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766A -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화 - Google Patents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766A
KR20220047766A KR1020227004301A KR20227004301A KR20220047766A KR 20220047766 A KR20220047766 A KR 20220047766A KR 1020227004301 A KR1020227004301 A KR 1020227004301A KR 20227004301 A KR20227004301 A KR 20227004301A KR 20220047766 A KR20220047766 A KR 20220047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arget base
handover
handover procedure
cor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티카 파라두구
시펑 주
톰 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04W36/362Conditional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04W36/185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using make before brea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양태들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MBB 및 CHO 핸드오버 절차들과 같은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최적화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화
배경
우선권 주장(들)
본 출원은, 2019년 8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87,575호에 대한 우선권 및 그의 이익을 주장하는 2020년 8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6/993,17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들 양자 모두는 하기에 충분히 기재된 것처럼 그리고 모든 적용가능한 목적들을 위해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합된다.
개시 분야
본 개시의 양태들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향상 (최적화) 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원격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통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중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 가능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롱 텀 에볼루션 (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스템들,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시스템들, 및 시간 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TD-SC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기지국들 각각은, 다르게는 사용자 장비들 (UE들) 로 알려진 다중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한다. LTE 또는 LTE-A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의 세트는 eNodeB (eNB) 를 정의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예를 들어, 차세대 또는 5G 네트워크에서),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중앙 유닛 (central unit; CU) 들 (예를 들어, 중앙 노드 (CN) 들, 액세스 노드 제어기 (ANC) 들 등) 과 통신하는 다수의 분산 유닛 (distributed unit; DU) 들 (예를 들어, 에지 유닛 (EU) 들, 에지 노드 (EN) 들, 라디오 헤드 (RH) 들, 스마트 라디오 헤드 (SRH) 들, 송신 수신 포인트 (TRP) 들 등) 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중앙 유닛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분산 유닛들의 세트는,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NR BS (new radio base station), NR NB (new radio node-B), 네트워크 노드, 5G NB, gNB, 등) 를 정의할 수도 있다. 기지국 또는 DU 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UE 로의 송신들을 위한) 다운링크 채널들 및 (예를 들어, UE 로부터 기지국 또는 분산 유닛으로의 송신들을 위한) 업링크 채널들 상에서 UE들의 세트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지방자치체 (municipal), 국가, 지방, 및 심지어 글로벌 레벨에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었다. 최근 생겨난 전기통신 표준의 예는 뉴 라디오 (new radio; NR), 예를 들어, 5G 라디오 액세스이다. 이는, 빔포밍,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안테나 기술, 및 캐리어 집성 (carrier aggregation) 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하는 것, 비용들을 낮추는 것, 서비스들을 개선하는 것,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것, 및 다운링크 (DL) 상에서 및 업링크 (UL) 상에서 사이클릭 프리픽스 (CP) 를 가진 OFDMA 를 사용하여 다른 공개 표준들과 더 잘 통합하는 것에 의해 모바일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더 우수하게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NR 기술에서 추가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개선들은 다른 다중 액세스 기술들 및 이들 기술들을 채용하는 전기통신 표준들에 적용가능해야 한다.
간단한 요약
본 개시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각각은 여러 양태들을 갖고, 그 양태들 중 어떠한 단일의 양태도 그 바람직한 속성들을 단독으로 책임지지 않는다. 뒤따르는 청구항들에 의해 표현되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일부 특징들이 이제 간략하게 논의될 것이다. 이 논의를 고려한 후에, 그리고 특히 "상세한 설명" 이라는 제목의 섹션을 읽은 후에, 사람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들과 스테이션들 간의 향상된 통신들을 포함하는 이점들을 본 개시의 특징들이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은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 (user equipment; UE) 의 핸드오버 절차(handover procedure)를 강화하는 것에 참여하는 단계 및 타겟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core network entity)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enhance)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action)들을 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소정의 양태들은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의 일부로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그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소정의 양태들은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소스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 및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그리고 첨부 도면들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들, 장치, 시스템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및 프로세싱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 및 관련 목적의 달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이하 충분히 설명되고 청구항들에서 특별히 적시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소정의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기재한다. 하지만, 이들 특징들은 다양한 양태들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소수만을 나타내고 이 설명은 모든 그러한 양태들 및 그것들의 균등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면들의 간단한 설명
본 개시의 위에서 언급된 특징들이 자세히 이해될 수 있도록,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보다 특정한 설명은 양태들을 참조로 이루질 수도 있으며, 그 양태들 중 일부가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의 소정의 통상적인 양태들만을 예시할 뿐이고, 따라서, 본 설명은 다른 동일하게 효과적인 양태들을 인정할 수도 있으므로, 그 범위의 한정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전기통신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개시의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BS 및 사용자 장비 (UE) 의 설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에 대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나타낸다.
도 4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나타낸다.
도 5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이 이용될 수도 있는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의 호-흐름도 예들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가능한 경우, 도면들에 공통인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지정하는데 사용되었다. 하나의 양태에서 개시된 엘리먼트들은 구체적인 인용 없이도 다른 양태들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상세한 설명
본 개시의 양태들은 MBB(make-before-break) 및/또는 CHO(conditional handover) 핸드오버 절차들과 같은 특정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최적화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기술들을 위한 장치, 방법들, 프로세싱 시스템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은 뉴 라디오 (NR) (뉴 라디오 액세스 기술 또는 5G 기술) 에 적용될 수도 있다. NR 은 넓은 대역폭 (예 : 80MHz 이상) 을 목표로 하는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높은 캐리어 주파수 (예 : 60GHz) 를 목표로 하는 밀리미터 파 (mmW), 비 역 호환성 MTC 기술들을 목표로 하는 매시브 MTC (mMTC), 및/또는 초 신뢰성 저 레이턴시 통신 (URLLC) 을 목표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레이턴시 및 신뢰성 요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서비스들은 또한 개개의 서비스 품질 (QoS)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이한 송신 시간 인터벌들 (TTI) 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서비스들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공존할 수도 있다.
다음의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며, 청구항들에 기재된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의 일탈함이 없이 논의된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열에 있어서 변경들이 이루질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은 다양한 프로시저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하게 생략, 치환, 또는 부가할 수도 있다. 실례로,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 생략,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 대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일부 다른 예들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제시된 임의의 수의 양태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 외에 또는 추가하여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그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개시된 본 개시의 임의의 양태는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체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야 한다. "예시적" 이라는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의 역할을 하는 것" 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예시적" 으로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양태는 반드시 다른 양태들보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본원에 기술된 기법들은 LTE,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 및 "시스템" 은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는 광대역 CDMA (WCDMA) 및 CDMA 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 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시스템은 NR (예를 들어, 5G NR), E-UTRA (Evolved UTRA), UMB (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UTRA 및 E-UTRA 는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의 일부이다. NR 은 5G 기술 포럼 (5GTF) 과 함께 개발되고 있는 떠오르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 (LTE) 및 LTE-어드밴스드 (LTE-A) 는 E-UTRA 를 사용하는 UMTS 의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 는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GPP2)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상기 언급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기술들뿐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기술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명료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3G 및/또는 4G 무선 기술과 공통으로 연관된 용어를 사용하여 양태들이 설명될 수도 있지만, 본 개시의 양태들은 NR 기술들을 포함하는, 5G 및 그 이후와 같은, 다른 세대-기반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도 1 은 본 개시의 양태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100) 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 (110a) 은 UE (120) 를 다른 타겟 기지국 (110b) 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해 도 3 에 도시된 동작들 (300) 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소스 기지국일 수도 있다. UE (120) 는 도 4 의 동작들 (400) 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한편, 타겟 기지국 (110b) 은 도 5 의 동작들 (500) 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100) 는 다수의 BS들 (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BS 는 UE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일 수도 있다. 각각의 BS (110) 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3GPP 에서, 용어 "셀" 은 그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의존하여, 노드 B 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노드 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NR 시스템들에서, 용어 "셀" 및 gNB, 노드 B, 5G NB, AP, NR BS, NR BS, 또는 TRP 는 상호교환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셀은 반드시 정지식일 필요는 없을 수도 있으며, 셀의 지리적 영역은 이동 기지국의 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들은 임의의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 물리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백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100) 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들 또는 네트워크 노드들 (미도시) 에 및/또는 서로에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수의 무선 네트워크들이 주어진 지리적 영역에서 전개될 수도 있다.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는 특정 라디오 액세스 기술 (radio access technology; RAT) 을 지원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RAT 는 또한 라디오 기술, 에어 (air) 인터페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주파수는 또한 캐리어, 주파수 채널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각의 주파수는 상이한 RAT들의 무선 네트워크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주어진 지리적 영역에서 단일 RAT 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서, NR 또는 5G RAT 네트워크가 배치될 수도 있다.
BS 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은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반경이 수 킬로미터임) 을 커버할 수도 있고, 서비스 가입을 가진 UE들에 의한 무제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피코 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고, 서비스 가입을 가진 UE들에 의한 무제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펨토 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홈) 을 커버할 수도 있고 펨토 셀과 연관을 갖는 UE들 (예를 들어, 폐쇄 가입자 그룹 (CSG) 에서의 UE들, 홈에서의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 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BS 는 매크로 BS 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피코 셀에 대한 BS 는 피코 BS 로 지칭될 수도 있다. 펨토 셀에 대한 BS 는 펨토 BS 또는 홈 BS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예에서, BS들 (110a, 110b, 및 110c) 은 각각 매크로 셀들 (102a, 102b, 및 102c) 을 위한 매크로 BS들일 수도 있다. BS (110x) 는 피코 셀 (102x) 을 위한 피코 BS 일 수도 있다. BS들 (110y 및 110z) 은 각각 펨토 셀들 (102y 및 102z) 을 위한 펨토 BS 일 수도 있다. BS 는 하나 또는 다수의 (예를 들어, 3개의) 셀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100) 는 또한 중계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국은, 업스트림 스테이션 (예를 들어, BS 또는 UE) 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물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스테이션 (예를 들어, UE 또는 BS) 으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물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이다. 중계국은 또한, 다른 UE들에 대한 송신물들을 중계하는 UE 일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예에서, 중계국 (110r) 은, BS (110a) 와 UE (120r)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BS (110a) 및 UE (120r)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중계국은 또한, 중계 BS, 릴레이 (relay)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100) 는 상이한 타입의 BS들, 예를 들어, 매크로 BS, 피코 BS, 릴레이들 등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이들 상이한 타입의 BS들은 상이한 송신 전력 레벨들,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 및 무선 네트워크 (100) 에서의 간섭에 대한 상이한 영향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BS 는 높은 송신 전력 레벨 (예를 들어, 20 Watts) 을 가질 수도 있는 반면, 피코 BS, 펨토 BS, 및 중계기들은 더 낮은 송신 전력 레벨 (예를 들어, 1 Watt) 을 가질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100) 는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동기식 동작에 대해, BS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BS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적으로 대략 정렬될 수도 있다. 비동기식 동작에 대해, BS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BS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적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 동작 양자 모두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130) 가 BS들의 세트에 커플링하고 이들 BS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130) 는 백홀을 통해 BS들 (11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BS (110) 들은 또한,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 예를 들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UE들 (120) (예를 들어, 120x, 120y 등) 은 무선 네트워크 (100) 전체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고, 각각의 UE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일 수도 있다. UE 는 또한, 이동국,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셀룰러 폰, 스마트 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태블릿, 카메라, 게이밍 디바이스, 넷북, 스마트북, 울트라북, 의료 디바이스 또는 의료 장비, 생체인식 센서/디바이스, 스마트 시계, 스마트 의류, 스마트 안경, 스마트 손목 밴드, 스마트 주얼리 (예를 들어, 스마트 반지, 스마트 팔찌 등) 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예를 들어, 뮤직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위성 라디오 등), 차량 컴포넌트 또는 센서, 스마트 미터/센서, 산업용 제조 장비,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부 UE들은 진화된 또는 머신-타입 통신 (MTC) 디바이스들 또는 진화된 MTC (eMTC) 디바이스들로 간주될 수도 있다. MTC 및 eMTC UE들은, 예를 들어, BS,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어, 원격 디바이스), 또는 일부 다른 엔티티와 통신할 수도 있는 로봇들, 드론들, 원격 디바이스들, 센서들, 미터들, 모니터들, 로케이션 태그들 등을 포함한다.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 이를 테면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에 대한 또는 네트워크로의 접속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UE들은 사물 인터넷 (Internet-of-Things; IoT) 디바이스들로 간주될 수도 있다.
도 1 에서, 양쪽 화살표를 갖는 실선은 UE 와 서빙 BS 사이의 원하는 송신을 표시하고, 이 서빙 BS 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UE 에 서빙하도록 지정된 BS 이다. 양쪽에 화살표를 갖는 파선은 UE 와 BS 사이의 간섭 송신을 표시한다.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LTE) 은 다운링크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을 활용하고 업링크 상에서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SC-FDM) 을 활용한다. OFDM 및 SC-FDM 은 시스템 대역폭을, 톤들, 빈들 등으로 또한 통칭되는 다중 (K)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셔닝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OFDM 으로 그리고 시간 도메인에서 SC-FDM 으로 전송된다. 인접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간격은 고정될 수도 있고, 서브캐리어들의 전체 수 (K) 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들의 간격은 15 kHz 일 수도 있으며, 최소 리소스 할당 ('리소스 블록' 으로 지칭됨) 은 12개 서브캐리어들 (또는 180 kHz) 일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공칭 FFT 사이즈는 1.25, 2.5, 5, 10 또는 20 메가헤르츠 (MHz) 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28, 256, 512, 1024 또는 2048 과 동일할 수도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서브대역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대역은 1.08 MHz (즉, 6개 리소스 블록들) 를 커버할 수도 있으며, 1.25, 2.5, 5, 10 또는 20 MHz 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 2, 4, 8 또는 16개의 서브대역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들의 양태들은 LTE 기술들과 연관될 수도 있지만, 본 개시의 양태들은 NR 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로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NR 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상에서 CP 를 갖는 OFDM 을 활용하고, TDD 를 사용하는 하프-듀플렉스 동작에 대한 지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100 MHz 의 단일 컴포넌트 캐리어 대역폭이 지원될 수도 있다. NR 리소스 블록 (resource block) 들은 0.1 ms 지속기간 상에서 75 kHz 의 서브-캐리어 (sub-carrier) 대역폭을 갖는 12 개의 서브-캐리어들에 걸쳐 이어질 수도 있다.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 (radio frame) 은 10 ms 의 길이를 갖는 50 개의 서브프레임 (subframe) 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0.2 ms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데이터 송신에 대한 링크 방향 (즉, DL 또는 UL) 을 표시할 수도 있고, 각각의 서브 프레임에 대한 링크 방향은 동적으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각 서브프레임은 DL/UL 데이터 그리고 DL/UL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NR 에 대한 UL 및 DL 서브프레임들은 도 6 및 도 7 과 관련하여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을 수도 있다. 빔포밍이 지원될 수도 있으며 빔 방향이 동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리코딩을 갖는 MIMO 송신들이 또한 지원될 수도 있다. DL 에서의 MIMO 구성은 UE 당 8개의 스트림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2개의 스트림에 이르기까지의 다계층 DL 송신과 함께, 8개의 송신 안테나들에 이르기까지 지원할 수도 있다. UE 당 2개 스트림들에 이르기까지 다중-계층 송신들이 지원될 수도 있다. 다수의 셀들의 집성은 8개의 서빙 셀들까지 지원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NR 은 OFDM-기반 이외의, 상이한 에어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NR 네트워크들은 이러한 CU들 및/또는 DU들과 같은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액세스가 스케줄링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스케줄링 엔티티 (예를 들어, 기지국) 는 그 서비스 영역 또는 셀 내의 일부 또는 모든 디바이스들 및 장비 간에 통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본 개시 내에서, 이하에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종속 (subordinate) 엔티티들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 할당, 재구성, 및 릴리스하는 것을 책임질 수도 있다. 즉, 스케줄링된 통신에 대해, 종속 엔티티들은 스케줄링 엔티티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활용한다. 기지국들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도 있는 유일한 엔티티들은 아니다. 즉,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가 하나 이상의 종속 엔티티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다른 UE들) 을 위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UE 는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기능하고 있고, 다른 UE들은 무선 통신을 위해 UE 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들을 활용한다. UE 는, 피어-투-피어 (peer-to-peer; P2P) 네트워크에서, 및/또는 메시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메시 네트워크 예에 있어서, UE들은 옵션적으로,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는 것에 부가하여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로의 스케줄링된 액세스를 갖고 셀룰러 구성, P2P 구성 및 메시 구성을 갖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스케줄링 엔티티 및 하나 이상의 종속 엔티티들은 스케줄링된 리소스들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RAN 은 CU 및 DU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NR BS (예컨대, gNB, 5G 노드 B, 노드 B,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액세스 포인트 (AP)) 는 하나 또는 다중의 BS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NR 셀들은 액세스 셀 (ACell들) 또는 데이터 전용 셀들 (DCell들) 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 (예컨대, 중앙 유닛 또는 분산 유닛) 이 셀들을 구성할 수 있다. DCell들은, 캐리어 집성 또는 이중 접속을 위해 사용되지만 초기 액세스, 셀 선택/재선택, 또는 핸드오버를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 셀들일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DCell들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DCell들이 SS 를 송신할 수도 있음 -. NR BS들은 셀 타입을 표시하는 다운링크 신호들을 UE들에 송신할 수도 있다. 셀 타입 표시에 기초하여, UE 는 NR BS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는 표시된 셀 타입에 기초하여 셀 선택, 액세스, 핸드오버, 및/또는 측정을 위해 고려할 NR BS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 는 도 1 의 UE들 중 하나 및 gNB들 중 하나일 수도 있는, UE (120) 및 gNB (110) 의 설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한된 연관 시나리오에 대해, gNB (110) 는 도 1 에 있어서의 매크로 gNB (110c) 일 수도 있고 UE (120) 는 UE (120y) 일 수도 있다. gNB (110) 는 또한 일부 다른 타입의 BS 일 수도 있다. gNB (110) 에는 안테나들 (234a 내지 234t) 이 장착될 수도 있고, UE (120) 에는 안테나들 (252a 내지 252r) 이 장착될 수도 있다.
gNB (110) 에서, 송신 프로세서 (220) 는 데이터 소스 (212) 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 (240) 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 정보는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PBCH),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 (PCFICH), 물리적 하이브리드 ARQ 표시자 채널 (PHI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등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데이터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20) 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 (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볼 매핑) 하여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 심볼들을 각각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20) 는 또한, 예를 들어, PSS, SSS 및 셀 특정 레퍼런스 신호 (CRS) 를 위한 레퍼런스 심볼 (reference symbol) 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 (TX)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프로세서 (230) 는, 적용가능한 경우,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또는 레퍼런스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 (예를 들어, 프리코딩) 을 수행할 수도 있고, 변조기 (MOD) 들 (232a 내지 232t) 에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 (232) 는 (예컨대, OFDM 등에 대해) 개별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 (232) 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로 프로세싱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컨버팅,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 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변조기들 (232a 내지 232t) 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각각 안테나들 (234a 내지 234t) 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UE (120) 에서, 안테나들 (252a 내지 252r) 은 gNB (110) 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기들 (DEMOD들) (254a 내지 254r) 에 각각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복조기 (254) 는 개별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 (예컨대,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 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복조기 (254) 는 추가로 (예를 들어, OFDM 등에 대해) 입력 샘플들을 프로세싱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MIMO 검출기 (256) 는 모든 복조기들 (254a 내지 254r) 로부터의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하다면, 수신된 심볼들에 대한 MIMO 검출을 수행하며,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프로세서 (258) 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 (예컨대,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하고, UE (120) 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 (260) 에 제공하며,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 (28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 (120) 에서, 송신 프로세서 (264) 는 데이터 소스 (262) 로부터의 (예컨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 (280) 로부터의 (예컨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264) 는 또한 레퍼런스 신호를 위한 레퍼런스 심볼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264) 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 (266) 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예를 들어, SC-FDM 등에 대해) 복조기들 (254a 내지 254r) 에 의해 더 프로세싱되며, gNB (110) 로 송신될 수도 있다. gNB (110) 에서, UE (120) 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 (234) 에 의해 수신되고, 변조기들 (232)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 (236) 에 의해 검출되며, 수신 프로세서 (238) 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되어 UE (120) 에 의해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수신 프로세서 (238) 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 (239) 에 그리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 (24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 (240 및 280) 은 각각 eNB (110) 및 UE (120) 에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도 있다. gNB (110) 에서의 프로세서 (2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에 대한 다양한 프로세스들의 실행, 예컨대, 도 6 에서 예시된 기능 블록들의 실행을 수행하거나 지시할 수도 있다. UE (120) 에서의 프로세서 (28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예를 들어, 도 5 에 예시된 기능 블록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위한 예시적인 최적화들
본 개시의 양태들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MBB 및 CHO 핸드오버 절차들과 같은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최적화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최적화는 N2 시그널링을 수반하는 MBB (make before break) 핸드오버 및/또는 CHO (conditional handover) 절차들을 지원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개선들(예를 들어, 강화된 성능을 초래할 수도 있는 최적화들 또는 다른 솔루션들)은 특정 타입들의 접속들(예를 들어, Xn 접속들)을 이용할 수 있는 타겟 기지국들로의 핸드오버 절차들을 우선순위화(prioritize)하는 것을 돕기 위한 액션들을 취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N2 시그널링은 일반적으로 UE와 AMF 사이의 논리적 N1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5G 코어(5GC)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 과 NG-RAN gNodeB (gNB) 사이의 물리적 N2 인터페이스를 통한 시그널링을 지칭한다. N2는 일반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NG-RAN 또는 non-3GPP WLAN)와 5GC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N2는 일반적으로 접속 관리, UE 컨텍스트 및 PDU 세션 관리, 및 UE 이동성 관리와 관련된다. Xn 시그널링은 일반적으로 기지국들 사이에 (예를 들어, gNB들 사이에) 존재하는 Xn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시그널링을 지칭한다. Xn은 일반적으로 NG-RAN 노드들 사이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칭한다.
현재, 기존의 N2 핸드오버 시그널링은 MBB 핸드오버 지원을 표시하기 위한 능력들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시된 기술들은 MBB 핸드오버, 인터-NG RAN 핸드오버에 대한 CHO, 및/또는 N2 시그널링에 의존할 수도 있는 임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최적화들(또는 다른 개선들)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의 특정 경우들에서, 소스 gNB 및 타겟 gNB는 Xn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데이터 포워딩은 소스와 타겟 gNB들 사이에서 Xn을 통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N2-기반 핸드오버 절차들이 Xn 시그널링과 연관된 상대적으로 더 낮은 레이턴시의 이점을 취하기 위해 그러한 gNB들을 우선순위화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조건부 핸드오버 (CHO) 구성들은 통상적으로 실제 핸드오버 이벤트 전에 UE에 전송된다. 소스 gNB는 CHO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타겟 셀들을 준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후보 타겟 셀에 대해, 네트워크는 후보 타겟 셀에 접속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성에서 후보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한 조건들로 UE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될 때, UE는 타겟 셀로의 RACH를 개시한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UE는 측정 리포트(MR)를 전송하지 않거나 핸드오버 절차를 실행하기 위해 RRC 재구성을 기다릴 수도 있다.
소스 gNB 및 타겟 gNB(들)가 Xn을 통해 접속되지 않을 때, 핸드오버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원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gNB들은 상이한 벤더들에 속할 수도 있고/있거나 긴 거리에 걸쳐 분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gNB들은 상이한 AMF들 하에 있을 수도 있고 및/또는 상이한 UPF들에 접속될 수도 있다. 기존의 N2 핸드오버 시그널링은 MBB 핸드오버 지원을 표시하기 위한 능력들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X2 기반 후보 셀 준비들에 대해 정의된 CHO 절차에서, 소스 gNB는 측정 기준만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후보 타겟 셀들을 준비 및/또는 선택할 수도 있다. 후보 타겟 셀들 중 일부가 상이한 AMF에 속하는 경우, 동일한 AMF 하에서 후보 타겟 셀들을 우선순위화하기 위해 소스 gNB 및 UE CHO 실행 로직을 최적화함에 있어서 일부 이익이 있을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N2를 통한 데이터 포워딩은 MBB 및/또는 CHO 핸드오버 절차들에 대한 데이터 포워딩을 가능하게 하는 최적화들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는 MBB 및 CHO와 같은,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최적화/개선하기 위해 소스 기지국(소스 gNB), UE, 및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AMF)에 의해 각각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소스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 (300) 을 도시한다. 동작들(300)은, 예를 들어,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를 이용하여 UE를 핸드오버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서 S-NG-RAN으로 라벨링된 gNB(또는 도 2에 도시된 그의 기지국(110)에 대한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들 (300) 은, 302에서, 핸드오버를 위해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 (UE) 의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는 것에 참여함으로써 시작한다. 304에서,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involving)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한다.
도 4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UE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 (400) 을 나타낸다. 동작들 (400) 은, 예를 들어,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에 참여하는, 도 6 및 도 7에서의 UE (또는 도 2에 도시된 UE (120)에 대한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들(400)은, 402에서,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의 일부로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함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시작한다. 404에서, UE 는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해, 그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한다.
도 5 는 본 개시의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의 동작들 (500) 을 도시한다. 동작들 (500) 은,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AMF (예컨대, S-AMF 또는 T-AMF)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들(500)은, 502에서, 소스 기지국과 통신함으로써 시작한다. 504에서,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한다.
상기 도 3, 도 4 및 도 5의 동작들의 다양한 예들은 강화된 인터-NG-RAN 노드 (N2) 기반 핸드오버에 대한 준비 및 실행 페이즈들을 예시하는 도 6 및 도 7의 호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그리고 EPS 가 5GS N2 기반 핸드오버를 하기 위한 준비 및 실행 페이즈들을 예시하는 도 8 및 도 9의 호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소스 gNB가, 타겟 셀들로서 선택되도록 동일한 AMF 하의 셀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및/또는 X2 접속을 갖는 것들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허용함으로써 MBB 핸드오버 절차들을 최적화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예를 들어, 이는 AMF 재배치를 회피함으로써 더 적은 지연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MBB 핸드오버 표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표시는 (예를 들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드오버 요구됨 (HANDOVER REQUIRED) 메시지 또는 (예를 들어,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드오버 커맨드 (HANDOVER COMMAND) 메시지에 소스 gNB에 의해 포함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소스 AMF (또는 소스 및 타겟 AMF가 동일한 경우 유일한 AMF) 는 핸드오버 커맨드에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는 한편, 타겟 AMF는 핸드오버 요청 (HANDOVER REQUEST) 에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타겟 gNB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HANDOVER REQUEST ACKNOWLEDGE0 에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표시는, 예를 들어, TS 38.413의 섹션 9.2.3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메시지들에 추가된 새로운 필드 또는 IE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표시들은 또한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따라) LTE 및/또는 NR MBB 핸드오버 지원을 위해 N2 및 S1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각각의 엔티티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핸드오버 요구됨 (HANDOVER REQUIRED), 핸드오버 커맨드 (HANDOVER COMMAND), 핸드오버 요청 (HANDOVER REQUEST), 및/또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HANDOVER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들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소스 gNB가 MBB 시나리오에서 여전히 UE를 서빙(serving)하고 있을 수도 있지만, 데이터 포워딩은 (예를 들어, 도 7 및 도 9의 스텝 1 후에) S-AMF가 RAN 핸드오버 커맨드를 소스 gNB에 전송하자마자 개시될 수도 있다. 소스 gNB가 그 시점에서 포워딩을 개시하지 않았다면, 예를 들어, UE가 타겟 셀 상에서 RACH할 수 있고 HO를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고 AMF에 말함으로써, 스텝 5에서 포워딩을 개시할 수도 있다. 소스 AMF는 데이터의 전달을 시작하기 위해 소스(예를 들어, SOURCE NGRAN)와 통신할 수도 있다. N2 기반 시그널링의 경우, MBB 핸드오버는 이하의 경우들에서 소스 gNB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1) 도 7 의 스텝 1: 전통적인 HO와 유사하다. 소스 gNB는 소스 gNB 접속 상에서 여전히 동일한 데이터를 계속 송신할 수도 있는데, 이는 MBB 핸드오버이기 때문이다.
2) 도 7 의 스텝 6a 후: S-AMF는 새로운 메시지를 통해(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핸드오버 통지 확장 또는 정의된 새로운 메시지) 핸드오버 성공에 관해 s-gNB에 통지한다. 소스 gNB는 (스텝 1 에서 이미 시작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포워딩을 시작할 수 있거나, 또는 소스 gNB는 타겟 gNB 버퍼를 클린하기 위해 스텝 1에서 시작된 경우 이미 전송된 PDU들에 대한 PDCP SN, UL PDCP 상태 리포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후보 타겟 셀로서 선택되도록 동일한 AMF 하의 셀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및/또는 X2 접속을 갖는 셀들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CHO 핸드오버 절차들을 최적화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gNB는 (그들이 X2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동일한 AMF, 동일한 gNB(CU), 동일한 TAI를 우선순위화하기 위해 UE에 대한 일부 신호 품질 바이어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gNB는, 각각의 후보 타겟 셀에 대한 CHO 커맨드에서, (예를 들어, 타겟 셀에 대한 CHO 구성을 갖는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CHO 커맨드에 각각의 IE들을 포함함으로써 타겟 셀이 상이한 AMF, 상이한 UPF, 및/또는 상이한 gNB/CU에 속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소스 gNB는 (예를 들어, OAM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구성에 기초하여) 타겟 셀이 상이한 AMF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S-AMF는 타겟 셀 정보에 관해 소스 gNB에 통지할 수도 있다.
CHO 타겟 셀 선택 동안, UE는 동일한 AMF에 속하는 타겟 셀 및/또는 X2 접속을 갖는 타겟 셀을 N2 접속을 갖는 타겟 셀 및/또는 상이한 AMF에 속하는 타겟 셀보다 우선순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소스 gNB가 타겟 셀이 상이한 AMF에 속한다고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UE는 5G-GUTI(Global Unique Temporary Identifier)로부터 소스 셀의 AMF ID를 여전히 결정할 수 있다. UE는 등록 영역에 대해 구성된 TAI 리스트를 알 수도 있다. UE는, 일부 예들에서, 타겟 셀이 동일한 AMF에 속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해 핸드오버 커맨드에 포함된 타겟 셀 TAI를 TAI 리스트와 비교할 수도 있다. UE는 동일한 AMF 하에서 셀들을 우선순위화하기 위해 이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UE는 측정들에 기초하여 종래의 알고리즘을 변경할 수도 있고 타겟 셀이 동일한 AMF에 속하는 것을 우선순위화할 수도 있다.
N2 기반 CHO의 경우에 데이터 포워딩은 아래의 경우들에 기초하여 소스 gNB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도 7 의 스텝 6a 후: S-AMF는 s-gNB에 핸드오버 성공을 통지하기 위해 새로운 메시지(이러한 목적을 위해 핸드오버 통지를 확장 또는 정의된 새로운 메시지)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소스 gNB 는 데이터 포워딩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다수의 타겟들을 갖는 CHO에서 UE에 의한 타겟 셀 선택은 또한 모바일 네트워크 관리의 중요한 태스크로 간주될 수도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재선택을 회피하기 위한 노력으로 최적화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UE 또는 소스 gNB는 셀(및 저하된 UE 성능을 초래하는 빔) 사이에 빈번한 이동성이 있는 경우를 시도하고 회피하는 액션을 취할 수도 있어서, UE로 하여금 상이한 빔들 및/또는 셀들 사이에서 신속하게 스위칭하게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소스 gNB는, CHO 후보 타겟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때, (예를 들어, 특정 기간에 걸쳐 가능한 그 UE에 대한 저장된 이력에 기초하여) UE가 빔들 및/또는 셀들 사이에서 신속하게 스위칭("핑퐁(ping-pong)")할 수도 있는 셀들에 대해 일부 타입의 바이어스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액션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서로 상호교환될 수도 있다. 즉, 단계들 또는 액션들의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으면, 특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수정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양태들
실시양태 1: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E)의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는 것에 참여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 실시양태 1 에 있어서, 강화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과의 접속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UE 를 계속 서빙하는 MBB (make-before-break)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3: 실시양태 2 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서 선택될 접속을 갖는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4: 실시양태 2 또는 실시양태 3 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핸드오버 절차를 준비하기 위해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의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또는, 상기 UE로 전송되는 핸드오버 커맨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핸드오버가 MBB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한다는 표시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5: 실시양태들 2-4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 (RAT) 들을 지원하는, 방법.
실시양태 6: 실시양태들 1-5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UE 가 핸드오버할 하나 이상의 후보 타겟 기지국들을 표시하는 조건부 핸드오버 (CHO) 절차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7: 실시양태 6 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상기 후보 타겟 기지국들로서 선택될 접속을 갖는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8: 실시양태 6 또는 실시양태 7 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후보 타겟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조건들로 UE 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9: 실시양태들 6-8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UE에 대해, 어느 후보 타겟 기지국들이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지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10: 실시양태들 6-9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후보 타겟 기지국들로서 선택될 시간 지속기간 내에서 상기 UE 가 멀리 이동한 기지국의 우선순위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11: 실시양태 6-10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UE 가 제 2 시간 지속기간 내에서 제 1 시간 지속기간 미만 동안 이전에 머무른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 상기 UE 를 바이어싱하는 하나 이상의 조건들로 상기 UE 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12: 실시양태들 1-11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핸드오버의 성공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후에 타겟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13: 사용자 장비(UE)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의 일부로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14: 실시양태 13 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과의 연결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UE를 계속 서빙하는 MBB(make-before-break)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핸드오버 커맨드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MBB 핸드오버 절차를 상기 핸드오버 절차가 포함한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15: 실시양태 14 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 (RAT) 들을 지원하는, 방법.
실시양태 16: 실시양태들 13-15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UE 가 핸드오버할 하나 이상의 후보 타겟 기지국들을 표시하는 조건부 핸드오버 (CHO) 절차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17: 실시양태 16 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후보 타겟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18: 실시양태 16 또는 실시양태 17 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어느 후보 타겟 기지국들이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지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후보 타겟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19: 실시양태들 16-18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타겟 기지국들의 식별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UE 에 의해, 상기 후보 타겟 기지국들 중 어느 것이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지를 결정하는 것, 및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상기 후보 타겟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0: 실시양태들 16-19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시간 지속기간 내에서 상기 UE 가 멀리 이동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취해진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1: 실시양태들 16-20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UE 가 제 2 시간 지속기간 내에서 제 1 시간 지속기간 미만 동안 이전에 머무른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취해진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2: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소스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3: 실시양태 22 에 있어서, 강화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과의 접속이 이루어질 때까지 사용자 장비(UE)를 계속 서빙하는 MBB (make-before-break)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4: 실시양태 23 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메시지에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가 MBB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한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가 MBB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한다는 표시를 타겟 기지국에 메시지에서 제공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5: 실시양태 23 또는 실시양태 24 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핸드오버 절차의 성공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소스 기지국에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6: 실시양태들 23-25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은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 (RAT) 들을 지원하는, 방법.
실시양태 27: 실시양태들 22-26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충족되는 경우에 사용자 장비(UE)가 핸드오버할 하나 이상의 후보 타겟 기지국들을 표시하는 조건부 핸드오버 (CHO) 절차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8: 실시양태 27 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후보 타겟 기지국들을 식별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상기 소스 기지국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9: 실시양태 27 또는 실시양태 28 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핸드오버 절차의 성공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소스 기지국에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30: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E)의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는 것에 참여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타겟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실시양태 31: 사용자 장비(UE)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의 일부로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실시양태 32: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소스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실시양태 33: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E)의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는데 참여하고, 그리고, 상기 타겟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실시양태 34: 사용자 장비(UE)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의 일부로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실시양태 35: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소스 기지국과 통신하고, 그리고, 상기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실시양태 36: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E)의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는데 참여하고, 그리고, 상기 타겟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기 위한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실시양태 37: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의 일부로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기 위한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실시양태 38: 소스 기지국과 통신하고, 그리고, 상기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기 위한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본원에 사용된,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를 나타내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한 그러한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낸다.  일례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b, a-c, b-c 및 a-b-c를 커버하고 동일한 요소의 다수개의 임의의 조합 (예 : a-a, a-a-a, a-a-b, a-a-c, a-b-b, a-c-c, b-b, b-b-b, b-b-c, c-c, 및 c-c-c 또는 a, b, 및 c 의 임의의 다른 오더링) 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결정하는 것" 은 매우 다양한 액션들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 것" 은 계산하는 것, 컴퓨팅하는 것, 프로세싱하는 것, 도출하는 것, 조사하는 것, 룩업하는 것 (예를 들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룩업하는 것), 확인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 은 수신하는 것 (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액세스하는 것 (예를 들어, 메모리에서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 은 해결하는 것, 선택하는 것, 선정하는 것, 확립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여기에 보여진 다양한 양태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청구항 문언에 부합하는 전체 범위가 부여되야 하고, 단수형 엘리먼트에 대한 언급은, 특별히 그렇게 진술되지 않았으면 "하나 및 오직 하나만"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 이상"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명확하게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용어 "일부"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거나 추후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물 전반에 걸쳐 기술된 다양한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은 본원에 참조에 의해 명시적으로 포함되며 청구 범위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어떤 것도 이러한 개시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공중에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엘리먼트가 어구 "하기 위한 수단" 을 사용하여 분명히 명백히 언급되지 않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 엘리먼트가 어구 "하는 단계" 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떤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 §112, 제 6 단락의 조항 하에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 수단은,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예시된 동작들이 있는 경우에, 그 동작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가진 대응하는 상대의 수단-플러스-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에서 구현되면,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무선 노드에서의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는 프로세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할 수도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무엇보다도, 네트워크 어댑터를 버스를 통해 프로세싱 시스템에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PHY 계층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 (120) (도 1 참조) 의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조이스틱 등) 는 또한 버스에 접속될 수도 있다. 버스는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전력 관리 회로들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범용 및/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DSP 프로세서들,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회로부를 포함한다. 당업자들은,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최선의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등으로 지칭되든 아니든, 명령들, 데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될 것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버스를 관리하는 것 및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실행을 포함한, 일반적인 처리를 담당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예로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은 송신 라인,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캐리어 파, 및/또는 무선 노드와 별개인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모두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 또는 이의 임의의 부분은 캐시 및/또는 일반 레지스터 파일들의 경우처럼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들은, 예로서, RAM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판독 전용 메모리), PROM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레지스터들, 자기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구체화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많은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러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 상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들에 걸쳐 분포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프로세서와 같은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저장 디바이스에 상주하거나 또는 다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예로서, 트리거링 이벤트가 일어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하드웨어 드라이브로부터 RAM 으로 로딩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실행 중에, 프로세서는 액세스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캐시 내로 명령들 중 일부를 로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하나 이상의 캐시 라인들이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일반 레지스터 파일 내로 로딩될 수도 있다. 하기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성을 언급할 때,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 명령들을 실행하는 경우, 그러한 기능성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임의의 커넥션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명명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IR), 전파,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그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DSL, 또는 적외선, 전파,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디스크 (disk) 또는 디스크 (disc) 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따라서, 일부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예를 들어, 유형의 매체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양태들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예를 들어, 신호)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조합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정의 양태들은 본원에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저장된 (및/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명령들은 본원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는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적용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드되고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디바이스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는 수단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 (예를 들어, RAM, ROM, 콤팩트 디스크 (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 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서, 그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커플링 또는 제공할 시,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기지국이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에 기재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위에 예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야 한다.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위에서 설명된, 방법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상세들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32)

  1.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 (UE) 의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는데 참여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강화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과의 접속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UE 를 계속 서빙하는 MBB (make-before-break)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서 선택될 접속을 갖는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준비하기 위해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의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또는
    상기 UE로 전송되는 핸드오버 커맨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핸드오버가 MBB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한다는 표시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 (RAT) 들을 지원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UE 가 핸드오버할 하나 이상의 후보 타겟 기지국들을 표시하는 조건부 핸드오버 (CHO) 절차를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상기 후보 타겟 기지국들로서 선택될 접속을 갖는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후보 타겟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조건들로 UE 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UE에 대해, 어느 후보 타겟 기지국들이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지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후보 타겟 기지국들로서 선택될 시간 지속기간 내에서 상기 UE 가 멀리 이동한 기지국의 우선순위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UE 가 제 2 시간 지속기간 내에서 제 1 시간 지속기간 미만 동안 이전에 머무른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 상기 UE 를 바이어싱하는 하나 이상의 조건들로 UE 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핸드오버의 성공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후에 타겟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3.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의 일부로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과의 접속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UE 를 계속 서빙하는 MBB (make-before-break)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정보는 핸드오버 커맨드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MBB 핸드오버 절차를 상기 핸드오버 절차가 포함한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 (RAT) 들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UE 가 핸드오버할 하나 이상의 후보 타겟 기지국들을 표시하는 조건부 핸드오버 (CHO) 절차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후보 타겟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어느 후보 타겟 기지국들이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지의 표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후보 타겟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타겟 기지국들의 식별자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UE 에 의해, 상기 후보 타겟 기지국들 중 어느 것이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지를 결정하는 것; 및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상기 후보 타겟 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시간 지속기간 내에서 상기 UE 가 멀리 이동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취해진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UE 가 제 2 시간 지속기간 내에서 제 1 시간 지속기간 미만 동안 이전에 머무른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취해진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2.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소스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강화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과의 접속이 이루어질 때까지 사용자 장비 (UE) 를 계속 서빙하는 MBB (make-before-break)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메시지에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가 MBB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한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가 MBB 핸드오버 절차를 포함한다는 표시를 타겟 기지국에 메시지에서 제공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핸드오버 절차의 성공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소스 기지국에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 (RAT) 들을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상기 소스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충족되는 경우에 사용자 장비 (UE) 가 핸드오버할 하나 이상의 후보 타겟 기지국들을 표시하는 조건부 핸드오버 (CHO) 절차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공통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접속을 갖는 후보 타겟 기지국들을 식별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상기 소스 기지국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들은, 상기 핸드오버 절차의 성공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소스 기지국에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0.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 (UE) 의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는데 참여하고; 그리고
    상기 타겟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1.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의 일부로서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2.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소스 기지국과 통신하고; 그리고
    상기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227004301A 2019-08-15 2020-08-14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화 KR202200477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7575P 2019-08-15 2019-08-15
US62/887,575 2019-08-15
US16/993,171 US11622309B2 (en) 2019-08-15 2020-08-13 Optimizations to support enhanced handover procedures
US16/993,171 2020-08-13
PCT/US2020/046427 WO2021030713A1 (en) 2019-08-15 2020-08-14 Optimizations to support enhanced handover proced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766A true KR20220047766A (ko) 2022-04-19

Family

ID=7456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301A KR20220047766A (ko) 2019-08-15 2020-08-14 강화된 핸드오버 절차들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22309B2 (ko)
EP (1) EP4014565A1 (ko)
KR (1) KR20220047766A (ko)
CN (1) CN114208284B (ko)
BR (1) BR112022002212A2 (ko)
TW (1) TW202123737A (ko)
WO (1) WO2021030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2338B2 (en) * 2018-01-26 2020-08-11 Clip Interactive, Llc Seamless integration of radio broadcast audio with streaming audio
KR20220164989A (ko) * 2021-06-07 2022-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5551035A (zh) * 2021-06-30 2022-12-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站间切换方法、装置、基站、电子设备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2637A1 (en) * 2010-06-18 2012-01-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ome node-b mobility
CN102026313B (zh) * 2010-06-21 2012-03-21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处理方法和设备
CN103428720B (zh) 2012-05-23 2017-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不必要切换的方法和基站
CN103841610B (zh) * 2014-03-18 2017-02-15 山东大学 一种快速有效的代理移动IPv6切换方法
US10772021B2 (en) * 2014-12-05 2020-09-08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and/or enhanced component carrier discovery for services and handover
DE112017003920T5 (de) 2016-08-05 2019-05-09 Intel IP Corporation Ue-kapazitätssignalisierung für eine make-before-break und rach-lose übergabe
KR101849469B1 (ko) 2016-10-26 2018-04-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결정방법 및 장치
US10757621B2 (en) 2017-03-22 2020-08-25 Ofinno, Llc Conditional handover execution
US20200154326A1 (en) 2017-03-22 2020-05-14 Idac Holdings, Inc. Delayed handover execution in wireless networks based on a trigger condition
EP3833059A4 (en) * 2018-08-07 2022-03-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FLIGHT INFORMATION
WO2020087432A1 (en) 2018-11-01 2020-05-07 Apple Inc. Conditional handovers and cell re-selections along known routes
EP3900434B1 (en) 2018-12-19 2023-10-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spend-resume in conditional handover
WO2020153884A1 (en) 2019-01-25 2020-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of conditional mobility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08284A (zh) 2022-03-18
WO2021030713A9 (en) 2021-04-08
US11622309B2 (en) 2023-04-04
US20210051554A1 (en) 2021-02-18
EP4014565A1 (en) 2022-06-22
WO2021030713A1 (en) 2021-02-18
CN114208284B (zh) 2024-04-26
BR112022002212A2 (pt) 2022-06-07
TW202123737A (zh)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0418B2 (en) Conditional procedures for adding and/or changing a secondary node (SN)
CN110178317B (zh) 波束恢复期间的波束选择和无线链路失败
CN109076412B (zh) 基于上行链路的小区选择
US11477707B2 (en) Conditional procedures for adding and changing a secondary node (SN) initiated by a SN
US11076331B2 (en)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RAT), inter-band, or inter-carrier switching base on power consumption
US20180270896A1 (en) Enhanced session and mobility management interaction for 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 user equipments
US11153792B2 (en) Signaling for inactive mobility
US11622309B2 (en) Optimizations to support enhanced handover procedures
US20230262569A1 (en) Sidelink relay mobility trigger event design
US11234278B2 (en) Flexible radio access network node identifier
US11564141B2 (en) Make-before-break (MBB) handover operations
US12010579B2 (en) Make-before-break (MBB) handover operations
US11711735B2 (en) Carrier aggregation (CA) configuration during dual-active-protocol stack (DAPs) handover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