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595A -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595A
KR20220037595A KR1020200120249A KR20200120249A KR20220037595A KR 20220037595 A KR20220037595 A KR 20220037595A KR 1020200120249 A KR1020200120249 A KR 1020200120249A KR 20200120249 A KR20200120249 A KR 20200120249A KR 20220037595 A KR20220037595 A KR 20220037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education
terminals
management system
train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044B1 (ko
Inventor
정희용
Original Assignee
(주)블루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블루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20012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0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은 자료 제공부, 온라인 학습 관리부 및 보조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료 제공부는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강의자료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는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은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에 강의자료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2020년 초반부터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학원 등을 포함한 교육기관에서 집합교육에 많은 어려움이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집합교육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다양한 온라인 교육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허공개문헌) KR 제10-2001-0074254 (공개일자, 2001.08.0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에 강의자료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은 자료 제공부, 온라인 학습 관리부 및 보조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료 제공부는 강의 시작 전에, 강의 자료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상기 강의 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은 상기 강의를 진행하는 강의모드, 상기 강의와 관련되는 실습문제가 제공되는 실습모드 및 상기 강의와 관련되는 퀴즈가 제공되는 대회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강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제1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상기 강의모드에서 강의되고 있는 상기 제1 강의자료의 페이지와 동일한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강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에 미리 설치된 제1 강의자료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강사의 영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에서 상기 강사의 영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에 해당하는 시스템 로드는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에서 상기 제1 강의자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시스템 로드는 일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실습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모드에 상응하는 제2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대회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회모드에 상응하는 제3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을 미리 정해진 보조관리 수로 나누어 관리하는 복수의 서브 관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강사로부터 상기 교육생들에게 제공되는 상기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관리부에 포함되는 상기 서브 관리부들은 상기 교육생들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에 상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을 통해서 전달되는 단말기 영상을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육생의 상태정보는 상기 교육생의 출결정보, 상기 교육생의 자세정보 및 상기 교육생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는, 자료 제공부가 강의 시작 전에, 강의 자료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온라인 학습 관리부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상기 강의 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은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에 강의자료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강의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의 강의모드에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실습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대회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조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조 관리부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강의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4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의 강의모드에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실습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대회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은 자료 제공부(100),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 및 보조 관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료 제공부(100)는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CD)를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자료(CD)는 강의를 위한 PPT파일, 실습 및 퀴즈를 위해 제공되는 프로그램파일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의 용량이 큰 파일들일 수 있다. 강의 중에 데이터의 용량이 큰 파일들을 전송하는 경우,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하여 강의 영상이 끊겨 원활한 강의가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자료 제공부(100)는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CD)를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제공하여 미리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기들(400)은 제1_1 단말기(411), 제1_2 단말기(412) 내지 제N_M 단말기(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들(400)은 교육생들의 각각에게 배정된 단말기일 수 있다. 자료 제공부(100)는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CD)를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N_M 단말기(450)에 미리 설치할 수 있다.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강의자료(CD)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하고,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교육모드들은 강의모드(CM), 실습모드(PM) 및 대회모드(FM)를 포함할 수 있다. 강의모드(CM)에서는 복수의 단말기들(400)을 통해서 강의의 내용을 수강할 수 있고, 실습모드(PM)에서는 강의와 관련되는 실습문제가 제공되어 교육생이 실습문제를 풀 수 있다. 또한, 대회모드(FM)에서는 강의와 관련되는 퀴즈가 제공되어 교육생들 간에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강의모드(CM)로 동작하는 동안,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제어신호(CS)에 기초하여 강의자료(CD) 중 제1 강의자료(CD1)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강의모드(CM)에서 강의되고 있는 제1 강의자료(CD1)의 페이지와 동일한 페이지가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모드(CM) 동안, 강사의 강의내용이 제1 강의자료(CD1)의 9페이지를 나타내는 경우,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제1 강의자료(CD1)의 9페이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CS)를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N_M 단말기(4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N_M 단말기(450)는 제어신호(CS)에 따라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N_M 단말기(450)의 화면에 제1 강의자료(CD1)의 9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강의모드(CM)로 동작하는 동안, 강사의 강의자료(CD)와 교육생들의 강의자료(CD)가 동기화되면, 강사의 강의 내용 및 교육생들의 강의자료(CD)가 매칭될 수 있어 교육생들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은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강의자료(CD)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CS)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CD)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강의모드(CM)로 동작하는 동안,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은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미리 설치된 제1 강의자료(CD1) 및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강사의 영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강의모드(CM)로 동작하는 동안,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는 제1 강의자료(CD1), 채팅창(CW) 및 강사의 영상(TI)이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강의자료(CD1)는 강의 시작 전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어서, 강의 중에는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데이터 트래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강사의 영상(TI)은 강의 중에 실시간으로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로부터 복수의 단말기들(400)로 전달되기 때문에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데이터 트래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서 강사의 영상(TI)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걸리는 부하에 해당하는 시스템 로드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서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강사의 영상(TI)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로부터 복수의 단말기들(400)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걸리는 부하에 해당하는 시스템 로드가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서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강사의 영상(TI)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로부터 복수의 단말기들(400)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시스템 로드가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서 제1 강의자료(CD1)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로드는 일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의자료(CD1)는 강의 시작 전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다. 강의 중에는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데이터 트래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서 제1 강의자료(CD1)가 차지하는 면적이 제1 면적(A1)에서 제2 면적(A2)으로 감소하더라도 시스템 로드에는 변화가 없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실습모드(PM)로 동작하는 동안,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제어신호(CS)에 기초하여 실습모드(PM)에 상응하는 제2 강의자료(CD2)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강의자료(CD2)는 실습을 위한 프로그램 파일일 수 있다.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대회모드(FM)로 동작하는 동안,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제어신호(CS)에 기초하여 대회모드(FM)에 상응하는 제3 강의자료(CD3)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강의자료(CD3)는 퀴즈문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은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강의자료(CD)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CS)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CD)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조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9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조 관리부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보조 관리부(300)는 복수의 단말기들(400)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판단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300)는 복수의 단말기들(400)을 미리 정해진 보조관리 수로 나누어 관리하는 복수의 서브 관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강사는 강의를 진행할 수 있고, 보조강사는 보조 관리부(300)를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에 따라 피드백 정보(FI)를 제공할 수 있다. 교육생들은 복수의 단말기들(400)을 통해서 보조강사에게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기들(400)은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1_9 단말기(419), 제2_1 단말기(421) 내지 제2_9 단말기(429) 및 제3_1 단말기(431) 내지 제3_9 단말기(439)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300)는 제1 서브 관리부(310), 제2 서브 관리부(320) 및 제3 서브 관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보조관리 수는 보조강사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강사의 수가 3인 경우, 제1 군 단말기(410)는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1_9 단말기(4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군 단말기(410)는 제1 서브 관리부(310)와 연결되어 제1 상태정보(SI1) 및 제1 피드백 정보(FI1)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보조강사는 제1 서브 관리부(310) 및 제1 군 단말기(410)를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FI)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군 단말기(420)는 제2_1 단말기(421) 내지 제2_9 단말기(4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군 단말기(420)는 제2 서브 관리부(320)와 연결되어 제2 상태정보(SI2) 및 제2 피드백 정보(FI2)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보조강사는 제2 서브 관리부(320) 및 제2 군 단말기(420)를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FI)를 송신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3 군 단말기(430)는 제3_1 단말기(431) 내지 제3_9 단말기(4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군 단말기(430)는 제3 서브 관리부(330)와 연결되어 제3 상태정보(SI3) 및 제3 피드백 정보(FI3)를 전달할 수 있다. 제3 보조강사는 제3 서브 관리부(330) 및 제3 군 단말기(430)를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FI)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강사로부터 교육생들에게 제공되는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300)에 포함되는 서브 관리부들은 교육생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에 상응하는 피드백 정보(F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는 복수의 단말기들(400)을 통해서 전달되는 단말기 영상을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교육생의 상태정보(SI)는 교육생의 출결정보, 교육생의 자세정보 및 교육생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화면(DIS)에는 영상 틀(IF)이 포함될 수 있다. 출석체크 시간동안, 교육생이 영상 틀(IF)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출석이 인정될 수 있고, 교육생이 영상 틀(IF)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출석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강의 중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단말기 영상을 체크하여 교육생의 화면이탈 여부 및 집중도를 파악할 수 있다. 화면이탈 여부는 영상 틀(IF)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고, 집중도는 단말기 영상에 포함되는 교육생의 눈의 정보를 통해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정보(FI)는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강사는 제1 서브 관리부(310) 및 제1 군 단말기(410)를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수신할 수 있다. 제1_1 단말기(411)를 사용하는 교육생의 상태정보(SI)가 "질문있음"인 경우, 제1 보조강사는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1 서브 관리부(310) 및 제1 군 단말기(410)에 포함되는 제1_1 단말기(411)를 통해서 교육생에게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교육생의 상태정보(SI)는 단말기의 영상에 교육생의 동작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자료 제공부(100)가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CD)를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S100).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강의자료(CD)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하고,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S200). 보조 관리부(300)가 복수의 단말기들(400)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판단할 수 있다(S300).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강의자료(CD)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CS)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CD)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10: 교육 관리 시스템 100: 자료 제공부
200: 온라인 학습 관리부 300: 보조 관리부
400: 복수의 단말기들

Claims (13)

  1.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제공하여 설치하는 자료 제공부;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상기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강의를 관리하는 온라인 학습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판단하는 보조 관리부를 포함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은 상기 강의를 진행하는 강의모드, 상기 강의와 관련되는 실습문제가 제공되는 실습모드 및 상기 강의와 관련되는 퀴즈가 제공되는 대회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강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제1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상기 강의모드에서 강의되고 있는 상기 제1 강의자료의 페이지와 동일한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강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에 미리 설치된 제1 강의자료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강사의 영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에서 상기 강사의 영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에 해당하는 시스템 로드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에서 상기 제1 강의자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시스템 로드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교육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실습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모드에 상응하는 제2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대회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회모드에 상응하는 제3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을 미리 정해진 보조관리 수로 나누어 관리하는 복수의 서브 관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강사로부터 상기 교육생들에게 제공되는 상기 강의를 관리하고,
    상기 보조 관리부에 포함되는 상기 서브 관리부들은 상기 교육생들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에 상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을 통해서 전달되는 단말기 영상을 통해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생의 상태정보는,
    상기 교육생의 출결정보, 상기 교육생의 자세정보 및 상기 교육생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13. 자료 제공부가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제공하여 설치하는 단계;
    온라인 학습 관리부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상기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강의를 관리하는 단계; 및
    보조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00120249A 2020-09-18 2020-09-18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40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249A KR102409044B1 (ko) 2020-09-18 2020-09-18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249A KR102409044B1 (ko) 2020-09-18 2020-09-18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595A true KR20220037595A (ko) 2022-03-25
KR102409044B1 KR102409044B1 (ko) 2022-06-16

Family

ID=8093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249A KR102409044B1 (ko) 2020-09-18 2020-09-18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0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254A (ko) 2001-05-03 2001-08-04 이경관 가상체험 방식을 이용한 네트웍 장비의 온라인 교육방법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30075085A (ko) * 2002-03-15 2003-09-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원격강의 시스템
KR20100078289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엑센코리아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17979A (ko) * 2017-02-06 2017-02-15 주식회사 아이티스테이션 온라인 강의 수강 확인, 몰입도 판별, 수강 평가 및 수강 피드백 시스템
KR20170057571A (ko) * 2015-11-17 2017-05-25 (주) 에이스탁 온라인 강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2169A (ko) * 2018-10-23 2019-06-05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실시간 양방향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254A (ko) 2001-05-03 2001-08-04 이경관 가상체험 방식을 이용한 네트웍 장비의 온라인 교육방법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30075085A (ko) * 2002-03-15 2003-09-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원격강의 시스템
KR20100078289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엑센코리아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57571A (ko) * 2015-11-17 2017-05-25 (주) 에이스탁 온라인 강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7979A (ko) * 2017-02-06 2017-02-15 주식회사 아이티스테이션 온라인 강의 수강 확인, 몰입도 판별, 수강 평가 및 수강 피드백 시스템
KR20190062169A (ko) * 2018-10-23 2019-06-05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실시간 양방향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044B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00979A1 (en) Online instructional dialogs
Bonifaz et al. Lessons Learned About Providing Laptops for All Students.
US20190130779A1 (en) Virtual-immersion computer webpages
Moore et al. Social and student engagement and support: The Sloan-C Quality Scorecard for the Administration of Online Programs.
Blakely A model for distance education delivery
Stevenson Ten Educational Trends Shaping School Planning and Design.
KR102409044B1 (ko)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Marr The transformation of distance learning at Open University: the need for a new pedagogy for online learning?
Robb et al. Functionality tools: Time management approaches for facilitating an on-line course in Moodle
KR20140003381A (ko) 실시간 교육 시스템
Beatty Teaching a hybrid-flexible course
Mühlhäuser et al. Digital lecture halls keep teachers in the mood and learners in the loop
Kaban Use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s in the COVID-19 pandemic
Barker Dilemmas at a distance
Nixon et al. Developing the “virtual” classroom: a business school example
Llamas-Nistal et al. Teach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education of the future
KR102504454B1 (ko)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Green et al. Preparing for an Online ABET Visit
Burgess et al. Keep Calm and Tutor Online! Rhody’s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Doghonadze et al. Comparing Effectiveness of F2F, Hybrid and Onlin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tout et al. Ft. Hood and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Collaboration and Distance Learning.
Lillie et al. Principles and procedures in technical assistance: An approach to educational change
KR20240029007A (ko) 사용자별 화이트보드 공유 및 모니터링 기능을 활용한 비대면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7613A (ko)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
KR2022007086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창의력 교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