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124A -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완충 패드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완충 패드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124A
KR20220037124A KR1020200119694A KR20200119694A KR20220037124A KR 20220037124 A KR20220037124 A KR 20220037124A KR 1020200119694 A KR1020200119694 A KR 1020200119694A KR 20200119694 A KR20200119694 A KR 20200119694A KR 20220037124 A KR20220037124 A KR 20220037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uffer pad
jig
magnet member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호
홍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1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124A/ko
Priority to CN202180012119.9A priority patent/CN115038953A/zh
Priority to EP21869574.0A priority patent/EP4083598A4/en
Priority to JP2022545427A priority patent/JP7412580B2/ja
Priority to US17/796,109 priority patent/US20230081338A1/en
Priority to PCT/KR2021/011318 priority patent/WO2022059951A1/ko
Publication of KR2022003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Plastics; Rubber; Leather
    • G01N33/442Resins; Pla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9Compres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85Compressi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92Visco-elasticity, solidification, curing, cross-linking degree, vulcanisation or strength properties of semi-solid materials
    • G01N2203/0094Visco-elastic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78Thin specimens
    • G01N2203/0282Two dimensional, e.g. tapes, webs, sheets, strips, disks or membr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58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는, 완충 패드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 상기 완충 패드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타면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석 부재가 안착되도록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완충 패드 평가 방법{JIG FOR EVALUATING BUFFER PAD AND METHOD FOR EVALUATING BUFFER PAD USING SAME}
본 발명은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완충 패드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완충 패드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과 전해액의 구성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져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한편, 전지셀의 출력과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다수의 전지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패키지화된 전지 모듈을 형성한다. 특히,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전지 모듈은 다수 개의 전지 모듈이 모듈 케이스 내에 수납된 구조이며, 모듈 케이스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으로부터 내부의 전지셀을 보호하기 위해 모듈 케이스와 전지셀 사이, 또는 모듈 케이스 내에 수납된 전지셀 사이에 완충 패드를 개재하게 된다.
한편, 전지 모듈에 대한 진동 해석 및 충격 해석과 같은 동적 구조해석을 위해서는 이러한 완충 패드의 동적 강성 정보가 필요하다. 특히, 완충 패드는 압축률에 따라 강성이 다르기 때문에 압축률을 달리하면서 동적 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지셀 충방전용 지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47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지 모듈에 삽입되는 완충 패드의 압축률에 따른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완충 패드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는, 완충 패드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 상기 완충 패드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타면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석 부재가 안착되도록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자석에 반응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면적 및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자석 부재는 함입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함입부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함입부의 형상에 대응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함입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형성되되, 플레이트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서, 함입부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자석 부재의 길이 및 폭에 대응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에 각각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석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함입부의 깊이 및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함입부의 깊이의 합보다 크다.
다른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석 부재의 두께는 상기 함입부의 깊이보다 크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상기 함입부는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모든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서, 함입부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자석 부재의 폭에 대응한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두께는, 평가 대상이 되는 완충 패드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수평 단면적은, 평가 대상이 되는 완충 패드의 면적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 패드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바, 상기 완충 패드 평가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를 준비하는 단계;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완충 패드를 개재하고, 함입부에 자석 부재를 안착시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 및 완충 패드에 대한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달리하여, 완충 패드의 압축률에 따른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완충 패드의 압축률은 상기 자석 부재의 두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삽입되는 완충 패드에 대하여, 자석 부재를 사용하여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축률에 따른 동적 강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완충 패드의 평가시 지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완충 패드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용 지그에 완충 패드가 체결된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용 지그에 완충 패드가 체결된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 방법에서 패드의 압축률을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는, 완충 패드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 상기 완충 패드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타면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석 부재가 안착되도록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 모듈에서 모듈 케이스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으로부터 내부의 전지셀을 보호하기 위해 모듈 케이스와 전지셀 사이, 또는 모듈 케이스 내에 수납된 전지셀 사이에 완충 패드를 개재하게 된다. 이 때, 전지 모듈에 대한 진동 해석 및 충격 해석과 같은 동적 구조해석을 위해서는 이러한 완충 패드의 동적 강성 정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삽입되는 완충 패드에 대하여, 자석 부재를 사용하여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축률에 따른 동적 강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완충 패드의 평가시 지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완충 패드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평가 대상이 되는 완충 패드는 전지 모듈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 모듈은 내부에 다수 개의 전지셀이 수납되어 있다. 특히 상게 전지셀은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으며,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은 전극 조립체, 전해액 및 파우치 외장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조립체는, 전극과 분리막의 조립체로서,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하나 이상의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의 각 전극판에는 전극 탭이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전극 탭이 전극 리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리드는, 파우치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어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와 같이 노출된 부분이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파우치 외장재는, 전극 조립체와 함께 전해액을 내부 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 외장재는 테두리부가 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실링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파우치 외장재는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파우치는 외부 절연층, 금속층 및 내부 접착층을 구비하여, 내부 접착층이 상호 융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셀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전지셀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셀은 모듈 케이스 내에 다수 개가 탑재된다. 모듈 케이스는 기계적 강도가 높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지 모듈은 사용 중에 외부에서 여러 종류의 진동 및 충격을 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전지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지셀과 모듈 케이스 사이 또는 전지셀 사이에 완충 패드가 개재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완충 패드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소프트한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완충 패드로는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폼 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는 진동에 대한 흡수성 및 압축에 의한 반발력이 우수하므로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전지셀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완충 패드는, 전지셀의 발열시 방열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는 완충 패드가 개재될 수 있는 한 쌍의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는, 완충 패드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완충 패드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타면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소재는, 자석에 반응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소재는 철, 니켈, 코발트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일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면적 및 두께는, 평가 대상인 완충 패드의 면적 및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설계할 수 있으며, 다만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완충 패드와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은 완충 패드가 압축되는 것을 고려하여 완충 패드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지그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지그가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면적 및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의 면적 및 크기이란 플레이트 외주변의 면적 및 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가 장방형 형상일 경우, 플레이트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자석 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는 별도의 브라켓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 없이 자석을 사용하여 플레이트가 체결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완충 패드의 특성 평가시 지그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석 부재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석 부재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석 부재가 안착되도록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함입부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완충 패드와 접촉하는 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즉 상기 함입부는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끝단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소정의 폭을 갖도록 함입된 형태이다. 이와 같이 자석 부재가 위치하는 부분에 함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자석이 위치를 쉽게 잡을 수 있다.
상기 자석 부재는 함입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함입부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함입부의 형상에 대응한다. 여기서 함입부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함입부의 형상에 대응한다는 것은, 함입된 부분의 단면 형상이 자석 부재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석 부재가 직육면체 형상일 경우 함입부의 단면 형상 또한 이에 대응하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자석 부재가 원기둥 형상일 경우 함입부 또한 상기 원기둥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함입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함입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형성된다. 여기서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란,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가장자리 영역 중 일부를 의미한다. 이 때, 안정적인 체결을 위하여 상기 함입부는 플레이트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가 사각형일 경우, 함입부는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서, 함입부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자석 부재의 길이 및 폭에 대응한다. 즉 함입부는 상기 자석 부재가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함입부의 내벽에 자석 부재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석 부재의 면적이 함입부의 면적보다 작을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에 각각 함입부가 형성된다. 즉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 지그는 상하 대칭 구조가 된다. 자석 부재는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된 함입부와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된 합입부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동일 형상으로 함으로써 한 가지 형태의 플레이트만을 제조할 수 있어 플레이트의 제조 공정 및 플레이트의 체결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에 각각 함입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자석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함입부의 깊이 및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함입부의 깊이의 합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완충 패드가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석 부재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함입부가 형성되지 않은 플레이트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함입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자석 부재의 두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함입부의 깊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완충 패드가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석 부재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에서, 상기 함입부는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모든 영역에 형성된다. 즉 상기 함입부는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가장자리 영역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모든 영역에 함입부를 형성하고, 자석 부재를 안착시킴으로써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평가 과정에서 플레이트가 자석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사각형 형상인 경우, 함입부는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4개의 변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서, 함입부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자석 부재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함입부는 상기 자석 부재가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함입부의 내벽에 자석 부재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석 부재의 면적이 함입부의 면적보다 작을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 사이에는 완충 패드가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두께는, 평가 대상이 되는 완충 패드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완충 패드가 상기 공간 내에서 압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내부 공간의 두께가 완충 패드의 두께와 동일할 경우, 완충 패드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완충 패드를 평가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의 두께가 완충 패드의 두께보다 작을 경우 완충 패드가 압축된 상태에서 완충 패드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수평 단면적은, 평가 대상이 되는 완충 패드의 면적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단면적이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수평 단면적을 평가 대상이 되는 완충 패드의 면적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완충패드가 압축되어 면적이 증가할 때 면적이 증가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패드 및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가 사각형 형상일 경우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완충 패드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 패드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바, 상기 완충 패드 평가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를 준비하는 단계;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완충 패드를 개재하고, 함입부에 자석 부재를 안착시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 및 완충 패드에 대한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를 준비한다. 상기 완충 패드는 상기 완충 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 상기 완충 패드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타면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석 부재가 안착되도록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된다.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가 준비되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완충 패드를 개재하고, 함입부에 자석 부재를 안착시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한다.
이어서 완충 패드의 동적 강성을 측정한다. 동적 강성이란 역학계의 임의의 지점에서 단순 조화 운동으로 변화하며 진행된 변위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의미하며, 여기서 단순 조화 운동으로는 일반적인 진동 운동 등을 포함한다.
완충 패드의 동적 강성을 측정을 위해서는 완충 패드에 소정의 충격 또는 진동을 인가하고 이에 따른 완충 패드의 각 지점에서의 변위의 정도 및 변위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측정한다. 이 때 완충 패드가 지면으로부터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 패드를 공중에 매달아놓은 상태로 실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완충 패드의 동적 강성은 완충 패드의 압축률에 따라 달라지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달리하여, 완충 패드의 압축률에 따른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 패드의 압축률은 상기 자석 부재의 두께에 의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자석의 두께를 작게 하여,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석의 두께를 크게 하여,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완충 패드가 압축된 상태에서 동적 강성 측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삽입되는 완충 패드에 대하여, 자석 부재를 사용하여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축률에 따른 동적 강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완충 패드의 평가시 지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용 지그에 완충 패드가 체결된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10)는, 완충 패드(15)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15)를 가압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11); 상기 완충 패드(15)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15)를 타면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12);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 사이에 위치하는 자석 부재(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는 자석에 반응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 사이에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를 체결하기 위한 자석 부재(13)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석 부재가 안착되도록 함입된 함입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자석 부재(13)는 함입부(14)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함입부(14)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함입부(14)의 형상에 대응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자석 부재(13)의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고, 이에 따라 함입부(14)의 단면의 형상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사각형 형상인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함입부(14)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 또는 제2 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함입부(14)는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에 각각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함입부(14)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의 4개의 변 중 마주보는 두 변에 형성된다. 이 때 제1 플레이트(11) 또는 제2 플레이트(12)에서, 함입부(14)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l1) 및 폭(w1)은 상기 자석 부재(13)의 길이(l2) 및 폭(w-2)에 대응한다. 또한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 사이에 완충 패드(15)가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자석 부재(13)의 두께(t)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에 형성되는 함입부(14)의 깊이(h1) 및 제2 플레이트(12)에 형성되는 함입부(14)의 깊이(h2)의 합보다 크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완충 패드(15)는 제1 플레이트(11), 제2 플레이트(12) 및 자석 부재(13) 사이의 내부 공간에 개재된다. 이 때 상기 내부 공간의 두께는 평가 대상이 되는 완충 패드(15)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의 수평 단면적은 완충 패드(15)의 면적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용 지그에 완충 패드가 체결된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20)는, 완충 패드(25)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25)를 가압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21); 상기 완충 패드(25)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25)를 타면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22); 및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 사이에 위치하는 자석 부재(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석 부재(23)가 안착되도록 함입된 함입부(24)가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함입부(24)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 또는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함입부(24)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플레이트(21)의 변 중 마주보는 두 변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함입부(24)는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제1 플레이트(21)에만 함입부(24)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 사이에 완충 패드(25)가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자석 부재(23)의 두께(t)는 제1 플레이트(21)에 형성되는 함입부(24)의 깊이(h)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완충 패드(25)는 제1 플레이트(21), 제2 플레이트(22) 및 자석 부재(23) 사이의 내부 공간에 개재된다. 이 때 상기 내부 공간의 두께는 평가 대상이 되는 완충 패드(25)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의 수평 단면적은 완충 패드(25)의 면적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30)는, 완충 패드(미도시)의 일면에 위치하여, 완충 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31); 상기 완충 패드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타면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32); 및 상기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 사이에 위치하는 자석 부재(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석 부재(33)가 안착되도록 함입된 함입부(34)가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함입부(34)는 상기 제1 플레이트(31) 또는 제2 플레이트(32)의 가장자리 모든 영역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함입부(34)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플레이트(31) 및 제2 플레이트(32)의 4개의 변에 모두 형성된다. 또한 도 7에는 합입부(34)가 제1 플레이트(31) 및 제2 플레이트(32)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자석 부재(33)는 함입된 모든 영역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영역에 복수 개의 자석 부재로 나뉘어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플레이트(31) 및 제2 플레이트(32)에서, 함입부(34)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자석 부재(33)의 폭에 대응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 패드 평가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를 준비하는 단계(S10);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완충 패드를 개재하고, 함입부에 자석 부재를 안착시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S20); 및 완충 패드에 대한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 방법에서 패드의 압축률을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완충 패드(15)가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10)를 구성하는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 사이의 공간에 개재된다. 이어 함입부(14) 상에 자석 부재(13)를 안착시키면, 자석 부재(13)가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에 인력을 가함으로써 완충 패드(15)가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10)를 공중에 매달고 완충 패드(15)의 동적 강성을 측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완충 패드(15)의 압축률을 달리하여, 완충 패드(15)의 압축률에 따른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압축률은 상기 자석 부재(13)의 두께에 의해 조절된다. 도 9의 (a)의 경우 자석 부재(13)의 두께(t1)를 작게 하여 완충 패드(15)의 압축률을 크게 조절한 것을 나타내며, (b)의 경우 자석 부재(13)의 두께(t2)를 크게 함으로써 완충 패드(15)의 압축률을 작게 한 조절한 것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20, 30: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11, 21, 31: 제1 플레이트
12, 22, 32: 제2 플레이트
13, 23, 33: 자석 부재
14, 24, 34: 함입부
15, 25: 완충 패드

Claims (16)

  1.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에 있어서,
    완충 패드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
    상기 완충 패드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완충 패드를 타면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석 부재가 안착되도록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되는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자석에 반응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면적 및 크기는 서로 동일한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부재는 함입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함입부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함입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형성되되, 플레이트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서,
    함입부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자석 부재의 길이 및 폭에 대응하는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에 각각 함입부가 형성되는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함입부의 깊이 및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함입부의 깊이의 합보다 큰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함입부가 형성되는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부재의 두께는 상기 함입부의 깊이보다 큰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모든 영역에 형성되는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서,
    함입부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자석 부재의 폭에 대응하는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두께는, 평가 대상이 되는 완충 패드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수평 단면적은, 평가 대상이 되는 완충 패드의 면적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큰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14. 제1항에 따른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를 준비하는 단계;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완충 패드를 개재하고, 함입부에 자석 부재를 안착시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 및
    완충 패드에 대한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완충 패드 평가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완충 패드의 압축률을 달리하여, 완충 패드의 압축률에 따른 동적 강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완충 패드 평가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패드의 압축률은 상기 자석 부재의 두께에 의해 조절되는 완충 패드 평가 방법.
KR1020200119694A 2020-09-17 2020-09-17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완충 패드 평가 방법 KR20220037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94A KR20220037124A (ko) 2020-09-17 2020-09-17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완충 패드 평가 방법
CN202180012119.9A CN115038953A (zh) 2020-09-17 2021-08-24 用于评价缓冲垫的夹具和使用所述夹具来评价缓冲垫的方法
EP21869574.0A EP4083598A4 (en) 2020-09-17 2021-08-24 DEVICE FOR EVALUATION OF A BUFFER PAD AND METHOD FOR EVALUATION OF A BUFFER PAD
JP2022545427A JP7412580B2 (ja) 2020-09-17 2021-08-24 緩衝パッド評価用のジグ及びそれを用いた緩衝パッド評価方法
US17/796,109 US20230081338A1 (en) 2020-09-17 2021-08-24 Jig for evaluating buffer pad, and method of evaluating buffer pad using the same
PCT/KR2021/011318 WO2022059951A1 (ko) 2020-09-17 2021-08-24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완충 패드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94A KR20220037124A (ko) 2020-09-17 2020-09-17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완충 패드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24A true KR20220037124A (ko) 2022-03-24

Family

ID=8077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694A KR20220037124A (ko) 2020-09-17 2020-09-17 완충 패드 평가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한 완충 패드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1338A1 (ko)
EP (1) EP4083598A4 (ko)
JP (1) JP7412580B2 (ko)
KR (1) KR20220037124A (ko)
CN (1) CN115038953A (ko)
WO (1) WO202205995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709A (ko)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형 엔드 플레이트와 확장형 센싱 하우징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939Y1 (ko) * 1970-12-17 1978-05-06
JPS58116648U (ja) * 1982-02-02 1983-08-09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板試験用固定治具
JP3345602B2 (ja) * 2000-05-18 2002-1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引張試験装置
EP2317330B1 (en) * 2009-09-11 2013-12-11 Giga-Byte Technology Co., Ltd. Pin connector and chip test fixture having the same
JP5400815B2 (ja) * 2011-01-28 2014-01-29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細胞用力学負荷装置
JP2014060253A (ja) * 2012-09-18 2014-04-03 Ibiden Co Ltd 基板保持治具
KR20150049985A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접강도 측정장치
KR101882120B1 (ko) * 2014-04-21 2018-07-25 인텔 코포레이션 집적 회로 패키지의 정렬 고정구
KR101800651B1 (ko) * 2015-08-03 2017-11-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판형소재 가압시험장치
KR102199439B1 (ko) 2019-04-10 2021-01-06 (주)함일셀레나 발포우레탄 스프레이 디스펜싱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709A (ko)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형 엔드 플레이트와 확장형 센싱 하우징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12580B2 (ja) 2024-01-12
EP4083598A1 (en) 2022-11-02
CN115038953A (zh) 2022-09-09
US20230081338A1 (en) 2023-03-16
WO2022059951A1 (ko) 2022-03-24
JP2023511452A (ja) 2023-03-17
EP4083598A4 (en)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8902B (zh) 电池模块及制造该电池模块的方法
CN107851759B (zh) 电池模块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CN108431986B (zh) 用于二次电池的袋外部、使用该袋外部的袋型二次电池及制造该袋型二次电池的方法
KR101863431B1 (ko) 조전지용 스페이서 및 조전지
WO2019142645A1 (ja) 蓄電装置
KR101827493B1 (ko) 안전성 및 작동 수명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KR20120053589A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WO2006057291A1 (ja) 蓄電体セルのパッケージ構造
US9935329B2 (en)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JP2013093225A (ja) 蓄電素子、単電池、および組電池
KR20150000090A (ko) 가압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JP5988669B2 (ja) 電池積層体
KR20140011207A (ko) 셀 댐퍼를 포함한 이차전지모듈
JP2020024782A (ja) 二次電池及び電池パック
KR20170039948A (ko) 배터리 팩
CN113678310A (zh) 电池组
US20210151722A1 (en) Battery pack
JP6840139B2 (ja) 電極スタック拘束具
JP6731157B2 (ja) 角型二次電池
KR20190090299A (ko) 프레임에 형성된 비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지모듈
KR100937899B1 (ko)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지모듈
JP7412580B2 (ja) 緩衝パッド評価用のジグ及びそれを用いた緩衝パッド評価方法
KR20170073856A (ko) 외주변 실링부에 형성된 일체형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JP2020119898A (ja) 蓄電素子
KR102267587B1 (ko)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