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967A -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 Google Patents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967A
KR20220041967A KR1020200124335A KR20200124335A KR20220041967A KR 20220041967 A KR20220041967 A KR 20220041967A KR 1020200124335 A KR1020200124335 A KR 1020200124335A KR 20200124335 A KR20200124335 A KR 20200124335A KR 20220041967 A KR20220041967 A KR 20220041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ervical
thoracic
traction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550B1 (ko
Inventor
윤창로
Original Assignee
윤창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로 filed Critical 윤창로
Priority to KR102020012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5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4Shoulder, e.g. for neck stretching
    • A61H2201/161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2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Abstract

본 발명은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는 시트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와; 상기 시트프레임의 상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포스트 및 이 수직포스트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수평포스트 그리고 이 수평포스트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후두부가 접촉되는 헤드레스트로 된 후두받침부와; 상기 시트 프레임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 부분을 향하여 돌출 이동되게 구비된 흉추패드 및 조작력을 받아 흉추패드를 전후 이동되게 하는 흉추조절나사로 된 흉부받침부와; 상기 시트 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를 감싸는 것으로 견인력을 작용하는 견인부 및 상기 시트 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양 어깨를 고정지지하는 어깨고정부와; 상기 다리 프레임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 및 이 손잡이의 일단에 연결되어 손잡이의 동작에 부하를 작용하는 부하요소로 된 상지운동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턱이 들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후두부와 등부분의 척추가 바르게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견인력이 작용함에 따라 거북목이나 일자목을 비롯한 디스크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와 교정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양 어깨가 결속된 상태에서 상지운동부를 사용하여 팔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운동을 통해 경추와 흉추 주변 근육인 승모근 주변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어 경추 질환 치료와 교정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Chair type orthodontic treatment device with spinal traction alignment function}
본 발명은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경추와 흉추가 바른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견인작용과 함께 상지운동에 의한 승모근을 비롯한 경추와 흉추의 주변 근육 강화와 교정 자세를 근육이 기억할 수 있도록 하여 목디스크나 일자목 및 거북목 등의 다양한 척추질환에 대한 교정과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운동 부족과 앉아서 장시간 동안 같은 자세로 업무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가 디스크로 인한 요통(腰痛)과, 어깨와 팔 등의 무리한 움직임에 의한 견비통(肩臂痛) 그리고 근육통(筋肉痛) 등이 있으며, 특히 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직장인이나 학생의 경우 척추 질환으로 이어져 고통받는 경우가 급격하게 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척추는 중심체가 되는 추체(椎體)와 여기에서 후상방으로 나와 있는 활 모양의 추궁(椎弓), 그리고 여러 돌기 등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추체와 추궁에 둘러싸여 중앙에 커다란 추공(椎孔)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척추는 장시간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거나 또는 근육의 노화 및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 등으로 인해 척추 질환이 발병하게 되는데, 척추 질환의 대부분은 비정상적으로 척추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 즉, 평소 앉거나 서 있는 자세 또는 수면 자세 등의 생활 습관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경우 척추에 이상이 생기면 성장선에 압박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원활하지 못해 성장 촉진이 저해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척추질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신을 잡아 늘리듯이 하는 스트레칭 운동을 정기적으로 하여 근육 및 골격의 이완작용에 따른 자연 치유력에 의해 체형을 바르게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지운동 또는 하지운동을 하면서 척추 스트레칭이 가능하게 하는 여러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11104호에 개시된 척추교정 운동기구가 있다. 이 척추교정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누워서 하지운동을 할 수 있는 하지운동 기구,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베드,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시키는 골반벨트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척추교정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허리를 골반 벨트로 묶고 베드에 누워 반복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인체의 경추부 및 요추부를 이완·회복시키고 척추 주변 지지근육을 강화시켜 척추의 교정 및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척추교정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하지운동을 실시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척추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앉은 자세에서 뒤로 바로 눕는 동작을 취하는 경우 극심한 통증이 수반됨에 따라 상기 운동기구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앉거나 눕는 동작을 도와주기 위한 보조자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척추교정 운동기구는 하지 운동과 견인요소에 의한 치료효과에 제한됨에 따라 척추 및 척추 주변의 근육 전체에 대한 운동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하지 외의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효과가 거의 없으므로 신체의 전신 운동시 얻을 수 있는 높은 자가 치유력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스마트폰의 사용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척추를 구성하는 부위 중 두개골과 등뼈인 흉추 사이의 부분인 경추와 흉추 질환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경추는 일반적으로 우리 몸의 척추 중에서 목뼈라고 지칭하는 부위로서, 7개의 척추 분절로 이루어져 있고, 각 경추의 횡돌기에는 경추동맥이 지나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변에 정맥과 상완신경총이 위치해 있으며, 아래로는 몸통과 연결되어 있고 위로는 머리와 연결되어 있는 신체의 중요한 부위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추는 흉추, 요추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자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유발되는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추는 디스크 탈출증이 발생할 수 있고, 경추를 뒤쪽에서 지지하는 인대에 염좌가 발생하며, 경추근육 또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경직이 발생하면서 신경을 압박하게 되고 그 결과 두통, 경통, 견비통 등 다양한 근골격 계통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경추와 후두골 사이에 위치하는 후두하근은 머리의 안정화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근육으로, 두통을 유발시킬 수 있는 근육방추체(muscle spindle)가 많이 분포해 있고, 추골동맥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뇌 및 혈압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근육이다. 이러한 후두하근은 근육이 약해지거나 또는 협착이 일어나면 신경에 압박을 발생시켜 뇌로 가는 혈액공급을 방해하고 근육방추체의 기능을 저하시켜 결과적으로 경추성 두통을 야기시킬 뿐만 척수 신경을 감싸고 있는 경막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척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근육을 강화시키는 물리치료나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압치료 또는 좁아진 추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여 눌려져 있던 추간판을 이완시킴으로서 이완작용에 의해 체형을 바르게 교정하는 견인치료 등이 있다.
한편, 지압이나 마사지(massage)는 주로 손을 사용하여 직접 피부에 일정한 방법으로 역학적 자극을 줌으로써 생체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신체의 변조(變調)를 바로 잡아 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일종의 수기시술(手技施術)로서, 지압마사지에 의해 혈액이나 림프의 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하여 조직의 영양을 높여 주며, 노폐물을 배설하도록 하고 저항력을 증강시켜 준다. 이 촉압자극(觸壓刺戟)은 신경을 자극하여 진통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마비된 신경의 회복을 촉진하고, 내장기능의 변조를 바로잡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압마사지는 대부분 치료를 받는 사람 혼자서는 시술이 불가능하므로 타입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힘에 의존하여 실시되는 것에 의해 그 효과가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스스로 지압마사지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지압마사지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구동원을 이용하여 지압구를 진동시키는 진동 마사지기와,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공기압 마사지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진동마사지기의 경우 신체의 일부분을 반복적으로 타격(두드림)하는 방식이어서 지압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타격에 의한 2차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지압구의 진동을 신체에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지압구를 신체 부위에 일정한 힘으로 눌러 주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클 뿐만 아니라 힘이 들어 지속적인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압 마사지기의 경우 신체의 팔이나 다리 또는 허리 등과 같은 신체 부분을 감싸도록 되어 있는 커프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키는 것에 의해 이를 통해 신체의 일부에 반복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신체의 일부를 주물러주는 것에 불과하므로 경혈을 자극하는 등의 지압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신체의 팔이나 다리 또는 허리 등에 착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공기압 마사지기 중 공압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상하로 팽창하여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벨트 형태의 커프를 구비한 치료기가 있으나, 이 역시 목이나 허리 등에 착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무리한 공압 작용시 신속한 대처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견인 효과를 얻을 수 없음에 따라 치료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077885호(2011.10.31.)는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본체; 후두골을 받쳐 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두골 지압부; 후두하부를 받쳐 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기 후두골 지압부 전방쪽 위치에서 상기 후두골 지압부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는 후두하부 지지부; 및 뒷목을 받쳐주면서 상기 본체가 밀리지 않게 하며, 상부흉추를 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두하부 지지부 전방 쪽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흉추(Upper thoracic vertebrae) 지압부;를 포함하는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역시 다수의 돌기를 이용하여 단순히 후두근막과 그 주변을 압박하는 구조에 불과하여 근본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9369호를 통해 ′목 디스크 방지용 의자′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의자의 등받이(200)에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강 및 고정이 가능한 헤드레스트(210)를 구성하고, 상기 헤드레스트(210)에 사용자의 턱과 뒤통수를 걸어 견인하는 머리견인구(1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디스크 방지용 의자'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목 디스크 방지용 의자는 단순히 사용자의 머리를 걸어 견인하는 방식이므로 견인 과정에서 턱이 앞쪽으로 들리면서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뒤로 젖혀진 상태로 견인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경추가 올바르게 정렬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견인력에 의해 당겨지므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자세에서의 견인작용으로 인해 심각한 상해나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9369호(2006.09.19.) 2)등록특허공보 제10-2124863호(2020.06.15.) 3)등록특허공보 제10-0886667호(2009.02.25.) 4)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6658호(2018.08.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턱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경추가 바르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사용자의 흉추 부분을 앞쪽으로 밀어서 흉추의 형태가 바르게 정렬 위치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거북목이나 일자목을 비롯한 디스크 치료 및 교정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를 그리고 어깨를 고정한 상태에서 의자의 팔걸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상지운동부를 이용하여 팔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경추와 흉추 주변 근육인 승모근 주변 근육을 강화시킴으로써 치료 및 교정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은, 시트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후두부가 접촉되는 후두받침부; 상기 시트 프레임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 부분을 향하여 돌출 이동되게 구비된 흉추패드 및 조작력을 받아 흉추패드를 전후 이동되게 하는 흉추조절나사로 된 흉부받침부; 상기 시트 프레임 또는 이에 연결된 구조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를 감싸는 것으로 견인력을 작용하는 견인부 및 상기 시트 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양 어깨를 고정지지하는 어깨고정부; 상기 다리 프레임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 및 이 손잡이의 일단에 연결되어 손잡이의 동작에 부하를 작용하는 부하요소로 된 상지운동부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후두받침부는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안내홈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포스트와; 상기 수직포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시트프레임에 나사 체결되어 조작력에 의해 그 끝단이 수직포스트에 마찰접촉되어 고정력을 작용하는 헤드수직나사와; 상기 수직포스트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일단이 수직포스트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끼움 삽입되는 수평포스트와; 상기 수평포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직포스트에 나사 체결되어 조작력에 의해 그 끝단이 수평포스트에 마찰 접촉되어 고정력을 작용하는 헤드수평나사로 된 흉부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흉부받침부는, 상기 시트 프레임에 일단이 나사체결되어 조작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된 흉추조절나사와; 상기 흉추조절나사의 끝단부와 결합 고정되어 연동하여 수평 이동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흉추가 위치한 등부분에 접촉하여 상기 후두받침부와 함께 흉추가 정렬되게 각도조절을 하는 흉추패드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수직포스트에 일단이 고정 지지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신축밴드로 이루어지되, 그 일단은 분할되어 서로 벨크로 또는 스냅단추로 연결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상지운동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의자에 힌지 결합 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의자의 일측에 연결된 실린더 또는 고무재로 된 탄성밴드로 구성되어 손잡이의 가동시 부하를 작용하는 부하요소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은, 사용자의 턱이 들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후두부와 등부분을 이루는 경추와 흉추가 바르게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견인력이 작용함에 따라 거북목이나 일자목을 비롯한 디스크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와 교정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양 어깨가 결속된 상태에서 상지운동부를 사용하여 팔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운동을 통해 경추와 흉추 주변 근육인 승모근 주변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어 경추 질환 치료와 교정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구동원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물리력 즉, 지압력이나 견인력 또는 스트레칭 동작에 따른 상해를 입거나 통증이 유발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고,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는 구조가 간소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양호함에 따라 기존의 척추 치료기기에 비해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편안한 자세에서의 사용의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머리받침부의 수평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머리받침부의 수직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흉추받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상지운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상지운동부의 변형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의자의 일부를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의 변형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등받이쿠션(14)이 부착된 시트프레임(11)과 방석쿠션(13)이 구비된 다리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 의자(10)와, 상기 수직프레임(2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후두부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요소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가 교정에 적합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후두받침부(20)와, 상기 후두받침부(20)의 아래측 시트프레임(11)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흉추가 위치한 등 부분을 앞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수평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는 흉추패드(31)를 구비한 흉부받침부(30)와, 일단이 의자(10) 또는 후두받침부(20)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견인력을 작용하는 견인부(40) 및 일단이 의자(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어깨를 고정시키도록 멜빵 형태로 제공되는 어깨고정부(50) 끝으로 사용자가 의자(10)에 착석하여 상기 후두받침부(20)와 흉부받침부(30)에 의해 교정을 위한 바람직한 교정자세로 유지되고 동시에 견인부(40)에 의해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를 위로 끌어 당기는 견인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조작을 가하여 상지운동을 통해 승모근을 비롯한 경추와 흉추 주변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상지운동부(60)로 이루어진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1)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머리받침부의 수평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은 헤드레스트(21)가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최대 이동되어 사용자의 후두부가 앞쪽으로 기울어진 위치를 갖도록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헤드레스트(21)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최대 이동되어 사용자의 후두부가 뒤로 젖혀진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의자(10)를 구성하는 시트프레임(11)의 상측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안내홈(11e)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수직 방향으로 변위를 갖도록 구비되는 수직포스트(24)와, 상기 수직포스트(2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시트프레임(11)에 나사 체결되어 사용자로부터 나사 조작을 받아 선택적으로 그 끝단이 상기 수직포스트(24)에 마찰 접촉되어 고정력을 작용하거나 또는 고정력을 해제하는 헤드수직나사(25)와, 상기 수직포스트(24)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포스트(24)의 상부 일단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끼움 삽입되는 수평포스트(22) 그리고 상기 수평포스트(22)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고정해제를 하여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직포스트(24)에 일단이 나사체결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그 끝단부가 선택적으로 수평포스트(22)의 일단에 마찰 접촉되어 고정력을 작용하는 헤드수평나사(23)로 이루어진 후두받침부(20)와, 상기 후두받침부(20)의 아래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흉추에 해당하는 등부분을 앞쪽으로 밀어내어 등이 굽은 사용자의 경우 등이 펴질 수 있도록 즉, 흉추가 바르게 설 수 있도록 자세 유지를 유도하기 위한 흉추조절나사(33) 및 흉추패드(31)로 이루어진 흉부받침부(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머리받침부의 수직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의자(10)를 구성하는 시트프레임(11)의 상측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안내홈(11e)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수직 방향으로 변위를 갖도록 구비되는 수직포스트(24)와, 이 수직포스트(24)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24h)과, 상기 시트프레임(11)의 상부 일측에 나사체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헤드수직나사(25)를 구비한 후두받침부(2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후두받침부(20)는 사용자가 헤드수직나사(25)를 일방향 회전시키면 상기 헤드수직나사(25)가 시트프레임(1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그 끝단부가 상기 수직포스트(24)의 걸림홈(24h)에서 분리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후두부의 높이에 맞는 위치로 수직포스트(24)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높낮이 조절이 끝난 뒤에는 상기 헤드수직나사(25)를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수직나사(25)의 끝단부가 상기 수직포스트(24)의 걸림홈에 끼움되도록 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고정홈(24h)은 홈외에도 구멍 또는 나선구멍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흉추받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흉추패드(31)가 최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의 흉추패드(31)는 사용자의 흉추 부분이 위치한 등 부분을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비해 상기 흉추패드(31)가 조금 후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는 상기 시트프레임(11)에 일단이 나사 체결되어 사용자의 나사 조작에 연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된 흉추조절나사(33)와, 상기 흉추조절나사(33)의 끝단부에 결합 고정되어 연동하여 수평 이동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흉추가 위치한 등부분에 접촉하여 상기 후두받침부(20)와 함께 흉추가 바르게 정렬되도록 각도 조절을하는 흉추패드(31)로 구성된 흉부받침부(3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흉부받침부(30)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두받침부(20)의 바로 아래측에 위치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그 형상이나 크기 또는 위치는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서와 같은 형태나 위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상지운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는 손잡이(61)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도면을 기준으로 손잡이(61)가 우측으로 밀어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는, 사용자가 의자(10)에 앉은 자세에서 후두받침부(20)와 흉부받침부(30)에 의해 경추와 흉추가 바르게 정렬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되어 있고, 아울러 견인부(4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견인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양 어깨는 어깨고정부(50)에 의해 결박된 상태에서 운동을 하기 위한 요소로서, 사용자가 위와 같은 자세에서 손으로 잡고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손잡이(61)와, 이 손잡이(61)가 전,후 방향으로 쉽게 움직이지 않고 어느 정도 부하를 갖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하요소(63)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의 손잡이(61)는 의자(10)를 구성하는 다리프레임(12)의 일측에 힌지(62)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단이 다리프레임(12)에 제1힌지요소(63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타단은 링크부재(63b)를 통해 손잡이(61)의 일단에 연결되는 작동압 실린더(63)로 이루어진 상지운동부(6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상지운동부의 변형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사용자가 의자(10)에 앉은 자세에서 손으로 잡고 뒤로 당기기 위한 것으로 다리프레임(12)의 일측에 힌지(61h)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61)와, 이 손잡이(61)가 앞쪽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다리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핀(66)에 의해 일단이 고정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61)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어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밴드(65)로 이루어진 상지운동부(6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에서 의자의 일부를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수직프레임(20)에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프레임(51)과, 이 수평 프레임의 양단에 결속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고정하기 위한 멜빵 형태로 제공되는 어깨밴드(53)로 이루어진 어깨고정부(50)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어깨고정부(50)는 사용자의 양 어깨를 안전하게 결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 어깨가 뒤로 젖혀져서 가슴이 활짝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다양한 어깨결속용 밴드나 멜빵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의 변형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상기 후두받침부(20)의 바로 아래측에 위치한 흉부받침부(3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의자(10)에 앉은 자세에서 손으로 잡고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손잡이(61’)는 일단이 상기 의자(10)를 구성하는 시트프레임(11)의 일단에 힌지(62‘)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61’)의 힌지(62’)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않는 반대편 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다리프레임(12)에 마운팅부재(64’)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61’)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경우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줄(63’)로 이루어진 상지운동부(6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는 크게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골조 역할을 하는 의자(10)와, 이 의자(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받치기 위한 후두받침부(20)와, 상기 의자(10)에 앉은 사용자의 흉추 부분에 해당하는 등 부분을 바르게 펼 수 있도록 지지하는 흉부받침부(30) 그리고 상기 의자(10)에 앉은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를 결착하여 위로 잡아당기는 견인력을 작용하기 위한 견인부(40)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양 어깨를 구속하여 가슴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 지지하는 어깨고정부(50) 끝으로 의자(10)에 앉은 사용자가 후두받침부(20)와 흉부받침부(30)에 의해 경추와 흉추가 바르게 위치하도록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견인력이 작용하고 있을 때 팔운동을 통해 승모근을 비롯한 경추와 흉추 주변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상지운동부(60)로 구성된다.
의자(10)는 사용자가 앉아서 기댈 수 있는 골조를 제공하는 시트프레임(11)과, 이 시트프레임(11)의 하측에 제공되어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다리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의자(10)는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쿠션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등받이쿠션(14)과 방석쿠션(13)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두받침부(20)는 상기 시트프레임(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된 것으로 견인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후두부가 바른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후두부를 받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후두받침부(20)는 상기 시트프레임(11)의 상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안내홈(11e)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포스트(24)와, 상기 수직포스트(2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시트프레임(11)에 나사 체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조작을 받아 그 끝단이 상기 수직포스트(24)의 일단에 마찰 접촉되어 고정력을 작용하거나 또는 고정력을 해제하는 헤드수직나사(25)와,
상기 수직포스트(24)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도록 상기 수직포스트(24)의 일단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끼움되는 수평포스트(22) 그리고 이 수평포스트(2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직포스트(24)에 나사 체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 조작력에 의해 그 끝단이 수평포스트(22)에 마찰 접촉되어 고정력을 작용하거나 또는 해제하는 헤드수평나사(23)로 구성된다.
흉부받침부(30)는 상기 시트프레임(11)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 부분을 향하여 돌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된 흉추패드(31)와, 이 흉추패드(31)를 사용자의 조작력을 이용하여 전,후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흉추조절나사(33)로 구성된다.
이러한 흉부받침부(30)는 상기 시트프레임(11)에 일단이 나사 체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조작력을 받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된 흉추조절나사(33)와, 이 흉추조절나사(33)의 끝단부와 결합 고정되어 연동하여 수평 이동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흉추가 위치한 등 부분에 접촉하여 상기 후두받침부(20)와 함께 흉추가 바르게 위치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을 하는 흉추패드(31)로 구성된다.
견인부(40)는 상기 시트프레임(11) 또는 이에 연결된 구조물에 일단이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를 감싼 상태에서 위로 들어올리는 견인력을 작용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견인부(40)는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를 감싸는 견인부(40)는 탄성력을 갖는 신축밴드로 이루어지되, 착용을 간편하게 하면서 견인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신축밴드의 일단을 분할하고 이들 분할된 부분을 서로 벨크로나 스냅단추를 사용하여 원하는 길이가 되도록 중첩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공지의 가방끈 조절구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어깨고정부(50)는 상기 시트프레임(1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양 어깨를 고정 지지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어깨고정부(50)는 사용자의 양 어깨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프레임(51)과, 이 수평 프레임의 양단에 결속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고정하기 위한 멜빵 형태로 제공되는 어깨밴드(53)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어깨고정부(50)는 사용자의 양 어깨를 안전하게 결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 어깨가 뒤로 젖혀져서 가슴이 활짝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다양한 어깨결속용 밴드나 멜빵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지운동부(60)는 상기 의자(10)를 구성하는 수직프레임(20) 또는 다리프레임(12)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하 방향으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손잡이(61)와, 이 손잡이(61)의 가동 동작에 부하를 작용하여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한 부하요소(6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지운동부(60)는 도 9와 도 10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전,후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61)와, 이 손잡이(61)의 일단에 연결되어 손잡이(61)의 전,후 이동 동작시 부하를 작용하는 작동압 실린더로 제공되는 부하요소(63)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손잡이(61)는 상기 다리프레임(12)의 일측에 힌지(62) 결합되어 회동되게 구비되고, 이 손잡이(61)의 전,후 이동 동작시 연동하는 작동압 실린더로 제공되는 부하요소(63) 역시 그 양단이 자유 회동될 수 있게 힌지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지운동부(60)는 전,후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동작 구현을 위한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또 다른 상지운동부(60)의 실시례로 도 1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10)에 앉은 자세에서 다리프레임(12)에 힌지(61h) 결합된 손잡이(61)를 뒤로 잡아당기고,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고무줄과 같이 탄성력을 가진 탄성밴드(65)에 의해 상기 손잡이(61)가 앞쪽으로 회동되어 위치 복귀되는 구조로도 실시 가능하다.
또 다른 상지운동부(60)의 실시례로는 도 1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손잡이(61’)를 위로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손잡이(61’)의 일단이 상기 의자(10)를 구성하는 요소 중 시트프레임(11)의 일단에 힌지(62‘)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힌지(62’)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않는 반대편 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다리프레임(12)에 마운팅부재(64’)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61’)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경우 아래 방향으로 회동되어 위치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줄(63’)이 연결되는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61’)를 위로 잡아당기면 상기 탄성줄(63’)이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운동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손잡이(61’)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줄(6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61’)는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위치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는 거북목이나 일자목 등의 경우 경추와 흉추의 각도가 바르지 못하고 몸 앞쪽 또는 뒤쪽으로 휘어 있는 상태이므로 후두받침부(20)와 흉부받침부(30)를 이용하여 경추와 흉추의 각도를 바르게 하고, 아울러 어깨고정부(50)를 통해 사용자의 양어깨를 뒤로 잡아 당겨 가슴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사용자의 경추와 흉추가 바르게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견인부(40)에 의해 견인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거북목과 일자목 또는 경추 디스크 질환 등에 대한 양호한 치료 및 교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위와 같이 사용자에게 견인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지운동부(60)를 이용하여 팔운동을 병행하게 되면, 승모근을 비롯한 경추와 흉추의 주변 근육에 대한 강화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거북목이나 일자목 또는 경추 질환의 개선을 위해 목과 등 부분을 바른 각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견인이 이루어지고, 또한 상지운동부(60)를 통해 스스로 팔 운동을 하여 목 주변 근육 인 승모근과 코어근육을 강하게 단련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바른 정렬을 근육에 기억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10 : 의자 11 : 시트 프레임
12 : 다리 프레임 13 : 방석쿠션
14 : 등받이쿠션 20 : 후두받침부
21 : 헤드레스트 22 : 수평포스트
23 : 헤드수평나사 24 : 수직포스트
25 : 헤드수직나사 30 : 흉부받침부
31 : 흉추패드 33 : 흉추조절나사
40 : 견인부 50 : 어깨고정부
60 : 상지운동부 61 : 손잡이
63 : 부하요소

Claims (5)

  1. 시트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와;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후두부가 접촉되는 후두받침부;
    상기 시트 프레임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 부분을 향하여 돌출 이동되게 구비된 흉추패드 및 조작력을 받아 흉추패드를 전후 이동되게 하는 흉추조절나사로 된 흉부받침부;
    상기 시트 프레임 또는 이에 연결된 구조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를 감싸는 것으로 견인력을 작용하는 견인부 및 상기 시트 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양 어깨를 고정지지하는 어깨고정부;
    상기 다리 프레임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 및 이 손잡이의 일단에 연결되어 손잡이의 동작에 부하를 작용하는 부하요소로 된 상지운동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받침부는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안내홈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포스트와;
    상기 수직포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시트프레임에 나사 체결되어 조작력에 의해 그 끝단이 수직포스트에 마찰접촉되어 고정력을 작용하는 헤드수직나사와;
    상기 수직포스트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일단이 수직포스트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끼움 삽입되는 수평포스트와;
    상기 수평포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직포스트에 나사 체결되어 조작력에 의해 그 끝단이 수평포스트에 마찰 접촉되어 고정력을 작용하는 헤드수평나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받침부는,
    상기 시트 프레임에 일단이 나사체결되어 조작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된 흉추조절나사와;
    상기 흉추조절나사의 끝단부와 결합 고정되어 연동하여 수평 이동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흉추가 위치한 등부분에 접촉하여 상기 후두받침부와 함께 흉추가 정렬되게 각도조절을 하는 흉추패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수직포스트에 일단이 고정 지지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턱과 후두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신축밴드로 이루어지되, 그 일단은 분할되어 서로 벨크로 또는 스냅단추로 연결되는 구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운동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의자에 힌지 결합 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의자의 일측에 연결된 실린더 또는 고무재로 된 탄성밴드로 구성되어 손잡이의 가동시 부하를 작용하는 부하요소;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KR1020200124335A 2020-09-25 2020-09-25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KR10250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335A KR102501550B1 (ko) 2020-09-25 2020-09-25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335A KR102501550B1 (ko) 2020-09-25 2020-09-25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967A true KR20220041967A (ko) 2022-04-04
KR102501550B1 KR102501550B1 (ko) 2023-02-22

Family

ID=8118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335A KR102501550B1 (ko) 2020-09-25 2020-09-25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55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840Y1 (ko) * 2003-05-16 2003-07-31 정재봉 다목적 헬스 의자
KR20060099369A (ko) 2005-03-08 2006-09-19 강신묵 목 디스크 방지용 의자
KR100886667B1 (ko) 2008-12-02 2009-03-04 주식회사 나인텍 자중 경추견인의자
KR20100050019A (ko) * 2008-11-04 2010-05-13 이청기 척추 교정기
KR20130017302A (ko) * 2011-08-10 2013-02-20 손성섭 목 디스크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KR20180086658A (ko) 2017-01-23 2018-08-01 성태수 경추견인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102124863B1 (ko) 2018-07-31 2020-07-07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840Y1 (ko) * 2003-05-16 2003-07-31 정재봉 다목적 헬스 의자
KR20060099369A (ko) 2005-03-08 2006-09-19 강신묵 목 디스크 방지용 의자
KR20100050019A (ko) * 2008-11-04 2010-05-13 이청기 척추 교정기
KR100886667B1 (ko) 2008-12-02 2009-03-04 주식회사 나인텍 자중 경추견인의자
KR20130017302A (ko) * 2011-08-10 2013-02-20 손성섭 목 디스크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KR20180086658A (ko) 2017-01-23 2018-08-01 성태수 경추견인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102124863B1 (ko) 2018-07-31 2020-07-07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550B1 (ko) 202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KR101272196B1 (ko)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US20170027800A1 (en) Spinal Therapy Apparatus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0420947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WO2022164054A1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20200136288A (ko) C자형 경추 교정을 위한 마사지장치
KR20100008607U (ko) 척추 복합 견인기
WO2015019351A2 (en) Novik mehanurgichesky table or portable traction apparatus for manual therapy and massage
KR102325166B1 (ko)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KR102501550B1 (ko)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US20020128576A1 (en) Back rehab exercise bench
KR20210132831A (ko) 경추의 견인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KR101652056B1 (ko) 척추 교정 장치
KR20220110372A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KR20200136287A (ko) 경추의 스트레칭 작용을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200270421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2386785B1 (ko)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경추 마사지 장치
KR102517547B1 (ko) 페달형 운동기구용 하지부동 보정장치
KR200270422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