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663A -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663A
KR20220040663A KR1020200123613A KR20200123613A KR20220040663A KR 20220040663 A KR20220040663 A KR 20220040663A KR 1020200123613 A KR1020200123613 A KR 1020200123613A KR 20200123613 A KR20200123613 A KR 20200123613A KR 20220040663 A KR20220040663 A KR 2022004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haul
time
power generation
barcode
facili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093B1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대성산업 주식회사
디에스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산업 주식회사, 디에스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0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오버홀 대상 발전설비에 대한 오버홀 공정순서 및 각각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을 설정하고, 오버홀 과정에서 하나의 공정 시작과 종료시마다 바코드 인식을 통해 각 공정이 작업 매뉴얼대로 작업 되었는지, 미리 준비된 부품에 하자가 없는지 그리고 각 공정에 소요된 시간을 파악하여 공정률을 확인한 후,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공정 속도가 느린 경우 또는 작업매뉴얼 대로 하지 않았을 경우, 투입된 부품이 검수 결과와 상이하거나 SPEC이 다른 경우 수정 조치함으로써, 발전설비의 오버홀을 진행함에 있어서, 착오와 딜레이 타임을 최소화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오버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Method for generating unit management of based on video}
본 발명은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오버홀 대상 발전설비에 대한 오버홀 공정순서 및 각각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을 설정하고, 오버홀 과정에서 하나의 공정 시작과 종료시마다 바코드 인식을 통해 각 공정이 작업 매뉴얼대로 작업 되었는지, 미리 준비된 부품에 하자가 없는지 그리고 각 공정에 소요된 시간을 파악하여 공정률을 확인한 후,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공정 속도가 느린 경우 또는 작업매뉴얼 대로 하지 않았을 경우, 투입된 부품이 검수 결과와 상이하거나 SPEC이 다른 경우 수정 조치함으로써, 발전설비의 오버홀을 진행함에 있어서, 착오와 딜레이 타임을 최소화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오버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비행기, 군수장비, 대형중기, 엘리베이터 등의 장비는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한다.
또한, 대형빌딩, 대규모 공공시설, 주상복합아파트 및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같은 대형 건축물에는 예컨대 기계설비, 전기설비, 공조설비, 급배수설비, 소방설비, 방송통신설비, 엘리베이터설비, 주차관제설비, 출입관리설비, 조명제어설비 등과 같은 다양한 부대설비(Supporting Facility)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대설비들은 각각 매우 다양하고 수많은 부속기기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들을 최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대설비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한다.
또한, 발전소, 화학공정 플랜트, 각종 제조공장과 같은 플랜트들은 통상 다수의 부속설비(Subsystem)들로 구성되고 이들 부속설비들은 다시 다수의 상세 부속설비나 단위기기들로 구성된다. 예컨대 발전소의 경우 터빈 및 보조기기 시스템, 발전기 및 보조기기 시스템, 보일러 및 보조기기 시스템, 주급수 시스템, 응축수 시스템, 연료공급 시스템, 냉각수 시스템, 순환수 시스템, 보조증기 시스템과 같은 부속설비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작동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한다. 따라서 플랜트가 목적하는 제품을 원하는 품질 수준과 비용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플랜트를 구성하는 상기 부속설비들의 가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최적의 운영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Equipment', 'Facility', 'Plant'를 포함하는 용어로 '설비' 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설비는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지속적인 감시뿐만 아니라, 오버홀(Overhaul)을 진행하게 되는데, 오버홀(Overhaul)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설비를 모두 close down하거나 중지시키고 진행해야 되기 때문에 정해진 소정의 시간 내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오버홀(Overhaul)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오버홀 관리 방법이 등록특허 제10-202589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운영되는 설비별로 그에 부합되는 설비 운영에 대한 운영매뉴얼이 설비관리서버에 등록되는 설비운영매뉴얼등록단계와, 설비를 운영하는 작업자 단말기 또는 설비가 위치한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설비운영 매뉴얼에 따른 설비운영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설비운영동영상촬영단계와, 상기 설비운영동영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설비운영 동영상을 상기 설비관리서버로 업로드하는 설비운영동영상업로드단계와,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설비운영동영상업로드단계를 통해 업로드되는 설비운영 동영상을 확인하여 상기 설비운영매뉴얼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설비 운영 매뉴얼대로 설비의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설비운영검수단계를 포함하는 설비운영과정등록단계; 상기 설비를 분해하여 부품 튜닝(tuning), 보링(boring),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한 오버홀 매뉴얼이 설비관리서버에 등록되는 오버홀매뉴얼등록단계와, 오버홀 작업을 진행하는 현장의 작업자 단말기 또는 설비가 위치한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오버홀 작업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오버홀동영상촬영단계와, 상기 오버홀동영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오버홀 작업진행 동영상을 상기 설비관리서버로 업로드하는 오버홀동영상업로드단계와,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오버홀동영상업로드단계를 통해 업로드되는 오버홀 작업진행 동영상을 확인하여 상기 오버홀매뉴얼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오버홀 매뉴얼대로 오버홀 작업진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오버홀검수단계를 포함하는 오버홀과정등록단계; 상기 오버홀과정등록단계에서 새롭게 교환한 중요 부품 또는 보링과 같은 가공을 통해 재조립한 부품에 대한 교환, 가공, 재생 과정을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등록하는 부품코드등록단계; 및 상기 설비운영과정등록단계 또는 오버홀과정등록단계를 통해 설비운영 또는 오버홀 작업을 진행하거나, 상기 부품코드등록단계를 통해 부품 가공, 재생, 교환에 대한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등록하고 진행한 현장 작업자에 대한 인력 정보를 등록하는 인력정보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발명으로서, 설비의 운영부터 분해수리하는 일련의 과정, 즉, 설비의 수명주기(Life Cycle)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동영상으로 제작하고 시간 순서대로 연결하여 설비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설비 운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분해수리과정에서 작업자의 불성실한 점검 및 수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설비 고장 및 오작동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작업자에게 오버홀 공정에 관한 매뉴얼을 제공하여 매뉴얼대로 오버홀을 진행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오버홀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딜레이 타임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설비 운영이 가능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589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버홀 대상 발전설비에 대한 오버홀 공정순서 및 각각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을 설정하고, 오버홀 과정에서 하나의 공정 시작과 종료시마다 바코드 인식을 통해 각 공정이 작업 매뉴얼대로 작업 되었는지, 미리 준비된 부품에 하자가 없는지 그리고 각 공정에 소요된 시간을 파악하여 공정률을 확인한 후,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공정 속도가 느린 경우 또는 작업매뉴얼 대로 하지 않았을 경우, 투입된 부품이 검수 결과와 상이하거나 SPEC이 다른 경우 수정 조치함으로써, 발전설비의 오버홀을 진행함에 있어서, 착오와 딜레이 타임을 최소화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오버홀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은, 발전설비를 분해하여 부품 튜닝(tuning), 보링(boring),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한 오버홀 매뉴얼을 설비관리서버에 등록하고, 카메라를 통해 오버홀 각각의 공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오버홀 공정 동영상에 의해 발전설비를 관리하는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오버홀 대상 발전설비에 대한 오버홀 공정순서를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을 설정하여 상기 설비관리서버에 등록하는 오버홀공정 등록단계; 상기 분할된 오버홀 공정마다 특정 부속설비에 바코드가 부착되는 바코드 부착단계; 상기 바코드가 부착된 부속설비를 분해 또는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코드 인식 시간을 포함한 바코드 정보를 상기 설비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바코드 인식단계; 상기 설비관리서버에서 상기 바코드 인식단계를 통해 전송된 바코드 인식 시간을 통해 분할된 오버홀 공정에 소요된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오버홀공정 등록단계를 통해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교하는 소요시간 비교단계; 및 상기 소요시간 비교단계를 통해 계산된 오버홀 공정에 소요된 시간이 상기 오버홀공정 등록단계를 통해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소요시간보다 더 많이 소요된 경우, 딜레이 타임 보상을 위하여 상기 설비관리서버에서 관리자 단말기로 다음 분할 오버홀 공정을 위한 추가 인력 및 장비를 동원하도록 명령하는 딜레이타임 보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코드 부착단계는 발전설비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속설비 중, 분할된 오버홀 공정마다 최초 및 최후에 분해 또는 조립이 이루어지는 각 부속설비에 대하여 바코드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비관리서버는 최초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최후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을 카운팅하여 해당 분할 오버홀 공정 시간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비관리서버는 분할된 오버홀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관리자 단말기 또는 현장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하자없는 부품이 기설정된 특정 공정에 따라 해체와 조립이 이루어졌는지를 해체와 조립된 부품의 바코드의 순서에 따라 확인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기설정된 특정 공정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며, 각 메시지를 수신할때마다 해당 분할된 오버홀 공정에 대한 공정률을 계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비관리서버는 부품 스팩이 기설정된 스팩과 다르거나, 해체와 조립되는 부품 바코드의 순서가 기설정된 특정 공정 매뉴얼과 상이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여 시정을 요구하며, 최초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해당 분할 오버홀의 공정 시간을 카운팅하다가 상기 오버홀공정 등록단계를 통해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소요시간을 초과한 상태에서 최후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해당 분할 오버홀의 공정 완료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발생과 함께 공정 완료 예상 시간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버홀 대상 발전설비에 대한 오버홀 공정순서 및 각각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을 설정하고, 오버홀 과정에서 하나의 공정 시작과 종료시마다 바코드 인식을 통해 각 공정이 작업 매뉴얼대로 작업 되었는지, 미리 준비된 부품에 하자가 없는지 그리고 각 공정에 소요된 시간을 파악하여 공정률을 확인한 후,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공정 속도가 느린 경우 또는 작업매뉴얼 대로 하지 않았을 경우, 투입된 부품이 검수 결과와 상이하거나 SPEC이 다른 경우 수정 조치함으로써, 발전설비의 오버홀을 진행함에 있어서, 착오와 딜레이 타임을 최소화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오버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의 상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의 오버홀 공정시간 초과에 따른 처리 과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의 상세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의 오버홀 공정시간 초과에 따른 처리 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 단말기(100), 설비관리서버(200),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는 발전설비의 오버홀을 진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한 단말기로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전설비가 위치한 현장에서 진행되는 오버홀 공정 진행상황 정보를 설비관리서버(200)로 업로드 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는 발전설비를 구성하는 부속설비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코드 인식 시간을 포함한 바코드 정보를 설비관리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바코드는 분할된 오버홀 공정마다 최초 및 최후에 분해 또는 조립이 이루어지는 각 부속설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 단말기(100)를 통해 바코드를 인식하여 설비관리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분할된 오버홀 공정의 시작과 끝 즉, 오버홀 공정에 소요된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설비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오버홀 공정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는 동영상 정보, 사진 정보, 문서 정보, 녹음 정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는 카메라를 통해 오버홀 공정 진행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설비관리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데, 동영상으로 촬영된 오버홀 공정 진행정보를 기반으로 현장 작업자에 의한 보고서 작성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사실 기반의 투명한 현장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오버홀을 진행하는 현장에 위치한 다양한 카메라를 통해 촬영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담당자 사진을 포함한 담당자 정보 및 발전설비가 위치한 현장정보를 표시하며, 동영상 정보, 사진 정보, 문서 정보, 녹음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등록된 동영상 정보, 사진 정보, 문서 정보 및 녹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비관리서버(200)는 발전설비가 위치한 현장 정보와, 상기 발전설비가 위치한 현장에 투입되어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 정보 및 발전설비가 위치한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 정보가 저장되며, 작업자와 관리자가 현장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설비관리서버(200)에는 발전설비별로 오버홀에 대한 매뉴얼 및 오버홀 작업을 진행하는 현장에서 촬영한 오버홀 동영상 정보가 저장되는데, 오버홀 매뉴얼 및 오버홀 동영상 정보를 통해 현장 작업자가 매뉴얼대로 작업을 진행했는지에 대해 관리자가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비관리서버(200)는 오버홀 대상 발전설비에 대한 오버홀 공정순서를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을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바코드 인식 시간을 통해 분할된 오버홀 공정에 소요된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오버홀 공정에 소요된 시간이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소요시간보다 더 많이 소요된 경우, 관리자 단말기(300)로 다음 분할 오버홀 공정을 위한 추가 인력 및 장비를 동원하도록 명령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오버홀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딜레이 타임을 보상함으로써, 딜레이 타임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오버홀 작업을 진행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추가 인력 및 장비는 딜레이 타임에 따라 기설정된 인원 및 장비 정보를 기초로 관리자 단말기(300)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비관리서버(200)는 최초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최후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을 카운팅하여 해당 분할 오버홀 공정 시간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최초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해당 분할 오버홀의 공정 시간을 카운팅하다가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소요시간을 초과할때까지 최후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현장에 설치된 터치스크린(400)으로 해당 분할 오버홀의 공정 완료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발생과 함께 공정 완료 예상 시간의 입력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비관리서버(200)는 분할된 오버홀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현장에 설치된 터치스크린(400)으로부터 기설정된 특정 공정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 메시지를 수신할때마다 해당 분할된 오버홀 공정에 대한 공정률을 계산한 후,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분할된 오버홀 공정을 다시 세분화하여 각 단계로 나눈 상태에서 각 단계의 공정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공정률을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해당 분할된 오버홀 공정이 완료되어야 할 시간 정보와 함께 공정률을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오버홀 공정의 진행 속도를 파악하며 효율적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현재 국내에 설치된 발전기는 미국의 GE, 독일의 SIEMENS, 일본의 MHPS 등 해외 발전기가 공급되어 설치 운영중이며, 이러한 발전기는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일정한 주기에 각사의 T.A(Technical Advisor, 이하, '전문가'라 함.)를 공급하여 오버홀을 실시해야만 제작사의 보증을 받을 수 있게 계약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코로나 사태와 같은 펜데믹(Pandemic) 상황 발생시, 국가별 출/입국 제한으로 인하여, 제조사측 전문가의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적기에 오버홀을 실시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본 발명의 설비관리서버(200)는 설비 제조사로부터 배정된 제조사측 전문가 단말기로 오버홀 진행 과정에 대한 동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제조사측 전문가가 오버홀 진행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외부 환경적 요인과 무관하게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일정한 주기별로 오버홀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비관리서버(200)는 제조사측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과 관련하여 이를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단말기(100) 또는 현장에 설치된 터치스크린(400)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비관리서버(200)는 터치스크린(400)에 구비되는 발열체크수단을 통해 각 작업자의 체온정보를 제공받아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정상체온범위를 벗어나는 작업자가 확인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300)로 해당 작업자를 오버홀 작업에서 제외시키고, 새로운 작업자를 투입시킬 것을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설비관리서버(200)는 바람직하게는 현장 작업자의 평가 점수를 기반으로, 새롭게 교체되는 작업자를 선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오버홀 공정 진행상황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로서, 작업자 단말기(100) 또는 발전설비가 위치한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오버홀 작업에 대한 동영상 정보를 재생하여 오버홀 작업이 매뉴얼대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사항을 실시간으로 검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설비관리서버(200)로부터 오버홀 공정을 위한 추가 인력 및 장비 동원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여 관리자가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은 발전설비를 분해하여 부품 튜닝(tuning), 보링(boring),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한 오버홀 매뉴얼을 설비관리서버(200)에 등록하고, 카메라를 통해 오버홀 각각의 공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오버홀 공정 동영상에 의해 발전설비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은 설비관리서버(200)에 오버홀 대상 발전설비에 대한 오버홀 공정순서를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을 설정하여 등록(S100)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할된 오버홀 공정마다 특정 부속설비에 바코드가 부착(S200)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바코드 부착단계(S200)에서 특정 부속설비는 발전설비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속설비 중, 분할된 오버홀 공정마다 최초 및 최후에 분해 또는 조립이 이루어지는 각 부속설비를 의미하며, 상기 바코드가 부착된 부속설비를 분해 또는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 단말기(100)를 통해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코드 인식 시간을 포함한 바코드 정보를 설비관리서버(200)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설비관리서버(200)에서 바코드 인식단계(S300)를 통해 전송된 바코드 인식 시간을 통해 분할된 오버홀 공정에 소요된 시간을 계산하고, 오버홀공정 등록단계(S100)를 통해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교(S400)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설비관리서버(200)는 최초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최후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을 카운팅하여 해당 분할 오버홀 공정 시간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해당 분할 오버홀의 공정 시간을 카운팅(S600)하다가 상기 오버홀공정 등록단계를 통해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소요시간을 초과(S650)한 상태에서 최후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S700), 상기 설비관리서버(200)에서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터치스크린(400)으로 해당 분할 오버홀의 공정 완료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발생과 함께 공정 완료 예상 시간의 입력을 요청(S800)하도록 구성되며, 최후 부속설비의 바코드가 인식되는 경우에는 최초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최후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을 카운팅하여 해당 분할 오버홀 공정 시간을 계산(S750)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소요시간 비교단계(S400)를 통해 계산된 오버홀 공정에 소요된 시간이 상기 오버홀공정 등록단계(S100)를 통해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소요시간보다 더 많이 소요된 경우, 상기 설비관리서버(200)에서 관리자 단말기(300)로 다음 분할 오버홀 공정을 위한 추가 인력 및 장비를 동원하도록 명령(S500)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전체 오버홀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딜레이 타임을 보상함으로써, 딜레이 타임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오버홀 작업을 진행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홀 대상 발전설비에 대한 오버홀 공정순서 및 각각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을 설정하고, 오버홀 과정에서 하나의 공정 시작과 종료시마다 바코드 인식을 통해 각 공정에 소요된 시간을 파악하여 공정률을 확인한 후,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공정 속도가 느린 경우, 추가 인력 및 장비를 동원하도록 조치함으로써, 발전설비의 오버홀을 진행함에 있어서, 딜레이 타임을 최소화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오버홀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작업자 단말기 200: 설비관리서버
300: 관리자 단말기 400: 터치스크린

Claims (5)

  1. 발전설비를 분해하여 부품 튜닝(tuning), 보링(boring),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한 오버홀 매뉴얼을 설비관리서버에 등록하고, 카메라를 통해 오버홀 각각의 공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오버홀 공정 동영상에 의해 발전설비를 관리하는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오버홀 대상 발전설비에 대한 오버홀 공정순서를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을 설정하여 상기 설비관리서버에 등록하는 오버홀공정 등록단계;
    상기 분할된 오버홀 공정마다 특정 부속설비에 바코드가 부착되는 바코드 부착단계;
    상기 바코드가 부착된 부속설비를 분해 또는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코드 인식 시간을 포함한 바코드 정보를 상기 설비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바코드 인식단계;
    상기 설비관리서버에서 상기 바코드 인식단계를 통해 전송된 바코드 인식 시간을 통해 분할된 오버홀 공정에 소요된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오버홀공정 등록단계를 통해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교하는 소요시간 비교단계; 및
    상기 소요시간 비교단계를 통해 계산된 오버홀 공정에 소요된 시간이 상기 오버홀공정 등록단계를 통해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소요시간보다 더 많이 소요된 경우, 딜레이 타임 보상을 위하여 상기 설비관리서버에서 관리자 단말기로 다음 분할 오버홀 공정을 위한 추가 인력 및 장비를 동원하도록 명령하는 딜레이타임 보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부착단계는 발전설비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속설비 중, 분할된 오버홀 공정마다 최초 및 최후에 분해 또는 조립이 이루어지는 각 부속설비에 대하여 바코드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비관리서버는 최초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최후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을 카운팅하여 해당 분할 오버홀 공정 시간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설비관리서버는 분할된 오버홀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관리자 단말기 또는 현장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하자없는 부품이 기설정된 특정 공정에 따라 해체와 조립이 이루어졌는지를 해체와 조립된 부품의 바코드의 순서에 따라 확인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기설정된 특정 공정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며, 각 메시지를 수신할때마다 해당 분할된 오버홀 공정에 대한 공정률을 계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설비관리서버는 부품 스팩이 기설정된 스팩과 다르거나, 해체와 조립되는 부품 바코드의 순서가 기설정된 특정 공정 매뉴얼과 상이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여 시정을 요구하며, 최초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해당 분할 오버홀의 공정 시간을 카운팅하다가 상기 오버홀공정 등록단계를 통해 기등록된 분할 오버홀 소요시간을 초과한 상태에서 최후 부속설비의 바코드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해당 분할 오버홀의 공정 완료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발생과 함께 공정 완료 예상 시간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KR1020200123613A 2020-09-24 2020-09-24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KR10238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13A KR102383093B1 (ko) 2020-09-24 2020-09-24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13A KR102383093B1 (ko) 2020-09-24 2020-09-24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663A true KR20220040663A (ko) 2022-03-31
KR102383093B1 KR102383093B1 (ko) 2022-04-05

Family

ID=8093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613A KR102383093B1 (ko) 2020-09-24 2020-09-24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0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664A (ko) * 2001-08-30 2003-03-06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공정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6221410A (ja) * 2005-02-10 2006-08-24 Seiko Epson Corp 生産効率解析システムと生産効率解析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生産効率解析方法
JP2019032666A (ja) * 2017-08-07 2019-02-2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90073242A (ko) * 2017-12-18 2019-06-26 김영대 동영상 기반의 설비운영 및 오버홀에 대한 통합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664A (ko) * 2001-08-30 2003-03-06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공정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6221410A (ja) * 2005-02-10 2006-08-24 Seiko Epson Corp 生産効率解析システムと生産効率解析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生産効率解析方法
JP2019032666A (ja) * 2017-08-07 2019-02-2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90073242A (ko) * 2017-12-18 2019-06-26 김영대 동영상 기반의 설비운영 및 오버홀에 대한 통합 관리 방법
KR102025895B1 (ko) 2017-12-18 2019-09-26 김영대 동영상 기반의 설비운영 및 오버홀에 대한 통합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093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93375B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电力安全生产场景交互系统
US7172055B2 (en) Generating elevator or escalator installation fault log
CN111860900A (zh) 基于bim的数字孪生智慧机房管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9117526B (zh) 一种适用于机械系统设备维修指引数据记录及分析系统
KR101691125B1 (ko) 원격지에 위치하는 장비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시스템
RU2491186C1 (ru) Стационарный ремонтный центр
KR102383093B1 (ko) 동영상 기반의 발전설비 관리 방법
KR101621434B1 (ko) 원자력 발전소 교육 훈련용 모의제어반 발전운전원 운전오류 경보시스템 및 원자력 발전소 모의제어반 교육 훈련 방법
CN111614636A (zh) 一种变电设备智能检修系统及方法
KR102025895B1 (ko) 동영상 기반의 설비운영 및 오버홀에 대한 통합 관리 방법
RU2548693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центр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и ремонта (мцтр)
CN115963784A (zh) 一种远程协同的电解控制方法和系统
DE102016105480A1 (de) Verfahren und System zum Installieren, Verwalten und/oder Warten von Komponenten in einem Gebäudekomplex
JP2007213311A (ja) プラントの予防保全支援システム
CN110866708A (zh) 一种电网调度管理系统及其应用方法
CN204680051U (zh) 一种输变电工程施工智能辅助管控系统
Chow et al. Risk mitigation strategies for emergency power upgrades in critical facilities
CN113344456A (zh) 一种自动扶梯保养维护方法和系统
CN114513053A (zh) 一种综合智能防误系统及其防误方法
CN113435724A (zh) 对配网作业进行远程监控管理的系统和方法
TW201341995A (zh) 烘烤系統
KR20090033287A (ko) 플랜트설비의 기동/정지 절차 지원 시스템
KR20080016412A (ko) 실시간 제조공정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JP2020102079A (ja) 作業進捗管理装置およびこの作業進捗管理装置を用いた作業進捗管理方法
CN108267989A (zh) 一种建筑设备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