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804A -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804A
KR20220042804A KR1020200126068A KR20200126068A KR20220042804A KR 20220042804 A KR20220042804 A KR 20220042804A KR 1020200126068 A KR1020200126068 A KR 1020200126068A KR 20200126068 A KR20200126068 A KR 20200126068A KR 20220042804 A KR20220042804 A KR 20220042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
equipment
type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316B1 (ko
Inventor
안건태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2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3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조업 현장에 설치된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위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면, 출력 장치가 알람을 출력하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METHOD FOR MONITORING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본 개시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업 현장에는 많은 작업자가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설비의 신설, 설비 수리, 설비 정비, 및/또는 설비 개보수 등 비정상 조업 상황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비정상 조업 상황에서는 안전 관리 시스템 또한 제대로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조업 상황에서보다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현저하게 높다.
반면, 중대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3대 악성 재해로는, 추락, 충돌, 질식 사고가 있다. 추락 재해의 경우에는 현장의 설비들의 불안전한 상태와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들로 인하여 초래되는 경우가 많으며, 충돌 사고의 경우에는 지게차 등과 같은 이동 물체와 작업자들이 추돌하거나, 설비 이설 중에 부딪히는 경우로 인하여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 질식 재해의 경우에는 밀폐 공간 작업이나 누출 가스에 의한 질식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 더군다나 질식 재해의 경우에는, 밀폐 공간에 들어가기 전 휴대용 가스 측정기나 스마트볼을 통해 가스 계측을 하는 절차를 통함에도 불구하고, 작업 중에 발생하는 가스의 유출에 의한 사고는 막을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조업 현장에는 현저하게 적은 인원으로 안전 관리자가 배치되어 현장의 모든 영역에 대해 적절한 안전 관리가 이루어지기는 힘든 실정이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업 현장 내에서 수행되는 위험 작업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는 위험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미리 예방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조업 현장에 설치된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위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면, 출력 장치가 알람을 출력하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조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소음, 대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조업 현장에 설치된 설비 장치에 연결된 설비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설비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설비 장치 정보는 설비 장치의 동작 여부, 설비 장치의 밸브의 개폐 상태, 및 공정 가스의 가동 유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는, 설비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안전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조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조업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조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조업 정보는, 조업 현장의 구역에 따라 해당 일자에 예정되어 있는 조업에 대한 정보, 작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안전 작업에 대한 내용, 조업 시 필요한 연료 혹은 원료에 대한 정보, 설비 장치 정수 정보, 설비 장치 수리 정보, 및 설비 장치 정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는, 조업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조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 조업 현장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센서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은 위험 작업이 발생한 위치, 출력 영상 정보, 판단된 작업 유형, 및 작업 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출력 영상 정보는,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설비 장치 정보, 환경 정보, 조업 정보가 표시된 것일 수 있다.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면, 해당 위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상황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작업 상황이 위험 상황인 경우, 출력 장치에 경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고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 출력 영상 정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시간, 및 위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출력 영상 정보는,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설비 장치 정보, 환경 정보, 조업 정보가 표시된 것일 수 있다.
안전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조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조업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조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조업 정보는, 조업 현장의 구역에 따라 해당 일자에 예정되어 있는 조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는, 영상을 분석하여 판단한 작업 유형과 조업에 대한 정보가 상이하면, 위험 작업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 작업은, 용접 작업, 도장 작업, 고소 작업, 설비 이설 작업, 설비 수리 작업, 설비 정비 작업, 설비 청소 작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는, 조업 현장에 설치된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그리고 제어 모듈로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위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유형을 판단하고,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면, 출력 장치가 알람을 출력하도록 통신 모듈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조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더 수신하고,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소음, 대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제어 모듈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조업 현장에 설치된 설비 장치에 연결된 설비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설비 장치 정보를 더 수신하고, 설비 장치 정보는 설비 장치의 동작 여부, 설비 장치의 밸브의 개폐 상태, 및 공정 가스의 가동 유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어 모듈은, 설비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안전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조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조업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조업 정보를 더 수신하고, 조업 정보는, 조업 현장의 구역에 따라 해당 일자에 예정되어 있는 조업에 대한 정보, 작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안전 작업에 대한 내용, 조업 시 필요한 연료 혹은 원료에 대한 정보, 설비 장치 정수 정보, 설비 장치 수리 정보, 및 설비 장치 정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어 모듈은, 조업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에 조업 현장에 추가로 설치되는 추가 센서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알람은 위험 작업이 발생한 위치, 출력 영상 정보, 판단된 작업 유형, 및 작업 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출력 영상 정보는,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설비 장치 정보, 환경 정보, 조업 정보가 표시된 것일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면, 해당 위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상황을 검출하고, 그리고 작업 상황이 위험 상황인 경우, 출력 장치에 경고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경고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 출력 영상 정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시간, 및 위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출력 영상 정보는,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설비 장치 정보, 환경 정보, 조업 정보가 표시된 것일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안전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조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조업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조업 정보를 더 수신하고, 조업 정보는, 조업 현장의 구역에 따라 해당 일자에 예정되어 있는 조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 모듈은, 영상을 분석하여 판단한 작업 유형과 조업에 대한 정보가 상이하면, 작업 유형은 위험 작업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작업은, 용접 작업, 도장 작업, 고소 작업, 설비 이설 작업, 설비 수리 작업, 설비 정비 작업, 설비 청소 작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위험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안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정보 수집 장치로 수집한 정보를 종합하여 설비의 오동작 유무를 정확히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위험 작업 발생 유무와 발생 장소, 시간 등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전 관리자가 신속하게 조업 현장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대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정보 수집 장치, 중앙 관리 서버, 안전 관리자 단말기, 및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중앙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중앙 관리 서버 내에서 수행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정보 수집 장치(100), 중앙 관리 서버(200),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 출력 장치(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정보 수집 장치(100), 중앙 관리 서버(200),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 출력 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는 장치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WLAN(wireless LAN), LTE(Long Term Evolution, LTE), LTE-A(LTE Advanced),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BLE(Bluetooth Low Energy), 블루투스(Bluetooth), Zigbee, UWB (Ultra-WideBand), ANT, Wi-fi,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PAN (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보 수집 장치(100)는, 현장 감시 장치(1001), 센서 장치(1003),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 및 조업 정보 수집 장치(100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감시 장치(1001)는 조업 현장 내의 작업자들을 감시하기 위한 장치로,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야간이나 주변 식별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인체 및 사물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또한, 현장 감시 장치(1001)는 조업 현장 내의 복수의 감시 대상 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CCTV를 포함할 수도 있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폐쇄 회로 텔레비전)는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조업 현장 내의 복수의 감시 대상 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화상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CCTV는 주간 또는 야간 촬영을 하기 위해 자연광 및 적외광을 투과할 수 있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감시 장치(1001)는 또한 조업 현장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현장 감시 장치(1001)는 조업 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업 현장의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이동식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현장 감시 장치(1001)는 조업 현장의 작업자와 조업 환경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조업 환경에 대한 영상은,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작업 중인 주변의 환경, 작업 현장에 위치하는 건축물, 작업 설비 등이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현장 감시 장치(1001)는 획득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센서 장치(1003)는 주변 환경에 대한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조업 현장 내의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장치(1003)는 현장 감시 장치(1001)로는 측정할 수 없는 조업 현장 내의 가스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센서 장치(1003)는,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황화수소 측정 센서, 메탄 가스 측정 센서, 이산화질소 측정 센서, 온도 측정 센서, 습도 측정 센서, 소음 측정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 장치(1003)는 조업 현장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1003)는 설비 장치 내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센서 장치(1003)는 조업 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업 현장의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가 조업 현장 내 필요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휴대용 센서 장치일 수도 있다.
센서 장치(1003)는 획득한 환경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소음, 대기 환경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는 조업 현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 장치에 대한 설비 장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이다. 설비 장치 정보는 설비 장치의 동작 여부, 설비 장치의 밸브의 개폐 상태, 공정 가스의 가동 유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는 설비 장치에 연결되어 설비 장치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집할 수 있다.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는 설비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현재 설비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설비 장치에 공급되는 전압, 전류, 역률, 전력량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온도 측정 센서, 가스 농도 측정 센서 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설비 장치에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는 설비가 작동한다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설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통신하여 설비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기는 해당 설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는 제어기가 전송하는 제어 신호 자체를 분석함으로써 설비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는 설비 장치로 하여금 동작을 중단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통해 설비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조업 정보 수집 장치(1007)는 조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이다. 조업 정보는, 조업 현장의 구역에 따라 해당 일자에 예정되어 있는 조업에 대한 정보, 필요한 안전 작업에 대한 내용, 조업 시 필요한 연료 혹은 원료에 대한 정보, 설비 정수 정보, 설비 수리 정보, 및 설비 정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업 정보 수집 장치(1007)는,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조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조업 정보 수집 장치(1007)는, 조업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서버에 접근하여 조업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는 안전 관리자가 구비하는 모바일 장치이고, 후술하는 작업자 단말기는 목표 작업자가 구비하는 모바일 장치이다. 조업 현장의 안전 관리자는 조업 현장의 작업자들 중에서 안전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자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단말기는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은 모두 조업 현장 관련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작업자 단말기는 조업 정보 수집 장치(1007)에 접근하여 조업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조업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작업이 위험 작업인 경우에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서버로, 현장 감시 장치(1001)로부터 전달받은 영상 정보, 센서 장치(1003)로부터 전달받은 환경 정보,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로부터 전달받은 설비 장치 정보, 및 조업 수집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조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작업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중앙 관리 서버(200)는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인 경우에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알람을 출력하도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작업 유형이 조업 정보 수집 장치(1007)로부터 전달받은 조업 정보와 상이한 경우에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한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에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알람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 관리 서버(200)는,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로부터 전달받은 설비 장치 정보가 정상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센서 장치(1003)로부터 전달받은 환경 정보가 정상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0)가 출력하는 알람에는 위험 작업이 발생한 위치, 그 위치를 촬영하고 있는 현장 감시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작업 유형, 작업 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검출한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인 경우에, 중앙 관리 서버(200)는 현장 감시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센서 장치(1003)로부터 수신한 환경 정보,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로부터 수신한 설비 장치 정보, 조업 정보 수집 장치(1007)로부터 수신한 조업 정보 등을 통해 위험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중앙 관리 서버(200)는 위험 상황이 검출된 경우에,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된 작업 유형이 설비 장치의 청소 작업, 설비 장치의 정비 작업 등 위험 가스를 취급하는 작업인 경우, 중앙 관리 서버(200)는 작업 유형을 위험 작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중앙 관리 서버(200)는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알람을 출력하도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중앙 관리 서버(200)는 위험 가스를 취급하는 작업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예컨대 질식 사고, 호흡기 손상, 폭발 사고 등과 같은 재해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검출하면,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리 서버(200)는 조업 현장의 각 위치에서 발생되는 설비의 모든 동작 상태 내지 이상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현장 감시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설비 장치 정보, 환경 정보, 조업 정보가 표시된 영상 정보를 출력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 관리 서버(200)는 설비 장치 정보로부터 밸브의 구동 상태를 검출하여 영상 정보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거나, 환경 정보로부터 가스의 농도 변화를 검출하여 영상 정보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할 수 있으며, 오버레이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전 관리자 및/또는 작업자는 작업 현장의 상황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설비의 동작 상태도 확인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0)는 중앙 관리 서버(200)의 제어 하에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거나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위험 경고 장치(4001) 및 디스플레이 장치(40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 경고 장치(4001)는 중앙 관리 서버(200)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부저, 사이렌 등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장치, 위험을 알리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제공 장치, 시각적으로 위험을 알리는 광을 출력하는 광 출력 장치(400)일 수 있다. 이러한 위험 경고 장치(4001)는 조업 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위험 경고 장치(4001)는 중앙 관리 서버(200)로부터 알람을 전송받은 경우에,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조업 현장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작업자들이 들을 수 있는 전체 방송의 형태로 모든 출력 장치(400)를 통해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3)는 조업 현장 내 하나의 현장 감시 장치(1001) 또는 다수의 현장 감시 장치(1001)가 촬영한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003)는 중앙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4003)는 중앙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하는 위치에 설비 장치 정보, 환경 정보, 조업 정보가 표시된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400)는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작업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는 중앙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현장 감시 장치(1001)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열람할 수 있다.
조업 현장의 특성 상 소음이 심할 수 있으므로, 알람은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작업자 단말기에게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 작업자 단말기는 중앙 관리 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알람을 수신하고, 각각의 단말기는 화면 상에 수신된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알람을 수신한 경우에 안전 관리자는 넓은 조업 현장 중 어느 위치에서 위험 작업이 발생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위험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리자는 위험 작업 진행에 이상이 없는지 집중 모니터링을 할 수 있어서,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리자는 위험 작업 중에도 영상 정보, 설비 장치 정보,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조업 현장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중앙 관리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메모리(230), 및 제어 모듈(25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2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수집 장치(100),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 출력 장치(4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 모듈(210)은 정보 수집 장치(100) 및/또는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 모듈(250)로 전달하거나, 제어 모듈(25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30)에는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환경 정보, 설비 장치 정보, 및 조업 정보 등 조업 현장의 안전을 점검하는 데 필요한 여러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230)에는 안전 관리자 및/또는 작업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 작업 유형, 위험 작업의 종류, 위험 작업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250)은 통신 모듈(210)에서 수신한 데이터와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모듈(250)은, 정보 수집 장치(100)에서 수신한 여러 정보를 사용하여 작업 유형 및 작업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현장 감시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와 현장 감시 장치(1001)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 조업 정보 수집 장치(1007)로부터 수신한 조업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조업 정보로부터 해당 일자에 예정되어 있는 작업의 유형을 판독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수신한 영상 내에서 작업 유형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검출한 작업 유형이 조업 정보로부터 판독한 작업 유형과 상이한 경우에는 검출한 작업 유형과는 무관하게 위험 작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집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설비 장치 정보가 정상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센서 장치(1003)로부터 전달받은 환경 정보가 정상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제어 모듈(250)은 검출한 작업 유형과는 무관하게 위험 작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작업 유형 및 작업 상황을 검출하는 경우에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학습된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딥러닝은 다층 인공 신경망을 이용해 유용한 특징들을 데이터로부터 직접 학습하는 방식으로서, 제어 모듈(250)은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통신 모듈(210)을 통해 수신한 영상 정보로 학습시킨 딥러닝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50)은 중앙 관리 서버(200)에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딥러닝 모델에 지속적으로 학습시킴으로써 작업 유형과 작업 상황을 더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영상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내에는 작업자들의 크기 및 물체들이 작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제어 모듈(250)은 검출 대상 물체 주변의 상황, 검출 대상 위치에서 그 이전과 그 이후에 발생한 상황 등을 함께 고려하여 작업 유형 및 작업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한 작업 유형과 조업 정보로부터 판독한 작업 유형이 일치하는 경우, 제어 모듈(250)은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작업의 유형으로는, 추락 사고, 충돌 사고, 질식 사고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용접 작업, 도장 작업, 고소 작업, 설비 이설 작업, 설비 수리 작업, 설비 정비 작업, 설비 청소 작업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정보로부터 사다리, 이동 대차, 고소 작업대, 비계 등이 검출되면 제어 모듈(250)은 작업 유형을 고소 작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조업 정보에는 용접 작업이 예정되어 있다고 하는 경우, 제어 모듈(250)은 검출한 작업 유형과 판독한 작업 유형이 상이하므로, 위험 작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조업 정보에도 고소 작업이 예정되어 있다고 하는 경우, 제어 모듈(250)은 고소 작업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고소 작업은 위험 작업에 해당하므로, 제어 모듈(250)은 위험 작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영상 정보로부터 불꽃이 검출되면 제어 모듈(250)은 작업 유형을 용접 작업, 그라인딩 절단 작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용접이나 절단 작업에서 발생하는 불꽃은 화재 시 발생하는 불과는 다른 패턴으로 발생하므로, 제어 모듈(250)은 용접이나 절단 작업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설비 정보로부터 적정치 이상의 위험 가스가 검출되거나 환경 정보로부터 일정치 이상의 유해 가스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 모듈(250)은 설비 수리, 정비, 청소 작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조업 현장에서 수행되는 작업이 위험 작업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통신 모듈(210)을 통해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은 위험 작업이 발생한 위치, 그 위치를 촬영하고 있는 현장 감시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작업 유형, 작업 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관리자는 작업 유형에 따라 유해 가스가 발생될 수 있는 경우, 질식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경우 등 추가의 센서 장치(1003)가 요구되는 경우에 유해 가스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센서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전 관리자는 주변 환경의 가스 변화량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위험 작업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250)은, 영상 정보, 환경 정보, 설비 장치 정보, 및 조업 정보 등으로부터 작업 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작업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검출한 작업 상황과 작업자 주변의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조업 현장에서는 위치에 따라 수행되고 있는 작업 유형이 상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데에 요구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소 작업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으로는 1인 단독 작업, 2인 승가 작업, 불안전한 사다리 작업 등이 있을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현장 감시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사다리와 작업자 간의 관계, 예컨대 작업자 아래 쪽에 사다리가 위치하는 경우, 사다리 위쪽에 2명의 작업자가 검출되는 경우, 및/또는 사다리 주변의 상황 등을 분석함으로써 고소 작업의 작업 상황을 검출할 수 있고,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용접 작업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으로는 인화성 물질 및 가스 등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이 있을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센서 장치(1003)로부터 수신한 환경 정보를 사용하여, 유해 가스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산소 농도가 감소되는 경우 등을 검출하여 용접 작업의 작업 상황을 검출할 수 있고,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 수리, 정비, 청소 작업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으로는 가스의 누출로 인한 질식 사고, 폭발 사고 등이 있을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로부터 수신한 설비 장치 정보 및/또는 센서 장치(1003)로부터 수신한 환경 정보를 사용하여, 위험 가스 및/또는 유해 가스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조업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상황이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통신 모듈(210)을 통해 안전 관리자 단말기(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에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 그 위치를 촬영하고 있는 현장 감시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시간, 작업 정보, 위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중앙 관리 서버(200) 내에서 수행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중앙 관리 서버(200)는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다수의 정보를 수신(S3010)한다. 정보는 현장 감시 장치(1001)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 센서 장치(1003)로부터 수신된 환경 정보, 설비 정보 수집 장치(1005)로부터 수신된 설비 장치 정보, 및 조업 정보 수집 장치(1007)로부터 수신된 조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수집된 정보를 사용하여 작업 유형을 판단(S3030)한다.
검출된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S3050), 중앙 관리 서버(200)는 알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알람을 안전 관리자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알람은 위험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중앙 관리 서버(200)는 다시 단계(S3010)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중앙 관리 서버(200)는 수집된 정보를 사용하여 작업 유형에 따른 작업 상황을 검출(S3070)한다. 여기서, 중앙 관리 서버(200)는 판단한 작업 유형, 환경 정보, 설비 장치 정보, 및 조업 정보에 기초하여 조업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한 작업 상황이 위험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S3090), 중앙 관리 서버(200)는 경고를 생성할 수 있다. 검출한 작업 상황이 위험 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중앙 관리 서버(200)는 단계(S3010)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생성된 경고를 안전 관리자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전송(S3110)할 수 있다. 경고는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이에 따른 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이러한 현장 모니터링의 결과, 예컨대 조업 현장의 작업 유형, 작업 상황, 위험 발생 여부 등을 정리하여 작업 이력을 관리하고, 또한 작업 유형 및 작업 상황 검출의 개선을 위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다수의 정보를 수신(S4010)한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수집된 정보를 사용하여 작업 유형을 판단(S4030)한다.
검출된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S4050), 중앙 관리 서버(200)는 알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알람을 안전 관리자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알람을 전송받은 안전 관리자는 조업 현장 내에 추가로 정보 수집 장치(100)를 설치(S4060)할 수 있다. 추가 정보 수집 장치(100)가 설치되는 경우, 중앙 관리 서버(200)는 단계(S4010)부터 수행하여 새로 설치된 추가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 정보 수집 장치(100)가 설치되지 않으면, 중앙 관리 서버(200)는 단계(S4070)를 수행한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수집된 정보를 사용하여 작업 유형에 따른 작업 상황을 검출(S4070)한다.
검출한 작업 상황이 위험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S4090), 중앙 관리 서버(200)는 경고를 생성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200)는 생성된 경고를 안전 관리자 및/또는 출력 장치(400)에 전송(S4110)할 수 있다.
단계들(S4010 내지 S4050, S4070 내지 S4110)은 상술한 단계들(S3010 내지 S3050, S3070 내지 S311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은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 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230)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2)

  1. 조업 현장에 설치된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위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면, 출력 장치가 알람을 출력하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소음, 대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상기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업 현장에 설치된 설비 장치에 연결된 설비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설비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비 장치 정보는 상기 설비 장치의 동작 여부, 상기 설비 장치의 밸브의 개폐 상태, 및 공정 가스의 가동 유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안전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조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조업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조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업 정보는, 상기 조업 현장의 구역에 따라 해당 일자에 예정되어 있는 조업에 대한 정보, 작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안전 작업에 대한 내용, 조업 시 필요한 연료 혹은 원료에 대한 정보, 설비 장치 정수 정보, 설비 장치 수리 정보, 및 설비 장치 정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조업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조업 현장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센서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상기 위험 작업이 발생한 위치, 출력 영상 정보, 판단된 작업 유형, 및 상기 작업 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영상 정보는, 상기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상기 설비 장치 정보, 상기 환경 정보, 상기 조업 정보가 표시된 것인,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면, 상기 해당 위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상황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작업 상황이 위험 상황인 경우, 상기 출력 장치에 경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는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 출력 영상 정보,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시간, 및 상기 위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영상 정보는, 상기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상기 설비 장치 정보, 상기 환경 정보, 상기 조업 정보가 표시된 것인,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안전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조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조업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조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업 정보는, 상기 조업 현장의 구역에 따라 해당 일자에 예정되어 있는 조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판단한 상기 작업 유형과 상기 조업에 대한 정보가 상이하면, 위험 작업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작업은,
    용접 작업, 도장 작업, 고소 작업, 설비 이설 작업, 설비 수리 작업, 설비 정비 작업, 설비 청소 작업 중 적어도 하나인,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11. 조업 현장에 설치된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그리고
    제어 모듈로서,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위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면, 출력 장치가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조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소음, 대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조업 현장에 설치된 설비 장치에 연결된 설비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설비 장치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설비 장치 정보는 상기 설비 장치의 동작 여부, 상기 설비 장치의 밸브의 개폐 상태, 및 공정 가스의 가동 유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설비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안전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조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조업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조업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조업 정보는, 상기 조업 현장의 구역에 따라 해당 일자에 예정되어 있는 조업에 대한 정보, 작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안전 작업에 대한 내용, 조업 시 필요한 연료 혹은 원료에 대한 정보, 설비 장치 정수 정보, 설비 장치 수리 정보, 및 설비 장치 정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조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유형을 판단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조업 현장에 추가로 설치되는 추가 센서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더 수신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상기 위험 작업이 발생한 위치, 출력 영상 정보, 판단된 작업 유형, 및 상기 작업 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영상 정보는, 상기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상기 설비 장치 정보, 상기 환경 정보, 상기 조업 정보가 표시된 것인,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작업 유형이 위험 작업에 해당하면, 상기 해당 위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 상황을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작업 상황이 위험 상황인 경우, 상기 출력 장치에 경고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는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 출력 영상 정보,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시간, 및 상기 위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영상 정보는, 상기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상기 설비 장치 정보, 상기 환경 정보, 상기 조업 정보가 표시된 것인,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안전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조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조업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조업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조업 정보는, 상기 조업 현장의 구역에 따라 해당 일자에 예정되어 있는 조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판단한 상기 작업 유형과 상기 조업에 대한 정보가 상이하면, 상기 작업 유형은 위험 작업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작업은,
    용접 작업, 도장 작업, 고소 작업, 설비 이설 작업, 설비 수리 작업, 설비 정비 작업, 설비 청소 작업 중 적어도 하나인,
    조업 현장 모니터링 서버.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2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

KR1020200126068A 2020-09-28 2020-09-28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KR102513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68A KR102513316B1 (ko) 2020-09-28 2020-09-28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68A KR102513316B1 (ko) 2020-09-28 2020-09-28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804A true KR20220042804A (ko) 2022-04-05
KR102513316B1 KR102513316B1 (ko) 2023-03-22

Family

ID=8118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068A KR102513316B1 (ko) 2020-09-28 2020-09-28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3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39B1 (ko) * 2015-11-27 2016-08-03 정용호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60116144A (ko) * 2015-03-26 2016-10-07 (주)다울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KR102076413B1 (ko) * 2018-06-28 2020-03-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200079908A (ko) * 2018-12-26 2020-07-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장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144A (ko) * 2015-03-26 2016-10-07 (주)다울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KR101645139B1 (ko) * 2015-11-27 2016-08-03 정용호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076413B1 (ko) * 2018-06-28 2020-03-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200079908A (ko) * 2018-12-26 2020-07-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장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316B1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0988B2 (en) Internet facilitated fire safety system and real time monitoring system
KR101910480B1 (ko) IoT 전용망 기반 밀폐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671209B1 (ko)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US20170236397A1 (en) Safety control room
KR102275989B1 (ko) 화재 및 화재의 예상 전개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화재예측 시스템
KR102488007B1 (ko)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CN112288984A (zh) 基于视频融合的三维可视化无人值守变电站智能联动系统
KR101150993B1 (ko) 터널 비상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KR102311495B1 (ko) 배전반의 과열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CN111768602A (zh) 受限空间作业智能安全监管系统及监管方法
CN105654656A (zh) 安全管理系统和手持设备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42585B1 (ko)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719505B1 (ko)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KR200411295Y1 (ko)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KR102513316B1 (ko)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KR101634336B1 (ko) 함정내 손상통제 시스템 및 손상통제 방법
KR20210055343A (ko) 자동탐색 기능을 갖는 이동식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3643508B (zh) 防灾紧急通道监控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6403301A (zh) 多台巡检机器人蜂群应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60606A (ko) 산업 현장 복합화재 감지 시스템
KR20230140616A (ko) 작업자의 위치 추적을 통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30060755A (ko)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한 가스 감지기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