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330A - Nsd2 억제제 및 항암제로서의 피페리디닐-메틸-퓨린아민 - Google Patents

Nsd2 억제제 및 항암제로서의 피페리디닐-메틸-퓨린아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330A
KR20220047330A KR1020227008255A KR20227008255A KR20220047330A KR 20220047330 A KR20220047330 A KR 20220047330A KR 1020227008255 A KR1020227008255 A KR 1020227008255A KR 20227008255 A KR20227008255 A KR 20227008255A KR 20220047330 A KR20220047330 A KR 20220047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mmol
mixture
compound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빙 뎅
진비아오 리우
코운드 오양
세 왕
취타오 시아오
구오리앙 순
하이치앙 젱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47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33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2Nitrogen atom
    • C07D473/34Nitro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6, e.g. aden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
Figure pct00207
(Ⅰ)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고;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핵 SET 도메인-보유 단백질 2(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데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Description

NSD2 억제제 및 항암제로서의 피페리디닐-메틸-퓨린아민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8월 14일자로 출원된 국제 출원 PCT/CN2019/100542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핵 SET 도메인-보유 단백질 2(NSD2)를 억제하기 위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울프-허쉬호른 증후군 후보 1(WHSC1) 또는 다발성 골수종 SET 도메인(MMSET)으로도 알려진 핵 수용체-결합 SET 도메인 단백질 2(NSD2)는 후성적 변경유전자이고, 종양발생에서 영향력이 큰 역할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NSD2 과발현과 이의 촉매 활성을 증가시키는 점돌연변이는 모두 다수의 인간 암과 연관된다(Coussens 등, J. Biol. Chem. 293, 13750-13654 (2018)).
NSD2는 약 15%의 다발성 골수종(MM) 경우에서 t(4;14)(p16.3;q32.3) 전좌에 의해 이상조절된다. t(4;14)+ MM 세포주에서 NSD2의 증가된 발현은 H3K36me2의 증가된 수준 및 상반되게 H3K27me3의 감소된 수준과 관련된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NSD2 히스톤 메틸전달효소(HMT) 활성과 MM 종양 유전자 사이의 인과 관계를 암시한다.
NSD2 단백질의 고도 발현은 방광, 뇌, 위장, 폐, 간, 난소, 피부, 자궁, 가슴, 전립선 및 교모세포종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인간 암 유형에서 입증되었다(Coussens 등, supra; Ezponda 등, Oncogene 32:2882-2890 (2013)). 특히, NSD2는 소아암 게놈에서 가장 빈번하게 돌연변이되는 유전자 중 하나이다. NSD2 SET 도메인 변이, E1099K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종양과 t(4;14) 전좌가 결여된 증가된 H3K36me2를 갖는 세포주 모두에서 발견되었다. 21개의 상이한 암을 나타내는 1000개 초과의 소아암 게놈의 서열 결과는 t(12;21) ETV6 -RUNX1를 보유하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중 14%에서 E1099K 변이를 나타냈다. NSD2는 또한 외투세포 림프종 종양에서 발견되는 가장 빈번하게 돌연변이되는 유전자 중 하나이고, E1099K 및 T1150A 변이가 모두 관찰된다. E1099K 변이는 또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폐암 및 위암에서 보고되었다(Coussens 등, supra). 일반적으로, NSD2 상향조절은 공격적인 종양 거동 및 좋지 않은 예후와 관련된다(Ezponda 등, supra).
NSD2는 암 치료를 위한 유망한 대상이고, NSD2의 선택적 억제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NSD2를 억제하는 신규 화합물; 및 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
Figure pct00001
(Ⅰ)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고; 상기 식에서,
A는 N 또는 CR9이고, 여기서 R9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L은 결합 또는 C1-4 알킬렌이고;
R1은 H이거나;
R1 및 R2는 NH와 함께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구성원으로서 함유하는 5 내지 8원(membered)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상기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은 비(非)치환되거나 옥소 치환기로 치환되고;
R2는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i) 수소, -C1-6 알킬, -할로C1-6 알킬, -하이드록시C1-6 알킬렌, -하이드록시할로C1-6 알킬렌, -C1-6알콕시C1-6알킬렌, -할로C1-6 알콕시C1-6 알킬렌 또는 -C3-8 사이클로알콕시(C1-6 알킬);
(ii) 시아노; -시아노C1-6 알킬렌; -C1-6 알킬티오C1-6알킬; -C2-6 알케닐; -할로C2-6 알케닐; -C2-6 알키닐; -C1-4 알킬SOC1-4알킬; -C1-4 알킬SO2C1-4알킬; -SO2R8 또는 -C(C1-4 알킬)=N-O(C1-4 알킬);
(iii) -C1-4알킬카보닐; -(CRaRb)p-C(=O)-OR10; 또는 -C(=O)-(CRaRb)qR11-; 여기서 R11은 C3-7 사이클로알킬,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이고, 이들 각각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로 치환되고;
(iv) -(CRaRb)r-C(=O)-NR12R13, 여기서 R12는 수소 또는 C1-6 알킬이고; R13은 수소, -C1-6 알킬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거나; R12 및 R13은 함께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는 비치환되거나 C1-4 알킬로 치환되고;
(v)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C0-6알킬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할로C1-4 알킬), 각각의 상기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옥소로 치환되고;
(vi) 5 내지 9원 헤테로아릴C0-6알킬 또는 5 내지 9원 헤테로아릴(할로C1-4알킬), 여기서 각각의 상기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C1-4 알킬, -할로C1-4알킬, -하이드록시C1-4 알킬렌, -C1-4 알콕시, -할로C1-4 알콕시,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옥시도, -아미노카보닐C0-6알킬, -C1-4알킬아미노카보닐C0-6알킬, -디C1-4알킬아미노카보닐C0-6알킬 또는 -C3-7 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고;
R3a, R3b, R4a, R4b, R5a, R5b, R6a 및 R6b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하이드록실, -C1-6 알킬, -할로C1-6 알킬, -하이드록시C1-6 알킬렌, -C1-6 알콕시, -C1-6알콕시C1-6알킬렌, -할로C1-6 알콕시C1-6알킬렌, -하이드록시할로C1-6 알킬렌, 아릴, -C(=O)-OR14 또는 -(CRaRb)s-C(=O)-NR15R16이거나;
R3a 및 R3b, R4a 및 R4b, R5a 및 R5b 또는 R6a 및 R6b는 옥소 치환기를 형성하고;
R7은 H, -C1-4 알콕시, 할로 또는 C1-4 알킬이거나; 비치환되거나 할로로 치환된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R8은 C3-8 사이클로알킬(C0-6 알킬);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4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C0-6알킬;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9원 헤테로아릴C0-6알킬 또는 아릴이고; R8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3개의 R17로 치환되고;
R17은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C1-6 알킬, -할로C1-6 알킬, -C1-6 알콕시, -할로C1-6 알콕시, -NRaC(=O)CRc=C(Rc)2 또는 -(CRaRb)t-NRa-C(=O)-R18이고;
Ra, Rb, Rc, R10, R14,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R18은 -C1-4 알킬 또는 -C1-4 할로알킬이고;
p, q, r, s 및 t는 독립적으로 0 내지 4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Ⅰ) 또는 이의 하위 화학식(sub-formula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치료적 유효량;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Ⅰ) 또는 이의 하위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치료적 유효량; 및 하나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therapeutically active agent)(들)를 포함하는 조합, 특히 약학적 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들)와 조합하여 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보다 특히 상기 질병 또는 병태는 NSD2의 과발현 또는 원하지 않은 상향조절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정의
본 명세서를 해석하는 목적을 위해, 하기 정의를 적절한 경우 적용할 것이고, 단수로 사용된 용어는 또한 복수를 포함하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C1-6알킬”은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연결되며 불포화를 보유하지 않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오직 탄소 및 수소 원자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 라디칼을 지칭한다. 용어 “C1-4알킬”은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C1-6알킬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1-메틸에틸 (이소-프로필), n-부틸, n-펜틸 및 1,1-디메틸에틸(t-부틸)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C2-6알케닐”은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보유하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오직 탄소 및 수소 원자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 라디칼기를 지칭한다. 용어 “C2-4알케닐”은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C2-6알케닐의 예는 에테닐, 프로프-1-에닐, 부트-1-에닐, 펜트-1-에닐, 펜트-4-에닐 및 펜타-1,4-디에닐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C2-6알키닐”은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삼중 결합을 보유하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오직 탄소 및 수소 원자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 라디칼기를 지칭한다. 용어 “C2-4알키닐”은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C2-6알키닐의 예는 에티닐, 프로프-1-이닐, 부트-1-이닐, 펜트-1-이닐, 펜트-4-이닐 및 펜타-1,4-디이닐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C1-6알콕시”는 화학식 -ORa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상기 식에서, Ra는 상기에서 일반적으로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이다. C1-6알콕시의 예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펜톡시 및 헥속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C1-6알콕시C1-6알킬렌”은 화학식 -Ra-O-Ra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상기 식에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이다. 산소 원자는 각각의 알킬 라디칼에서 임의의 탄소 원자에 결합될 수 있다. C1-6알콕시C1-6알킬의 예는 메톡시-메틸, 메톡시-에틸, 에톡시-에틸, 1-에톡시-프로필 및 2-메톡시-부틸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C1-4알킬카보닐”은 화학식 -C(=O)-Ra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상기 식에서, Ra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4알킬 라디칼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C1-4알킬티오C1-4알킬”은 화학식 -Ra-S-Ra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상기 식에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4알킬 라디칼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하이드록시C1-6알킬렌”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을 지칭하고, C1-6알킬 라디칼의 수소 원자 중 하나는 OH로 대체된다. 하이드록시C1-6알킬의 예는 에탄-1-올일, 2-메틸프로판-1-올일, 하이드록시-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3-하이드록시-프로필 및 5-하이드록시-펜틸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아미노카보닐C0-6알킬”은 화학식 -Ra-C(=O)-NH2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상기 식에서, Ra는 단일 결합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C1-4알킬아미노카보닐C0-6알킬”은 화학식 -Ra1-C(=O)-NH-Ra2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상기 식에서, Ra1은 단일 결합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이고; Ra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디C1-4알킬아미노카보닐C0-6알킬”은 화학식 -Ra1-C(=O)-N(Ra2)-Ra2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상기 식에서, Ra1은 단일 결합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이고; 각각의 Ra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4알킬 라디칼이고,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C3-8사이클로알킬C0-6알킬”은 단일 결합(즉, C3-8사이클로알킬)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연결되며,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오직 탄소 및 수소 원자로 구성되는 안정한 단환형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용어 “C3-7사이클로알킬” 및 “C3-7사이클로알킬C0-4알킬”은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C3-8사이클로알킬C0-6알킬의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부틸-에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펜틸-프로필,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및 사이클로옥틸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C3-8사이클로알콕시C1-6알킬”은 화학식 -Ra-O-Rb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상기 식에서, Ra는 독립적으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이고, Rb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3-8사이클로알킬이다. C3-8사이클로알콕시C1-6알킬의 예는 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 및 사이클로부톡시메틸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할로”는 브로모, 클로로, 플루오로 또는 아이오도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할로 C1-6알킬”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할로 라디칼로 치환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을 지칭한다. 할로 C1-6알킬의 예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플루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1,3-디브로모프로판-2-일, 3-브로모-2-플루오로프로필 및 1,4,4-트리플루오로부탄-2-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어 “할로 C1-4알킬”은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할로C1-6알콕시C1-4알킬렌”은 화학식 -Ra1-O-Ra2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상기 식에서, Ra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이고; Ra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할로C1-6알킬이다. 할로C1-6알콕시C1-4알킬의 예는 (디플루오로메톡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메틸 및 (2,2-디플루오로에톡시)메틸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하이드록시할로C1-6알킬렌”은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라디칼로 치환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할로C1-6알킬 라디칼을 지칭한다. 하이드록시할로C1-6알킬의 예는 2,2-디플루오로에탄-1-올일; 2-플루오로에탄-1-올일;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올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시아노C1-6알킬렌”은 화학식 -Ra-CN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상기 식에서, Ra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4알킬 라디칼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할로C2-6알킬렌”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할로 라디칼로 치환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2-6알킬렌 라디칼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은 각각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안정한 4 내지 7원 비(非)-방향족 단환형 고리 라디칼을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은 탄소 원자 또는 헤테로원자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용어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은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헤테로사이클릴의 예는 아제티디닐, 옥세타닐, 피롤리닐, 피롤리딜, 테트라하이드로퓨릴, 테트라하이드로티에닐, 피페리딜, 피페라지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또는 모르폴리닐 또는 퍼하이드로아제피닐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C0-6알킬”은 단일 결합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연결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헤테로아릴”은 각각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9원 방향족 단환형 또는 융합 고리 라디칼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탄소 원자 또는 헤테로원자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용어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은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5 내지 6원 단환형 헤테로아릴의 예는 퓨릴, 피롤일, 티에닐, 피라졸일, 이미다졸일, 티아졸일, 이소티아졸일, 옥사졸일, 이속사졸일, 트리아졸일, 테트라졸일, 피라지닐, 피라다지닐, 피리미딜 또는 피리딜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융합 헤테로아릴의 예는 9원 헤테로아릴, 예를 들어 벤조퓨라닐; 2,3-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1,3-디하이드로이소벤조퓨라닐; 벤조[d][1,3]디옥솔-5-일; 이미다졸[1,2-a]피리디닐; 피라졸로[1,5-a]피리디네일; 1H-인다졸일 및 1H-벤조[d]-이미다졸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헤테로아릴C0-6알킬”은 단일 결합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알킬 라디칼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연결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 고리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헤테로아릴(할로C1-4알킬)”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할로C1-4알킬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연결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 고리를 지칭한다. 헤테로아릴(할로C1-4알킬)의 예시적인 예는 플루오로(피리딘-2-일)메틸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IC50"은 50% 억제를 발생하는 억제제 또는 조절제의 몰 농도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보호된 유도체”는 반응 부위 또는 부위들이 보호기로 차단된 억제제의 유도체를 지칭한다. 보호된 유도체는 억제제의 제조에서 유용하거나 그 자체가 억제제로서 활성일 수 있다. 보호된 기의 예는 아세틸, 테트라하이드로피란, 메톡시메틸 에테르, β메톡시에톡시메틸 에테르, ρ-메톡시벤질, 메틸티오메틸 에테르, 피발로일, 실릴 에테르, 카보벤질옥시, 벤질, tert-부톡시카보닐, ρ-메톡시페닐,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 아세탈, 케탈, 아실알, 디티안, 메틸에스테르, 벤질 에스테르, tert-부틸 에스테르 및 실릴 에스테르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보호기의 포괄적 목록은 T.W. Greene,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999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용어 “핵 SET 도메인-보유 단백질 2(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는 NSD2로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조절되는 질병 또는 병태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대상”은 포유동물, 영장류(예를 들어, 인간, 남성 또는 여성), 개, 토끼, 기니피그, 돼지, 래트(rat) 및 마우스(mouse)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대상은 영장류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억제하다”, “억제” 또는 “억제하는”은 특정 상태, 증상이나 장애나 질병의 감소 또는 억압, 또는 생물학적 활성이나 과정의 기준 활성도의 현저한 감소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임의의 질병이나 장애의 “치료”, “치료하는” 또는 “치료하다”는 질병이나 장애를 완화 또는 개선하거나(즉, 질병 또는 이의 임상적 증상 중 적어도 하나의 진행을 늦추거나 저지함), 환자에게서 육안으로 인식할 수 없는 것들을 포함하는, 질병이나 장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매개변수나 생체지표를 완화 또는 개선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임의의 질병이나 장애의 “예방”, “예방하는” 또는 “예방하다”는 질병이나 장애의 예방적 치료; 또는 질병이나 장애의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대상이 치료로부터 생물학적으로, 의학적으로 또는 생활의 질에서 도움을 받는다면, 대상은 치료를 “필요로”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대상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 예를 들어, 효소나 단백질 활성도의 감소 또는 억제를 유도하거나, 증상을 개선하거나, 상태를 완화시키거나, 질병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질병을 예방할(등등)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항암제” 또는 백혈병치료제는 암 세포를 치료하거나 암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데 유용한 치료제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소염제”는 신체 내의 염증(홍조, 부기 및/또는 통증)을 감소시키는 치료제를 지칭한다. 소염제는 염증을 유발하는 신체 내 특정 물질을 차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非)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 또는 사용에 유용한 물질을 지칭하고,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은 적합한 희석제, 용매, 분산 매질,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등장성제, 완충제, 에멀션제, 흡수 지연제, 염, 약물 안정화제, 결합제, 부형제, 붕해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료, 착향료, 염료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2nd Ed. Pharmaceutical Press, 2013, pp. 1049-1070 참조).
본원에 사용된 바, 본 발명의 문맥(특히, 청구항의 문맥)에서 사용된 용어 “하나(a, an)”, “그(the)” 및 유사 용어는 본원에 달리 명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하게 상충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
본 발명은 NSD2를 억제하는 신규 화합물; NSD2로 매개된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열거된 실시형태가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명시된 특성은 다른 명시된 특성과 조합되어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 따르면, A는 N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 또는 2에 따르면,
R3a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R3b는 수소, 할로, -하이드록실, -C1-6 알콕시 또는 시아노이거나;
R4a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R4b는 수소, 할로, -C1-6알콕시C1-6알킬렌, -C1-6 알킬 또는 -할로C1-6 알킬이거나;
R5a는 수소이고, R5b는 수소 또는 -C1-6 알킬이거나;
R5a 및 R5b는 함께 옥소 치환기를 형성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 내지 3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R6a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R6b는 수소, -할로C1-6 알콕시C1-6 알킬렌, -하이드록시C1-6 알킬렌, -하이드록시할로C1-6 알킬렌, 카복실, 페닐 또는 -(CRaRb)t-C(O)-NR15R16이고;
Ra, Rb,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t는 0 내지 1이거나;
R6a 및 R6b는 함께 옥소 치환기를 형성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5. 실시형태 1 내지 4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R7은 H, -C1-4 알콕시 또는 할로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6. 실시형태 1 내지 5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R1, R3a, R3b, R4a, R4b, R5a, R5b, R6a, R6b 및 R7은 수소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7.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Ⅱ)의 화합물:
Figure pct00002
(Ⅱ)
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8. 실시형태 7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ⅡA)의 화합물:
Figure pct00003
(ⅡA)
인, 화학식 (Ⅱ)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9. 실시형태 1 내지 8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R2는 수소, -C1-6 알킬, -할로C1-6 알킬, -하이드록시C1-6 알킬렌, -하이드록시할로C1-6 알킬렌, -C1-6알콕시C1-6알킬렌, -할로C1-6 알콕시C1-6 알킬렌 또는 -C3-8 사이클로알콕시(C1-6 알킬)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0. 실시형태 1 내지 8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R2는 -C1-4알킬카보닐;
-(CRaRb)p-C(O)-OR10, 여기서 R10은 수소 또는 -C1-4 알킬이거나;
-C(O)-(CRaRb)q-R11, 여기서 R11은 C3-6 사이클로알킬,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이고, 이들 각각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로 치환되거나;
-(CRaRb)r-C(O)-NR12R13이고, 여기서
R12는 수소 또는 -C1-6 알킬이고;
R13은 수소, -C1-6 알킬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거나;
R12 및 R13은 함께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는 비치환되거나 -C1-4 알킬로 치환되고;
Ra, Rb 및 R1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p, q 및 r은 독립적으로 0 내지 2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1. 실시형태 1 내지 8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피리딘-2-일, (피리딘-2-일)메틸 또는 (피리딘-2-일)에틸, 여기서 상기 피리딘-2-일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1 내지 2개의 -C1-4 알킬, -C1-4 할로알킬, 하이드록실, -하이드록시C1-4 알킬렌, 시아노, -C1-4 알콕시, -C1-6알콕시C1-6알킬렌, -할로C1-4 알콕시, 할로 또는 -C3-7 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고,;
티아졸-4-일, 티아졸-2-일메틸, 옥사졸-2-일, 옥사졸-2-일메틸, 피리다진-3-일, 피리다진-3-일메틸, 피라진-2-일, 피라진-2-일메틸, 피리미딘-4-일, 피리미딘-4-일메틸, 이들 각각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C1-4 알킬 또는 할로로 치환되고;
1H-피라졸-3-일, (1H-피라졸-3-일)메틸, 1-메틸-1H-피라졸-4-일, (1,2,3-트리아졸-4-일), 이소옥사졸-3-일, 이들 각각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C1-4 알킬, 할로 또는 -C3-7 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고;
1,4-디옥산-2-일;
피리딘-2(1H)-온일; 및
피리딘-1-옥사이드-2-일.
실시형태 12. 실시형태 1 내지 11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8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아제티디닐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3. 실시형태 1 내지 11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8은 2,3-디하이드로벤조퓨란-5-일; 1,3-디하이드로이소벤조퓨란-5-일; 벤조[d][1,3]디옥솔-5-일; 이미다조[1,2-a]피리딘-6-일 또는 피라졸로[1,5-a]피리딘-6-일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4. 실시형태 1 내지 13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8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2개의 할로,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로 치환된 피리딜; 비치환되거나 1 내지 2개의 할로 또는 -C1-6 알킬로 치환된 1H-인다졸-5-일; 또는 비치환되거나 -C1-6 알킬로 치환된 1H-벤조[d]-이미다졸-6-일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5. 실시형태 1 내지 13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8은 1 내지 3개의 R17로 치환된 페닐이고;
R17은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C1-6 알킬, -할로C1-6 알킬, -C1-6 알콕시, -할로C1-6 알콕시, -NRdC(O)CRd=C(Rd)2 또는 -(CRaRb)t-NRd-C(O)-R18이고;
Ra, Rb 및 Rd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R18은 -C1-4 할로알킬이고;
t는 0 내지 1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6. 실시형태 1 내지 13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8은 1 내지 3개의 R17로 치환된 페닐이고; R17은 할로, 하이드록시, -C1-6 알킬, -할로C1-6 알킬, -C1-6 알콕시 또는 -할로C1-6 알콕시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7. 화학식 (II)의 화학물:
Figure pct00004
(II)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C1-6 알킬, -할로C1-6 알킬, -하이드록시C1-6 알킬렌, -하이드록시할로C1-6 알킬렌, -C1-6알콕시C1-6알킬렌, -할로C1-6 알콕시C1-6 알킬렌 또는 -C3-8 사이클로알콕시(C1-6 알킬)이고;
R8은 1 내지 3개의 R17로 치환된 페닐이고;
R17은 할로, 하이드록시, -C1-6알킬, -할로C1-6 알킬, - C1-6 알콕시 또는 -할로C1-6 알콕시인, 화학식 (II)의 화학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8.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IIA)의 화합물:
Figure pct00005
(IIA)
인, 화학식 (II)의 화학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1 내지 18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수소; 2,2-디플루오로에틸; 2-메틸-프로판-1-올일; 에탄-1-올일; 2,2-디플루오로에탄-1-올일; 2-플루오로에탄-1-올일; 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올일; 디플루오로메톡실; 또는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실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1 내지 18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2
Figure pct00006
또는
Figure pct00007
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21. 실시형태 1 내지 20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표 2의 화합물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22. 실시형태 2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레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4-메톡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클로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3,4-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4-플루오로-2-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및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클로로-5'-플루오로-[2,2'-바이피리딘]-5-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실시형태 23. 실시형태 22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 배열, (S) 배열 또는 이의 혼합물인, 화합물.
실시형태 24.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25.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26.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27.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28.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29.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4-메톡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4-메톡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30.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클로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클로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31.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32.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3,4-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3,4-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33.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4-플루오로-2-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4-플루오로-2-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34.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클로로-5'-플루오로-[2,2'-바이피리딘]-5-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클로로-5'-플루오로-[2,2'-바이피리딘]-5-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실시형태 35. 실시형태 1 내지 34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실시형태 36. 실시형태 1 내지 34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추가의 치료적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합.
실시형태 37. 실시형태 36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의 치료적 활성제는 항암제, 진통제, 소염제 또는 이의 조합인, 조합.
실시형태 38. 핵 SET 도메인-보유 단백질2(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선택적으로 제2 치료제와 조합한 실시형태 1 내지 34에 따른 화합물.
실시형태 39. 실시형태 38에 있어서, 상기 제2 치료제는 항암제, 진통제, 소염제 또는 이의 조합인, 화합물.
실시형태 40. 선택적으로 제2 치료제와 조합한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화합물의 핵 SET 도메인-보유 단백질 2(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를 위한 약물 제조에서의 용도.
실시형태 41. 실시형태 1 내지 34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선택적으로 제2 치료제와 조합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함으로써 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핵 SET 도메인-보유 단백질2(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실시형태 42. 실시형태 1 내지 34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선택적으로 제2 치료제와 조합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함으로써 NSD2의 억제로 인해 도움이 되거나 치료 가능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핵 SET 도메인-보유 단백질2(NSD2)의 억제로 인해 도움이 되거나 치료 가능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실시형태 43. 실시형태 41 또는 42에 있어서, NSD2로 매개된 상기 질병이나 상태 또는 NSD2의 억제로 인해 도움이 되거나 치료 가능한 상기 질병이나 상태는 유방암, 자궁경부암, 피부암(특히, 편평세포암종), 난소암, 위암, 전립선암, 췌장암, 폐암, 간세포암종, 두경부암, 말초신경집종양, 골육종, 다발성 골수종, 신경모세포종, 백혈병(특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비(非)호지킨 림프종(특히, 외투세포 림프종) 또는 폐동맥고혈압인, 방법.
실시형태 44. 실시형태 41 또는 42에 있어서, NSD2로 매개된 상기 질병이나 상태 또는 NSD2의 억제로 인해 도움이 되거나 치료 가능한 상기 질병이나 상태는 폐암인, 방법.
실시형태 45. 실시형태 44에 있어서, 상기 폐암은 소세포 또는 비(非)소세포 폐암인, 방법.
실시형태 46. 실시형태 41 또는 42에 있어서, NSD2로 매개된 상기 질병이나 상태 또는 NSD2의 억제로 인해 도움이 되거나 치료 가능한 상기 질병이나 상태는 백혈병인, 방법.
실시형태 47. 실시형태 46에 있어서, 상기 백혈병은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또는 만성 골수단백구 백혈병(CMML)인, 방법.
실시형태 48. 실시형태 41 또는 42에 있어서, NSD2로 매개된 상기 질병이나 상태 또는 NSD2의 억제로 인해 도움이 되거나 치료 가능한 상기 질병이나 상태는 피부암인, 방법.
실시형태 49. 실시형태 48에 있어서, 상기 피부암은 흑색종, 기저세포암종 또는 편평세포암종인, 방법.
실시형태 50. 실시형태 41 또는 42에 있어서, NSD2로 매개된 상기 질병이나 상태 또는 NSD2의 억제로 인해 도움이 되거나 치료 가능한 상기 질병이나 상태는 림프종인, 방법.
실시형태 51. 실시형태 50에 있어서, 상기 림프종은 호지킨 림프종 또는 비호지킨 림프종인, 방법.
실시형태 52. 실시형태 50에 있어서, 상기 림프종은 외투세포 림프종 또는 광범위B형대세포림프종인, 방법.
실시형태 53. 실시형태 41 또는 42에 있어서, NSD2로 매개된 상기 질병이나 상태 또는 NSD2의 억제로 인해 도움이 되거나 치료 가능한 상기 질병이나 상태는 골수종인, 방법.
실시형태 54. 실시형태 41 내지 53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경구 투여되는, 방법.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본 발명의 화합물들”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 이의 하위 화학식의 화합물 및 예시 화합물 및 이의 염뿐만 아니라 입체이성질체(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거울상 이성질체 포함), 회전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및 동위 원소 표지 화합물(튜테륨 치환 포함)뿐만 아니라 본래 형성된 모이어티(inherently formed moiety)를 지칭한다.
출발 물질 및 절차의 선택에 따라, 본 화합물은 가능한 이성질체 중 하나의 형태 또는 이의 혼합물, 예를 들어 순수한 광학 이성질체 또는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 예를 들어 비대칭 탄소 원자의 수에 따라 라세미 화합물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세미 혼합물,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 및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모든 이러한 가능한 입체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광학적 활성 (R)- 및 (S)- 입체 이성질체는 카이랄 신톤(chiral synthon) 또는 카이랄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거나,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분해될 수 있다.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원자에서의 치환기는 가능한 경우 시스-(Z)- 또는 트랜스-(E)-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화합물이 이(二)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을 함유하는 경우, 사이클로알킬 치환기는 시스- 또는 트랜스-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임의의 비대칭 원자(예를 들어, 탄소 등)는 라세미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예를 들어 (R)-, (S)- 또는 (R,S)- 배열이 풍부하게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비대칭 원자는 (R)- 또는 (S)- 배열인 적어도 50% 과량의 거울상 이성질제, 적어도 60% 과량의 거울상 이성질체, 적어도 70% 과량의 거울상 이성질체, 적어도 80% 과량의 거울상 이성질체, 적어도 90% 과량의 거울상 이성질체, 적어도 95% 과량의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적어도 99% 과량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갖는다.
따라서, 본원에 사용된 바,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가능한 입체 이성질체, 회전 이성질체, 회전장애 이성질체(atropisomer), 호변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중 하나의 형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순수한 기하학(시스 또는 트랜스) 입체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거울상체), 라세미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입체 이성질체의 임의의 수득된 혼합물은 구성 성분의 물리화학적 차이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분별 결정에 의해 순수하거나 실질적으로 순수한 기하학 또는 광학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라세미 화합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중간체의 임의의 수득된 라세미 화합물은 알려진 방법, 예를 들어 광학적 활성 산 또는 염기로 수득된 이의 부분입체 이성질체 염의 분리 및 광학적 활성 산 또는 염기 화합물의 유리에 의해 광학적 거울상체로 분해될 수 있다. 특히, 염기성 모이어티가 이와 같이 사용되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광학적 활성 산, 예를 들어 타르타르산, 디벤조일 타르타르산,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디-O,O'-p-톨루오일 타르타르산, 만델산, 말산 또는 캠포-10-설폰산으로 형성된 염의 분별 결정에 의해 이들의 광학 거울상체로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세미 화합물 또는 라세미 중간체는 또한 카이랄 흡착제를 사용하여 카이랄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화학식은 또한 본 화합물의 표지되지 않는 형태뿐만 아니라 동위 원소 표지 형태의 화합물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동위 원소 표지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원자가 선택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 본원에 제공된 화학식으로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 내로 혼입될 수 있는 동위 원소는 예를 들어 수소의 동위 원소를 포함한다.
또한, 특정 동위 원소, 특히 듀테륨(즉, 2H 또는 D)의 혼입은 보다 높은 대사 안정성, 예를 들어 증가된 생체 내 반감기 또는 감소된 투여량 요건 또는 치료 지수나 내약성의 개선으로부터 획득되는 특정 치료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문맥에서 듀테륨은 화학식 (I) 또는 이의 하위 화학식의 화합물의 치환기로서 간주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듀테륨의 농도는 동위 원소 농축 인자로 정의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동위 원소 농축 인자”는 특정 동위 원소의 동위 원소 존재비와 천연 존재비 사이의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내 치환기가 듀테륨으로서 표시된 경우, 이러한 화합물은 적어도 3500(각각의 지정된 듀테륨 원자에서 52.5% 듀테륨 혼입), 적어도 4000(60% 듀테륨 혼입), 적어도 4500(67.5% 듀테륨 혼입), 적어도 5000(75% 듀테륨 혼입), 적어도 5500(82.5% 듀테륨 혼입), 적어도 6000(90% 듀테륨 혼입), 적어도 6333.3(95% 듀테륨 혼입), 적어도 6466.7(97% 듀테륨 혼입), 적어도 6600(99% 듀테륨 혼입) 또는 적어도 6633.3(99.5% 듀테륨 혼입)의 각각의 지정된 듀테륨 원자에 대한 동위 원소 농축 인자를 갖는다. 용어 “동위 원소 농축 인자”는 듀테륨에 대해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임의의 동위 원소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내로 혼입될 수 있는 동위 원소의 다른 예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불소 및 염소, 예를 들어 각각 3H, 11C, 13C, 14C, 15N, 18F 31P, 32P, 35S, 36Cl, 123I, 124I, 125I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 원소, 예를 들어 3H 및 14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임의의 동위 원소를 혼입하는 화합물 또는 비(非)-방사성 동위 원소, 예를 들어 2H 및 13C가 존재하는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동위 원소 표지 화합물은 대사 연구(14C로), 반응 속도 연구(예를 들어, 2H 또는 3H로), 검출 또는 이미지 기술, 예를 들어 약물 또는 물질의 조직 분포 검정을 포함하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PET) 또는 단일광자 방출 컴퓨터단층촬영술(SPECT), 또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유용하다. 특히, 18F 또는 표지 화합물은 특히 PET 또는 SPECT 연구에 바람직할 수 있다. 화학식 (I) 또는 이의 하위 화학식의 동위 원소 표지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서나, 이전에 사용된 비(非)-표지 시약 대신에 적절한 동위 원소 표지 시약을 사용하여 동반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각각 이의 염으로서 유리 형태로 수득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 용어 “염” 또는 “염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산 부가 또는 염기 부가 염을 지칭한다. “염”은 특히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효과 및 특성을 보유하며, 전형적으로 생물학적으로나 달리 바람직하지 않는 것이 아닌 염을 지칭한다. 다수의 경우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미노 및/또는 카복실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의 존재 덕분에 산 및/또는 염기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은 무기산 및 유기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무기산은 예를 들어 염산, 하이드로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을 포함한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유기산은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퓨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톨루엔설폰산, 설포살리실산 등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 염은 무기 및 유기 염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무기 염기는 예를 들어 주기율표 I족 내지 XII족의 금속 및 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상기 염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은, 아연 및 구리로부터 유도되고; 특히 적합한 염은 암모늄, 칼륨, 나트륨, 칼슘 및 마그네슘 염을 포함한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유기 염기는 예를 들어 1차, 2차 및 3차 아민, 자연 발생 치환된 아민(naturally occurring substituted amine)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 사이클릭 아민,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등을 포함한다. 특정 유기 아민은 이소프로필아민, 벤자틴, 콜리네이트,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라이신, 메글루민, 피페라진 및 트로메타민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아디페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베실레이트, 브로마이드/하이드로브로마이드, 바이카보네이트/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설페이트, 캠포설포네이트, 카프레이트, 클로라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로테오필리네이트, 시트레이트, 에탄디설포네이트, 퓨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글루타메이트, 글루타레이트, 글리콜레이트, 히푸레이트,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아이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락토바이오네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메실설페이트, 뮤케이트, 나프토에이트, 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옥타데카노에이트, 올레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폴리칼락투로네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세바케이트, 스테아레이트, 숙시네이트, 설포살리실레이트, 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페나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또는 자이나포에이트 염 형태인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본원에 기재된 모든 방법은 달리 명시되거나 문맥상 달리 명백하게 상충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실시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반응식 1에서 일반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고, 여기서 R1, R2, R3, …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반응식 1에서 도시된 바, Boc 보호된 3-CN 또는 3-CO2Et 피페리딘은 강염기(예를 들어, NaHMDS) 및 R2를 함유하는 친전자체의 존재 하에 SN2 또는 SNAr 반응을 진행하여 4차 중심을 갖는 화합물 2 또는 2'을 생성하고, 염기성 조건(예를 들어, LiOH) 또는 산화 가수분해 조건(예를 들어, H2O2, NaOH)에서 대응하는 카복실산 3 또는 1차 아민 3'로 추가로 가수분해되었다. 산 3 또는 아미드 3'는 추가로 커티우스(Curtius) 또는 호프만 재배열(Hofmann rearrangement)을 진행하여 보호된 4차 아민 4를 생성한다. 선택적 Boc 탈보호 후, 피페리딘 5는 가열 하 유기 염기(예를 들어, DIPEA)의 존재에서 불소화 피리딘 6과 반응하여 커플링 생성물 7을 수득한다. 에스테르 7은 마일드 환원제(mild reducing agent)(예를 들어, NaBH4, LiCl)에 의해 벤질 알코올 8로 추가로 환원되고, Boc 보호된 아데닌 중간체 B와 미스투노부 반응(Mistunobu reaction)을 진행하여 화합물 9를 제공한다. 산성 또는 수소화 조건 하에서 탈보호 후, 카이랄 목표 분자 10이 수득된 후 SFC 분리를 한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8
본 발명은 본 공정의 임의의 변형을 추가로 포함하고; 예를 들어 이의 임의의 단계에서 수득될 수 있는 중간체 생성물이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고, 나머지 단계가 수행되거나; 출발 물질이 반응 조건 하에서 인-시츄(in situ) 형성되거나; 반응 성분이 그들의 염 또는 광학적 순수 물질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중간체는 또한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따라 서로 전환될 수 있다.
약리학 및 유용성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치료, 특히 NSD2로 매개되는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유용한 화학식 (I) 또는 이의 하위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NSD2의 억제로 인해 도움이 되거나 치료 가능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하고; NSD2의 억제로 인해 치료 가능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 또는 이의 하위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NDS2로 매개되거나, NSD2의 억제로 인해 도움이 되거나 치료 가능한 질병 또는 병태의 예는 유방암, 자궁경부암, 피부암(특히, 피부 편평세포암종), 난소암, 위암, 전립선암, 췌장암, 폐암, 간세포암종, 두경부암, 말초신경집종양, 골육종, 다발성 골수종, 신경모세포종, 백혈병(특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비호지킨 림프종(특히, 외투세포 림프종) 또는 폐동맥고혈압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약학 조성물, 투여량 및 투여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적어도 두 개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주사(injection), 주입(infusion), 경피 또는 국소 투여에 의한) 및 직장 투여와 같은 특정 투여 경로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국소 투여는 또한 흡입 또는 비강내 적용에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고체 형태(비제한적으로, 캡슐, 정제, 알약, 과립, 분말 또는 좌약 포함) 또는 액체 형태(비제한적으로,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션 포함)로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필름 코팅되거나 장용해 코팅(enteric coated)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약학 조성물은 유효 성분을 하기 중 하나 이상와 함께 포함하는 정제 또는 젤라틴 캡슐이다:
a) 희석제, 예를 들어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오스 및/또는 글리신;
b) 윤활제, 예를 들어 실리카, 탈컴, 스테아르산, 이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 염 및/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정제의 경우, 또한
c) 결합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녹말 페이스트(starch paste), 젤라틴, 트라가칸트,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원하는 경우
d) 붕해제, 예를 들어 녹말, 아가, 알긴산 또는 이의 나트륨 염 또는 에페프베성 혼합물(effervescent mixture); 및
e) 흡수제, 착색제, 착향료 및 감미료.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른 치료제, 예를 들어 다른 항암제, 항알러지제, 구토방지제(anti-nausea agent)(또는 최토방지제(anti-emetic)), 진통제, 세포보호제(cytoprotective agent) 및 이의 조합과 조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다른 치료제는 항암제 또는 화학 치료제이다. 본 발명의 조합 치료에 사용을 위해 고려되는 항암제의 예는 엘로티닙, 보르테조밉, 풀베스트란트, 수니팁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레트로졸, 피나수네이트, 플라틴, 예를 들어 옥사리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및 시스플라틴, 피나수네이트, 플루오로우라실, 라파마이신, 류코보린, 라파티닙, 로나파밉, 소라페닙, 게피티닙, 캠프토테신, 토포테칸, 브리오스타틴, 아데젤레신, 안트라사이클린, 카르젤레신, 바이젤레신, 돌라스타틴, 오리스타틴, 두오카르마이신, 엘레우테로빈, 탁솔, 예를 들어 파클리탁셀 또는 도세탁셀, 사이클로파스파마이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프레드니손 또는 프레드니솔론, 다른 알킬화제, 예를 들어 메클로레타민, 클로람부실 및 이포스파마이드, 대사길항물질, 예를 들어 아자티오프린 또는 메르캅토퓨린, 다른 미세소관 억제제(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비노렐빈 및 빈데신과 같은 빈카 알칼로이드뿐만 아니라 탁산), 포도필로톡신(에토포사이드, 테니포사이드, 에토포사이드 포스페이트 및 에피포도필로톡신), 국소이성화효소 억제제, 다른 세포독소, 예를 들어 악티노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발루비신, 이다루비신, 에드레콜로맙, 에피루비신, 블레오마이신, 플리카마이신, 미토마이신뿐만 아니라 다른 항암 항체(세툭시맙, 베바시주맙, 이브리투모맙, 아바고보맙, 아데카투무맙, 아푸투주맙, 알라시주맙, 알렘투주맙, 아나투모맙, 아폴리주맙, 바비툭시맙, 벨리무맙, 비바투주맙 메르탄신, 블리나투모맙, 브렌툭시맙 베도틴, 칸투주맙 메르탄신, 카투마조맙, 세툭시맙, 시타투주맙 보가톡스, 식수투무맙, 클리바투주맙 테트라제탄, 코나투무맙, 다세투주맙, 다클리주맙, 데투모맙, 에클로멕시맙, 에드레콜로맙, 엘로투주맙, 에프라투주맙, 에르투막소맙, 에타라시주맙, 팔레투주맙, 피기투무맙, 프레솔리무맙, 갈릭시맙, 겜바투무맙 베도틴, 겜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이노투주맙 오조가미신, 인테투무맙, 이필리무맙, 이라투무맙, 라베투주맙, 렉사투무맙, 린투즈맙, 루카투무맙, 루밀리시맙, 마파투무맙, 마투주맙, 밀라투주맙, 미투모맙, 나콜로맙 타페나톡스, 납투모맙 에스타페나톡스, 네시투무맙, 니모투주맙, 오파투무맙, 올라라투맙, 오포르투주맙 모나톡스, 오레고보맙, 파니투무맙, 펨투모맙, 페르투주맙, 핀투모맙, 프리투무맙, 라무시루맙, 릴로투무맙, 로바툼무맙, 리툭시맙, 시브로투주맙, 타카투주맙 테트라제탄, 타프리투모맙 파프톡스, 테나투모맙, 티실리무맙, 티가투주맙, 토시투모맙 또는 131I-토시투모맙, 트라스투주맙, 트레메리무맙, 투오코투주맙 셀모루킨, 벨투주맙, 비실리주맙, 볼로식수맙, 보투무맙, 자루투무맙, 자노리무맙, IGN-101, MDX-010,ABX-EGR, EMD72000, ior-t1, MDX-220, MRA, H-11 scFv, huJ591, TriGem, TriAb, R3, MT-201, G-250, ACA-125, Onyvax-105, CD:-960,Cea-Vac, BrevaRex AR54, IMC-1C11, GlioMab-H, ING-1, 항-LCG MAbs, MT-103, KSB-303, Therex, KW2871, 항-HMI.24, 항-PTHrP, 2C4 항체, SGN-30, TRAIL-RI MAb, 전립선암 항체, H22xKi-r, ABX-Mai, 이무테란, 모노팜-C) 및 상기 임의의 약제를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특히, 오리스타틴 MMAE 및 MMAF, DM-1과 같은 메이탄시노이드, 칼리세마이신 또는 다양한 세포독소)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나스트로졸(ARIMIDEX®), 바이칼루타마이드(CASODEX®),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BLENOXANE®), 부술판(MYLERAN®), 부술판 주사(BUSULFEX®), 카페시타빈(XELODA®), N4-펜톡시카보닐-5-데옥시-5-플루오로사이티딘, 카르보플라틴(PARAPLATIN®), 카르무스틴(BiCNU®), 클로람부실(LEUKERAN®), 시스플라틴(PLATINOL®), 크라드리빈(LEUSTATIN®),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TOXAN® 또는 NEOSAR®), 사이타라빈, 사이토신 아라비노사이드(CYTOSAR-U®), 사이카라빈 리포좀 주사(DEPOCYT®), 다카르바진(DTIC-DOME®), 다크티노마이신(액태노마이신 D, COSMEGAN®), 다우노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CERUBIDINE®), 다우노루비신 시트레이트 리포좀 주사(DAUNOXOME®), 덱사메타손, 도세탁셀(TAXOTERE®), 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ADRIAMYCIN®, RUBEX®), 에토포사이드(VEPESID®), 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FlUDARA®), 5-플루오로우라실(ADRUCIL®, EFUDEX®), 플루타마이드(EULEXIN®), 테자시티빈, 젬시타빈(디플루오로데옥시시티딘), 하이드록시우레아(HYDREA®), 이다루빈신(IDAMYCIN®), 이포스파마이드(IFEX®), 이리노테칸(CAMTOSAR®), L-아스파라지네이즈(ELSPAR®), 류코보린 칼슘, 멜파란(ALKERAN®), 6-메르캅토퓨린(PURINETHOL®),메토트렉세이트(FOLEX®), 미토잔트론(NOVANTRONE®), 젬투주맙 오조가미신(MYLOTARGTM), 파크리탁셀(TAXOL®), 나브-파크리탁셀(ABRAXANE®), 페오닉스(이트륨90/MX-DTPA), 펜토스타틴, 카르무스틴 삽입물을 갖는 폴리페프로산 20(GLIADEL®), 타목시펜 시트레이트(NOLVADEX®), 테니포사이드(VUMON®), 6-티오구아닌, 티오테파, 티라파자민(TIRAZONE®), 주사용 토포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CAMPTIN®), 빈블라스틴(VELBAN®), 빈크리스틴(ONCOVIN®) 및 비노렐빈(NAVELBINE®)으로부터 선택된 다른 치료제와 조합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BRAF, MEK, CDK4/6, SHP-2, HDAC, EGFR, MET, mTOR, PI3K 또는 AKT 또는 이의 조합을 억제할 수 있는 다른 치료제와 조합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베무라피닙, 데브라피닙, LGX818, 트라메티닙, MEK162, LEE011, PD-0332991, 파노비노스테트, 베리노스테트, 로미데프신, 세툭시맙, 제피티닙, 엘로티닙, 라파티닙, 파니투무맙, 반데타닙, INC280, 에베로리무스, 시몰리무스, BMK120, BYL719 또는 CLR457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다른 치료제와 조합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사용하기 위한 치료제는 치료되고 있는 질병 또는 병태를 기준으로 선택된다. 예를 들어, 흑색종의 치료에서, 다른 치료제는 알데스류킨(예를 들어, PROLEUKIN®), 다브라페닙(예를 들어, TAFINLAR®), 다카르바진, 재조합 인터페론 알파-2b(예를 들어, INTRON®A), 이필리무맙, 트라메티닙(예를 들어, MEKINIST®), 페긴테르페론 알파-2b(예를 들어, PEGINTRON®, SYLATRONTM), 베무라페닙(예를 들어, ZELBORAF®) 및 이필리무맙(예를 들어, YERVOY®)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난소암의 치료의 경우, 다른 치료제는 옥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Adriamycin®), 카르보플라틴(PARAPLATIN®),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TOXAN®, NEOSAR®), 시스플라틴(PLATINOL®, PLATINOL-AQ®), 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DOXIL®, DOX-SL®, EVACET®, LIPODOX®), 젬시타빈 하이드로클로라이드(GEMZAR®), 토포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CAMTIN®) 및 파클리탁셀(TAXOL®)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갑상선암의 치료의 경우, 다른 치료제는 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Adriamycin®), 카보잔티닙-S-말레이트(COMETRIQ®) 및 반데타닙(CAPRELSA®)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결장암의 치료의 경우, 다른 치료제는 플루오로우라실(예를 들어, ADRUCIL®, EFUDEX®, FLUOROPLEX®), 베바시주맙(AVASTIN®),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MPTOSTAR®), 카페시타빈(XELODA®), 세툭시맙(ERBITUX®), 옥살리플라틴(ELOXATIN®), 류코보린 칼슘(WELLCOVORIN®), 레고라페닙(STIVARGA®), 파니투무맙(VECTIBIX®) 및 지브-아플리베르셉트(ZALTRAP®)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폐암의 치료의 경우, 다른 치료제는 메토트렉세이트, 메토트렉세이트 LPF (예를 들어, FOLEX®, FOLEX PFS®, Abitrexate®, MEXATE®, MEXATE-AQ®), 파크리탁셀(TAXOL®), 파크리탁셀 알부빈-안정화 나노입자 제형(ABRAXANE®), 아파티닙 디말레에이트(GILOTRIF®), 페메트렉스드 디나트륨(ALIMTA®), 베바시주맙(AVASTIN®), 카르보플라틴(PARAPLATIN®), 시스플라틴 (PLATINOL®, PLATINOL-AQ®), 크리조티닙(XALKORI®), 엘로티닙 하이드로클로라이드(TARCEVA®), 제피티닙(IRESSA®) 및 젬시타빈 하이드로클로라이드(GEMZAR®)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췌장암의 치료의 경우, 다른 치료제는 플루오로우라실(ADRUCIL®, EFUDEX®, FLUOROPLEX®), 엘로티닙 하이드로클로라이드(TARCEVA®), 젬시타빈 하이드로클로라이드(GEMZAR®) 및 미토마이신 또는 미토마이신 C(MITOZYTREXTM, MUTAMYCIN®)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자궁경부암의 치료의 경우, 다른 치료제는 블레오마이신(BLENOXANE®), 시스플라틴(PLATINOL®, PLATINOL-AQ®) 및 토포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CAMTIN®)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두경부암의 치료의 경우, 다른 치료제는 메토트렉세이트, 메토트렉세이트 LPF(예를 들어, FOLEX®, FOLEX PFS® Abitrexate®, MEXATE®, MEXATE-AQ®), 플루로우레실(ADRUCIL®, EFUDEX®, FLUOROPLEX®), 블레오마이신(BLENOXANE®), 세툭시맙(ERBITUX®), 시스플라틴(PLATINOL®, PLATINOL-AQ®) 및 도세탁셀(TAXOTERE®)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만성 골수단백구 백혈병(CMML)를 포함하는 백혈병의 치료의 경우, 다른 치료제는 보수티닙(BOSULIF®),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TOXAN®, NEOSAR®), 사이타라빈(CYTOSAR-U®, TARABINE PFS®), 다사티닙(SPRYCEL®), 이마티닙 메실레이트(GLEEVEC®), 포나티닙(ICLUSIG®), 닐로티닙(TASIGNA®) 및 오마세탁신 메페숙시네이트(SYNRIBO®)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 대상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 또는 이의 하위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암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조합 치료에서, 조성물은 별도의 조성물로서나 조합 치료제로서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다른 치료제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제조업체에 의해 제조되고/되거나 제형화될 수 있다. 코드 번호, 일반 또는 상표 명칭으로 확인되는 치료제의 구조는 표준 개요서 “머크 인덱스”의 실전판(actual edition) 또는 데이터베이스, 예를 들어 국제 특허(예를 들어, IMS 세계 간행물)로부터 습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치료제는 당업계,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 및 투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약학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또는 조합은 약 50 내지 70 kg의 대상에 대해 약 0.5 내지 1000 mg의 유효 성분(들) 또는 약 1 내지 500 mg 또는 약 1 내지 250 mg 또는 약 1 내지 150 mg 또는 약 0.5 내지 100 mg 또는 약 1 내지 50 mg의 유효 성분의 단위 투여량일 수 있다. 화합물, 이의 약학 조성물 또는 조합의 치료적 유효 투여량은 대상의 종, 체중, 나이 및 개인의 상태, 치료되고 있는 장애나 질병 또는 이의 중증도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 기술의 의사, 임상의 또는 수의사는 질병 또는 병태의 진행을 예방, 치료 또는 억제하는 데 필요한 각각의 활성 성분의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투여량 특성은 유리하게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개, 원숭이 또는 단리된 기관, 조직 및 이의 제조를 사용하여 생체 외 및 생체 내 시험으로 입증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체 외에서 용액, 예를 들어 수용액 형태 및 생체 내에서 예를 들어 현탁액 또는 수용액으로서 경구적으로, 비경구적으로, 유리하게는 정맥내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암제와 조합하여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과 같은 세포 증식성 질병을 겪는 인간 또는 동물 대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조합 치료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다른 항암제(들)은 특정 시간 제한 없이 일제히,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이러한 투여는 환자의 신체에서 두 개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 수준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다른 치료제는, (i) 조합 생성물을 의사에게 지급하기 전에(예를 들어, 키트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다른 치료제를 포함하는 경우); (ii) 투여 직전에 의사 자신에 의해(또는 의사의 지도 하에); (iii)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다른 치료제의 순차적 투여 동안 환자 자신에 의해, 함께 조합 치료로 취해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다른 항암제(들)은 일반적으로 주입 또는 경구로 임의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투여된다. 투여 요법은 질병의 단계, 환자의 체력, 개별 약물의 안전성 프로파일 및 개별 약물의 내약성뿐만 아니라 상기 조합을 투여하는 주치의 의사 및 약사(들)에 잘 알려진 기타 기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다른 항암제(들)은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특정 주기에 따라 서로 간에 수분, 수시간, 수일 또는 심지어 수주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이 주기는 하나의 약물을 치료 주기 동안 다른 약물보다 더 자주 투여하며, 약물을 투여할 때마다 상이한 투여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암제, 항알러지제, 구토방지제(또는 최토방지제), 진통제, 세포보호제 및 이의 조합과 조합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환자는 투여 도중 또는 후에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다른 항암제(들)에 알러지 반응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항알러지제가 알러지 반응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항알러지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덱사메타손(예를 들어, DECADRON®), 베클로메타손(예를 들어, BECLOVENT®), 하이드로코르티손(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 나트륨 숙시네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나트륨 포스페이트로도 알려짐; 예를 들어, ALA-CORT®, 하이드로코르티손 포스페이트, Solu-CORTEF®, HYDROCORT Acetate®및 LANACORT®), 프레드니솔론(예를 들어, DELTA-Cortel®, ORAPRED®, PEDIAPRED® 및 PRELONE®), 프레디니손(예를 들어, DELTASONE®, LIQUID RED®, METICORTEN® 및 ORASONE®), 메틸프레드니솔론(6-메틸프레디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 메틸프레드니솔론 나트륨 숙시네이트로도 알려짐; 예를 들어, DURALONE®, MEDRALONE®, MEDROL®, M-PREDNISOL® 및 SOLU-MEDROL®); 항히스타민제, 예를 들어 디페하이드라민(예를 들어, BENADRYL®), 하이드록시진 및 사이프로헵타딘; 및 기관지확장제, 예를 들어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알부테롤(예를 들어, PROVENTIL®) 및 터부탈린(BRETHINE®)을 포함한다.
다른 예시에서, 환자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다른 항암제(들)의 투여 도중 또는 후에 매스꺼움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최토방지제가 매스꺼움(상부 위) 및 구역질을 방지하는 데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최토방지제는 아프레피탄트(EMEND®), 온단세트론(ZOFRAN®), 그라니세트론 HCl(KYTRIL®), 로라제팜(ATIVAN®. 엑사메타손(DECADRON®), 프로클로르페라진 (COMPAZINE®), 카소피탄트(REZONIC® 및 Zunrisa®)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 환자는 치료 기간 동안 경험하는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약물이 환자를 보다 편안하게 하기 위해 처방된다. TYLENOL®과 같은 일반적인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진통제가 보통 사용된다. 아편유사제 진통제 약물, 예를 들어 하이드로코돈/파라세타몰 또는 하이드로코돈/아세트아미노펜(예를 들어, VICODIN®), 모르핀(예를 들어, ASTRAMORPH® 또는 AVINZA®), 옥시코돈(예를 들어, OXYCONTIN® 또는 PERCOCET®), 옥시모르폰 하이드로클로라이드(OPANA®) 및 펜타닐(예를 들어, DURAGESIC®)이 또한 심하지 않거나 극심한 통증에 유용하다.
또한, 세포보호제(예를 들어, 신경보호약물, 자유-라디칼 소거제(free-radical scavenger), 심장보호제(cardioprotector), 안트라사이클린 혈관외유출 중화제, 영양제 등)가 치료 독성으로부터 정상 세포를 보호하며 조직 독성을 제한하기 위한 부가 치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세포보호제는 아미포스틴(ETHYOL®), 글루타민, 디메스나(TAVOCEPT®), 메스나(MESNEX®), 덱스라족산(ZINECARD® 또는 TOTECT®), 잘리프로덴(XAPRILA®) 및 류코보린(칼슘 류코보린, 시트로보룸 인자 및 폴린산으로도 알려짐)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알려진 치료 과정, 예를 들어 호르몬 투여 또는 방사선 치료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방사선 치료에 낮은 민감성을 나타내는 종양의 치료를 위한 방사선민감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기타 치료제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대표적 키트는 (a) 화학식 (I) 또는 이의 하위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b) 예를 들어 상기 명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타 치료제를 포함하고, 이러한 키트는 투여를 위한 지시사항을 포함하는 패키지 삽입물 또는 다른 표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상이한 투여 형태, 예를 들어 경구 및 비경구 투여하거나; 상이한 투여 간격으로 두 개 이상의 별개의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거나; 별개의 조성물을 서로에 대해 정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약학 조성물은 화학식 (I) 또는 이의 하위 화학식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실시예
온도는 섭씨 온도로 제공한다. 최종 생성물, 중간체 및 출발 물질의 구조는 표준 분석 방법, 예를 들어 미량분석 및 분광학적 특성, 예를 들어 MS, IR, NMR에 의해 확인한다. 사용되는 약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것들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데 이용된 모든 출발 물질, 구성 요소, 시약, 산, 염기, 탈수제, 용매 및 촉매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거나 당업자에게 알려진 유기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Houben-Weyl 4th Ed. 1952, Methods of Organic Synthesis, Thieme, Volume 21).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출발 물질은 일반적으로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입수 가능한다.
본원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분명히 하며, 달리 청구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유기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통상적인 보호기를 표준 관례에 따라 반응성 작용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고, 예를 들어 T.W. Greene 및 P.G.M. Wuts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John Wiley 및 Sons, 1991를 참조한다.
약어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약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한 차례에 대해 “1x”, 두 차례에 대해 “2x”, 세 차례에 대해 “3x”, 섭씨 온도에 대해 “℃”, 수성에 대해 “aq”,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에 대해 “FCC”, 당량 또는 당량들에 대해 “eq”, 그램 또는 그램들에 대해 "g", 밀리그램 또는 밀리그램들에 대해 “mg”, 리터 또는 리터들에 대해 “L”, 밀리리터 또는 밀리리터들에 대해 “mL”, 마이크로리터 또는 마이크로리터들에 대해 “μL”, 노말에 대해 “N”, 몰농도에 대해 “M”, 나노몰농도에 대해 “nM”, 몰 또는 몰들에 대해 “mol”, 밀리몰 또는 밀리몰들에 대해 “mmol”, 분 또는 분들에 대해 “min”, 시간 또는 시간들에 대해 “h” 또는 “hrs”, 실온에 대해 “RT”, 밤새에 대해 “ON”, 대기압에 대해 “atm”, 파운드/제곱 인치에 대해 “psi”, 농축물에 대해 “conc.”, 포화된에 대해 “sat” 도는 “sat'd”, 분자량에 대해 “MW”, 마이크로파에 대해 “mw” 또는 “μ파”, 용융점에 대해 “mp”, 중량에 대해 “Wt”, 질량 분광계 대해 “MS” 또는 “Mass Spec”, 전자분무 이온화 질량 분광법에 대해 “ESI”, 고해상도에 대해 “HR”, 고해상도 질량 분과계에 대해 "HR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계에 대해 "LCMS" 또는 "LC-MS",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해 “HPLC”, 역상 HPLC에 대해 “RP HPLC”, 박막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해 “TLC” 또는 “tlc”, 핵자기공명 분광법에 대해 “NMR”, 핵 오버하우저 효과 분광법(nuclear Overhauser effect spectroscopy)에 대해 “nOe”, 양성자에 대해 “1H”, 델타에 대해 “δ”, 단일항에 대해 “s”, 이중항에 대해 “d”, 삼중항에 대해 “t”, 사중항에 대해 “q”, 다중항에 대해 “m”, 광폭에 대해 “br”, 헤르츠에 대해 “Hz”,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율에 대해 “ee” 및 “α”, “β”, “R”, “r”, “S”, “s”, “E” 및 “Z”는 당업자에게 익숙한 입체화학 명칭이다.
하기 본원에 사용된 다음 약어는 해당 의미를 갖는다:
Δ 가열
AIBN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cOH 아세트산
Bn 벤질
Boc tert-부틸옥시카보닐
Boc2O di-tert 부틸 디카보네이트
B(OMe)3 트리메틸 보레이트
BSA 소혈청 알부민
Cbz 벤질옥시카보닐
CbzCl 벤질 클로로포메이트
CDCl3 클로로포름-d
CD3OD 메탄올-d4
dd 이중항의 이중항
DAST 디에틸아미노설퍼 트리플루오라이드
DCM 디클로로메탄
DEAD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
DIAD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복실레이트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EM 둘베코의 개량된 이글 배지(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DMP 데스-마틴 퍼아이오디난(Dess-Martin periodinane)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DPPA 디페닐포스포릴 아자이드
EA 에틸 알코올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OH 에탄올
FBS 소태아혈청
HATU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아자벤조트리아졸 테트라메틸 유로늄
KHMDS 칼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LiHMDS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MeOH 메탄올
MgSO4 마그네슘 설페이트
MHz 메가헤르츠
min 분
m/z 전하에 대한 질량 비
NaHCO3 탄산수소나트륨
Na2SO4 황산나트륨
NBS N-브로모숙신이미드
NH4Cl 염화암모늄
PBu3 트리부틸포스핀
Pd(dppf)Cl2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PE 석유 에테르
PhI(OAc)2 (디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ppm 백만당 부
rac 라세미
SFC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
TBAF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EA 트리에틸아민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MSI 트리메틸실릴 아이오다이드
UV 자외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는 Agilent 1260 HPLC 시스템(Santa Clara, C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석 컬럼은 역상 Phenomenex Kinetex C18-2.6 μm, 4.6 x 50 mm였다. 5% 메탄올/95% 물로 시작하며 10분의 주기에 걸쳐 95% 메탄올/5% 물로 이동하는 구배 용출(유량 2.0 mL/분)을 사용하였다. 모든 용매는 0.1%의 포름산(FA)을 함유하였다. 화합물은 214, 254 및 300 nm에서의 자외선(UV) 흡수에 의해 검출하였다. HPLC 용매는 Sigma Aldrich(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에서 구매하였다.
질량 분광계 분석은 Agilent System(Agilent 1260 HPLC 및 an Agilent 6130 질량 분광계 검출기; 컬럼: Phenomenex Kinetex 2.6 um C18, 컬럼 크기 4.6 x 50 mm; 컬럼 온도 40℃; 구배: 2분 주기에 걸친 0.1% FA를 갖는 수 중 5 95% 메탄올; 유량 2.0 mL/분(또는 2.0분에 걸친 극성 구배 5 내지 50% 또는 2.0분에 걸친 비(非)-극성 구배 50 내지 95%); 질량 분광계 분자량 스캔 범위 100 1000; 또는 100 내지 1500; 모세관 전압(capillary voltage) 4000 V. 모든 질량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양성화된 모체 이온의 것들로서 보고하였다.
핵자기공명(NMR) 분석은 Bruker 400 MHz NMR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스펙트럼 기준은 TMS 또는 용매의 알려진 화학 시프트였다.
실시예의 정제에 사용된 카이랄 제조용 HPLC(chiral preparative HPLC) 방법
SFC 카이랄 스크린닝은 Thar 기기 조사 시스템 상에서 수행하였다. Thar 조사 시스템은 하기로 구성된다:
· ALIAS 오토샘플러(autosampler)
· Thar 유체 전달 모듈(0 내지 10 mL/분)
· Thar SFC 10 위치 컬럼 오븐
· 물 2998 PDA
· Thar 자동화 배압 조절기
모든 Thar 구성은 SuperPure Discovery Series 라인의 일부이다. 시스템은 3.0 mL/분에서 흐르고, 38℃에서 유지하였다. 시스템 배압은 100 bar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샘플을 10개의 일련의 5 μm 컬럼을 통해 스크리닝하였다:
· 5μm 4.6x150mm ChiralPak AD
· 5μm 4.6x150mm ChiralCel OD
· 5μm 4.6x150mm ChiralCel OJ
· 5μm 4.6x150mm ChiralPak AS
· 5μm 4.6x250mm ChiralPak AY
· 5μm 4.6x250mm ChiralCel OZ
· 5μm 4.6x150mm ChiralPak IC
· 5μm 4.6x150mm ChiralPak IG
· 5μm 4.6x250mm Regis Whelk-O1
· 5μm 4.6x250mm ChromegaChiral CC4
시스템을 5% 공용매(co-solvent)에서 50% 공용매로의 구배로 9분 내에 실행한 후 10분 동안 50% 공용매에서 유지하고, 스위치를 5% 공용매로 돌리고, 0.5분 동안 초기 조건에서 유지하였다. 각각의 구배 사이에서는 5% 공용매가 스크린될 다음 컬럼을 통해 흐르도록 하는 4분 평형 방법이 존재하였다. 스크리닝되는 전형적인 용매는 MeOH, EtOH, IPA, MeOH+0.5%NH3, EtOH+0.5%NH3, IPA+0.1%NH3이었다. 구배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분리가 검출하면, 등용매 방법을 전개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Thar Prep 80 시스템 상에서의 분리를 위해 스케일 업(scale up)할 수 있다.
중간체
중간체 A: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09
1,4-디옥산(1. Pd(dppf)Cl2 1 L) 중 화합물 메틸 2-브로모-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110 g, 470.04 mmol, 1.0 당량)와 (3,4-디플루오로페닐)보론산(111.34 g, 705.06 mmol, 1.5 당량)과 Pd(dppf)Cl2(8.60 g, 11.75 mmol, 0.025 당량)와 탄산칼륨(129.92 g, 940.08 mmol, 2.0 당량)의 혼합물을 N2 하에서 100℃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H2O(500 mL) 및 EtOAc(1.3 L)로 희석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브라인(brine)(50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5% 내지 50% EtOAc) 및 균질화(trituration)(PE:EA=50/1, 100 mL)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8.56 (d, J=2.0 Hz, 1H), 8.05 (d, J=5.6 Hz, 1H), 7.79 (ddd, J=2.4, 8.4, 10.8 Hz, 1H), 7.64 (td, J=2.8, 8.8 Hz, 1H), 7.26 - 7.11 (m, 1H), 3.94 (s, 3H).
중간체 B
Figure pct00010
THF(500 mL) 중 화합물 9H-퓨린-6-아민(15 g, 111 mmol)의 용액에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Boc2O)(96.91g, 444 mmol) 및 DMAP(1.36g, 11.1 mmol)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HF를 진공 내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400 mL)와 HCl 용액(H2O 중 1.0 M)(200 mL) 사이에서 분획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tert-부틸-6-(비스(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9H-퓨린-9-카복실레이트(중간체 B-1)를 제공하였다.
MeOH(500 mL) 중 tert-부틸 6-(비스(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9H-퓨린-9-카복실레이트(중간체 B-1)(48g, 110 mmol)의 용액에 포화된 NaHCO3 용액(250 mL)을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MeOH를 진공 내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DCM(1:10)(300 mL* 일곱 차례)의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H2O(150 mL)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tOAc:PE(1:10)(100 mL)의 용액으로 세정하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진공 내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B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8.70 (s, 1H), 8.48 (s, 1H), 1.36 (s, 18 H). LC-MS: [M+H)]+ = 336.2.
중간체 C: 메틸 5-플루오로-2-(3-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11
메틸 5-플루오로-2-(3-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C)를 중간체 A의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A. 1H- NMR (400 MHz, CDCl3) δ8.66 (s, 1 H), 8.18(d, J = 6.4 Hz, 1H), 7.76-7.72 (m, 2H), 7.48-7.42 (m, 1H), 7.15-7.11 (m, 1H), 4.01 (s, 3H).
중간체 D: 메틸 5-플루오로-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12
디옥산(10 mL) 중 메틸 2-브로모-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1.0 g, 4.27 mmol)와 (3-플루오로-4-메톡시페닐)보론산(1.089 g, 6.41 mmol)과 Cs2CO3(2.78 g, 8.55 mmol)과 PdCl2(dppf).CH2Cl2 부가체(0.349 g, 0.427 mmol)의 현탁액을 Ar 하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nFlash(PE/EA, 50분 동안 EA: 20 내지 40%)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플루오로-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D)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8.79 (t ,1H), 8.24 (t ,1H), 7.95- 7.87 (m ,2H), 7.27 (t ,3H), 3.92 (d ,6H). LC-MS: [M+H]+ = 279.9.
중간체 F-2: 2-(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
Figure pct00013
DCM(30 mL) 중 2-브로모-5-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8 g, 39.4 mmol) 용액에 0℃에서 DAST(10.41 mL, 79 mmol)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N2 하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nflash(용출 구배: 30분 내에 n-헥산 중 0% 내지 1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브로모-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벤젠(중간체 F-1)을 제공하였다. LC-MS: [M+H]+ = 225.0, 227.0.
디옥산(30 mL) 중 1-브로모-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벤젠(중간체 F-1)(2.2 g, 9.78 mmol)과 4,4,4',4',5,5,5',5'-옥타메틸-2,2'-바이(1,3,2-디옥사보로란)(2.98 g, 11.73 mmol)과 KOAc(1.919g, 19.56 mmol)와 PdCl2(dppf).CH2Cl2(0.798 g, 0.978 mmol) 부가체의 현탁액을 N2 분위기 하 1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nFlash(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1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중간체 F-2)을 무색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M+H]+ = 272.3.
중간체 L-2: 2-(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
Figure pct00014
1-브로모-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벤젠(중간체 L-1) 및 2-(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중간체 L-2)을 각각 중간체 F-1 및 F-2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중간체 L-1: 1H NMR (CDCl3, 400MHz): δ7.54-7.45 (m, 2H), 6.97-6.70 (t, J1= 54.8 Hz, J2= 109.6 Hz, 1H).
중간체 L-2: 1H NMR (CDCl3, 400MHz): δ7.75-7.66 (m, 1H), 7.57-7.50 (m, 1H), 7.47-7.14 (m, 1H), 1.36 (s, 12H).
중간체 O-1: 6-브로모-2-클로로-3-플루오로피리딘
Figure pct00015
무수 THF(30 mL) 중 6-브로모-2-클로로-3-플루오로피리딘(3.0 g, 0.014 mol, 1.0 당량)과 i-Pr 3O3B(4.0 g, 0.021 mol, 1.5 당량)의 용액에 -78℃에서 n-BuLi(9 mL, 0.021 mol, 2.5M 용액, 1.5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또 다른 1시간 동안 20℃로 가온하였다. 반응을 포화된 NH4Cl(50 mL)로 켄치(quench)하고, 농축물 HCl, 최고PH=4로 산성화하고,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5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6-브로모-2-클로로-3-플루오로피리딘(중간체 O-1)을 제공하였다. LC-MS: [M+H] + =176.0 .
중간체 E 내지 O를 메틸 2-브로모-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와 상응하는 보론산 또는 에스테르의 반응으로부터, 중간체 2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중간체 1-1: 5-플루오로-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이소니코틴알데히드
Figure pct00018
디옥산(50 mL) 중 2-브로모-5-플루오로이소니코틴알데히드(8 g, 27.5 mmol), (3-플루오로-4-메톡시페닐)보론산(4.67 g, 27.5 mmol)과 PdCl2(dppf).CH2Cl2 부가체(1.121 g, 1.373 mmol)와 탄산세슘(13.42 g, 41.2 mmol)의 현탁액을 질소 분위기 하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흑색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DCM(60 mL) 중에 재용해시키고,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과 헥산 중 EtOAc, EtOAc/DCM/헥산=8/20/100)에 의해 정제하여 5-플루오로-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이소니코틴알데히드(중간체 1-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10.51 (d, J = 2.1 Hz, 1H), 8.77 (d, J = 1.9 Hz, 1H), 8.07 (dd, J = 5.3, 2.1 Hz, 1H), 7.85 (dd, J = 12.5, 2.4 Hz, 1H), 7.78 (d, J = 8.6 Hz, 1H), 7.11 (td, J = 8.6, 2.2 Hz, 1H), 4.01 (d, J = 2.2 Hz, 3H). LC-MS: [M+H]+ = 249.9.
중간체 22-7: tert-부틸 (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19
THF(1.4 L) 중 1-(tert-부틸) 3-에틸 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70.0 g, 27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70℃에서 LiHMDS(435 mL, 435 mmol, 1.6 당량, THF 중 1M)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후, ((클로로메톡시)메틸)벤젠(56.0 g, 354 mmol, 1.3 당량)을 -78℃에서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15 내지 20℃로 가온되도록 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800 mL)로 켄치하고, EtOAc(8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1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틸) 3-에틸 3-((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2-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20-7.40 (5H, m), 4.50 (2H, q, J = 12.8 Hz), 4.10-4.20 (2H, m), 3.65-3.85 (2H, m), 3.45-3.60 (2H, m), 3.30-3.45 (2H, m), 1.90-2.10 (1H, m), 1.65-1.75 (1H, m), 1.50-1.60 (2H, m), 1.45 (9H, s), 1.20-1.30 (3H, m). LC-MS: [M+H-100]+ = 278.1.
디옥산/2N HCl(1L, 부피/부피 = 1/1) 중 1-(tert-부틸) 3-에틸 3-((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2-1)(50.0 g, 132 mmol, 1.0 당량)와 Pd/C(5.00 g, 10% 습윤)의 혼합물을 H2 풍선 하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의 pH를 수성 NaHCO3으로 8 내지 9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THF(500 mL) 및 CbzCl(45.0 g, 265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5 내지 1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5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에틸 3-(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2-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30-7.40 (5H, m), 5.05-5.20 (2H, s), 4.05-4.20 (2H, m), 2.60-4.05 (7H, m), 1.55-1.95 (4H, m), 1.15-1.30 (3H, m).
DCM(300 mL) 중 1-벤질 3-에틸 3-(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2-2)(31.0 g, 96.5 mmol, 1.0 당량)와 Py(15.3 g, 193 mmol, 2.0 당량)의 용액에 N2 하 -70℃에서 Tf2O(57.0 g, 193 mmol, 2.0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0 내지 15℃로 가온되도록 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500 mL)로 켄치하고, DCM(500 mLx2)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500 mLx3)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1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에틸 3-((((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2-3)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30-7.45 (5H, m), 5.05-5.25 (2H, s), 4.45-4.75 (2H, m), 4.05-4.25 (2H, m), 3.60-3.85 (2H, m), 3.20-3.40 (3H, m), 1.95-2.10 (1H, m), 1.75-1.90 (1H, m), 1.60-1.75 (2H, m), 1.15-1.30 (3H, m).
THF(100 mL) 중 화합물 사이클로프로판올(3.20 g, 55.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NaH(광유 중 60%, 2.70 g, 66.1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10 내지 15℃에서 30분 동안 교반 후 THF(100 mL) 중 1-벤질 3-에틸 3-((((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2-3)(27.0 g, 60.0 mmol, 1.1 당량)의 용액을 0℃에서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10 내지 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500 mL)로 켄치하고, EtOAc(500 mLx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500 mLx3)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20% EtOAc)에 의해 1-벤질 3-에틸 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 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2-4)로 정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25-7.45 (5H, m), 5.05-5.25 (2H, s), 4.05-4.20 (2H, m), 3.86 (1H, d, J = 13.2 Hz), 3.30-3.60 (5H, m), 3.10-3.25 (1H, m), 1.90-2.05 (1H, m), 1.50-1.70 (3H, m), 1.95 (3H, t, J = 6.8 Hz), 0.30-0.55 (4H, m).
MeOH/THF/H2O(120 mL, 부피/부피/부피 = 1/1/1) 중 1-벤질 3-에틸 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2-4)(10.0 g, 27.6 mmol, 1.0 당량)와 LiOH.H2O(11.6 g, 276 mmol, 10.0 당량)의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THF 및 MeOH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300 mL)로 희석하고, EtOAc(200 mL)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의 pH를 1N HCl에 의해 5로 조절한 후 수성층을 EtOAc(3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1-((벤질옥시)카보닐)-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3-카복실산(22-5)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25-7.45 (5H, m), 5.14 (2H, s), 3.79 (1H, d, J = 13.6 Hz), 3.15-3.65 (6H, m), 1.90-2.00 (1H, m), 1.50-1.80 (3H, m), 0.30-0.60 (4H, m).
톨루엔(100 mL) 중 1-((벤질옥시)카보닐)-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3-카복실산(22-5)(6.00 g, 18 mmol, 1.0 당량)과 DPPA(5.50 g, 19.8 mmol, 1.1 당량)와 Et3N(3.60 g, 36 mmol, 2.0 당량)의 용액을 N2 하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THF(100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KOH(3.03 g, 54 mmol, 3.0 당량) 및 물(1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 내지 2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Boc2O(5.90 g, 27 mmol, 1.5 당량) 및 K2CO3(10.0 g, 72 mmol, 4.0 당량)을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15 내지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2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1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2-6)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25-7.45 (5H, m), 5.05-5.25 (2H, m), 4.40-4.80 (1H, brs), 3.50-4.05 (4H, m), 3.00-3.35 (3H, m), 2.15-2.55 (1H, m), 1.60-1.75 (1H,m), 1.35-1.55 (11H, m), 0.30-0.60 (4H, m).
MeOH(10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2-6)(4.90 g, 12.1 mmol)와 Pd/C(500 mg, 10% 습윤)의 혼합물을 H2 풍선 하 15 내지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Pd/C를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tert-부틸 (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22-7)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82 (1H, brs), 3.80 (1H, d, J = 10.0 Hz), 3.53 (1H, d, J = 9.6 Hz), 3.20-3.30 (1H, m), 3.01 (1H, d, J = 12.4 Hz), 2.85-2.95 (1H, m), 2.55-2.65 (2H, m), 2.05-2.20 (1H, brs), 1.30-1.70 (13H, m), 0.35-0.60 (4H, m).
중간체 47-6: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20
THF(70 mL) 중 1-벤질 3-메틸 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5g, 18.03 mmol)의 용액에 -78℃에서 30분 내에 THF 중 1M LHMDS(19.83 mL, 19.83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또 다른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1,1-디플루오로-2-아이오도에탄(6.92 g, 36.1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또 다른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온도를 실온으로 천천히 증가되도록 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을 물(10 mL)의 첨가에 의해 켄치하였다. 대부분의 THF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2)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40분 내에 헥산 중 5% 내지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47-1)를 제공하였다. LC-MS: [M+H]+ = 341.9.
메탄올(50 mL) 중 1-벤질 3-메틸 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47-1)(6 g, 17.58 mmol)의 용액에 수(30 mL) 중 수산화리튬(4.21 g, 176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20 mL)로 희석한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 mL)로 세정하고, 수성층을 HCl로 PH=3으로 산성화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DCM(20 mL*3)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1-((벤질옥시)카보닐)-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카복실산(47-2)을 제공하였다. LC-MS: [M+H]+ = 328.1.
톨루엔(70 mL) 중 1-((벤질옥시)카보닐)-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카복실산(47-2)(5 g, 15.28 mmol)의 용액에 TEA(4.26 mL, 30.6 mmol) 및 DPPA(3.70 mL, 16.8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60 mL)로 희석하고, 물(20 mL), 브라인(60 mL)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벤질 3-(2,2-디플루오로에틸)-3-이소시아나토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7-3)를 제공하였다. LC-MS: [M+H]+ = 325.1.
1,4-디옥산(25 mL) 중 벤질 3-(2,2-디플루오로에틸)-3-이소시아나토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7-3)(5.7 g, 12.30 mmol)의 용액에 6M HCl(25 mL, 15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20 ml의 물로 희석하였다. 이어서,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5 mL)로 세정하였다. 수성상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염기성화하여 pH 값을 9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DCM(30 mL*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벤질 3-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7-4)를 제공하였다. LC-MS: [M+H]+ = 299.2.
DCM(50 mL) 중 벤질 3-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47-4)(4 g, 13.41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Boc-무수물(4.67 mL, 20.11 mmol) 및 DIPEA(7.03 mL, 40.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DCM(30 mL)으로 희석하고,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헥산 중 5% 내지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7-5)를 제공하였다. LC-MS: [M+H]+ = 399.0.
메탄올(5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7-5)(4 g, 10.04 mmol)의 용액에 습윤, 탄소 상 10% Pd(OH)2(1.410 g, 0.502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풍선 하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47-6)를 제공하였다. LC-MS: [M+H]+ = 265.0.
중간체 78-5: 메틸 tert-부틸 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21
H2O(8 mL) 중 (NH4)2CO3(2.13 g, 22 mmol)의 용액에 EtOH(8 mL) 중 1-벤질피페리딘-3-온(500 mg, 2 mmol)의 또 다른 용액을 첨가한다. 이어서, 트리메틸실릴 시아나이드(TMSCN)(0.74 mL, 5.5 mmol)를 실온에서 혼합물에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H를 진공 내에서 제거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EtOAc(20 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H2O(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EtOAc:PE(1:5)로부터 재결정화하여 7-벤질-1,3,7-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78-1)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7.46 - 7.17 (m, 5H), 3.54 (dd, J = 29.8, 13.2 Hz, 2H), 2.90 (d, J = 10.8 Hz, 1H), 2.69 (d, J = 11.2 Hz, 1H), 2.32 (d, J = 11.2 Hz, 1H), 2.08 (t, J = 10.6 Hz, 1H), 1.88 - 1.59 (m, 4H). LC-MS (UV 214): (M+H)+ =260.1
2.0 M KOH 수용액의 10 M의 7-벤질-1,3,7-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78-1)(1 g, 3.86 mmol)의 혼합물을 12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HCl 용액(H2O 중 12.0 M)을 혼합물에 첨가하여 pH=4 내지 5로 조절하였다. H2O를 진공 내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DCM(10%, 30 mL)의 용액으로 세정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3-아미노-1-벤질피페리딘-3-카복실산(78-2)을 제공하였다. LC-MS [M+H]+ =235.3.
3-아미노-1-벤질피페리딘-3-카복실산(78-2)(5.7g, 24.33 mmol), K2CO3(13.45g, 97.31 mmol)과 Boc2O(8.2 mL, 36.49 mmol)와 THF(100 mL)와 H2O(100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실리카 겔, KMnO4, NH3.H2O: MeOH: DCM, 20: 100: 1000)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3-카복실산(78-3)을 제공하였다. LC-MS: [M+H]+ =335.3.
DCM(20 mL) 중 1-벤질-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3-카복실산(78-3)(670 mg, 2.00 mmol)과 HATU(1.5 g, 4.00 mmol)와 DIPEA(778 mg, 6.00 mmol)의 용액에 CH3NH2(MeOH 중 35%, 2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포화된 수성 NaHCO3(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1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1-벤질-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78-4)를 제공하였다. LC-MS: [M+H]+ = 348.3.
EtOH(10 mL) 중 tert-부틸 1-벤질-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78-4)(290 mg, 0.836 mmol)의 용액에 Pd(OH)2(87 mg)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H2 분위기 하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하여 미정제 메틸 tert-부틸 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78-5)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7.87 (s, 1H), 7.29 (s, 1H), 3.62-3.59 (m, 1H), 3.04-2.87 (m, 3H), 2.61-2.60 (m, 3H), 1.83-1.76 (m, 3H), 1.53-1.51 (m, 1H), 1.38 (s, 9 H), 1.27-1.25 (m, 1 H). LC-MS (UV 214): [M+H]+ = 258.4.
중간체 89-6: 메틸 (3-(2,3-디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22
건조 THF(100 mL) 중 tert-부틸 3-시아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0 g, 47.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질소 하 -78℃에서 1M LiHMDS(71.4 mL, 71.4 mmol, 1.5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3-메틸부탄알(6.1 g, 71.4 mmol, 1.5 당량)을 -78℃에서 한 번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200 mL)로 켄치하고, EA(100 mL*2)로 추출하고, 브라인(2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92/8에서 90/10, 70/30로)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시아노-3-(1-하이드록시-3-메틸부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89-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4.57 (d, J = 13.6 Hz, 0.5H), 4.24-3.93 (m, 1.5H), 3.56 (dd, J = 1.6, 10.8 Hz, 0.5H), 3.52-3.42 (m, 0.5H), 3.09-2.56 (m, 2H), 2.22-2.09 (m, 0.5H), 2.01-1.82 (m, 1.5H), 1.78-1.53 (m, 4H), 1.48 (s, 9H), 1.41-1.29 (m, 1H), 0.99 (dd, J = 1.6, 6.8 Hz, 3H), 0.95-0.89 (m, 3H). LC-MS: [M+H]+ = 297.2
CH2Cl2(100 mL) 중 tert-부틸 3-시아노-3-(1-하이드록시-3-메틸부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89-1)(5.5 g, 18.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DMP(11.8 g, 27.8 mmol, 1.5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100 mL)로 희석하고, CH2Cl2(100 m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200 mL)으로 세정하고,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combi-flash(PE/EA = 80/20)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시아노-3-(3-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89-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59-3.90 (m, 2H), 3.22-2.92 (m, 1H), 2.87-2.58 (m, 3H), 2.29-2.03 (m, 2H), 1.98-1.69 (m, 3H), 1.50 (s, 9H), 1.03-0.89 (m, 6H). LC-MS: [M+H]+ = 295.1.
THF(40 mL) 중 tert-부틸 3-시아노-3-(3-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89-2)(3.3 g, 11.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하 -78℃에서 LiHMDS(12.3 mL, 12.3 mmol, 1.1 당량, THF 중 1M)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MeI(1.8 g, 12.3 mmol, 1.1 당량)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또 다른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H2O(40 mL)로 켄치하고, EtOAc(40 m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고, 브라인(100 mL)으로 세정하고,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combi-flash(헥산 중 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시아노-3-(2,3-디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89-3)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4.50-4.02 (m, 2H), 3.23-2.64 (m, 3H), 2.27-1.72 (m, 5H), 1.49 (s, 9H), 1.16-1.06 (m, 3H), 1.01-0.88 (m, 6H). LC-MS: [M+H]+ = 310.2.
MeOH(40 mL) 중 tert-부틸 3-시아노-3-(2,3-디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89-3)(3.3 g, 11 mmol, 1.0 당량)의 혼합물에 NaOH(21 mL, 21 mmol, 1M/L) 및 H2O2(17 ml, 30% 수용액)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된 수성 Na2SO3(100 mL)으로 켄치하고, EtOAc(10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15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 중 15% 내지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카바모일-3-(2,3-디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89-4)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15 (brs, 1H), 5.35 (brs, 1H), 4.78-2.28 (m, 5H), 1.94-1.57 (m, 5H), 1.47 (s, 9H), 1.00 (dd, J = 7.2, 20.0 Hz, 3H), 0.90-0.80 (m, 6H). LC-MS: [M+H]+ = 327.0.
MeOH(30 mL) 중 tert-부틸 3-카바모일-3-(2,3-디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89-4)(1.37 g, 4.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PhI(OAc)2(1.6 g, 5.04 mmol, 1.2 당량) 및 KOH(589 mg, 10.5 mmol, 2.5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또 다른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40 mL)로 희석하고, EtOAc(4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4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 중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2,3-디메틸부타노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89-5)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3OD): δ 4.74-4.42 (m, 1H), 4.14-3.91 (m, 1H), 3.80-3.48 (m, 3H), 3.29-3.12 (m, 1H), 2.96-2.64 (m, 2H), 1.98-1.50 (m, 5H), 1.43 (s, 9H), 1.01-0.85 (m, 9H). LC-MS: [M+H]+ = 357.1.
DCM(10 mL) 중 tert-부틸 3-(2,3-디메틸부타노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89-5)(500 mg, 1.4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실온에서 TFA(1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고, H2O(15 mL)로 희석하고, NHH2O에 의해 pH=11로 염기성화하고, CHCl3/i-PrOH(3:1, 2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3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메틸 (3-(2,3-디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89-6)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3.63 (s, 3H), 3.27-3.20 (m, 1H), 3.07-2.95 (m, 1H), 2.92-2.81 (m, 2H), 2.66-2.55 (m, 1H), 2.10-2.00 (m, 1H), 1.94-1.76 (m, 2H), 1.72-1.57 (m, 1H), 1.54-1.44 (m, 1H), 1.00-0.95 (m, 3H), 0.91-0.74 (m, 6H). LC-MS: [M+H]+ = 257.1.
중간체 113-5: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23
THF(80 mL)와 메탄올(80 mL) 중 1-벤질 3-에틸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5.0 g, 12.30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염화리튬(10.43 g, 246 mmol) 및 나트륨 테트라하이드로보레이트(9.31 g, 24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5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50 mL), 브라인(5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1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13-1)를 제공하였다. LC-MS: [M+H]+ =365.2.
DCM(5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13-1)(6.2 g, 17.01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0℃에서 데스-마틴 퍼아이오디난(14.43 g, 34.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 ml의 포화된 NaHCO3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DCM(40 mL*3)으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50 mL), 브라인(5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1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포르밀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13-2)를 제공하였다. LC-MS: [M+H]+ =362.1.
무수 THF(5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포르밀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13-2)(3 g, 8.28 mmol)와 (디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트리메틸실란(4.38 g, 16.56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78℃에서 15 mL의 무수 THF 중 TBAT(0.447 g, 0.828 mmol)의 용액을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으로 가온하고,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TBAF(10.76 mL, 10.7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또 다른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aCl 용액으로 희석하고, EtOAc(5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40 mL), 브라인(4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40분 내에 헥산 중 1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2-(페닐설포닐)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13-3)를 제공하였다. LC-MS: [M+H]+ =555.2.
DMF(5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2-(페닐설포닐)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13-3)(2.4 g, 4.33 mmol)의 용액에 40 mL의 HOAc/NaOAc(1:1) 완충액(4 mol/L)을 첨가하였다. 마그네슘 터닝(magnesium turning)(1.578 g, 64.9 mmol)을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켄치하고, EtOAc(3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30 mL), 브라인(3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40분 내에 PE 중 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13-4)를 제공하였다. LC-MS: [M+H]+ =415.2.
MeOH(5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13-4)(1.0g, 2.413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Pd(OH)2(0.068 g, 0.48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H2 분위기 하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13-5)를 제공하였다. LC-MS: [M+H]+ =281.
중간체 156-2: 1-(3-아미노-1-(4-(하이드록시메틸)-6-(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Figure pct00024
DMSO(40 mL) 중 메틸 5-플루오로-2-(2,4,5-트리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E)(2.5 g, 8.77 mmol)와 1-(3-아미노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중간체 113-5A)(3.58 g, 8.77 mmol)의 혼합물에 DIPEA(40 ml, 22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EtOAc(50 ml) 및 H2O(50 ml)로 처리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5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n-헥산 중 EtOAc(0 내지 50%)로 용출하는 것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4,5-트리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156-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52 (s, 1H), 8.09 - 7.98 (m, 1H), 7.92 (ddd, J = 11.3, 9.1, 7.2 Hz, 1H), 7.04 (td, J = 10.2, 6.4 Hz, 1H), 5.92 (td, J = 55.2, 3.5 Hz, 1H), 3.98 (s, 3H),3.65 (td, J = 12.9, 3.5 Hz, 1H), 3.36 - 3.21 (m, 2H), 3.11 (d, J = 11.8 Hz, 1H), 2.99 (ddd, J = 12.2, 10.2, 3.2 Hz, 1H), 2.02 (tdd, J = 15.2, 9.7, 4.6 Hz, 1H), 1.88 - 1.65 (m, 3H). LC-MS: [M+H]+ = 446.1.
MeOH(100 ml)와 THF(100 ml) 중 메틸 5-(3-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4,5-트리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156-1)(3.2 g, 7.18 mmol)와 LiCl(6.09 g, 144 mmol)의 혼합물에 0℃에서 NaBH4(5.44 g, 14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대부분의 출발 물질이 소비된 것을 나타냈다. 혼합물을 H2O(50 ml)로 켄치하고, EtOAc(50 ml*4)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고, DCM 중 MeOH(0 내지 10%)로 용출하는 것에 의해 정제하여 1-(3-아미노-1-(4-(하이드록시메틸)-6-(2,4,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중간체 156-2)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47 (s, 1H), 7.89 (ddd, J = 11.2, 9.1, 7.2 Hz, 1H), 7.81 (d, J = 2.0 Hz, 1H), 7.04 (td, J = 10.2, 6.5 Hz, 1H), 5.92 (td, J = 55.2, 3.6 Hz, 1H), 5.12 - 4.62 (m, 2H), 3.68 (td, J = 12.5, 3.6 Hz, 1H), 3.09 (dd, J = 25.6, 10.6 Hz, 3H), 2.97 - 2.89 (m, 1H), 2.09 - 1.72 (m, 4H). LC-MS: [M+H]+ = 418.2, 419.1.
중간체 158-3: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네이트
Figure pct00025
DMSO(15 mL) 중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13-5)(1.828 g, 4.48 mmol)와 메틸 2-(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F)(1.34 g, 4.48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DIPEA(15.64 mL, 9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8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하고, EtOAc(3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20 mL*3),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4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158-1)를 제공하였다. LC-MS: [M+H]+ =460.1.
THF(30 mL)와 MeOH(30 mL) 중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158-1)(1.5g, 3.27 mmol)의 용액에 NaBH4(2.471 g, 65.3 mmol) 및 LiCl(2.77 g, 65.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 ml의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0 내지 10% MeOH DCM)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1-(6-(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58-2)를 제공하였다. LC-MS: [M+H]+ =432.
THF(50 mL) 중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1-(6-(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58-2)(500 mg, 1.159 mmol)와 중간체 B(389 mg, 1.159 mmol)와 PPh3(912 mg, 3.48 mmol)의 용액에 DEAD(0.550 mL, 3.4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ml의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중간체 158-3)를 제공하였다. LC-MS: [M+H]+ =749.
중간체 160-3: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26
DMSO(10 mL) 중 메틸 2-(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G)(2.0 g, 6.73 mmol)와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13-5) (2.263 g, 8.07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서 DIPEA(23.50 mL, 13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n-헥산 중 1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160-1)를 제공하였다. LC-MS: [M+H]+ =558.1.
THF(30 mL)와 메탄올(30 mL) 중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160-1)(1.9 g, 3.41 mmol)의 용액에 0℃에서 LiCl(0.068 g, 3.41 mmol) 및 NaBH4(0.068 g, 3.4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하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40분 내에 n-헥산 중 10% 내지 6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1-(6-(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4-(하이드록시메틸) 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60-2)를 제공하였다. LC-MS: [M+H]+ =530.2.
THF(20 mL) 중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1-(6-(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60-2)(1.2 g, 2.3 mmol)와 중간체 B(0.76 g, 2.3 mmol)와 PPh3(1.783 g, 6.80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0℃에서 DEAD(1.1 mL, 6.8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치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50분 내에 n-헥산 중 1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중간체 160-3)를 제공하였다. LC-MS: [M+H]+ =847.3.
상응하는 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를 1-(3-아미노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중간체 113-5A)(중간체 번호 162-2, 164-2 및 166-2) 또는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13-5)(중간체 번호 168-2, 170-2, 172-2)와 반응시키는 것으로부터, 하기 중간체를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1-(6-(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4-(하이드록시메틸) 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60-2)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중간체 168-3: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클로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29
THF(20 mL) 중 tert-부틸 (1-(6-(2-클로로-4-메톡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68-2)(0.5 g, 0.947 mmol, 1.0 당량)와 중간체 B(0.318 g, 0.947 mmol, 1.1 당량)와 n-PPh3(0.745 g, 2.84 mmol, 3 당량)의 용액에 N2 하 0℃에서 DIAD(0.552mL, 2.84 mmol, 3당량)를 20분에 걸쳐 한 방울씩 첨가하고,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ml의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50분 내에 n-헥산 중 20%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클로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중간체 168-3)를 제공하였다. LC-MS: [M+H]+ =845.4.
중간체 170-4: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30
단계 1. 건조 DCM(5 mL) 중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1-(6-(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70-2)(0.22 g, 0.4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0.146 mL, 2.02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K2CO3 용액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고, 물(10 mL), 브라인(10 mL × 2)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tert-부틸 (1-(4-(클로로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70-3)를 제공하였다. LC-MS: [M+H]+ = 568.1.
단계 2. 건조 DMF(5 mL) 중 tert-부틸 (1-(4-(클로로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70-3)(0.24 g, 0.42 mmol, 1.0 당량)와 중간체 B(0.14 g, 0.42 mmol)와 K2CO3(0.175 g, 1.27 mmol, 3.0 당량)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켄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 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10 mL*3), 브라인(1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50분 내에 m-헥산 중 10%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디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중간체 170-4)를 제공하였다. LC-MS: [M+H]+ = 867.3.
중간체 172-4: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3,4-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31
중간체 170-4에서 기재된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1-(4-(하이드록시메틸)-6-(2,3,4-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72-2)로부터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3,4-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중간체 172-4)를 수득하였다.
중간체 174-3: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4-플루오로-2-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32
THF(10 mL) 중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1-(6-(4-플루오로-2-메톡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74-2)(310 mg, 0.61mmol)와 중간체 B(203mg, 0.61 mmol)와 PPh3(477mg, 1.82 mmol)의 용액에 0℃에서 DEAD(0.288 mL, 1.82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고,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ml의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50분 내에 PE 중 10%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4-플루오로-2-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중간체 174-3)를 제공하였다. LC-MS: [M+H]+ =829.2.
중간체 175-3: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6'-클로로-5'-플루오로-[2,2'-바이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33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6'-클로로-5'-플루오로-[2,2'-바이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중간체 175-3)를 174-3과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수득하였다. LC-MS: [M+H]+ =834.1.
중간체 177-4: 메틸 (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중간체 177-5: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일)이소니코티네이트
중간체 177-6: 메틸 (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중간체 177-7: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34
THF(30 mL) 중 tert-부틸 3-시아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0 g, 14.3 mmol, 1.0 당량)와 2-플루오로-6-메틸피리딘(1.66 g, 14.9 mmol, 1.05 당량)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70℃에서 KHMDS(17 mL, 17 mmol, 1.2 당량, THF 중 1M)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25℃로 가온되도록 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50 mL)로 켄치하고, EtOAc(3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시아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77-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64 (t, J = 7.6 Hz, 1H), 7.48 (d, J = 7.6 Hz, 1H), 7.12 (d, J = 8.0 Hz, 1H), 4.61-4.14 (m, 2H), 3.54-3.21 (m, 1H), 2.94-2.73 (m, 1H), 2.55 (s, 3H), 2.40-2.24 (m, 1H), 2.23-2.12 (m, 1H), 2.06-1.92 (m, 1H), 1.84-1.75 (m, 1H), 1.51 (s, 9H). LC-MS: [M+H]+ =302.0.
MeOH(30 mL) 중 tert-부틸 3-시아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77-1)(2.70 g, 8.9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aOH(10 mL, 1M) 및 H2O2(5 mL, 30%)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된 Na2SO3(100 mL)으로 켄치하고,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MeOH를 제거하였다. 수성물을 EtOAc(10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PE/EtOAc 5/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카바모일-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77-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54 (t, J = 7.6 Hz, 1H), 7.34 (d, J = 7.6 Hz, 1H), 7.03 (d, J = 7.6 Hz, 1H), 5.48 (brs, 1H), 4.67-4.24 (m, 1H), 3.91-3.43 (m, 2H), 3.21-2.95 (m, 1H), 2.72-2.55 (m, 1H), 2.53 (s, 3H), 2.32-2.02 (m, 1H), 1.68-1.54 (m, 2H), 1.48 (s, 9H). LC-MS: [M+H]+ =320.1.
MeOH(30 mL) 중 tert-부틸 3-카바모일-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77-2)(2.40 g, 7.51 mmol, 1.0 당량)와 KOH(1.05 g, 18.8 mmol, 2.5 당량)의 용액에 0℃에서 PhI(OAc)2(2.42 g, 7.51 mmol, 1.0 당량)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PE/EtOAc 10/1 내지 3/1)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메톡시카보닐)아미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77-3)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55 (t, J = 8.0 Hz, 1H), 7.26 (d, J = 8.0 Hz, 1H), 7.01 (d, J = 7.6 Hz, 1H), 4.31-3.98 (m, 2H), 3.62 (s, 3H), 3.14-2.82 (m, 1H), 2.53 (s, 3H), 2.48-2.09 (m, 1H), 1.82-1.67 (m, 2H), 1.66-1.57 (m, 1H), 1.50 (s, 9H). LC-MS: [M+H]+ =350.3.
DCM(10 mL) 중 tert-부틸 3-((메톡시카보닐)아미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77-3)(1.5 g, 4.30 mmol, 1.0 당량)의 혼합물에 HCl/디옥산(10 mL, 4M)을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메틸 (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중간체 177-4)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48-8.39 (m, 1H), 7.92-7.78 (m, 2H), 4.33-4.25 (m, 1H), 4.09-4.01 (m, 1H), 3.68 (s, 3H), 3.50-3.39 (m, 1H), 3.30-3.17 (m, 1H), 2.91 (s, 3H), 2.44-2.31 (m, 1H), 2.30-2.14 (m, 2H), 2.06-1.94 (m, 1H). LC-MS: [M+H]+ =250.0.
DMSO(10 mL) 중 메틸 (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중간체 177-4)(1.22 g, 4.2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DIEA(3.86 g, 29.9 mmol, 7.0 당량) 및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1.14 g, 4.27 mmol, 1.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하고, EtOAc(2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10/1 내지 3/1)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일)이소니코티네이트(177-5)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52 (s, 1H), 7.94 (s, 1H), 7.87-7.78 (m, 1H), 7.71-7.65 (m, 1H), 7.57 (t, J = 7.6 Hz, 1H), 7.35 (d, J = 8.0 Hz, 1H), 7.26 (d, J = 7.6 Hz, 1H), 7.02 (d, J = 7.6 Hz, 1H), 6.75 (brs, 1H), 4.09 (s, 3H), 3.67 (s, 3H), 3.49-3.34 (m, 2H), 3.12-2.95 (m, 2H), 2.86-2.74 (m, 1H), 2.54 (s, 3H), 2.40-2.28 (m, 1H), 2.16-1.98 (m, 1H), 1.86-1.81 (m, 1H). LC-MS: [M+H]+ =497.3.
MeOH/THF(20 mL, 부피/부피 = 1/1) 중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일)이소니코티네이트(177-5)(600 mg, 1.21 mmol, 1.0 당량)와 LiCl(512 mg, 12.1 mmol, 10 당량)의 혼합물에 NaBH4(914 mg, 24.2 mmol, 20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50 mL)로 켄치하고, EtOAc(2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메틸 (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177-6)를 제공하였다. LC-MS: [M+H]+ =469.1.
THF(10 mL) 중 메틸 (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177-6)(500 mg, 1.07 mmol, 1.0 당량)와 중간체 B(537 mg, 1.60 mmol, 1.5 당량)와 Bu3P(324 mg, 1.60 mmol, 1.5 당량)의 용액에 DIAD(324 mg, 1.60 mmol, 1.5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PE/EA 10/1 내지 3:1)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177-7)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96 (s, 1H), 8.53 (s, 1H), 8.25 (s, 1H), 7.70-7.57 (m, 2H), 7.50-7.43 (m, 1H), 7.36 (d, J = 8.0 Hz, 1H), 7.20-7.11 (m, 1H), 7.06 (d, J = 8.4 Hz, 1H), 6.51 (s, 1H), 5.84 (d, J = 15.6 Hz, 1H), 5.45 (d, J = 15.2 Hz, 1H), 3.64-3.56 (m, 1H), 3.55 (s, 3H), 3.53-3.46 (m, 1H), 3.17-3.09 (m, 1H), 3.02-2.94 (m, 1H), 2.66-2.58 (m, 1H), 2.57 (s, 3H), 2.48-2.37 (m, 1H), 2.19-2.05 (m, 1H), 1.94-1.84 (m, 1H), 1.47 (s, 18H). LC-MS: [M+H]+ =786.3.
중간체 269-4: 3-(1-메틸-1H-피라졸-4-일)피페리딘-3-아민
Figure pct00035
DMF(100 mL) 중 4-브로모-1H-피라졸(10.0 g, 6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10℃에서 NaH(5.44 g, 136 mmol, 1.5 당량)를 첨가하였다. 30분 후, MeI(15.0 g, 102 mmol, 2.0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내지 3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200 mL)로 켄치하고, EtOAc(2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4-브로모-1-메틸-1H-피라졸(269-1)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43 (s, 1H), 7.37 (s, 1H), 3.88 (s, 3H).
THF(140 mL) 중 4-브로모-1-메틸-1H-피라졸(269-1)(10.6 g, 66.1 mmol, 1.1 당량)의 용액에 N2 하 -70℃에서 n-BuLi(29.4 mL, 72.1 mmol, 1.2 당량, THF 중 2.5 M)를 첨가하였다. 30분 후, THF(10 mL) 중 벤질 3-옥소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4.0 g, 60.1 mmol, 1.0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200 mL)로 켄치하고, EtOAc(2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70 내지 9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하이드록시-3-(1-메틸-1H-피라졸-4-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69-2)를 제공하였다. LC-MS: [M+H]+ =316.1.
DCM(30 mL) 중 NaN3(1.3 g, 19 mmol, 2.0 당량)의 혼합물에 0℃에서 TFA(6.00 g, 47.6 mmol, 5.0 당량)를 첨가하였다. 10분 후, DCM(10 mL) 중 벤질 3-하이드록시-3-(1-메틸-1H-피라졸-4-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269-2)(3.00 g, 9.52 mmol, 1.0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30 내지 3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NH3.H2O(3 mL)로 켄치하고, 물(20 mL)로 희석하고, DCM(300 mLx3)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시킨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아지도-3-(1-메틸-1H-피라졸-4-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69-3)를 제공하였다. LC-MS: [M+H]+ =341.1.
EtOAc(10 mL) 중 벤질 3-아지도-3-(1-메틸-1H-피라졸-4-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69-3)(1.00 g, 2.9 mmol, 1.0 당량)와 Pd/C(100 mg, 10% 습윤)의 혼합물을 H2 풍선 하 30 내지 3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d/C를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3-(1-메틸-1H-피라졸-4-일)피페리딘-3-아민(중간체 269-4)을 제공하였다.
중간체 269-6: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1-메틸-1-피라졸-4-일)피페리딘-1-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36
메틸 5-(3-아미노-3-(1-메틸-1H-피라졸-4-일)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269-5)를 중간체 177-5 및 상응하는 중간체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6 (s, 1H), 7.88 (s, 1H), 7.75-7.85 (m, 1H), 7.65-7.70 (m, 1H), 7.53 (s, 1H), 7.50 (s, 1H), 7.15-7.25 (m, 1H), 3.97 (s, 3H), 3.89 (s. 3H), 3.10-3.30 (m, 3H), 2.90-3.00 (m, 1H), 2.05-2.15 (m, 1H), 1.65-1.90 (m, 3H).
THF(10 mL) 중 중간체 269-5(500 mg, 1.17 mmol, 1.0 당량)와 Et3N(400 mg, 3.51 mmol, 3.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메틸 카보노클로리데이트(200 mg, 1.75 mmol, 1.5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25 내지 3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50 mL)로 켄치하고, EtOAc(5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6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중간체 269-6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51 (s, 1H), 7.95 (s, 1H), 7.80-7.90 (m, 1H), 7.60-7.70 (m, 1H), 7.40 (s, 1H), 7.35 (s, 1H), 7.15-7.25 (m, 1H), 6.66 (brs, 1H), 4.03 (s. 3H), 3.85 (s, 3H), 3.64 (s, 3H), 3.30-3.40 (m, 2H), 2.85-3.10 (m, 2H), 2.80 (d, J = 12.0 Hz, 1H), 1.95-2.05 (m, 1H), 1.60-1.85 (m, 2H). LC-MS: [M+H]+ =486.3.
중간체 269-8: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1-((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1-메틸-1H-피라졸-4-일)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1H-이미다조[4,5-c]피리딘-4-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37
메틸 (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1-메틸-1H-피라졸-4-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269-7)를 중간체 177-6 및 상응하는 중간체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LC-MS: [M+H]+ =458.2.
중간체 269-8은 중간체 177-6을 중간체 269-7로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177에서의 중간체 177-7의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LC-MS: [M+H]+ =717.4.
중간체 271-7: 3-(피리딘-3-일)피페리딘-3-아민
Figure pct00038
N2 분위기 하 -78℃에서의 THF(250 mL) 중 니코틴알데히드(17.85 g, 166.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3-부테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400 mL, 200 mmol, 0.5M, 1.2 당량)의 용액을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된 염화암모늄 용액(300 mL)으로 켄치하고,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2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A: 30 내지 50%)에 의해 정제하여 1-(피리딘-3-일)펜트-4-엔-1-올(271-1)을 제공하였다. 1HNMR (CDCl3 400MHz): δ 8.55 (d, J = 1.6 Hz, 1H), 8.51 (dd, J = 1.6 Hz and 4.8 Hz, 1H), 7.71 (dt, J = 8.0 Hz and 2.0 Hz, 1H), 7.29 (dd, J = 4.8 Hz and 8.0 Hz, 1H), 5.90-5.79 (m, 1H), 5.06 (dd, J = 1.6 Hz and 17.2 Hz, 1H), 5.02 (dd, J = 1.2 Hz and 10.4 Hz, 1H), 4.77 (dd, J = 5.6 Hz and 8.0 Hz), 2.34 (brs, 1H), 2.24-2.10 (m, 2H), 1.98-1.88 (m, 1H), 1.86-1.77 (m, 1H).
CH2Cl2(200 mL) 중 1-(피리딘-3-일)펜트-4-엔-1-올(271-1)(10 g, 61.27 mmol, 1 당량)의 용액에 16 내지 24℃에서 데스-마틴 퍼아이오디난(38.98 g, 91.9 mmol, 1.5 당량)을 나누어서 첨가하고, 현탁액을 16 내지 24℃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용액(300 mL) 내로 붓고, 속도를 느리게 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수성층을 CH2Cl2(10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A: 20 내지 30%)에 의해 정제하여 1-(피리딘-3-일)펜트-4-엔-1-온(271-2)을 제공하였다. 1HNMR (CDCl3 400MHz): δ 9.18 (d, J = 1.6 Hz, 1H), 8.78 (dd, J = 1.6 Hz and 4.8 Hz, 1H), 8.23 (dt, J = 8.0 Hz and 2.0 Hz, 1H), 7.43 (dd, J = 4.8 Hz and 8.0 Hz, 1H), 5.94-5.84 (m, 1H), 5.12-5.06 (m, 1H), 5.05-5.01 (m, 1H), 2.10 (t, J = 7.2 Hz, 2H), 2.55-2.48 (m, 2H).
무수 THF(120 ml) 중 1-(피리딘-3-일)펜트-4-엔-1-온(271-2)(8.64 g, 53.6 mmol, 1 당량)과 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12.99 g, 107.2 mmol, 2.0 당량)의 혼합물에 티타늄 에톡사이드(30.57 g, 134.0 mmol, 2.5 당량)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브라인(300 ml) 내로 붓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0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2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A: 20 내지 30%)에 의해 정제하여 (E)-2-메틸-N-(1-(피리딘-3-일)펜트-4-엔-1-일리덴)프로판-2-설핀아미드(271-3)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9.05 (s, 1H), 8.70 (dd, J = 1.6 Hz and 4.8 Hz, 1H), 8.10 (d, J = 7.6 Hz, 1H), 7.38 (dd, J = 4.8 Hz and 8.0 Hz, 1H), 5.93-5.81 (m, 1H), 5.09-5.01 (m, 2H), 3.45-3.37 (m, 1H), 3.32-3.25 (m, 1H), 2.55-2.35 (m, 2H).
-78℃에서의 무수 THF(120 mL) 중 (E)-2-메틸-N-(1-(피리딘-3-일)펜트-4-엔-1-일리덴)프로판-2-설핀아미드(271-3)(9.85 g, 37.3 mmol, 1 당량)의 용액에 비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의 용액(90 mL, 90 mmol, 2.4 당량, Et2O 중 1M)을 한 방울씩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78℃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포화된 염화암모늄(200 mL)으로 켄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A: 30 내지 70%)에 의해 정제하여 2-메틸-N-(3-(피리딘-3-일)헵타-1,6-디엔-3-일)프로판-2-설핀아미드(271-4)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8.89 (d, J = 1.6 Hz, 1H), 8.53 (dd, J = 1.6 Hz and 4.8 Hz, 1H), 7.82-7.78 (m, 1H), 7.29 (dd, J = 4.8 Hz and 8.0 Hz, 1H), 6.03 (dd, J = 10.8 Hz and 17.2 Hz, 1H), 5.87-5.78 (m, 1H), 5.37 (d, J = 10.8 Hz, 1H), 5.30 (d, J = 17.2 Hz, 1H), 5.05-4.96 (m, 2H), 3.75 (s, 1H), 2.43-2.35 (m, 1H), 2.26-2.18 (m, 1H), 2.07-1.97 (m, 2H), 1.24 (s, 9H).
-78℃에서의 메탄올(400 ml) 중 2-메틸-N-(3-(피리딘-3-일)헵타-1,6-디엔-3-일)프로판-2-설핀아미드(271-4)(6.90 g, 23.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용액이 청색일 때까지 O3를 버블링(bubble)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약 200 mL의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디페닐메타닐아민(6.48 g, 35.4 mmol, 1.5 당량),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3.72 g, 59.0 mmol, 2.5 당량) 및 아세트산(1.42 g, 23.6 mmol, 1.0 당량)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 내지 17℃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물(100 mL)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100 ml*3)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A: 30 내지 100%)에 의해 정제하여 N-(1-벤즈하이드릴-3-(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271-6)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8.57 (d, J = 2.0 Hz, 1H), 8.47 (dd, J = 1.6 Hz and 4.8 Hz, 1H), 7.64 (dt, J = 8.0 Hz and 1.6 Hz, 1H), 7.40-7.37 (m, 4H), 7.33-7.28 (m, 4H), 7.25-7.20 (m, 3H), 5.53 (brs, 1H), 4.39 (s, 1H), 3.06-2.99 (m, 2H), 2.58 (d, J = 12.8 Hz, 1H), 2.33-2.25 (m, 1H), 2.09-2.01 (m, 1H), 1.96-1.89 (m, 2H), 1.77-1.73 (m, 1H), 1.28 (s, 9H). LC-MS: M+H]+=448.2.
TFA(24 mL) 중 N-(1-벤즈하이드릴-3-(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271-6)(2.34 g, 5.2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Et3SiH(4.68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물(5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30 mL*2)로 추출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3-(피리딘-3-일)피페리딘-3-아민(중간체 217-7)을 제공하였다. LC-MS: [M+H]+=177.9.
중간체 271-9: (5-(3-아미노-3-(피리딘-3-일)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탄올
Figure pct00039
메틸 5-(3-아미노-3-(피리딘-3-일)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271-8)를 중간체 177-5 및 상응하는 중간체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8.90 (d, J = 2.0 Hz, 1H), 8.54 (dd, J = 1.6 Hz and 4.8 Hz, 1H), 8.46 (s, 1H), 7.98 (dt, J = 8.0 Hz and 1.6 Hz, 1H), 7.88 (s, 1H), 7.85-7.79 (m, 1H), 7.69-7.66 (m, 1H), 7.30 (dd, J = 4.8 Hz and 8.0 Hz, 1H), 7.24-7.19 (m, 1H), 3.97 (s, 3H), 3.34-3.23 (m, 3H), 2.97 (td, J = 12 Hz and 2.4 Hz, 1H), 2.21-2.15 (m, 1H), 2.08 (dt, J = 12.8 Hz and 4.4 Hz, 1H), 1.88-1.84 (m, 1H), 1.82-1.76 (m, 1H). LC-MS: [M+H]+=425.2,
중간체 271-9는 중간체 177-5를 중간체 271-8로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177에서의 중가체 177-6의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8.81 (d, J = 2.0 Hz, 1H), 8.52 (dd, J = 1.6 Hz and 4.8 Hz, 1H), 8.41 (s, 1H), 7.88 (dt, J = 8.0 Hz and 1.6 Hz, 1H), 7.85-7.79 (m, 1H), 7.71 (s, 1H), 7.69-7.66 (m, 1H), 7.30 (dd, J = 4.8 Hz and 8.0 Hz, 1H), 7.25-7.18 (m, 1H), 4.92 (d, J = 14 Hz, 1H), 4.73 (d, J = 14 Hz, 1H), 3.20 (t, J = 11.6 Hz, 2H), 3.09 (d, J = 11.6 Hz, 1H), 3.01-2.94 (m, 1H), 2.14-2.08 (m, 2H), 1.92-1.87 (m, 2H). LC-MS: [M+H]+ =397.3.
중간체 272-2: 1-벤질 3-메틸 2-옥소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0
건조 THF(200 mL) 중 피페리딘-2-온(10 g, 10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 미만에서 NaH(6g, 60 % wt, 150 mmol, 1.5 당량)를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3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건조 THF(50 mL) 중 벤질 카보노클로리데이트(26 g, 151.31 mmol, 1.5 당량)의 용액을 0℃ 미만에서 30분에 걸쳐 상기 현탁액 내로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3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포화된 NH4Cl(50 mL)로 켄치하고, EtOAc(50 mL × 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5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2-옥소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2-1)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ppm 7.45-7.32 (m, 5H), 5.28 (s, 2H), 3.78-3.70 (m, 2H), 2.56-2.50 (m, 2H), 1.86-1.80 (m, 4H).
건조 THF(200 mL) 중 벤질 2-옥소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2-1)(9.1 g, 39.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하 -70℃ 미만에서 30분에 걸쳐 LDA(30 mL, 2M, 60 mmol, 1.54 당량)를 첨가하였다.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후, 메틸 카보노클로리데이트(6.23 g, 65.93 mmol, 1.69 당량)를 -70℃ 미만에서 30분에 걸쳐 혼합물 내로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 미만에서 포화된 NH4Cl(50 mL)로 켄치하였다. 혼합물을 EtOAc(100 mL × 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잔류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2-옥소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272-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45-7.32 (m, 2H), 5.29 (s, 2H), 3.80-3.79 (d, J = 5.2 Hz, 1H), 3.77 (s, 3H), 3.76-3.74 (d, J = 7.6 Hz, 1H), 3.58-3.54 (dd, J= 6.8 Hz, J=8.0 Hz, 1H), 2.30-2.16 (m, 1H), 2.14-2.06 (m, 2H), 2.02-1.93 (m, 1H).
중간체 272-3: (2-메톡시피리딘-3-일)보론산
Figure pct00041
건조 THF(200 mL) 중 현탁액 3-브로모-2-메톡시피리딘(9 g, 47.87 mmol, 1.0 당량)과 Mg(2.33 g, 95.73 mmol, 2.0 당량)와 LiCl(2.54 g, 59.83 mmol, 1.25 당량)를 N2 하 3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B(OMe)3(10 g, 96.23 mmol, 2.01 당량)을 0℃ 미만에서 반응 혼합물 내로 첨가하였다. 이어서, 수득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35℃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을 HCl(0.1M, 200 mL)로 pH=6으로 켄치하였다. 혼합물을 EtOAc(100 mL × 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10 mL)으로 세정하여 (2-메톡시피리딘-3-일)보론산(중간체 272-3)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ppm 8.19-8.17 (dd, J 1= 2.0 Hz, J 2= 4.8 Hz, 1H), 7.89-7.88 (d, J= 2.0 Hz, 1H), 3.98-6.95 (dd, J 1= 4.8 Hz, J 2= 6.8 Hz, 1H), 3.87 (s, 3H).
중간체 272-5: 1-벤질 3-메틸 3-(2-메톡시피리딘-3-일)-2-옥소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2
클로로포름(20 mL) 중 Pb(OAc)4(6.38 g, 14.39 mmol, 1.0 당량)와 Hg(OAc)2(1.17 g, 3.67 mmol, 0.26 당량)의 현탁액에 N2 하 30℃에서 (2-메톡시피리딘-3-일)보론산(272-3)(2.2 g, 14.38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N2 하 40℃에서 1시간 및 3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메톡시피리딘-3-일)플럼반트릴 트리아세테이트(272-4)의 반응 혼합물을 바로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이어서, 클로로포름(20 mL)과 피리딘(3 mL) 중 1-벤질 3-메틸 2-옥소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72-2)(3.9 g, 13.23 mmol, 0.93 당량)의 용액을 현탁액 내로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N2 하 4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중간체 272-4가 소비된 것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H2SO4(1M, 20 mL × 4), 물(20 mL × 2)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잔류물을 제조용-HPLC(FA)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2-메톡시피리딘-3-일)-2-옥소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272-5)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12-8.11 (m, 1H), 7.45-7.44 (m, 2H), 7.40-7.31 (m, 4H), 6.88-6.85 (m, 1H), 5.33 (s, 2H), 3.91 (s, 3H), 3.88-3.85 (m, 1H), 3.79 (s, 3H), 3.76-3.69 (m, 1H), 2.66-2.60 (m, 1H), 2.56-2.50 (m, 1H), 1.90-1.82 (m, 1H), 1.77-1.68 (m, 1H). LC-MS: [M+H]+ =398.9.
중간체 272-10: 메틸 (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43
건조 THF(50 mL)와 건조 THF(50 mL) 중 1-벤질 3-메틸 3-(2-메톡시피리딘-3-일)-2-옥소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272-5)(1.7 g, 4.2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 미만에서 NaBH4(0.3 g, 7.93 mmol, 1.86 당량)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30℃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Pd/C(0.45 g, 0.427 mmol, 0.1 당량)를 혼합물 내로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H2(15 Psi) 하 3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메틸 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3-카복실레이트(272-6)를 제공하였다.
MeOH(10 mL) 중 메틸 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3-카복실레이트(272-6)(2.2 g, 8.79 mmol, 1.0 당량)와 Boc2O(5.75 g, 26.37 mmol, 3.0 당량)의 용액을 3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틸) 3-메틸 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72-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ppm 8.08-8.07 (d, J = 4.0 Hz, 1H), 7.63-7.61 (dd, J1= 1.6 Hz, J2= 8.6 Hz, 1H), 6.90-6.86 (dd, J1= 5.2 Hz, J2= 7.6 Hz, 1H), 4.15-4.10 (m, 1H), 3.92 (s, 3H), 3.82-3.66 (m, 2H), 3.61 (s, 3H), 3.22 (m, 1H), 2.23-2.19 (m, 2H), 1.71 (m, 4H), 1.32 (s, 9H). LC-MS: [M+H]+ =351.0.
MeOH(10 mL)와 H2O(2 mL) 중 1-(tert-부틸) 3-메틸 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72-7)(0.85 g, 2.43 mmol, 1.0 당량)와 LiOH(0.233g, 9.70 mmol, 4.0 당량)의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40℃로 가열하고, 4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HCl(2N)로 pH = 3 내지 4로 산성화하였다. 혼합물을 클로로포름/i-PrOH(부피/부피 = 3:1, 10 mL × 4)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10 mL)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하여 1-(tert-부톡시카보닐)-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3-카복실산(272-8)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ppm 8.05-8.04 (d, J = 3.2 Hz, 1H), 7.75-7.73 (dd, J1= 1.6 Hz, J2=7.2 Hz, 1H), 6.96 (s, 1H), 4.14-4.10 (m, 1H), 4.10-3.89 (m, 4H), 3.62-3.58 (m, 1H), 3.30-3.28 (m, 1H), 2.33-2.28 (m, 2H), 1.83-1.79 (m, 2H), 1.27 (s, 9H).
건조 톨루엔(20 mL) 중 1-(tert-부톡시카보닐)-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3-카복실산(272-8)(0.8 g, 2.3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하 28℃에서 DPPA(1.31 g, 4.76 mmol, 2.0 당량) 및 TEA(0.963 g, 9.51 mmol, 4.0 당량)를 차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MeOH(20 mL)를 혼합물 내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tert-부틸 3-((메톡시카보닐)아미노)-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2-9)로 정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98.074 (dd, J 1= 2.0 Hz, J 2= 5.2 Hz, 1H), 7.67-7.64 (dd, J 1= 1.6 Hz, J 2= 7.6 Hz, 1H), 6.92-6.88 (dd, J 1= 4.8 Hz, J 2= 7.6 Hz, 1H), 5.78-5.49 (m, 1H), 4.72-4.68 (d, 13.6 Hz, 1H), 3.99 (s, 3H), 3.53 (s, 3H), 2.98-2.80 (m, 3H), 1.91-1.71 (m, 4H), 1.83 (s, 9H).
건조 DCM(5 mL) 중 tert-부틸 3-((메톡시카보닐)아미노)-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2-9)(0.6 g, 1.6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 미만에서 TFA(1mL)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30℃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메틸 (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272-10)로 농축하였다. LC-MS: [M+H]+ =266.2.
중간체 272-13: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2-메톡시피리딘-3-일)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44
중간체 272-13을 중간체 177-7 및 상응하는 중간체의 제조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93 (s, 1H), 8.50 (s, 1H), 8.27 (s, 1H), 8.14-8.12 (dd, J 1=1.6 Hz, J 2= 5.2 Hz, 1H), 7.77-7.75 (dd, J 1=1.6 Hz, J 2= 7.6 Hz, 1H), 7.70-7.64 (m, 1H), 7.48-7.46 (m, 1H), 7.20-7.13 (dd, J 1=5.2 Hz, J 2= 7.6 Hz, 1H), 6.60 (s, 1H), 5.89-5.85 (d, J=15.6 Hz, 1H), 5.43-5.39 (d, J=15.6 Hz, 1H), 4.04-4.01 (m, 1H), 3.98 (s, 3H), 3.49 (s, 3H), 3.36-3.34 (m, 1H), 3.14-3.11 (m, 1H), 2.94-2.84 (m, 2H), 2.21-2.18 (m, 2H), 1.88-1.85 (m, 1H), 1.47 (s, 18 H). LC-MS: [M+H]+ =802.5.
중간체 273-5a: tert-부틸 3-시아노-3-(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중간체 273-5b: tert-부틸 3-시아노-3-(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5
N2 분위기 하 -70℃에서의 THF(300 mL) 중 tert-부틸 3-시아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5 g, 119.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LiHMDS(178 mL, 178.57 mmol, 1.5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CH3CHO(7.85 g, 178.57 mmol, 3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수성 NH4Cl(200 mL)로 켄치하고, EtOAc(10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2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tOAc, 10 내지 50%)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시아노-3-(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3-1)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ppm 4.39-4.05 (m, 2H), 3.75-3.68 (m, 2H), 2.94-2.76 (m, 2H), 2.39-2.20 (m, 1H), 1.94-1.70 (m, 4H), 1.47 (s, 9H), 1.39 (t, J = 6.4 Hz, 3H).
DCM(150 mL) 중 tert-부틸 3-시아노-3-(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3-1)(9 g, 35.4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DMP(22.5 g, 53.15 mmol, 1.5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수성 NaHCO3(150 mL) 및 수성 Na2SO3(150 mL)으로 켄치하고, EtOAc(15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수성 NaHCO3(15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tert-부틸 3-아세틸-3-시아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3-2)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4.50-3.85 (m, 2H), 3.20-3.05 (m, 1H), 2.95-2.60 (m, 1H), 2.46 (s, 3H), 2.25-1.70 (m, 4H), 1.48 (s, 9H).
톨루엔(100 mL) 중 tert-부틸 3-아세틸-3-시아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3-2)(12 g, 47.6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DMF-DMA(28.3g, 238.1 mmol, 5.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10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주생성물을 나타냈다. 반응을 농축하여 tert-부틸 (E)-3-시아노-3-(3-(디메틸아미노)아크릴로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3-3)를 제공하였다. LCMS: [M+H]+ =308.0.
EtOH(30 mL) 중 tert-부틸 (E)-3-시아노-3-(3-(디메틸아미노)아크릴로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3-3)(5.6 g, 18.22 mmol)의 혼합물에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8.85 mL, 182 mmol)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Ar 분위기 하 7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수성 조건 하에서 워크업(work up)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EA: 30분 동안 40%)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시아노-3-(1H-피라졸-3-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3-4)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63 (d, J = 2.0 Hz, 1H), 6.39 (d, J = 2.8 Hz, 1H), 4.56-4.46 (m, 1H), 4.25-4.07 (m, 1H), 3.20 (d, J = 12.0 Hz, 1H), 2.80-2.90 (m, 1H), 2.37 (d, J = 13.2 Hz, 1H), 2.10-1.91 (m, 2H), 1.77 (d, J = 11.0 Hz, 1H), 1.48 (s, 9H).
DMF(10 mL) 중 tert-부틸 3-시아노-3-(1H-피라졸-3-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3-4)(500 mg, 1.809 mmol)와 Cs2CO3(2948 mg, 9.05 mmol)의 용액에 메틸 2-클로로-2,2-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523 mg, 3.62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EA: 30분 동안 40%)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시아노-3-(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273-5a) 및 tert-부틸 3-시아노-3-(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273-5b)를 제공하였다. LC-MS: [M-100]+ = 227.1.
중간체 273-11: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2-(4-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46
중간체 273-11은 중간체 177-7 및 상응하는 중간체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LC-MS: [M+H]+ = 792.3.
중간체 281-7: 벤질 3-카바모일-3-(2-클로로티아졸-4-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7
THF(120 mL) 중 1-벤질 3-메틸 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0 g, 72.12 mmol, 1.0 당량)의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LiHMDS(108.18 mL, 108.18 mmol, 1.5 당량)의 용액을 20분에 걸쳐 한 방울씩 첨가하고, 이어서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CH3CHO(3.81 g, 86.54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수득된 혼합물을 32℃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150 mL)으로 켄치하고, EtOAc(20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상을 브라인(4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물을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EtOAc = 9:1 내지 5:1)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1-1)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7.36-7.28 (m, 5H), 5.12 (s, 2H), 4.04-3.92 (m, 1H), 3.84-3.77 (m, 1H), 3.66-3.46 (m, 4H), 3.29-3.20 (m, 1H), 3.11-2.92 (m, 1H), 2.09-1.99 (m, 1H), 1.84-1.79 (m, 1H), 1.70-1.63 (m, 1H), 1.54-1.36 (m, 1H), 1.16 (d, J = 6.4 Hz, 3H).
CH2Cl2(300 mL) 중 1-벤질 3-메틸 3-(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1-1)(17 g, 52.9 mmol, 1.0 당량)의 혼합물에 0℃에서 10분에 걸쳐 데스-마틴 시약(29.2 g, 68.8 mmol, 1.3 당량)을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32℃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된 NaHCO3 용액(300 mL)으로 켄치하고, pH가 8이 될 때까지 30분 동안 교반하고, CH2Cl2(300 mL)로 희석하고, 30분 동안 계속 교반하고, 여과하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물을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EtOAc = 10:1)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아세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1-2)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7.34-7.28 (m, 5H), 5.11 (s, 2H), 4.20-3.16 (m, 7H), 2.28-1.84 (m, 5H), 1.76-1.59 (m, 2H).
MeOH(200 mL) 중 1-벤질 3-메틸 3-아세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281-2)(15.0 g, 46.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5분에 걸쳐 Br2(2.6 ml, 51.67 mmol, 1.1 당량)를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6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미정제물을 EtOAc(300 mL)로 희석하고, 포화된 Na2SO3 용액(3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1-벤질 3-메틸 3-(2-브로모아세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1-3)를 제공하였다. LCMS: [M+H]+=399.9.
EtOH(200 mL) 중 1-벤질 3-메틸 3-(2-브로모아세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1-3)(16 g, 32.14 mmol, 1.0 당량)과 티오우레아(4.89 g, 64.28 mmol, 2.0 당량)의 혼합물에 NaHCO3(5.40 g, 64.28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9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고,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tOAc(300 mL) 내로 용해시키고, 포화된 브라인(300 mL*3)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물을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EtOAc = 8: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2-아미노티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1-4)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7.41-7.30 (m, 5H), 6.41-6.23 (m, 1H), 5.53-5.47 (m, 2H), 5.16 (s, 2H), 4.36-4.09 (m, 2H), 3.77-3.68 (m, 1H), 3.62-3.59 (m, 3H), 3.54-3.48 (m, 1H), 3.37-3.18 (m, 1H), 2.40-2.25 (m, 2H), 2.12-2.01 (m, 1H), 1.61-1.55 (m, 2H).
CH3CN(50 mL) 중 1-벤질 3-메틸 3-(2-아미노티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1-4)(5 g2, 13.32 mmol2, 1.0 당량)의 용액에 CuCl(3.30 g, 33.29 mmol, 2.5 당량)을 첨가하고, 60℃로 가열한 후 t-BuONO(3.43 g, 33.29 mmol, 2.5 당량)를 5분에 걸쳐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수득된 혼합물을 질소 하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30℃로 냉각하고, 물(50 mL)로 희석하고, EtOAc(60 ml*3)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브라인(2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동일한 규모를 갖는 두 개의 회분을 수행하고, 합쳤다. 미정제물을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EtoAc = 15:1 내지 5:1)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2-클로로티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1-5)를 제공하였다. 1H NMR (DMSO-d6 400MHz): δ. 7.57 (s, 1H), 7.37-7.31 (m, 5H), 5.07 (s, 2H), 4.28-4.13 (m, 1H), 3.69-3.63 (m, 1H), 3.55 (s, 3H), 3.58-3.51 (m, 1H), 3.28-3.18 (m, 1H), 2.32-2.27 (m, 1H), 2.12-2.02 (m, 1H), 1.61-1.42 (m, 2H).
MeOH/H2O(80 mL/10 mL) 중 1-벤질 3-메틸 3-(2-클로로티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1-5)(7.0 g, 17.7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LiOH.H2O(7.4 g, 177.27 mmol, 10.0 당량)를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3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2N HCl로 pH 5 내지 6으로 산성화하고, 물(40 mL)로 희석하고, EtOAc(8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상을 브라인(25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1-((벤질옥시)카보닐)-3-(2-클로로티아졸-4-일)피페리딘-3-카복실산(281-6)을 제공하였다. LCMS: [M+Na]+=403.0.
DMF(60 mL) 중 1-((벤질옥시)카보닐)-3-(2-클로로티아졸-4-일)피페리딘-3-카복실산(281-6)(5.6 g, 14.70 mmol, 1.0 당량)과 NH4Cl(1.57 g, 29.41 mmol, 2.0 당량)의 용액에 DIEA(7.60 g, 58.82 mmol, 4.0 당량) 및 HATU(11.18 g, 29.41 mmol, 2.0 당량)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3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소기의 MS를 LC-MS로 관찰하였다.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하고, EtOAc(8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상을 브라인(200 mL*5)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물을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EtOAc = 5: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카바모일-3-(2-클로로티아졸-4-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281-7)를 제공하였다. 1H NMR (DMSO-d6 400MHz): δ. 7.44-7.31 (m, 6H), 7.13 (s, 1H), 7.01 (s, 1H), 5.06 (s, 2H), 4.07-4.03 (m, 1H), 3.78-3.63 (m, 1H), 3.58-3.46 (m, 1H), 3.18 (br s, 1H), 2.33-2.25 (m, 1H), 2.13-2.08 (m, 1H), 1.61-1.46 (m, 1H), 1.40-1.29 (m, 1H).
중간체 281-10: 메틸 5-(3-(2-클로로티아졸-4-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2-(4-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48
벤질 3-(2-클로로티아졸-4-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281-8)를 중간체 177-3 및 상응하는 중간체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7.37-7.30 (m, 5H), 7.18-7.07 (m, 1H), 5.44-5.11 (m, 3H), 4.23-4.08 (m, 1H), 3.92-3.89 (m, 1H), 3.74-3.56 (m, 4H), 3.14 (t, J = 10.4 Hz, 1H), 2.71-2.50 (m, 1H), 2.25-2.12 (m, 1H), 1.71-1.65 (m, 1H), 1.60-1.49 (m, 1H).
TFA(12.0 mL) 중 벤질 3-(2-클로로티아졸-4-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281-8)(1.5 g, 3.66 mmol, 1.0 당량)의 용액을 66℃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EtOAc(20 mL) 내로 용해시키고, 포화된 NaHCO3 용액(40 mL*3)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메틸 (3-(2-클로로티아졸-4-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281-9)를 제공하였다.
DMSO(20 mL) 중 메틸 (3-(2-클로로티아졸-4-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281-9)(1.3 g, 3.63 mmol, 1.0 당량)와 중간체 C(903.7 mg, 3.6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DIEPA(1.87 g, 14.51 mmol, 4.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기의 MS를 LCMS로 관찰하였다. 혼합물을 30℃로 냉각하고, 물(20 mL)로 희석하고, EtOAc(30 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브라인(60 mL*3)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물을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EtOAc = 15:1 내지 6:1)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2-클로로티아졸-4-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2-(4-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281-10)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8.53 (s, 1H), 7.97 (s, 1H), 7.96-7.92 (m, 2H), 7.18-7.12 (m, 3H), 6.82 (brs, 1H), 4.04 (s, 3H), 3.66 (s, 3H), 3.50 (d, J = 12.4 Hz, 1H), 3.32 (d, J = 10.0 Hz, 1H), 3.10-2.98 (m, 2H), 2.93-2.84 (m, 1H), 2.06-1.95 (m, 2H), 1.87-1.76 (m, 1H).
중간체 281-12: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2-클로로티아졸-4-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2-(4-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49
메틸 (3-2(클로로티아졸-4-일)-1-(6-(4-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281-11)를 중간체 177-6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8.45 (s, 1H), 7.94-7.90 (m, 2H), 7.64 (s, 1H), 7.15-7.11 (m, 3H), 7.15-7.10 (m, 2H), 5.75 (brs, 1H), 4.89-4.78 (m, 2H), 3.63 (s, 3H), 3.60-3.56 (m, 1H), 3.30-3.26 (m, 1H), 3.15-3.11 (m, 1H), 2.99-2.92 (m, 1H), 2.60-2.57 (m, 1H), 2.14-2.07 (m, 1H), 2.00-1.93 (m, 1H), 1.85-1.79 (m, 1H).
중간체 281-12를 중간체 177-7 및 상응하는 중간체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LCMS: [M+H]+=794.4
중간체 282-4: 1-벤질 3-메틸 3-(2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0
THF(350 mL) 중 1-벤질 3-메틸 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30 g, 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65℃에서 LiHMDS(163 mL, 163 mmol, 1.5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 후, 파라포름알데히드(9.72 g, 324 mmol, 3.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현탁액을 13 내지 23℃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300 mL)로 켄치하고, EtOAc(300 mL*3)로 추출하고, 브라인(500 mL*2)으로 세정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20 내지 40% EtOAc)에 의해 1-벤질 3-메틸 3-(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2-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40-7.26 (m, 5H), 5.15 (s, 2H), 4.06-3.80 (m, 1H), 3.75-3.60 (m, 6H), 3.50-3.25 (m, 1H), 3.15-2.85 (m, 1H), 1.84-1.71 (m, 1H), 1.70-1.62 (m, 1H), 1.61-1.50 (m, 2H). LC-MS: [M+H]+ =308.0.
건조 DCM(150 mL) 중 1-벤질 3-메틸 3-(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2-1)(13.4 g, 43.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DMP(36.97 g, 87.21 mmol, 2.0 당량)를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11 내지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된 NaHCO3 용액(300 mL) 내로 붓고, DCM(300 mL*3)으로 추출하고, 수성 NaHCO3(400 mL*2)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80/20)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포르밀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2-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69-9.53 (m, 1H), 7.43-7.28 (m, 5H), 5.14 (s, 2H), 4.42-4.04 (m, 1H), 3.86-3.55 (m, 5H), 3.35-3.11 (m, 1H), 2.28-1.90 (m, 2H), 1.73-1.54 (m, 2H).
건조 메탄올(120 mL) 중 1-벤질 3-메틸 3-포르밀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2-2)(6.5 g, 21.29 mmol, 1.0 당량)와 화합물 디메틸 (1-디아조-2-옥소프로필)포스포네이트(8.17 g, 42.58 mmol, 2.0 당량)의 용액에 K2CO3(8.8 g, 63.87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 내지 22℃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60/40)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에티닐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2-3)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41-7.29 (m, 5H), 5.15 (s, 2H), 4.21-4.07 (m, 1H), 4.00-3.82 (m, 1H), 3.75 (s, 3H), 3.54-3.41 (m, 1H), 3.14-2.99 (m, 1H), 2.26-2.17 (m, 1H), 2.10-1.82 (m, 3H), 1.92-1.83 (m, 1H), 1.68-1.58 (m, 1H).
DMF/MeOH(40 mL/4 mL) 중 1-벤질 3-메틸 3-에티닐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282-3)(4 g, 13.2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TMSN3(2.3 g, 19.91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내지 1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100 mL)로 희석하고, EA(100 mL*4)로 추출하고, 브라인(100 mL*3)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를 CombiFlash(DCM/MeOH = 10/1)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2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282-4)를 제공하였다. LC-MS: [M+H]+ =345.0.
중간체 282-5a: 1-벤질 3-메틸 3-(2-메틸-2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
중간체 282-5b: 1-벤질 3-메틸 3-(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1
DMF(40 mL) 중 1-벤질 3-메틸 3-(2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282-4)(3.3 g, 9.5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Cs2CO3(15.6 g, 47.9 mmol. 5 당량) 및 MeI(9.3 g, 28.74 mmol, 3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3 내지 18℃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하여 미정제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를 제조용-HPLC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2-메틸-2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282-5a) 및 1-벤질 3-메틸 3-(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282-5b)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282-5a: 1H NMR (400 MHz, CD3OD) δ ppm 7.63-7.47 (m, 1H), 7.44-7.27 (m, 5H), 5.15-5.07 (m, 2H), 4.40-4.15 (m, 1H), 4.09 (s, 3H), 3.90-3.70 (m, 1H), 3.60 (brs, 4H), 3.48-3.32 (m, 1H), 2.38 (brs, 1H), 2.26-2.10 (m, 1H), 1.70-1.55 (m, 2H). LC-MS: [M+H]+ =359.3.
중간체 282-5b: 1H NMR (400 MHz, CD3OD) δ ppm 7.81 (s, 1H), 7.44-7.27 (m, 5H), 5.12 (s, 2H), 4.48-4.04 (m, 1H), 4.00 (s, 3H), 3.94-3.82 (m, 0.6H), 3.73-3.43 (m, 2H), 3.60 (s, 3H), 3.28-3.17 (m, 0.4H), 2.48-2.10 (m, 2H), 1.82-1.47 (m, 2H).
중간체 282-6: 1-((벤질옥시)카보닐)-3-(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3-카복실산
Figure pct00052
중간체 282-6은 중간체 281-5를 중간체 282-5a로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281에서의 중간체 281-6의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중간체 282-7: 벤질 3-카바모일-3-(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3
중간체 282-7은 중간체 281-6을 중간체 282-6으로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281에서의 중간체 281-7의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중간체 282-8: 벤질 3-((메톡시카보닐)아미노)-3-(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4
중간체 282-8은 중간체 177-3을 중간체 281-7로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177에서의 중간체 177-3의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64-7.30 (m, 6H), 5.29-5.10 (m, 2H), 4.09-3.71 (m, 6H), 3.57 (s, 3H), 3.30 (brs, 1H), 2.69-2.45 (m, 1H), 2.37-2.15 (m, 1H), 1.82-1.65 (m, 1H), 1.55-1.45 (m, 1H). LC-MS: [M+H]+ =374.1.
중간체 282-9: 메틸 (3-(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55
중간체 282-9는 중간체 269-3을 중간체 281-8로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269에서의 중간체 269-4의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7.81 (s, 1H), 4.06 (s, 3H), 3.56 (s, 3H), 3.40-3.32 (m, 1H), 3.13-2.89 (m, 2H), 2.71-2.62 (m, 1H), 2.39 (d, J = 13.6 Hz, 1H), 2.08-1.99 (m, 1H), 1.79-1.66 (m, 1H), 1.57-1.47 (m, 1H).
중간체 282-10: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56
중간체 282-10은 중간체 177-4를 중간체 282-9로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177에서의 중간체 177-5의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56 (s, 1H), 7.98 (s, 1H), 7.87-7.81 (m, 12 Hz, 1H), 7.72-7.67 (m, 1H), 7.64 (s, 1H), 7.27-7.20 (m, 1H), 6.87 (brs, 1H), 4.07 (s, 3H), 4.03 (s, 3H), 3.72-3.68 (m, 0.5H), 3.66 (s, 3H), 3.60-3.50 (m, 0.5H), 3.35 (d, J = 11.2 Hz, 1H), 3.18 (d, J = 12.4 Hz, 1H), 3.10 (td, J = 11.6 Hz, 2.8 Hz, 1H), 2.94 (d, J = 11.2 Hz, 1H), 2.09-1.70 (m, 3H). LC-MS: [M+H]+ =487.5.
중간체 282-11: 메틸 (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57
중간체 282-11은 중간체 177-5를 중간체 282-10으로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177에서의 중간체 177-6의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6 (s, 1H), 7.86-7.80 (m, 1H), 7.70-7.66 (m, 1H), 7.65 (s, 1H), 7.57 (s, 1H), 7.25-7.19 (m, 1H), 5.75 (brs, 1H), 4.85-4.77 (m, 2H), 4.08 (s, 3H), 3.95 (brs, 1H), 3.62 (s, 3H), 3.69-3.52 (m, 1H), 3.42 (d, J = 11.2 Hz, 1H), 3.13 (d, J = 11.6 Hz, 1H), 3.03-2.94 (m, 1H), 2.64-2.52 (m, 1H), 2.25-2.10 (m, 1H), 2.02-1.94 (m, 1H), 1.85-1.77 (m, 1H). LC-MS: [M+H]+ =459.1.
중간체 282-12: tert-부틸(tert-부톡시카보닐)(9-((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58
중간체 282-12는 중간체 177-6을 중간체 282-11로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177에서의 중간체 177-7의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LC-MS: [M+H]+ =776.3.
중간체 284-4: 3-(5-메틸이속사졸-3-일)피페리딘-3-아민
Figure pct00059
EtOH/H2O(1:1, 2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포르밀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38 mg, 0.656 mmol)와 하이드록실아민 HCl(38 mg, 0.547 mmol)과 K2CO3(91 mg, 0.656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혼합물을 EA(20 mL) 및 H2O(10 mL)로 처리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A(1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여 벤질 (E)-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이미노) 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4-1)를 제공하였다. LC-MS: [M+H-100]+ = 277.9.
DMF(20 mL) 중 벤질 (E)-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이미노) 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4-1)(2 g, 5.3 mmol)의 혼합물에 NCS(1.061 g, 7.95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EA(20 mL) 및 H2O(20 mL)로 처리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A(2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여 미정제 벤질 (Z)-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클로로(하이드록시이미노)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4-2)를 제공하였다.
DCM(50 mL) 중 미정제 벤질 (Z)-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클로로(하이드록시이미노)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4-2)(2 g, 4.86 mmol)의 혼합물에 2-클로로프로프-1-엔(7.43 g, 97mmol) 및 TEA(3.41 mL, 24.28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로 밤새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n-헥산(0 내지 50%) 중 EA로 용출하는 것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5-메틸이속사졸-3-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4-3)를 제공하였다. LC-MS: [M+H]+ = 415.9.
HOAc(10 mL) 내의 HBr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5-메틸이속사졸-3-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4-3)(700 mg, 1.685 mmol)를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1M의 수성 NaOH로 pH=10 내지 12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i-PrOH/DCM(1:3 20 mL*3)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3-(5-메틸이속사졸-3-일)피페리딘-3-아민(중간체 284-4)으로 농축하였다. LC-MS: [M+H]+ = 182.0.
중간체 284-6: (5-(3-아미노-3-(5-메틸이속사졸-3-일)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탄올
Figure pct00060
메틸 5-(3-아미노-3-(5-메틸이속사졸-3-일)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284-5)를 실시예 177-5에서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 및 상응하는 중간체로부터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LC-MS: [M+H]+ = 428.9, 429.8.
중간체 284-6은 중간체 177-5를 중간체 284-5로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177에서의 중간체 177-6의 것과 비슷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LC-MS: [M+H]+ = 400.9, 401.9.
중간체 285-4: 3-(2-(벤질옥시)-1-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아민
Figure pct00061
0.025 M NaOH 수용액(15 mL, 0.375 mmol) 중 2-(벤질옥시)아세트알데히드(0.652 g, 4.34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2-(벤질옥시)아세트알데히드(0.652 g, 4.34 mmol) 및 N,N,N-트리메틸헥사데칸-1-아미늄 클로라이드(0.139 g, 0.43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2-(벤질옥시)-1-하이드록시에틸)-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5-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ppm.40 - 7.24 (m, 6H), 5.84 (dd, J = 28.5, 6.2 Hz, 1H), 4.79 - 4.56 (m, 1H), 4.54 - 4.44 (m, 2H), 4.07 - 3.91 (m, 1H), 3.85 (s, 1H), 3.59 (ddd, J = 27.8, 10.5, 4.9 Hz, 1H), 3.39 (ddd, J = 12.0, 10.4, 6.3 Hz, 1H), 3.18 (dd, J = 22.8, 13.2 Hz, 1H), 2.72 (s, 1H), 2.41 (t, J = 15.6 Hz, 1H), 1.95 - 1.77 (m, 1H), 1.61 (dt, J = 14.0, 3.9 Hz, 1H), 1.37 (d, J = 2.5 Hz, 9H). LC-MS: [M+H-100]+ = 281.2.
DCM(20 mL) 중 tert-부틸 3-(2-(벤질옥시)-1-하이드록시에틸)-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5-1)(0.93 g, 2.445 mmol)의 용액에 0℃에서 DAST(0.646 mL, 4.89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수성 조건에서 워크업하여 진공 내에서 농축될 때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2-(벤질옥시)-1-플루오로에틸)-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5-2)를 제공하였다. LC-MS: [M+H-100]+ = 383.1.
EtOH(10 mL) 중 tert-부틸 3-(2-(벤질옥시)-1-플루오로에틸)-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5-2)(200 mg, 0.684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Zn 분진(44.7 mg, 0.684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4M HCl(2.281 mL, 6.84 mmol)을 0℃에서 한 방울씩 첨가하고, 첨가 후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아미노-3-(2-(벤질옥시)-1-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5-3)를 제공하였다. LC-MS: [M+H]+ = 263.2.
DCM (15 mL) 중 tert-부틸 3-아미노-3-(2-(벤질옥시)-1-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5-3)(180 mg, 0.511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TFA(5 mL, 64.9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3-(2-(벤질옥시)-1-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아민(중간체 285-4)을 TFA 염으로서 제공하였다.
중간체 287-6: N-벤질-3-(1,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아민을 갖는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 화합물(1:1)
Figure pct00062
THF(200 mL) 중 AlLiH4(13.42 g, 353.45 mmol)를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60℃에서 THF(100 mL) 중 에틸 2-플루오로아세테이트(150 g, 1.41 mol)에 첨가하고,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60℃에서 EtOH(20 mL)로 켄치하고, 얼음물(500 mL)과 H2SO4(50 mL)의 용액 내로 붓고, MTBE(150 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내(25℃)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증류(-0.095 MPa, 25 내지 50℃)에 의해 정제하여 1-에톡시-2-플루오로에탄-1-올(287-1)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3OD) δ= 4.30 - 4.16 (m, 2H), 3.61 (q, J=7.1 Hz, 2H), 1.20 - 1.18 (m, 3H).
THF(40 mL) 중 tert-부틸 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0 g, 173.72 mmol)의 용액에 1-에톡시-2-플루오로에탄-1-올(287-1)(93.90 g, 868.58 mmol), K2CO3(12.00 g, 86.86 mmol)을 첨가하고, 4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 50:1 내지 10:1)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2-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7-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 4.78 - 4.62 (m, 1H), 4.60 - 4.50 (m, 1H), 4.50 - 4.41 (m, 1H), 4.22 - 4.02 (m, 1H), 3.99 - 3.60 (m, 1H), 3.48 - 2.92 (m, 2H), 2.57 - 2.37 (m, 1H), 2.34 - 2.10 (m, 1H), 1.74 - 1.64 (m, 2H), 1.47 (m, 9H) . LCMS: [M+H-56]+=237.3.
DCM(100 mL) 중 tert-부틸 3-(2-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7-2)(25 g, 85.53 mmol)의 용액에 BAST(85.15 g, 384.87 mmol)를 첨가하고, 5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수성 NaHCO3(1.0 L)으로 켄치하고, EA(200 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 100:1내지 20:1)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1,2-디플루오로에틸)-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7-3)를 제공하였다. LCMS: [M+H-56]+=239.3.
MeOH(100 mL) 중 tert-부틸 3-(1,2-디플루오로에틸)-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7-3)(10.0 g, 33.98 mmol)의 용액에 Pd/C(5.0 g, 10% 순도)를 첨가하고, H2(15 Psi) 하 40℃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tert-부틸 3-아미노-3-(1,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7-4)를 제공하였다. LCMS: [M+H-56]+=209.3.
EtOH(100 mL) 중 tert-부틸 3-아미노-3-(1,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7-4)(8.1 g, 30.65 mmol)와 벤즈알데히드(4.88 g, 45.97 mmol)의 용액을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NaBH4(5.8 g, 153.23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4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반응을 검출하였다. 혼합물을 수성 NH4Cl(100 mL)로 켄치하고, H2O(200 mL)로 희석하고, EA(50 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tert-부틸 3-(벤질아미노)-3-(1,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7-5)를 제공하였다. LCMS: [M+H]+=355.4.
DCM(20 mL) 중 tert-부틸 3-(벤질아미노)-3-(1,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7-5)(7.0 g, 19.75 mmol)의 용액에 TFA(10 mL)를 첨가하고, 4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수성 NaHCO3(200 mL)으로 켄치하고, DCM(50 mL*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N-벤질-3-(1,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아민을 갖는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 화합물(1:1)(중간체 287-6)을 제공하였다. LCMS: [M+H]+=254.9.
중간체 288-9: 3-(6-메틸-1,4-디옥산-2-일)피페리딘-3-아민
Figure pct00063
0℃에서의 무수 THF(120 ml) 중 NaH(7.7g, 180 mmol, 1.0 당량)의 교반 용액에 프로프-2-엔-1-올(10.4 g, 180 mmol, 1.0 당량)을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15℃에서 또 다른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또한, NaH(7.7 g, 180 mmol, 1.0 당량)와 THF(60 m)의 또 다른 현탁액에 0℃에서 무수 2-클로로아세트산을 첨가하고, 0℃에서 15분 동안 교반 후 이전에 제조된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로 켄치하고, 수성층을 산성화하고, EA(200 mL*3)로 추출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2-(알릴옥시)아세트산(288-1)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ppm 5.98 - 5.85 (m, 1H), 5.39 - 5.22 (m, 2H), 4.15 (s, 2H), 4.13 (m, 2H). LC-MS: [M+Na]+ =161.1.
무수 DCM(60 mL) 중 2-(알릴옥시)아세트산(288-1)(9.2 g, 79.2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15℃에서 DMF(115 mg, 1.58 mmol, 0.02 당량) 및 (COCl)2(12.1 g,95.07 mmol,1.2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2-(알릴옥시)아세틸 클로라이드(288-2)를 제공하였다. LC-MS: [M+C7H9N-HCl+H] + =206.2.
무수 THF(170 mL) 중 1-벤질 3-메틸 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16.9 g, 60.9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78℃에서 LiHMDS(61 mL, 60.94 mmol, 1.0 당량)의 용액을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2-(알릴옥시)아세틸 클로라이드(288-2)(8.2 g, 60.94 mmol, 1.0 당량)를 -78℃에서 한 방울씩 첨가하고, 반응을 -78℃에서 1시간 및 15℃에서 또 다른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H4Cl(200 mL)로 켄치하고, EA(100 mL*3)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1-벤질 3-메틸 3-(2-(알릴옥시)아세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8-3)를 제공하였다. LC-MS: [M+H]+ =376.2.
MeOH(100 mL) 중 1-벤질 3-메틸 3-(2-(알릴옥시)아세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8-3)(20.4 g, 53.3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15℃에서 NaBH4(2.0 g, 53.34 mmol, 1.0 당량)를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H4Cl(100 mL)로 켄치하고, 2N HCl로 PH=4 내지 5로 산성화하고, EtOAc(10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100 ml), 브라인(1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 PE/EA=20: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2-(알릴옥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8-4)를 제공하였다. LC-MS: [M+H]+ =378.3.
건조 MeCN(100 mL) 중 1-벤질 3-메틸 3-(2-(알릴옥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8-4) (10.4 g, 27.5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IS(10.6 g, 4.684 mmol, 1.7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a2SO3(50 mL)으로 켄치하고, EA(100 mL*3)로 추출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 PE/EA=20/1 내지 2/1)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6-(아이오도메틸)-1,4-디옥산-2-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8-5)를 제공하였다. LC-MS: [M+H]+ =504.2.
무수 톨루엔(200 mL) 중 1-벤질 3-메틸 3-(6-(아이오도메틸)-1,4-디옥산-2-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8-5)(4.3 g, 8.54 mmol, 1.0 당량)와 n-Bu3SnH(2.5 g, 8.5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AIBN(140 mg,0.85 mmol, 0.1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하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O(50 mL) 중 KF(0.5 g, 8.54 mmol, 1.0 당량)의 용액으로 켄치하고, 물(100 mL)로 희석하고, EA(100 mL*3)로 추출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 PE/EA=20/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6-메틸-1,4-디옥산-2-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8-6)를 제공하였다. LC-MS: [M+H]+ =378.3 .
MeOH(50 mL) 중 1-벤질 3-메틸 3-(6-메틸-1,4-디옥산-2-일)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88-6)(3.6 g, 9.5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실온에서 H2O(50 mL) 중 LiOH·H2O(4.0 g, 95.38 mmol, 10.0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대부분의 MeOH를 제거하고, 20 ml의 물로 희석하고, 수성층을 EA(10 mL*3)로 세정하였다. 이어서, 수성층을 2N HCl로 PH=3 내지 4로 산성화하고, EA(50 mL*3)로 추출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1-((벤질옥시)카보닐)-3-(6-메틸-1,4-디옥산-2-일)피페리딘-3-카복실산(288-7)을 제공하였다. LC-MS: [M+H]+ =364.3.
무수 THF(800 mL) 중 1-((벤질옥시)카보닐)-3-(6-메틸-1,4-디옥산-2-일)피페리딘-3-카복실산(288-7)(2.1 g, 5.7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20℃에서 TEA(1.7 g, 17.34 mmol, 3.0 당량) 및 DPPA(2.2 g, 8.09 mmol, 1.4 당량)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20℃로 냉각한 후 H2O(10 mL) 중 KOH(1.0 g, 17.34 mmol, 3.0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EA(50 mL*3)로 추출하고, 물(50 mL), 브라인(50 mL)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 PE/EA=20/EA에 대한 1)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하지 않은 생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제조용-HPLC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벤질 3-아미노-3-(6-메틸-1,4,-디옥산-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8-8)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39 - 7.21 (m, 5H), 5.06 (m, 2H), 3.96 - 2.86 (m, 10H), 1.82 - 1.61 (m, 2H), 1.52 - 1.31 (m, 2H), 1.30 - 0.96 (m, 3H). LC-MS: [M+H]+ =335.3.
MeOH(10 ml) 중 벤질 3-아미노-3-(6-메틸-1,4-디옥산-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88-8)(1.0 g, 2.9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Pd(OH)2(104 mg, 10 중량%)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H2 분위기(16 Psi) 하 2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3-(6-메틸-1,4-디옥산-2-일)피페리딘-3-아민(중간체 288-9)을 제공하였다.
중간체 292-3: 3-옥사-1,7-디아자스피로[4.5]데칸-2온
Figure pct00064
THF/MeOH/H2O(1:1:1, 30 mL) 중 1-벤질 3-에틸 3-(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22-2)(2.0 g, 6.9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20℃에서 LiOH.H2O(0.87 g, 20.9 mmol, 3.0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100 mL*3)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1M HCl에 의해 pH=2 내지 3으로 산성화하고, 이어서 EtOAc(10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1-(tert-부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3-카복실산(292-1)을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4.05-3.85 (m, 1H), 3.85-3.65 (m, 3H), 3.45-3.20 (m, 1H), 3.14-2.95 (m, 1H), 1.97-1.85 (m, 1H), 1.80-1.70 (m, 1H), 1.62-1.52 (m, 2H), 1.44 (s, 9H).
톨루엔(40 mL) 중 1-(tert-부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3-카복실산(292-1)(1.8 g, 6.9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하 20℃에서 TEA(1.4 g, 13.9 mmol, 2.0 당량) 및 DPPA(2.7 g, 10.4 mmol, 1.5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2O(10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10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1:1)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2-옥소-3-옥사-1,7-디아자스피로[4.5]데칸-7-카복실레이트(292-2)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5.87 (brs, 1H), 4.22 (d, J = 8.8Hz, 1H), 4.07 (d, J = 8.8Hz,1H), 3.66-3.42 (m, 2H), 3.38-3.18 (m, 2H), 1.85-1.78 (m, 2H), 1.75-1.65 (m, 1H), 1.60-1.52 (m, 1H), 1.48 (s, 9H).
HCl/디옥산(5 mL, 4N) 중 tert-부틸 2-옥소-3-옥사-1,7-디아자스피로[4.5]데칸-7-카복실레이트(292-2)(0.6 g, 2.34 mmol, 1.0 당량)의 용액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여 미정제 3-옥사-1,7-디아자스피로[4.5]데칸-2-온(중간체 292-3)을 제공하였다.
중간체 293-8: 3-(1,1-디플루오로프로프-1-엔-2-일)피페리딘-3-아민
Figure pct00065
N2 분위기 하 -70℃에서의 THF(300 mL) 중 tert-부틸 3-시아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5 g, 119.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LiHMDS(178 mL, 178.57 mmol, 1.5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0분 동안 교반 후 CH3CHO(7.85 g, 178.57 mmol, 3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수성 NH4Cl(200 mL)로 켄치하고, EtOAc(1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2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tOAc, 10% 내지 50%)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1-하이드록시에틸)-3-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1)를 제공하였다.
DCM(150 mL) 중 tert-부틸 3-(1-하이드록시에틸)-3-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293-1)(9 g, 35.4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DMP(22.5 g, 53.15 mmol, 1.5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수성 NaHCO3(150 mL) 및 수성 Na2SO3(150 mL)으로 켄치하고, EtOAc(1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수성 NaHCO3(15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tert-부틸 3-아세틸-3-시아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50-3.85 (m, 2H), 3.20-3.05 (m, 1H), 2.95-2.60 (m, 1H), 2.46 (s, 3H), 2.25-1.70 (m, 4H), 1.48 (s, 9H).
DCM(100 mL) 중 tert-부틸 3-아세틸-3-시아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2)(5 g, 19.8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TFA(15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tOAc(150 mL)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150 m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CbzCl(4.0 g, 23.81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또 다른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EtOAc(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5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tOAc, 0% 내지 30%)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아세틸-3-시아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3)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45-7.30 (m, 5H), 5.25-5.10 (m, 2H), 4.50-4.05 (m, 2H), 3.20 (d, J=13.6 MHz, 1H), 2.95-2.75 (m, 1H), 2.47 (d, J=16.8 MHz, 3H), 2.25-1.60 (m, 4H).
THF(50 mL) 중 벤질 3-아세틸-3-시아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3)(5 g, 17.46 mmol, 1.0 당량)와 2-((디플루오로메틸)설포닐)피리딘(5 g, 26.19 mmol, 1.5 당량)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70℃에서 KHMDS(26 mL, 26.19 mmol, 1.5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수성 NH4Cl(50 mL)로 켄치하고, EtOAc(50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벤질 3-시아노-3-(1,1-디플루오로-2-하이드록시-1-(피리딘-2-일설포닐)프로판-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4)를 제공하였다. LC-MS: [M+H]+ =480.0.
DMF(30 mL) 중 벤질 3-시아노-3-(1,1-디플루오로-2-하이드록시-1-(피리딘-2-일설포닐)프로판-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4)(12 g, 미정제)의 용액에 포화된 NH4Cl(30 mL) 및 수성 HCl(30 mL, 6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냉각하고, H2O(5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물을 EtOAc(50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tOAc, 0% 내지 20%)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시아노-3-(1,1-디플루오로프로프-1-엔-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5)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45-7.30 (m, 5H), 5.30-5.15 (m, 2H), 4.65-4.15 (m, 2H), 3.10-2.70 (m, 2H), 2.25 (d, J=11.2 MHz, 1H), 2.10-1.60 (m, 6H). LC-MS: [M+H]+ =320.9.
MeOH(100 mL) 중 벤질 3-시아노-3-(1,1-디플루오로프로프-1-엔-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5)(2.7 g, 8.44 mmol, 1.0 당량)와 1 M NaOH(12.6 mL, 1.5 당량)의 혼합물에 H2O2(30%, 6.68 g, 59 mmol, 7.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18℃에서 3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포화된 Na2S2O3(50 mL)으로 켄치하였다. 수성층을 EtOAc(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건조한 상태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tOAc, 0 내지 40%)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카바모일-3-(1,1-디플루오로프로프-1-엔-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6)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ppm 7.42-7.30 (m, 5H), 5.22-5.08 (m, 2H), 4.48 (brs, 1H), 3.99 (brs, 1H), 3.17-2.88 (m, 2H), 2.53 (brs, 1H), 1.76-1.46 (m, 7H).
MeOH(30 mL) 중 벤질 3-카바모일-3-(1,1-디플루오로프로프-1-엔-2-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6)(1.34 g, 4 mmol, 1.0 당량)와 KOH(560 mg, 10 mmol, 2.5 당량)의 용액에 0℃에서 PhI(OAc)2(1.53 g, 4.8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포화된 NH4Cl 용액(50 mL)으로 켄치하였다. 수성층을 EtOAc(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PE 중 EtOAc, 0 내지 30%)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1,1-디플루오로프로프-1-엔-2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7)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42-7.30 (m, 5H), 5.24-5.08 (m, 2H), 4.30 (d, J=14.2 Hz, 1 H), 4.18-4.04 (m, 1H), 3.60 (s, 3H), 2.82 (brs, 2H), 1.73-1.60 (m, 4H), 1.57 (s, 3H). LC-MS: [M+H]+ =369.0.
DCM(15 mL) 중 벤질 3-(1,1-디플루오로프로프-1-엔-2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3-7)(600 mg, 1.6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TMSI(977 mg, 4.89 mmol, 3.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16℃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10 mL)로 켄치하였다. 수성층을 1 M HCl 용액에 의해 pH=4 내지 5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DCM과 물 사이에서 분획하였다. 수성층을 동결건조하여 3-(1,1-디플루오로프로프-1-엔-2-일)피페리딘-3-아민 HCl 염(중간체 293-8)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ppm 3.73 (d, J=13.4 Hz, 1 H), 3.17 (d, J=12.8 Hz, 2 H), 2.98 (t, J=10.2 Hz, 1 H), 2.27 (d, J=13.6 Hz, 1 H), 2.01-1.78 (m, 2 H), 1.71 (t, J=3.4 Hz, 3 H), 1.65-1.50 (m, 1 H). LC-MS: [M+H]+ =177.1
중간체 295-6: 3-(1-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아민
Figure pct00066
MeOH(10 ml) 중 1-벤질 3-메틸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160 mg, 0.41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LiCl(510mg, 12.3 mmol) 및 NaBH4(462 mg, 12.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출발 물질이 남지 않을 때까지 이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A로 희석하고, 1N HCl 및 브라인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알코올을 제공하였다. LC-MS: [M+H-100]+ =265.0.
DCM(15 mL) 중 상기 알코올(560 mg, 1.537 mmol) 용액에 데스-마틴 시약(782 mg, 1.84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수성 NaHCO3(10 ml)으로 처리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DCM(10 ml*2)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n-헥산 중 EA(0 내지 50%)로 용출하는 것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포르밀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5-1)를 제공하였다. LC-MS: [M+H-100]+ =624.8.
THF(1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포르밀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5-1)(100 mg, 0.276 mmol)의 용액에 -78℃에서 2-Me THF 중 수성 CH3MgBr(3M, 0.138 ml, 0.414 mmol)을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또 다른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또 다른 2시간 동안 0℃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수성 NH4Cl(10 ml)로 켄치하고, EA(2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n-헥산 중 EA(0 내지 50%)로 용출하는 것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을 제공하였다. LC-MS: [M+H-100]+ =279.0. DCM(3 ml) 중 상기 알코올(100 mg, 0.264 mmol)의 용액에 TFA(0.5 ml)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40℃ 미만)에서 농축하여 벤질 3-아미노-3-(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5-2)를 제공하였다. LC-MS [M+H]+ =279.0.
DCM(20 mL) 중 벤질 3-아미노-3-(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5-2)(330 mg, 1.186 mmol)와 DMAP(14.48 mg, 0.119 mmol)와 DIPEA(0.958 mL, 5.34mmol)의 용액에 NsCl(657 mg, 2.96 mmol)을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N2 하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수성 NaHCO3(20 mL)으로 처리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DCM(20 mL*2)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A 중 n-헥산(0 내지 30%)으로 용출하는 것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2-메틸-1-((4-니트로페닐)설포닐)-1,5-디아자스피로[2.5]옥탄-5-카복실레이트(295-3)를 제공하였다. LC-MS: [M+H]+ = 445.8.
THF(10 mL) 중 벤질 2-메틸-1-((4-니트로페닐)설포닐)-1,5-디아자스피로[2.5]옥탄-5-카복실레이트(295-3)(420 mg, 0.943 mmol)의 용액에 N2 하에서 THF 중 1 M TBAF(0.606 ml, 0.60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5℃로 밤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EA(15 mL) 및 H2O(10 mL)로 처리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A(15 mL *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고, 제조용 HPLC를 통해 정제하여 벤질 3-(1-플루오로에틸)-3-((4-니트로페닐)설폰아미도)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5-4)를 제공하였다. LC-MS: [M+H]+ = 465.8.
CH3CN(10 mL) 중 티오글리콜산(71.2 mg, 0.773mmol)과 DBU 235(98 mg, 1.547 mmol)의 혼합물을 N2 하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CH3CN(2 mL) 중 벤질 3-(1-플루오로에틸)-3-((4-니트로페닐)설폰아미도)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5-4)(120 mg, 0.258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A(10 ml)로 처리하고, 수성 NaHCO3(5 mL *2), H2O(10 mL) 및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고, 제조용 HPLC를 통해 정제하여 벤질 3-아미노-3-(1-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5-5)를 제공하였다. LC-MS: [M+H]+ = 281.1.
MeOH(15 ml) 중 벤질 3-아미노-3-(1-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5-5)(120 mg, 0.428 mmol)의 용액에 N2 하에서 Pd(OH)2(60 mg)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N2 풍선 하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하여 3-(1-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아민(중간체 295-6)을 제공하였다. LC-MS: [M+H]+= 147.1
중간체 297-6: 3-((메틸티오)메틸)피페리딘-3-아민
Figure pct00067
THF(200 mL) 중 1-벤질 3-에틸 3-((((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2-3)(18.0 g, 39.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MeSNa(11.0 g, 159 mmol, 4.0 당량)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15 내지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300 mL)로 켄치하고, EtOAc(3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에틸 3-((메틸티오)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97-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25-7.45 (5H, m), 5.13 (2H, s), 4.05-4.25 (2H, m), 3.80-4.00 (1H, m), 3.25-3.60 (3H, m), 2.60-2.85 (2H, m), 2.00-2.15 (4H, m), 1.55-1.75 (3H, m), 1.10-1.30 (3H, m).
MeOH/THF/H2O(120 mL, 부피/부피/부피 = 1/1/1) 중 1-벤질 3-에틸 3-((메틸티오)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297-1)(10.0 g, 28.5 mmol, 1.0 당량)와 LiOH.H2O(12.0 g, 285 mmol, 10.0 당량)의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물(200 mL)로 희석하고, MTBE(100 m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수성층의 pH를 1H HCl에 의해 5로 조절하고, EtOAc(2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1-((벤질옥시)카보닐)-3-((메틸티오)메틸)피페리딘-3-카복실산(297-2)을 제공하였다. LC-MS: [M+H]+ =324.1.
톨루엔(100 mL) 중 1-((벤질옥시)카보닐)-3-((메틸티오)메틸)피페리딘-3-카복실산(297-2)(8.00 g, 24.7 mmol, 1.0 당량)과 DPPA(7.50 g, 27.2 mmol, 1.1 당량)와 Et3N (5.00 g, 48.5 mmol, 2.0 당량)의 혼합물을 N2 하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디옥산(50 mL)과 6N HCl(50 mL)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25 내지 3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수성층의 pH를 1N NaOH에 의해 9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EtOAc(2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DCM(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DIPEA(10.0 g, 74.2 mmol, 3.0 eq) 및 Boc2O(11.0 g, 48.4 mmol)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25 내지 3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티오)메틸) 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7-5)를 제공하였다. LC-MS: [M+H-100]+=295.1.
CH3CN(5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티오)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7-5)(2.37 g, 6.00 mmol, 1 당량)의 용액에 약 0℃에서 TMSI(3.60 g, 18 mmol, 3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20 mL) 및 HCl/디옥산(5 mL, 4M)으로 조심스럽게 켄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물(2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MTBE(40 mL*4)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동결건조하여 미정제 3-((메틸티오)메틸)피페리딘-3-아민(중간체 297-6)을 제공하였다.
중간체 299-3: 1-(3-아미노피페리딘-3-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올을 갖는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 화합물(1:1)
Figure pct00068
THF(50 mL) 중 tert-부틸 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5.0 g, 21.71 mmol, 1.0 당량)와 2,2,2-트리플루오로에탄-1,1-디올(10.08 g, 86.86 mmol, 4.0 당량)의 혼합물에 60℃에서 16시간 동안 K2CO3(1.8 g, 13.03 mmol, 0.6 당량)을 첨가하였다. 1N HCl(10 mL)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EA(4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3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tert-부틸 3-니트로-3-(2,2,2-트리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9-1)를 제공하였다. H NMR: 1H NMR (400 MHz, CDCl3) δ ppm 5.01 - 4.71 (m, 2H), 4.67 - 4.34 (m, 1H), 4.07 - 3.35 (m, 2H), 2.88 - 2.13 (m, 2H), 1.95 - 1.52 (m, 2H), 1.50 - 1.36 (m, 9H). LCMS: [M+H-56]+=273.3.
EtOH/H2O(40 mL, 부피/부피 =4:1) 중 tert-부틸 3-니트로-3-(2,2,2-트리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9-1)(4.0 g, 12.89 mmol, 1.0 당량)와 NH4Cl(3.45 g, 64.45 mmol, 5.0 당량)의 용액에 N2 하 25℃에서 Zn(8.43 g, 128.91 mmol, 10.0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수성 조건 하에서 워크업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10:1)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아미노-3-(2,2,2-트리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9-2)를 제공하였다. H NMR: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05 - 3.93 (m, 1H), 3.69 - 3.50 (m, 2H), 3.22 - 2.74 (m, 2H), 1.90 - 1.70 (m, 2H), 1.68 - 1.60 (m, 2H), 1.47 (s, 9H).
DCM(10 mL) 중 tert-부틸 3-아미노-3-(2,2,2-트리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99-2)의 용액에 질소의 보호 하에 TFA(2 mL)를 한 방울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여 1-(3-아미노피페리딘-3-일)-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올을 갖는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 화합물(1:1)(중간체 299-3)을 제공하였다.
중간체 300-6: (5-(3-아미노-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탄올
Figure pct00069
THF(30 mL) 중 tert-부틸 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 g, 13.03 mmol)의 용액에 K2CO3(0.540 g, 3.91 mmol) 및 1-에톡시-2,2-디플루오로에탄올(4.93 g, 39.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55℃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0-1)를 제공하였다. LC-MS: [M+H]+ = 311.1
BAST(20 mL) 중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3-니트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0-1)(2.0g, 6.45 mmol)의 용액을 N2 분위기 하 6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포화된 NaHCO3 용액,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니트로-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0-2)를 제공하였다. LC-MS: [M+H]+ = 313.1
EtOH(30 mL)와 수(15 mL) 중 tert-부틸 3-니트로-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0-2)(1.36g, 4.35 mmol)의 용액에 Fe(2.432 g, 43.5 mmol) 및 NH4Cl(1.165 g, 21.7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6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3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아미노-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0-3)를 제공하였다. LC-MS: [M+H]+ = 283.2.
DCM(12 mL) 중 tert-부틸 3-아미노-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0-3)(700 mg, 2.480 mmol)의 용액에 TFA(4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아민(300-4)을 제공하였다. LC-MS: [M+H]+ = 183.2.
DMSO(30 mL) 중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0.847 g, 3.17 mmol)와 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아민(300-4)(1.3g, 3.17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DIPEA(1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8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수성 조건 하에서 워크업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아미노-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00-5)를 제공하였다. LC-MS: [M+H]+ = 430.1.
THF(20 mL)와 메탄올(20 mL) 중 메틸 5-(3-아미노-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00-5)(0.65 g, 1.514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염화리튬(1.284 g, 30.3 mmol) 및 나트륨 테트라하이드로보레이트(1.145 g, 30.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1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5-(3-아미노-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탄올(중간체 300-6)을 제공하였다. LC-MS: [M+H]+ = 402.2.
중간체 300-7
Figure pct00070
THF(90 mL) 중 (5-(3-아미노-3-(1,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탄올(중간체 300-6)(500 mg, 1.246 mmol)과 중간체 B(501 mg, 1.495 mmol)와 트리페닐포스핀(980 mg, 3.74 mmol)의 용액에 0℃에서 DEAD(0.592 mL, 3.74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5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중간체 300-7을 제공하였다. LC-MS: [M+H]+ = 719.2.
중간체 301-8: 3-아미노-1-(4-(클로로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4-올
Figure pct00071
THF(9 mL) 중 LDA(6.94 mL, 13.88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78℃에서 THF 중 1-(tert-부틸) 3-메틸 4-하이드록시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1.5g, 5.78 mmol)를 첨가하고, 이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 후, HMPA(5 mL, 28.7 mmol) 중 1,1-디플루오로-2-아이오도에탄(1.443 g, 7.52 mmol)의 용액을 -15℃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틸) 3-메틸 3-(2,2-디플루오로에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301-1)를 제공하였다. LC-MS: [M+H]+ = 324.1.
메탄올(5 mL) 중 1-(tert-부틸) 3-메틸 3-(2,2-디플루오로에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301-1)(0.6g, 1.856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수(5 mL) 중 LiOH(700 mg, 29.2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pH를 3M HCl 용액의 첨가에 의해 4로 조절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1-(tert-부톡시카보닐)-3-(2,2-디플루오로에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3-카복실산(301-2)을 제공하였다. LC-MS: [M+H]+ = 310.1.
톨루엔(10 mL) 중 1-(tert-부톡시카보닐)-3-(2,2-디플루오로에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3-카복실산(301-2)(0.4 g, 1.293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DPPA(0.534 g, 1.940 mmol) 및 TEA(0.721 mL, 5.17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10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a-(2,2-디플루오로에틸)-2-옥소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5(4H)-카복실레이트(303-3)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8.12 (s, 1H), 6.43 - 5.89 (m, 1H), 4.41 - 4.15 (m, 2H), 4.13 (dt, J = 12.9, 2.5 Hz, 1H), 3.03 - 2.75 (m, 2H), 2.03 - 1.74 (m, 4H), 1.39 (s, 9H). LC-MS: [M+H]+ = 307.1.
DCM(9 mL) 중 tert-부틸 3a-(2,2-디플루오로에틸)-2-옥소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5(4H)-카복실레이트(301-3) (400 mg, 1.306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TFA(3 mL, 38.9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3a-(2,2-디플루오로에틸)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2(3H)-온(301-4)을 제공하였다. LC-MS: [M+H]+ = 207.1.
DMSO(10 mL) 중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259 mg, 0.970 mmol)와 3a-(2,2-디플루오로에틸)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2(3H)-온(301-4)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DIPEA(10 mL, 57.3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12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3), 브라인(20 ml)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a-(2,2-디플루오로에틸)-2-옥소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5(4H)-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01-5)를 제공하였다. LC-MS: [M+H]+ = 454.1.
THF(5 ml)와 메탄올(5 ml) 중 메틸 5-(3a-(2,2-디플루오로에틸)-2-옥소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5(4H)-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01-5)(40 mg, 0.088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LiCl(74.8 mg, 1.764 mmol) 및 NaBH4(33.4 mg, 0.882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한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3a-(2,2-디플루오로에틸)-5-(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2(3H)-온(301-6)을 제공하였다. LC-MS: [M+H]+ = 426.2.
MeOH(10 mL)와 수(10 mL) 중 3a-(2,2-디플루오로에틸)-5-(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2(3H)-온(301-6)(100 mg, 0.235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KOH(132 mg, 2.351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10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3-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4-올(301-7)을 제공하였다. LC-MS: [M+H]+ = 400.1.
DCM(10 mL) 중 3-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4-올(301-7)(130 mg, 0.325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0℃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0.119 mL, 1.627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0℃에서 5 ml의 포화된 K2CO3 수용액으로 켄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20 ml*3)으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3-아미노-1-(4-(클로로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4-올(중간체 301-8)을 제공하였다. LC-MS: [M+H]+ = 418.1.
중간체 302-9: 3-아미노-3-(6-클로로피리딘-2-일)-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4-올
Figure pct00072
DCM(450 mL) 중 m-CPBA(23.17 g, 94 mmol)와 2-클로로-6-아이오도피리딘(15g, 62.6 mmol)의 용액에 0℃에서 TfOH(22.25 mL, 251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메시틸렌(9.54 mL, 68.9 mmol)을 0℃에서 한 방울씩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내에서 제거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20℃에서 Et2O 중에서 재결정화하여 (6-클로로피리딘-2-일)(메시틸)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302-1)를 제공하였다. LC-MS: [M+H]+ =358.
DMF(30 mL) 중 1-tert-부틸 3-메틸 4-옥소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1.3 g, 5.05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칼륨 tert-부톡사이드(0.680 g, 6.0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6-클로로피리딘-2-일)(메시틸)아이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중간체 302-1)(3.52 g, 5.5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헥산 중 0% 내지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틸) 3-메틸 3-(6-클로로피리딘-2-일)-4-옥소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302-2)를 제공하였다. LC-MS: [M+H]+ =369.0
MeOH(30 mL) 중 1-(tert-부틸) 3-메틸 3-(6-클로로피리딘-2-일)-4-옥소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302-2)(1.0g, 2.71 mmol)의 용액에 0℃에서 나트륨 테트라하이드로보레이트(0.205 g, 5.4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헥산 중 0% 내지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틸) 3-메틸 3-(6-클로로피리딘-2-일)-4-하이드록시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302-3)를 제공하였다. LC-MS: [M+H]+ =371.0
메탄올(5 mL)과 수(5 mL) 중 1-(tert-부틸) 3-메틸 3-(6-클로로피리딘-2-일)-4-하이드록시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302-3) (0.9 g, 2.427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LiOH(0.581 g, 24.2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pH를 5M HCl 수용액의 첨가에 의해 4로 조절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톡시카보닐)-3-(6-클로로피리딘-2-일)-4-하이드록시피페리딘-3-카복실산(302-4)을 제공하였다. LC-MS: [M+H]+ =357.1.
톨루엔(20 mL) 중 1-(tert-부톡시카보닐)-3-(6-클로로피리딘-2-일)-4-하이드록시피페리딘-3-카복실산(302-4)(0.8g, 2.242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DPPA(0.926 g, 3.36 mmol) 및 TEA(1.250 mL, 8.9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메탄올(0.091 mL, 2.24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10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a-(6-클로로피리딘-2-일)-2-옥소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5(4H)-카복실레이트(302-5)를 제공하였다. LC-MS: [M+H]+ =354.1.
DCM(9 mL) 중 tert-부틸 3a-(6-클로로피리딘-2-일)-2-옥소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5(4H)-카복실레이트(302-5)(400 mg, 0.113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TFA(3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미정제 3a-(6-클로로피리딘-2-일)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2(3H)-온(302-6)을 제공하였다. LC-MS: [M+H]+ =254.1
DMSO(5 mL) 중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87 mg, 0.326 mmol)와 3a-(6-클로로피리딘-2-일)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2(3H)-온(302-6)(120mg, 0.326 mmol)의 용액에 DIPEA(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a-(6-클로로피리딘-2-일)-2-옥소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5(4H)-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02-7)를 제공하였다. LC-MS: [M+H]+ =501.1
메탄올(5 mL)과 THF(5 mL) 중 메틸 5-(3a-(6-클로로피리딘-2-일)-2-옥소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5(4H)-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02-7)(70 mg, 0.140 mmol)의 용액에 염화리튬(59.2 mg, 1.398 mmol) 및 나트륨 테트라하이드로보레이트(52.9 mg, 1.39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3a-(6-클로로피리딘-2-일)-5-(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2(3H)-온(302-8)을 제공하였다. LC-MS: [M+H]+ =473.1.
메탄올(5 mL) 중 3a-(6-클로로피리딘-2-일)-5-(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헥사하이드로옥사졸로[4,5-c]피리딘-2(3H)-온(302-8)(50 mg, 0.106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수(5 ml) 중 KOH(59.3 mg, 1.057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3-아미노-3-(6-클로로피리딘-2-일)-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4올(중간체 302-9)을 제공하였다. LC-MS: [M+H]+ =447.1
중간체 303-3: 3-(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아민
Figure pct00073
토그니 시약(Togni reagent)(6.42 g, 19.46 mmol) 및 테트라키스(아세토니트릴)구리(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483 mg, 1.297 mmol)를 N2 하에서 DMA(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시약 1(3 g, 12.97 mmol) 및 TMSN3(2.99 g, 25.9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A(50 ml) 및 H2O(50 ml)로 처리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A(3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n-헥산 중 EA(0 내지 20%)로 용출하는 것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아지도-3-(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3-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7.31 - 7.51 (m, 1 H), 5.03 - 5.34 (m, 1 H), 3.86 (d, J=12.80 Hz, 1 H), 3.20 (d, J=13.55 Hz, 1 H), 2.39 (br. s., 1 H),1.92 - 2.01 (m, 1 H), 1.81 (d, J=9.54 Hz, 2 H) ), 1.54 - 1.72 (m, 1 H).
MeOH(20 ml) 중 벤질 3-아지도-3-(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3-1)(1.3 g, 0.15 mmol)의 용액에 인듐 분말(1.3 g, 11.4 mmol) 및 NH4Cl(0.609 g, 11.3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여 밀봉된 튜브 하에서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제조용 HPLC를 통해 정제하여 벤질 3-아미노-3-(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TFA 염(303-2)을 제공하였다. LC-MS: [M+H]+ =316.9.
MeOH(40 ml) 중 벤질 3-아미노-3-(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3-2)(500 mg, 1.58 mmol)의 용액에 N2 하에서 Pd(OH)2(222 mg, 1.581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H2 풍선 하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3-(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아민(중간체 303-3)으로 농축하였다. 1H NMR (CDCl3) δ: 3.57 - 3.35 (m, 4H), 3.02 - 2.84 (m, 2H), 2.43 (q, J = 11.1 Hz, 2H), 2.25 (dddd, J = 17.3, 13.2, 8.6, 4.2 Hz, 1H), 1.96 (d, J = 13.1 Hz, 1H), 1.84 - 1.59 (m, 2H) LC-MS: [M+H]+ =183.0.
중간체 304-7: 메틸 (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에티닐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74
건조 메탄올(120 mL) 중 1-벤질 3-에틸 3-포르밀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6.5 g, 20.4 mmol, 1.0 당량)와 디메틸 (1-디아조-2-옥소프로필)포스포네이트(7.8 g, 40.8 mmol, 2.0 당량)의 용액에 K2CO3(8.5 g, 61.2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 내지 7℃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70/30)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3-메틸 3-에티닐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304-1)를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7.48-7.28 (m, 5H), 5.14 (s, 2H), 4.25-4.09 (m, 1H), 4.00-3.84 (m, 1H), 3.73 (s, 3H), 3.48 (d, J = 12.8 Hz, 1H), 3.14-2.97 (m, 1H), 2.20 (s, 1H), 2.06-1.80 (m, 3H), 1.64-1.60 (m, 1H).
THF(50 mL)와 물(15 mL) 중 1-벤질 3-메틸 3-에티닐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중간체 304-1)(3.1 g, 10.3 mmol, 1.0당량)의 용액에 LiOH.H2O(1.7 g, 41.1 mmol, 4.0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하고, EA(80 mL)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1N HCl(수성)로 pH=2로 산성화하였다. 현탁액을 DCM(80 mL*2)으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1-((벤질옥시)카보닐)-3-에티닐피페리딘-3-카복실산(304-2)을 제공하였다. 1H NMR (CDCl3 400MHz): δ 10.03 (brs, 1H), 7.40-7.31 (m, 5H), 5.17 (s, 2H), 4.29-4.16 (m, 1H), 4.02-3.88 (m, 1H), 3.49 (d, J = 12 Hz, 1H), 3.15-2.98 (m, 1H), 2.24 (s, 1H), 2.12-2.06 (m, 1H), 2.04-1.92 (m, 2H), 1.67-1.64 (m, 1H).
DCM(125 mL) 중 1-((벤질옥시)카보닐)-3-에티닐피페리딘-3-카복실산(304-2)(2.7 g, 9.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H4Cl(1 g, 18.8 mmol, 2.0 당량), HATU(7.1 g, 18.8 mmol, 2.0 당량) 및 DIEA(4.9 g, 37.6 mmol, 4 당량)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100 mL) 및 브라인(15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50/50)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카바모일-3-에티닐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4-3)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35-7.21 (m, 5H), 6.68-6.59 (d, J = 36.8 Hz, 1H), 5.87 (s, 1H), 5.11-5.01 (m, 2H), 4.25-4.02 (m, 2H), 3.20-3.14 (m, 1H), 2.89-2.64 (m, 1H), 2.26 (d, J = 20.8 Hz, 1H), 2.12-1.71 (m, 3H), 1.57 (d, J = 10 Hz, 1H).
메탄올(100 mL) 중 벤질 3-카바모일-3-에티닐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4-3)(2.5 g, 8.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KOH(1.2 g, 21.8 mmol, 2.5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PhI(OAc)2(2.8 g, 8.7 mmol, 1.0 당량)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3 내지 1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색상이 무색에서 황색으로 변하였다. 반응을 농축하고, 물(150 mL)로 희석하고, EA(100 mL*2)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70/30)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에티닐-3-((메톡시카보닐)아미노) 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4-4)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3OD): δ 7.48-7.30 (m, 5H), 5.20-4.86 (m, 3H), 4.13-3.83 (m, 2H), 3.65 (s, 3H), 3.51-3.22 (m, 2H), 2.69-2.30 (m, 2H), 1.95-1.64 (m, 3H).
DCM(10 mL) 중 벤질 3-에티닐-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4-4)(800 mg, 2.53 mmol, 1.0 당량)와 TFA(10 mL)의 혼합물을 7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DCM(2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된 NaHCO3 용액(50 mL) 내로 붓고, CHCl3/i-PrOH = 3/1(50 mL*4)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메틸 (3-에티닐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304-5)를 제공하였다. LCMS: [M+H]+=182.9.
DMSO(10 mL) 중 메틸 (3-에티닐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304-5)(600 mg, 2.53 mmol, 1.0 당량)와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670 mg, 2.53 mmol, 1.0 당량)의 혼합물에 DIEA(2.3 g, 7.0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2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물(100 mL)로 희석하고, EA(50 mL*2)로 추출하고, 브라인(10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10/1 내지 70/30)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3-에티닐-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이소니코티네이트(304-6)를 제공하였다. LCMS: [M+H]+= 430.2.
건조 THF(12 mL) 중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3-에티닐-3-((메톡시카보닐)아미노) 피페리딘-1-일)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304-6)(280 mg, 0.65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하 0℃에서 L-셀렉트리드(3.9 mL)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용액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30 mL)으로 켄치하고, 물(100 mL)로 희석하고, EA(50 mL*2)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1/1)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에티닐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304-7)를 제공하였다. LCMS: 402.1 [M+H]+=402.1.
중간체 305-5: 3-(디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3-아민
Figure pct00075
N2 분위기 하 0℃에서의 DCM(100 mL) 중 1-벤질 3-에틸 3-포르밀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7.0 g, 21.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DAST(14.1 g, 87.8 mmol, 4.0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을 10℃로 가온되도록 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0℃로 냉각하고, 수성 NaHCO3(100 mL)으로 조심스럽게 켄치하였다. 혼합물을 DCM(50 mLx3)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PE/EA=10/1)에 의해 정제하여 4.0 g의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제조용-HPLC(첨가제로서 0.1% TFA)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1-벤질 3-에틸 3-(디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305-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45-7.28 (m, 5H), 5.89 (t, J = 15.2 Hz, 1H), 5.16 (s, 2H), 4.55-4.37 (m, 1H), 4.27-4.05 (m, 2H), 4.04-3.87 (m, 1H), 3.28-3.10 (m, 1H), 3.05-2.90 (m, 1H), 2.25-2.10 (m, 1H), 1.80-1.60 (m, 3H), 1.30-1.12 (m, 3H).
THF(10 mL)와 MeOH(10 mL)와 H2O(10 mL) 중 1-벤질 3-에틸 3-(디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305-1)(2.6 g, 7.62 mmol, 1 당량)의 혼합물에 LiOH.H2O(3.2 g, 76.2 mmol, 1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4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6M HCl로 pH=3으로 산성화한 후 DCM(30 mLx3)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5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1-((벤질옥시)카보닐)-3-(디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3-카복실산(305-2)을 제공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 7.45-7.25 (m, 5H), 5.93 (t, J = 15.6 Hz, 1H), 5.17 (s, 2H), 4.55-4.42 (m, 1H), 4.05-3.95 (m, 1H), 3.25-3.15 (m, 1H), 3.05-2.95 (m, 1H), 2.28-2.15 (m, 1H), 1.85-1.68 (m, 3H). LCMS: [M+H]+=314.
N2 분위기 하 톨루엔(50 mL) 중 1-((벤질옥시)카보닐)-3-(디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3-카복실산(305-2)(3.4 g, 10.9 mmol, 1.0 당량)과 Et3N(2.2 g, 21.72 mmol, 2.0 당량)의 혼합물에 DPPA(3.3 g, 11.9 mmol, 1.1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가열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EtOAc(100 mL)로 희석한 후 H2O(50 mLx2)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벤질 3-(디플루오로메틸)-3-이소시아나토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5-3)를 제공하였다.
디옥산(10 mL) 중 벤질 3-(디플루오로메틸)-3-이소시아나토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5-3)(3.4 g, 10.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6M HCl(10 mL)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4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디옥산을 제거한 후 H2O(20 mL)로 희석하고, EtOAc(20 mL)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수성 NaOH로 pH = 10으로 염기성화하였다. 혼합물을 DCM(50 mLx3)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벤질 3-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5-4)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45-7.28 (m, 5H), 5.56 (t, J = 16.0 Hz, 1H), 5.15 (s, 2H), 3.88-3.80 (m, 1H), 3.65-3.50 (m, 1H), 3.35-3.00 (m, 2H), 1.87-1.65 (m, 4H), 1.30-1.15 (m, 2H). LCMS: [M+H]+=285.
EtOH(36 mL) 중 벤질 3-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305-4)(1.8 g, 6.33 mmol, 1 당량)와 Pd/C(10%, 1.5 g)의 혼합물을 H2 풍선 하에서 3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건조한 상태로 농축하여 3-(디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3-아민(중간체 305-5)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3OD): δ5.68 (t, J = 16.4 Hz, 1H), 5.15 (s, 2H), 2.88-2.75 (m, 1H), 2.80-2.65 (m, 1H), 2.63-2.52 (m, 2H), 1.80-1.65 (m, 2H), 1.62-1.51 (m, 2H).
중간체 306-9: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R,5R)-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
Figure pct00076
에틸 5-브로모니코티네이트(20.0 g, 86.9 mmol, 1 당량)와 NH2Boc(12.2 g, 104 mmol, 1.2 당량)와 Xant-Phos(1.60 g, 2.77 mmol, 0.03 당량)와 Pd2(dba)3(1.60 g, 1.75 mmol, 0.02 당량)과 Cs2CO3(40.0 g, 123 mmol, 1.4 당량)과 디옥산(300 mL)의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1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건조한 상태로 농축하였다. 물(800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EtOAc(30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EtOAc/PE=0 내지 40%)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니코티네이트(306-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8.89 (d, J = 2.0 Hz, 1H), 8.72 (d, J = 2.8 Hz, 1H), 8.47 (s, 1H), 6.99 (brs, 1H), 4.41 (q, J = 7.6 Hz, 2H), 1.54 (s, 9H), 1.40 (t, J = 7.2 Hz, 3H).
THF(200 mL) 중 LAH(3.05 g, 80.3 mmol, 1.6 당량)의 용액에 0℃에서 THF(200 mL) 중 에틸 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니코티네이트(306-1)(13.5 g, 50.7 mmol, 1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약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3 mL), 10% NaOH(3 mL) 및 물(10 mL)로 조심스럽게 켄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건조한 상태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EtOAc/PE=0 내지 100%)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5-(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카바메이트(306-2)를 제공하였다. 1HNMR (400MHz, CDCl3): δ 8.33 (d, J = 2.4 Hz, 1H), 8.22 (d, J = 1.6 Hz, 1H), 8.01 (s, 1H), 7.23 (brs, 1H), 4.69 (s, 2H), 1.53 (s, 9H).
AcOH(3 mL)와 EtOH(300 mL) 중 tert-부틸 (5-(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306-2)(10.0 g, 44.6 mmol, 1 당량)와 PtO2(3.0 g)의 혼합물을 H2 분위기(50 psi) 하 50℃에서 7일 동안 수소화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건조한 상태로 농축하여 tert-부틸 (5-(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306-3)를 제공하였다. LC-MS: [M+H]+ = 230.1
THF(100 mL)와 H2O(100 mL) 중 tert-부틸 (5-(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306-3)(10.0 g, 비(非)순수, 1 당량)와 NaHCO3(10.9 g, 130 mmol, 3 당량)의 현탁액에 약 0℃에서 CbzCl(8.20 g, 47.4 mmol, 1.1 당량)을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약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00 mL) 내로 붓고, EtOAc(20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건조한 상태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EtOAc/PE=0 내지 70%)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6-4)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40-7.25 (m, 5H), 5.25-5.05 (m, 2H), 4.80-4.10 (m, 3H), 3.65-3.40 (m, 4H), 2.60-2.45 (m, 1H), 2.15-2.00 (m, 1H), 1.98-1.65 (m, 2H), 1.43 (s, 9H), 1.15-1.00 (m, 1H). LC-MS: [M+Na]+ = 387.1.
THF(6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6-4)(3.50 g, 9.60 mmol, 1.0 당량)의 혼합물에 Et3N(13.6 g, 134 mmol, 14.0 당량), FSO2(CF2)3CF3(5.80 g, 19.2 mmol, 2.0 당량) 및 TEA.3HF(6.19 g, 38.4 mmol, 4.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PE/EA 10/1 내지 3/1)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6-5)를 제공하였다. LC-MS: [M+Na]+ = 389.1.
MeOH(30 mL) 중 벤질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6-5)(2.50 g, 6.8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Pd(OH)2/C(250 mg, 10 중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tert-부틸 (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305-6)를 제공하였다. LC-MS: [M+H]+ = 233.1.
DMSO(15 mL) 중 tert-부틸 (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306-6)(1.50 g, 6.5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DIEA(5.89 g, 45.6 mmol, 7.0 당량) 및 메틸 5-플루오로-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D)(1.82 g, 6.51 mmol, 1.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하 1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하고, EtOAc(2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10/1 내지 2/1)에 의해 정제하고, 제조용-HPLC(첨가제로서 0.05% NH3.H2O)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메틸 5-((3R,5R)-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06-7)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3OD): δ 8.45 (s, 1H), 7.93 (s, 1H), 7.76-7.67 (m, 2H), 7.19 (t, J = 8.4 Hz, 1H), 4.51 (d, J = 6.0 Hz, 1H), 4.39 (d, J = 6.0 Hz, 1H), 4.02 (s, 3H), 3.94 (s, 3H), 3.92-3.86 (m, 1H), 3.35-3.24 (m, 1H), 3.20-3.08 (m, 2H), 3.01-2.92 (m, 1H), 2.46-2.31 (m,1H), 1.84-1.76 (m, 1H), 1.64-1.54 (m, 1H), 1.42-1.41 (m, 10H). LC-MS: [M+H]+ = 492.2
THF(2 mL)와 MeOH(2 mL) 중 메틸 5-((3R,5R)-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06-7)(120 mg, 0.24 mmol, 1.0 당량)와 LiCl(102 mg, 2.44 mmol, 10 당량)의 혼합물에 NaBH4(181 mg, 4.88 mmol, 20 당량)를 조금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2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1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상을 브라인(10 mLx2)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tert-부틸 ((3R,5R)-1-(6-(3-플루오로-4-메톡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306-8)를 제공하였다. LC-MS: [M+H]+ = 464.3
tert-부틸 ((3R,5R)-1-(6-(3-플루오로-4-메톡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306-8)(100 mg, 0.22 mmol, 1.0 당량)와 중간체 B(109 mg, 0.32 mmol, 1.5 당량)와 n-Bu3P(66.0 mg, 0.32 mmol, 1.5 당량)와 THF(10 mL)의 혼합물에 DIAD(66.0 mg, 0.32 mmol, 1.5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N2 하 2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PE/EA = 5: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R,5R)-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중간체 306-9)를 제공하였다. LC-MS: [M+Na]+ = 803.4
중간체 311-11: 메틸 5-(3-(벤질(메톡시카보닐)아미노)-2-((디플루오로에톡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77
무수 MeOH(500 mL) 중 3-아미노피콜린산(50 g, 36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H2SO4 농축물(106 g, 1090 mmol, 3.0 당량)을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을 8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SOCl2(130 g, 1090mmol, 3.0 당량)를 반응에 첨가하고, 80℃에서 또 다른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농축하고, 물(500 mL)로 희석하고, K2CO3(s)로 PH=9로 염기성화하고, EA(500 mL×3)로 추출하고, 브라인(50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메틸 3-아미노피콜리네이트(311-1)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8.04 (d, J=4.3 Hz, 1H), 7.20 (dd, J=4.3, 8.4 Hz, 1H), 7.04 (dd, J=1.3, 8.4 Hz, 1H), 5.76 (br s, 2H), 3.98 - 3.92 (m, 3H).
MeCN(500 mL) 중 메틸 3-아미노피콜리네이트(311-1)(27 g, 180 mmol, 1.0 당량)와 K2CO3(48 g, 350 mmol, 2.0 당량)의 용액에 20℃에서 18시간 동안 메틸 카보노클로리데이트(33 g, 350mmol, 2.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0 mL)로 희석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N HCl로 PH=3으로 산성화하고, EA(500 mL×3)로 추출하고, 포화된 NaHCO3(500 mL) 및 브라인(30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메틸 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콜리네이트(311-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10.39 (br s, 1H), 8.82 (dd, J=1.4, 8.7 Hz, 1H), 8.34 (dd, J=1.5, 4.4 Hz, 1H), 7.51 - 7.40 (m, 1H), 3.99 (s, 3H), 3.78 (s, 3H).
AcOH(220 mL) 중 메틸 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콜리네이트(중간체 311-2)(22 g, 105 mmol, 1.0 당량)와 PtO2(5 g, 23 중량%)의 용액을 H2 하 5 MPa 및 25℃에서 14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메틸 (2S,3R)-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2-카복실레이트(311-3)를 제공하였다.
THF(300 mL) 중 메틸 (2S,3R)-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2-카복실레이트(311-3)(30 g, 약 10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20℃에서 18시간 동안 TEA(53 g, 525mmol, 5.0 당량) 및 Boc2O(69 g, 315 mmol, 3.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물(100 mL)로 희석하고, 1 N HCl로 PH=3으로 산성화하고, EA(100 mL×3)로 추출하고, 브라인(10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EA%=0% 내지 50%)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틸) 2-메틸 (2S,3R)-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2-디카복실레이트(311-4)를 제공하였다.
무수 THF(660 mL) 중 1-(tert-부틸) 2-메틸 (2S,3R)-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2-디카복실레이트(311-4) (33 g, 10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78℃ 내지 -10℃에서 2시간 동안 LiAlH4(5.15 g, 136 mmol, 1.3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H4Cl(700 mL) 내로 붓고, 1 N HCl로 PH=5로 산성화하고, EA(500 mL×3)로 추출하고, 브라인(50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EA%=0% 내지 70%)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2S,3R)-2-(하이드록시메틸)-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11-5)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5.70 (br s, 1H), 4.44 (br d, J=5.5 Hz, 1H), 3.92 (br d, J=10.9 Hz, 2H), 3.86 - 3.71 (m, 2H), 3.64 (br s, 3H), 2.98 - 2.64 (m, 2H), 1.92-1.80 (m, 1H), 1.73 - 1.63 (m, 1H), 1.61 - 1.50 (m, 2H), 1.44 (s, 9H) . LC-MS: [M+H] + =289.2.
무수 THF(50 mL) 중 tert-부틸 (2S,3R)-2-(하이드록시메틸)-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11-5)(5 g, 17 mmol, 1.0 당량)와 BnBr(12 g, 69 mmol, 1.0 당량)과 TBAI(3.1 g, 9 mmol, 0.5 당량)의 혼합물에 20℃에서 NaH(2.6 g, 65 mmol, 3.8 당량)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H4Cl(200 mL) 용액 내로 붓고, EA(100 mL×3)로 추출하고, 브라인(5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EA%=0% 내지 50%)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2S,3R)-3-(벤질(메톡시카보닐)아미노)-2-((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11-6)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7.53 - 6.90 (m, 10H), 4.90 - 3.31 (m, 12H), 3.08 - 2.74 (m, 1H), 1.97 - 1.79 (m, 1H), 1.62-1.50 (m, 1H), 1.50 - 1.42 (m, 1H), 1.41 - 1.28 (m, 9H). LC-MS: [M+H] + =469.4.
DCM(40 mL)과 TFA(20 mL) 중 tert-부틸 (2S,3R)-3-(벤질(메톡시카보닐)아미노)-2-((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311-6)(7.2 g, 15 mmol, 1.0 당량)의 용액을 2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O(100 mL)로 희석하고, K2CO3(s)로 PH=9로 염기성화하고, EA(100 mL×3)로 추출하고,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메틸 벤질((2S,3R)-2-((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311-7)를 제공하였다. LC-MS: [M+H] + =369.5.
CDCl 3 (500 mL) 중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30 g, 0.112 mmol, 1.0 당량)와 m-CPBA(30 g, 0.174 mmol, 1.55 당량)의 혼합물을 65℃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m-CPBA(30 g, 0.174 mmol, 1.55 당량)를 반응 혼합물에 더 첨가하고, 반응을 65℃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300 mL)로 희석하고, K2CO3(s)로 PH=8로 염기성화하고, EA(300 mL×3)로 추출하고, 브라인(30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물을 PE/MTBE=1/1(100 mL)로의 균질화에 의해 정제하여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4-(메톡시카보닐)피리딘 1-옥사이드(311-7A)를 제공하였다. LC-MS: [M+H] + =284.2.
DIPEA(40 mL)와 DMSO(40 mL) 중 메틸 벤질((2S,3R)-2-((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311-7)(17 g, 0.06 mol, 4.0 당량)와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4-(메톡시카보닐)피리딘 1-옥사이드(311-7A)(6 g, 약 15 mmol, 1.0 당량)의 혼합물에 12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O(100 mL)로 희석하고, EA(50 mL×3)로 추출하고,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EA%=10% 내지 100%)에 의해 정제하여 5-(3-(벤질(메톡시카보닐)아미노)-2-((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4-(메톡시카보닐)피리딘 1-옥사이드(311-8)를 제공하였다. LCMS: [M+H] + =632.5.
MeOH(25 mL)와 EA(25 mL) 중 5-(3-(벤질(메톡시카보닐)아미노)-2-((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4-(메톡시카보닐)피리딘 1-옥사이드(311-8)(5200 mg, 약 4.69 mmol, 1.0 당량)와 Pd(OH)2(2000 mg, 38 중량%)의 혼합물을 60℃ 및 50 Psi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EA%=0% 내지 60%)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벤질(메톡시카보닐)아미노)-2-((벤질옥시)메틸) 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11-9)를 제공하였다. LCMS: [M+H] + =616.7.
EA(45 mL) 중 메틸 5-(3-(벤질(메톡시카보닐)아미노)-2-((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11-9)(1500 mg, 2.44 mmol, 1.0 당량)와 Pd(OH)2(1500 mg, 100 중량%)의 혼합물을 60℃ 및 50 Psi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flash(EA%=0% 내지 50%)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벤질(메톡시카보닐)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11-10)를 제공하였다. LCMS: [M+H] + =526.5.
MeCN(10 mL) 중 메틸 5-(3-(벤질(메톡시카보닐)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311-10)(300 mg, 0.571 mmol)와 CuI(21.74 mg, 0.114 mmol)의 용액에 55℃에서 2,2-디플루오로-2-(플르오로설포닐)아세트산(0.113 mL, 1.142 mmol)을 한 방울씩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A로 희석하고, 물 및 브라인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벤질(메톡시카보닐)아미노)-2-((디플루오로메톡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311-11)를 제공하였다. LCMS: [M+H] + =576.3.
실시예
실시예 1: (R)-9-((5-(3-아미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
Figure pct00078
DMF(15 mL) 중 5-플루오로-2-(3-플로오로-4-메톡시페닐)이소니코틴알데히드(중간체 1-1)(800 mg, 3.21 mmol)와 (R)-tert-부틸 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643 mg, 3.21 mmol)와 탄산칼륨(887 mg, 6.42 mmol)의 현탁액을 10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30 mL)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H2O(20 mL*2),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0분 내에 PE 중 0 내지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R)-(1-(6-(3-플루오로-4-메톡시페닐)-4-포르밀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1-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24 (s, 1H), 8.63 (s, 1H), 8.01 (s, 1H), 7.93 - 7.83 (m, 2H), 7.27 (t, J = 8.8 Hz, 1H), 7.04 (d, J = 7.5 Hz, 1H), 3.90 (s, 3H), 3.63 (s, 1H), 3.42 - 3.37 (m, 1H), 3.30 - 3.23 (m, 1H), 3.06 - 2.94 (m, 1H), 2.84 (dd, J = 11.7, 9.0 Hz, 1H), 1.85 (d, J = 11.2 Hz, 2H), 1.70 (d, J = 10.5 Hz, 1H), 1.40 (s, 10H). LC-MS: [M+H]+ = 429.9.
MeOH(15 mL) 중 tert-부틸 (R)-(1-(6-(3-플루오로-4-메톡시페닐)-4-포르밀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1-2) (260 mg, 0.605 mmol)의 현탁액에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22.9 mg, 0.605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DCM(30 mL) 중에 재용해시키고, 수성 조건 하에서 워크업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피 크로마토그래피(30분 내에 PE 중 1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R)-(1-(6-(3-플루오로-4-메톡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1-3)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8.26 (s, 1H), 7.93 (s, 1H), 7.75 - 7.62 (m, 2H), 7.21 (t, J = 8.5 Hz, 1H), 5.52 (s, 1H), 4.88 - 4.72 (m, 2H), 3.95 (s, 3H), 3.71 (dt, J = 9.5, 4.8 Hz, 1H), 3.21 (dd, J = 11.2, 3.7 Hz, 1H), 3.07 (d, J = 11.6 Hz, 1H), 2.83 (t, J = 10.7 Hz, 1H), 2.66 (t, J = 10.0 Hz, 1H), 2.06 - 1.86 (m, 2H), 1.78 (q, J = 13.1, 11.6 Hz, 1H), 1.47 (s, 9H). LC-MS: [M+H]+ = 431.9.
THF(15 mL) 중 tert-부틸 (R)-(1-(6-(3-플루오로-4-메톡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1-3)(370 mg, 0.857 mmol)와 중간체 B(300 mg, 0.895 mmol)와 PPh3(704 mg, 2.68 mmol)의 용액에 0℃에서 DEAD(0.425 mL, 2.68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20 mL)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40분 내에 헥산 중 1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R)-(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1-4)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8.88 (s, 1H), 8.76 (s, 1H), 8.45 (s, 1H), 7.54 - 7.44 (m, 2H), 7.26 (s, 1H), 7.13 (t, J = 8.6 Hz, 1H), 5.90 - 5.72 (m, 2H), 3.90 (s, 3H), 3.85 (d, J = 4.6 Hz, 1H), 3.42 - 3.37 (m, 1H), 3.18 - 3.09 (m, 1H), 2.99 (t, J = 10.1 Hz, 1H), 2.88 (d, J = 10.1 Hz, 1H), 1.97 (d, J = 10.2 Hz, 2H), 1.82 (d, J = 6.8 Hz, 1H), 1.64 - 1.54 (m, 1H), 1.44 (s, 9H), 1.36 (s, 18H).LC-MS: [M+H]+ = 749.0.
DCM(9 mL) 중 tert-부틸 (R)-(tert-부톡시카보닐)(9-((5-(3-((tert- 부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1-4)(360 mg, 0.481 mmol)의 용액에 TFA(3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제조용-HPLC(염기성 조건, 12분 내에 NH3H2O%=0.05%, MECN/H2O=0 내지 95%)에 의해 정제하여 (R)-9-((5-(3-아미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실시예 1)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8.59 - 8.32 (m, 3H), 7.69 - 7.53 (m, 2H), 7.37 (s, 1H), 7.17 (td, J = 8.6, 1.7 Hz, 1H), 5.85 - 5.63 (m, 2H), 3.93 (d, J = 1.8 Hz, 3H), 3.62 (s, 1H), 3.56 - 3.44 (m, 1H), 3.19 - 3.07 (m, 2H), 3.04 (d, J = 9.5 Hz, 1H), 2.22 - 2.12 (m, 1H), 2.04 (s, 1H), 1.89 (dd, J = 9.0, 4.2 Hz, 1H), 1.76 (d, J = 10.1 Hz, 1H). LC-MS: [M+H]+ = 449.1.
실시예 2-21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Figure pct00083
실시예 22: (R)-9-((5-(3-아미노-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
Figure pct00084
DMSO(3 mL) 중 tert-부틸 (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22-7)(300 mg, 1.11 mmol, 1.0 당량)와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296 mg, 1.11 mmol, 1.0 당량)와 DIPEA(1.00 g, 7.77 mmol, 7.0 당량)의 혼합물을 N2 하 1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에서 물(200 mL)로 켄치하고, EtOAc(1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22-8)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8 (1H, s), 7.86 (1H, s), 7.83 (1H, dd, J = 10.0, 2.0 Hz), 7.67 (1H, d, J = 8.4 Hz), 7.23 (1H, dd, J = 8.4, 1.6 Hz), 5.63 (1H, brs), 3.80-4.05 (4H, m), 3.57 (1H, d, J = 9.6 Hz), 3.15-3.35 (3H, m), 2.80-2.95 (2H, m), 2.30-2.45 (1H, m), 1.85-2.00 (1H, m), 1.65-1.75 (1H, m), 1.46 (9H, s), 1.25-1.40 (1H, m), 0.40-0.60 (4H, m).
THF/MeOH(10 mL, 부피/부피 = 1/1) 중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22-8)(330 mg, 0.63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15 내지 20℃에서 LiCl(270 mg, 6.38 mmol, 10.0 당량)를 첨가 후 NaBH4(480 mg, 12.75 mmol, 20.0 당량)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3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100 mL)로 켄치하고, EtOAc(100 mLx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tert-부틸 (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22-9)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3 (1H, s), 7.75-7.85 (1H, m), 7.60-7.70 (2H, m), 7.15-7.25 (1H, m), 4.79 (2H, s), 4.76 (1H, brs), 3.65-3.85 (3H, m), 3.35-3.45 (1H, m), 3.25-3.35 (1H, m), 3.05-3.15 (1H, m), 2.80-2.95 (2H, m), 2.05-2.15 (1H, m), 1.85-1.95 (1H, m), 1.65-1.75 (1H, m), 1.55-1.60 (1H, m), 1.44 (9H, s), 0.40-0.60 (4H, m).
THF(10 mL) 중 tert-부틸 (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22-9)(300 mg, 0.613 mmol, 1.0 당량)와 중간체 B(310 mg, 0.919 mmol, 1.5 당량)와 Bu3P(372 mg, 1.84 mmol, 3.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DIAD(372 mg, 1.84 mmol, 3.0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내지 3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bi Flash(PE 중 3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22-10)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88 (1H, s), 8.52 (1H, s), 8.25 (1H, s), 7.60-7.70 (1H, m), 7.35-7.45 (1H, m), 7.10-7.25 (2H, m), 5.70 (1H, d, J = 15.6 Hz), 5.53 (1H, d, J = 15.6 Hz), 5.19 (1H, brs), 3.75-3.90 (2H, m), 3.40-3 intermediate.50 (1H, m), 3.25-3.35 (1H, m), 2.90-3.10 (3H, m), 2.15-2.30 (1H, m), 1.90-2.00 (1H, m), 1.70-1.80 (1H, m), 1.55-1.65 (1H, m), 1.45 (18H, s), 1.35 (9H, s), 0.40-0.60 (4H, m).
DCM(7.5 ml) 내의 20% TFA 중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22-10)(270 mg, 0.335 mmol)의 용액을 15 내지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의 pH를 NH3.H2O에 의해 8 내지 9로 조절하고, DCM(100 mLx3)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제조용-HPLC(첨가제로서 0.1% NH3.H2O) 및 SFC에 의해 정제하여 (R)-9-((5-(3-아미노-3-(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실시예 22)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51 (1H, s), 8.25 (1H, d, J = 4.0 Hz), 7.70-7.80 (1H, m), 7.50-7.60 (1H, m), 7.25-7.40 (2H, m), 5.66 (2H, s), 3.60-3.80 (1H, m), 3.45-3.55 (1H, d, J = 9.6 Hz), 2.90-3.15 (4H, m), 1.55-2.00 (4H, m), 1.25-1.40 (1H, m), 0.35-0.65 (4H, m).LC-MS: [M+H]+ = 506.8.
실시예 23 내지 46은 실시예 22에서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85
Figure pct00086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Figure pct00089
Figure pct00090
실시예 47: (S)-9-((5-(3-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
Figure pct00091
DMSO(30 mL) 중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1.35g, 5.05 mmol)와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47-6)(1.3 g, 5.05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DIPEA(20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12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47-7)를 제공하였다. LC-MS: [M+H]+ = 512.0.
THF(30 mL)와 메탄올(30 mL) 중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47-7)(1.2 g, 2.346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염화리튬(1.97 g, 46.9 mmol) 및 나트륨 테트라하이드로보레이트(1.78 g, 46.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 mL)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헥산 중 1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에틸-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47-8)를 제공하였다. LC-MS: [M+H]+ = 484.2.
THF(20 mL) 중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에틸)-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47-8)(865 mg, 1.789 mmol)와 중간체 B(600 mg, 1.789 mmol)와 트리페닐포스핀(939 mg, 3.58 mmol)의 용액에 0℃에서 DEAD(0.567 mL, 3.58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 mL)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상을 물(1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47-9)를 제공하였다.LC-MS: [M+H]+ = 801.1
DCM(18 mL) 중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47-9)(700mg, 0.875 mmol)의 용액에 TFA(6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HPLC(염기성 조건, 12분 내에 NH3H2O%=0.05%, MECN/H2O=0 내지 95%)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라세미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라세미 생성물을 SFC에 의해 단리하여 (S)-9-((5-(3-아미노-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실시예 47)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8.49 (s, 1H), 8.23 (d, J = 3.9 Hz, 2H), 7.75 (ddd, J = 12.2, 7.8, 2.2 Hz, 1H), 7.53 (s, 1H), 7.34 - 7.22 (m, 2H), 6.38 - 6.02 (m, 1H), 5.73 - 5.52 (m, 2H), 3.00 (d, J = 9.4 Hz, 3H), 2.92 (d, J = 10.5 Hz, 1H), 2.11 (q, J = 18.5, 18.0 Hz, 2H), 1.92 (s, 1H), 1.73 (d, J = 28.9 Hz, 3H). LC-MS: [M+H]+ = 501.3.
실시예 48 내지 77은 상응하는 중간체로부터, 실시예 47에서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92
Figure pct00093
Figure pct00094
Figure pct00095
Figure pct00096
Figure pct00097
실시예 78: (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N-메틸피페리딘-3-카복사미드
Figure pct00098
DMSO(4 mL) 중 메틸 tert-부틸 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78-5)(200 mg, 0.777 mmol), 메틸 5-플루오로-2-(3-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C)(161 mg, 0.648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DIPEA(4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0% 내지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78-6)를 제공하였다. LC-MS: [M+H]+ = 487.3.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페닐) 이소니코티네이트(78-6)(150 mg, 0.308 mmol)와 LiCl(130 mg, 3.08 mmol)과 THF(5 mL)와 MeOH(5 mL)의 혼합물에 NaBH4(232 mg, 6.16 mmol)를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1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치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1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1-(6-(3-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78-7)를 제공하였다. LC-MS: [M+H]+ = 459.2.
THF(5 mL) 중 tert-부틸 1-(6-(3-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78-7)(129 mg, 0.282 mmol), 중간체 B(142 mg, 0.423 mmol), n-Bu3P(171 mg, 0.845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DIAD(171 mg, 0.845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고, 첨가 후 혼합물을 N2 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켄치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상을 수성 조건 하에서 워크업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PE 중 10%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78-8)를 제공하였다. LC-MS: [M+H]+ = 776.3
DCM(9 mL) 중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카바모일)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78-8)(100 mg, 0.232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TFA(3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제조용-HPLC(염기성 조건, 12분 내에 NH3H2O%=0.05%, MEOH/H2O=0 내지 95%)에 의해 정제하여 40 mg의 순수한 라세미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라세미 생성물을 SFC에 의해 단리하여 (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N-메틸피페리딘-3-카복사미드(실시예 78)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8.39 (s, 1H), 8.17 (s, 1H), 8.11 (s, 1H), 7.44-7.39 (m, 2H), 7.32-7.27 (m, 1H), 7.18 (s, 1H), 7.01-6.97 (m, 1H), 5.62-5.51 (m, 2H), 3.32-3.29 (m, 1H), 3.02-2.99 (m, 1H), 2.91-2.78 (m, 2H), 2.69 (s, 3H), 2.09-2.01 (m, 1H), 1.97-1.87 (m, 1 H), 1.70-1.67 (m, 1H), 1.55-1.51 (m, 1H). LC-MS: [M+H]+ = 476.2
실시예 79 내지 88은 실시예 78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99
Figure pct00100
실시예 89: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3-디메틸부탄-1-온
Figure pct00101
DMSO(10 mL) 중 메틸 (3-(2,3-디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89-6)(367 mg, 1.4 mmol, 1.0 당량)와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383 mg, 1.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DIPEA(724 mg, 5.6 mmol, 4.0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12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20 mL)로 희석하고, EtOAc(2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3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 중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3-(2,3-디메틸부타노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 피페리딘-1-일)이소니코티네이트(89-7)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52 (s, 0.5H), 8.50 (s, 0.5H), 8.02 (s, 0.5H), 7.98 (s, 0.5H), 7.94-7.86 (m, 1H), 7.80-7.73 (m, 1H), 7.39-7.30 (m, 1H), 4.00 (s, 1.5H), 3.99 (s, 1.5H), 3.75 (d, J = 12.4 Hz, 0.5H), 3.67 (d, J = 12.0 Hz, 0.5H), 3.59 (s, 1.5H), 3.54 (s, 1.5H), 3.42-3.34 (m, 1H), 3.23 (d, J = 12.4 Hz, 0.5H), 3.13-3.00 (m, 1.5H), 2.97-2.88 (m, 1H), 2.30-2.20 (m, 1H), 2.01-1.82 (m, 3H), 1.78-1.66 (m, 1H), 0.99-0.94 (m, 3H), 0.90-0.84 (m, 6H). LC-MS: [M+H]+ =504.2.
CH3OH(10 mL) 중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3-(2,3-디메틸부타노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 피페리딘-1-일)이소니코티네이트(89-7)(416 mg, 0.82 mmol, 1.0 당량)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NaBH4(312 mg, 8.2 mmol, 10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또 다른 NaBH4(312 mg, 8.2 mmol, 10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또 다른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20 mL)로 희석하고, EtOAc(2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1-하이드록시-2,3-디메틸부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89-8)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34 (s, 0.4H), 8.33 (s, 0.6H), 7.91 (s, 0.4H), 7.90 (s, 0.6H), 7.88-7.81 (m, 1H), 7.76-7.70 (m, 1H), 7.39-7.32 (m, 1H), 4.84-4.69 (m, 1H), 3.90-3.64 (m, 1H), 3.63-3.55 (m, 3H), 3.49-3.43 (m, 0.3H), 3.28-3.23 (m, 0.6H), 3.18-3.02 (m, 2H), 2.86-2.76 (m, 1H), 2.31-2.15 (m, 1H), 2.00-1.86 (m, 1H), 1.82-1.54 (m, 3H), 1.21-1.20 (m, 1H), 0.95-0.78 (m, 9H). LC-MS: [M+H]+ =478.2.
THF(15 mL) 중 메틸 (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3-(1-하이드록시-2,3-디메틸부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89-8)(273 mg, 0.57 mmol, 1.0 당량)와 중간체 B(192 mg 0.57 mmol 1.0 당량)와 Bu3P(578 mg, 2.86 mmol, 5.0)의 용액에 N2 하 0℃에서 DIEA(578 mg, 2.86mmol, 5.0 당량)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N2 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20 mL)로 희석하고, EtOAc(20 mL*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브라인(3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 중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2-(3,4-디플루오로페닐)-5-(3-(1-하이드록시-2,3-디메틸부틸)-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89-9)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91-8.81 (m, 1H), 8.80-8.70 (m, 1H), 8.56-8.50 (m, 1H), 7.76 -7.67 (m, 1H), 7.59-7.51 (m, 1H), 7.36-7.23 (m, 2H), 5.92-5.64 (m, 2H), 4.04-3.65 (m, 2H), 3.60-3.48 (m, 3H), 3.30-2.75 (m, 3H), 2.33-2.13 (m, 2H), 1.88-1.70 (m, 4H), 1.36 (s, 18H), 0.98-0.93 (m, 9H). LC-MS: [M+H]+ =795.3.
DCM(10 ml) 중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2-(3,4-디플루오로페닐)-5-(3-(1-하이드록시-2,3-디메틸부틸)-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89-9)(279 mg, 0.37 mmol, 1.0 당량)와 DMP(237 mg 0.56 mmol, 1.5 당량)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된 수성 NaHCO3(30 mL)으로 켄치하고, DCM(30 mL*2)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포화된 수성 NaHCO3(20 mL*2), 브라인(3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 중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2-(3,4-디플루오로페닐)-5-(3-(2,3-디메틸부타노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89-10)를 제공하였다. LC-MS: [M+H]+ =793.5.
아세트산 중 10 ml의 35% HBr과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2-(3,4-디플루오로페닐)-5-(3-(2,3-디메틸부타노일)-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89-10)(280 mg, crude, 0.34mmol, 1 당량)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대부분의 출발 물질이 소비된 것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고, H2O(30 mL)로 희석하고, EtOAc(30 mL*3)로 세정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NH3.H2O에 의해 pH = 11로 염기성화하고, EtOAc(30 m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제조용-HPLC에 의해 정제하여 1-(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3-디메틸부탄-1-온(실시예 89)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3OD) δ 8.52 (d, J = 4.0 Hz, 1H), 8.32-8.17 (m, 2H), 7.83-7.65 (m, 1H), 7.60-7.48 (m, 1H), 7.37-7.15 (m, 2H), 5.67 (d, J = 3.6 Hz, 2H), 3.41 (t, J = 12.0 Hz, 1H), 3.14-2.87 (m, 4H), 2.08-1.61 (m, 5H), 1.06 (t, J = 8.0 Hz, 3H), 0.95 (d, J = 6.8 Hz, 3H), 0.90 (d, J = 6.8 Hz, 3H). LC-MS: [M+H]+ = 535.3.
실시예 90 내지 112는 실시예 89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102
Figure pct00103
Figure pct00104
Figure pct00105
Figure pct00106
실시예 113 및 실시예 114: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및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Figure pct00107
DMSO(30 mL) 중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13-5)(1.2g, 4.28 mmol)와 메틸 2-(3,4-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중간체 A)(1.144 g, 4.28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DIPEA(14.95 mL, 8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12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하고, EtOAc(3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20 mL*3),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40분 내에 PE 중 1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113-6)를 제공하였다. LC-MS: [M+H]+ =528.2.
THF(30 ML)와 MeOH(30 mL) 중 메틸 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이소니코티네이트(113-6)(1.2g, 2.275 mmol)의 용액에 0℃에서 염화리튬(1.929 g, 45.5 mmol) 및 나트륨 테트라하이드로보레이트(1.721 g, 45.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 ml의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40분 내에 PE 중 20%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113-7)를 제공하였다. LC-MS: [M+H]+ =500.2.
THF(20 mL) 중 tert-부틸 (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1-(6-(3,4-디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3-일)피페리딘-3-일)카바메이트(중간체 113-7)(800 mg, 1.602 mmol)와 중간체 B(645 mg, 1.922 mmol)와 트리페닐포스핀(1260 mg, 4.80 mmol)의 용액에 0℃에서 DEAD(0.761 mL, 4.80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고,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0℃에서 0.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ml의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50분 내에 PE 중 20%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113-8)를 제공하였다. LC-MS: [M+H]+ =817.2.
DCM(30 mL) 중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113-8)(600 mg, 0.735 mmol)의 용액에 TFA(10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HPLC(염기성 조건, 10분 내에 NH3H2O%=0.05%, MEOH/H2O=0 내지 95%)에 의해 정제하여 330 mg의 순수한 라세미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라세미 생성물을 SFC에 의해 단리하여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 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실시예 113) 및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 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실시예 114)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113: 1 H NMR (CD3OD, 400M Hz) δ(ppm): 8.48 (s, 1H), 8.22 (d, 2H), 7.71-7.77(m,1H), 7.51-7.54(m,1H), 7.29 (s, 1H), 7.24-7.27(t,1H), 5.91-6.19 (t, 1H), 5.65 (s, 2H), 3.65(br, 1H), 3.20 (d, 1H), 2.99(m, 2H), 2.84 (t, 1H), 1.93-1.99 (m, 1H), 1.66~1.86 (m, 3H). LC-MS: [M+H]+ =517.2.
실시예 114: 1 H NMR (CD3OD-d6, 400M Hz) δ(ppm): 8.49 (s, 1H), 8.22 (d, 2H), 7.69-7.75(m,1H), 7.48-7.51(m,1H), 7.24-7.31(t,1H), 7.21 (s, 1H), 5.89-6.18(t, 1H), 5.65 (s, 2H), 3.95(br, 1H), 3.25 (d, 1H), 2.90-3.10(b, 3H), 1.82-1.88 (m, 3H), 1.63 (br, 1H). LC-MS: [M+H]+ =517.2.
실시예 115 내지 155는 실시예 113 및 114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108
Figure pct00109
Figure pct00110
Figure pct00111
Figure pct00112
Figure pct00113
Figure pct00114
Figure pct00115
Figure pct00116
Figure pct00117
실시예 156 및 실시예 157: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및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Figure pct00118
단계 1. 무수 THF(7 mL) 중 1-(3-아미노-1-(4-(하이드록시메틸)-6-(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중간체 156-2)(700 mg, 1.677 mmol, 1.0 당량)과 중간체 B(80 mg, 0.240 mmol, 1.5 당량)와 n-Bu3P(509 mg, 2.516 mmol, 1.5 당량)의 용액에 질소 하 0℃에서 DIAD(509 mg, 2.516 mmol, 1.5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제조용-HPLC(염기)에 의해 정제하여 중간체 156-3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8.93 - 8.85 (m, 1H), 8.57 (s, 1H), 8.22 - 8.14 (m, 1H), 7.92 - 7.76 (m, 1H), 7.45 - 7.32 (m, 1H), 7.01 - 6.83 (m, 1H), 6.20 - 5.80 (m, 1H), 5.72 - 5.53 (m, 2H), 3.82 - 3.63 (m, 1H), 3.26 - 3.06 (m, 2H), 3.05 - 2.89 (m, 2H), 2.28 - 2.12 (m, 1H), 1.89 - 1.79 (m, 2H), 1.75 - 1.63 (m, 1H), 1.49 - 1.36 (m, 18H). LCMS: [M+H] + =735.5.
단계 2. 무수 DCM(15 mL) 중 중간체 156-3(630 mg, 0.858 mmol)의 용액에 TFA(5 mL)를 첨가하고, 반응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고, 수산화암모늄으로 pH=8로 염기성화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제조용-HPLC(염기) 및 SFC에 의해 정제하여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실시예 156) 및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실시예 157)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56: 1H NMR (400 MHz, CD3OD) δppm 8.52 (d, J = 1.9 Hz, 1H), 8.20 (dd, J = 5.6, 2.0 Hz, 2H), 7.78 (dddd, J = 11.4, 9.2, 7.1, 2.0 Hz, 1H), 7.42 - 7.05 (m, 2H), 6.35 - 5.80 (m, 1H), 5.67 (d, J =2.0 Hz, 2H), 3.68 (d, J = 14.0 Hz, 1H), 3.22 (s, 1H), 3.14 - 3.00 (m, 2H), 2.88 (t, J = 11.2 Hz, 1H), 2.03 (t, J = 11.5 Hz, 1H), 1.82 (t, J = 12.9 Hz, 2H), 1.71 (d, J = 13.0 Hz, 1H). LC-MS: [M+H]+ = 535.2.
실시예 157: 1H NMR (400 MHz, CD3OD) δppm 8.55 (s, 1H), 8.25 (s, 1H), 8.21 (s, 1H), 7.87 - 7.74 (m, 1H), 7.25 - 7.15 (m, 1H), 7.09 (s, 1H), 6.26 - 5.88 (m, 1H), 5.70 (s, 2H), 4.10 - 3.90 (m, 1H), 3.30 - 3.20 (m, 1H), 3.17 - 2.87 (m, 3H), 2.03 - 1.80 (m, 3H), 1.75 - 1.60 (m, 1H). LC-MS: [M+H]+ =535.4.
실시예 158 및 159는 실시예 156 및 157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2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19
실시예 160 및 실시예 161: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및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Figure pct00120
DCM(18 mL) 중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일)-2-(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중간체 160-3)(200 mg, 0.237 mmol)의 용액에 TFA(36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HPLC 및 SFC에 의해 정제하여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실시예 160) 및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실시예 161)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60: 1H NMR (400 MHz, CD3OD) δppm 8.48 (s, 1H), 8.20 (d, J = 1.6 Hz, 2H), 7.58 (dd, J = 12.2, 7.3 Hz, 1H), 7.11 (d, J = 1.3 Hz, 1H), 6.90 (dd, J = 12.6, 7.1 Hz, 1H), 6.06 (td, J = 55.1, 3.9 Hz, 1H), 5.67 (s, 2H), 3.87 (s, 3H), 3.75 - 3.58 (m, 1H), 3.25 - 2.75 (m, 4H), 2.26 - 1.60 (m, 4H). LC-MS: [M+H]+ = 547.2, 548.2.
실시예 161: 1H NMR (400MHz, CD3OD) δ= 8.51 - 8.44 (m, 1H), 8.24 - 8.16 (m, 2H), 7.62 - 7.48 (m, 1H), 7.03 (s, 1H), 6.93 - 6.79 (m, 1H), 6.25 - 5.86 (m, 1H), 5.71 - 5.59 (m, 2H), 4.00 (m, 1H), 3.88 - 3.80 (m, 3H), 3.28 - 2.87 (m, 4H), 1.99 - 1.56 (m, 4H). LC-MS: [M+H]+ =547.4.
실시예 162 및 실시예 163: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및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
Figure pct00121
THF(5 mL) 중 중간체 162-2(57 mg, 0.129 mmol)와 중간체 B(43.1 mg, 0.129 mmol)와 PPh3(101 mg, 0.386 mmol)의 용액에 DEAD(0.061 mL, 0.38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치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 브라인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중간체를 제공하였다. LC-MS: [M+H]+ = 761.
DCM(18 mL) 중 중간체(200 mg, 0.263 mmol)의 용액에 TFA(36 mL, 46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HPLC(염기성 조건, 10분 내에 NH3H2O%=0.05%, MeOH/H2O=0 내지 95%)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 생성물을 제공하고, 이어서 추가로 정제하여 (R)-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실시예 162) 및 (S)-1-((R)-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2-(디플루오로메틸)-4-메톡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2,2-디플루오로에탄-1-올(실시예 163)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62: 1H NMR (400 MHz, CD3OD) δppm 8.48 (s, 1H), 8.21 (d, J = 3.7 Hz, 2H), 7.34 - 7.26 (m, 1H), 7.17 (d, J = 2.6 Hz, 1H), 7.07 (dt, J = 8.6, 1.8 Hz, 1H), 6.95 - 6.61 (m, 2H), 6.07 (td, J = 55.1, 3.9 Hz, 1H), 5.68 (s, 2H), 3.76 - 3.61 (m, 1H), 3.22 (d, J = 11.4 Hz, 1H), 3.17 - 3.08 (m, 1H), 3.04 (d, J = 11.4 Hz, 1H), 2.93 - 2.81 (m, 1H), 2.02 (dd, J = 13.9, 8.9 Hz, 1H), 1.91 - 1.75 (m, 2H), 1.70 (d, J = 12.7 Hz, 1H). LC-MS: [M+H]+ = 560.9, 562.0.
실시예 163: 1H NMR (400 MHz, CD3OD) δppm 8.55 (s, 1H), 8.30 (d, J = 14.6 Hz, 2H), 7.34 (d, J = 8.6 Hz, 1H), 7.20 (d, J = 2.6 Hz, 1H), 7.10 (dd, J = 8.6, 2.6 Hz, 1H), 7.01 (s, 1H), 6.85 (t, J = 55.3 Hz, 1H), 6.19 (td, J = 53.9, 2.6 Hz, 1H), 5.68 (d, J = 3.3 Hz, 2H), 4.20 (s, 1H), 3.50 - 3.34 (m, 2H), 3.19 - 2.98 (m, 2H), 2.02 (d, J = 42.5 Hz, 4H). LC-MS: [M+H]+ = 560.9, 562.0.
실시예 164 내지 167은 중간체 B 및 상응하는 중간체로부터 실시예 162 및 163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22
실시예 168 내지 176은 상응하는 중간체로부터 실시예 168 및 실시예 169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23
Figure pct00124
Figure pct00125
실시예 177: 9-((5-(3-아미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
Figure pct00126
HBr/AcOH(33%, 10 mL) 중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2-(3,4-디플루오로페닐)-5-(3-((메톡시카보닐)아미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177-7)(700 mg, 0.89 mmol, 1.0 당량)의 용액을 25 내지 3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제조용-HPLC(첨가제로서 0.1% NH4HCO3)에 의해 정제하여 9-((5-(3-아미노-3-(6-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1-일)-2-(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실시예 177)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ppm 8.53 (s, 1H), 8.29 (s, 1H), 8.14 (s, 1H), 7.93-7.82 (m, 1H), 7.72-7.65 (m, 1H), 7.64-7.59 (m, 1H), 7.56 (d, J = 7.6 Hz, 1H), 7.52-7.42 (m, 1H), 7.37 (s, 1H), 7.29 (brs, 2H), 7.12 (d, J = 7.6 Hz, 1H), 5.55 (dd, J = 16.0 Hz, 28.4 Hz, 2H), 3.44 (d, J = 11.2 Hz, 1H), 3.17-3.08 (m, 1H), 3.06-3.01 (m, 1H), 3.00-2.90 (m, 1H), 2.47 (s, 3H), 2.24-2.14 (m, 1H), 2.13-1.99 (m, 1H), 1.77-1.65 (m, 1H). LC-MS: [M+H]+ = 528.3.
실시예 178 내지 284는 상응하는 중간체 및 실시예 177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27
Figure pct00128
Figure pct00129
Figure pct00130
Figure pct00131
Figure pct00132
Figure pct00133
Figure pct00134
Figure pct00135
Figure pct00136
Figure pct00137
Figure pct00138
Figure pct00139
Figure pct00140
Figure pct00141
Figure pct00142
Figure pct00143
Figure pct00144
Figure pct00145
Figure pct00146
Figure pct00147
Figure pct00148
Figure pct00149
Figure pct00150
Figure pct00151
Figure pct00152
실시예 285 내지 291은 상응하는 중간체로부터 실시예 47에서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53
Figure pct00154
Figure pct00155
Figure pct00156
Figure pct00157
실시예 301: 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4-올
Figure pct00158
DMF(10 mL) 중 중간체 B(104 mg, 0.311 mmol)와 중간체 301-8(130 mg, 0.311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K2CO3(215 mg, 1.556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20 ml*3)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0 mL*3), 브라인(20 ml)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30분 내에 DCM 중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중간체 301-9를 제공하였다. LC-MS: [M+H]+ = 311.1.
DCM(9 mL) 중 중간체 301-9(60 mg, 0.084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 실온에서 TFA(3 ml, 38.9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제조용-HPLC(염기성 조건, 12분 내에 NH3H2O%=0.05%, MeCN/H2O=0 내지 95%)에 의해 정제하여 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3-(2,2-디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4-올(실시예 301)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8.58 (s, 1H), 8.36 (s, 1H), 8.27 (s, 1H), 7.82 (ddd, J = 11.2, 8.1, 2.2 Hz, 1H), 7.63 (dt, J = 5.8, 2.9 Hz, 1H), 7.47 (s, 1H), 7.31 (dt, J = 10.2, 8.4 Hz, 1H),6.41 (tt, J = 55.3, 4.7 Hz, 1H), 5.65 (s, 2H), 3.94 (dd, J = 10.4, 5.3 Hz, 1H), 3.50 - 3.38 (m, 2H), 3.11 - 2.93 (m, 2H), 2.69 - 2.36 (m, 2H), 2.07 (dd, J = 14.1, 4.8 Hz, 1H), 2.01 - 1.84 (m,1H). LC-MS: [M+H]+ = 517.2.
실시예 302-310은 상응하는 중간체 및 실시예 47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59
실시예 306: 9-((5-((3R,5R)-3-아미노-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
Figure pct00160
DCM(1 mL) 중 tert-부틸 (tert-부톡시카보닐)(9-((5-((3R,5R)-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15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일)카바메이트(중간체 306-9)(0.15 g, 0.19 mmol)의 혼합물에 HCl/디옥산(10.0 mL, 4M)을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2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내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제조용-HPLC(첨가제로서, 첨가제로서 0.1% NH4HCO3)에 의해 정제하여 9-((5-((3R,5R)-3-아미노-5-(플루오로메틸)피페리딘-1-일)-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9H-퓨린-6-아민(실시예 306)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8.48 (s, 1H), 8.33 (s, 1H), 8.14 (s, 1H), 7.67 (dd, J = 2.0 Hz, 12.8 Hz, 1H), 7.51 (d, J = 8.8 Hz, 1H), 7.30 (brs, 2H), 7.34-7.17 (m, 2H), 5.54 (s, 2H), 4.64-4.37 (m, 2H), 3.85 (s, 3H), 3.18-3.03 (m, 3H), 2.92-2.77 (m, 2H), 2.48-2.32 (m, 1H), 1.68-1.49 (m, 2H). LC-MS: [M+Na]+ = 481.2
실시예 307 내지 310은 상응하는 중간체 및 실시예 306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61
실시예 311 내지 321은 상응하는 중간체 및 실시예 47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62
Figure pct00163
Figure pct00164
실시예 322: (S)-3-(3-아미노-1-(4-((6-아미노-9H-퓨린-9-일)메틸)-6-(3,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피페리딘-3-일)-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Figure pct00165
실시예 322는 상응하는 중간체 및 실시예 89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8.50 (s, 1H), 8.24 (d, J = 10.8 Hz, 2H), 7.73 (ddd, J = 12.3, 7.7, 2.3 Hz, 1H), 7.51 (t, J = 5.7 Hz, 1H), 7.28 (d, J = 8.5 Hz, 2H), 5.85 - 5.51 (m, 2H), 3.10 (s, 3H), 2.99 (d, J = 19.4 Hz, 4H), 2.93 (s, 3H), 2.53 (t, J = 8.1 Hz, 2H), 2.08 - 1.71 (m, 4H), 1.71 - 1.41 (m, 2H). LC-MS: [M+H]+ = 535.8, 536.8.
실시예 323 내지 325는 상응하는 중간체 및 실시예 1의 제조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66
생물 검정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하기 기재되는 검정뿐만 아니라 당업계에 알려진 기타 검정을 사용하여 NSD2를 억제하는 그들의 능력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LC-MS/MS-기반 NSD2 효소 검정
이 검정은 LC-MS/MS 기술을 이용하여 NSD2 효소 반응으로부터의 SAH 생성을 모니터하였다. 이 효소 반응은 백색 프록시플레이트 플러스 384-웰 마이크로플레이트(white proxiplate plus 384-well microplate)(Perkin Elmer)에서 수행하였다. 반응 혼합물(10 μL)은 반응 완충액(20 mM 트리스-HCl, 8.0의 pH, 0.01% Tween 20, 10 mM MgCl2, 50mM NaCl, 1mM DTT, 1mM TCEP (pH7.5)) 중 8nM NSD2[1-1365], 1M SAM(USB, 10601) 및 400nM 뉴클레오솜(마우스 간으로부터 정제됨)으로 구성하였다. 실온에서 90분 배양 후, 320 nM d4-SAH와 함께 2.5% TFA를 함유하는 3 μL 켄칭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억제 검정을 위해, 화합물 용액을 MosquitoTM(TTP LabTech)에 의해 웰 내로 이동시켰다. 억제 검정은 다양한 농도의 억제제를 반응 완충제 중 16nM NSD2[1-1365] 및 2uM SAM(USB, 10601)을 함유하는 5 uL의 반응 혼합물로 사전 배양하는 것에 의해 수행하였다. 20분의 사전 배양 후, 반응 완충제 중 800 nM의 뉴클레오솜(마우스 간으로부터 정제됨)을 함유하는 5 uL의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반응을 90분 후 320 nM d4-SAH와 함께 2.5% TFA를 함유하는 3 μL의 켄칭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효소 검정으로부터의 SAH 생성은 프로미넨스 UFLC(Prominenece UFLC)(Shimazu)와 결합된 터보 이온 분무기(TurboIon Spray)(Applied Biosystem)를 갖는 API 4000 삼중 사중극자 질량 분광계 상의 LC-MS/MS에 의해 모니터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0.8 ml/분의 유량에서의 Chromolith 고속 구배 HPLC 컬럼(RP-18e, 25-2mm, Merck로부터) 상에서 수행하였다. 컬럼을 양이온 모드에서 작동하는 터보 이온 전기분무기에 직접 연결하였다. 이동상 A는 수 중 0.1% FA 및 2% 메탄올이고, 이동상 B는 ACN 중 0.1% FA이다. 주입 부피는 3 μl이고, 오토샘플러는 4도에서 유지하였다. SAH 및 d4-SAH를 동시에 모니터하였다. 데이터를 습득하고, Analyst 소프트웨어로 처리하였다.
형성된 SAH를 정량화하기 위해, d4-SAH를 내부 표준물(IS)로 첨가하였다. 다양한 농도(반응 완충액 중 1 내지 500 nM)에서의 일련의 SAH(Sigma, A9384) 용액을 상기 언급된 켄칭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어서, LC-MS/MS를 API 4000 LC/MS/MS 시스템 상에서 수행하여 SAH 및 d4-SAH를 모두 검출하였다. SAH 피크 면적/IS 피크 면적 대 SAH 농도의 도표를 사용하여 SAH의 정규화 인자를 생성하였다. 실제 효소 반응으로부터의 SAH 생성은 SAH의 표준 곡선으로부터 유도하였다. SAH 검출에 대한 본 발명자의 시스템의 하한(down-limit)은 약 1 내지 2 nM이고, 선형 범위는 최대 500 nM에 이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0.01 μM 미만의 NSD2 IC50을 갖는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표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0.001 μM 내지 0.01 μM의 NSD2 IC50을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 μM 미만의 NSD2 IC50을 갖는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표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0.01 내지 1 μM 미만의 NSD2 IC50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표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1 μM 초과의 NSD2 IC50을 갖는다.
KMS11-Par주에서의 H3K36me2 세포 FRET 검정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FRET) 검정을 사용하여 다발성 골수종 세포주 KMS11 (t(4;14)+)(Horizon Discovery Ltd.)에서 세포 H3K36me2 수준을 감소시키는 후보 화합물의 능력을 시험하였다. 세포는 12.5% FBS 및 50 U/ml 페니실린-스텝토마이신을 갖는 RPMI1640 배지 내에서 유지한다. 검정 화합물 처리를 위해, 단일 세포 현탁액을 B-27 및 N2 보충물이 추가된 Opti-MEM(Invitrogen 11058-021, 17504-044, 17502-048)에서 제조하였다. 세포 처리 하루 전에, 5,000개의 KMS11 세포를 30 μL/웰의 최종 부피로 PDL 코팅된 TC 플레이트(PerkinElmer #6007718) 내로 시딩(seed)하였다.
세포를 시험하는 화합물로 소기의 농도에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미정제 히스톤 용해물을 0.4M HCl에 의해 추출한 후 0.5M 제2인산나트륨(Na2HPO4), pH 약 12.5에 의해 중화하였다. 히스톤 추출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Eu 표지 항-H3K36me2 항체(abcam #ab ab9049) 및 d2 표지 항-H3 항체(abcam #ab1791)로 배양하였다. Eu 표지 항-H3 항체(CISBIO #64CUS000)를 로딩 대조군(loading control)용으로 사용하였다. H3K36me2 또는 총 H3의 존재비를 Perkin Elmer Envison 장비 상의 형광 신호에 의해 측정하였다.
CGTH-W-1주에서의 H3K36me2 세포 ELISA 검정
ELISA(효소-결합 면역흡착검정) 기반 검정을 사용하여 NSD2 E1099K 기능 획득 돌연변이를 갖는 갑상선암종 세포주 CGTH-W-1에서 세포 H3K36me2 수준을 감소시키는 후보 화합물의 능력을 시험하였다. CGTH-W-1(DSMZ) 세포는 10% FBS 및 50 U/ml 페니실린-스텝토마이신을 갖는 RPMI1640 배지 내에서 유지한다. 분석 화합물 처리를 위해, 단일 세포 현탁액을 ELISA를 위한 B-27 및 N2 보충물(Invitrogen 11058-021, 17504-044, 17502-048)이 추가된 Opti-MEM 및 cellTiter Glo(CTG) 생존력 검정을 위한 유지 배지에서 제조하였다. 세포 처리 하루 전에, 500개의 CGTH-W-1 세포를 30 μL/웰의 최종 부피로 384-웰 Greiner CellStar TC 플레이트(Greiner #781086) 내로 시딩하였다.
세포를 시험하는 화합물로 소기의 농도에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미정제 히스톤 용해물을 0.4M HCl에 의해 추출한 후 0.5M 제2인산나트륨(Na2HPO4), pH 약 12.5에 의해 중화하였다. 동일한 양의 히스톤 용해물을 H3K36me2를 위한 Corning 384-웰 고결합 플레이트(Corning 384-well high biding plate)(Corning #3577, 흑색) 및 로딩 대조군으로서 총 H3을 위한 Thermo 384-웰 고결합 Nunc 플레이트(Thermo 384-well high binding Nunc plate)(Thermo #460372, 백색)에 로딩하였다.
히스톤 결합 플레이트를 세정하고, 5% BSA로 차단하였다. H3K36me2 및 총 H3를 1차 항체(H3K36me2 Abcam, #ab9049; 총 H3 세포 신호, #4499L)에 의해 검출하고, 겨자무과산화효소(HRP) 접합 2차 항체 및 ECL 기질에 의해 추가로 확인하였다. H3K36me2 및 총 H3의 존재비를 플레이트 판독기 상의 화학발광(Chemiluminesce)에 의해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력은 CellTiter-Glo 시약(Promega # G7573)을 갖는 병렬식 시딩 플레이트 상에서 모니터하였다.
KMS11-Par 주(line)에서의 H3K36me2 세포 ELISA 검정
ELISA(효소-결합 면역흡착검정) 기반 검정을 사용하여 다발성 골수종 세포주 KMS11(t(4;14)+)에서 세포 H3K36me2 수준을 감소시키는 후보 화합물의 능력을 시험하였다. KMS11(Horizon Discovery Ltd.) 세포는 12.5% FBS 및 50 U/ml 페니실린-스텝토마이신을 갖는 RPMI1640 배지 내에서 유지한다. 분석 화합물 처리를 위해, 단일 세포 현탁액을 ELISA를 위한 B-27 및 N2 보충물(Invitrogen 11058-021, 17504-044, 17502-048)이 추가된 Opti-MEM 및 cellTiter Glo(CTG) 생존력 검정을 위한 유지 배지에서 제조하였다. 세포 처리 하루 전에, 1,250개의 KMS11 세포를 30 μL/웰의 최종 부피로 384-웰 Greiner CellStar TC 플레이트(Greiner #781086) 내로 시딩하였다.
세포를 시험하는 화합물로 소기의 농도에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미정제 히스톤 용해물을 0.4M HCl에 의해 추출한 후 0.5M 제2인산나트륨(Na2HPO4), pH 약 12.5에 의해 중화하였다. 동일한 양의 히스톤 용해물을 H3K36me2를 위한 Corning 384-웰 고결합 플레이트(Corning #3577, 흑색) 및 총 H3을 위한 Thermo 384-웰 고결합 Nunc 플레이트(Thermo #460372, 백색)에 로딩하였다.
히스톤 결합 플레이트를 세정하고, 5% BSA로 차단하였다. H3K36me2 및 총 H3를 1차 항체(H3K36me2 Abcam, #ab9049; 총 H3 세포 신호, #4499L)에 의해 검출하고, 겨자무과산화효소(HRP) 접합 2차 항체 및 ECL 기질에 의해 추가로 확인하였다. H3K36me2 및 총 H3의 존재비를 플레이트 판독기 상의 화학발광에 의해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력은 CellTiter-Glo 시약(Promega # G7573)을 갖는 병렬식 시딩 플레이트 상에서 모니터하였다.
CGTH-W-1주에서의 H3K36me2 세포 ELISA 검정
ELISA(효소-결합 면역흡착검정) 기반 검정을 사용하여 NSD2 E1099K 기능 획득 돌연변이를 갖는 갑상선암종 세포주 CGTH-W-1 상의 세포 H3K36me2 수준을 감소시키는 후보 화합물의 능력을 시험하였다. CGTH-W-1(DSMZ) 세포는 10% FBS 및 50 U/ml 페니실린-스텝토마이신을 갖는 RPMI1640 배지 내에서 유지한다. 분석 화합물 처리를 위해, 단일 세포 현탁액을 ELISA를 위한 B-27 및 N2 보충물(Invitrogen 11058-021, 17504-044, 17502-048)이 추가된 Opti-MEM 및 cellTiter Glo(CTG) 생존력 검정을 위한 유지 배지에서 제조하였다. 세포 처리 하루 전에, 500개의 CGTH-W-1 세포를 30 μL/웰의 최종 부피로 384-웰 Greiner CellStar TC 플레이트(Greiner #781086) 내로 시딩하였다.
세포를 시험하는 화합물로 소기의 농도에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미정제 히스톤 용해물을 0.4M HCl에 의해 추출한 후 0.5M 제2인산나트륨(Na2HPO4), pH 약 12.5에 의해 중화하였다. 동일한 양의 히스톤 용해물을 H3K36me2를 위한 Corning 384-웰 고결합 플레이트(Corning #3577, 흑색) 및 로딩 대조군으로서 총 H3을 위한 Thermo 384-웰 고결합 Nunc 플레이트(Thermo #460372, 백색)에 로딩하였다.
히스톤 결합 플레이트를 세정하고, 5% BSA로 차단하였다. H3K36me2 및 총 H3를 1차 항체(H3K36me2 Abcam, #ab9049; 총 H3 세포 신호, #4499L)에 의해 검출하고, 겨자무과산화효소(HRP) 접합 2차 항체 및 ECL 기질에 의해 추가로 확인하였다. H3K36me2 및 총 H3의 존재비를 플레이트 판독기 상의 화학발광에 의해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력은 CellTiter-Glo 시약(Promega # G7573)을 갖는 병렬식 시딩 플레이트 상에서 모니터하였다.
상이한 검정 형식 및 세포주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NSD2 생화학적 활성도 및 H3K36me2 세포 활성도는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표 2]
Figure pct00167
Figure pct00168
Figure pct00169
Figure pct00170
Figure pct00171
Figure pct00172
Figure pct00173
Figure pct00174
Figure pct00175
Figure pct00176
Figure pct00177
Figure pct00178
Figure pct00179
Figure pct00180
Figure pct00181
Figure pct00182
Figure pct00183
Figure pct00184
Figure pct00185
Figure pct00186
Figure pct00187
Figure pct00188
Figure pct00189
Figure pct00190
Figure pct00191
Figure pct00192
Figure pct00193
Figure pct00194
Figure pct00195
Figure pct00196
Figure pct00197
Figure pct00198
Figure pct00199
Figure pct00200
Figure pct00201
Figure pct00202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및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이의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당업자에게 제시될 것이고, 이는 본 출원의 정신 및 범위 그리고 청구된 청구항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함이 이해된다. 본원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Claims (26)

  1. 화학식 (Ⅰ)의 화합물
    Figure pct00203
    (I)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상기 식에서,
    A는 N 또는 CR9이고, 여기서 R9는 수소 또는 할로(halo)이고;
    L은 결합 또는 C1-4 알킬렌이고;
    R1은 H이거나;
    R1 및 R2는 NH와 함께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구성원으로서 함유하는 5 내지 8원(membered)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상기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은 비(非)치환되거나 옥소 치환기로 치환되고;
    R2는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i) 수소, -C1-6 알킬, -할로C1-6 알킬, -하이드록시C1-6 알킬렌, -하이드록시할로C1-6 알킬렌, -C1-6알콕시C1-6알킬렌, -할로C1-6 알콕시C1-6 알킬렌 또는 -C3-8 사이클로알콕시(C1-6 알킬);
    (ii) 시아노; -시아노C1-6 알킬렌; -C1-6 알킬티오C1-6알킬; -C2-6알케닐; -할로C2-6 알케닐; -C2-6 알키닐; -C1-4 알킬SOC1-4알킬; -C1-4 알킬SO2C1-4알킬; -SO2R8 또는 -C(C1-4 알킬)=N-O(C1-4 알킬);
    (iii) -C1-4알킬카보닐; -(CRaRb)p-C(=O)-OR10; 또는 -C(=O)-(CRaRb)qR11-; 여기서 R11은 C3-7 사이클로알킬,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이고, 이들 각각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로 치환되고;
    (iv) -(CRaRb)r-C(=O)-NR12R13, 여기서 R12는 수소 또는 C1-6 알킬이거나; R13은 수소, -C1-6 알킬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거나; R12 및 R13은 함께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는 비치환되거나 C1-4 알킬로 치환되고;
    (v)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C0-6알킬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할로C1-4 알킬), 여기서 각각의 상기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옥소로 치환되고;
    (vi) 5 내지 9원 헤테로아릴C0-6알킬 또는 5 내지 9원 헤테로아릴(할로C1-4알킬), 여기서 각각의 상기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C1-4 알킬, -할로C1-4 알킬, -하이드록시C1-4 알킬렌, -C1-4 알콕시, -할로C1-4 알콕시,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옥시도, -아미노카보닐C0-6알킬, -C1-4알킬아미노카보닐C0-6알킬, -디C1-4알킬아미노카보닐C0-6알킬 또는 -C3-7 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고;
    R3a, R3b, R4a, R4b, R5a, R5b, R6a 및 R6b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하이드록실, -C1-6 알킬, -할로C1-6 알킬, -하이드록시C1-6 알킬렌, -C1-6 알콕시, -C1-6알콕시C1-6알킬렌, -할로C1-6 알콕시C1-6알킬렌, -하이드록시할로C1-6 알킬렌, 아릴, -C(=O)-OR14 또는 -(CRaRb)s-C(=O)-NR15R16이거나;
    R3a 및 R3b, R4a 및 R4b, R5a 및 R5b 또는 R6a 및 R6b는 옥소 치환기를 형성하고;
    R7은 H, -C1-4 알콕시, 할로 또는 C1-4 알킬이거나; 비치환되거나 할로로 치환된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R8은 C3-8 사이클로알킬(C0-6 알킬);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4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C0-6알킬;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9원 헤테로아릴C0-6알킬 또는 아릴이고; R8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3개의 R17로 치환되고;
    R17은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C1-6 알킬, -할로C1-6 알킬, -C1-6 알콕시, -할로C1-6 알콕시, -NRaC(=O)CRc=C(Rc)2 또는 -(CRaRb)t-NRa-C(=O)-R18이고;
    Ra, Rb, Rc, R10, R14,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R18은 -C1-4 알킬 또는 -C1-4 할로알킬이고;
    p, q, r, s 및 t는 독립적으로 0 내지 4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 제1항에 있어서, A는 N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a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R3b는 수소, 할로, -하이드록실, -C1-6 알콕시 또는 시아노이거나;
    R4a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R4b는 수소, 할로, -C1-6알콕시C1-6알킬렌, -C1-6 알킬 또는 -할로C1-6 알킬이거나;
    R5a는 수소이고, R5b는 수소 또는 -C1-6 알킬이거나;
    R5a 및 R5b는 함께 옥소 치환기를 형성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6a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R6b는 수소, -할로C1-6 알콕시C1-6 알킬렌, -하이드록시C1-6 알킬렌, -하이드록시할로C1-6 알킬렌, 카복실, 페닐 또는 -(CRaRb)t-C(O)-NR15R16이고;
    Ra, Rb,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t는 0 내지 1이거나;
    R6a 및 R6b는 함께 옥소 치환기를 형성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7은 H, -C1-4 알콕시 또는 할로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R3a, R3b, R4a, R4b, R5a, R5b, R6a, R6b 및 R7은 수소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Ⅱ)의 화합물:
    Figure pct00204
    (Ⅱ)
    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수소, -C1-6 알킬, -할로C1-6 알킬, -하이드록시C1-6 알킬렌, -하이드록시할로C1-6 알킬렌, -C1-6알콕시C1-6알킬렌, -할로C1-6 알콕시C1-6 알킬렌 또는 -C3-8 사이클로알콕시(C1-6 알킬)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수소; 2,2-디플루오로에틸; 2-메틸-프로판-1-올일; 에탄-1-올일; 2,2-디플루오로에탄-1-올일; 2-플루오로에탄-1-올일; 2,2,2-트리플루오로에탄-1-올일; 디플루오로메톡실; 또는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실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Figure pct00205
    또는
    Figure pct00206
    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4알킬카보닐;
    -(CRaRb)p-C(O)-OR10, 여기서 R10은 수소 또는 -C1-4 알킬이거나;
    -C(O)-(CRaRb)q-R11, 여기서 R11은 C3-6 사이클로알킬,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이고, 이들 각각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로 치환되거나;
    -(CRaRb)r-C(O)-NR12R13이고, 여기서,
    R12는 수소 또는 -C1-6 알킬이고;
    R13은 수소, -C1-6 알킬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거나;
    R12 및 R13은 함께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5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는 비치환되거나 -C1-4 알킬로 치환되고;
    Ra, Rb 및 R1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p, q 및 r은 독립적으로 0 내지 2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피리딘-2-일, (피리딘-2-일)메틸 또는 (피리딘-2-일)에틸, 여기서 상기 피리딘-2-일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1 내지 2개의 -C1-4 알킬, -C1-4 할로알킬, 하이드록실, -하이드록시C1-4 알킬렌, 시아노, -C1-4 알콕시, -C1-6알콕시C1-6알킬렌, -할로C1-4 알콕시, 할로 또는 -C3-7 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됨;
    티아졸-4-일, 티아졸-2-일메틸, 옥사졸-2-일, 옥사졸-2-일메틸, 피리다진-3-일, 피리다진-3-일메틸, 피라진-2-일, 피라진-2-일메틸, 피리미딘-4-일, 피리미딘-4-일메틸, 이들 각각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C1-4 알킬 또는 할로로 치환됨;
    1H-피라졸-3-일, (1H-피라졸-3-일)메틸, 1-메틸-1H-피라졸-4-일, (1,2,3-트리아졸-4-일), 이소옥사졸-3-일, 이들 각각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C1-4 알킬, 할로 또는 -C3-7 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됨;
    1,4-디옥산-2-일;
    피리딘-2(1H)-온일; 및
    피리딘-1-옥사이드-2-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아제티디닐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은 2,3-디하이드로벤조퓨란-5-일; 1,3-디하이드로이소벤조퓨란-5-일; 벤조[d][1,3]디옥솔-5-일; 이미다조[1,2-a]피리딘-6-일 또는 피라졸로[1,5-a]피리딘-6-일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2개의 할로,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로 치환된 피리딜; 비치환되거나 1 내지 2개의 할로 또는 -C1-6 알킬로 치환된 1H-인다졸-5-일; 또는 비치환되거나 -C1-6 알킬로 치환된 1H-벤조[d]-이미다졸-6-일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은 1 내지 3개의 R17로 치환된 페닐이고;
    R17은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C1-6 알킬, -할로C1-6 알킬, -C1-6 알콕시, -할로C1-6 알콕시, -NRdC(O)CRd=C(Rd)2 또는 -(CRaRb)t-NRd-C(O)-R18이고;
    Ra, Rb 및 Rd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R18은 C1-4 할로알킬이고;
    t는 0 내지 1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은 1 내지 3개의 R17로 치환된 페닐이고; R17은 할로, 하이드록시, -C1-6 알킬, -할로C1-6 알킬, -C1-6 알콕시 또는 -할로C1-6 알콕시인,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표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therapeutically active agent)를 포함하는 조합.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는 항암제, 진통제 또는 소염제인, 조합.
  22.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핵 SET 도메인-보유 단백질 2(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NSD2로 매개된 상기 질병 또는 병태는 고형종양, 백혈병, 골수종, 림프종 및 고혈압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NSD2로 매개된 상기 질병 또는 병태는 유방암, 자궁 경부암, 피부암, 난소암, 위암, 전립선암, 췌장암, 폐암, 간세포암종, 두경부암, 말초신경집종양, 골육종, 다발성 골수종, 신경모세포종, 백혈병, 비(非)호지킨림프종 또는 폐동맥고혈압인,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NSD2로 매개된 상기 질병 또는 병태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피부 편평세포암종 또는 외투세포 림프종인, 방법.
  26. 선택적으로 제2 치료제와 조합한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핵 SET 도메인-보유 단백질 2(NSD2)로 매개된 질병 또는 병태를 위한 약물 제조에서의 용도.
KR1020227008255A 2019-08-14 2020-08-12 Nsd2 억제제 및 항암제로서의 피페리디닐-메틸-퓨린아민 KR202200473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9/100542 2019-08-14
PCT/CN2019/100542 WO2021026803A1 (en) 2019-08-14 2019-08-14 Piperidinyl-methyl-purineamines as nsd2 inhibitors and anti-cancer agents
PCT/IB2020/057602 WO2021028854A1 (en) 2019-08-14 2020-08-12 Piperidinyl-methyl-purineamines as nsd2 inhibitors and anti-cancer ag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330A true KR20220047330A (ko) 2022-04-15

Family

ID=7214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255A KR20220047330A (ko) 2019-08-14 2020-08-12 Nsd2 억제제 및 항암제로서의 피페리디닐-메틸-퓨린아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420970B1 (ko)
EP (1) EP4013755A1 (ko)
JP (1) JP2022544946A (ko)
KR (1) KR20220047330A (ko)
CN (1) CN114585622A (ko)
AU (1) AU2020328919A1 (ko)
BR (1) BR112022002520A2 (ko)
CA (1) CA3144542A1 (ko)
CO (1) CO2022002804A2 (ko)
EC (1) ECSP22019360A (ko)
IL (1) IL289754A (ko)
MX (1) MX2022001784A (ko)
WO (2) WO2021026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3201A1 (en) * 2022-01-05 2023-07-13 K36 Therapeutics, Inc. Deuterium-enriched piperidinyl-methyl-purine amines and related compounds and their use in treating diseases and conditions
WO2023156386A2 (en) * 2022-02-16 2023-08-24 Duke Street Bio Limited Pharmaceutical compound
WO2023225150A1 (en) * 2022-05-18 2023-11-23 K36 Therapeutics, Inc. Piperidinyl-methyl-purine amine fumaric acid salts, crystalline forms, and their use in treating medical diseases and conditions
WO2023225141A1 (en) * 2022-05-18 2023-11-23 K36 Therapeutics, Inc. Piperidinyl-methyl-purine amine d-tartaric acid salts, crystalline forms, and their use in treating medical diseases and conditions
WO2023225144A1 (en) * 2022-05-18 2023-11-23 K36 Therapeutics, Inc. Piperidinyl-methyl-purine amine salts, crystalline forms, and their use in treating medical diseases and conditions
WO2023225154A1 (en) * 2022-05-18 2023-11-23 K36 Therapeutics, Inc. Piperidinyl-methyl-purine amine salts, crystalline forms, and their use in treating medical diseases and conditions
WO2023230026A1 (en) * 2022-05-23 2023-11-30 K36 Therapeutics, Inc. Piperidinyl-methylpurine benzenes and related compounds and their use in treating diseases and conditions
WO2023230038A1 (en) * 2022-05-23 2023-11-30 K36 Therapeutics, Inc. Piperidinyl-methylpurine pyrimidines and related compounds and their use in treating diseases and conditions
WO2024073283A1 (en) * 2022-09-26 2024-04-0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Heterocycles as modulators of nsd a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5905A1 (fr) 2001-04-17 2002-10-31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imited Nouveaux derives d'adenine
EP1529049B1 (en) * 2002-08-08 2009-11-18 Memory Pharmaceuticals Corporation Derivatives of 2-trifluormethyl-6-aminopurine as phosphodiesterase 4 inhibitors
ES2387388T3 (es) * 2002-09-27 2012-09-21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Compuesto de adenina y uso del mismo
JP2004137157A (ja) * 2002-10-16 2004-05-13 Sumitomo Pharmaceut Co Ltd 新規アデニ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医薬
AR065784A1 (es) 2007-03-20 2009-07-01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Derivados de 8-oxo adenina,medicamentos que los contienen y usos como agentes terapeuticos para enfermedades alergicas, antivirales o antibacterianas.
WO2011049825A1 (en) * 2009-10-22 2011-04-28 Gilead Sciences, Inc. Derivatives of purine or deazapurin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nter alia) viral infections
WO2019196918A1 (zh) 2018-04-13 2019-10-17 罗欣药业(上海)有限公司 五元杂环并嘧啶类化合物、药物组合物及用途
CN109223794B (zh) * 2018-08-24 2020-07-28 江苏理工学院 一种化合物c6作为组蛋白甲基转移酶nsd3活性抑制剂及其应用
CN108853110B (zh) * 2018-08-24 2020-07-28 江苏理工学院 一种化合物a8作为组蛋白甲基转移酶nsd3活性抑制剂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2001784A (es) 2022-04-18
CN114585622A (zh) 2022-06-03
WO2021026803A1 (en) 2021-02-18
AU2020328919A1 (en) 2022-02-17
US11420970B1 (en) 2022-08-23
IL289754A (en) 2022-03-01
WO2021028854A1 (en) 2021-02-18
US20230002388A1 (en) 2023-01-05
BR112022002520A2 (pt) 2022-05-10
CA3144542A1 (en) 2021-02-18
ECSP22019360A (es) 2022-04-29
CO2022002804A2 (es) 2022-04-08
EP4013755A1 (en) 2022-06-22
JP2022544946A (ja)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0970B1 (en) Piperidinyl-methyl-purineamines as NSD2 inhibitors and anti-cancer agents
US10336762B2 (en) Pyrrolo[1,2-b]pyridazine derivatives
JP6242885B2 (ja) 5−アザインダゾール化合物及び使用方法
KR102013021B1 (ko) 이미다조[4,5-c]퀴놀린-2-온 화합물 및 암의 치료에서 그의 용도
JP2022516401A (ja) Irak分解剤およびそれらの使用
CA3072694A1 (en) 3-(1-oxoisoindolin-2-yl)piperidine-2,6-dio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AU2017342027A1 (en) Substituted pyrazolo[1,5-a]pyridine compounds as RET kinase inhibitors
KR20210152515A (ko) 이카로스 및 아이올로스의 트리시클릭 분해제
AU2014342338A1 (en) Aminoheteroaryl benzamides as kinase inhibitors
CA2814419A1 (en) Cxcr4 receptor antagonists
WO2008081914A1 (ja) Plk1阻害剤としての新規アミノピリミジン誘導体
JP2020525471A (ja) Nik阻害剤としての新規の置換アザインドリン誘導体
TW202302598A (zh) 噻吩并吡咯化合物
WO2022165529A1 (en)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salt inducible kinases
EP4013756B1 (en) Mll1 inhibitors and anti-cancer agents
US11912708B2 (en) Macrocyclic heterocycles and uses thereof
JP7349016B2 (ja) Mll1阻害剤及び抗癌剤
WO2023205701A1 (en) Macrocyclic heterocycles and uses thereof
KR20230135541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의 체크포인트 키나제 2 저해 용도
WO2024059559A1 (en) Isothiazolylcarboxamide compounds and their use in therapy
CA3213823A1 (en) Selective modulators of ataxia telangiectasia mutated (atm) kinase and uses thereof
TW202413368A (zh) Smarca降解劑及其用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