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791A -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장치, 기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장치, 기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791A
KR20220041791A KR1020220032380A KR20220032380A KR20220041791A KR 20220041791 A KR20220041791 A KR 20220041791A KR 1020220032380 A KR1020220032380 A KR 1020220032380A KR 20220032380 A KR20220032380 A KR 20220032380A KR 20220041791 A KR20220041791 A KR 20220041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broadcasting
broadcasting room
live
video stream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쥔 지앙
웨이타오 쑤
관칭 왕
Original Assignee
바이두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두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두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장치, 기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정보 흐름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인 실현 방안은,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제1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고;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생방송의 렉 걸리는 현상을 감소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장치, 기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FOR PROCESSING LIVE BROADCAST INFORMATION, APPARATUS,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정보 흐름 등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네트워크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네트워크는 4G시대로부터 이미 점차적으로 5G시대에 진입하기 시작하고 있다.
네트워크 제품의 종류도 갈수록 다양화되고, 사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문자, 이미지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영상도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전송 기술, 전송 속도의 가속화로 인해, 사람들은 원거리에서 채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해상도의 생방송 영상 데이터도 원거리에서 전송할 수 있으며, 녹화 단말과 영상 화면 수신 단말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상호 교류할 수 있다. 원거리 생방송 영상은 상업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영상을 통해 구매하려는 상품에 대해 미리 볼 수 있도록 편리화하고, 또한 원거리 오락, 미팅, 교학 등을 진행할 수 있다.
5G시대에서, 사람들은 네트워크 사용 체험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고, 마찬가지로, 생방송 체험에 대한 요구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생방송 제품은 어느 정도의 렉 걸리는 현상이 존재하여, 사용자 체험을 저감시키고 있다.
본 개시내용은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장치, 기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측면에 따르면,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제1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는 단계; 및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해당 장치는,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제1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한 제1 재생 프레임 획득 모듈;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커널 데이터 생성 모듈;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기 위한 제1 생방송실 비디오 스트림 채취 모듈; 및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한 제1 생방송실 재생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제공하며, 해당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해당 메모리에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며, 해당 명령은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해당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본 출원의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실현한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 따르면, 재생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제1 생방송실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고, 제1 생방송실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 미리 채취 조작을 진행한 것에 상당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며, 제1 커널 데이터는 후속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생방송 재생 명령을 수신한 후, 직접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으며, 생방송 명령이 하달된 후의 로딩 시간을 단축하고, 제1 생방송실의 방송 시작시의 렉 걸리는 현상을 감소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내용 부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관건적이거나 중요한 특징을 표기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도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기타 특징은 아래의 명세서를 통해 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은 본 기술방안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기 위한 것이지, 본 개시내용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한 예시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a-C는 본 개시내용의 한 예시에 따른 제1 이벤트의 개략도이다.
도 13a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에 따른 생방송 과정의 개략도이다.
도 13b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에 따른 생방송 과정에서 사용자가 스와이프하여 전환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에 따른 제2 이벤트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결부하여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되, 여기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세부절차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은 응당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해당 분야 기술자들은 여기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변화와 수정을 진행할 수 있고, 이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명확함과 간결함을 위하여, 아래의 설명에서는 공지 기능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우선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제1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S11);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는 단계(S13); 및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은, 사용자가 생방송 카드를 클릭하는 것을 통해 하달한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일 수 있으며, 도 1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패널에서 손가락(123)으로 APP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중의 하나의 생방송 카드(제1 생방송실에 대응됨)를 터치하는 것을 통하여, 재생 명령을 하달한다.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은, 또한 사용자가 스와이프 등 조작을 통하여 하달한 생방송실을 전환하여,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재생을 일으키는 명령일 수 있다.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은, 또한 사용자가 링크 클릭, 코드 스캔 등 조작을 통하여, 직접 제1 생방송실에 진입하는 명령일 수 있다.
제1 생방송실은 전문적인 생방송 플랫폼에서 설치한 생방송실일 수 있으며, 화상 회의, 웹 컨퍼런스 등 툴에서 비디오 생방송에 관련되는 기능에 의해 생성된 생방송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생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생방송실에 입장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사용자는 회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디오 기능을 작동시키고, 양쪽 단말에서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진행하여 생방송의 효과에 달성하는 것에 상당하며, 이런 경우, 비디오가 녹화되는 한쪽 단말에 대응되는 비디오 재생 모듈을 제1 생방송실로 간주할 수 있다.
제1 이벤트는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미리 로딩하는 트리거 이벤트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는 APP(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를 통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브라우징하고, 네트워크 정보에는 생방송 카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가 APP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진입하는 것을 제1 이벤트로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사용자는 APP를 통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브라우징하고, 네트워크 정보에는 생방송 리디렉션 링크 또는 생방송 리디렉션 QR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리디렉션 링크 또는 생방송 리디렉션 QR코드가 APP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진입하는 것을 제1 이벤트로 할 수 있다.
도 1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1호 생방송실(121)은 완전히 APP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진입하였으며, 1호 생방송실(121)은 제1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인정하고, 이때, 사용자는 아직 1호 생방송실의 생방송을 클릭 또는 트리거하지 않았으며, 즉 사용자는 아직 재생 명령을 발송하지 않았으며, 도 1에서 도시한 단계(S11-S14)을 실행할 수 있다.
여전히 도 12a를 참조하면, 2호 생방송실(122)은 아직 완전히 APP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진입하지 않았으며, 2호 생방송실(122)은 아직 제1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인정하고, 이때, 사용자는 아직 2호 생방송실의 생방송을 클릭 또는 트리거하지 않았으며, 즉 사용자는 아직 재생 명령을 발송하지 않았으며, 도 1에서 도시한 단계를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123)으로 터치 패널을 상하 스와이프하는 것을 통하여, 2호 생방송실로 하여금 완전히 APP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진입하여, 2호 생방송실로 하여금 제1 이벤트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생방송실의 링크 또는 타이틀(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틀1, 타이틀2)이 APP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진입하면, 제1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인정한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생방송 카드가 APP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진입하였으면, 해당 4개의 생방송 카드에 대해, 모두 제1 이벤트가 발생하였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실제 발생한 이벤트에 조건을 결합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APP를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브라우징하며, 네트워크 정보에는 복수의 생방송 카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와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가 APP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진입하였고, 그런데 제1 생방송실은 사용자에 의해 관람한 적이 있고, 제2 생방송실은 사용자에 의해 관람한 적이 없으면,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만 획득하고,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2 재생 프레임은 획득하지 않는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실제 발생한 이벤트에 기타 조건을 결합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APP를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브라우징하며, 네트워크 정보에는 복수의 생방송 카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와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가 APP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진입하였고, 그런데 제1 생방송실의 재생 계정이 사용자에 의해 팔로우하였거나 즐겨 찾기에 추가하였고, 제2 생방송실의 재생 계정은 사용자가 팔로우하지 않았거나 즐겨 찾기에 추가하지 않았으면,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만 획득하고,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2 재생 프레임은 획득하지 않는다.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제1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는 것은, 사용자가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하달하기 전의 생방송 데이터를 미리 획득하거나 미리 로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재생 프레임은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데이터에 대해 미리 획득 또는 미리 로딩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첫번째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재생 프레임은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의 임의 시간점에서의 비디오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한 것을 확정한 경우,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할 때에 동시에 획득한 제1 생방송실의 관련 생방송에 필요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커널 데이터는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는데 이용되어, 재생 단말에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도록 한다.
제1 커널 데이터가 생성된 후, 지정된 저장 공간에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는 것은,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1 커널 데이터에 포함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 재생에 필요한 준비 데이터의 기초상에, 계속하여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여,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의 정상적인 재생을 실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재생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제1 생방송실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되, 제1 생방송실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의 미리 채취 조작을 진행한 것에 상당하며, 본 실시예에서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커널 데이터는 후속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데 이용되고, 따라서 생방송 재생 명령을 수신한 후, 직접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으며, 생방송 명령이 하달된 후의 로딩 시간을 단축하고, 제1 생방송실의 방송 시작시의 렉 걸리는 현상을 감소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는 것은,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을 미리 로딩할 때까지, 서브 스레드(Sub Thread)를 통해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데이터를 미리 로딩하고, 미리 로딩 과정에서 로딩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을 제1 재생 프레임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브 스레드를 통해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데이터를 미리 로딩하는 것은, 제1 생방송실의 방송 시작 준비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에 대해 미리 로딩하고,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이 로딩되면, 제1 생방송실의 미리 로딩 조작을 종료할 수 있다고 확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리 로딩 조작의 단계는 사용자가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를 클릭한 후 실행하는 로딩(Loading)조작의 단계와 동일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데이터를 미리 로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생방송 데이터는 생방송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재생 단말에서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기타 데이터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프로토콜, 데이터 포맷 정보 등이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일정한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제1 재생 프레임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제1 재생 프레임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스레드를 통해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데이터를 미리 로딩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상적인 네트워크 툴 사용 조작, 네트워크 데이터 브라우징 조작 등 조작에 간섭을 유발하지 않도록 한다. 미리 로딩 조작은 제1 생방송실의 임의의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을 미리 로딩할 때까지 실행하며, 따라서 미리 로딩한 데이터가 수량이 너무 많아 재생 단말에 대해 추가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한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미리 로딩하는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에 대해 재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생방송실의 패스쓰루 프로토콜(pass-through protocol)과 데이터 포맷을 획득하는 단계;
패스쓰루 프로토콜 및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 포맷과 재생 단말의 데이터 포맷에 근거하여, 수신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를 생성하는 단계; 및
디코더와 제1 재생 프레임이 미리 로딩될 때 획득한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생방송실의 패스쓰루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을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생방송실의 페스쓰루 프로토콜 및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 포맷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는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데이터 포맷을 재생 단말의 데이터 포맷으로 전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재생 단말로 하여금 생방송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코더와 제1 재생 프레임이 미리 로딩될 때 획득한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후, 직접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하달한 후의 로딩 시간을 감소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는 단계는,
제1 생방송실의 패스쓰루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최초 비디오 스트림을 획득하는 단계; 및
디코더를 이용하여 최초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디코딩하여,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생방송실의 최초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는 미리에 생성된 디코더이며,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하달한 후부터 사용자가 생방송 화면을 볼 수 있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가 설정된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범위에 나타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생방송 카드가 설정된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범위에 나타나는 것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데이터를 스와이프하여 브라우징하는 것을 통하여, 생방송 카드로 하여금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범위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자동 팝업 등 방식을 통해, 생방송 카드로 하여금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범위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된 시간점에 도달하는 것 등 일수 있다.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가 설정된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범위에 나타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하달한 후,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에 대해 신속히 재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은,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2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S21);
제2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2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2);
설정된 제2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2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는 단계(S23); 및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S24)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2 생방송실은 제1 생방송실과 관련되는 생방송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생방송실은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스와이프 전환을 통해 전환할 수 있는 제1 생방송실의 이웃 생방송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데이터를 미리 로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제2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하달할 때,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신속하게 재생하기에 편리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제1 생방송실로부터 제2 생방송실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생방송실로부터 제2 생방송실로 전환하는 것은, 임의의 방식을 통해, 제1 생방송실로부터 제2 생방송실로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상하 스와이프 또는 좌우 스와이프 조작을 통하여, 생방송실사이의 전환을 진행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2 이벤트는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벤트일 수 있으며, 도 1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생방송실(131)의 생방송 과정일 수 있다. 도 1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벤트는 사용자가 손가락(132)으로 패널을 스와이프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또한 설정된 전환 버튼을 통하여, 생방송실의 전환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미리 로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생방송실로부터 제2 생방송실로 전환함으로써, 전환할 때, 비디오 재생의 유창함을 보증할 수 있고, 랙 걸림을 감소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은,
설정된 제3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과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동시에 재생하는 단계(S31)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3 이벤트는 자체 정의하기 위한 이벤트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동시에 재생할 시, 설정에 근거하여, 그중 하나의 생방송실에 대해 음성 재생을 음소거로 할 수 있다. 또한 두 생방송실의 생방송 오디오 스트림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이벤트를 검측하였을 때,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과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체험을 진일보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설정된 제3 이벤트는, 제1 생방송실에 대응되는 창과 제2 생방송실에 대응되는 창이 동시에 생방송 재생 단말의 재생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141)으로 제1 생방송실(142)을 스와이프할 때, 제1 생방송실(142)의 전환조작을 진행하며, 제1 생방송실(142)의 화면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점차적으로 사라지고, 제2 생방송실(143)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나타나기 시작하며, 이런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생방송실(142)의 일부 화면과 제2 생방송실(143)의 일부 화면을 동시에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이런 경우, 제1 생방송실(142)과 제2 생방송실(143)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시에 나타난 제1 생방송실의 창과 제2 생방송실의 창은 동일한 창일 수 있고 부동한 창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스와이프하여 생방송실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 생방송실의 창과 제2 생방송실의 창이 동시에 생방송 재생 단말에 나타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두 생방송실의 비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생방송실의 비디오 로딩 과정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예시에서, 재생 단말은 생방송에 대해 프로토콜의 미리 정의를 진행할 수 있으며, 미리 정의를 통하여, 재생 단말이 재생하는 Scheme (생방송 주소)을 생성한다. 생방송Scheme은 구체적으로: demoApp://live/enter?params={"screen":"1","play_url":"http://flv.live.lss-user.bai.com/live/stream_bduid_20085969-L1.flv","roomId":"3345678"} 일 수 있다.
미리 정의된 프로토콜은 재생 단말의 수직 화면 재생과 수평 화면 재생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생방송실 재생 주소를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생방송실 ID(Identity)를 식별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재생 단말은 핸드폰,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등일 수 있다. 재생 단말의 재생 툴은 APP, 브라우저 등일 수 있으며, 재생 단말의 재생 툴은 우선 종속 프레임 워크를 도입해야 하며, 예를 들면, 오픈 소스 프레임 워크 IJKMediaFramework를 사용할 수 있으며, 종속 프레임 워크는 종속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되는 프레임 워크를 인입한 후, 재생 단말은 헤더 파일 경로를 추가해야 하며, 예를 들면, IJKMediaFramework 종속 프레임 워크에 대해, Build Settings -> Header Search Paths에 IJKMediaFramework의 경로를 추가할 수 있으며, 그리고 Build Settings 중의, Other Linker Flags에 종속 프레임 워크를 호출하는 함수(예를 들면 함수 -fobjc-arc 및 -ObjC)를 추가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Bitcode를 사용 금지할 수 있으며, 자동 자르기 기능 등을 오프할 수 있다. 이외에 일부 개인 정보 설정을 설치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는 IJKMediaFramework에 대해 일부 수정을 진행하여, 본 개시내용의 미리 로딩 등 기능을 실현하도록 할 수 있다. 종속 프레임 워크를 호출하여 미리 방송을 진행할 때, 디코더를 생성하고, 첫 프레임을 채취하고 바로 중지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인 인터페이스를 브라우징하는 과정에서, 재생 단말의 화면에 프로토콜을 포함한 생방송 카드가 나타나면, 서브 스레드를 작동하여 미리 로딩을 진행하며, 생방송 카드가 대응하는 생방송실의 임의의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을 미리 로딩할 때까지 로딩하고 중지하며, 미리 로딩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커널 데이터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클릭하여 생방송 페이지에 진입한 경우, 직접 생방송 생성, 플레이어 생성을 진행하며, 방금 미리 로딩한 커널 데이터를 획득하여 재생한다.
생방송 카드에 대응하는 생방송실의 상세 데이터를 채취하고, 생방송실 리스트 데이터를 채취하고 렌더링(Rendering)을 진행하여, 생방송 카드에 대응하는 생방송실의 비디오 재생을 실현한다.
다른 예시에서, 사용자는 현재 생방송실에서 재생하기 시작하고, 현재 생방송실의 첫 프레임이 렌더링에 성공한 후, 다음의 생방송실의 데이터를 미리 로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방송실을 전환하려고 할 때, 생방송실 플레이어 컴포넌트를 생성하기 시작하며, 방금 미리 로딩한 커널 데이터를 획득하고, 음소거 재생의 방식으로 전환 목표에 대응하는 생방송실에 대해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와이프를 완성하면, 전환 목표에 대응하는 생방송실은 음성 재생하며, 전환 목표에 대응하는 생방송실의 첫 프레임은 이미 렌더링에 성공하고, 또 다시 전환 목표에 대응하는 생방송실의 다음의 생방송실 데이터를 미리 로딩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안은, 생방송실의 방송 시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와이프하는 과정에서 재생하도록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렉 걸리지 않고, 로딩(Loading)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예시에 있어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은 제1 생방송실 재생 과정에서의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계(S41):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한 것을 검측해낸다.
단계(S42): 사용자가 화면에서 위로 스와이프하는 것을 검측해낸다.
단계(S43): 새로운 제2 생방송실에 대응하는 화면이 나타난 것을 검측해낸다.
단계(S44):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여 음소거 재생한다.
단계(S45): 사용자가 스와이프를 완성한 것을 검측해낸다.
단계(S46): 제1 생방송실에 대응하는 화면이 사라진 것을 검측해낸다.
단계(S47):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여 음성 재생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에서, 도 5에 도시된 흐름을 포함한다. 즉:
단계(S51): 사용자가 생방송 툴의 메인 페이지에 대한 브라우징 조작을 검측해낸다. 여기서, 생방송 툴의 메인 페이지는 관련 프로토콜을 준수한다.
단계(S52): 사용자가 메인 페이지의 링크를 클릭한 것을 검측해낸다.
단계(S53): 메인 페이지에 대한 브라우징 과정에서, 생방송 카드가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진입하면, 생방송 카드에 대응하는 생방송실에 대해 미리 로딩한다.
단계(S54): 메인 페이지의 링크를 클릭하여, 링크에 대응되는 페이지에 진입한 후, 페이지속의 생방송실에 대해 미리 로딩한다.
단계(S55): 사용자가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하달한 후, 생방송실을 생성한다.
단계(S56): 사용자가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하달하기 전에, 서브 스레드를 작동하여 미리 방송을 진행하고, 생방송실 상세 정보를 획득하고, 기타 컴포넌트 펜던트를 로딩하고, 생방송 리스트 등을 획득한다. 사용자가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하달한 후, 메인 스레드를 통해 미리 재생하여, 생방송실 상세 정보를 획득하고, 기타 컴포넌트 펜던트를 로딩하고, 생방송 리스트 등을 획득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예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계(S61): 재생 단말은 현재 생방송실의 재생 과정에 있다(첫 프레임 재생 성공).
단계(S62): 다음의 생방송실을 획득한다.
단계(S63): 다음의 생방송실에 대해 미리 로딩한다.
단계(S64): 사용자가 현재 생방송실 재생 인터페이스에 대한 스와이프 조작을 검측하였을 때, 다음의 생방송실의 플레이어 컴포넌트를 생성한다.
단계(S65): 현재 생방송실의 화면이 아직 완전히 전환하기 전에, 음소거 방식으로 다음의 생방송실을 재생하고, 동시에 생방송실 상세 정보, 생방송 리스트를 획득하고, 기타 컴포넌트 펜던트를 로딩한다.
단계(S66): 첫 프레임의 렌더링에 성공할 때까지 미리 로딩한 경우, 또는 완전히 다음의 생방송실에 전환한 경우, 계속하여 다음 생방송실의 다음 생방송실에 대해 미리 로딩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제1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한 제1 재생 프레임 획득 모듈(71);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커널 데이터 생성 모듈(72);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기 위한 제1 생방송실 비디오 스트림 채취 모듈(73); 및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한 제1 생방송실 재생 모듈(74)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제1 재생 프레임 획득 모듈은 또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을 미리 로딩할 때까지, 서브 스레드를 통해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데이터를 미리 로딩하고, 미리 로딩 과정에서 로딩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을 제1 재생 프레임으로 하는데 이용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널 데이터 생성 모듈은,
제1 생방송실의 패스쓰루 프로토콜과 데이터 포맷을 획득하기 위한 관련 정보 획득 유닛(81);
패스쓰루 프로토콜 및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 포맷과 재생 단말의 데이터 포맷에 근거하여, 수신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를 생성하기 위한 디코더 생성 유닛(82); 및
디코더와 제1 재생 프레임을 미리 로딩할 때 획득한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유닛(83)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생방송실 비디오 스트림 채취 모듈은,
제1 생방송실의 패스쓰루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최초 비디오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한 최초 비디오 스트림 획득 유닛(91); 및
디코더를 이용하여 최초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디코딩하여,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한 디코딩 유닛(92)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가 설정된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범위에 나타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2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한 제2 재생 프레임 획득 모듈 (101);
제2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2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커널 데이터 생성 모듈(102);
설정된 제2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2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기 위한 제2 생방송실 비디오 스트림 채취 모듈(103); 및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생방송실 비디오 스트림 재생 모듈(104)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제1 생방송실로부터 제2 생방송실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는,
설정된 제3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과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동시 재생 모듈(111)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설정된 제3 이벤트는 제1 생방송실에 대응되는 창과 제2 생방송실에 대응되는 창이 동시에 생방송 재생 단말의 재생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각 장치중의 각 유닛, 모듈 또는 서브 모듈의 기능은, 상기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전자기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예시의 전자기기(15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자기기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서버, 블레이드 서버, 메인프레임 컴퓨터 및 기타 적합한 컴퓨터와 같은 여러 가지 형식의 디지털 컴퓨터를 가리킨다. 전자기기는 개인 디지털 프로세싱,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웨어러블 기기 및 기타 유사한 컴퓨팅 장치와 같은 여러 가지 형식의 이동장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부품, 이들의 연결과 관계 및 이들의 기능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 및/또는 요구한 본 개시내용의 구현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50)는 컴퓨팅 유닛(151)을 포함하며, 해당 유닛은 읽기 전용 메모리 ROM(15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저장유닛(158)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153)에 로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각종 적당한 동작과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RAM(153)에는 전자기기(150)의 조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유닛(151), ROM(152) 및 RAM(153)은 버스(154)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55)도 버스(154)에 연결되어 있다.
전자기기(150)내의 복수의 부품도 I/O 인터페이스(155)에 연결되며, 이런 부품은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등 입력유닛(156); 각종 유형의 디스플레이 기기, 스피커 등 출력유닛(157); 자기 디스크, 시디롬 등 저장유닛(158); 및 네트워크 카드, 모뎀, 무선 통신 트랜시버 등 통신 유닛(159)을 포함한다. 통신유닛(159)은 전자기기(150)로 하여금 예를 들면 인터넷의 컴퓨터 네트워크 및/또는 각종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기타 기기들과 정보/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허용한다.
컴퓨팅 유닛(151)은 각종 프로세싱 및 컴퓨팅 능력을 구비한 범용 및/또는 전용 프로세싱 컴포넌트일 수 있다. 컴퓨팅유닛(151)의 일부 예시로서, 중앙 처리 장치(CPU), 그래픽 처리 장치(GPU), 각종 전용의 인공지능(AI) 컴퓨팅 칩, 각종 머신러닝 모델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컴퓨팅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및 임의의 적당한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컴퓨팅 유닛(151)은 상기에서 설명한 각 방법과 처리를 실행하며, 예를 들면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실현되며, 유형의 형식으로 기계판독 가능한 매체, 예를 들면 저장유닛(158)에 포함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가 ROM(152) 및/또는 통신유닛(159)을 거쳐 전자기기(150)에 로딩 및/또는 장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RAM(153)에 로딩되어 컴퓨팅 유닛(15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에 설명한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의 하나 또는 복수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예비방안으로서, 기타 실시예에서, 컴퓨팅 유닛(151)은 기타 임의의 적당한 방식(예를 들면, 펌웨어를 빌어)을 통해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시스템과 기술의 여러 가지 실시방식은 디지털 전자회로 시스템, 집적회로 시스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전용 집적회로(ASIC), 특정 용도 표준 제품(ASSP), 시스템 온 칩(SOC),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CPLD),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실시방식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시스템에서 실행 및/또는 해석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는 전용 또는 범용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로서,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에서 데이터와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와 명령을 해당 저장 시스템, 해당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 및 해당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이런 프로그램 코드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제공되어, 프로그램 코드로 하여금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될 때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 규정된 기능/조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부가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고, 일부가 기기에서 실행될 수도 있고, 또한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일부가 기기에서 실행되고 일부가 원격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고 또는 완전히 원격 기기 또는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상하 문장에서,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는 유형의 매체일 수 있으며, 해당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 또는 저장할 수 있다.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 혹은 상기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시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에 기반한 전기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소거 프로그램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휴대용 콤팩트 읽기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장치,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상기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기서 설명하는 시스템과 기술을 컴퓨터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CRT(Cathode Ray Tube, 음극선관) 또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키보드와 포인팅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 볼)을 구비하고, 사용자는 해당 키보드와 해당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유형의 장치도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사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된 피드백은 모든 형식의 감각 피드백(예를 들어,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일 수 있고; 모든 형식(소리 입력, 음성 입력 또는 촉각 입력을 포함함)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시스템과 기술을 백그라운드 부품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 또는 미들웨어 부품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프런트엔드 부품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구비한 사용자 컴퓨터, 사용자는 해당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해당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통해 여기서 설명한 시스템과 기술의 실시형태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백그라운드 부품, 미들웨어 부품 또는 프런트엔드 부품을 포함하는 임의의 조합의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임의의 형식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을 통해 시스템의 부품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시는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원격으로 설치된 동시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한다. 상응하는 컴퓨터에서 운행되고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를 발생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이상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형태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단계를 다시 정렬시키고 증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내용에서 기재한 각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는 바, 본 개시내용에서 공개한 기술방안에서 기대하는 결과를 실현할 수만 있다면, 본문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범위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해당 분야 기술자들은 설계 요구와 기타 요소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수정, 조합, 하위 조합과 대체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그 어떤 수정, 균등한 대체와 개량은 모두 본 개시내용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1)

  1.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제1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는 것은,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을 미리 로딩할 때까지, 서브 스레드를 통해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데이터를 미리 로딩하고, 미리 로딩 과정에서 로딩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을 상기 제1 재생 프레임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기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생방송실의 패스쓰루 프로토콜과 데이터 포맷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패스쓰루 프로토콜 및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 포맷과 재생 단말의 데이터 포맷에 근거하여, 수신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더와 상기 제1 재생 프레임을 미리 로딩할 때 획득한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기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생방송실의 패스쓰루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최초 비디오 스트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최초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디코딩하여,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는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가 설정된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범위에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2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2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설정된 제2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상기 제2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상기 제1 생방송실로부터 상기 제2 생방송실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설정된 제3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상기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과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동시에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제3 이벤트는, 상기 제1 생방송실에 대응되는 창과 상기 제2 생방송실에 대응되는 창이 동시에 생방송 재생 단말의 재생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10.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제1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1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한 제1 재생 프레임 획득 모듈;
    상기 제1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커널 데이터 생성 모듈;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기 위한 제1 생방송실 비디오 스트림 채취 모듈; 및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한 제1 생방송실 재생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프레임 획득 모듈은 또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을 미리 로딩할 때까지, 서브 스레드를 통해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데이터를 미리 로딩하고, 미리 로딩 과정에서 로딩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프레임을 상기 제1 재생 프레임으로 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널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제1 생방송실의 패스쓰루 프로토콜과 데이터 포맷을 획득하기 위한 관련 정보 획득 유닛;
    상기 패스쓰루 프로토콜 및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 포맷과 재생 단말의 데이터 포맷에 근거하여, 수신한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를 생성하기 위한 디코더 생성 유닛; 및
    상기 디코더와 상기 제1 재생 프레임을 미리 로딩할 때 획득한 제1 생방송실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1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방송실 비디오 스트림 채취 모듈은,
    상기 제1 생방송실의 패스쓰루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제1 생방송실의 최초 비디오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한 최초 비디오 스트림 획득 유닛; 및
    상기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최초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디코딩하여,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한 디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는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카드가 설정된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범위에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방송실의 생방송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제2 생방송실의 생방송 과정에서의 제2 재생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한 제2 재생 프레임 획득 모듈;
    상기 제2 재생 프레임에 근거하여, 미리 로딩한 제2 커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커널 데이터 생성 모듈;
    설정된 제2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상기 제2 커널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채취하기 위한 제2 생방송실 비디오 스트림 채취 모듈; 및
    상기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생방송실 비디오 스트림 재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상기 제1 생방송실로부터 상기 제2 생방송실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설정된 제3 이벤트가 검측된 경우, 상기 제1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과 제2 생방송실의 비디오 스트림을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동시 재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제3 이벤트는 상기 제1 생방송실에 대응되는 창과 상기 제2 생방송실에 대응되는 창이 동시에 생방송 재생 단말의 재생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방송 정보 처리 장치.
  19.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0. 컴퓨터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2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32380A 2021-03-17 2022-03-15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장치, 기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417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289241.2A CN113038237B (zh) 2021-03-17 2021-03-17 直播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202110289241.2 2021-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791A true KR20220041791A (ko) 2022-04-01

Family

ID=7647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380A KR20220041791A (ko) 2021-03-17 2022-03-15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장치, 기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91556A1 (ko)
JP (1) JP2022145503A (ko)
KR (1) KR20220041791A (ko)
CN (1) CN1130382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9299B (zh) * 2021-12-30 2023-07-11 广州万物集工业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商品直播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9120A (ja) * 2001-06-21 2003-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プロトコル、プログラム
JP2005352539A (ja) * 2004-06-08 2005-12-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016618A (ja) * 2008-07-03 2010-01-21 Sharp Corp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US9063640B2 (en) * 2013-10-17 2015-06-23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edia items in a plurality of sequences of media items
US9749379B2 (en) * 2013-10-31 2017-08-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video service in hybrid network
JP6043825B2 (ja) * 2015-03-20 2016-12-14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配信装置
EP3272126A1 (en) * 2015-03-20 2018-01-24 Twitter, Inc. Live video stream sharing
CN105681912A (zh) * 2015-10-16 2016-06-15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和装置
CN106817613B (zh) * 2015-11-30 2020-08-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实现音视频内容播放的方法和装置
CN107888968A (zh) * 2017-11-21 2018-04-06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直播视频的播放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401866B (zh) * 2018-04-25 2022-05-20 广州虎牙信息科技有限公司 直播视频的显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8769727B (zh) * 2018-06-15 2021-12-21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直播视频预加载方法及装置
CN109729387B (zh) * 2019-01-07 2021-05-14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hls协议的网络直播在故障恢复后的播放方法及系统
US20210044640A1 (en) * 2019-08-09 2021-02-11 Guru Network Limited Livestreaming interactive content to a digital media platform
CN112492347A (zh) * 2019-09-12 2021-03-12 上海哔哩哔哩科技有限公司 处理信息流、显示弹幕信息的方法及信息流处理系统
CN110662086A (zh) * 2019-10-31 2020-01-07 成都威爱新经济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5g高清直播系统及视频处理方法
CN110958465A (zh) * 2019-12-17 2020-04-03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视频流推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355976B (zh) * 2020-03-31 2022-10-11 北京东方国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hevc标准的视频直播方法及系统
US11531873B2 (en) * 2020-06-23 2022-12-20 Stmicroelectronics S.R.L. Convolution acceleration with embedded vector decompression
CN112383787B (zh) * 2020-11-03 2022-05-27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直播间创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38237A (zh) 2021-06-25
JP2022145503A (ja) 2022-10-04
CN113038237B (zh) 2023-02-21
US20220191556A1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70626B (zh) 视频素材的处理方法、视频合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8954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video,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9413483B (zh) 直播内容的预览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1901674B (zh)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及装置
WO2017173793A1 (zh) 一种视频投屏方法及装置
WO2020233142A1 (zh) 多媒体文件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271105B2 (en) Method for playing video, cli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3691829B (zh) 虚拟对象互动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US11482257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08011951B (zh) 远程协助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WO20150279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rocess for recording media content
US20220292875A1 (en) Faci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2358012B1 (ko) 음성 제어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N111541930A (zh) 直播画面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652763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O2023104102A1 (zh) 一种直播评论展示方法、装置、设备、程序产品及介质
US20240064367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143299A1 (zh) 消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41791A (ko) 생방송 정보 처리 방법, 장치, 기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901695A (zh) 视频内容截取方法、装置和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4697755A (zh) 虚拟场景信息交互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JP2023522092A (ja) インタラクション記録生成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媒体
CN113891135B (zh) 一种多媒体数据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18149170A1 (zh) 一种跨应用控制方法及装置
CN106303643A (zh) 遥控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