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699A -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 Google Patents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699A
KR20220035699A KR1020200117757A KR20200117757A KR20220035699A KR 20220035699 A KR20220035699 A KR 20220035699A KR 1020200117757 A KR1020200117757 A KR 1020200117757A KR 20200117757 A KR20200117757 A KR 20200117757A KR 20220035699 A KR20220035699 A KR 20220035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assembled
assembly
wooden bridg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995B1 (ko
Inventor
고재용
Original Assignee
고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용 filed Critical 고재용
Priority to KR102020011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9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10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교로드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의 조립을 무피스로 조립구성하여 피스 사용시 발생하는 부식을 근본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데크와 데크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데크 상에 발생하는 이물질이 데크와 데크 사이의 틈새로 낙진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데크에 발생한 빗물을 부가 형성되어진 배수로로 모아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교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의 조립시 피스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함과 더불어 데크상부에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빗물이 낙하되어지지 않도록 데크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배수로를 부가하여 데크 위에 발생한 빗물을 모아 배수 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스틸인 H형강이 외부로 보여져 야기되는 이질감을 해소한 것이다.

Description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A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wooden bridge including drainage function}
본 발명은 환경친화적이어서 수변공원의 둘레길을 조성하거나, 도심지 녹지공간인 그린공원 등에 시공 사용되어지는 목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교의 로드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의 조립을 무피스로 조립구성하여 피스 사용시 발생하는 부식을 근본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데크와 데크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데크 상에 발생하는 이물질이 데크와 데크 사이의 틈새로 낙하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데크에 발생한 빗물을 부가 형성되어진 배수로로 모아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은 현대인들의 여가 생활의 다양화로 이어지고 있고, 여가생활중 자연에서의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둔치나 고수부지 같은 수변지역 내지 수변공원 그리고 글린공원 등에 보행로를 시공하게 되는데, 보행로가 자연과 잘 어울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자연친화적인 목교를 주로 시공하고 있다.
상기 목교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시공되어지고, 목교의 로드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은 체결부재인 피스(나사못)를 매개로 조립 구성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피스를 이용하여 구성부품들을 체결 고정할 경우, 우수등에 의해 피스의 부식이 발생할 경우 목교만이 가지고 있는 고전적인 아름다움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시공 작업에 필요한 인력이 많이 필요로 함과 동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도 많이 필요하여 시공비용이 증가되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종래의 목교는 목교로드의 상판을 구성하는 데크의 시공이 측단면이 단순하게 면접촉되어진 상태로 배열되어지는 구조로써, 그 일실시예로 실용신안등록 제20-0389801호 "바닥재용 조립데크"를 예로 들을 수 있고, 상기 선등록고안에서 알 수 있듯이 바닥패널(데크)의 길이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지는 패널결합부재에 의해 연결 조립 시공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선등록고안에서와 같이 바닥패널(데크)상에 패널결합부재가 등격을 이루며 위치하여 짐에 따라 단위 데크들이 서로 마주하는 측단면 사이에 틈이 기본적으로 존재함과 동시에 계절에 따라 목교로드에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데크와 데크 사이의 간견이 변화되어서 틈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데크와 데크 사이에 틈이 존재할 경우, 상기 틈 사이로 보행자에 의해 발생하는 흙이 낙하되어 목교 아래를 지나는 사람에게 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우천시에는 데크와 데크 사이의 틈으로 빗물이 낙수되어 목교 아래를 지나는 사람이 피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종래 목교는 목교로드를 받치고 있는 H형강부분이 노출되어져 있어 미관상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연친화적이지 못해 이질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예시한 종래 목교를 구성하는 목교로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목교로드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의 조립시 피스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함과 더불어 데크상부에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빗물이 낙하되어지지 않도록 데크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배수로를 부가하여 데크 위에 발생한 빗물을 모아 배수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목교로드를 구성하는 멍에의 상부로 조립되어지는 장선을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조립함과 동시에 상기 장선위로 나란하게 배하여지는 데크는 배수로의 연장벽에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장선에 조립되어진 상기 배수로의 수직판넬로 조립되어지는 물림고정틀로 고정 조립함에 따라 피스 사용시 발생하는 부식(녹물)을 해소하여 자연친화적인 이미지가 손상되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목교로드를 무피스 조립함에 따라 조립 생산성의 향상과 더불어 조립 시공에 따른 코스트를 현저하게 낮추었을 뿐만 아니라, 목교로드의 상판을 구성하는 데크와 데크가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을 매개로 연결되어져 데크에 발생하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은 물론 빗물이 데크와 데크 사이의 틈을 통해 낙하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데크와 데크를 연결해주는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의 조립편이 데크의 연결홈에 깊숙하게 조립위치하여 계절변화에 따른 수축변위의 발생으로 데크와 데크 사이에 계절에 따라 틈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함과 더불어 우기시 데크의 상부로 발생하는 빗물을 모아 배수할 수 있는 배수로를 부가 형성함에 따라 빗물의 무분별 한 낙수의 예방은 물론, 우수의 안정적인 배수로 수자원 관리에 이바지할 수 있는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교로드를 받치고 있는 H형강이 외부로 노출되어지는 것을 해소하여 스틸 노출로 야기될 수 있는 이질감을 해소함은 물론, 자연친화적인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H형강의 받침판으로 위치하는 멍에 상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지는 장선이 고정클립으로 고정되고, 상기 장선의 길이를 따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하여지는 데크는 장선중 멍에의 양단으로 위치하는 장선과 조립되어지는 배수로의 상부로 조립되어지는 물림고정틀의 압박에 의해 고정 조립되어되어서 된 목교로드부와;
상기 목교로드부를 받치고 있는 한쌍의 H형강을 가로질러 조립되어 있는 전산볼트가 요입부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 관통되어서 나사식 체결되는 고정너트에 의해 외장프레임이 고정되어지되, 상기 외장프레임의 평탄면 부위에는 외장데크의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조립요홈이 끼워지는 고리돌기가 상기 외장데크의 상하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장프레임의 고리돌기에는 상기 고리돌기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조립요홈이 상,하단면에 형성되어 외장데크가 조립 형성되어며, 상기 외장데크의 조립요홈 상에는 양단에 지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중앙에는 상기 외장프레임의 고리돌기 밑면으로 형성된 안착면에 위치하는 탄성반발력부로 이루어진 활 형상의 판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외장프레임에 대하여 외장데크가 안정되게 조립 구성되어서 된 측벽마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 기능을 포함한 목교로드는 H형강에 위치하여지되, 그 폭이 H형강의 받침판의 폭보다 넓은 폭을 이루어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클립고정요철홈이 상기 H형강의 받침판을 벗어나 위치하는 멍에와;
상기 멍에의 상부로 위치하여 상기 멍에의 고정클립고정요철홈에 위치하여지는 고정클립의 걸림돌기가 조립되어지는 요철홈이 양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다수의 데크가 연속반복 배하여지는 장선과;
상기 멍에의 상부로 위치하여진 장선중 양쪽 사이드로 위치하는 장선의 요철홈으로 조립되어지는 걸림돌기가 수로로부터 상향으로 직각 형성되어진 연장벽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벽을 포함하는 수로의 반대쪽에는 데크를 고정시키는 물림고정틀이 조립되어지는 수직판넬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로와;
상기 장선의 요철홈에 연장벽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조립되어 있는 배수로의 수직판넬의 상부로 조립요부가 끼워져서 수직판의 하부에 데크의 상부를 압박 고정하는 데크누름판이 절곡 형성되어 있는 물림고정틀과;
상기 상기 장선의 상부로 나란하게 배하여져 상기 물림고정틀에 의해 압박 고정되어지고,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를 매개로 연결되어지는 데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클립은 편형의 수직편의 상부에 장선의 요철홈에 조립되어지는 걸림돌기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편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멍에의 고정클립고정요철홈에 점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단부쪽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걸림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데크는 길이 방향의 양측면에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의 조립편이 끼워지는 연결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물림고정틀은 단면 형상이 기억자형으로 하부에 데크누름판이 형성되어 있고, 배수로의 수직판넬 측면에 형성된 일방향톱니래치에 대하여 걸림되어지는 일방향톱니래치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의 말단에서 유자형밴딩되어 상기 배수로의 수직판넬 상부로 끼워지는 조립요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조립요부와 인접한 수직판과 배수로의 수직판넬에 조립볼트가 관통되어지는 볼트체결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데크의 연결홈에 이물질및누방지클립의 조립편이 깊숙히 조립되어져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목교로드의 신축으로 데크와 데크 사이의 틈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는, 목교로드(110)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의 조립시 피스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함과 더불어 데크(140)상부에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빗물이 낙하되어지지 않도록 데크(140)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배수로(160)를 부가하여 데크(140) 위에 발생한 빗물을 모아 배수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첫째, 목교로드(110)를 구성하는 멍에(120)의 상부로 조립되어지는 장선(130)을 고정클립(150)을 이용하여 조립함과 동시에 상기 장선(130)위로 나란하게 배하여지는 데크(140)는 배수로(161)의 연장벽(162)에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장선(130)에 조립되어진 상기 배수로의 수직판넬(164)로 조립되어지는 물림고정틀 (170)로 고정 조립함에 따라 피스 사용시 발생하는 부식(녹물)을 해소하여 자연친화적인 이미지가 손상되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목교로드부(100)를 무피스 조립함에 따라 조립 생산성의 향상과 더불어 조립 시공에 따른 코스트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둘째, 목교로드(110)의 상판을 구성하는 데크(140)와 데크(140)가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을 매개로 연결되어져 데크(140)에 발생하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은 물론 빗물이 데크(140)와 데크(140) 사이의 틈을 통해 낙하되어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셋째, 데크(140)와 데크(140)를 연결해주는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180)의 조립편(181)이 데크(140)의 연결홈(141)에 깊숙하게 조립위치하여 계절변화에 따른 수축변위의 발생으로 데크(140)와 데크(140) 사이에 계절에 따라 틈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였고;
넷째, 우기시 데크(140)의 상부로 발생하는 빗물을 모아 배수할 수 있는 배수로(160)를 부가 형성함에 따라 빗물의 무분별 한 낙수의 예방은 물론, 우수의 안정적인 배수로 수자원 관리에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며;
다셋째, 목교로드를 받치고 있는 H형강이 외부로 노출되어지는 것을 해소하여 스틸 노출로 야기될 수 있는 이질감을 해소함은 물론, 자연친화적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를 제공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정면도.
도 3은 도2의 "A"부분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에 난간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장선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멍에와 장선을 결합하는 고정클립.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데크 결합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배수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데크를 조립 고정시키는 물림고정틀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배수로 수직판넬에 물림고정틀이 이물림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측면마감부를 발췌한 분리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측면마감부를 구성하는 외장프레임과 외장데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발췌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의 측면마감부를 구성하는 판스프링의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는, 데크로드부(100)와, 상기 데크로드부(100)를 받치고 있는 H형강(110)의 측방향으로 구성되어지는 측면마감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크로부드(100)는 H형강(110) 상부로 위치하는 멍에(120)와, 상기 멍에(120)의 상부로 얹혀지는 장선(130)과, 상기 장선(130)에 나란하게 시공되어지는 데크(1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무피스 목교로드부(100)는 H형강(110)의 받침판(111)으로 위치하는 멍에(120) 상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지는 장선(130)이 고정클립(150)으로 고정되고, 상기 장선(130)의 길이를 따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하여지는 데크(140)는 장선(130)중 멍에(120)의 양단으로 위치하는 장선(130)과 조립되어지는 배수로(160)의 상부로 조립되어지는 물림고정틀(170)의 압박에 의해 고정 조립되어진다.
상기 H형강(110)의 받침판(111)으로 얹혀지는 멍에(120)의 저면에는 고정클립고정요철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클립고정요철홈(121)으로 고정클립(150)의 걸림편(153)이 위치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멍에(120)의 상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을 이루며 얹혀지는 장선(130)은, 멍에(120)의 고정클립고정요철홈(121)에 걸림편(153)이 위치하여지는 고정클립(150)의 걸림돌기(151)가 조립되어지는 요철홈(131)이 양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다수의 데크(140)가 연속반복 배열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로(160)는 장선(130)중 양쪽 사이드로 위치하는 장선(130)의 요철홈(131)으로 조립되어지는 걸림돌기(162)가 수로(161)로부터 상향으로 직각 형성되어진 연장벽(163)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벽(163)을 포함하는 수로(161)의 반대쪽에는 데크(140)를 고정시키는 물림고정틀(170)이 조립되어지는 수직판넬(16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로 조립되어지는 물림고정틀(170)은 장선(130)의 요철홈(131)에 연장벽(163)에 형성된 걸림돌기(162)가 조립되어 있는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의 상부로 조립요부(174)가 끼워져서 수직판(172)의 하부에 데크(140)의 상부를 압박 고정하는 데크누름판(171)이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물림고정틀(170)에 의해 압박 고정되어지는 데크(140)는 장선(130)의 상부로 나란하게 배하여지고,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180)을 매개로 연결되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클립(150)은 수직편(152)의 상부에 장선(130)의 요철홈(131)에 조립되어지는 걸림돌기(151)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편(152)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151)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멍에(120)의 고정클립고정요철홈(121)에 점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편(152)으로부터 멀어지는 단부쪽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걸림편(15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편(153)은 90도 방향으로 절형되어져 멍에(120)의 고정클립고정요철홈(121)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데크(140)는 길이 방향의 양측면에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180)의 조립편(181)이 끼워지는 연결홈(1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물림고정틀(170)은, 단면 형상이 기억자형으로 하부에 데크누름판(171)이 형성되어 있고,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 측면에 형성된 일방향톱니래치(165)에 대하여 걸림되어지는 일방향톱니래치(173)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172)의 말단에서 유자형밴딩되어 상기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 상부로 끼워지는 조립요부(174)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조립요부(174)와 인접한 수직판(172)과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에 조립볼트(10)가 관통되어지는 볼트체결공(164a)(17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데크(140)의 연결홈(141)은 이물질및누방지클립(18)의 조립편(181)이 깊숙히 조립되어져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목교로드부(100)의 신축으로 데크(140)와 데크(140) 사이의 틈 변화에 관계 없이 상기 데크(140)와 데크(140) 사이의 틈을 안정적으로 차단해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목교로드부(100)를 받치고 있는 H형강(110)을 매개로 형성되어지는 ㅊ측면마감부(200)는, 한쌍의 H형강(110)을 가로질러 조립되어 있는 전산볼트(140)가 요입부(211)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212)으로 관통되어서 나사식 체결되는 고정너트(241)에 의해 외장프레임(210)이 고정되어진다.
상기 외장프레임(210)의 평탄면 부위에는 외장데크(220)의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조립요홈(221)이 끼워지는 고리돌기(213)가 상기 외장데크(220)의 상하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장프레임(210)의 고리돌기(213)에는 상기 고리돌기(213)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이루는 조립요홈(221)이 상,하단면에 형성되어 외장데크(220)가 조립 형성되어진다.
상기 외장데크(220)의 조립요홈(221) 상에는 양단에 지지부(231)를 가짐과 동시에 중앙에는 상기 외장프레임(210)의 고리돌기(213) 밑면으로 형성된 안착면(214)에 위치하는 탄성반발력부(232)로 이루어진 활 형상의 판스프링(230)이 개재되어 상기 외장프레임(210)에 대하여 외장데크(220)가 안정되게 조립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로드부(100)는, H형강(110)의 받침판(111) 위에 멍에(120)를 위치시킨다.
상기 H형강(110)의 받침판(111) 위에 위치한 멍에(120)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장선(130)이 등간격을 이루며 위치하여 진다.
상기 멍에(120)와 장선(130)은 고정클립(150)에 의해 조립되어지게 되는데, 조립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클립(150)의 수직편(152)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51)를 장선(130)의 양측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홈(131)중 일측의 요철홈(131)으로 조립을 한다.
조립을 할때에는 측방향에서 밀어 넣게되고, 고정클립(150)의 수직편(152)이 멍에(120)에 다다르게되면 상기 수직편(152)의 하부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153)을 공구를 이용하여 도 6의 사시도와 같은 상태의 걸림돌기(153)를 상부의 정면도와 같은 상태가 되게 변형시켜 수직편(152)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이룬 상가 걸림편(153)의 상부가 멍에(120)의 바닥면(밑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클립고정요철홈(121)에 위치하여 걸림유지됨으로써, 상기 멍에(120)에 장선(130)이 조립 유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멍에(120)에 고정클립(150)을 매개로 조립되어진 장선(130)중 멍에(120)의 가장자리 양쪽으로 위치하여진 장선(130)의 나머지 요철홈(131)에는 배수로(160)의 수로(161)가 형성되도록 상부로 절곡되어서 형성된 연장벽(163)으로 형성된 걸림돌기(162)가 조립되어지게 된다.
조립은 상기에서 기술한 고정클립(150)의 걸림돌기(151)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조립을 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벽(163)의 걸림돌기(162)가 조립되어진 배수로(160)의 수로(161)는 멍에(120)의 상부에 받쳐진 상태를 이루게 되고, 수직판넬(164)의 상부에는 상기 장선(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하여지는 데크(140)를 압박 고정되도록 하는 물림고정틀(170)이 조립되어진다.
상기 장선으로 배하여지는 데크(140)는 양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홈(131)으로 조립편(181)이 끼워지는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180)을 매개로 연결되어지게된다.
상기 데크(140)를 압박 고정하는 물림고정틀(170)의 조립은 수직판(172)의 상부에서 유자형태로 절곡되어서 형성된 조립요부(174)를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의 상부로 끼운다.
상기와 같이 조립요부(174)가 수직판넬(164)에 조립되어진 상태가 가조립된 상태로써, 상기 수직판넬(164)에 형성된 볼트체결공(164a)와 물림고정틀(170)의 수직판(172)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로 긴 길이를 이루며 형성되어진 볼트체결공(172a)으로 조립볼트(10)를 관통시켜 헐거운 상태가 되도록 가조립한다.
조립볼트(10)가 가조립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물림고정틀(170)을 아래로 눌러준다.
이때 고정물림틀(170)의 수직판(172)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형톱니래치(173)가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톱니래치(165)에 대하여 이물림되어져 상기 고정물림틀(170)의 하부 데크누름판(171)이 데크(140)의 상면을 압박 고정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물림고정틀(170)의 데크누름판(171)이 데크(140)에 압박을 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조립되어 있는 조립볼트(10)를 조여줌으로써, 목교로드부(100)의 조립이 완료되어지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목교로드부(100)의 조립이 완료되어지면, 상기 목교로드부(100) 받치고 있는 H형강(110)의 위측으로 벽측마감부(200)를 조립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벽측마감부(200)의 조립은 먼저 상기 한쌍의 H형강(110)를 관통하여 조립되어 있는 전산볼트(140)에 외장프레임(210)의 요입부(211)에 형성된 구멍(212)을 일치시켜 끼운다.
이후 고정너트(241)를 체결하여 상기 외장프레임(210)을 조립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어진 외장프레임(210)에 외장데크(220)를 조립하게되는데, 상기 외장프레임(210)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돌기(213)에 외장데크(221)의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립요홈(221)이 끼워지도록 위치시킨 루 상부의 조립요홈(221)에는 판스프링(230)의 양쪽 지지부(231)에 조립요홈(221)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탄성반발력부(232)가 상기 외장프레임(210)의 고리돌기(213)의 안착면(214)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개별 외장데크(220)의 조립이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상기 외장데크(220)를 상,하 적층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기와 같이 피스를 사용하지 않고 데그를 조립 구성하도록된 본 발명의 목교는 피스 사용시 야기되는 피스 부식으로 목교만이 가지고 있는 자연친화적인 이미지가 손상되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데크(140)의 연결은 물론, 계절에 따라 수축팽창이 발생하여 데크(140)와 데크(140)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데크(140) 위에 발생하는 이물질 또는 우천시 발생하는 빗물이 낙하되어지는 것을 상기 데크(140)와 데크(140)를 연결하고 있는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180)에 의해 계절에 관계 없이 이물질 또는 우천시 발생하는 빗물이 낙하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배수로(160)가 부가 형성됨으로써, 데크(140)에 발생하는 빗물을 모아 하천으로의 배수가 가능하여 수자원 관리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스틸인 H형강(110)이 보여지는 것을 외장데크(220)로 가려 줌에 따라자연친화적인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100 : 목교로드부 110 : H형강
111 : 받침판 120 : 멍에
121 : 고정클립고정요철홈 130 : 장선
131 : 요철홈 140 : 데크
141 : 연결홈 150 : 고정클립
151 : 걸림돌기 152 : 수직편
153 : 걸림편 160 : 배수로
161 : 수로 162 : 걸림돌기
163 : 연장벽 164 : 수직판넬
164a,172a : 볼트체결공 165,173 : 일방향톱니래치
170 : 물림고정틀 171 : 데크누름판
172 : 수직판 174 : 조립요부
180 :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 200 : 측면마감부
210 : 외장프레임 211 : 요입부
212 : 구멍 213 : 고리돌기
214 : 안착면 220 : 외장데크
221 : 조립요홈 230 : 판스프링
231 : 지지부 232 : 탄성반발력부
240 : 전산볼트 241 : 고정너트

Claims (6)

  1. 상기 H형강(110)의 받침판(111)으로 위치하는 멍에(120) 상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지는 장선(130)이 고정클립(150)으로 고정되고, 상기 장선(130)의 길이를 따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하여지는 데크(140)는 장선(130)중 멍에(120)의 양단으로 위치하는 장선(130)과 조립되어지는 배수로(160)의 상부로 조립되어지는 물림고정틀(170)의 압박에 의해 고정 조립되어되어서 된 목교로드부(100)와;
    상기 목교로드부(100)를 받치고 있는 한쌍의 H형강(110)을 가로질러 조립되어 있는 전산볼트(140)가 요입부(211)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212)으로 관통되어서 나사식 체결되는 고정너트(241)에 의해 외장프레임(210)이 고정되어지되, 상기 외장프레임(210)의 평탄면 부위에는 외장데크(220)의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조립요홈(221)이 끼워지는 고리돌기(213)가 상기 외장데크(220)의 상하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장프레임(210)의 고리돌기(213)에는 상기 고리돌기(213)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이루는 조립요홈(221)이 상,하단면에 형성되어 외장데크(220)가 조립 형성되어며, 상기 외장데크(220)의 조립요홈(221) 상에는 양단에 지지부(231)를 가짐과 동시에 중앙에는 상기 외장프레임(210)의 고리돌기(213) 밑면으로 형성된 안착면(214)에 위치하는 탄성반발력부(232)로 이루어진 활 형상의 판스프링(230)이 개재되어 상기 외장프레임(210)에 대하여 외장데크(220)가 안정되게 조립되어서 된 측벽마감부(2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기능을 포함한 목교로드부(100)는 H형강(110)에 위치하여지되, 그 폭이 H형강(110)의 받침판(111)의 폭보다 넓은 폭을 이루어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클립고정요철홈(121)이 상기 H형강(110)의 받침판(111)을 벗어나 위치하는 멍에(120)와;
    상기 멍에(120)의 상부로 위치하여 상기 멍에(120)의 고정클립고정요철홈(121)에 걸림편(153)이 위치하여지는 고정클립(150)의 걸림돌기(151)가 조립되어지는 요철홈(131)이 양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다수의 데크(140)가 연속반복 배하여지는 장선(130)과;
    상기 멍에(120)의 상부로 위치하여진 장선(130)중 양쪽 사이드로 위치하는 장선(130)의 요철홈(131)으로 조립되어지는 걸림돌기(162)가 수로(161)로부터 상향으로 직각 형성되어진 연장벽(163)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벽(163)을 포함하는 수로(161)의 반대쪽에는 데크(140)를 고정시키는 물림고정틀(170)이 조립되어지는 수직판넬(164)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로(160)와;
    상기 장선(130)의 요철홈(131)에 연장벽(163)에 형성된 걸림돌기(162)가 조립되어 있는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의 상부로 조립요부(174)가 끼워져서 수직판(172)의 하부에 데크(140)의 상부를 압박 고정하는 데크누름판(171)이 절곡 형성되어 있는 물림고정틀(170)과;
    상기 상기 장선(130)의 상부로 나란하게 배하여져 상기 물림고정틀(170)에 의해 압박 고정되어지고,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180)를 매개로 연결되어지는 데크(1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150)은 수직편(152)의 상부에 장선(130)의 요철홈(131)에 조립되어지는 걸림돌기(151)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편(152)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151)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멍에(120)의 고정클립고정요철홈(121)에 점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편(152)으로부터 멀어지는 단부쪽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걸림편(15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40)는 길이 방향의 양측면에 이물질및누수방지클립(180)의 조립편(181)이 끼워지는 연결홈(14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고정틀(170)은 단면 형상이 기억자형으로 하부에 데크누름판(171)이 형성되어 있고,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 측면에 형성된 일방향톱니래치(165)에 대하여 걸림되어지는 일방향톱니래치(173)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172)의 말단에서 유자형밴딩되어 상기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 상부로 끼워지는 조립요부(174)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조립요부(174)와 인접한 수직판(172)과 배수로(160)의 수직판넬(164)에 조립볼트(10)가 관통되어지는 볼트체결공(164a)(172a)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40)의 연결홈(141)은 이물질및누방지클립(18)의 조립편(181)이 깊숙히 조립되어져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무피스 목교로드부(100)의 신축으로 데크(140)와 데크(140) 사이의 틈 변화에 관계 없이 상기 데크(140)와 데크(140) 사이의 틈을 안정적으로 차단해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KR1020200117757A 2020-09-14 2020-09-14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KR102388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757A KR102388995B1 (ko) 2020-09-14 2020-09-14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757A KR102388995B1 (ko) 2020-09-14 2020-09-14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699A true KR20220035699A (ko) 2022-03-22
KR102388995B1 KR102388995B1 (ko) 2022-04-20

Family

ID=8098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757A KR102388995B1 (ko) 2020-09-14 2020-09-14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9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923U (ko) * 1996-09-04 1998-06-25 박국경 타일 시공구조
KR200447684Y1 (ko) * 2009-01-28 2010-02-11 (주) 미도랜드 블록형 데크 조립체
KR101742074B1 (ko) * 2016-08-19 2017-05-31 (주)다정하이테크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7871B1 (ko) * 2018-10-30 2019-09-03 현빈개발 주식회사 캔틸레버 데크를 이용한 교량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923U (ko) * 1996-09-04 1998-06-25 박국경 타일 시공구조
KR200447684Y1 (ko) * 2009-01-28 2010-02-11 (주) 미도랜드 블록형 데크 조립체
KR101742074B1 (ko) * 2016-08-19 2017-05-31 (주)다정하이테크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7871B1 (ko) * 2018-10-30 2019-09-03 현빈개발 주식회사 캔틸레버 데크를 이용한 교량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995B1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9491A (en) Modular construction elements
CA2154035C (en) Under deck fastening system
CA2326837A1 (en) Deck assembly
KR102393747B1 (ko) 논슬립 모듈이 적용된 y형 신축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물
KR102265305B1 (ko) 데크 마감용 몰딩
KR102465315B1 (ko)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035699A (ko) 데크 무피스 조립이 가능한 목교 구조
KR101007030B1 (ko) 정형화된 조립식 목재블록
KR102209144B1 (ko) 배수기능을 포함한 무피스 목교로드 결합구조
KR100830896B1 (ko) 트렌치 커버 조립체
US20130061552A1 (en) Boardwalk system with tread-locating beams
KR101422687B1 (ko) 인도교
KR20080099100A (ko) 복공판 구조체
KR100909607B1 (ko) 시스템화된 일체형 목재구조물
KR200201588Y1 (ko) 조립식 간이 다리용 교각부재
KR20180087603A (ko)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US5467493A (en) Support plates for bridges and ramps
KR102011487B1 (ko) 구조강도가 향상된 목재외관을 갖는 난간용 지주 조립체
KR101941702B1 (ko) 데크 구조물
KR20210125952A (ko) 데크 조립 및 틈새마감구
KR101881515B1 (ko) 경사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
JPH0988326A (ja) 外装材の土台部取付構造
KR200484470Y1 (ko) 트렌치 커버
KR20200130910A (ko) 강재 데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