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345A -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345A
KR20220046345A KR1020200129649A KR20200129649A KR20220046345A KR 20220046345 A KR20220046345 A KR 20220046345A KR 1020200129649 A KR1020200129649 A KR 1020200129649A KR 20200129649 A KR20200129649 A KR 20200129649A KR 20220046345 A KR20220046345 A KR 20220046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present
balloon catheter
injection tube
flui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태
Original Assignee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9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345A/ko
Publication of KR2022004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08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using radio-opaque or ultrasound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A61M25/10187Indicators for the level of inflation or def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2Equipment for test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풍선 카테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유체 주입관과, 상기 유체 주입관 상에 배치된 팽창형의 풍선과, 상기 풍선의 길이 방향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장착되는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BALLOON CATHETER AND EVALUATING METHOD}
본 발명은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착의 원인이 되는 증상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금속 방사성 비투과성의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협착 대동맥 병변의 원인으로, 후천성인 석회 침착성, 류머티즘성 대동맥 협착 및 선천성 대동맥 협착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심부전 등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인체 부위에 풍선 카테터를 통한 풍선 확장술이 주로 시행되고 있으며, 풍선 확장술시 풍선의 확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풍선의 내부로 조영제를 주입하여 인플레이션(inflation)을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조영제를 이용하는 종래 방법은 조영제의 점도에 따라 인플레이션에서 디플레이션(deflation)까지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에서 디플레이션까지의 시간 과다 소요는, 풍선 확장술시 발생하는 일시적 폐쇄, 폐색 등에 의한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6589호(공개일: 2020. 08. 02.)
본 발명은, 풍선 확장술시의 인플레이션에서 디플레이션까지의 소요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풍선 확장술시의 인플레이션에서 디플레이션까지의 소요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풍선 확장술시의 일시적 폐쇄 및 폐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유체 주입관과, 상기 유체 주입관 상에 배치된 팽창형의 풍선과, 상기 풍선의 길이 방향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장착되는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풍선 카테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는, 인접하는 와이어 간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풍선의 길이 방향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가 장착되는 풍선 카테터를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상기 풍선 카테터를 인체의 협착 부위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풍선의 확장 정도에 대한 평가를 위해, 상기 풍선에 물을 주입하여 인플레이션 및 디플레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선 카테터의 평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풍선 확장술시의 인플레이션에서 디플레이션까지의 소요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풍선 확장술시의 일시적 폐쇄 및 폐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풍선의 확장 정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가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풍선 카테터의 전체 모형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지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설명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유체 주입관(102), 이 유체 주입관(102)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팽창형의 풍선(104), 이 풍선(104)의 길이 방향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장착(배치)되는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1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주입관(102)은, 플레시블한 재질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풍선 확장술의 시술시에 필요로 하는 유체 등을 풍선(104)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풍선 확장술시의 풍선(104)의 확장 정도에 대한 평가를 위해, 조영제가 아닌 물을 풍선(104)의 내부로 유입시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실행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체 주입관(102)은, 예컨대 약물 주입관으로 정의될 수 있다.
풍선(104)은 유체 주입관(102)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팽창형의 풍선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풍선(104)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플리올레핀,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라텍스 고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풍선(104)은 확장 정도의 평가를 위해 유체 주입관(102)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다.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106)는 풍선(104)의 길이 방향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장착(배치), 즉 풍선(104)의 외측을 와이어가 휘감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즉,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106)는 인접하는 와이어 간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형태로 풍선(104)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는,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풍선 카테터 전체 모형에 적용될 수 있이다.
도 3에 있어서, 참조번호 302는 허브를, 304는 유체 주입구를, 306은 풍선 주입구를, 308관로를, 310을 풍선을 각각 나타낸다.
풍선 주입구(304)를 통해 주입되는 풍선(310)은 관로(308)를 통해 전달되어 혈관 내의 목표 위치에 놓여질 수 있고, 유체 주입구(306)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예컨대, 물, 조영제 등)는 관로(308)를 통해 전달되어 풍선(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풍선의 확장 정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주입관(102)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팽창형의 풍선(104)의 길이 방향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106)가 장착되는 풍선 카테터를 준비한다(단계 202).
준비된 풍선 카테터, 즉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106)가 풍선(104)의 길이 방향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장착된 풍선 카테터를 풍선 확장술을 시술하고자 하는 인체의 협착 부위에 삽입한다(단계 204).
풍선(104)의 확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유체 주입관(102)을 통해 풍선(104)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실행한다(단계 206). 따라서, 시술자는 물을 이용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통해 풍선(104)의 확장 정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풍선(104)에 유입되는 물은 조영제와는 달리 점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에서 디플레이션까지의 소요시간을 조영제를 사용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풍선 확장술시의 일시적 폐쇄 및 폐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 유체 주입관
104 : 풍선
106 :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

Claims (3)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유체 주입관과,
    상기 유체 주입관 상에 배치된 팽창형의 풍선과,
    상기 풍선의 길이 방향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장착되는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풍선 카테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는,
    인접하는 와이어 간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풍선 카테터.
  3. 풍선의 길이 방향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방사성 비투과성 와이어가 장착되는 풍선 카테터를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상기 풍선 카테터를 인체의 협착 부위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풍선의 확장 정도에 대한 평가를 위해, 상기 풍선에 물을 주입하여 인플레이션 및 디플레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선 카테터의 평가 방법.
KR1020200129649A 2020-10-07 2020-10-07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 KR20220046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649A KR20220046345A (ko) 2020-10-07 2020-10-07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649A KR20220046345A (ko) 2020-10-07 2020-10-07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345A true KR20220046345A (ko) 2022-04-14

Family

ID=8121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649A KR20220046345A (ko) 2020-10-07 2020-10-07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63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6589A (ko) 2018-02-09 2020-08-1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벌룬 카테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6589A (ko) 2018-02-09 2020-08-1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벌룬 카테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0356B1 (en) Helical spiral balloon catheter
US5380284A (en) Obstruction dissolution catheter with variably expanding blocking balloons and method of use
US5324262A (en) Introducer sheath with expandable outer tube and method of use
US6733474B2 (en) Catheter for tissue dilatation and drug delivery
US20090105641A1 (en) Balloon dilatation catheter
US6679860B2 (en) Intraluminal therapy catheter with inflatable helical member and methods of use
KR102149574B1 (ko) 벌룬 카테터
US20060167538A1 (en) Inflatable biliary stent
US20050033343A1 (en) Catheter drive
JPH03165782A (ja) 閉塞カテーテル及び大脳動脈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
JPH0318905B2 (ko)
CN104906682A (zh) 铰接气囊导管及其使用方法
EP3795199B1 (en) Balloon catheter
CN113546287A (zh) 一种球囊扩张导管
US20070265564A1 (en) Catheter Having Non-Blood-Contacting Exit Markers
JP2022509927A (ja) デュアル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CN106621001B (zh) 药物可回收球囊导管
US20140243843A1 (en) Rapid expansion balloon catheter
KR20220046345A (ko) 풍선 카테터 및 그 평가 방법
JP2010029318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EP0368931B1 (en) Valved catheter device
CN111529899A (zh) 可扩张球囊
JP2010525880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20220126071A1 (en) Balloon catheter with porous outer member for air purging
JP6625991B2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