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693A - 욕실 층상이중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욕실 층상이중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693A
KR20220047693A KR1020200130670A KR20200130670A KR20220047693A KR 20220047693 A KR20220047693 A KR 20220047693A KR 1020200130670 A KR1020200130670 A KR 1020200130670A KR 20200130670 A KR20200130670 A KR 20200130670A KR 20220047693 A KR20220047693 A KR 2022004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oor
drain
bathroom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규문
Original Assignee
연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규문 filed Critical 연규문
Priority to KR102020013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7693A/ko
Publication of KR2022004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의 욕실 층상배관을 적용함에 있어서 바닥배수구와 각종 위생기구들의 배수관이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에 이중배관 형태로 매립되어 설치되고, 양변기의 수평오수관도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 내에 이중배관 형태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실 층상이중배관 시스템 {BATHROOM UPPER FLOOR DOUBLE PIPING SYSTEM}
요즘 아파트에서는 욕실 사용시의 층간 소음 문제 때문에 위생기구의 배수관과 오수관을 자기 층에 설치하는 층상배관공법의 적용이 늘고 있다. 기존에는 세면기나 양변기, 욕조 등의 배수관과 오수관을 보통 아래층 욕실의 천장 속에 설치하였는데(층하배관공법), 이로 인해 위생기구들을 사용할 때의 낙수음이나 생활 소음이 배관을 통하여 아래층 세대로 전달되어 세대 간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근래에는 욕실의 배수관과 오수관을 본인 세대의 욕실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하여 설치하는 형태인 층상배관공법의 적용 사례가 늘고 있는데, 층상배관공법은 아래층으로의 소음 전달량이 현저히 줄어들고 배관 막힘이나 수리 시에도 자기 층에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래층 세대와의 분쟁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보통 욕실의 바닥은 콘크리트 구조체 상부면에 방수층을 시공한 뒤 그 위에 약간의 시멘트몰탈 마감층을 두고 타일 마감을 하게 되는데, 시멘트몰탈 마감층은 바닥의 구배를 형성하여 바닥으로 떨어진 물들이 바닥배수구 쪽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보통 2~4센티 정도의 두께로 시공된다.
근래 진행되고 있는 층상배관공법에서는 일반적으로 방수층 상부의 시멘트몰탈 마감층의 두께를 10~15센티 정도로 증가시켜 두텁게 시공하고, 그 속에 바닥배수구나 욕조, 세면기 등의 수평배수관을 매립하여 입상배수관까지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바닥배수구나 욕조의 수평배수관만 시멘트몰탈 마감층에 매립할 경우 10센티 정도, 양변기의 수평오수관까지 매립할 경우에는 15센티 정도의 두께로 시공함)
세면기 배수의 경우에는 벽체에 추가적인 덧벽이나 선반형 건식 벽체를 설치하고 그 벽체 속에 배수관을 매립하여 입상배수관까지 연결하거나, 또는 인근의 바닥배수구까지 세면기 배수관을 연결하여 바닥배수구를 통하여 입상배수관까지 배출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양변기는 오수관이 연결되는 위치와 양변기의 형태에 따라서 크게 벽걸이형 양변기 방식과 바닥형 양변기 방식이 있다. 벽걸이형 양변기는 오수관의 연결 위치가 양변기의 뒷벽에서 연결되며 도기의 하부가 바닥에 닿지 않고 벽에 매달려 설치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입상오수관까지 연결되는 수평오수관은 일반적으로 선반형 건식 벽체 내부에 설치된다. 바닥형 양변기 방식은 수평오수관이 양변기의 하부 바닥면에서 연결되며 수평오수관은 두텁게 시공된 바닥 시멘트몰탈 마감층에 매립되어 입상오수관까지 연결된다.
근래 시공되고 있는 종래의 층상배관공법은 크게 2가지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번째는 바닥배수구나 욕조의 수평배수관을 바닥 시멘트몰탈 마감층에 매립하기 때문에 시멘트몰탈 마감층이 매우 두껍게 시공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시멘트몰탈 마감층에 스며들어 고인 물이 부패하면서 악취를 발생시키는 민원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층상배관공법에서는 시멘트몰탈 마감층의 고인 물을 빼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별도의 시멘트몰탈 마감층용 배수구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별도의 배수구를 설치하더라도 시멘트몰탈 마감층에서 집수되는 물에는 시멘트나 석회질 성분 등이 상당히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구가 쉽게 막히거나 심지어 입상배수관과 연결되는 부분에 고드름처럼 매달려 붙어 입상배수관의 장애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또다른 문제는 수평배수관이 매립되는 시멘트몰탈 마감층을 여러 가지 요인들 때문에 충분히 두껍게 시공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경우 입상배수관까지 연결되는 수평배수관의 기울기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서 배수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하자 사례가 많았다. 시멘트몰탈 마감층을 두텁게 시공하려면 하부의 콘크리트 구조체 바닥을 주변의 실들보다 15~20센티 정도 낮아지도록 시공하여야 하는데, 이럴 경우 건축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콘크리트 구조체 바닥은 그대로 두고 시멘트몰탈 마감층만 두텁게 높아지도록 시공하면 결과적으로 욕실 바닥이 높아져서 욕실 출입문 개폐시 슬리퍼가 걸리는 불편사항으로 인해 또다른 민원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 경우 시멘트몰탈 마감층의 두께를 최소화하도록 압박을 받으면서 수평배수관이 거의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경우도 많아져 배수 불량에 의한 하자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배수관이나 수평오수관을 시멘트몰탈 마감층이 아니라 그 하부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매립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수평배수관이나 수평오수관의 외부에 덧관을 설치하여 공사중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추후에 배수관의 교체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일반적인 아파트 건물에서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의 두께가 21~23센티 정도 되기 때문에 수평배수관을 콘크리트 구조체에 매립하면 적정한 기울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부의 시멘트몰탈 마감층은 아무런 배관도 매립되지 않기 때문에 두텁게 시공할 필요가 없어서 마감층에 별도의 배수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고 마감층에 고인 물이 부패하여 발생하던 민원도 사라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은 수평배수관을 콘크리트 구조체 바닥 속에 매립하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에서 두껍게 시공된 시멘트몰탈 마감층에 수평배수관을 매립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던 하자와 민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배수관의 외부에 덧관이 설치된 이중배관의 형태로 설치하기 때문에 배관 막힘이나 노후화에 의한 배수관의 교체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리모델링이나 개보수 공사시 대처하기가 용이하며 건물의 장수명화에도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설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설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벽체배관 설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바닥배수구 주위 연결배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수평배수관의 이중배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설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벽체배관 설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바닥배수구(1)의 본체는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13)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이에 연결된 바닥배수구 수평배수관(2)과 욕조 수평배수관(4)도 모두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13)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시멘트몰탈 마감층(12)에는 아무런 배관도 매립되지 않기 때문에 두껍게 시공할 필요가 없이 최소한의 두께로 시공하면 된다.
바닥배수구 수평배수관(2)은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13)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그 속에서 적정한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입상배수관(7)에 연결된다. 양변기(10)의 수평오수관(11)은 뒤쪽의 덧벽 내부에 매립되어 입상오수관(6)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설치 평면도인데, 바닥배수구(1)에는 욕조 수평배수관(4)과 세면기 배수관(5) 등 다수의 위생기구의 배수가 연결될 수 있도록 각 방향마다 배관 연결구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벽체배관 설치 단면도이다. 세면기 배수관(5)도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13)와 벽체 콘크리트 구조체(15)에 매립되는데, 세면기(8)가 부착되는 벽면에 덧벽(14)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세면기 배수관(5)을 덧벽(14)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양변기(10)의 수평오수관(11)은 덧벽(14) 내부에 설치되어 입상오수관까지 연결된다. 벽체 콘크리트 구조체(15) 앞에 추가하여 설치되는 덧벽(14)은 시멘트벽돌이나 경량기포콘크리트(ALC)블럭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각 파이프와 방수합판 등을 이용하여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건식 벽체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도 4는 도 3에서 바닥배수구 주위배관 확대부분(16)의 확대도이다.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13) 속에 매립되는 바닥배수구 수평배수관(2)은 외부에 덧관(3)이 설치된 이중배관의 형태로 설치된다, 바닥배수구(1)에 연결되는 세면기 배수관(5)의 외부에도 덧관(3)이 설치되어 추후에 배수관이 막혔거나 노후화되었을 때 배수관을 교체할 수 있다.
도 5는 바닥배수구의 수평배수관(2)과 덧관(3)의 확대도인데, 바닥배수구 수평배수관(2)은 추후 제거 및 재삽입이 가능한 후렉시블호스 형태의 배관을 사용하며, 덧관(3)은 일반적으로 PVC관과 같이 구배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 타설시 수평배수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 배관 재질로 설치한다. 바닥배수구에 연결되는 세면기나 욕조의 수평배수관도 이와 같이 내부에는 후렉시블호스 형태의 수평배수관이 삽입되고 외부에는 덧관이 설치된 이중배관의 형태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설치 평면도인데, 욕실에 샤워수전이나 샤워부스가 설치될 경우 다수의 바닥배수구(1)가 조합되어 구성된 사례이다. 입상배수관(7)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바닥배수구에는 또다른 바닥배수구나 세면기 배수관(5)이 연결되어 입상배수관(7)으로 배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벽체배관 설치 단면도이다. 이중배관의 형태로 설치된 수평배수관과 마찬가지로 양변기의 수평오수관(11)의 외부에도 덧관(3)이 설치되어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13) 내부에 수평오수관(11)이 매립되어 입상오수관까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실시 예이다. 이 경우 양변기(10)의 수평오수관(11)이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13)에 매립되므로 양변기(10)와의 오수관 연결 방향이 벽체뿐만 아니라 바닥면에서도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벽걸이형 양변기뿐만 아니라 바닥형 양변기의 적용도 가능하다.
1 : 바닥배수구 2 : 바닥배수구 수평배수관
3 : 덧관 4 : 욕조 수평배수관
5 : 세면기 배수관 6 : 입상오수관
7 : 입상배수관 8 : 세면기
9 : 욕조 10 : 양변기
11 : 수평오수관 12 : 시멘트몰탈 마감층
13 :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 14 : 덧벽
15 : 벽체 콘크리트 구조체 16 : 바닥배수구 주위배관 확대부분

Claims (2)

  1. 욕실에 설치된 각종 위생기구들의 배수와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관설비에 있어서,
    상기 욕실의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에 설치되는 바닥배수구;
    상기 바닥배수구와 입상배수관 사이의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 속에서 연결되어 배수를 입상배수관으로 배출하는 수평배수관;
    상기 수평배수관의 외부에 설치되는 덧관;
    상기 바닥배수구에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 속에서 연결되는 다수의 위생기구들의 이중배관 형태의 배수관;
    상기 욕실의 덧벽에 매립되어 양변기의 오수를 입상오수관까지 배출시키는 수평오수관으로 구성되어 욕실 사용시 층간 소음 전파를 최소화하고 배관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이중배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의 수평오수관이 바닥 콘크리트 구조체에 매립되고 외부에 덧관이 설치된 이중배관 형식으로 입상오수관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이중배관 시스템.
KR1020200130670A 2020-10-10 2020-10-10 욕실 층상이중배관 시스템 KR20220047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670A KR20220047693A (ko) 2020-10-10 2020-10-10 욕실 층상이중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670A KR20220047693A (ko) 2020-10-10 2020-10-10 욕실 층상이중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693A true KR20220047693A (ko) 2022-04-19

Family

ID=8139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670A KR20220047693A (ko) 2020-10-10 2020-10-10 욕실 층상이중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76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US11389033B2 (en) Bathtub installation aide
WO2019075995A1 (zh) 卫生间
KR20140049220A (ko) 조립식 욕실의 층하배관 방수용 배수소켓
WO2015183057A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0592115B1 (ko) 주택의 화장실 누수방지를 위한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KR20220047693A (ko) 욕실 층상이중배관 시스템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20090108348A (ko)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KR20100093246A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0981324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KR101229734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JP6399277B2 (ja) 共用排水管の交換方法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KR101677028B1 (ko)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
CN212053032U (zh) 一种可防积水的排水系统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CN219280830U (zh) 一种洗面盆墙排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