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286A -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286A
KR20220037286A KR1020200120046A KR20200120046A KR20220037286A KR 20220037286 A KR20220037286 A KR 20220037286A KR 1020200120046 A KR1020200120046 A KR 1020200120046A KR 20200120046 A KR20200120046 A KR 20200120046A KR 20220037286 A KR20220037286 A KR 20220037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signal
user
invitation request
group
inv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찬
이양우
신형민
유길상
정주연
박윤동
서원
김도훈
김진우
성명윤
김병주
민동욱
김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밀리
Priority to KR102020012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286A/ko
Publication of KR2022003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8Message addressing, e.g. address format or anonymous messages, ali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 H04L67/1078Resource delivery mechanisms
    • H04L67/1082Resource delivery mechanisms involving incentive schemes

Abstract

본 발명은 초대 기반형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원하는 사람들과 선택적으로 친구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방 또는 제2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방을 입력받는 사용자의 휴대 장치, 제1 상대방에 대응하는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2 상대방에 대응하는 제2 상대 단말로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에게 기생성된 월렛 주소를 매칭하는 메인 서버, 및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가 전송될 때 사용자에게 초대 보상금을 지급하는 서브 서버를 포함하며, 제1 그룹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제2 그룹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Mobile devices and how to invite others to the messenger application on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 널리 이용되면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설치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도 증가하였다. 사람들은 이러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파일, 비디오 파일 등을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기존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의 경우 1:1 간 전송만 가능할 뿐 1:N 간 전송이 어려운 불편이 있었으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1:N 간 전송이 가능해졌고, 이에 따라 그룹 간 텍스트, 이미지 파일, 비디오 파일 등의 전송이 용이해졌다.
한편, 사용자들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본인을 나타내기 위해 닉네임, 사진 등의 프로필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원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까지 자신의 프로필이 공개되기 때문에 광고, 스팸 등을 수신하게 되는 불편이 있다.
KR 10-2015-0109234 A
본 발명은 초대 기반형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원하는 사람들과 선택적으로 친구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은 제1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1 초대 요청 신호에 대한 제1 응답 신호에 의해 제1 그룹이 형성되는 단계, 제2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 단말로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초대 요청 신호에 대한 제2 응답 신호에 의해 제2 그룹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그룹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제2 그룹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은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제1 상대 단말에 대응하는 사람을 임시 참여자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은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의 전송이 차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은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상대 단말에 대한 사용자 연결이 완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타 사용자의 초대 요청 신호에 따라 제1 상대 단말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초대된 경우, 제1 상대 단말에 대응하는 사람은 타 사용자에 대해 임시 참여자의 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 그룹 또는 제2 그룹이 형성되는 단계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형성되며,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경우 메인 서버에 의해 사용자에게 기생성된 월렛 주소를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일 월렛주소를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메인 서버는 사용자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을 완료하는 경우, 매칭된 월렛 주소에 대한 사용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메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가 전송될 때 서브 서버에 의해 사용자에게 초대 보상금이 지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은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메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가 전송될 때 서브 서버에 의해 사용자에게 초대 보상금이 지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은 초대 보상금이 지급되는 경우, 서브 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초대 보상금과 관련된 내역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은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에 응답하는 상대방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경우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실행됨에 따라 서브 서버에 의해 사용자에게 추가 보상금이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제1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 및 제2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 단말로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제1 초대 요청 신호에 대한 제1 응답 신호에 의해 제1 그룹을 형성하거나 제2 초대 요청 신호에 대한 제2 응답 신호에 의해 제2 그룹을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그룹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제2 그룹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에 의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시스템은 제1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방 또는 제2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방을 입력받는 사용자의 휴대 장치, 제1 상대방에 대응하는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2 상대방에 대응하는 제2 상대 단말로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에게 기생성된 월렛 주소를 매칭하는 메인 서버, 및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가 전송될 때 사용자에게 초대 보상금을 지급하는 서브 서버를 포함하며, 제1 그룹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제2 그룹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초대한 상대방에게만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유무, 프로필 등이 공개되기 때문에 원치 않는 광고, 스팸 등의 수신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무분별한 초대 요청 신호의 전송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상금 지급을 통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폐쇄성(예를 들어, 사용자들 간의 연결이 완료되기 전에는 임시 참여자 지위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들간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를 노출시키지 않는 서비스)을 보완하며, 사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상금이 지급될 때 사용자 단말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가 상대방에게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에 의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를 통해 보상금을 지급받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에 의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블록도이다.
휴대 장치는 제어부(11), 입력부(13), 디스플레이부(15), 통신부(17) 및 저장부(19)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휴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입력부(13), 디스플레이부(15), 통신부(17) 및 저장부(19)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3)는 소정의 물리키, 또는 터치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텍스트 입력, 이모티콘 선택 입력, 이미지 파일 선택 입력, 비디오 파일 선택 입력 등을 입력부(13)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입력부(13)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7)는 다른 휴대 장치와 유무선 통시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는 제1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와 제2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 단말로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통신부(17)를 통해 초대 요청 신호, 응답 신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휴대 장치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제1 초대 요청 신호에 대한 제1 응답 신호에 의해 제1 그룹을 형성하거나 제2 초대 요청 신호에 대한 제2 응답 신호에 의해 제2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휴대 장치는 일반적으로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범용 무선 통신 장치에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가 설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휴대 장치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9)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가 포함하는 제어부(11), 입력부(13), 디스플레이부(15), 통신부(17) 및 저장부(19)는 이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이들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제어부(11)는 그룹 폴더에 진입할 수 있다(S10).
제어부(11)는 초대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S20).
제어부(11)는 초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S30).
제어부(11)는 상대방에게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제1 그룹 폴더에 진입하여, 제1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를 선택하고, 선택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1)는 제2 그룹 폴더에 진입하여, 제2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를 선택하고, 선택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제2 상대 단말로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어부(11)는 그룹 폴더에 진입하여 초대 리스트 및 초대 방식의 선택이 완료되면 초대 리스트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에게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그룹 폴더에 진입하는 단계 S10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단계 S20과 S30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초대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S30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초대 방식은 SMS(Short Messaging Service)로 디폴트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가 상대방에게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3의 (a)는 그룹 폴더에 진입한 화면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3의 (a)와 같이 제어부(11)는 그룹 폴더에 진입한 경우, 그룹 폴더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그룹 폴더에 포함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메신저 초대 상대방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초대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초대 리스트는 메신저 초대 상대방으로 선택된 연락처 목록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초대 리스트가 선택되면, 초대 리스트에 포함된 상대방에 대한 초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초대 방식을 선택하는 화면의 일 예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를 초대 방식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이 경우 도 3의 (c)와 같이 초대 요청 신호를 SMS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도 3의 (d)와 같은 방식으로, 초대 요청 신호가 전송된 상대방에 대해서는 ‘초대중’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는 ‘초대’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에는 ‘초대중’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는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24 시간) 동안 ‘초대중’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를 제어할 수 있고, ‘초대중’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는 해당 상대방에게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단계 S60 및 단계 S70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1)는 해당 그룹 폴더에 상대방을 임시 등록할 수 있다(S50).
즉, 제어부(11)는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제1 상대 단말에 대응하는 사람을 임시 참여자로 등록하고,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제2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제2 상대 단말에 대응하는 사람을 임시 참여자로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초대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대방이 초대 요청 신호에 수락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소정 시간 후 다시 초대 가능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S60).
제어부(11)는 상대방이 초대 요청 신호를 수락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70).
제어부(11)는 초대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를 통해 상대방이 초대 요청 신호를 수락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상대방이 초대 요청 신호를 수락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0에서 설정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어부(11)는 설정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해당 상대방에게 다시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로 제어하고, 설정한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대방에게 다시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상대 단말로 초대 요청 신호의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대를 받고 싶지 않은 사용자에게 계속해서 초대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무분별한 초대 요청 신호의 전송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어부(11)는 단계 S70에서 상대방이 초대 요청 신호를 수락한 경우에는 해당 그룹 폴더에 상대방을 연결 완료할 수 있다(S80).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대방으로부터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상대 단말과 제1 그룹을 형성하고,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대방으로부터 제2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단말과 제2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제1 그룹 또는 제2 그룹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형성되고,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요청 신호의 전송은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청 신호의 전송이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경우, 모르는 사용자로부터 받는 초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그룹과 제2 그룹이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그룹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닉네임, 프로필 사진 등)와 제2 그룹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그룹에 노출되는 개인 정보와 제2 그룹에 노출되는 개인 정보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룹 별로 개인 정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저장된 연락처를 자동으로 동기화하여 모든 친구를 자동으로 등록하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사용자가 일일이 선택한 친구들로만 구성된 그룹을 형성하므로 개인 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를 모두에게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초대하지 않은 타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중인지 조차 알 수 없도록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초대한 초대 단말에만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초대 완료가 되더라도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와 응답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사이에서만 그룹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제외한 타 사용자는 위 두 사용자들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를 알 수 없게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어부(11)는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상대 단말에 대한 사용자 연결을 완료하되, 타 사용자의 초대 요청 신호에 따라 제1 상대 단말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초대된 경우, 제1 상대 단말에 대응하는 사람은 타 사용자에 대해 임시 참여자의 지위를 갖을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상호간에 초대 요청 신호 및 응답 신호가 송/수신된 경우 해당 사용자들간에 사용자 연결을 완료하고, 초대 요청 신호만 송/수신된 사용자들간의 관계는 임시 참여자의 지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대 요청 신호에 따라 연결을 완료한 경우에만 사용자간에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가입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타 사용자가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의 가입 여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프라이버시의 침해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따라 보상이 주어지는 시스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에 의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휴대 장치는 그룹 폴더에 진입할 수 있다(S100).
휴대 장치는 그룹 폴더에 연결된 상대방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S200).
휴대 장치는 연결된 상대방에 대응하는 보상받기를 선택할 수 있다(S300).
휴대 장치는 보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S40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를 통해 보상금을 지급받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대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대방의 휴대 장치 화면에는 ‘나를 초대한 친구’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나를 초대한 친구’ 리스트에서 참여하고 싶은 친구만을 추가함으로써 해당 그룹에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의 휴대 장치 화면에는 ‘보상 받기’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상 받기’ 아이콘을 선택함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받고, 보상금이 지급된 경우 ‘보상 받기’ 아이콘은 사라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초대 요청 신호의 전송은 메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나, 이러한 보상금 지급은 서브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에 의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의 사용자 단말(10)은 초대 요청 신호를 타 사용자에게 전송한 휴대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은 제1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방 또는 제2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방을 입력받는 사용자 기기일 수 있다. 메인 서버(20)는 제1 상대방에 대응하는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2 상대방에 대응하는 제2 상대 단말로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에게 기생성된 월렛 주소를 매칭할 수 있다. 서브 서버(30)는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가 전송될 때 사용자에게 초대 보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메인 서버(20)는 사용자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에게 기생성된 월렛 주소를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일 월렛 주소를 매칭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에게 부여되는 월렛 주소는 사용자 식별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ID,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에 매칭되는 1개의 월렛 주소일 수 있다.
즉, 각종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제어하기 위한 개인키 생성 및 월렛 주소 생성 과정은 메인 서버(20)에서 수행하고, 생성된 복수의 개인키와 공개키는 메인 서버(20)에서 관리한다. 즉,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는 별도로 개인키를 생성하여 월렛 주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때, 공개키(Public Key)는 암호화폐를 주고 받기 위한 은행의 계좌번호와 같은 역할을 하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단말(10)이 로그인하는 경우, 사용자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다른 사용자 계정과의 식별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개인키(Private Key)는 비밀번호와 같은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서버(20)에서 월렛 주소를 생성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메인 서버(20)는 각 암호화폐에 대응하는 개인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생성되는 개인키는 256 비트 길이의 랜덤으로 생성된 숫자이다. 둘째로, 생성된 개인키에 타원 곡선 암호 알고리즘 등을 적용하여, 공개키를 생성한다. 이때, 공개키는 그 자체로 월렛 주소로 이용될 수 있으나, 공개키에 해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지갑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공개키 해시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SHA-256, MD5 등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서버(20)에서 부여한 월렛 주소에 대한 사용권한을 메인 서버(20)에서 관리함으로써, 암호화폐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들에게 블록체인 월렛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메인 서버(20)는 사용자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을 완료하는 경우 매칭된 월렛 주소에 대한 사용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로그인이 완료되면, 메인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개인키(블록체인 월렛 사용을 위한 암호)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순 로그인을 통해 블록체인 월렛 이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별도로 개인키(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바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부여된 월렛 주소를 기초로 얼마나 많은 사람을 초대했고, 보상금을 받았는지 등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들은 보상금 지급 등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로그인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로그인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메인 서버(20)에 전송하고, 메인 서버(2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식별정보와 메인 서버(2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1차 인증 완료로 판단하고, 사용자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월렛 주소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에 부여한다. 이를 통해 1차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10)에 월렛 주소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 식별정보는 유심(USIM)의 가입자 고유정보(ICC ID, IMSI,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사용자 아이디) 등 사용자가 가입한 통신 서비스의 계정정보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에서, 사용자에게 부여된 월렛 주소에 대한 사용권한이 필요한 행위 - 예를 들어, 보상금 지급 요청, 암호화폐 송금 요청 등 - 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하면, 메인 서버(20)에서는 사용자 단말(10)에 부여된 월렛 주소에 대한 1차인증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1차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의 월렛 주소에 대응되는 개인키(블록체인 월렛 사용을 위한 암호)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수행하여 보상금 지급 또는 암호화폐 송금 요청 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1차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로그인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부여된 월렛 주소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증 받지 않은 다른 기기 등을 통해 로그인을 하는 경우, 월렛 주소 사용권한을 제한할 수 있어, 월렛 주소 사용권한에 대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인증 수행을 위한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이 상대 단말로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메인 서버(20)는 서브 서버(30)에 초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서브 서버(30)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가 전송될 때 사용자 단말(10)에게 초대 보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서브 서버(30)는 초대 보상금을 지급하면,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보상금 지급 완료 정보를 메인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브 서버(30)는 보상금 지급 완료 정보를 전송한 후, 초대 정보를 전달하고, 그에 따른 스마트컨트랙트를 생성 및 실행할 수 있다. 스마트컨트랙트는 메인 서버(20)에서 전달받은 초대 정보에 따라 스마트컨트랙트 조건이 만족하게 되면 초대 완료 보상금 지급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서브 서버(30)는 초대 완료 보상금 지급 명령을 받으면, 사용자 단말(10)로 초대 완료 보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의 전송은 메인 서버(20)에 의해 수행되며,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가 전송될 때 사용자에게 초대 보상금의 지급은 서브 서버(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초대 보상금이 지급되는 경우, 서브 서버(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연결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40)는 초대 보상금과 관련된 내역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서버(30)는 기 보유한 암호화폐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보상금을 우선적으로 지급하고, 사용자들에게 지급한 보상금 관련 내역을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합산하여 정리한 이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보상금 관련 내역을 처리한다.
즉, 서브 서버(30)는 기본적으로 오프체인(Off-Chain)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며, 오프체인(Off-Chain)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취합하여 온체인(On-Chain Network)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보상금 관련 내역을 정리하여 전달하고 주기적으로 처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0)에서 보상금 지급 요청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제2 초대 요청 신호에 응답하는 상대방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경우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실행되고,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실행됨에 따라 서브 서버(30)에 의해 사용자에게 추가 보상금이 지급될 수 있다. 한편, 초대 요청 신호를 수락한 사용자(상대방)에게도 일부 보상금이 지급될 수 있다.
따라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웰렛 주소를 통해 초대 보상금, 초대 완료 보상금 및 초대 수락 보상금 등에 대한 내역을 블록 체인 상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보상금이 지급될 경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폐쇄성(예를 들어, 사용자들 간의 연결이 완료되기 전에는 임시 참여자 지위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들간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를 노출시키지 않는 서비스)을 보완하며, 사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초대 요청 신호, 제1 및 제2 상대 단말 등과 같이 두 개의 휴대 장치 간에 그룹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 수에 따라 초대 요청 신호, 응답 신호 등을 송수신하는 장치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10: 사용자 단말
20: 메인 서버
30: 서브 서버
40: 블록체인 네트워크
11: 제어부
13: 입력부
15: 디스플레이부
17: 통신부
19: 저장부

Claims (11)

  1. 사용자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초대 요청 신호에 대한 제1 응답 신호에 의해 제1 그룹이 형성되는 단계;
    제2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 단말로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초대 요청 신호에 대한 제2 응답 신호에 의해 제2 그룹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에 노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상기 제2 그룹에 노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제1 상대 단말에 대응하는 사람을 임시 참여자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의 전송이 차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상대 단말에 대한 사용자 연결이 완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타 사용자의 초대 요청 신호에 따라 제1 상대 단말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초대된 경우, 제1 상대 단말에 대응하는 사람은 상기 타 사용자에 대해 임시 참여자의 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 그룹 또는 제2 그룹이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경우 메인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기생성된 월렛 주소를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일 월렛주소를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을 완료하는 경우, 상기 매칭된 월렛 주소에 대한 사용권한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제2 초대 요청 신호가 전송될 때 서브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초대 보상금이 지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보상금이 지급되는 경우, 상기 서브 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초대 보상금과 관련된 내역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제2 초대 요청 신호에 응답하는 상대방이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경우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서브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추가 보상금이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10.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사용자의 휴대 장치는,
    제1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 및 제2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 단말로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초대 요청 신호에 대한 제1 응답 신호에 의해 제1 그룹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2 초대 요청 신호에 대한 제2 응답 신호에 의해 제2 그룹을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룹에 노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상기 제2 그룹에 노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상이하게 설정하는 휴대 장치.
  11. 제1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방 또는 제2 그룹으로 초대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방을 입력받는 사용자의 휴대 장치;
    상기 제1 상대방에 대응하는 제1 상대 단말로 제1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2 상대방에 대응하는 제2 상대 단말로 제2 초대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기생성된 월렛 주소를 매칭하는 메인 서버; 및
    상기 제1 초대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제2 초대 요청 신호가 전송될 때 상기 사용자에게 초대 보상금을 지급하는 서브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룹에 노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상기 제2 그룹에 노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에 의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시스템.

KR1020200120046A 2020-09-17 2020-09-17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KR20220037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46A KR20220037286A (ko) 2020-09-17 2020-09-17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46A KR20220037286A (ko) 2020-09-17 2020-09-17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286A true KR20220037286A (ko) 2022-03-24

Family

ID=8093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046A KR20220037286A (ko) 2020-09-17 2020-09-17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72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234A (ko) 2014-03-19 2015-10-01 (주)원더피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간 초대관계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234A (ko) 2014-03-19 2015-10-01 (주)원더피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간 초대관계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33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one time private key based on blockchain of proof of use
US10417725B2 (en) Secure consent management system
US9754097B2 (en) Method for peer to peer mobile context authentication
US9992287B2 (en) Token-activated, federated access to social network information
US11108558B2 (en) Authentication and fraud prevention architecture
US11539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authentication in a blockchain network
US10834067B2 (en) Method of access by a telecommunications terminal to a database hosted by a service platform that is accessible via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10891599B2 (en) Use of state objects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ransactions
CN111742531B (zh) 简档信息共享
US20200196143A1 (en) Public key-based ser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11329970B2 (en) Sharing authentication between applications
US20240007457A1 (en) Time-based token trust depreciation
KR102038664B1 (ko) Api 기반 외부 데이터를 불러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18165830A1 (zh) 一种基于验证终端的支付方法和装置
CN115086005B (zh) 多系统之间的电子签章互签方法和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20037286A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을 초대하는 방법
US20180255059A1 (en) System for authentication center
KR102575351B1 (ko) Nfc 기능을 이용하여 초간편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본인 인증방법
WO202016139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ccess device and an access system
KR20150074445A (ko) 스마트 계좌 개설 방법 및 장치
US20220345464A1 (en) Companion device authentication
CN117223258A (zh) 伴随设备认证
JP2023022619A (ja) リモート承認システム
KR20210142868A (ko) 기업 서식 관리기반 개인정보 자동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
EP4327513A1 (en) Companion device authent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