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091A - 급여 장치 - Google Patents

급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091A
KR20220041091A KR1020227002435A KR20227002435A KR20220041091A KR 20220041091 A KR20220041091 A KR 20220041091A KR 1020227002435 A KR1020227002435 A KR 1020227002435A KR 20227002435 A KR20227002435 A KR 20227002435A KR 20220041091 A KR20220041091 A KR 20220041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feed
payroll
pecking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몬드 조셉 레우슈이스
아만 폴
Original Assignee
프로틱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2024743A external-priority patent/NL2024743B1/en
Application filed by 프로틱스 비.브이. filed Critical 프로틱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20041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가축,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가금류 또는 새를 위한 급여 장치(100)로서, 가축을 위한 사료(109)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설비(110) 및 이로부터 사료를 수용하기 위해 저장 설비(110)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분배 장치(D)를 포함한다. 분배 장치(D)는 단일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하거나 또는 가축 급여 구역 위에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이격된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하고, 분배 장치(D)는 가축 급여 구역을 가로질러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통해 사료를 공간적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사료는 예를 들어 살아있는 유충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는 가금류의 깃털 상태가 개선되도록, 가금류에게 유충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급여 장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급여 장치
본 발명은 가축에게 사료를 투여하기 위한 급여 장치, 특히 살아있는 곤충 유충, 특히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black soldier fly larvae)과 같은 사료를 가금류 및 일반적으로 조류에 투여하기 위한 급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는 가금류와 같은 양식 조류로부터 고품질의 그리고 안전한 계란과 육류를 요구한다. 사회는 또한, 이러한 계란과 육류를 가능한 한 가장 저렴하고 충분하고 지속적으로 공급할 것을 요구한다. 게다가, 사회는 이러한 계란과 육류가 높은 수준의 동물 복지를 바탕으로 생활하며 살아온 가축에서부터 얻어질 것을 요구한다. 더욱이, 사회는 인간이 섭취하는 계란과 육류의 제공이 환경과 자연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최소한의 영향을 미칠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모든 필요는 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금류 농장의 실행 가능성에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결합된 요구는 따라서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한 규모의 계란과 육류 생산에 압력을 가한다. 사회와 농민 모두에게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하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계란 및 육류를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계란 또는 육계의 대량 생산에 대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것의 단점 중 하나는 현재 사료 성분이 예를 들어 대두박(soy meal)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대두박은 가금류 사육 장소로 대두를 벌크선으로 운송하는 것이 필요한 세계의 농업 지역에서 생산된다. 현지 농업 사료 재료를 포함하는 현지 생산 사료를 급여하면 자연과 환경에 대한 압력이 낮아진다. 예를 들어, 물류 라인이 짧으면 이산화탄소 소모가 낮아진다.
지속적이고 많은 양의 계란과 육류의 입수가능성의 필요성을 채우기 위해, 사육에는 종종 대규모 농장이 필요하다. 이러한 농장은 닭과 같은 가금류를 가두기 위한 큰 우리(coop), 마구간(stable), 및/또는 헛간(shed)을 포함한다. 상기 가축을 가두는 것에서, 가두는 것은 동물당 제한된 면적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새들은 종종 동물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동물 행동을 최소화하는 숫자로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새들은 권태감, 스트레스, 그리고 결과적으로, (자기) 신체 절단으로 고통을 받고, 동물과 농부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회의 요구와 요청을 충족시키기 위한 최선의 접근 방식을 찾기 위한 시도에서 직면하는 현재의 단점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부분적 해결책이 탐구된다. 예를 들어, 육계 또는 산란계와 같은 동물 한 마리당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은 동물이 자연적 행동을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확대된다. 예를 들어, 육계는 도축에 적합한 질량에 도달하기 전에, 더 오랜 기간 동안, 하루에 더 적은 양의 사료를 투여한다.
현대 가금류의 조상은 20 내지 30마리의 닭으로 이루어진 사회 집단에서 살았다. 현재의 비-케이지 시스템에서는 무리의 크기가 훨씬 더 크다. 산란계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모든 무리의 짝을 기억하거나 인식할 수 없으며, 사회적 계층 구조가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상업적인 산란계 사육에서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인 깃털 쪼는 현상를 초래한다. 더욱이, 미래에 남미, 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에서도 비-케이지 가금류 시스템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심한 깃털 쪼는 현상 영향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산란계는 어린 나이에 쪼는 법을 배운다. 심한 깃털 쪼는 현상은 종종 노령 산란계에서 분명하다. 어린 나이에 쪼는 기질을 제공하면 성숙기에 심한 깃털 쪼는 현상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제공이 성인기에 심한 깃털 쪼는 현상의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어린 산란계(25주령)에 비해 노령 산란계(>70주령)에서 쪼는 현상이 더 심하다고 나타냈다. 이것은 노령 산란계의 복지를 보장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닭이 자연적 행동을 표현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종종 공격적인 행동과 쪼는 현상의 증가를 초래한다. 살아있는 무척추동물을 동물(자연 육식동물 또는 잡식동물)에게 제시하는 것은 동물에게 자연적 행동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자연적 행동의 표현은 동물에게 즐거울 것이다. 곤충은 닭의 자연 식단의 일부이기 때문에, 닭은 살아있는 곤충의 효과적인 채집자이다. 방목 닭은 곤충을 찾고 먹는 데 그들의 시간의 약 37%를 보낸다. 곤충은 닭의 관심을 끌기 위해 움직이는 자극을 줄 뿐만 아니라, 영양가도 있다.
예를 들어, 가금류에게, 예를 들어, 하루에 한 번 또는 두 번 투여되는, 유충과 같은 살아있는 곤충이 급여된다. 예를 들어, 유충을 급여하는 것은 적어도 두 가지 목적을 수행한다: 유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두박을 포함하는 급여되는 사료 제품의 필요를 대체할 것이고, 이와 함께, 장거리 운송으로 인한 환경 영향을 낮추고, 유충은 사육된 조류의 자연적 행동을 자극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스트레스, 권태감 및 (자기) 신체 절단 감소에 기여한다. 동애등에(헤르메티아 일루켄스(Hermetia illucens)) 유충을 포함하는, 살아있는 곤충을 가금류에게 급여하는 것은 이미 유럽에서 승인되었다. 동애등에 유충은 고유의 (a) 유기적 측면 흐름을 광범위하게 소비하는 능력; 및 (b) 영양 프로파일, 특히 단백질 조성으로 인해 곤충들 사이에서 특별한 지위를 얻었다.
그러나, 구매 및 소비가 가능한 계란 및 가금류 고기 제공과 관련하여 사회의 대부분 또는 모든 필요를 채울 수 있는 (대규모) 가금류 사육에 대한 접근 방식은 여전히 농업계에서 사용할 수 없다. 즉, 대두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충으로 대체하여 원거리에서 생산된 대두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 그 자체로 실현가능한 부분적 해결책이다. 살아있는 유충을 급여하여 스트레스, 권태감 및 신체 절단(에 대한 위험)을 줄이는 것과 관련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양식 새에게 유충을 급여하는 현재 접근 방법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적어도 하루에 한 번 농부가 농장 헛간으로 들어가는 것이 필요하고, 헛간의 (미생물) 오염의 위험을 도입하고, 동물에게 인간이 헛간에 반복적으로 출입함으로써 유도되는 스트레스를 주고, 시간당 및 동물당 먹는 유충 투여량을 조절 및 모니터링할 수 없고, 현재의 그리고 아직 여전히 번거로운 접근 방법에서 동반되는 적은 단점들을 더하여 가금류 영농을 개선하기 위하는 것이다. 게다가, 살아있는 유충의 배치(batch)를 예를 들어, 하루에 한 번 또는 두 번 가금류 가축에 제공하는 것은 배치가 헛간에 전달되면 분 단위의 활성 급여 시간만을 제공한다. 현재 절차에 따라, 제한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이러한 급여 활동 외에는, 다시 권태감과 스트레스가 쉽게 재발할 수 있다.
따라서, 소규모 사육과 대규모 산업 사육을 모두 고려할 때, 가금류와 같은 가축에게 유충과 같은 투여 사료를 제공하기 위한 실현가능한 수단을 허용하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
깃털 쪼는 현상은 산란계 사육의 주요 복지 과제이다. 자연에서, 암탉들은 살아있는 곤충을 먹는 데 상당한 시간을 보낸다. 이것은 그들의 자연적 행동으로 간주되고 동물 복지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 그러나, 산란계는 현재의 집약적 농업 시스템에서 곤충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다. 헤르메티아 일루켄스(Hermetia illucens(H. illucens)) 유충은 영양가가 있으며 순환 농업 원칙을 사용하여 산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유럽에서, 법률에 따라 살아있는 곤충을 가금류에게 급여하는 것이 허용된다.
본 발명은 가축에게 급여하기 위한 개선된 급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여기서 급여 장치는 급여 위치 및 급여 기간에 대한 무작위성과 같은 급여 주기에 대한 무작위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급여 장치는 특정 급여 적용의 임의의 필요를 충족하도록 용이하게 확장되고 채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급여 장치는 제조 및 전개하기에 저렴하다. 더욱이, 급여 장치는 헛간, 산업 건물 등과 같은 실내 적용뿐만 아니라, 실외 적용에도 적합하다. 급여 장치 설정은 가금류 및 돼지와 같은 다양한 가축에게 급여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급여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서 급여 장치는 가축용 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시설 및 저장 시설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이로부터 사료를 수용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분배 장치는 가축 급여 구역 위에 배치하기 위한 단일 급여기 출구 또는 복수의 이격된 급여기 출구를 포함하며, 여기서 분배 장치는 가축 급여 구역을 가로질러 복수의 급여기 출구를 통해 사료를 공간적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분배 장치를 통해, 예를 들어, 살아있는 곤충 유충이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를 통해 분배될 때, 가축의 급여 위치의 무작위성과 같은 급여 주기의 증가된 무작위성이 제공된다. 급여 장치는 가축 급여 구역에서 사료가 제공되는 장소와 시기에 대한 무작위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덜 경쟁적이 동물이 더 자주 급여하여, 우세한 동물뿐만 아니라, 가축의 스트레스와 권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급여 장치는 전형적으로 10일 내지 15일령(부화 후)인 살아있는 곤충 유충, 바람직하게는 동애등에(black soldier fly(BSF)) 유충과 같은 사료에 유리하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BSF 유충을 먼저 10-15일 동안 사육한 다음, 예를 들어 3℃ 내지 18℃, 또는 5℃ 내지 13℃와 같은, 상온(ambient temperature) 미만 또는 실온(room temperature) 미만의 적절한 온도에서 저장하거나 비축한다.
산란계(laying hen) 또는 암탉(mast hen) 또는 육계(broiler)와 같은 닭과 같은 가금류에게 살아있는 곤충 유충, 예를 들어, BSF 유충을 급여하는 데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활용하여, 발명자들은 급여 장치가 활용되지 않은 비교 연구에서 관리 닭을 통해 본 발명의 급여 장치가 닭의 권태감, 무관심 및 공격성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도 감소시킴을 암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일 견지는 새들의 깃털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유충을 수용하기에 적절한 표면을 갖는 격리된 영역에서 새 무리를 가두는 단계; b) 단계 a)의 새 무리에게 유충 제공의 시간과 단계 a)의 격리된 영역 표면에서 유충을 전달하는 위치에 대해 무작위의 방식으로 유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와 함께 새의 깃털 상태가 개선된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방법의 단계 b)는 유충의 무작위적인 제공이 박탈된 새 무리에 비해 깃털 쪼는 현상의 정도가 감소된 것을 드러내고, 이와 함께 새의 깃털 상태가 개선되는 것을 초래한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깃털 상태 개선은 깃털 쪼는 현상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깃털 손실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감소,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의 감소 중의 하나 이상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깃털 상태 개선은: 유충의 무작위의 제공을 박탈당한 새 무리에서 발생하고/거나 분명한 깃털 쪼는 현상, 깃털 손실,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의 발생,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중 하나 이상에 비한 깃털 쪼는 현상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깃털 손실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감소,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의 감소 중의 하나 이상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유충은 살아있는 유충 및/또는 동애등에 유충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새는 가금류, 예를 들어, 닭(chicken), 암탉(hen), 산란계(laying hen)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방법의 단계 b)에서 유충은 본 발명에 따른 급여 장치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가금류에 살아있는 곤충을 급여하는 것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산란계의 식단에서 대두를 대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유럽에서 사용되는 대두박의 대부분은 북미와 남미 국가에서 생산된다. 남미 국가에서 대두 농장을 늘리는 것은 종종 삼림 벌채 및 사회적 문제와 관련이 있다. 발명자들은 살아있는 헤르메티아 일루켄스 유충을 포함하는 노령 산란계의 일일 배급량에 대두를 대체함으로써, 행동 및 깃털 상태가 개선됨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살아있는 헤르메티아 일루켄스 유충은 지역 식물 단백질과 조합하여 사용되어 노령 산란계의 식단에서 성공적으로 대두를 대체한다. 암탉에게 살아있는 헤르메티아 일루켄스 유충을 급여하는 것은 또한 새의 깃털 상태에 대해 긍적적인 영향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급여 장치로 살아있는 헤르메티아 일루켄스를 급여하는 것은 암탉의 깃털 쪼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해결책 및 개선된 닭의 복지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급여 장치로 암탉에게 살아있는 헤르메티아 일루켄스 유충을 급여하는 것은 온전한 부리를 가진 암탉의 깃털 쪼는 현상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고,
도 1a, 2a는 각각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급여 장치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를 갖는 저장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 2b는 각각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를 갖는 저장 용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횡방향 판 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원추형 사료 스프레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5c는 각각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급여 장치의 복수의 급여 채널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저장 용기를 갖는 급여 장치를 도시한다; 그리고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급여 채널을 위한 T-조인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현대 가금류의 조상은 20 내지 30마리의 닭으로 이루어진 사회 집단에서 살았다. 현재의 비-케이지 시스템에서는 무리의 크기가 훨씬 더 크다. 산란계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모든 무리의 짝을 기억하거나 인식할 수 없으며, 사회적 계층 구조가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상업적인 산란계 사육에서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인 깃털 쪼는 현상를 초래한다. 이러한 쪼는 현상은 종종 깃털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상처, 긁힘 출혈 등에 더하여, 선택된 닭에게 통증과 같은 부정적인 상태 및 느낌을 유발하고,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을 초래한다.
곤충 유충, 바람직하게는 살아있는 곤충 유충과 같은 곤충을 닭에게 급여하는 것은 닭 사이에 자연적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헛간 또는 케이지 바닥에 살아있는 유충을 퍼뜨리는 것, 바람직하게는 유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체가 톱밥 등과 같은 닭 헛간의 전형적인 입자 및 바닥재에 묻혀있는 방식으로 퍼뜨리는 것은 유충을 닭이 직접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숨긴다. 이렇게 하면, 닭은 바닥재를 긁고 기어다니며 살아있는 유충을 찾는다. 사료를 찾는 이러한 자연적 행동은 닭의 권태감 및 서로 쪼는 현상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www.ringadvies.nl/uploads/engels_1.pdf에서 검색한 Vries, H. (2000) “Observations on behaviour and feed intake of chickens kept on free range in muy muy, nicaragua,” 의 기사에서, 방목 닭은 시간의 약 37%를 곤충을 찾고 먹는 데 보낸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산란계의 살아있는 유충과 같은 가금류를 급여하는 상기 언급한 접근방식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첫째로, 닭 헛간에 살아있는 유충의 일일 분량을 퍼뜨리고 (부분적으로) 숨기는 것은 시간과 노동을 소모하는 활동이다. 예를 들어, 10000마리의 산란계를 포함하는 일반 닭 농장의 경우 일일 유충의 양이 매일 수동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경우가 더 많다. 둘째로, 예를 들어 하루에 수십에서 수백 킬로그램의 유충을 퍼뜨리기 위해 농부는 매일 헛간 또는 케이지에 들어가 헛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일해야 한다. 농부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닭들도 매일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있어 스트레스를 받는다. 또한, 유충의 한 회분을 수동으로 제공하는 것의 주요 단점은 모든 유충을 한 번에 제공한다는 것이다. 한 회분이 일일 사료량 또는 사료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닭은 8-16시간, 즉, 닭이 사료를 섭취하는 데 정기적으로 하루에 보내는 시간보다 훨씬 짧은 시간에 살아있는 유충을 수색하고 찾는다. 유충의 일일분량을 회분 방식으로 제공하면 15분 내지 1시간이라는 짧은 시간 범위 내에서 닭이 유충을 소비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유충이 끝나면, 닭은 수색하고 기어다니는 것을 멈추고, 스트레스 및 서로를 쪼는 위험이 동반된 권태감이 다시 발생한다.
산란계와 같은 닭 떼에게 매일 회분식으로 유충을 제공하는 일괄적 접근 방식의 추가 단점은 약하고 덜 우세한 암탉이 적게 먹거나 또는 거의 먹지 않을 수 있는 것과 같이, 가장 강하고 상대적으로 더 우세하고 공격적인 동물이 살아있는 유충의 평균 부분 이상을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든 개별 닭 사이에 유충 사료의 균등한 분배는 회분 방식의 유충 제공, 예를 들어 하루에 한 번 또는 두 번 또는 세 번 제공으로는 불가능하다.
상기 관점에서, 발명자들은 하루 중 전체 시간 범위 동안, 산란계와 같은 동물당 살아있는 유충의 일일 회분의 무작위적인 제공을 실험했고, 여기서 무작위적인 제공은 분당 유충과 같은 시간 단위당 유충의 무작위적인 전달 및 닭 헛간 바닥의 특정 표면 부분 내에서 무작위적인 방식으로 공간적으로 유충을 제공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하루의 끝에 살아있는 유충의 일일 부분이 각 동물에게 제공되지만, 분당 제공되는 유충의 수와 제공되는 유충의 위치는 낮 시간 동안 무작위적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닭은 헛간에서 유충이 언제 어디서 제공될 지 확신할 수 없으며 무작위적인 유충의 제공의 효과는 그들의 노력이 때때로 성공하는 한 닭이 하루 종일 걷고, 수색하고, 표면을 긁고, 기어다니는 것이다. 떼(herd)에서 기어다니고 유충을 수색하는 데 몰두한 닭의 스트레스 수준은 낮다. 닭은 지루하지 않고 서로의 존재에 짜증을 내지 않는다. 유충의 무작위적인 분포로 인해 쪼고 싸우는 것이 감소된다. 게다가, 시간과 장소에 핫스팟(hot spot)이 없기 때문에, 유충을 제공하는 시간과 장소와 관련하여 각 산란계는 닭 한 마리당 일일 유충량을 찾을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적 핫스팟과 시간적 핫스팟이 없을 경우, 우세한 닭은 많은 유충이 제공되는 짧은 시간에 핫스팟을 점유하는 이점이 더 이상 없다.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가축에게 급여하기 위한 급여 장치가 필요하며, 여기서 급여 장치는 가축, 특히 가금류, 예를 들어 닭에서 깃털 쪼는 현상 및 공격성을 감소시킨다.
산란계와 같은 닭은 전형적으로 낮 시간 동안 총 사료 섭취량의 약 5중량%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에 달하는 살아있는 유충의 양을 낮에 급여한다. 예를 들어, 산란계는 8시간(예: 낮)동안 무작위로 제공되는 암탉당 10g 또는 약 12g의 살아있는 유충을 급여하고, 전체 영양을 제공하기 위해 약 90g의 전통적인 식물 성분 사료를 예를 들어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으로 대두와 함께 급여한다. 전통적으로, 유사한 닭 떼는 주로 대두박을 포함하는 한 마리당 100g의 전통적인 사료를 급여한다. 결과적으로, 가금류에게 살아있는 유충을 급여하는 것은 닭에게 급여하는 대두박의 양을 10% 정도 감소시킨다. 추가 예로서, 가금류는 각 개별 동물당 하루에 약 12.5g의 유충을 급여한다. 예를 들어, 8g-15g의 살아있는 유충을 7-16시간(예: 8-12시간)동안 닭에게 급여한다. 전형적으로, 산란계와 같은 새에게 전통적으로 매일 공급되는 5중량%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의 대두박은 살아있는 등애동에 유충과 같은 살아있는 유충으로 대체되고, 본 발명에 따른 급여 장치를 적용하여 동물에게 제공된다.
본원에서 기재된 급여 장치는 예를 들어, 기니 새, 타조, 공작, 에뮤(emu), 거위, 꿩, 백조, 자고새(partridge), 그레이터 레어(greater rhea), 비둘기, 칠면조, 메추라기, 닭, 가금류, 양식 조류, 오리, 나팔목(falloanserae)의 동물, 순계목(Galliformes)의 동물, 산란계, 암탉(mast hen), 식용 닭(flesh chicken), 바람직하게는 산란계 닭과 같은 사육된 새에게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급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급여 장치는 돼지와 같은 가금류 외에 광범위한 가축을 급여하기 위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급여 장치(100)의 단면도 및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여 장치(100)는 예를 들어, 가축용 사료(109)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101)를 포함하는 저장 설비(110)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사료(109)는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포함한다.
분배 장치 또는 시스템(D)이 제공되고 그로부터 사료(109)를 수용하기 위해 저장 설비(110)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저장 설비(110),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1)는 살아있는 곤충 유충과 접촉할 수 있는 날카로운 내부 돌출부, 가장자리, 융기부, 표면 전이 등을 피함으로써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특별하게 저장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장 설비(110)의 매끄러운 내부 표면 및 표면 전이,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1)는 또한 급여 장치(100) 내의 유충의 내부 막힘을 감소시켜 급여 장치(100)의 지속적인 중단 없는 작동이 극대화 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분배 장치(D)는 가축 급여 구역 위에 배치하기 위한 단일 급여기 출구(108) 또는 복수의 이격된 급여기 출구(108), 예를 들어, 복수의 수평으로 이격된 급여기 출구를 포함하고, 여기서 분배 장치(D)는 가축 급여 구역을 가로질러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통해 사료(109)를 공간적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분배 장치(D)는 사료(109), 예를 들어 유충을 단일 급여기 출구(108) 쪽으로 또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쪽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급여 장치(100)가 사용 중일 때, 하나 이상의 급여 패치/반점(109a)이 가축 급여 구역에 발달할 것이다. 즉, 사료(109)는 사료 급여기 배출구(108) 또는 각각의 급여기 배출구(108)로부터 간헐적으로 떨어지며, 경우에 따라, 천천히 그리고 무작위로 떨어지므로 가축,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닭과 새는 지속적으로 사료를 찾아야 하므로 더 오랜 기간 동안 점유 상태를 유지하여, 권태감, 무관심, 스트레스 및/또는 서로에 대한 공격성을 감소시킨다. 2개 이상의 개별 급여기 출구(108) 사이의 간격/거리에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퍼진 단일 급여 패치가 매우 밀접하게 이격된 급여기 출구(108)에 대해 무작위적으로 발달할 수 있거나, 또는 도 1a에 도시된 급여 패치(109a)와 같이 명확하게 분리된 급여 패치가 발달할 수 있다. 무작위적으로 발달되는 더 큰 연속적인 급여 패치는 스트레스, 권태감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축이 더 오랜 기간 동안 점유 상태를 유지하도록 허용한다.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들)(108)를 통한 간헐적인 무작위적인 사료 배출은 살아있는 곤충 유충의 사용을 통해 편리하게 달성된다. 즉, 살아있는 곤충 유충은 스스로 무작위로 움직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곤충 유충의 움직임은 저장 설비(110)로부터 분배 시스템(D) 및 궁극적으로 복수의 급여기 배출구(108)를 통해 무작위의 사료 흐름/배출을 야기한다.
도 1a는 추가로 저장 설비(110)가 사료(109)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101)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 용기(101)가 분배 장치(D)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장치(D)는 횡방향 판 부재(102),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1)의 바닥 부분에 배열된 평평한 가로 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판 부재(102)는 예를 들어, 관통 구멍(hole) 또는 구멍(aperture)의 형태로 된 단일 급여기 출구(108) 또는 복수의 이격된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한다. 도 1a로부터, 판 부재(102)는 사료(109)가 놓일 사료 결합 측면을 포함하고, 이와 같은 판 부재(102)는 저장 용기(101)를 위한 바닥 판으로서 작용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일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용기(101) 내의 기후 조건을 더 일정하게 유지하고 및/또는 닭과 같은 가축이 용기(101)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저장 용기(101)는 뚜껑(103)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뚜껑(103)은 또한 사료(109), 예를 들어, BSF의 유충과 같은 살아있는 유충의 오염을 방지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분배 장치(D)는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더 포함하고, 각각은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사이의 횡방향 판 부재(102) 상에 배열된 베이스 부분(105b)을 포함한다. 즉, 각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급여기 출구(108) 각각과 떨어져 있고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급여기 출구(108)와 겹치지 않는다. 이 구현예에서, 각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저장 용기(101) 내로 연장하고 급여 장치(100)가 사용 중일 때 사료(109)와 맞물린다.
이 실시예는 각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가 사료(109)를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향해 효과적으로 수렴하도록 한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또한 횡방향 판 부재(102)에 가장 가까운 사료(109)에 대한 압력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사료(109)가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 유충은 특정 양의 압력만을 견딜 수 있다. 판 부재(102)에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배열함으로써 저장 용기(101)에 테이퍼된 유충 더미를 생성하여 판 부재(102)에 가장 가까운 유충에 대한 압력을 감소시킨다. 즉,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저장 용기(101), 예를 들어 판 부재(102)의 바닥 근처에 위치한 살아있는 곤충 유충이 유충 더미 아래 위치한 해당 유충 위에 쌓인 유충으로부터 경험하는 평균 중량을 감소시킨다.
추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의 각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저장 용기(101)를 통해 연장되는 관형 채널(106)에 연결된 정점(105c)을 갖는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일 수 있고, 여기서 횡방향 판 부재(102)는 하나 이상의 통기 구멍(107)을 포함하며, 그 각각은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에 의해 덮이거나 그 아래에 배열된다. 이 구현예는 각 관형 채널(106), 원추형 안내 부재(105) 및 통기 구멍(107)을 통해 횡방향 부재(102) 아래에 통기를 허용한다. 더욱이, 이 구현예는 또한 각 관형 채널(106) 및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에 의해 저장 용기(101)에 쌓인 살아있는 유충이 너무 많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냉각 공기는 각 관형 채널(106) 및 중공 원추형 안내 부재(105)의 외부 표면에 맞물리는 사료의 온도를 감소시킨다. 공기는 수동적으로 흐를 수 있거나 또는 각 관형 채널(106) 및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통해 강제로 흐를 수 있다. 저장 용기(101)에 뚜껑(103)이 제공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관형 채널(106)은 뚜껑(103)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관형 채널(106), 원추형 안내 부재(105) 및 통기 구멍(107)을 통해 흐르는 공기는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1) 내의 살아있는 유충 사료(109)의 냉각수 역할을 한다. 평균적으로, 예를 들어, 네달란드의 닭 헛간 온도는 20℃ 내지 23℃이다. 유충은 특히 예를 들어 10 내지 15일령의 BSF 유충이 저장 용기(101)에 함유되어 있을 때 열을 생성한다. 냉각되지 않은 상태로 두면, 저장 용기(101) 내의 유충 회분의 온도가 3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온도에서 유충은 더 활동적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열량을 소비하고(즉, 지방 함량이 낮아짐), 급여되지 않고 번데기가 시작되나; 더 많은 수의 유충이 30℃ 미만의 온도에서 보관된 유충에 비해 낮 동안에도 죽는다. 그러한 더 높은 온도를 방지함으로써, 유충 활동이 제한될 수 있고, 그 결과 급여 장치(100)가 더 오랜 기간 동안 유충을 무작위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유리한 구현예에서, 분배 시스템(D)은 가축 급여 구역 위의 저장 용기(101)를 지지하는 지지 또는 현수 시스템(114)을 포함하고, 여기서 지지 시스템(114)은 3개의 더 신장된 지지 부재(113) 바람직하게는 3개의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1)에 연결되어 외주를 따라 고르게 배열/분포되는 케이블 또는 봉을 포함한다. 신장된 지지 부재(113)의 원주 방향의 분포는 저장 용기(101)의 정확한 수직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가축, 예를 들어 닭이 저장 용기(101)의 상단에 앉고/거나, 저장 용기(101) 내의 살아있는 유충이 기어가기 시작하고 판 부재(102)의 지배적인 위치로 축적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저장 용기(101)가 특정 측면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시스템(13)에 의해 저장 용기(101)를 충분히 수직으로 유지함으로써 사료(109), 예를 들어 살아있는 유충이 저장 용기(101)의 특정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판 부재(102)에 걸쳐 균일한 분포를 유지하여 복수의 급여 배출구(108)로부터 무작위적으로 균등하게 떨어진다. 지지 시스템(114)은 예를 들어 닭 바의 천장에 매달림으로써 가축 급여 구역 위에 매달릴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3개 이상의 신장된 지지 부재(113)는 보관 용기(101) 또는 뚜껑(103)에 직접 연결되며, 이는 예를 들어, 신장된 지지 부재(113)가 케이블로 구현되었을 때 부착 링(115)의 사용을 통해 저장 용기(101)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도 1a에 추가로 묘사된 바와 같이, 일 구현예에서 저장 용기(101)는 사료(109), 예를 들어, 살아있는 곤충 유충에게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환기 구멍(112)을 저장 용기(101)의 측벽에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갖는 저장 설비(110),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저장 용기(101), 즉, 횡방향 판 부재(102)에 대해 중앙에 배열되어, 사료(109), 예를 들어, 살아있는 곤충 유충은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로 균일하게 수렴할 것이다. 원추형 안내 부재(105)의 중앙 배치로 인해, 판 부재(102)의 환형 부분(102a)이 제공되어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가 배열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은 길이 r1 및 폭 r2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길이 r1 및 폭 r2는 가축 급여 구역으로 떨어질 사료(109)의 특정 속도 및 양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횡방향 판 부재(102) 상에 배열된 저장 용기(101) 및 복수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의 단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배 장치(D)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사이의 횡방향 판 부재(102) 상에 배열된 베이스 부분(105b)을 각각 포함하는 전술한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포함한다. 즉, 각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각 급여기 출구(108)에서 떨어져 유지되고 따라서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급여기 출구(108)와 중첩되지 않는다.
도 2b로부터, 도시된 구현예에서 분배 장치(D)는 복수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횡방향 부재(102)의 중앙에 배열되고 나머지 원추형 안내 부재는 중앙에 배치된 원추 모양의 안내 부재를 둘러싼다.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가 복수의 안내 부재(105) 사이에 분포되어, 저장 용기(101)에 저장된 사료(109)가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로 수렴하는 것이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서와 같이, 도 2a는 각 원추형 안내 부재(105)가 저장 용기(101)를 통해 연장되는 관형 채널(106)에 연결된 정점(105c)을 갖는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일 수 있음을 도시하고, 여기서 횡방향 판 부재(102)는 각각이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에 의해 덮인 복수의 통기 구멍(107)을 포함한다. 각 원추형 안내 부재(105) 및 이에 연결된 관형 채널(106)은 각 관형 채널(106) 및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에 의해 저장 용기(101)에 쌓인 유충이 너무 많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복수의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 및 관형 채널(106)을 활용하는 것이 도 1a에 묘사된 바와 같이 단일의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 및 이에 연결된 관형 채널(106)을 사용하여 유충을 냉각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유충을 냉각시키는 데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2a 및 2b로부터, 판 부재(102)의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는 급여 장치(101)가 사용 중일 때 복수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급여 패치(109a)를 제공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2a에 묘사된 구현예에 대한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저장 용기(101)를 통해 연장되는 각 관형 채널(106)은 측벽(101a)을 통해 저장 용기(101)를 빠져나갈 수 있다. 이는 가축이 저장 용기(101)의 사료(109)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저장 용기(101)에 추가 사료(109)를 제공하는 것을 단순화하기 위해 저장 용기(101)에 배치된 분리형 뚜껑의 설계를 크게 단순화한다.
도 1 내지 4에 개괄된 급여 장치(100)는 5-15마리와 같이, 1 내지 60마리의 동물, 전형적으로는 약 12마리의 동물로 이루어진 산란계와 같은 가금류 무리에게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제공하는 데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급여 장치(100) 또는 특정 저장 설비(110)는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1)의 바닥 부분의 표면적 또는 판 부재(102)의 표면적에 따라 100g 내지 7kg, 바람직하게는 300g-5kg, 더욱 바람직하게는 1kg-3kg과 같이 50g 내지 10kg의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용기(101)의 한 회분의 유충의 평균 높이는 약 5cm-2cm, 평균 7cm와 같이 가급적 약 6cm-8cm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와 함께, 유충 급여기 용기의 바닥 부분 혹은 그 부근에 위치한 살아있는 유충이 이들 유충의 상부에 쌓인 유충에 의해 가해지는 평균 압력은 충분히 낮아서 유충이 억눌려 죽거나 너무 높은 압력에 의해 상하거나 상처 입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용기(101)은 25000 내지 75000마리의 BSF 유충과 같이, 10000 내지 100000마리의 동애등에(BSF) 유충, 바람직하게는 35000-50000마리의 유충을 포함하며, 여기서 유충은 예를 들어 10-15일령이다.
도 3은 본 구현예의 구현예에 따른 분배 장치(D)에 사용된 횡방향 판 부재(102)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는 원칙적으로 어떠한 형태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유리한 구현예에서 각 급여기 출구(108)는 삼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인접한 원추형 안내 부재(105)의 베이스 부분(105b) 사이의 공간을 최적화한다. 예를 들어, 도 2b에서 다수의, 예를 들어, 7개의 원추형 안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배열된 원추형 안내 부재는 복수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 사이에서 판 부재(102)의 삼각형 형상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3에 묘사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의 급여기 출구(108)는 급여기 출구(108)의 크기를 최대화할 것이다. 게다가, 급여기 출구(들)(108)의 크기와 면적은 급여기 출구를 빠져나가는 사료 입자, 예를 들어 살아있는 BSF 유충과 같은 살아있는 유충, 예를 들어, 부화 후 8-14일 또는 부화 후 10-12일의 사료 입자의 크기로 채택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급여 장치(100)의 또 다른 구현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분배 장치(D)는 횡방향 판 부재(102)의 하나의 급여기 출구(108) 또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아래에 배열된 원추형 급여기 스프레더(104)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원추형 급여기 스프레더(104)는 하나의 급여기 출구(108) 또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향해 연장된 스프레더 정점(104c)을 포함한다. 이 구현예에서 급여 패치(109a)가 환형 모양을 갖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달해서 원추형 사료 스프레더 부재(104)가 원추형 사료 스프레더(104)의 원추형 둘레에 의해 사료(109)가 무작위적으로 뿌려지는 것을 허용함에 따라 가축 급여 구역에서의 사료 위치의 무작위성은 추가로 증가했다. 사료(109)가 급여 장치(100)에서 가축 급여 구역으로 떨어지는 장소와 시기에 대한 무작위성의 증가는 가축, 예를 들어, 닭의 권태감, 무관심, 공격성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포함하는 사료(109)의 경우, 유충의 활발할 움직임으로 인해 유충은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109)를 통해 저장 용기(101)를 무작위 방식으로 빠져나간다. 급여기 출구(108) 아래에서, 유충은 원추형 사료 스프레더(104) 위로 떨어지고, 유충을 원추형 둘레/표면을 따라서 안내함으로써, 환형 또는 링형 급여 패치(109a)를 생성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떨어지는 유충으로 덮인 가축 급여 구역의 면적이 다른 것들, 예를 들어, 면적 위의 베이스(104b)의 높이뿐만 아니라 원추형 사료 스프레더(104)의 베이스(104b)의 직경 사이에서 결정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분배 장치(D)는 횡방향 판 부재(102)의 단일 급여기 출구(108) 아래에 또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아래에 배열된 깔때기 모양의 출구 판(116)을 포함한다. 묘사된 바와 같이, 깔때기 모양의 출구 부재(116)는 단일 급여기 출구(108) 또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에 근접한 깔때기 베이스(116b) 및 단일 급여기 출구(108) 또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의 말단까지 깔때기 출구(116d)가 제공된 깔때기 정점(116c)를 포함한다. 원추형 사료 스프레더(104)의 스프레더 정점(104c)은 그 다음 깔때기 출구(116d)로 연장된다. 이 구현예는 사료(109)가 깔때기 출구(116d)를 통과할 때, 단일의 급여기 출구(108)로부터 또는 복수의 출구(108)로부터 스프레더 정점(104c)을 향해 떨어지는 사료(109)의 수렴을 제공한다. 깔때기 모양의 출구 부재(116)을 통해 가축 급여 구역에 원형으로 분배된, 단일 급여 패치(109a)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또한 가축을 계속 점유하고 지루함을 감소시킨다.
도 5a-5c와 관련하여, 이 도면들은 현재 발명에 따른 급여 장치(100)의 다양한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5a에는 가축을 위한 사료(도시되지 않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설비(110) (예: 저장 용기(101))와 그로부터 사료를 수용하기 위해 저장 설비(110)에 연결된 분배 장치/시스템(D)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분배 장치(D)는 가축 급여 구역 위에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이격된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하고, 여기서 분배 장치(D)는 가축 급여 구역을 가로질러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통해 공간적으로 사료를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급여 장치(100)가 사용 중일 때, 하나 이상의 급여 패치(109a)가 급여기 출구(108) 아래에서 천천히 그리고 무작위적으로 발달한다.
묘사된 구현예에서, 분배 장치(D)는 각각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의 급여기 출구를 저장 설비(110)(예: 저장 용기(101))에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급여 채널(117)을 포함한다. 급여 채널(117)은 하나 이상의 급여 패치(109a)가 시간에 따라 무작위적으로 발달할 수 있는 가축 급여 구역을 정의하기 위한 사양에 따라 형상되고 분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가축을 점유하고 그 결과 더 나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분배 장치(D)는 저장 설비(110)(예: 저장 용기(101))로부터 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베이스(118b)를 갖는 깔때기 모양의 사료 수용기(118)와 사료를 배출하기 위한 깔때기 정점(118c)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 급여 채널(107)은 깔때기 정점(118c)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현예는 깔때기 정점(118c)에서 공통 연결(120)을 공유하는 복수의 급여 채널(117)을 통해 사료가 저장 설비(110)(예: 저장 용기(101))로부터 분배되는 것을 허용한다. 급여 채널(117)은 그 다음 사양에 따라 가축 공급 구역의 다양한 위치로 퍼진다. 사료가 공통 연결(120)로 수렴하기 때문에, 어떤 급여 채널(117)을 통해 사료의 특정 부분이 특정한 급여기 출구(108)로 운송될지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4개의 급여기 출구(108)를 갖는 도 5a의 특정 구현예에 관하여, 일일 총 유충 양의 대략 25%가 각 급여기 출구(108)를 통해 빠져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 이상의 급여 패치(109a)가 시간에 따라 무작위적으로 발달한 결과, 가축이 가축 급여 구역을 가로질러 사료를 찾으며 점유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허용한다. 상기에서 언급했듯이,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사용하는 것은 살아있는 곤충 유충의 임의의 움직임으로 인해 복수의 채널로 생각되는 임의 흐름/배출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저장 설비(110), 또는 특별하게 저장 용기(101)의 높은 온도는 더 많은 유충이 의도한 8-12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 안에 저장 용기(101)를 빠져나가는 것을 초래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먹이를 찾는 정상적인 낮 시간에 걸쳐 닭을 위해 의도된 시간 동안 충분한 무작위성을 갖는 유충이 닭에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개괄된 바와 같이 저장 용기(101)에서 유충을 냉각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급여 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유충의 개선된 무작위성을 추가로 보장하는 데 유리하다.
복수의 급여 채널(117)이 어떻게 배열될 수 있는지의 예시가 도 5b에 묘사되어 있으며, 복수의 급여 채널(117)(예: 4개의 급여 채널(117))이 직교/수직으로 배열된 급여 장치(100)의 구현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급여 장치(100)가 사용될 때, 복수의 급여 패치(109a)는 각 급여기 출구(108)의 각 위치에 따라 시간에 따라 무작위로 발달한다.
예를 들어, 급여 채널(117)이 서로 수직이 아니라 예각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채널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한다. 또한 급여 채널(117)이 직선일 필요도 없고, 즉, 각 복수의 급여 채널(117)은 라우팅(routing) 필요사항, 가축 급여 구역의 형태 등에 따라 곡선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급여 채널(117)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묘사된 구현예에는, 복수의 급여 채널(117a, 117b)의 첫 번째 급여 채널(117a)은 복수의 급여 채널(117a, 117b)의 두 번째 급여 채널(117b)의 분기된 급여 채널이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급여 채널(117)의 깔때기 모양의 급여 수용체(118)로의 공통 연결(120) 대신에, 하나 이상의 급여 채널(117)이 또 다른 급여 채널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이는 라우팅을 위한 더 큰 유연성을 허용하고, 모든 급여 채널(117)을 위해 필요한 총 길이를 줄인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급여 채널(117a)는 두 번째 급여 채널(117b)보다 짧을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첫 번째 급여 채널(117a)의 급여기 출구(108)이 두 번째 급여 채널(117b)의 급여기 출구(108)보다 가축 급여 구역 위에 더 높게 배열될 수 있다. 가축 공급 구역이 가축이 사료를 찾는 다른 높이 수준을 포함하는 경우, 더 긴 두 번째 급여 채널(117b)에 의해 제공된 가축 급여 구역의 더 낮게 위치된 부분보다 더 짧은 급여 채널(117a)이 가축 급여 구역의 더 높이 위치된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5c에 비추어 볼 때, 하루 동안 배출된 유충(예: BSF 유충)으로 덮인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아래 가축 급여 구역의 (바닥) 면적은 예를 들어, 공급기 배출구(108)와 표면적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전형적으로, 각 급여기 출구(108)가 약 7cm의 출구 개구부를 갖고, 이 출구 개구부들이 면적보다 약 30cm 위에 위치할 때, 약 30cm의 직경을 가진 유충의 실질적으로 원형의 급여 패치(109a)가 얻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저장 용기를 활용하는 급여 장치(100)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가축을 위한 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설비(110)는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저장 용기(101)를 포함한다. 전과 마찬가지로, 분배 장치/시스템(D)는 이로부터 사료를 수용하기 위해 저장 설비(110)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분배 장지(D)는 가축 급여 구역 위에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이격된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하며, 여기서 분배 장치(D)가 가축 급여 구역을 가로질러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통해 사료를 공간적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현예에서 저장 용기(101)는 살아있는 곤충 유충(예: BSF 유충)과 같은 사료(도시되지 않음)를 저장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다. 저장 용기(101)를 채우고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101b)가 제공된다. 저장 용기(101)는 사료(예: 살아있는 유충)의 최적의 저장 상태를 달성될 수 있기 위해 기후조절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피치 각도(α)에 걸쳐 피치/피봇하도록 예를 들어 개구부(101b)를 통해 용기(101)을 채우기 위해 위로 피봇하고, 저장 용기(101)를 배출하기 위해 아래로 피치되도록 저장 용기는 피봇식으로 배열된다.
유리한 구현예에서 급여 장치(100)는 필터/체 요소(123)를 포함하여, 유입 급여 흐름(F1)이 분배 장치(D)의 분배 유입구(124)를 통해 분배 시스템(D)에 의해 수용되도록 유출 급여 흐름(F2)에서 체질된다. 일 구현예에서, 분배 장치/시스템(D)은 (선택적으로 체질된) 급여 흐름(F2)이 분배 입구(124)를 통해 분배 장치(D)로 들어갈 때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쪽으로 급여를 강제하기 위해 분배 장치(D)에 공기 흐름(A)를 밀어 넣도록 구성된 공기 공급원(120)(예: 블로어(blower))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에 개구부를 제공된 분배 입구(124)를 갖는 이점은 상기 개구부(124)를 포함하는 급여 채널(117)의 채널 부분의 압력 강하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 또는 벤츄리 원리(Venturi principle)에 따라 발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급여 채널(117)에서 개구부(124)(즉, 분배 유입구(124))는 공기 흐름 “A”가 유입 채널(117)을 통해 공기 공급원(120)에 의해 제공되었을 때 분배 유입구(124)를 통해 급여 채널(117) 내로 흡인/흡입되는 회전 가능한 저장 용기(101)(외부 급여 흐름(F2))로부터 배치된 살아있는 유충을 운반하는 외부 공기를 허용하는 벤츄리 효과를 유도한다. 결과적으로, 개구부(124)에서 흡입은 살아있는 유충이 공기 흐름”A”에 흡수되고 급여기 출구(들)(108)를 통해 배치되도록 허용한다.
일 구현예에서, 회전 가능한 저장 용기(101)는 예를 들어 1-3rpm, 바람직하게는 1rpm으로 회전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회전 가능한 저장 용기(101) 내에 8시간-2일 동안 저장된 살아있는 곤충 유충의 온도는 상온, 또는 20℃-30℃이다. 산란계와 같은 약 10000마리의 닭 떼의 경우, 10-12일령의 BSF 유충과 같은 살아있는 유충 일일 공급량은 약 80kg-150kg, 예를 들어 약 125kg이다. 전형적으로, 저장 용기(101)는 유충이 저장될 때 회전하며 공기 냉각될 수 있다. 주기적으로, 저장 용기(101)는 유충이 체 요소(123)에 떨어지고 분배 시스템(D)에 들어가도록 각도 α에 걸쳐 아래쪽으로 피치/피봇된다.
도 6에서, 구현예에서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는 예를 들어 3 내지 4m 이격되어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공급 채널(117)은 예를 들어 10000마리의 산란계를 포함하는 전통적인 닭 축사에 걸쳐 있기 위해 30 내지 100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가축(예: 닭)의 사료(109)로 선택함으로써,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유충은 예를 들어, 대두박을 포함하는 사료 제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고 살아있는 유충은 양식 조류와 같은 가축의 자연적 행동을 자극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스트레스, 권태감 및 (자기) 신체 절단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다.
급여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사료로서 살아있는 곤충 유충의 최적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살아있는 곤충 유충에게 양호한 기후 상태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급여 장치(100), 또는 구체적으로 저장 설비(101)는 제1 인클로저(enclosure)(E1)를 포함하고 여기서 (회전가능한) 저장 용기(101)는 제1 인클로저(E1)에 배열되는 구현예가 제공된다. 급여 장치(100), 또는 구체적으로 저장 설비(110)는 제1 인클로저(E1)내의 환경 조건을 조절하기 위한 기후 조절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제1 인클로저(E1)는 저장 용기(101)가 원하는 기간 동안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저장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 조건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엄격하게 제어된 기후/환경 조건이 유지되도록 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급여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108), 또는 구체적으로 위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108)를 갖는 가축 급여 구역의 부분을 둘러싸는 제2 인클로저(E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후 제어 시스템은 제2 인클로저(E2)의 환경 조건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제2 인클로저는 예를 들어, 암탉 또는 산란계와 같은 양식 가금류에게 살아있는 유충을 급여할 케이지, 또는 헛간이다. 이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108) 아래에서 무작위로 발달하는 급여 패치(109a)는 또한 최적의 환경 상태로 유지될 것이고 그 자체로 예를 들어, 닭에게 매력적일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된 기후 조절 시스템은 단일 시스템일 필요는 없지만 제1 및 제2 인클로저(E1, E2) 각각에 대해 별도의 기후 조절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급여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108)를 위한 제3, 제4, 제5 등의 인클로저(E3) 및 제2 인클로저(E2)에 둘러싸이지 않는 이들에 의해 생성된 급여 패치(109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인클로저(E3) 등은 제2 인클로저(E2)의 환경 조건과 다른 환경 조건이 필요한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추가 인클로저(들)(E3)의 제공은 농장에서 다수의 헛간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종의 가금류의 다수의 무리(herds) 또는 무리(flocks)를 사육할 때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어린 닭을 포함하는 축사, 암탉을 포함하는 축사, 산란계를 포함하는 축사, 각각 특정 수의 예를 들어, 산란계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개별 축사 등에서 유리하고, 여기서 다수의 축사들 각각은 회전 가능한 저장 용기(101)로부터 제공되는 살아있는 유충의 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여 채널(117)이 제공된다.
도 6에서는 분배 장치(D)가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로부터 상류에 하나 이상의 밸브(122)를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밸브(122)는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108)를 향하는 사료 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구현예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구현예에서, 분배 장치(D)는 각각이 유동적으로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의 급여기 출구를 저장 설비(110), 즉 저장 용기(101)에 연결하는 복수의 공급 채널(117)을 포함한다. 특히, 복수의 급여 채널(117)은 분배 입구(124)를 향해 사료를 떨어뜨리기 위해 전방으로 피치/피벗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저장 용기(101)를 통해 저장 설비(110)로부터 사료를 수용한다. 사료가 분배 장치/시스템(D)에 들어갈 때 분배 입구(124)에서, 공기 공급원(120)는 복수의 급여 채널(117)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 내로 급여를 강제한다. 이 네트워크는 다양한 직경, 길이 및 가지 등의 급여 채널(117)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각 가지에 유입되는 사료의 체적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며, 여기서 체적 유량은 또한 각각의 급여기 출구(108)에 의해 배출되어야 하는 사료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현예에서, 각각의 밸브(122)는 명세서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사료가 바람직하게는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라우팅 요구 사항 때문에 급격한 굴곡이 필요할 수 있는 분배 네트워크(D)의 장소에서 분배 시스템(D)의 막힘을 최소화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런 다음, 난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의 급여 채널(117)의 분배 내트워크의 영역은 매끄러운 아치형 채널과 매끄러운 아치형 채널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급여 채널(117)의 하나 이상의 급여 채널이 각각 하나 이상의 T-조인트(joint)(119)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 T-조인트(119)는 대향하는 출구 슬리브(119b) 및 측면 출구 슬리브(119c)로부터 상류의 입구 슬리브(119a)를 포함하는, 도6 및 7에 묘사된 것과 같은 구현예가 제공된다. T-조인트(119)는 매끄러운 아치형 섹션(119d), 예를 들어, 입구 슬리브(119a)로부터 측방 출구 슬리브(119c)를 향해 연장되는 매끄러운 굴곡부(119d)를 추가로 포함한다. 매끄러운 아치형 섹션/굴곡부(119d)는 살아있는 곤충 유충의 먹이 일부가 입구 슬리브(119a)에서 측면 출구 슬리브(119c)를 향해 매끄러운 아치 경로(a-a'')를 따르도록 한다. 살아있는 곤충 유충의 다른 부분은 입구 슬리브(119a)에서 출구 슬리브(119b) 쪽으로 직선 경로(a-a')를 따른다. 일 구현예에서, 측면 배출구 슬리브(119c)는 급여기 출구(108)로 작용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추가 급여 채널(117)이 측면 배출구 슬리브(119c)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는 새의 깃털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a)유충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표면을 갖는 격리된 영역에 새 무리를 가두는 단계; b) 단계 a)의 새 무리에 유충을 제공하는 시점 및 단계 a)의 격리된 영역의 표면에서 유충을 전달하는 위치에 대해 무작위의 방식으로 유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새의 깃털 상태가 개선된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방법의 단계 b)는 유충의 무작위적인 제공이 박탈된 새 무리에 비해 깃털 쪼는 현상의 정도가 감소된 것을 드러내고, 이와 함께 새의 깃털 상태가 개선되는 것을 초래한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깃털 상태 개선은 깃털 쪼는 현상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깃털 손실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감소,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의 감소 중의 하나 이상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깃털 상태 개선은: 유충의 무작위의 제공을 박탈당한 새 무리에서 발생하고/거나 분명한 깃털 쪼는 현상, 깃털 손실,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의 발생,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중 하나 이상에 비한 깃털 쪼는 현상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깃털 손실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감소,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의 감소 중의 하나 이상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유충은 살아있는 유충 및/또는 동애등에 유충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새는 가금류, 예를 들어 닭, 암탉, 산란계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며, 여기서 방법의 단계 b)에서 유충은 본 발명에 따른 급여 장치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적용하는 유익한 효과를 보여주는 예시적인 구현예
재료 및 방법
산란계 및 가두는 관리
노령 산란계(Dekalb White; 65주령)는 깃털 쪼는 현상(핵심 복지 지표), 행동, 알 품질 등에 대한 본 발명의 급여 장치 사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 설정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암탉은 바닥에 나무 부스러기가 있는 새장 우리에 할당되고 2주 동안 적응(순응)하도록 허용되었다. 암탉은 실험이 시작되는 동안 67주령이었다. 실험 시설에 도착하기 전에 암탉은 우리당 330마리의 새가 있는 새장 시스템(Vencomatic, Eersel, the Netherlands)에 가두어졌다.
활동적이고 67주령에 임상 징후가 없는 암탉만이 실험에 포함되었다. 암탉은 별도의 개별 코드로 식별되지 않고, 고유의 우리 번호를 사용하여 그룹화 및 식별되었다. 실험이 시작된 후, 암탉이 아프거나 인도적 종말점을 만나면 제외되었다. 인도적 종말점은 산란계가 회복 가능성이 없는 임상적으로 아프거나, 심하게 다쳤거나, 또는 똑바로 설 수 없는 상황으로 정의된다. 실험에 참가한 모든 새들은 온전한 부리를 가지고 있었다.
급여 실험은 창문이 없고, 인공 조명과 중앙 난방(목표 온도: 20 ± 2℃)이 되는 두 개의 동일한 집에서 실현되었다. 산란계는 길이 1.5m(알 낳는 둥지 포함), 폭 2m, 높이 2.3m의 새장 우리에 수용되었다. 암탉은 22암탉/우리의 밀도로 수용되었다. 우리는 횃대(약 18cm/암탉), 급여 통(임의의 사료, 약 5cm/암탉 급여 공간) 및 우리당 6개의 젖꼭지 급수기(임의의 물)가 장착되었다. 침구는 신선한 목재 부스러기로 이루어졌다.
특정한 관찰(예: 새의 건강)을 위해 우리는 실험 동안 매일 검사되었다. 암탉은 실험 기간 동안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다.
동애등에 유충 및 급여 장치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은 Protix B.V. (Dongen, 네덜란드)에서 공급했다. 유충은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상태에 따라 GMP+ 및 SecureFeed 인증 시설에서 생산되었다. 신선하고 살아있는 유충은 매주 공급되었고, 소비될 때까지 서늘하고 건조한 공간에 보관되었다. 살아있는 유충의 영양 성분은 표 1과 같다.
표 1. 살아있는 유충의 영양 성분
Figure pct00001
이 시험에서 본 발명의 적용된 급여 장치는 도 5c에 따른 유충 분배기였다. 유충 분배기는 약 275g의 살아있는 유충이 4개의 출구(예: 급여 장치(균등하고 무작위로)의 급여기 출구(108))로부터 6 시간 동안 분배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분배기는 하루의 급여에 필요한 양의 유충을 저장하는 완충기(깔때기 모양의 먹이 수용기(118))로 이루어진다. 유충은 완충기에서 점차적으로 분배기 유닛(복수의 분지된 급여 채널(117a, 227b))으로 떨어졌으며, 이는 유충을 4개의 배출 지점(급여기 출구(108)) 중 하나로 추가로 분기시켰다. 급여 장치의 크기와 부피는 암탉의 수와 관련하여(모든 닭이 동일한 비율의 유충을 얻도록) 그리고 우리의 면적과 관련하여 설계되었다.
실험 식단
상업용 매시 식단(commercial laying mash diet)(대두 함유)과 특별한 대두가 없는 사료를 ABZ Diervoeding (Leusden, 네덜란드)로부터 공급받았다. 식단의 재료와 계산된 성분은 표 2 및 표 3에 각각 나열되어 있다. 두 식단 모두 나이든 산란계의 영양 필요를 충족하도록 공식화되었다.
표 2. 실험 식단의 재료 성분
Figure pct00002
1함유: Cu (CuSO4.5H2O) 1,000 mg/kg; Fe (FeSO4. H2O) 4,000 mg/kg; Mn (MnO) 10,000 mg/kg; Zn (ZnSO4.H2O) 4,400 mg/kg; I (Ca(IO3)2 무수) 100 mg/kg; Se (Na2SeO3) 15 mg/kg; vit. A 750,000 IU/kg, vit. D3 150,000 IU/kg; vit. E 1,250 IU/kg; 판토텐산 500 mg/kg; 니아신1,000 mg/kg; vit. B6 100 mg/kg; vit. B12 2,000 μg/kg; 비오틴 4,000 μg/kg; vit. K3 200 mg/kg; 콜린 20,000 mg/kg; DL-메티오닌 100 g/kg.
표 3. 실험 식단의 계산된-영양소 성분(기준)
Figure pct00003
1 겉보기 분변 소화율 기준
연구 설계 및 급여 체제
무작위의 완전한 블록(block) 디자인은 2가지 처리(대조군 및 유충-급여)와 8번의 반복(시험 시작 시 22마리의 암탉/반복)이 있는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험시설 내 펜의 위치에 블로킹(blocking)을 적용하였다. 실험은 12주 동안 진행되었다.
대조군(그룹 A)에는 상업용 매시 식단을 함유하는 대두가 제공되었다. 유충을 먹인 그룹(그룹 B)에는 대두가 없는 식단이 제공되었다. 두 그룹 모두 임의의 사료와 물이 제공되었다. 대두가 없는 식단 외에, 그룹 B의 암탉은 본 발명의 도 5c에 기재되고 상기 설명된 유충 분배기를 급여 장치로 사용하여 암탉당 12g의 살아있는 유충(하루 사료 섭취량의 10%)을 제공받았다. 유충은 매일 11시 30분에 제공되었고, 분배기(도 5c)는 약 17시 30분에 자가적으로 비워졌다.
생산 성과 및 폐사율
연구 동안 하기 생산 매개변수를 측정하였다: (1) 급여 실험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체중 증가; (2) 주간 사료 섭취량/우리; (3) 주간 달걀/우리의 수 및 달걀 중량/우리 (4) 상기 자료로부터 계산된 산란율, 계란 질량 및 사료 전환율. 폐사율은 매일 기록하였다. 아프거나, 심하게 다쳤거나, 똑바로 설 수 없는 암탉은 안락사되었다.
계란 품질
품질 매개변수(즉, 계란 껍질 파괴 강도, 껍질 탄성 및 Haugh 단위)는 실험의 시작 및 종료 동안 계란/우리에 대해 평가되었다. 이 매개변수는 계란 품질 측정 연구소(Amersfoort, 네덜란드)에서 평가되었다.
깃털 상태
산란계(5마리의 새/우리)를 무작위적으로 선택하여 급여 실험의 시작 및 종료 동안 깃털 상태를 평가했다. 깃털 상태는 0(손상이나 흠집이 없는 온전한 깃털)부터 5(완전히 벗겨진 부분) 사이의 점수를 받았다. 목, 등, 엉덩이 및 배는 깃털 쪼는 행동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점수에 고려되었다.
새의 행동
암탉의 행동을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해 2개의 우리(그룹 A에서 1개, 그룹 B에서 1개)에서 비디오 관찰이 이루어졌다. 비디오 관찰에 사용된 방식은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비디오 녹화는 방해받지 않고 관찰하도록 만들어졌다. 행동은 관찰 기간 동안 5분 간격으로 바닥에 있는 새의 수를 세어 점수를 매겼다. 새의 행동에 대한 유충 제공의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비디오 관찰은 기록되었다.
표 4. 비디오 관찰 체제.
Figure pct00004
1 유충 제공 전후 30분; 2중단 시간 없음.
데이터(data) 제외 매개변수와 통계 분석
잔류(적합-관찰값)가 데이터세트(ANOVA)의 잔류의 표준 오차의 2.5배보다 큰 경우, 특정한 관찰은 이상값으로 표시되고 통계 분석 전에 데이터세트에서 제외되었다. 사료 섭취량, 산란율, 계란 중량에 대한 특정한 관찰이 이상값으로 간주되는 경우, 해당하는 사료 전환율과 계란 질량(제외됨) 계산에 사용되지 않았다.
실험 데이터는 GenStat®버전 19.1(VSN International Ltd, UK)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사료 섭취량, 산란율, 계란 질량과 중량, 사료 전환율, 폐사율, 계란 품질 매개변수와 깃털 점수는 ANOVA를 사용한 두 처리와 비교되었다. 우리는 실험 단위였다. 일반 모델은 다음과 같다:
Yij = μ + 블록i + 처리j + eij
와 함께:
Yij = 해당 매개변수
μ = 전체 평균
블록i = 블록 효과(i = 1 to 8)
처리j = 처리 그룹의 효과 (j = 1, 2)
eij = 잔류 오차
P ≤ 0.05의 값은 통계적으로 다른 것으로 간주되었다.
동물 윤리
실험은 네덜란드의 동물 및 인간 복지 규정/실험실 관행 규정의 지침에 따라 실현되었다. 실험 프로토콜(protocol)은 Schothorst Feed Research Institute 윤리 검토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생산 실적
사료 섭취량, 산란율, 계란 중량, 계란 질량과 폐사율에 따른 결과를 표 5와 표 6에 나타내었다. 그룹 B(유충을 급여한 닭)는 그룹 A(대조군)에 비해 사료 섭취량이 현저하게 낮았다(P = 0.029). 표 5에 나타난 사료 섭취량은 매시 식단의 섭취량에 기반한다(그룹 B의 유충 섭취량은 고려하지 않음). 그룹 B 암탉은 암탉당 하루당 대략 12g(g/h/d)을 수용했다. 따라서 그룹 B의 총 사료 섭취량은 약 135g/h/d이었고, 이는 그룹 A와 다르지 않다. 유충은 대략 70%의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건조 물질 기준, 그룹 B의 사료 섭취량은 127g/h/d이었고, 이는 대조군 처리보다 수치적으로 낮다(현저한 차이는 계산되지 않음). 산란율, 계량 중량, 계란 질량과 폐사율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두 처리의 사료 전환율은 또한 표 5에 나타나 있다. 낮은 사료 섭취량에 맞춰, 그룹 B 또한 현저하게 낮은 사료 전환율(P = 0.004)을 도시하였다. 그룹 B 암탉의 유충 섭취량이 건조 물질 기준으로 고려할 경우, 사료 전환율은 2.452로 추정된다. 이 값은 그룹 A의 사료 전환율보다 수치적으로 더 낮으며 신뢰 수준(P = 0.071)의 10% 수준에서만 현저하다.
표 5. 67 내지 78주령부터 상업용 사료(그룹 A) 또는 대두가 없는 사료 + 살아있는 유충(그룹 B)을 급여한 산란계의 생산 성과 및 폐사율.
Figure pct00005
a-b 열에 공통 위 첨자가 없는 값은 크게 다르다(P ≤ 0.05). 1 SEM= 평균 표준 오차. 2 그룹 B에 의한 유충 섭취는 고려하지 않았다.
표 6. 67 내지 78주령(기준)부터 상업용 사료(그룹 A) 또는 대두가 없는 사료 + 살아있는 유충(그룹 B)을 급여한 산란계의 총 조단백질 및 지방 섭취량.
Figure pct00006
1 매시 사료 및 살아있는 유충 공급업체에서 제공한 값. 2 유충 공급자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유충의 영양 성분.
산란계의 체중은 시험의 시작(67주령) 및 종료(78주령) 동안 결정되었다. 실험 동안 산란계의 체중은 표 7에 나타나 있다. 그룹 A 암탉은 실험 동안 평균 체중 감소를 보인 반면, 그룹 B 암탉은 평균 체중 증가를 보였다.
표 7. 67 내지 78주령부터 상업용 사료(그룹 A) 또는 대두가 없는 사료 + 살아있는 유충(그룹 B)을 급여한 산란계의 체중(g).
Figure pct00007
a-b 열에 공통 위 첨자가 없는 값은 크게 다르다(P≤0.05). 1 SEM= 평균 표준 오차.
계란 품질
계란 품질 매개변수는 시험 시작 및 종료 동안 결정되었다. 품질 매개변수에 대해 얻은 값은 표 8에 나와 있다. 그룹 A과 그룹 B의 암탉의 계란 사이에 계란 껍질 강도, 탄력성, Haugh 단위는 차이가 없었다.
깃털 상태
시험 시작 및 종료 동안 결정된 산란계의 깃털 상태 점수는 표 9에 나타나 있다. 나이든 암탉은 시험이 시작되는 동안 이미 깃털 손상을 입었다. 그룹 B의 초기 깃털 손상은 그룹 A보다 수치적으로 더 높았다(유의한 차이 없음, P = 0.06). 실험이 끝날 때, 그룹 B의 깃털 손상은 그룹 A 암탉에 비해 현저하게 적었다(P = 0.004). 두 그룹의 일부 암탉은 시험 기간 동안 털갈이를 시작했으며, 이는 깃털의 교체로 표시된다. 시작하는 동안 모든 득점한 암탉은 벗겨진 배(4점 또는 5점에 해당)를 가졌다. 그러나 종료 동안 5마리의 산란계는 배에 대해 ≤ 2의 점수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털갈이 암탉을 고려하면, A와 그룹 B의 깃털 상태 점수는 각각 3.3과 2.6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점수를 조정한 후에도, 그룹 B 암탉은 그룹 A 암탉에 비해 깃털 손상이 현저하게 적었다(P < 0.05).
표 8. 상업용 사료(그룹 A) 또는 대두가 없는 사료 + 살아있는 유충(그룹 B)을 급여한 67주령 및 78주령 산란계의 계란의 품질 매개변수.
Figure pct00008
1 SEM= 평균 표준 오차. 2 품질 측정에 사용된 계란에 대해서만 결정된 계란 중량이다.
표 9. 67 내지 78주령부터 상업용 사료(그룹 A) 또는 대두가 없는 사료 + 살아있는 유충(그룹 B)을 급여한 산란계의 깃털 상태 점수.
Figure pct00009
a-b 열에 공통 위 첨자가 없는 값은 크게 다르다(P ≤ 0.05). 1 SEM= 평균 표준 오차. 2 깃털 상태 점수는 암탉당 목, 등, 엉덩이 및 배에 대해 0(손상이나 흠집이 없는 온전한 깃털) 내지 5(완전히 벗겨진 부분) 사이의 점수를 받았다. 평균 깃털 상태 점수는 계산되고 분석되었다.
새의 행동
실험을 시작하고 종료하는 동안 새의 행동에 대한 비디오 관찰이 이루어졌다. 분석 데이터는 그룹 A와 비교할 때 그룹 B(유충이 분배기에 적재되었을 때)에서 아침 시간 동안 바닥에 있는 암탉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냈다. 반면, 그룹 A의 경우 그룹 B와 비교할 때 오후 시간 동안 바닥에 있는 암탉의 수가 더 많이 관찰되었다.
생산 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룹 A 및 B의 암탉은 각각 133과 123g/h/d의 사료 섭취량을 보였다(그룹 B의 유충 섭취량은 제외). 매시 사료의 감소는 살아있는 유충의 영양 품질과 관련이 있고, 이는 식단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비율을 완성할 수 있다(표 6).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살아있는 유충은 GMP+ 및 Securefeed 인증 공장에서 유래했으며 HACCP 원칙에 따라 재배되어 높은 영양 품질을 나타낸다.
산란계의 유충 섭취량을 조절한 후, 유충이 급여된 암탉의 사료 전환율은 대조군에 비해 수치적으로 낮았다.
그룹 A와 그룹 B 사이에 산란율과 계란 중량의 차이는 없었다. 현지 재료(이 경우 유채 가루)로 만든 대두가 없는 식단에 살아있는 유충을 포함시킨 것은 계란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럽에서 대두는 가금류 사료 제형에 사용되는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다. 대략 32g의 대두박이 계란 하나하나를 낳는 암탉에 의해 소비된다. 곤충은 넓은 범위의 농식품 산업 부산물을 사용하여 재배되며, 지역 순환 경제의 중요한 기둥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사료 공급 장치를 적용한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살아있는 헤르메티아 일루켄스 유충(다른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에 더하여)은 생산 성과, 나이든 산란계의 행동 및 복지에 해로운 영향 없이 유럽 가금류 사료의 대두 대체에 성공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보였다.
그룹 B 암탉의 평균 체중 증가가 관찰되었다(그룹 A 암탉과 대조적으로). 육계 산업에서 체중 증가는 유의미하다.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계란 품질 매개변수(즉, 껍질 강도, 탄력성 및 Haugh 단위)는 식단에 유충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고 변경되지 않았다. 이 발견은 동애등에 유충이 지역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과 함께 가금류 식단에서 대두를 대체할 수 있다는 관찰을 더한다.
이전 연구에서는 이미 동애등에 유충 단백질 식사 기반 식단이 산란계에 의해 생산되는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바 있다. 0 함량 수준과 비교하여, 5% 함량 수준에서 더 나은 계란 껍질 강도가 관찰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유충 12g과 매시 사료 123.3g은 동애등에 유충 단백질 함량 1.3%에 해당한다. 따라서 암탉에게 하루에 12g 이상, 예를 들어 하루에 12 내지 40g의 유충을 제공하여 증가된 유충 포함 비율이 계란 품질을 추가로 향상시키는 것은 발명의 일부이다. 이전 연구는 또한 노른자 색, γ토코페롤 함량, 루테인 함량, β카로틴 함량 및 콜레스테롤 함량에 동애등에 단백질 식사가 포함되는 것의 유익한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발명의 급여 장치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유충을 제공함으로써 식단에 살아있는 유충을 포함시키는 것이 이들 분자 농도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또한 발명의 일부이다.
깃털 상태에 대한 영향
실험의 시작 동안 유충을 급여한 암탉의 깃털 손상은 대조군 암탉보다 수치적으로 더 높았다(유의미한 차이 없음). p-값은 0.06으로 유의미한 추세에 가까운 차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적용한 현재 시험의 결과는 동애등에 유충을 무작위적으로 통제된 방식의 제공이 나이든 산란계의 깃털 손상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보인다. 비록 유충을 급여한 암탉이 (대조군 암탉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깃털 점수로 시작했지만, 이 유충을 급여한 암탉은 실험이 종료되는 동안 현저하게 더 나은 깃털 점수를 갖게 되었다.
부드럽게 쪼는 것은 산란계에서 정상이며 깃털 손상을 거의 또는 전혀 초래하지 않는다. 깃털 쪼는 현상은 (a) 내부 요인: 유전적 긴장, 나이, 호르몬 상태, 두려움 및 사회적 동기; 및 (b) 외부 요인: 바닥 기질, 무리 크기/밀도, 광도 및 식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요소들 중에 나이와 깃털 쪼는 현상 사이의 관계가 계란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특히 중요하다. 산란계는 일반적으로 86주까지 계란 생산에 사용되며 네덜란드에서는 흰색 산란계를 95-100주령(탈피 없이)까지 유지하는 것이 점점 더 일반적이다. 65주령 이상의 산란계에서는 심각한 깃털 쪼는 현상이 매우 흔하다. 쪼는 현상을 제한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일부 상업용 해결책에는 부리를 자르거나 암탉을 작고 제한된 그룹으로 유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는 복지 문제가 있다. 첫 번째 해결책(즉, 부리를 자르는 것)은 예를 들어 네덜란드에서 허용되지 않으며,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적용하는 현재 개략된 시험이 수행되었다. 따라서 사용된 모든 산란계는 부리가 손상되지 않았고, 이는 시험 시작 당시 나이든 산란계들의 깃털 상태가 좋지 않은 원인이 되었다. 깃털 쪼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에는 농축물의 제공(자연적 기질로 쫄 수 있는), 낮은 사육 밀도(암탉이 무리 짝을 기억하도록 촉진), 그리고 적응된 사료 제형(식단에서 단백질 수준을 증가)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시스템에는 여전히 대두 기반 식단의 사용이 포함됩니다.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감소된 깃털 쪼기와 변경되지 않은 계란 품질이 고려될 때, 암탉 식단에 있는 대두의 적어도 일부는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으로 성공적으로 대체된다.
방목 시스템과 같은 암탉의 부리를 자르는 것의 대안은 깃털 쪼는 현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한 연구는 방목 닭은 그들의 시간의 약 3분의 1을 곤충을 먹는 데 보낸다는 것을 나타냈으며, 이는 곤충을 쪼아볼 수 있는 자연적 기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는 동물 복지와 관련하여 방목 시스템에서의 높은 폐사율이 부정적이라는 것을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폐쇄된 시스템에서의 산란계는 살아있는 곤충(해충 제외)에 거의 접근할 수 없다. 각 암탉에게 충분한 양의 유충(예: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을 (특별히 설계된 유충 분배기, 즉,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것은 쪼을 수 있는 자연적 기질을 제공하고, 산란계들이 서로를 쪼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어린 칠면조 가금류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살아 있는 동애등에 유충을 급여하는 것은 등과 꼬리 밑부분의 깃털 쪼는 현상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적용하여 산란 햇암탉에게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을 제공하는 것은 또한 쪼는 행동의 발달 범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새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살아있는 유충을 급여한 바닥에 있는 암탉(그룹 B)의 수는 오후 보다 아침 동안에 더 많았다. 바닥에 있는 그룹 A 암탉(대조군)의 수는 그룹 B 암탉에 비해 아침에 더 적었다. 그러나 바닥에 있는 그룹 A 암탉의 수는 그룹 B 암탉에 비해 오후에 더 높았다. 아침의 유충 공급이 산란계가 먹이를 찾는 행동을 도시할 필요를 충족시켰다(즉, 행동에 대한 보상이 주어짐). 본 발명의 급여 장치에 대한 현재 시험의 결과는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의 제공이 암탉이 자연적인 행동을 표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보인다. 자연적 행동 표현은 또한 산란계의 경우에 깃털 쪼는 현상의 감소와 관련이 있고, 따라서 새의 더 나은 복지에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산란계에게 더 높은 쪼기 행동은 아침 시간 동안 발생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새들은 오후 동안은 꽤 많은 시간을 앉아있고, 쉬는 데 보낸다. 유충을 급여한 암탉에 대한 비디오 관찰은 실제로 아침 시간 동안 바닥에 더 많은 수의 새를 보여주었다. 게다가, 이 새들은 실험의 끝에 대조군 그룹 A 암탉의 깃털 상태와 비교할 때 더 나은 깃털 상태를 가졌다. 유충을 급여한 새들은 더 많은 시간을 서로를 쪼는 대신 유충을 쪼는 데 보냈다. 추가적으로, 오전의 유충 접근가능성이 만족스러웠기 때문에 오후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암탉을 충분히 만족시키기 위한, 살아있는 유충 제공 시간이 본 발명의 급여 장치의 조정을 통해 최적화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일부이다. 살아있는 곤충, 특히 동애등에 유충은 이미 유럽에서 가금류 먹이로 승인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적용을 통한 나이든 산란계의 식단에의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의 성공적인 포함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과 결합한 급여 장치는 (a) 어린 산란계의 성과를 개선하고 깃털 쪼는 현상 발달의 감소; (b) 영양 계란 품질 개선; (c) 기타 복지 특성 개선을 위해 적용된다. 더욱이, 마찬가지로, 동애등에 유충과 결합한 급여 장치는 살아있는 유충을 육계, 종계 및 칠면조에 급여하기 위해 적용된다.
가금류에게 먹이를 주기 위한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곤충은 영양가가 높으며 동애등에의 사육은 순환 경제를 촉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급여 장치의 제공을 통한) 이러한 곤충은 가금류 사육과 관련한 복지 문제(예: 깃털 쪼는 현상의 감소)를 개선한다. 현재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사용하여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을 급여함으로써: (a) 지역 식물 단백질과 동애등에 유충의 조합을 함유하는 대두가 없는 사료를 나이든 산란계에 급여함으로써 대두가 풍부하고 유충이 없는 식단(그룹 A)와 비교한 생산 성과 및 계란 품질을 유지하고; (b) 대조군 A의 암탉의 깃털 상태 및 암탉 행동과 비교하였을 때, 동애등에 유충을 나이든 산란계에 분배하는 효과로 깃털 상태 및 암탉 행동의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적용한 연구 동안 얻은 현재의 시험 결과는 대두를 살아있는 동애등에 유충 및 지역 단백질 공급원으로 대체하는 것이 생산 성과 및 계란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준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급여 장치를 사용하여 부리가 온전한 산란계에게 유충을 무작위로 꾸준히 제공하는 것은 깃털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상기 개시내용에 비추어, 본 발명은 이제 하기의 구현예에 의해 요약될 수 있다:
구현예 1. 가축을 위한 사료(109)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설비(110)와 이로부터 사료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 설비(110)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분배 장치(D)를 포함하고 있고, 분배 장치(D)가 단일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하거나 가축 급여 장치 위에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이격된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하고, 분배 장치(D)가 가축 급여 구역을 가로질러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을 통해 사료를 공간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는, 가축(예: 일반적으로 가금류 또는 새)을 급여하기 위한 급여 장치(100).
구현예 2.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D)는 각각이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의 급여기 출구를 저장 설비(110)에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급여 채널(117)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구현예 3. 구현예 2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D)는 저장 설비(110)로부터 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베이스(118b) 및 깔때기 사료를 배출하기 위한 깔때기 정점(118c)을 가진 깔때기 모양의 사료 수용부(118)를 포함하고 있고, 각 급여 채널(117)이 깔때기 정점(118c)에 연결되는 급여 장치
구현예 4. 구현예 2 또는 3에 있어서, 복수의 급여 채널(117a, 177b) 중 제1 급여 채널(117a)은 복수의 급여 채널(117a, 117b) 중 제2 급여 채널(117b)의 분기된 급여 채널인, 급여 장치.
구현예 5. 구현예 4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여 채널(117a)는 상기 제2 급여 채널(117b)보다 짧은, 급여 장치.
구현예 6. 구현예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급여 채널(117) 중 하나 이상의 급여 채널은 각각 하나 이상의 T-조인트(119)를 포함하고, 각 T-조인트(119)는 대향하는 출구 슬리브(119b) 및 측면 출구 슬리브(119c)로부터 상류에 있는 입구 슬리브(119a)를 포함하고, T-조인트(119)는 입구 슬리브(119a)로부터 측면 출구 슬리브(119c)로 연장되는 매끄러운 아치형 섹션(119d)을 추가로 포함하는, 급여 장치.
구현예 7. 구현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장 설비(110)는 분배 시스템(D)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저장 용기(101) 및 저장 용기(101)가 배열된 제1 인클로저(E1)를 포함하고, 저장 설비(110)는 제1 인클로저(E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기후 조절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급여 장치.
구현예 8. 구현예 7에 있어서, 상기 급여 장치(100)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108)를 둘러싸는 제2 인클로저(E2)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기후 조절 시스템은 제2 인클로저(E2)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급여 장치.
구현예 9. 구현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분배 장치(D)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로부터 상류에 있는 하나 이상의 밸브(122)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밸브(122)는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108)를 향한 급여 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급여 장치.
구현예 10.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설비(110)는 사료(109)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101)를 포함하고, 저장 용기(101)는 분배 장치(D)에 연결되고, 분배 장치(D)는 저장 용기(101)의 바닥 부분에 횡방향 부재(102)를 포함하고, 판 부재(102)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하고,
분배 장치(D)는 저장 용기(101)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포함하고, 각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사이의 횡방향 판 부재(102) 상에 배열되는 베이스 부분(105b)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구현예 11. 구현예 10에 있어서, 각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저장 용기(101)를 통해 연장되는 관형 채널(106)에 연결된 정점(105c)을 갖는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이고, 횡방향 판 부재(102)는 각각이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에 의해 덮인 하나 이상의 통기 구멍(107)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구현예 12. 구현예 10 내지 11에 있어서, 분배 장치(D)는 복수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포함하고, 그 중 하나는 횡방향 판 부재(102)의 중앙에 배열되고 나머지 원추형 안내 부재는 중앙에 배치된 원추형 안내 부재를 둘러싸는, 급여 장치.
구현예 13. 구현예 10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분배 장치(D)는 횡방향 부재(102)의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아래에 배열된 원추형 사료 스프레더(104)를 더 포함하고, 원추형 사료 스프레더(104)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향해 연장되는 스프레더 정점(104c)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구현예 14. 구현예 13에 있어서, 분배 장치(D)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아래에 배열된 깔때기 모양의 출구 부재(116)를 포함하고, 깔때기 모양의 출구 부재(116)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에 근접한 깔때기 베이스(116b) 및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에 대해 원위에 깔때기 출구(116d)가 제공된 깔때기 정점(116c)을 포함하고,
원추형 급여 스프레더(104)의 스프레더 정점(104c)이 깔때기 출구(116d)까지 이어지는, 급여 장치.
구현예 15. 구현예 10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분배 시스템(D)은 가축 급여 구역 상의 저장 용기(101)를 지지하는 지지 시스템(114)을 포함하고, 지지 시스템(114)은 저장 용기(101)에 연결되어 외주를 따라 고르게 배열된 3개 이상의 신장된 지지 부재(113)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구현예 16. 구현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사료(109)는 살아있는 곤충 유충, 예를 들어, 동애등에 종의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새의 깃털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새 무리를 유충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표면을 가진 격리된 영역에 가두는 단계; b) 단계 a)의 새 무리에게 유충 제공의 시간과 단계 a)의 격리된 영역 표면에서 유충을 전달하는 위치에 대해 무작위의 방식으로 유충을 제공하고, 이와 함께 새의 깃털 상태를 개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상기 방법의 단계 b)는 유충의 무작위적인 제공이 박탈된 새 무리에 비해 깃털 쪼는 현상의 정도가 감소된 것이 드러나는 것을 초래하고, 이와 함께 새의 깃털 상태가 개선되는, 방법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여기서 깃털 상태 개선은 깃털 쪼는 현상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깃털 손실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감소,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의 감소 중의 하나 이상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여기서 깃털 상태 개선은: 유충의 무작위의 제공을 박탈당한 새 무리에서 발생하고/거나 분명한 깃털 쪼는 현상, 깃털 손실,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의 발생,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중 하나 이상에 비한 깃털 쪼는 현상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깃털 손실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감소,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의 감소 중의 하나 이상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여기서 유충은 살아있는 유충 및/또는 동애등에 유충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여기서 새는 가금류, 예를 들어 닭, 암탉, 산란계이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여기 상기에 개괄된 구현예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의 단계 b)에서 유충은 본 발명에 따른 급여 장치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에 개괄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기에 기재되었다. 일부 부분 또는 요소의 개질 및 대체 구현이 가능하며, 청구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구현예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조합 및 협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Claims (22)

  1. 가축,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가금류 또는 새에게 급여하기 위한 급여 장치(100)로서, 가축의 사료(109)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설비(110) 및 이로부터 사료를 수용하기 위해 저장 설비(110)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분배 장치(D)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장치(D)는 단일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하거나 가축 급여 구역 위에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이격된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장치(D)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통해 가축 급여 구역을 가로질러 사료를 공간적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급여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D)는 복수의 급여 채널(117)을 포함하고, 각 급여 채널은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의 급여기 출구를 저장 설비(110)에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급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D)는 저장 설비(110)로부터 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베이스(118b) 및 사료를 배출하기 위한 깔때기 정점(118c)을 갖는 깔때기 모양의 사료 수용부(118)를 포함하고, 각 급여 채널(117)은 깔때기 정점(118c)에 연결되는, 급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급여 채널(117a, 177b) 중 제1 급여 채널(117a)은 복수의 급여 채널(117a, 117b) 중 제2 급여 채널(117b)의 분기된 급여 채널인, 급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여 채널(117a)은 상기 제2 급여 채널(117b)보다 짧은, 급여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급여 채널(117) 중 하나 이상의 급여 채널은 각각 하나 이상의 T-조인트(119)를 포함하고, 각 T-조인트(119)는 대향하는 출구 슬리브(119b) 및 측면 출구 슬리브(119c)로부터 상류에 있는 입구 슬리브(119a)를 포함하고, T-조인트(119)는 입구 슬리브(119a)로부터 측면 출구 슬리브(119c)로 연장되는 매끄러운 아치형 섹션(119d)를 추가로 포함하는, 급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 설비(110)는 분배 시스템(D)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저장 용기(101) 및 저장 용기(101)가 배열된 제1 인클로저(E1)를 포함하고, 저장 설비(110)는 제1 인클로저(E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기후 조절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급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여 장치(100)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108)를 둘러싸는 제2 인클로저(E2)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기후 조절 시스템은 제2 인클로저(E2)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급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장치(D)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로부터 상류에 하나 이상의 밸브(122)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밸브(122)는 하나 이상의 급여기 출구(108)를 향한 급여 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급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설비(110)는 사료(109)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101)를 포함하고, 저장 용기(101)는 분배 장치(D)에 연결되고, 분배 장치(D)는 저장 용기(101)의 바닥 부분에 횡방향 부재(102)를 포함하고, 판 부재(102)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포함하고,
    분배 장치(D)는 저장 용기(101)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포함하고, 각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사이의 횡방향 판 부재(102) 상에 배열되는 베이스 부분(105b)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각 원추형 안내 부재(105)는 저장 용기(101)를 통해 연장되는 관형 채널(106)에 연결된 정점(105c)을 갖는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이고, 횡방향 판 부재(102)는 각각이 중공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에 의해 덮인 하나 이상의 통기 구멍(107)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분배 장치(D)는 복수의 원추형 안내 부재(105)를 포함하고, 그 중 하나는 횡방향 판 부재(102)의 중앙에 배열되고 나머지 원추형 안내 부재는 중앙에 배치된 원추형 안내 부재를 둘러싸는, 급여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장치(D)는 횡방향 부재(102)의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아래에 배열된 원추형 사료 스프레더(104)를 더 포함하고, 원추형 사료 스프레더(104)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를 향해 연장되는 스프레더 정점(104c)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분배 장치(D)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 아래에 배열된 깔때기 모양의 출구 부재(116)를 포함하고, 깔때기 모양의 출구 부재(116)는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에 근접한 깔때기 베이스(116b) 및 복수의 급여기 출구(108)에 대해 원위에 깔때기 출구(116d)가 제공된 깔때기 정점(116c)을 포함하고,
    원추형 급여 스프레더(104)의 스프레더 정점(104c)이 깔때기 출구(116d)까지 이어지는, 급여 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시스템(D)은 가축 급여 구역 위의 저장 용기(101)를 지지하는 지지 시스템(114)을 포함하고, 지지 시스템(114)은 저장 용기(101)에 연결되어 외주를 따라 고르게 배열된 3개 이상의 신장된 지지 부재(113)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료(109)는 살아있는 곤충 유충, 예를 들어, 동애등에 종의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포함하는, 급여 장치.
  17. 새의 깃털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새 무리를 유충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표면을 가진 격리된 영역에 가두는 단계;
    b) 단계 a)의 새 무리에게 유충 제공의 시간과 단계 a)의 격리된 영역 표면에서 유충을 전달하는 위치에 대해 무작위의 방식으로 유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와 함께, 새의 깃털 상태가 개선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단계 b)는 유충의 무작위적인 제공이 박탈된 새 무리에 비해 깃털 쪼는 현상의 정도가 감소된 것이 드러나는 것을 초래하고, 이와 함께 새의 깃털 상태가 개선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깃털 상태 개선은: 유충의 무작위의 제공을 박탈당한 새 무리에서 발생하는 깃털 쪼는 현상, 깃털 손실,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의 발생,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중 하나 이상에 비한, 깃털 쪼는 현상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깃털 손실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긁힘 출혈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통증 감소,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 위험 감소, 깃털 쪼는 현상으로 인한 상처 및 긁힘의 미생물 감염의 감소 중의 하나 이상인,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충은 살아있는 유충 및/또는 동애등에 유충인, 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새는 가금류, 예를 들어, 닭, 암탉, 산란계인, 방법.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법의 단계 b)에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급여 장치를 사용하여 유충에 제공하는 것인, 방법.
KR1020227002435A 2019-06-24 2020-06-23 급여 장치 KR202200410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3368 2019-06-24
NL2023368 2019-06-24
NL2024743 2020-01-23
NL2024743A NL2024743B1 (en) 2019-06-24 2020-01-23 Feeder arrangement
PCT/NL2020/050410 WO2020263085A1 (en) 2019-06-24 2020-06-23 Feeder arran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091A true KR20220041091A (ko) 2022-03-31

Family

ID=7126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435A KR20220041091A (ko) 2019-06-24 2020-06-23 급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86122A1 (ko)
KR (1) KR20220041091A (ko)
WO (1) WO2020263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1202A1 (de) * 2021-12-22 2023-06-28 SmartBreed AG Zuchtvorrichtung für insektenlarven
CH719905A1 (de) * 2022-07-19 2024-01-31 Smartbreed Ag Zuchtsystem mit Wärmeregulierungsvorrichtung.
WO2023118991A1 (de) 2021-12-22 2023-06-29 Smartbreed Ag Zuchtvorrichtung für insektenlarv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2479A (en) * 1974-07-01 1976-03-09 Powers Gilbert L Combined ventilator and feeder for avian
DE3030334A1 (de) * 1979-08-15 1981-03-26 Advanced Feeding Systems K/S, Odens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uettern einer mehrzahl nichtangebundener tiere
JPS6374431A (ja) * 1986-09-18 1988-04-04 株式会社 岩手シ−アイフア−ム 飼料量自動計量装置
US8210126B2 (en) * 2006-12-01 2012-07-03 Yik Hei Sia Swiftlets farming for production of edible bird's nests
CN202104111U (zh) * 2011-05-20 2012-01-11 界首市德广牧业有限公司 鸡禽养殖设备中的投料装置
CN203492533U (zh) * 2013-09-23 2014-03-26 赖建明 畜禽定时定量用电动式自动投料器
CN204907522U (zh) * 2015-08-20 2015-12-30 乐山市市中区安谷镇众兴养殖场 一种鸡饲料自动供料系统
CN205727611U (zh) * 2015-09-30 2016-11-30 昆明新牧人畜禽科技有限公司 一种养鸡自动喂料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6122A1 (en) 2022-04-27
WO2020263085A1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cher et al. Overview of commercial poultry production systems and their main welfare challenges
Aerni et al. Effect of foraging material and food form on feather pecking in laying hens
Wechsler et al. The effect of foraging material and perch height on feather pecking and feather damage in laying hens
Chen et al. Centennial Review: History and husbandry recommendations for raising Pekin ducks in research or commercial production
KR20220041091A (ko) 급여 장치
D'SILVA Adverse impact of industrial animal agriculture on the health and welfare of farmed animals
Castellini et al. Welfare, productivity and qualitative traits of egg in laying hens reared under different rearing systems
Glatz et al. Turkey farming: Welfare and husbandry issues
Van de Weerd et al. Rear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pensity for injurious feather pecking in laying hens
Fröhlich et al. What are alternative systems for poultry
Khumput et al. Feather pecking of laying hens in different stocking density and type of cage
Widowski et al. Farming poultry
Waiblinger et al. Applied ethology: the basis for improved animal welfare in organic farming.
Stadelman Egg-production practices
D'Silva Modern farming practices and animal welfare
Craig et al. Beak trimming effects on beak length and feed usage for growth and egg production
Keeling Behaviour of fowl and other domesticated birds.
NL2024743B1 (en) Feeder arrangement
Singer Down on the factory farm
EFSA Panel on Animal Health and Animal Welfare (AHAW Panel) et al. Welfare of ducks, geese and quail on farm
Brake Equipment design for breeding flocks
Sethy et al. Cannibalism: A threat to poultry industry
Okasha et al. Ostrich breeding in China
Panel et al. Scientific opinion
Du et al. Effects of Key Farm Management Practices on Pullets Welfare—A Review. Animals 2022, 12, 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