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763A -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 - Google Patents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763A
KR20220039763A KR1020227005923A KR20227005923A KR20220039763A KR 20220039763 A KR20220039763 A KR 20220039763A KR 1020227005923 A KR1020227005923 A KR 1020227005923A KR 20227005923 A KR20227005923 A KR 20227005923A KR 20220039763 A KR20220039763 A KR 2022003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quipment
wireless lan
control
network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멩치앙 주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 -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 -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다.

Description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9월 26일에 국가지식산권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19109186672이고 출원명칭이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에 관한 것이다.
단말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단말 장비의 적용은 점점 더 광범위해지고 있다. 단말 장비인 경우, 원활한 네트워크 경험이 아주 중요하다. 특히 게임, 동영상, 생방송 등 시나리오는 많은 트래픽과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필요로 한다. 이를 감안하여,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솔루션의 제안은 사용자 경험을 크게 개선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WLAN 솔루션은 사용자의 사용 요구사항을 여전히 충족할 수 없으므로,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하는 방법이 단말 제조사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되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존의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사용자의 사용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 -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 -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이다.
제2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 -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 -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되,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이다.
제3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제1 양상에 의한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4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제1 양상에 의한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 -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 -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존의 WLAN 설정을 확장 및 지원하고,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 식별자를 추가하므로, 사용자는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입구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을 통해,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단말 장비의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면, 단말 장비는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추가로 M개 보조 WLAN 및/또는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아키텍쳐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략도 1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략도 2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 3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략도 3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략도 4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략도 5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 4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 5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략도 6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 6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략도 7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략도 8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략도 9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략도 10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구성도 1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구성도 2이다.
도 20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장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연관 객체의 연관관계를 설명하며, 세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기호 ‘/’는 연관된 객체가 ‘또는’의 관계를 가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특정한 대상의 순서를 설명하기 보다는 서로 다른 대상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제1 입력과 제2 입력 등은 입력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함이 아니라 서로 다른 입력을 구별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컨대’와 같은 단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컨대’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 또는 ‘예컨대’와 같은 단어는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다수 개’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자면, 다수 개의 처리 유닛은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처리 유닛을 가리키며, 다수 개의 요소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요소를 가리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 -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 -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존의 WLAN 설정을 확장 및 지원하고,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 식별자를 추가하므로, 사용자는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입구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을 통해,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단말 장비의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면, 단말 장비는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추가로 M개 보조 WLAN 및/또는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장비는 운영체제가 탑재된 단말 장비일 수 있다. 해당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이거나, iOS 운영체제이거나, 다른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이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소개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아키텍쳐 개략도이다. 도 1에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구조는 4개 계층 즉,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 라이브러리 및 안드로이드 런타임 계층, 커널 계층(구체적으로 Linux 커널 계층일 수 있음)을 포함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타사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로서,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개발 원칙을 준수하면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을 기반으로 일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및 안드로이드 런타임 계층은 라이브러리(안드로이드 런타임 계층이라고도 함) 및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런타임 환경을 포함한다. 라이브러리는 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런타임 환경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위한 소프트웨어 환경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커널 계층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운영체제 계층으로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계층의 최하층이다. 커널 계층은 Linux 커널을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핵심 시스템 서비스 및 하드웨어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로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개발자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네트워크 정보 처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실행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또는 단말 장비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 장비는 모바일 단말 또는 비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단말은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팜톱 컴퓨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모바일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또는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실행 주체는 전술한 단말 장비일 수 있고, 상기 단말 장비에서 상기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 모듈 및/또는 기능 엔티티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은 단말 장비를 예로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에 대해 예시적인 설명을 진행한다.
다음은 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에 대해 예시적인 설명을 진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은 다음 단계 200 내지 단계 201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0: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전술한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단말 장비를 사용할 때 네트워크 전송 속도(인터넷 속도라고 약칭할 수도 있음)를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 장비에서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설정 인터페이스(즉 후술되는 타겟 인터페이스)를 트리거하기 위해 단말 장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통해 인터넷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즉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의 디스플레이 형태는 아이콘 형태 또는 문자 형태(예: 지능형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 또는 아이콘과 문자 조합의 형태, 또는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함으로써 인터넷 속도를 개선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임의의 식별자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 입력은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예컨대 클릭 또는 더블클릭), 또는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 또는 실제 사용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입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1: 단말 장비는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크고, M과 N은 모두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제2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행한 후, 네트워크는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는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제1 컨트롤 및/또는 제2 컨트롤에 대해 입력하는 것을 통해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 장비는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할 뿐만 아니라 M개 제2 무선랜에도 액세스하고, 또는, 단말 장비는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할 뿐만 아니라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도 액세스하고, 또는, 단말 장비는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할 뿐만 아니라 M개 제2 무선랜 및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도 액세스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 및 하나의 제2 무선랜(아래에서는 이중 WLAN 가속화라고 함)에 액세스하거나,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 및 하나의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아래에서는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라고 함)에 액세스하거나,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 하나의 제2 무선랜 및 하나의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즉 이중 WLAN 가속화 및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의 조합)에 액세스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 무선랜은 사용자가 액세스할 무선랜을 수동으로 선택하는 것일 수 있거나, 단말 장비가 무선랜에 자동으로 액세스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제1 무선랜은 메인 WLAN이라고 할 수 있고, 전술한 제2 무선랜은 보조 WLAN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하는 경우, 사용자가 네트워크 가속화가 필요하면, 사용자는 단말 장비가 보조 WLAN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보조 WLAN에 액세스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먼저 액세스한 무선랜을 메인 WLAN으로 규정하고, 후에 액세스한 무선랜을 보조 WLAN으로 규정하는 외에, 본 개시의 실시예는 액세스한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에 근거하여 메인 WLAN과 보조 WLAN을 규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액세스된 다중 무선랜에서 인터넷 속도가 가장 큰 하나의 무선랜을 메인 WLAN이라고 하고, 액세스된 다중 무선랜에서 메인 WLAN 이외의 다른 무선랜을 보조 WLAN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의 설정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인터페이스(31)에는 “WLAN” 컨트롤(32)(메인 WLAN 설정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및 “지능형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33)(즉 전술한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지능형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33)를 클릭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는 인터페이스(34)(즉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인터페이스(34)에는 “이중 WLAN 가속화” 컨트롤(35)(즉 이중 WLAN 가속화 설정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전술한 제1 컨트롤) 및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 컨트롤(36)(즉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전술한 제2 컨트롤)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이중 WLAN 가속화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는 모두 해당 가속화 애플리케이션 화이트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중 WLAN 가속화로 예를 들면,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경우, 메인 WLAN의 인터넷 속도가 작아 사용자가 이중 WLAN 가속화를 트리거하면, 가속화 애플리케이션 화이트 리스트에서 스위치가 켜진 애플리케이션은 메인 WLAN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WLAN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온라인 경험을 보장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WLAN 가속화” 컨트롤(35)은 기본적으로 비활성 상태(즉 이중 WLAN 가속화 비활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중 WLAN 가속화” 컨트롤(35)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보조 WLAN” 컨트롤(37)(보조 WLAN 설정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은 회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사용자 조작이 금지된다. 사용자가 “이중 WLAN 가속화” 활성화를 트리거한 경우, 단말 장비는 “보조 WLAN” 컨트롤(37)이 회색에서 검은색으로 업데이트되고, 조작 불가능에서 조작 가능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WLAN에 연결 실패인 경우, “이중 WLAN 가속화” 컨트롤(35) 및 “보조 WLAN” 컨트롤(37)은 모두 회색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조작이 금지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존의 WLAN 설정에서 확장되어 보조 WLAN의 스캐닝 리스트의 표시,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지원할 수 있다. 다중 WLAN은 네트워크 원활성 및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존의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와 융합되어 하나의 입구(즉 도 3의 (a)에 도시된 “지능형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33)에 의해 지시된 입구)로 통일된다. 본 솔루션을 통해,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단말 장비의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면, 단말 장비는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추가로 M개 보조 WLAN 및/또는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 -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 -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존의 WLAN 설정을 확장 및 지원하고,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 식별자를 추가하므로, 사용자는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입구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을 통해,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단말 장비의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면, 단말 장비는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추가로 M개 보조 WLAN 및/또는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다음은 후술되는 제1 구현 방식, 제2 구현 방식 및 제3 구현 방식을 통해 이중 WLAN 가속화(즉 메인 WLAN+M개 보조 WLAN),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즉 메인 WLAN+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 이중 WLAN 및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공동 가속화의 특정 구현 방식에 대해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구현 방식: 다중 WLAN 가속화
제1 구현 방식에서,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M개 보조 WLAN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다중 네트워크(즉 메인 WLAN+M개 보조 WLAN)에 액세스하여 다중 WLAN 가속화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보조 WLAN에 액세스하는 구현 방식은 두 가지 방식, 즉 자동 액세스 및 수동 액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액세스 방식: 메인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한 후, 단말 장비는 보조 WLAN의 가용 네트워크에서 기존의 점수 매기기 메커니즘에 따라 최상의 품질을 가진 하나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연결할 수 있다.
수동 액세스 방식: 사용자가 보조 WLAN의 가용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여 연결하는 것을 허용한다.
아래에서는 방식 1 및 방식 2를 통해 전술한 자동 입력 방식 및 수동 입력 방식의 특정 구현에 대해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방식 1: 자동 액세스 방식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제1 컨트롤에 대한 입력을 통해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자동으로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계 201 이후,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은 다음의 단계 202 및 단계 2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2: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단말 장비는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2 입력은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예컨대 클릭 또는 더블클릭), 또는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 또는 다른 임의의 가능한 입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3: 단말 장비는 제2 입력에 응답하여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한다.
여기서,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은 검출된 무선랜에서 네트워크 신호 강도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처음 M개 무선랜이다.
이 솔루션을 통해,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사용자가 제1 컨트롤에 대해 입력을 수행하면 단말 장비는 M개 제2 무선랜에 자동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방식 2: 수동 액세스 방식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컨트롤에 대해 입력한 후, 검출된 무선랜에서 M개 무선랜을 수동으로 선택함으로써 단말 장비가 M개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계 201 이후,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은 다음의 단계 204 내지 단계 2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4: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단말 장비는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3 입력은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예컨대 클릭 또는 더블클릭), 또는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 또는 다른 임의의 가능한 입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술한 제3 입력은 제2 입력과 다를 수 있다.
단계 205: 단말 장비는 제3 입력에 응답하여 K개 무선랜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되, 각 무선랜 식별자는 하나의 무선랜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206: 단말 장비는 K개 무선랜 식별자 중의 M개 무선랜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207: 단말 장비는 제4 입력에 응답하여 M개 무선랜 식별자에 의해 지시되는 무선랜에 액세스한다.
여기서, K는 M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전술한 단계 201에서의 M개 제2 무선랜은 단계 207에서 M개 무선랜 식별자에 의해 각각 지시된 M개 무선랜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보조 WLAN은 메인 WLAN에 대한 보완 및 개선이기 때문에 메인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할 경우에만 보조 WLAN의 확장 인터페이스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검출된 가용 네트워크의 식별자(예컨대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됨)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보조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한 경우 보조 WLAN의 확장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하고, 이중 WLAN 가속화가 활성화된 경우, 보조 WLAN의 확장 인터페이스(38)에서 보조 WLAN이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리스트(39)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중 WLAN의 가속화 효과를 더 많이 반영하기 위해, 메인 WLAN과 보조 WLAN이 서로 다른 주파수 구간의 네트워크에 각각 연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WLAN이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리스트(39)에서 메인 WLAN과 서로 다른 주파수 구간에 있는 가용 네트워크를 디스플레이 한다.
선택적으로, 보조 WLAN의 확장 인터페이스(38)에서 메인 WLAN의 네트워크 정보(4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메인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한 경우, 보조 WLAN의 확장 인터페이스(38)에서 메인 WLAN의 서비스 식별자 집합(Service Set Identifier, SSID) 및 사용 주파수 구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WLAN의 네트워크 정보(40)는 “메인 WLAN 네트워크: WiFi-0; 5G”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한 경우, 성공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예: WiFi-1; 2.4G)에 대해, 아이컨 √ 및/또는 문자 “연결됨”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보조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함을 지시한다.
이중 주파수 라우터인 경우, 그 2.4G 및 5G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의 SSID 및 암호화 방식은 일치하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 주파수 구간 중 하나가 연결되면 다른 주파수 구간의 식별자를 약화(예컨대 회색으로 디스플레이함)해야 한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장비가 이중 주파수 AP WiFi-1에 액세스할 때, 실제로 2.4G에 액세스하면 5G 식별자가 약화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WLAN에 연결 실패하면, 단말 장비는 보조 WLAN의 확장 인터페이스(38)에서 메인 WLAN의 네트워크 정보(40): “메인 WLAN 네트워크: 연결 안 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되고 이중 WLAN 가속화가 활성화된 경우, 도 3의 (b)에서의 “보조 WLAN” 컨트롤(37) 상(예컨대 우측 입구)에 보조 WLAN의 연결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WLAN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보조 WLAN” 컨트롤(37) 상에 “연결 안 됨”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된 경우, “보조 WLAN” 컨트롤(37) 상에 이미 연결된 보조 WLAN의 SSID(예: WiFi-1)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M개 보조 WLAN에 자동으로 액세스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여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다중 네트워크(즉 메인 WLAN+M개 보조 WLAN)에 액세스하여 다중 WLAN 가속화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제2 구현 방식: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
제2 구현 방식에서,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다중 네트워크(즉 메인 WLAN+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2 컨트롤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제2 컨트롤에 대한 입력을 통해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계 201 이후,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은 다음의 단계 208 및 단계 2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8: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단말 장비는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5 입력은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예컨대 클릭 또는 더블클릭), 또는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 또는 다른 임의의 가능한 입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9: 단말 장비는 제5 입력에 응답하여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경우, 메인 WLAN의 인터넷 속도가 작아 사용자가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면, 가속화 애플리케이션 화이트 리스트에서 스위치가 켜진 애플리케이션은 메인 WLAN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온라인 경험을 보장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다중 네트워크(즉 메인 WLAN+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제3 구현 방식: 다중 WLAN 가속화+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
제3 구현 방식에서,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M개 보조 WLAN 및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다중 네트워크(즉 메인 WLAN+M개 보조 WLAN+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에 대한 입력을 통해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 및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계 201 이후,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은 다음의 단계 210 및 단계 2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단말 장비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6 입력을 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6 입력은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예컨대 클릭 또는 더블클릭), 또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 또는 다른 임의의 가능한 입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11: 단말 장비는 제6 입력에 응답하여 M개 제2 무선랜 및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다중 네트워크(즉 메인 WLAN+M개 WLAN+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가속화의 설정 상황(예컨대 이중 WLAN 가속화 활성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 활성 또는 이중 WLAN 가속화 및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 활성)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에서 현재 네트워크 가속화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3의 (a), 도 12를 참조하여 이 경우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WLAN 가속화 및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가 모두 비활성화된 경우, “지능형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33) 상(예컨대 우측 입구, 아래에서는 동일함)에는 현재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사용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 “사용 안 함”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WLAN 가속화가 활성화되고,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가 비활성화된 경우, “지능형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33) 상에는 현재 이중 WLAN 가속화가 활성화됨을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 “이중”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WLAN 가속화가 활성화되고,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가 비활성화된 경우, “지능형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33) 상에는 현재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가 활성화됨을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 “모바일”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WLAN 가속화 및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가 모두 활성화된 경우, “지능형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33) 상에는 현재 이중 WLAN 가속화 및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가 활성화됨을 지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 “이중+모바일”이 디스플레이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지능형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계 201 이후,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은 다음의 단계 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2: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단말 장비는 상기 다중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단말 장비는 이 다중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이 다중 네트워크의 인터넷 속도가 다수의 네트워크의 인터넷 속도의 합일 수 있으므로,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도 13은 전술한 도 2의 예와 조합하여 설명되며, 특정 구현 시, 도 13은 결합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도면(예: 도 5, 도 6, 도 10 및 도 11)과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비의 관리 인터페이스에는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스위치 및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의 스위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스위치는 단축 스위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편리하다.
여기서, 전술한 관리 인터페이스는 단말 장비의 관리 센터에 해당하는 단축 메뉴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예컨대 슬라이딩 업 메뉴 인터페이스 또는 풀 다운 메뉴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임의의 가능한 메뉴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전술한 스위치의 디스플레이 형태는 스위치 아이콘, 스위치 컨트롤 등일 수 있고, 또는 실제 사용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형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기존의 관리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WLAN 단축 스위치만 디스플레이되는 기초상에서, M개 보조 WLAN의 단축 스위치는 전술한 이중 WLAN 가속화 스위치에 해당하여 표시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메인 WLAN과 보조 WLAN을 구별하기 위해, 메인 WLAN은 기존의 아이콘 패턴을 유지하고, 보조 WLAN은 아이콘의 우측 상단 모서리에
Figure pct00001
와 같은 식별자가 표시된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인터페이스(51)에는 메인 WLAN의 단축 스위치와 하나의 보조 WLAN의 단축 스위치가 디스플레이되고, 이는 도 3의 (b)에서의 이중 WLAN 가속화 스위치에 해당한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인터페이스(51)에는 메인 WLAN의 단축 스위치와 두 개의 보조 WLAN의 단축 스위치가 디스플레이된다. 보조 WLAN1 및 보조 WLAN2를 구별하기 위해, 스위치 아이콘 위의 빈 영역에 번호(예: 1, 2)를 추가할 수 있다.
메인 WLAN 단축 스위치를 비활성화할 때, 이중 WLAN 가속화 스위치가 활성 상태이면,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메인 WLAN 단축 스위치를 비활성화할 때, 이중 WLAN 가속화 스위치가 비활성 상태이면,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메인 WLAN과 보조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된 경우, 그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성공적으로 연결한 경우, 스위치 아이콘의 아래에 해당 SSID를 디스플레이한다.
메인 WLAN에 성공적으로 연결되고, 보조 WLAN에 연결 실패인 경우, 이중 WLAN 가속화 스위치가 활성 상태이면, 그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메인 WLAN과 보조 WLAN의 스위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빠른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비의 상태바에는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및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바(61) 상에는 보조 WLAN의 연결 상태, 신호강도, 상하향링크 및 온라인 가능 여부 등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아이콘(62)이 확장될 수 있다. 메인 WLAN과 보조 WLAN에 모두 성공적으로 연결된 경우, 그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메인 WLAN은 기존의 아이콘 패턴을 유지하고, 보조 WLAN은 아이콘의 우측 상단 모서리에
Figure pct00002
와 같은 식별자가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비의 알림바에는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및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중 WLAN 가속화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가 유효화된 경우, 시스템 알림바에는 현재 액세스된 네트워크의 실시간 인터넷 속도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중 WLAN 가속화가 유효화된 경우,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가 유효화된 경우,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중 WLAN 가속화 및 데이터 네트워크 가속화가 모두 유효화된 경우,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간편하고 빠른 이중 WLAN 조작 및 상태 획득 솔루션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WLAN 설정 및 관리 센터를 통해 이중 WLAN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트리거할 수 있고, 상태바 및 시스템 알림을 통해 이중 WLAN의 상태, 신호강도 및 가속화 효과 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2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비의 관리 인터페이스에는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스위치 및 전술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스위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2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비의 상태바에는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및 전술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신호강도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2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비의 알림바에는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및 전술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인터넷 속도값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2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관리 인터페이스, 상태바, 알림바의 디스플레이 내용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관리 인터페이스, 상태바, 알림바의 디스플레이 내용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WLAN 설정, 관리 인터페이스, 상태바 및 알림바에 대해 확장함으로써, 사용자 조작 및 이중 WLAN 정보에 대한 획득을 크게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AI 음성 제어, 메인화면 지정 제스처 궤적 등을 통해 다중 네트워크의 액세스를 구현할 수 있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중 WLAN의 UI 상호작용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WLAN 설정, 관리 센터, 상태바 및 알림바에서 이중 WLAN에 대해 확장 및 지원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중 WLAN을 더 간편하고 빠르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다중 WLAN의 UI 상호작용 경험을 크게 개선하여 보다 인성화되게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700)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700)는 수신 모듈(701) 및 디스플레이 모듈(70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은(701)은,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 -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702)은 수신 모듈(701)에 의해 수신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 -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700)는 네트워크 모듈(7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을 포함하는 상황에서, 수신 모듈(701)은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702)이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모듈(703)은, 수신 모듈(701)에 의해 수신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M개 제2 무선랜은 검출된 무선랜에서 네트워크 신호 강도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처음 M개 무선랜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을 포함하는 상황에서, 수신 모듈(701)은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702)이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702)은, 수신 모듈(701)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K개 무선랜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각 무선랜 식별자는 하나의 무선랜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수신 모듈(701)은 또한, K개 무선랜 식별자 중의 M개 무선랜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한다. 네트워크 모듈(703)은, 수신 모듈(701)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M개 무선랜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은 상기 M개 무선랜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무선랜일 수 있고, K는 M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2 컨트롤을 포함하는 상황에서, 수신 모듈(701)은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702)이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모듈(703)은, 수신 모듈(701)에 의해 수신된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전술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을 포함하는 상황에서, 수신 모듈(701)은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702)이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전술한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6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모듈(703)은, 수신 모듈(701)에 의해 수신된 제6 입력에 응답하여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 및 전술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모듈(703)은 또한,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상기 다중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1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아래의 디스플레이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스위치 및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의 스위치.
(2) 상태바에 디스플레이된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및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3) 알림바에 디스플레이된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및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타겟 인터페이스가 제2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아래의 디스플레이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관리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스위치 및 전술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스위치.
(2) 상태바에 디스플레이된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및 전술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신호강도 식별자.
(3) 알림바에 디스플레이된 전술한 제1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및 전술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인터넷 속도값.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 -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 -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존의 WLAN 설정을 확장 및 지원하고,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 식별자를 추가하므로, 사용자는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입구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을 통해,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단말 장비의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면, 단말 장비는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추가로 M개 보조 WLAN 및/또는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 장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비(80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801), 네트워크 모듈(802), 오디오 출력 장치(803), 입력 장치(804), 센서(805), 디스플레이 장치(806), 사용자 입력 장치(807), 인터페이스 장치(808), 메모리(809), 프로세서(810) 및 전원(811) 등 부품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당업자라면 도 20에 도시된 단말 장비의 구조가 단말 장비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 장비는 도에 도시된 부품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부품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장치(807)는,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 -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장치(806)는, 사용자 입력 장치(807)에 의해 수신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 -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 -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 -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컨트롤은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존의 WLAN 설정을 확장 및 지원하고,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 식별자를 추가하므로, 사용자는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입구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을 통해, 단말 장비가 메인 WLAN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단말 장비의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트리거하면, 단말 장비는 메인 WLAN에 액세스한 기초상에서 추가로 M개 보조 WLAN 및/또는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비는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어 다중 네트워크 가속화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8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810)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8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이중화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8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장비(800)는 네트워크 모듈(8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접속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803)는 무선 주파수 장치(801) 또는 네트워크 모듈(802)이 수신하거나 메모리(8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803)는 단말 장비(8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 호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803)는 스피커, 버저,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8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장치(804)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8041) 및 마이크로폰(8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장치(8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8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8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809)(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801) 또는 네트워크 모듈(802)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80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8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장비(800)에는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805)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8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단말 장비(800)가 귀 가까이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8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화계 센서는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화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 장비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8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8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80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8061)이 포함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8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8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장치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807)는 터치 패널(8071) 및 기타 입력 장치(8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8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8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8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8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8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8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8071)은 저항성, 용량성,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80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807)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8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8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8071)은 디스플레이 패널(80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8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810)에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8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8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비록 도 20에서 터치 패널(8071)과 디스플레이 패널(8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 단말 장치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8071)과 디스플레이 패널(8061)을 통합시켜 단말 장치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인터페이스 장치(808)는 외부 장치와 단말 장비(80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식별 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8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을 단말 장비(800) 내부에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자로 전송하는 데 사용하거나 단말 장비(800)와 외부 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8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8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메모리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단말 장치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이용하여 전체 단말 장치의 여러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8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수행하고 메모리(8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단말 장치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8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810)에 통합할 수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8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 장비(800)에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811)(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8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8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장비(80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도 20에 도시된 프로세서(810), 메모리(809), 메모리(8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8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810)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하나를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은 본질적으로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디스켓,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고, 한 단말 장비(예컨대 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네트워크 장비 등)가 본 출원의 여러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지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특정 실시예는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이고,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계시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주지와 청구 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형태를 도출할 수 있고, 이러한 형태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상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임 -;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컨트롤은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되,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상기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M개 제2 무선랜은 검출된 무선랜에서 네트워크 신호 강도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처음 M개 무선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K개 무선랜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각 무선랜 식별자는 하나의 무선랜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K개 무선랜 식별자 중의 M개 무선랜 식별자에 대한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M개 무선랜 식별자에 의해 지시되는 무선랜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M개 제2 무선랜은 상기 M개 무선랜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무선랜일 수 있고, K는 M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컨트롤 및 상기 제2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제1 컨트롤 및 상기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6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6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M개 제2 무선랜 및 상기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상기 다중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비는: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스위치 및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의 스위치;
    상태바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및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알림바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및 상기 M개 제2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비는:
    관리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스위치 및 상기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스위치;
    상태바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및 상기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신호강도 식별자;
    알림바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및 상기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인터넷 속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9. 단말 장비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 모듈은,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가속화 식별자는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입구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는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컨트롤은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액세스된 다중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상기 제1 무선랜 기반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고, M 및 N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M개 제2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M개 제2 무선랜은 검출된 무선랜에서 네트워크 신호 강도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처음 M개 무선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K개 무선랜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각 무선랜 식별자는 하나의 무선랜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K개 무선랜 식별자 중의 M개 무선랜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M개 무선랜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무선랜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M개 제2 무선랜은 상기 M개 무선랜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무선랜일 수 있고, K는 M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타겟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무선랜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제1 컨트롤 및 상기 제2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6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6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M개 제2 무선랜 및 상기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장비가 다중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상기 다중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5. 제9항 내지 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비는: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스위치 및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의 스위치;
    상태바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및 전술한 M개 제2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알림바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및 상기 M개 제2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6. 제9항 내지 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컨트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비는:
    관리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스위치 및 상기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스위치;
    상태바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신호강도 식별자 및 상기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신호강도 식별자;
    알림바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무선랜의 인터넷 속도값 및 상기 N개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의 인터넷 속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7.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8.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05923A 2019-09-26 2020-09-15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 KR202200397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918667.2A CN110769524A (zh) 2019-09-26 2019-09-26 一种多网络接入方法及终端设备
CN201910918667.2 2019-09-26
PCT/CN2020/115285 WO2021057545A1 (zh) 2019-09-26 2020-09-15 多网络接入方法及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763A true KR20220039763A (ko) 2022-03-29

Family

ID=6933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923A KR20220039763A (ko) 2019-09-26 2020-09-15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17799A1 (ko)
EP (1) EP4017209A4 (ko)
JP (1) JP7309054B2 (ko)
KR (1) KR20220039763A (ko)
CN (1) CN110769524A (ko)
WO (1) WO2021057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9524A (zh) * 2019-09-26 2020-0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网络接入方法及终端设备
CN111770229B (zh) * 2020-06-02 2022-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连接方式设置方法及装置
CN113840295B (zh) * 2021-09-26 2022-08-09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移动数据网络建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175272B (zh) * 2022-06-06 2023-05-26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家庭多wifi的无线终端连网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5758B2 (ja) 2013-02-25 2017-03-2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ラセッションを設定する方法及び装置
CN106358294B (zh) * 2015-07-14 2021-1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宽带数据传输的管理方法和装置
US10111095B2 (en) * 2016-03-14 2018-10-2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aching a pairwise master key for dropp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onnections to prevent re-authentication
CN107295571A (zh) * 2016-04-01 2017-10-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及其网络提速方法
CN110545281B (zh) * 2016-05-27 2022-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wifi网络的方法及装置
CN106376099A (zh) * 2016-09-18 2017-02-0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lte和wifi网络同时下载文件的方法及系统
CN107635248A (zh) * 2017-09-29 2018-01-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网络加速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224863A (zh) * 2019-05-22 2019-09-10 钛马信息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文件加速下载方法及装置
CN110233937B (zh) * 2019-07-30 2021-06-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769524A (zh) * 2019-09-26 2020-0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网络接入方法及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17799A1 (en) 2022-07-07
CN110769524A (zh) 2020-02-07
EP4017209A1 (en) 2022-06-22
WO2021057545A1 (zh) 2021-04-01
EP4017209A4 (en) 2022-10-05
JP2022547737A (ja) 2022-11-15
JP7309054B2 (ja)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959B1 (ko)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및 단말 장비
WO2021197263A1 (zh) 内容共享方法及电子设备
CN111083684B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KR20220039763A (ko) 다중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단말 장비
CN110062372B (zh) 一种sim卡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10888707A (zh) 一种消息发送方法及电子设备
CN110502287B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终端
CN107592416B (zh) 语音信息发送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959952B (zh) 一种异系统小区的检测方法及终端
WO2021104246A1 (zh) 网络连接方法和电子设备
KR102441850B1 (ko)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
CN109558046B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8668328B (zh) 一种网络切换方法及移动终端
CN111031471A (zh)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及基站
JP7367199B2 (ja) 無線能力識別子伝送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ノード
CN110187808B (zh) 动态壁纸设置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164716A1 (zh) 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2799577A (zh) 一种小窗投屏的方法、终端及存储介质
WO2019047973A1 (zh) 一种终端操作方法及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58686B (zh) 一种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8810262B (zh) 一种应用的配置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13211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1017785A1 (zh) 数据传输方法及终端设备
CN113326012A (zh) 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224732B (zh) 一种天线切换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