, 20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내부 구조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 프로세서(12) 및 히터 조립체(100, 20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히터 조립체(100, 200)는 전술한 히터 조립체(100, 200)에 대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히터 조립체(100, 200)를 작동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 조립체(100, 200)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3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는 히터 조립체(100, 2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프로세서(12)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는 배터리(11) 및 히터 조립체(100, 20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히터 조립체 101: 수용 공간
102: 공기 구멍 110: 수용부
111: 단부 수용부 112: 측면 수용부
130: 결합부 140: 가열부
150: 단열부
200: 히터 조립체 201: 수용 공간
202: 공기 구멍 210: 수용부
220: 제1 가열부 230: 결합부
240: 제2 가열부 250: 단열부
S: 서셉터(susceptor) C: 코일(coil)
300: 에어로졸 발생 물품 310: 제1 부분
320: 제2 부분 330: 제3 부분
340: 제4 부분 350: 래퍼
10: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배터리
12: 프로세서

Claims (14)

  1.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고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로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가열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가열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히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5 내지 10 mm의 길이를 갖는, 히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술폰(PSU),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페닐렌설폰(PPS), 폴리이미드(PI), 및 액정고분자(LC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히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열부의 내측면 및 상기 가열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향하는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는 서셉터(susceptor)와 상기 서셉터의 외측에 배치되어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7.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고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로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제1 가열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제2 가열부;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부 및 상기 제2 가열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상기 제1 가열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제2 가열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히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5 내지 10 mm의 길이를 갖는, 히터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술폰(PSU),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페닐렌설폰(PPS), 폴리이미드(PI), 및 액정고분자(LC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히터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가열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가열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열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가열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 조립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 및 상기 제2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향하는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는 서셉터(susceptor)와 상기 서셉터의 외측에 배치되어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 및 상기 제2 가열부는 서로 다른 온도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 조립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열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14. 제1항 또는 제7항의 히터 조립체;
    상기 히터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히터 조립체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0200131818A 2020-10-13 2020-10-13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20048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818A KR20220048669A (ko) 2020-10-13 2020-10-13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17/913,113 US20230172275A1 (en) 2020-10-13 2021-10-12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21/013993 WO2022080805A1 (en) 2020-10-13 2021-10-12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1880452.4A EP4106562A4 (en) 2020-10-13 2021-10-12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202180028133.8A CN115397272A (zh) 2020-10-13 2021-10-12 加热器组件和包括该加热器组件的气溶胶生成装置
JP2022563481A JP2023523712A (ja) 2020-10-13 2021-10-12 ヒータ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装置
KR1020230111478A KR20230129208A (ko) 2020-10-13 2023-08-24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818A KR20220048669A (ko) 2020-10-13 2020-10-13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478A Division KR20230129208A (ko) 2020-10-13 2023-08-24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69A true KR20220048669A (ko) 2022-04-20

Family

ID=812084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818A KR20220048669A (ko) 2020-10-13 2020-10-13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0230111478A KR20230129208A (ko) 2020-10-13 2023-08-24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478A KR20230129208A (ko) 2020-10-13 2023-08-24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72275A1 (ko)
EP (1) EP4106562A4 (ko)
JP (1) JP2023523712A (ko)
KR (2) KR20220048669A (ko)
CN (1) CN115397272A (ko)
WO (1) WO20220808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9025B2 (ja) * 2016-06-20 2018-10-17 株式会社ステップ・ケイ・スリー 無煙電子タバコ
RU2021104107A (ru) * 2016-08-31 2021-03-17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с индуктором
CN206491335U (zh) * 2016-10-28 2017-09-15 深圳市余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吸烟器
KR102343888B1 (ko) * 2018-01-31 2021-12-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190098553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전자담배
US11889867B2 (en) * 2018-10-11 2024-02-06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for inductive heating of an aerosol-forming substrate
JP7360744B2 (ja) * 2019-03-11 2023-10-13 ニコベンチャーズ トレーディング リミテッド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EP3760064B1 (en) * 2019-07-04 2022-05-1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inductive heating arrangement comprising first and second inductor coils controlled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pw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97272A (zh) 2022-11-25
KR20230129208A (ko) 2023-09-07
JP2023523712A (ja) 2023-06-07
US20230172275A1 (en) 2023-06-08
EP4106562A4 (en) 2023-08-16
EP4106562A1 (en) 2022-12-28
WO2022080805A1 (en)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6907C1 (ru) Трубчатый элемент для нагревания аэрозольобразу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CN110447303B (zh) 感应线圈装置
CN107427079A (zh)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加热元件模块
KR10240893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10018846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343350B1 (ko) 복수의 서셉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CN113271798A (zh) 气溶胶生成装置和包括气溶胶生成装置的气溶胶生成系统
JP2023544765A (ja)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加熱システム
WO2021116241A1 (en) Inductively heating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a multi-wire induction coil
US20230189890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20048669A (ko)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10128423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EP4233595A2 (en) Aerosol provision device
US20230354903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US20230354900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KR102487083B1 (ko) 서셉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20408816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220039109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55495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1270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WO2023052369A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7813023A (zh) 气溶胶生成装置
JP2023544766A (ja)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加熱システム
KR20230128102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CN114502017A (zh) 加热器组件和包括该加热器组件的气溶胶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