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959B1 -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및 단말 장비 - Google Patents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및 단말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959B1
KR102594959B1 KR1020227000099A KR20227000099A KR102594959B1 KR 102594959 B1 KR102594959 B1 KR 102594959B1 KR 1020227000099 A KR1020227000099 A KR 1020227000099A KR 20227000099 A KR20227000099 A KR 20227000099A KR 102594959 B1 KR102594959 B1 KR 102594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network
transmission
srs
terminal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6959A (ko
Inventor
사 장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1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7/061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9Allocation based on distance or geographical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및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그중,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다.

Description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및 단말 장비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7월 8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609648.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및 단말 장비에 관한 것이다.
5세대(5th generation, 5G)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의 개발 및 구축 과정에서 비 독립형 네트워킹(Non-standalone, NSA) 및 독립형 네트워킹(Standalone, SA) 두 가지 네트워킹 방식이 채택된다. 단말 장비가 NSA 네크워크에서 기지국과 통신할 때, 단말 장비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및 5G 뉴 라디오(New Radio, NR)의 이중 연결 모드를 사용하여 통신하려면, LTE 주파수 대역과 NR 주파수 대역이 동시에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단말 장비는 LTE 주파수 대역 시그널링 연결 시의 신호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LTE 주파수 대역의 송신 안테나 스위칭을 수행해야 한다. 동시에, 단말 장비는 NR 주파수 대역의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에 대한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할 때, 기지국에 단말 장비의 채널 품질을 알리기 위해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에도 안테나 스위칭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LTE 주파수 대역과 NR 주파수 대역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여 통신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및 단말 장비를 제공하여,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NR 주파수 대역과 LTE 주파수 대역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여 통신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현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그중,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다.
제2 양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순차적 송신 모듈; 을 포함하되,
그중,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다.
제3 양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양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되, 그중,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다. 이렇게,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제2 네트워크에서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그 다음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여,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피하고,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안테나 자원 경쟁 충돌을 피할수 있어, 통신 품질이 개선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며,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서도 이러한 도면을 기반으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NSA 모드 하의 송신 안테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의 흐름도 3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장비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장비의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고 단지 일부분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되, 그중,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다.
단말 장비는 동시에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제1 네트워크는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어 평면 데이터는 단말 장비와 기지국의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네트워크는 또한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네트워크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NR 네트워크이다.
본 실시예는 NSA 모드 하의 네트워크 아키텍쳐 옵션 3/3A/3X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네트워크 아키텍쳐 옵션에서, 단말 장비와 LTE 네트워크(즉, 제1 네트워크) 사이에는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전송이 있고, 단말 장비와 NR 네트워크(즉, 제2 네트워크) 사이에는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전송만 있다.
단계 102: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한다.
단말 장비가 SRS 순차적 송신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 장비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해야 하고,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은 기지국에 단말 장비 안테나(구체적으로 제2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송신 안테나)의 채널 품질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안테나는 모두 기지국에 SRS를 송신한다.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 시, 제2 네트워크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SRS를 순차적으로 송신하여, 제2 네트워크의 수신 안테나 성능(동일한 주파수로 수신 및 송신)을 얻는다. 즉, 제2 네트워크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 안테나의 채널 품질을 얻는다. 제1 송신 모드는 제2 네트워크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과 관련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송신 모드는 제2 네트워크가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거나, 1T(송신)4R(수신)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또는 1T2R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과 같이 제2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모드를 지시할 수 있고,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위한 안네나 수를 포함한다.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한 후,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을 기지국에 알려 기지국이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단말 장비는 제1 송신 모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 103: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제외한 각 안테나이다.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에 대해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이 수행된다.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가 제1 안테나 집합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과정에서 제1 안테나 집합 중의 안테나에 대해 스위칭을 수행 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안테나 자원 경쟁 충돌을 효과적으로 피할수 있어, 통신 품질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비는 핸드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에서,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되, 그중,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다. 이렇게,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제2 네트워크에서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그 다음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여,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피하고,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안테나 자원 경쟁 충돌을 피할수 있어, 통신 품질이 개선된다.
진일보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그중,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위한 안테나 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안테나 집합 중의 안테나 즉, 제2 네트워크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가능한 안테나에 있어서, 제1 안테나 집합 중의 안테나 정보에 따라,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가 결정된다. 안테나 정보는 안테나가 제2 네트워크의 송신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비는 ANT0, ANT1, ANT2, ANT3, ANT4 총 5개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ANT0는 LTE 주파수 대역(즉, ANT0는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임)을 지원하고, ANT1은 NR 주파수 대역(즉, ANT1는 제2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임)을 지원하고, ANT2/ANT3/ANT4는 LTE 및 NR 주파수 대역(즉, ANT2/ANT3/ANT4는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일 수도 있음)을 모두 지원한다.
LTE 주파수 대역에서 ANT0을 송신 안테나로 선택할 경우, 제1 안테나 집합은 ANT1, ANT2, ANT3, ANT4를 포함한다. NR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을 위해 ANT1, ANT2, ANT3 또는 ANT4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비는 NR 주파수 대역에서 1T4R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구현할 수 있고,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위한 안테나 수가 4임을 지시한다.
그러나 제1 안테나 집합에서 모든 안테나가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할 때, 구체적으로 제1 안테나 집합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가능한 안테나의 수에 따라,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한다.
LTE 주파수 대역에서 ANT2를 송신 안테나로 선택할 경우, 제1 안테나 집합은 ANT0, ANT1, ANT3, ANT4를 포함하고, NR 주파수 대역은 ANT0에서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제1 안테나 집합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가능한 안테나는 ANT1, ANT3, ANT4만 포함한다. 3GPP 프로토콜의 요구에 따라, 이때 NR 주파수 대역은 최대 1T2R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만 구현할 수 있으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위한 안테나 수가 2임을 지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NSA 모드 하의 송신 안테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무선 주파수 프런트 엔드 모듈, 스위치 모듈, 안테나를 포함하되, 그중,
안테나는 ANT0, ANT1, ANT2, ANT3, ANT4 총 5개의 안테나로 나뉘고, ANT0는 LTE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고, ANT1은 NR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고, ANT2/ANT3/ANT4는 LTE 주파수 대역 및 NR 주파수 대역을 모두 지원한다.
스위치 모듈에는 LTE 송수신 0, NR 수신 2, LTE 수신 1/NR 수신 3, LTE 수신 2/NR 송수신 0, LTE 수신 3/NR 수신 1과 같이 각각 5개의 입력과 5개의 출력이 있고, 스위치 모듈을 통해 ANT0, ANT1, ANT2, ANT3, ANT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LTE 송수신 0이 ANT0과 연결되는 경우, NR 주파수 대역의 송신은 ANT1, ANT2, ANT3, ANT4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즉, NR 주파수 대역의 1T4R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구현할 수 있다.
LTE 송수신 0이 ANT2와 연결되는 경우, LTE의 우선순위가 NR보다 높기 때문에, NR 주파수 대역의 송신은 ANT1, ANT3, ANT4 사이에서만 스위칭될 수 있고, 3GPP 프로토콜의 요구에 따르면, 이때 NR 주파수 대역은 최대 1T2R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만 구현할 수 있다. 즉, ANT1, ANT3, ANT4 중 임의의 2개 안테나 사이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한다.
LTE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 장비가 서로 다른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NR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즉, 단말 장비는 LTE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NR 주파수 대역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을 결정하여,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피할 수 있다.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은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수에 의해 반영될 수 있으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될 수 있는 안테나의 수가 많을수록,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이 강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그중,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안테나 수를 포함한다. 이렇게,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제2 네트워크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송신 모드를 결정하여,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피하고,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안테나 자원 경쟁 충돌을 피할수 있어, 통신 품질이 개선된다.
진일보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 N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서 N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그중, 상기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제1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 N은 제1 안테나 집합 중의 안테나 수보다 작거나 같다. 예를 들어, 단말 장비는 ANT0, ANT1, ANT2, ANT3, ANT4 총 5개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ANT0는 LTE 주파수 대역(즉, ANT0는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임)을 지원하고, ANT1은 NR 주파수 대역(즉, ANT1는 제2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임)을 지원하고, ANT2/ANT3/ANT4는 LTE 및 NR 주파수 대역(즉, ANT2/ANT3/ANT4는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일 수도 있음)을 모두 지원한다.
LTE 주파수 대역에서 ANT0을 송신 안테나로 선택할 경우, 제1 안테나 집합은 ANT1, ANT2, ANT3, ANT4를 포함한다. NR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을 위해 ANT1, ANT2, ANT3 또는 ANT4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비는 NR 주파수 대역에서 1T4R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구현할 수 있고,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위한 안테나 수가 4임을 지시하며, 제1 송신 모드에 의해 지시된 안테나 수 N은 제1 안테나 집합 중의 안테나 수와 같다. 단말 장비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구현하기 위해 ANT1, ANT2, ANT3, ANT4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LTE 주파수 대역에서 ANT2를 송신 안테나로 선택할 경우, 제1 안테나 집합은 ANT0, ANT1, ANT3, ANT4를 포함하고, NR 주파수 대역은 ANT0에서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제1 안테나 집합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가능한 안테나는 ANT1, ANT3, ANT4만 포함한다. 3GPP 프로토콜의 요구에 따라, 이때 NR 주파수 대역은 최대 1T2R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만 구현할 수 있으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위한 안테나 수가 2임을 지시하며, 제1 송신 모드에 의해 지시된 안테나 수 N은 제1 안테나 집합 중의 안테나 수보다 작다. 단말 장비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구현하기 위해 ANT1, ANT3, ANT4 중에서 임의의 2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 N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서 N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되, 그중, 상기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제2 네트워크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송신 모드를 결정하여,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피하고,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안테나 자원 경쟁 충돌을 피할수 있어, 통신 품질이 개선된다.
진일보로,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 103 이후에,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104: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성능 관련 통신 파라미터 값이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제1 안테나로 스위칭하되,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 스위칭 이전에 사용된 송신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현재 제1 네트워크에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성능 관련 통신 파라미터 값이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단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연결이 불안정함을 나타내고, 단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단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서 현재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제1 안테나로 스위칭한다. 통신 파라미터는 전송 속도 또는 신호 품질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에서 송신 안테나 스위칭 수행 시, 현재 사용되는 안테나를 단말 장비의 임의의 안테나로 스위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송신 안테나 스위칭 수행시, 제1 네트워크의 스위칭 우선순위는 제2 네트워크의 스위칭 우선순위보다 높으며, 제1 네트워크는 송신 안테나를 제2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로 스위칭할 수 있다.
진일보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제1 안테나로 스위칭하는 단계 이후에,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 105: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 집합을 결정하되, 그중,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다.
제1 네트워크에서 송신 안테나를 제1 안테나로 스위칭한 후, 제2 네트워크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사용가능한 안테나를 다시 결정해야 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 집합을 결정한다.
단계 106: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2 송신 모드를 결정하되,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위한 안테나 수를 포함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제2 안테나 집합 중의 안테나의 수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2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안테나 수를 포함한다. 제2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는 제2 안테나 집합 중의 안테나의 수보다 작거나 같다.
단계 107: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가 서로 다른 경우, 기지국에 제2 송신 모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의 수가 변경되는 경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을 기지국에 알려 기지국이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말 장비는 제2 송신 모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 108: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한다.
단말 장비는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SRS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여,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피하고,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안테나 자원 경쟁 충돌을 피할수 있어, 통신 품질이 개선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비는 ANT0, ANT1, ANT2, ANT3, ANT4 총 5개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ANT0는 LTE 주파수 대역(즉, ANT0는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임)을 지원하고, ANT1은 NR 주파수 대역(즉, ANT1는 제2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임)을 지원하고, ANT2/ANT3/ANT4는 LTE 및 NR 주파수 대역(즉, ANT2/ANT3/ANT4는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일 수도 있음)을 모두 지원한다.
현재 LTE 주파수 대역에서 ANT0을 송신 안테나로 선택할 경우, 제1 안테나 집합은 ANT1, ANT2, ANT3, ANT4를 포함한다. NR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을 위해 ANT1, ANT2, ANT3 또는 ANT4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비는 NR 주파수 대역에서 1T4R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구현할 수 있고,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위한 안테나 수가 4임을 지시하며, 이때 단말 장비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구현하기 위해 ANT1, ANT2, ANT3, ANT4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 LTE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안테나를 스위칭하여 ANT2를 송신 안테나(즉, ANT2는 제1 안테나임)로 사용하는 경우, 제2 안테나 집합은 ANT0, ANT1, ANT3, ANT4를 포함한다. 이 경우, NR 주파수 대역이 ANT0에서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제2 안테나 집합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가능한 안테나는 ANT1, ANT3, ANT4만 포함된다. 3GPP 프로토콜의 요구에 따르면, 이때 NR 주파수 대역은 최대 1T2R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만 구현할 수 있으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위한 안테나 수가 2임을 지시하며, 단말 장비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구현하기 위해 ANT1, ANT3, ANT4 중에서 임의의 2개를 선택하여 스위칭할 수 있다.
LTE 주파수 대역과 NR 주파수 대역이 송신 안테나 자원을 경쟁할 때, LTE 주파수 대역의 정상적인 통신 요구사항을 보장하기 위해, NR 주파수 대역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을 낮출 수 있다.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은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수에 의해 반영될 수 있으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수가 많으면,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이 강하고,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수가 적으면,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이 약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성능 관련 통신 파라미터 값이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현재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제1 안테나로 스위칭한 후,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 집합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2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가 서로 다른 경우, 기지국에 제2 송신 모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한다. 이렇게, 제1 네트워크에서 송신 안테나 스위칭이 수행된 후, 단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제2 네트워크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송신 모드를 다시 결정하고, 그 다음 새로 결정된 송신 모드에 따라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여,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피하고,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안테나 자원 경쟁 충돌을 피할수 있어, 통신 품질이 개선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의 안테나 스위칭 과정은 아래와 같다.
단계 11: 기지국과의 통신 연결을 확립한다.
단계 12: 단말 장비가 LTE 네트워크와 NR 네트워크의 이중 네트워크 모드에서 작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장비의 작동 모드를 검출한다.
단계 13: 단말 장비는 NSA 모드에서 작동한다.
단계 14: 현재 NSA 모드의 네트워크 아키텍쳐 옵션을 검출하고, 네트워크 아키텍쳐는 Option3/3A/3X이다;
단계 15: 단말 장비는 기지국에 자신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을 보고하되, 해당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은 LTE 네트워크에서 현재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결정된다.
단계 16: LTE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고 송신 안테나 스위칭이 필요한 것으로 검출되면, 단계 17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19를 수행한다.
단계 17: LTE 주파수 대역의 송신 안테나 스위칭을 수행한다.
단계 18: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능력은 LTE 네트워크 스위칭된 후의 송신 안테나에 따라 결정되며, 변화가 있을 경우, 단계 15를 수행하고, 변화가 없을 경우, 단계 19를 수행한다.
단계 19: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장비의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단말 장비(400)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401);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402);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순차적 송신 모듈(403); 을 포함하되,
그중,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다.
진일보로, 상기 제2 결정 모듈(402)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서브 모듈;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진일보로, 상기 제1 순차적 송신 모듈(403)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의해 지시된 안테나 수 N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서 N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그중, 상기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진일보로, 단말 장비(400)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성능 관련 통신 파라미터 값이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제1 안테나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 스위칭 이전에 사용된 송신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 중 하나이다.
진일보로, 단말 장비(400)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 집합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모듈 -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임 - ;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2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 모듈;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가 서로 다른 경우, 기지국에 제2 송신 모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순차적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단말 장비(4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구현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 장비(400)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되, 그중,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다. 이렇게,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제2 네트워크에서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그 다음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여,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피하고,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안테나 자원 경쟁 충돌을 피할수 있어, 통신 품질이 개선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말 장비의 구성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비(600)는, 무선 주파수 장치(601), 네트워크 모듈(602), 오디오 출력 장치(603), 입력 장치(604), 센서(605), 디스플레이 장치(606), 사용자 입력 장치(607), 인터페이스 장치(608), 메모리(609), 프로세서(610), 및 전원(611)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도 6에 도시된 단말 장비의 구조가 단말 장비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 장비는 도에 도시된 부품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부품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한다.
그중, 프로세서(610)는,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그중,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다.
진일보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진일보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의해 지시된 안테나 수 N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서 N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그중, 상기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진일보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성능 관련 통신 파라미터 값이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제1 안테나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 스위칭 이전에 사용된 송신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 중 하나이다.
진일보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 집합 -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임 - 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2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의해 지시된 안테나 수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의해 지시된 안테나 수가 서로 다른 경우, 기지국에 제2 송신 모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장비(6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구현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 장비(600)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되, 그중,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다. 이렇게,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제2 네트워크에서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그 다음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여,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수행 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피하고,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안테나 자원 경쟁 충돌을 피할수 있어, 통신 품질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601)는 정보의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610)에 전달하여 처리한다. 이외에, 상향 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6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6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603)는 무선 주파수 장치(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에 의해 전송되거나 메모리(6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고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603)는 단말 장비(600)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도 제공할 수 있다(예: 호출 신호 전송음, 메시지 전송음 등). 오디오 출력 장치(603)는 스피커, 버저,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6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장치(604)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6041) 및 마이크로폰(6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장치(6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6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6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6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6042)은 소리를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무선 주파수 장치(6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에 전송될 수 있는 양식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장비(600)에는 예컨대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605)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6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단말 장비(600)가 귀 가까이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6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장비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6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6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606)는 디스플레이 패널(6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6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6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 장비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607)는 터치 패널(6071) 및 기타 입력 장치(6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6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6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중, 상기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6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6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6071)은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607)는 터치 패널(6071) 외에도 기타 입력 장치(6072)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6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6071)은 디스플레이 패널(60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6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610)에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6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6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비록 도 6에서 터치 패널(6071)과 디스플레이 패널(6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 단말 장비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6071)과 디스플레이 패널(6061)을 통합시켜 단말 장비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인터페이스 장치(608)는 외부 장치와 단말 장비(60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포트, 비디오 입력/출력(I/O)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608)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 데이터 정보, 전원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 장비(600)의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단말 장비(600)와 외부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6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6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0)는 단말 장비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이용하여 전체 단말 장비의 여러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6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수행하고 메모리(6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 장비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단말 장비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처리 장치가 통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며, 모뎀 처리 장치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6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 장비(600)는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611)(예: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전원(6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6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비(60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610), 메모리(609), 메모리(6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6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 또는 이것이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 ROM/RAM, 마그네틱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에 저장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예: 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네트워크 장비 등)에 몇몇 지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특정 구현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특정 구현 방식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본 발명의 계시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주지와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다양한 양태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며,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제1 안테나 집합 중의 안테나 정보에 따라,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 N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서 N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성능 관련 통신 파라미터 값이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제1 안테나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가 핸드오버되기 전에 사용된 송신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제1 안테나로 스위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 집합 -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임 - 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2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가 서로 다른 경우, 기지국에 제2 송신 모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5. 단말 장비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순차적 송신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단말 장비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이며,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서브 모듈;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제1 안테나 집합 중의 안테나 정보에 따라,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1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차적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 N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집합에서 N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성능 관련 통신 파라미터 값이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제1 안테나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네트워크가 핸드오버되기 전에 사용된 송신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안테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 집합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모듈 -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은 상기 단말 장비에 포함된 상기 이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중 상기 제1 안테나 이외의 각 안테나임 - ;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의 제2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 모듈;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포함되는 안테나 수가 서로 다른 경우, 기지국에 상기 제2 송신 모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 집합을 사용하여 상기 SRS 안테나 순차적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순차적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9.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27000099A 2019-07-08 2020-07-01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및 단말 장비 KR102594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09648.1A CN110149132B (zh) 2019-07-08 2019-07-08 一种发射天线的切换方法及终端设备
CN201910609648.1 2019-07-08
PCT/CN2020/099717 WO2021004350A1 (zh) 2019-07-08 2020-07-01 发射天线的切换方法及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959A KR20220016959A (ko) 2022-02-10
KR102594959B1 true KR102594959B1 (ko) 2023-10-26

Family

ID=6759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099A KR102594959B1 (ko) 2019-07-08 2020-07-01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및 단말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48773B2 (ko)
EP (1) EP3998713A4 (ko)
JP (1) JP7326577B2 (ko)
KR (1) KR102594959B1 (ko)
CN (1) CN110149132B (ko)
WO (1) WO2021004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9132B (zh) * 2019-07-08 2021-07-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发射天线的切换方法及终端设备
CN110581712B (zh) * 2019-08-29 2021-06-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确定方法及终端设备
CN110572178B (zh) * 2019-09-06 2021-09-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射频结构、射频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649952B (zh) * 2019-09-10 2022-11-08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533257B (zh) * 2019-09-18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发送装置、方法及电子设备
CN112564871B (zh) * 2019-09-26 2023-05-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Srs轮发配置信息的上报、配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3453237B (zh) * 2020-03-25 2023-04-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轮发的方法及装置
CN111654316B (zh) * 2020-05-22 2022-01-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824482B (zh) * 2020-06-19 2023-09-19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天线切换方法、设备及移动终端
CN112152644B (zh) * 2020-09-15 2022-05-27 深圳市广和通无线股份有限公司 Srs发射切换电路、通信模块及通信终端
CN113055030B (zh) * 2020-12-31 2022-11-01 芯讯通无线科技(上海)有限公司 探测参考信号传输电路、方法、装置、终端、基站、设备及介质
US11588600B2 (en) * 2021-01-25 2023-02-21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election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 antenna switching
WO2022198513A1 (zh) * 2021-03-24 2022-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开关装置、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3437993B (zh) * 2021-05-11 2023-08-08 荣耀终端有限公司 射频电路和控制方法
CN113950167B (zh) * 2021-10-14 2024-02-13 航天新通科技有限公司 一种大功率5g专网终端
CN114465701A (zh) * 2022-01-20 2022-05-1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的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4783486B (zh) * 2022-06-21 2022-08-26 北京大学 一种基于1t2r阻变存储器阵列的存内计算加速器及其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7289A (zh) 2017-08-30 2018-02-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多天线控制方法、多天线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80368082A1 (en) 2017-06-16 2018-12-20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coexistent radio systems in a wireless device
US20190052328A1 (en) 2017-08-11 2019-02-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rs antenna switching in carrier aggregation
CN109361444A (zh) * 2018-11-30 2019-02-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发射天线的切换方法及终端设备
CN109861734A (zh) 2019-03-28 2019-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系统、天线切换控制方法、相关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9058B (en) 2007-02-02 2011-10-26 Lg Electronics Inc Antenna switching method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for the same
US8055301B2 (en) * 2007-08-06 2011-11-0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Wireless networks incorporating implicit antenna selection based on received sounding reference signals
US8938247B2 (en) 2009-04-23 2015-01-20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for coordinated multi-point operation
KR101318572B1 (ko) 2012-02-29 2013-10-16 주식회사 팬택 다중 대역 안테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287954B2 (en) * 2013-09-30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 antenna switching
RU2707744C1 (ru) * 2016-10-11 2019-11-29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адаптации srs-коммутации с учетом процедуры измерений
US10389428B2 (en) 2016-11-23 2019-08-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witching between a single antenna subarray operation and a multiple antenna subarray operation for different traffic types
WO2018143851A1 (en) * 2017-02-02 2018-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wireless device, a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handling beamformed communication lin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9802801B (zh) 2017-11-17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装置和系统
US11018822B2 (en) * 2018-02-21 2021-05-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8512568A (zh) * 2018-03-16 2018-09-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多路选择开关及相关产品
CN108923790B (zh) * 2018-06-29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多路选择开关、射频系统和无线通信设备
CN108964677B (zh) 2018-07-23 2020-12-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系统、天线切换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9474291B (zh) * 2018-11-30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射频结构及终端设备
CN110149132B (zh) * 2019-07-08 2021-07-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发射天线的切换方法及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68082A1 (en) 2017-06-16 2018-12-20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coexistent radio systems in a wireless device
US20190052328A1 (en) 2017-08-11 2019-02-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rs antenna switching in carrier aggregation
CN107707289A (zh) 2017-08-30 2018-02-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多天线控制方法、多天线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361444A (zh) * 2018-11-30 2019-02-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发射天线的切换方法及终端设备
CN109861734A (zh) 2019-03-28 2019-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系统、天线切换控制方法、相关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8919A (ja) 2022-09-06
EP3998713A1 (en) 2022-05-18
CN110149132A (zh) 2019-08-20
US11848773B2 (en) 2023-12-19
JP7326577B2 (ja) 2023-08-15
WO2021004350A1 (zh) 2021-01-14
EP3998713A4 (en) 2022-11-02
US20220123857A1 (en) 2022-04-21
CN110149132B (zh) 2021-07-20
KR20220016959A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959B1 (ko) 송신 안테나의 스위칭 방법 및 단말 장비
CN109361444B (zh) 一种发射天线的切换方法及终端设备
CN109067418B (zh) 一种天线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20220167240A1 (en) Relay reselection method, device, and medium
US11729680B2 (en) Cell management method, trigger condition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side device
CN110299936B (zh) 一种发射天线的切换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565078B (zh) 频分双工模式的信道检测方法、射频电路及电子设备
CN110190916B (zh) 一种功率检测电路及终端
CN110289883B (zh) 一种射频电路、终端设备及电路控制方法
WO2022206810A1 (zh) 业务处理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0505638B (zh) 测量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0831041A (zh) 小区波束失败处理方法、移动通信终端和网络侧设备
CN112788676B (zh) 小区管理方法、小区管理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US20200252966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user equipment
CN109195191B (zh) 一种小区重选控制方法及终端
CN110958710B (zh) 信道接入方法、配置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30354065A1 (en) Cell Management Method, Trigger Condition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Side Device
US20220110036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CN108419283B (zh) 一种wifi热点扫描的方法及移动终端
US20230345321A1 (en) Cell management method, trigger condition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side device
CN110673761B (zh) 一种触摸按键的检测方法及其终端设备
CN110224732B (zh) 一种天线切换方法及终端设备
KR20220028094A (ko) 상향링크 송신 폐기 방법, 상향링크 송신 폐기 구성 방법 및 관련 장비
CN109286414B (zh) 一种天线确定方法和终端
US20220385347A1 (en) Beam reporting method, network node,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