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309A -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Google Patents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1309A KR20220041309A KR1020200124333A KR20200124333A KR20220041309A KR 20220041309 A KR20220041309 A KR 20220041309A KR 1020200124333 A KR1020200124333 A KR 1020200124333A KR 20200124333 A KR20200124333 A KR 20200124333A KR 20220041309 A KR20220041309 A KR 202200413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 remote
- rotating body
- main body
- combat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2—Control systems for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moving gun and the adjacent struc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26—Fluid-operated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28—Electrically-operated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14—Indirect aiming means
- F41G3/16—Sighting devices adapted for indirect laying of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에 주시공간을 형성하여 전투차량 잠망경의 시야 간섭을 해소하고, 또 회전체와 회전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수단을 통해 원격무장장치를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로서, 전투차량 잠망경의 전방에 설치되어 잠망경 사용시 시야를 확보하도록 내측으로 주시공간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동작을 위한 회전 가이드부로 이루어져 원격무장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에 주시공간을 형성하여 전투차량 잠망경의 시야 간섭을 해소하고, 또 회전체와 회전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수단을 통해 원격무장장치를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수 전투기능을 위해 제조된 장갑 또는 비장갑으로 된 장갑차나 전차와 같은 전투차량(Combat Vehicle)에는 전투를 수행하기 위해 기관총을 포함하는 원격무장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원격무장장치는 별도의 장착대(Mount)를 통해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도록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는 잠망경의 시야를 고려하지 않고 설치되기 때문에 장착대 설치시 잠망경의 시야를 가려 전투차량 내부에서 승무원이 잠망경을 통해 외부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워 원활한 작전수행이나 유리한 전투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는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고정형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전투차량을 수송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로 인해 적재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수송시 터널, 교량 하부 등 진입이 불가능한 구간이 발생하거나, 수송이 제한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송이 불가능한 구간이 발생하거나 제한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원격무장장치를 전투차량 장착대로부터 탈거 후 운송해야 하기 때문에 수송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로 인해 잠망경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현상을 해소하고, 원격무장장치가 장착된 전투차량의 수송시 적재 가능한 높이 제한에 따른 적재불가나 수송이 제한되는 상황을 예방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로서, 전투차량 잠망경의 전방에 설치되어 잠망경 사용시 시야를 확보하도록 내측으로 주시공간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동작을 위한 회전 가이드부로 이루어져 원격무장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형성된 전투차량의 상면 일측으로는 상기 원격무장장치의 높이 조절 후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주시공간은 주시각을 넓히도록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공간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원격무장장치의 하판과 분리 형성되거나, 원격무장장치의 하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측으로 회전축이 형성되는 패널형태의 회전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을 결합, 지지하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선단 양측으로는 회전 동작을 위한 결합구멍이 관통 형성된 회전체와, 본체의 상면 양측에 결합,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을 통해 일단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감겨지고 일단은 회전체의 상면에 고정지지되어 비틀림 변위를 형성하는 토션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 내측에 스플라인(또는 세레이션) 형태의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회전체와, 본체의 상면 양측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과 작동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과 작동 브래킷을 통해 일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양단에 스플라인 또는 세레이션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토션 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인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선단부분 양측으로 걸이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된 회전체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경첩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밑면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 및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걸이에 결합, 고정되고, 타 일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결합, 고정되어 탄성력 또는 탄성복귀력을 형성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선단부분 양측으로 걸이가 형성되고, 선단부 양단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된 회전체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첩과,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 및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걸이에 결합, 고정되고, 타 일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결합, 고정되어 신장 또는 수축 동작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선단 부분 양단에 회전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회전체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치결합되는 제2 기어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양단에 회전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외측 중간 부분에는 장착 브래킷이 형성된 회전체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첩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밑면에 형성되는 스크류 너트 및,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장착 브래킷과 결합되고, 타 일단은 상기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진 동작하는 볼스크류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지지대와 충격을 흡수토록 하는 완충부와, 원격무장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가스 실린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댐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웜기어(worm gear) 또는 스퍼기어(spur gea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또는 제2 기어에는 기어의 회전동작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의 일단측으로는 회전동작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를 구비하는 전투차량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잠망경의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원활한 작전수행과 유리한 전투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원격무장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투차량 수송시 진입 불가능한 구간이 없도록 하여 수송이 제한되는 상황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회전체가 원격무장장치와 분리 형성되는 형태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장착대에 원격무장장치를 탑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회전체가 원격무장장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원격무장장치가 형성된 장착대와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원격무장장치용 장착대의 사용 상태로서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를 전투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조립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의 장착대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를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따른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3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조립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B-B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3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4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을 밑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3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C-C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4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5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5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6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조립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D-D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6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7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조립도이다.
도 39는 도 38을 밑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도 38의 정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E-E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7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장착대에 원격무장장치를 탑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회전체가 원격무장장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원격무장장치가 형성된 장착대와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원격무장장치용 장착대의 사용 상태로서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를 전투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조립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의 장착대와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를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따른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3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조립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B-B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3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4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을 밑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3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C-C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4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5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5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6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조립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D-D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6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7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조립도이다.
도 39는 도 38을 밑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도 38의 정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E-E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7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원격무장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1000)는 본체(100)와 회전수단(20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전투차량(20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잠망경(2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잠망경(2100)의 사용시 시야를 확보하도록 내측으로 주시공간(area of visual regard)(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주시공간(110)은 잠망경(2100)의 시야 각도를 고려하여 잠망경(2100)을 통해 외부 상황 관찰시 잠망경(2100)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개방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100)를 통해 원격무장장치(2200)가 탑재되더라도 전투차량(2000) 승무원이 전투차량(2000)의 내부에서 잠망경(2100)을 통해 외부 관측시 터널 형태로 개방된 주시공간(110)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상기 주시공간(110)은 전투차량(2000)의 내부에서 승무원이 잠망경(2100)을 통해 외부 상황을 파악시 주시각을 넓히도록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전투차량(2000)에 장착(설치)을 위한 복수 개의 체결구멍(120a)을 갖는 플랜지(flange)(120)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체(210)와, 상기 회전체(210)의 회전동작을 위한 회전 가이드부(220)로 이루어져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21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무장장치(2200)의 하판과 별도로 분리 형성되거나, 원격무장장치(2200)의 하부구성품인 하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200)는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100)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200)의 구성을 간단한 구성부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까지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원격무장장치 장착대(1000)의 회전수단(200)은 일단측으로 회전축(211)이 형성되는 패널형태의 회전체(210)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210)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211)을 결합, 지지하는 회전 가이드부(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210)의 회전축(211)과 회전 가이드부(220)는 상호 연결된 부분에 대해서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는 힌지(hinge) 형태로 형성된다.
또, 상기 원격무장장치(220)의 하판과 별도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체(2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원격무장장치(2200)를 탑재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체결구멍(h)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는 원격무장장치(2200)의 회전, 접힘 후 원격무장장치(2200)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고정장치(900)가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장치(900)는 전투차량(20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대(910)와, 상 기 지지대(9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토록 하는 완충부(920)와, 상기 지지대(9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격무장장치(2200)를 고정하는 고정부(93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회전수단(200)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바르게 설치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일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전체(210)가 회전축(211)과 회전 가이드부(220)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회전체(210)에 탑재된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이때, 전투차량의 높이는 접힘 전(H1)에서 접힘 후(H2)로 낮아지며 차량 높이의 감소량은 (H3)이다.
또, 상기와 같이 높이가 낮아진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는 고정장치(900)의 고정부(93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는 급격한 움직임을 감소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높여 원래 설치된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낮아지도록 회전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반대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전체(210)는 회전축(211)과 회전 가이드부(220)를 기준으로 반대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210)와 함께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원래의 높이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낮이 조절을 실시예 1에 따른 회전수단(200)을 통해 쉽게 이룰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따른 원격무장장치 장착대(1000)의 회전수단(300)은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하판과 별도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경우 회전체(310)는 상면에 원격무장장치(2200)를 탑재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체결구멍(h)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10)의 선단 양측으로는 탑재되는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동작을 위한 결합구멍(31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310)에는 본체(100)의 상부를 통해 장착되어 원활한 회전동작을 이루게 하는 회전 가이드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부(3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 양측에 결합,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 브래킷(321)과, 상기 지지 브래킷(321)을 통해 일단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322) 및 상기 회전축(322)에 감겨지고 일단은 회전체(310)의 상면에 고정지지되어 비틀림 변위를 형성하는 토션형 스프링(3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션형 스프링(323)은 통상적으로는 회전체(310)가 본체(100)의 상면과 접하는 방향으로 비틀림 변위를 발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310)는 토션형 스프링(323)의 비틀림 변위에 의해 큰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원격무장장치(2200)를 회전시켜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2에 따른 회전수단(300)의 동작 관계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바르게 설치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일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토션형 스프링(323)의 비틀림 변위에 의해 회전체(310)는 회전 가이드부(320)의 회전축(322)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310)와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원래 설치된 높이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낮아지도록 회전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반대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전체(310)는 회전축(322)이 토션형 스프링(223)의 비틀림력을 극복하고 지지 브래킷(321)을 기준으로 반대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원래의 높이로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밀어 펼치거나 접는 동작시 상기 회전체(310)는 회전 가이드부(320)를 구성하는 토션형 스프링(323)의 비틀림 변위력(힘)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회전하여 원격무장장치(2200)를 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3에 따른 원격무장장치 장착대(1000)의 회전수단(400)은 일단 내측에 스플라인(또는 세레이션) 형태의 결합구멍(411)을 구비하는 회전체(410)가 형성된다.
또, 상기 회전 가이드부(4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 양측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421)과 작동 브래킷(422) 및, 상기 고정 브래킷(421)과 작동 브래킷(422)을 통해 일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양단에 스플라인 또는 세레이션 형태의 결합부(423a)가 형성되는 토션 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인 회전축(4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래킷(421)에는 내측에 스플라인(또는 세레이션) 형태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보조 브래킷(421a)이 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 브래킷(421)에는 보조 브래킷 없이 내측에 스플라인(또는 세레이션) 형태의 결합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410)는 회전축(423)이 삽입된 후 고정 브래킷(421)과 작동 브래킷(42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 브래킷(421)은 토션 바 스프링인 회전축(423)의 일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작동 브래킷(422)은 회전축(423)의 타 일단을 회전, 비틀림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회전수단(400)은 토션 바 스프링인 회전축(423)의 비틀림 변위에 의해 큰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원격무장장치(2200)를 회전시켜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3에 따른 회전수단(400)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바르게 설치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일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전체(410)는 회전 가이드부(420)인 회전축(423)이 고정 브래킷(421)과 작동 브래킷(422)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410)와 일체를 형성하거나 또는 탑재된 원격무장장치(2200)도 함께 회전하면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원래 설치된 높이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낮아지도록 회전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반대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전체(410)는 회전 가이드부(420)인 회전축(423)이 고정 브래킷(421)과 작동 브래킷(422)을 기준으로 반대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410)와 일체를 형성하거나 또는 탑재된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원래의 높이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수단(400)을 구성하는 고정 브래킷(421)과 작동 브래킷(422)에 지지되는 회전축(423)의 비틀림 변위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상기 회전체(410)와 원격무장장치(2200)를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도 22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4에 따른 원격무장장치 장착대(1000)의 회전수단(500)은 회전체(510)의 선단부분 양측으로 걸이(511)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512)가 형성된다.
또, 회전 가이드부(520)는 상기 회전체(510)의 양측으로 위치하여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경첩(521)과, 상기 본체(100)의 상부 밑면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522) 및 일단이 상기 회전체(510)의 걸이(511)에 결합, 고정되고, 타 일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522)에 결합, 고정되어 탄성력 또는 탄성복귀력을 형성하는 코일 스프링(5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523)은 회전체(510)가 본체(100)의 상면과 접하도록 바르게 펼쳐져 위치하는 경우, 상기 회전체(510)의 걸이(511)와 고정 브래킷(522)의 사이에서 탄성력을 형성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회전수단(500)의 회전체(510)가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반대 방향으로 접혀지는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523)은 회전체(510)의 걸이(511)와 고정 브래킷(522)의 사이에서 탄성복귀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 4에 따른 회전수단(500)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바르게 설치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일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전체(510)는 걸이(511)와 고정 브래킷(522)을 통해 형성된 코일 스프링(523)의 탄성복귀(압축)력에 의해 경첩(52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5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탑재되는 원격무장장치(2200)도 함께 회전하면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원래 설치된 높이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낮아지도록 회전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반대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전체(510)는 경첩(521)을 기준으로 펼쳐지는 동작의 반대로 회전하면서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523)은 탄성(인장)력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5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탑재되는 원격무장장치(2200)도 회전하면서 높이가 원래의 높이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회전수단(500)은 코일 스프링(523)의 탄성력 또는 탄성복귀력에 따른 변위가 발생하게 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상기 회전체(510)와 원격무장장치(2200)를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5]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5에 따른 원격무장장치 장착대(1000)의 회전수단(600)은 회전체(610)의 선단부분 양측으로 걸이(611)가 형성되고, 선단부 양단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612)가 형성된다.
또, 회전 가이드부(620)는 상기 회전체(610)의 양측으로 위치하여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첩(621)과,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622) 및 일단이 상기 회전체(610)의 걸이(611)에 결합, 고정되고, 타 일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622)에 결합, 고정되어 신장 또는 수축 동작하는 실린더(6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623)는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는 가스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댐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610)는 실린더(623)에 저장된 유체의 압축력과 팽창력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원격무장장치(2200)를 회전시켜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5에 따른 회전수단(600)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바르게 설치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일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전체(610)는 회전 가이드부(620)인 실린더(623)에 저장된 유체의 팽창력으로 피스톤 로드가 신장하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체(610)가 경첩(62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6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탑재되는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원래 설치된 높이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낮아지도록 회전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를 반대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전 가이드부(620)를 구성하는 실린더(623)에 저장된 유체의 압축력으로 피스톤 로드가 수축하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체(610)가 경첩(621)을 기준으로 반대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6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탑재되는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원래의 높이로 높아지게 된다.
[실시예 6]
도 32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6에 따른 원격무장장치 장착대(1000)의 회전수단(700)은 회전체(710)의 선단 부분 양단에는 회전을 위한 결합부(7111)가 형성된다.
또, 회전 가이드부(720)는 상기 회전체(7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위치하여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721)과, 상기 고정 브래킷(7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기어(722)와, 상기 제1 기어(722)와 치결합되는 제2 기어(7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어(722)와 제2 기어(723)는 기어 전동장치(傳動裝置)의 하나로 2축이 서로 직교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한 줄 또는 여러 줄의 나사선으로 되어 있는 웜과 이[齒] 홈의 중앙이 오목하게 되어 있어, 이것과 맞물리는 웜휠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웜기어(worm gear) 또는 축과 나란히 톱니가 절삭되어 있는 스퍼기어(spur gea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어(722) 또는 제2 기어(723)의 일측에는 기어의 회전동작을 위한 손잡이(7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710)의 결합부(711)는 상기 제2 기어(723)의 회전축(미도시) 및 고정 브래킷(721)과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회전수단(700)은 웜기어 또는 스퍼기어로 구성되는 제1 기어(722)와 제2 기어(723)의 회전력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원격무장장치(2200)를 회전시켜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6에 따른 회전수단(700)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어(722) 또는 제2 기어(723)에 형성된 손잡이(724)를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기어(722)와 제2 기어(72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제2 기어(723)의 회전축 및 고정 브래킷(721)과 결합된 회전체(710)가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7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탑재되는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원래 설치된 높이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724)를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기어(722)와 제2 기어(72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체(710)가 반대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7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탑재되는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원래의 높이로 높아지게 된다.
[실시예 7]
도 38 내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7에 따른 회전수단(800)은 회전체(810)의 양단에 회전을 위한 결합부(811)가 형성되고, 외측 중간 부분에는 장착 브래킷(812)이 형성된다.
또, 회전 가이드부(820)는 상기 회전체(810)의 양측으로 위치하여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첩(821)과, 상기 본체(100)의 상부 밑면에 형성되는 스크류 너트(822) 및, 일단이 상기 회전체(810)의 장착 브래킷(812)과 결합되고, 타 일단은 상기 스크류 너트(822)에 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진 동작하는 볼스크류(8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823)의 일단측으로는 볼스크류(823)의 회전동작을 위한 손잡이(8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회전수단(800)의 회전체(810)는 스크류 너트(822)에 결합, 고정되어 전진 또는 후진 동작하는 볼스크류(823)의 이동력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원격무장장치(2200)를 회전시켜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7에 따른 회전수단(800)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볼스크류(823)에 형성된 손잡이(824)를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볼스크류(823)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 너트(822)를 통해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첩(힌지)(821)에 의해 결합,형성된 회전체(810)가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8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탑재된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원격무장장치(2200)의 높이를 원래 설치된 높이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볼스크류(823)에 형성된 손잡이(824)를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볼스크류(823)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 너트(822)를 통해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첩(힌지)(821)에 의해 결합,형성된 회전체(810)가 반대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8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탑재된 원격무장장치(2200)가 회전하면서 기립하여 원래의 높이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각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200),(300),(400),(500),(600),(700),(800)은 회전체(210),(310),(410),(510),(610),(710),(810)와 회전 가이드부(220),(320),(420),(520),(620),(720),(820)를 2개 이상 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1000)는 원격무장장치(2200)의 수송을 위해 상기 회전수단(200),(300),(400),(500),(600),(700),(800)의 회전체(210),(310),(410),(510),(610),(710),(8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탑재된 원격무장장치(2200)를 회전시켜 접혀지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0 :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100 : 본체
110 : 주시공간 120 : 플랜지(flange)
120a : 체결구멍
200,300,400,500,600,700, 800 : 회전수단
210, 310, 410, 510, 610, 710, 810 : 회전체
211 : 회전축
220, 320, 420, 520, 620, 720, 820 : 회전 가이드부
311 : 결합구멍 321 : 지지 브래킷
322 : 회전축 323 : 토션형 스프링
411 : 결합구멍 421 : 고정 브래킷
421a : 보조 브래킷 422 : 작동 브래킷
423 : 토션 바 회전축 511 : 걸이
512 : 결합돌기 521 : 경첩
522 : 고정 브래킷 523 : 코일 스프링
611 : 걸이 612 : 결합돌기
621 : 경첩 622 : 고정 브래킷
623 : 실린더 711 : 결합부
721 : 고정 브래킷 722 : 제1 기어
723 : 제2 기어 811 : 결합부
812 : 장착 브래킷 821 : 경첩
822 : 스크류 너트 823 : 볼스크류
900 : 고정장치 910 : 지지대
920 : 완충부 930 : 고정부
2000 : 전투차량 2100 : 잠망경
2200 : 원격무장장치
110 : 주시공간 120 : 플랜지(flange)
120a : 체결구멍
200,300,400,500,600,700, 800 : 회전수단
210, 310, 410, 510, 610, 710, 810 : 회전체
211 : 회전축
220, 320, 420, 520, 620, 720, 820 : 회전 가이드부
311 : 결합구멍 321 : 지지 브래킷
322 : 회전축 323 : 토션형 스프링
411 : 결합구멍 421 : 고정 브래킷
421a : 보조 브래킷 422 : 작동 브래킷
423 : 토션 바 회전축 511 : 걸이
512 : 결합돌기 521 : 경첩
522 : 고정 브래킷 523 : 코일 스프링
611 : 걸이 612 : 결합돌기
621 : 경첩 622 : 고정 브래킷
623 : 실린더 711 : 결합부
721 : 고정 브래킷 722 : 제1 기어
723 : 제2 기어 811 : 결합부
812 : 장착 브래킷 821 : 경첩
822 : 스크류 너트 823 : 볼스크류
900 : 고정장치 910 : 지지대
920 : 완충부 930 : 고정부
2000 : 전투차량 2100 : 잠망경
2200 : 원격무장장치
Claims (17)
-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로서,
전투차량 잠망경의 전방에 설치되어 잠망경 사용시 시야를 확보하도록 내측으로 주시공간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동작을 위한 회전 가이드부로 이루어져 원격무장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형성된 전투차량의 상면 일측으로는 상기 원격무장장치의 높이 조절 후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시공간은 주시각을 넓히도록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공간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원격무장장치의 하판과 분리 형성되거나, 원격무장장치의 하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측으로 회전축이 형성되는 패널형태의 회전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을 결합, 지지하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선단 양측으로는 회전 동작을 위한 결합구멍이 관통 형성된 회전체와, 본체의 상면 양측에 결합,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을 통해 일단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감겨지고 일단은 회전체의 상면에 고정지지되어 비틀림 변위를 형성하는 토션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 내측에 스플라인(또는 세레이션) 형태의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회전체와, 본체의 상면 양측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과 작동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과 작동 브래킷을 통해 일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양단에 스플라인 또는 세레이션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토션 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인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선단부분 양측으로 걸이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된 회전체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경첩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밑면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 및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걸이에 결합, 고정되고, 타 일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결합, 고정되어 탄성력 또는 탄성복귀력을 형성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선단부분 양측으로 걸이가 형성되고, 선단부 양단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된 회전체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첩과,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 및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걸이에 결합, 고정되고, 타 일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결합, 고정되어 신장 또는 수축 동작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선단 부분 양단에 회전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회전체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치결합되는 제2 기어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양단에 회전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외측 중간 부분에는 장착 브래킷이 형성된 회전체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첩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밑면에 형성되는 스크류 너트 및,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장착 브래킷과 결합되고, 타 일단은 상기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진 동작하는 볼스크류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지지대와 충격을 흡수토록 하는 완충부와, 원격무장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가스 실린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댐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웜기어(worm gear) 또는 스퍼기어(spur gea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또는 제2 기어에는 기어의 회전동작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의 일단측으로는 회전동작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격무장장치 장착대를 구비하는 전투차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333A KR102402143B1 (ko) | 2020-09-25 | 2020-09-25 |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333A KR102402143B1 (ko) | 2020-09-25 | 2020-09-25 |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1309A true KR20220041309A (ko) | 2022-04-01 |
KR102402143B1 KR102402143B1 (ko) | 2022-05-26 |
Family
ID=8118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4333A KR102402143B1 (ko) | 2020-09-25 | 2020-09-25 |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214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0198A (ja) * | 1992-12-11 | 1994-06-28 |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 コックピット移動式車両 |
KR20100096411A (ko) * | 2009-02-24 | 2010-09-02 |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 다목적 원격사격장치 |
KR20120104170A (ko) * | 2009-09-17 | 2012-09-20 | 이스라엘 밀리터리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 멀티 무기시스템 |
KR101206601B1 (ko) | 2011-05-31 | 2012-12-03 | (주)이오시스템 | 기관총의 조준경 장착장치 |
-
2020
- 2020-09-25 KR KR1020200124333A patent/KR1024021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0198A (ja) * | 1992-12-11 | 1994-06-28 |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 コックピット移動式車両 |
KR20100096411A (ko) * | 2009-02-24 | 2010-09-02 |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 다목적 원격사격장치 |
KR20120104170A (ko) * | 2009-09-17 | 2012-09-20 | 이스라엘 밀리터리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 멀티 무기시스템 |
KR101206601B1 (ko) | 2011-05-31 | 2012-12-03 | (주)이오시스템 | 기관총의 조준경 장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2143B1 (ko) | 2022-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1058658A1 (ja) | 上ヒンジドア構造 | |
US10196080B2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US9731843B2 (en) | Articulated joint for deploying and locking a solar generator or a reflector | |
US11351825B2 (en) | Stabilization system for a vehicle | |
US20120125139A1 (en) | Steering column telescope lock | |
DE1455649A1 (de) | Aufhaengung fuer Kraftfahrzeuge | |
EP2836397A1 (en) | Ladder loading system | |
JP2013528530A (ja) | 関節式に航空機の構造体に連結された2つの移動ビームを具備する航空機のメイン着陸装置 | |
KR102402143B1 (ko) | 전투차량용 원격무장장치 장착대 | |
US7377529B2 (en) | Active roll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 |
DE112015003024T5 (de) | Kraftübertragungsstruktur eines Fahrzeugs | |
KR20200075698A (ko) | 중장비용 팬틸트 버킷 어셈블리 | |
US20130154210A1 (en) | Variable length vehicle stabiliser and vehicle with the variable length stabiliser | |
US11891109B2 (en) | Steering column of vehicle | |
JP4329899B2 (ja) | ボールジョイント | |
EP2503190B1 (de) | Hydromechanisches Getriebe | |
JP6707639B2 (ja) | 車輪反転機構及びカートフレーム | |
EP3353014B1 (en) | Drive arrangement | |
KR101011740B1 (ko) | 모터의 중력 보상기 | |
JP2008024282A (ja) | 車両用シート構造 | |
KR102261786B1 (ko) | 차량의 충격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 |
EP3357719A1 (de) | Aktive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 |
US11235704B2 (en) | Rearview device with detent assembly | |
EP4011787B1 (de) | Gelenkeinrichtung und raumflugköper mit einer gelenkeinrichtung | |
KR102094150B1 (ko) | 견인형 대공포의 휠 리트렉션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