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506A -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506A
KR20240058506A KR1020220139295A KR20220139295A KR20240058506A KR 20240058506 A KR20240058506 A KR 20240058506A KR 1020220139295 A KR1020220139295 A KR 1020220139295A KR 20220139295 A KR20220139295 A KR 20220139295A KR 20240058506 A KR20240058506 A KR 20240058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injection device
needle
driving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진
이도경
정준혁
Original Assignee
이오플로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플로우(주) filed Critical 이오플로우(주)
Priority to KR102022013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506A/ko
Publication of KR20240058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 A61M5/14216Reciprocating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약액의 누수 방지 기능이 향상된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뉼러, 상기 캐뉼러의 내부에 삽입되는 니들, 상기 니들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레저버와 상기 레저버 내부에 배치되는 플런저와 상기 레저버의 일측에 배치되는 캡 커버와 상기 캡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레저버 유닛 및 상기 플런저를 상기 레저버의 내측에서 선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액 주입 장치{Apparatus for infusing medical liquid}
본 발명은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약액의 누수 방지 기능이 향상된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주입장치와 같은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몸 안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진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환자 자신 또는 보호자와 같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당뇨 환자 특히, 소아 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과 같은 약액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인체에 주입할 필요가 있다. 일정한 기간 동안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패치 형태의 약액 주입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복부 또는 허리 등의 인체에 일정한 기간 동안 패치 형태로 부착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약액 주입을 통한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약액 주입 장치는 약액을 환자의 몸에 정밀하게 주입하는 것이 제어될 필요가 있는데, 소형의 약액 주입 장치를 통하여 소량의 약액을 정밀하게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액 주입 장치는 인체에 부착될 경우 착용감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저전력으로 구동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가 직접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약액 주입 장치를 구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누수 방지 기능이 향상된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뉼러, 상기 캐뉼러의 내부에 삽입되는 니들, 상기 니들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레저버와 상기 레저버 내부에 배치되는 플런저와 상기 레저버의 일측에 배치되는 캡 커버와 상기 캡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레저버 유닛 및 상기 플런저를 상기 레저버의 내측에서 선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은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천공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듈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을 상기 레저버 유닛으로 전달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연결되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커버는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흡수 패드는 상기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저버 유닛은 상기 레저버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제2 흡수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누수 방지 기능이 향상된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약액 주입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니들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니들 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레저버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레저버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캡 커버와 제1 흡수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제2 흡수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약액을 니들로 배출하는 구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원칙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주입 시스템과 약액 주입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시스템(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약액 주입 시스템(1)은 약액 주입 장치(10), 사용자 단말(20), 컨트롤러(30) 및 생체 정보 센서(40)를 구비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2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스템을 구동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모니터링되는 혈당 정보를 기초로, 약액 주입 장치(10)에서 약액을 주기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주입되어야 하는 약액 예컨대, 인슐린, 글루카곤, 마취제, 진통제, 도파민, 성장 호르몬, 금연 보조제 등의 약액을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약액 주입 장치(10)는 장치의 잔여 배터리(700) 용량 정보, 장치의 부팅 성공 여부, 주입 성공 여부 등을 포함하는 장치 상태 메시지를 컨트롤러(3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로 전달된 메시지들은 컨트롤러(30)를 거쳐 사용자 단말(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30)는 수신된 메시지들을 가공한 개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생체 정보 센서(40)와 별도로 구비되며, 대상체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와 생체 정보 센서(40)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의 몸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동물에도 장착되어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약액 주입 시스템(1)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컨트롤러(30)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30)를 제어하여 약액 주입 장치(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생체 정보 센서(4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미리 등록된 컨트롤러(30)와 1대1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외부의 장치로부터의 컨트롤러(30)가 구동 및 제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컨트롤러(30)와 암호화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과 컨트롤러(30)는 각각 분리되어 별도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30)는 약액 주입 장치(10)가 장착된 대상자에게 구비되고, 사용자 단말(20)은 대상자 또는 제3 자에게 구비될 수 있다. 보호자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20)이 구동되어, 약액 주입 시스템(1)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과 컨트롤러(30)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과 하나로 구비된 컨트롤러(30)가 약액 주입 장치(10)와 통신하여, 약액의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약액 주입 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약액 주입 장치(10)로 인슐린 등의 약액의 주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생체 정보 센서(40)로부터 혈당 등의 생체값의 측정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일 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로 사용자의 현 상태를 측정하라는 지시 요청을 전송하고, 지시 요청의 응답으로 약액 주입 장치(10)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40)는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값, 혈압, 심박수 등의 생체값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컨트롤러(3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약액이 주기 및/또는 주입량이 설정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로 전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생체 정보 센서(40)는 대상체의 혈당량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센서일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 센서는 대상체에 부착되어 연속적으로 혈당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 컨트롤러(30) 및 약액 주입 장치(1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5G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약액 주입 장치(10)의 내부 배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약액 주입 장치(1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의 피부 등에 부착되고, 내부에 저장된 약액을 사용자에게 설정된 정량으로 주입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주입되는 약액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도 장착되어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주입되는 약액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약액은 당뇨병 환자를 위한 인슐린 계열 약액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췌장을 위한 약액, 심장용 약액 기타 다양한 종류의 약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20)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조작하여 약액 주입 장치(1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사용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컨대, 약액 주입 장치(10)로부터 주입되는 약액의 양, 약액의 주입 횟수, 레저버 유닛(200)에 저장된 약액의 양,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약액 주입 장치(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사용자 단말(20)은 단일의 디바이스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액 주입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11) 및 사용자의 피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부착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하우징(11)과 부착부(12)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복수 개의 내부 부품을 포함한다. 부착부(12)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는 별도의 접합수단이 더 개재될 수 있으며, 접합수단에 의해 약액 주입 장치(10)는 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니들 조립체(100), 레저버 유닛(200), 구동 모듈(300), 구동 유닛(400), 클러치 유닛(500), 배터리(700) 및 복수개의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베이스 바디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가 내부 부품을 지지하는 틀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는 배치에 따라 제1 바디(13), 제2 바디(14) 및 제3 바디(15)를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13)는 하우징(11)의 아래에 배치되며, 각 개구 또는 홈에 니들 조립체(100), 레저버 유닛(200), 구동 모듈(300), 배터리(700) 등이 지지될 수 있다. 제2 바디(14)는 제1 바디(13)의 아래에 배치되며, 부착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14)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3 바디(15)는 제1 바디(13)의 상측에 배치되어, 각 개구 또는 홈에 레저버 유닛(200), 구동 모듈(300), 구동 유닛(400), 배터리(70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바디(13), 제2 바디(14) 및 제3 바디(15)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체로 구비되거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의 내부에는 제어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4)의 아래에는 회로 기판인 제어 모듈이 배치되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구동 모듈(300), 배터리(700) 및 복수개의 센서 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이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니들 조립체(100)는 제1 바디(13)에 장착될 수 있다. 니들 조립체(100)는 니들(N) 및 /또는 캐뉼러(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니들(N) 및/또는 캐뉼러(C)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약액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구동 모듈(300)은 구동력을 생성하여 구동 유닛(40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유닛(400)에 의해 전달된 구동력은 플런저(230)를 레저버(210) 내부에 선형 이동시켜서, 약액을 배출할 수 있다.
레저버 유닛(200)은 제1 바디(13) 및 제3 바디(15)에 장착되며, 니들 조립체(100)와 연결된다. 레저버 유닛(200)은 내부공간에 약액(D)이 저장되며, 플런저(230)의 이동에 따라 약액을 니들(N)로 정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모듈(300)은 구동력을 생성하여 구동 유닛(40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유닛(400)에 의해 전달된 구동력은 플런저(230)를 레저버(210) 내부에 선형 이동시켜서, 약액을 배출할 수 있다.
클러치 유닛(500)에 의해서 구동 유닛(400)들이 서로 연결되면(engaged), 구동 모듈(3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유닛(400)의 구동 휠(420)을 회전시키고, 구동 휠(420)의 회전으로 로드(410)가 선형 이동하여 플런저(230)가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230)가 이동하면, 커넥터 부재(233)도 함께 선형이동 할 수 있다.
구동 모듈(300)은 전기에 의해 약액 흡입력과 약액 토출력을 갖는 모든 종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 변위형 마이크로펌프와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 등의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차를 일으키도록 기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체 혹은 유체의 운동을 이용하는 펌프로서, 다이어프람 변위 펌프(Diaphragm displacement pump), 유체 변위 펌프(Fluid displacement pump), 회전 펌프(Rotary pump) 등이 있다.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형태의 에너지를 바로 유체의 이동에 이용하는 펌프로서, 전기유체역학 펌프(Electro hydrodynamic pump, EHD), 전기삼투식 펌프(Electro osmotic pump), 자기유체역학 펌프(Magneto hydrodynamic pump), 전기습식 펌프(Electro wetting pump)등이 있다.
배터리(700)는 약액 주입 장치(10)에 전기를 공급하여, 각 부품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한 쌍의 배터리(700)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용량, 사용범위, 사용 시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700)는 구동 유닛(4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구동 유닛(400)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700)는 제어 모듈과 연결되며, 센서 유닛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센서 유닛은 구동 유닛(400)의 회전수 또는 회전 속도, 레저버(210)에 저장된 약액량, 사용자에게 주입된 약액량 등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니들 조립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니들 조립체(100)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니들 조립체(100)는 버튼(101), 니들(N), 캐뉼러(C), 승강 부재(110), 구동 부재(120), 슬라이딩 레일(160) 및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01)은 니들 조립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부재(110)는 버튼(101)의 하부에 배치되며, 승강 이동할 수 있다.
승강 부재(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버튼(101)을 조작하여 승강 부재(110)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부재(120)는 승강 부재(110)의 하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부재(120)는 니들(N) 및 캐뉼러(C)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 부재(120)는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가지는 스프링일 수 있다.
이때, 구동 부재(120)의 회전 운동은 슬라이딩 부재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고, 슬라이딩 부재의 선형 운동은 니들(N)과 캐뉼러(C)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60)은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레일(160)은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슬라이딩 부재는 제1 슬라이딩 부재(172)와 제2 슬라이딩 부재(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레일(160)은 제1 슬라이딩 부재(172)와 제2 슬라이딩 부재(174)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부재(172)에는 니들(N)이 고정될 수 있고, 제2 슬라이딩 부재(174)에는 캐뉼러(C)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부재(172)와 제2 슬라이딩 부재(174)는 슬라이딩 레일(160)에 의해 안내되는 경로를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니들(N)은 제1 슬라이딩 부재(172)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고, 캐뉼러(C)는 제2 슬라이딩 부재(174)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니들(N)은 제1 슬라이딩 부재(172)에 고정되므로, 제1 슬라이딩 부재(172)의 이동에 의해 제1 슬라이딩 부재(172)와 함께 이동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캐뉼러(C)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될 수 있다.
니들(N)의 일단은 레저버 유닛(200)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약액을 전달할 수 있으며, 타단은 캐뉼러(C)에 삽입되어 캐뉼러(C)의 내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캐뉼러(C)는 제2 슬라이딩 부재(174)에 고정되므로, 제2 슬라이딩 부재(174)의 이동에 의해 제2 슬라이딩 부재(174)와 함께 이동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용자의 피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캐뉼러(C)는 니들(N)을 수용할 수 있는 도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니들(N)에서 토출된 약액이 사용자로 주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니들 조립체(100)는 홀더(130) 및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130)는 구동 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홀더(130)는 구동 부재(12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 부재(1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승강 부재(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승강 부재(110)의 하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승강 부재(110)가 승강함에 따라 홀더(130)를 고정 및 회전시킬 수 있다.
홀더(130) 및 고정 부재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홀더(130)는 구동 부재(120)를 지지하는 하부 및 구동 부재(120)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를 포함하는 홀더(130) 바디, 홀더(130) 바디의 저면에 형성되어 아래로 돌출된 홀더(130) 돌기, 홀더(130) 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 홀더(130) 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홀더(130) 돌기는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동 부재(120)는 홀더(130) 바디의 하부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홈에 구동 부재(120)의 하단이 결합됨으로써 구동 부재(120) 및 홀더(1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홀더(130)는 구동 부재(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홀더(130)는 고정 부재가 상기 고정홈에 위치함으로써 고정되고, 고정 부재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 레일(160)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고정홀로부터 돌출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174)의 일면과 접촉하며, 제2 슬라이딩 부재(17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승강 부재(110)의 하강 시 승강 부재(110)와 접촉할 수 있고, 승강 부재(110)의 하강력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160)과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여 홀더(13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는 제2 슬라이딩 부재(174)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174)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승강 부재(110)를 하강시키는 경우, 고정 부재는 홀더(130)의 고정을 해재할 수 있고, 제2 슬라이딩 부재(174)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제2 슬라이딩 부재(174)와 연결된 캐뉼러(C)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니들 조립체(100)는 걸림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150)의 적어도 일부는 슬라이딩 레일(160)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부재(172) 및 제2 슬라이딩 부재(174)는 슬라이딩 레일(160) 상에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슬라이딩 부재(174)는 슬라이딩 레일(160)의 전방부에 배치된 걸림 부재(150)에 걸려 연장 위치에 고정되고, 제1 슬라이딩 부재(172)만 원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슬라이딩 부재(172)와 제2 슬라이딩 부재(174)가 이동함으로써 니들(N)과 캐뉼러(C)는 함께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따. 이후, 제2 슬라이딩 부재(174)는 슬라이딩 레일(160)의 전방부에 배치된 걸림 부재(150)에 걸려 이동된 위치, 즉 연장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슬라이딩 부재(172)는 걸림 부재(150)에 걸리지 않고 원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따라서, 캐뉼러(C)는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나, 니들(N)은 천공 기능을 수행한 후 다시 후퇴하여 약액의 전달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서, 약액 주입 장치(10)의 일측에는 패치(P)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패치(P)는 캐뉼러(C)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캐뉼러(C)의 단부가 패치(P)에 지지되므로, 보관 중이나 이동 중에 캐뉼러(C)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치(P)에는 니들(N)의 단부 및/또는 캐뉼러(C)의 단부가 삽입된다. 약액이 사용자에게 주입되기 전에, 즉 니들(N)과 캐뉼러(C)가 사용자에게 삽입되기 전에 니들(N)의 단부 및/또는 캐뉼러(C)의 단부가 패치(P)에 지지되어,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약액을 레저버(210)에 주입시에, 니들(N)과 캐뉼러(C)의 위치가 고정되며, 안정적으로 레저버(210)의 내부에 잔류된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캐뉼러(C)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나, 니들(N)은 상승하여 대상체에서 분리된다. 다만, 캐뉼러(C)와 니들(N)은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여, 레저버(210)에서 주입되는 약액은 니들(N)과 캐뉼러(C)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주입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니들 조립체(100)를 동작하여, 캐뉼러(C)를 대상체에 삽입하고, 약액 주입을 개시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가 버튼(101)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캐뉼러(C) 및/또는 니들(N)을 이동시킬 수 있고, 이 후 구동 모듈(300)이 구동되어, 레저버(210)에서 약액이 정량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약액 주입 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레저버 유닛(200)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레저버 유닛(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캡 커버(220)와 제1 흡수 패드(2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제2 흡수 패드(2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레저버 유닛(200)은 제1 바디(13) 및 제3 바디(15)에 장착되며, 니들 조립체(100)와 연결된다. 레저버 유닛(200)은 내부공간에 약액(D)이 저장되며, 플런저(230)의 이동에 따라 약액을 니들(N)로 정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레저버 유닛(200)은 레저버(210), 캡 커버(220), 플런저(230), 실링링(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저버 유닛(200)은 커넥터 부재(233)를 구비할 수 있다.
레저버(210)는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에 약액을 저장할 수 있다. 레저버(210)는 플런저(230)의 이동으로 약액이 니들(N)로 토출될 수 있다. 레저버(210)의 단부에는 캡 커버(220)가 장착되며, 캡 커버(22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구동 유닛(400)의 로드(410) 및/또는 연결 부재(520)가 이동할 수 있다.
레저버(210)는 입구단(210I)과 출구단(210E)을 가질 수 있다. 입구단(210I)으로는 약액이 주입되며, 출구단(210E)에 니들(N)이 설치되며, 니들(N)로 약액은 배출될 수 있다.
입구단(210I)은 약액 주입 장치(10)의 하부에 연결되며, 별도의 약액 주입기(NI)에 의해서 약액이 주입될 수 있다. 입구단(210I)은 제1 실링 부재(251)가 배치되며, 제1 실링 부재(251)가 약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입구단(210I)에는 안내홈(211)과 연결되는 연결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출구단(210E)은 입구단(210I)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며, 니들(N)과 연결되어 약액이 배출될 수 있다. 출구단(210E)은 제2 실링 부재(252)가 배치되며, 니들(N)이 제2 실링 부재(252)에 고정될 수 있다. 출구단(210E)에는 안내홈(211)과 연결되는 연결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입구단(210I)의 직경은 출구단(210E)의 제2 직경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입구단(210I)은 약액 주입기(NI)의 니들이 삽입되므로, 니들이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개구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안내홈(211)은 레저버(2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안내홈(211)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입구단(210I)과 출구단(210E)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안내홈(211)은 레저버(210)의 내부 공간에 잔류하는 기체를 니들 조립체(100)로 안내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레저버(210)의 내부에는, 더 상세하게 레저버(210)의 앞단과 플런저(230) 사이의 틈에는 조립이나 제조과정에서 남아있는 기체(공기)가 있다. 외부의 약액 주입기(NI)를 통해서 약액이 레저버(210)로 주입되면, 상기 기체는 안내홈(211)을 따라서 니들(N)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안내홈(211)은 입구단(210I)과 출구단(210E)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플런저(230)는 레저버(210)의 내부에 배치되며, 구동 모듈(300) 및 구동 유닛(400)의 구동에 의해서 선형이동 할 수 있다. 플런저(230)의 전진에 따라, 약액은 내부공간에서 니들(N)로 배출될 수 있다.
플런저(230)는 엔드단(231)과 경사면(232)을 가질 수 있다. 엔드단(231)은 레저버(210)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여, 약액을 이동시킬 수 있다. 경사면(232)은 레저버(210)의 경사부에 밀착될 수 있다.
플런저(230)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부재(233)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 부재(233)는 플런저(230)에 설치되어, 플런저(230)의 선형 이동에 따라 함께 선형이동될 수 있다.
커넥터 부재(233)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비되고, 샤프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 부재(233)가 이동하면서 센서 유닛과 접촉함으로써, 약액의 저장량을 측정하거나, 약액 주입 장치(10)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커넥터 부재(233)는 플런저(230)의 후단에 연결되어, 플런저(23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커넥터 부재(233)가 사프트 형상을 가지는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비되는 센서 유닛과 접촉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약액이 레저버(210)에 저장되어, 플런저(230)가 후퇴하면, 커넥터 부재(233)는 플런저(230)와 함께 후퇴할 수 있다. 또한, 약액이 레저버(210)에서 니들(N)로 토출되도록 플런저(230)가 전진하면, 커넥터 부재(233)는 플런저(230)와 함께 전진할 수 있다.
플런저(230)는 레저버(210)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부분에 실링링(240)이 구비되어, 플런저(230)의 이동시에 약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레저버 유닛(200)은 캡 커버(2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흡수 패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 커버(220)는 레저버(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캡 커버(220)는 내측에 일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흡수 패드(260)는 캡 커버(220)의 내측에 마련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수 패드(260)는 넓이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수 패드(260)는 캡 커버(220)의 내측 면에 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수 패드(260)는 약액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수 패드(260)는 캡 커버(220)의 내측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 커버(220)의 내측 바닥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 커버(220)를 통해 외측으로 약액이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흡수 패드(260)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공은 제1 흡수 패드(26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흡수 패드(260)는 제1 통공(2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공(261)은 캡 커버(220)에 형성된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공(261)은 캡 커버(2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로드(410)가 관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제1 흡수 패드(260)는 캡 커버(220)의 내면에 부착되되, 캡 커버(220)에 로드(410)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개구와 제1 흡수 패드(260)의 제1 통공(26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410)는 제1 흡수 패드(260)가 캡 커버(220)의 내측에 부착된 경우에도 레저버(2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흡수 패드(260)는 제2 통공(2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공(262)은 제1 흡수 패드(26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통공(262)은 캡 커버(2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 부재(233)가 관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제1 흡수 패드(260)는 캡 커버(220)의 내면에 부착되되, 캡 커버(220)에 커넥터 부재(233)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개구와 제1 흡수 패드(260)의 제2 통공(26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부재(233)는 제1 흡수 패드(260)가 캡 커버(220)의 내측에 부착된 경우에도 레저버(2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제2 통공(262)이 형성되는 개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 부재(233) 등 캡 커버(220)를 관통하는 부재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통공(262)은 제1 흡수 패드(260)의 외측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공(262)은 캡 커버(220)에 커넥터 부재(233)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최외곽부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수 패드(260)가 캡 커버(220)의 내측에서 구겨지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흡수 패드(260)를 캡 커버(220)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제2 흡수 패드(2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10은 제2 흡수 패드(270)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7, 도 8의 레저버 유닛(200)을 뒤집어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서, 레저버 유닛(200)은 레저버(210)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제2흡수 패드(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흡수 패드(270)는 레저버(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레저버(210)와 캡 커버(220)의 결합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흡수 패드(270)는 레저버(210)와 캡 커버(220)의 결합부분 중 아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저버(210)와 캡 커버(220)의 외측으로 약액이 노출되는 경우, 약액이 흐르는 위치에만 제2 흡수 패드(270)가 배치되므로, 제2 흡수 패드(27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이용되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특성 상, 레저버 유닛(200)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흡수 패드(270)는 약액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수 패드(270)는 넓이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흡수 패드(270)는 레저버(210)와 캡 커버(220)의 결합부분의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레저버(210)와 캡 커버(2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저버 유닛(200)은 흡수 패드를 포함함으로써 레저버(210)에 저장되는 약액이 일부 누출된 경우 약액이 전기소자나 다른 장치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레저버 유닛(200)의 흡수 패드는 약액의 누출로 인한 약액 주입 장치의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저버 유닛(20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흡수 패드가 배치됨으로써 약액의 누출로 인한 약액 주입 장치의 고장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약액을 니들로 배출하는 구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400)은 구동 모듈(300)과 레저버 유닛(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 모듈(300)에서 생성된 구동력으로 레저버(210) 내에 배치된 플런저(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구동 유닛(400)은 로드(410)와 구동 휠(420)이 클러치 유닛(500)에 의해서 커플링 또는 연결되어야만 플런저(230)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로드(410)는 플런저(230)에 연결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로드(410)는 캡 커버(220)의 개구에 삽입되고, 로드(410)는 플런저(23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레저버(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드(410)는 표면에 나사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로드(410)는 연결 부재(520)에 삽입되며, 액액을 정량 토출시에는, 클러치 유닛(500)에 의해서 구동 휠(420)과 연결되어, 로드(410)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휠(420)은 구동 모듈(300)에 구동적으로 연결되며, 구동 모듈(300)의 구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휠(420)은 제1 연결단(421)과 제2 연결단(422)을 가지며, 내부에는 로드(41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단(421) 및 제2 연결단(422) 중 적어도 하나는 커넥터(CN)에 의해서 구동 모듈(300)과 항상 구동적으로 연결되므로, 구동 모듈(300)의 구동으로 구동 휠(420)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연결단(421)과 제2 연결단(422)은 기어 티스 형상을 질 수 있다. 구동 모듈(300)과 연결되는 커넥터(CN)가 기어 티스를 가력하여 구동 휠(420)이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커넥터(CN)는 구동 모듈(300)의 선형 왕복운동에 따라 회동축을 기준으로 반복적으로 회동한다. 커넥터(CN)의 단부는 제1 연결단(421) 및 제2 연결단(422) 중 적어도 하나를 가력하여, 구동 휠(4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CN)의 일단은 제1 연결단(421)을 가력하도록 배치되고, 커넥터(CN)의 타단은 제2 연결단(422)을 가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CN)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센서 유닛은 커넥터(CN)의 구동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 유닛(920)은 커넥터(CN)와의 접촉 여부를 측정하여, 구동 모듈(300)의 구동력이 구동 휠(420)로 전달되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은 커넥터(CN)와의 접촉 여부를 측정하여, 구동 휠(420)의 회전된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클러치 유닛(500)은 구동 모듈(300)과 구동 유닛(400)을 구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클러치 유닛(500)은 로드(410)와 구동 휠(420) 사이에 배치되며, 커플러(510)와 연결 부재(520)를 구비할 수 있다.
커플러(510)는 연결 부재(520)의 외측에 배치되며, 비활성화시에는 연결 부재(52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활성화시에는 로드(410)와 구동 휠(420)을 연결할 수 있다. 커플러(510)는 탄성력으로 연결 부재(520)의 외측을 가력할 수 있는 부품이며,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 부재(520)는 적어도 일부가 로드(410)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520)는 로드(41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연결 부재(520)는 커플러(510)의 동작에 따라 구동 모듈(300)과 로드(41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로드(410)와 연결 부재(520)는 각각 나사와 나사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로드(4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 부재(52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커플러(510)가 활성화되면 커플러(510)가 연결 부재(520)를 그립하고, 구동 휠(420)의 회전에 따라 연결 부재(520)도 함께 회전한다.
연결 부재(520)와 로드(410)는 전방의 일부분에서만 나사 결합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 휠(420)이 작은 토크로 회전하더라도 연결 부재(520)가 로드(4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일부분에서만 로드(410)와 연결 부재(520)가 나사결합을 하므로, 구동 유닛(400)의 구동에 의해서 플런저(230)는 다소 약한 힘에 의해서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약액 주입 장치(10)는 구동 모듈(300)에서 작은 힘이 생성하더라도, 약액을 니들(N)로 배출할 수 있으며, 구동 유닛(400) 및 클러치 유닛(500)에도 상대적으로 작은 구동력이 전달되므로, 부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 유닛들은 약액 주입 장치(10)의 구동을 측정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 유닛들은 레저버(210)의 약액의 저장량을 측정하거나, 구동 모듈(300)의 구동 여부, 구동 유닛(400)의 구동 여부, 구동 휠(420)의 회전각, 플런저(230)의 이동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 유닛들은 각각 복수개의 접촉단을 가질 수 있다. 접촉단은 전기적인 접촉 여부를 측정하여 각각의 이벤트 또는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접촉단은 다른 부품과의 접촉으로 어느 하나의 단부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다른 부품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서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약액 주입 시스템
10: 약액 주입 장치
100: 니들 조립체
200: 레저버 유닛
210: 레저버
220: 캡 커버
300: 구동 모듈
400: 구동 유닛
N: 니들
C: 캐뉼러
P: 패치

Claims (6)

  1. 캐뉼러;
    상기 캐뉼러의 내부에 삽입되는 니들;
    상기 니들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레저버와 상기 레저버 내부에 배치되는 플런저와 상기 레저버의 일측에 배치되는 캡 커버와 상기 캡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레저버 유닛; 및
    상기 플런저를 상기 레저버의 내측에서 선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천공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약액 주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을 상기 레저버 유닛으로 전달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연결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 커버는,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약액 주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패드는,
    상기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통공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유닛은,
    상기 레저버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제2 흡수 패드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20139295A 2022-10-26 2022-10-26 약액 주입 장치 KR20240058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295A KR20240058506A (ko) 2022-10-26 2022-10-26 약액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295A KR20240058506A (ko) 2022-10-26 2022-10-26 약액 주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506A true KR20240058506A (ko) 2024-05-03

Family

ID=9107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295A KR20240058506A (ko) 2022-10-26 2022-10-26 약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5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58506A (ko) 약액 주입 장치
JP2023543702A (ja) ニードル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薬液注入装置
KR102662719B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648584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564932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564963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463878B1 (ko)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515617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515616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515615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662715B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608069B1 (ko)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619176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669673B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548189B1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093912A (ko)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
KR20230105632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30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25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027661A (ko)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14A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48323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40082280A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30085348A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CN116171172A (zh) 药液注入装置、药物注入装置及其药物残余量的确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