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158A - 카메라 모듈 및 그 자동 초점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그 자동 초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158A
KR20220036158A KR1020200118412A KR20200118412A KR20220036158A KR 20220036158 A KR20220036158 A KR 20220036158A KR 1020200118412 A KR1020200118412 A KR 1020200118412A KR 20200118412 A KR20200118412 A KR 20200118412A KR 20220036158 A KR20220036158 A KR 20220036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linear member
diameter portion
outer diameter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898B1 (ko
Inventor
유정석
Original Assignee
유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석 filed Critical 유정석
Priority to KR102020011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8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04N5/2252
    • H04N5/2254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에 있어서, 제1직경의 외경부를 갖고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렌즈 홀더;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에 근접가능하게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선형 부재; 및 상기 렌즈 홀더와 상기 선형 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와 밀착되는 내경부와 상기 선형 부재와 밀착되는 제2직경의 외경부를 갖고, 상기 선형 부재의 둘레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그 자동 초점 장치{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초점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자동 초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가 고화질로 개발됨에 따라 자동초점(auto focusing), 손 떨림 보정(Image Stabilization), 확대/축소(Zooming) 등의 기능을 보다 빠르고 큰 힘으로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auto focusing apparatus of camera module)가 필요해지고 있다.
카메라 모듈 중 하나로, VCM(Voice Coil Motor) 방식의 액추에이터(actuator)를 이용하는 경우, 코일에 전류를 가해 코일과 자석 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를 구동하는 방식이다. VCM 액추에이터의 경우, 정밀하게 구동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적합 하였으나, 스마트폰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고, 고해상도의 화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 고화질의 이미지센서가 개발되면서 렌즈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있어 현재 VCM 액추에이터는 스마트폰에 내장됨에 있어 한계가 존재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빠르고 큰 힘으로 렌즈를 구동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자동 초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에 있어서, 제1직경의 외경부를 갖고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렌즈 홀더;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에 근접가능하게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선형 부재; 및 상기 렌즈 홀더와 상기 선형 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와 밀착되는 내경부와 상기 선형 부재와 밀착되는 제2직경의 외경부를 갖고, 상기 선형 부재의 둘레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를 착탈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렌즈 홀더의 일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선형 부재의 둘레 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광축 방향으로 허용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상기 선형 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선형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선형 이동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에 있어서,상기 렌즈 홀더를 착탈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렌즈 홀더의 일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선형 부재의 둘레 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광축 방향으로 허용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상기 선형 부재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부재는 형상 기억 합금일 수 있다.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의 외측으로 광축으로부터 평행하게 상기 렌즈 홀더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직경의 외경부;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내경부로부터 더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로부터 상기 제3직경의 외경부에 이르는 단차부와 마주하는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빠르고 큰 힘으로 렌즈가 장착된 렌즈 홀더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가 장착된 렌즈 홀더가 광축에 어긋나지 않고 정교하게 수직 이동할 수 있어, 정밀한 자동 초점 기능이 수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에 의해 렌즈 홀더의 이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는 렌즈 홀더(110)를 포함한다.
렌즈 홀더(110)는 개구부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렌즈가 설치된 렌즈 배럴을 장착할 수 있는 원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의 크기는 렌즈 배럴의 사이즈 등에 맞추어 변형이 가능하다. 렌즈 홀더(110)는 카메라 렌즈가 장착된 상태로 광축(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카메라 초점을 맞춘다. 본 발명에서 광축(10)은 개구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으로 렌즈 홀더(110)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를 투과하는 빛의 경로를 의미하며, 장착되는 렌즈의 광축과 동일하다. 렌즈가 장착된 렌즈 홀더(110)가 광축(10)을 따라 수직 이동하면서 카메라 렌즈의 초점이 맞춰지는 것인 바, 렌즈 홀더(110)가 광축(10)에 어긋나지 않고 정교하게 수직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는 선형 부재(120)를 포함한다.
선형 부재(120)는 렌즈 홀더(110)와 이격되면서도 렌즈 홀더(110)의 원 틀 형상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호형 또는 환형으로 배치된다. 선형 부재(120)는 그 일단(121)은 고정되고, 타단(122)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형 부재(120)가 형성하는 루프 영역이 선형 부재(12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축소 또는 확장된다.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는 탄성 부재(130)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130)는 렌즈 홀더(110)와 선형 부재(1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렌즈 홀더(100)의 외경부 거의 전체에 걸쳐 배치되고, 탄성 부재(130)의 내경부의 일부는 렌즈 홀더(110)와, 외경부의 일부는 선형 부재(120)와 밀착되어 있다. 이 때, 선형 부재(120)를 탄성 부재(130)의 둘레를 따라 배치시키기 위해, 탄성 부재(130)의 외경부에는 선형 부재(120)가 끼워질 만큼의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는 선형 부재(120)의 타단(122)을 이동시킴에 따라 탄성 부재(1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선형 부재(120)가 탄성 부재(130)를 누르고, 탄성 부재(130)가 눌러지면서 탄성 부재(130)와 밀착된 렌즈 홀더(110)를 밀어 올리게 된다.
반대로, 선형 부재(120)의 타단(122)을 제자리로 이동시키면, 탄성 부재(130)를 누르는 힘이 줄어들고, 탄성 부재(130) 또한 제자리로 돌아가면 렌즈 홀더(110)를 밀어 올리던 힘이 줄어들어 렌즈 홀더(110)를 제자리로 돌아가게 한다.
이와 같이, 선형 부재(120)의 위치 이동에 따른 작용력에 의해, 탄성 부재(130), 렌즈 홀더(110)가 순차적으로 힘을 받아 렌즈 홀더(110)를 광축(10)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게 한다.
탄성 부재(130)의 외경부에 홈이 존재하여 선형 부재(120)가 끼워진 경우, 선형 부재(120)가 이동하면서 탄성 부재(130)의 둘레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탄성 부재(130)를 누를 수 있고, 따라서 정밀하게 렌즈 홀더(130)을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에 의해 렌즈 홀더(110)의 이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의 동작원리를 자세히 서술한다.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40) 내에 장착된다. 케이스(140)는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는 제품에 맞게 크기 및 형상 변형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되어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렌즈 홀더(110)는 제1직경(111a)의 외경부(111)를 가진다.
렌즈 홀더(110)는 제1직경(111a)의 외경부(111)의 외측으로 광축으로부터 평행하게 렌즈 홀더(110)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직경(111b)의 외경부(112)를 가진다. 이 때, 외경부(112)는 광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같은 간격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직경(111a)의 외경부(111)로부터 제3직경(111b)의 외경부(112)에 이르는 돌출 부분을 단차부(113)라 한다.
선형 부재(120)는 렌즈 홀더(110)의 외경부(111)와 이격되면서도 외경부(111)의 원 틀 형상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호형 또는 환형으로 배치된다.
이 때, 선형 부재(120)는 렌즈 홀더(110)와의 사이 이격 공간에 배치된 탄성 부재(130)에 형성된 홈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130)는 렌즈 홀더(110)와 선형 부재(1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고, 렌즈 홀더(110)의 제1직경(111a)의 외경부(111)와 밀착되는 내경부(131)와, 선형 부재(120)와 밀착되는 제2직경(132a)의 외경부(132)를 갖는다. 탄성 부재(130)는 내경부(131)로부터 더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단차부(113)와 마주하는 신축부(133)를 더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선형 부재(120)의 타단(122)이 선형 부재(120)가 이루는 루프 영역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부재(130)의 내경부(131)는 렌즈 홀더(110)의 외경부(111)에 더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고, 탄성 부재(130)의 신축부(133)는 렌즈 홀더(110)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 단차부(113)를 아래 방향에서 위로 밀게 된다. 따라서, 선형 부재(120)의 둘레 방향 이동에 따라 렌즈 홀더(110)를 광축(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렌즈 홀더(110)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50)를 포함한다. 지지부(150)는 렌즈 홀더(110)의 일 영역 내에 배치되고, 선형 부재(120)의 둘레 방향 이동에 따른 렌즈 홀더(110)의 이동을 광축 방향으로 허용하여 지지한다. 지지부(150)는 원형이나 각형의 막대 형상 또는 통 형상을 갖고, 케이스(140)의 렌즈 홀더(110) 설치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다.
렌즈 홀더(110)는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때 수평면 상에서 전후좌우로 흔들리게 되면, 즉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렌즈 홀더(110)는 광축(10)에 어긋나면서 수직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렌즈 홀더(110)가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렌즈 홀더(110)가 광축(10)에 어긋나지 않고, 정밀하게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부(150)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이와 달리 렌즈 홀더(110)의 안정적인 수직 구동을 지지하기 위해서 그 개수와 배치, 위치 등에는 제한이 없다. 이외에도 지지부(150)의 외면과 그에 대응하여 지지부(150)을 수용하는 렌즈 홀더(100)의 수용홈 내면 각각에는 광축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요홈 및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선형 부재(120)는 그 일단(121)은 고정되고, 타단(122)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때, 선형 부재의 일단(121)은 케이스(140)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16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122)은 케이스(140)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이동부(170)에 의해 지지된다.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는 액추에이터(18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80)는 케이스(140)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렌즈 무게보다 무거운 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이동부(170)를 선형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180)는 압전 방식의 액추에이터(piezo actuator)로써, 압전 방식 액추에이터는 렌즈의 무게를 견디는 힘이 크고, 긴 스트로크(stroke)를 요구하는 경우에도 자동초점(auto focusing), 손 떨림 보정(Image Stabilization), 확대/축소(Zooming) 등의 기능 폭넓게 가능하게 하는 바, 본 발명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압전 방식의 액추에이터는 압전 세라믹과 같은 압전체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전기가 생성되는 압전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압전효과를 역으로 이용해 전원을 인가할 시 전체 변위량이 제어되는 기술을 이용한다.
액추에이터(180)는 초음파 영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구동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진동하게 되고, 이동부(170)가 그 진동에 의해 선형운동하게 된다. 액추에이터(180)는 위치 제어 센서인 홀센서(190)에 의해 그 변위량이 제어된다. 홀센서(190)는 홀센서 마그넷(191)이 일으키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센서이다. 홀센서(190)는 액추에이터(18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변위량에 대해 피드백을 하여 위치 제어를 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80)가 동작하여 이동부(170)를 ①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부(170)에 의해 지지되는 선형 부재(120)의 타단(122)이 선형 부재(120)가 형성하는 루프 영역의 둘레가 좁아지도록(혹은 제1직경(111a)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부(170)와 함께 선형 이동하게 된다.
즉, ①번 방향으로 선형 부재(120)의 타단(122)이 이동하면, 선형 부재(120)는 렌즈 홀더(110)의 외경부(111)에 근접가능하게 제1직경(111a)의 외경부(1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선형 부재(120)는 탄성 부재(130)의 형상을 변형시키고, 변형된 탄성 부재(130)가 렌즈 홀더(110)의 외경부(111)에 밀착되면서, 탄성 부재(130)의 신축부(133)가 렌즈 홀더(110)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 단차부(113)를 아래 방향에서 위로 밀게 된다.
반대로, 다시 액추에이터(180)가 선형 운동을 하면서 이동부(170)를 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부(170)에 의해 지지되는 선형 부재(120)의 타단(122)이 선형 부재(120)가 형성하는 루프 영역의 둘레가 넓어지도록(혹은 제1직경(111a)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부(170)와 함께 선형 이동하게 된다.
즉, ②번 방향으로 선형 부재(120)의 타단(122)이 이동하면, 선형 부재(120)는 렌즈 홀더(110)의 외경부(111)와 이격되게 제1직경(111a)의 외경부(1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130)의 형상이 원래대로 복원되면서 렌즈 홀더(110)의 외경부(111)에 밀착되었던 탄성 부재(130)가 제자리로 돌아가면서, 렌즈 홀더(110)는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지지부(150)는 렌즈 홀더(110)의 상승 및 하강을 지지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80)의 속도나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제어를 하면 렌즈 홀더(110)의 정확한 위치 제어 및 정밀한 자동 초점 제어가 가능하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는 도 1에서 설명한 렌즈 홀더(110), 탄성 부재(130)를 그대로 차용한다.
다만, 도 1의 선형 부재(120)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선형 부재(520)는 형상 기억 합금(SMA; Shape Memory Alloey)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선형 부재(520)는 반응 온도에서 수축하는 형상 기억 합금의 특성에 기초하여 수축한다.
선형 부재(520)는 렌즈 홀더(110)의 원 틀 형상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호형 또는 환형으로 배치되고, 선형 부재(520)가 형성하는 루프 영역은 선형 부재(520)의 변형에 대응하여 축소 또는 확장된다.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는 선형 부재(520)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도면에서 선형 부재(520)는 개루프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폐루프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이 경우 고정부(161)가 선형 부재(520)의 일 영역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부(530)와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100)는 선형 부재(520)의 양단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530)를 포함한다. 전원부(530)는 선형 부재(520)에 공급하는 전류 공급량을 조절하여 선형 부재(520)의 신축 정도를 조절한다.
선형 부재(520)는 통상 실온에서 정상 길이로 존재하고, 전원부(530)로부터 전류가 공급되어 선형 부재(520)가 가열되면 반응 온도 초과시 온도에 따른 길이로 수축한다. 또한, 전원부(530)로부터 전류가 차단되고 원래 길이로 신장된다. 이 때, 빠른 신장을 위해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530)는 홀센서를 이용하여 선형 부재(520)의 변위량 조절을 위한 전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선형 부재(520)가 수축하는 경우에는, 그 루프 영역이 축소하면서, 탄성 부재(130)를 루프 영역의 중심 방향으로 밀어 탄성 부재(130)의 내경부(131)는 렌즈 홀더(110)의 외경부(111)에 밀착되고, 렌즈 홀더(110)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 단차부(113)를 아래 방향에서 위로 밀게 된다. 따라서, 선형 부재(520)의 변형에 따라 렌즈 홀더(110)를 광축(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렌즈 홀더(11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1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
110: 렌즈 홀더
120: 선형 부재
130: 탄성 부재
140: 케이스
150: 지지부
160: 고정부
170: 이동부
180: 액추에이터

Claims (5)

  1.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에 있어서,
    제1직경의 외경부를 갖고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렌즈 홀더;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에 근접가능하게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선형 부재; 및
    상기 렌즈 홀더와 상기 선형 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와 밀착되는 내경부와 상기 선형 부재와 밀착되는 제2직경의 외경부를 갖고, 상기 선형 부재의 둘레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를 착탈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렌즈 홀더의 일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선형 부재의 둘레 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광축 방향으로 허용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상기 선형 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선형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선형 이동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를 착탈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렌즈 홀더의 일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선형 부재의 둘레 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광축 방향으로 허용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상기 선형 부재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부재는 형상 기억 합금인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의 외측으로 광축으로부터 평행하게 상기 렌즈 홀더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직경의 외경부;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내경부로부터 더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직경의 외경부로부터 상기 제3직경의 외경부에 이르는 단차부와 마주하는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장치.
  5. 제4항의 자동 초점 장치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118412A 2020-09-15 2020-09-15 카메라 모듈 및 그 자동 초점 장치 KR102398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412A KR102398898B1 (ko) 2020-09-15 2020-09-15 카메라 모듈 및 그 자동 초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412A KR102398898B1 (ko) 2020-09-15 2020-09-15 카메라 모듈 및 그 자동 초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158A true KR20220036158A (ko) 2022-03-22
KR102398898B1 KR102398898B1 (ko) 2022-05-17

Family

ID=8098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412A KR102398898B1 (ko) 2020-09-15 2020-09-15 카메라 모듈 및 그 자동 초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8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0299A (ko) * 2010-07-26 2012-02-03 양광섭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KR20150096959A (ko) * 2014-02-17 2015-08-26 크루셜텍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60032070A (ko) * 2016-03-08 2016-03-23 크루셜텍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2018018083A (ja) * 2016-07-29 2018-02-01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KR20200002024A (ko) * 2017-05-04 2020-01-07 액추에이터 솔루션스 게엠베하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작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0299A (ko) * 2010-07-26 2012-02-03 양광섭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KR20150096959A (ko) * 2014-02-17 2015-08-26 크루셜텍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60032070A (ko) * 2016-03-08 2016-03-23 크루셜텍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2018018083A (ja) * 2016-07-29 2018-02-01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KR20200002024A (ko) * 2017-05-04 2020-01-07 액추에이터 솔루션스 게엠베하 카메라 모듈 자동 초점 작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898B1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048B2 (en) Camera module
EP2350456B1 (en)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EP2394055B1 (en)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US7869150B2 (en) Actuator,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actuator
KR20100105547A (ko) 형상 기억 합금 구동 장치
US8040623B2 (en) Compact auto focus lens module with piezoelectric actuator
KR101068528B1 (ko) 카메라모듈 및 그 제어방법
JP2006209136A (ja) 可変焦点ミラー及びこれを応用するカメラモジュール
CN110708452A (zh) 一种实现摄像头自动对焦及防抖的驱动装置
CN110673297A (zh) 微型光学镜头自动对焦及防抖的驱动装置
CN110933277A (zh) 液态镜头对焦和防抖机构、照相模块和电子设备
JP201320045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20036158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자동 초점 장치
JP2009127578A (ja) 形状記憶合金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9115982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モジュールに適用するレンズ変位機構
JP2007181261A (ja) 駆動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10041947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110097551A (ko) 렌즈 구동장치
CN210578837U (zh) 一种实现摄像头自动对焦及防抖的驱动装置
JP2012242499A (ja) ズーム鏡枠、撮像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
US20100220405A1 (en) Driving method of lens actuator
KR101460263B1 (ko) 카메라 모듈
CN114127607A (zh) 用于摄像头模块的线性执行器
CN210986190U (zh) 液态镜头对焦和防抖机构、照相模块和电子设备
CN114885088B (zh) 摄像模组及其光学防抖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