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049A -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049A
KR20220040049A KR1020200122767A KR20200122767A KR20220040049A KR 20220040049 A KR20220040049 A KR 20220040049A KR 1020200122767 A KR1020200122767 A KR 1020200122767A KR 20200122767 A KR20200122767 A KR 20200122767A KR 20220040049 A KR20220040049 A KR 20220040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drinking
user
main server
tim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록
김정하
임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와트
Priority to KR102020012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049A/ko
Priority to PCT/KR2020/013818 priority patent/WO2022065565A1/ko
Publication of KR2022004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 및 복수의 정수기가 포함된 음용량 측정 시스템의 음용량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사용자의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정수기들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정수기 그룹에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 그룹에 속한 정수기가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배수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측정한 물의 양을 상기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사용자 및 인식한 음용량을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수신한 음용량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A liquid intake measur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ing 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에 따라 하루에 권장되는 물의 섭취량을 알려주고, 미리 설정된 시간에 물을 마실 시간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기능 및 사용자의 물 섭취량 기록 기능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물을 마실 때마다 매번 스스로 마신 물의 양을 측정 및 기록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의 음용량을 측정해주는 스마트 컵이 개발되었으나, 사용자가 매번 부피가 큰 스마트 컵을 휴대하고 다녀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하루 물 섭취 권장량을 적절히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 및 복수의 정수기가 포함된 음용량 측정 시스템의 음용량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사용자의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정수기들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정수기 그룹에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 그룹에 속한 정수기가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배수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측정한 물의 양을 상기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사용자 및 인식한 음용량을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수신한 음용량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마신 물의 양을 측정 및 기록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불편함/번거로움이 최소화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물 섭취 습관을 학습하여 이를 기반으로 음용 플랜을 설계하여, 사용자가 음용 플랜대로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물 섭취량을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의 음용 습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용자 인식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측정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 플랜 설계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알림을 제공하는 정수기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음용량 측정 시스템(100)은 복수의 정수기(100-1~100-3), 메인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장치(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음용량 측정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의 정수기(100-1~100-3), 메인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수행이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음용량 측정 시스템(100)에서 복수의 정수기(100-1~100-3)는, 물을 배수함과 동시에 배수한 물의 양을 체크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용량을 측정하고, 이를 메인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장치(120)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종래의 기술과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음용량을 측정 및 기록할 필요가 없으며, 스마트 컵과 같이 부피가 큰 장치를 휴대하고 다닐 필요가 없다.
사용자 장치(120)는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음용량 측정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인 서버(110) 및/또는 정수기(100-1~100-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12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 중인 전자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메인 서버(1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운용/관리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의 음용 습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사용자(230)는 활동 반경/범위에 따라 하나의 정수기가 아닌 각 장소에 배치된 정수기(210, 220)를 이용하여 물을 섭취한다.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사용자(230)의 정확한 음용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230)의 활동 반경/범위 내에 위치한 모든 정수기들(210, 220)이 사용자(230)의 음용량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 내에서 공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메인 서버가 사용자(230)의 활동 반경/범위 내 위치한 모든/복수의 정수기들(210, 220)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해당 그룹을 사용자(230)의 음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음용량 측정 그룹으로 설정 및 관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의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정수기들(100)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S310).
본 단계의 수행을 위해, 메인 서버(110)는 모든 정수기들(100-1~100-3)의 위치 정보를 알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다음과 같이 제안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모든 정수기들(특히, 동일한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정수기들 또는 동일한 공급사에 의해 공급된 정수기들) (100-1~100-3)은 자신의 위치를 센싱/측정하고, 이에 관한 위치 정보를 메인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모든 정수기들(100-1~100-3)은 전원이 재부팅될때마다 자신의 위치를 센싱/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메인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든 정수기(100-1~100-3)는 위치 센서(예를 들어, GPS)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모든 정수기들(100-1~100-3)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 설치 기사는, 정수기(100-1~100-3) 설치 시 자신의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정수기 설치 장소에 관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인 서버(110)에 이러한 위치 정보를 업로드/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든 정수기들(100-1~100-3)의 위치를 파악한 메인 서버(110)는, 다음으로 사용자 활동 반경에 위치한 정수기들을 선별/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활동 반경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정수기(100-1~100-3)를 선별/추출하고, 이들(100-1~100-3)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서 그룹핑할 수 있다. 메인 서버(110)는 이렇게 그룹핑한 정수기 그룹을 상기 사용자의 음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정수기 그룹으로서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 서버(110)는 각 정수기 그룹(100-1~100-3)에 매핑되는/대응되는 사용자 인식 정보를 각 정수기 그룹에 속한 정수기(100-1~100-3)로 전송할 수 있으며(S320),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정수기(100-2)는 수신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S330). 사용자 인식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용자 인식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서, 도 4(a)를 참조하면, 정수기(410-1)는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420)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서버는 사전에 사용자 장치(420)로부터 사용자 장치(42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각 장치에 할당된 고유 식별 정보/번호 등)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정수기 그룹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기(410-1)는 근접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WiFi 등)을 사용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한 사용자 장치(420)를 센싱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 장치(4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센싱한 사용자 장치(42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수기(410-1)는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식 정보 중 센싱한 사용자 장치(42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정수기(410-1)는 해당 정보에 대응되는/매핑되는 사용자가 정수기 사용을 위해 접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즉, 사용자 인식). 따라서, 이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배수 동작 등을 수행하는 경우, 정수기(410-1)는 인식한 사용자에 대한 음용량을 측정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b)를 참조하면, 정수기(410-2)는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사용자의 안면(430)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전에 사용자의 안면(430)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정수기 그룹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기(410-2)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안면(430)을 센싱/검출할 수 있으며,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식 정보 중 센싱/검출한 안면과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정수기(410-2)는 해당 정보에 대응되는/매핑되는 사용자가 정수기 사용을 위해 접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즉, 사용자 인식). 따라서, 이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배수 동작 등을 수행하는 경우, 정수기(410-2)는 인식한 사용자에 대한 음용량을 측정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c)를 참조하면, 정수기(410-3)는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사용자의 지문(440)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전에 사용자의 지문(440)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정수기 그룹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기(410-3)는 적어도 하나의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정수기(410-3) 사용자의 지문(440)을 센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지문 인식 센서는 물의 배수를 명령하기 위해 사용자가 누르는/터치하는 하드웨어 버튼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물의 배수를 명령하기 위해 해당 버튼을 누르는/터치하는 경우, 누른/터치한 손가락에 대한 지문(440)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정수기(410-3)는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식 정보 중 센싱한 지문(440)과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정수기(410-3)는 해당 정보에 대응되는/매핑되는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고자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즉, 사용자 인식). 따라서, 이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배수 동작 등을 수행하는 경우, 정수기(410-3)는 인식한 사용자에 대한 음용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외에도 다양한 사용자 인식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음용량 측정 시스템은 다양한 생체 신호 정보(예를 들어, 홍채 인식 정보, 음성 인식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센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음성 센서 등)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정수기(100-2)는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배수한 물의 양(즉, 배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S340). 정수기(100-2)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배수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배수량만큼 배수할 수 있다. 다만, 정수기(100-2)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입력이 아닌,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계된 음용 플랜에 미리 정해져 있는 배수량만큼 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정수기(100-2)는 측정한 배수량을 인식한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인식하고, 인식한 사용자 및 인식한 음용량을 메인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S350). 메인 서버(110)는, 수신한 음용량을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다(S360).
특히, 본 순서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 서버(110)는 음용 내역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하루 평균 음용량, 현재까지의 누적 음용량,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등을 도출하여 사용자의 음용 습관을 파악할 수 있다.
메인 서버(110)는 이렇게 파악한 음용 습관을 기반으로 음용 내역 중 유효한 데이터와 무효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식을 하거나, 다른 음료를 섭취함에 따라 음용량이 평소와 달리 급격하게 줄어드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음용 내역이 발견되는 경우, 메인 서버(110)는 해당 음용 내역은 무효한 데이터로 인식하여 학습하지 않을 수 있다.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의 다양한 기계 학습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서버(110)는 딥 러닝, 머신 러닝,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준지도 학습, 강화 학습, Deep Belief Network, Autoencode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ecurrent Neural Network, Deep Q-Network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학습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110)는 학습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용량 예측 모델을 구축하여, 사용자가 언제 얼만큼의 물을 어느 정수기를 이용하여 마실 것인지 등에 대해 예측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측정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정수기(100-1)의 배수량이 항상 사용자의 음용량과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지는 않는다. 사용자가 배수받은 물을 전부 마시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폐수량의 미측정으로 인해 사용자의 음용량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음용하지 않고 남은 폐수를 처리하는 폐수부가 구비된 정수기(100-1)를 제안하며, 사용자는 남은 폐수를 정수기(100-1)에 구비된 폐수부에 폐수를 부음으로써 폐수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정수기(100-1)는 폐수부에 부어진 폐수량을 측정하고(S510), 측정한 폐수량을 메인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S520). 폐수량은 폐수부에 폐기된 물의 부피, 무게 등을 기초로 측정될 수 있다. 메인 서버(110)는 이렇게 수신한 폐수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누적 음용량을 산출/계산할 수 있다(S530). 물론 폐수량과 함께 음용량도 함께 측정 및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에 대하여 현재까지 누적된 음용량에 대하여 수신한 음용량으로 덧셈 연산을 수행하고, 수신한 폐수량으로 뺄셈 연산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대한 누적 음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검토한 결과, 오늘 하루 누적 음용량이 1050ml이고, 정수기로부터 음용량 100ml, 폐수량 80ml를 수신한 경우, 누적 음용량을 1070ml(=1050ml+100ml-80ml)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정수기(100-1)가 폐수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식은 앞서 도 4의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폐수부는 배수구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배수구와의 연결 부위에 개폐부를 구비하고 정수기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를 개폐함으로써 폐수를 보관하거나 폐수를 배수구로 흘려보낼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 플랜 설계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사용자의 하루 평균 음용량이 하루 권장 음용량 미만인 경우의 음용 플랜 설계 실시예, 도 7은 사용자의 하루 평균 음용량이 하루 권장 음용량 초과인 경우의 음용 플랜 설계 실시예를 각각 예시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는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음용 습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권장 음용량을 산정한 음용 플랜을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독려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하루 권장 음용량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정보(예를 들어, 키, 몸무게)를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면, 메인 서버가 이를 기반으로 사전에 산출할 수 있다.
메인 서버는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및 하루 평균 음용량을 도출하고, 하루 평균 음용량과 사용자의 하루 권장 음용량을 비교할 수 있다. 나아가, 비교 결과 및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을 기초/고려하여, 메인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루 평균 음용량이 하루 권장 음용량보다 적은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 대비 부족한 음용량을 기초로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크게, 부족한 음용량을 모든 시간대에 골고루 분산 설계하여 시간대별로/골고루 사용자가 물을 추가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1 실시예, 부족한 음용량을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물을 많이 마시거나 적게 마시는 시간대에만 선별적으로 분산 적용하여 특정 시간대에만 사용자가 물을 추가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2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1) 하루 권장 음용량과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
2) 부족한 음용량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을 획득
3)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각 시간대별로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
본 실시예를 도 6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하루 권장 음용량이 1500ml, 하루 평균 음용량이 1050ml,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가 12개(AM 8:00~PM 7:00, 총 12개의 시간대)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1500ml)와 하루 평균 음용량(1050ml)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450ml=1500ml-1050ml)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는 이러한 부족한 음용량(450ml)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12개)로 나누어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37.5ml=450ml/12개)을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는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획득한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37.5ml)만큼 각 시간대별로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잠자기 전 하루동안 밀린 음용량을 한 번에 마셔 하루 권장 섭취량을 채웠으며, 너무 많은 물을 한 번에 섭취함에 따라 오히려 몸으로의 흡수를 방해할 뿐 아니라, 이뇨 작용만 촉진시킨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부족한 음용량을 하루동안 골고루 섭취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1) 하루 권장 음용량과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
2) 부족한 음용량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을 획득
3)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별로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
본 실시예를 도 6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하루 권장 음용량이 1500ml, 하루 평균 음용량이 1050ml, 기설정된 음용량이 80ml,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가 총 3개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1500ml)와 하루 평균 음용량(1050ml)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450ml=1500ml-1050ml)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는 이러한 부족한 음용량(450ml)을 특정 시간대의 개수(3개)로 나누어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150ml=450ml/3개)을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는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별로 획득한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150ml)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서 80ml 이상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M 08:00, AM 9:00, AM 12:00인 경우, 메인 서버는 다음과 같이 해당 시간대의 평균 음용량만 선별적으로 보충 음용량(150ml)만큼 증가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 AM 08:00 -> 80ml + 150ml = 230ml
- AM 09:00 -> 95ml + 150ml = 245ml
- AM 12:00 -> 100ml + 150ml = 250ml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별히 물을 많이 섭취하거나 부족하게 섭취하는 시간대에(예를 들어, 식사나 운동 완료하는 시간대) 물을 보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가 하루 권장 섭취량을 채울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효과가 있다.
물을 부족하게 섭취하는 것도 문제지만, 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것도 물 중독 증상, 부종 등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어 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사용자에 대한 음용 플랜 역시 필요하다.
따라서, 하루 평균 음용량이 하루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 대비 초과된 음용량을 기초로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크게, 초과된 음용량을 모든 시간대에 골고루 분산 설계하여 사용자가 시간대별로/골고루 물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3 실시예, 초과된 음용량을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물을 많이 마시거나 적게 마시는 시간대에만 선별적으로 분산 적용하여 특정 시간대에만 사용자가 물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4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1) 하루 권장 음용량과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
2) 초과된 음용량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을 획득
3)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각 시간대별로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
본 실시예를 도 7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하루 권장 음용량이 1500ml, 하루 평균 음용량이 1740ml,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가 12개(AM 8:00~PM 7:00, 총 12개의 시간대)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1500ml)와 하루 평균 음용량(1740ml)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240ml=1740ml-1500ml)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는 이러한 초과된 음용량(240ml)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12개)로 나누어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20ml=240ml/12개)을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는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획득한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20ml)만큼 각 시간대별로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여 섭취하지 않도록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초과된 음용량을 하루동안 골고루 덜 섭취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물 과도 섭취를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1) 하루 권장 음용량과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
2) 초과된 음용량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을 획득
3)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별로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
본 실시예를 도 7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하루 권장 음용량이 1500ml, 하루 평균 음용량이 1740ml, 기설정된 음용량이 90ml,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가 총 3개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1500ml)와 하루 평균 음용량(1740ml)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240ml=1740ml-1500ml)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는 이러한 초과된 음용량(240ml)을 특정 시간대의 개수(3개)로 나누어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80ml=240ml/3개)을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는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별로 획득한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80ml)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여 섭취하지 않도록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서 80ml 이상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AM 08:00, AM 9:00, AM 12:00인 경우, 메인 서버는 다음과 같이 해당 시간대의 평균 음용량만 선별적으로 초과 음용량(80ml)만큼 감소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 AM 08:00 -> 100ml - 80ml = 20ml
- AM 09:00 -> 125ml - 80ml = 45ml
- AM 12:00 -> 170ml - 80ml = 90ml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별히 물을 많이 섭취하거나 부족하게 섭취하는 시간대에(예를 들어, 식사나 운동 완료하는 시간대) 물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가 하루 권장 섭취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도한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도면에는 도시 하지 않았으나, 메인 서버는 음용 플랜과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실시간으로(또는 기설정된 주기로) 비교하고, 부족하거나 과도하게 섭취된 음용량을 다음 음용 플랜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음용 플랜을 유동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서버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에 기록된 음용량과, 하루 음용 플랜에서 이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음용 플랜에서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상기 차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이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 미만인 경우, 메인 서버는 권장 음용량 대비 부족한 음용량을 기초로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크게, 부족한 음용량을 이후 시간대에 골고루 분산 설계하여 시간대별로/골고루 사용자가 물을 추가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5 실시예, 부족한 음용량을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물을 많이 마시거나 적게 마시는 시간대에만 선별적으로 분산 적용하여 특정 이후 시간대에만 사용자가 물을 추가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6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1)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
2) 부족한 음용량을, 하루 음용 플랜에 포함된 이후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이후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을 획득
3) 하루 음용 플랜에서 이후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이후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업데이트
만일, 현재 시간(AM 9:30)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AM 9:00)의 기록 음용량이 80ml,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이 100ml, 이후 시간대의 개수가 10개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부족한 음용량(20ml=100ml-80ml)을 이후 시간대의 개수(10개)로 나눈 2ml만큼,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모두 증가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1)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
2) 부족한 음용량을, 하루 응용 플랜의 이후 시간대 중에서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권장 음용량이 설계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을 획득
3) 하루 음용 플랜에서 특정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
만일, 현재 시간(AM 9:30)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AM 9:00)의 기록 음용량이 80ml,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이 100ml, 특정 시간대의 개수가 2개(PM 1:00, PM 2:00)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부족한 음용량(20ml=100ml-80ml)을 이후 시간대의 개수(2개)로 나눈 10ml만큼, 이후 특정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선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역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앞선 실시예와는 반대로,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이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메인 서버는 권장 음용량 대비 초과된 음용량을 기초로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크게, 초과된 음용량을 이후 시간대에 골고루 분산 적용하여 시간대별로/골고루 사용자가 물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7 실시예, 초과된 음용량을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물을 많이 마시거나 적게 마시는 시간대에만 선별적으로 분산 적용하여 특정 이후 시간대에만 사용자가 물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8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제7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1)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
2) 초과된 음용량을, 하루 음용 플랜에 포함된 이후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이후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을 획득
3) 하루 음용 플랜에서 이후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이후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업데이트
만일, 현재 시간(AM 9:30)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AM 9:00)의 기록 음용량이 100ml,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이 80ml, 이후 시간대의 개수가 10개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초과된 음용량(20ml=100ml-80ml)을 이후 시간대의 개수(10개)로 나눈 2ml만큼,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모두 감소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8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1)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
2) 초과된 음용량을, 하루 응용 플랜의 이후 시간대 중에서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권장 음용량이 설계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을 획득
3) 하루 음용 플랜에서 특정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
만일, 현재 시간(AM 9:30)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AM 9:00)의 기록 음용량이 100ml,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이 80ml, 특정 시간대의 개수가 2개(PM 1:00, PM 2:00)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초과된 음용량(20ml=100ml-80ml)을 이후 시간대의 개수(2개)로 나눈 10ml만큼, 이후 특정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선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하루 음용 플랜은 날씨 및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음료의 종류에 따라 유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주의보, 폭염 주의보가 발효된 날의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켜 사용자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사용자가 이뇨 작용을 촉진시키는 음식/음료(예를 들어, 커피, 녹차, 맥주 등)를 섭취한 것을 인식한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켜 사용자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음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별도의 입력 인터페이스/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렇듯 제1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라 설계 및 업데이트된 하루 음용 플랜은, 메인 서버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정수기가 음용 플랜에 따라 각 사용자별로 자동으로 권장 음용량을 설정 및 배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알림을 제공하는 정수기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수기(810)는 하루 음용 플랜에 따라 사용자가 물을 섭취해야 할 시간이 되는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시각적/청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서버는 미리 설계한 하루 음용 플랜을 복수의 정수기들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정수기(810)는 하루 음용 플랜에 따라 사용자가 물을 섭취해야 할 시간이 되면,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정수기(810)는 음용 플랜에 정해진 시간대별로 권장 음용량만큼 물을 자동으로 배수(820)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음용량 측정 시스템은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정수기(810)가 본 실시예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인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또는 기설정된 주기로) 수신하고,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정수기(810)에 대하여 본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도록 명령/지시할 수 있다. 또는, 정수기(810)가 사용자를 한 번이라도 인식하면,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정수기(810)가 자신인 것으로 판단하고 본 실시예를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수기(910)는, 제1 제어부(910-1), 정수 배출부(910-2), 사용자 인식부(910-3), 통신부(910-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10-5) 및/또는 저장부(9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910-1)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수기(910)에 포함된 구성/유닛을 제어하고, 내부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정수기(910)는 제1 제어부(910-1)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1 제어부(9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어부(91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정수 배출부(910-2)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미도시), 외부로 정수된 물을 배출 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라 정수 배출부는 배수량 측정부 및/또는 폐수량 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량 측정부는 배수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구성/유닛에 해당하며, 폐수량 측정부(미도시)는 폐수부에 폐기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구성/유닛에 해당할 수 있다. 배수량은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수 시간, 시간당 배수량을 기초로 측정될 수 있으며, 폐수량은 폐수부(미도시)에 페기된 물의 부피, 무게 등을 기초로 측정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910-3)는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식부(910-3)는 앞서 도 4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910-4)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910-4)는 통신을 수행하여 음용량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타정수기, 메인 서버(920) 및/또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10-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10-5)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예를 들어, 터치 입력 센서, 하드웨어 버튼에 대한 압력 인식 센서, 음성 인식 센서, 카메라 센서 등)과, 출력 수단(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910-6)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정수기(910)의 저장부(910-6)는 사용자 인식 정보, 사용자별로 측정한 음용량/폐수량, 하루 음용량 플랜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인 서버(920)는, 제2 제어부(920-1), 통신부 및/또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920-1)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메인 서버(920)에 포함된 구성/유닛을 제어하고, 내부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메인 서버(920)는 제2 제어부(920-1)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제어부(92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920-3)에 저장되어 있는 음용 내역을 기계 학습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
통신부(920-2)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920-2)는 통신을 수행하여 음용량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기들(910) 및/또는 메인 서버(9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920-3)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메인 서버(920)의 저장부(920-3)는 사용자 인식 정보, 정수기 그룹 정보, 사용자별로 음용 내역, 하루 음용량 플랜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본 블록도에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술한 정수기(910) 및/또는 메인 서버(9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음용량 측정 시스템
100-1 내지 100-3: 정수기
110: 메인 서버
120: 사용자 장치

Claims (24)

  1. 메인 서버 및 복수의 정수기가 포함된 음용량 측정 시스템의 음용량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사용자의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정수기들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정수기 그룹에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 그룹에 속한 정수기가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배수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측정한 물의 양을 상기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사용자 및 인식한 음용량을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수신한 음용량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서버가 모든 정수기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활동 반경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모든 정수기 중 상기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복수의 정수기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추출한 복수의 정수기들을 상기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인식 정보, 홍채 인식 정보, 지문 인식 정보, 음성 인식 정보 및 사용자 장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정수기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획득한 인식 정보와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두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정수기가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가 상기 정수기에 배출된 폐수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측정한 폐수량을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수신한 폐수량을 상기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현재까지 누적된 음용량에 대하여 수신한 음용량으로 덧셈 연산을 수행하고, 수신한 폐수량으로 뺄셈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누적 음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음용 내역을 학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및 하루 평균 음용량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과 상기 사용자에 대한 하루 권장 음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비교 결과 및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이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 대비 부족한 음용량을 기초로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과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각 시간대별로 상기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과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상기 특정 시간대별로 상기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이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 대비 초과된 음용량을 기초로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과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각 시간대별로 상기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과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상기 특정 시간대별로 상기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에 기록된 음용량과,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상기 이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상기 차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이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권장 음용량 대비 부족한 음용량을 기초로 상기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포함된 상기 이후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이후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상기 이후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상기 이후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상기 하루 응용 플랜의 상기 이후 시간대 중에서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권장 음용량이 설계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상기 특정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상기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이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권장 음용량 대비 초과된 음용량을 기초로 상기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권장 음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포함된 상기 이후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이후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상기 이후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상기 이후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권장 음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상기 하루 응용 플랜의 상기 이후 시간대 중에서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권장 음용량이 설계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상기 특정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상기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2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상기 복수의 정수기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는 시간대별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설계된 권장 음용량만큼 상기 물을 배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설계된 권장 음용량에 대한 알림을 상기 시간대별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 방법.
  24. 음용량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정수기; 로서, 각 정수기는,
    물을 배수하는, 정수 배출부;
    배수량을 측정하는, 배수량 측정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정수 배출부, 상기 배수량 측정부, 상기 사용자 인식부, 상기 제1 통신부및 상기 제1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고,
    메인 서버; 로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2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정수기들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정수기 그룹에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정수기 그룹에 속한 정수기의 제1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배수한 물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측정한 물의 양을 상기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사용자 및 인식한 음용량을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부가 수신한 음용량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하는, 음용량 측정 시스템.
KR1020200122767A 2020-09-23 2020-09-23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040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767A KR20220040049A (ko) 2020-09-23 2020-09-23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CT/KR2020/013818 WO2022065565A1 (ko) 2020-09-23 2020-10-08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767A KR20220040049A (ko) 2020-09-23 2020-09-23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049A true KR20220040049A (ko) 2022-03-30

Family

ID=8084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767A KR20220040049A (ko) 2020-09-23 2020-09-23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40049A (ko)
WO (1) WO20220655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456A (ko) * 2003-01-18 2004-07-27 주식회사 비에스텍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US20050087255A1 (en) * 2003-10-23 2005-04-28 Humphrey Richard L. RF device in drinkware to record data/initiate sequence of behavior
KR101942335B1 (ko) * 2011-09-30 2019-0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들의 유지 보수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KR20160019847A (ko) * 2014-08-12 2016-02-22 (주)녹십자헬스케어 액체 음용량 관리 시스템, 액체 음용량 관리 서버, 액체 음용량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1879335B1 (ko) * 2015-07-30 201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565A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7193B2 (en) Assist device and system
US10663938B2 (en) Power operation of intelligent devices
US10887125B2 (en) Bathroom speaker
US10448762B2 (en) Mirror
US20210357454A1 (en) Feedback for water consuming appliance
US8245879B2 (en) Touch-free biometric-enabled dispenser
US20160188824A1 (en) Healthcar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ailoring patient care
JP2022524080A (ja) 尿失禁の管理のための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iot)ソリューション
CN110037675A (zh) 血压监测方法、系统、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204910137U (zh) 一种基于脸谱识别的感应控制智能提醒装置及智能机器人
CN112770707A (zh) 排便记录系统、排便记录方法及排便记录程序
KR20220040049A (ko)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816576A (zh) 一种仿生排尿调控器装置及其控制方法
CN102034020A (zh) 将健康管理系统集成于电视机的实现方法
KR102489563B1 (ko) 음용량 표시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404163A (zh) 一种智能居家养老服务系统
CN208561728U (zh) 净水设备
WO2023005391A1 (zh) 用于家电设备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家电设备
CN206431768U (zh) 具有人体感应的智能家居中控设备和系统
CN111696671A (zh) 一种用户与居家机器人之间采用语音交互方式的智能随访系统及方法
KR101862141B1 (ko) 홈 프로파일을 이용한 홈 자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홈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US20240077414A1 (en) Urine analysis
WO20232251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rology diseases and symptoms
EP3711657A1 (en) Walking aid recommendations
JP2023500070A (ja) 尿失禁を管理するための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iot)ソリュー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