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865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865A
KR20220037865A KR1020200120832A KR20200120832A KR20220037865A KR 20220037865 A KR20220037865 A KR 20220037865A KR 1020200120832 A KR1020200120832 A KR 1020200120832A KR 20200120832 A KR20200120832 A KR 20200120832A KR 20220037865 A KR20220037865 A KR 20220037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e
user
context information
i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혁
김상아
가기환
김선형
이서연
한나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865A/ko
Priority to PCT/KR2021/010303 priority patent/WO2022059913A1/ko
Publication of KR2022003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865A/ko
Priority to US18/114,308 priority patent/US2023022213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5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con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92Nutr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레시피가 선택되면,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고, 수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최근 수년 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TV, 스마트 폰 뿐 아니라 가전 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반영한 다양한 맞춤형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한 레시피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고 있으나, 가장 기본적인 식품 기호 만이 반영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우선 순위를 적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레시피(recipe)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고, 상기 수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1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가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2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항목을 우선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에 포함된 항목 간 유사도에 기초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통합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공통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레시피 항목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상이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레시피 항목을 획득하고, 상기 공통 레시피 항목 및 상기 추가 레시피 항목에 기초하여 획득된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기피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재료를 대체하여 상기 레시피를 수정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호 재료 정보 및 상기 수정된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제1 조리 기기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제2 조리 기기의 타입이 상이한 경우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을 상기 제2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으로 수정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질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질문 정보에 대한 답변 정보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답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 정보, 양 정보, 조리 기기 정보 또는 조리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는, 선호 재료 정보, 기피 재료 정보, 칼로리 정보, 조리 시간 정보, 보유 재료 정보 또는 가족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 레시피(recipe)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1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가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2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항목을 우선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에 포함된 항목 간 유사도에 기초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통합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공통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레시피 항목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상이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레시피 항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공통 레시피 항목 및 상기 추가 레시피 항목에 기초하여 획득된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기피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재료를 대체하여 상기 레시피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호 재료 정보 및 상기 수정된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제1 조리 기기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제2 조리 기기의 타입이 상이한 경우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을 상기 제2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으로 수정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 정보, 양 정보, 조리 기기 정보 또는 조리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 레시피(recipe)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를 반영하여 수정된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컨텍스트의 우선 순위를 반영하여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보유 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유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를 수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맞춤형 레시피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맞춤형 레시피 생성을 위한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생성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생성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100, 100-1, 100-2)는 다양한 루트로 획득된 레시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전자 장치(100, 100-1, 100-2)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 100-1, 100-2)는 냉장고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가전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 100-1, 100-2)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을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레시피가 검색되면, 검색된 레시피가 전자 장치(100, 100-1, 100-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순히 검색된 레시피가 제공되지 않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수정된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 및 프로세서(13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비자발광 소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마이크로 LED(micro LED), Mini LED, PDP(Plasma Display Panel),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4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NPU (Neural Processing Unit),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정보, 사용자의 가족 구성원과 관련된 정보, 사용자의 보유 기기 및/또는 보유 식재료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 정보는 선호 재료(선호 식재료) 정보, 기피 재료(기피 식재료) 정보, 칼로리 정보, 조리 시간 정보, 보유 재료(보유 식재료) 정보 또는 가족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칼로리 정보는 재료 별 칼로리 정보, 사용자의 제한 칼로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공되는 UI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질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UI를 통해 질문 정보에 대한 답변 정보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답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UI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또는 웹 브라우저 화면 등 다양한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UI 화면은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는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다양한 활동 자료(예를 들어, SNS 사진, 문자 메시지, 구매 내역 영수증) 등을 분석하여 획득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타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SNS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거나, 수신되는 경우 해당 컨텍스트 정보를 각 사용자 별로 맵핑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컨텍스트 각각의 우선 순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되거나,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프로세서(130)가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기피 재료 정보에 최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조리 시간 정보에 최하위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전자 장치(100)의 내부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해당 정보는 외부 서버(미도시)에 저장되고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레시피(recipe)가 선택되면,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고 수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는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120) 화면 상에서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웹 브라우저 화면 등 다양한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 정보, 양 정보, 조리 기기 정보 또는 조리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레시피 내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1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가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2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1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항목을 우선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 항목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예를 들어, 기피 재료 정보 및 선호 재료 정보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기피 재료 정보의 우선 순위가 선호 재료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기피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재료 항목을 우선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1 컨텍스트 정보를 적용한 후 제2 컨텍스트 정보를 적용하기에 문제가 없는 경우 제2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특정 항목을 추가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30)는 제1 컨텍스트 정보 및 제2 컨텍스트 정보를 함께 적용할 수 없는 경우라면 우선 순위가 낮은 제2 컨텍스트 정보는 레시피 수정에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는 식사 구성원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가 통합된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에 포함된 항목 간 유사도에 기초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1 및 제2 사용자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또는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중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여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사용자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중 하나를 통합 맞춤형 레시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통합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UI는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또는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에 포함된 항목 중 일부 항목을 수정하기 위한 메뉴,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또는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에 포함된 일부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한 메뉴 등 다양한 메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공통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레시피 항목를 획득하고, 제1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 및 제2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 중 상이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레시피 항목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공통 레시피 항목 및 추가 레시피 항목에 기초하여 획득된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사용자의 공통된 선호 재료 정보 또는 기피 선호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레시피 항목를 획득하고, 제1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 및 제2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 중 상이한 선호 재료 정보 또는 기피 선호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레시피 항목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 중 구성원 1은 위염으로 인해 맵고, 짜고, 자극적인 맛을 기피하고, 안 매운 맛을 선호가는 반면, 구성원 2, 3은 매운맛을 선호하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매운맛을 내는 식재료를 구성원 1에 맞춘 공통 레시피를 생성하고, 매운맛을 내는 식재료를 구성원 2 및 3에 맞춘 추가 레시피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구성원 1의 레시피에 맞추어 3인분을 조리하다가, 구성원 1의 양을 덜어내고, 매운맛을 내는 식재료를 첨가하여 구성원 2, 3의 맞춤형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기피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재료를 대체하여 레시피를 수정하고, 제1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선호 재료 정보 및 수정된 레시피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레시피(크림 파스타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가 우유, 계란, 파스타면, 베이컨이고, 식사 구성원이 구성원 1 및 구성원 2이고, 구성원 1은 우유 알러지가 있고 새우를 선호하며, 구성원 2는 밀가루 알러지가 있고 돼지고기를 선호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우유 및 파스타면을 두유 및 두부면으로 대체하여 레시피를 수정하여 공통 레시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베이컨을 구성원 1의 선호 식재료인 새우로 대체하여 구성원 1에 대응되는 추가 레시피 1를 생성하고, 구성원 2에 대해서는 베이컨을 유지하여 구성원 1에 대응되는 추가 레시피 2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공통 레시피에 기초하여 2인분을 조리하고, 추가 레시피 1에 기초하여 조리된 2인분 중 1인분에 새우를 추가하여 구성원 1에 대응되는 요리를 완성하고, 추가 레시피 1에 기초하여 조리된 2인분 중 나머지 1인분에 베이컨을 추가하여 구성원 2에 대응되는 요리를 완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보유한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제1 조리 기기의 타입과 사용자가 보유한 제2 조리 기기의 타입이 상이한 경우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제1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을 제2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으로 수정하여 선택된 레시피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조리 기기는 오븐이고, 사용자가 보유한 조리 기기는 에어 프라이어인 경우, 선택된 레시피에서 기기(Appliance) 항목에 해당하는 오븐을 에어 프라이어로 수정하고, 조리 온도, 조리 모드 또는 조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대응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조리 기기 별 온도, 조리 모드, 조리 시간 등 조리 방법의 변환과 관련된 다양한 항목이 맵핑된 룩업 테이블이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해당 룩업 테이블을 실시간으로 수신돨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변환 수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좌측에 도시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에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적용하여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식성향 정보 및 서빙 사이즈 정보를 반영하여 재료(Ingredient) 항목을 수정하고, 사용자가 보유한 조리 기기 정보를 반영하여 기기(Appliance) 항목을 수정하고, 수정된 재료 항목 및 기기 항목을 반영하여 인스트럭션(Instruction) 항목을 수정하고, 수정된 항목들을 포함한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컨텍스트의 우선 순위를 반영하여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가 Avoidance > Diet restriction > food list(보유 재료) > famliy size 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도 4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Avoidance에 해당하는 아이템인 milk를 soybean milk로 수정하고(S410), 그 다음 우선 순위인 Diet restriction에 해당하는 egg를 tofu로 수정할 수 있다(S420). 이어서, 그 다음 우선 순위인 food list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지 않은 아이템인 1 lime 을 lime juice 5 ts(teaspoon)으로 수정할 수 있다(S430).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그 다음 우선 순위인 famliy size에 기초하여 각 식재료의 양을 수정할 수 있다(S440).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보유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Appliance) 항목에 해당하는 오븐(oven)을 전자렌지(microwave)로 수정할 수 있다(S450).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수정된 재료 항목 및 기기 항목을 반영하여 인스트럭션(Instruction) 항목을 수정하고(S460), 수정된 항목들을 포함한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보유 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보유 기기(40, 50, 60)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다양한 IoT (Internet of Things) 기기일 수 있다.
서버(200)는 서버(200)에 등록된 다양한 기기(가령, 가전 기기 및 IoT(Internet of Things) 기기 등)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 별로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계정을 입력하여, 입력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버(200)에 로그인 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은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모드로 동작하는 가전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액세스 포인트(300)(즉, 와이파이(Wi-Fi)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보유 기기(40, 50, 6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은 연결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리스트를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보유 기기(40, 50, 6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보유 기기(40, 50, 6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사용자의 보유 기기(40, 50, 60)가 접속되면,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사용자의 보유 기기(40, 50, 60)를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보유 기기(40, 50, 60)가 사용자 계정에 등록되면, 서버(200)는 보유 기기(40, 50, 6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1OO)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보유 기기(40, 50, 60)에 대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명령을 보유 기기(40, 50, 6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현되는 전자 장치(100)은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거나, 또는, LTE, 5G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200)로 사용자의 보유 기기(40, 50, 6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유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를 수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에서는 오리지널레시피에서 사용자 보유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를 수정하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보유 기기 정보는 도 5에 따른 시스템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도 5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오리지널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 안내 및 조리 단계 안내(S610, S620)에 기초하여 조리 단계에서 조리 기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S630). 오리지널 레시피에서 조리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S630:Y), 사용자 보유 기기를 체크하여(S640) 조리 단계를 수정할 수 있다(S650). 예를 들어, 오리지날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가 박력분, 설탕, 베이킹 파우더, 버터이고, 조리 단계가 반죽 및 한시간 냉장 휴지, 직화 오븐 190도, 20분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조리 기기가 이용되는 경우이므로 사용자 보유 기기에 직화 오븐이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사용자 보유 기기 정보에 토스터 및 에어 프라이어 만 포함되어 있고, 직화 오븐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보유 기기에 기초하여 해당 조리 단계를 "토스터 200도, 20분" 또는/및 "에어프라이어 210도, 20분"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대상 항목을 대체할 수 있는 항목이 복수 개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항목 중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거나, 복수의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할 있는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보유 기기에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대상 항목을 상대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기기(예를 들어, 에어프라이어)에 해당하는 항목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가 오리지널 레시피에 포함된 "직화 오븐 190도, 20분"를 사용자가 보유한 에어프라이어에 대응되는 항목으로 수정하는 경우, 기 저장된 변환 테이블 또는 변환 수식을 이용하여 에어프라이어에 대응되는 온도 및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각 조리 기기 별 온도, 조리 모드, 조리 시간 등 조리 방법의 변환과 관련된 다양한 항목이 맵핑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보유 기기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보유 조리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관리/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조리 기기가 hood, induction, air fryer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오리지널 레시피에 포함된 "Gas range 약불에서 10분간 볶음"을 "Induction에서 power level 2 단계로 8분 볶음"으로 수정하고, "Oven 200도, 30분"을 "Air fryer에서 230도, 30분"으로 수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맞춤형 레시피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A 및 사용자 B의 컨텍스트 정보를 반영하여 레시피를 수정하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컨텍스트 정보가 기피 재료 정보로서 '우유 알러지'이고, 사용자 B의 컨텍스트 정보가 선호 재료 정보로서 '저탄수화물/고단백 선호'인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A의 컨텍스트 정보를 반영하여 식재료 milk를 soybean milk로 변경하고, 사용자 B의 컨텍스트 정보를 반영하여 식재료 pasta noodle을 tofu noodle로 변경하여 선택된 레시피를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로 수정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기피 재료 정보 및 선호 재료 정보를 반영하는 경우는 예를 든 것이며, 그 밖에 다양한 컨텍스트 정보가 반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서빙 사이즈, 사용자 보유 기기 등의 정보가 반영되어 선택된 레시피가 추가적으로 수정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맞춤형 레시피 생성을 위한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레시피(811, 812) 및 해당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821, 822)를 포함하는 UI 화면(81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레시피 중 레시피 A가 대응되는 버튼(821)를 통해 선택되면, 선택된 레시피 A가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830)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레시피(841, 842) 및 해당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851, 852)를 포함하는 UI 화면(84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레시피가 대응되는 버튼(853)을 통해 선택되면, 레시피 A 및 레시피 B가 통합된 레시피 C가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860)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레시피 C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질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UI를 제공하고, 해당 UI를 통해 질문 정보에 대한 답변 정보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답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a에 따르면, 처음으로 제공되는 UI 화면은 사용자의 선호 식재료를 문의하는 UI(910) 및 각 식재료의 예시를 포함하는 UI(9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두 개의 식재료(921, 922)가 선호 식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공되는 UI 화면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활 타입을 문의하는 UI(920) 및 각 식생활 타입의 예시를 포함하는 UI(9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세 개의 식생활 타입(941, 942, 943)이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공되는 UI 화면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피 식재료를 문의하는 UI(950) 및 각 기피 식재료의 예시를 포함하는 UI(9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세 개의 식재료(961, 962, 963)가 기피 식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공되는 UI 화면은 도 9d에 도시된 바와 식사 구성원의 사이즈를 문의하는 UI(970) 및 구성원 타입 별 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UI(9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원 타입은 Adults 및 Kid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부족한 식재료의 구매를 가이드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레시피에 필요한 재료 중 일부 재료, 예를 들어 우유가 부족한 경우, 해당 재료가 부족함을 가이드 하는 UI(1011) 및 해당 재료를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에 연결가능한 버튼(1012)를 포함하는 UI 화면(101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버튼(1012)을 선택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이트(1020)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냉장고(40)로부터 수신된 우유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우유 양을 확인하고, 레시피에 포함된 우유 양과 비교하여 우유 양이 부족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웹 사이트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프로세서(130)가 사용자가 자주 접속하는 마트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디스플레이(120), 프로세서(130), 스피커(140), 통신 인터페이스(150), 사용자 인터페이스(160), 입출력 인터페이스(170) 및 위치 센서(180)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그래픽 처리 기능(비디오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스피커(14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7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에 대응되는 정보 또는 각종 알림을 오디오 형태로 출력하도록 스피커(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레시피 또는 수정 레시피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 형태로 출력하도록 스피커(14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네트워크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AP 장치(도 1, 20)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AP 장치(300) 및 전자 장치(100) 간 통신 네트워크는 Wi-Fi 네트워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 파이 모듈은 802.11a, 802.11b, 802.11g, 802.11n 중 802.11ac 적어도 하나의 규격 버전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버전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기술 등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레시피 또는 수정 레시피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전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7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70)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 할 수 있다.
위치 센서(180)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위치 센서(18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음성 명령 형태로 입력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S2110),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한다(S1220). 여기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는, 선호 재료 정보, 기피 재료 정보, 칼로리 정보, 조리 시간 정보, 보유 재료 정보 또는 가족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레시피(recipe)가 선택되면(S1230),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S1240).
이 후, 수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5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S1240 단계에서는, 선택된 레시피 내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1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가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2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1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항목을 우선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S1240 단계에서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에 포함된 항목 간 유사도에 기초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S1250 단계는,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통합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S1240 단계에서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공통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레시피 항목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상이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레시피 항목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S1250 단계에서는, 공통 레시피 항목 및 추가 레시피 항목에 기초하여 획득된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S1240 단계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기피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재료를 대체하여 레시피를 수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경우,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S1250 단계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호 재료 정보 및 수정된 레시피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보유한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S1240 단계에서는,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제1 조리 기기의 타입과 사용자가 보유한 제2 조리 기기의 타입이 상이한 경우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제1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을 제2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으로 수정하여 선택된 레시피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S1240 단계에서는,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 정보, 양 정보, 조리 기기 정보 또는 조리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질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UI를 통해 질문 정보에 대한 답변 정보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답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생성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생성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시피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기피 재료 정보, 선호 재료 정보, 서빙 사이즈 순으로 우선 순위가 낮아지는 것으로 상정하도록 한다.
도 13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레시피가 선택되면(S1310), 레시피에 사용자의 기피 식재료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1320). 레시피에 기피 식재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S1320:Y), 프로세서(130)는 보유 식재료 기반으로 제1 대체 식재료 후보를 리스트 업 할 수 있다(S1330). 예를 들어, 선택된 레시피(크림 파스타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가 우유, 계란, 파스타면, 베이컨이고, 식사 구성원이 구성원 1 및 구성원 2이고, 구성원 1은 우유 알러지가 있고, 구성원 2는 밀가루 알러지가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우유의 대체 식재료로 두유를, 파스타면의 대체 식재료로 곤약 및 두부면을 리스트 업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보유 식재료를 기반으로 대체 식재료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 중 선호 식재료로 대체 가능한 식재료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1340), 선호 식재료로 대체 가능한 식재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S1340:Y), 전자 장치(100)는 보유 식재료에 포함된 선호 식재료를 기반으로 제2 대체 식재료 후보를 리스트 업 할 수 있다(S1350). 예를 들어, 구성원 1의 선호 식재료가 새우 및 오징어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베이컨의 대체 식재료로 새우 및 오징어를 리스트 업 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제1 대체 식재료 후보 및 제2 대체 식재료 후보 중 서빙 사이즈를 만족하는 식재료를 선정한다(S1360).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두부면은 서빙 사이즈를 만족하지만 곤약은 서빙 사이즈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1 대체 식재료 후보 중 두유 및 두부면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두부면 및 곤약이 모두 서빙 사이즈를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에게 둘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2 대체 식재료 후보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대체 식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대체 식재료를 반영한 수정 레시피를 생성한다(S1370).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생성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생성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식사 구성원이 선택되고(S1410) 레시피가 선택되면(S1420), 식사 구성원 각각에 대응되는 개인별 레시피를 생성한다(S1430).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개인별 레시피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구성원 간 레시피를 비교한다(S1440).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레시피 간 유사도를 판단하여 통합 레시피를 생성한다(S145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레시피 간 유사도에 기초하여 공통 항목 및 추가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레시피를 생성하거나, 각 항목에 구성원 간 가중치가 반영된 통합 레시피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를 반영하여 수정된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메모리
120: 디스플레이 130: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레시피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고,
    상기 수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1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가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2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항목을 우선적으로 수정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에 포함된 항목 간 유사도에 기초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통합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공통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레시피 항목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상이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레시피 항목을 획득하고,
    상기 공통 레시피 항목 및 상기 추가 레시피 항목에 기초하여 획득된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기피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재료를 대체하여 상기 레시피를 수정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호 재료 정보 및 상기 수정된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제1 조리 기기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제2 조리 기기의 타입이 상이한 경우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을 상기 제2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으로 수정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를 수정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질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질문 정보에 대한 답변 정보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답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 정보, 양 정보, 조리 기기 정보 또는 조리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는,
    선호 재료 정보, 기피 재료 정보, 칼로리 정보, 조리 시간 정보, 보유 재료 정보 또는 가족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
    레시피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1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가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된 제2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항목을 우선적으로 수정하는,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고,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에 포함된 항목 간 유사도에 기초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맞춤형 레시피를 통합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공통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레시피 항목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 중 상이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레시피 항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공통 레시피 항목 및 상기 추가 레시피 항목에 기초하여 획득된 통합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기피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재료를 대체하여 상기 레시피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호 재료 정보 및 상기 수정된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맞춤형 레시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제1 조리 기기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제2 조리 기기의 타입이 상이한 경우 상기 선택된 레시피 내 포함된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을 상기 제2 조리 기기와 관련된 항목으로 수정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를 수정하는,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식재료 정보, 양 정보, 조리 기기 정보 또는 조리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제어 방법.
  20.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사용자의 식습관 성향과 관련된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
    레시피(recipe)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시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00120832A 2020-09-18 2020-09-1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37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32A KR20220037865A (ko) 2020-09-18 2020-09-1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1/010303 WO2022059913A1 (ko) 2020-09-18 2021-08-04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8/114,308 US20230222134A1 (en) 2020-09-18 2023-02-27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32A KR20220037865A (ko) 2020-09-18 2020-09-1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865A true KR20220037865A (ko) 2022-03-25

Family

ID=8077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832A KR20220037865A (ko) 2020-09-18 2020-09-1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22134A1 (ko)
KR (1) KR20220037865A (ko)
WO (1) WO20220599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4694A1 (en) * 2011-08-26 2013-08-29 Laura M. Moore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Meal Planning and Management
CN109255735A (zh) * 2011-11-18 2019-01-2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菜谱提示系统以及菜谱提示方法
US20170097934A1 (en) * 2015-10-02 2017-04-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 of providing cooking recipes
KR20180032234A (ko) * 2016-09-21 2018-03-30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요리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671893B2 (en) * 2016-12-05 2020-06-02 Under Armour,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ipe to image associations
KR20180071595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쿡플레이 레시피 모듈에 기초한 요리 레시피 생성 장치 및 제공 장치
WO2018151818A1 (en) * 2017-02-17 2018-08-23 NutriCern, Inc. Biochemical and nutritional application platform
JP7018279B2 (ja) * 2017-09-25 2022-02-10 株式会社オージス総研 代替レシピ提示装置、代替レシピ提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US10592860B2 (en) * 2017-11-30 2020-03-17 Perfect Company, INC. System for smart pantry management using consumption data
US20190213487A1 (en) * 2018-01-10 2019-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generating an adapted recipe based on a determined characteristic of a user
JP6728259B2 (ja) * 2018-03-20 2020-07-22 ヤフ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6572403B1 (ja) * 2018-12-25 2019-09-11 クックパッド株式会社 サーバ装置、調理機器、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07299A (ja) * 2019-02-28 2020-07-09 クックパッド株式会社 サーバ装置、情報処理端末、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736497A1 (en) * 2019-05-06 2020-11-1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22134A1 (en) 2023-07-13
WO2022059913A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331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food
US99837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hand-held position of the apparatus
US8990274B1 (en) Generating a presentation associated with a set of instructions
US9576105B2 (en) Method of displaying health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ame
KR102209741B1 (ko) 음식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9243579B (zh) 熟食营养数据的处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终端
CN111480202A (zh) 用于个性化膳食计划生成的装置和方法
US10694356B2 (en) Mechanism to automatically manage input and output across connected wearable devices
US20170286058A1 (en) Multimedia data proces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901223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meal creation
US107687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JP2020107096A (ja) 献立を提案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276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updating virtual agent user interface
CN105739936B (zh) 一种用户终端控制方法及用户终端
US20150310093A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of an electronic device
KR2022003786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5509B1 (ko) 레시피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5657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식품영양정보 제공 시스템
US20230221844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3041917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064599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emotion combined content
CN111782875B (zh) 视频搜索推荐方法、基于冰箱的食谱推荐方法及服务器
EP3865980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40237403A1 (en) User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WO2021087754A1 (zh) 推送内容的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