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993A -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993A
KR20220036993A KR1020227007973A KR20227007973A KR20220036993A KR 20220036993 A KR20220036993 A KR 20220036993A KR 1020227007973 A KR1020227007973 A KR 1020227007973A KR 20227007973 A KR20227007973 A KR 20227007973A KR 20220036993 A KR20220036993 A KR 2022003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unification
information
personal workspac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884B1 (ko
Inventor
웨이텅 청
춘샤오 린
쉬청 란
호청 청
Original Assignee
에이블 월드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324,069 external-priority patent/US9134963B1/en
Priority claimed from US14/325,466 external-priority patent/US9727391B2/en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 월드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블 월드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를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사용하여 태스크를 수행하는 단계(iii)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 중의 웹 사이트, 운영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의 독립성과 비호환성이 데이터와 정보 자유도의 부족함을 제한한 것에 한하여, 사용자 지향적인 통일화 개인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COMBINATORY WORKING METHOD FOR STANDARDIZED ELEMENTS IN PERSONAL WORKSPA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USING SAID METHOD}
본 발명은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많은 웹 사이트, 운영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신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또한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웹 사이트,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은 편리함과 변화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지만, 사용자에게 문제도 초래하였다. 이들이 독립적이고 서로 호환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다수의 소프트웨어 공급업체는 모두 각 곳에서 웹 사이트,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에, 통일된 메커니즘을 공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 또는 태스크에 대해서도, 상이한 운영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은 협력하여 운행될 수 없다. 그러므로, 현재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수많은 작업 인터페이스를 오픈해야 하고, 그 특정된 기능 또는 서비스를 이용해야만 관련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정리할 통일된 작업 공간이 없기에 사용자가 수행할 태스크는 복잡하고 효율이 낮으며 심지어는 불가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Photoshop 또는 PhotoImpact를 사용하여 이미지 처리를 완성할 수 있는데, PhotoImpact는 사용자가 이미지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한 모듈을 구비하는데, Photoshop은 사용자가 이미지에 대해 높은 단계의 처리를 진행하는 프로페셔널 도구이다. 만약 사용자가 Photoshop의 특정 기능 또는 도구 및 PhotoImpact의 특정 기능 또는 도구를 동시에 사용하여 이미지를 처리하려면, 현재 사용자는 각각 Photoshop과 PhotoImpact를 작동해야 하는데, 그 원인은 비록 이 두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운영 시스템에 응용되지만, PhotoImpact의 도구는 Photoshop의 인터페이스에 응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상황하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도구 또는 기능은 상호 응용될 수 없기에, 사용자가 단일한 작업 환경 또는 작업 공간을 사용하여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모든 기능 또는 서비스에 접속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웹 사이트, 운영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의 독립성과 비호환성은 상기 기능 또는 상기 도구의 데이터/정보 교환과 사용의 자유도를 방해한다.
현재, 사용자는 예컨대 웹 사이트, 클라우드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 저장 장치의 상이한 정보원에서 더욱 많은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정보원의 동작 인터페이스는 각자 분리된 것으로서, 이러한 데이터 또는 정보가 이러한 분리된 동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한되어, 사용자가 이러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이, 저장 또는 통일화하는데 어렵거나 자유롭지 않은 것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상기 상황하에 사용자는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해 각 정보원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롭다. 하여 사용자는 상이한 정보원의 이러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통일화하고 하나의 집중된 인터페이스로 이러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통일화 및 처리할 하나의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밖에, 운영 시스템 중의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 버전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었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현재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은 단지 단일한 소프트웨어 버전으로 운영 시스템에 설치되기에, 사용자는 반드시 하나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선택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비록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 버전은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및 더욱 간편한 기능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이러한 사용자는 일부 원인(예를 들어 사용 습관)으로 인해 예전 소프트웨어 버전의 기능과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향이 존재한다. 그러나, 대다수 소프트웨어 공급 업체는 일단 새로운 버전의 기능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만 하면 낡은 버전의 기능 또는 서비스를 중단하여 사용자가 본인이 좋아하는 낡은 버전의 기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가지 서비스로 협동 작업하는 작업 공간이 필요하고, 상기 여러가지 서비스는 상이한 소프트웨어 버전으로 지원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한 것은 상이한 웹 사이트, 운영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임의의 응용 또는 서비스를 모두 수행하는 통일화 작업 공간으로서, 또한 상기 통일화 작업 공간은 사용자에게 메커니즘을 자유롭게 안배하여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구성하도록 하여 개인 작업 환경을 구축한다.
선행기술에 존재하는 웹 사이트, 운영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의 독립성과 비호환성은 데이터와 정보의 자유도의 부족을 제한하였고,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Matterizer)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를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ii);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사용하여 태스크를 수행하는 단계(iii)를 포함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information importe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통일화한 후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거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로 통일화한 후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내장 요소 변환기 및/또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플러그 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인 요소 변환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거쳐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i)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 중의 내장 정보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 정보원은 통일화 스크립트(unified script)를 포함하고,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중간 언어로 응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은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내장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플러그 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인 요소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내장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플러그 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인 통일화 도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은 마이크로커널(microkernel)의 작업 환경 또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운반한다(host).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커널은 하나의 중간 언어인 통일화 스크립트(unified script)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는 문서형 정의(DTD), 확장형 마크업 언어 스키마(XML schema), 구조 언어(structured language) 또는 구조화된 프로토콜(structured protocol)에 의해 선언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i)는,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ii)는,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가 호환 가능한 도구일 경우,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직접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가 호환 불가한 도구일 경우, 호환 가능한 어댑터(adapter) 및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간접적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호환 가능한 도구 및/또는 상기 호환 가능한 어댑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iii)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자에 접속 또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iii)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의 속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지원(supporting)하는 기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를 선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에 접속 또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iii)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중의 접속하거나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드래그하고, 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대응자에 드로핑(dropping)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중의 접속하거나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에 접속 또는 제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하나를 드래그하고, 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중의 접속하거나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에 드로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중의 접속하거나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에 접속 또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를 상기 개인 작업 공간 의 특정 영역에 그루핑(grouping) 및 안착(placing)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은, 상기 개인 작업 공간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증가하거나 삭제하고, 및/또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를 로딩(load) 또는 언로딩하는(upload)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은 인터넷 서비스, 비일시적인 컴퓨터용 저장 매체 또는 이동 장치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 베이스, 책략, 규칙 또는 관련 기기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는 공용 프로그램, 위젯, 지능형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버 도구 또는 관련 기기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소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메타데이터(metadat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unified script)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Matterizer),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사용하여 태스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information importe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통일화한 후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거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로 통일화한 후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는 문서형 정의(DTD), 확장형 마크업 언어 스키마(XML schema), 구조 언어(structured language) 또는 구조화된 프로토콜(structured protocol)에 의해 선언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이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수행할 경우,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unified script)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Matterizer),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사용하여 태스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information importe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통일화한 후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거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로 통일화한 후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는 문서형 정의(DTD), 확장형 마크업 언어 스키마(XML schema), 구조 언어(structured language) 또는 구조화된 프로토콜(structured protocol)에 의해 선언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시스템을 더 제공하는데,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에 대해 조합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unified script)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Matterizer),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제1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사용하여 태스크를 수행하는 제2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information importe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통일화한 후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거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로 통일화한 후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는 문서형 정의(DTD), 확장형 마크업 언어 스키마(XML schema), 구조 언어(structured language) 또는 구조화된 프로토콜(structured protocol)에 의해 선언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지향의 통일화 개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였는 바,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장점을 구비한다.
첫째, 기존 운영 시스템과 비교하면, 개인 작업 공간은 인터넷에서 상이한 정보원의 공유로 하여금 경계가 없도록 한다. 즉, 각각 상이한 정보원의 원시 정보와 원시 도구를 사용자 전용의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정보 유닛과 통일화 도구로 통일화시키고, 또한 통일화 도구는 통일화 정보 유닛을 처리하여 일부 특정된 태스크를 완성하도록 하며, 이는 상이한 정보원의 모든 원시 정보와 원시 도구를 모두 개인 작업 공간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정보 유닛과 통일화 도구는 상호 작용 가능하다. 즉, 통일화 도구는 대응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을 처리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운영 시스템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새로운 버전 업데이트 문제가 없는 개인 작업 공간을 구축하여, 기존의 운영 시스템을 업데이트하면, 기타 소프트웨어가 호환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조성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운영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에 대해 학습해야 하는 문제를 방지하였다.
넷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지향의 개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바, 즉 이상적인 통일화 정보 유닛 또는 이상적인 통일화 도구는 사용자의 실제 수요에 따라 개인 작업 공간에 구성된다.
다섯째, 개인 작업 공간은 상이한 정보원의 다수의 원시 정보에 접속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1은 통일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 개념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의 일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3은 통일화 스크립트를 편집하여 도2에 도시된 단계110가 요소 변환기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일 바람직한 개념 모식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단계120에서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통일화 도구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 인됨)하는 일 바람직한 개념 모식도이다.
도5는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통일화 도구에 추가하여 구성(arrange) 안배하는 일 바람직한 개념 모식도이다.
도6은 도2에 도시된 단계130을 실현하는 일 바람직한 모식도이다.
도7은 도2에 도시된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응용하는 일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블록 모식도이다.
도8은 도2에 도시된 방법을 시스템에 응용하는 일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록 모식도이다.
도9는 다른 하나의 통일화 방법을 일 실시예에 실시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된 통일화 방법에 기반하여 도2에 도시된 단계110에서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통일화 도구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일 바람직한 개념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이 서술되고, 하기의 전문 용어 및 결론적인 실례를 포함하여 충분한 이해를 얻는다. 간편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출판물은 특허의 공개 내용을 포함하고 또한 본문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한정적인 것이고, 또한 단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양태 및 특징을 대표한다. 가장 한정되는 기술적 의의로부터 말하자면, 본문의 상기 "정보원"은 유용한 정보의 부호 서열로 해석할 수 있고, 상기 유용한 정보는 데이터를 조직하고 태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정보원은 웹 사이트(예컨대 인터넷 서비스), 내부 네트워크, 인트라넷, 소프트웨어, 전자책, 데이터 베이스 및 기타 정보 매체(예컨대 비일시적인 컴퓨터용 저장 매체, 이동 장치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문의 상기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 베이스, 책략, 규칙 또는 관련 기기와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문의 상기 "원시 도구"는 공용 프로그램, 위젯, 지능형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버 도구 또는 관련 기기와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원, 원시 정보 및 원시 도구는 모두 상기와 같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원시 정보" 및 "원시 도구"는 모두 본문의 상기 "원시 요소"의 한가지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보원"의 다수의 "원시 요소"는 모두 통일화 방법을 거쳐 각각 다수의 "통일화 요소"로 모델링되어, 동일한 작업 환경 중의 다수의 "통일화 요소"가 모두 상호 호환되어 협업하여 특정 태스크를 진행한다. 여기서, "통일화 도구" 및 "통일화 정보 유닛"은 모두 "통일화 요소"의 실시양태이다. 또한, 본문의 상기 "요소 변환기(Matterizer)"는 "원시 요소"에 대해 통일화를 진행하는 부재, 장치 또는 프로그램 코드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방법은, 통일화 데이터 구조에 따라 다수의 정보원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된 원시 정보를 재조정함으로써, 원시 정보를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모델링(modeling)하고, 및/또는 다른 하나의 통일화 데이터 구조에 따라 다수의 정보원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된 원시 도구를 재조정함으로써, 원시 도구를 통일화 도구로 모델링한다. 여기서, 상기 통일화 데이터 구조 및 상기 다른 하나의 통일화 데이터 구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상기 통일화 방법은 요소 변환기로 완성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이는 상기 통일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 개념 모식도이다. 도1은 요소 변환기(992)가 통일화 데이터 구조(993)에 따라 원시 요소(991)의 속성과 관련 링크를 재조정하여, 원시 요소(991)를 통일화 요소(994)로 모델링하여, 통일화 요소(994)의 기본 속성(attitude)이 원시 요소의 유형(type)및 원시 요소가 위치한 곳을 가리키는 링크(link)를 포함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시 요소(991)는 적어도 원시 정보(미도시) 또는 원시 도구(미도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통일화 방법에 있어서, 원시 정보에서 획득할 수 있는 속성과 통일화 정보 유닛에서 통일하고자 하는 속성과 서로 대응될 경우, 요소 변환기(992)를 거쳐 통일화 정보 유닛을 직접 생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원시 정보에서 획득할 수 있는 속성과 통일화 정보 유닛에서 통일하고자 하는 속성이 대응되지 않을 경우, 우선 원시 정보의 속성과 관련 링크를 논리적으로 재조정하여 원시 정보를 재정의하여, 원시 정보를 그 속성이 통일화 정보 유닛에서 통일하고자 하는 속성에 대응되는 새로운 원시 정보로 변환시켜, 통일화 정보 유닛을 간접적으로 생성한다.
또한, 원시 도구와 작업 공간(workspace)의 작업 환경과 호환될 경우, 요소 변환기(992)를 거쳐 상기 통일화 도구를 직접 생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원시 도구와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이 호환되지 않을 경우, 어댑터(adapter) 및/또는 원시 도구의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사용하여 원시 도구를 구동시켜 상기 통일화 도구를 간접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adapter)는 작업 공간과 호환되는 인터페이스 임플리먼테이션(interface implementation)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일화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 "통일화 요소의 구체적인 획득방식" 및 "요소 변환기의 구체적인 운행 방식"은 출원번호가 14/324069이고, 명칭이 "A METHOD OF UNIFYING INFORMATION AND TOOL FROM A PLURALITY OF INFORMATION SOURCES"인 미국 특허 출원을 참조할 수 있고, 상기 출원 번호가 14/324069인 미국 특허 출원을 우선권으로 주장하는 출원번호가 201410768564.X이고, 명칭이 "복수의 정보원에서 얻는 정보 및 도구를 통일화하는 방법 및 이를 응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을 참조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특별히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상기 통일화 방법은 단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일화 방법의 한가지 실시예로서, 상이한 정보원에서 얻는 다수의 원시 요소를 통일화하는 방법은 상기 내용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제 응용 수요에 따라 임의의 균등한 변화를 진행하여 설계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설명된 통일화 방법과 상이한 두가지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첫번째 통일화 방법은 Garmin 위성 내비게이션 중의 정보 통일화 방법에 응용되고, Garmin 위성 내비게이션의 관심 지역 정보(Point of Interest, POI) 기능은 상기 정보 통일화 방법을 거쳐 그 중의 원시 지표 정보(원시 정보)를 입력하여 통일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대응되는 통일화 지표 정보(통일화 정보 유닛)를 획득한다. 두번째 방법은 안드로이드(Android) 시스템에 응용되는 도구 통일화 방법이며, 안드로이드(Android) 시스템은 Linux를 기초로 원시 코드 이동 장치를 개방하여 운영되는 시스템이지만, 안드로이드 시스템 중의 어플리케이션(원시 도구)은 대부분 Java에서 편집되기에, Java로 편집되는 어플리케이션(원시 도구)는 모두 상기 도구 통일화 방법을 거쳐 안드로이드 시스템과 호환되는 통일화 어플리케이션(통일화 도구)으로 모델링되며,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다 .
아래, 계속하여 사용자가 어떻게 하나의 사용자 지향의 개인 작업 공간을 구축하는 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2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의 일 바람직한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100)은,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1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를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1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사용하여 태스크를 수행하는 단계130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의 중간 언어를 구현하는 하나의 통일화 스크립트로 편집하고, 이는 상이한 격식의 변환 기능의 요소 변환기를 여기에 제공(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 인됨)하며, 상기 변환 기능은 상이한 정보원의 원시 정보를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변환시키고 상이한 정보원의 원시 도구를 통일화 도구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통일화 스크립트는 문서형 정의(DTD), 확장형 마크업 언어 스키마(XML schema), 구조 언어(structured language) 또는 구조화된 프로토콜(structured protocol)에 의해 선언되어 형성되고, 요소 변환기는 Java Bean, COM 또는 임의의 하나의 삽입가능한 소자 구조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이 밖에, 하기의 상기 정보 입력기(information importer)(예컨대 도3중의 Dropbox(22)의 정보 입력기(23), 도3중의 구글 드라이브 하드웨어(25)의 정보 입력기(26), 도4중의 정보 입력기(33) 등임)는 모두 요소 변환기의 한가지 실시양태이다.
또한, 사용자는 상이한 태스크에 따라 필요로 하는 다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다수의 통일화 도구를 대응되는 다수의 정보원으로 개인 작업 공간에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다수의 통일화 도구는 다수의 정보원 일부/전부에서 획득된 후 모델링(modeling)하여 생성된 것이고, 개인 작업 공간은 마이크로커널(microkernel)의 작업 환경 또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상기 요소 변환기, 다수의 상기 통일화 정보 유닛 및 다수의 상기 통일화 도구를 운반(host)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마이크로커널은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다수의 상기 요소 변환기, 다수의 상기 통일화 정보 유닛 또는 다수의 상기 통일화 도구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한다.
도3을 참조하면, 이는 통일화 스크립트를 편집하여 도2에 도시된 단계110가 요소 변환기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일 바람직한 개념 모식도이다. 도3은 통일화 스크립트(24)를 개인 작업 공간(21)의 중간 언어로 하는 것을 도시하고, 통일화 스크립트(24)를 거쳐 Dropbox(22)의 정보 입력기(23) 및 구글 드라이브 하드웨어(25)(Google Drive)의 정보 입력기(26)를 설치(configure)한다. 여기서, Dropbox(22)의 정보 입력기(23) 및 구글 드라이브 하드웨어(25)의 정보 입력기(26)는 통일화 프로그램을 거친 후 함께 동일한 개인 작업 공간(21)에 진입하도록 허용된다.
나아가,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 작업 공간(21)의 정보원은 Dropbox(22)이고, Dropbox(22)의 정보 입력기(23)는 하나의 Dropbox(22) 중의 데이터를 통일화 정보 유닛의 소프트웨어 소자로 통일화할 수 있다. 여기서, Dropbox의 요소 변환기는 통일화 스크립트(24)를 통해 설치되며, 또한 개인 작업 공간(21)의 소스 공급자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개인 작업 공간(21)의 다른 하나의 정보원은 구글 드라이브 하드웨어(25)이고, 구글 드라이브 하드웨어(25)의 정보 입력기(26)는 구글 드라이브 하드웨어(25) 중의 데이터를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통일화하는 소프트웨어 소자이다. 여기서, 구글 드라이브 하드웨어(25)의 요소 변환기는 통일화 스크립트(24)를 거쳐 설치(configure)되며, 또한 개인 작업 공간(21)의 소스 공급자 중의 하나일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사용자가 상이한 태스크에 따라 다수의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다수의 통일화 도구를 개인 작업 공간에 수집하는 것을 언급하였지만, 원시 도구는 호환 가능한 도구 및 호환 불가한 도구로 구분되며, 원시 도구가 호환 가능한 도구일 경우,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된 원시 도구를 개인 작업 공간에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 인됨), 원시 도구가 호환 불가한 도구일 경우, 호환 가능한 어댑터(adapter) 및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된 원시 도구를 개인 작업 공간에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 인됨). 이 밖에, 호환 가능한 도구 및 호환 가능한 어댑터는 모두 통일화 도구로 간주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도2에 도시된 단계120에서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통일화 도구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 인됨)하는 일 바람직한 개념 모식도이다. 우선 원시 도구가 호환 가능한 도구일 상황을 설명한다. 도4에 있어서, 원시 도구는 정보원에 설치된 통일화 계산기(32)(Unified Calculator)이고, 통일화 계산기(32)의 소자 인터페이스는 개인 작업 공간(31)에서 통일화 도구의 사용에 제공되는 소자 구조와 호환되며, 통일화 계산기(32)는 호환 가능한 통일화 도구이고, 또한 통일화 스크립트(34)(그 중의 정보 입력기(33)를 이용함)는 특정 기능을 구비하는 통일화 계산기(32)를 개인 작업 공간(31)에 직접 제공할 수 있다(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 인됨).
이어서 원시 도구가 호환 불가한 도구인 상황을 설명한다. 도4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원시 도구는 다른 하나의 정보원에 설치되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Word 도구(35)이고, 마이크로소프트 Word 도구(35)의 소자 인터페이스는 개인 작업 공간(31)에서 통일화 도구의 사용에 제공되는 소자 구조와 호환되지 않기에, 개인 작업 공간(31)에서 통일화 도구의 사용에 제공되는 소자와 호환되는 어댑터(36)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통일화 스크립트(34)(그 중의 호환 가능한 어댑터(36) 및 정보 입력기(37)를 이용함)를 통해 호환되지 않고 특정 기능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소프트 Word 도구(35)를 개인 작업 공간(31)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 인됨). 상기 도4에 대한 설명에 따라, 호환 가능한 도구 및 호환 불가한 도구는 모두 동일한 개인 작업 공간(31)으로 통일화되어, 일부 태스크를 수행한다.
이 밖에, 보충 설명해야 할 것은,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되는 요소 변환기는 내장되는 방식으로 개인 작업 공간 중의 요소 변환기(내장 요소 변환기)에 추가되는 바, 예컨대 미리 통일화 스크립트에 편집되어 개인 작업 공간의 구동 과정에서 그 중의 요소 변환기(기설정된 요소 변환기로 간주할 수 있음)에 추가된다.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되는 요소 변환기는 플러그 인되는 방식으로 개인 작업 공간 중의 요소 변환기(플러그 인 요소 변환기)에 추가되는 바, 예컨대 개인 작업 공간이 구동된 후 기설정된 요소 변환기를 통해 개인 작업 공간 중의 다른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추가된다. 더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임의의 하나의 요소 변환기는 모두 통일화 도구로 간주할 수 있고, 즉, 요소 변환기는 통일화 도구의 형태로써 개인 작업 공간에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은 내장되는 방식으로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정보 유닛(내장 통일화 정보 유닛)에 추가되는 바, 예컨대 미리 통일화 스크립트에 편집되어 개인 작업 공간의 구동 과정에서 그 중의 요소 변환기(기설정된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간주할 수 있고, 이는 여전히 대응되는 요소 변환기를 통해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된다)에 추가된다. 또한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은 플러그 인되는 방식으로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정보 유닛(플러그 인 요소 변환기)에 추가되는 바, 예컨대 개인 작업 공간이 구동된후 대응되는 요소 변환기를 통해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정보 유닛에 추가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되는 통일화 도구는 내장되는 방식으로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도구(내장 통일화 도구)에 추가되는 바, 예컨대 미리 통일화 스크립트로 편집되어 개인 작업 공간의 구동 과정에서 그 중의 통일화 도구(기설정된 통일화 도구로 간주될 수 있고, 이는 여전히 대응되는 요소 변환기를 통해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된다)에 추가된다. 또한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되는 통일화 도구는 플러그 인되는 방식으로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도구(플러그 인 통일화 도구)에 추가되는 바, 예컨대 개인 작업 공간이 구동된 후 대응되는 요소 변환기를 통해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도구에 추가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방법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2에 도시된 단계110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 중의 내장 정보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설명에서 언급된 통일화 스크립트는 내장 정보원의 한가지 실시양태이기에, 단계110 이전에 통일화 스크립트에 제공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은 내장 통일화 정보 유닛(또는 기설정된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간주해야 하고, 단계110 이전에 통일화 스크립트에 제공된 통일화 도구는 내장 통일화 도구(또는 기설정된 통일화 도구)로 간주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언급된 통일화 정보 유닛은 통일화 도구의 "메타데이터(metadata)"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 "메타데이터"에 대해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에 도시되는 요소 변환기(992)(도4에 도시된 정보 입력기(33)에 대응됨)를 거쳐 그 통일화 데이터 구조(993)에 따라 도4에 도시된 통일화 계산기(32)는 하기의 프로필(profile)로 모델링되며, 통일화 계산기(32)에 대응되는 통일화 도구의 메타데이터로 간주될 수 있다.
{
"type":"tool/widget",
"link":"The url to access Unified Calculator"
} .
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애플(Apple)사에서 운영하는 앱 스토어(APP Store)에서 본 임의의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상품이 전자 장치(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PC)에 로딩되기 전에 모두 상기 임의의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상품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 작업 공간은 수많은 통일화 도구를 탑재(equip)할 수 있고, 각 하나의 통일화 도구가 제공하는 기능성 특징은 특정된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표시되거나 해석할 수 있다. 즉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각 하나의 원시 도구를 통일화 도구로 통일화한 후, 다수의 상기 통일화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대응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을 처리하여 태스크를 완성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통일화 도구의 표현을 논하자면, 식별 가능한 아이콘(icon) 또는 가시적인 오브젝트는 그 작동 기능을 논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일화 도구의 실시예는 카드 아이콘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또한 각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특정된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개인 작업 공간 중에 추가된 통일화 정보 유닛 및 통일화 도구를 구성(arrange) 안배할 수도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이는 개인 작업 공간 중에 추가된 통일화 정보 유닛 및 통일화 도구를 구성(arrange) 안배하는 일 바람직한 개념 모식도이다. 도5에 있어서, 통일화 정보 유닛은 구글 드라이브 하드웨어(정보원)의 Work Notes.docx(42)및 Dropbox(정보원)의 Life Notes.docx (43)이고, 통일화 도구는 구글(Google)(정보원)의 Doc뷰어(44)(Doc Viewer) 및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정보원)의 Doc뷰어(45)이다. 도5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구성 방식이 다수의 상기 통일화 정보 유닛을 그루핑(grouping) 및 안착(placing)시키는 것이거나 또는 다수의 상기 통일화 도구를 개인 작업 공간(41)의 특정 영역에 설치하는 것임을 도시하였다.
이어서, 도2에 도시된 단계130을 설명한다. 통일화 도구와 통일화 정보 유닛 사이의 운용 관계를 구축한 후(예를 들면 양자 사이의 클릭 또는 드래그 동작), 사용자는 특정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고, 즉 사용자는 통일화 도구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에 접속 또는 제어하여 특정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이는 도2에 도시된 단계130을 구현하는 일 바람직한 모식도이고, 도6은 통일화 도구가 통일화 정보 유닛을 처리하여 통일화 도구와 통일화 정보 유닛이 상호 작용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도6에 있어서, 통일화 정보 유닛은 구글 드라이브 하드웨어(정보원)의 Work Notes.docx(52) 및 Dropbox(정보원)의 Life Notes.docx(53)이고, 통일화 도구는 구글(정보원)의 Doc뷰어(54) 및 마이크로소프트(정보원)의 Doc뷰어(55)이다.
만약 사용자가 그 중의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구글 드라이브 하드웨어의 Work Notes.docx(52) 및/또는 Dropbox의 Life Notes.docx (53))를 보려면(viewing), 대응되는 통일화 도구(구글의 Doc Viewer및/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Doc Viewer)를 개인 작업 공간(51)에 도입시켜야 하고, 개인 작업 공간(51) 중의 일부 보기 동작은 클릭(click) 동작 또는 드래그(drag) 동작과 관련된다.
보기 동작과 클릭 동작의 관계에 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그 중의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직접적으로 클릭할 수 있고, 개인 작업 공간(51)에서 하나의 지원 가능한 통일화 도구를 선택하며, 나아가 클릭한 파일의 속성에 따라 클릭한 파일을 본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Work Notes.docx(52)를 클릭할 수 있고, 개인 작업 공간(51)에서 Doc뷰어(54)를 선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Work Notes.docx(52)를 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통일화 정보 유닛과 통일화 도구 사이의 소정의 클릭 동작을 구축하여 예기된 원시 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보기 동작과 드래그 동작의 관계에 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하거나 제어하고자 하는 통일화 정보 유닛을 드래그할 수 있고 이를 대응되는 통일화 도구에 드로핑(drop)하여 통일화 정보 유닛을 접속하거나 제어하는 바, 예를 들면, 도6의 화살표(D1)은, 사용자가 Work Notes.docx(52)를 드래그하고 이를 Doc뷰어(54)에 드로핑하여 Work Notes.docx(52)를 보는 것을 예시하였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통일화 정보 유닛을 접속하거나 제어하고자 하는 통일화 도구를 드래그하고 이를 접속하거나 제어하고자 하는 통일화 정보 유닛에 드로핑하여, 통일화 정보 유닛에 접속하거나 제어하는 바, 예를 들면, 도6의 화살표(D2)는, 사용자가 Doc뷰어(55)를 드래그하고 이를 Life Notes.docx(53)에 드로핑하여 Life Notes.docx(53)을 보는 것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개인 작업 공간을 조작하는 과정 또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추가적으로 증가 또는 삭제할 수도 있고, 및/또는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도구를 로딩하거나(load) 또는 언로딩하여(upload), 사용자의 변화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 밖에, 가능하다면, 일부 통일화 도구의 특징을 통일화 정보 유닛과 함께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병합하여, 사용자가 특정 태스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예를 들면 특정 프로젝트 중의 특정 파일의 내용을 검색/완성한다.
도7을 참조하면, 이는 도2에 도시된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응용하는 일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블록 모식도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7)(예컨대 소프트웨어 패키지)은 개인 작업 공간에서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그램 코드(71)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71)는 컴퓨터(6)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수행할 경우,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사용하여 태스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다수의 상기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기에 여기서 더 서술하지 않는다.
도8을 참조하면, 이는 도2에 도시된 방법을 시스템에 응용하는 일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록 모식도이다. 시스템(8)은 제1 수단(81) 및 제2 수단(82)을 포함하고, 제1 수단(81)은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Matterizer),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수단(8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사용하여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관련되는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기에 여기서 더 서술하지 않는다.
아래, 기타 통일화 방법(예컨대 도9에 도시된 통일화 방법)으로 획득되는 통일화 요소가 본 발명의 도2에 도시된 방법에 적용되는 것을 보충 설명한다. 도9와 도10을 참조하면, 도9는 다른 하나의 통일화 방법을 일 실시예에 실시하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10은 도9에 도시된 통일화 방법에 기반하여 도2에 도시된 단계110에서 원시 도구에 대응되는 통일화 도구를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일 바람직한 개념 모식도이다.
도9는 요소 변환기(996)가 통일화 데이터 구조(997)에 따라 임의의 하나의 언어로 편집된 원시 도구(995)를 Python언어로 편집된 통일화 도구(998)로 모델링하여, 원시 도구(995)에 대한 통일화 과정을 완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10에 있어서, 원시 도구는 정보원에 설치되고 Python 언어로 편집된 도구(92) 및 다른 하나의 정보원에 설치되고 Javascript 언어로 편집된 도구(95)를 포함하며, 통일화 스크립트(94)가 사용하는 언어는 Python 언어이기에, 임의의 하나의 Python 언어로 편집된 통일화 도구는 개인 작업 공간(91)에서 통일화 도구 사용에 제공되는 소자와 호환될 수 있다. 여기서, Python 언어로 편집된 도구(92)가 호환 가능한 도구이기에, 통일화 스크립트(94)를 사용하여 Python 언어로 편집된 도구(92)를 개인 작업 공간(91)에 직접 제공할 수 있다. Javascript 언어로 편집된 도구(95)는 호환 불가한 도구이기에, 개인 작업 공간(91)에서 통일화 도구 사용에 제공되는 소자와 호환되는 어댑터(96)를 이용하여 Javascript 언어로 편집된 도구(95)를 Python구조로 다이내믹하게 번역한( dynamically compiled) 후 개인 작업 공간(91)에 제공한다. 상기 도10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 호환 가능한 도구 및 호환 불가한 도구는 모두 동일한 개인 작업 공간에서 특정 태스크를 진행하도록 통일화된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지향의 통일화 개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였는 바,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장점을 구비한다.
첫째, 기존 운영 시스템과 비교하면, 개인 작업 공간은 인터넷에서 상이한 정보원의 공유로 하여금 경계가 없도록 한다. 즉, 각각 상이한 정보원의 원시 정보와 원시 도구를 사용자 전용의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정보 유닛과 통일화 도구로 통일화시키고, 또한 통일화 도구는 통일화 정보 유닛을 처리하여 일부 특정된 태스크를 완성하도록 하며, 이는 상이한 정보원의 모든 원시 정보와 원시 도구를 모두 개인 작업 공간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개인 작업 공간 중의 통일화 정보 유닛과 통일화 도구는 상호 작용 가능하다. 즉, 통일화 도구는 대응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을 처리할 수 있다.
셋째, 하나의 운영 시스템을 업데이트하면, 기타 소프트웨어가 호환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조성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운영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에 대해 학습해야 하는 운영 시스템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새로운 버전 업데이트 문제가 없는 개인 작업 공간을 구축한다 .
넷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지향의 개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바, 즉 이상적인 통일화 정보 유닛 또는 이상적인 통일화 도구는 사용자의 실제 수요에 따라 개인 작업 공간에 구성된다.
다섯째, 개인 작업 공간은 상이한 정보원의 다수의 원시 정보에 접속하고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에, 본 발명에 개시된 정신을 벗어나지 않은 전제하에 완성된 동등한 교환 및 수식은 반드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Claims (27)

  1. 통일화 도구 및 정보 유닛을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i);
    사용자가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서 상기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해 조작하는 동작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통일화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유닛에 접속하거나 제어하는 단계(ii)를 포함하고,
    상기 통일화 도구는 그것의 속성 및/또는 관련 링크로 상기 통일화 도구에 대응하는 원시 도구가 위치한 곳을 가리키고, 상기 원시 도구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외부 정보원에서 얻고, 상기 외부 정보원의 상기 원시 도구는 상기 통일화 도구의 식별 가능한 이미지 또는 가시화 대상을 통해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정보 유닛은 그것의 속성 및/또는 다른 하나의 관련 링크로 상기 정보 유닛에 대응하는 원시 정보가 위치한 곳을 가리키고, 상기 원시 정보는 상기 외부 정보원, 다른 하나의 외부 정보원, 또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내장 정보원에서 얻고;
    상기 동작은 상기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정보 유닛의 클릭 또는 드로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는 통일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의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를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로 모델링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은 상기 외부 정보원, 상기 다른 하나의 외부 정보원, 및/또는 상기 내장 정보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하나이고, 상기 통일화 프로그램에서 상기 통일화 도구는 데이터 구조에 따라 상기 원시 도구의 속성 및/또는 관련 링크에 대해 모델링을 진행하여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 내에 발생된 조작 가능한 대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도구가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과 호환되지 않는 도구인 경우, 상기 통일화 도구는 어댑터로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과 호환되는 인터페이스 임플리먼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내장 요소 변환기 및/또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플러그 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인 요소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 이전에,
    요소 변환기를 통해 상기 통일화 도구를 상기 개인 작업 공간 중의 내장 정보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도구가 상기 통일화 도구의 소자 구조와 호환되는 도구인 경우, 상기 원시 도구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직접 호환되고; 또는
    상기 원시 도구가 상기 통일화 도구의 소자 구조와 호환되지 않는 도구인 경우, 상기 원시 도구는 어댑터에 의해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간접적으로 호환되고, 상기 어댑터와 상기 통일화 도구의 소자 구조는 호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도구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내장된 내장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플러그 인되는 플러그 인 통일화 도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한 클릭 또는 드로핑 단계는,상기 정보 유닛을 드래그하고, 이를 상기 통일화 도구에 드로핑하여(dropping), 상기 정보 유닛에 접속 또는 제어하는 단계; 또는
    상기 통일화 도구를 드래그하고, 이를 상기 정보 유닛에 드로핑하여, 상기 정보 유닛에 접속 또는 제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유닛을 클릭하고, 상기 정보 유닛을 지원하는 상기 통일화 도구로 상기 정보 유닛에 접속 또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도구의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한 접속 또는 제어 단계는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한 표시 또는 해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정보원, 상기 외부 정보원 및/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외부 정보원은 인터넷 서비스, 비일시적인 컴퓨터용 저장 매체 또는 이동 장치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 베이스, 책략, 규칙 또는 관련 기기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원시 도구는 공용 프로그램, 위젯, 지능형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버 도구 또는 관련 기기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12. 컴퓨터용 저장 매체에 있어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서 수행될 경우, 통일화 도구 및 정보 유닛을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서 상기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해 조작한 동작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통일화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유닛에 접속하거나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통일화 도구는 그것의 속성 및/또는 관련 링크로 상기 통일화 도구에 대응하는 원시 도구가 위치한 곳을 가리키고, 상기 원시 도구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외부 정보원에서 얻고, 상기 외부 정보원의 상기 원시 도구는 상기 통일화 도구의 식별 가능한 이미지 또는 가시화 대상을 통해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정보 유닛은 그것의 속성 및/또는 다른 한 관련 링크로 상기 정보 유닛에 대응하는 원시 정보가 위치한 곳을 가리키고, 상기 원시 정보는 상기 외부 정보원, 다른 하나의 외부 정보원, 또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내장 정보원에서 얻고;
    상기 동작은 상기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한 클릭 또는 드로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저장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는 통일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의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를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로 모델링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은 상기 외부 정보원, 상기 다른 하나의 외부 정보원, 및/또는 상기 내장 정보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저장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하나이고, 상기 통일화 프로그램에서 상기 통일화 도구는 데이터 구조에 따라 상기 원시 도구의 속성 및/또는 관련 링크에 대해 모델링을 진행하여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 내에 발생된 조작 가능한 대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저장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도구가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과 호환되지 않는 도구인 경우, 상기 통일화 도구는 어댑터로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과 호환되는 인터페이스 임플리먼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저장 매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도구가 상기 통일화 도구의 소자 구조와 호환되는 도구인 경우, 상기 원시 도구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직접 호환되고; 또는 상기 원시 도구가 상기 통일화 도구의 소자 구조와 호환되지 않는 도구인 경우, 상기 원시 도구는 어댑터에 의해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간접적으로 호환되고, 상기 어댑터와 상기 통일화 도구의 소자 구조는 호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저장 매체.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한 클릭 또는 드로핑 단계는,
    상기 정보 유닛을 드래그하고 이를 상기 통일화 도구에 드로핑하여 상기 정보 유닛에 접속하거나 제어하고; 또는
    상기 통일화 도구를 드래그하고 이를 상기 정보 유닛에 드로핑하여 상기 정보 유닛에 접속하거나 제어하고, 또는
    상기 정보 유닛을 클릭하고, 상기 정보 유닛을 지원하는 상기 통일화 도구로 상기 정보 유닛에 접속하거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저장 매체.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도구의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한 접속 또는 제어는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한 표시 또는 해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저장 매체.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정보원, 상기 외부 정보원, 및/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외부 정보원은 인터넷 서비스, 비일시적인 컴퓨터용 저장 매체 또는 이동 장치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 베이스, 책략, 규칙 또는 관련 기기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원시 도구는 공용 프로그램, 위젯, 지능형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버 도구 또는 관련 기기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저장 매체.
  20. 개인 작업 공간에서 정보 유닛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통일화 도구 및 정보 유닛을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제1 수단; 및
    사용자가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서 상기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해 조작하는 동작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통일화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유닛에 접속하거나 제어하는 제2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일화 도구는 그것의 속성 및/또는 관련 링크로 상기 통일화 도구에 대응하는 원시 도구가 위치한 곳을 가리키고, 상기 원시 도구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외부 정보원에서 얻고, 상기 외부 정보원의 상기 원시 도구는 상기 통일화 도구의 식별 가능한 이미지 또는 가시화 대상을 통해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정보 유닛은 그것의 속성 및/또는 다른 하나의 관련 링크로 상기 정보 유닛에 대응하는 원시 정보가 위치한 곳을 가리키고, 상기 원시 정보는 상기 외부 정보원, 다른 하나의 외부 정보원, 또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내장 정보원에서 얻고;
    상기 동작은 상기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정보 유닛의 클릭 또는 드로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는 통일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의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를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로 모델링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은 상기 외부 정보원, 상기 다른 하나의 외부 정보원 및/또는 상기 내장 정보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중의 하나이고, 상기 통일화 프로그램에서 상기 통일화 도구는 데이터 구조에 따라 상기 원시 도구의 속성 및/또는 관련 링크에 대해 모델링을 진행하여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 내에 발생된 조작 가능한 대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도구가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에 호환되지 않는 도구인 경우, 상기 통일화 도구는 어댑터로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과 호환되는 인터페이스 임플리먼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도구가 상기 통일화 도구의 소자 구조와 호환되는 도구인 경우, 상기 원시 도구는 상기 개인 작업 공간과 직접 호환되고; 또는 상기 원시 도구가 상기 통일화 도구의 소자 구조와 호환되지 않는 도구인 경우, 상기 원시 도구는 어댑터에 의해 상기 개인 작업 공간에 간접적으로 호환되고, 상기 어댑터와 상기 통일화 도구의 소자 구조는 호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도구 및/또는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한 클릭 또는 드로핑은,
    상기 정보 유닛을 드래그하고 이를 상기 통일화 도구에 드로핑하여 상기 정보 유닛을 접속하거나 제어하고; 또는
    상기 통일화 도구를 드래그하고 이를 상기 정보 유닛에 드로핑하여 상기 정보 유닛을 접속하거나 제어하고, 또는
    상기 정보 유닛을 클릭하고, 상기 정보 유닛을 지원하는 상기 통일화 도구로 상기 정보 유닛을 접속하거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도구의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한 접속 또는 제어는 상기 정보 유닛에 대한 표시 또는 해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정보원, 상기 외부 정보원, 및/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외부 정보원은 인터넷 서비스, 비일시적인 컴퓨터용 저장 매체 또는 이동 장치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 베이스, 책략, 규칙 또는 관련 기기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원시 도구는 공용 프로그램, 위젯, 지능형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버 도구 또는 관련 기기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27007973A 2014-07-03 2015-06-26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KR102512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24,069 2014-07-03
US14/324,069 US9134963B1 (en) 2014-07-03 2014-07-03 Method of unifying information and tool from a plurality of information sources
US14/325,466 2014-07-08
US14/325,466 US9727391B2 (en) 2014-07-08 2014-07-08 Method for performing task on unified information units in a personal workspace
CN201410796528 2014-12-18
CN201410796528.4 2014-12-18
PCT/CN2015/082434 WO2016000565A1 (zh) 2014-07-03 2015-06-26 在个人工作空间中对统一化元素进行组合工作的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计算机程序产品与系统
KR1020177002949A KR102374646B1 (ko) 2014-07-03 2015-06-26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949A Division KR102374646B1 (ko) 2014-07-03 2015-06-26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993A true KR20220036993A (ko) 2022-03-23
KR102512884B1 KR102512884B1 (ko) 2023-03-21

Family

ID=550184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973A KR102512884B1 (ko) 2014-07-03 2015-06-26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KR1020177002949A KR102374646B1 (ko) 2014-07-03 2015-06-26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949A KR102374646B1 (ko) 2014-07-03 2015-06-26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66016A4 (ko)
JP (1) JP2017520073A (ko)
KR (2) KR102512884B1 (ko)
CN (1) CN106537334B (ko)
SG (1) SG11201610924QA (ko)
TW (1) TWI563450B (ko)
WO (1) WO201600056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4378A1 (en) * 2003-11-24 2005-05-2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tandardized adaptor framework
CN102929638A (zh) * 2012-11-07 2013-02-13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扩展WebApp应用功能的方法和系统
WO2013039540A1 (en) * 2011-09-12 2013-03-21 Intel Corporation Metadata driven collaboration between applications and web services
CN103631598A (zh) * 2013-12-09 2014-03-12 国家电网公司 一种界面整合方法及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040A (en) * 1993-10-29 1997-10-14 Motorola, Inc. Method for managing a hierarchical design transaction
KR100500245B1 (ko) * 2003-02-18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지향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
US7730223B1 (en) * 2004-07-30 2010-06-01 Apple Inc. Wireless home and office appliance management and integration
US7496886B2 (en) * 2004-09-30 2009-02-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ross project commitments
WO2007038522A2 (en) * 2005-09-27 2007-04-05 Morgan Stanley Host build and rebuild system and method
CN101035115B (zh) * 2006-03-09 2011-05-04 深圳Tcl工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数字家居集成开发系统及平台
US7934249B2 (en) * 2007-08-27 2011-04-2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ensitivity-enabled access control model
CN101216846B (zh) * 2008-01-04 2010-06-02 清华大学 一种仿真数据的可视化与协同共享方法
CN101930566B (zh) * 2010-08-12 2013-11-06 西安理工大学 基于平行系统的水利实验模拟系统及实验模拟方法
US9245047B2 (en) * 2010-12-10 2016-01-26 Wyse Technology L.L.C.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a remote desktop session utilizing a remote desktop client common interface
CN103188567A (zh) * 2011-12-29 2013-07-03 青岛海尔软件有限公司 在电视上移植物联网通讯模块的方法
US9032303B2 (en) * 2012-02-28 2015-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b-based interaction with a local system
US9348802B2 (en) * 2012-03-19 2016-05-24 Litér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bi-directional document management
US9197513B2 (en) * 2012-05-03 2015-11-24 Salesforce.Com, Inc.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presenting a portion of a user interface as a network address
CN102722145A (zh) * 2012-05-17 2012-10-10 深圳市科陆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电控制系统
CN102662380B (zh) * 2012-05-21 2015-07-15 浙江优诺肯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用电设备联网集中控制方法及系统
KR101416104B1 (ko) * 2012-08-07 2014-07-14 인크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웹 어플리케이션의 네이티브 기능을 수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의 동적 로딩 장치와 방법
CN103092980A (zh) * 2013-01-31 2013-05-08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一种数据自动转换与存储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4378A1 (en) * 2003-11-24 2005-05-2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tandardized adaptor framework
WO2013039540A1 (en) * 2011-09-12 2013-03-21 Intel Corporation Metadata driven collaboration between applications and web services
CN102929638A (zh) * 2012-11-07 2013-02-13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扩展WebApp应用功能的方法和系统
CN103631598A (zh) * 2013-12-09 2014-03-12 国家电网公司 一种界面整合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646B1 (ko) 2022-03-14
TW201626223A (zh) 2016-07-16
CN106537334A (zh) 2017-03-22
WO2016000565A1 (zh) 2016-01-07
KR102512884B1 (ko) 2023-03-21
TWI563450B (en) 2016-12-21
EP3166016A1 (en) 2017-05-10
SG11201610924QA (en) 2017-02-27
CN106537334B (zh) 2020-10-09
JP2017520073A (ja) 2017-07-20
EP3166016A4 (en) 2017-05-10
KR20170040224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6384B2 (en) Generation of dynamic software models using input mapping with feature definitions
US9678740B2 (en) Migration mechanism
US9258668B2 (en) Mobile application framework extensibiilty
US9626157B2 (en) Method of projecting a workspace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3447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de generation from a directed acyclic graph using knowledge modules
US20220067272A1 (en) Robotic Process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Helper Spreadsheet
CN111831320A (zh) 插件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374646B1 (ko)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를 조합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US9727391B2 (en) Method for performing task on unified information units in a personal workspace
KR102379101B1 (ko) 작업 환경에서 도구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TWI582696B (zh) 投影工作空間的方法以及應用該投影工作空間的方法的系統
US11656921B2 (en) Method for combining unified matters in personal workspace and system using the same
TWI605386B (zh) 資料收集方法以及應用該資料收集方法的資料收集系統
JP2017523542A (ja) 機械の機能を動的に構成する方法、及び前記方法を応用するシステムと機械
CN106327139A (zh) 工作空间中对统一化元素进行组合工作的方法以及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