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660B1 -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 Google Patents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660B1
KR101581660B1 KR1020140106899A KR20140106899A KR101581660B1 KR 101581660 B1 KR101581660 B1 KR 101581660B1 KR 1020140106899 A KR1020140106899 A KR 1020140106899A KR 20140106899 A KR20140106899 A KR 20140106899A KR 101581660 B1 KR101581660 B1 KR 101581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rack case
case
ro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철 신
백경국
천병찬
Original Assignee
신현철
백경국
천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철, 백경국, 천병찬 filed Critical 신현철
Priority to KR102014010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05K7/186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for supporting telecommunication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랙 마운트를 복수의 단으로 구비하여 필요한 양만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복수의 랙케이스가 상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층상구조로 결합되는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랙케이스는 하부랙케이스와 상부랙케이스 및 상기 하부랙케이스와 상부랙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중간랙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랙케이스는 일측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개방문이 구비되어 있고, 상하방향 또는 상하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에는 전원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RACK MOUNT WITH MULTYSTAGE UNION FORM}
본 발명은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랙 마운트를 복수의 단으로 구비하여 필요한 양만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랙 마운트는 서버 등을 장착하여 설치하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랙 마운트는 일정한 크기의 캐비닛에 저장장치나 상기 저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냉각장치 등을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랙 마운트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랙 마운트는 캐비닛 형상의 케이스(10)에 서버장치(30)를 복수의 층으로 장착하는 것으로, 미리 만들어진 일정한 규격의 케이스(10)에 저장장치와 전원공급장치 또는 냉각장치 등과 같은 서버장치(30)를 층상구조로 장착하고, 여기에 각종 케이블(미도시)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랙 마운트는 기성품인 케이스(10)에 서버장치(30)를 장착하기 때문에 설치되는 서버장치(30)의 규모에 상관없이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실제 서버장치(30)를 설치할 때 서버의 규모에 따라 장착되는 내용물의 수도 다르고, 건물의 구조에 따라서 기존의 케이스가 설치되기 어렵거나 설치된 후에 공간이 많이 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케이스(10)의 크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서버장치(30)를 설치한 후에 케이스의 공간(50)이 많이 남거나 케이스(10)를 비치할 공간이 부족하여 별도로 작은 크기의 케이스를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20-0207329 A KR 10-0960098 A KR 10-118887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장치의 단위마다 별도의 케이스를 마련하여 상기 케이스에 서버장치를 설치한 후에 필요한 개수만큼만 층상구조로 쌓아서 서버의 규모나 랙 마운트를 설치할 건물의 구조 등에 따라 능동적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복수의 랙케이스가 상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층상구조로 결합되는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랙케이스는 하부랙케이스와 상부랙케이스 및 상기 하부랙케이스와 상부랙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중간랙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랙케이스는 일측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개방문이 구비되어 있고, 상하방향 또는 상하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에는 전원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하부랙케이스의 상부에 플러그 또는 콘센트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랙케이스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랙케이스는 상하방향의 서로 인접한 랙케이스의 전원연결부에 대응하는 구조의 전원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원연결부 중 플러그는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이동봉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봉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봉에 대응하는 랙케이스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부 양단에는 상기 손잡이가 내장될 수 있는 손잡이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랙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랙케이스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차단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랙케이스는 하부랙케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랙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봉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랙케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랙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봉이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체결홀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봉이 인접한 랙케이스의 체결홈에 삽입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체결봉의 상부에는 봉손잡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체결봉이 구비된 랙케이스에는 봉손잡이홈이 구비되어 상기 봉손잡이가 상기 봉손잡이홈에 삽입되면서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체결보의 하부 끝단에는 체결바가 더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체결바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에 의하면 서버장치의 개수에 따라 필요한 층상으로만 랙 마운트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별로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랙 마운트의 유지관리나 이전 등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랙 마운트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랙케이스의 상부단면도.
도 4는 전원연결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의 랙케이스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의 전원제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랙케이스의 상부단면도이고, 도 4는 전원연결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100)는 복수의 랙케이스(110)가 상하방향으로 적층 되면서 층상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환경에 맞게 필요한 개수의 랙케이스(110)를 적층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서버장치(130)의 규모나 서버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의 크기 등에 능동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랙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서버장치(130)가 내장되어 있는데, 서버장치(130)는 저장장치, 전원공급장치 또는 냉각장치 등을 포함하여 서버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장치를 통칭한다. 서버장치(130)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랙케이스(110)는 하부랙케이스(113)와 상부랙케이스(117) 및 상기 하부랙케이스(113)와 상부랙케이스(117)의 사이에 구비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중간랙케이스(115)로 구성된다. 각각의 랙케이스(110)는 일측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개방문(15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 또는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에는 전원연결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개방문(15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개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일 뿐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153)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랙케이스(110)의 전원을 연결시켜주는 구조로, 각각의 랙케이스(110)에는 서로 인접한 전원연결부(153)와 대응되는 구조의 전원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다. 랙케이스(110)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랙케이스(110)가 복층구조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랙케이스(110)들이 결합된 후에 전원을 연결해 줄 필요가 있다. 이때 전원은 랙케이스(110)들은 별도의 전선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상기 전원연결부(153)는 랙케이스(110)에 플러그 또는 콘센트가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랙케이스(110)들을 장착하면 전원연결부(153)가 곧바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하부랙케이스(113)의 상부테두리 중 어느 한 부분에 플러그 또는 콘센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하부랙케이스(113)의 상부에 장착되어 결합되는 중간랙케이스(115)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랙케이스(113)의 전원연결부(153)에 대응하는 구조의 전원연결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하는 구조란 하부랙케이스(113)에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중간랙케이스(115)에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랙케이스(113)의 상부에 중간랙케이스(115)를 장착하면 상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그리고 중간랙케이스(115)에는 상·하부에 모두 전원연결부(153)가 구비되고, 상부랙케이스(117)에는 하부에만 전원연결부(15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랙케이스(115)의 상부에 장착되는 또 다른 중간랙케이스(115)에는 하부에 플러그가, 상부에는 콘센트가 구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부랙케이스(117)는 본 발명에 따른 랙 마운트(100)의 가장 상부에 장착되는 것이므로, 상부에는 전원연결부(153)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하부에만 인접한 하부의 랙케이스(110)에 대응하는 전원연결부(153)가 구비된다. 그리하여 각각의 랙케이스(110)를 적층하면 전원연결부(153)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모든 랙케이스(110)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전술하여 설명한 전원연결부(153) 중 플러그는 슬라이딩구조(16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랙케이스(1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돌출되거나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랙 마운트(100)는 각각의 랙케이스(110)가 서로 분리되어 필요한 개수만큼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랙케이스(110)의 이동이나 보관 등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를 슬라이딩구조(160)로 하여 인접한 랙케이스(110)의 콘센트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하고, 다른 랙케이스(110)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러그가 랙케이스(11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구조(160)는 랙케이스(110)에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161)를 구비하고, 플러그에는 상기 가이드부(161)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이동봉(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동봉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 플러그가 이동봉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또한, 이동봉에는 손잡이(165)를 구비하고, 랙케이스(110)에는 상기 가이드부(161)의 상·하부 양단에 손잡이(165)가 내장될 수 있는 손잡이홈(16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평상시에는 손잡이(165)가 손잡이홈(163)에 내장되어 이동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165)가 랙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러그를 돌출시키거나 내장시킬 때는 손잡이(165)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손잡이홈(163)으로부터 이완하여 상기 손잡이(165)를 가이드부(16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의 랙케이스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랙케이스(110)에는 하부랙케이스(113)를 제외한 나머지 랙케이스(110)의 하부에 체결봉(171)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랙케이스(117)를 제외한 나머지 랙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봉(171)이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체결홀(179)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각각의 랙케이스(110)를 적층한 후에 체결봉(171)을 인접한 랙케이스(110)의 체결홀(179)에 삽입하여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체결봉(171)과 체결홀(179)은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일례도 체결봉(171)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이동봉과 유사하게 체결봉(171)의 상부에 봉손잡이(173)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봉(171)이 구비된 랙케이스(110)에는 봉손잡이홈(172)이 구비되어 상기 봉손잡이(173)가 봉손잡이홈(172)에 삽입되면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체결봉(171)의 하부 끝단에는 체결바(17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홀(179)은 상기 체결바(175)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봉손잡이홈(172)의 하부에는 체결바(175)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랙케이스(110)를 적층하여 결합할 때는 봉손잡이(173)를 도면과 같이 봉손잡이홈(172)으로부터 이완시켜(세워서) 아래로 내리면, 상기 체결봉(171) 및/또는 체결바(175)가 체결홈(179)에 삽입되면서 결합할 수 있다. 그런 후에 봉손잡이(173)를 하부에 구비된 봉손잡이홈(172)에 삽입하면 상기 봉손잡이(17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랙케이스(11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랙케이스(110)를 분리할 때는 전술하여 설명한 방법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의 전원제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는 상기 랙케이스(110)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랙케이스(110)들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191)가 구비된 제어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랙케이스(110)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전원연결부(153)와는 별도로 차단기(19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기(193)는 제어부(19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90)를 이용하여 각각의 랙케이스(110)의 전원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랙케이스(113)에 복수의 스위치(191)가 구비된 제어부(190)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190)의 각 스위치(191)는 상기 하부랙케이스(113)를 포함한 모든 랙케이스(110)에 구비된 차단기(19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하는 원하는 랙케이스(110)만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랙케이스 113: 하부랙케이스
115: 중간랙케이스 117: 상부랙케이스
130: 서버장치 151: 개방문
153: 전원연결부 160: 슬라이딩구조
161: 가이드부 163: 손잡이홈
165: 손잡이 171: 체결봉
172: 봉손잡이홈 173: 봉손잡이
175: 체결바 179: 체결홈
190: 제어부 191: 스위치
193: 차단기

Claims (6)

  1. 복수의 랙케이스가 상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층상구조로 결합되는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랙케이스는 하부랙케이스와 상부랙케이스 및 상기 하부랙케이스와 상부랙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중간랙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랙케이스는 일측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개방문이 구비되어 있고, 상하방향 또는 상하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에는 전원연결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하부랙케이스의 상부에 플러그 또는 콘센트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랙케이스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랙케이스는 상하방향의 서로 인접한 랙케이스의 전원연결부에 대응하는 구조의 전원연결부가 구비되되, 상기 중간랙케이스는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전원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랙케이스는 하부에 전원연결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연결부 중 플러그는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이동봉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봉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봉에 대응하는 랙케이스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봉과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부 양단에는 상기 손잡이가 내장될 수 있는 손잡이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랙케이스는 하부랙케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랙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봉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랙케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랙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봉이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체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봉의 하부 끝단에 체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체결바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봉이 인접한 랙케이스의 체결홀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바가 상기 체결홀에 구비된 상기 체결바가 삽입될 수 있는 홈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체결봉의 상부에는 봉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봉이 구비된 랙케이스에는 봉손잡이홈이 구비되어 상기 봉손잡이가 상기 봉손잡이홈에 삽입되면서 장착될 수 있는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랙케이스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차단기가 구비되어 있는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5. 삭제
  6. 삭제
KR1020140106899A 2014-08-18 2014-08-18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KR101581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899A KR101581660B1 (ko) 2014-08-18 2014-08-18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899A KR101581660B1 (ko) 2014-08-18 2014-08-18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660B1 true KR101581660B1 (ko) 2016-01-04

Family

ID=5516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899A KR101581660B1 (ko) 2014-08-18 2014-08-18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995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870U (ja) * 1991-02-26 1993-10-08 マー,シークァン 積載式可換性電気回路ユニット
JPH08126129A (ja) * 1994-10-20 1996-05-17 Fuji Electric Co Ltd 配電盤構造
JP2578641B2 (ja) * 1988-06-02 1997-02-05 ハウス食品株式会社 アイシング組成物及びアイシング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207329Y1 (ko) 2000-07-20 2000-12-15 동해기전산업주식회사 서버 랙
KR20060090771A (ko) * 2002-05-31 2006-08-16 베라리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컴퓨터 구성품을 장착하기 위한 랙 시스템 및 랙 장착형구성품의 냉각 방법
KR100960098B1 (ko) 2009-02-13 2010-05-31 (주)넷메이커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
KR101188879B1 (ko) 2010-12-24 2012-10-17 주식회사 두비컴퓨팅 랙 마운트 서버 시스템의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641B2 (ja) * 1988-06-02 1997-02-05 ハウス食品株式会社 アイシング組成物及びアイシング組成物の製造方法
JPH0573870U (ja) * 1991-02-26 1993-10-08 マー,シークァン 積載式可換性電気回路ユニット
JPH08126129A (ja) * 1994-10-20 1996-05-17 Fuji Electric Co Ltd 配電盤構造
KR200207329Y1 (ko) 2000-07-20 2000-12-15 동해기전산업주식회사 서버 랙
KR20060090771A (ko) * 2002-05-31 2006-08-16 베라리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컴퓨터 구성품을 장착하기 위한 랙 시스템 및 랙 장착형구성품의 냉각 방법
KR100960098B1 (ko) 2009-02-13 2010-05-31 (주)넷메이커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
KR101188879B1 (ko) 2010-12-24 2012-10-17 주식회사 두비컴퓨팅 랙 마운트 서버 시스템의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995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1510B2 (en) Modular distributing panel including a transformer
US9332678B2 (en) Cold air containment system in a data centre
US9077160B2 (en) Enclosure for electrical distribution equipment and electrical distribution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WO2015131077A3 (en) Electromechanical drive system
US10404017B2 (en) Plug load receptacle
MX2018014437A (es) Fuente de alimentacion y control redundantes para apliques de luz.
US9490085B1 (en) 3-motion interlock for aligned switches
US20120292267A1 (en) Mounting rail with internal power cable
US9362723B2 (en) Electrical system, and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racking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therefor
KR101581660B1 (ko)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KR102037142B1 (ko) 배터리 랙 시스템
US9622367B2 (en) Subsea connections
US20160219742A1 (en) A building management rack system
KR10144488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처짐방지장치
JP2018041654A (ja) 端子台可働装置および配電盤
KR101597195B1 (ko) 벽면 매입방식 콤팩트 분전반
JP2015011721A (ja) 自動販売機アセンブリ
WO2017200963A3 (en) Cable arrangement of an energy storage system
US20190215981A1 (en) Flexible stacked up chassis
CN103098326B (zh) 用于电气柜中的抽屉单元的锁定机构
US9929546B2 (en) Electrical system and support assembly therefor
EP3326244B1 (en) Universal top and bottom cable entry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CN104833073A (zh) 空调机组
KR101566937B1 (ko)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EP3533118A1 (de) Beheiztes elektrisches verteiler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