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06Y1 -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506Y1
KR200491506Y1 KR2020190000054U KR20190000054U KR200491506Y1 KR 200491506 Y1 KR200491506 Y1 KR 200491506Y1 KR 2020190000054 U KR2020190000054 U KR 2020190000054U KR 20190000054 U KR20190000054 U KR 20190000054U KR 200491506 Y1 KR200491506 Y1 KR 200491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lid
beverage container
inserts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이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정 filed Critical 이현정
Priority to KR2020190000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06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1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을 음료용기(컵)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는
입구측이 개방되고, 임의형태를 갖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직경이 상이한 제1,2빨대삽입구가 이격되게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1,2빨대삽입구 사이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뚜껑;
상기 제1,2빨대삽입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밀폐구가 바디 바닥면 양측에 후크형태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2밀폐구 사이에 힌지돌기가 후크형태로 형성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a beverage container having cap}
본 명세서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을 음료용기(컵)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보리차 등의 음료를 마실 때에 음료가 의류에 흘리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빨대가 꼽혀진 빨대컵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빨대가 컵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 빨대 내부를 매번 세척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일회용 빨대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4-0006450호에 게시된 누수방지용 빨대삽입구를 가지는 컵뚜껑은
컵(110)의 상측 개구부위를 밀폐하는 마개(120)에 형성된 배출공에 실링 가능한 상태로 접합되어 빨대(S)의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빨대삽입공(131);
빨대삽입공(131)의 내주연에 구성되어 빨대삽입공(131)의 구멍을 덮어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연질의 막(132);
연질의 막(132)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선(133)을 포함하는 누수방지용 빨대삽입구(130)를 가지며,
전술한 빨대삽입구(130)는,
빨대삽입공(131)에 구성되는 연질의 막(132)이 가장자리부(E)로부터 중심부(C)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누수방지용 빨대삽입구를 가지는 컵뚜껑은, 빨대(s)를 빨대삽입공(131)에 삽입시 연질의 막(132)이 빨대(s)의 두께에 대응되는 부위까지만 휘어지도록 하여 누수공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빨대(s)를 빨대삽입공(131)에 반복적으로 삽입시킬 경우 연질의 막(132)이 복원력이 떨어져 음료가 쏟아지거나 누수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음료용기를 눕히거나 거꾸로 휴대할 경우에도 수용된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빨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구측이 개방되고, 임의형태를 갖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직경이 상이한 제1,2빨대삽입구가 이격되게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1,2빨대삽입구 사이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뚜껑;
상기 제1,2빨대삽입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밀폐구가 바디 바닥면 양측에 후크형태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2밀폐구 사이에 힌지돌기가 후크형태로 형성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되는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음료용기를 눕히거나 거꾸로 휴대할 경우에도 내부의 음료가 빨대 삽입구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품에 대한 신뢰성 및 상품성을 갖게 된다.
또한,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빨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들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l은 종래의 누수방지용 빨대삽입구를 가지는 컵뚜껑의 개략도,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뚜껑에 구비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뚜껑에 구비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A)는
입구측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임의형태를 갖는 용기본체(10);
용기본체(10)의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직경이 상이한 제1,2빨대삽입구(11,12)가 이격되게 관통형성되며, 제1,2빨대삽입구(11,12) 사이에 결합공(16)이 관통형성되는 뚜껑(13);
제1,2빨대삽입구(11,12)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밀폐구(14,15)가 바디(19) 바닥면 양측에 후크형태로 연장형성되고, 결합공(16)에 고정되도록 제1,2밀폐구(14,15) 사이에 힌지돌기(17)가 후크형태로 형성되는 마개(18);를 구비한다.
전술한 제1,2빨대삽입구(11,12) 및 결합공(16)은 뚜껑(13)에 동일선상으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마개(18)는
바디(19)를 플렉시블 가능하게 박판 형태로 사출성형하되,
제1밀폐구(14)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여 용기본체(10)에 수용되는 내용물과 제1밀폐구(14)의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리콘재의 제1보호층(20);
제2밀폐구(15)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여 용기본체(10)에 수용되는 내용물과 제2밀폐구(15)의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리콘재의 제2보호층(2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음료용기(A)를 눕히거나, 거꾸로 휴대하는 경우에 용기본체(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제1,2빨대삽입구(11,12)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13)에 장착되는 역류방지용 밸브(25)는
빨대(24)가 통과되는 통공(26)이 중앙에 형성되며, 통공(26) 주변에 신축성을 갖는 가요부(27)가 형성되는 제1디스크(28);
제1디스크(28)에 중첩되며, 빨대(24)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씰(29)에 절개부(30)가 +자 또는 -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2디스크(31);
제1디스크(28)와 제2디스크(31)를 연결하는 링크(32);
역류방지용 밸브(25)가 뚜껑(13)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홀더(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역류방지용 밸브(25)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0010424호의 "수밀성을 갖는 밀봉장치"에 게시되어 있어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빨대(24;24a,24b)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뚜껑(13)에 관통형성된 제1,2빨대삽입구(11,12)에 결합된 마개(18)를 중간의 힌지돌기(17)를 중심축으로 하여 마개(18)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을 상방향으로 틸팅시켜 제1빨대삽입구(11) 또는 제2빨대삽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킨다.
이때, 전술한 마개(18)의 바닥면 길이방향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돌기(17)는 뚜껑(13)에 형성된 결합공(16)에 힌지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경이 상이하게 뚜껑(13)에 형성된 제1빨대삽입구(11)(일예로서, 직경이 큰 빨대(24b)가 삽입된다) 또는 제2빨대삽입구(12)(일 예로서,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빨대(24a)가 삽입된다)에 직경이 맞는 빨대(24)를 꽃아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사용자가 두사람일 경우에 마개(18)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을 중간의 힌지돌기(17)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틸팅시켜 제1,2빨대삽입구(11,12)를 개방시킨 후, 마개(18)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각도로 회전시킨다.
이때, 전술한 마개(18)의 바닥면 길이방향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돌기(17)는 뚜껑(13)에 형성된 결합공(16)에 힌지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개방된 제1,2빨대삽입구(11,12)에 직경이 맞는 빨대(24)를 꽃아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음료를 동시에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뚜껑(13)에 관통형성된 제1,2빨대삽입구(11,12)에 마개(18)의 제1,2밀폐구(14,15)를 결합시켜 폐쇄시킬 경우, 뚜껑(13) 내부에 위치한 제1,2밀폐구(14,15) 외측면을 감싼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재의 제1,2보호층(20,21)에 의해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음료를 안심하고 마실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용기본체
11; 제1빨대삽입구
12; 제2빨대삽입구
13; 뚜껑
14; 제1밀폐구
15; 제2밀폐구
16; 결합공
17; 힌지돌기
18; 마개
19; 바디
20; 제1보호층
21; 제2보호층
24; 빨대
25; 역류방지용밸브
26; 통공
27; 가요부
28; 제1디스크
29; 씰
30; 절개부
31; 제2디스크
32; 링크
33; 고정홀더

Claims (3)

  1. 입구측이 개방되고, 임의형태를 갖는 용기본체(10);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직경이 상이한 제1,2빨대삽입구가 이격되게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1,2빨대삽입구 사이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뚜껑(13); 상기 제1,2빨대삽입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밀폐구가 바디 바닥면 양측에 후크형태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2밀폐구 사이에 힌지돌기가 후크형태로 형성되는 마개(18);를 구비하는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18)는
    상기 바디(19)를 박판 형태로 사출성형하되,
    상기 제1밀폐구(14)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여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되는 내용물과 상기 제1밀폐구(14)의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리콘재의 제1보호층(20);
    상기 제2밀폐구(15)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여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되는 내용물과 상기 제2밀폐구(15)의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리콘재의 제2보호층(2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를 눕히거나 거꾸로 휴대하는 경우에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상기 제1,2빨대삽입구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뚜껑에 장착되는 역류방지용 밸브(25)는
    빨대(24)가 통과되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주변에 신축성을 갖는 가요부가 형성되는 제1디스크(28);
    상기 제1디스크(28)에 중첩되며, 상기 빨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씰에 절개부가 형성된 제2디스크(31);
    상기 제1디스크(28)와 제2디스크(31)를 연결하는 링크(32);
    상기 역류방지용 밸브(25)가 상기 뚜껑(13)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홀더(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KR2020190000054U 2019-01-04 2019-01-04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Active KR200491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54U KR200491506Y1 (ko) 2019-01-04 2019-01-04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54U KR200491506Y1 (ko) 2019-01-04 2019-01-04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506Y1 true KR200491506Y1 (ko) 2020-04-20

Family

ID=7045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054U Active KR200491506Y1 (ko) 2019-01-04 2019-01-04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5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649A (ko) *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밴드 부착형 음료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452A (ko) * 2006-12-18 2008-06-23 박화석 진공형성을 위한 커버부재를 가진 진공용기
KR200476872Y1 (ko) * 2013-12-13 2015-04-10 김종석 수밀성을 갖는 밀봉장치
JP3219375U (ja) * 2018-07-11 2018-12-20 アイエヌピ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幼児用ストローカ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452A (ko) * 2006-12-18 2008-06-23 박화석 진공형성을 위한 커버부재를 가진 진공용기
KR200476872Y1 (ko) * 2013-12-13 2015-04-10 김종석 수밀성을 갖는 밀봉장치
JP3219375U (ja) * 2018-07-11 2018-12-20 アイエヌピ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幼児用ストローカ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649A (ko) *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밴드 부착형 음료용기
KR102754218B1 (ko) * 2022-02-25 2025-01-14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밴드 부착형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AU2010203019B2 (en) Container cover
JP3219375U (ja) 幼児用ストローカップ
JP5791853B1 (ja) 飲料容器用のカバーデバイス
JP4883942B2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US11673721B2 (en) Lidded container
KR200491506Y1 (ko)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WO2019137071A1 (zh) 一种防漏的热饮杯盖
KR100870696B1 (ko)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US20230382607A1 (en) Drinking vessel with straw
JP2008062952A (ja) 飲料用カップ蓋
WO2001056899A1 (fr) Corps formant couvercle pour un recipient
KR200488128Y1 (ko) 음료컵용 컵 뚜껑
JP3916229B2 (ja) 密閉式重ね容器
JP7280952B2 (ja) 飲料容器
JP3513599B2 (ja) 密封容器
JP7146209B2 (ja) 飲料カップ用蓋体
JP2003040300A (ja) 密封容器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TWM580068U (zh) Eco-cup structure device without straw
KR102480655B1 (ko) 빨대 텀블러
KR102754218B1 (ko) 밴드 부착형 음료용기
KR20140115555A (ko) 저장공간이 형성된 빨대
KR0129032Y1 (ko) 유아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1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1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4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