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291A - 단말 - Google Patents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291A
KR20220047291A KR1020227006594A KR20227006594A KR20220047291A KR 20220047291 A KR20220047291 A KR 20220047291A KR 1020227006594 A KR1020227006594 A KR 1020227006594A KR 20227006594 A KR20227006594 A KR 20227006594A KR 20220047291 A KR20220047291 A KR 2022004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terminal
gnb
procedu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오루 우치노
티안양 민
히데아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2004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04W36/362Conditional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타깃 gNB(100B) 배하(配下; Subordinate)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무선 링크 장애에 따라, 재확립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제어부(240)를 구비한다. 제어부(240)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경우에, 단말(200)과 타깃 gNB(100B)와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한다.

Description

단말
본 발명은, 재확립 수순을 이용하지 않고,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遷移)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는, Long Term Evolution(LTE)을 사양화하고, LTE의 더욱의 고속화를 목적으로 하여 LTE-Advanced(이하, LTE-Advanced를 포함시켜 LTE라고 한다)를 사양화하고 있다. 또, 3GPP에서는, 더욱, 5G 또는 New Radio(NR) 등이라 불리는 LTE의 후계 시스템의 사양이 검토되고 있다.
종래의 핸드오버(HO) 수순에서는, 네트워크가, 단말로부터 송신된 측정 보고 등의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무선기지국(타깃 셀이라고도 불린다)을 결정하고, 핸드오버의 준비 후에, 핸드오버 커맨드가 단말로 송신된다.
그러나, 단말이, 네트워크 측에서의 핸드오버의 준비 중에, 적절한 핸드오버의 포인트를 통과해 버리면, 소스 무선기지국(소스 셀이라고도 불린다)으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遷移)하기 때문에, 무선 링크의 순단(瞬斷; 잠깐씩 끊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onditional HO라 불리는 수순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Conditional HO에서는, 소스 무선기지국이, 단말에 대해, 미리 타깃 후보 셀과,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을 포함하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통지한다.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이 만족되면, 단말은, 핸드오버 커맨드를 기다리지 않고, 해당 타깃 후보 셀을 관리하는 타깃 무선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수순을 실행하여, 해당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한다. 이로 인해, 무선 링크의 순단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Conditional HO를 이용하여, 무선 링크 장애(RLF)로부터 조기에 복귀하는 수순도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타깃 무선기지국과 재확립 수순(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하고, RLF로부터 복귀할 수 있다.
비특허문헌 1: "New WID: NR mobility enhancements", RP-190489, 3GPP TSG RAN Meeting #83, 3GPP, 2019년 3월
그러나, Conditional HO에 따른 셀 천이 수순을 RLF로부터의 복귀에 적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RLF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과 타깃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확립된 무선 베어러가 정지(suspend)된다.
종래의 HO 수순에서는, 단말은, RLF로부터의 복귀 시에 수행되는 RRC Reestablishment 수순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resume)하지만, Conditional HO에서는, RRC Reestablishment 수순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할 수 없다.
정지된 무선 베어러가 재개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무선 링크 장애에 따라, 재확립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하는 경우라도, 단말과 타깃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할 수 있는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200)은, 소스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타깃 무선기지국(100B) 배하(配下; Subordinate)의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무선 링크 장애에 따라, 재확립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무선기지국(100B)으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제어부(24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100B)으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200)과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100B)과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200)은, 소스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타깃 무선기지국(100B) 배하의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무선 링크 장애에 따라, 재확립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무선기지국(100B)으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제어부(24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100B)으로 천이하는 수순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수순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200)과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100B)과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200)은, 소스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타깃 무선기지국(100B) 배하의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무선 링크 장애에 따라, 재확립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무선기지국(100B)으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제어부(240)를 구비하고,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100B)으로 천이하는 수순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220)가, 무선 베어러의 재개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단말(200)과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100B)과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한다.
도 1은, 무선통신시스템(10)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gNB(100A, 100B, 100C)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단말(2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Conditional HO 수순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핸드오버(HO) 수순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장애(RLF)로부터의 복귀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장애(RLF)로부터의 복귀 시퀀스(동작 예 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장애(RLF)로부터의 복귀 시퀀스(동작 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장애(RLF)로부터의 복귀 시퀀스(동작 예 3)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VarRLF-Report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0은,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a는, RRC Setup Complete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b는, RRC Setup Complete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는, RRC Reestablishment Complete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은, RRC Resume Complete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4는, UE Information Request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a는, UE Information Response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b는, UE Information Response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c는, UE Information Response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6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송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중지 시퀀스(동작 예 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중지 시퀀스(동작 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 시퀀스(동작 예 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 시퀀스(동작 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 시퀀스(동작 예 3)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캡슐화하는 gNB(100A)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의 구성(구성 예 1)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4는,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의 구성(구성 예 2)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5는,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트랜잭션 ID 부여 시퀀스(동작 예 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트랜잭션 ID 부여 시퀀스(동작 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실패(HOF)로부터의 복귀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장애(RLF) 후에 무선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말(200)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장애(RLF) 후에 무선 베어러를 재개하는 조건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30은, gNB(100A, 100B, 100C) 및 단말(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기능이나 구성에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달아서, 그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1) 무선통신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10)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0)은, New Radio(NR)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이며, Next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NG-RAN, 미도시), 및 단말(200)을 포함한다.
NG-RAN은, 무선기지국(100A, 100B, 100C)(이하, gNB(100A, 100B, 100C))을 포함한다. 또한, gNB 및 UE의 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NG-RAN은, 실제로는 복수의 NG-RAN Node, 구체적으로는, gNB(또는 ng-eNB)를 포함하고, NR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5GC, 미도시)와 접속된다. 또한, NG-RAN 및 5GC는, 단순히 네트워크라 표현되어도 좋다.
gNB(100A, 100B, 100C)의 각각은, NR에 따른 무선기지국이며, 단말(200)과 NR에 따른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gNB(100A, 100B, 100C)의 각각 및 단말(200)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지향성이 높은 빔을 생성하는 Massive MIMO,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를 묶어서 이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 복수의 NG-RAN Node와 단말과의 사이에 있어서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 커넥티비티(DC)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CC는 캐리어라고도 호칭된다.
gNB(100A, 100B, 100C)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셀을 형성하고, 해당 셀을 관리한다. 단말(200)은, gNB(100A, 100B, 100C)가 형성하는 셀 사이를 천이할 수 있다. 또한, 'gNB(100A, 100B, 100C)가 형성하는 셀 사이를 천이한다'는, 'gNB(100A, 100B, 100C) 사이를 천이한다' 또는 '무선기지국(100A, 100B, 100C) 사이를 천이한다'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 'gNB(100A, 100B, 100C) 배하의 셀'은, 'gNB(100A, 100B, 100C)에 의해 형성되는 셀'을 의미한다.
'천이'란, 전형적으로는, 셀 사이의 핸드오버, 또는 gNB 사이의 핸드오버를 의미하지만, 셀 재선택 등, 접속처의 셀 또는 접속처의 gNB가 변경되는 단말(200)의 거동(behavior)을 포함할 수 있다.
'타깃 셀'이란, 전형적으로는, 단말(200)이 천이하는 천이처(Transition destination) 셀을 의미하지만, 단말(200)이 천이 가능한 셀(잠재적인 타깃 셀)도 포함할 수 있다. 또, '타깃 gNB'란, 전형적으로는, 단말(200)이 천이하는 천이처의 gNB를 의미하지만, 단말(200)이 천이 가능한 gNB(잠재적인 타깃 gNB)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gNB(100B, 100C)가 타깃 gNB이다. 또한, 단말이 천이 가능한 셀은, 후보 셀이라 불려도 좋다. 또, 단말이 천이 가능한 gNB는, 후보 gNB라 불려도 좋다.
한편으로, '소스 셀'이란, 천이원(Transition source)의 셀을 의미한다. '소스 gNB'란, 천이원의 gNB를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gNB(100A)가 소스 gNB이다.
무선통신시스템(10)에서는, 단말(200)은, 조건부 핸드오버(이하, Conditional HO) 수순을 실행한다. 또한, Conditional HO 수순은, CHO 수순이라 약칭되는 경우가 있다.
Conditional HO 수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스 gNB(100A)가, 단말(200)이 천이하는 천이처의 셀의 후보(이하, 타깃 후보 셀)를, 미리 단말(200)에 통지한다.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이 만족되면, 단말(200)은, 소스 gNB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해당 타깃 후보 셀을 관리하는 타깃 gNB(100B)(또는 타깃 gNB(100C))와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실행하여, 타깃 gNB(100B)(또는 타깃 gNB(100C))로 천이한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0)은, NG-RAN 대신에,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E-UTRAN은, 복수의 E-UTRAN Node, 구체적으로는, eNB(또는 en-gNB)를 포함하고, LTE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EPC)와 접속된다.
(2) 무선통신시스템의 기능 블록 구성
다음으로, 무선통신시스템(10)의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gNB(100A, 100B, 100C) 및 단말(200)의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에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따라서, gNB(100A, 100B, 100C) 및 단말(20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에 직접 관련이 없는 다른 기능 블록을 구비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2는, gNB(100A, 100B, 100C)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또한, gNB(100A, 100B, 100C)는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gNB(100B, 100C)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NB(100A)는, 송신부(110), 수신부(120), 보유부(130) 및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송신부(110)는, NR에 따른 하향 링크 신호(DL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120)는, NR에 따른 상향 링크 신호(UL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는,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단말(200)과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송신부(110)는, NR에 따른 신호를 다른 gNB로 송신한다. 수신부(220)는, NR에 따른 신호를 다른 gNB로부터 수신한다.
송신부(110)는, 후술하는 RRC Reconfiguration 등의 RRC 메시지를 단말(200)로 송신한다.
송신부(110)는, gNB(100A)가 소스 gNB인 경우, 후술하는 CHO request를 타깃 gNB로 송신한다. 송신부(210)는, gNB(100A)가 타깃 gNB인 경우, 후술하는 CHO request ACK, HO cancellation 및 HO modification을 소스 gNB로 송신한다. CHO request ACK는,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부(120)는, 후술하는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 RRC SetupComplete, RRC Reestablishment Complete 등의 RRC 메시지를 단말로(200)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부(120)는, gNB(100A)가 소스 gNB인 경우, 후술하는 CHO request ACK, HO cancellation 및 HO modification을 타깃 gNB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부(120)는, gNB(100A)가 타깃 gNB인 경우, 후술하는 CHO request를 소스 gNB로부터 수신한다.
보유부(130)는, gNB(100A)가 소스 gNB인 경우,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보유한다.
제어부(140)는, gNB(100A)를 구성하는 각 기능 블록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gNB(100A)가 타깃 gNB인 경우, gNB(100A)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상태에 따라,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삭제를 결정한다.
제어부(140)는, gNB(100A)가 타깃 gNB인 경우, 소스 gNB를 향해, gNB(100A)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삭제를 지시하는 HO cancellation을 송신부(110)로 송신시킨다.
제어부(140)는, gNB(100A)가 타깃 gNB인 경우, 단말(200)이 gNB(100A)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된 시간 내에 천이하지 않으면, 소스 gNB를 향해, HO cancellation을 송신부(110)로 송신시킨다.
제어부(140)는, gNB(100A)가 타깃 gNB인 경우, gNB(100A)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상태에 따라,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변경을 결정한다.
제어부(140)는, gNB(100A)가 타깃 gNB인 경우, 소스 gNB를 향해, gNB(100A)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HO modification을 송신부(110)로 송신시킨다.
제어부(140)는, gNB(100A)가 소스 gNB인 경우,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복수 포함하는 리스트를, RRC Reconfiguration에 포함시킨다.
도 3은, 단말(2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송신부(210), 수신부(220), 보유부(230) 및 제어부(240)를 구비한다.
송신부(210)는, NR에 따른 상향 링크 신호(UL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220)는, NR에 따른 하향 링크 신호(DL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부(210) 및 수신부(220)는,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gNB(100A∼100C)의 각각과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송신부(210)는, 후술하는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 RRC SetupComplete, RRC Reestablishment Complete 등의 RRC 메시지를 송신한다.
수신부(220)는, 후술하는 RRC Reconfiguration 등의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
보유부(230)는,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보유한다.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는, RRC Reconfiguration에 포함된다.
제어부(240)는, 단말(200)을 구성하는 각 기능 블록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RLF에 따라, 재확립 수순(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단말(200)과 타깃 gNB와의 사이에 있어서 RA 수순을 수행하여, 타깃 gNB로 천이한다.
제어부(240)는, RLF에 따라, 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gNB로 천이한다.
제어부(240)는,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단말(200)과 타깃 gNB와의 사이에 있어서 RA 수순을 수행하여, 타깃 gNB로 천이한다.
제어부(240)는, HOF에 따라, 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타깃 gNB로 천이한다.
제어부(240)는, 상술한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 RRC SetupComplete, RRC Reestablishment Complete 등의 RRC 메시지에, RLF의 발생을 통지하는 RLF 정보, RLF를 검출한 셀의 정보, RLF를 검출한 단말(200)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RLF 검출 정보 등을 포함시킨다.
제어부(240)는, 수신부(220)가, 타깃 후보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한 경우에, RA 수순의 개시 전에,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송신부(210)로 송신시킨다. 또한, 수신부(220)는,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의 송신 후에, 변경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한다.
제어부(240)는, 수신부(220)가, 소스 gNB에 의해 트랜잭션 ID가 부여된 RRC Re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트랜잭션 ID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에 포함시킨다. 제어부(240)는, 소스 gNB를 향해, 해당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송신부(210)로 송신시킨다.
제어부(240)는, 수신부(220)가, 타깃 gNB에 의해 트랜잭션 ID가 부여된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트랜잭션 ID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에 포함시킨다. 제어부(240)는, RA 수순의 성공 후에, 타깃 gNB를 향해, 해당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를 송신부(210)로 송신시킨다.
제어부(240)는, HOF 시에, 단말(200)과 타깃 gNB와의 사이에 있어서 공유하는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유지하고,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에 포함시킨다. 유지되는 설정 정보는, 시큐리티 정보,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40)는, RA 수순의 성공 후에, 타깃 gNB를 향해, 해당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를 송신부(210)로 송신시킨다.
제어부(240)는, 타깃 gNB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경우에, 단말(200)과 타깃 gNB와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한다.
제어부(240)는, 타깃 gNB로 천이하는 수순에 있어서, RA 수순을 수행하는 경우에, 단말(200)과 타깃 gNB와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한다.
제어부(240)는, 타깃 gNB로 천이하는 수순에 있어서, 수신부(220)가, 무선 베어러의 재개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단말(200)과 타깃 gNB와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한다.
(3) 무선통신시스템의 동작
다음으로, 무선통신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Conditional HO 수순을 설명한 후에, 다음의 동작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장애(RLF)로부터의 복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송신 타이밍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핸드오버(HO) 중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핸드오버(HO) 변경,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의 구성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트랜잭션 식별자(ID) 부여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실패(HOF)로부터의 복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장애(RLF) 후의 무선 베어러의 재개
(3.1) Conditional HO 수순
도 4는, Conditional HO 수순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 gNB(100A)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 100C)를 도출하면, 타깃 gNB(100B, 100C)에 대해, Conditional HO 요구(CHO request)를 송신한다(S11).
타깃 gNB(100B)는, 소스 gNB(100A)로부터 CHO request를 수신하면, 타깃 gNB(100B) 배하의 셀(타깃 후보 셀이라고 한다)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CHO request 응답(CHO request ACK)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13).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는, 타깃 후보 셀의 정보와,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타깃 gNB(100C)는, 소스 gNB(100A)로부터 CHO request를 수신하면, 타깃 gNB(100C) 배하의 셀(타깃 후보 셀이라고 한다)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CHO request 응답(CHO request ACK)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13).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는, 타깃 후보 셀의 정보와,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을 포함한다.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 100C)로부터 CHO request ACK를 수신하면, Conditional HO 구성(CHO 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RRC Reconfiguration)를, 단말로 송신한다(S15). CHO configuration은, 타깃 gNB(100B, 100C)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CHO 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Conditional HO 조건(CHO 조건)을 감시한다(S17). 구체적으로는, 단말(200)은, 각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200)은, 단말(200)의 이동 등으로 인해,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정하면, 소스 gNB(100A)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해당 타깃 후보 셀로의 핸드오버(HO)의 개시를 결정한다(S19).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HO의 개시를 결정한다. 천이 조건이 만족되는 천이처의 타깃 후보 셀은, CHO 셀이라고도 호칭된다.
또한, 소스 gNB(100A)는, S13에서, 타깃 gNB(100B, 100C)로부터, 타깃 후보 셀의 정보만을 수신해도 좋다. 이 경우, 소스 gNB(100A)는, S15에서, 타깃 후보 셀의 정보와, 단말(200)이 핸드오버(HO)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포함하는 CHO configuration을, 단말(200)로 송신한다.
이 경우, 단말(200)은, S17에서, HO를 트리거하는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200)은, 단말(200)의 이동 등으로 인해, HO를 트리거하는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정하면, S19에서, 천이처의 타깃 후보 셀을 결정하고, 해당 타깃 후보 셀로의 핸드오버를 개시한다. 단말(200)은, 예를 들면, 소스 gNB(100A)에 의해 부여된 각 타깃 후보 셀의 우선도, 각 타깃 후보 셀의 정보에 포함되는 셀의 상태 등에 기초하여, 천이처의 타깃 후보 셀을 결정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HO의 개시를 결정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실행하여,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한다(S21). 이로 인해,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하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23).
(3.2)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로부터의 복귀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로부터의 복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종래의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로부터의 복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로부터의 복귀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 gNB(100A)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를 도출하면, 타깃 gNB(100B)에 대해, HO 요구(HO request)를 송신한다(S51).
타깃 gNB(100B)는, 소스 gNB(100A)로부터 HO request를 수신하면, 타깃 gNB(100B) 배하의 셀(타깃 셀이라고 한다)의 정보를 포함하는 HO request 응답(HO request ACK)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53).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로부터 HO request ACK를 수신하면, 핸드오버 커맨드(HO command)를 포함하는 RRC 재구성 메시지(RRC Reconfiguration)를, 단말(200)로 송신한다(S55). HO command는, 타깃 gNB(100B)로부터 송신된 타깃 셀의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HO command를 수신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실행하여,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동기의 확립을 시도한다(S57).
단말(200)은, S57에서, RA 수순의 실행 중에, RLF가 발생하여, RA 수순에 실패하면, 셀 재선택을 실행한다(S59).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셀에 재접속하는 것을 결정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RRC 재확립(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200)은, RRC 재확립 요구 메시지(RRC Reestablishment request)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61). 타깃 gNB(100B)는, 단말(200)로부터 RRC Reestablishment request를 수신하면, RRC 재확립 메시지(RRC Reestablishment)를 단말(200)로 송신한다(S63). RRC Reestablishment는,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재확립하기 위해 이용되는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로부터 RRC Reestablishment를 수신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재확립하고, RRC 재확립 완료 메시지(RRC Reestablishment Complete)를 송신한다(S65).
S65에서, 단말(200)은, RRC Reestablishment Complete에 RLF 정보를 포함시켜서, RLF 통지를 수행한다. RLF 정보는, 단말(200)과 타깃 gNB(100B)와의 사이에서 RLF가 발생한 것을, 네트워크 측에 통지하기 때문에, RRC Reestablishment Complete에 포함된다.
타깃 gNB(100B)는, 단말(200)로부터 RRC Reestablishment Complete를 수신하면, RRC Reconfiguration을 단말(200)로 송신한다(S67). 단말(200)은, 타깃 gNB(100B)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RRC 커넥션의 재구성을 실행하고, 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69).
(3.2.1) 동작 예 1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로부터의 복귀의 동작 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동작 예에서는,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 RLF가 발생하여 RA 수순이 실패한 경우에, 단말(200)은, 천이처의 타깃 후보 셀(CHO 셀)을 재선택하고, RA 수순을 실행한 후에,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이용하여, RLF의 발생을 네트워크 측에 통지한다.
도 6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로부터의 복귀 시퀀스(동작 예 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의 S101∼S109는, 도 4의 S11∼S19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HO의 개시를 결정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실행하여,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동기의 확립을 시도한다(S111).
단말(200)은, S111에서, RA 수순의 실행 중에, RLF가 발생하여, RA 수순에 실패하면,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천이처의 타깃 후보 셀(CHO 셀)을 재선택한다(S113).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을 재선택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을 재선택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실행하여,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시킨다(S115). 이로 인해,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하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117).
S117에서, 단말(200)은,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에 RLF 정보를 포함시켜, RLF 통지를 수행한다. RLF 정보는, 단말(200)과 타깃 gNB(100B)와의 사이에서 RLF가 발생한 것을, 네트워크 측에 통지하기 위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RLF 정보는, 1 비트로 나타내어진다. 이 경우, 예를 들면, RLF가 발생한 경우에는, RLF 정보로서 '1'이 설정되고, RLF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RLF정보로서 '0'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RLF 정보는, Conditional HO 수순이 완료된 것, 즉, 단말(200)이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에 포함된다.
S117에서, 단말(200)은,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에, RLF 정보와 RLF 검출 정보를 포함시켜도 좋다. RLF 검출 정보는, 예를 들면, RLF가 검출된 셀(본 실시형태에서는, 타깃 gNB(100B) 배하의 셀)의 식별자 등의 셀 정보, RLF를 검출한 단말(200)의 위치 정보(글로벌·네비게이션·새틀라이트·시스템(GNSS) 정보 등), RLF가 검출된 무선 액세스 기술(RAT) 정보, RLF가 검출되었을 때에 사용되고 있던 주파수 정보, RLF가 검출되었을 때에 사용되고 있던 대역폭 부분(BWP) 정보, 및 RLF가 검출된 위치(글로벌·포지셔닝·시스템(GPS)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소스 gNB(100A)는, S13과 마찬가지로, S103에서, 타깃 gNB(100B, 100C)로부터, 타깃 후보 셀의 정보만을 수신해도 좋다. 이 경우, 단말(200)은, S133에서, 소스 gNB(100A)에 의해 부여된 각 타깃 후보 셀의 우선도, 각 타깃 후보 셀의 정보에 포함되는 셀의 상태 등에 기초하여, 천이처의 타깃 후보 셀(CHO 셀)을 재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HO 셀의 재선택을 이용하여 RLF로부터 복귀하는 경우, 단말(200)은, 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타깃 gNB로 천이하고, RLF로부터 조기에 복귀할 수 있다.
(3.2.2) 동작 예 2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로부터의 복귀의 동작 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동작 예에서는, 동작 예 1에서, 단말(200)이, S105에서,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 1(RRC Reconfiguration Complete 1)을 송신한다.
도 7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로부터의 복귀 시퀀스(동작 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의 S101∼S115는, 도 6의 S101∼S115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송신한다(S105a).
단말(200)은, S115의 RA 수순에 의해 타깃 gNB(100B)에 접속하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 2(RRC Reconfiguration Complete 2) 또는 RRC 셋업 완료 메시지(RRC Setup Complete)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117a).
또한,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 및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는,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S117a에서, 단말(200)은,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2 또는 RRC Setup Complete에 RLF 정보를 포함시켜, RLF 통지를 수행한다. 또, S117a에서, 단말(200)은,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2 또는 RRC Setup Complete에, RLF 정보와 RLF 검출 정보를 포함시켜도 좋다.
(3.2.3) 동작 예 3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로부터의 복귀의 동작 예 3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동작 예에서는, 동작 예 1에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 RLF가 발생하여 RA 수순이 실패한 경우에, 단말(200)은, 타깃 후보 셀 이외의 천이처의 셀(CHO 셀 이외의 천이처의 셀)을 재선택하고, 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한다.
도 8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로부터의 복귀 시퀀스(동작 예 3)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의 S101∼S111은, 도 6의 S101∼S111과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동작 예에서는, 소스 gNB(100A)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 만을 도출한다. 이 때문에,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에 대해, CHO request를 송신하고(S101), 타깃 gNB(100B)로부터,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CHO request ACK를 수신한다(S103).
단말(200)은, S111에서, RA 수순의 실행 중에, RLF가 발생하여, RA 수순에 실패하면,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천이처의 타깃 후보 셀(CHO 셀)을 재선택한다. 그러나, 단말(200)이,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천이처의 타깃 후보 셀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타깃 후보 셀 이외의 천이처의 셀(CHO 셀 이외의 천이처의 셀)을 재선택한다(S131).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타깃 gNB(100C) 배하의 셀을 재선택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C) 배하의 셀에 재접속하는 것을 결정하면, 타깃 gNB(100C)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200)은, RRC Reestablishment request를, 타깃 gNB(100C)로 송신한다(S133). 타깃 gNB(100C)는, 단말(200)로부터 RRC Reestablishment request를 수신하면, RRC Reestablishment를 단말(200)로 송신한다(S135). RRC Reestablishment는, 타깃 gNB(100C)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재확립하기 위해 이용되는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C)로부터 RRC Reestablishment를 수신하면, 타깃 gNB(100C)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재확립하고, RRC Reestablishment Complete를 송신한다(S137).
S137에서, 단말(200)은, RRC Reestablishment Complete에 RLF 정보를 포함시켜, RLF 통지를 수행한다. 또, S137에서, 단말(200)은, RRC Reestablishment Complete에, RLF 정보와 RLF 검출 정보를 포함시켜도 좋다.
(3.2.4) 정보 요소(IE)
다음으로, 상술한 RLF 통지에 이용되는 각 메시지의 IE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VarRLF-Report 내의 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RLF 정보를 VarRLF-Report 내의 rlf-Report-r16에 포함시킨다. 또한, 단말(200)은, RLF 정보 및 RLF 검출 정보를 VarRLF-Report 내의 rlf-Report-r16에 포함시켜도 좋다.
도 10은,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내의 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RLF 정보가 VarRLF-Report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6의 S117에서 RLF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내의 rlf-InfoAvailable-r16에 포함시킨다. 또한, 단말(200)은, RLF 정보 및 RLF 검출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내의 rlf-InfoAvailable-r16에 포함시켜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는,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단말(200)은, RLF 정보가 VarRLF-Report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7의 S117a에서 RLF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 내의 rlf-InfoAvailable-r16에 포함시킨다. 또한, 단말(200)은, RLF 정보 및 RLF 검출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 내의 rlf-InfoAvailable-r16에 포함시켜도 좋다.
도 11a 및 도 11b는, RRC Setup Complete 내의 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RLF 정보가 VarRLF-Report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7의 S117a에서 RLF 정보를 RRC Setup Complete 내의 rlf-InfoAvailable-r16에 포함시킨다. 또한, 단말(200)은, RLF 정보 및 RLF 검출 정보를 RRC Setup Complete 내의 rlf-InfoAvailable-r16에 포함시켜도 좋다.
도 12는, RRC Reestablishment Complete 내의 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RLF 정보가 VarRLF-Report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8의 S137에서 RLF 정보를 RRC Reestablishment Complete 내의 rlf-InfoAvailable-r16에 포함시킨다. 또한, 단말(200)은, RLF 정보 및 RLF 검출 정보를 RRC Reestablishment Complete 내의 rlf-InfoAvailable-r16에 포함시켜도 좋다.
도 13은, RRC Resume Complete 내의 IE를 설명하는 도이다. RRC Resume Complete는, 후술하는 '(3.9)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 후의 무선 베어러의 재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이, 무선 베어러의 재개를 지시하는 RRC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무선 베어러의 재개를 완료한 것을, 네트워크에 통지하는 것에 이용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RLF 정보가 VarRLF-Report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RLF로부터의 복귀 후에 무선 베어러의 재개를 완료한 것을 통지하는 RRC Resume Complete 내의 rlf-InfoAvailable-r16에, RLF 정보를 포함시켜도 좋다. 또한, 단말(200)은, RLF 정보 및 RLF 검출 정보를 RRC Resume Complete 내의 rlf-InfoAvailable-r16에 포함시켜도 좋다.
도 14는, UE Information Request 내의 정보 요소(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단말(200)은, 네트워크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해당 네트워크에 대해, RLF의 발생을 통지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UE Information Request 내의 rlf-ReportReq-r16을 이용하여, RLF 통지를 단말(200)에 요구한다.
도 15a∼도 15c는, UE Information Response 내의 IE를 설명하는 도이다. 단말(300)은, 네트워크로부터, UE Information Request를 이용하여, RLF 통지를 요구받으면,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LF 정보를 UE Information Response 내의 rlf-Cause-r16에 포함시킨다. 또한, 단말(200)은, RLF 정보 및 RLF 검출 정보를 UE Information Response 내의 rlf-Cause-r16에 포함시켜도 좋다.
(3.2.5) 그 외
동작 예 1, 2에서는, RLF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Conditional HO 수순이 완료된 것, 즉,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예를 들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2, RRC Setup Complete)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RLF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천이처의 타깃 gNB로 송신되는 최초의 RRC 메시지이어도 좋다. 또, RLF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특정한 식별자를 갖는 메시지이어도 좋다. 해당 식별자로서, 트랜잭션 식별자, 패킷·데이터·컨버전스·프로토콜(PDCP) 시퀀스 번호(SN), PDCP 카운트 값, 무선 링크 제어(RLC) 시퀀스 번호(SN), 또는 하이브리드·오토매틱·리피트·리퀘스트 처리(HARQ process) 식별자를 들 수 있다.
또, 단말(200)은, Conditional HO 수순 이외의 타이밍에서, RLF 정보를 네트워크 측에 통지해도 좋다.
동작 예 1∼3에서는, 단말(200)은, RLF 정보 및 RLF 검출 정보를, 동일한 메시지에 포함시켰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의 정보를 다른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좋다. 또, 단말(200)은, 네트워크로부터 지시가 있는 경우에, RLF 정보를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좋다. 마찬가지로, 단말(200)은, 네트워크로부터 지시가 있는 경우에, RLF 검출 정보를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좋다.
복수의 RLF가 발생한 경우, 단말(200)은, 복수의 RLF 검출 정보를 동일한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천이처의 타깃 gNB로 송신해도 좋다. 또, 단말(200)은, 소정 수의 RLF 검출 정보(예를 들면, 하나의 RLF 검출 정보)만을 동일한 메시지에 포함시켜, 천이처의 타깃 gNB로 송신해도 좋다.
복수의 RLF가 발생한 경우, 단말(200)은, 복수의 RLF 검출 정보에 우선도를 부여해도 좋다. 예를 들면, 단말(200)은, 천이처의 타깃 gNB 배하의 셀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에서 RLF를 검출한 경우에는, 해당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RLF 검출 정보에는 높은 우선도를 부여한다. 또, 단말(200)은, 네트워크로부터 지정된 우선도로, 복수의 RLF 검출 정보를, 천이처의 타깃 gNB로 송신해도 좋다.
또, 복수의 RLF 검출 정보를 동일한 메시지에 포함시키면, 해당 메시지가 허용하는 최대 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말(200)은, 해당 메시지로부터, 일부의 RLF 검출 정보를 삭제해도 좋다. 이 경우, 단말(200)은, 일부의 RLF 검출 정보를 삭제한 것을, 천이처의 타깃 gNB에 통지해도 좋다.
또한, 단말(200)은, 복수의 RLF 검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한 후에, 재차 RLF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해당 메시지를 다시 작성해도 좋다.
(3.3)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송신 타이밍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송신 타이밍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Conditional HO 수순에서는, 단말(200)은, RA 수순에 성공한 경우에,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의 송신을 실행한다. 이에 대해, 본 동작에서는, 단말(200)은,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의 송신을 실행한다. 즉, 단말(200)은, RA 수순의 개시 전에,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의 송신을 실행한다.
도 16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송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의 도 S151∼S155는, 도 4의 S11∼S15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CHO 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취득하여,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155a).
단말(200)은,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하면, CHO 조건을 감시한다(S157). 구체적으로는, 단말(200)은, 각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RRC 처리를 병행하여 실행하면 무선기지국 측의 처리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단말(200)은,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RRC 커넥션의 재구성이 완료된 것을 통지하는 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수신한 후에, RRC Re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해당 변경을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소스 gNB(100A)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S155a에서, 단말(200)로부터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수신한 후에, RRC Re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변경을, 단말(200)에 통지한다(S159).
S159에서, 소스 gNB(100A)는, 변경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에 포함시킨다. 또한, 소스 gNB(100A)는, 변경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와, S155에서 송신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와의 차분을, 신규의 RRC Reconfiguration에 포함시켜도 좋다.
S155에서 송신되는 RRC Reconfiguration은, 제1 설정 메시지라고도 호칭된다. S155a에서 송신되는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은, 제1 설정 메시지에 대한 완료 메시지라고도 호칭된다. S159에서 송신되는 RRC Reconfiguration은, 제2 설정 메시지라고도 호칭된다.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변경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취득하여,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159a). 단말(200)은, 변경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S155에서 취득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갱신한다.
단말(200)은, 단말(200)의 이동 등으로 인해,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정하면, 소스 gNB(100A)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해당 타깃 후보 셀로의 핸드오버(HO)의 개시를 결정한다(S161).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HO의 개시를 결정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HO의 개시를 결정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실행하여,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한다(S163). 이로 인해,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하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 또는 RRC Setup Complete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165).
또한, S159에서, 소스 gNB(100A)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RRC Reconfiguration을 단말(200)로 송신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소스 gNB(100A)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 외에, 단말(200)의 구성(UE configuration)을 변경하기 위해, RRC Reconfiguration을 단말(200)로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소스 gNB(100A)는, 변경된 UE configuration을, RRC Reconfiguration에 포함시킨다. 또한, 소스 gNB(100A)는, 변경된 UE configuration과, 먼저 송신한 UE configuration과의 차분을, RRC Reconfiguration에 포함시켜도 좋다.
(3.4)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중지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중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동작에서는, 타깃 gNB가,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소스 gNB로 송신한 후에,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삭제를, 소스 gNB에 지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깃 gNB(100B)가,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삭제를, 소스 gNB(100A)에 지시한다.
(3.4.1) 동작 예 1
처음에,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중지의 동작 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중지 시퀀스(동작 예 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S201∼S207은, 도 16에 도시하는 S151∼S157과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S203에서 송신되는 CHO request ACK는, 제1 메시지라고도 호칭된다. S209에서 송신되는 HO cancellation은, 제2 메시지라고도 호칭된다.
타깃 gNB(100B)는,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이, 단말(200)이 천이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하면, HO 삭제 메시지(HO cancellation)를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209).
구체적으로는, 타깃 gNB(100B)는, 배하의 타깃 후보 셀에서 부하가 증대되고, 해당 타깃 후보 셀이, 단말(200)이 천이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을 결정하면, S209에서 HO cancellation을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다수의 단말이,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 천이하여, 접속 단말의 수가, 해당 타깃 후보 셀이 허용하는 접속 단말의 최대수를 초과하면, 타깃 gNB(100B)는, 해당 타깃 후보 셀이, 단말(200)이 천이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을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호 수락 제어(CAC)에 있어서,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에 있어서, 접속 단말의 수가, UE 콘텍스트의 최대수를 초과하면, 타깃 gNB(100B)는, 해당 타깃 후보 셀이, 단말(200)이 천이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을 결정한다.
또, 단말(200)이,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된 시간 내에, 해당 타깃 후보 셀로 천이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면, 단말(200)이, 규정된 시간을 초과해도, 인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 타깃 gNB(100B)는, S209에서 HO cancellation을 송신해도 좋다.
더욱, 타깃 gNB(100B)가, 소스 gNB(100A) 이외의 gNB 또는 ng-eNB로부터, UE 콘텍스트 해방(UE context release)을 수신한 경우, 타깃 gNB(100B)는, S209에서 HO cancellation을 송신해도 좋다.
또한, S209에서, 타깃 gNB(100B)는, 소스 gNB(100A)에 대해, 직접 HO cancellation을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HO cancellation의 송신에는, 예를 들면, Xn 시그널링이 이용된다. 대신에, 타깃 gNB(100B)는, 소스 gNB(100A)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HO cancellation을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HO cancellation의 송신에는, 예를 들면, NG 시그널링이 이용된다.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로부터 HO cancellation을 수신하면, S205a에서, 단말(200)로부터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수신한 후에, RRC Re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변경을, 단말(200)에 통지한다(S211).
구체적으로는,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에 포함시킨다. 또한,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삭제한 CHO configuration을, RRC Reconfiguration에 포함시켜도 좋다.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211a). 단말(200)은, RRC Reconfiguration의 수신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삭제한다.
단말(200)은, 단말(200)의 이동 등으로 인해,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정하면, 소스 gNB(100A)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해당 타깃 후보 셀로의 핸드오버(HO)의 개시를 결정한다(S213).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HO의 개시를 결정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HO의 개시를 결정하면, 타깃 gNB(100C)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실행하여, 타깃 gNB(100C)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한다(S215). 이로 인해, 단말(200)은, 타깃 gNB(100C)에 접속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C)에 접속하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 또는 RRC Setup Complete를 타깃 gNB(100C)로 송신한다(S217).
(3.4.2) 동작 예 2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중지의 동작 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중지 시퀀스(동작 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S231∼S239는, 도 17에 도시하는 S201∼S209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동작 예에서는, 소스 gNB(100A)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 만을 도출한다. 이 때문에,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에 대해, CHO request를 송신하고(S231), 타깃 gNB(100B)로부터,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CHO request ACK를 수신한다(S233).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로부터 HO cancellation을 수신한 후, 소스 gNB(100A)의 주위에 존재하는 타깃 gNB(100C)를 도출하면, 타깃 gNB(100C)에 대해, CHO request를 송신한다(S241).
타깃 gNB(100C)는, 소스 gNB(100A)로부터 CHO request를 수신하면,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CHO request ACK를,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243).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로부터 HO cancellation를 수신하고, 그리고, 타깃 gNB(100C)로부터 CHO request ACK를 수신하면, S235a에서, 단말(200)로부터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수신한 후에, RRC Re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변경을, 단말(200)에 통지한다(S245).
구체적으로는,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삭제하고, 그리고,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CHO configuration을, RRC Reconfiguration에 포함시킨다.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245a). 단말(200)은, RRC Reconfiguration의 수신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CHO configuration을 적용한다.
단말(200)은, 단말(200)의 이동 등으로 인해,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정하면, 소스 gNB(100A)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해당 타깃 후보 셀로의 핸드오버(HO)의 개시를 결정한다(S247).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HO의 개시를 결정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HO의 개시를 결정하면, 타깃 gNB(100C)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실행하여, 타깃 gNB(100C)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한다(S249). 이로 인해, 단말(200)은, 타깃 gNB(100C)에 접속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C)에 접속하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 또는 RRC Setup Complete를 타깃 gNB(100C)로 송신한다(S251).
(3.5)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동작에서는, 타깃 gNB가,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소스 gNB로 송신한 후에,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변경을, 소스 gNB에 지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깃 gNB(100B)가,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변경을, 소스 gNB(100A)에 지시한다.
(3.5.1) 동작 예 1
처음에,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의 동작 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 시퀀스(동작 예 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S301, S303, S309∼S315는, 도 4에 도시하는 S11, S13, S17∼S23과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S303에서 송신되는 CHO request ACK는, 제1 메시지라고도 호칭된다. S305에서 송신되는 HO modification은, 제2 메시지라고도 호칭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깃 gNB(100B)는, S303에서, CHO request ACK를 이용하여,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소스 gNB(100A)로 송신한 후에,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상태가 변화한 것을 식별하면, HO 변경 메시지(HO modification)를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305).
구체적으로는, 타깃 gNB(100B)는, 배하의 타깃 후보 셀에서 부하 상태가 변화하고, 해당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면, S305에서 HO modification을 송신해도 좋다.
또한, S305에서, 타깃 gNB(100B)는, 소스 gNB(100A)에 대해, 직접 HO modification을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HO modification의 송신에는, 예를 들면, Xn 시그널링이 이용된다. 대신에, 타깃 gNB(100B)는, 소스 gNB(100A)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HO modification을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HO modification의 송신에는, 예를 들면, NG 시그널링이 이용된다.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로부터 HO modification을 수신하면,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변경한 후에, CHO 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RRC Reconfiguration을, 단말(200)로 송신한다(S307).
(3.5.2) 동작 예 2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의 동작 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 시퀀스(동작 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S301∼S313은, 도 19에 도시하는 S301∼S313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송신한다(S307a).
단말(200)은, S313의 RA 수순에 의해 타깃 gNB(100B)에 접속하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2 또는 RRC Setup Complete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315a).
(3.5.3) 동작 예 3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의 동작 예 3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 변경 시퀀스(동작 예 3)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S301, S303, S307, S307a, S309는, 도 20에 도시하는 S301, S303, S307, S307a, S309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깃 gNB(100B)는,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상태가 변화한 것을 식별하면, HO modification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331).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로부터 HO modification을 수신하면, S307a에서, 단말(200)로부터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수신한 후에, RRC Re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변경을, 단말(200)에 통지한다(S333).
구체적으로는,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변경한 CHO configuration을, RRC Reconfiguration에 포함시킨다.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333a). 단말(200)은, RRC Reconfiguration의 수신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변경한다.
단말(200)은, 단말(200)의 이동 등으로 인해,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정하면, 소스 gNB(100A)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해당 타깃 후보 셀로의 핸드오버(HO)의 개시를 결정한다(S335).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HO의 개시를 결정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HO의 개시를 결정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실행하여,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한다(S337). 이로 인해,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하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 또는 RRC Setup Complete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339).
(3.6)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의 구성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구성에서는, RRC Reconfiguration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 및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복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에 저장한다'는 것은, '복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에 캡슐화한다'라고도 표현된다.
처음에, 타깃 후보 셀이 설정 정보를 캡슐화하는 동작 흐름을 설명한다. 도 22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캡슐화하는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 gNB(100A)는, CHO request를 타깃 gNB(100B, 100C)로 송신한다(S350).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 100C)의 각각으로부터,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S353),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에 캡슐화한다(S355).
소스 gNB(100A)는, 복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에 캡슐화하면, 해당 RRC Reconfiguration을 단말(200)로 송신한다(S357).
(3.6.1) 구성 예 1
다음으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캡슐화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의 구성(구성 예 1)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향 링크 전용 제어 채널(DL-DCCH)용 메시지군에는, RRC Reconfiguration, RRC 재개 메시지(RRC Resume), RRC 해방 메시지(RRC Release), RRC Reestablishment, 시큐리티·모드·커맨드(Security Mode Command) 등이 포함된다.
DL-DCCH은, RRC 커넥션을 확립한 단말(200)에 사용되는 하향 링크 전용 제어 채널이다. 단말(200)은, DL-DCCH을 통해, 상술한 RRC 메시지 등을 수신한다.
본 구성 예에서는, 종래의 RRC Reconfiguration 내에, 신규의 정보 요소(IE)를 설정하여,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 및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해당 IE에 포함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RRC Reconfiguration 내에, 신규 IE로서, RRC 재구성 리스트(RRCReconfigurationList)가 설정되고, 그리고, RRCReconfigurationList 내에, configuration for cell1 및 configuration for cell2가 설정된다. 또한, configuration for cell의 수는, 2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로부터,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RRCReconfigurationList 내의 configuration for cell1에 포함시킨다. 마찬가지로,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C)로부터,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RRCReconfigurationList 내의 configuration for cell2에 포함시킨다.
또한, RRCReconfigurationList는, CHO configuration라고도 호칭된다.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RRC Reconfiguration 내의 configuration for cell1 및 configuration for cell2로부터,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 및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로서, 타깃 후보 셀의 정보, 및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 외에,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좋다.
측정 조건
타깃 후보 셀의 구성
시큐리티 정보(예를 들면, 시큐리티 키의 갱신 정보)
트랜잭션 식별자
(3.6.2) 구성 예 2
도 24는,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RC Reconfiguration의 구성(구성 예 2)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L-DCCH용 메시지에는, RRC Reconfiguration, RRC Resume, RRC Release, RRC Reestablishment, Security Mode Command, RRC Reconfiguration1 등이 포함된다.
RRC Reconfiguration1은, 종래의 RRC Reconfiguration과는 다른 신규의 메시지이며, Conditional HO 수순에서 이용되는 RRC 재구성 메시지이다. 또한, 해당 신규 메시지의 호칭은, RRC Reconfiguration1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구성 예에서는, RRC Reconfiguration1 내에 설정된 정보 요소(IE)에,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 및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신규의 RRC Reconfiguration1 내에 RRC 재구성 리스트(RRCReconfigurationList)가 설정되고, 그리고, RRCReconfigurationList 내에, configuration for cell1 및 configuration for cell2가 설정된다. 또한, configuration for cell의 수는, 2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로부터,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RRCReconfigurationList 내의 configuration for cell1에 포함시킨다. 마찬가지로,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C)로부터,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RRCReconfigurationList 내의 configuration for cell2에 포함시킨다.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1을 수신하면, RRC Reconfiguration1 내의 configuration for cell1 및 configuration for cell2로부터,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 및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
(3.7)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트랜잭션 ID 부여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트랜잭션 ID 부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동작에서는, 소스 gNB 또는 타깃 gNB가, Conditional HO 수순에서 이용되는 트랜잭션 ID의 부여를 실행한다.
(3.7.1) 동작 예 1
처음에,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ID 부여의 동작 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동작 예에서는, 소스 gNB가, Conditional HO 수순에서 이용되는 트랜잭션 ID의 부여를 실행한다.
도 25는,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ID 부여 시퀀스(동작 예 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S401, S403, S409∼S413은, 도 4에 도시하는 S11, S13, S17∼S21과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 100C)로부터 CHO request ACK를 수신하면, RRC Reconfiguration에 CHO configuration을 포함시킴과 동시에, RRC Reconfiguration에 트랜잭션 ID를 부여한다(S405).
구체적으로는, 소스 gNB(100A)는, RRC Reconfiguration 내의 RRCReconfigurationList에,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 및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시킴과 동시에, RRC Reconfiguration 내의 소정의 정보 요소(IE)에 트랜잭션 ID를 설정한다(도 23 참조). 또한, RRCReconfigurationList는, CHO configuration이라고도 호칭된다.
또한, 소스 gNB(100A)는, Conditional HO에서 이용되는 RRC 재구성 메시지인 RRC Reconfiguration1 내의 RRCReconfigurationList에,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 및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시킴과 동시에, RRC Reconfiguration1 내의 소정의 정보 요소(IE)에 트랜잭션 ID를 설정해도 좋다(도 24 참조).
트랜잭션 ID는, 0∼3 중 하나의 값이어도 좋으며, 고정 값 0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잭션 ID는, 0∼3 중 하나의 값을 취한다.
소스 gNB(100A)는, RRC Reconfiguration에 트랜잭션 ID를 부여하는 대신에, RRCReconfiguration에 포함되는 RRCReconfigurationList, 즉, 캡슐화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그룹에 트랜잭션 ID를 부여해도 좋다.
소스 gNB(100A)는, RRC Reconfiguration을 설정하면, 해당 RRC Reconfiguration을, 단말(200)로 송신한다(S407).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취득하여,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407a).
S407a에서,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수신한 RRC Reconfiguration에 부여된 트랜잭션 ID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에 포함시킨다.
단말(200)은, CHO 조건의 감시(S409), 타깃 gNB(100B)로의 HO의 개시(S411), 및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RA 수순(S413)을 실행하고, 타깃 gNB(100B)에 접속하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415).
(3.7.2) 동작 예 2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ID 부여의 동작 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동작 예에서는, 타깃 gNB가, Conditional HO 수순에서 이용되는 트랜잭션 ID의 부여를 실행한다.
도 26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ID 부여 시퀀스(동작 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에 도시하는 S401, S437∼S441은, 도 4에 도시하는 S11, S17∼S21과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깃 gNB(100B)는, 소스 gNB(100A)로부터 CHO request를 수신하면, CHO request ACK에,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시킴과 동시에,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트랜잭션 ID를 부여한다(S431). 구체적으로는, 타깃 gNB(100B)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해당 트랜잭션 ID를 포함시킨다.
마찬가지로, 타깃 gNB(100C)는, 소스 gNB(100A)로부터 CHO request를 수신하면, CHO request ACK에,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포함시킴과 동시에,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트랜잭션 ID를 부여한다(S431). 구체적으로는, 타깃 gNB(100B)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해당 트랜잭션 ID를 포함시킨다.
트랜잭션 ID는, 0∼3 중 하나의 값이어도 좋으며, 고정 값 0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잭션 ID는, 0∼3 중 하나의 값을 취한다.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 100C)로부터 CHO request ACK를 수신하면, RRC Reconfiguration에 CHO configuration를 포함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gNB(100A)는, RRC Reconfiguration 내의 RRCReconfigurationList에, 트랜잭션 ID가 부여된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식별 정보, 및 트랜잭션 ID가 부여되니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도 23 참조). 또한, RRCReconfigurationList는, CHO configuration이라고도 호칭된다.
또한, 소스 gNB(100A)는, Conditional HO에서 이용되는 RRC 재구성 메시지인 RRC Reconfiguration1 내의 RRCReconfigurationList에,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식별 정보 및 타깃 gNB(100C)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좋다(도 24 참조).
소스 gNB(100A)는, RRC Reconfiguration을 설정하면, 해당 RRC Reconfiguration을, 단말(200)로 송신한다(S435).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RRC 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바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취득하여, RRC Reconfiguration Complete1을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435a).
단말(200)은, CHO 조건의 감시(S437), 타깃 gNB(100B)로의 HO의 개시(S439), 및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RA 수순(S441)을 실행하고, 타깃 gNB(100B)에 접속하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443).
S443에서,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트랜잭션 ID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2에 포함시킨다.
(3.8)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F로부터의 복귀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F로부터의 복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동작에서는, 단말(200)이 CHO 조건의 감시 중에, 소스 gNB로부터 HO command를 수신하여, CHO를 중단하고, 우선적으로 타깃 gNB로 천이할 때에, HOF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이 경우, 단말(200)은, 해당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유지한다.
도 27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HOF로부터의 복귀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의 S501∼S507은, 도 4의 S11∼S17과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에, 단말(200)을 우선적으로 천이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HO request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509). 타깃 gNB(100B)는, 소스 gNB(100A)로부터 HO request를 수신하면, HO request ACK를 소스 gNB(100A)로 송신한다(S511).
소스 gNB(100A)는, 타깃 gNB(100B)로부터 HO request ACK를 수신하면, HO command를 단말(200)로 송신한다(S513). 단말(200)은, CHO 조건의 감시 중에, 소스 gNB(100A)로부터 HO command를 수신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수순을 시도한다(S515).
단말(200)은, S515에서, 핸드오버 수순의 실행 중에 HOF가 발생하여, 핸드오버 수순에 실패하면,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천이처의 타깃 후보 셀(CHO 셀)을 재선택한다(S517).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을 재선택한다.
S517에서,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유지한다. 또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유지한다'는 것은,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용 가능하다고 간주한다' 또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유효하다고 간주한다'고도 표현할 수 있다.
S517에서,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있어서, 단말(200)에 의해 유지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시큐리티 정보이다. 또한, 타깃 gNB(100B)가, 미리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말(200)에 의해 유지되는 정보는, 단말(200)의 식별 정보이어도 좋다.
단말(200)의 식별 정보로서, 예를 들면, 다음의 정보를 들 수 있다.
쇼트·미디어·액세스·컨트롤 식별자(short MAC-ID)
셀·무선 네트워크·일시 식별자(C-RNTI)
암시적·무선 네트워크·일시 식별자(I-RNTI)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을 재선택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실행하여,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한다(S519). 이로 인해,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하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521).
S521에서, 단말(200)은, S517에서 유지되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에 포함시켜,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1(SRB1)을 이용하여, 타깃 gNB(100B)로 송신해도 좋다. SRB1 대신에, 단말(200)은, S517에서 유지되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RRC Reestablishment request에 포함시켜,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0(SRB0)을 이용하여, 타깃 gNB(100B)로 송신해도 좋다.
또한, SRB0은, 공통 제어 채널(CCCH)용 무선 베어러이다. SRB1은, 개별 제어 채널(DCC)용 무선 베어러이다.
또, S521에서, 단말(200)은,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에 포함시켜, 타깃 gNB(100B)로 송신해도 좋다.
또한, S521에서, 단말(200)은, S517에서 유지되는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와 1대1로 변환 가능한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 Complete에 포함시켜, 타깃 gNB(100B)로 송신해도 좋다.
이로 인해, 단말(200)과 타깃 gNB(100B)와의 사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시큐리티 정보, 또는 단말(200)의 식별 정보가 공유된다. 이 때문에, 타깃 gNB(100B)은, 단말(200)이 타깃 gNB(100B)로의 천이가 허가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동작의 적용은, 단말(200)이, CHO 조건의 감시 중에, 소스 gNB로부터 HO command를 수신하여, CHO를 중단하고, 우선적으로 타깃 gNB로 천이할 때에, HOF가 발생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말(200)이, CHO 조건을 감시하고, 타깃 gNB 배하의 타깃 후보 셀로의 천이 조건이 만족되고, 소스 gNB로부터 HO command를 수신하지 않고, 해당 타깃 후보 셀로의 HO를 수행할 때에, HOF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본 동작은 적용 가능하다.
(3.9)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 후의 무선 베어러의 재개
다음으로,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 후의 무선 베어러의 재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동작에서는,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 단말(200)이, 타깃 gNB에 재접속하는 경우, 특정한 조건에 기초하여, RLF의 발생에 따라 정지되는 무선 베어러를 재개(resume)한다.
또한, 무선 베어러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된다. SRB는, 제어 플레인 데이터용이며, DRB는, 유저 플레인 데이터용이다. 또, SRB에는, 용어에 따라 SRB0, 1, 2, 3이 설정될 수 있다.
SRB0은, CCCH용 무선 베어러이다. SRB1∼SRB3은, DCCH용 무선 베어러이다. DRB는, 유저 데이터용 무선 베어러이다.
SRB1은, SRB2의 확립 전의 RRC 메시지 및 NAS 메시지의 송수신에 이용된다.
SRB2는, NAS 메시지의 송수신에 이용되고, SRB1보다도 우선 순위가 낮고, AS 시큐리티의 액티브화 후에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다.
SRB3은, E-UTRA-NR Dual Connectivity(EN-DC)에 있어서의, 특정한 RRC 메시지의 송수신에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서정 정보를 이용하여, 타깃 gNB(100B)로 천이하는 경우에 RLF를 검출하면,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 있어서, SRB0을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정지(suspend)하고, 해당 타깃 gNB(100B)에 재접속한다.
도 28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 후에 무선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말(200)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의 RLF 후에 무선 베어러를 재개하는 조건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Conditional HO 수순에 있어서, CHO 셀의 재선택을 수행한다(S601). 구체적으로는, 단말(200)은,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천이처의 타깃 후보 셀(CHO 셀)을 재선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을 재선택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을 재선택하면, 해당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로의 천이를 개시한다(S603). 이 경우,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정지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재개해도 좋다(도 29의 조건 A).
단말(200)은, 타깃 gNB(100B)로의 천이에 따라,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RA) 수순을 개시한다(S605). 이 경우,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정지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재개해도 좋다(도 29의 조건 B).
단말(200)은,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RA 수순을 완료하면(S607),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한다. 이로 인해,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한다. 이 경우,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정지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재개해도 좋다(도 29의 조건 C).
또한, 단말(200)은, S601∼S607 사이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베어러의 재개를 지시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타깃 gNB(100B)와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정지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재개해도 좋다(도 29의 조건 D).
이 경우, 단말(200)은, RRC 재개 완료 메시지(RRC Resume Complete)를 이용하여, 무선 베어러의 재개가 완료된 것을, 네트워크에 통지해도 좋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에 접속하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타깃 gNB(100B)로 송신한다(S609).
(4) 작용·효과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200)은, 무선 링크 장애(RLF)에 따라, 재확립 수순(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한다. 단말(200)은,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경우에, 단말(200)과 타깃 gNB(100B)와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RLF로부터의 복귀 시에, 단말(200)은, 조기에 타깃 gNB(100B)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200)은, 무선 링크 장애(RLF)에 따라, 재확립 수순(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로 천이하는 수순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수순(RA 수순)을 수행하는 경우에, 단말(200)과 타깃 gNB(100B)와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RLF로부터의 복귀 시에, 단말(200)은, 조기에 타깃 gNB(100B)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200)은, 소스 gNB(100A)로부터, 타깃 gNB(100B) 배하의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200)은, 무선 링크 장애(RLF)에 따라, 재확립 수순(RRC Reestablishment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타깃 후보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gNB(100B)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한다. 단말(200)은, 타깃 gNB(100B)로 천이하는 수순에 있어서, 무선 베어러의 재개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단말(200)과 타깃 gNB(100B)와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RLF로부터의 복귀 시에, 단말(200)은, 조기에 타깃 gNB(100B)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5)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NR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Conditional HO는, LTE에도 적용 가능하며, LTE에 있어서도 동일한 동작이 실행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 구성도(도 2 및 도 3)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면, 유선, 무선 등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은, 상기 하나의 장치 또는 상기 복수의 장치에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기능에는, 판단, 결정, 판정, 계산, 산출, 처리, 도출, 조사, 탐색, 확인, 수신, 송신, 출력, 액세스, 해결, 선택, 선정, 확립, 비교, 상정, 기대, 간주, 알림(broadcasting), 통지(notifying), 통신(communicating), 전송(forwarding), 구성(configuring), 재구성(reconfiguring), 할당(allocating, mapping), 배정(assigning) 등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송신을 기능시키는 기능 블록(구성부)은, 송신부(transmitting unit)나 송신기(transmitter)라 호칭된다.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gNB(100A, 100B, 100C) 및 단말(200)은, 본 개시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30은, 해당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및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해당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해당 장치의 각 기능 블록은, 해당 컴퓨터 장치의 어느 하나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해당 하드웨어 요소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해당 장치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 쓰기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 통신장치(1004)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또한, 상술한 각종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시에 또는 축차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에 의해 실장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ead Only Memory(ROM), Erasable Programmable ROM(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EEPROM),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ompact Disc ROM(CD-ROM) 등의 광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렉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자기 스트라이프 등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상술한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매체이어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및 시분할 이중통신(Time Division Duplex: TDD)의 적어도 하나를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및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마다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해당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Programmable Logic Device(PL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장되어도 좋다.
또, 정보의 통지는,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 Uplink Control Information(UCI),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Medium Access Control(MAC) 시그널링, 알림 정보(Master Information Block(MIB), System Information Block(SIB)),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ong Term Evolution(LTE), LTE-Advanced(LTE-A), SUPER 3G, IMT-Advanced,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4G),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5G), Future Radio Access(FRA), New Radio(NR), W-CDMA(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CDMA2000, Ultra Mobile Broadband(UMB),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ltra-WideBand(UWB),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 복수의 시스템이 조합되어(예를 들면, LTE 및 LTE-A의 적어도 하나와 5G와의 조합 등) 적용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및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 또는 S-GW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어질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조합(예를 들면, MME 및 S-GW)이어도 좋다.
정보, 신호(정보 등)는, 상위 레이어(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또는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는,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는,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는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는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위 값(Boolean: true 또는 false)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묵적으로(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등) 및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 무선 기술의 적어도 하나는,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의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기장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용어 및 본 개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 심벌의 적어도 하나는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이어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는, 캐리어 주파수, 셀, 주파수 캐리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파라미터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또, 이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수식 등은,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개시한 것과 다른 경우도 있다. 다양한 채널(예를 들면, PUCCH, PDCCH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기지국(Base Station: BS)', '무선기지국',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gNodeB(g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수신 포인트(reception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컴포넌트 캐리어'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매크로 셀, 스몰 셀, 펨토 셀, 피코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emote Radio Head: RRH)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ser Equipment: UE)', '단말'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서,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송신장치, 수신장치, 통신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이동체에 탑재된 디바이스, 이동체 자체 등이어도 좋다. 해당 이동체는, 탈것(예를 들면, 자동차, 비행기 등)이어도 좋으며, 무인으로 움직이는 이동체(예를 들면, 드론, 자동 운전차 등)이어도 좋으며, 로봇(유인형 또는 무인형)이어도 좋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반드시 통신 동작 시에 이동하지 않는 장치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센서 등의 Internet of Things(IoT) 기기이어도 좋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지국은, 이동국(유저단말, 이하 동일)으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이동국 간 통신(예를 들면, Device-to-Device(D2D), Vehicle-to-Everything(V2X) 등이라 불려도 좋다)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개시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이 갖는 기능을 이동국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 및 '하향' 등의 문언은, 단말 간 통신에 대응되는 문언(예를 들면, '사이드(side)')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 하향 채널 등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이동국은, 기지국으로 대체해도 좋다. 이 경우, 이동국이 갖는 기능을 기지국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각 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더욱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numerology)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이어도 좋다.
수비학은, 어느 신호 또는 채널의 송신 및 수신의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통신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수비학은,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S), 대역폭,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TTI당 심벌 수, 무선 프레임 구성, 송수신기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수행하는 특정한 필터링 처리, 송수신기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수행하는 특정한 윈도잉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도 좋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심벌,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 심벌 등)로 구성되어도 좋다.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이어도 좋다.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미니 슬롯은, 슬롯보다도 적은 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미니 슬롯보다 큰 시간 단위로 송신되는 PDSCH(또는 PUSCH)은, PDSCH(또는 PUSCH) 맵핑 타입 A라 불려도 좋다. 미니 슬롯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PDSCH(또는 PUSCH)은, PDSCH(또는 PUSCH) 맵핑 타입 B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은 송신 시간 간격(TTI)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 TTI의 적어도 하나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각 유저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송신전력 등)를,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코드 워드 등의 송신 시간 단위이어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코드 워드 등이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벌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는, 통상 TTI(LTE Rel. 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롱 서브 프레임,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서브 슬롯,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 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 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수비학에 상관없이 같아도 좋으며, 예를 들면 12이어도 좋다.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수비학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또, RB의 시간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 TTI의 길이어도 좋다. 1 TTI, 1 서브 프레임 등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hysical RB: PRB), 서브 캐리어 그룹(Sub-Carrier Group: SCG),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부분 대역폭 등이라 불려도 좋다)은, 어느 캐리어에 있어서, 어느 수비학용의 연속하는 공통 RB(common resource blocks)의 서브셋을 나타내도 좋다. 여기서, 공통 RB는, 해당 캐리어의 공통 참조 포인트를 기준으로 한 RB의 인덱스에 의해 특정되어도 좋다. PRB는, 어느 BWP에서 정의되고, 해당 BWP 내에서 번호가 부여되어도 좋다.
BWP에는, UL BWP(UL용 BWP)와, DL BWP(DL용 BWP)가 포함되어도 좋다. UE에 대해, 1 캐리어 내에 하나 또는 복수의 BWP가 설정되어도 좋다.
설정된 BWP의 적어도 하나가 액티브이어도 좋으며, UE는, 액티브한 BWP 밖에서 소정의 신호/채널을 송수신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셀', '캐리어' 등은, 'BWP'로 대체되어도 좋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당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이라도, 논리적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라 대체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 프린트 전기 접속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Reference Signal(RS)이라 약칭할 수도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따라 파일럿(Pilot)이라 불려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포함하는(include)', 포함하고 있는(includ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은,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어로의 a, an 및 the와 같이, 번역으로 인해 관사가 추가된 경우, 본 개시는, 이들의 관사 뒤에 이어지는 명사가 복수형인 것을 포함해도 좋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판단(determining)', '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 '결정'은, 예를 들면, 판정(judging),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 search, inquiry)(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 '결정'한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 '결정'한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 '결정'한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단' '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 '결정'한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결정)'은, '상정하는(assuming)', '기대하는(expecting)', '간주하는(considering)' 등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A와 B가 다르다'라는 용어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또한, 해당 용어는, 'A와 B가 각각 C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떨어지다', '결합된다' 등의 용어도, '다르다'와 마찬가지로 해석되어도 좋다.
이상,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개시가 본 개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규정되는 본 개시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개시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상술한 단말에 의하면, 무선 링크 장애에 따라, 재확립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하는 경우라도, 단말과 타깃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10 무선통신시스템
100A, 100B, 100C gNB
110 송신부
120 수신부
130 보유부
140 제어부
200 단말
210 송신부
220 수신부
230 보유부
240 제어부
1001 프로세서
1002 메모리
1003 스토리지
1004 통신장치
1005 입력장치
1006 출력장치
1007 버스

Claims (3)

  1. 단말에 있어서,
    소스 무선기지국으로부터, 타깃 무선기지국 배하(配下; Subordinate)의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무선 링크 장애에 따라, 재확립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과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말.
  2. 단말에 있어서,
    소스 무선기지국으로부터, 타깃 무선기지국 배하의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무선 링크 장애에 따라, 재확립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하는 수순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수순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과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말.
  3. 단말에 있어서,
    소스 무선기지국으로부터, 타깃 무선기지국 배하의 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무선 링크 장애에 따라, 재확립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셀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하는 수순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으로 천이하는 수순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무선 베어러의 재개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과 상기 타깃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 있어서 정지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말.
KR1020227006594A 2019-08-14 2019-08-14 단말 KR20220047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31991 WO2021029053A1 (ja) 2019-08-14 2019-08-14 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291A true KR20220047291A (ko) 2022-04-15

Family

ID=7456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594A KR20220047291A (ko) 2019-08-14 2019-08-14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38087A1 (ko)
EP (1) EP4017110A1 (ko)
JP (1) JP7454579B2 (ko)
KR (1) KR20220047291A (ko)
CN (1) CN114270941B (ko)
WO (1) WO2021029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0381A (zh) * 2018-08-14 2021-07-23 苹果公司 垂直域中的网络发现、选择和访问控制
KR20220106038A (ko) * 2019-11-29 2022-07-2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연결 재확립 방법,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
EP4285643A4 (en) * 2021-08-05 2024-03-27 Zte Corp SUCCESSIVE CONDITIONAL TRANSF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8553B (zh) * 2010-04-28 2012-05-09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长期演进系统中的无线资源控制连接重建立方法和基站
WO2012019339A1 (en) * 2010-08-11 2012-02-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2147118A (ja) * 2011-01-07 2012-08-02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
CN102932857B (zh) * 2011-08-12 2017-05-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控制连接恢复方法、基站及终端
US9049698B2 (en) * 2012-01-18 2015-06-02 Mediatek Inc. Method of enhanced connection recovery and cell selection
KR102564318B1 (ko) * 2015-08-21 202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연결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114258A (ko) * 2016-04-01 2017-10-13 주식회사 케이티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WO2018062848A1 (ko) * 2016-09-30 2018-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Rrc 연결 재확립 절차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549908B2 (en) * 2017-07-03 2023-01-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ochemical gas sensor housing having a one-piece desig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New WID: NR mobility enhancements", RP-190489, 3GPP TSG RAN Meeting #83, 3GPP, 2019년 3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029053A1 (ko) 2021-02-18
JP7454579B2 (ja) 2024-03-22
EP4017110A1 (en) 2022-06-22
WO2021029053A1 (ja) 2021-02-18
CN114270941B (zh) 2024-05-24
US20220338087A1 (en) 2022-10-20
CN114270941A (zh)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4579B2 (ja) 端末
JP7440522B2 (ja) 端末
US20220124592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device
WO2021075225A1 (ja) 端末
JP7288061B2 (ja) 端末
JP7300510B2 (ja) 無線基地局
WO2021029057A1 (ja) 無線基地局
WO2021029056A1 (ja) 端末
RU2799077C1 (ru) Терминал
WO2021029059A1 (ja) 端末
WO2021075378A1 (ja) 端末
JP7402874B2 (ja) 端末
JP7445673B2 (ja) 端末
WO2023022150A1 (ja) 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1028992A1 (ja) 端末
WO2021029048A1 (ja) マスターノード及びセカンダリノード
WO2020261460A1 (ja) 端末
US20230014196A1 (en)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230052093A1 (en)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