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385A -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 Google Patents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385A
KR20220045385A KR1020200128054A KR20200128054A KR20220045385A KR 20220045385 A KR20220045385 A KR 20220045385A KR 1020200128054 A KR1020200128054 A KR 1020200128054A KR 20200128054 A KR20200128054 A KR 20200128054A KR 20220045385 A KR20220045385 A KR 20220045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hook body
brown
sides
w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507B1 (ko
Inventor
안인
박만웅
엄재상
최선희
김재근
김희락
손혜란
Original Assignee
한국친환경농식품자재수출마케팅협동조합
주식회사 그린아그로텍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친환경농식품자재수출마케팅협동조합, 주식회사 그린아그로텍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한국친환경농식품자재수출마케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00128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5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에 관한 것으로, 시각 및 후각에 의한 효과적인 유인이 가능하고, 전방향으로의 유인이 가능하며 유인된 해충은 곧바로 끈끈이에 포획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는 상부에 고리(12)가 구비된 걸이구 본체(10)와; 상기 걸이구 본체의 하단 양측에 부착되며 걸이구 본체와 평행하게 상부로 뻗은 2개의 가지체(14)와; 상기 본체(10)와 가지체(14)의 상,하단에 끼워지도록 내측에 관통 슬릿(22)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으로 개방부(24)를 갖는 2개의 홀더(20)와; 양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외부에 이형지(32)가 부착되어 상기 걸이구 본체(10)와 가지체(14) 사이에 끼워지며 상,하단이 상기 홀더(20)의 개방부(24)를 통해 십자형으로 벌어지는 2장의 황색 끈끈이 시트(30); 및 상기 걸이구 본체(10)의 상부 측에 끼움 고정되는 유인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A Luring and catching trap for brown wings leaf hoppers}
본 발명은 산림해충의 일종인 갈색날개매미충의 친환경방제를 위해 식물성 정유와 에탄올로 이루어진 친환경 유인제와 황색 평판 점착식 트랩을 조합하여 효과적인 유인 및 포획이 가능하도록 한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에 관한 것이다.
갈색날개매미충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노린재목의 곤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충남 공주와 예산, 전북 순창과 김제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2011년 전남 구례군의 농장에서 대량으로 발생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하였는데, 이는 나무나 풀의 줄기에 붙어 수액을 빨아먹으며 1년생 어린 나뭇가지에 산란하여 과수와 산림에 피해를 주고 있는 해충으로 분류되어 있다.
성충의 몸길이는 8mm이며 날개 길이는 약 15mm이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을 띠며 날개 중앙에는 물결 모양의 무늬가 있다. 알에서 나온 약충의 몸길이는 4.5mm 정도다. 갈색날개매미충 약충은 흰색의 밀랍 물질을 달고 있는데 자라면서 점점 늘어난다. 노란색을 띠는 흰색 밀랍 물질 덕분에 전체적으로 희끗희끗해 보이며 나무나 풀 줄기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갈색날개매미충은 1년에 한 번 발생한다.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낸 뒤 5월경 부화해 일정 기간 약충 상태로 지낸다. 약충은 식물의 어린줄기에 붙어 수액을 빨아 먹으며 줄기에 붙어있기 위해 흰색의 밀랍 물질을 분비하는데 이는 과일이나 잎, 줄기 등에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약충 기간에는 성충보다 많은 수액을 먹으며 4번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된다. 7월 중순 무렵 성충이 된 갈색날개매미충은 8월 중순부터 나뭇가지 속에 산란한다. 주로 1년생 어린 나뭇가지에 산란하며 그로 인해 나무의 생장에 피해를 줄 수 있다.
갈색날개매미충은 과수류부터 농작물, 풀, 활엽수 등 먹이로 사용하는 기주식물이 매우 다양해서 서식지도 폭넓어 야산이나 과수원, 농경지는 물론 주거지에 서식하는 사례도 있다. 대체로 어두운 환경을 선호하며 서식지가 넓어 방제가 어려운 편에 속한다.
8월 중순부터 5월 이전까지는 알을 산란한 나뭇가지를 제거하거나 밀폐하여 방제한다. 갈색날개매미충은 가지 겉면이 아닌 조직 속에 산란하므로 해당 부위를 제거하지 않으면 방제가 어렵다. 성충이 나타나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는 산란을 막기 위해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다. 노란색 끈끈이 트랩은 약 3m 간격으로 설치하며 높이는 1~1.5m 정도가 적합하다. 노란색을 사용하는 이유는 유입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다. 특히 8월 말 이후부터는 갈색날개매미충 성충이 산에서 과수원으로 유입되는 사례가 많아 철저하게 방제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피해가 심한 과수는 사과, 블루베리, 복숭아, 단감, 산수유, 대추 등 우리나라의 주요한 과수에 피해를 주고 있으며, 기후의 온난화와 함께 그 개체수가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주요 과수에 피해를 주는 갈색날개매미충의 피해를 막기 위해 농장에서 주로 살충제를 사용하여 갈색날개매미충을 잡고 있으나 갈색날개매미충의 개체수가 많아 살충제의 약효가 사라지면 얼마 못가 다시 침입하여 피해를 주며, 살충제 살포로 인해 과일과 과수원에 농약이 잔류하여 2차적 피해를 초래하고 있어 농약만을 이용해 계속적으로 갈색날개매미충을 구제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갈색날개매미충은 밤에 불빛을 좋아하므로 유아등을 이용해 유인하여 잡을 수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엘이디등 밑에 고정된 끈끈이트랩판을 매달아 놓고 엘이디등을 발광시켜면 해충이 유인되어 날아다니다가 끈끈이트랩에 들러붙어 죽게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그 구조상 먼곳에 있는 해충이 유인되기 어렵고, 끈끈이트랩판의 주변에 갈색날개매미충이 한겹이 들러붙고 나면 그 다음에는 들러붙지 않으므로 끈끈이트랩판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관리하는 것이 번거롭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끈끈이트랩판의 가격이 높아 경제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원거리에 있는 해충을 유인하도록 자외선 빛을 발광하는 원거리 유인기와, 원거리 유인기에 의해 근거리까지 유인된 해충을 재 유인하도록 유인향을 발향하는 근거리 유인기 및 상기 원거리 유인기와 근거리 유인기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인된 해충을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된 포집수조에 빠져 죽게하는 포충기가 제시되었는데, 상기 포충기는 갈색날개매미충의 개체수는 매우 많은데 비해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된 서랍식 포집수조의 크기가 작아 시간이 지나면 해충이 수조에 빠지지 않아 효과가 없어지므로 포집수조에 해충이 어느 정도 차면 이를 계속 비워줘야 하므로 포충기를 항상 옆에서 관리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원거리유인 유아등과 근거리유인 유아등으로 갈색날개매미충을 넓은 지역에서 유인하여 포획수조를 이용해 구제하도록하고, 관리자가 없더라도 자동으로 갈색날개매미충을 제거하고, 부족한 포획수조의 물을 보충하도록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유인포획장치가 제시되어 있으나, 충돌에 의해 낙하하여 수조에 떨어지는 개체수가 적어 성공적인 유인에도 불구하고 포획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57870호(2012.01.02.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032713호(2011.04.26.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944951호(2019.02.28.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갈색날개매미충을 시각과 후각에 의한 효과적인 유인 및 유인즉시 포획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고리가 구비된 걸이구 본체, 상기 걸이구 본체의 하단 양측에 부착되며 걸이구 본체와 평행하게 상부로 뻗은 2개의 가지체, 상기 본체와 가지체의 상,하단에 끼워지도록 내측에 관통 슬릿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으로 개방부를 갖는 2개의 홀더; 양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이형지가 부착되어 상기 걸이구 본체와 가지체 사이에 끼워지며 상,하단이 상기 홀더의 개방부를 통해 십자형으로 벌어지는 2장의 황색 끈끈이 시트 및 상기 걸이구 본체의 상부 측에 끼움 고정되는 유인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황색 끈끈이 시트는 장방형을 이루고, 전,후 양면에 이형지가 부착되되 이형지의 중간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2줄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이형지의 제거시 2줄의 절개선 사이에 위치한 이형지는 박리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유인제는 환경독성을 방출하지 않는 천연유래 성분인 식물성 정유와 에탄올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해충 밀도에 상관없이 시각과 후각에 의한 효과적인 유인이 가능하고, 유인과 동시에 끈끈이 시트에 달라붙도록 하여 탈출이 불가능하도록 포획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여 원하는 수량을 과수원 등에 충분히 설치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된 끈끈이의 간편교체가 가능하며, 유인 및 포획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등의 유익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인 포획용 트랩의 분해상태도,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인제의 포장 전,후 실물 사진,
도 5는 본 발명과 기존 트랩의 포획효과 실험이 이루어진 지역의 위성사진,
도 6은 도 5의 실험장소에 사용된 기존 트랩과 본 발명의 트랩 실물사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트랩에 해충이 포획된 상태의 사진,
도 8은 황색 끈끈이 트랩에 유인제를 적용하기 전,후의 대조 실험지역의 위성사진,
도 9는 도8의 실험에 사용된 유인제 처리 전,후의 황색 끈끈이 트랩의 실물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1)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에 고리(12)가 구비된 걸이구 본체(10)와; 상기 걸이구 본체의 하단 양측에 부착되며 걸이구 본체와 평행하게 상부로 뻗은 2개의 가지체(14)와; 상기 본체(10)와 가지체(14)의 상,하단에 끼워지도록 내측에 관통 슬릿(22)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으로 개방부(24)를 갖는 2개의 홀더(20)와; 양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외부에 이형지(32)가 부착되어 상기 걸이구 본체(10)와 가지체(14) 사이에 끼워지며 상,하단이 상기 홀더(20)의 개방부(24)를 통해 십자형으로 벌어지는 2장의 황색 끈끈이 시트(30); 및 상기 걸이구 본체(10)의 상부 측에 끼움 고정되는 유인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유인 포획용 트랩(1)은 아래의 실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유인효과가 우수한 황색 끈끈이 시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황색 끈끈이 시트(30)는 걸이구 본체(10)의 외곽으로 십자형을 이루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시트(30)의 전후 양면에 모두 점착성을 갖고 있으므로 트랩(1)의 사방 어느 곳에서도 동일한 면적으로 시각적인 유인효과를 갖고 있으며, 방사상으로 배치된 시트의 8면에 유인된 갈색날개매미충이 달라붙게 되므로 장시간에 걸친 포획성능을 보유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과수의 가지나 파이프에 고리(12)를 걸어준 상태에서 바람에 의해 흔들리거나 회동되더라도 시각적인 유인효과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인 포획용 트랩(1)의 걸이구 본체(10) 상부 측에 끼움 고정되는 유인제(40)는 식물성 정유와 에탄올이 10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페네틸알콜(phenylethyl alcohol)을 주성분으로 하는 로즈 정유(Rose flower oil(CAS# 8007-01-0))와 보조제인 에탄올을 10 : 1 중량비의 혼합물을 도 4의 실물사진에서와 같이 부직포재로 이루어진 필터형 흡수제(도 4의 좌측 사진)에 침적시키고 이를 LDPE포장재로 실링(도 4의 우측 사진)하여 방향성 유인제가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방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유인제 1개당 유인제 함량은 로즈 정유 2g에 에탄올 0.2g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상기 황색 끈끈이 시트(30)는 장방형을 이루고, 전,후 양면에 이형지(32)가 부착되되 이형지의 중간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2줄의 절개선(34)이 형성되어 이형지의 제거시 2줄의 절개선 사이에 위치한 중간 이형지(36)는 박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서 이의 설치와 분리시 끈끈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황색 끈끈이 트랩과 백색 끈끈이 트랩 및 충돌포획방식의 황색 노린재 트랩을 사용하여 경북 고령군의 3개소에서 포획실험을 한 장소의 위성사진이고, 도 6은 도 5의 실험장소에서 사용된 3종의 트랩 사진이며, 도 7은 도 6의 3종 트랩에서 2019.07.31~2019.10.11.까지 해충이 포획된 상태의 사진으로, 이는 아래의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황색 평판 점착방식의 끈끈이 트랩의 포획효과가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 분 트랩 7/31 8/14 8/30 9/17 9/27 10/11
지역1 황색 노린재 설치 4 10 18 14 0
황색 평판 설치 86 125 265 223 73
백색 평판 설치 0 0 0 0 0
지역2 황색 노린재 설치 0 1 1 0 0
황색 평판 설치 142 82 106 84 13
백색 평판 설치 0 2 2 0 0
지역3 황색 평판 _ _ 설치 68 50 6
백색 평판 _ _ 설치 0 0 0
비고
도 8과 도 9 및 아래의 표 2에는 경북 고령군 운수면 대평리의 블루베리과원 3곳에서 갈색날개매미충에 대하여 황색 평판 끈끈이 트랩만을 사용한 경우(도 9의 좌측 사진)와 동 트랩에 상술한 유인제를 조합하여 설치(도 9의 우측 사진)한 사진 및 포획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T는 트랩(도 9의 좌측 사진에서와 같이 황색 평판 트랩)만을 설치한 것을 의미하고, C는 도 9의 우측 사진에서와 같이 동일한 트랩에 유인제를 설치한 것을 의미하며, 3개의 지역에 각각 유인제 처리와 무처리 트랩을 각각 3개씩 교차되게 설치하였다. 2019.07.27부터 발생종료기간까지 실험한 결과, 지역 1에서는 유인제를 처리한 트랩이 무처리 트랩에 비하여 16%, 지역 2에서는 20%, 지역 3에서는 50%의 포획률 향상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 분 트랩 7/28 8/11 8/21 9/10 9/18
지역 1 처리1 설치 331 278 162 198
처리2 설치 103 181 62 127
처리3 설치 63 229 46 64
처리 합 _ 497 688 270 389
무처리1 설치 275 236 12 136
무처리2 설치 71 146 43 72
무처리3 설치 82 161 49 127
무처리 합 _ 428 543 104 335
비교 차이(마리) 69 145 166 54
차이(%) 16.12 26.70 159.62 16.12
지역 2 처리1 설치 75 42 3 3
처리2 설치 94 35 2 2
처리3 설치 93 118 6 3
처리 합 262 195 11 6
무처리1 설치 68 35 2 2
무처리2 설치 78 55 3 2
무처리3 설치 92 32 1 1
무처리 합 차이(마리) 238 122 6 5
비고 차이(마리) 24 73 5 1
차이(%) 10.08 59.84 83.33 20
지역 3 처리1 설치 114 50 4 3
처리2 설치 103 51 5 1
처리3 설치 98 46 2 5
처리 합 315 147 11 9
무처리1 설치 83 57 2 5
무처리2 설치 99 34 2 0
무처리3 설치 83 20 3 1
무처리 합 265 111 7 6
비고 차이(마리) 50 36 4 3
차이(%) 18.87 32.42 57.14 50.00
따라서, 위의 2가지 실험결과에 의하면 갈색날개매미충의 효과적인 포획을 위해서는 시각적인 유인 및 즉시 포획이 가능한 황색 평판 끈끈이 트랩에 후각적인 유인이 가능한 식물성 정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인제를 조합하는 방식이 기존의 황색 충돌식 트랩이나 백색 평판형 끈끈이 트랩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고, 시각적인 유인에만 의존하던 황색 끈끈이 트랩에 비하여도 평균 20~25%의 포획률 향상이 가능하다는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 트랩
10 : 걸이구 본체
12 : 고리
14 : 가지체
20 : 홀더
22 : 관통 슬릿
24 : 개방부
30 : 끈끈이 시트
32 : 이형지
34 : 절개선
36 : 중간 이형지
40 : 유인제

Claims (4)

  1. 상부에 고리가 구비된 걸이구 본체;
    상기 걸이구 본체의 하단 양측에 부착되며 걸이구 본체와 평행하게 상부로 뻗은 2개의 가지체;
    상기 본체와 가지체의 상,하단에 끼워지도록 내측에 관통 슬릿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으로 개방부를 갖는 2개의 홀더;
    양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이형지가 부착되어 상기 걸이구 본체와 가지체 사이에 끼워지며 상,하단이 상기 홀더의 개방부를 통해 십자형으로 벌어지는 2장의 황색 끈끈이 시트; 및
    상기 걸이구 본체의 상부 측에 끼움 고정되는 유인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색 끈끈이 시트는 장방형을 이루고, 전,후 양면에 이형지가 부착되되 이형지의 중간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2줄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이형지의 제거시 2줄의 절개선 사이에 위치한 중간 이형지는 박리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는 식물성 정유와 에탄올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정유는 로즈 정유이고, 로즈 정유와 에탄올의 혼합비는 10 : 1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KR1020200128054A 2020-10-05 2020-10-05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KR102510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54A KR102510507B1 (ko) 2020-10-05 2020-10-05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54A KR102510507B1 (ko) 2020-10-05 2020-10-05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385A true KR20220045385A (ko) 2022-04-12
KR102510507B1 KR102510507B1 (ko) 2023-03-16

Family

ID=8118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054A KR102510507B1 (ko) 2020-10-05 2020-10-05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5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954Y1 (ko) * 2002-08-01 2002-11-14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과수해충 나무좀 유인트랩
KR20080002828U (ko) * 2008-07-04 2008-07-23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과수 해충 나무좀 유인트랩
KR101032713B1 (ko) 2008-11-18 2011-05-06 진성닷컴주식회사 포충기
KR200457870Y1 (ko) 2011-08-03 2012-01-06 정동석 엘이디등을 이용한 해충유인 트랩장치
KR200464924Y1 (ko) * 2010-07-28 2013-01-28 권오혁 파리 유인 내용물이 구비된 파리끈끈이
KR20150019040A (ko) * 2013-08-12 2015-02-25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해충 유인 포집 장치
KR101944951B1 (ko) 2017-11-28 2019-02-01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갈색날개매미충 유인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954Y1 (ko) * 2002-08-01 2002-11-14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과수해충 나무좀 유인트랩
KR20080002828U (ko) * 2008-07-04 2008-07-23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과수 해충 나무좀 유인트랩
KR101032713B1 (ko) 2008-11-18 2011-05-06 진성닷컴주식회사 포충기
KR200464924Y1 (ko) * 2010-07-28 2013-01-28 권오혁 파리 유인 내용물이 구비된 파리끈끈이
KR200457870Y1 (ko) 2011-08-03 2012-01-06 정동석 엘이디등을 이용한 해충유인 트랩장치
KR20150019040A (ko) * 2013-08-12 2015-02-25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해충 유인 포집 장치
KR101944951B1 (ko) 2017-11-28 2019-02-01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갈색날개매미충 유인포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507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351B2 (en) No maintenance lethal mosquito breeding trap
KR100894294B1 (ko) 과수용 해충 포살시트
US9572338B2 (en) Mosquito control devices using durable coating-embedded pesticides
MX2007014034A (es) Metodo para el suministro de un agente con actividad biologica.
US9775335B2 (en) Durable coating-embedded pesticides with peel and stick mosquito treatment of containers
US20200077635A1 (en) Durable coating-embedded pesticides with peel and stick mosquito treatment of containers
CN207639514U (zh) 一种害虫诱捕装置
KR20220045385A (ko) 갈색날개매미충 유인 포획용 트랩
CN105746571A (zh) 一种介壳虫爬虫诱杀剂及应用
KR102510510B1 (ko) 갈색날개매미충의 친환경 방제방법
US20180125060A1 (en) Articles of Manufacture And Related Methods To Create Insect Barriers
Ioriatti et al. Control of codling moth by attract and kill
TWM621859U (zh) 具昆蟲誘導液之載體構造
KR101763127B1 (ko) 끈끈이 엠보싱 트랩 테이프
KR101361703B1 (ko) 복숭아유리나방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eixeira et al. Paraffin wax emulsion for increased rainfastness of insecticidal bait to control Rhagoletis pomonella (Diptera: Tephritidae)
JP2006180805A (ja) 害虫の殺虫方法及び装置
US20230038073A1 (en) Delivery system embedded trap device for attracting female and male fruit flies
Soomro et al. Synchronization of Synthetic Insecticides with Aggregation Pheromone Against Rhynchophorus ferrugenius (Oliver).: Compatibility of Ferrolure+ with Insecticides
JPH1017415A (ja) カメムシタマゴトビコバチの誘引剤
KR20140005589A (ko)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유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용 트랩
Pereira et al. Imported fire ants and their management
GB2487610A (en) Insect control device.
TWI284508B (en) Insect-trapping device
KR20200095837A (ko) 닭진드기 포획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