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479A -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 Google Patents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479A
KR20220041479A KR1020200124733A KR20200124733A KR20220041479A KR 20220041479 A KR20220041479 A KR 20220041479A KR 1020200124733 A KR1020200124733 A KR 1020200124733A KR 20200124733 A KR20200124733 A KR 20200124733A KR 20220041479 A KR20220041479 A KR 20220041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storage means
straw
opening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곤
Original Assignee
김민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곤 filed Critical 김민곤
Priority to KR102020012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479A/ko
Publication of KR2022004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텀블러 외주면에 빨대를 보관할 수 있도록 제작된 탈부착 수납부와 누수차단이 가능하도록 이중으로 구성된 뚜껑구조를 갖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TUMBLER WITH STRAW STORAGE MEANS}
본 발명은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텀블러 외주면에 빨대를 보관할 수 있도록 제작된 탈부착 수납부와 누수차단이 가능하도록 이중으로 구성된 뚜껑구조를 갖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음료를 수용하고 휴대하면서 음용하기 위한 용기이다.
이러한 텀블러의 한예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0056231호(공개일 : 2019.05.24)에는, 텀블러 외면 수납부에 넣을 수 있게 형성되는 빨대와 삽입부를 구성하고 있으나 빨대가 외부노출에 노출되어 있어 빨대의 위생문제 및 분실의 위험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875498호(공개일 : 2018.07.22)에는, 뚜껑의 회전에 따라 음용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장치가 있으나 뜨거운 물 또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가 텀블러 내부에 있을 경우 내부압력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0056231호(공개일 : 2019.05.24)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875498호(공개일 : 2018.07.22)
본 발명의 목적은, 텀블러와 수납부의 빨대 보관을 통해 이동편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텀블러의 누수차단을 위해 회전식 뚜껑 개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텀블러 외주면에 빨대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텀블러의 뚜껑 본체에는, 개폐구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텀블러의 뚜껑본체 중앙부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단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회전시 일단이 상기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이너캡; 및 상기 이너캡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이너캡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리드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너캡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수단은, 상기 텀블러의 외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는 빨대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수납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텀블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수단은, 상기 텀블러의 외주면에 빨대를 밀착시켜 보관하도록 상기 텀블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내측면 중앙에 상기 빨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양쪽에는 상기 텀블러를 감싸 결합되기 위한 결합날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금속판재, 실리콘재 또는 고무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부착 가능한 수납부를 통해서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하고 세척이 편리하다.
일회용품사용에 따른 환경문제를 다회용 빨대를 보관 및 재사용하여 환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더불어, 개폐부 장치의 연결구조로 누수차단이 가능하여 물이 새지 않아 이동이 편리하여 언제 어디서나 뚜껑의 분리 없이 음용이 가능하다.
도 1은 텀블러 본체의 외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은 텀블러 본체의 내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텀블러 본체의 외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은 텀블러 본체의 내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빨대를 보관수단(15)을 갖는 텀블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텀블러 외주면(1)에는, 빨대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15)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관수단(15)은, 텀블러의 외주면(1)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납부(13); 및 수납부(13)에 수용되는 빨대(4)의 이탈을 방지하고, 수납부(13)를 커버하도록 텀블러의 외주면(1)에 결합되는 커버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보관수단(15)의 다른 실시예는, 텀블러의 외주면(1)에 빨대(4)를 밀착시켜 보관하도록 텀블러의 외주면(1)에 결합되는 커버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관수단(15)이 커버부재(12) 단독으로 구성됨으로써 수납부(13)의 형성되지 않은 텀블러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12)는, 내측면 중앙에 빨대(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양쪽에는 텀블러를 감싸 결합되기 위한 결합날개(11)가 양쪽에 탄성력을 구비하여 형성됨으로써 텀블러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12)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금속판재, 실리콘재 또는 고무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텀블러의 뚜껑본체(9)에는, 개폐구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수단(15)이 마련된다.
잠금수단(15)은, 텀블러의 뚜껑본체(9) 중앙부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단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회전시 일단이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이너캡(7); 및 이너캡(7)의 상면에 결합되고, 이너캡(7)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리드캡(6)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너캡(7)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구를 개폐할 수 있다.
리드캡(6)은 손잡이가 포함되어 있는 캡으로 뚜껑본체(9)가 고정된 체 이너캡(7)과 뚜껑패킹(8)을 함께 장착하여 상하로는 고정되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하단의 체결부위를 눌러 분리될 수 있다.
이너캡(7)은 뚜껑본체(9)가 고정된 체 리드캡(6)과 뚜껑패킹(8)을 함께 장착하여 상하로는 고정되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회전하여 토출구를 부채꼴 모양의 실리콘 소재의 단단하고 물성이 있는 재질로 막아 누수가 차단될 수 있다.
뚜껑패킹(8)은 뚜껑본체(9), 리드캡(6), 이너캡(7)의 연결부위 사이의 누수를 차단하는 하기 위하여 실리콘 소재의 단단하고 물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텀블러 외주면 2: 텀블러 내주면
3: 외면하단캡 4: 빨대
5: 미끄럼방지패드 6: 리드캡
7: 이너캡 8: 뚜껑패킹
9: 뚜껑본체 10: 뚜껑외주면링
11: 수납커버날개 12: 커버부재
13: 수납부 14: 보관수단
15: 잠금수단

Claims (7)

  1. 텀블러 외면에는, 빨대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의 뚜껑본체에는,
    개폐구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텀블러의 뚜껑본체 중앙부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단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회전시 일단이 상기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이너캡; 및
    상기 이너캡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이너캡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리드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너캡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수단은,
    상기 텀블러의 외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는 빨대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수납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텀블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수단은,
    상기 텀블러의 외주면에 빨대를 밀착시켜 보관하도록 상기 텀블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내측면 중앙에 상기 빨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양쪽에는 상기 텀블러를 감싸 결합되기 위한 결합날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금속판재, 실리콘재 또는 고무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KR1020200124733A 2020-09-25 2020-09-25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KR20220041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33A KR20220041479A (ko) 2020-09-25 2020-09-25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33A KR20220041479A (ko) 2020-09-25 2020-09-25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479A true KR20220041479A (ko) 2022-04-01

Family

ID=8118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733A KR20220041479A (ko) 2020-09-25 2020-09-25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147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98B1 (ko) 2018-02-13 2018-07-06 홍승영 텀블러 뚜껑
KR20190056231A (ko) 2017-11-16 2019-05-24 이슬지 스트로 삽입이 가능한 텀블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231A (ko) 2017-11-16 2019-05-24 이슬지 스트로 삽입이 가능한 텀블러
KR101875498B1 (ko) 2018-02-13 2018-07-06 홍승영 텀블러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024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5361934A (en) Pop-up straw for juvenile drinking cup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US7494025B2 (en) Internal cover for enclosing container contents
AU632810B2 (en) A container
ES2215655T3 (es) Cierre con valvula dispensadora.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KR200423018Y1 (ko) 화장품용기
RU2007132457A (ru) Укупорочное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лек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CN110710849A (zh) 婴儿吸管杯
KR20220041479A (ko) 빨대 보관수단을 갖는 텀블러
KR200399930Y1 (ko) 페이스 파우더 용기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KR200474741Y1 (ko) 유아용 컵뚜껑
KR200491506Y1 (ko)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KR940002881Y1 (ko) 용기의 뚜껑부 회전 개폐장치
KR200267719Y1 (ko) 음료용기
KR200207835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WO2021014593A1 (ja) 飲料容器
JPS6238929Y2 (ko)
JP6880743B2 (ja) 容器
KR200321744Y1 (ko) 용기 뚜껑
KR200342897Y1 (ko) 휴대용 음료수통
JP3741880B2 (ja) 注出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