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456A -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456A
KR20040066456A KR1020030003522A KR20030003522A KR20040066456A KR 20040066456 A KR20040066456 A KR 20040066456A KR 1020030003522 A KR1020030003522 A KR 1020030003522A KR 20030003522 A KR20030003522 A KR 20030003522A KR 20040066456 A KR20040066456 A KR 20040066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information
user
customer management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이승엽
서종수
최규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to KR102003000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6456A/ko
Publication of KR2004006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에 유량감지센서, 알람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시간에 적정양의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원격지에서 관리를 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이 게시된다. 상기 정수기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구비한 컵, 상기 컵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사용자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사용자가 컵을 이용하여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정보를 검출하는 감지장치, 상기 사용자 정보 및 감지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 가능하게 변환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정수기가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는 유량감지센서 및 알람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시간에 따라 적정양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정수기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는 정보가 자동으로 송신되고 상기 정보에 따라 원격지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A WATER PURIFIER HAVING A FUNCTION OF CUSTOMER MANAGEMENT BY COMMUNICATION NETWORK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정수기에 유량감지센서,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알람장치 및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시간에 적정양의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원격지에서 관리를 할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 또는 전화 등의 통신망과 각종 가전제품들이 연결됨으로써 가전제품들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홈네트워킹과 관련한 기술들이 발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전, LCD 화면을 이용하여 인터넷과 동영상 전화통화 가능한 냉장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세탁기 및 인터넷 에어컨, 전자레인지 등이 개발되고 상용화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홈네트워크(Home-Network)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에게는 주거 생활의 편리함을 줄 수 있으며, 공급자에게는 제품의 판매와 더불어 판매된 제품들을 이용하여 고객관계관리(CRM :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를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고객관계관리란, 기업이 잘 정리된 방법으로 고객관계를 관리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지칭한다. 현재는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을 이용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일반 제조업에서도 제품을 단순히 판매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후 지속적인 고객과의 관계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즉,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하여 기업의 입장에서는 고객의 요구에 맞는 제품의 품질향상과 판매 및 마케팅의 최적화를 이루고, 고객의 입장에서는 최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의 신체는 체중의 약 60%가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내 수분의 12%를 잃게 되면 사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은 인간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또한, 아침에 기상 후에 물을 마셔야 한다거나 하루에 최소 6~8잔 정도의 물을 마셔야 한다와 같이 물과 관련된 건강상식도 많이 알려진 바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많은 사람들이 정수기를 사용하면서 정수기가 필수 가전제품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정수기는 단순히 물을 정수하는 것으로만 기능이 한정되어 있어 홈네트워크와 같은 내부 또는 인터넷과 같은 외부 통신망에 연결될 수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정수기를 활용하여 고객관계관리를 구축하는 것과 같은 정보통신산업으로의 확장이 불가능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정수기에 유량감지센서 및 알람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시간에 따라 적정양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환기시킬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수기가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는 정보가 자동으로 송신되고 상기 정보에 따라 원격지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해 줄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정수기 시스템 가운데 컵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 시스템 가운데 정수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정수기 가운데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정수기로부터 정수기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고객관리 데이터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 시스템 가운데 정수기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정수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속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 시스템에 의한 고객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정수기 105:입력장치
110:출력장치 115:개인용 컴퓨터장치
120:저장장치 125:정수기 관리서버
130:통신망 135:정수유닛
140:저수조 145:감지장치
150:제어장치 155, 270:네트워크 장치
160:급수 코크 165:유량감지센서
170:타이머 175:계수기
180:디스플레이 장치 185:스피커
190, 265:메모리부 195, 260:중앙처리장치
200:센서접속부 205:디스플레이 드라이버
210:앰프 215:고유 식별정보
220:사용자 식별정보 225:정수기 사용정보
230:취수량 데이터 235:취수회수 데이터
240:취수시간 데이터 245:비교결과 데이터
250:헤더 255:고객관리 데이터
275:운영시스템 280: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
285:사용자 인식부 290:수용부
295:RF칩 모듈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컵, 상기 컵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개별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사용자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개별 사용자가 상기 컵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정보를 검출하는 감지장치,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 및 감지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 가능하게 변환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정수기가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장치에서 검출된 사용정보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사용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사용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은 바코드일 수 있으며, 상기 저장수단은 RF칩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바코드 인식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RF칩 인식장치일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정수기에서 출수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 및 상기 정수기에서 물이 출수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정수기에서 물이 출수되는 회수를 체크하는 계수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감지장치에서 검출된 정수기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센서접속부 및 상기 정수기의 고유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개별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정수기 사용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감지장치에서 검출된 정수기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센서접속부, 상기 정수기의 고유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개별 사용자 정보, 상기 정수기 사용정보 및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정수기 사용정보와 상기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처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유선통신장치 또는 무선통신장치를 사용할 수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개별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구비한 컵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를 사용시에 감지장치가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정보와 상기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정보 및 상기 비교결과를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정보 및 상기 비교결과를 제어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정수기 관리서버에 사용자 등록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정수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정수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 관리서버의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개별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등록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 관리서버의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객등록정보에 적합한 정수기 사용 설정 정보를 검색하여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정보, 상기 비교결과 및 정수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정수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 관리서버의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개별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등록정보를 검출하는단계 및 상기 사용정보 및 상기 비교결과를 누적하여 상기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고객등록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RF칩을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유량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정수기의 출수량 및 타이머에서 측정된 상기 정수기의 사용시간을 검출하는 단계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계수기에서 측정된 상기 정수기의 사용 회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는 정수기 관리서버의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수기의 사용정보와 상기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정수기의 비교처리부에서 비교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의 사용정보와 상기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정수기 관리서버의 비교처리부에서 비교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별 설정 정보는 소정 시간마다 상기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운로드 된 신규 설정 정보로 갱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에 의하면, 정수기에 유량감지센서 및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알람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시간에 따라 적정양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기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는 정보가 자동으로 송신되고 상기 정보에 따라 원격지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해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개별 사용자들이 각기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컵(105), 상기 컵(105)에 따라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285) 및 출력장치(110)를 구비한 정수기(100),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장치(PC)(115)와 대용량 저장장치(120)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정수기 관리서버)(125) 및 이들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정수기(100) 및 PC(115)와 정수기 관리서버(125)를 연결하는 통신망(130)을 포함한다.
상기 PC(115)는 가정에서 정수기(100)를 사용하는 각각의 사용자들에 대한신상정보 등을 정수기 관리서버(125)에 등록하기 위하여 통신망(130)에 접속이 가능한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정수기 관리서버(125)는 상기 등록된 개별 사용자들에 대하여 정수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정수기 고유 식별정보 및 취수량, 취수시간, 취수회수 등의 정수기 사용정보에 근거하여 각 사용자별로 상기 사용정보를 저장하고, 각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물의 음용정보를 정수기(100)에 전송하기 위한 원격 컴퓨터 시스템이다. 더욱이, 통신망(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괄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는 공중전화망, 인터넷, 이동통신망, 유무선 전용망 등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정수기 시스템 가운데 컵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컵(105)의 하부에는 소정 크기의 수용부(290)가 형성되고, 수용부(290)에는 비접촉식으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RF칩 모듈(295)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정수기(100)는 여러 명의 가족들이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정수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가족 구성원의 수만큼 컵(105)을 구비하고, 각 개인별로 정해진 컵(105)을 사용하게 된다. 즉, 개인용 컵(105)을 사용함으로서 컵(105)의 RF칩 모듈(295)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RF칩 모듈(295)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교통카드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사용자가 컵(105)을 정수기(100)에 근접하게 가져가면 자동으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정수기(100)의 사용자인식부(285)로 전달하게 된다. 즉, 정수기(100)는 컵(105)의 RF칩 모듈(295)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정수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한 RF칩 모듈(295)을 구비한 컵(105)으로 설명되었지만, 컵(105)에 서로 다른 바코드를 인쇄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바코드가 인쇄된 스티커를 부착함으로서 각각의 사용자들을 구분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 시스템 가운데 정수기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00)는 정수유닛(135), 저수조(140), 사용자 인식부(285), 출력장치(110), 감지장치(145), 제어장치(150), 네트워크 장치(155) 및 급수 코크(160)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유닛(135)은 원수를 정화하여 정수하고, 이렇게 정수된 물을 저수조(140)에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정수유닛(135)으로는 오염된 물 속에 존재하는 각종 부유물질, 염소성분, 중금속, 발암물질, 박테리아, 물 속의 냄새 및 가스를 제거하는 필터 어셈블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디멘트 필터, 염소성분을 제거하는 선 카본 필터, 중금속 등을 제거하는 멤브레인 필터 및 물 속의 냄새와 가스를 제거하는 후 카본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수유닛(135)은 중공사막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저수조(140)는 정수유닛(135)을 거쳐 정수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이고, 급수코크(160)는 저수조(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수물을 정수기(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정수 꼭지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정수기(100)는 여러 명의 가족들이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RF칩 인식장치인 사용자 인식부(285)를 이용하여 정수기(100)로부터 취수하기 이전에 이러한 각각의 사용자들을 구분하게 된다. 즉, 정수기(100)로부터 취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용 컵(105)을 가지고 정수기(100)의 급수 코크(160)에 근접하게 이동하게 되면 급수 코크(160)의 하부에 설치된 사용자 인식부(285)가 상기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컵(105)에 설치된 RF칩 모듈(295)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사용자 인식부(285)로 전달되어 정수기(100)가 상기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식부(285)는 RF칩 인식장치로 설명되었지만, 컵(105)에 저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바코드를 사용하여 구현될 될 경우에는 바코드 인식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인식부(285)를 통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정수기(100)를 사용할 경우 감지장치(145)는 정수기(100)의 사용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이 때, 감지장치(145)는 저수조(140)로부터 급수 코크(160)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센싱하는 유량감지센서(165), 상기 물이 배출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170), 상기 물이 배출되는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기(175)로 구성된다. 즉, 정수기(100)의 출수 동작이 발생하게 되면 유량감지센서(165)는 출수되는 물의 양을 센싱하여 출수량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장치(150)에 전달하고, 상기 출수 동작이 개시되었음을타이머(170) 및 계수기(175)에 전달한다. 이 때, 타이머(170)는 상기 출수 동작이 발생하는 시간을 센싱하여 출수시간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계수기(175)는 취수회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장치(15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장치(150)는 상기 출수량 신호, 출수시간 신호, 취수회수 신호 등을 저장 및 네트워크 장치(155)를 통하여 전송이 가능하도록 변환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인식부(285)를 통하여 인식된 각 사용자별로 설정된 물의 음용량 및 음용 회수 등의 정보와 감지장치(145)로부터 전달된 정수기(100)의 사용정보를 비교하게 된다.
상기 출력장치(110)는 감지장치(145)로부터 검출된 출수량 신호, 출수시간 신호, 취수회수 신호 및 제어장치(150)에서 비교된 상기 비교결과 등의 정보를 출력하여 정수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출력장치(110)는 상기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80) 및 상기 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85)로 구성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80)는 액정표시장치(LC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155)는 정수기(100)가 연결되는 통신망(130)에 따라 유선통신장치 또는 무선통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장치(155)는 제어장치(150)로부터 전달 받은 정수기(100)의 사용정보, 상기 비교결과, 정수기(100)의 고유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통신망(130)을 통하여 정수기 관리서버(125)로 전송하게 되며, 정수기 관리서버(125)로부터 전송된 신규의 사용자별 음용 정보 등을 제어장치(150)로 전달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정수기 가운데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정수기로부터 정수기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고객관리 데이터의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150)는 정수기(100)의 고유 식별정보(215), 개별 사용자 식별정보(220), 정수기 사용정보(225) 및 사용자별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90), 구성부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신호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 (195), 감지장치(145)와 중앙처리장치(195)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센서접속부(200) 및 상기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장치(180) 및 스피커(185)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05) 및 앰프(AMP)(21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95)는 사용자 인식부(285)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220)에 따라 메모리부(190)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별 설정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사용자별 설정정보를 감지장치(145)로부터 입력되는 취수량 데이터(230), 취수회수 데이터(235) 및 취수시간 데이터(240)와 비교하여 비교결과 데이터(245)를 생성한다. 또한, 취수량 데이터(230), 취수회수 데이터(235), 취수시간 데이터(240) 및 비교결과 데이터(245)를 디스플레이 장치(180) 및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한다. 더욱이, 취수량 데이터(230), 취수회수 데이터(235), 취수시간 데이터(240) 및 비교결과 데이터(245)를 결합하여 정수기 사용정보(225)를 생성하고, 상기 정수기 사용정보(225)를 메모리부(190)에 저장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95)는 분산되어 있는 각 정수기들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식별정보(215), 각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220) 및 정수기 사용정보(225)를 결합시킨 후, 헤더(250)와연결하여 소정시간 마다 정수기(100)의 고객관리 데이터(255)를 생성한다. 이어서, 고객관리 데이터(255)는 네트워크 장치(155)를 통하여 정수기 관리서버(125)(도 1 참조)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처리장치(195)가 상기 사용자별 설정정보를 감지장치(145)로부터 입력되는 취수량 데이터(230), 취수회수 데이터(235) 및 취수시간 데이터(240)와 비교하여 비교결과 데이터(245)를 생성하였지만, 상기 사용자별 설정정보의 호출 및 상기 비교처리, 비교결과 데이터(245)의 생성은 정수기 관리서버(125)(도 1 참조)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 시스템 가운데 정수기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정수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속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 관리서버(125)는 중앙처리장치(260), 메모리부(265), 네트워크 장치(270), 운영시스템(275) 및 저장장치(120)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 관리서버(125)는 상당한 양의 메모리와 처리 능력을 갖춘 전통적인 개인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65) 및 저장장치(120)는 CD-ROM 드라이버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광학 또는 자기 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저장장치(120)는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280)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280)에는 모델명, 고유 식별정보(215)와 같이 각 정수기(100)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와 이름, 주소, 주민번호 등과 같이 정수기(100)를 사용하는 각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 및 정수기 사용정보(225)와 사용자별 설정정보 등이 저장된다. 즉, 소정 시간마다 정수기(100)로부터 전송된 고객관리 데이터(255)에 따라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280)에서 해당 정수기(100)의 고유 식별정보(215) 및 사용자 식별정보(220)에 대응하는 고객등록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고객관리 데이터(255)에 의하여 갱신된다. 또한, 상기 고객등록정보에 사용자별로 저장된 상기 사용자별 설정정보가 네트워크 장치(270)를 통하여 정수기(100)로 전송된다. 이 때, 상기 사용자별 설정정보는 각 사용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맞는 물의 음용량, 음용 회수 등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 시스템에 의한 고객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PC(115)를 이용하여 정수기 관리서버(125)에 사용자의 신상명세와 같은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S100). 상기 등록된 사용자가 정수기(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개인에게 할당된 컵(105)을 가지고 정수기(100)에 근접하게 이동하게 되면, 컵(105)에 설치된 RF칩 모듈(295)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220)가 정수기(100)로 송신되고, 사용자 인식부(285)가 사용자 식별정보(220)를 수신하게 된다(S110). 이 때, 제어장치(150)의 메모리부(19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사용자 인식부(285)가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220)를비교하여 정수기(100)는 상기 사용자를 특정 사용자로 구분하여 인식한다(S120). 이어서, 정수된 물이 정수기(100)로부터 출수되면(S130), 감지장치(145)의 유량감지센서(165), 계수기(175) 및 타이머(170)를 통하여 취수량 데이터(230), 취수회수 데이터(235) 및 취수시간 데이터(240)로 구성된 정수기 사용정보(225)를 검출한다(S140). 계속하여, 메모리부(190)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자별 설정정보를 호출하고(S150), 제어장치(150)는 정수기 사용정보(225)와 상기 사용자별 설정정보를 비교한다(S160). 상기 정수기 사용정보(225) 및 상기 비교결과는 디스플레이 장치(180) 및 스피커(185)를 통하여 영상 및 음성으로 각기 출력된다(S170). 이 때, 정수기 사용정보(225) 및 상기 비교결과는 메모리부(190)에 기 저장된 정수기 사용정보 및 비교결과를 갱신하여 저장된다(S180).
상기 제어장치(150)에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시점을 판단한 후(S190), 전송시점으로 판단이 되면 제어장치(150)는 고객관리 데이터(255)를 생성하고(S200), 네트워크 장치(155)를 통하여 정수기 관리서버(125)로 고객관리 데이터(255)를 전송한다(S210). 상기 정수기 관리서버(125)는 통신망(130) 및 네트워크 장치(270)를 통하여 고객관리 데이터(255)를 수신한다(S220). 이어서, 고객관리 데이터(255)의 고유 식별정보(215) 및 사용자 식별정보(220)에 해당하는 고객등록정보를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280)로부터 검출한다(S230). 계속하여,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사용자별 설정정보의 갱신시점을 판단한 후(S240), 갱신시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수신된 고객관리 데이터(255)에 따라 상기 고객등록정보를 갱신하여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280) 저장한다(S250). 그러나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사용자별 설정정보의 갱신시점을 판단한 후(S240), 갱신시점으로 판단이 되면 상기 사용자별 설정정보를 네트워크 장치(270)를 통하여 정수기(100)로 전송하고(S260), 수신된 고객관리 데이터(255)에 따라 상기 고객등록정보를 갱신하여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280) 저장한다(S250). 이 때, 상기 사용자별 설정정보에 의하여 제어장치(150)의 메모리부(190)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별 설정정보가 갱신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에 의하면, 정수기에 유량감지센서 및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알람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시간에 따라 적정양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기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는 정보가 자동으로 송신되고 상기 정보에 따라 원격지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해 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6)

  1. 물을 정수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개별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컵;
    상기 컵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개별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사용자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개별 사용자가 상기 컵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정보를 검출하는 감지장치;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 및 감지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 가능하게 변환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정수기가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에서 검출된 사용정보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사용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사용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RF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바코드 인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RF칩 인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정수기에서 출수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 및
    상기 정수기에서 물이 출수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정수기에서 물이 출수되는 회수를 체크하는 계수기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감지장치에서 검출된 정수기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센서접속부; 및
    상기 정수기의 고유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개별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정수기 사용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감지장치에서 검출된 정수기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센서접속부;
    상기 정수기의 고유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개별 사용자 정보, 상기 정수기 사용정보 및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정수기 사용정보와 상기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유선통신장치 또는 무선통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14.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를 통하여 고객관리를 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개별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구비한 컵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를 사용시에 감지장치가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정보와 상기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정보 및 상기 비교결과를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정보 및 상기 비교결과를 제어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정수기 관리서버에 사용자 등록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정수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정수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 관리서버의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개별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등록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 관리서버의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객등록정보에 적합한 정수기 사용 설정 정보를 검색하여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정보, 상기 비교결과 및 정수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정수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 관리서버의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개별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등록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정보 및 상기 비교결과를 누적하여 상기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고객등록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RF칩을 인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유량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정수기의 출수량; 및
    타이머에서 측정된 상기 정수기의 사용시간을 검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계수기에서 측정된 상기 정수기의 사용 회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 가능한 정수기.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는 정수기 관리서버의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방법.
  24. 제 14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사용정보와 상기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정수기의 비교처리부에서 비교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25. 제 14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사용정보와 상기 사용자별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정수기 관리서버의 비교처리부에서 비교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26. 제 16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별 설정 정보는 소정 시간마다 상기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운로드 된 신규 설정 정보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 가능한 정수기의 고객관리 방법.
KR1020030003522A 2003-01-18 2003-01-18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KR20040066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522A KR20040066456A (ko) 2003-01-18 2003-01-18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522A KR20040066456A (ko) 2003-01-18 2003-01-18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456A true KR20040066456A (ko) 2004-07-27

Family

ID=3735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522A KR20040066456A (ko) 2003-01-18 2003-01-18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64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16B1 (ko) * 2008-04-07 2008-08-12 김웅기 필터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수도 직결식 정수기
KR20170017042A (ko) 2015-08-04 2017-02-15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관리 시스템
KR20180138036A (ko) * 2017-06-20 2018-12-28 이재익 스마트형 불소용액 제조 컨트롤시스템
KR20190032840A (ko) 2017-09-20 2019-03-28 오은경 정수기 관리 스마트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WO2022065565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나인와트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16B1 (ko) * 2008-04-07 2008-08-12 김웅기 필터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수도 직결식 정수기
KR20170017042A (ko) 2015-08-04 2017-02-15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관리 시스템
KR20180138036A (ko) * 2017-06-20 2018-12-28 이재익 스마트형 불소용액 제조 컨트롤시스템
KR20190032840A (ko) 2017-09-20 2019-03-28 오은경 정수기 관리 스마트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WO2022065565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나인와트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3720B1 (en) Command console for home monitoring system
CN105595838A (zh) 饮水机、电子装置和饮水提醒系统
CN112255928A (zh) 智能家居的控制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CN106131718A (zh) 一种智能音箱系统及其控制方法
US11817194B2 (en) Smart control system
CN103062986B (zh) 冰箱食品信息输入方法和系统
US200900890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eriatric care management service
US20210355003A1 (en) Server of monitoring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voice command an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20040066456A (ko)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CN111977720A (zh) 智能净水机及其控制方法
WO2013166069A1 (en) Cloud connected filtration system
JPH07231363A (ja) 緊急通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40066431A (ko)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US11411762B2 (en) Smart home control system
TWM572783U (zh) 物聯網淨水系統
KR101887350B1 (ko) 물탱크 내부 및 외부의 상태 실시간 감지, 경보, 및 경보방송 시스템
KR20090094572A (ko) 청각장애인 등을 위한 알림 시스템
JP4767126B2 (ja) 火災警報システム
US20200348640A1 (en) Smart home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leaving and abnormal of family members
JP4233971B2 (ja) 火災監視システム
CN112354250A (zh) 一种智能物联管控饮水净化装置及饮水机
JP3773579B2 (ja) Posシステム
KR20040056603A (ko)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및 그 광고방법
JP2003122871A (ja) 機器保守支援システム
WO2023053612A1 (ja) 情報出力方法、情報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