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258A -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258A
KR20220036258A KR1020200118605A KR20200118605A KR20220036258A KR 20220036258 A KR20220036258 A KR 20220036258A KR 1020200118605 A KR1020200118605 A KR 1020200118605A KR 20200118605 A KR20200118605 A KR 20200118605A KR 20220036258 A KR20220036258 A KR 20220036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otional lighting
emotional
control uni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258A/ko
Priority to CN202110743038.8A priority patent/CN114179715A/zh
Priority to US17/366,536 priority patent/US11603040B2/en
Publication of KR20220036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5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manual control of the light, e.g. of colour, orientation or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onto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31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autonomous vehicle travel
    • B60Q3/735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autonomous vehicle travel for preventing discomfort, e.g. for preventing motion sickness or for anticipating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4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 B60Q9/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using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9Segmenting video sequences, i.e. computational techniques such as parsing or cutting the sequence, low-level clustering or determining units such as shots or sce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05B45/22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using optical feedb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5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interior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5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interior lamps
    • B60Q2500/30Arrangements for illuminating different zones in the vehicle, e.g. front/rear, differen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주변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며,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승객이 도어 글라스를 통해 외부의 경관을 감성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감성조명;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고,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EMOTIONAL LIGHTING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 및 승객이 도어 글라스를 통해 외부의 경관을 감성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가 또는 도시 등의 지역별 환경요인에 따라 최적상태의 조명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조건의 조명을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는 감성 조명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감성 조명장치는 국가 및 도시의 지역을 선택하는 지역 선택부, 상기 국가 및 도시의 지역에 따른 광강도, 색온도 및 파장을 계절 및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계절 및 시간을 카운트하는 검출부, 상기 지역 선택부에서 선택된 국가 및 도시의 지역에 따른 광강도, 색온도, 파장을 상기 검출부에서 카운트된 현재 계절 및 시간대에 맞게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광강도, 색온도, 파장에 맞추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LED 광원을 각각 구동시키는 LED 광원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감성 조명장치는 차량의 실내 분위기를 온화하게 만들기 위한 장치로서, 국가 및 도시의 지역에 따른 광강도, 색온도 및 파장을 계절 및 시간대별로 저장하고, 이에 기초하여 LED 광원을 구동시킨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주변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며,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승객이 도어 글라스를 통해 외부의 경관을 감성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는, 차량의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감성조명;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고,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속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정차중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변영상 중 측방영상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변영상 중 전방영상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영상 내 ROI(Region Of Interest)를 결정하고, 상기 ROI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OI 내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색상을 대표 색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좌측 승객을 대상으로 감성경관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전방영상의 좌측 영역의 일부를 ROI로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우측 승객을 대상으로 감성경관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전방영상의 우측 영역의 일부를 ROI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동작모드를 설정받는 설정부; 및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경고 시스템으로부터 경고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이 상기 차량의 실내 상단을 향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경고신호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를 통해 무드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이 상기 차량의 실내 하단을 향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무드모드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를 통해 뮤직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이 소정의 구간을 왕복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뮤직모드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은, 카메라가 차량의 전방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전방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감성조명이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향해 상기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영상 내 ROI(Region Of Interest)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OI 내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색상을 대표 색상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차량의 좌측 승객을 대상으로 감성경관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전방영상의 좌측 영역의 일부를 ROI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우측 승객을 대상으로 감성경관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전방영상의 우측 영역의 일부를 ROI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경고 시스템으로부터 경고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실내 상단으로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경고신호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무드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실내 하단으로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무드모드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뮤직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이 소정의 구간을 왕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뮤직모드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은, 카메라가 차량의 측방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측방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감성조명이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향해 상기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주변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며,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승객이 도어 글라스를 통해 외부의 경관을 감성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배색표에 대한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전방영상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가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1 예시도,
도 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2 예시도,
도 5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3 예시도,
도 5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4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0), 설정부(20), 카메라(30), 감성조명(40), 액추에이터(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100)를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10)는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30)를 이용하여 주변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주변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며,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Light)을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에 조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각종 로직과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는 각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정보(RGB 값)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각 대표 색상별로 감성조명(40)의 색상을 매칭시킬 때, 감성조명(40)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색표를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 색상이 블루(blue)라면 그에 매칭되는 감성조명(40)의 색상은 스카이 블루(sky blue), 로열 블루(royal blue), 세룰리안 블루(cerulean blue), 미드나잇 블루(midnight blue), 아쿠아 블루(aqua blue), 마린 블루(marine blu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테이블은 기본적인 배색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제2 테이블은 파스텔톤 느낌을 주는 배색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제3 테이블은 강렬한 느낌을 주는 배색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저장부(10)는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감성조명(40)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테이블은 대표 색상에 대해 서로 다른 색상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테이블은 대표 색상인 블루에 매칭되는 감성조명(40)의 색상으로서 스카이 블루와 로열 블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테이블은 대표 색상인 블루에 매칭되는 감성조명(40)의 색상으로서 세룰리안 블루와 미드나잇 블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테이블은 대표 색상인 블루에 매칭되는 감성조명(40)의 색상으로서 아쿠아 블루와 마린 블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설정을 입력받는 모듈로서, 일례로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300)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20)는 사용자로부터 감성모드의 동작 여부(온/오프)를 설정받을 수 있다. 이러한 감성모드는 기본모드로서 안전한 주행상황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설정부(20)는 사용자로부터 무드모드(mood mode) 또는 뮤직모드(music mode)를 설정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무드모드는 차량의 실내 분위기를 온화하게 만들거나, 감성조명(40)이 실내 간접 조명으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뮤직모드는 AVN 시스템(3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에 맞춰 움직이는 광을 조사하는 모드로서, 운전자의 졸음운전은 물론 운전자의 기분을 환기시킬 수 있다.
카메라(30)는 차량의 주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30)는 차량의 전방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및 차량의 측방영상을 촬영하는 측방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방 카메라는 좌측방 카메라와 우측방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감성조명(40)은 제어부(60)의 제어하에 다양한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부로서, 일례로 RGB(Red Green Blue) LED(Light-Emitting Diode) 조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성조명(40)은 차량의 도어 트림 상단에 장착되어 도어 글라스를 향해 다양한 색상의 광을 조사하거나 차량의 실내를 향해 다양한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50)는 감성조명(40)을 회전시키는 모듈로서, 제어부(60)의 제어하에 감성조명(40)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50)는 스텝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어부(60)는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30)를 이용하여 주변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주변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며,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Light)을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에 조사하는 과정에서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차량정보 및 주행정보(일례로, 차속, 조향각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CAN FD(Controller Area Network with Flexible Data-rate),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이더넷(Ethern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감성모드를 기본모드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제어부(6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전방영상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일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전방영상(310)은 다양한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영상(310)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기 위해 제어부(60)는 전방영상(310) 내에 ROI(Region Of Interest)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때 ROI는 좌측 승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일례로 '320' 영역이 될 수 있고, 우측 승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일례로 '330'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전방영상(310)을 9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예를 설명하지만, 전방영상(310)을 구분하는 영역의 개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좌측 승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지만, 우측 승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ROI(320)를 일례로 제1 ROI(A 영역)과 제2 ROI(B 영역) 및 제3 ROI(C 영역)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는 차속을 고려한 조치로서, 예를 들어 제어부(60)는 차속이 느리면(일례로, 50kph 미만) A 영역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할 수 있고, 차속이 중간(일례로, 50kph 초과 80kph 미만)이면 A 영역과 B 영역이 통합된 영역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할 수 있으며, 차속이 빠르면(일례로, 80kph 초과 110kph 미만) A 영역과 B 영역 및 C 영역이 통합된 영역(320)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대표 색상은 해당 영역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색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60)는 차속이 느리면(일례로, 50kph 미만) A 영역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할 수 있고, 차속이 중간(일례로, 50kph 초과 80kph 미만)이면 B 영역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할 수 있으며, 차속이 빠르면(일례로, 80kph 초과 110kph 미만) C 영역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할 수 있다.
결국, 제어부(60)는 차속에 기초하여 전방영상(310) 내에서 ROI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차속에 기초하여 전방영상(310) 내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ROI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차속을 고려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차속과 내비게이션 경로를 모두 고려하여 전방영상(310) 내에서 ROI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의 프레임별로 검출한 대표 색상에 기초하여 감성조명(4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은 너무 잦은 변경을 유발하기 때문에, 제어부(60)는 소정 개수의 프레임을 대상으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색상을 대표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의 수는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차속이 빠를수록 프레임의 수는 적어질 수 있다.
제어부(60)는 차속에 기초하여 감성조명(40)의 조사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대표 색상이 검출된 영역이 도어 글라스를 통해 승객의 눈에 비치는 시점을 맞추기 위함이다. 즉, 승객이 도어 글라스를 통해 상기 대표 색상이 검출된 영역을 조망하는 시점에, 제어부(60)는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4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감성경관을 제공하기 위해, 상술한 방식으로 검출한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40)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는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가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성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승객이 도어 글라스를 통해 자연 그대로의 경관을 조망하게 되지만, 감성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승객이 도어 글라스를 통해 감성조명(40)의 색상과 중첩된 경관을 조망할 수 있게 되어 승객에게 감성적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측방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측방영상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4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측방영상의 전체 영역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제어부(60)가 액추에이터(50)를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1 예시도이다.
도 5a에서, '510'은 도어를 나타내고, '520'은 도어 글라스를 나타내며, '530'은 도어 트림의 상단 구조물을 나타낸다. 감성조명(40)은 도어 트림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설정부(20)를 통해 사용자가 감성모드를 설정한 경우, 또는 제어부(60)가 기본모드(감성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60)는 감성조명(4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향하도록 액추에이터(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2 예시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 시스템(200)으로부터 경고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60)는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감성조명(40)의 조사 방향이 차량의 실내 상단을 향하도록 액추에이터(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경고색(일례로, 적색 또는 황색)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4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시스템(200)은 긴급 제동 시스템(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전방 충돌 경고 시스템(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FCW), 적응 순항제어 시스템(Adaptive Cruise Control, ACC),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사각지대 감지장치(Blind Spot Detection, BSD), 후방충돌 경고 시스템(Rear-end Collision Warning System, RCW), 자동 주차 보조 시스템(Smart Parking Assist System, SPAS),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3 예시도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부(20)를 통해 사용자가 무드모드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60)는 감성조명(40)의 조사 방향이 차량의 실내 하단을 향하도록 액추에이터(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색상(일례로, 연한 블루, 연한 오렌지 등)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외부의 빛이 강한 상황(일례로, 낮)에서는 시인성이 높은 색상(일례로, 배색표상에서 상기 외부의 빛과 이웃한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40)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감성모드와 연계하여 무드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60)는 감성모드에서 언급한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광을 차량의 실내 하단으로 조사하도록 감성조명(40)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에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4 예시도이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부(20)를 통해 사용자가 뮤직모드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60)는 AVN 시스템(300)을 통해 출력되는 뮤직에 맞춰 감성조명(40)의 조사 방향이 소정의 구간을 왕복하도록 액추에이터(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복수의 화려한 색상(일례로, Red, Green, Blue)으로 점멸하도록 감성조명(4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카메라(30)가 차량의 전방영상을 촬영한다(601).
이후, 제어부(60)가 상기 전방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한다(602).
이후, 제어부(60)가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40)을 제어한다(603).
이후, 감성조명(40)이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향해 상기 광을 조사한다(604).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카메라(30)가 차량의 측방영상을 촬영한다(701).
이후, 제어부(60)가 상기 측방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한다(702).
이후, 제어부(60)가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40)을 제어한다(703).
이후, 감성조명(40)이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향해 상기 광을 조사한다(704).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시스템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저장부
20: 설정부
30: 카메라
40: 감성조명
50: 액추에이터
60: 제어부

Claims (19)

  1. 차량의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감성조명;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고,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속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정차중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변영상 중 측방영상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변영상 중 전방영상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영상 내 ROI(Region Of Interest)를 결정하고, 상기 ROI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OI 내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색상을 대표 색상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좌측 승객을 대상으로 감성경관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전방영상의 좌측 영역의 일부를 ROI로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우측 승객을 대상으로 감성경관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전방영상의 우측 영역의 일부를 ROI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동작모드를 설정받는 설정부; 및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경고 시스템으로부터 경고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이 상기 차량의 실내 상단을 향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경고신호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를 통해 무드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이 상기 차량의 실내 하단을 향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무드모드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를 통해 뮤직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이 소정의 구간을 왕복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뮤직모드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13. 카메라가 차량의 전방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전방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감성조명이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향해 상기 광을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색상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영상 내 ROI(Region Of Interest)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OI 내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색상을 대표 색상으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RO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좌측 승객을 대상으로 감성경관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전방영상의 좌측 영역의 일부를 ROI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우측 승객을 대상으로 감성경관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전방영상의 우측 영역의 일부를 ROI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경고 시스템으로부터 경고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실내 상단으로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경고신호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무드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실내 하단으로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무드모드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뮤직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이 소정의 구간을 왕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뮤직모드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
  18. 카메라가 차량의 측방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측방영상 내에서 대표 색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표 색상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감성조명이 상기 차량의 도어 글라스를 향해 상기 광을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경고 시스템으로부터 경고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실내 상단으로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경고신호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무드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실내 하단으로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무드모드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뮤직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성조명의 조사 방향이 소정의 구간을 왕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뮤직모드에 상응하는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성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방법.
KR1020200118605A 2020-09-15 2020-09-15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36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605A KR20220036258A (ko) 2020-09-15 2020-09-15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202110743038.8A CN114179715A (zh) 2020-09-15 2021-06-30 用于控制车辆的情感化照明的装置和方法
US17/366,536 US11603040B2 (en) 2020-09-15 2021-07-02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otional lighting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605A KR20220036258A (ko) 2020-09-15 2020-09-15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258A true KR20220036258A (ko) 2022-03-22

Family

ID=8053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605A KR20220036258A (ko) 2020-09-15 2020-09-15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03040B2 (ko)
KR (1) KR20220036258A (ko)
CN (1) CN1141797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73055A (zh) * 2022-03-25 2022-08-30 成都臻识科技发展有限公司 车辆运动状态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483B2 (en) * 2006-11-10 2010-09-21 Federal-Mogul World Wide, Inc. Transitional lighting system for vehicle interior
CN102714710B (zh) * 2009-12-07 2015-03-04 歌乐牌株式会社 车辆周边图像显示系统
US10742475B2 (en) * 2012-12-05 2020-08-11 Origin Wireless,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bject tracking sensing using broadcasting
US10614329B2 (en) * 2014-06-13 2020-04-07 B/E Aerospac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ttitude reference for vehicle passengers
US10558877B2 (en) * 2014-06-13 2020-02-11 B/E Aerospac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ttitude reference for vehicle passengers
US20160357262A1 (en) * 2015-06-05 2016-12-08 Arafat M.A. ANSARI Smart vehicle
US10137831B1 (en) * 2017-07-19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l assembly
US10845628B2 (en) * 2018-11-09 2020-11-24 General Motors Llc System and method to dim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80884A1 (en) 2022-03-17
CN114179715A (zh) 2022-03-15
US11603040B2 (en)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3743B2 (ja) 明滅する照明された物体を検出するのにフィルタおよび露出時間を使用するカメラ・システム
CN110682856B (zh) 车辆
KR101768500B1 (ko) 운전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17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rear vehicle light
US10549687B2 (en) Lighting device having dynamic lighting effects for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US20130182111A1 (en) Vehicle driving environment recognition apparatus
CN109424922A (zh) 车辆用灯具、车辆系统及灯具单元、车辆用照明系统
JP2006025140A (ja) 車両の車室照明装置
JP2014525067A (ja) 車両の周辺区域にある物体を認識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7339963B2 (ja) 車両用ランプシステム
KR102581750B1 (ko) 자동차용 라이트 시스템
JP2009090844A (ja) 照明装置
US20190320106A1 (en) Vehicle illumination system and vehicle
US10933802B2 (en) Vehicle illumination system and vehicle
US20170113604A1 (en) Illumination apparatus for vehicle
JP2018090001A (ja) ポジション照明装置および車両
US11273755B2 (en) Light output apparatus for vehicle, light outpu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9067083A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111261A (ja) 視覚支援装置
CN106295494A (zh) 车外环境识别装置
CN103702865A (zh) 车辆配光控制装置和车辆配光控制方法
KR20220036258A (ko) 차량의 감성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1359788B2 (en) Head lamp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694785B1 (ko)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KR20230001925A (ko) 악천후에서의 차량의 주행차선 지원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