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062A -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062A
KR20220043062A KR1020210128380A KR20210128380A KR20220043062A KR 20220043062 A KR20220043062 A KR 20220043062A KR 1020210128380 A KR1020210128380 A KR 1020210128380A KR 20210128380 A KR20210128380 A KR 20210128380A KR 20220043062 A KR20220043062 A KR 2022004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ack
battery rack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찬
이경민
이승준
손권
정관수
이종수
전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ublication of KR2022004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랙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 및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랙 케이스를 포함하고, 랙 케이스는, 랙 케이스의 하단부에 구비된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파트 및 본체 파트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되어 형성된 고정홈이 구비된 고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Battery Rack, Energy Storage System, and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한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0년 9월 28일 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 10-2020-0126283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파우치 외장재를 구비한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이차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많이 이용된다.
한편, 근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이차전지, 및 이러한 이차전지를 내부에 수용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구비한 배터리 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랙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수납 보관하기 위해서 금속 재질의 랙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더욱이, 최근 고용량의 배터리 랙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무거운 하중의 배터리 모듈 다수개가 수납된 배터리 랙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거운 하중의 배터리 랙은, 설치 장소의 고정 포인트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즉, 무거운 하중의 배터리 랙은, 운송 장비를 사용해 배터리 랙을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피 하였는데, 이러한 운송 장비를 사용할 경우, 배터리 랙의 정밀한 위치 조정이 쉽지 않았다. 이에 따라, 배터리 랙들 간의 배열이 고르지 못해, 배터리 랙 간의 전기적 연결이나, 소방 시설 등의 연결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한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랙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랙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랙 케이스는,
상기 랙 케이스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파트는, 상기 본체 파트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되어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랙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탑재하도록 구성된 선반 프레임;
상기 선반 프레임의 전단과 결합된 전방 프레임; 및
상기 선반 프레임의 후단과 결합된 후방 프레임
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의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기둥부 각각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 연결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파트는 상기 복수의 기둥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본체 파트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된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홈의 크기가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더 내입되어 형성된 공간을 가진 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를 구획하도록 돌출이 가능하게 구성된 구속 바; 및
상기 구속 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을 가진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고 상기 구속 바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상기 구속 바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은,
상기 고정부에 탑재되고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슬릿홈이 형성된 탑재부, 및 상기 탑재부의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기둥부와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된 체결부를 가진 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본체 파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를 향해 소정 각도 이상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돌출 연장된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되어 형성된 연장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 저장 장치는, 상기 배터리 랙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둘 이상의 상기 배터리 랙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배터리 랙 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은,
상기 랙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홀; 및
상기 볼트홀에 고정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트홀에 고정된 상기 볼트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랙의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전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랙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 각각의 고정부에 고정홈을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랙을 보관 장소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랙을 운송 장치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이송 중에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도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랙을 설치 장소에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랙 케이스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배터리 모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랙의 전방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터리 랙의 후방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고정부의 일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고정부의 일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브라켓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고정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력 저장 장치의 A 영역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랙 케이스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배터리 모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는 배터리 랙의 내부 모습을 볼 수 있도록 랙 케이스 중, 전방 도어를 제거하여 나타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10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랙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랙 케이스(120)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10)은, 모듈 하우징(111), 및 상기 모듈 하우징(111) 내부에 구비되고 일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지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지셀은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10)의 전지셀은, 앞서 설명한 파우치형 전지셀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전지셀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랙 케이스(120)는, 상기 랙 케이스(120)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6)는,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파트(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파트(126b)는, 상기 본체 파트(126b)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되어 형성된 고정홈(126h)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 케이스(120)는, 선반 프레임(121), 전방 프레임(122), 및 후방 프레임(123)을 구비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 프레임(121)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을 탑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반 프레임(121)은 복수의 수납 플레이트(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플레이트(121a)는 'L' 자형으로 대략 90도 각도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플레이트(121a)의 전후 방향의 양 단부는 상기 전방 프레임(122) 및 상기 후방 프레임(123) 각각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을 수납하기 위해 2개의 수납 플레이트(12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수납 플레이트(121a)는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좌우 방향의 하단 부분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수납 플레이트(121a)는 하부에 놓인 다른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방 프레임(12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기둥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24)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외부 물체(예를 들면, 바닥 내지 천장, 또는 다른 랙 케이스(도 11의 1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24)는 랙 케이스(120)의 육면체인 전체 형상의 주요한 뼈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22)은 상기 랙 케이스(120)의 전단에 위치한 3개의 기둥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122)은 기둥부(124)들 간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25)는 3개의 기둥부(124)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122)은 기둥부(124)들 간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고정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6)는 3개의 기둥부(124)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프레임(12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기둥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24)는 랙 케이스(120)의 육면체인 전체 형상의 주요한 뼈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프레임(123)은 상기 랙 케이스(120)의 후단에 위치한 3개의 기둥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후방 프레임(123)은 기둥부(124)들 간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25)는 3개의 기둥부(124)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123)은 기둥부(124)들 간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고정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6)는 3개의 기둥부(124)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랙의 전방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배터리 랙의 후방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다시 도 2와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26)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파트(126b)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 파트(126b)는 상기 복수의 기둥부(124)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6)는 상기 본체 파트(126b)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되어 형성된 고정홈(126h)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26h)은, 볼트(B)의 몸통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구성된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22)의 고정부(126)는 본체 파트(126b)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내입된 4개의 고정홈(126h)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프레임(123)의 고정부(126)는 본체 파트(126b)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내입된 4개의 고정홈(126h)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작업자가 배터리 랙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해 배터리 랙의 뒷편에서 볼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없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바닥에 볼트(B)를 미리 소정 깊이로 고정하여, 볼트(B)가 지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만든 후, 상기 배터리 랙(100)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볼트(B)의 몸통이 상기 고정홈(126h)에 삽입 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후방 프레임(123)이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작업자가 배터리 랙(100)의 전방에서 긴 막대 형태의 스패너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홈(126h)에 삽입된 볼트(B)를 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배터리 랙(100)의 후방 측의 설치 바닥에 볼트(B)를 미리 소정 깊이로 고정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배터리 랙(100)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뒤 상기 고정홈(126h)에 삽입되어 있는 볼트(B)를 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랙(1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측의 고정홈(126h)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그 후, 배터리 랙(100)의 전방 측에 구비된 고정홈(126h)에 볼트(B)를 삽입하여 배터리 랙(100)을 설치 바닥에 추가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치 바닥에 배터리 랙(100)을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설치 바닥뿐만 아니라, 다른 배터리 랙(100)의 상부에 배터리 랙(100)을 고정하는 방법에도 상기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방 프레임(122) 및 상기 후방 프레임(123) 각각의 고정부(126)에 고정홈(126h)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랙(100)을 보관 장소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 랙(100)을 운송 장치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이송 중에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도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랙(100)을 설치 장소에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고정부의 일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정홈(126h)은, 테이퍼부(126h1), 및 수용부(126h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126h1)는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본체 파트(126b)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된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홈의 크기가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6h2)는 상기 테이퍼부(126h1)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더 내입되어 형성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6h2)는 원형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126h1)의 홈의 크기는 상기 볼트(B)의 몸통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126h)은,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내입되어 형성된 테이퍼부(126h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퍼부(126h1)는 상기 본체 파트(126b)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된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홈의 크기가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6h2)는 상기 볼트(B)의 몸체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고정홈(126h)에 테이퍼부(126h1) 및 수용부(126h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볼트(B)가 고정홈(126h)의 테이퍼부(126h1)의 내면을 타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용부(126h2)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고정홈(126h)을 통해 상기 랙 케이스(120)를 바닥에 고정된 볼트(B)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고정부의 일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100)의 고정부(126)는, 도 6의 고정부(126)와 비교할 경우, 구속 바(127a), 수용홈(127h), 및 탄성 부재(127b)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속 바(127a)는 상기 테이퍼부(126h1)와 상기 수용부(126h2) 사이를 구획하도록 돌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바(127a)는 직선으로 연장된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6)의 고정홈(126h)에는 2개의 구속 바(127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27h)은 상기 구속 바(127a)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126h)에는 2개의 구속 바(127a)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2개의 수용홈(127h)이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탄성 부재(127b)는 상기 수용홈(127h)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27b)는 상기 구속 바(127a)가 상기 수용홈(127h)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상기 구속 바(127a)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27b)는 예를 들면 용수철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구속 바(127a)를 상기 수용홈(127h)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시키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127b)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볼트(B)가 상기 고정홈(126h)에 삽입될 경우, 상기 구속 바(127a)가 상기 수용홈(127h) 내부로 수용되고 상기 볼트(B)가 상기 수용부(126h2)에 위치할 경우, 다시 상기 구속 바(127a)가 상기 수용홈(127h)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어, 상기 볼트(B)를 상기 고정홈(126h)에 체결 고정 시키는 과정을 매우 손쉽게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터리 랙(100)의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브라켓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시 도 4 및 도 5와 함께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100)의 상기 전방 프레임(122) 및/또는 상기 후방 프레임(123)은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129)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9)은, 상기 고정부(126)에 탑재되도록 상기 고정부(126)의 일면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탑재부(129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탑재부(129a)는 상기 고정부(126)의 상기 고정홈(126h)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슬릿홈(129h)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릿홈(129h)은 상기 볼트(B)의 머리 부분이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29)은, 상기 기둥부(124)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체결부(129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9b)는 상기 탑재부(129a)의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9b)는 상기 기둥부(124)와 볼트 체결되도록 볼트홀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29)은, 상기 기둥부(124)의 볼트홀(H)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4개의 볼트홀(H)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22)의 고정부(126)에는 4개의 브라켓(129)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프레임(123)의 고정부(126)에는 4개의 브라켓(129)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고정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100)의 고정부(126)는 도 4의 고정부(126)와 비교할 경우, 가이드부(12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28)는 상기 고정부(126)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8)는 바닥의 지면을 타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면과 대략 평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28)는 상기 고정부(126)의 상기 본체 파트(126b)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8)는 상기 본체 파트(126b)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각도(Q)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8)는 예를 들면, 상기 본체 파트(126b)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30도 각도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128)를 통해서 상기 고정부(126)가 바닥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랙(100)을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126h)을 바닥에 고정된 볼트(B)에 삽입할 경우, 상기 본체 파트(126b)로부터 30도 각도로 절곡된 가이드부(128)는 지면과 평행한 면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28)가 상기 지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배터리 랙(100)을 상하 방향의 흔들림 없이 수평 방향으로 손쉽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28)는 연장홈(128h)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홈(128h)은 상기 가이드부(128)의 돌출된 가장자리로부터 몸체의 내부 방향으로 내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홈(128h)은 상기 고정부(126)의 고정홈(126h)과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128)는 연장홈(128h)을 구비함으로써, 볼트(B)가 상기 고정부(126)에 형성된 고정홈(126h)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128)가 지면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볼트(B)가 먼저 연장홈(128h)에 삽입되고, 이후, 상기 볼트(B)가 상기 연장홈(128h)을 지나 상기 고정홈(126h)으로 이동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가이부는 배터리 랙(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200)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랙(100)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저장 장치(200)는, 본 발명에 따른 둘 이상의 배터리 랙들(100A, 100B)을 적층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배터리 랙들(100A, 100B)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200)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이나 전기 충전 스테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전력 저장 장치의 A 영역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다시 도 1 과 함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둘 이상의 상기 배터리 랙들(100A, 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된 둘 이상의 배터리 랙들(100A, 100B) 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100B)은, 볼트(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B)는 상기 적층된 둘 이상의 상기 고정홈(126h)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100B)은, 상기 랙 케이스(120)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홀(H)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100B)은, 상기 전방 프레임(122) 및 상기 후방 프레임(123) 각각의 연결부(125)에 형성된 볼트홀(H)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2개의 배터리 랙(100) 중,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100B)은, 상기 전방 프레임(122)의 연결부(125)에 4개의 볼트(B)와 4개의 볼트홀(H)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후방 프레임(123)의 연결부(125)에 4개의 볼트(B)와 4개의 볼트홀(H)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홀(H)에 고정된 상기 볼트(B)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랙(100A)의 고정홈(126h)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2개의 배터리 랙(100) 중, 상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100A)의 전방 프레임(122) 및 후방 프레임(123) 각각의 고정부(126)는 상기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100B)의 전방 프레임(122) 및 후방 프레임(123) 각각의 연결부(125)와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25)의 볼트홀(125h)에 고정된 볼트(B)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126)의 고정홈(126h)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 랙(1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고,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100B)을 지면에 고정하고, 상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100A)을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100B)의 상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전력 저장 장치(200)의 배터리 랙(10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의 상부 공간을 더 활용할 수 있어, 전력 저장 장치(200)의 공간 대비 에너지 밀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배터리 랙(100)의 고정부(126)에 고정홈(126h)이 구비되어 있어, 복수의 배터리 랙(1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고 배터리 랙(100)들 간의 고정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 랙(1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발전 시스템은, 수력 발전기, 화력 발전기, 풍력 발전기, 태양 발전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기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상기 배터리 랙(1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0: 배터리 랙
110: 배터리 모듈 111: 모듈 하우징
120: 랙 케이스 121: 선반 프레임
122, 123: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124: 기둥부 125: 연결부
126: 고정부 126b, 126h: 본체 파트, 고정홈
126h1, 126h2: 테이퍼부, 수용부
127a, 127h: 구속 바, 수용홈 127b: 탄성 부재
129: 브라켓 129a, 129b: 탑재부, 체결부
128: 가이드부 128h: 슬릿홈
B: 볼트 125h: 볼트홀
200: 전력 저장 장치

Claims (12)

  1.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랙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랙 케이스는,
    상기 랙 케이스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파트는, 상기 본체 파트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되어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탑재하도록 구성된 선반 프레임;
    상기 선반 프레임의 전단과 결합된 전방 프레임; 및
    상기 선반 프레임의 후단과 결합된 후방 프레임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의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기둥부 각각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 연결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파트는 상기 복수의 기둥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본체 파트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된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홈의 크기가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더 내입되어 형성된 공간을 가진 수용부
    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를 구획하도록 돌출이 가능하게 구성된 구속 바; 및
    상기 구속 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을 가진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고 상기 구속 바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상기 구속 바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은,
    상기 고정부에 탑재되고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슬릿홈이 형성된 탑재부, 및 상기 탑재부의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기둥부와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된 체결부를 가진 브라켓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본체 파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를 향해 소정 각도 이상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돌출 연장된 가장자리로부터 내입되어 형성된 연장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랙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둘 이상의 상기 배터리 랙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배터리 랙 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 랙은,
    상기 랙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홀; 및
    상기 볼트홀에 고정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트홀에 고정된 상기 볼트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랙의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랙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
KR1020210128380A 2020-09-28 2021-09-28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KR20220043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283 2020-09-28
KR20200126283 2020-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062A true KR20220043062A (ko) 2022-04-05

Family

ID=8084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380A KR20220043062A (ko) 2020-09-28 2021-09-28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35847A1 (ko)
EP (1) EP4142030A1 (ko)
JP (1) JP2023524701A (ko)
KR (1) KR20220043062A (ko)
CN (1) CN116261803A (ko)
AU (1) AU2021347786A1 (ko)
WO (1) WO20220659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487A1 (ko) * 2022-09-19 2024-03-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123606U (zh) * 2022-06-23 2022-12-23 上海启源芯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结构简单的电池箱
WO2024065716A1 (zh) * 2022-09-30 2024-04-0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储能箱体及储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202B1 (ko) * 1998-12-04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20140134460A1 (en) * 2012-11-13 2014-05-15 Samsung Sdi Co., Ltd. Energy storage system
KR101581660B1 (ko) * 2014-08-18 2016-01-04 신현철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KR101787617B1 (ko) * 2015-12-18 2017-10-19 주식회사 태산하이텍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
KR101826933B1 (ko) * 2017-08-14 2018-02-08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터리 응용 전력저장장치의 배터리 트레이의 내진 접속구조
KR20200126283A (ko) 2019-04-29 2020-11-06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부 이면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487A1 (ko) * 2022-09-19 2024-03-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347786A1 (en) 2023-01-05
JP2023524701A (ja) 2023-06-13
EP4142030A1 (en) 2023-03-01
WO2022065995A1 (ko) 2022-03-31
CN116261803A (zh) 2023-06-13
US20230335847A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4670B2 (en) Battery pack having expandable battery module structure
KR20220043062A (ko)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EP3624215B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KR102330872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EP3664186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EP4145601A1 (en) Battery rack,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generation system
KR102352686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9537126B2 (en) Battery pack
EP3783693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battery pack
KR20180050085A (ko) 전력 저장 장치
EP4175041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KR102178719B1 (ko) 배터리 랙 및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1345600B1 (ko) 슈퍼 캐패시터 외장케이스
US20230335854A1 (en) Battery rack, power storage device, and container
EP3848995A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battery pack
EP4199175A1 (en) Battery rack, power storage device, and data storage device
CN114223089A (zh) 电池组、电子装置和车辆
CN212848553U (zh) 一种电池维护设备
KR101843398B1 (ko) 모듈형 축전지 안전 받침대
KR102111767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025477A (ko)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랙
KR20240051017A (ko)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210103297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