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674A -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674A
KR20220041674A KR1020200125245A KR20200125245A KR20220041674A KR 20220041674 A KR20220041674 A KR 20220041674A KR 1020200125245 A KR1020200125245 A KR 1020200125245A KR 20200125245 A KR20200125245 A KR 20200125245A KR 20220041674 A KR20220041674 A KR 20220041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imeria
mangosteen
ppm
coccidiosis
protozo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민
김휘재
박민아
손규열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0012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674A/ko
Priority to JP2023519068A priority patent/JP2023544537A/ja
Priority to US18/024,949 priority patent/US20230321171A1/en
Priority to PCT/KR2021/013035 priority patent/WO2022065911A1/ko
Priority to CN202180065478.0A priority patent/CN116234451A/zh
Priority to EP21872939.0A priority patent/EP4218418A1/en
Publication of KR20220041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61P33/04Amoebi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0Anthelmin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untreated material, e.g. fruit juice or sap obtained from fresh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일 예에 따른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콕시듐증을 유도할 수 있는 원충에 대한 직접 사멸 효과, 상기 원충의 세포 침투 억제 효과, 및/또는 세포 내 상기 원충 증식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생체 내 콕시듐증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Anti-coccidial composition comprising mangosteen and uses thereof}
본 출원은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콕시듐증은 아이메리아 (Eimeria) 라고 하는 첨복포자충문 (phylum apicomplexan)에 속하는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초래되는 장 관련 질환으로서, 콕시듐증에 감염되면 소화장애, 설사, 체중 감소의 증상을 나타내고 더 나아가 가축 폐사까지 일으키며 전세계 농가에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Williams RB. A compartmentalised model for the estimation of the cost of coccidiosis to the world's chicken production industry. Int J Parasitol. 1999; 29(8):1209-1229).
지난 몇 년간 많은 연구진들에 의하여, 콕시듐증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오시스트 세포벽 형성 혹은 원충의 무성 및 유성생식을 막을 수 있는 아이노포어(ionophore) 또는 화학적 합성제제 (chemically synthetic coumpounds)와 같은 항콕시듐제들이 개발이 되었다. 그러나, 아이노포어와 화학적 합성제제를 번갈아 처리하는 셔틀프로그램 (shuttle program)의 장기적인 사용으로 인한 약제 내성을 지닌 원충 등이 출현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특히,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해 동물에 축적된 항생제는 육류를 통해 인간이 항생제를 섭취하게 되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축산물 내 항생제 잔류 문제로 세계 각국에서 항생제 투약을 금지하고 있는 추세이고, 약제에 내성을 갖는 균주의 출현 및 체내 잔류 문제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기존의 항콕시듐제의 대체제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미국 공개특허 제2003-0091589호
본 출원의 일 예는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예는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는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아이메리아 속 원충에 대한 항원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는 상기 조성물을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콕시듐 활성 및/또는 콕시듐증을 유도하는 원충에 대한 항원충 활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항콕시듐 효능 (활성, 효과)이 우수한 것은 하기 (1) 내지 (5)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를 들면, 1종이상, 2종 이상, 3종 이상, 4종 이상, 또는 5종 모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1) 항콕시듐 종합지수 (Anticoccidial index; ACI)가 대조군 대비 높음;
(2) 콕시듐증이 유도된 동물 개체에 투여되어 대조군 대비 폐사율, 병변 스코어 (lesion score), 및/또는 분변 오시스트 (oocyst) 배출양을 감소시킴;
(3) 콕시듐증 유도에 의한 체중 감소를 억제함;
(4) 대조군 대비 콕시듐증을 유도하는 원충에 대한 살충 활성이 높음; 및
(5) 대조군 대비 콕시듐증을 유도하는 원충의 세포 침투 및/또는 세포 내 상기 원충의 증식 억제 효과가 높음.
본 출원에서, 대조군은 음성 대조군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이거나 물, 및/또는 버퍼 처리군) 및/또는 기존의 공지된 항콕시듐제 (예를 들면, 디클라주릴 (diclazuril) 및/또는 살리노마이신 (salinomycin))를 포함하는 양성 대조군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 (1) 내지 (6)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예를 들면, 1종이상, 2종 이상, 3종 이상, 4종 이상, 5종 이상, 또는 6종 모두)의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이의 특성은 대조군 보다 우수한 것일 수 있다:
(1) 항콕시듐 활성 우수;
(2) 콕시듐증을 유도하는 원충에 대한 항원충 효과 우수;
(3) 내산성 우수;
(4) 내열성 우수;
(5) 생체 내 안정성 및/또는 안전성 우수; 및
(6) 증체량 개선 효과 우수.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내산성 및/또는 내열성이 우수하여 체내에 투여되어 우수한 항콕시듐 활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생체 내 안정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온도 및/또는 pH 범위의 환경에서도 우수한 항콕시듐 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다양한 제품 (예를 들면 사료 첨가제)에 적용이 가능하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체내 투여시 장 외의 다른 조직 및 장기 (예를 들면, 혈액, 간, 신장, 및/또는 비장 등) 등에 흡수되지 아니하여 체내 잔류량이 적어 생체 내 안전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증체량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은 개체에 투여되어 개체의 체중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일 예에서 상기 증체량은 일당 증체량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개체는 콕시듐증이 유도된 개체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기존의 공지된 항콕시듐제 (예를 들면, 설파퀴녹살린, 설파클로로피라진, 및 설파메타진과 같은 설파제, 살리노마이신 및 모넨신 소듐과 같은 폴리에테르 이오노포어 항생물질, 암푸로륨, 디클라주릴, 및/또는 톨트라주릴) 보다 동등 이상의 항콕시듐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부작용이나 약물 내성을 유발하지 않고, 독성이 낮은 천연물 (망고스틴)을 포함하고 있어 장기간 사용해도 안전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예방"이란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이란,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이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질환은 콕시듐증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양상은 망고스틴 (mangosteen)을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항콕시듐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서 망고스틴 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망고스틴은 망고스틴 열매일 수 있다. 망고스틴 (Garcinia mangostana L.)은 말레이시아 원산의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고추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납작한 공모양의 탁구공보다 조금 큰 크기의 열매를 맺는다. 망고스틴 열매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잔톤 (xanthone, 크산톤)이라는 대표적인 항산화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뛰어난 항산화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에서는 오래 전부터 민간약으로서 염증이나 창상과 같은 상처의 치료 등에 사용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망고스틴은 망고스틴 과피 (果皮, pericarp, 망고스틴 열매의 껍질), 망고스틴 과육 (果肉), 또는 이의 조합(과피 및 과육)일 수 있고, 일 예에 따라서 망고스틴 과피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콕시듐 활성이 우수한 것일 수 있다. 망고스틴 과피는 통상적으로 섭취되지 않고 버려지는 부분으로서 이를 활용한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불용자원의 재이용, 환경 보존, 및/또는 경제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망고스틴이 포함하는 개별 성분 (예를 들면, 잔톤 (xanthone), 알파-망고스틴 (alpha-mangostin), 에피카테킨 (Epicatechin), 및/또는 케르세틴 (Quercetin)) 보다 항콕시듐 활성이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망고스틴은, 망고스틴 원물, 건조물, 분쇄물, 및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를 들면, 1종 이상, 2종 이상, 3종 이상, 또는 모두)일 수 있다.
상기 망고스틴 원물은 가공 (예를 들면, 건조, 분쇄 및/또는 추출)하지 않은 망고스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망고스틴 건조물은 상기 망고스틴 원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고,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상온건조, 및/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서 수득될 수 있다.
상기 망고스틴 분쇄물은 상기 망고스틴 원물 및/또는 상기 망고스틴 건조물을 분쇄 및/또는 파쇄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고, 분쇄기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추출물(extract)"이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및/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망고스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구체적으로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망고스틴 추출물은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의약 또는 식품 업계에 통상 알려진 추출방법 및 추출용매를 적절히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추출방법은 통상적인 추출방법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또는 환류 추출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망고스틴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망고스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또는 tert-부탄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를 건조된 망고스틴 (예를 들면, 망고스틴 과피) 분량에 1배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배 내지 3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온도는 30℃ 내지 100℃, 50℃ 내지 90℃, 또는 60℃ 내지 80℃ 일 수 있다. 또한, 추출시간은 10시간 내지 48시간, 12시간 내지 30시간, 또는 18시간 내지 24시간 일 수 있다. 아울러, 추출횟수는 1회 내지 5회, 또는 2회 내지 4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망고스틴은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망고스틴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50 내지 100%(v/v), 60 내지 100%(v/v), 65 내지 100%(v/v), 70 내지 100%(v/v), 75 내지 100%(v/v), 80 내지 100%(v/v), 50 내지 95%(v/v), 60 내지 95%(v/v), 65 내지 95%(v/v), 70 내지 95%(v/v), 75 내지 95%(v/v), 80 내지 95%(v/v), 50 내지 90%(v/v), 60 내지 90%(v/v), 65 내지 90%(v/v), 70 내지 90%(v/v), 75 내지 90%(v/v), 80 내지 90%(v/v), 50 내지 85%(v/v), 60 내지 85%(v/v), 65 내지 85%(v/v), 70 내지 85%(v/v), 75 내지 85%(v/v), 80 내지 85%(v/v), 50 내지 80%(v/v), 60 내지 80%(v/v), 65 내지 80%(v/v), 70 내지 80%(v/v), 75 내지 80%(v/v), 50 내지 75%(v/v), 60 내지 75%(v/v), 65 내지 75%(v/v), 또는 70 내지 75%(v/v)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콕시듐증 (coccidiosis, 콕시디아증)"은 콕시듐 원충 (콕시듐증을 유도할 수 있는 원충, 예를 들면 아이메리아 속 콕시듐 원충)이 소화관 상피에서 점막 밑 조직의 세포질 내에 기생하며 상피를 파괴시키고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서, 육계농장 등에서 연변, 설사 및 혈변으로 증체율 저하와 출하일령의 연장으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는 원충성 질병이다. 콕시듐증은 육계뿐 아니라 조류, 어류, 파충류 및 포유동물에서도 발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콕시듐증은 소, 토끼, 염소, 개, 고양이, 실험동물인 마우스, 및 랫트 등에도 감염될 수 있으며, 특히 닭, 오리, 거위, 칠면조, 메추라기, 꿩 등 가금류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콕시듐증은 급성형 콕시듐증, 아급성형 콕시듐증, 및 만성형 콕시듐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성형 콕시듐증은 감염 후 48시간 이내에 혈변, 원기소실, 빈혈을 나타내며, 감염된 개체가 폐사할 수 있고, 상기 아급성형 콕시듐증은 감염 후 혈액성 설사 및/또는 빈혈 증상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만성형 콕시듐증은 감염 후 1~2일간 설사후 연변 및/또는 체중 감소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콕시듐 원충 종의 오시스트 (Oocyst, 낭포, 충란)가 높은 습도와 온도에서 포자충 (Sporulated Oocyst)으로 성숙될 경우 감염성이 있으며, 개체의 체내에서 일정한 생활사 (life cycle)를 거친 후 분변으로 오시스트를 배설하면 쉽게 전파가 이루어지고 오시스트 생활사가 되풀이된다. 콕시듐 원충 종의 오시스트 (낭포)는 외부 환경에 대해 저항성이 크며, 낭포벽은 내외의 2층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낭포벽의 외층은 젤라틴 물질로서 물리적인 외압에 강하게 저항하고 내층은 핵단백이 풍부하여 화학적 자극, 예를 들면 소독제에 강하게 저항할 수 있다. 콕시듐 원충 종의 오시스트는 4개의 포자낭(sporocysts)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자낭은 각 2개의 포자소체(sporozoite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시스트 형태로 동물에 감염 후 포자낭과 포자소체 형태로 방출되어 세포 내에서 증식하고, 유성생식 및/또는 무성생식을 거친 포자소체는 오시스트를 형성하여 분변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포자소체는 원충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포자소체(원충)는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콕시듐증은 아이메리아 속(Eimeria sp.) 원충에 의해 유도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아이메리아 속 원충은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 (Eimeria acervulina: 모래구포자충), 아이메리아 테넬라 (Eimeria tenella: 닭맹장구포자충), 아이메리아 맥시마 (Eimeria maxima: 맥시마구포자충), 아이메리아 네카트릭스 (Eimeria necatrix: 네카트르구포자충), 아이메리아 브루네티 (Eimeria brunetti: 브루네트구포자충), 아이메리아 하가니 (Eimeria hagani: 하가니구포자충), 아이메리아 미티스 (Eimeria mitis: 미티스구포자충), 아이메리아 프래콕스 (Eimeria praecox: 이른구포자충), 아이메리아 미바티 (Eimeria mivati: 미바트구포자충), 아이메리아 아우라티 (Eimeria aurati), 아이메리아 바루에리 (Eimeria baueri), 아이메리아 레피도시레니스 (Eimeria lepidosirenis), 아이메리아 류시스시 (Eimeria leucisci), 아이메리아 루틸리 (Eimeria rutile), 아이메리아 바나시 (Eimeria vanasi), 아이메리아 앰피스배니아룸 (Eimeria amphisbaeniarum), 아이메리아 윗처리 (Eimeria witchery), 아이메리아 예메낸새 (Eimeria yemenensae), 아이메리아 아데노에이데스 (Eimeria adenoeides), 아이메리아 콜치씨(Eimeria colchici), 아이메리아 컬바타 (Eimeria curvata), 아이메리아 디스펄사 (Eimeria dispersa), 아이메리아 두오데나리스 (Eimeria duodenalis), 아이메리아 프라터큘래 (Eimeria fraterculae), 아이메리아 갈로파보니스 (Eimeria gallopavonis), 아이메리아 이노쿠아 (Eimeria innocua), 아이메리아 멜레그리디스 (Eimeria meleagridis), 아이메리아 멜레그리미티스 (Eimeria meleagrimitis), 아이메리아 파시아니(Eimeria phasiani), 아이메리아 프로쎄라(Eimeria procera), 아이메리아 펄퓨어이쎄팔리 (Eimeria purpureicephali), 아이메리아 아사타 (Eimeria ahsata), 아이메리아 알바멘시스 (Eimeria alabamensis), 아이메리아 알리제비 (Eimeria alijevi), 아이메리아 아스퍼로니카 (Eimeria aspheronica), 아이메리아 아를로인지 (Eimeria arloingi), 아이메리아 아룬델리 (Eimeria arundeli), 아이메리아 바쿠엔시스 (Eimeria bakuensis), 아이메리아 보비스 (Eimeria bovis), 아이메리아 카멜리 (Eimeria cameli), 아이메리아 카프리나 (Eimeria caprina), 아이메리아 카프로비나 (Eimeria caprovina), 아이메리아 크리스텐세니 (Eimeria christenseni), 아이메리아 클레트리오노미스 (Eimeria clethrionomyis), 아이메리아 코에씨콜라 (Eimeria coecicola), 아이메리아 콘토르타 (Eimeria contorta), 아이메리아 코우에씨 (Eimeria couesii), 아이메리아 크랜달리스 (Eimeria crandallis), 아이메리아 다마헨시스 (Eimeria dammahensis), 아이메리아 도우레리 (Eimeria dowleri), 아이메리아 엑시구아 (Eimeria exigua), 아이메리아 팔씨포르미스 (Eimeria falciformis), 아이메리아 파라사니 (Eimeria farasanii), 아이메리아 페리시 (Eimeria ferrisi), 아이메리아 플라베씬스(Eimeria flavescens), 아이메리아 갈라티(Eimeria gallatii), 아이메리아 그래눌로사 (Eimeria granulosa), 아이메리아 히르씨 (Eimeria hirci), 아이메리아 인테스트이날리스 (Eimeria intestinalis), 아이메리아 이레시두아 (Eimeria irresidua), 아이메리아 인트리카타 (Eimeria intricata), 아이메리아 졸치제비 (Eimeria jolchijevi), 아이메리아 크링즈마니 (Eimeria krijgsmanni), 아이메리아 래리머렌시스 (Eimeria larimerensis), 아이메리아 마쿠사니엔시스 (Eimeria macusaniensis), 아이메리아 마그나 (Eimeria magna), 아이메리아 마르코니 (Eimeria marconii), 아이메리아 메디아 (Eimeria media), 아이메리아 멜라누리 (Eimeria melanuri), 아이메리아 미옥시 (Eimeria myoxi), 아이메리아 나그푸렌시스 (Eimeria nagpurensis), 아이메리아 니에스쿨지 (Eimeria nieschulzi), 아이메리아 니나콜야키모배 (Eimeria ninakohlyakimovae), 아이메리아 오비노달리스 (Eimeria ovinoidalis), 아이메리아 팔리다(Eimeria pallida), 아이메리아 팔루스트리스 (Eimeria palustris), 아이메리아 파필라타 (Eimeria papillata), 아이메리아 퍼르포란스 (Eimeria perforans), 아이메리아 포캐 (Eimeria phocae), 아이메리아 필레타 (Eimeria pileata), 아이메리아 피피스트렐루스 (Eimeria pipistrellus), 아이메리아 피리포르미스 (Eimeria piriformis), 아이메리아 프리오노템니 (Eimeria prionotemni), 아이메리아 프로시오니스 (Eimeria procyonis), 아이메리아 펀크타타 (Eimeria punctate), 아이메리아 루브루키 (Eimeria roobroucki), 아이메리아 사우디엔시스 (Eimeria saudiensis), 아이메리아 시란데리 (Eimeria sealanderi), 아이메리아 세파라타 (Eimeria separata), 아이메리아 스티에대 (Eimeria stiedae), 아이메리아 우르시니 (Eimeria ursini), 아이메리아 베르미포르미스 (Eimeria vermiformis), 아이메리아 웨이브리드젠시스 (Eimeria weybridgensis), 아이메리아 우바티 (Eimeria wobati), 및 아이메리아 주에르니 (Eimeria zuernii)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예를 들면, 1종 이상, 2종 이상, 3종 이상, 또는 4종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아이메리아 속 원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를 들면, 1종 이상, 2종 이상, 3종 이상, 또는 4종 이상)으로 인해 유도된 콕시듐증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것일 수 있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아이메리아 속 원충은 각각 표 1에 기재된 동물의 콕시듐증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species 호스트(host) 동물
1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 (Eimeria acervulina) 닭 (Gallus gallus domesticus)
2 아이메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 닭 (Gallus gallus domesticus)
3 아이메리아 맥시마(Eimeria maxima) 닭 (Gallus gallus domesticus)
4 아이메리아 네카트릭스 (Eimeria necatrix) 닭 (Gallus gallus domesticus)
5 아이메리아 브루네티 (Eimeria brunetti) 닭 (Gallus gallus domesticus)
6 아이메리아 하가니
(Eimeria hagani)
닭 (Gallus gallus domesticus)
7 아이메리아 미티스
(Eimeria mitis)
닭 (Gallus gallus domesticus)
8 아이메리아 프래콕스 (Eimeria praecox) 닭 (Gallus gallus domesticus)
9 아이메리아 미바티(Eimeria mivati) 닭 (Gallus gallus domesticus)
10 아이메리아 아우라티
(Eimeria aurati)
금붕어 (goldfish (Carassius auratus))
11 아이메리아 바루에리(Eimeria baueri) 붕어 (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
12 아이메리아 레피도시레니스(Eimeria lepidosirenis) 남아메리카폐어(South American lungfish (Lepidosiren paradoxa))
13 아이메리아 류시스시(Eimeria leucisci) 바벨 (common barbel (Barbus barbus bocagei))
14 아이메리아 루틸리
(Eimeria rutile)
유럽산 처브 (European chub (Leuciscus cephalus cabeda)), 이베리아 코 잉어 (Iberian nase (Chondrostoma polylepis polylepis))
15 아이메리아 바나시
(Eimeria vanasi)
블루 틸라피아 (blue tilapia (Oreochromis aureus))
16 아이메리아 앰피스배니아룸(Eimeria amphisbaeniarum) 웜도마뱀 (Mann's worm lizard (Amphisbaena manni))
17 아이메리아 윗처리(Eimeria witchery) 웜도마뱀 (Mann's worm lizard (A. manni))
18 아이메리아 예메낸새(Eimeria yemenensae) 무지개 아가마 (rock agama (Agama yemenensis))
19 아이메리아 아데노에이데스(Eimeria adenoeides) 칠면조 (turkey (Meleagris gallopavo))
20 아이메리아 콜치씨(Eimeria colchici) 꿩 (common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21 아이메리아 컬바타
(Eimeria curvata)
회색머리땅비둘기 (ruddy ground dove (Columbina talpacoti)), 비늘작은비둘기 (scaled dove (Scardafella squammata))
22 아이메리아 디스펄사(Eimeria dispersa) 칠면조 (turkey (M. gallopavo)), 메추라기 (bobwhite quail (Colinus virginianus))
23 아이메리아 두오데나리스
(Eimeria duodenalis)
꿩 (common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24 아이메리아 프라터큘래
(Eimeria fraterculae)
아틀란틱 퍼핀 (Atlantic puffin (Fratercula arctica))
25 아이메리아 갈로파보니스
(Eimeria gallopavonis)
칠면조 (turkey (M. gallopavo))
26 아이메리아 이노쿠아(Eimeria innocua) 칠면조 (turkey (M. gallopavo))
27 아이메리아 멜레그리디스
(Eimeria meleagridis)
칠면조 (turkey (M. gallopavo))
28 아이메리아 멜레그리미티스(Eimeria meleagrimitis) 칠면조 (turkey (M. gallopavo))
29 아이메리아 파시아니
(Eimeria phasiani)
꿩 (pheasant (P. colchicus))
30 아이메리아 프로쎄라
(Eimeria procera)
유럽반시 (grey partridges (Perdix perdix))
31 아이메리아 펄퓨어이쎄팔리
(Eimeria purpureicephali)
보석앵무 (red-capped parrot (Purpureicephalus spurius))
32 아이메리아 아사타
(Eimeria ahsata)
염소 (goat (Capra hircus)), 양 (sheep (Ovis aries))
33 아이메리아 알바멘시스
(Eimeria alabamensis)
소 (cattle (Bos taurus))
34 아이메리아 알리제비
(Eimeria alijevi)
염소 (goat (C. hircus))
35 아이메리아 아스퍼로니카
(Eimeria aspheronica)
염소 (goat (C. hircus))
36 아이메리아 아를로인지
(Eimeria arloingi)
염소 (goat (C. hircus))
37 아이메리아 아룬델리
(Eimeria arundeli)
애기 웜뱃 (common wombat (Vombatus ursinus))
38 아이메리아 바쿠엔시스(Eimeria bakuensis) 양 (sheep (O. aries))
39 아이메리아 보비스(Eimeria bovis) 소 (cattle (B. taurus))
40 아이메리아 카멜리(Eimeria cameli) 낙타 (camels (Camelus bactrianus, Camelus dromedarius))
41 아이메리아 카프리나(Eimeria caprina) 염소 (goat (C. hircus))
42 아이메리아 카프로비나
(Eimeria caprovina)
염소 (goat (C. hircus))
43 아이메리아 크리스텐세니(Eimeria christenseni) 염소 (goat (C. hircus))
44 아이메리아 클레트리오노미스
(Eimeria clethrionomyis)
대륙밭쥐속 (red-backed vole (Clethrionomys gapperi))
45 아이메리아 코에씨콜라(Eimeria coecicola) 토끼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46 아이메리아 콘토르타(Eimeria contorta) 마우스 (mouse (Mus musculus))
47 아이메리아 코우에씨(Eimeria couesii) 쌀쥐 (rice rat (Oryzomys couesi))
48 아이메리아 크랜달리스(Eimeria crandallis) 양 (sheep (O. aries))
49 아이메리아 다마헨시스(Eimeria dammahensis) 긴칼뿔오릭스 (scimitar-homed oryx (Oryx dammah))
50 아이메리아 도우레리(Eimeria dowleri) 붉은나무박쥐(eastern red bat (Lasiurus borealis))
51 아이메리아 엑시구아(Eimeria exigua) 토끼 (rabbit (O. cuniculus))
52 아이메리아 팔씨포르미스(Eimeria falciformis) 마우스 (mouse (M. musculus))
53 아이메리아 파라사니(Eimeria farasanii) 마운틴 가젤 (mountain gazelle (Gazella gazelle farasani))
54 아이메리아 페리시(Eimeria ferrisi) 마우스 (mouse (M. musculus))
55 아이메리아 플라베씬스
(Eimeria flavescens)
토끼 (rabbit (O. cuniculus))
56 아이메리아 갈라티
(Eimeria gallatii)
대륙밭쥐속(red-backed vole (Clethrionomys gapperi))
57 아이메리아 그래눌로사(Eimeria granulosa) 염소 (goat (C. hircus))
58 아이메리아 히르씨
(Eimeria hirci)
염소 (goat (C. hircus))
59 아이메리아 인테스트이날리스(Eimeria intestinalis) 토끼 (rabbit (O. cuniculus))
60 아이메리아 이레시두아(Eimeria irresidua) 토끼 (rabbit (O. cuniculus))
61 아이메리아 인트리카타
(Eimeria intricata)
염소 (goat (C. hircus))
62 아이메리아 졸치제비(Eimeria jolchijevi) 염소 (goat (C. hircus))
63 아이메리아 크링즈마니(Eimeria krijgsmanni) 마우스 (mouse (M. musculus))
64 아이메리아 래리머렌시스(Eimeria larimerensis) 유인타땅다람쥐 (Uinta ground squirrel (Spermophilus armatus))
65 아이메리아 마쿠사니엔시스
(Eimeria macusaniensis)
라마 (llamas (Lama glama)), 구아나코 (guanacos (Lama guanicoe)), 알파카 (alpacas (Vicugna pacos)), 비쿠냐 (vicunas (Vicugna vicugna))
66 아이메리아 마그나
(Eimeria magna)
토끼 (rabbit (O. cuniculus))
67 아이메리아 마르코니
(Eimeria marconii)
대륙밭쥐속 (red-backed vole (Clethrionomys gapperi))
68 아이메리아 메디아
(Eimeria media)
토끼 (rabbit (O. cuniculus))
69 아이메리아 멜라누리
(Eimeria melanuri)
안경겨울잠쥐(garden dormouse (Eliomys quercinus))
70 아이메리아 미옥시(Eimeria myoxi) 안경겨울잠쥐(garden dormouse (Eliomys quercinus))
71 아이메리아 나그푸렌시스(Eimeria nagpurensis) 토끼 (rabbit (O. cuniculus))
72 아이메리아 니에스쿨지(Eimeria nieschulzi) 시궁쥐 (brown rat (R. norvegicus))
73 아이메리아 니나콜야키모배(Eimeria ninakohlyakimovae) 염소 (goat (C. hircus))
74 아이메리아 오비노달리스(Eimeria ovinoidalis) 양 (sheep (O. aries))
75 아이메리아 팔리다
(Eimeria pallida)
염소 (goat (C. hircus))
76 아이메리아 팔루스트리스
(Eimeria palustris)
쌀쥐 (marsh rice rat (Oryzomys palustris))
77 아이메리아 파필라타(Eimeria papillata) 마우스 (mouse (M. musculus))
78 아이메리아 퍼르포란스
(Eimeria perforans)
토끼 (rabbit (O. cuniculus))
79 아이메리아 포캐(Eimeria phocae) 사블섬 잔점박이물범 (Sable Island harbour seals (Phoca vitulina))
80 아이메리아 필레타
(Eimeria pileata)
대륙밭쥐속 (red-backed vole (Clethrionomys gapperi))
81 아이메리아 피피스트렐루스(Eimeria pipistrellus) 쿨집박쥐 (Kuhl's pipistrelle (Pipistrellus kuhlii))
82 아이메리아 피리포르미스(Eimeria piriformis) 토끼 (rabbit (O. cuniculus))
83 아이메리아 프리오노템니(Eimeria prionotemni) 붉은목왈라비 (Bennett's wallaby (Macropus rufogriseus))
84 아이메리아 프로시오니스(Eimeria procyonis) 라쿤(raccoon (Procyon lotor))
85 아이메리아 펀크타타(Eimeria punctate) 염소 (goat (C. hircus))
86 아이메리아 루브루키(Eimeria roobroucki) 토끼 (rabbit (O. cuniculus))
87 아이메리아 사우디엔시스(Eimeria saudiensis) 아라비아 영양 (Arabian oryx (Oryx leucoryx))
88 아이메리아 시란데리(Eimeria sealanderi) 붉은나무박쥐 (eastern red bat (Lasiurus borealis))
89 아이메리아 세파라타(Eimeria separata) 마우스 (mouse (M. musculus)),
랫트 (rat (Rattus rattus))
90 아이메리아 스티에대
(Eimeria stiedae)
토끼 (rabbit (O. cuniculus))
91 아이메리아 우르시니
(Eimeria ursini)
남방털코웜뱃 (southern hairy nosed wombat (Lasiorhinus latifrons))
92 아이메리아 베르미포르미스(Eimeria vermiformis) 마우스 (mouse (M. musculus))
93 아이메리아 웨이브리드젠시스(Eimeria weybridgensis) 양 (sheep (O. aries))
94 아이메리아 우바티(Eimeria wobati) 남장털코웜뱃 (southern hairy-nosed wombat (L. latifrons))
95 아이메리아 주에르니(Eimeria zuernii) 소 (cattle (B. taurus))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아이메리아 테넬라,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 및/또는 아이메리아 맥시마에 의해 유도된 콕시듐증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효과가 우수한 것일 수 있고, 특히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의해 유도된 콕시듐증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효과가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콕시듐증 예방 또는 개선은 하기 (1) 내지 (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를 들면, 1종 이상, 2종 이상, 3종 이상, 또는 4종 모두)을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대조군 (음성 대조군 및/또는 양성 대조군) 보다 하기 (1) 내지 (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감소, 억제, 및/또는 증가된 것일 수 있다:
(1) 병변 스코어 (예를 들면, 맹장 병변 스코어), 분변 오시스트 배출양, 및 폐사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감소;
(2) 콕시듐증에 의한 체중 감소의 억제;
(3) 항콕시듐 종합지수 (Anticoccidial index; ACI)가 증가; 및
(4) 아이메리아 속 원충의 세포 침투, 세포 내 상기 원충의 증식, 또는 이들 모두를 감소.
일 예에서, 상기 병변 스코어를 결정하는 병변 스코어링 방법은 Johnson JK & Reid WM(1970) 문헌 (Joyce Johnson, W.Malcolm Reid, Anticoccidial drugs: Lesion scoring techniques in battery and floor-pen experiments with chickens, Experimental parasitology, 1970)을 참고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병변 스코어는 0 내지 4 등급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병변 스코어는 맹장, 십이지장, 및/또는 공장에서 측정된 병변 스코어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각 기관 (맹장, 십이지장, 및/또는 공장)에서 측정된 각각의 병변 스코어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분변 오시스트 배출양은 개체로부터 배출된 분변 수집하여 현미경을 이용하거나 카운팅 챔버 (예를 들면, McMaster chamber) 등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폐사율은 콕시듐증이 유도된 동물 개체의 폐사율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사후 부검을 수행하여, 콕시듐증 외의 원인으로 사망한 개체의 수는 제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콕시듐증 유도된 개체는 콕시듐중이 유도되지 않은 개체 보다 체중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콕시듐증이 유도에 의한 체중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항콕시듐 종합지수는 하기 수학식 1로 계산될 수 있고, 수학식 1에서 병변 스코어는 전술한 방법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항콕시듐 종합지수 (ACI) = (공격접종 이후 생존율 (%)) + (음성 대조군 대비 일당 증체량 (%)) - (병변 스코어 x 10) - (분변 오시스트 배출량 지수)
상기 공격접종은 콕시듐증을 유도할 수 있는 원충의 투여 (예를 들면, 구강 접종 등)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생존율은 공격접종 후 5 내지 10일차, 7 내지 10일차, 8 내지 10일차, 7 내지 9일차, 7 내지 8일차, 또는 7일차에 측정된 생존율일 수 있으며, 사후 부검을 수행하여 콕시듐증 외의 원인으로 사망한 개체의 수는 제외하고 생존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음성 대조군 대비 증체량은 음성 대조군 (예를 들면 콕시듐 원충이 비감염된 음성 대조군)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된 백분율로 계산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의 병변 스코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수학식 1에서, 분변 오시스트 배출양 지수는 음성 대조군 (예를 들면, 원충이 감염된 음성 대조군)의 값을 기준으로 백분율을 계산하여, 계산한 결과값이 0 내지 1% 미만 수준이면 0, 1% 이상 내지 26% 미만은 5, 26% 이상 내지 51% 미만은 10, 51% 이상 내지 76% 미만은 20, 76% 이상 내지 100% 이하는 40으로 수치화된 값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망고스틴은 사료 조성물에 1w/w% 이하, 1w/w% 미만, 10-1 w/w% 이하, 5 x 10-2 w/w% 이하, 2.5 x 10-2 w/w% 이하, 2 x 10-2 w/w% 이하, 1.25 x 10-2 w/w% 이하, 10-2 w/w% 이하, 9 x 10-3 w/w% 이하, 8 x 10-3 w/w% 이하, 6.25 x 10-3 w/w% 이하, 7 x 10-3 w/w% 이하, 6 x 10-3 w/w% 이하, 5 x10-3 w/w% 이하, 4 x 10-3 w/w% 이하, 10-7 w/w% 이상, 10-6 w/w% 이상, 10-5 w/w% 이상, 10-4 w/w% 이상, 5 x 10-4 w/w% 이상, 10-3 w/w% 이상, 1.5 x 10-3 w/w% 이상, 2 x 10-3 w/w% 이상, 3 x 10-3 w/w% 이상, 4 x 10-3 w/w% 이상, 5 x 10-3 w/w% 이상, 6.25 x 10-3 w/w% 이상, 10-7 내지 1w/w%, 10-7 내지 10-1w/w%, 10-7 내지 5 x 10-2 w/w%, 10-7 내지 10-2 w/w%, 10-7 내지 5 x 10-3 w/w%, 10-7 내지 4 x 10-3 w/w%, 10-7 내지 10-3 w/w%, 10-7 내지 5 x 10-4 w/w%, 10-7 내지 10-4 w/w%, 10-7 내지 10-5 w/w%, 10-6 내지 1w/w%, 10-6 내지 10-1w/w%, 10-6 내지 5 x 10-2 w/w%, 10-6 내지 10-2 w/w%, 10-6 내지 5 x 10-3 w/w%, 10-6 내지 4 x 10-3 w/w%, 10-6 내지 10-3 w/w%, 10-6 내지 5 x 10-4 w/w%, 10-6 내지 10-4 w/w%, 10-6 내지 10-5 w/w%, 10-5 내지 1w/w%, 10-5 내지 10-1w/w%, 10-5 내지 5 x 10-2 w/w%, 10-5 내지 10-2 w/w%, 10-5 내지 5 x 10-3 w/w%, 10-5 내지 4 x 10-3 w/w%, 10-5 내지 10-3 w/w%, 10-5 내지 5 x 10-4 w/w%, 10-5 내지 10-4 w/w%, 10-4 내지 1w/w%, 10-4 내지 10-1w/w%, 10-4 내지 5 x 10-2 w/w%, 10-4 내지 10-2 w/w%, 10-4 내지 5 x 10-3 w/w%, 10-4 내지 4 x 10-3 w/w%, 10-4 내지 10-3 w/w%, 10-4 내지 5 x 10-4 w/w%, 10-3 내지 1w/w%, 10-3 내지 10-1w/w%, 10-3 내지 5 x 10-2 w/w%, 10-3 내지 10-2 w/w%, 10-3 내지 5 x 10-3 w/w%, 10-3 내지 4 x 10-3 w/w%, 10-3 내지 2 x 10-3 w/w%, 또는 10-3 내지 1.5 x 10-3 w/w%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전체 중량 기준으로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사료(예를 들면, 동물에 최종적으로 섭취되는 배합사료 및/또는 단미사료)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망고스틴 (예를 들면, 망고스틴 추출물)은 사료 조성물에 1000ppm 이하, 500ppm 이하, 400ppm 이하, 300ppm 이하, 250ppm 이하, 200ppm 이하, 125ppm 이하, 125ppm 미만, 100ppm 이하, 90ppm 이하, 80ppm 이하, 70ppm 이하, 65ppm이하, 62.5ppm이하, 60ppm 이하, 50ppm 이하, 0.1ppm 이상, 1ppm 이상, 5ppm이상, 10ppm 이상, 15ppm이상, 20ppm 이상, 30ppm이상, 40ppm 이상, 50ppm이상, 62.5ppm이상, 0.1 내지 1000ppm, 0.1 내지 500ppm, 0.1 내지 400ppm, 0.1 내지 300ppm, 0.1 내지 250ppm, 0.1 내지 200ppm, 0.1 내지 125ppm, 0.1 내지 100 ppm, 0.1 내지 90ppm, 0.1 내지 80ppm, 0.1 내지 70ppm, 0.1 내지 65ppm, 0.1 내지 60ppm, 0.1 내지 50ppm, 1 내지 1000ppm, 1 내지 500ppm, 1 내지 400ppm, 1 내지 300ppm, 1 내지 250ppm, 1 내지 200ppm, 1 내지 125ppm, 1 내지 100 ppm, 1 내지 90ppm, 1 내지 80ppm, 1 내지 70ppm, 1 내지 65ppm, 1 내지 60ppm, 1 내지 50ppm, 5 내지 1000ppm, 5 내지 500ppm, 5 내지 400ppm, 5 내지 300ppm, 5 내지 250ppm, 5 내지 200ppm, 5 내지 125ppm, 5 내지 100 ppm, 5 내지 90ppm, 5 내지 80ppm, 5 내지 70ppm, 5 내지 65ppm, 5 내지 60ppm, 5 내지 50ppm, 10 내지 1000ppm, 10 내지 500ppm, 10 내지 400ppm, 10 내지 300ppm, 10 내지 250ppm, 10 내지 200ppm, 10 내지 125ppm, 10 내지 100 ppm, 10 내지 90ppm, 10 내지 80ppm, 10 내지 70ppm, 10 내지 65ppm, 10 내지 60ppm, 10 내지 50ppm, 20 내지 1000ppm, 20 내지 500ppm, 20 내지 400ppm, 20 내지 300ppm, 20 내지 250ppm, 20 내지 200ppm, 20 내지 125ppm, 20 내지 100 ppm, 20 내지 90ppm, 20 내지 80ppm, 20 내지 70ppm, 20 내지 65ppm, 20 내지 60ppm, 20 내지 50ppm, 30 내지 1000ppm, 30 내지 500ppm, 30 내지 400ppm, 30 내지 300ppm, 30 내지 250ppm, 30 내지 200ppm, 30 내지 125ppm, 30 내지 100 ppm, 30 내지 90ppm, 30 내지 80ppm, 30 내지 70ppm, 30 내지 65ppm, 30 내지 60ppm, 30 내지 50ppm, 40 내지 1000ppm, 40 내지 500ppm, 40 내지 400ppm, 40 내지 300ppm, 40 내지 250ppm, 40 내지 200ppm, 40 내지 125ppm, 40 내지 100 ppm, 40 내지 90ppm, 40 내지 80ppm, 40 내지 70ppm, 40 내지 65ppm, 40 내지 60ppm, 40 내지 50ppm, 50 내지 1000ppm, 50 내지 500ppm, 50 내지 400ppm, 50 내지 300ppm, 50 내지 250ppm, 50 내지 200ppm, 50 내지 125ppm, 50 내지 100 ppm, 50 내지 90ppm, 50 내지 80ppm, 50 내지 70ppm, 50 내지 65ppm, 또는 50 내지 60ppm 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범위로 망고스틴 (예를 들면, 망고스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범위 외로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경우 보다 항콕시듐 활성이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망고스틴 추출물 (예를 들면,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은 망고스틴 추출물이 포함하는 각 개별성분 (예를 들면, 잔톤 (xanthone), 알파-망고스틴 (alpha-mangostin), 에피카테킨 (Epicatechin), 및/또는 케르세틴 (Quercetin)) 보다 (1) 동일 농도 처리시 항콕시듐 활성이 우수하고/우수하거나 (2) 독성이 낮아 (예를 들면,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최소 농도가 더 높음) 안전성이 우수하다. 일 예에 따른 망고스틴 (예를 들면, 망고스틴 추출물)은 망고스틴이 포함하는 각 개별 성분 보다 조성물 내 포함 농도를 높여도 안전적으로 우수한 항콕시듐 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있거나 장기간 동안 섭취해도 별도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료"란,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사료 조성물에는 농후사료, 및/또는 특수사료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농후사료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 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 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 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 (液狀物)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 (fish soluble), 육분 (肉粉),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세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 (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및/또는 해조류 등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최종적으로 동물이 섭취하는 형태의 사료, 사료에 배합될 수 있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사료 첨가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이 보조제란, 예를 들어 치료제 또는 소화제를 동물에 제공하는 제제 함유 조성물로, 통상 생체의 열량 섭취 공급원, 즉 에너지 공급원은 아니지만, 통상의 동물 사료에 추가하여 섭취되는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란,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콕시듐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일 수 있고, 일 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가 사료 (예를 들면, 동물에 최종적으로 섭취되는 배합사료 및/또는 단미사료)에 배합될 때, 전체 사료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이상, 0.005% 이상, 0.01% 이상, 0.05% 이상, 0.1% 이상, 0.5% 이상, 1% 이하, 0.5% 이하, 0.1% 이하, 0.05% 이하, 0.01% 이하, 0.005% 이하, 0.001 내지 1%, 0.001 내지 0.5%, 0.001 내지 0.1%, 0.001 내지 0.05%, 0.001 내지 0.01%, 0.001 내지 0.005%, 0.005 내지 1%, 0.005 내지 0.5%, 0.005 내지 0.1%, 0.005 내지 0.05%, 0.005 내지 0.01%, 0.01 내지 1%, 0.01 내지 0.5%, 0.01 내지 0.1%, 0.01 내지 0.05%, 0.05 내지 1%, 0.05 내지 0.5%, 0.05 내지 0.1%, 0.1 내지 1%, 0.1 내지 0.5%, 또는 0.5 내지 1%의 중량으로 첨가되어 사료 원료, 보조 사료, 보조제, 및/또는 일 예에 따른 유효성분 외 다른 종류의 첨가제 등과 배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망고스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예에 다른 약학 조성물은, 망고스틴 과피, 망고스틴 과육, 또는 이의 조합(망고스틴 과피 및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다른 약학 조성물은, 망고스틴의 원물, 건조물, 분쇄물, 및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를 들면, 1종 이상, 2종 이상, 3종 이상, 또는 4종 모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다른 약학 조성물은, 망고스틴의 과피 추출물 (예를 들면, 망고스틴 과피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공인된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학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하여 약제학적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활성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 내 유효성분 (망고스틴 (예를 들면, 망고스틴 추출물))의 유효량은 환자(개체)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0.0001 내지 0.001mg/kg, 0.0001 내지 0.01mg/kg, 0.0001 내지 0.1mg/kg, 0.0001 내지 1mg/kg, 0.0001 내지 10mg/kg, 0.0001 내지 100mg/kg, 0.0001 내지 231mg/kg, 0.0001 내지 250mg/kg, 0.0001 내지 500mg/kg, 0.0001 내지 1000mg/kg, 0.001 내지 0.01mg/kg, 0.001 내지 0.1mg/kg, 0.001 내지 1mg/kg, 0.001 내지 10mg/kg, 0.001 내지 100mg/kg, 0.001 내지 231mg/kg, 0.001 내지 250mg/kg, 0.001 내지 500mg/kg, 0.001 내지 1000mg/kg, 0.01 내지 0.1mg/kg, 0.01 내지 1mg/kg, 0.01 내지 10mg/kg, 0.01 내지 100mg/kg, 0.01 내지 250mg/kg, 0.01 내지 500mg/kg, 0.01 내지 1000mg/kg, 0.1 내지 1mg/kg, 0.1 내지 10mg/kg, 0.1 내지 100mg/kg, 0.1 내지 231mg/kg, 0.1 내지 250mg/kg, 0.1 내지 500mg/kg, 0.1 내지 1000mg/kg, 1 내지 10mg/kg, 1 내지 100mg/kg, 1 내지 231mg/kg, 1 내지 250mg/kg, 1 내지 500mg/kg, 1 내지 1000mg/kg, 10 내지 100mg/kg, 10 내지 231mg/kg, 10 내지 250mg/kg, 10 내지 500mg/kg, 10 내지 1000mg/kg, 100 내지 231mg/kg, 100 내지 250mg/kg, 100 내지 500mg/kg, 100 내지 1000mg/kg, 250 내지 500mg/kg, 또는 250 내지 1000mg/kg 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이 복강 투여되는 경우 0.001 내지 250mg/kg 또는 0.001 내지 231mg/kg 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망고스틴은 약학 조성물에 1w/w% 이하, 1w/w% 미만, 10-1 w/w% 이하, 5 x 10-2 w/w% 이하, 2.5 x 10-2 w/w% 이하, 2 x 10-2 w/w% 이하, 1.25 x 10-2 w/w% 이하, 10-2 w/w% 이하, 9 x 10-3 w/w% 이하, 8 x 10-3 w/w% 이하, 6.25 x 10-3 w/w% 이하, 7 x 10-3 w/w% 이하, 6 x 10-3 w/w% 이하, 5 x10-3 w/w% 이하, 4 x 10-3 w/w% 이하, 10-7 w/w% 이상, 10-6 w/w% 이상, 10-5 w/w% 이상, 10-4 w/w% 이상, 5 x 10-4 w/w% 이상, 10-3 w/w% 이상, 1.5 x 10-3 w/w% 이상, 2 x 10-3 w/w% 이상, 3 x 10-3 w/w% 이상, 4 x 10-3 w/w% 이상, 5 x 10-3 w/w% 이상, 6.25 x 10-3 w/w% 이상, 10-7 내지 1w/w%, 10-7 내지 10-1w/w%, 10-7 내지 5 x 10-2 w/w%, 10-7 내지 10-2 w/w%, 10-7 내지 5 x 10-3 w/w%, 10-7 내지 4 x 10-3 w/w%, 10-7 내지 10-3 w/w%, 10-7 내지 5 x 10-4 w/w%, 10-7 내지 10-4 w/w%, 10-7 내지 10-5 w/w%, 10-6 내지 1w/w%, 10-6 내지 10-1w/w%, 10-6 내지 5 x 10-2 w/w%, 10-6 내지 10-2 w/w%, 10-6 내지 5 x 10-3 w/w%, 10-6 내지 4 x 10-3 w/w%, 10-6 내지 10-3 w/w%, 10-6 내지 5 x 10-4 w/w%, 10-6 내지 10-4 w/w%, 10-6 내지 10-5 w/w%, 10-5 내지 1w/w%, 10-5 내지 10-1w/w%, 10-5 내지 5 x 10-2 w/w%, 10-5 내지 10-2 w/w%, 10-5 내지 5 x 10-3 w/w%, 10-5 내지 4 x 10-3 w/w%, 10-5 내지 10-3 w/w%, 10-5 내지 5 x 10-4 w/w%, 10-5 내지 10-4 w/w%, 10-4 내지 1w/w%, 10-4 내지 10-1w/w%, 10-4 내지 5 x 10-2 w/w%, 10-4 내지 10-2 w/w%, 10-4 내지 5 x 10-3 w/w%, 10-4 내지 4 x 10-3 w/w%, 10-4 내지 10-3 w/w%, 10-4 내지 5 x 10-4 w/w%, 10-3 내지 1w/w%, 10-3 내지 10-1w/w%, 10-3 내지 5 x 10-2 w/w%, 10-3 내지 10-2 w/w%, 10-3 내지 5 x 10-3 w/w%, 10-3 내지 4 x 10-3 w/w%, 10-3 내지 2 x 10-3 w/w%, 또는 10-3 내지 1.5 x 10-3 w/w%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망고스틴(예를 들면, 망고스틴 추출물)은 약학 조성물에 1000ppm 이하, 500ppm 이하, 400ppm 이하, 300ppm 이하, 250ppm 이하, 200ppm 이하, 125ppm 이하, 125ppm 미만, 100ppm 이하, 90ppm 이하, 80ppm 이하, 70ppm 이하, 65ppm이하, 60ppm 이하, 62.5ppm이하, 50ppm 이하, 0.1ppm 이상, 1ppm 이상, 5ppm이상, 10ppm 이상, 15ppm이상, 20ppm 이상, 30ppm이상, 40ppm 이상, 50ppm이상, 62.5ppm 이상, 0.1 내지 1000ppm, 0.1 내지 500ppm, 0.1 내지 400ppm, 0.1 내지 300ppm, 0.1 내지 250ppm, 0.1 내지 200ppm, 0.1 내지 125ppm, 0.1 내지 100 ppm, 0.1 내지 90ppm, 0.1 내지 80ppm, 0.1 내지 70ppm, 0.1 내지 65ppm, 0.1 내지 60ppm, 0.1 내지 50ppm, 1 내지 1000ppm, 1 내지 500ppm, 1 내지 400ppm, 1 내지 300ppm, 1 내지 250ppm, 1 내지 200ppm, 1 내지 125ppm, 1 내지 100 ppm, 1 내지 90ppm, 1 내지 80ppm, 1 내지 70ppm, 1 내지 65ppm, 1 내지 60ppm, 1 내지 50ppm, 5 내지 1000ppm, 5 내지 500ppm, 5 내지 400ppm, 5 내지 300ppm, 5 내지 250ppm, 5 내지 200ppm, 5 내지 125ppm, 5 내지 100 ppm, 5 내지 90ppm, 5 내지 80ppm, 5 내지 70ppm, 5 내지 65ppm, 5 내지 60ppm, 5 내지 50ppm, 10 내지 1000ppm, 10 내지 500ppm, 10 내지 400ppm, 10 내지 300ppm, 10 내지 250ppm, 10 내지 200ppm, 10 내지 125ppm, 10 내지 100 ppm, 10 내지 90ppm, 10 내지 80ppm, 10 내지 70ppm, 10 내지 65ppm, 10 내지 60ppm, 10 내지 50ppm, 20 내지 1000ppm, 20 내지 500ppm, 20 내지 400ppm, 20 내지 300ppm, 20 내지 250ppm, 20 내지 200ppm, 20 내지 125ppm, 20 내지 100 ppm, 20 내지 90ppm, 20 내지 80ppm, 20 내지 70ppm, 20 내지 65ppm, 20 내지 60ppm, 20 내지 50ppm, 30 내지 1000ppm, 30 내지 500ppm, 30 내지 400ppm, 30 내지 300ppm, 30 내지 250ppm, 30 내지 200ppm, 30 내지 125ppm, 30 내지 100 ppm, 30 내지 90ppm, 30 내지 80ppm, 30 내지 70ppm, 30 내지 65ppm, 30 내지 60ppm, 30 내지 50ppm, 40 내지 1000ppm, 40 내지 500ppm, 40 내지 400ppm, 40 내지 300ppm, 40 내지 250ppm, 40 내지 200ppm, 40 내지 125ppm, 40 내지 100 ppm, 40 내지 90ppm, 40 내지 80ppm, 40 내지 70ppm, 40 내지 65ppm, 40 내지 60ppm, 40 내지 50ppm, 50 내지 1000ppm, 50 내지 500ppm, 50 내지 400ppm, 50 내지 300ppm, 50 내지 250ppm, 50 내지 200ppm, 50 내지 125ppm, 50 내지 100 ppm, 50 내지 90ppm, 50 내지 80ppm, 50 내지 70ppm, 50 내지 65ppm, 또는 50 내지 60pp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망고스틴 (예를 들면, 망고스틴 추출물 및/또는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은 망고스틴이 포함하는 개별 성분 (예를 들면, 잔톤 (xanthone), 알파-망고스틴 (alpha-mangostin), 에피카테킨 (Epicatechin), 및/또는 케르세틴 (Quercetin)) 보다 (1) 동일 농도 처리시 항콕시듐 활성이 우수하고/우수하거나 (2) 독성이 낮고 (예를 들면,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최소 농도가 더 높음) 안전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망고스틴 (예를 들면, 망고스틴 추출물)은 망고스틴이 포함하는 개별 성분 보다 조성물 내 포함 농도를 높여도 안전적으로 우수한 항콕시듐 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있거나 장기간 동안 섭취해도 별도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투여 및/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복강 내 주사, 직장 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및/또는 흉부 내 주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아이메리아 속 원충에 대한 항원충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망고스틴, 및/또는 아이메리아 속 원충에 대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예에 다른 항원충용 조성물은, 망고스틴 과피, 망고스틴 과육, 또는 이의 조합(망고스틴 과피 및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다른 항원충용 조성물은, 망고스틴의 원물, 건조물, 분쇄물, 및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를 들면, 1종 이상, 2종 이상, 3종 이상, 또는 4종 모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다른 항원충용 조성물은, 망고스틴의 과피 추출물 (예를 들면, 망고스틴 과피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아이메리아 속 원충에 대한 항원충 활성 (효과, 효능)이 우수한 것은 하기 (1) 및/또는 (2)의 특성을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대조군 (음성 대조군 및/또는 양성 대조군) 대비 하기 (1) 및/또는 (2)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1) 아이메리아 속 원충을 사멸시키는 효과가 우수함; 및/또는
(2) 아이메리아 속 원충의 세포 침투 효과 및/또는 세포 내 상기 원충의 증식 효과 억제.
일 예에서, 상기 망고스틴(예를 들면, 망고스틴 추출물)은 항원충용 조성물에 사료 조성물 및/또는 약학 조성물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농도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술한 농도 범위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농도 범위 외의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보다 항원충 활성이 우수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조성물 (예를 들면, 상기 사료 조성물, 상기 사료 첨가제, 상기 약학 조성물, 및/또는 상기 항원충용 조성물)을 동물(예를 들면,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콕시듐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환자)를 확인(선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및 콕시듐증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분변에서 콕시듐을 유도할 수 있는 원충의 오시스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콕시듐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에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방법, 투여경로, 및/또는 투여량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항콕시듐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콕시듐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이 적용되는 대상은 콕시듐증이 발병하였거나 발명할 수 있는 동물을 의미하고, 상기 동물은 인간, 말, 소, 마우스, 랫트, 개, 고양이 등을 포함하는 포유류, 가금류(예를 들면, 종계, 육계, 및/또는 산란계 등) 등을 포함하는 조류, 어류, 양서류, 및/또는 파충류 등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콕시듐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이 적용되는 동물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동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를 들면, 1종 이상, 2종 이상, 또는 3종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인간, 닭, 오리, 거위, 칠면조, 메추라기, 꿩, 비둘기, 앵무새, 소, 돼지, 염소, 양, 말, 영양, 오릭스, 원숭이, 고양이, 개, 마우스, 랫트, 토끼, 너구리, 다람쥐, 박쥐, 기니아피그, 낙타, 리마, 알파카, 웜벳, 도마뱀, 금붕어, 붕어, 틸라피아, 바벨, 폐어, 및 유럽산 처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를 들면, 1종 이상, 2종 이상, 또는 3종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동물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콕시듐증을 유도할 수 있는 원충에 대한 직접 사멸 효과, 상기 원충의 세포 침투 억제 효과, 및/또는 세포 내 상기 원충 증식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생체 내 콕시듐증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망고스틴, 잔톤, 및 항콕시듐제 (디클라주릴, 살리노마이신)의 처리에 따른 원충의 세포 침투율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망고스틴, 잔톤, 및 항콕시듐제 (디클라주릴, 살리노마이신)의 처리에 따른 세포 내 원충의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망고스틴 추출물의 내산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망고스틴 추출물의 내열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들어 더욱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하기 실시예로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1. 망고스틴의 생체 내 ( in vivo ) 항콕시듐 활성
실시예 1-1. 실험 시설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소재 동물실험 시설에서 생체 내(in vivo) 항콕시듐 효능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1일령 암컷 로스(Ross) 육계의 체중을 개별적으로 측정하고 무작위로 군을 나누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설계에 관한 사항 및 조건은 표 2에 기재하였다.
카테고리 실험변수
사육타입 케이지
육계 입식 일령 1일령
총 실험기간 22일
성별 암컷
케이지 별 육계 수 20마리
처리구 별 반복 수 2반복
처리구 수 5가지
육계의 총 수 200두
공격접종 원충의 종류 아이메리아 테넬라
공격접종 원충 수 10,000 오시스트 구강접종/마리
한국양계사양관리 지침을 따라 사육장을 관리하였다. 시험 시작 전에 케이지(cage) 및 사육장은 세척 및 소독하였다. 사육장의 온도 40 ~ 41℃ 및 40 ~ 50% 습도를 유지하고, 연속하여 모니터링하였다.
실시예 1-2. 망고스틴 추출물의 제조
망고스틴 (Garcinia mangostana L.) 과피를 건조 분쇄한 원말 120kg를 75% 에탄올(grain alcohol, 정제된 에틸 알코올)을 용매로 하여 60℃의 항온 수조에서 침지하여 2회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 후 회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고, 분말화하여 최종적으로 약 1kg의 추출 분말을 수득하여 추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실험 설계
사료는 대한사료 A1-초이 제품을 사용하였고, 사료에 각 소재 (살리노마이신(제일바이오사 제일살리노-60 제품), 잔톤(Sigma Aldrich사 X600 제품),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망고스틴 추출물)를 하기 표 3에 기재된 농도로 각각 첨가하여 자가배합하였다. 일반사료 및 배합된 사료에는 항생제와 보충제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각 소재 외에 항콕시듐제를 첨가하지 않았다. 실험 기간에 걸쳐 육계가 사료를 자유식으로 섭취하게 하였다. 대조군 또는 시험군 별로 랜덤 배치된 케이지에 1일령 육계를 20두씩 넣어 사육하고, 일반 사료를 7일간 급이 후, 상기에서 제조한 배합사료를 대조군 또는 시험군 별로 구분하여 섭취하게 하였다.
대조군 (음성 대조군 또는 양성 대조군) 및 시험군에 투여된 사료 포뮬레이션과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의한 콕시듐증 유도 여부는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시험군 별로 랜덤 배치된 케이지에 1일령 육계를 20두씩 넣어 사육하고, 일반 사료를 7일간 급이 이후,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배합사료를 시험군 별로 구분하여 섭취하게 하였다.
콕시듐증 유도는 90% 이상 성숙된 (sporulation) 아이메리아 테넬라의 오시스트(oocyst, 충란)를 14일령 육계에 개체 한 마리당 10,000개의 오시스트를 경구 튜브식으로 구강접종 (공격접종)하여 수행하였다.
처리
비감염된 음성대조군 일반 사료
감염된 음성대조군 아이메리아 테넬라 감염 + 일반 사료
양성대조군(살리노마이신 섭취군) 아이메리아 테넬라 감염 + 살리노마이신 60ppm 포함 배합사료
잔톤 섭취군 아이메리아 테넬라 감염 + 잔톤 62.5ppm 포함 배합사료
망고스틴 추출물 섭취군 아이메리아 테넬라 감염 + 망고스틴 추출물 62.5ppm 포함 배합사료
실시예 1-4. 망고스틴의 항콕시듐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3에서 설계한 시험군 별 항콕시듐 효능은 항콕시듐 종합지수 (Anticoccidial index; ACI)로서 나타내었고, 항콕시듐 종합지수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하였다. ACI 점수는 200점 만점이고, ACI 점수가 높을수록 항콕시듐능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며, 120점 이상 140점 미만이면 항콕시듐 소재로써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고, 140점 이상 내지 160점 미만이면 항콕시듐 소재로써 우수하다고 판단하며, 160점 이상일 경우, 항콕시듐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고 판단한다. (Luis Miguel De Pablos et al., Anticoccidial activity of maslinic acid against infection with Eimeria tenella in chickens, Parasitol Res, 2010)
(수학식 2)
항콕시듐 종합지수 (ACI) = (공격접종 이후 생존율 (%)) + (음성 대조군 대비 일당 증체량 (RWG,%)) - (병변 스코어 x 10) - (분변 오시스트 배출량 지수)
1) 생존율: 폐사 개체수를 매일 기록하고, 폐사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후 부검을 수행하여, 콕시듐증 외의 원인으로 사망한 개체의 수는 제외하였다. 공격 접종 후 8일차까지의 생존율 (%)을 항콕시듐 종합지수 계산에 사용하였다.
2) 일당 증체량: 개체에 원충을 공격접종 하기 전과 공격접종 후 7일차의 체중을 케이지 별로 체중을 측정하고, 그 차이를 일수로 나누어 일당 증체량 (ADG, g/d)을 계산하였다. 각 실험군의 일당 증체 량(ADG, average daily gain; g/d)을 비감염된 음성 대조군의 증체량 (ADG, g/d)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계산한 '음성 대조군 대비 일당 증체량 (RWG, %)'을 항콕시듐 종합지수 계산에 사용하였다.
각 대조군 및 시험군에서 일당 증체량 (ADG, g/d) 및 음성 대조군 대비 일당 증체량 (RWG, %)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구 개시체중
(7일령)
중간체중
(14일령,공격접종 전)
종료체중
(21일령, 공격접종 7일차)
14일~21일 ADG RWG
비감염된 음성대조군 197.1 473.7 956.8 65.99 100
감염된 음성대조군 200.1 493.2 886.9 53.98 82
살리노마이신 섭취군 192.9 455.9 917.6 62.46 94
잔톤 섭취군 189.8 470.9 887.0 56.42 85
망고스틴 추출물 섭취군 200.8 506.5 973.9 65.51 99
3) 병변 스코어링: 공격접종 후 8일차에 케이지 별로 육계를 4마리씩 부검하고 장을 절개 개방하였다. 육계의 맹장 부위에서 각각의 콕시듐 병변에 대해 스코어링하였다. 병변 스코어링 방법은 Johnson JK & Reid WM(1970) 문헌(Joyce Johnson, W.Malcolm Reid, Anticoccidial drugs: Lesion scoring techniques in battery and floor-pen experiments with chickens, Experimental parasitology, 1970)을 참고하여 수행하였다. 병변 스코어(Lesion score)는 0-4 등급이 있으며, 0점은 정상 맹장, 1점은 경미한 감염 증상, 2점은 중증도의 감염 증상, 3점의 경우 심각한 감염 증상, 및 4점은 매우 심각한 감염 증상을 보이거나 폐사를 일으킨 경우에 해당한다. 각 대조군 및 시험군에서 측정된 맹장 병변 스코어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측정된 맹장 병변 스코어에 10을 곱하여 항콕시듐 종합지수 계산에 사용하였다.
맹장 병변 스코어
비감염된 음성대조군 0
감염된 음성대조군 3.1
살리노마이신 섭취군 2.7
잔톤 섭취군 2.4
망고스틴 추출물 섭취군 1.9
4) 분변 오시스트 배출량 : 공격접종 6 ~ 8일차의 전체 분변을 케이지 별로 수거하여 고르게 믹싱 후, 1g 씩 총 3번에 걸쳐 랜덤으로 샘플링 진행하였다. 소금물을 이용하여 분변 1g 속에 있는 오시스트를 띄운 뒤, McMaster chamber를 사용하여 오시스트 배출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오시스트 배출량/그램
비감염된 음성대조군 0.00E+00
감염된 음성 대조군 1.90E+08
살리노마이신 섭취군 1.30E+08
잔톤 섭취군 1.80E+08
망고스틴 추출물 섭취군 1.30E+08
각 그룹별 오시스트 배출량을 감염된 음성 대조군의 오시스트 배출량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감염된 음성 대조군 대비 오시스트 배출량(%)을 계산하였다. 계산한 감염된 음성 대조군 대비 오시스트 배출량이 0 ~ 1% 미만 수준이면 0, 1% 이상 ~ 26% 미만은 5, 26% 이상 ~ 51% 미만은 10, 51% 이상 ~ 76% 미만은 20, 76% 이상 ~ 100% 이하는 40으로 오시스트 배출량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항콕시듐 종합지수 계산에 사용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측정한 각 시험군별 항콕시듐 종합지수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망고스틴 추출물 섭취군에서 항콕시듐 종합지수가 양성 대조군인 살리노마이신 섭취군 보다 높아서 우수한 항콕시듐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항콕시듐 종합지수(ACI)
비감염된 음성대조군 197
감염된 음성대조군 101
살리노마이신 섭취군 141
잔톤 섭취군 122
망고스틴 추출물 섭취군 151
실시예 2. 망고스틴의 아이메리아 ( Eimeria ) 원충에 대한 직접 사멸 효과
실시예 2-1. 망고스틴의 원충 직접 사멸 효과 측정
본 실시예에서 대다수 농가에 감염이 되어있다고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아이메리아 3종 (E. tenella, E. acervulina, E.maxima)에 대해 원충 (포자소체(sporozoites)) 직접 사멸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각 원충의 오시스트 일정량을유리 비즈가 담긴 튜브에 넣고 분쇄한 뒤, 파쇄된 오시스트 세포벽 및 기타 잔해를 제거하기 위하여, 퍼콜 비중차 원리 (percoll density gradient)를 이용하여 내부 포자낭 (sporocysts)을 정제하고, PBS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내부 원충의 탈낭을 위해 아이메리아 테넬라,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 아이메리아 맥시마의 포자낭에 각각 소듐 타우로콜산 (sodium taurocholic acid, Sigma aldrich, USA) 및 트립신 (trypsin, Gibco, USA)을 포함하는 시약을 처리하여 인큐베이션 후 PBS 용액으로 1회 세척하고, 원충을 수득하였다.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에피카테킨, 알파-망고스틴, 잔톤, 및 항콕시듐제인 살리노마이신과 디클라주릴 (이하, 소재)을 각각 1 내지 500ppm의 다양한 농도로 아이메리아 3종의 원충과 반응시킨 뒤, 현미경 관찰을 통해 살아있는 원충 만을 카운팅하였다. 이 때, PBS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 대비 각 소재 처리 시 원충의 사멸율(%)을 계산하여 표 8 내지 표 10 및 표 12에 각각 나타내었고, 원충을 100% 직접 사멸시킨 최소 농도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 원충 사멸율(%)
ppm 디클라주릴 살리노마이신 잔톤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500 44 100 25 100
250 12 100 11 100
125 23 73 0 100
100 0 60 0 100
50 0 0 0 100
10 0 0 0 91
5 0 0 0 65
1 0 0 0 16
아이메리아 테넬라 원충 사멸율(%)
ppm 디클라주릴 살리노마이신 잔톤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500 44 100 15 100
250 35 100 0 100
125 0 74 10 100
100 0 46 0 100
50 0 0 0 100
10 0 0 0 100
5 0 0 0 83
1 0 0 0 59
아이메리아 맥시마 원충 사멸율(%)
ppm 디클라주릴 살리노마이신 잔톤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500 30 100 12 100
250 16 97 5 100
125 0 65 0 100
100 0 59 0 100
50 0 0 0 100
10 0 0 0 84
5 0 0 0 48
1 0 0 0 17
처리구 원충 100% 직접사멸 최소농도(ppm)
아이메리아 테넬라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 아이메리아 맥시마
음성 대조군 - - -
살리노마이신 500 250 500
디클라주릴 >500 500 >500
잔톤 >500 >500 >500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10 50 50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잔톤 처리군에서는 500ppm까지 콕시듐을 유도할 수 있는 원충에 대한 100% 직접 사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디클라주릴의 경우에도 아이메리아 테넬라 및 아이메리아 맥시마에 대해서 500ppm까지 원충에 대한 100% 직접 사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망고스틴 추출물의 처리군에서 다른 군 보다 현저히 낮은 농도에서도 아이메리아 테넬라, 아이메리아 아세볼리나, 또는 아이메리아 맥시마를 100% 사멸시킬 수 있어 원충 사멸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이메리아 테넬라 원충 사멸율
ppm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에피카테킨 알파망고스틴
15.6 100 0 93.3
7.8 93.3 0 50
3.9 40 0 23.3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망고스틴 추출물은 망고스틴에 포함되는 개별성분인 에피카테킨, 알파-망고스틴 보다 현저히 낮은 농도인 15.6ppm에서 아이메리아 테넬라 원충을 100% 사멸시킬 수 있어 원충 사멸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C-MS 분석 (LC-MS 분석 조건은 아래와 같다: LC는 waters acquity UPLC i-class 이며, MS는 waters xevo G2-XS(Q-TOF) 제품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column 정보는 waters acquity BEH C18 column을 사용하였다.)에 의해 상기 망고스틴 추출물 내의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하여 이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망고스틴 추출물 내 알파-망고스틴의 함량은 약 12%의 수준으로, 이를 고려하면, 알파-망고스틴 대비 망고스틴 추출물 자체의 항콕시듐 효과는 더 우수하다.
망고스틴 추출물 내 유효성분(%)
알파 망고스틴 12.3%
감마 망고스틴 1.06%
케르세틴 0.008%
에피 카테킨 0.03%
실시예 3. 망고스틴의 아이메리아 ( Eimeria ) 원충에 대한 세포 침투 및 증식 억제 효과
본 실시예에서 아이메리아 감염 및 증식이 된다고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동물세포 MDBK 세포주를 이용하여, 망고스틴의 세포 내 원충 침투 및 세포 내 증식 억제능을 살펴보았다.
실시예 3-1. 망고스틴 처리에 따른 원충의 세포 침투 억제 효과
MDBK 세포 (ATCC 구매) 100,000 개를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뒤, 온도 37℃에서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실시예 2의 방법과 유사하게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의 원충을 획득하였다. 하나의 웰에 원충을 200,000마리씩 세포가 분주된 웰에 첨가하고 각각의 소재 (망고스틴, 잔톤 및 항콕시듐제인 살리노마이신과 디클라주릴)를 농도별 (1 또는 10ppm)로 세포에 처리하여, 온도 41℃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원충으로 감염시킨 MDBK 세포이며, 양성 대조군은 살리노마이신 또는 디클라주릴 용액과 원충을 함께 인큐베이션한 그룹을 의미한다. 그 후 세포에 침습하지 않은 원충을 제거하기 위하여, PBS 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2회 세척하였다. 파이펫팅을 통하여 세포와 세포 안에 들어가 있는 원충을 떼어낸 후 세포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E.acervulina ACE 유전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의 서열은 하기 표 14에 기재하였다.
프라이머 염기서열(5'->3') 서열번호
E.tenella ITS-1 Forward TGGAGGGGATTATGAGAGGA 서열번호 1
Reverse CAAGCAGCATGTAACGGAGA 서열번호 2
E.acervulina ACE Forward GCAGTCCGATGAAAGGTATTTG 서열번호 3
Reverse GAAGCGAAATGTTAGGCCATCT 서열번호 4
소재 별로 세척 전/후 Ct값을 비교하고 음성대조군의 △Ct값으로 보정하여 소재 처리를 통한 원충의의 세포 침투 억제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망고스틴 추출물 처리군에서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에 대한 세포 침투 억제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2. 망고스틴 처리에 따른 세포내 원충 증식 억제 효과
MDBK 세포 (ATCC 구매) 100,000 개를 24웰-플레이트에 분주한 뒤, 온도 37℃에서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실시예 2의 방법과 유사하게 아이메리아 테넬라의 원충을 획득하였다. 하나의 웰에 원충 200,000마리를 세포가 분주된 웰에 첨가하고, 온도 41℃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포에 붙지 않은 원충을 제거하기 위하여 PBS 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2회 세척하였다. 농도별로 각각의 소재 (망고스틴, 잔톤 및 항콕시듐제인 살리노마이신과 디클라주릴)를 세포에 처리한 뒤 온도 41℃에서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원충으로 감염시킨 MDBK 세포이며, 양성 대조군은 살리노마이신 및 디클라주릴 용액과 원충을 함께 인큐베이션한 그룹을 의미한다. 파이펫팅을 통하여 세포와 세포 안에서 증식한 원충을 떼어낸 후 세포로부터 DNA 를 추출하고, E.tenella ITS-1 (Internal transcribed spacer-1) 유전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은 상기 표 14에 기재하였다.
음성대조군 대비 소재 처리군에서의 Ct값을 비교하여 소재 처리를 통한 세포 내 원충(포자소체) 증식 억제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망고스틴 추출물 처리군은 다른 군 보다 현저히 우수한 아이메리아 테넬라의 세포 내 원충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망고스틴의 세포독성 평가
본 실시예에서, MTS 분석방법 (3-(4,5-dimethy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promega, USA)을 이용하여 망고스틴 추출물이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 평가에 활용된 세포주는 (1) MDBK(Madin-Darby Bovine Kidney Epithelial Cells) 및 (2) RAW264.7(Mouse macrophage cell)이었고, 모두 ATCC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각 세포를 96 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1x105 세포/웰의 농도로 분주하고 온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소재 (망고스틴 추출물, 잔톤, 알파망고스틴 및 에피카테킨)를 농도별 (3.1 ~ 500ppm/well)로 처리하여 온도 37℃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에 MTS 용액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으며,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로 파장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음성 대조군인 5% DMSO 처리구 대비 세포 생존율(%)를 계산하고, 50% 이상의 세포가 생존하는 세포독성 최소 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1의 방법과 유사하게, 각각의 소재의 에이메리아 테넬라 원충을 100% 사멸시키는 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망고스틴 추출물의 경우 약 62.5ppm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아니하여 세포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망고스틴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농도보다 현저히 낮은 농도에서 우수한 원충 사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0% 이상의 세포가 생존하는 세포독성 최소농도 (ppm)
세포 알파
망고스틴
잔톤 에피카테킨 망고스틴
추출물
MDBK ≥7.8 ≥62.5 ≥500 ≥62.5
RAW264.7 ≥15.6 ≥62.5 ≥500 ≥62.5
원충 100% 사멸 최소 농도 (ppm)
에이메리아
테넬라
≥31.3 ≥500 ≥500 ≥10
실시예 5. 망고스틴의 내산성 평가
본 실시예에서 망고스틴 자체의 내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망고스틴 추출물에 염산 (HCl) 용액을 첨가하여, pH 2, 3 및 5.5가 되도록 조정한 후, 온도 40℃에서 1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이후 수산화나트륨 (NaOH) 용액을 첨가하여 중성화 (pH 7.0)시키고, PBS 용액을 이용하여 희석한 1 내지 100ppm의 다양한 농도의 망고스틴 추출물 용액에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 (E.acervuilna) 원충 200,000 마리를 노출시켜 4시간 동안 온도 41℃에서 반응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충 사멸율 (%)을 측정하여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망고스틴 추출물은 강한 산성 조건에서도 콕시듐증을 유도하는 원충에 대한 사멸 효능이 사라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망고스틴의 내열성 평가
본 실시예에서 망고스틴의 내열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망고스틴 추출물을 온도 85 내지 95℃에 10분간 노출시킨 뒤, 열을 식히고 PBS 용액으로 1, 10, 50, 100ppm 농도로 각각 희석하였다.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 (E. acervulina) 원충 200,000마리를 1 내지 100ppm의 다양한 농도로 망고스틴 추출물에 4시간 동안 온도 41℃에서 반응시키고, 상기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충 사멸율(%)을 측정하여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망고스틴 추출물은 고온의 악조건 속에서도 콕시듐증을 유도하는 원충에 대한 사멸 효능이 사라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망고스틴 추출물 섭취로 인한 육계 성장 영향 평가
본 실시예에서 망고스틴 추출물이 육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개선 혹은 저하)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7-1. 실험 시설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소재 동물실험 시설에서 효능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1일령 암컷 로스 (Ross) 육계의 체중을 개별적으로 측정하고 무작위로 군을 나누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설계에 관한 사항 및 조건은 표 16에 기재하였다.
카테고리 실험변수
사육타입 케이지
육계 입식 일령 1일령
총 실험기간 14일
성별 암컷
케이지 별 육계 수 20마리
처리구 별 반복 수 2반복
처리구 수 6가지
육계의 총 수 240두
한국양계사양관리 지침을 따라 사육장을 관리하였다. 시험 시작 전에 케이지(cage) 및 사육장은 세척 및 소독하였다. 사육장의 온도 40 ~ 41℃ 및 40 ~ 50% 습도를 유지하고, 연속하여 모니터링하였다.
실시예 7-2. 실험 설계
사료는 대한사료 A1-초이 제품을 사용하였고, 사료에 각 소재 (살리노마이신 (제일바이오사 제일살리노-60 제품), 잔톤 (Sigma Aldrich사 X600 제품),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망고스틴 추출물)를 하기 표 17에 기재된 농도로 각각 첨가하여 자가배합하였다. 일반사료 및 배합된 사료에는 항생제와 보충제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각 소재 외에 항콕시듐제를 첨가하지 않았다. 실험 기간에 걸쳐 육계가 사료를 자유식으로 섭취하게 하였다. 대조군 또는 시험군 별로 랜덤 배치된 케이지에 1일령 육계를 20두씩 넣어 사육하고, 일반 사료를 7일간 급이 후, 상기에서 제조한 배합사료를 대조군 또는 시험군 별로 구분하여 7일간 섭취하게 하였다. 대조군 (음성 대조군 또는 양성 대조군) 및 시험군에 투여된 사료 포뮬레이션은 하기 표 17에 기재하였다.
처리
음성대조군 일반 사료
살리노마이신 섭취군(양성대조군) 살리노마이신 60ppm 포함 배합사료
잔톤 섭취군1 잔톤 250ppm 포함 배합사료
잔톤 섭취군2 잔톤 125ppm 포함 배합사료
망고스틴 추출물 섭취군 망고스틴 추출물 125ppm 포함 배합사료
실시예 7-3. 육계의 일당 증체량 계산
개체에 상기 표 16의 사료를 급이하기 전과 급이 후 7일차의 체중을 케이지 별로 체중을 측정하고, 그 차이를 일수로 나누어 일당 증체량 (ADG, g/d)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18에 나타내었다. 처리구 6개 간의 비교를 위하여 Duncan 사후검정 다중비교법을 사용하였으며, SA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표 18에 나타내었다.
표 1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망고스틴 추출물 섭취군에서는 음성대조군, 양성 대조군 및 잔톤 섭취군 대비 일당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잔톤 섭취군의 경우 오히려 음성 대조군 보다 일당증체량을 감소시켰다.
처리구 개시체중(g) 종료제중(g) 종료-개시체중(7일, g) 일당증체량
(ADG)
Duncan
p<0.05
음성대조군 193 512 319 45.57 bc
살리노마이신 섭취군
(양성대조군)
198 526 328 46.86 ab
잔톤 섭취군1 201 485 284 40.57 d
잔톤 섭취군2 202 509 307 43.86 bcd
망고스틴 추출물 섭취군 208 539 331 47.29 a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Anti-coccidial composition comprising mangosteen and uses thereof <130> DPP20202900KR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tenella ITS-1_Forward <400> 1 tggaggggat tatgagagga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tenella ITS-1_Reverse <400> 2 caagcagcat gtaacggaga 20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acervulina ACE_Forward <400> 3 gcagtccgat gaaaggtatt tg 22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acervulina ACE_Reverse <400> 4 gaagcgaaat gttaggccat ct 22

Claims (12)

  1.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고스틴은 망고스틴 과피, 망고스틴 과육, 또는 이의 조합인, 사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고스틴은 망고스틴의 원물, 건조물, 분쇄물, 및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사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망고스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것인, 사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망고스틴 추출물은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인, 사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콕시듐증은 아이메리아 속(Eimeria sp.) 원충에 의해 유도되는 것인, 사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콕시듐증 예방 또는 개선은 하기 (1) 내지 (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사료 조성물:
    (1) 병변 스코어, 분변 오시스트 배출양, 및 폐사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감소;
    (2) 콕시듐증에 의한 체중 감소의 억제;
    (3) 항콕시듐 종합지수 (Anticoccidial index; ACI)가 증가; 및
    (4) 아이메리아 속 원충의 세포 침투, 세포 내 상기 원충의 증식, 또는 이들 모두를 감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상기 망고스틴을 전체 중량 기준으로 1%(w/w) 이하로 포함하는 사료인, 사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인, 사료 조성물.
  10.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아이메리아 속 원충에 대한 항원충용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료 조성물, 제10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 및 제11항에 따른 항원충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
KR1020200125245A 2020-09-25 2020-09-25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41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245A KR20220041674A (ko) 2020-09-25 2020-09-25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23519068A JP2023544537A (ja) 2020-09-25 2021-09-24 マンゴスチンを含む抗コクシジウム用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US18/024,949 US20230321171A1 (en) 2020-09-25 2021-09-24 Anti-coccidial composition comprising mangosteen and uses thereof
PCT/KR2021/013035 WO2022065911A1 (ko) 2020-09-25 2021-09-24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202180065478.0A CN116234451A (zh) 2020-09-25 2021-09-24 包含山竹的抗球虫组合物及其用途
EP21872939.0A EP4218418A1 (en) 2020-09-25 2021-09-24 Anti-coccidial composition comprising mangosteen and us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245A KR20220041674A (ko) 2020-09-25 2020-09-25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74A true KR20220041674A (ko) 2022-04-01

Family

ID=8084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245A KR20220041674A (ko) 2020-09-25 2020-09-25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21171A1 (ko)
EP (1) EP4218418A1 (ko)
JP (1) JP2023544537A (ko)
KR (1) KR20220041674A (ko)
CN (1) CN116234451A (ko)
WO (1) WO202206591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1589A1 (en) 2001-07-27 2003-05-15 Dawson Karl 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 of coccidiosi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1081B2 (ja) 2006-10-31 2012-12-19 日清丸紅飼料株式会社 コクシジウム症・クロストリジウム症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飼料
KR102160798B1 (ko) * 2017-05-23 2020-09-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망고스틴 추출물 또는 망고스틴 추출물로부터 유래한 잔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유행성 설사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5096B1 (ko) 2019-04-26 2024-04-0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코팅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1589A1 (en) 2001-07-27 2003-05-15 Dawson Karl 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 of coccidio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911A1 (ko) 2022-03-31
EP4218418A1 (en) 2023-08-02
US20230321171A1 (en) 2023-10-12
CN116234451A (zh) 2023-06-06
JP2023544537A (ja)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kół et al. Toltrazuril (Baycox®) treatment against coccidiosis caosect by Eimeria sp. in Japanese quails (Coturnix coturnix japonica).
Acharya et al. Alternatives to fight against coccidiosis: A review
Adamu et al. Effect of Lepidium sativum L.(garden cress) seed and its extract on experimental Eimeria tenella infection in broiler chickens
KR102104921B1 (ko) 항콕시듐 활성을 갖는 식물 부분 및 추출물
US20240024396A1 (en) Anticoccidial composition comprising ginkgo leaves and use thereof
Ahmad et al. Management and control of coccidiosis in poultry—A review
KR20220041674A (ko) 망고스틴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3070907B (zh) 一种抗家禽球虫病药及其制备方法
EP4302608A1 (en) Anticoccidial composition comprising coumaric acid and use thereof
EP4218421A1 (en) Anticoccidial composition comprising violacein, and use thereof
Abbasi et al. In vitro and in vivo activity of cinnamaldehyde against Eimeria kofoidi in chukar partridge (Alectoris chukar)
Olounladé et al. Moringa oleifera, Ocimum gratissimum and Vernonia amygdalina as a natural antiparasitic alternative in growing rabbits
KR20220041672A (ko)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증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hmad et al. Management and control of coccidiosis in poultry
WO2021016141A1 (en) Anti-coccidial phytogenic formulations
Luce Anthelmintic potential of plant extracts on helminths in small ruminants
CN104968357B (zh) 用于预防及治疗球虫病的咸丰草及聚炔类化合物
US2023004035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diabetes containing wasp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04681B1 (ko) 호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776896A (zh) 通过动物饲料对球虫病预防和治疗的正潜伏期效应
KR20190050470A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okół et al. quails (Coturnix coturnix japonica)
Ismail et al. THE ANTICOCCIDIAL EFFECTS OF TURMERIC AND GINGER AGAINST EIMERIA TENE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