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098B1 -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 - Google Patents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098B1
KR100960098B1 KR1020090011944A KR20090011944A KR100960098B1 KR 100960098 B1 KR100960098 B1 KR 100960098B1 KR 1020090011944 A KR1020090011944 A KR 1020090011944A KR 20090011944 A KR20090011944 A KR 20090011944A KR 100960098 B1 KR100960098 B1 KR 100960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ard disk
server computer
disk driv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주)넷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넷메이커 filed Critical (주)넷메이커
Priority to KR1020090011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핫스왑 방식으로 착탈시 좌우 양측에 균등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여 편심하중에 의한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의 접촉 불량으로 인해 야기되는 오작동 문제와 손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를 감싸 수용하는 제1케이싱, 서버 컴퓨터 본체에 고정되고, 제1케이싱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선단부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각각 한 쌍의 걸이홈이 형성된 제2케이싱, 제1케이싱의 선단부에 결합되고, 제1케이싱이 상기 제2케이싱에 삽입될 때 걸이홈에 걸쳐져 구속될 수 있도록 선단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림돌기를 갖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 서버, 핫스왑

Description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HARD DISK DRIVE HOT SWAP RACK FOR SERVER COMPUTER AND SERVER COMPUT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핫스왑 방식으로 착탈시 좌우 양측에 균등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여 편심하중에 의한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의 접촉 불량으로 인해 야기되는 오작동 문제와 손상 문제를 해소하는데 적당한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형 서버 컴퓨터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Hot Swap) 랙(Rack)을이 구비된다.
핫스왑 랙이 설치된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이 구동하고 있을 때에도 전원을 끄거나 컴퓨터 본체를 개방하지 않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교체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이에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핫스왑 랙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핫스왑 랙의 구조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감싸 수용하는 제1케이싱(10), 상기 제1케이싱(10)이 삽입되어 도킹되는 수용공간(30a)을 갖는 제2케이싱(30), 상기 제2케이싱(30)에 대한 제1케이싱(10)의 개폐를 담당하는 개폐 레버(20)로 이루어졌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케이싱(10) 내부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한 후, 제2케이싱(30)의 수용공간(30a)으로 그대로 밀어 넣어 삽입한 다음 상기 개폐 레버(20)를 밀어 후측으로 회전시키면 서버 컴퓨터 본체에 대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버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후, 상기 서버 컴퓨터 본체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버를 탈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개폐 레버(20)를 당겨 잠금을 해제한 후 상기 제1케이싱(10)을 제2케이싱(30)으로부터 빼내주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종래의 핫스왑 랙 구조는 상기 개폐 레버(20)가 지렛대 원리에 의해 회전축(20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적인 특성을 갖는 관계로 편심하중의 발생이 불가피하였다. 이로 인해, 전력 및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해 연결되는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간의 접촉 불량이 야기되면서 시스템 오작동 문제가 수시로 발생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상기 커넥터간 부정합 접속에 의해 결국 손상되는 치명적인 결과로 까지 이르곤 하였다.
특히, 최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S-ATA 타입이나 SA-SCSI 타입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경우 종전 E-IDE 타입이나 SCSI 타입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는 달리 전력 및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커넥터가 한편으로 치우쳐 설치되고 있고, 이 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제2케이싱의 커넥터 역시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관계로 전통적인 지렛대 원리에 의한 개폐 레버(20)를 사용할 때 전술된 편심하중에 의한 문제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핫스왑 방식으로 착탈시 좌우 양측에 균등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한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은, 하드디스크를 감싸 수용하는 제1케이싱과; 상기 서버 컴퓨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케이싱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선단부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각각 한 쌍의 걸이홈이 형성된 제2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의 선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케이싱이 상기 제2케이싱에 삽입될 때 상기 걸이홈에 걸쳐져 구속될 수 있도록 선단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림돌기를 갖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케이싱의 선단부에 결합되고,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통공을 구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출하면 상기 돌기 통공을 통해 선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진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걸림돌기의 노출 부위에는 손가락을 걸어 진퇴시킬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면에는 중공의 관 형태로 가이드관이 더 설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후단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외측에 끼워지고, 진퇴시 상기 가이드관의 중공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봉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좌우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고, 진출시 상기 걸림돌기의 후퇴동작을 억제하는 홀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전면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시 점멸되는 LE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싱의 수용공간 측벽과 바닥에는 상기 제1케이싱의 삽입시 상기 제1케이싱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돕는 다수의 롤러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롤러유닛은, 바닥과 양측벽을 가지며, 상기 양측벽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된 롤러 프레임과; 상기 롤러 프레임의 양측 안내홈으로 삽입되는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를 연결하는 가로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대 상에는 롤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홈이 형성되는 수지 재질의 샤프트 서포터와; 상기 샤프트 서포터의 샤프트 지지홈에 안착되는 롤러 샤프트와; 상기 롤러 샤프트와 축결합되고, 외주면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서버 컴퓨터는 전술된 핫스왑 랙을 구비한 서버 컴퓨터인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핫스왑 방식으로 장착할 때 좌우 양측에 균등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여 편심하중에 의한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간의 접촉 불량으로 인해 야기되는 오작동 문제가 전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의 착탈시 커넥터간에 좌우 균등한 하중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편심하중으로 인한 손상이 전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의 착탈시 롤러들에 의해 매우 부드러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므로 소음 발생이 없고 커넥터간 더욱 정밀한 접속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유닛이 서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샤프트 서포트와 샤프트 지지홈을 구비한 구성에 의해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케이싱과 접촉하는 롤러의 외주면이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소음을 극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케이싱으로부터 롤러유닛을 착탈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롤러유닛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딩부재에 의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된 제1케이싱이 제2케이싱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낮은 가능성마저도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 여부를 알려주는 LED를 구비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수용되었는지 여부와 동작 여부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핫스왑 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핫스왑 랙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감싸 수용하는 제1케이싱(110), 상기 제1케이싱(110)이 삽입되는 제2케이싱(220), 상기 제1케이싱(110)과 제2케이싱(220)이 서로 도킹된 후 그 결합된 상태를 잠그거나 풀어주는 잠금수단(A: 도면부호 120에서 140번대) 및 상기 제1케이싱(110)이 제2케이싱(220)에 삽입될 때 마찰은 줄여주고 부드럽게 슬라이딩시켜주는 롤러유닛(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잠금수단(A)이 전통적인 지렛대 방식을 탈피하여 좌우 양편에서 균등한 하중을 가하는 방식에 의해 구성되었기 때문에 종래 지렛대 방식과는 달리 편심하중으로 인한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간 접촉 불량이 전혀 없고 항상 정확하게 접속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잠금수단(A)을 중심으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잠금수단(A)은 상기 제1케이싱(110)에 대하여 제2케이싱(220)이 도킹된 후 그 결합된 상태를 잠그고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20), 걸림돌기(130), 스프링(137), 가이드관(138), 홀딩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제1케이싱(110)의 선단부 입구에 착탈되고,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걸림돌기(130)의 선단부(133)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한 쌍의 제1통공(12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전면에는 좌우 양편으로 상기 걸림돌기(130)의 몸체부(131)가 외부 노출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2통공(1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20) 전면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시 점멸되는 LED(1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LED(150)는 제1케이싱(110)과 제2케이싱(220)간 전력 커넥터의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면 일단 점등되고, 이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작동되면 깜빡이면서 작동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LED(150)가 전원을 받아 점멸되기 위해서는 제1케이싱(110)에 구비된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와 상기 LED(150)를 전선으로 연결해주기만 하면 된다. 이처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여부를 알려주는 LED(150)가 구비되면 전력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간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핫스왑 랙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어 있는지 비어 있는지 여부도 바로 파악할 수 있다. 이같은 기능은 서버 컴퓨터 본체를 많게는 20개 넘게 적재한 경우에도 특정 서버 컴퓨터 본체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실제 장착되었는지 여부와,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걸림돌기(130)는 상기 제1케이싱(110)이 제2케이싱(220)에 삽입될 때 진퇴동작에 의해 상기 제2케이싱(220)의 걸이홈(233)에 걸쳐져 구속되는 역할을 한 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돌기(130)는 지지프레임(12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걸림돌기(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부(131)와 상기 제1통공(121)을 통해 돌출되는 선단부(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130)의 몸체부(131) 전면 일부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전면에 형성된 제2통공(1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그 노출부위가 되는 몸체부(131) 전면에는 사용자가 엄지와 검지 혹은 엄지와 중지를 걸어 지지하는 요홈(135)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135)은 사용자가 걸림돌기(130)를 스프링(137)의 탄성력에 반하여 후퇴시키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30)의 선단부(133)는 각각 전면과 후면이 평편면(133a)과 경사면(133b)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걸림돌기(130)의 선단부(133) 전면이 평편면(133a)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제2케이싱(220)의 걸림홈(233)에 삽입되어 걸쳐지면서 상기 제1케이싱(110)이 제2케이싱(220)에 삽입되어 도킹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30)의 선단부(133) 후면이 곡선진 경사면(133b)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제1케이싱(110)을 제2케이싱(220)의 수용공간(220a)으로 밀어 넣어 삽입할 때 걸림돌기(130)가 제2케이싱(220)의 입구 주변 단턱에 접촉하여 자연스럽게 후퇴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130)의 몸체부(131)후단에는 가이드봉(136)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봉(136)은 스프링(137)을 끼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에 더해 상기 가이드관(138)의 중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돌기(130)의 진퇴동작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상기 스프링(137)은 상기 걸림돌기(130)의 가이드봉(136) 외측에 끼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130)가 진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걸림돌기(130)가 후퇴할 때 걸림돌기(130)의 가이드봉(136)은 가이드관(138)의 중공을 따라 역시 후퇴하지만 상기 스프링(137)은 가이드관(138)의 입구 단턱에 걸려 압축되면서 걸림돌기(13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보내려는 경향을 더욱 강하게 갖는다.
상기 홀딩부재(14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23)을 통하여 그 내부와 외부에 위치하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진출시 지지프레임(120) 내부에서 걸림돌기(130) 쪽으로 형성된 내부 연장부(141)가 걸림돌기(130)의 몸체부(131)를 접촉하여 후퇴하지 못하도록 억제해준다. 이처럼 상기 홀딩부재(140)가 구비되면 걸림돌기(130)가 불필요하게 후퇴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제1케이싱(110)과 제2케이싱(220)간의 낮은 이탈 가능성마저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전술된 잠금수단(A) 외에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케이싱(110)은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그 내부에 감싸 수용한다. 상기 제1케이싱(110)의 후단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전력 입력단자와 데이터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됨)가 구비된다. 상기 제1케이싱(110)의 커넥터는 제2케이싱(220)의 내부 후측벽에 구비된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240)에 대응하여 도킹 가능한 것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케이싱(220)은 서버 컴퓨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케이싱(110) 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220a)을 구비한다. 그리고 선단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각각 상기 걸림돌기(130)가 삽입되어 구속되는 한 쌍의 걸이홈(2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싱(220)의 내부 후측벽에는 상기 제1케이싱(110)의 커넥터(미도시됨)와 대응하여 도킹되는 커넥터(2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케이싱(220)의 커넥터(240)는 S-ATA 타입 및 SA-SCSI 타입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맞게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롤러유닛(230)은 제2케이싱(220)의 내부 좌측벽과 우측벽 및 바닥에 다수 설치되어 제1케이싱(110)이 제2케이싱(220)의 수용공간(220a)으로 삽입될 때 마찰되지 않고 보다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도록 도와준다. 여기서 상기 제2케이싱(220)의 내부 양측벽과 바닥에는 롤러유닛(230)을 간단히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개구된 설치공(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롤러유닛(230)이 상기 제2케이(220)에 착탈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230)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230)은 롤러 프레임(232), 샤프트 서포터(233), 롤러 샤프트(231a), 복수의 롤러(231)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 프레임(232)은 바닥면과 양측벽면을 가지며, 상기 양측벽면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232a)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서포터(233)는 롤러 프레임(232)의 양측 안내홈(232a)으로 삽입되는 세로대(233-1)와, 상기 세로대(233-1)를 연결하는 가로대(233-2)로 이루어진 사각의 틀체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세로대(233-1) 상에는 롤러 샤프트(231a)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홈(233a)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서포터(233)는 상기 샤프트 지지홈(233a)에 끼워질 때 마찰 발생이 심하지 않도록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적당하다. 상기 롤러 샤프트(231a)는 샤프트 서포터(233)에 형성된 샤프트 지지홈(233a)에 안착된다. 이처럼 상기 샤프트 서포터(233) 및 샤프트 지지홈(233a)이 구비되면 복잡한 공정 없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롤러유닛(230) 전체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231)는 롤러 샤프트(231a)와 축결합되며, 외주면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롤러(231)의 외주면이 일정 두께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면 제1케이싱(110)과 접촉하여 구를 때 소음 발생이 없고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도록 도와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에 의한 삽입동작을 도 7a 내지 7c와 함께 앞서 언급된 도면들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핫 스왑 랙의 삽입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먼저, 도 7a와 같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제1케이싱(110) 내부에 삽입한 후 지지프레임(120)을 체결하여 상기 제1케이싱(110)의 선단부 입구를 막아준다.
이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수용된 상기 제1케이싱(110)을 제2케이싱(220)의 수용공간(220a)으로 밀어 넣어준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좌우 양편에 설치된 걸림돌기(13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137) 탄성에 의해 전진한 상태에 있으며, 걸림돌기(130)의 선단부(133)는 지지프레임(120)의 제1통공(121)을 통해 좌우 양측편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도 7b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지지프레임(120)의 제2통공(122)을 통해 노출된 걸림돌기(130)의 요홈(135)에 엄지와 검지 혹은 엄지와 중지를 걸어 스프링(137) 탄성에 반하는 중앙 쪽으로 걸림돌기(130)를 당겨주면 걸림돌기(130)의 선단부(133)는 제1통공(121)을 통해 내부로 후퇴한다. 이처럼 걸림돌기(130)의 선단부(133)가 지지프레임(120) 내부로 후퇴시켜주면 제1케이싱(110)을 제2케이싱(220)에 충격 없이 보다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꼭 상기 걸림돌기(130)의 선단부(133)를 지지프레임(120) 내부로 넣어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상기 걸림돌기(130)의 선단부(133)의 경우 후측면이 경사면(133b)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케이싱(220)의 수용공간(220a) 입구 단턱에 걸리면서 자연스럽게 후퇴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케이싱(110)이 상기 제2케이싱(220)의 수용공간(220a)으로 삽입될 때에는 제2케이싱(220)의 좌측벽 및 우측벽과 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롤러(231)가 제1케이싱(110)과 접촉하여 삽입을 안내해주기 때문에 마찰이나 소음 없는 부드러운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이후, 도 7c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케이싱(110)이 상기 제2케이싱(220)의 수용공간(220a)에 완전히 삽입되면 걸림돌기(130)가 제2케이싱(220)의 선단부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걸이홈(233)으로 다시 진출하여 걸리면서 상기 제1케이싱(110)이 상기 제2케이싱(2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해준다.
이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전력 및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케이싱(110)의 커넥터(미도시됨)와 제2케이싱(220)의 커넥터(240)간에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후, 홀딩부재(140)를 걸림돌기(130)가 설치된 방향으로(도면에서는 우측으로) 전진시켜 주면 상기 걸림돌기(130)가 후퇴하지 않도록 억제된다. 이처럼 걸림돌기(130)가 후퇴하지 않게 억제되면 상기 제2케이싱(220)에 대한 걸림돌기(130)의 구속이 해제되지 않으므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수용된 제1케이싱(110)이 제2케이싱(2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제2케이싱(220)으로부터 제1케이싱(210)을 분리시키는 동작은 전술된 방식의 반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핫스왑 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핫스왑 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투시도.
도 4는 도 3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핫 스왑 랙의 삽입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케이싱 120 : 지지프레임
130 : 걸림돌기 140 : 홀딩부재
220 : 제2케이싱 230 : 롤러유닛

Claims (8)

  1.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에 있어서,
    하드디스크를 감싸 수용하는 제1케이싱과;
    상기 서버 컴퓨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케이싱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선단부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각각 한 쌍의 걸이홈이 형성된 제2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의 선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케이싱이 상기 제2케이싱에 삽입될 때 상기 걸이홈에 걸쳐져 구속될 수 있도록 선단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림돌기를 갖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케이싱의 선단부에 결합되고,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통공을 구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출하면 상기 돌기 통공을 통해 선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진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면에 중공의 관 형태로 설치된 가이드관과; 상기 걸림돌기의 후단부에서 상기 스프링이 외측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진퇴시 상기 가이드관의 중공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싱의 수용공간 측벽과 바닥에는 상기 제1케이싱의 삽입시 상기 제1케이싱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돕는 다수의 롤러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롤러유닛은, 바닥과 양측벽을 가지며, 상기 양측벽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된 롤러 프레임과; 상기 롤러 프레임의 양측 안내홈으로 삽입되는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를 연결하는 가로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대 상에는 롤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홈이 형성되는 수지 재질의 샤프트 서포터와; 상기 샤프트 서포터의 샤프트 지지홈에 안착되는 롤러 샤프트와; 상기 롤러 샤프트와 축결합되고, 외주면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케이싱의 측벽과 바닥에는 상기 롤러유닛이 끼워 설치되도록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걸림돌기의 노출 부위에는 손가락을 걸어 진퇴시킬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좌우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고, 진출시 상기 걸림돌기의 후퇴동작을 억제하는 홀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전면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시 점멸되는 LE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7. 삭제
  8.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컴퓨터.
KR1020090011944A 2009-02-13 2009-02-13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 KR100960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944A KR100960098B1 (ko) 2009-02-13 2009-02-13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944A KR100960098B1 (ko) 2009-02-13 2009-02-13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098B1 true KR100960098B1 (ko) 2010-05-31

Family

ID=4228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944A KR100960098B1 (ko) 2009-02-13 2009-02-13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0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60B1 (ko) 2014-08-18 2016-01-04 신현철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WO2016024840A1 (ko) * 2014-08-14 2016-02-18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인출형 카드 트레이 위치 고정구조
KR102567071B1 (ko) 2023-01-20 2023-08-14 주식회사 아몽컴퍼니 부품 설치가 용이한 랙마운트용 컴퓨터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323A (ja) * 2000-07-19 2002-01-29 Fujitsu General Ltd 車載用電子装置
US20050270737A1 (en) * 2004-06-07 2005-12-08 Sun Microsystems, Inc. Drive carrier
KR100708463B1 (ko) * 2006-04-28 2007-04-18 잘만테크 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브라켓
US20070264860A1 (en) * 2005-01-27 2007-11-15 Fujitsu Limite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323A (ja) * 2000-07-19 2002-01-29 Fujitsu General Ltd 車載用電子装置
US20050270737A1 (en) * 2004-06-07 2005-12-08 Sun Microsystems, Inc. Drive carrier
US20070264860A1 (en) * 2005-01-27 2007-11-15 Fujitsu Limited Electronic device
KR100708463B1 (ko) * 2006-04-28 2007-04-18 잘만테크 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브라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840A1 (ko) * 2014-08-14 2016-02-18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인출형 카드 트레이 위치 고정구조
KR20160020923A (ko) * 2014-08-14 2016-02-24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인출형 카드 트레이 위치 고정장치
KR101603141B1 (ko) 2014-08-14 2016-03-14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인출형 카드 트레이 위치 고정장치
KR101581660B1 (ko) 2014-08-18 2016-01-04 신현철 다단결합형 랙 마운트
KR102567071B1 (ko) 2023-01-20 2023-08-14 주식회사 아몽컴퍼니 부품 설치가 용이한 랙마운트용 컴퓨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572A (en) Hard disk drive drawer
US7361032B2 (en) Mechanical spring component for use in memory device
KR100960098B1 (ko) 서버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핫스왑 랙 및 이를 구비한 서버 컴퓨터
JP2014099007A (ja) 着脱機構、装着装置、電子機器
JP2009222932A (ja) コネクタ
US9601868B2 (en) Module latch actuator
US7628626B1 (en) Easy-to-remove plug
KR101586252B1 (ko)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WO2014209143A1 (en) Electrical plug
CN112911882B (zh) 电子装置机壳
JP5721536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CN106640869B (zh) 锁紧装置
CN108628413B (zh) 机箱、硬盘驱动器及系统
CN207896159U (zh) 一种电池的卡锁结构
EP3144935B1 (en) Equipment securing device, attachment-frame-internal storage equipment, rack-mounted server device, and equipment securing method
US8029306B2 (en) Plug module
JP2004233403A (ja) コネクタ及びそのコネクタ着脱工具
KR200446630Y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트레이
CN108529353B (zh) 一种卷线装置及具有该卷线装置的电子设备
CN103178429A (zh) 插拔装置
KR100954442B1 (ko) 데이터 저장장치의 케이스
CN106067058B (zh) 一种可伸缩的闪存盘
KR102445096B1 (ko) 컴퓨터의 성능 업그레이드를 위한 디스크 착탈 장치
CN208111822U (zh) 插头锁紧组件及超声设备
CN114665322B (zh) 一种插头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