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320A - 현악기 - Google Patents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320A
KR20220036320A KR1020210047527A KR20210047527A KR20220036320A KR 20220036320 A KR20220036320 A KR 20220036320A KR 1020210047527 A KR1020210047527 A KR 1020210047527A KR 20210047527 A KR20210047527 A KR 20210047527A KR 20220036320 A KR20220036320 A KR 20220036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board
string
neck
neck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202B1 (ko
Inventor
신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렌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렌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렌탈
Publication of KR2022003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2Bowed or rubbed string instruments, e.g. violins or hurdy-gurd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아 짐에 따라 지판이 신축작용에 의해 처져 소리를 발생시키는 줄과 멀어질 경우, 지판과 줄이 이상적인 간격을 유지하도록 보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는, 공명통으로 이루어지는 사운드보드, 상기 사운드보드에서 연장되며 일측에 지판이 배치되는 네크부, 상기 네크부에서 연장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줄감개와 사운드보드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줄을 포함하는 현악기로서, 상기 네크부와 지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판과 네크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상기 지판을 지지 또는 미지지 하도록 상기 지판과 네크부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 또는 이탈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악기{STRING INSTRUMNET}
본 발명은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아 짐에 따라 지판이 신축작용에 의해 처져 소리를 발생시키는 줄과 멀어질 경우, 지판과 줄이 이상적인 간격을 유지하도록 보정할 수 있는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올린족 현악기는 줄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로서, 줄을 활로 마찰시켜 소리를 내거나 또는 줄을 손가락 등으로 퉁겨서 소리를 낸다.
줄을 활로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현악기는 통상적으로 공명통으로 이루어진 사운드보드(soundboard)와, 이 사운드보드에서 연장되는 네크부와, 이 네크부의 끝단부를 이루는 헤드부로 구성되고, 소리를 발생하는 줄은 브리지에 지지된 상태로 사운드보드와 헤드부 사이에 고정 된다.
사운드보드는 상판 및 하판, 상판과 하판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에는 울림구멍이 형성된다.
바이올린족 현악기는 최초 활에 의해 줄을 마찰시켜 발생되는 진동이 브리지를 타고 상판에 전달되고, 측면판을 타고 진동이 전달되어 하판이 진동이 되며, 이러한 사운드보드의 진동이 진동에너지로 공기에 전달되어 음이 발생되며, 이러한 음이 상판에 형성된 울림구멍을 통해 밖으로 전달된다.
이런 바이올린족 현악기의 진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을 크게 증폭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악기 외부의 마이크를 통해 증폭되는 방법과 악기몸체에 부착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을 증폭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이올린족 현악기는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을 경우 지판이 신축작용에 의해 아래로 처져 상판과 가까워지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 지판과 줄 간의 간격차가 증가하기 때문에 현악기를 연주하기 위해 줄을 지판 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줄이 지판에 닿지 않게 되어 정상적인 연주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낮은 높이를 갖는 새로운 브리지로 교체하면 줄의 높이도 낮아져 줄을 지판에 접촉시키는 것은 가능하나, 지판과 브리지 사이에 위치한 줄의 일정영역이 상판에 접촉되어 정상적인 연주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4538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아 짐에 따라 지판이 신축작용에 의해 처져 소리를 발생시키는 줄과 멀어질 경우, 지판과 줄이 이상적인 간격을 유지하도록 보정할 수 있는 현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는, 공명통으로 이루어지는 사운드보드, 상기 사운드보드에서 연장되며 일측에 지판이 배치되는 네크부, 상기 네크부에서 연장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줄감개와 사운드보드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줄을 포함하는 현악기로서, 상기 네크부와 지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판과 네크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상기 지판을 지지 또는 미지지 하도록 상기 지판과 네크부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 또는 이탈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지판과 네크부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홈,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판과 네크부가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네크부와 지판은 상기 지지부가 개제 시 상기 슬라이딩부와 레일홈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판과 접촉되는 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헤드부와 마주하는 일단에서 이와 반대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네크부에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지판과 줄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는, 네크부와 지판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하고, 네크부와 지판의 사이에 지판을 일정 높이로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개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아 짐에 따라 지판이 신축작용에 의해 처져 소리를 발생시키는 줄과 멀어질 경우, 지지부를 통해 지판과 줄을 가깝게 해주어 정상적인 연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에 적용된 네크부와 지판과 착탈부와 지지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에 지지부가 미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에 지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에 적용된 가변부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에 적용된 네크부와 지판과 착탈부와 지지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에 지지부가 미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에 지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1)는 바이올린족 현악기로서, 공명통으로 이루어지는 사운드보드(10), 사운드보드(10)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일면에 지판(30)이 배치되는 네크부(20), 사운드보드(10)와 네크부(20) 사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줄(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보드(10)는 서로 이격되는 상판(11)과 하판(12) 및 상판(11)과 하판(12)의 테두리를 감싸는 측면판(13)을 포함한다.
상판(11)의 중앙에는 대칭되는 형태로 복수의 울림구멍(11a)이 형성되어 사운드보드(10) 내부에서 발생된 공기 진동을 외부로 전한다.
네크부(20)의 전면으로는 손가락으로 줄(40)을 누를 수 있도록 지판(30)이 배치되고, 네크부(20)의 끝단부는 헤드부(21)가 형성된다. 헤드부(21)에는 줄감개(22)가 제공된다.
상판(11)에는 줄(40)의 한쪽 끝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줄 고정부(111)가 설치된다. 각각의 줄(40)은 일측단이 줄 고정부(111)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헤드부(21)의 줄감개(22)에 감겨져 브리지(112)에 지지된 상태로 줄감개(22)를 조절하여 줄(40)을 긴장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을 경우 지판(30)이 신축작용에 의해 아래로 처져 상판(11)과 가까워지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 지판(30)과 줄(40) 간의 간격차가 증가하기 때문에 현악기를 연주하기 위해 줄(40)을 지판(30) 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줄(40)이 지판(30)에 닿지 않게 되어 정상적인 연주가 이루어지지 아니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낮은 높이를 갖는 새로운 브리지(112)로 교체하면 줄(40)의 높이도 낮아져 줄(40)을 지판(30)에 접촉시키는 것은 가능하나, 지판(30)과 브리지(112) 사이에 위치한 줄(40)의 일정영역이 상판(11)에 접촉되어 정상적인 연주가 이루어지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1)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탈부를 통해 네크부(20)와 지판(30)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네크부(20)와 지판(30)의 사이에 지판(30)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부(5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착탈부는 지지부(50)를 적용 또는 이탈시키기 위해 네크부(20)와 지판(30)을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네크부(20)와 지판(30)에 각각 형성되는 레일홈(20a)과 슬라이딩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네크부(20)와 지판(30) 중 어느 하나에 레일홈(20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레일홈(20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1)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네크부(20)의 저면에 레일홈(20a)이 형성되고, 지판(30)의 상면에 슬라이딩부(31)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네크부(20)의 저면에 슬라이딩부(31)가 형성되고, 지판(30)의 상면에 레일홈(20a)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홈(20a)은 슬라이딩부(31)와 대응되는 형상, 크기, 길이 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네크부(20)와 지판(30)은 이러한 레일홈(20a)과 슬라이딩부(31)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지판(30)은 착탈부를 통해 가압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네크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방식의 경우 레일홈(20a)과 슬라이딩부(31)를 마주보게 한 다음, 지판(30)을 네크부(20) 방향으로 가압하면, 레일홈(20a)에 슬라이딩부(31)가 삽입되어 지판(30)이 네크부(20)에 결합된다.
슬라이딩방식의 경우 네크부(20)의 끝부분에서 슬라이딩부(31)를 레일홈(20a)에 위치시킨 다음 지판(30)을 헤드부(21)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레일홈(20a)에 슬라이딩부(31)가 삽입되어 지판(30)이 네크부(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판(30)을 네크부(20)에 결합한 이후에 브리지(112)와 줄(40)을 설치하면 된다.
이때, 슬라이딩부(31)는 레일홈(20a)에 억지끼움되어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레일홈(20a)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인위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는 레일홈(20a)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0)는 사용자에 의해 지판(30)과 네크부(20)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 또는 이탈될 수 있다.
지지부(5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부(31)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고 네크부(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판(30)을 지지하여, 지판(30)의 처짐을 방지한다.
이때, 네크부(20)의 상면은 사운드보드(10)와 결합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됨으로, 지지부(50)는 지판(30)의 저면과 접촉되는 상면에 경사면(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51)은 사운드보드(10)와 마주하는 일단에서 헤드부(21)를 향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50)는 대략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의 사용 예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아져 지판(30)의 일부분 즉, 네크부(20)에 지지되지 아니한 부분이 하강되어 지판(30)과 줄(40)의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 현악기(1)를 연주시 줄(40)이 지판(30)에 제대로 닿지 아니할 경우, 줄감개(22)를 느슨하게 풀러 줄(40)의 긴장상태를 완화시킨 다음, 지판(30)을 네크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 지판(30)과 네크부(2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후, 지판(30)과 네크부(20)의 사이 공간에 한 쌍의 지지부(50)를 개재한 후 지판(30)을 지지부(50) 방향으로 가압하여, 네크부(20)와 지판(30)의 사이에 지지부(50)를 압착고정하고, 지판(30)과 네크부(20)가 착탈부를 매개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네크부(20)와 지판(30)은 지지부(50)가 개제되어도 슬라이딩부(31)와 레일홈(20a)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이후에, 다시 줄감개(22)를 조여 줄(40)을 긴장시킨 후 현악기(1)를 연주하면 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50)로 지판(30)을 지지하면 지판(30)이 상판(11) 측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줄(40)과 지판(30), 줄(40)과 상판(11)이 기 설정된 간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정상적인 연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겨울철과 같이 건조한 날씨에는 지판(30)이 신축작용에 의해 위로 올라가 상판(11)에서 멀어진다. 이때, 지판(30)은 습도에 의해 하강되기 전 상태, 즉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한 날씨에는 네크부(20)와 지판(30)의 사이에서 지지부(50)를 제거하여 현악기를 연주하면 된다.
물론, 지지부(50)를 지판(30)과 네크부(20)의 사이에 계속 개재한 상태로 사용해도 될 것이다.
한편,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에 적용된 가변부(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가변부(50)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가변부(5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네크부(20)의 일측과 타측에는 2개 이상의 나선홀(20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나선홀(20b)에는 가변부(60)가 각각 체결된다.
이때, 네크부(2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나선홀(20b)은 레일홈(20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가변부(60)는 볼트로 작용될 수 있다. 가변부(60)는 나선홀(20b)에 각각 체결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될 수 있으며, 그 상면이 지지부(50)의 저면을 지지한다.
가변부(60)는 정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점진적으로 상승되고, 역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점진적으로 하강된다.
따라서, 도 와 같은 상태에서 지판(30)의 처짐은 심하고 지지부(50)의 높이는 낮아, 지지부(50) 만으로 지판(30)과 줄(40)의 간격을 이상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경우, 즉, 지지부(50)가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줄(40)과 지판(30)의 간격이 넓을 경우, 도 와 같이 지판(30)을 네크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당기는 방식으로 지판(30)과 줄(40)의 간격을 이상적으로 조절한다. 이때, 슬라이딩부(31)의 일부분은 레일홈(20a)에서 인출된다.
이후, 지지부(50)를 상승시켜 지판(30)의 저면에 밀착시킨 다음 가변부(60)를 상승시켜 지지부(50)의 저면을 지지하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현악기 10 : 사운드보드
11 : 상판 11a : 울림구멍
111 : 줄 고정부 112 : 브리지
12 : 하판 13 : 측면판
20 : 네크부 20a : 레일홈
20b : 나선홀 21 : 헤드부
22 : 줄감개 30 : 지판
31 : 슬라이딩부 40 : 줄
50 : 지지부 51 : 경사면
60 : 가변부

Claims (5)

  1. 공명통으로 이루어지는 사운드보드, 상기 사운드보드에서 연장되며 일측에 지판이 배치되는 네크부, 상기 네크부에서 연장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줄감개와 사운드보드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줄을 포함하는 현악기로서,
    상기 네크부와 지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판과 네크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상기 지판을 지지 또는 미지지 하도록 상기 지판과 네크부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 또는 이탈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현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지판과 네크부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홈,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판과 네크부가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현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와 지판은 상기 지지부가 개제 시 상기 슬라이딩부와 레일홈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현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판과 접촉되는 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헤드부와 마주하는 일단에서 이와 반대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 현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에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지판과 줄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현악기.
KR1020210047527A 2020-09-15 2021-04-13 현악기 KR102551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352 2020-09-15
KR20200118352 2020-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320A true KR20220036320A (ko) 2022-03-22
KR102551202B1 KR102551202B1 (ko) 2023-08-09

Family

ID=8098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27A KR102551202B1 (ko) 2020-09-15 2021-04-13 현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2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629A (ko) * 2009-12-04 2010-11-16 이재원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629A (ko) * 2009-12-04 2010-11-16 이재원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KR101245381B1 (ko) 2009-12-04 2013-03-19 주식회사 제이원뮤직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202B1 (ko)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4623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neck angle of guitar
US7807906B2 (en) String-bridge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20060150797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multiple bridge-soundboard units
BE1016788A6 (nl) Snaarinstrument.
US8217244B2 (en) String-bridge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7145063B2 (en) Top pickup for musical stringed instruments
US10008185B2 (en) Stringed instrument with lead crystal fingerboard or fretboard and bridge
KR20220036320A (ko) 현악기
US4171660A (en) Bridge or tailpiece for musical instrument
JP2022546915A (ja) 弦楽器において縦波を低減するためのサドル及びブリッジ
US7884271B2 (en) String-bridge interface system and method
JP2023138805A (ja) 楽器
US10847124B1 (en) Guitar neck assembly
US7554022B2 (en) Stringed instrument bridge
TW202349375A (zh) 顫音機構
US4602547A (en) Electric guitar
JP4259429B2 (ja) 電気弦楽器
KR101631808B1 (ko) 현악기용 음색조정장치
US7550660B2 (en) Stringed instrument construction
US20050076764A1 (en) Acoustical stress member
US7161075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strings folded over tailpiece
US9905212B1 (en) Bridge with pickup for hybrid arched top guitar or the like
US6803510B2 (en) Asymmetrical stringed instrument bridge
US11217213B2 (e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partial taper soundboard recurve
US5831191A (en) Bassbar for stringed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