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775A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775A
KR20220037775A KR1020200120653A KR20200120653A KR20220037775A KR 20220037775 A KR20220037775 A KR 20220037775A KR 1020200120653 A KR1020200120653 A KR 1020200120653A KR 20200120653 A KR20200120653 A KR 20200120653A KR 20220037775 A KR20220037775 A KR 20220037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object side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108B1 (ko
Inventor
장동혁
김병현
허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108B1/ko
Priority to US17/158,192 priority patent/US20220091372A1/en
Priority to TW111129044A priority patent/TWI828256B/zh
Priority to TW110104258A priority patent/TWI776385B/zh
Priority to CN202110549826.3A priority patent/CN114200641A/zh
Priority to CN202121093169.8U priority patent/CN214895984U/zh
Publication of KR2022003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775A/ko
Priority to KR1020220042778A priority patent/KR102642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02B17/0804Catadioptric systems using two curved mirrors
    • G02B17/0808Catadioptric systems using two curved mirrors on-axis systems with at least one of the mirrors having a central aper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02B17/0856Catadioptric systems comprising a refractive element with a reflective surface, the reflection taking place inside the element, e.g. Mangin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4매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들 중 물체 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는 2개 이상의 반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렌즈들 중 상 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는 물체 측면 및 상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변곡점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원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소형 촬상 광학계는 근거리의 피사체를 촬상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형 촬상 광학계는 원거리의 피사체를 촬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부 소형 촬상 광학계는 원거리의 피사체를 촬상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휴대 단말기의 한정된 장착공간으로 인해 상당한 거리에 위치한 물체를 고해상도로 촬상이 어렵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장착 가능하면서 높은 망원비를 구현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4매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들 중 물체 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는 2개 이상의 반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렌즈들 중 상 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는 물체 측면 및 상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변곡점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고성능의 소형 카메라에 적합한 촬상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제1렌즈는 물체(또는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4렌즈 또는 제5렌즈는 상면(또는 이미지 센서)과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TTL, IMGHT(상면의 대각길이의 1/2), 초점거리의 단위는 모두 ㎜ 단위이다. 아울러, 렌즈의 두께, 렌즈 간의 간격, TL은 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산출된 값이다. 아울러, 렌즈의 형상에 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하다 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하다 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소형화 및 원거리 촬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렌즈와 변곡점이 형성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을 포함하는 렌즈는 물체 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이하 최전방 렌즈라고 함), 변곡점이 형성되는 렌즈는 상면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이하 최후방 렌즈라고 함).
최전방 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전방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최전방 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전 방렌즈의 상 측면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최후방 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후방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최후방 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최후방 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최후방 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최후방 렌즈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후방 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상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4매 또는 5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또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를 포함한다. 제1렌즈 내지 제4렌즈 또는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상 측면과 제2렌즈의 물체 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제1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렌즈는 구면 및 비구면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물체 측면은 구면이고, 제1렌즈의 상 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1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굴절률은 1.6보다 크고 1.8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초점거리는 14 ~ 22 mm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1렌즈는 2개 이상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면과 제1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제1렌즈의 상 측면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반사면 및 제2반사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반사면은 오목한 형상이고, 제2반사면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1반사면 및 제2반사면은 제1렌즈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반사면은 제1렌즈의 상 측면에서 광축 영역 또는 근축 영역을 제외한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고, 제2반사면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에서 광축 영역 또는 근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2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굴절률은 1.6보다 크고 1.7보다 작을 수 있다. 제2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초점거리는 -16 ~ -3.0 mm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3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3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3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3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굴절률은 1.5보다 크고 1.65보다 작을 수 있다. 제3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초점거리는 4.0 ~ 8.0 mm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4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4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물체 측면 또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4렌즈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4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4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4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굴절률은 1.5보다 크고 1.6보다 작을 수 있다. 제4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의 초점거리는 30 ~ 120 mm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의 초점거리는 -500 ~ -2.0 mm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필요에 따라 제4렌즈의 상 측에 배치되는 제5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제5렌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5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5렌즈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5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5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굴절률은 1.5보다 크고 1.6보다 작을 수 있다. 제5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초점거리는 -5.0 ~ -2.0 mm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해당 렌즈의 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r은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이고, A ~ J는 비구면 상수이고, Z(또는 SAG)는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이다.
촬상 광학계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는 제1렌즈의 전방,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필터를 더 포함한다. 필터는 제1렌즈 내지 제4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으로부터 일부 파장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필터는 입사광의 적외선 파장을 차단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들에 의해 굴절된 빛이 결상될 수 있는 상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의 표면은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고해상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의 상면은 소정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광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상당한 길이의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는 제1렌즈 물체 측면으로부터 제1반사면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1반사면으로부터 제2반사면을 연결하는 제2광 경로, 제2반사면으로부터 제1렌즈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3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광 경로는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TTL)보다 클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렌즈의 매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렌즈 간의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망원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촬상 광학계는 소형 카메라 모듈 및 두께가 얇은 휴대 단말기에 용이하게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0.28 < TTL/f < 0.32
1.0 < f/f1 < 2.0
0 < V1 - V2 < 30
3.14 < Nd2 + Nd3 < 3.40
0.02 < BFL/f < 0.25
0.001 < D12/f < 0.04
2.3 < f number
상기 조건식에서 TTL은 제1렌즈(또는 최전방 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f1은 제1렌즈(또는 최전방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V1은 제1렌즈의 아베수이고,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이고, Nd2는 제2렌즈의 굴절률이고, Nd3은 제3렌즈의 굴절률이고, BFL은 상면과 가장 인접한 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D12는 제1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제2렌즈의 물체 측면까지의 거리이다.
촬상 광학계는 하기 조건식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만족할 수 있다.
4.30 < L1S1ER/L1S2ER < 5.80
1.1 < L1TL/TTL < 1.3
상기 조건식에서 L1S1ER은 제1렌즈(또는 최전방 렌즈)의 물체 측면의 유효반경이고, L1S2ER은 제1렌즈(또는 최전방 렌즈)의 상 측면의 유효반경이고, L1TL은 제1렌즈(또는 최전방 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제1반사면까지의 거리, 제1반사면으로부터 제2반사면까지의 거리, 및 제2반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의 합이다.
다음에서는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100)는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100)는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로 구성된다. 제1렌즈(110) 내지 제4렌즈(140)는 물체 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3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1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14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10)는 상당한 길이의 광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110)의 광 경로는 물체 측면(S2)으로부터 제1반사면(S3)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1반사면(S3)으로부터 제2반사면(S4)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2반사면(S4)으로부터 상 측면(S5)을 연결하는 제3광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100)는 제1렌즈(110)를 통해 원거리 촬상에 필요한 상당한 광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는 필터(IF)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제4렌즈(140)와 상면(IP)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S1 Infinity 0
S2 제1렌즈 692.186 3.253 1.743 49.200 3.071
S3 -8.151 -2.907 3.222
S4 -2.796 2.521 1.172
S5 5.600 0.650 1.202
S6 제2렌즈 -4.371 0.250 1.614 25.900 1.240
S7 -13.653 0.226 1.336
S8 제3렌즈 -15.480 0.418 1.535 56.100 1.380
S9 -2.224 1.156 1.506
S10 제4렌즈 -1.938 0.380 1.535 56.100 2.202
S11 8.074 0.052 2.415
S12 필터 Infinity 0.110 1.518 64.166 2.563
S13 Infinity 0.894 2.582
S14 상면 Infinity -0.004 2.825
표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S3 S4 S5 S6 S7
K -1.98438 -4.46805 17.58966 5.60059 18.07816
A -0.00019 -0.00826 0.00634 -0.00359 -0.12073
B 0.00000 0.00223 -0.02247 -0.04706 0.07956
C 0.00000 0.00008 0.00010 0.13303 0.13798
D 0.00000 -0.00052 -0.00244 -0.30318 -0.61674
E 0.00000 0.00026 0.00000 0.41246 1.03964
F 0.00000 0.00000 0.00000 -0.34954 -0.96024
G 0.00000 -0.00003 0.00000 0.18084 0.50858
H 0.00000 -0.00001 0.00000 -0.05025 -0.14368
J 0.00000 0.00001 0.00000 0.00561 0.01663
면번호 S8 S9 S10 S11
K -99.00000 -3.89868 -1.25121 -84.72912
A -0.21125 -0.07617 -0.05314 -0.08411
B 0.01598 -0.12887 0.06040 0.06993
C 0.58053 0.55151 -0.00314 -0.04462
D -1.43860 -0.93894 -0.02418 0.02016
E 1.89184 0.97381 0.01655 -0.00657
F -1.47018 -0.63450 -0.00525 0.00147
G 0.67185 0.25311 0.00091 -0.00021
H -0.16634 -0.05646 -0.00008 0.00002
J 0.01710 0.00539 0.00000 0.00000
도 3을 참조하여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200)는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200)는 제1렌즈(210),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4렌즈(240)로 구성된다. 제1렌즈(210) 내지 제4렌즈(240)는 물체 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3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24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210)는 상당한 길이의 광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210)의 광 경로는 물체 측면(S2)으로부터 제1반사면(S3)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1반사면(S3)으로부터 제2반사면(S4)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2반사면(S4)으로부터 상 측면(S5)을 연결하는 제3광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200)는 제1렌즈(210)를 통해 원거리 촬상에 필요한 상당한 광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는 필터(IF)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제4렌즈(240)와 상면(IP)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764.576 3.253 1.640 23.500 3.285
S3 -8.137 -2.907 3.436
S4 -2.797 2.521 1.257
S5 5.572 0.650 1.231
S6 제2렌즈 -3.931 0.250 1.661 20.400 1.250
S7 -10.212 0.194 1.358
S8 제3렌즈 -14.097 0.446 1.535 56.100 1.407
S9 -2.265 1.160 1.530
S10 제4렌즈 -1.968 0.380 1.535 56.100 2.203
S11 8.600 0.052 2.445
S12 필터 Infinity 0.110 1.518 64.166 2.558
S13 Infinity 0.879 2.576
S14 상면 Infinity 0.011 2.823
표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S3 S4 S5 S6 S7
K -1.98583 -4.50680 17.54674 5.83849 9.60597
A -0.00019 -0.00808 0.00669 -0.01627 -0.12053
B 0.00000 0.00235 -0.02391 0.09116 0.18739
C 0.00000 0.00009 -0.00098 -0.61202 -0.51671
D 0.00000 -0.00058 -0.00311 1.60562 1.00110
E 0.00000 0.00026 0.00000 -2.38292 -1.13415
F 0.00000 0.00000 0.00000 2.11622 0.76623
G 0.00000 -0.00003 0.00000 -1.10589 -0.29980
H 0.00000 -0.00001 0.00000 0.31343 0.06218
J 0.00000 0.00001 0.00000 -0.03703 -0.00530
면번호 S8 S9 S10 S11
K -99.00000 -3.70427 -1.30044 -1.30044
A -0.22871 -0.08327 0.00492 0.00492
B 0.20221 -0.03409 -0.05881 -0.05881
C -0.25100 0.18191 0.09468 0.09468
D 0.38724 -0.25257 -0.06756 -0.06756
E -0.34703 0.23885 0.02811 0.02811
F 0.16375 -0.15162 -0.00713 -0.00713
G -0.03537 0.06033 0.00108 0.00108
H 0.00107 -0.01351 -0.00009 -0.00009
J 0.00047 0.00129 0.00000 0.00000
도 5를 참조하여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300)는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300)는 제1렌즈(310), 제2렌즈(320), 제3렌즈(330), 제4렌즈(340)로 구성된다. 제1렌즈(310) 내지 제4렌즈(340)는 물체 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3렌즈(3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3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34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310)는 상당한 길이의 광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310)의 광 경로는 물체 측면(S2)으로부터 제1반사면(S3)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1반사면(S3)으로부터 제2반사면(S4)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2반사면(S4)으로부터 상 측면(S5)을 연결하는 제3광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300)는 제1렌즈(310)를 통해 원거리 촬상에 필요한 상당한 광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300)는 필터(IF)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제4렌즈(340)와 상면(IP)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781.855 3.253 1.614 25.900 3.280
S3 -8.143 -2.907 3.435
S4 -2.805 2.521 1.261
S5 5.584 0.653 1.229
S6 제2렌즈 -3.906 0.252 1.640 23.500 1.250
S7 -9.202 0.195 1.358
S8 제3렌즈 -12.984 0.445 1.535 56.100 1.409
S9 -2.270 1.156 1.532
S10 제4렌즈 -1.966 0.380 1.535 56.100 2.192
S11 7.984 0.052 2.439
S12 필터 Infinity 0.110 1.518 64.166 2.548
S13 Infinity 0.879 2.566
S14 상면 Infinity 0.011 2.823
표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S3 S4 S5 S6 S7
K -1.98583 -4.50680 17.54674 5.83849 9.60597
A -0.00019 -0.00808 0.00669 -0.01627 -0.12053
B 0.00000 0.00235 -0.02391 0.09116 0.18739
C 0.00000 0.00009 -0.00098 -0.61202 -0.51671
D 0.00000 -0.00058 -0.00311 1.60562 1.00110
E 0.00000 0.00026 0.00000 -2.38292 -1.13415
F 0.00000 0.00000 0.00000 2.11622 0.76623
G 0.00000 -0.00003 0.00000 -1.10589 -0.29980
H 0.00000 -0.00001 0.00000 0.31343 0.06218
J 0.00000 0.00001 0.00000 -0.03703 -0.00530
면번호 S8 S9 S10 S11
K -99.00000 -3.70427 -1.30044 -19.44223
A -0.22871 -0.08327 0.00492 -0.03661
B 0.20221 -0.03409 -0.05881 -0.00150
C -0.25100 0.18191 0.09468 0.00555
D 0.38724 -0.25257 -0.06756 -0.00161
E -0.34703 0.23885 0.02811 -0.00013
F 0.16375 -0.15162 -0.00713 0.00017
G -0.03537 0.06033 0.00108 -0.00004
H 0.00107 -0.01351 -0.00009 0.00000
J 0.00047 0.00129 0.00000 0.00000
도 7을 참조하여 제4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400)는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400)는 제1렌즈(410), 제2렌즈(420), 제3렌즈(430), 제4렌즈(440), 제5렌즈(150)로 구성된다. 제1렌즈(410) 내지 제5렌즈(450)는 물체 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렌즈(4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4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3렌즈(4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4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4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45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410)는 상당한 길이의 광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410)의 광 경로는 물체 측면(S2)으로부터 제1반사면(S3)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1반사면(S3)으로부터 제2반사면(S4)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2반사면(S4)으로부터 상 측면(S5)을 연결하는 제3광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400)는 제1렌즈(410)를 통해 원거리 촬상에 필요한 상당한 광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400)는 필터(IF)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제5렌즈(450)와 상면(IP)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2601.669 3.400 1.743 49.200 2.932
S3 -8.110 -2.902 3.118
S4 -2.810 2.444 1.166
S5 9.379 0.650 1.180
S6 제2렌즈 -4.404 0.250 1.640 23.500 1.206
S7 -9.176 0.445 1.319
S8 제3렌즈 -2.958 0.408 1.544 56.100 1.390
S9 -1.750 0.423 1.485
S10 제4렌즈 -2.165 0.400 1.535 56.100 1.764
S11 -2.325 0.218 1.962
S12 제5렌즈 -2.016 0.250 1.535 56.100 2.160
S13 6.105 0.275 2.434
S14 필터 Infinity 0.110 1.518 64.166 2.647
S15 Infinity 0.630 2.664
S16 상면 Infinity 0.000 2.821
표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S3 S4 S5 S6 S7 S8
K -1.99318 -4.63551 34.23633 -1.27184 41.94220 -24.38554
A -0.00019 -0.00689 0.02242 -0.00322 -0.05169 -0.38445
B 0.00000 0.00255 -0.03054 -0.02963 0.03141 0.16832
C 0.00000 -0.00004 0.01203 0.00631 0.01127 0.03190
D 0.00000 -0.00051 -0.00307 -0.00035 -0.00172 -0.01685
E 0.00000 0.00020 0.00000 0.00001 0.00000 0.00000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면번호 S9 S10 S11 S12 S13
K 0.10330 -0.04272 -0.13306 -0.69638 -40.33632
A -0.11614 0.01616 0.00415 -0.01067 -0.04886
B 0.06326 -0.00085 0.00217 0.01185 0.00461
C 0.01554 0.00030 0.00018 0.00000 0.00151
D -0.00298 0.00021 -0.00004 -0.00028 -0.00036
E -0.00002 0.00000 0.00000 0.00000 0.00001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도 9를 참조하여 제5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500)는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500)는 제1렌즈(510), 제2렌즈(520), 제3렌즈(530), 제4렌즈(540), 제5렌즈(150)로 구성된다. 제1렌즈(510) 내지 제5렌즈(550)는 물체 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렌즈(5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5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3렌즈(5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5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5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55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510)는 상당한 길이의 광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510)의 광 경로는 물체 측면(S2)으로부터 제1반사면(S3)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1반사면(S3)으로부터 제2반사면(S4)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2반사면(S4)으로부터 상 측면(S5)을 연결하는 제3광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500)는 제1렌즈(510)를 통해 원거리 촬상에 필요한 상당한 광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500)는 필터(IF)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제5렌즈(550)와 상면(IP)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14288.941 3.400 1.743 49.200 2.863
S3 -8.124 -2.902 3.055
S4 -2.819 2.444 1.153
S5 8.997 0.650 1.185
S6 제2렌즈 -4.501 0.250 1.640 23.500 1.227
S7 -8.838 0.427 1.352
S8 제3렌즈 -3.146 0.408 1.535 56.100 1.437
S9 -1.810 0.085 1.532
S10 제4렌즈 -9.368 0.400 1.535 56.100 1.781
S11 -8.227 0.430 2.000
S12 제5렌즈 -1.971 0.300 1.535 56.100 2.177
S13 6.252 0.109 2.436
S14 필터 Infinity 0.110 1.518 64.166 2.576
S15 Infinity 0.901 2.594
S16 상면 Infinity -0.011 2.821
표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S3 S4 S5 S6 S7 S8
K -1.99928 -4.70783 33.76195 0.28173 37.24904 -25.23744
A -0.00018 -0.00681 0.02492 -0.00636 -0.06021 -0.37452
B 0.00000 0.00250 -0.02923 -0.02380 0.03290 0.16136
C 0.00000 0.00010 0.01350 0.00851 0.01171 0.03010
D 0.00000 -0.00056 -0.00376 -0.00210 -0.00218 -0.01579
E 0.00000 0.00020 0.00000 0.00001 0.00000 0.00000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면번호 S9 S10 S11 S12 S13
K 0.15067 20.89729 7.64563 -0.76971 -76.28343
A -0.11981 -0.00038 -0.00791 -0.01104 -0.04504
B 0.06413 -0.00284 -0.00083 0.01254 0.00553
C 0.01516 0.00066 -0.00007 0.00018 0.00134
D -0.00387 -0.00016 0.00001 -0.00026 -0.00037
E -0.00002 0.00000 0.00002 0.00001 0.00001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도 11을 참조하여 제6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600)는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600)는 제1렌즈(610), 제2렌즈(620), 제3렌즈(630), 제4렌즈(640), 제5렌즈(150)로 구성된다. 제1렌즈(610) 내지 제5렌즈(650)는 물체 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렌즈(6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6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6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6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6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640) 및 제5렌즈(650)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610)는 상당한 길이의 광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610)의 광 경로는 물체 측면(S2)으로부터 제1반사면(S3)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1반사면(S3)으로부터 제2반사면(S4)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2반사면(S4)으로부터 상 측면(S5)을 연결하는 제3광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600)는 제1렌즈(610)를 통해 원거리 촬상에 필요한 상당한 광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600)는 필터(IF)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제5렌즈(650)와 상면(IP)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818.573 3.180 1.661 20.400 3.136
S3 -8.220 -2.902 3.295
S4 -2.937 2.444 1.246
S5 7.979 0.650 1.218
S6 제2렌즈 -3.912 0.250 1.680 18.400 1.233
S7 11.754 0.278 1.340
S8 제3렌즈 9.605 0.350 1.614 25.900 1.392
S9 -3.496 0.085 1.555
S10 제4렌즈 7.599 0.580 1.535 56.100 1.971
S11 11.736 0.559 2.188
S12 제5렌즈 -3.459 0.400 1.535 56.100 2.288
S13 4.058 0.127 2.473
S14 필터 Infinity 0.110 1.518 64.166 2.599
S15 Infinity 0.905 2.616
S16 상면 Infinity -0.015 2.826
표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S3 S4 S5 S6 S7 S8
K -1.99875 -4.80242 35.87110 -40.39823 -90.00000 -59.63001
A -0.00018 -0.00691 0.03256 0.02425 -0.10397 -0.37034
B 0.00000 0.00205 -0.03081 -0.03429 0.44502 0.52491
C 0.00000 0.00005 0.00576 0.15388 -1.17687 -0.47873
D 0.00000 -0.00052 -0.00411 -0.89775 1.61980 0.12682
E 0.00000 0.00021 0.00000 2.10329 -1.32130 0.04161
F 0.00000 0.00001 0.00000 -2.60236 0.65241 0.10478
G 0.00000 0.00000 0.00000 1.80899 -0.17121 -0.15853
H 0.00000 0.00000 0.00000 -0.67167 0.01291 0.07051
J 0.00000 0.00000 0.00000 0.10393 0.00197 -0.01076
면번호 S9 S10 S11 S12 S13
K 1.48957 9.33549 25.40869 0.33221 -45.29881
A -0.16402 0.02588 0.07621 -0.03800 -1.50400
B 0.17148 -0.03984 -0.14136 0.04862 1.81138
C 0.13845 0.10035 0.12655 -0.03694 3.42711
D -0.41214 -0.12547 -0.07244 0.02672 -14.89607
E 0.40173 0.08408 0.02845 -0.01386 19.82343
F -0.21183 -0.03333 -0.00790 0.00448 -12.74281
G 0.06343 0.00778 0.00147 -0.00085 5.48973
H -0.01009 -0.00098 -0.00016 0.00008 -2.87119
J 0.00066 0.00005 0.00001 0.00000 0.96459
도 13을 참조하여 제7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700)는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700)는 제1렌즈(710), 제2렌즈(720), 제3렌즈(730), 제4렌즈(740), 제5렌즈(150)로 구성된다. 제1렌즈(710) 내지 제5렌즈(750)는 물체 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렌즈(7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7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3렌즈(7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7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7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740) 및 제5렌즈(750)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710)는 상당한 길이의 광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710)의 광 경로는 물체 측면(S2)으로부터 제1반사면(S3)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1반사면(S3)으로부터 제2반사면(S4)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2반사면(S4)으로부터 상 측면(S5)을 연결하는 제3광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700)는 제1렌즈(710)를 통해 원거리 촬상에 필요한 상당한 광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700)는 필터(IF)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제5렌즈(750)와 상면(IP)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827.377 3.180 1.743 49.200 3.100
S3 -8.220 -2.902 3.246
S4 -2.917 2.444 1.210
S5 8.255 0.650 1.199
S6 제2렌즈 -4.169 0.250 1.614 25.900 1.223
S7 -160.098 0.362 1.310
S8 제3렌즈 -23.446 0.350 1.567 38.000 1.365
S9 -2.905 0.085 1.559
S10 제4렌즈 9.436 0.610 1.535 56.100 1.934
S11 11.805 0.429 2.133
S12 제5렌즈 -3.851 0.400 1.535 56.100 2.327
S13 3.745 0.142 2.532
S14 필터 Infinity 0.110 1.518 64.166 2.622
S15 Infinity 0.905 2.636
S16 상면 Infinity -0.015 2.824
표 1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S3 S4 S5 S6 S7 S8
K -2.00306 -4.75395 35.98520 -37.86621 99.00000 -99.00000
A -0.00018 -0.00701 0.02570 -0.00934 -0.16104 -0.44232
B 0.00000 0.00207 -0.02810 0.16784 0.79293 0.84790
C 0.00000 0.00007 0.00795 -0.42657 -2.20181 -1.22404
D 0.00000 -0.00054 -0.00404 0.19237 3.55937 1.03922
E 0.00000 0.00021 0.00000 0.61969 -3.80196 -0.59170
F 0.00000 0.00001 0.00000 -1.17921 2.74276 0.38655
G 0.00000 0.00000 0.00000 0.94713 -1.25114 -0.25884
H 0.00000 0.00000 0.00000 -0.38321 0.31843 0.10067
J 0.00000 0.00000 0.00000 0.06332 -0.03411 -0.01552
면번호 S9 S10 S11 S12 S13
K 1.01541 2.24456 26.68866 0.30754 -36.89762
A -0.15489 0.06794 0.04654 -0.03208 -0.04202
B 0.18993 -0.22508 -0.10255 0.04243 -0.00519
C -0.01816 0.35062 0.08790 -0.02398 0.01755
D -0.20018 -0.31351 -0.05548 0.01229 -0.00916
E 0.33152 0.16864 0.02498 -0.00506 0.00275
F -0.26164 -0.05631 -0.00796 0.00136 -0.00057
G 0.11065 0.01144 0.00171 -0.00021 0.00008
H -0.02409 -0.00129 -0.00022 0.00002 -0.00001
J 0.00213 0.00006 0.00001 0.00000 0.00000
도 15를 참조하여 제8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800)는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800)는 제1렌즈(810), 제2렌즈(820), 제3렌즈(830), 제4렌즈(840), 제5렌즈(150)로 구성된다. 제1렌즈(810) 내지 제5렌즈(850)는 물체 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렌즈(8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8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8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8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8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840) 및 제5렌즈(850)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810)는 상당한 길이의 광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810)의 광 경로는 물체 측면(S2)으로부터 제1반사면(S3)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1반사면(S3)으로부터 제2반사면(S4)을 연결하는 제1광 경로, 제2반사면(S4)으로부터 상 측면(S5)을 연결하는 제3광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800)는 제1렌즈(810)를 통해 원거리 촬상에 필요한 상당한 광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800)는 필터(IF)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제5렌즈(850)와 상면(IP)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1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766.550 3.180 1.661 20.400 3.100
S3 -8.233 -2.902 3.246
S4 -2.953 2.444 1.210
S5 7.818 0.650 1.199
S6 제2렌즈 -4.824 0.250 1.680 18.400 1.223
S7 4.769 0.221 1.310
S8 제3렌즈 4.179 0.373 1.614 25.900 1.365
S9 -4.064 0.085 1.559
S10 제4렌즈 8.820 0.647 1.535 56.100 1.934
S11 11.669 0.524 2.133
S12 제5렌즈 -3.694 0.400 1.535 56.100 2.327
S13 4.018 0.127 2.532
S14 필터 Infinity 0.110 1.518 64.166 2.622
S15 Infinity 0.905 2.636
S16 상면 Infinity -0.015 2.824
표 1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면번호 S3 S4 S5 S6 S7 S8
K -1.99933 -4.81160 33.59603 -47.56711 -64.28190 -19.82052
A -0.00018 -0.00690 0.03294 0.02748 -0.10783 -0.34388
B 0.00000 0.00204 -0.03181 -0.06127 0.42716 0.57490
C 0.00000 0.00004 0.00490 0.18836 -1.06820 -0.88688
D 0.00000 -0.00052 -0.00312 -0.68571 1.49742 1.07413
E 0.00000 0.00021 0.00000 1.36416 -1.31600 -1.06315
F 0.00000 0.00001 0.00000 -1.58473 0.72148 0.81180
G 0.00000 0.00000 0.00000 1.06935 -0.22321 -0.40405
H 0.00000 0.00000 0.00000 -0.38883 0.03042 0.11142
J 0.00000 0.00000 0.00000 0.05901 -0.00048 -0.01286
면번호 S9 S10 S11 S12 S13
K 1.97017 11.14971 26.08853 0.56384 -31.21763
A -0.07078 0.11384 2.16734 -0.03285 -0.07490
B -0.07814 -0.37857 -15.67996 0.04549 0.02544
C 0.25942 0.54762 28.89068 -0.03728 0.00107
D -0.15290 -0.43918 55.96717 0.02756 -0.00268
E -0.02980 0.21513 -341.68921 -0.01433 0.00010
F 0.07880 -0.06636 647.94460 0.00465 0.00024
G -0.04039 0.01248 -628.39450 -0.00089 -0.00006
H 0.00921 -0.00129 315.96649 0.00009 0.00001
J -0.00081 0.00006 -65.61975 0.00000 0.00000
표 17은 제1실시 예 내지 제8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광학 특성 값을 나타낸다.
비고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 제5실시예 제6실시예 제7실시예 제8실시예
f 23.3400 23.6521 23.6151 23.7550 23.1992 22.5773 22.3178 22.3178
f1 20.1566 19.7721 19.9005 15.9872 16.3130 16.9136 16.9719 16.9719
f2 -10.4843 -9.6755 -10.6143 -13.2724 -14.5277 -4.2364 -6.9476 -6.9476
f3 4.7808 4.9392 5.0462 7.0594 7.1697 4.1707 5.7221 5.7221
f4 -2.8711 -2.9438 -2.8971 -455.8823 112.0382 38.2428 80.2776 80.2776
f5 -2.7906 -2.7540 -3.4118 -3.4699 -3.4699
TTL 7.0000 6.9999 7.0000 6.9997 7.0000 6.9999 7.0000 7.0000
BFL 1.0523 1.0523 1.0523 1.0147 1.1093 1.1270 1.1418 1.1270
f number 3.8000 3.6000 3.6000 4.0500 4.0500 3.6000 3.6000 3.6000
IMGHT 2.6200 2.6200 2.6200 2.7200 2.7200 2.6200 2.6200 2.6200
L1TL 8.6806 8.6806 8.6806 8.7461 8.7461 8.5264 8.5264 8.5264
표 18은 제1실시 예 내지 제8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조건식 값을 나타낸다.
조건식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 제5실시예 제6실시예 제7실시예 제8실시예
TTL/f 0.2999 0.2960 0.2964 0.2947 0.3017 0.3100 0.3137 0.3137
f/f1 1.1579 1.1962 1.1867 1.4859 1.4221 1.3349 1.3150 1.3150
V1-V2 23.3000 3.1000 2.4000 25.7000 25.7000 2.0000 23.3000 2.0000
Nd2+Nd3 3.1490 3.1962 3.1747 3.1838 3.1747 3.2937 3.1810 3.2937
BFL/f 0.0451 0.0445 0.0446 0.0427 0.0478 0.0499 0.0512 0.0505
D12/f 0.0278 0.0275 0.0276 0.0274 0.0280 0.0288 0.0291 0.0291
L1S1ER/
L1S2ER
5.0047 5.0047 4.9838 5.2303 5.2303 4.8923 4.8923 4.8923
L1TL/TTL 1.2401 1.2401 1.2401 1.2495 1.2494 1.2181 1.2181 1.2181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4매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들 중 물체 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는 2개 이상의 반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렌즈들 중 상 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는 물체 측면 및 상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전방 렌즈의 상 측면은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방 렌즈의 물체 측면은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방 렌즈의 상 측면은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전방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방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7.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0.28 < TTL/f < 0.32
    (상기 조건식에서 TTL은 상기 최전방 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1.0 < f/f1 < 2.0
    (상기 조건식에서 f는 촬상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f1은 상기 최전방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4.30 < L1S1ER/L1S2ER < 5.80
    (상기 조건식에서 L1S1ER은 상기 최전방 렌즈의 물체 측면의 유효반경이고, L1S2ER은 상기 최전방 렌즈의 상 측면의 유효반경이다)
  10.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반사면; 및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1렌즈의 상 측면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반사면;
    을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13. 제10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0.28 < TTL/f < 0.32
    (상기 조건식에서 TTL은 상기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의 상 측에 배치되는 제5렌즈를 더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의 물체 측면 또는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
KR1020200120653A 2020-09-18 2020-09-18 촬상 광학계 KR102409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653A KR102409108B1 (ko) 2020-09-18 2020-09-18 촬상 광학계
US17/158,192 US20220091372A1 (en) 2020-09-18 2021-01-26 Optical imaging system
TW111129044A TWI828256B (zh) 2020-09-18 2021-02-04 光學成像系統
TW110104258A TWI776385B (zh) 2020-09-18 2021-02-04 光學成像系統
CN202110549826.3A CN114200641A (zh) 2020-09-18 2021-05-20 光学成像系统
CN202121093169.8U CN214895984U (zh) 2020-09-18 2021-05-20 光学成像系统
KR1020220042778A KR102642914B1 (ko) 2020-09-18 2022-04-06 촬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653A KR102409108B1 (ko) 2020-09-18 2020-09-18 촬상 광학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778A Division KR102642914B1 (ko) 2020-09-18 2022-04-06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775A true KR20220037775A (ko) 2022-03-25
KR102409108B1 KR102409108B1 (ko) 2022-06-15

Family

ID=789367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653A KR102409108B1 (ko) 2020-09-18 2020-09-18 촬상 광학계
KR1020220042778A KR102642914B1 (ko) 2020-09-18 2022-04-06 촬상 광학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778A KR102642914B1 (ko) 2020-09-18 2022-04-06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91372A1 (ko)
KR (2) KR102409108B1 (ko)
CN (2) CN214895984U (ko)
TW (2) TWI8282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3975B (zh) * 2021-12-17 2022-05-17 江西晶超光学有限公司 光学镜头、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4252980A (zh) * 2021-12-23 2022-03-29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透镜组
WO2024071973A1 (ko) * 2022-09-28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108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30037883A (ko) * 2011-10-07 2013-04-17 아이티아이 주식회사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KR20160069270A (ko) * 2014-12-08 2016-06-16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JP6308208B2 (ja) * 2013-02-26 2018-04-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8238A (ja) 2003-02-25 2004-09-16 Nikon Corp カタディオプトリックアフォーカルコンバーター
JP5462625B2 (ja) * 2006-08-14 2014-04-02 カール・ツァイス・エスエムティー・ゲーエムベーハー 瞳ミラーを有する反射屈折投影対物器械、投影露光装置及び方法
WO2009008536A1 (ja) * 2007-07-09 2009-01-15 Olympus Corp. 光学素子、それを備えた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内視鏡
JP2011227362A (ja) * 2010-04-22 2011-11-10 Konica Minolta Opto Inc 像シフト可能な撮像レンズ,撮像光学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CN106908936A (zh) * 2015-12-22 2017-06-30 博立码杰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全景光学镜头及影像采集装置
WO2019056817A1 (zh) * 2017-09-21 2019-03-28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系统
TWI684024B (zh) * 2018-07-04 2020-02-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影光學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20200037938A (ko) * 2018-10-02 2020-04-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CN111367042B (zh) * 2018-12-25 2021-09-17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大口径长焦距红外双色光学镜头及成像装置
TWI710793B (zh) * 2019-08-23 2020-11-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攝影系統及電子裝置
JP7051940B2 (ja) * 2020-06-23 2022-04-11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ッ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反射屈折光学系の撮像レン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108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30037883A (ko) * 2011-10-07 2013-04-17 아이티아이 주식회사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JP6308208B2 (ja) * 2013-02-26 2018-04-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KR20160069270A (ko) * 2014-12-08 2016-06-16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742A (ko) 2022-04-19
CN114200641A (zh) 2022-03-18
CN214895984U (zh) 2021-11-26
KR102409108B1 (ko) 2022-06-15
TWI828256B (zh) 2024-01-01
TWI776385B (zh) 2022-09-01
US20220091372A1 (en) 2022-03-24
TW202246831A (zh) 2022-12-01
TW202212887A (zh) 2022-04-01
KR102642914B1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603B1 (ko) 촬상 광학계
KR102409108B1 (ko) 촬상 광학계
KR102544194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047738A (ko) 촬상 광학계
KR20220132515A (ko) 촬상 광학계
KR20220101057A (ko) 촬상 광학계
KR102609154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083651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07296A (ko) 촬상 광학계
KR102609155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062464A (ko) 촬상 광학계
KR20190053067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49403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29401A (ko) 촬상 광학계
KR101973455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115259A (ko) 촬상 광학계
KR20220037815A (ko) 촬상 광학계
KR102410847B1 (ko) 촬상 광학계
KR102450600B1 (ko) 촬상 광학계
KR102348000B1 (ko) 촬상 광학계
KR102296114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138778A (ko) 촬상 광학계
KR20220093056A (ko) 촬상 광학계
KR20220126674A (ko) 촬상 광학계
KR20220098708A (ko)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