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922A - Desk for broadcasting service over internet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sk for broadcasting service over internet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922A
KR20220040922A KR1020200124231A KR20200124231A KR20220040922A KR 20220040922 A KR20220040922 A KR 20220040922A KR 1020200124231 A KR1020200124231 A KR 1020200124231A KR 20200124231 A KR20200124231 A KR 20200124231A KR 20220040922 A KR20220040922 A KR 20220040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user terminal
broadcasting
des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0844B1 (en
Inventor
백종인
Original Assignee
백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인 filed Critical 백종인
Priority to KR102020012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844B1/en
Priority to PCT/KR2021/012212 priority patent/WO2022065755A1/en
Publication of KR2022004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8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47B2021/007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the screen being incorporated in the des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21Keyboard supports
    • A47B2021/0335Keyboard supports mounted under the worksurface
    • A47B2021/035Keyboard supports mounted under the worksurface having double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64Keyboard and monit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k for broadcasting service over Internet, which comprises: a body unit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post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top plat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st; a connection stand which is installed with a USB port, and allows a microphone or camera to be installed thereon; and a user terminal which is installed on the body unit, to receive broadcast data including voice data or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 broadcast start time and a broadcast end time from a user, and transmits the received broadcast data.

Description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DESK FOR BROADCASTING SERVICE OVER INTERNET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Internet broadcasting desk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same

본 발명은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and a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인터넷 방송이라 함은 월드 와이드 웹(WWW)(이하, 간단히 "웹"이라 함) 프로토콜을 통하여, 불특정 다수의 접속자에게 소정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이하, "방송 콘텐츠"라 함)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웹사이트 상에서 마치 방송을 시청(또는 청취)하는 것 같은 경험을 느끼도록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In general, Internet broadcasting refers to transmitting predetermined multimedia cont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roadcast contents”)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users through the World Wide Web (WWW)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web”) protocol. , refers to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feel the experience of watching (or listening to) a broadcast on a website.

최근에는 블로그 또는 인스타, 유튜브 등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들이 노출되고 있다. 텍스트나 이미지뿐만 아니라 오디오나 비디오 영상과 같은 멀티 콘텐츠를 등이 많이 제작된다.Recently, various contents are being exposed through blogs, Instagram, YouTube, etc. Not only texts and images, but also multi-contents such as audio and video images are produced.

특히, '1인 미디어'로 불리는 콘텐츠가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개인 미디어 방송은 기존 방송 매체와는 다르게 개인이 직접 방송을 촬영하여 방송을 전달한다. 이러한 인터넷 개인방송의 발달은 개개인의 정보가 온라인을 통해 문자나 이미지로 전달되는 시대를 넘어 영상물로 공유됨으로써 더 깊이 있고 수준 높은 정보공유의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In particular, a lot of content called 'one-man media' is being produced, and unlike the existing broadcasting media, individuals directly film the broadcast and deliver the broadcast. The development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s opening up an era of deeper and higher-level information sharing by shar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video, beyond the era in which individu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ext or images online.

현재 인터넷 개인방송을 위한 시스템, 장비 등의 기술적 요소의 경우, 전문 방송장비가 아니라도 누구나 쉽게 휴대전화기를 이용해서도 제작 및 송출을 할 수 있도록 발달되어 있으나, 현실에서는 방송제작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방송을 쉽게 제작하지는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개인의 방송제작을 위한 접근기술의 발전에 비해 방송제작에 대한 대중의 심리적 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인지 또는 확장기술의 발전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Currently, in the case of technical elements such as systems and equipment for personal Internet broadcasting, it has been developed so that anyone can easily produce and transmit it using a mobile phone, even if it is not a professional broadcasting equipment. In reality, anyone interested in broadcasting production The reality is that it is not easy to produce a broadcast. This is because,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access technology for individual broadcast production, there is hardly any development of cognitive or extension technology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barriers of the public to broadcast production.

실제로 대중들의 인터넷방송제작을 돕기 위해 공공 또는 민간에서 운영하는 오픈스튜디오의 경우, 방송제작경험이 없는 일반인은 다룰 수 없는 전문장비로 구성되어 있어 실제 유튜버 이외에는 이용자가 없다 보니, 유튜버의 수가 적은 지방에 설치된 오픈스튜디오는 대부분 이용자가 없어 큰 비용을 들여 설치하고도 이를 유지하지도 폐쇄하지도 못하는 곳이 많다.In fact, in the case of open studios operated by the public or the private sector to help the public produce Internet broadcasts, the number of YouTubers is small because they are made up of specialized equipment that cannot be handled by ordinary people without experience in broadcasting production. Most of the open studios installed in rural areas do not have users, so even if they are installed at a high cost, many places cannot maintain or close th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0421186호(2004.02.2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421186 (2004.02.20)

본 발명은 인터넷 개인방송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일반 대중들에게 친숙한 게임기와 같은 형식으로 개발한 방송전용 데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ing-only desk in which all elements necessary for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re developed in the same format as a game machine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또한, 마이크, 카메라, 사용자 단말기 등의 시설이 한번에 갖추어져있고, 장비의 컨트롤을 단순화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영상의 촬영 및 자막편집, 송출채널선택, 채널홍보, 타 단말기 연결 등을 용이하도록 한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a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that is equipped with facilities such as a microphone, camera, and user terminal at once, and facilitates video shooting and subtitle editing, transmission channel selection, channel promotion, and connection to other terminals through software that simplifies the control of equipment is about

또한, 메인서버와 연동되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방송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ing system using a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that can share broadcasting screen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by interworking with a main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바디부; USB포트가 설치되고, 마이크 또는 카메라의 설치가 가능한 연결 스탠드;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방송 시작 시점과 방송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방송설정정보 또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n upper plat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s; A USB port is installed, and a microphone or camera can be installed on a connection stand; and a user terminal installed in the body part to receive broadcast data including voice data or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start time and broadcast end time from a user, and transmit the input broadcast data; desk is provided.

또한, 상기 연결 스탠드는,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복수의 링크로 이루어지며, 단부에는 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링크부에 거치되는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 장비는 카메라의 상기 브라켓에 의해 축 회전되어 위치 및 방향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링크부에 의해 높이 및 각도 변경이 가능한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tand may include a bracket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ft; and a link unit installed on the bracket, comprising a plurality of links, and at an end of which the device can be moun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that can be rotated to change the position and direction, and can change the height and angle by the link unit.

또한, 상기 바디부는, 일측에 배치된 상기 지주에 고정 및 연결되는 수납부; 및 타측에 배치된 상기 지주에 고정되며, 상기 수납부와 연결되는 라인적재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수납되고, 상기 라인적재부에는 상기 연결 스탠드에서 인출되는 전원선이 배치되어, 상기 라인적재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원선은 상기 수납부까지 인출 가능한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fixed and connected to the post disposed on one side; and a line loading part fixed to the post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rt; the user terminal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and the power line drawn out from the connection stand in the line loading part. Arranged, the power line disposed in the line loading unit can provide an Internet broadcasting desk that can be pulled out to the receiving unit.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방송설정정보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 및 방송설정정보 또는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or broadcast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지지되며 소정 높이를 갖는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바디부; USB포트가 설치되고, 마이크 또는 카메라의 설치가 가능한 연결 스탠드;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방송 시작 시점과 방송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방송설정정보 또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각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자막과 방송제목을 포함하는 기본설정값을 송신하고 기본설정값의 변경 여부를 수신하며, 복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합동방송여부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받아, 합동방송을 제어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upper plat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s; A USB port is installed, and a microphone or camera can be installed on a connection stand; and a user terminal installed in the body unit to receive broadcast data including voice data or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 broadcast start time and a broadcast end time from a user, and transmit the inputted broadcast data;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one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transmitting a basic setting value including a caption and a broadcasting title to each of the user terminals, receiving whether the basic setting value is changed, and determining whether to jointly broadcast from a plurality of the user terminal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roadcasting system using a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including; a main server for receiv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nd controlling joint broadcasting.

또한, 상기 메인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합동방송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방송 중인 다른 상기 사용자 단말기 리스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복수의 다른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합동방송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합동방송 연결을 수락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에서 송출되는 방송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방송화면을 동시에 송출하는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a joint broadcast connection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e main server provides a list of other user terminals currently being broadcast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es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When any one of the second user terminals is selected, a joint broadcast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accepts the joint broadcast connection,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roadcasting system using an Internet broadcasting desk that divides the broadcasting screen transmitted from each terminal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broadcasting screen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남녀노소 누구나 사전교육없이 인터넷방송의 제작을 놀이처럼 즐길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regardless of age or sex, can enjoy the production of Internet broadcasting like play without prior education.

또한, 마이크, 카메라, 사용자 단말기 등의 시설이 한번에 갖추어져있어, 영상 촬영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facilities such as a microphone, a camera, and a user terminal are provided at once, video shooting is easy.

또한, 메인서버와 연동되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방송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main server, it is possible to share a broadcast screen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또한, 이용자 개인의 휴대전화단말기 속 콘텐츠를 방송으로 공유하며 제3의 카메라로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third camera by sharing the contents in the user's personal mobile phone terminal through broadcasting.

또한, 메인서버와 연동하여 방송자막의 편집 및 송출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it enables editing and transmission of broadcast subtitles by interworking with the main server.

또한, 개인의 휴대전화 단말기와 연동하여 이용자개인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a personal mobile phone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duce an influx of viewers through the user's personal social network.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의 바디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스탠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에 거치프레임이 더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가 설치되는 오픈 스튜디오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의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의 메인서버가 합동방송을 송출하는 작동 방법
1 to 3 are views showing a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body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desk according to FIG. 1;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scree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that a fram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exemplarily showing an open studio in which an Internet broadcasting desk is installed;
12 is a block diagram of a broadcasting system using a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operation method for a main server of a broadcasting system using a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ransmit a joint broadcas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의 바디부(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스탠드(2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10)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a desk 10 for internet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 body part 100 of the desk 10 for internet broadcasting according to FIG. 1 .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nection st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는 바디부(100), 연결 스탠드(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 the Internet broadcasting desk 10 may include a body unit 100 , a connection stand 200 , and a user terminal 300 .

바디부(100)는 연결 스탠드(200)와 사용자 단말기(300)가 설치될 수 있는 전체 뼈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지주(110), 연결바(120), 수납부(130), 라인 적재부(140), 선반부(150) 및 상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art 100 may form an entire skeleton in which the connection stand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can be installed. The body part 100 may include a post 110 , a connecting bar 120 , an accommodating part 130 , a line loading part 140 , a shelf part 150 , and a top plate 160 .

지주(110)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주(110)는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의 다리일 수 있다. 4개의 지주(110)가 상판(160)의 꼭짓점에 부분에 배치되어, 상판(160)의 하부에서 상판(160)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The post 11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ground. As an example, the post 110 may be a leg of the desk 10 for Internet broadcasting. The four posts 110 are disposed at the vertices of the top plate 160 to support and fix the top plate 160 in the lower part of the top plate 160 .

연결바(120)는 이격된 지주(11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바(120)는 이격된 지주(110) 사이에서 수평으로 배치되어, 이격된 지주(1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The connecting bar 120 may connect the spaced apart posts 110 . As an example, the connecting bar 120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between the spaced apart posts 110 , and may fixedly support the spaced apart posts 110 .

수납부(130)는 일측에 배치된 지주(110)에 고정 및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130)는 우측 전방에 배치된 지주(110)에 고정 및 연결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part 130 may be fixed and connected to the post 110 disposed on one side.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part 130 may be fixed and connected to the post 110 disposed on the right front side.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앉아서 정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전방, 사용자의 머리 뒤측을 후방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이 결정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sits and looks at the front is described as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user's head is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determined based on this.

수납부(13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컴퓨터의 본체, 전원 케이블 등이 수납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unit 130 has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the power cable, and the like can be accommodated therein.

라인 적재부(140)는 타측에 배치된 지주(110)에 고정 및 연결되어, 수납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라인 적재부(140)는 좌측 전방에 배치된 지주(110)에 고정되고,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길게 형성되어, 우측 지주(110)에 고정된 수납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라인 적재부(140)는 수납부(130)와 공간이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line loading unit 140 may be fixed and connected to the post 110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130 . As an example, the line loading unit 140 may be fixed to the post 110 disposed on the front left side, may be formed elongat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sid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130 fixed to the right post 110 . The line loading unit 14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130 and the space.

라인 적재부(140)에는 연결 스탠드(200)에서 인출되는 전원선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인 적재부(140)에 배치되는 전원선은 수납부(130)까지 인출될 수 있다. 이에, 연결 스탠드(20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선은 수납부(130)에 배치되는 컴퓨터의 본체, 전원 케이블 등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A power line drawn out from the connection stand 200 may be disposed on the line loading unit 140 . Accordingly, the power line disposed in the line loading unit 140 may be drawn out to the receiving unit 130 . Accordingly, in order to supply power required to the connection stand 200 , the power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a power cable, etc. disposed in the receiving unit 130 to receive power.

선반부(150)는 라인 적재부(14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선반부(150)는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선반부(150)에는 사용자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The shelf unit 150 may be installed below the line loading unit 140 . The shelf unit 15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helf unit 150 may store a user's item.

상판(160)은 지주(11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판(160)에 의해 라인 적재부(140)는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판(160)이 지주(110)의 상단에 고정됨으로써 수납부(130)의 상부도 차폐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60 may be positioned to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110 . The line loading part 140 may be shielded by the top plate 160 , and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130 may also be shielded by the top plate 160 being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110 .

연결 스탠드(200)에는 USB포트(240)가 설치되며, 마이크 또는 카메라 등 방송 장비가 설치될 수 있다.A USB port 240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stand 200 , and broadcasting equipment such as a microphone or a camera may be installed therein.

연결 스탠드(200)는 상판(16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스탠드(200)는 상판(160)의 좌우 양측 전방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스탠드(2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스탠드(200)는 마이크 또는 카메라와 같은 방송 장비가 설치되더라도 고정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와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tand 2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6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stand 20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160 , respectively. The connection stand 2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onnection stand 200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o that it can be fixed even when broadcasting equipment such as a microphone or a camera is installed.

연결 스탠드(200)는 브라켓(210), 링크부(220), 거치부 및 USB포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stand 200 may include a bracket 210 , a link unit 220 , a mounting unit and a USB port 240 .

브라켓(210)은 연결 스탠드(200)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210)은 원기둥 형상의 연결 스탠드(200)의 직경보다 큰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스탠드(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브라켓(210)은 연결 스탠드(200)의 중점을 기준으로 축 회전 가능하다.The bracket 210 may be axially rotatably installed on the connection stand 200 . The bracket 21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connection stand 200 , and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stand 200 . The bracket 210 is axially rotatable based on the midpoint of the connection stand 200 .

링크부(220)는 브라켓(21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부(220)는 브라켓(210)에서 연결 스탠드(200)의 외주면보다 돌출 형성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링크부(220)는 복수의 관절로 이루어진 링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220)의 단부에는 마이크 또는 카메라와 같은 장치가 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링크부(220)의 단부에는 거치대가 설치될 수 있다.The link unit 220 may be installed on the bracket 210 . Specifically, the link unit 220 may be fixed to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stand 200 in the bracket 210 . The link unit 220 may be formed in a link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joints. A device such as a microphone or a camera may be mounted at an end of the link unit 22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cradle may be installed at an end of the link unit 220 .

링크부(220)의 단부에 마이크 또는 카메라와 같은 촬영 장비가 거치되면, 링크부(220)의 단부에 거치된 촬영장비는 브라켓(210)에 의해 축회전 되어 장비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절로 형성된 링크부(220)에 의해 장비의 높이 및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When photographing equipment such as a microphone or a camera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link unit 220, the photographing equipment mounted on the end of the link unit 220 is axially rotated by the bracket 210 to change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equipment.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height and angle of the equipment by the link unit 220 formed of a plurality of joints.

USB포트(240)는 연결 스탠드(200)에 형성되며,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USB포트(240)는 수납부(130)에 수납되는 제어모듈(320)을 포함하는 컴퓨터 본체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USB와 연결이 용이하다.The USB port 240 is formed on the connection stand 200 and may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line. In addition, the USB port 240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body including the control module 32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130, so that the user's USB connection is easy.

사용자 단말기(300)는 바디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방송 정보와 방송데이터를 입력 받고, 방송데이터를 다른 서버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정보는 방송 시작 시점, 방송 종료 시점, 방송 자막 여부, 방송 제목 설정, 볼륨 설정 등을 포함하는 방송과 관련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방송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자막 등 방송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unit 100, receive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 data from a user, and transmit the broadcast data to another server. Here, the broadcas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ll broadcasting-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 broadcasting start time, a broadcasting end time, whether broadcasting subtitles, a broadcasting title setting, a volume setting, and the like. The broadcast data may include all data used for broadcasting, such as audio data, image data, and subtitles.

사용자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10)와 제어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may include a display 310 and a control module 320 .

디스플레이부(310)는 사용자로부터 방송설정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상판(160)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방송설정정보, 방송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볼륨 설정, 방송 화면 등을 확인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10 may receive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The display unit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160,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broadcast status, and the like. Referring to FIG. 7 , a volume setting, a broadcast screen, and the like can be checked.

제어모듈(320)은 방송설정정보 또는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320)은 음성 저장부(321), 영상 저장부(322) 및 송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320 may control transmission of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or broadcast data. The control module 320 may include a voice storage unit 321 , an image storage unit 322 , and a transmission unit 323 .

음성 저장부(321)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하고, 영상 저장부(322)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The audio storage unit 321 may store a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and the image storage unit 322 may store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송출부(323)는 음성 저장부(321)와 영상 저장부(322)에 저장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모두 전송받아 하나의 영상으로 송출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323 may receive both the audio data and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audio storage 321 and the image storage 322 and transmit them as a single image.

제어모듈(320)은 송출부(323)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20)은 송출부(323)를 통해 다른 서버로 방송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320 may control the transmitter 323 .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20 may transmit broadcast data to another server through the transmitter 323 .

이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데스크에 방송 장비를 모두 설치되고, 연결 스탠드(200)를 통해 카메라와 마이크 설치가 용이하며 카메라와 마이크의 위치 및 높이 변경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broadcasting equipment is installed on one desk,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can be easily installed through the connection stand 200 , and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can be easily changed.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에 거치프레임(400)이 더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showing that the frame 40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desk 10 for Internet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는 거치프레임(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400)은 바디부(100)에 설치되어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추가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좌우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판(160)에는 라인 적재부(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8 and 9 , the Internet broadcasting desk 10 may further include a stationary frame 400 . Mounting frame 400 is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100,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install a camera or microphone, the installed camera or microphone can be mov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is case,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16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ne loading unit 140 .

거치프레임(400)은 본체(410), 이동돌기(420), 스토퍼(430) 및 연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frame 400 may include a body 410 , a moving protrusion 420 , a stopper 430 , and a connection part 440 .

본체(410)는 라인 적재부(1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410)는 라인 적재부(140)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라인 적재부(140)에 본체(410)가 삽입되었을 때, 본체(410)의 상면은 상판(160)의 상면과 동일 위치 또는 상판(16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The body 410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line loading unit 140 . The body 410 is formed above the height of the line loading unit 140 , and when the main body 410 is inserted into the line loading unit 140 ,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10 is at the same position as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plate 160 . Alternatively, it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60 .

본체(410)에는 홈부(411) 및 가이드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A groove portion 411 and a guide portion 412 may be formed in the body 410 .

홈부(411)는 본체(410)의 하부에서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The groove portion 411 may be a groov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410 .

홈부(411)를 통해 라인 적재부(140)에 수납되는 전원선이 좌 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수납함까지 인출될 수 있다.The power line accommodated in the line loading unit 140 through the groove portion 411 is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and can be drawn out to the storage box.

가이드부(412)는 본체(410)의 상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가이드부(412)에는 후술할 이동돌기(420)가 위치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guide part 412 may be a groove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410 . A moving protrusion 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ositioned on the guide part 412 and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동돌기(420)는 가이드부(412)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moving protrusion 42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412 and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스토퍼(430)는 본체(410)의 상면에서 이동돌기(420)의 양 측 각각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430)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본체(410)와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본체(410)의 상부는 자석과 자기력이 발생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430 is install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moving protrusion 4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410, and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the stopper 430 is formed of a magnet, and a magnetic force may be generated with the body 410 .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4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generating a magnet and magnetic force.

연결부(440)는 이동돌기(420)에 고정되어,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40)는 체결부(441), 길이조절부(442) 및 고정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440 may be fixed to the moving protrusion 420 to connect a microphone or a camera. The connection part 44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441 , a length adjusting part 442 , and a fixing part 443 .

체결부(441)는 이동돌기(420)가 하부에 삽입되어, 이동돌기(420)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441)는 이동돌기(420)가 가이드부(412)를 따라 좌우 이동함에 따라 함께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441 may have a moving protrusion 420 inserted thereinto, so that it is fastened to the moving protrusion 420 . Accordingly, the fastening part 441 may be moved left and right together as the moving protrusion 420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part 412 .

길이조절부(442)는 체결부(441)의 상부에 설치되되, 체결부(441)에서 돌출되거나 체결부(441) 내부로 소정 길이 삽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length adjusting part 442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441 , and may be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astening part 441 or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art 441 by a predetermined length.

고정부(443)는 길이조절부(442)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치구조일 수 있다. 고정부(443)에는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443 may be a mounting structur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442 . A microphone or a camera may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fixing unit 443 .

고정부(443)에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설치한 뒤, 이동돌기(420)를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마이크 또는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After the microphone or camera is installed in the fixing unit 443 ,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or camera may be set by moving the moving protrusion 4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동돌기(420)를 이동시킨 후, 이동돌기(4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스토퍼(430)를 이동돌기(420) 양측에 각각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스토퍼(430)는 본체(410)와 자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쉽게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돌기(420)가 마이크 또는 카메라의 무게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After moving the moving protrusion 420 , in order to stably fix the position of the moving protrusion 420 , stoppers 430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protrusion 420 ,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topper 430 does not move easily because the main body 410 and the magnetic force are generated. Accordingly, the moving protrusion 420 may be fixed so as not to be moved to the left or right by the weight of the microphone or camera.

도 10 및 도 11은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가 설치되는 오픈 스튜디오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1)의 블록도이다.10 and 11 are views exemplarily showing an open studio in which the Internet broadcasting desk 10 is installed, and FIG. 12 is a block diagram of a broadcasting system 1 using an Internet broadcasting de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1)은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 및 메인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10 to 12 , the broadcasting system 1 using the Internet broadcasting desk may include the Internet broadcasting desk 10 and the main server 20 .

이때,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스튜디오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 전면의 벽에는 조명부(30)가 설치되고, 의자가 설치되어 보다 쾌적하고 밝은 촬영 현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net broadcasting desk 10 may be installed in an open studio as shown in FIGS. 10 and 11 . At this time, the lighting unit 30 is installed on the wall in front of the desk 10 for Internet broadcasting, and a chair is install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and bright shooting scene.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1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The Internet broadcasting desk 1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메인서버(2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인서버(20)는 관리자가 자막과 방송제목을 포함하는 기본설정값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메인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자막과 방송제목을 포함하는 기본설정값을 송신하고 기본설정값의 변경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서버(20)에는 방송 제목이 기본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서버(20)에는 방송 제목이 "2020년01월01일 방송1"과 같이, 촬영날짜와 해당 날짜의 방송이 저장되는 순서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도록 방송 제목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메인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방송 제목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방송 제목을 설정하는 경우, 기본설정값에 저장된 방송 제목이 변경된 것을 수신할 수 있다.The main server 20 may transmit/receive signals to and from one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300 . The main server 20 allows the administrator to manage basic settings including subtitles and broadcast titles. The main server 20 may transmit a basic setting value including a subtitle and a broadcast title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receive whether the basic setting value is changed. Specifically, a broadcast title may be basically set in the main server 20 . For example, the broadcast title may be set in the main server 20 such that the broadcast title is numbered according to the shooting date and the order in which the broadcasts of the corresponding date are stored, such as "Broadcast 1 on January 01, 2020". In addition, the main server 20 checks whether the broadcast title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 and when the user sets the broadcast title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 the broadcast title stored in the default setting value is changed. can do.

또한, 메인서버(20)에는 저작권 동의 여부 등이 설정되어 각 사용자 단말기(300)로 해당 정보를 송신하고, 동의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ther the copyright agreement or the like is set in the main server 20 ,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each user terminal 300 , and consent may be received.

메인서버(20)는 방송중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간에 합동방송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송출되는 방송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합동방송여부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받아, 합동방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3에서 합동방송을 송출하는 작동 방법과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The main server 20 may transmit/receive broadcast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to enable joint broadcas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being broadcast. Specifically, the main server 20 may control the joint broadcast by receiv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whether to jointly broadcast from the user terminal 30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the operation method of transmitting the joint broadcast in FIG. 13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1)의 메인서버(20)가 합동방송을 송출하는 작동 방법이다.13 is an operation method in which the main server 20 of the broadcasting system 1 using the Internet broadcasting de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joint broadcast.

도 13을 참조하면,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1)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가 메인서버(20)를 통해 합동방송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3 , in the broadcasting system 1 using the Internet broadcasting desk,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can jointly broadcast through the main server 20 .

먼저, 메인서버(20)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합동방송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 중 제1 사용자 단말기(300)가 합동방송을 원할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300)는 메인서버(20)로 합동방송 연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First, the main server 20 may receive a joint broadcast connection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300 (S100).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300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desires joint broadcasting, the first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a joint broadcast connection signal to the main server 20 .

메인서버(20)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합동방송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방송중인 다른 사용자 단말기(300) 리스트를 제1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S200).When receiving the joint broadcast connection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300 , the main server 20 may transmit a list of other user terminals 300 currently being broadcast to the first user terminal 300 ( S200 ).

이후, 제1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현재 방송중인 다른 사용자 단말기(300) 리스트 중 합동방송을 요청하고 싶은 다른 사용자 단말기(300)를 선택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first user terminal 300 may select another user terminal 300 that wants to request a joint broadcast from the list of other user terminals 300 currently being broadcast.

제1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300)가 선택되면, 메인서버(20)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300)가 선택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0). 이후, 메인서버(20)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합동방송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00).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selec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300, the main server 20 may receive information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selec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300 ( S300). Thereafter, the main server 20 may transmit a joint broadcast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S400).

이후,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합동방송 연결을 수락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00).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합동방송 연결을 거절하는 경우, 다시 현재 방송중인 다른 사용자 단말기(300) 리스트를 제1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하는 단계(S200)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때, 다른 사용자 단말기(300) 리스트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제외될 수 있다.Thereafter, information on whether to accept the joint broadcast connection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be received (S500).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rejects the joint broadcast connection, the process may return to the step S200 of transmitting a list of other user terminals 300 currently being broadcast to the first user terminal 300 again. In this case,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be excluded from the list of other user terminals 300 .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합동방송 연결을 수락하면, 메인서버(20)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 각각에 방송화면을 분할하여 송출할 수 있다(S600). 즉, 제1 사용자 단말기(3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 각각에서 송출되는 방송화면을 분할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3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송출되는 방송화면을 동시에 송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송출되는 방송화면에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화면과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화면이 송출되며, 이때, 제1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화면이 더 크게 분할될 수도 있고, 제1 사용자 단발기의 방송화면과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화면이 동일한 비율로 분할될 수도 있다.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ccepts the joint broadcast connection, the main server 20 may divide the broadcast screen and transmit the broadcast screen to each of the first user terminal 3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S600). . That is, by dividing the broadcast scree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rst user terminal 3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the broadcast screen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3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can do. Specifically, the broadcast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300 and the broadcast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re transmitted to the broadcast screen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300, and in this case, the first user terminal 300 The broadcast screen of may be divided larger, and the broadcast screen of the first user single shot device and the broadcast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be divided at the same ratio.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송출되는 방송화면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화면과 제1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화면이 송출되며, 이때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화면이 더 크게 분할될 수도 있고,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화면과 제1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화면이 동일한 비율로 분할될 수도 있다.Similarly, the broadcast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the broadcast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300 are transmitted on the broadcast scree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and at this time, the broadcast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broadcast The screen may be divided larger, or the broadcast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the broadcast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300 may be divided at the same ratio.

이후, 메인서버(20)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합동방송 종료 신호가 송신되면, 합동방송을 종료할 수 있다(S700).Thereafter, the main server 20 may end the joint broadcast when the joint broadcast end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3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S70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10: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 100: 바디부
110: 지주 120: 연결바
130: 수납부 140: 라인 적재부
150: 선반부 160: 상판
200: 연결 스탠드 210: 브라켓
220: 링크부 230: 거치부
240: USB포트 300: 사용자 단말기
310: 디스플레이부 320: 제어모듈
321: 음성 저장부 322: 영상 저장부
323: 송출부 400: 거치 프레임
410: 본체 411: 홈부
412: 가이드부 420: 이동돌기
430: 스토퍼 440: 연결부
441: 체결부 442: 길이조절부
443: 고정부 20: 메인서버
30: 조명부
1: Broadcasting system using Internet broadcasting desk
10: Internet broadcasting desk 100: body part
110: post 120: connecting bar
130: receiving unit 140: line loading unit
150: shelf 160: top plate
200: connection stand 210: bracket
220: link unit 230: mounting unit
240: USB port 300: user terminal
310: display unit 320: control module
321: audio storage unit 322: video storage unit
323: transmission unit 400: mounting frame
410: body 411: groove portion
412: guide part 420: moving projection
430: stopper 440: connection part
441: fastening part 442: length adjustment part
443: fixed 20: main server
30: lighting unit

Claims (6)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바디부;
USB포트가 설치되고, 마이크 또는 카메라의 설치가 가능한 연결 스탠드;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방송 시작 시점과 방송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방송설정정보 또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
a body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n upper plat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sts;
A USB port is installed, and a microphone or camera can be installed on a connection stand; and
Internet broadcasting desk including; a user terminal installed in the body unit to receive broadcasting data including voice data or broadcasting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 broadcasting start time and broadcasting end time from a user, and transmit the input broadcasting data;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탠드는,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복수의 링크로 이루어지며, 단부에는 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링크부에 거치되는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 장비는 카메라의 상기 브라켓에 의해 축 회전되어 위치 및 방향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링크부에 의해 높이 및 각도 변경이 가능한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stand is
Bracket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ft; and
Including; a link part installed on the bracke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inks, and at the end of which the device can be mounted;
A photographing equipment including a microphone or a camera mounted on the link unit is pivotally rotated by the bracket of the camera to change the position and direction, and the height and angle can be changed by the link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일측에 배치된 상기 지주에 고정 및 연결되는 수납부; 및
타측에 배치된 상기 지주에 고정되며, 상기 수납부와 연결되는 라인적재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수납되고,
상기 라인 적재부에는 상기 연결 스탠드에서 인출되는 전원선이 배치되어,
상기 라인 적재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원선은 상기 수납부까지 인출 가능한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receiving part fixed and connected to the post disposed on one side; and
Including; is fixed to the post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 line loading part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rt;
The user terminal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A power line drawn out from the connection stand is disposed on the line loading part,
The power line disposed in the line loading section is an Internet broadcasting desk that can be pulled out to the storage 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방송설정정보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 및
방송설정정보 또는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Internet broadcasting desk including;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or broadcast data.
지면에 지지되며 소정 높이를 갖는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바디부;
USB포트가 설치되고, 마이크 또는 카메라의 설치가 가능한 연결 스탠드;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방송 시작 시점과 방송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방송설정정보 또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각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자막과 방송제목을 포함하는 기본설정값을 송신하고 기본설정값의 변경 여부를 수신하며, 복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합동방송여부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받아, 합동방송을 제어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a body part supported on the ground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upper plat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sts;
A USB port is installed, and a microphone or camera can be installed on a connection stand; and
a user terminal installed in the body unit to receive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start time and broadcast end time or broadcast data including voice data from a user, and transmit the input broadcast data; and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th one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transmits a basic setting value including a caption and a broadcast title to each user terminal, receives whether the basic setting value is changed, and determines whether to jointly broadcast from a plurality of the user terminals A broadcasting system using a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including a main server that receives and receives information and controls joint broadcast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합동방송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방송 중인 다른 상기 사용자 단말기 리스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복수의 다른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합동방송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합동방송 연결을 수락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 각각에서 송출되는 방송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방송화면을 동시에 송출하는 인터넷 방송용 데스크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in server is
When receiving the joint broadcast connection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providing a list of other user terminals currently being broadcast to the first user terminal;
When a second user terminal that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is selec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 joint broadcast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accepts the joint broadcast connection, the broadcast scree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is divided, and the broadcast screen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 broadcasting system using an Internet broadcasting desk that simultaneously transmits
KR1020200124231A 2020-09-24 2020-09-24 Desk for broadcasting service over internet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4308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231A KR102430844B1 (en) 2020-09-24 2020-09-24 Desk for broadcasting service over internet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PCT/KR2021/012212 WO2022065755A1 (en) 2020-09-24 2021-09-08 Desk for internet broadcasting,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231A KR102430844B1 (en) 2020-09-24 2020-09-24 Desk for broadcasting service over internet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922A true KR20220040922A (en) 2022-03-31
KR102430844B1 KR102430844B1 (en) 2022-08-09

Family

ID=8084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231A KR102430844B1 (en) 2020-09-24 2020-09-24 Desk for broadcasting service over internet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0844B1 (en)
WO (1) WO2022065755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186B1 (en) 2001-11-02 200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ternet broadcast service using mobile phone
KR20100127521A (en)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Multimedia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same
KR102101775B1 (en) * 2018-12-20 2020-05-2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joint broadcas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505B1 (en) * 2005-09-09 2008-03-24 배석희 Laptop Table
US8749959B2 (en) * 2009-09-29 2014-06-10 Nati Brook Ventures, Llc Modular technology furniture
KR20130043560A (en) * 2011-10-20 2013-04-30 강민형 Stand for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186B1 (en) 2001-11-02 200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ternet broadcast service using mobile phone
KR20100127521A (en)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Multimedia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same
KR102101775B1 (en) * 2018-12-20 2020-05-2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joint broadca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844B1 (en) 2022-08-09
WO2022065755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6664B2 (en) Audio routing for audio-video recording
KR100955082B1 (en)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with multi-display apparatus using Layer screen
KR101265880B1 (en) Dynamically mediating multimedia content and devices
JPH11196345A (en) Display system
JPH11243512A (en) Master-slave joint type display system
EP2352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audio and video signals during a videoconference
KR20150016264A (en) Video display system
KR20050085759A (en) A residential gateway system having a handheld controller with a display for displaying video signals
JP2006101561A (en) Master-slave joint type display system
JP2008306763A (en) Master/slave linkage display system
KR20090022373A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content rendering device automatically with broadcast content material
KR20180007885A (en) Karaok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JP2008054358A (en) Multi-angled collaboration display system
KR102430844B1 (en) Desk for broadcasting service over internet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8118665A (en) Slave-screen relative type multi-set joint type display system
US20170094367A1 (en) Text Data Associated With Separate Multimedia Content Transmission
US20020067907A1 (en) Universal video client/universal video server system
JP2008104210A (en) Multi-channel display system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interlocking display apparatuses
JP2008099313A (en) Information processing related multiple-cooperation-type display system
Mills et al. Surround video
KR101288878B1 (en) A multi image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a terminal broadcasting server, a broadcasting relay method, a receiver, a broadcasting receiving method and a storage means
KR20210109832A (en) Program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KR20070109094A (en) Internet protocol broadcasting server interoperated with mobile network
JP2008118664A (en) Time-base relative type multi-set joint type display system
KR1009098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n multi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