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797A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797A
KR20220036797A KR1020200119441A KR20200119441A KR20220036797A KR 20220036797 A KR20220036797 A KR 20220036797A KR 1020200119441 A KR1020200119441 A KR 1020200119441A KR 20200119441 A KR20200119441 A KR 20200119441A KR 20220036797 A KR20220036797 A KR 20220036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nsor
holder
injection devi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878B1 (ko
Inventor
김승하
박대종
Original Assignee
이오플로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플로우(주) filed Critical 이오플로우(주)
Priority to KR102020011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878B1/ko
Priority to EP21869567.4A priority patent/EP4194027A4/en
Priority to JP2023517385A priority patent/JP2023543702A/ja
Priority to PCT/KR2021/011189 priority patent/WO2022059944A1/ko
Priority to CN202180061989.5A priority patent/CN116113455A/zh
Publication of KR2022003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97A/ko
Priority to KR1020220143882A priority patent/KR20220150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878B1/ko
Priority to US18/121,106 priority patent/US2023021109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5Needle inse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having means for monitoring, controlling or visual inspection, e.g. for patency check, avoiding extrava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하며, 니들과, 상기 니들을 지지하는 홀더 유닛과, 상기 홀더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대상체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에 상기 니들이 위치하는지 센싱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홀더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상기 대상체에 삽입되기 전의 기준 위치에 상기 니들이 위치하는지 센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Needle assembly and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치와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니들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주입장치와 같은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몸 안에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진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환자 자신 또는 보호자와 같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당뇨 환자 특히, 소아 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과 같은 약물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인체에 주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정한 기간 동안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패치 형태의 약액 주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복부 또는 허리 등의 인체에 일정한 기간 동안 패치 형태로 부착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는 인체에 부착될 경우 착용감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저전력으로 구동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약액 주입장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니들이나 캐뉼러 등을 환자의 피부에 삽입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하고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는 니들 어셈블리와 약물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니들과, 상기 니들을 지지하는 홀더 유닛과, 상기 홀더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대상체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에 상기 니들이 위치하는지 센싱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홀더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상기 대상체에 삽입되기 전의 기준 위치에 상기 니들이 위치하는지 센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니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니들이 상기 삽입 위치에서 인출되어 다시 상기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이 삽입되는 캐뉼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니들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센서가 배치되는 제1 홀더, 및 상기 캐뉼러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센서가 배치되는 제2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가 모두 센싱되면, 상기 캐뉼러가 상기 대상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니들이 상기 대상체에서 인출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니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어셈블리는 니들과, 상기 니들을 지지하는 홀더 유닛과, 상기 홀더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대상체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에 상기 니들이 위치하는지 센싱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홀더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상기 대상체에 삽입되기 전의 기준 위치에 상기 니들이 위치하는지 센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니들이 상기 삽입 위치에서 인출되어 다시 상기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 어셈블리는 상기 니들이 삽입되는 캐뉼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니들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센서가 배치되는 제1 홀더, 및 상기 캐뉼러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센서가 배치되는 제2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가 모두 센싱되면, 상기 캐뉼러가 상기 대상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니들이 상기 대상체에서 인출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어셈블리 및 약액 주입 장치는 니들의 이동과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니들이 대상체에 삽입된 동작을 측정하고, 제2 센서는 니들이 기준 위치로 후퇴하는 동작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어셈블리 및 약액 주입 장치는 약액을 대상체로 주입하기 위한 준비가 안전하게 완료 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니들 어셈블리는 캐뉼러는 대상체에 삽입되고, 니들이 캐뉼러에서 인출되는 것을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액 주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니들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니들 어셈블리의 구동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시스템(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약액 주입 시스템(1)은 약액 주입 장치(10), 사용자 단말(20), 컨트롤러(30) 및 생체 정보 센서(40)를 구비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2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스템을 구동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모니터링되는 혈당 정보를 기초로, 약액 주입 장치(10)에서 약액을 주기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주입되어야 하는 약물 예컨대, 인슐린, 글루카곤, 마취제, 진통제, 도파민, 성장 호르몬, 금연 보조제 등의 약물을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약액 주입 장치(10)는 장치의 잔여 배터리 용량 정보, 장치의 부팅 성공 여부, 주입 성공 여부 등을 포함하는 장치 상태 메시지를 컨트롤러(3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로 전달된 메시지들은 컨트롤러(30)를 거쳐 사용자 단말(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30)는 수신된 메시지들을 가공한 개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생체 정보 센서(40)와 별도로 구비되며, 대상체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와 생체 정보 센서(40)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의 몸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동물에도 장착되어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약액 주입 시스템(1)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컨트롤러(30)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30)를 제어하여 약액 주입 장치(1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생체 정보 센서(4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미리 등록된 컨트롤러(30)와 1대1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외부의 장치로부터의 컨트롤러(30)가 구동 및 제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컨트롤러(30)와 암호화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과 컨트롤러(30)는 각각 분리되어 별도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30)는 약액 주입 장치(10)가 장착된 대상자에게 구비되고, 사용자 단말(20)은 대상자 또는 제3 자에게 구비될 수 있다. 보호자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20)이 구동되어, 약액 주입 시스템(1)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과 컨트롤러(30)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과 하나로 구비된 컨트롤러(30)가 약액 주입 장치(10)와 통신하여, 약물의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약액 주입 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약액 주입 장치(10)로 인슐린 등의 약물의 주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생체 정보 센서(40)로부터 혈당 등의 생체값의 측정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일 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로 사용자의 현 상태를 측정하라는 지시 요청을 전송하고, 지시 요청의 응답으로 약액 주입 장치(10)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40)는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값, 혈압, 심박수 등의 생체값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컨트롤러(3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약물이 주기 및/또는 주입량이 설정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측정된 데어터는 사용자 단말(20)로 전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생체 정보 센서(40)는 대상체의 혈당량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센서일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 센서는 대상체에 부착되어 연속적으로 혈당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 컨트롤러(30) 및 약액 주입 장치(1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5G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약액 주입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약액 주입 장치(10)는 약액을 주입할 사용자에 부착되고, 내부에 저장된 약액을 사용자에게 설정된 정량으로 주입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주입되는 약액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약액은 당뇨병 환자를 위한 인슐린 계열 약액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췌장을 위한 약액, 심장용 약액 기타 다양한 종류의 약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의 일 실시예는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11), 사용자의 피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부착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하우징(11)과 부착부(12)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복수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부착부(12)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는 별도의 접합수단이 더 개재될 수 있으며, 접합수단에 의해 약액 주입 장치(10)는 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니들 어셈블리(100), 레저버 유닛(200), 구동 모듈(300), 배터리(350), 구동 유닛(400), 클러치 유닛(500), 트리거 부재(600), 니들 커버 조립체(700), 알람 유닛(800) 및 복수개의 센서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베이스 바디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가 내부 부품을 지지하는 틀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는 배치에 따라 제1 바디(13), 제2 바디(14) 및 제3 바디(15)를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13)는 하우징(11)의 아래에 배치되며, 각 개구 또는 홈에 니들 어셈블리(100), 레저버 유닛(200), 구동 모듈(300), 배터리(350) 등이 지지될 수 있다. 제2 바디(14)는 제1 바디(13)의 아래에 배치되며, 부착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14)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3 바디(15)는 제1 바디(13)의 상측에 배치되어, 각 개구 또는 홈에 레저버 유닛(200), 구동 모듈(300), 배터리(350), 구동 유닛(400) 등을 지지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바디(13), 제2 바디(14) 및 제3 바디(15)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체로 구비되거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의 내부에는 제어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4)의 아래에는 회로 기판인 제어 모듈이 배치되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구동 모듈(300), 배터리(350), 알람 유닛(800) 및 복수개의 센서 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이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니들 어셈블리(10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니들 어셈블리(100)를 회전하여, 캐뉼러를 대상체에 삽입하고, 약액 주입을 개시할 수 있다.
니들 어셈블리(100)는 제1 바디(13)에 장착될 수 있다. 니들 어셈블리(100)는 슬리브(110)의 회전에 의해서 니들(N) 및/또는 캐뉼러가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니들 어셈블리(100)는 슬리브(110), 탄성 부재(120), 홀더 유닛(HU)인 제1 홀더(130)와 제2 홀더(140), 니들(N), 캐뉼러(C) 및 패치(P)를 구비할 수 있다.
슬리브(110)는 니들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슬리브(110)는 노브(111), 회전 바디(112) 및 서포터링(113)을 구비할 수 있다.
노브(111)는 회전 바디(112)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면에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노브(111)의 홈을 조작하여 슬리브(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노브(111)의 하면에는 탄성 부재(120)가 배치되어, 탄성 부재(120)가 축 방향으로 팽창시에 팽창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 바디(112)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단의 개구는 노브(111)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회전 바디(112)의 외측 상단에는 서포터링(113)이 장착될 수 있다.
회전 바디(112)의 내부 공간에는 탄성 부재(120)와, 홀더 유닛(HU)인 제1 홀더(130) 및 제2 홀더(140)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바디(112)의 내측면에는 이동 돌기(11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돌기(115)는 제1 홀더(130)의 외주면에 배치된 가이드 홈(13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회전 바디(112)가 회전하면, 이동 돌기(115)는 가이드 홈(134)의 측벽들을 따라 이동하여, 제1 홀더(130)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돌기(115)는 경사벽(115a)과 수직벽(115b)을 구비할 수 있다. 경사벽(115a)은 가이드 홈(134)을 따라 하강시에 안정적인 접촉을 유도하고, 수직벽(115b)은 제1 홀더(130)의 일측과 접촉하여 이동 돌기(115)의 이동 경로를 한정할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슬리브(110)와 제1 홀더(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면, 제1 홀더(130)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홀더(130)가 윗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120)는 압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특정 부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탄성 부재(120)는 스프링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홀더 유닛(HU)은 니들(N)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홀더 유닛(HU)은 제1 홀더(130)와 제2 홀더(1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니들(N)과 캐뉼러(C)가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홀더 유닛(HU)는 하나로 구비되어 니들(N)만 장찰 될 수 있다.
제1 홀더(130)는 니들(N)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홀더(130)의 일측에는 니들(N)이 삽입 및 고정되므로, 제1 홀더(13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니들(N)도 함께 이동한다. 제1 홀더(130)는 슬리브(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부에는 탄성 부재(120)가 배치된다.
제1 홀더(130)는 제1 메인 바디(131), 연결 블록(132), 제1 공간(133) 및 가이드 홈(13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메인 바디(131)는 슬리브(110)의 회전 바디(112)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탄성 부재(120)가 배치되는 제1 공간(133)이 형성된다.
연결 블록(132)은 제1 메인 바디(131)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니들(N)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 블록(132)은 보강단(132a), 연장단(132b), 슬릿(132c), 안착홈(132d)을 가질 수 있다.
보강단(132a)은 제1 메인 바디(131)와 연결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강단(132a)은 니들(N)이 삽입되며, 니들(N)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보강단(132a)의 아래에는 제2 홀더(140)의 제2 단(143)이 지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면, 보강단(132a)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단(143)을 가력하여 제2 홀더(140)가 제2 렛지(13b)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단(132b)은 보강단(132a)에 연결되며, 단부에 안착홈(132d)이 배치된다. 제2 센서(CS2)는 안착홈(132d)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센서(CS2)는 연장단(132b)의 단부의 상단에 배치되며,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슬릿(132c)은 보강단(132a) 및 연장단(132b)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슬릿(132c)은 연결 블록(132)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슬릿(132c)은 연장단(132b)의 유연성을 높여서 제2 센서(CS2)가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와 접촉이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홀더(130)는 외측면에 가이드 홈(134)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홈(134)은 이동 돌기(11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슬리브(110)가 회전하면 이동 돌기(115)는 가이드 홈(134)이 형성하는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제1 홀더(130)가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가이드 홈(134)은 제1 멈춤 홈(PT1), 제1 벽(PT2), 제2 벽(PT3) 및 제2 멈춤 홈(PT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멈춤 홈(PT1)은 이동 돌기(115)가 처음에 위치하는 홈으로, 여기에서 탄성 부재(120)는 수축상태를 유지한다.
제1 벽(PT2)은 제1 홀더(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면 제1 홀더(130)는 하강하고, 이동 돌기(115)는 제1 벽(PT2)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홀더(13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에 제1 벽(PT2)은 제1 홀더(1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벽(PT3)은 기 설정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이동 돌기(115)가 제2 벽(PT3)을 따라 이동하면 탄성 부재(120)는 다시 수축하면서 제1 홀더(130)는 다시 상승한다.
제2 멈춤 홈(PT4)은 이동 돌기(115)가 삽입되어, 제1 홀더(130)가 다시 기준 위치에 되돌아 올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120)는 다시 수축 상태를 유지한다.
제2 홀더(140)는 제1 홀더(130)의 일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캐뉼러(C)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홀더(140)는 제2 메인 바디(141), 제1 단(142) 및 제2 단(143)을 가질 수 있다.
제2 홀더(140)는 제1 홀더(130)의 일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캐뉼러(C)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홀더(14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140)는 제1 절제부(142d), 제2 절제부(143d)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다. 제2 홀더()가 제1 렛지(13a)와 제2 렛지(13b)에 삽입시에, 제2 홀더()의 형상이 순간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특히, 제2 홀더(140)의 제1 락킹 돌기(142b)와 제2 락킹 돌기(143b)의 형상이 변화하여, 제1 락킹 돌기(142b)가 제1 렛지(13a)에 삽입되고, 제2 락킹 돌기(143b)가 제2 렛지(13b)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홀더(140)는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순간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제2 홀더(140)는 제1 절제부(142d), 제2 절제부(143d)에 의해서 가요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2 홀더(140)는 도 5와 도 6의 위치에서는 제1 홀더(130)와 접촉을 유지하나, 도 7과 같이 탄성 부재(120)가 다시 수축하면 제1 홀더(130)에서 분리되어 제1 바디(13)에 고정된다.
제2 메인 바디(141)의 중심에는 캐뉼러(C)가 삽입되고, 니들(N)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메인 바디(141)는 제1 홀더(130)의 하단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단(142)는 제2 메인 바디(14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142)은 중심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가요성이 증가될 수 있다.
제2 단(143)은 제2 메인 바디(14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143)은 제1 단(142)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제1 센서(CS1)가 부착될 수 있다.
제1 단(142)과 제2 단(143)은 제2 홀더(140)의 이동에 따라 제3 바디(13)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면 제1 단(142)은 제1 렛지(13a)에 위치가 고정되고, 제2 단(143)은 제2 렛지(13b)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센서(CS1)와 제2 센서(CS2)는 홀더 유닛(HU)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준 위치는 니들(N)이 대상체에 삽입되기 전의 위치나 니들(N)이 캐뉼러(C)에서 인출되어 제자리로 돌아온 위치로 정의한다. 삽입 위치는 니들(N)이 대상체에 삽입되거나, 캐뉼러(C)가 대상체에 삽입된 위치로 정의한다.
제1 센서(CS1)는 홀더 유닛(HU)의 일측에 배치되며, 니들(N)이 대상체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에 니들(N)이 위치하는지 센싱할 수 있다. 제1 센서(CS1)는 니들(N)이 대상체에 삽입되었는지, 캐뉼러(C)가 대상체에 삽입되었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제1 센서(CS1)는 홀더 유닛(HU)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CS1)는 제2 홀더(140)에 배치되어, 캐뉼러(C)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 센서(CS1)는 제2 홀더(140)의 제2 단(143)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CS1)는 메인 제어 모듈(16)의 접속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홀더(130)가 아래로 이동하여 니들(N)이 대상체에 삽입되거나, 제2 홀더(140)가 아래로 이동하면, 제1 센서(CS1)는 메인 제어 모듈(16)의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제어 모듈(16)은 접속부와 제1 센서(CS1)의 접촉이 확인되면, 제1 홀더(130)가 정상적으로 하강하여, 캐뉼러(C)가 대상체에 삽입된 것으로 인식 할 수 있다.
제2 센서(CS2)는 홀더 유닛(HU)의 타측에 배치되며, 니들(N)이 대상체에 삽입되기 전의 기준 위치에 니들(N)이 위치하는지 센싱할 수 있다. 제2 센서(CS2)는 니들(N)이 삽입 위치에서 인출되어 다시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제2 센서(CS2)는 홀더 유닛(HU)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센서(CS2)는 제1 홀더(130)에 배치되어, 니들(N)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센서(CS2)는 제1 홀더(130)의 연결 블록(13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CS2)는 기준 위치에서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와 접촉할 수 있다. 서브 제어 모듈(16S)은 메인 제어 모듈(16)에서 이격되나,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서브 제어 모듈(16S)은 하우징(11)의 내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센서(CS2)는 니들 어셈블리(100)가 구동하기 전이나, 제1 홀더(130)가 삽입위치에서 다시 인출되어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면,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와 접촉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서브 제어 모듈(16S)은 접속부와 제2 센서(CS2)의 접촉이 확인되면, 제1 홀더(130)가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니들(N)이 캐뉼러(C)에서 인출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센서(CS1)와 제2 센서(CS2)는 접촉으로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이거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이거나, 소정의 범위에서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센서(CS1)와 제2 센서(CS2)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제어 모듈(16)의 접속부와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도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센서(CS1)가 메인 제어 모듈(16)의 접속부에 접촉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센서(CS2)가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에 접촉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센서(CS1)와 제2 센서(CS2), 또는 메인 제어 모듈(16)의 접속부와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는 소정의 힘이 적용되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센서(CS1) 및 메인 제어 모듈(16)의 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이 적용하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CS2) 및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이 적용하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센서(CS1)와 제2 센서(CS2)는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이 있다. 예컨대, 제1 센서(CS1)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센서(CS1)와 메인 제어 모듈(16)의 접속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거리 변화를 기초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센서(CS2)은 서로 마주보는 제2 센서(CS2)와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거리 변화를 기초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CS1)와 제2 센서(CS2)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니들(N)의 일단은 레저버 유닛(200)에 연결되어 약액이 전달될 수 있으며, 타단은 캐뉼러에 삽입되어 캐뉼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니들(N)은 제1 홀더(130)에 고정되므로, 제1 홀더(13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서 캐뉼러(C)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될 수 있다.
캐뉼러(C)는 제2 홀더(140)에 고정되므로, 제2 홀더(14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서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캐뉼러(C)는 니들(N)을 수용할 수 있는 도관 형상을 가지므로, 니들(N)에서 토출된 약액이 사용자로 주입될 수 있다. 캐뉼러(C)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나, 니들(N)은 상승하여 대상체에서 분리된다. 다만, 캐뉼러(C)와 니들(N)은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여, 레저버(210)에서 주입되는 약액은 니들(N)과 캐뉼러(C)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주입될 수 있다.
패치(P)는 제2 바디(14)에 지지되며, 캐뉼러(C)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캐뉼러(C)의 단부가 패치(P)에 지지되므로, 보관 중이나 이동 중에 캐뉼러(C)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니들 어셈블리(100)의 구동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니들 어셈블리(100)의 구동은 아래와 같이 실행된다. 니들 어셈블리(100)는 슬리브(110)가 회전하면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여 제1 홀더(130) 및 제2 홀더(14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키고, 슬리브(110)가 같은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탄성 부재(120)가 수축하여 제1 홀더(130)만 기준 위치로 되돌아온다. 그리하여, 니들(N)과 캐뉼러(C)는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고, 이후에 니들(N)은 캐뉼러(C)에서 인출된다.
니들 어셈블리(100)가 원 위치, 즉 사용자가 니들 어셈블리(100)를 사용하기 전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슬리브(110)의 이동 돌기(115)는 제1 멈춤 홈(PT1)에 지지되고, 탄성 부재(120)는 노브(111)와 제1 홀더(13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홀더(130)와 제2 홀더(140)는 니들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니들(N)과 캐뉼러(C)는 약액 주입 장치(1)의 내부에 유지된다.
이때, 제1 센서(CS1)는 메인 제어 모듈(16)의 접속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나, 제2 센서(CS2)는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와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다만, 약액 주입 장치(10)의 구동 전이므로, 제2 센서(CS2)가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에 접촉하더라도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지는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노브(111)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리브(110)가 제1 홀더(130)에 대해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돌기(115)는 제1 멈춤 홈(PT1)을 넘어 이동한다. 그러하면, 탄성 부재(120)의 축 방향으로의 팽창에 의해서 도 6과 같이, 제1 홀더(130) 및 제2 홀더(140)는 아래 방향으로 하고, 이동 돌기(115)는 제1 벽(PT2)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홀더(130)와 제2 홀더(14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 니들(N)과 캐뉼러(C)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다. 제1 홀더(130)는 제2 홀더(140)를 가력하므로, 제2 홀더(140)는 제1 렛지(13a) 및 제2 렛지(13b)를 통과할 수 있다. 제2 홀더(140)는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되므로, 제1 홀더(130)가 제2 홀더(140)를 가력하면 제1 단(142)은 제1 렛지(13a)를 통과하고, 제2 단(143)은 제2 렛지(13b)를 통과한다.
이때, 제1 센서(CS1)는 메인 제어 모듈(16)의 접속부와 접촉한다. 제1 렛지(13a)와 제2 렛지(13b)는 제2 홀더(140)의 위치를 고정시키므로, 제1 센서(CS1)가 메인 제어 모듈(16)에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센서(CS1)와 메인 제어 모듈(16)의 접속부가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메인 제어 모듈(16)은 전기적 신호를 통해서 니들(N)이 전진하여, 캐뉼러(C)가 정상적으로 대상체에 삽입된 것을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니들(N)이 전진하여 캐뉼러(C)가 대상체에 삽입되더라도, 약액 주입 장치(10)의 전기적인 구동은 진행되지 않으므로, 메인 제어 모듈(16)에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니들(N)이 캐뉼러(C)에서 인출되어 제2 센서(CS2)가 서브 제어 모듈(16S)에 접촉되어야, 약액 주입 장치(10)의 전기적으로 구동되므로, 제1 센서(CS1) 및 제2 센서(CS2)에서 생성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노브(111)를 일 방향으로 더 회전 하여, 슬리브(110)가 제1 홀더(130)에 대해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돌기(115)는 가이드 홈(134)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 돌기(115)의 경사벽(115a)이 제2 벽(PT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 제1 홀더(130)는 다시 상승하고, 탄성 부재(120)는 다시 압축된다.
제2 홀더(140)는 제1 렛지(13a)와 제2 렛지(13b)에 의해서 상승이 제한된다. 제1 렛지(13a)는 제1 단(142)을 지지하고, 제2 렛지(13b)는 제2 단(143)을 지지하여, 제1 홀더(130)가 승강하더라도 제2 홀더(140)는 승강하지 않는다. 제1 홀더(130)의 상승에 따라 니들(N)은 캐뉼러(C)에서 인출된다.
이때, 제2 센서(CS2)는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와 접촉한다. 제1 홀더(130)가 다시 기준 위치로 되돌아와서, 제2 센서(CS2)가 서브 제어 모듈(16S)의 접속부와 접촉을 하여 전기적 신호가 생성된다. 서브 제어 모듈(16S)은 메인 제어 모듈(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통해서 니들(N)이 인출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센서(CS1)와 제2 센서(CS2)가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어 모듈은 캐뉼러(C)는 대상체에 삽입되고, 니들(N)이 캐뉼러(C)에서 인출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메인 제어 모듈(16)은 제1 센서(CS1)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와, 제2 센서(CS2)에서 생성되어 서브 제어 모듈(16S)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가 동시에 측정되면, 니들(N)이 대상체에 삽입된 이후에 기준 위치로 후퇴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센서(CS1)와 제2 센서(CS2)에서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면, 제어 모듈은 구동 모듈(300)을 구동시켜서, 액액 주입이 시작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레저버 유닛(200)은 제1 바디(13) 및 제3 바디(15)에 장착되며, 니들 어셈블리(100)와 연결된다. 레저버 유닛(200)은 내부공간에 약액(D)이 저장되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약액을 니들(N)로 정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모듈(300)은 구동력을 생성하여 구동 유닛(40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유닛(400)에 의해 전달된 구동력은 플런저를 레저버 내부에서 선형 이동시켜서, 약액을 배출할 수 있다.
클러치 유닛(500)에 의해서 구동 유닛(400)들이 서로 연결되면(engaged), 구동 모듈(300)는 구동 유닛(400)의 구동 휠을 회전시키고, 구동 휠의 회전으로 로드가 선형 이동하여 플런저가 이동할 수 있다.
구동 모듈(300)는 전기에 의해 약액 흡입력과 약액 토출력을 갖는 모든 종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 변위형 마이크로펌프와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 등의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차를 일으키도록 기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체 혹은 유체의 운동을 이용하는 펌프로서, 다이어프람 변위 펌프(Diaphragm displacement pump), 유체 변위 펌프(Fluid displacement pump), 회전 펌프(Rotary pump) 등이 있다.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형태의 에너지를 바로 유체의 이동에 이용하는 펌프로서, 전기유체역학 펌프(Electro hydrodynamic pump, EHD), 전기삼투식 펌프(Electro osmotic pump), 자기유체역학 펌프(Magneto hydrodynamic pump), 전기습식 펌프(Electro wetting pump)등이 있다.
배터리(350)는 약액 주입 장치(10)에 전기를 공급하여, 각 부품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한 쌍의 배터리(350)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용량, 사용범위, 사용 시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구동 유닛(4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구동 유닛(400)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50)는 메인 제어 모듈(16)과 연결되며, 센서 유닛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구동 유닛(400)의 회전수 또는 회전 속도, 레저버(210)에 저장된 약액량, 사용자에게 주입된 약액량 등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구동 유닛(400)은 구동 모듈(300)와 레저버 유닛(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 모듈(300)에서 생성된 구동력으로 레저버(210) 내에 배치된 플런저를 이동 시킬 수 있다.
트리거 부재(600)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약액이 주입되는 기계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트리거 부재(600)는 제3 바디(15)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트리거 부재(600)가 회동하여 구동 모듈(300)의 구동을 개시하고, 동시에 클러치 유닛이 구동 유닛(400)을 구동 연결 할 수 있다.
니들 커버 조립체(700)는 니들 어셈블리(100)의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니들 커버 조립체(700)는 약액을 주입하기 전에 레저버 유닛(200)에 저장된 에어를 프라이밍(Priming) 할 수 있다. 약액 주입기를 통해서, 약액이 레저버에 주입 될때, 레저버 유닛(200)에 잔류된 기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니들 커버 조립체(700)는 제1 커버(710), 제2 커버(720), 필터 부재(730) 및 접착층(740)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710)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710)의 개구에는 제2 커버(720)가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제1 커버(710)의 일측에는 제2 바디(14)의 삽입홈(14G)에 삽입되어 니들 커버 조립체(900)를 고정하는 삽입 돌기(9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720)는 제1 커버(710)에 조립되며, 중앙에 니들(N) 및/또는 캐뉼러(C)가 정렬될 수 있다. 제2 커버(720)는 중앙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며, 약액(D)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710)는 제2 커버(720)보다 강성이 더 크다. 제1 커버(710)는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강성이 다소 큰 물질로 형성된다. 제2 커버(720)는 제1 커버(710)에 조립되고, 제3 바디(15)의 개구에 삽입되기 위해서 제1 커버(710)보다 강성이 작은 물질로 형성된다.
제2 커버(720)의 중앙에는 제3 바디(15)에 삽입되는 돌출부(7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720)는 고정 돌기를 구비하고, 고정 돌기가 제1 커버(710)에 삽입되어, 제1 커버(710)와 제2 커버(720)가 조립될 수 있다.
필터 부재는 제2 커버(720)에 장착된다. 필터 부재는 제2 커버(720)의 저장공간의 아래에 배치되며, 공기 등의 기체는 필터 부재를 통과하나, 약액과 같은 액체는 필터 부재를 통과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니들(N)에서 토출된 공기는 필터 부재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나, 니들에서 토출된 약액은 제2 커버(720)와 필터 부재로 정의되는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필터 부재는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약액의 양에 따라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공간에 약액이 채워지면, 필터 부재가 아래 방향으로 팽창하여, 사용자가 니들 커버 조립체(700)에 약액이 유입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접착층(740)은 니들 커버 조립체(700)의 일면에 배치되며, 부착부(12)에 니들 커버 조립체(7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알람 유닛(800)은 약액 주입 장치(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정상작동이나 오작동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알람 유닛(800)은 하우징(11)의 아래에 배치되며,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알람 유닛(800)은 경고음을 생성하거나, 빛을 생성하여, 외부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어셈블리(100) 및 약액 주입 장치(10)는 니들(N)의 이동과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1 센서(CS1)은 니들(N)이 대상체에 삽입된 동작을 측정하고, 제2 센서(CS2)는 니들(N)이 기준 위치로 후퇴하는 동작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어셈블리(100) 및 약액 주입 장치(10)는 캐뉼러(C)는 대상체에 삽입되고, 니들(N)이 캐뉼러(C)에서 인출되는 것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센서(CS1)는 캐뉼러(C)가 대상체에 삽입된 것을 측정하고, 제2 센서(CS2)는 니들(N)이 캐뉼러(C)에서 인출되되, 캐뉼러(C)로 약액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 것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센서(CS1)와 제2 센서(CS2)가 동시에 접촉되면, 약액 주입 장치(10)가 약액을 대상체로 주입하기 위한 준비단계가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약액 주입 시스템
10: 약액 주입 장치
100: 니들 어셈블리
200: 레저버 유닛
300: 구동 모듈
400: 구동 유닛
600: 트리거 부재
700: 니들 커버 조립체
800: 알람 유닛

Claims (8)

  1. 니들;
    상기 니들을 지지하는 홀더 유닛;
    상기 홀더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대상체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에 상기 니들이 위치하는지 센싱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홀더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상기 대상체에 삽입되기 전의 기준 위치에 상기 니들이 위치하는지 센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니들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니들이 상기 삽입 위치에서 인출되어 다시 상기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센싱하는, 니들 어셈블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이 삽입되는 캐뉼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니들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센서가 배치되는 제1 홀더; 및
    상기 캐뉼러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센서가 배치되는 제2 홀더;를 구비하는, 니들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가 모두 센싱되면, 상기 캐뉼러가 상기 대상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니들이 상기 대상체에서 인출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니들 어셈블리.
  5.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니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어셈블리는
    니들;
    상기 니들을 지지하는 홀더 유닛;
    상기 홀더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대상체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에 상기 니들이 위치하는지 센싱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홀더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상기 대상체에 삽입되기 전의 기준 위치에 상기 니들이 위치하는지 센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약액 주입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니들이 상기 삽입 위치에서 인출되어 다시 상기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센싱하는, 약액 주입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어셈블리는 상기 니들이 삽입되는 캐뉼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니들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센서가 배치되는 제1 홀더; 및
    상기 캐뉼러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센서가 배치되는 제2 홀더;를 구비하는, 약액 주입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가 모두 센싱되면, 상기 캐뉼러가 상기 대상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니들이 상기 대상체에서 인출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00119441A 2020-09-16 2020-09-16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46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441A KR102463878B1 (ko) 2020-09-16 2020-09-16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EP21869567.4A EP4194027A4 (en) 2020-09-16 2021-08-23 NEEDLE ASSEMBLY AND LIQUID MEDICINE INJEC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JP2023517385A JP2023543702A (ja) 2020-09-16 2021-08-23 ニードル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薬液注入装置
PCT/KR2021/011189 WO2022059944A1 (ko) 2020-09-16 2021-08-23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CN202180061989.5A CN116113455A (zh) 2020-09-16 2021-08-23 针组件及包括其的药液注入装置
KR1020220143882A KR20220150269A (ko) 2020-09-16 2022-11-01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US18/121,106 US20230211092A1 (en) 2020-09-16 2023-03-14 Needle assembly, and liquid medicine injec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441A KR102463878B1 (ko) 2020-09-16 2020-09-16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882A Division KR20220150269A (ko) 2020-09-16 2022-11-01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97A true KR20220036797A (ko) 2022-03-23
KR102463878B1 KR102463878B1 (ko) 2022-11-07

Family

ID=809637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441A KR102463878B1 (ko) 2020-09-16 2020-09-16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20143882A KR20220150269A (ko) 2020-09-16 2022-11-01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882A KR20220150269A (ko) 2020-09-16 2022-11-01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38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053A (ko) * 2016-03-11 2017-09-20 중소기업은행 약액 주입 장치
KR20190026730A (ko) * 2019-03-07 2019-03-13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053A (ko) * 2016-03-11 2017-09-20 중소기업은행 약액 주입 장치
KR20190026730A (ko) * 2019-03-07 2019-03-13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269A (ko) 2022-11-10
KR102463878B1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11092A1 (en) Needle assembly, and liquid medicine injec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2463878B1 (ko)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608069B1 (ko)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619176B1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027661A (ko)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515615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662719B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662715B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564932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669673B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32A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515617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564963B1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40058506A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648584B1 (ko) 약액 주입 장치
US20230390489A1 (en) Reservoir assembly and drug solution injection device comprising same
KR102515616B1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25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14A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30085348A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30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093912A (ko)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
KR20220121685A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20052043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48323A (ko) 약액 주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