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816A - 마스크 파우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816A
KR20220042816A KR1020200126093A KR20200126093A KR20220042816A KR 20220042816 A KR20220042816 A KR 20220042816A KR 1020200126093 A KR1020200126093 A KR 1020200126093A KR 20200126093 A KR20200126093 A KR 20200126093A KR 20220042816 A KR20220042816 A KR 20220042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ouch
fixing
pouch body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진
이가영
Original Assignee
최유진
이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진, 이가영 filed Critical 최유진
Priority to KR102020012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2816A/ko
Publication of KR2022004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스크 파우치는, 마스크의 겉면을 만지지 않으면서 안면에 착용된 마스크를 파우치에 보관하거나 또는 마스크에 보관된 파우치를 안면에 착용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마스크 보관함으로써 마스크 착용 및 보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한 파우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는, 펼쳐진 마스크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며, 테두리를 따라 지퍼가 구비되어 절반으로 접혀지고 지퍼가 체결되면서 마스크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파우치 바디; 파우치 바디의 내측 일단과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마스크의 귀걸이가 끼움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 및 파우치 바디의 내측 소정의 위치에 탈부착 되도록 구비되는 항균탈취제;를 포함하되, 고정부는, 일단 중앙에 통공이 구비된 얇고 긴 판상의 고정핀; 및 촉이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파우치 바디에 꽂히고 머리가 고정핀의 일단 상면에 지지되면서 고정핀을 파우치 바디에 고정시키는 고정압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정핀이 고정압정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반경 회전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파우치{Mask Pouch}
본 발명은 마스크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스크의 겉면을 만지지 않으면서 안면에 착용된 마스크를 파우치에 보관하거나 또는 마스크에 보관된 파우치를 안면에 착용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이서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마스크 보관함으로써 마스크 착용 및 보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마스크 파우치는, 테두리를 따라 지퍼가 구비되어 절반으로 접혀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파우치에 있어 반지갑형과 장지갑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파우치 내측 양단에 마스크의 귀걸이를 끼움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가 구비되어 마스크를 파우치 내에 고정할 수 있으며, 파우치 내측 소정 위치에는 탈부착 방식의 항균탈취제가 부착되어 있어 파우치 내에 보관되는 마스크에 대한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안면에 착용 중인 마스크를 보관할 시에는 파우치를 개방한 후 내측면을 안면에 근접시킨 뒤 마스크의 귀걸이를 빼고 양단 고정부에 순서대로 끼움 고정시킨 후 파우치를 접어서 지퍼를 닫아 마스크를 보관하고,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할 시에는 파우치를 개방하고 펼친 후 안면에 근접시킨 뒤 복수의 고정부를 순서대로 풀고 마스크 귀걸이를 당겨 귀에 걸어주면서 착용할 수 있어서, 마스크의 겉면을 만지지 않고 간편하게 보관과 착용이 가능하여 위생적이고 마스크 필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항균 탈취로 마스크의 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이 증대되고, 환경오염의 심화로 인해 미세먼지, 황사, 매연 등에 의한 호흡기 질환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이 중요해지고 일상화 되고 있으며, 마스크는 단순히 코와 입을 가리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는 건강에 대한 위험에서 직접적으로 인체를 보호하는 최전방 방패의 구실을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고, 마스크의 착용은 나 자신의 건강 보호는 물론 가족, 친지, 이웃의 건강도 지킬 수 있는 필수 에티켓이 되어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이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에서 마스크의 착용은 감염 예방을 위한 매우 중요한 생활 수칙이자 의무로서 시행되고 있으며 마주하며 대화를 나누는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면 감염 위험을 85%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연구 보고된 상황이므로 마스크의 착용은 생명을 위협하는 건강에 대한 위험에서 직접적으로 인체를 보호하는 방패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출시되는 마스크의 경우는 일회용 사용으로 한 번 사용 후 버린 후 새로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반 환경적이고 비경제적이며, 따라서 불편함과 비용 문제로 인하여 일상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마스크 착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어, 이에 반복 사용이 가능한 마스크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음식점이나 카페에서 음식을 먹을 때, 마스크를 벗어서 보관해야 할 곳이 필요한 데,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 마스크 보관함 또는 마스크 포장지, 봉투가 개발되었으나, 기존의 마스크 보관함 또는 포장지에 마스크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겉면을 손으로 만져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또한 마스크의 형태 보존 없이 임의로 접는 경우가 많아 마스크 필터가 훼손될 수 있어 마스크의 필터링 기능이 저하되면서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사용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기존의 마스크 보관함은 살균 기능의 부가를 위해 전기, 기계 장치가 수반되어 형태가 고정되며 무겁고 가격이 증가되고 보관함의 고장 시 새로 구입하는 데 부담이 높아 대중성 있는 보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마스크가 필터의 훼손 없이 원형이 유지되면서 보관될 수 있되 안면에 착용하거나 벗을 때 마스크의 안면부에 손을 대지 않고 착용 및 탈거가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마스크에 항균 및 탈취 효능을 부가할 수 있으면서 가볍고 저렴하고 휴대성이 증대되는 기능성 마스크 파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9108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마스크의 겉면을 만지지 않으면서 안면에 착용된 마스크를 파우치에 보관하거나 또는 파우치에 보관된 마스크에 착용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마스크 보관함으로써 마스크 착용 및 보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한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마스크 파우치는, 테두리를 따라 지퍼가 구비되어 절반으로 접혀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파우치에 있어 반지갑형과 장지갑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파우치 내측 양단에 마스크의 귀걸이를 끼움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가 구비되어 마스크를 파우치 내에 고정할 수 있으며, 파우치 내측 소정 위치에는 탈부착 방식의 항균탈취제가 부착되어 있어 파우치 내에 보관되는 마스크에 대한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안면에 착용 중인 마스크를 보관할 시에는 파우치를 개방한 후 내측면을 안면에 근접시킨 뒤 마스크의 귀걸이를 빼고 양단 고정부에 순서대로 끼움 고정시킨 후 파우치를 접어서 지퍼를 닫아 마스크를 보관하고,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할 시에는 파우치를 개방하고 펼친 후 안면에 근접시킨 뒤 복수의 고정부를 순서대로 풀고 마스크 귀걸이를 당겨 귀에 걸어주면서 착용할 수 있어서, 마스크의 겉면을 만지지 않고 간편하게 보관과 착용이 가능하여 위생적이고 마스크 필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항균 탈취로 마스크의 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는, 펼쳐진 마스크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며, 테두리를 따라 지퍼가 구비되어 절반으로 접혀지고 지퍼가 체결되면서 마스크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파우치 바디; 파우치 바디의 내측 일단과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마스크의 귀걸이가 끼움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 및 파우치 바디의 내측 소정의 위치에 탈부착 되도록 구비되는 항균탈취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우치 바디의 내측 중심부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접힘부; 및 접힘부를 기준으로 파우치 바디를 일측과 타측으로 분할하며 각각 형성되는 좌측반부와 우측반부;를 더 포함하되, 고정부는 좌측반부와 우측반부의 선단에 인접하며 각각 형성되고 마스크는 좌측반부와 우측반부에 걸쳐 고정되며, 접힘부가 접혀지면서 지퍼가 좌측반부 및 우측반부 각각의 테두리를 상호 체결시키면 좌측반부와 우측반부가 접하면서 파우치 바디가 반지갑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우치 바디의 내측 중심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접힘부; 및 접힘부를 기준으로 파우치 바디를 일측과 타측으로 분할하며 각각 형성되는 상측반부와 하측반부;를 더 포함하되, 고정부는 상측반부의 횡방향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형성되고 마스크는 상측반부의 횡방향에 걸쳐 고정되며, 접힘부가 접혀지면서 지퍼가 상측반부 및 하측반부 각각의 테두리를 상호 체결시키면 상측반부와 하측반부가 접하면서 파우치 바디가 장지갑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는, 일단 중앙에 통공이 구비된 얇고 긴 판상의 고정핀; 및 촉이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파우치 바디에 꽂히고 머리가 고정핀의 일단 상면에 지지되면서 고정핀을 파우치 바디에 고정시키는 고정압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정핀이 고정압정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반경 회전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는, 중심부에 촉이 돌출 형성된 고정단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촉이 파우치 바디에 꽂히면서 고정단추가 파우치 바디에 부착 고정되며 탈부착 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파우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음식점, 카페 등에서 불가피하게 마스크를 벗어야 할 때 방수 및 항균 기능의 파우치에 마스크를 보관함으로써 마스크에 외부 물질의 접촉이 차단되고 마스크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며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둘째, 마스크를 쓰고 벗을 때 마스크의 안면부에 손을 대지 않은 채 마스크 파우치에 마스크를 수용하거나 마스크 파우치로부터 마스크를 꺼내어 착용할 수 있어서, 마스크의 겉면에 손이 닿지 않아 위생적이고 필터의 훼손 및 오염이 방지되며 마스크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마스크 파우치는 방수기능의 재질로 구성되어 마스크가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마스크 파우치 내측에 항균탈취제가 탈부착 방식으로 부착되어 마스크 보관 시 항균 및 탈취 효능이 적용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향기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마스크의 향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에 함유되는 체취를 제거할 수 있어 사용 중 불쾌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섯째, 마스크 파우치는 장지갑형과 반지갑형으로 구분 제작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의 반지갑형으로써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의 (c)는 펼쳐진 상태에서 마스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의 장지갑형으로써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의 (c)는 펼쳐진 상태에서 마스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의 항균탈취제를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벗고 파우치에 보관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의 외형 및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의 반지갑형으로써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의 (c)는 펼쳐진 상태에서 마스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의 장지갑형으로써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의 (c)는 펼쳐진 상태에서 마스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의 항균탈취제를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벗고 파우치에 보관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의 외형 및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10)는 반지갑형 및 장지갑형 등 두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파우치 바디(100), 고정부(200), 항균탈취제(300), 지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우치 바디(100)는 마스크 파우치(10)를 이루는 몸체로서 테두리를 따라 지퍼(400)가 구비되고 절반으로 접혀진 후 지퍼(400)가 체결되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파우치 바디(100)는 상기 내부공간에 마스크를 보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마스크를 일단의 귀걸이에서부터 타단의 귀걸이까지 펼쳐진 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 일단과 타단에는 마스크의 양단 귀걸이가 끼움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고정부(20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핀(210) 및 고정압정(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핀(210)은 얇고 긴 판상으로서 일단 중앙에는 통공이 구비되고 타단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압정(220)은 얇고 넓은 머리와 중심부에서 돌출 형성된 촉이 구비되어 일반적인 압정과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고정부(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고정압정(220)의 촉이 고정핀(210)의 일단 통공을 관통하여 파우치 바디(100)에 꽂히고 고정핀(210)의 일단 통공보다 직경이 큰 고정압정(220)의 머리가 고정핀(210)의 일단에 지지되면서 고정핀(210)을 파우치 바디(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핀(210)은 고정압정(220)에 의해 파우치 바디(100)에 고정된 채 고정압정(220)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반경 회전될 수 있다.
마스크를 벗어 파우치 바디(100)에 장착을 할 때는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에 횡방향을 따라 마스크가 펼쳐진 형태로 안착이 될 수 있는데, 이때 마스크의 귀걸이가 파우치 바디(100)에 안착되는 데 있어 걸림 방해가 되지 않도록 고정핀(210)은 횡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어 비켜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를 가로로 펼치면서 일단과 타단에 귀걸이가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에 고정핀(210)을 상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핀(210)과 파우치 바디(100) 사이에 귀걸이가 끼워지도록 하면, 마스크의 일단 및 타단 귀걸이가 모두 고정됨으로써 마스크 전체가 파우치 바디(100) 내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20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단추(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단추(230)는 얇은 판상으로서 중심부에 촉이 돌출 형성된 형상일 수 있으며, 촉이 파우치 바디(100)에 꽂히면서 고정단추(230)가 파우치 바디(100)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단추(230)가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 횡방향으로 일단과 타단에 부착이 되면, 마스크를 벗어 파우치 바디(100)에 안착을 시킬 때 일단의 귀걸이 및 타단의 귀걸이는 고정단추(230)와 파우치 바디(100)의 사이에 틈새에 끼워지면서 고정이 될 수 있다.
고정단추(230)가 촉이 돌출 형성된 형상인 경우 고정단추(230)의 위치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여 이동 부착시킬 수 있어서, 마스크의 전체 펼쳐진 길이, 귀걸이의 길이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고정단추(230)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단추(230)는 촉의 주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촉이 파우치 바디(100)에 꽂혀 고정단추(230)가 고정된 후 상기 통공을 통해 실이 관통하면서 바느질 되어 단추를 의류에 달 듯 고정단추(230)를 파우치 바디(100)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단추(230)의 위치 변경 없이 고정적인 위치에 부착 상태를 유지하되 더욱 견고한 부착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마스크가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면에 펼쳐진 채로 장착이 되고 고정부(200)를 이용하여 마스크의 귀걸이가 끼움 고정이 되면 마스크 전체가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파우치 바디(100)를 반으로 접어서 마스크를 파우치 바디(100) 내부공간에 수용시키고 테두리를 지퍼(400)로 체결시키면 마스크의 보관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면에는 접힘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접힘부(110)를 기준으로 파우치 바디(100)를 반으로 접을 수 있는 데 파우치 바디(100)의 형상 및 접힘부(110)의 방향에 따라 본 발명의 마스크 파우치(10)는 반지갑형과 장지갑형으로 각각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반지갑형의 경우, 접힘부(110)는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 중심부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형성될 수 있고, 접힘부(110)를 기준으로 접히면서 마스크 파우치(10)의 양측이 서로 맞닿아 보관함의 형태를 갖출 수 있다.
이때 마스크 파우치(10)는 접힘부(110)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분할되며 각각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람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를 정면에서 목측하는 경우 마스크가 좌우로 펼쳐지는 것과 동일하게 횡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는 접혀진 상태에서는 정사각형에 가깝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파우치 바디(100)가 마스크의 형상에 맞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으로써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에 각각 고정부(200)가 구비되며, 마스크가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에 걸쳐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면 위에 파우치 바디(100)의 형상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이 된 후 고정부(200)에 의해 고정이 되면, 접힘부(110)는 마스크의 안면부 중앙을 상하로 가로지르는 위치에 대향되며 구비될 수 있다.
마스크가 파우치 바디(100) 내측면에 장착이 되고 나서 접힘부(110)를 따라서 접혀지면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의 내측면이 상호 접하게 됨에 따라 마스크는 자연스럽게 안면부가 접혀지게 되면서 반지갑형을 형성하는 마스크 파우치(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후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의 테두리에 형성된 지퍼(400)를 상호 체결을 시키면 마스크는 마스크 파우치(10) 내에 보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에 있어서 접힘부(110)는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 중심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형성될 수 있다.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도 반지갑형과 마찬가지로 접힘부(110)를 기준으로 파우치의 양측이 접히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마스크를 수용하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는 마스크가 사람의 안면에 착용되는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좌우로 펼쳐지면서 수용된다고 가정할 때, 접힘부(110)가 내측 중심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형성되므로 접힘부(110)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되어 상측반부(113)와 하측반부(114)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00)는 상측반부(113) 또는 하측반부(114) 중 한 곳에만 횡방향 양단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측반부(113)에 구비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마스크는 상기 상측반부(113) 또는 하측반부(114) 중 한 곳의 내측면에 안착될 수 있는데, 가령 상측반부(113)의 내측면에 마스크가 위치하고 고정부(200)에 의해 고정이 완료되면 하측반부(114)가 접힘부(110)를 따라 접히면서 상측반부(113)와 접하게 되어 마스크는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는 마스크가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 그대로 파우치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상측반부(113)와 하측반부(114)가 접한 이후에 테두리에 구비된 지퍼(400)를 체결하면 마스크의 보관이 완료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반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는 파우치 바디(1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접힘부(110)는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면 중앙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좌우가 접히는 형상이 될 수 있고, 파우치 바디(100) 내측면에 너비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안착된 마스크는 접힘부(110)를 기준으로 파우치 바디(100)의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가 상호 접하면서 지퍼(400)가 체결되면 마스크 또한 중심부가 종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접히는 형상으로 보관될 수 있고, 반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는 파우치 바디(1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접힘부(110)는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면 중앙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접힘부(110)를 기준으로 파우치 바디(100)를 상측반부(113)와 하측반부(114)로 분할하게 되며, 마스크는 상측반부(113) 또는 하측반부(114) 중 한 곳에 장착이 되는데 가령 상측반부(113)에 고정부(200)가 구비되어 장착이 된다면 접힘부(110)가 접혀지면서 하측반부(114)가 상측반부(113)에 접하게 되고 지퍼(400)가 체결되면 마스크의 보관이 이뤄지게 되는데 반지갑형 에서와 달리 마스크가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 그대로 보관될 수 있고,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반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는 파우치 바디(1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대략 가로 30㎝, 세로 15㎝, 반지갑형으로 접힌 상태에서는 대략 가로 및 세로 각각 15㎝ 수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는 파우치 바디(1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대략 가로 및 세로 각각 30㎝ 수준이고, 장지갑형으로 접힌 상태에서는 대략 가로 30㎝, 세로 15㎝ 수준이 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마스크 파우치(10)의 크기는 보관될 마스크의 크기,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마스크 파우치(10)의 크기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마스크 파우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 소정 위치에는 항균탈취제(300)가 탈부착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항균탈취제(300)는 파우치 바디(100)의 내측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되 마스크의 안착과 고정부(200)의 기능에 저해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고정부(200)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마스크 및 접힘부(110)와 닿지 않는 빈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항균탈취제(300)는 항균 및 탈취 기능이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액상의 항균, 탈취 성분이 내장된 소형 팩과 상기 팩을 감싸는 하드 재질의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전면부에는 통공이 구비되어 항균, 탈취 팩이 노출되어 팩의 표면을 통해 마스크 파우치(10) 내의 세균과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케이스의 후면부에는 복수의 핀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핀을 꽂아서 케이스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항균탈취제(300)는 방향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누향, 장미향, 과일향 등 다양한 종류의 향기를 내포할 수 있어 사용자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항균탈취제(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가로 및 세로 각각 3㎝ 수준의 소형 항균, 탈취 부재일 수 있으며, 항균 및 탈취 성분 팩이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스를 파우치 바디(100)에 대고 누르면 핀이 파우치 바디(100)에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팩 부분을 누르면 케이스가 파우치 바디(1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분리될 수 있어, 다양한 향기와 효능의 소형 팩을 교체 장착할 수 있는 탈부착 방식이 될 수 있다.
항균탈취제(300)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세부 형상 및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파우치(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파우치(10)는 마스크를 벗을 때 필터가 있는 마스크의 안면부를 만지지 않고 마스크를 파우치 바디(100)에 수납시키고, 마스크를 착용 시에도 마스크의 안면부를 만지지 않고 파우치 바디(100)로부터 직접 안면에 착용할 수 있어서,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착용 및 탈거하고 보관할 수 있는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우선 반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에 있어서 마스크를 벗는 경우, 마스크 파우치(10)의 지퍼(400)를 풀고 파우치 바디(100)를 열어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를 횡방향으로 펼친다.
이때 고정부(200)가 고정핀(210) 및 고정압정(220)으로 구성된 경우라면 고정핀(210)을 하부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돌려놓아 마스크 귀걸이를 걸 수 있도록 준비하는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이제 펼쳐진 파우치 바디(100)가 안면에 착용된 마스크에 대향되도록 파우치 바디(100)를 안면에 근접시켜 위치시킨다.
그리고 한 손으로 파우치 바디(100)를 잡고 안면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일측 귀에 걸려있는 마스크의 일측 귀걸이를 풀어 파우치 바디(100)의 일측 고정부(200)에 위치시키고 고정핀(210)을 돌려 상부방향으로 향하게 하면서 마스크의 일측 귀걸이를 파우치 바디(100)에 고정시킨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마스크의 타측 귀걸이를 풀어 파우치 바디(100)의 타측 고정부(200)에 위치시킨 후 고정핀(210)을 돌려 파우치 바디(100)에 타측 귀걸이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가 되면 마스크 안면부의 정 가운데의 부분은 접힘부(110)와 일치하게 되며, 접힘부(110)를 기준으로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를 접어서 상호 접하게 하면 마스크의 안면부는 중심부 세로 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자연스럽게 접히게 된다.
이후 파우치 바디(100)의 테두리 지퍼(400)를 체결하여 마스크를 파우치 바디(100)에 보관할 수 있다.
이때 파우치 바디(100)의 길이보다 마스크의 펼친 길이가 작아서 마스크 귀걸이가 파우치 바디(10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다면 고정부(200)의 고정압정(220)을 빼고 고정핀(210)의 위치를 접힘부(110) 방향으로 마스크의 길이에 맞게 소정 길이 이동시킨 뒤 접힘부(110) 통공으로 고정압정(220)을 삽입하여 파우치 바디(100)에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부(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00)가 고정단추(230)로 구성되었다면 마스크의 귀걸이를 당겨 고정단추(230)에 걸리도록 하여 마스크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마스크가 작다면 고정단추(230)를 빼내어 위치를 조정한 후 고정단추(230) 후면부 촉을 원하는 위치에 꽂음으로써 고정부(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제 반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에 있어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마스크 파우치(10)의 지퍼(400)를 풀고 파우치 바디(100)를 열어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를 횡방향으로 펼치면 파우치 바디(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마스크 또한 고정부(200)에 고정된 상태로 함께 펼쳐지게 된다.
상기 펼쳐진 상태에서 파우치 바디(100)를 한 손으로 잡고 안면에 밀착시킨 뒤 일측 고정부(200)에서 마스크의 일측 귀걸이를 풀어 안면의 일측 귀에 걸고, 타측 고정부(200)에서 마스크의 타측 귀걸이를 풀어 안면의 타측 귀에 걸게 되면, 마스크의 안면부를 만지지 않고도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할 수 있어 마스크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후 비어 있는 파우치 바디(100)는 접힘부(110)에 맞춰 좌측반부(111)와 우측반부(112)를 접어 지퍼(400)를 체결한 후 반지갑형으로 형성한 뒤 추후 사용을 위해 별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에 있어서 마스크를 벗는 경우, 마스크 파우치(10)의 지퍼(400)를 풀고 파우치 바디(100)를 열어 상측반부(113)와 하측반부(114)를 종방향으로 펼친다.
이때 고정부(200)의 종류 및 각 종류별 조작방법은 전술한 반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의 방법과 동일하며, 다만 고정부(200)가 상측반부(113)에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제 파우치 바디(100)를 안면에 근접시켜 펼쳐진 파우치 바디(100) 중 상측반부(113)가 안면에 착용된 마스크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한 손으로 파우치 바디(100)를 잡고 안면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일측 귀에 걸려있는 마스크의 일측 귀걸이를 풀어 상측반부(113)의 일측 고정부(200)에 끼움 고정시키고, 마스크의 타측 귀걸이를 풀어 상측반부(113)의 타측 고정부(200)에 끼움 고정시킨다.
이 상태가 되면 마스크는 안면에 착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횡방향으로 펼쳐진 채 파우치 바디(100)의 상측반부(113)에 위치하게 되며, 접힘부(110)를 따라서 상측반부(113)와 하측반부(114)를 접어서 상호 접하게 하면 반지갑형과 달리 마스크의 접힘 없이 안착된 형태 그대로 파우치 바디(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이후 파우치 바디(100)의 테두리 지퍼(400)를 체결하면 마스크는 파우치 바디(100)에 보관될 수 있다.
이제 장지갑형 마스크 파우치(10)에 있어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마스크 파우치(10)의 지퍼(400)를 풀고 파우치 바디(100)를 열어 상측반부(113)와 하측반부(114)를 종방향으로 펼치면 파우치 바디(100)의 내부공간 상측반부(113)에 수용된 마스크 또한 고정부(200)에 고정된 상태로 함께 펼쳐지게 된다.
상기 펼쳐진 상태에서 파우치 바디(100)를 한 손으로 잡고 상측반부(113)를 안면에 밀착시킨 뒤 일측 고정부(200)에서 마스크의 일측 귀걸이를 풀어 안면의 일측 귀에 걸고, 타측 고정부(200)에서 마스크의 타측 귀걸이를 풀어 안면의 타측 귀에 걸게 되면, 마스크의 안면부를 만지지 않고도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할 수 있어 마스크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후 비어 있는 파우치 바디(100)는 접힘부(110)에 맞춰 상측반부(113)와 하측반부(114)를 접어 지퍼(400)를 체결한 후 장지갑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마스크 파우치(10)는 마스크를 쓰고 벗을 때 마스크의 안면부, 필터 부분에 손을 대지 않으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장시간 사용을 위해서는 쾌적하고 안전하게 보관이 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마스크 파우치(10)의 외측면은 유연성과 내구성이 동시에 충족될 수 있도록 가죽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마스크 파우치(10)의 내측면 및 외측면 모두 방수 처리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파우치(10) 내부에 보관되는 마스크 및 고정부(200), 항균탈취제(300)의 보호를 위해서 파우치 바디(100)는 지퍼(400) 형성 부분을 제외하고는 쿠션 소재의 재질이 내장되어 소정의 완충 효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파우치 바디(100)의 재질 자체가 항균, 항바이러스 특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되어 위생적인 마스크 보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 바디(100)의 외측면에는 마스크가 장착되는 길이방향, 즉 횡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탄력성 있는 밴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밴드에 손을 끼워 마스크 파우치(10)를 손에 고정시킨 뒤 안정감 있게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마스크를 착용 및 탈거 동작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는 파우치 바디(100)의 외측면에 스트랩이 구비되어 스트랩에 손목을 끼운 상태에서 마스크 파우치(10)를 사용하여 마스크의 착용 및 탈거를 진행할 수 있으며, 스트랩과 밴드가 동시에 구비되어 스트랩에 손목을 끼운 상태에서 밴드에 손가락을 끼워 더욱 안정감있게 마스크 파우치(10)를 손에 거치시켜 놓은 후 마스크의 착용 및 탈거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마스크 파우치
100 : 파우치 바디
110 : 접힘부
111 : 좌측반부
112 : 우측반부
113 : 상측반부
114 : 하측반부
200 : 고정부
210 : 고정핀
220 : 고정압정
230 : 고정단추
300 : 항균탈취제
400 : 지퍼

Claims (3)

  1. 펼쳐진 마스크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며, 테두리를 따라 지퍼가 구비되어 절반으로 접혀지고 지퍼가 체결되면서 마스크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파우치 바디;
    파우치 바디의 내측 일단과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마스크의 귀걸이가 끼움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 및
    파우치 바디의 내측 소정의 위치에 탈부착 되도록 구비되는 항균탈취제;를 포함하되,
    고정부는, 일단 중앙에 통공이 구비된 얇고 긴 판상의 고정핀; 및 촉이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파우치 바디에 꽂히고 머리가 고정핀의 일단 상면에 지지되면서 고정핀을 파우치 바디에 고정시키는 고정압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정핀이 고정압정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반경 회전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파우치 바디의 내측 중심부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접힘부; 및
    접힘부를 기준으로 파우치 바디를 일측과 타측으로 분할하며 각각 형성되는 좌측반부와 우측반부;를 더 포함하되,
    고정부는 좌측반부와 우측반부의 선단에 인접하며 각각 형성되고 마스크는 좌측반부와 우측반부에 걸쳐 고정되며,
    접힘부가 접혀지면서 지퍼가 좌측반부 및 우측반부 각각의 테두리를 상호 체결시키면 좌측반부와 우측반부가 접하면서 파우치 바디가 반지갑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파우치 바디의 내측 중심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접힘부; 및
    접힘부를 기준으로 파우치 바디를 일측과 타측으로 분할하며 각각 형성되는 상측반부와 하측반부;를 더 포함하되,
    고정부는 상측반부의 횡방향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형성되고 마스크는 상측반부의 횡방향에 걸쳐 고정되며,
    접힘부가 접혀지면서 지퍼가 상측반부 및 하측반부 각각의 테두리를 상호 체결시키면 상측반부와 하측반부가 접하면서 파우치 바디가 장지갑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파우치;
KR1020200126093A 2020-09-28 2020-09-28 마스크 파우치 KR20220042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93A KR20220042816A (ko) 2020-09-28 2020-09-28 마스크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93A KR20220042816A (ko) 2020-09-28 2020-09-28 마스크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816A true KR20220042816A (ko) 2022-04-05

Family

ID=8118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093A KR20220042816A (ko) 2020-09-28 2020-09-28 마스크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28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081B1 (ko) 2015-09-18 2016-02-05 오재웅 마스크 위생 휴대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081B1 (ko) 2015-09-18 2016-02-05 오재웅 마스크 위생 휴대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6632B2 (ja) 他者保護用の衛生マスク
US7540036B1 (en) Medical bib
US20170208881A1 (en) Utility scarf
US5799336A (en) Protective garment with detachable flexible pouch
ES2287776T3 (es) Casquete de facil colocacion para la proteccion y el secado del cabello.
WO2015130569A1 (en) Earring post wipe dispenser
JP2011103940A (ja) マスク収納ケース
KR200485337Y1 (ko) 미용 마스크 팩
KR20170142149A (ko) 미용 마스크 팩
JP5897103B1 (ja) 携帯型マスクポーチ
KR20220042816A (ko) 마스크 파우치
CA2463637A1 (en) Designer toilet tissue storage holder
US9474655B1 (en) Undergarments with sanitary absorbent device holder
ES2656851T3 (es) Dispositivo para evitar que el pelo cortado pase a lo largo del cuello
JP2004154468A (ja) ベビーホルダー
KR20160135568A (ko) 코마개 탈착형 마스크
KR101845680B1 (ko) 생리대 절취형 일회용 수건
US20190150587A1 (en) Powder-Dispensing Device for Sanitary Grooming
JP5580497B1 (ja) ペット用オムツカバー
JP2015150158A (ja) 携帯用枕
JP5973628B2 (ja) 携帯用枕
US20080196147A1 (en) Mascot Storage Type Shorts
KR102305499B1 (ko) 한복가방형 휴대용 마스크 보관 파우치
KR101840176B1 (ko) 화장용품 절취형 일회용 수건
KR200326336Y1 (ko) 아로마테라피 고무를 겸비한 기능성 안면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