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537A -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537A
KR20220035537A KR1020200117378A KR20200117378A KR20220035537A KR 20220035537 A KR20220035537 A KR 20220035537A KR 1020200117378 A KR1020200117378 A KR 1020200117378A KR 20200117378 A KR20200117378 A KR 20200117378A KR 20220035537 A KR20220035537 A KR 20220035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be unit
user
prob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모
Original Assignee
(주)레드앤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드앤블루 filed Critical (주)레드앤블루
Priority to KR1020200117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5537A/ko
Publication of KR2022003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21Neural system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와 대접하는 프로브유닛; 상기 프로브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본체유닛; 상기 프로브유닛과 상기 본체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케이블; 사용자의 신체와 대접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유닛; 및 상기 패드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으로 파일럿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프로브유닛 및 상기 패드유닛이 형성하는 폐회로 및 상기 파일럿 전압의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브유닛이 대접한 신체 부위의 전기적 특성값인 제1특성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본체유닛의 외부에 구비된 화면표시수단으로 상기 제1특성값이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표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APPARATU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PAIN AREA USING DYNAMIC CHANGE OF ELECTRIC CHARACTERISTIC VALUE WITH USER ORIENTATION}
본 발명은 신체 부위의 통증 진단 및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통증 부위의 전기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통증 부위를 정확히 진단하고 해당 부위에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저주파 또는 초음파를 출력시킴으로써 통증 진단과 치료를 동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행동 패턴 및 생활 습관 등의 변화를 포함한 다양한 원인과 이유에 기인하여 단순 근육통은 물론, 섬유근육통 등을 비롯한 다양한 통증 관련 질환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만성 통증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불면증이나 우울 상태 등을 야기하기도 하여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병증이라고 할 수 있다.
만성 통증 등은 명확한 진단 기준이 없음은 물론, 통증의 정도 및 통증이 발생되는 부위 등은 주로 환자와 의사 사이의 문진, 환자의 거동 특성을 의사가 확인하는 방법, 신체 일부를 가압하는 방법 등 인적(人的) 의존적 방법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통증 부위의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통증 진단과 관련하여 발한 검사, 맥박 측정, 온도 분포도 평가, 채혈, 생화학적 데이터 측정 등과 같은 방법도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또한,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평가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 방법이므로 여전히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방법이 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 비침습적인 방법으로서, 인체의 임피던스(저항) 변화를 이용하여 통증을 진단하는 장치가 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주로 자극 전원을 기초로 대수적 관계를 이용하여 연산된 수치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하여 통증 부위를 진단하는 장치 등 해당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은 진단을 수행하는 주체(의사, 의료진 등)의 시선이 분산되어 시인성이 부족함은 물론, 수치가 연산되는 시간 동안 대접 부위가 수시로 변동될 수 있어 즉각적인 시간 응답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통증이 유발되는 정확한 위치 내지 부위를 특정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 이러한 방법 또는 장치는 단발성 내지 일회성 진단에 그치게 되므로 통증의 정도 및 통증 부위 등에 따른 시계열적인 이력 데이터 및 비교데이터를 생성하지 못하므로 환자의 중장기적인 통증 치료에 최적화되기 어려우며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축적시켜 다른 환자군 등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실험 등에 응용할 수 있는 로데이터(raw data)로 활용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통증의 정도와 부위를 시인성이 향상된 시각 매체와 수단을 통하여 진단하고 나아가 이원화된 시각 매체의 동기화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더욱 정확한 통증 진단이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통증 및 통증 치료 등에 관련된 출력파 등에 대한 시계열적 이력정보의 생성과 활용을 통하여 환자의 중장기적 통증 관리 및 향후 임상적 데이터로서의 확장적 적용 등에 최적화될 수 있는,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와 대접하는 프로브유닛; 상기 프로브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본체유닛; 상기 프로브유닛과 상기 본체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케이블; 사용자의 신체와 대접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유닛; 및 상기 패드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본체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브유닛으로 파일럿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프로브유닛 및 상기 패드유닛이 형성하는 폐회로 및 상기 파일럿 전압의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브유닛이 대접한 신체 부위의 전기적 특성값인 제1특성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본체유닛의 외부에 구비된 화면표시수단으로 상기 제1특성값이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표출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유닛의 측정부는 상기 제1특성값을 상기 프로브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프로브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브유닛의 전방 하부면에 구비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신체와 대접하는 헤드파트; 및 상기 헤드파트가 구비된 반대 방향인 상기 프로브유닛의 전방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특성값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유닛의 표출제어부는 통증 치료용 저주파의 설정정보 입력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환경을 상기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유닛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1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제1설정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설정정보에 해당하는 치료용 저주파가 상기 프로브유닛의 헤드파트를 통하여 발생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유닛의 표출제어부는 통증 치료용 초음파의 설정정보 입력을 위한 제2인터페이스 환경을 상기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유닛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제2설정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2설정정보에 해당하는 초음파제어신호를 상기 프로브유닛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초음파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치료용 초음파를 상기 프로브유닛의 헤드파트를 통하여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가 발생되는 시간 정보,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의 특성정보, 상기 헤드파트와 상기 패드유닛 사이의 전기적 특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시계열적으로 데이터화된 이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정보생성부; 및 상기 이력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로브유닛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 중 현재 출력되는 출력파의 종류 및 그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유닛의 상태정보생성부는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 중 현재 출력되는 출력파의 종류 및 그 크기에 대한 정보인 상태정보를 생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표출하는 서브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면부에 구비되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가 기본 설정에 따른 시간 동안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리셋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진단자가 프로브유닛을 환자의 신체 부위에 대접하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행위 내지 자세(posture)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통증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시각적 매체로 확인할 수 있어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진단자가 진단 행위 자체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이원화된 객체 즉, 프로브유닛 및 본체 유닛 각각을 통하여 현재 상태 정보 등이 시각적으로 표출되도록 하고 이원화된 객체를 통하여 표출되는 정보의 상응성 내지 일치성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재 상태 정보 등을 더욱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통증 부위 진단과 치료 등에 대한 설정이나 세팅 과정을 GUI(Graphic User Interface)으로 구현할 수 있어 시인성 향상은 물론,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현재 인가되는 출력파의 종류 또는 그 크기를 시인성 있게 확인할 수 있어 과도한 전압 등이 인가되는지 여부는 물론, 적절한 출력파가 통증 부위에 인가되고 있는지를 즉시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과도한 전압 등이 인가되는 경우 즉각적인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증 부위, 통증의 정도 및 통증 치료를 위한 출력파의 특성 정보 등을 유기적으로 접목한 시계열적 이력데이터를 생성하고 외부 장치와 확장적으로 공유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중장기적 치료는 물론, 임상 실험 등과 같은 후속 응용 과정에 최적화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진단 및 치료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통증 부위를 진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통증을 치료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단 및 치료장치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이하 '진단치료장치'라 지칭한다)(10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브유닛(2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단치료장치(1000)는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 등과 관련된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프로브유닛(200)의 작동 등을 제어하는 본체유닛(1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한 진단치료장치(1000)는 상기 본체유닛(100)과 제1케이블(C1) 및 제1입출력인터페이스(101) 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브유닛(200)을 포함하며 아울러, 제2케이블(C2)과 제2입출력인터페이스(102) 등을 통하여 본체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브유닛(200)은 진단용 출력파(전기신호) 또는 치료용 출력파(전기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 등을 직접적으로 사용자(환자 등)의 신체 부위에 전달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에 해당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100)의 하우징(195)을 기준으로 측면 부분에 위치하는 프로브거치대(190)에 일부 또는 전부가 수용되는 형태로 거치 내지 수납될 수 있다.
패드유닛(300)은 상기 프로브유닛(200)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수용하며 본체유닛(100), 프로브유닛(200)과 함께 전기적으로 폐회로(closed loop)를 구성하도록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접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본체유닛(100)은 구체적으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입출력인터페이스(101), 제2입출력인터페이스(102), 메인제어부(110), 측정부(120), 표출제어부(130), 화면표시수단(140), 상태정보생성부(150), 통신부(160) 및 서브디스플레이(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브유닛(200)은 구체적으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3입출력인터페이스(201), 헤드파트(203), 디스플레이(205), 초음파발생수단(207) 및 리셋설정부(2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진단치료장치(1000) 및 도 2에 도시된 프로브유닛(2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체유닛(100)의 일 구성인 메인제어부(110)는 내부에 구비된 제너레이터(전원발생수단)(미도시)를 구동 제어하여 통증 부위(point)의 확인을 위한 진단용 전압인 파일럿 전압(pilot voltage)이 제1케이블(C1)을 통하여 프로브유닛(200)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프로브유닛(200)으로 파일럿 전압이 전달되면 상기 파일럿 전압은, 프로브유닛(200)의 일 구성으로서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금속재질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신체 부위와 대접하는 헤드파트(203)를 통하여 사용자의 대접 부위에 인가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소형화된 제너레이터가 프로브유닛(200)에 내장되는 경우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10)는 이 제너레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신호 체계를 프로브유닛(200)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프로브유닛(200)의 헤드파트(203)에서 파일럿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파일럿 전압은 신체 부위 또는 환부에 따른 임피던스(저항)의 변화를 통하여 통증 부위 및 통증의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전압으로서, 사용자(환자 등)의 나이, 성별, 몸무게, 통증의 정도, 질병의 종류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표출제어부(130)는 파일럿 전압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환경이 구현된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터치패널 등으로 구현되는 화면표시수단(140)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의사 등의 진단자가 이를 이용하여 파일럿 전압의 크기, 특성, 진폭, 주파수, 주기(duration) 등의 특성 정보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00, 도 3 참조).
이와 같이 파일럿 전압이 설정되면, 제1케이블(C1)을 통하여 파일럿 전압이 프로브유닛(200)으로 인가되고(S320) 이 파일럿 전압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대접(S310)한 프로브유닛(200)의 헤드파트(203)를 통하여 해당 대접 부위에 출력된다(S330).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2케이블(C2)을 통하여 본체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 발명의 패드유닛(30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대접하는 구성으로서, 프로브유닛(200)으로부터 출력된 출력파가 사용자를 거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본체유닛(100), 프로브유닛(200) 및 패드유닛(300)이 전체적으로 폐회로를 이루도록 유도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체유닛(100)의 일 구성인 측정부(120)는 이와 같이 상기 프로브유닛(200) 및 상기 패드유닛(300) 형성하는 폐회로 및 상기 파일럿 전압의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브유닛이 대접한 신체 부위의 전기적 특성값인 제1특성값을 측정을 측정한다(S350).
이와 같이 제1특성값이 생성되면 본 발명의 표출제어부(130)는 본체유닛(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화면표시수단(140)으로 상기 제1특성값이 표출되도록 제어한다(S360).
표출되는 방법은 실시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진단자(의사 등)가 시인성 있게 제1특성값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제1특성값에 따라 다원적으로 설정된 서로 다른 색상의 빛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증이 유발되는 부위(point or area)는 동일인의 다른 신체 부위보다 임피던스 값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전류값은 프로브유닛(200)이 대접한 부위가 통증이 유발되는 지점인지 여부를 표상하게 된다.
또한, 이 제1특성값이 제3입출력인터페이스(201, 도 2 참조)를 통하여 본체유닛(100)으로부터 프로브유닛(200)으로 전송되면(S370), 프로브유닛(200)에 구비되며, LED 등과 같이 인가된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발현하는 구성요소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05)는 상기 전송된 제1특성값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 신호를 출력하도록(S380) 구성된다.
진단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 등의 종료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S390) 상술된 프로세싱이 순환적으로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파일럿 전압 등이 출력되는 헤드파트(203, 도 5 참조)는 진단자의 진단 및 치료 등의 행위가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프로브유닛(20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헤드파트(203)가 대접한 부위의 제1특성값을 진단자가 더욱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제1특성값에 상응하는 색상의 빛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05, 도 5 참조)는 헤드파트(203)가 구비된 반대 방향 즉, 프로브유닛(200)의 전방 상부면 등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진단자가 통증 부위의 탐침을 위하여 프로브유닛(200)의 헤드파트(203)를 이동시키는 행위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시선 분산이나 조작 버튼 등을 작동시키는 등의 다른 추가적인 행위를 회피할 수 있어 진단자로 하여금 진단 및 치료 등의 행위를 더욱 집중하여 지속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등을 참조하여 치료용 저주파 또는 치료용 초음파를 통증 부위에 발생시켜 통증 완화 또는 통증 치료를 진행하는 등의 본 발명의 프로세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체유닛(100)의 표출제어부(130)는 통증 치료용 저주파의 설정정보 입력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환경 또는 통증 치료용 초음파의 설정정보 입력을 위한 제2인터페이스 환경을 화면표시수단(140)을 통하여 표출한다(S400).
상기 제1 및 제2인터페이스 환경 또한, 진단자가 치료용 저주파의 크기, 주기, 파형 특성 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GUI 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및 제2인터페이스 환경은 각각의 내용에 대한 설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분하여 지칭한 인터페이스 환경일 뿐, 실시형태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일원화된 인터페이스 환경 또는 스크롤 등으로 화면을 이동시키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치료용 저주파(전기 신호)의 특성에 관련된 제1설정정보 또는 제2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치료용 초음파의 특성에 관련된 제2설정보가 입력되면(S410)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10)는 입력된 제1또는 제2설정정보를 구동환경으로 세팅하고(S420) 상기 세팅된 구동환경에 해당하는 치료용 저주파 또는 치료용 초음파가가 상기 프로브유닛(200)의 헤드파트(203)를 통하여 발생되도록 제어한다(S430).
실시형태에 따라서 진단자 등으로부터 설정정보가 소정 기준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S410) 미리 정해진 초기설정(default 설정)을 구동 환경으로 세팅할(S425)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초음파는 물리적 특성상 프로브유닛(200)에 내장된 초음파발생수단(207)을 통하여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10)는 상기 제2설정정보에 해당하는 초음파제어신호를 프로브유닛(200)으로 전송하고, 이 전송된 초음파제어신호에 의하여 초음파발생수단(207)이 제어됨으로써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체유닛(100)의 일 구성인 상태정보생성부(150)는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 중 현재 출력되는 출력파의 종류 및 그 크기에 대한 정보인 상태정보를 생성하도록(S440)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태정보가 생성되면 본체유닛(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서브디스플레이(170)는 이 상태정보를 파싱(parsing)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파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른 색상(명도, 채도 등 포함)을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프로브유닛(200)의 디스플레이(205)는 헤드파트(203)를 통하여 치료용 저주파 또는 치료용 초음파 중 현재 출력되는 출력파의 종류 및 그 크기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증 치료 과정에서도 진단자는 프로브유닛(200)의 디스플레이(205)에서 출력되는 색상 정보를 통하여 현재 인가되는 출력파의 종류 또는 그 크기를 시인성 있게 확인할 수 있어 과도한 전압 등이 인가되는지 여부 또는 적절한 출력파가 통증 부위에 인가되고 있는지를 즉시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과도한 전압 등이 인가되는 경우 즉각적인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체유닛(100)에 구비된 서브디스플레이(170)는 상태정보생성부(150)가 생성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색상이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프로브유닛(200)의 디스플레이(205)에서 표출되는 색상정보는 헤드파트(203)를 통하여 실제 출력되는 출력파의 특성에 기초함에 반해, 본체유닛(100)의 서브디스플레이(170)에서 표출되는 색상정보는 본체유닛(100) 내부에서 생성된 상태정보에 기초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기준 정보 내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원화된 시각 매체가 각각의 색상정보를 표출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들 사이의 색상 일치성 등을 확인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설정된 특성의 출력파가 실제 헤드파트(203)를 통하여 그대로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 또한, 간명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205)가 구비된 프로브유닛(200)의 상부면 등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등의 수단과 연결된 리셋설정부(20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버튼 등의 수단을 통하여 선택신호가 입력되면(S450) 리셋설정부(209)는 본체유닛(100)을 통한 직접적인 구동 조작 행위가 생략되어도 치료용 저주파 또는 치료용 초음파가 기본 설정에 따른 시간 동안 구동 또는 재-구동되도록 제어한다(S425).
이와 같이 진단자 등이 직접 핸들링하는 프로브유닛(200)에 구비된 리셋설정부(209)를 통하여 출력파의 구동 또는 재구동이 즉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 과정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된 프로세싱은 미리 설정된 구동 시간이나 전원 종료 등의 종료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S460) 순환적으로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태정보생성부(150)는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가 발생되는 시간 정보,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의 특성정보, 상기 프로브유닛(200)의 헤드파트(203)와 상기 패드유닛(300) 사이의 전기적 특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시계열적으로 데이터화된 이력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상태정보생성부(150)에서 이력데이터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통신부(160)는 본체유닛(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외부장치(2000)로 상기 이력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본 발명의 진단치료장치
100 : 본체유닛 101 : 제1입출력인터페이스
102 : 제2입출력인터페이스 110 : 메인제어부
120 : 측정부 130 : 표출제어부
140 : 화면표시수단 150 : 상태정보생성부
160 : 통신부 170 : 서브디스플레이
190 : 프로브거치대 195 : 하우징
200 : 프로브유닛 201 : 제3입출력인터페이스
203 : 헤드파트 205 : 디스플레이
207 : 초음파발생수단 209 : 리셋설정부

Claims (8)

  1. 사용자의 신체와 대접하는 프로브유닛;
    상기 프로브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본체유닛;
    상기 프로브유닛과 상기 본체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케이블;
    사용자의 신체와 대접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유닛; 및
    상기 패드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으로 파일럿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프로브유닛 및 상기 패드유닛이 형성하는 폐회로 및 상기 파일럿 전압의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브유닛이 대접한 신체 부위의 전기적 특성값인 제1특성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본체유닛의 외부에 구비된 화면표시수단으로 상기 제1특성값이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표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측정부는,
    상기 제1특성값을 상기 프로브유닛으로 출력하고,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의 전방 하부면에 구비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신체와 대접하는 헤드파트; 및
    상기 헤드파트가 구비된 반대 방향인 상기 프로브유닛의 전방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특성값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표출제어부는,
    통증 치료용 저주파의 설정정보 입력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 환경을 상기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표출하고,
    상기 본체유닛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1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제1설정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설정정보에 해당하는 치료용 저주파가 상기 프로브유닛의 헤드파트를 통하여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표출제어부는,
    통증 치료용 초음파의 설정정보 입력을 위한 제2인터페이스 환경을 상기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표출하고,
    상기 본체유닛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제2설정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2설정정보에 해당하는 초음파제어신호를 상기 프로브유닛으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초음파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치료용 초음파를 상기 프로브유닛의 헤드파트를 통하여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가 발생되는 시간 정보,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의 특성정보, 상기 헤드파트와 상기 패드유닛 사이의 전기적 특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시계열적으로 데이터화된 이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정보생성부; 및
    상기 이력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유닛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 중 현재 출력되는 출력파의 종류 및 그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상태정보생성부는,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 중 현재 출력되는 출력파의 종류 및 그 크기에 대한 정보인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표출하는 서브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면부에 구비되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치료용 저주파 또는 상기 치료용 초음파가 기본 설정에 따른 시간 동안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리셋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KR1020200117378A 2020-09-14 2020-09-14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KR20220035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378A KR20220035537A (ko) 2020-09-14 2020-09-14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378A KR20220035537A (ko) 2020-09-14 2020-09-14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537A true KR20220035537A (ko) 2022-03-22

Family

ID=8099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378A KR20220035537A (ko) 2020-09-14 2020-09-14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55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54292A1 (en) Remote biometric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16029166A1 (en) Automated diagnosis based at least in part on pulse waveforms
CN207804261U (zh) 心理情绪调节仪
US202103219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vital sign of user
US20230158270A1 (en) Commun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101302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ic nervous system sensitivity-point testing
CN114680823A (zh) 监护设备、医疗中央站系统及监测数据的回顾方法
JP5661555B2 (ja) 交感神経皮膚反応測定装置
CN109313524B (zh) 无线传感器的操作控制
CN105512506A (zh) 应用于监护仪的界面调整方法和装置
WO2020041984A1 (zh) 监护设备、监护信息显示方法和装置
US20200329991A1 (en)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system,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method, program,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20230140419A1 (en) System for the automatic evaluation of cognition and consciousness of an individual through external stimulations
KR20220035537A (ko) 전기적 특성값의 동적변화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통증 부위 진단 및 치료장치
JP6960619B2 (ja) 脳波判定システム
JPH1094529A (ja) 医療装置
JP2013215366A (ja) 末梢神経検査装置
Labat et al. Wearable Blood Pressure Monitoring System-Case Study of Multiplatform Applications for Medical Use
JP6888789B2 (ja) 脳波測定システム、脳波測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非一時的記録媒体
EP3086250A2 (en) Portable medical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of displaying vital signs information
Gomez et al. Beyond wearables: experiences and trends in design of portable medical devices
CN209391918U (zh) 用于脉搏检测的可穿戴设备
CN203153946U (zh) 远程诊疗智能机
US10232176B2 (en) Biological signal display apparatus
KR20140092997A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생체 정보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