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403A -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 Google Patents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403A
KR20220035403A KR1020227003905A KR20227003905A KR20220035403A KR 20220035403 A KR20220035403 A KR 20220035403A KR 1020227003905 A KR1020227003905 A KR 1020227003905A KR 20227003905 A KR20227003905 A KR 20227003905A KR 20220035403 A KR20220035403 A KR 20220035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visual processing
mounting
mounted vis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팡팡 우
량 쉬
닝위안 마오
지광 리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센스타임 린강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1965421.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782102U/en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1965769.4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782103U/en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942803.4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009389A/en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센스타임 린강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센스타임 린강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5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4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60R2011/0087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round two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및 차량을 제공한다.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는, 기기 호스트 및 주행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1 촬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호스트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에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설치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and a vehicle.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device host and a first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driving images, wherein the device host includes a housing mounted on an internal component of a vehicle body; a processor installed within the housing;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connected to a second imaging device for collecting in-vehicle images, wherein the first imaging device is partially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Description

차량 탑재 시각 처리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관련 출원의 교차 인용][Cross-citation of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발명 번호가2020109428034이고 발명일이 2020년 09월 09일인 중국 특허 발명, 발명 번호가2020219657694이고 발명일이 2020년 09월 09일인 중국 특허 발명 및 발명 번호가 2020219654215이고 발명일이 2020년 09월 09일인 중국 특허 발명에 기반하여 제출하고, 상기 중국 특허 발명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발명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Chinese patent invention with invention number 2020109428034 and an invention date of September 9, 2020, a Chinese patent invention with invention number 2020219657694 and an invention date of September 9, 2020, and a Chinese patent invention with invention number 2020219654215 and an invention date of September 2020. The submission is based on the Chinese patented invention dated March 09, and the priority of the Chinese patented invention is claimed, and the entire contents of the Chinese patented invention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기술분야][Technology field]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technology, and particularly to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s,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s, and vehicles.

드라이브 레코더는 차량 주행 중 영상, 소리 등 관련 정보를 기록하는 기기이다. 드라이브 레코더를 장착하면 자동차 주행의 전 과정의 비디오 이미지와 소리를 기록할 수 있어 교통 사고나 분쟁에 대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 Driver Monitoring System)은 운전 중 운전자의 이상한 행동 또는 위험한 행동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현재 이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갖춘 기기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A drive recorder is a device that records related information, such as video and sound,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Equipped with a drive recorder, you can record video images and sounds of the entire car driving process, providing evidence for traffic accidents or disputes. The Driver Monitoring System (DMS) improves driving safety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strange or dangerous driver behavior while driving. Currently, the demand for devices with both of these functions is increasing.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및 차량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and a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는, 기기 호스트 및 주행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1 촬영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기기 호스트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에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설치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device host and a first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driving images, wherein the device host includes a housing mounted on an internal component of the vehicle body; a processor installed within the housing;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connected to a second imaging device for collecting in-vehicle images, wherein the first imaging device is partially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기기 호스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mounting member for connecting to the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wherein the mounting member is removably connected to the device host.

일부 실시예에서, 장착 부재에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접착 및 연결되는 접착 콜로이드가 설치되거나; 및/또는,In some embodiments, the mounting member is equipped with an adhesive colloid that adheres and connects to the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s; and/or,

상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장착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설치된다. At least one protrus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member.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부재에는 클램핑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클램핑 부재와 어댑트되는 걸림 홈이 형성된다. In some embodiments, a clamp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and a locking groove that adapts to the clamping memb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제1 클램핑부 및 제2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핑부는 상기 장착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상기 제1 클램핑부가 상기 장착 부재를 멀리하는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클램핑부의 외부 윤곽 면적은 상기 제1 클램핑부의 외부 윤곽 면적보다 크며; In some embodiments, the clamping member includes a first clamping portion and a second clamping portion, the first clamp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and the second clamping portion has one end at which the first clamping portion is away from the mounting member. is connected to, and the outer contour area of the second clamp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outer contour area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상기 걸림 홈(groove)은 제1 걸림 홈 본체 및 상기 제1 걸림 홈 본체와 연통되게 설치된 제2 걸림 홈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 홈 본체의 홈 구조는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어댑트되며, 상기 제2 걸림 홈 본체의 홈 구조는 상기 제2 클램핑부와 어댑트된다. The locking groove (groove) includes a first locking groove body and a second locking groove body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locking groove body, and the groove structure of the first locking groove body adapts to the first clamping portion. The groove structure of the second locking groove body adapts to the second clamping portion.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램핑부에는 상기 제1 클램핑부를 멀리하는 일측 표면에 가이드 홈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 홈의 바닥 벽에는 상기 가이드 홈과 협력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clamping part has a guide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on one surface away from the first clamping part, and a guide part cooperating with the guide groove is installed on the bottom wall of the locking groov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홈은 구면 홈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구면 돌기 구조이며,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홈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고; 및/또는, In some embodiments, the guide groove is a spherical groove, the guide portion has a spherical protrusion structure, and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guide groove; and/or,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부재이다. At least one of the guide part and the second clamping part is an elastic member.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에는 개구가 개설되고, 제1 촬영 장치는 개구로부터 하우징을 노출하거나; 및/또는, In some embodiments, an opening is formed in the housing and the first imaging device exposes the housing from the opening; and/or,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first imaging devic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조립되는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설치되고; In some embodiments,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part and a second housing part assembled with the first housing part, a receiving cavity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part and the second housing part, and the first housing part is an imaging device is partially received and installed within the receiving cavity;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제1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제2 개구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는 접합되어 상기 개구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하나에 상기 개구가 개설된다. A first opening is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part, a second opening is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part, and the second opening part and the first opening part are joined to form the opening; Alternatively, the opening is opened in one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the second housing portion.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 표면은 상기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 표면 및 상기 제1 하우징 표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표면에 상기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부가 설치되거나; 또는,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housing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surfac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first housing portion; The protruding surface includes a first housing surfac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and a second housing surface oblique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urface, and the opening or the second opening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surface; or,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2 개의 돌기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 표면은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하우징 표면 및 제2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 표면은 상기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하우징 표면에는 상기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부가 설치된다. The second hous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two protruding surfaces that protrude outwardly from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surfaces include a first housing surface and a second housing surface that are oblique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housing surface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and the second housing surface is provided with the opening or the second open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 표면과 상기 제2 하우징 표면 사이의 협각 범위는 140° 내지 160°이거나; 및/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1 촬영 장치의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는 0 내지 80°이다. In one embodiment,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housing surface and the second housing surface ranges from 140° to 160°; And/or, a rotatable angle range of the first imaging device relative to the housing is 0 to 80°.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호스트 내에 설치된 메인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보드에 설치된다. In one embodiment,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main board installed in the device host, and the processor is installed on the main boar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주체부 및 상기 주체부 내에 장착되어 설치되는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주체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및/또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includes a main unit and a lens assembly mounted and installed within the main unit, wherein the main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or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ixedly connected within the housing, and the first imaging devic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개구가 개설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개구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개구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의 양측에 각각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상기 제1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1 협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상기 제2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2 협력부가 형성된다. In one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wherein an opening is formed in the housing,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being secured to the housing from both sides of the opening; The first imaging device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or further comprising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being fixed to the housing from both sides of the opening;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a first cooperation part that adapts to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rotating part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A second cooperation part that adapts to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rotating part is form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제1 브래킷 부재 및 상기 제1 브래킷 부재와 접합되는 제2 브래킷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래킷 부재에 상기 제1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1 호형 협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래킷 부재에 상기 제1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2 호형 협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호형 협력부와 상기 제1 호형 협력부는 접합되어 상기 제1 협력부를 형성한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bracket member and a second bracket member joined to the first bracket member, and a first support member adapted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to the first bracket member. An arc-shaped cooperation part is formed, and a second arc-shaped cooperation part that adapts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first rotating part is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member, and the second arc-shaped cooperation part and the first arc-shaped cooperation part are joined to form the first cooperation part.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협력부의 내벽 및/또는 상기 제2 협력부의 내벽에 고무 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협력부 내벽의 고무 링에 인접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협력부 내벽의 고무 링에 인접된다. In one embodiment, a rubber ring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operation part and/or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ooperation part, and the first rotating part is adjacent to the rubber ring of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operation part, and/or the second cooperation part. The rotating portion is adjacent to the rubber ring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ooperation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는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비한 제1 촬영 장치를 운전자 행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기기 호스트 내에 조립하고 양자를 일체로 직접함으로써,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장착에 필요한 차체 내부 점유 공간을 줄이고, 상이한 차종에 어댑트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하고 적용 범위가 넓은 등 장점을 구비한다.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s a first imaging device with a drive recorder function into a device host with a driver behavior detection function and integrates both into the vehicle body required for mounting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It has the advantages of reducing internal space occupancy, being adaptable to different car models, being convenient to use, and having a wide application rang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장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는 상기 임의의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의 표면을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하고, 상기 제1 촬영 장치를 차량의 앞 유리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ount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includes any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s, and the method includes attaching a surface of the housing to a windshield of a vehicle, and rotating the first imaging device in a direction outside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It includes steps to do so.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f the above embodiment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에서,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비한 제1 촬영 장치를 제2 촬영 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기기 호스트 내에 조립하고, 양자를 일체로 직접함으로써,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장착에 필요한 차체 내부 점유 공간을 줄이고, 상이한 차종에 어댑트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하고 적용 범위가 넓은 등 장점을 구비한다. In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hotographing device with a drive recorder function is assembled into a device host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hotographic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both are integrated. By doing so directly, it has the advantages of reducing the space occupied inside the vehicle body required for mounting on-vehicle visual processing devices, being adaptable to different vehicle types, being convenient to use, and having a wide application rang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includ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y of the above embodiments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은, 상기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 호스트와 별도로 설치되어 통신 연결되는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차량 내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기기 호스트는 주행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1 촬영 장치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기기 호스트와 통신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 영상에 따라 상기 차량 탑승자의 행동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visual processing of a vehicle is provided. The visual processing method for the vehicle includes obtaining in-vehicle images collected by a second imaging device that is installed separately and connected to a device host for performing the visual processing method for the vehicle, wherein the device host collects driving images. partially accommodating a first photographing device, and connecting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to the device host for communication; and analyz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occupants according to the in-vehicle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비한 제1 촬영 장치를 제2 촬영 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기기 호스트 내에 조립하고, 양자를 일체로 직접함으로써,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장착에 필요한 차체 내부 점유 공간을 줄이고, 상이한 차종에 어댑트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하고 적용 범위가 넓은 등 장점을 구비한다. 기기 호스트와 제2 촬영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므로, 사이즈가 작은 경우 더 많은 장착 조건을 충족할 수 있고, 양자의 장착 위치가 유연하며, 각각의 교체 및 보수가 편리하다. In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hotographing device equipped with a drive recorder function is assembled into a device host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that is communicated with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both are integrated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vehicle. It has advantages such as reducing the space occupied inside the vehicle body required for mounting on-board visual processing devices, being adaptable to different vehicle models, being convenient to use, and having a wide application range. Since the device host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are installed separately, more mounting conditions can be met when the size is small, the mounting positions of both are flexible, and replacement and repair of each is convenient.

이해해야 할 것은,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다만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illustrative and interpretive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아래의 도면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에 알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입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다른 시야각의 입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폭발 모식도(exploded diagram)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다른 각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장착 위치의 대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기기 호스트와 장착 부재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기기 호스트와 장착 부재의 다른 시야각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의 제2 촬영 장치의 입체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의 제2 촬영 장치의 다른 시야각의 입체 모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의 제2 촬영 장치에서 제2 장착 시트가 제거된 입체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의 제2 촬영 장치에서 제2 장착 시트가 제거된 폭발 모식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의 제2 촬영 장치에서 제2 장착 시트가 제거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의 제2 촬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의 제2 촬영 장치의 제2 장착 시트 및 제1 장착 시트의 일부 구조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장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제1 촬영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제1 촬영 장치의 폭발 모식도이다.
The drawings below are incorporated into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and these drawings illustrate embodiments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used together with the specification to explain the technical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three-dimensional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schematic diagram of different viewing angles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diagram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from another angle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mparative schematic diagram of the mounting position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schematic diagram of a device host and a mounting member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schematic diagram of different viewing angles of a device host and a mounting member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three-dimensional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three-dimensional schematic diagram of another viewing angle of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three-dimensional schematic diagrams with the second mounting sheet removed from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plosion in which the second mounting sheet is removed from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side views with the second mounting sheet removed from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side view of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n exploded schematic diagram of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econd mounting sheet and the first mounting sheet of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ount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flowchart of a visual processing method for a vehicl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flowchart of a visual processing method for a vehicl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front view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first photographing device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plosion of a first imaging device of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예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을 언급하는 경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구현 방식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구현 방식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He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examples thereof will be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When referring to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same numbers in different drawings represen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e implementation scheme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emplary embodiments do not represent all implementation schemes consistent with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ontrary, they are merely examples of devices and methods consistent with some aspects of the invention as detail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의 "일", "상기" 및 "해당"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된 나열 항목의 어느 하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라는 용어는 복수의 유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유형 중 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the singular forms “a”, “the” and “the”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dditionally,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refers to including any one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related listed items. Additionally, as used herein, the term “at least one” means any one of a plurality of types or any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a plurality of types.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better understand the technical solu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purpose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 Technical solu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일반적으로, 운전자 행동 검출 기기와 드라이브 레코더는 별도로 설치된 독립 기기로, 사용자는 이 두 제품을 별도로 구매해야 하고, 또한 독립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기기를 캐빈 내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해야 하므로 캐빈 내 많은 공간을 점유하여 운전자 주행 운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In general, the driver behavior detection device and drive recorder are separately installed independent devices, so the user must purchase these two products separately. In addition, multiple independently installed devices must be mount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cabin, saving a lot of space in the cabin. Occupied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river's driving.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및 차량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및 차량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충돌되지 않는 한, 후술되는 실시예 및 실시형태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and a vehicle. Hereinafter,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long as there is no conflict, features of the examples an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는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 장치와 협력하여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river Monitoring System, DMS) 또는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Occupant Monitoring System, OMS)을 형성하고, 운전자의 신원 인식, 운전자 피로 모니터링 및 위험 운전 행동 모니터링, 탑승자 모니터링 등 모니터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는 기기 호스트(10) 및 주행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1 촬영 장치(20)를 포함하고, 제1 촬영 장치(20)는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20)는 상기 기기 호스트(10)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설치되며, 제1 촬영 장치(20)는 제1 카메라(21)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제1 카메라(21)에 의해 수집된 주행 영상을 저장하여 주행 기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1 to 3,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cooperates with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camera to form a driver monitoring system (DMS) or an occupant monitoring system (OMS), and recognizes the driver's identity and driver fatigue. Monitoring functions such as monitoring and risky driving behavior monitoring and passenger monitoring can be implemented.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includes a device host 10 and a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for collecting driving images, and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has a drive recorder function, and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has a drive recorder function. The photographing device 20 is partially accommodated and installed within the device host 10, and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may include a first camera 21 and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 the digital video recorder can implement a driving record function by storing the driving images collected by the first camera 21.

상기 기기 호스트(10)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예를 들어, 앞 유리)에 장착되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 내에 설치되는 프로세서; 및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에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장치(20)는 상기 하우징(11)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설치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기 호스트(10)와 별도로 설치되고 통신 연결되는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차량 내 영상 분석 처리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1 촬영 장치(20)의 제1 카메라(21)는 하우징(11)으로부터 노출되어 주행 영상을 수집한다. 상기 기기 호스트(10)에는 제2 촬영 장치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와이어(12)가 설치될 수 있고, 제1 연결 와이어(12)는 기기 호스트(10) 내부로부터 하우징(11)을 관통하고, 기기 호스트(10)는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차량 내 영상(운전자의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음)에 기반하여 운전자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우징(11)은 차체 내부 컴포넌트(예를 들어, 앞 유리)에 직접 연결(예를 들어, 접착)될 수 있거나, 하우징(11)의 배면에 장착 부재(30)를 설치하고 장착 부재(30)를 통해 차체 내부 컴포넌트(예를 들어, 앞 유리)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device host 10 includes a housing 11 mounted on a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eg, windshield); A processor installed in the housing 11;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connected to a second imaging device for collecting images within the vehicle, wherein the first imaging device 20 is partially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11, and the processor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interfa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processor performs analysis processing of in-vehicle images collected by a second imaging device that is installed separately and connected to the device host 10 for communication. Optionally, the first camera 21 of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is exposed from the housing 11 to collect driving images. A first connection wire 12 connected to a second imaging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e device host 10, and the first connection wire 12 penetrates the housing 11 from the inside of the device host 10, The device host 10 may perform driver behavior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in-vehicle images collected by the second imaging device (which may include a video stream of the driver). Optionally, the housing 11 may be directly connected (e.g., glued) to a body interior component (e.g., a windshield), or a mounting member 30 may b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housing 11 and the mounting member It may also be indirectly connected to a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e.g. windshield) via 30,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에서,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비한 제1 촬영 장치(20)를 운전자 행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기기 호스트(10) 내에 조립하고 양자를 일체로 통합함으로써,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장착에 필요한 차체 내부 점유 공간을 줄이고, 상이한 차종에 어댑트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하고 적용 범위가 넓은 등 장점을 구비한다. In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with a drive recorder function is assembled into the device host 10 with a driver behavior detection function and the two are integrated into one body. , it has advantages such as reducing the space occupied inside the vehicle body required for mounting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being adaptable to different vehicle types, being convenient to use, and having a wide application range.

상이한 차종에 따라 기기 호스트는 상이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승용차에 적용할 경우, 기기 호스트는 백미러에 대응하는 앞 유리의 맨 위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촬영 장치는 운전자 앞 측의 센터페시아/계기판 영역 또는 운전자 앞 측의 앞 유리의 맨 위에 장착될 수 있다. 경 트럭/일반 트럭/미니밴에 적용할 경우, 기기 호스트는 백미러에 대응하는 앞 유리의 맨 위 또는 맨 아래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촬영 장치는 운전자 앞 측의 센터페시아/계기판 영역 또는 운전자 좌측 프레임의 A필러에 장착될 수 있다. 대형 트럭/버스에 적용할 경우, 기기 호스트는 백미러에 대응하는 앞 유리의 맨 아래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촬영 장치는 운전자 앞 측의 센터페시아/계기판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Depending on different vehicle models, the device host may be mounted in different positions. For example, when applied to a small passenger car, the device host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windshield corresponding to the rearview mirror,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may be mounted in the center fascia/instrument panel area in front of the driver or at the top of the windshield in front of the driver. Can be mounted on top. When applied to a light truck/general truck/minivan, the device host may be mount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windshield corresponding to the rearview mirror,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center fascia/instrument panel area in front of the driver or the driver. It can be mounted on the A-pillar of the left frame. When applied to a large truck/bus, the device host may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corresponding to the rearview mirror,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may be mounted in the center fascia/instrument panel area in front of the driver.

제1 촬영 장치를 캐빈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하면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제1 촬영 장치가 주행 영상을 수집하는 데에 편리하고, 차선 신호등 등을 이미징하여 보조 운전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기기 호스트와 별도로 설치되고 통신 연결되는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차량 내 영상을 분석 처리하여 운전자, 차량 내 승객에 대해 행동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f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is installed facing the outside of the cabin, a drive recorder function can be implemented, making it convenient for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to collect driving images, and an auxiliary driving function can also be implemented by imaging lane traffic lights, etc. Driving safety can be improved by analyzing and processing in-vehicle images collected by a second imaging device that is separately installed and communicated with the device host through a processor and detecting behavior for the driver and passengers in the vehicle.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기기 호스트(10)에는 기능 버튼(13), 데이터 인터페이스(14) 및 카드 슬롯 등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기능 버튼(13)은 볼륨 버튼 및 전원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인터페이스(14)는 USB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케이블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드 슬롯은 TF 카드(플래시 메모리 카드, Trans-flash Card 또는 Micro SD Card) 및 SIM 카드(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과 같은 IC 카드와 어댑트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기능 버튼(13)에 대응하는 버튼 자리 개구(abdicating opening)(131) 및 카드 슬롯을 덮는 카드 커버(15)가 설치될 수 있다. 기능 버튼(13), 데이터 인터페이스(14) 및 카드 슬롯의 위치는 상기 기기 호스트(10)의 측 단면, 전 단면 및/또는 후 단면에 설정될 수 있고,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기기 호스트(10)는 상이한 유형의 데이터 인터페이스(14)를 설치하여 다중 데이터 수집 채널을 직접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이 용이하여 제품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device host 10 may be equipped with structures such as function buttons 13, data interfaces 14, and card slots. The function button 13 may include a volume button and a power button, the data interface 14 may include a USB interface and a network cable interface, and the card slot may include a TF card (flash memory card, trans-flash card). Alternatively, it can be adapted with IC cards such as Micro SD Card) and SIM cards (Subscriber Identity Module). A button abdicating opening 131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button 13 and a card cover 15 covering the card slot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1. The positions of the function button 13, data interface 14, and card slot may be set on the side section, front section, and/or back section of the device host 10, and may be set according to actual demand. The device host 10 can directly establish multiple data collection channels by installing different types of data interfaces 14, making it easy to connect with different types of external devices to expand product functionality.

프로세서는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차량 내 영상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차량 내 영상은 운전자의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운전자의 비디오 스트림에 기반하여 운전자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촬영 장치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 내에 장착되어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운전자의 비디오 스트림은 머리를 숙이거나 하품을 하거나 전화를 받는 등과 같은 운전자의 행동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운전자의 비디오 스트림에 기반하여 운전자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하여 운전자의 상기 규정 위반 행동이 검출되면 경보, 음성 알림 등 상응하는 조작을 수행하여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눈을 감거나, 머리를 숙이거나, 입을 벌리거나, 한 손으로 운전하거나, 휴대폰을 들고 있는 것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이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되면, 프로세서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기반하여 운전자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하여 분석을 통해 운전자가 졸거나, 휴대폰을 놀거나, 하품을 하거나, 전화를 받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의 상기 규정 위반 행동이 검출되면, 기기 호스트는 경보, 음성 알림 등 해당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주행 안전성이 향상된다. 설명해야 할 점은, 기기 호스트는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기반으로 운전자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기반으로 운전자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The processor may process in-vehicle images collected by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proces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in-vehicle images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Optionally, the in-vehicle video may include a driver's video stream, and the processor performs driver behavior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driver's video stream collected by the second imaging device.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imaging device may be mounted within a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and mainta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rocessor. The driver's video stream collected by the second imaging device may repres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driver, such as lowering the head, yawning, answering a phone, etc. The processor performs driver behavior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driver's video stream collected by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and when the driver's behavior that violates the regulations is detected, it performs corresponding operations such as alarms and voice notifications to improve driving safety. You can. For example, when a video stream is collected by the imaging device, such as the driver closing his eyes, lowering his head, opening his mouth, driving with one hand, or holding a cell phone, the processor By performing driver behavior detection processing, analysis can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dozing off, playing on a cell phone, yawning, or answering a phone call. When a driver's behavior that violates the above regulations is detected, the device host can perform corresponding operations such as alarms and voice notifications, thereby improving driving safety. What should be explained is that the device host can not only use the above method to perform driver behavior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video stream, but also use other methods of related technology to perform driver behavior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video stream. It may be don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나아가, 기기 호스트(10)는 방열판(16), 메인 보드(17), GPS 모듈, GPS 브래킷(18) 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부재는 하우징(11) 내에 수용되고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와이어(12), 기능 버튼(13), 데이터 인터페이스(14), GPS 모듈 등 구조는 메인 보드(17)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메인 보드(17)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기반하여 운전자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하며,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와 같이 저전력 칩을 사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device host 10 may further include members such as a heat sink 16, a main board 17, a GPS module, and a GPS bracket 18, and these members may be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11. . Structures such as the first connection wire 12, function button 13, data interface 14, GPS module, etc. may be integrated into the main board 17. The processor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board 17, and the processor may perform driver behavior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video stream.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use a low-power chip, such as a single-chip microcomputer. .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에는 개구(19)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촬영 장치(20)의 제1 카메라(21)는 상기 개구(19)로부터 상기 하우징(11)에서 노출되어 주행 영상을 수집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촬영 장치(20)의 제1 카메라(21)는 상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즉 제1 카메라(21)는 하우징(11)과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1 촬영 장치(20)의 시야각 범위가 확대되고, 제1 촬영 장치(20)의 광 입력 량이 증가될 수 있어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촬영 장치(20)를 수평면과 거의 평행하도록 회전시키고 캐빈의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housing 11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9, and the first camera 21 of the first imaging device 20 is exposed in the housing 11 from the opening 19. and collect driving videos. Optionally, the first camera 21 of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11, that is, the first camera 21 can rotate relative to the housing 11. Therefore, the viewing angle range of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is expanded, and the amount of light input to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image quality and further improving detection performanc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may be rotat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and install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cabin.

상기 설치를 통해 한편으로는 제1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이한 각도의 앞 유리에 적응할 수 있다. 기기 호스트(10)가 상이한 각도의 앞 유리에 장착되는 경우, 제1 카메라(21)를 회전시켜 촬영 시야각이 대략 수평 방향을 유지하도록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좋은 촬영 효과를 낼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21)의 회전 각도는 기기 호스트(10)의 하우징(11)의 개구(19)의 개구홀 크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개구홀 가장자리는 제1 카메라(21)의 회전 스톱 위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대적으로 제1 카메라(21)의 회전 가능한 각도는 0~80°이며, 이는 20도 이상의 소형 승용차 앞 유리 한계 경사각 및 80도 이상의 벤 트럭 한계 경사각의 광범위한 장착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으며 적용성이 크다. The above installation allows, on the one hand, to adjust the shooting angle of the first camera, and, on the other hand, to adapt to windshields of different angles. When the device host 10 is mounted on a windshield at a different angle, the first camera 21 can be rotated to adjust the shooting angle so that the shooting viewing angle remains approximately horizontal, thereby producing a good shooting effect. Here,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camera 2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pening hole 19 of the housing 11 of the device host 10, and the edge of the opening hole is the rotation stop of the first camera 21. It's location. In one embodiment, the rotatable angle of the first camera 21 relative to the housing is from 0 to 80 degrees, which meets the wide mounting requirements of small passenger car windshield limit tilt angles of more than 20 degrees and van truck limit tilt angles of more than 80 degrees. can be satisfied and has great applicability.

상기 하우징(11)은 제1 하우징부(111) 및 상기 제1 하우징부(111)와 조립되는 제2 하우징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하우징부(111)는 전면 하우징, 제2 하우징부(112)는 후면 하우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11) 및 제2 하우징부(112)는 하우징(11)을 탈착하고 하우징 내에 수용된 각 부재의 보수, 교체에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하우징부(111)와 상기 제2 하우징부(112) 사이는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고, 방열판(16), 메인 보드(17), GPS 모듈, GPS 브래킷(18) 등 부재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수용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20)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설치되며, 제1 카메라(21)는 상기 개구(19)로부터 상기 하우징(11)에서 노출된다. 제1 촬영 장치(20)가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하우징(11)을 이용하여 제1 촬영 장치(20)를 보호할 수 있다. 이 밖에, 제1 촬영 장치(20), 방열판(16), 메인 보드(17), GPS 모듈, GPS 브래킷(18) 등 부재는 하우징(11) 내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구조 레이아웃이 컴팩트하므로, 기기 호스트(10)의 내부 공간을 합리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유리하다. The housing 11 may include a first housing part 111 and a second housing part 112 assembled with the first housing part 111, where the first housing part 111 includes a front housing, The second housing portion 112 can be understood as a rear housing. The first housing part 111 and the second housing part 112 are installed to be detachable so as to facilitate detachment of the housing 11 and repair and replacement of each memb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 receiving cavity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part 111 and the second housing part 112, and members such as the heat sink 16, the main board 17, the GPS module, and the GPS bracket 18 are formed in the receiving cavity. The first imaging device 20 is partially received and installed within the receiving cavity, and the first camera 21 is exposed in the housing 11 from the opening 19.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can be protected using the housing 11. In addition, members such as the first imaging device 20, heat sink 16, main board 17, GPS module, and GPS bracket 18 are installed centrally within the housing 11, so that the structural layout is compact, so the device host It is advantageous for rational use of the internal space of (10).

상기 제1 하우징부(111) 및 상기 제2 하우징부(112) 중 하나에는 상기 개구(19)가 설치된다. 또는 제1 하우징부(111) 및 제2 하우징부(112)는 각각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한 후 접합되어 개구(19)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부(111)에는 제1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부(112)에는 제2 개구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는 접합되어 상기 개구(19)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부(112)에는 개구(19)가 설치된다. The opening 19 is provided in one of the first housing part 111 and the second housing part 112. Alternatively, the first housing part 111 and the second housing part 112 each form a part of the opening and then are joined to form the opening 19. Optionally, a first opening is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part 111, a second opening is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part 112, and the second opening and the first opening are joined to open the opening ( 19) is form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 opening 19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portion 112.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호스트(10)의 하우징(11)의 표면에는 돌기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 표면은 제1 하우징 표면(113) 및 상기 제1 하우징 표면(113)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하우징 표면(1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20)는 상기 제1 하우징 표면(113) 및 상기 제2 하우징 표면(114)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 표면(113)과 상기 제2 하우징 표면(114) 사이의 협각 범위는 140° 내지 160°이며, 이는 상이한 각도의 앞 유리에 적응할 수 있고 더욱이 제1 카메라(21)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촬영 장치(20)는 상기 제2 하우징 표면(114)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 표면(113)은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된다. In some optional embodiments, the surface of the housing 11 of the device host 10 is formed with a protruding surface, and the protruding surface is oblique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and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and a second housing surface 114, wherein the first imaging device 20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of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and the second housing surface 114. In one embodiment,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and the second housing surface 114 ranges from 140° to 160°, which can adapt to windshields of different angles and furthermore allows the first camera 21 ) can be easily rotated.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5, the first imaging device 20 is installed on the second housing surface 114, and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is mounted on a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do.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112)는 제1 하우징부(111)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 표면은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 표면(113) 및 상기 제1 하우징 표면(113)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하우징 표면(114)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표면(114)에는 상기 개구(19) 또는 제2 개구부가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하우징 표면(113)에는 장착 부재(30)가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11)은 장착 부재(30)를 통해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연결될 수 있는 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차체 내부 컴포넌트는 앞 유리(90)일 수 있고, 돌기 표면은 제1 하우징부(111)로부터 밖으로 돌기되며, 제1 하우징 표면(113)은 앞 유리(90)에 장착되고, 제2 하우징 표면(114)과 제1 하우징 표면(113)은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제2 하우징 표면(114)과 앞 유리(90)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제1 카메라(21)를 수용할 수 있으며, 제1 카메라(21)의 각도 조절이 편리하다. 제1 촬영 장치(20)는 제1 하우징 표면(113)과 평행되는 회전축을 통해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1 하우징 표면(113)이 상이한 각도의 앞 유리에 부착되는 경우, 제1 촬영 장치(20)가 회전축을 통해 앞 유리 밖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112)는 제1 하우징부(111)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2 개의 돌기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돌기 표면은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하우징 표면(113) 및 제2 하우징 표면(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하우징 표면(113)은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되고, 제2 하우징 표면(114)에는 상기 개구(19) 또는 상기 제2 개구부가 설치된다. 3 to 5, in some optional embodiments, the second housing portion 112 includes a protruding surfac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first housing portion 111, and the protruding surface is formed inside the vehicle body. It includes a first housing surface 113 mounted on the component and a second housing surface 114 oblique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wherein the second housing surface 114 has the opening 19 or A second opening is installed. Optionally,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can be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30 , and the housing 11 can be connected to a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via the mounting member 30 ,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one embodiment, the body interior component may be a windshield (90), with a protruding surface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housing portion (111), and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mounted on the windshield (90); The second housing surface 114 and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are installed at an angle, so that a certai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surface 114 and the windshield 90 to accommodate the first camera 21. And it is convenient to adjust the angle of the first camera 21. The first imaging device 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11 through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so that when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is attached to the windshield at different angles,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can be rotated to face out the windshield through the rotation axis.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second housing portion 112 may include at least two protruding surfaces that protrude outwardly from the first housing portion 111, and the protruding surfaces are obliquely connected to each other. (113) and a second housing surface (114). Here,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is mounted on a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and the second housing surface 114 is provided with the opening 19 or the second opening.

선택적으로, 제1 하우징 표면(113)과 제2 하우징 표면(114) 사이의 연결 위치는 원호 과도 구조로, 경사진 호형 표면을 형성하여 쉽게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으며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디자인 감각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호 과도 하우징 표면은 제1 하우징 표면을 앞 유리에 장착하는 데에 편리하게 하고, 운전자의 시각에 대한 간섭을 줄인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부(112)가 제1 하우징부(111)를 멀리하는 일측 표면(즉 배면)에 상기 돌기 표면이 형성되고, 제2 하우징부(112)는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하우징 표면(113) 및 제2 하우징 표면(114)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차체 내부 컴포넌트는 앞 유리(90)이고, 제2 하우징부(112)의 배면에는 상기 돌기 표면이 형성되며, 제2 하우징 표면(114)과 앞 유리(90) 사이에 형성된 협각은 제1 카메라(21)의 조절 각도를 보상할 수 있어 여러 가지 경사도를 가진 앞 유리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 표면(114)과 앞 유리(9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제1 카메라(21)를 수용할 수 있고 또한 제1 카메라(21)의 각도 조절이 편리하다. Optionally, the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and the second housing surface 114 is an arc transition structure, forming an inclined arc-shaped surface so as not to easily distract the driver's attention and improve driving safety, and the product The design sense can also be improved, and the arcuate transitional housing surface makes it convenient to mount the first housing surface to the windshield and reduces interference with the driver's vision. In one embodiment, the protruding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i.e., the back side) of the second housing part 112 away from the first housing part 111, and the second housing part 112 is oblique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part 111. It includes a housing surface 113 and a second housing surface 114.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is a windshield 90, the protruding surfac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12, and the included angl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surface 114 and the windshield 90. can compensate for the adjustment angle of the first camera 21, so it can be applied to windshields with various inclinations, and a certai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surface 114 and the windshield 90, so that the first camera 21 (21) can be accommodated and the angle of the first camera (21) can be easily adjusted.

일 실시예에서,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촬영 장치(20)는 주체부(22) 및 주체부(22) 내에 설치된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렌즈 어셈블리는 카메라(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체부(22)는 상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 촬영 장치(20)가 상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In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22 to 24,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includes a main body 22 and a lens assembly installed within the main body 22, and the lens assembly uses a camera 21. It may include, and the main body 2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11, so that the first imaging device 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11.

제1 촬영 장치(20)와 하우징(11) 사이의 보다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는 지지 부재(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170)는 상기 하우징(11) 내에 고정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20)는 상기 지지 부재(1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 부재(170)를 하우징(11)의 내벽에 고정함으로써, 제1 촬영 장치(20)를 지지할 수 있고, 제1 촬영 장치(20)를 보호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촬영 장치(20)를 상기 지지 부재(1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제1 촬영 장치(20)와 상기 하우징(11)의 회전 가능한 연결을 구현한다. For a more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and the housing 11,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170, and the support member 170 is fixed within the housing 11. The first imaging device 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170. By fixing the support member 170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1, the first imaging device 20 can be supported and the first imaging device 20 can be protected. Optionally, by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imaging device 20 to the support member 170, a rotatabl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imaging device 20 and the housing 11 is implemented.

일 실시예에서, 주체부(22)는 제1 주체 부재(221) 및 제1 주체 부재(221)와 접합되는 제2 주체 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주체 부재(221)와 제2 주체 부재(222) 사이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카메라(21)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주체 부재(221)에는 관통(through hole) 홀(223)이 설치되고, 카메라(21)는 관통 홀(223)을 통해 주체부(22)로부터 노출된다. 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22 may include a first main member 221 and a second main member 222 joined to the first main member 221, and the first main member 221 and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main members 222, and the camera 21 is accommodated and installed within the accommodating space. Optionally, a through hole 223 is installed in the first main member 221, and the camera 21 is exposed from the main body 22 through the through hole 223.

나아가, 상기 지지 부재(170)는 제1 지지 부재(171) 및 제2 지지 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지지 부재(171)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172)는 상기 개구(19)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의 내벽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촬영 장치(20)의 주체부(22)는 상기 제1 지지 부재(171)와 상기 제2 지지 부재(17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1 촬영 장치(20)가 기기 호스트(10)의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게 한다. Furthermore, the support member 17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171 and a second support member 172,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7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72 may be formed through the opening. It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1) from both sides of (19). Since the main body 22 of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71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172,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device host. I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 of (10).

주체부(22)가 지지 부재(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촬영 장치(20)의 주체부(22)의 양측에는 각각 제1 회전부(미도시) 및 제2 회전부(224)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171)에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1 협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 부재(172)에는 상기 제2 회전부(224)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2 협력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부는 제1 주체 부재(221)의 좌측에 설치되고, 제2 회전부(224)는 제1 주체 부재(221)의 우측에 설치된다.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224)는 회전축 구조일 수 있고, 제1 협력부 및 제2 협력부는 회전축 구조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호형 요홈 구조일 수 있다. 회전축 구조는 호형 요홈 구조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주체부(22)는 지지 부재(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A first rotating part (not shown) and a second rotating part 224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part 22 of the first imaging device 20 so that the main part 2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70. is installed, and a first cooperation part that adapts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first rotating part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171, and a first cooperation part that adapts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second rotating part 224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172. A second cooperation unit to be tapped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otating part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main member 221,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224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main member 221. The first rotat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224 may have a rotating shaft structure, and the first cooperating part and the second cooperating part may have an arc-shaped groove structure that adapts to the outer shape of the rotating shaft structure. Since the rotating shaft structure can rotate within the arc-shaped groove structure, the main body 2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70.

나아가, 제1 지지 부재(171)는 제1 브래킷 부재(711) 및 상기 제1 브래킷 부재(711)와 접합되는 제2 브래킷 부재(7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래킷 부재(711)에는 제1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1 호형 협력부(7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래킷 부재(712)에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2 호형 협력부(714)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호형 협력부(714)와 상기 제1 호형 협력부(713)는 접합되어 상기 제1 협력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회전부 및 제2 협력부는 회전축 구조이고, 제2 호형 협력부(714)와 제1 호형 협력부(713)가 접합되어 형성된 제1 협력부 및 제2 협력부는 회전축 구조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호형 요홈 구조일 수 있다. 회전축 구조는 대응하는 호형 요홈 구조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주체부(22)가 지지 부재(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브래킷 부재(711) 및 제2 브래킷 부재(712)의 요홈 중심은 제1 회전부의 회전축과 중첩되고, 제2 지지 부재(172)의 요홈 중심은 제2 회전부(224)의 회전축과 중첩되므로, 주체부(22)는 제1 카메라(21)를 지지 부재(170)의 제1 지지 부재(171)와 제2 지지 부재(172) 사이에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support member 171 includes a first bracket member 711 and a second bracket member 712 joined to the first bracket member 711, and the first bracket member 711 includes a second bracket member 712. 1 A first arc-shaped cooperation part 713 that adapts to the outer shape of the rotating part is formed, and a second arc-shaped cooperation part 714 that adapts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first rotating part is installed on the second bracket member 712, The second arc-shaped cooperation part 714 and the first arc-shaped cooperation part 713 are joined to form the first cooperation part. Here, the first rotating part and the second cooperating part have a rotating shaft structure, and the first cooperating part and the second cooperating part formed by joining the second arc-shaped cooperating part 714 and the first arc-shaped cooperating part 713 have an arc shape that adapts to the outer shape of the rotating shaft structure. It may be a groove structure. Since the rotating shaft structure can rotate within the corresponding arc-shaped groove structure, the main body 2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70. Optionally, the groove centers of the first bracket member 711 and the second bracket member 712 overlap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the groov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72 overlaps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tating portion 224. Since it overlaps, the main body 22 can rotate the first camera 21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17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72 of the support member 170.

주체부(22)와 지지 부재(170)가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협력부 및 제2 협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에는 고무 링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협력부 내벽의 고무 링에 인접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협력부 내벽의 고무 링에 인접되어 주체부(22)와 지지 부재(17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224)와 협력부 사이의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에 의해 생성되는 마찰은 카메라(21)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한 후, 자동차 주행 진동으로 인해 회전 각도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협력부의 내벽 및 상기 제2 협력부의 내벽에는 모두 고무 링이 설치되어 주체부(22)와 지지 부재(17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A rubber ring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ooperation part and the second cooperation part so that the main body 22 and the support member 170 are more stably connected, and the first rotating part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operation part. It may be adjacent to the rubber ring of and/or the second rotating part may be adjacent to the rubber ring of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ooperation part to increase friction between the main body 22 and the support member 170. Therefore, the friction generated by the interference fit between the rotating part 224 and the cooperation part prevents the rotation angle from moving due to the vibration of the car after the camera 21 has rotated to the desired position. Optionally, rubber rings may be installed on bo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operation part and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ooperation part to increase friction between the main body 22 and the support member 170.

실제 적용 과정에서, 먼저 제1 브래킷 부재(711) 및 제2 브래킷 부재(712)를 나사를 조여 기기 호스트(10)의 하우징(11)의 개구(19) 내벽에 고정시킨다. 제1 지지 부재(171) 및 제2 지지 부재(172)의 요홈 구조에 고무 링을 안착한다. 제1 카메라(21)와 주체부(22)의 제1 주체 부재(221) 및 제2 주체 부재(222)를 나사를 조여 일체로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전체 주체부(22)를 제1 카메라(21)와 함께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통해 대응하는 제1 협력부 및 제2 협력부에 연결함으로써, 제1 촬영 장치(20)를 제1 지지 부재(171)와 제2 지지 부재(172) 사이에 장착시켜 제1 촬영 장치(20)의 장착을 완료한다. In the actual application process, the first bracket member 711 and the second bracket member 712 are first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opening 19 of the housing 11 of the device host 10 by tightening screws. A rubber ring is seated in the groove structur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7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72. The first main member 221 and the second main member 222 of the first camera 21 and the main unit 22 are formed as one body by tightening screws. Finally, by connecting the entire main unit 22 with the first camera 21 to the corresponding first and second cooperation units through the first rotation unit and the second rotation unit, the first imaging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unit. Mounting of the first imaging device 20 is completed by mounting it between the member 17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72.

도 6을 참조하면, 도 6 중 왼쪽 도면에서, 제2 하우징부(112)의 배면에는 상기 돌기 표면이 형성되고, 도 6 중 오른쪽 도면에서, 제2 하우징부(112)의 배면에는 돌기 표면이 형성되지 않고 대체로 평면이다. 대조를 통해 제2 하우징부(112)의 배면에 상기 돌기 표면을 형성하면 하우징(11)과 앞 유리(90) 사이에 큰 공간을 남길 수 있으므로 공간 부족으로 인한 제1 카메라(21)와 유리 표면 사이의 위치 간섭 때문에 제1 카메라(21)를 적절한 각도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left drawing of FIG. 6, the protruding surfac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art 112, and in the right drawing of FIG. 6, the protruding surfac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unit 112. It is not formed and is generally flat. If the protruding surface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12 through contrast, a large space can be left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windshield 90, so that the first camera 21 and the glass surface due to lack of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adjust the first camera 21 to an appropriate angle due to positional interference between cameras.

도 1,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는 장착 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장착 부재(30)는 백젤(adhesive backing) 등 방식으로 차체 내부 컴포넌트(예를 들어, 앞 유리)에 고정될 수 있으며, 기기 호스트(10)의 하우징(11)은 장착 부재(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수 기기 호스트(10)의 탈착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 기기 호스트(10)를 장착 부재(30)로부터 탈착하고, 새로운 기기 호스트(10)를 교체 시 기기 호스트(10)를 장착 부재(30)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기기 호스트(10)가 원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보장할 뿐만 아니라 기기 호스트(10)의 직접 떼어냄으로 인해 백젤이 앞 유리에 잔류하여 탈착이 어려운 문제점도 방지한다. 1, 3, 7, and 8,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member 30, where the mounting member 30 is a back gel. It may be fixed to an internal component of the vehicle body (e.g., windshield) using an adhesive backing method, etc., and the housing 11 of the device host 1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30. When the maintenance device host 10 needs to be detached or replaced, the device host 10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member 30, and when replacing a new device host 10, the device host 10 is attached to the mounting member 30. It can be installed. Therefore, not only does it ensure that the device host 10 can be mounted in its original position, but it also prevents the problem of the back gel remaining on the windshield due to direct removal of the device host 10, making it difficult to attach and detach.

상기 장착 부재(30)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연결되는 제1 장착면(31) 및 상기 하우징(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장착면(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면(31)에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접착 및 연결되는 접착 콜로이드가 설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백젤 방식으로 앞 유리에 연결된다. The mounting member 30 includes a first mounting surface 31 connected to a vehicle body internal component and a second mounting surface 3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11. An adhesive colloid that adheres and connects to internal components of the vehicle body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mounting surface 31, for example, connected to the windshield using a back gel method.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부재(30)에는 클램핑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기기 호스트(10)에는 상기 클램핑 부재와 어댑트되는 걸림 홈이 설치된다. 상기 걸림 홈은 상기 클램핑 부재에 걸리고, 나아가 상기 기기 호스트(10)를 상기 장착 부재(30)에 장착한다. 클램핑 부재와 걸림 홈의 협력을 통해 기기 호스트(10)와 장착 부재(30)를 서로 조립될 수 있음으로써 조작이 용이하고 기기 호스트(10)의 보수 및 교체가 편리하다. In some optional embodiments, the mount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clamping member, and the device host 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that adapts to the clamping member. The locking groove catches the clamping member and further mounts the device host 10 to the mounting member 30. The device host 10 and the mounting member 30 can be assembled together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clamping member and the locking groove, making operation easy and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device host 10 convenient.

도 1,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장착면(32)에는 클램핑 부재(33)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클램핑 부재(33)와 어댑트되는 걸림 홈(115)이 형성된다. 기기 호스트(10)는 걸림 홈(115)과 클램핑 부재(33)의 걸림 및 협력을 통해 별도의 공구의 도움이 필요 없이도 분리 가능하게 장착 부재(30)에 조립되어 조작하기 편리하다. 기기 호스트(10) 장착 시, 걸림 홈(115)은 장착 부재의 클램핑 부재(33)에 걸려서 서로 고정된다. 기기 호스트(10)의 탈착, 교체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 기기 호스트(10)의 걸림 홈(115)을 장착 부재(30)의 클램핑 부재(33)로부터 인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11)의 외부 표면에는 장착 부재(30)의 제2 장착면(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19)가 설치되고, 걸림 홈(115)과 클램핑 부재(33)는 서로 걸려서 고정된 후, 돌기부(119)와 장착 부재(30)의 제2 장착면(32) 사이에는 마찰 접촉이 형성되어 보다 견고하게 걸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 홈(115)은 하우징(11)의 제2 하우징부(112)의 제1 하우징 표면(113)에 설치된다. 클램핑 부재(33)의 수량은 2개이고, 걸림 홈(115)의 수량은 2개이다. 돌기부(119)의 수량은 4개이고, 클램핑 부재(33)의 네 모서리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므로, 돌기부(119)와 장착 부재(30)의 제2 장착면(32) 사이의 마찰 접촉이 고르게 분포된다. As shown in FIGS. 1, 3, 7, and 8, in one embodiment, a clamping member 33 is installed on the second mounting surface 3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 has the A locking groove 115 adapted to the clamping member 33 is formed. The device host 10 is assembled to the mounting member 30 so that it can be detach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tool through the locking and cooperation of the locking groove 115 and the clamping member 33, making it convenient to operate. When mounting the device host 10, the locking groove 115 is caught by the clamping member 33 of the mounting member and fixed to each other. When the device host 10 needs to be detached, replaced, or repaired, the locking groove 115 of the device host 10 is pulled out from the clamping member 33 of the mounting member 30. Optionally, at least one protrusion 119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unting surface 32 of the mounting member 30, and a locking groove 115 and a clamping member ( 33) are fixed to each other, and then friction contact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119 and the second mounting surface 32 of the mounting member 30, so that they can be hung more firmly. 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groove 115 is installed on the first housing surface 113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12 of the housing 11. The number of clamping members 33 is two, and the number of locking grooves 115 is two. The number of protrusions 119 is four, and they are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ner positions of the clamping member 33, so that the frictional contact between the protrusions 119 and the second mounting surface 32 of the mounting member 30 is evenly distributed. do.

나아가, 클램핑 부재(33)와 걸림 홈(115) 간의 걸림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핑 부재(33)는 제1 클램핑부(331) 및 제2 클램핑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핑부(331)는 상기 제2 장착면(32)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클램핑부(332)는 상기 제1 클램핑부(331)가 상기 제2 장착면(32)를 멀리하는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클램핑부(332)의 외부 윤곽 면적은 상기 제1 클램핑부(331)의 외부 윤곽 면적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부재(33)는 T형 칼럼 구조를 사용하고, 제2 클램핑부(332)의 일단은 호형 면으로 설치되며, 다른 일단은 평면으로 설치되어 걸림 홈(115)과 클램핑 부재(33)의 상호 정렬(자리 맞춤)에 편리하다.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he locking rigidity between the clamping member 33 and the locking groove 115, the clamping member 33 includes a first clamping part 331 and a second clamping part 332, and the first clamping part 331 includes a second clamping part 332. The clamping part 331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surface 32, and the second clamping part 33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lamping part 331 away from the second mounting surface 32. The outer contour area of the second clamping part 332 is larger than the outer contour area of the first clamping part 331.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8, the clamping member 33 uses a T-shaped column structure, one end of the second clamping part 332 is installed with an arc-shaped surface,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with a flat surface. It is convenient for mutual alignment (alignment) of the locking groove 115 and the clamping member 33.

상기 걸림 홈(115)은 제1 걸림 홈 본체(116) 및 상기 제1 걸림 홈 본체(116)와 연통되게 설치된 제2 걸림 홈 본체(11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 홈 본체(116)의 홈 구조는 상기 제1 클램핑부(331)와 어댑트되며, 상기 제2 걸림 홈 본체(117)의 홈 구조는 상기 제2 클램핑부(332)와 어댑트된다. The locking groove 115 includes a first locking groove body 116 and a second locking groove body 117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locking groove body 116, and the first locking groove body 116 The groove structure of adapts to the first clamping part 331, and the groove structure of the second locking groove body 117 adapts to the second clamping part 332.

기기 호스트(10) 장착 시, 걸림 홈(115)의 제2 걸림 홈 본체(117)를 장착 부재의 클램핑 부재(33)의 제2 클램핑부(332)에 씌운 후, 기기 호스트(10)를 병진 이동시켜 걸림 홈(115)의 제1 걸림 홈 본체(116)와 클램핑 부재(33)의 제1 클램핑부(331)가 서로 걸리도록 한다. 제1 걸림 홈 본체(116)의 개구 면적이 제1 클램핑부(331)의 외부 윤곽 면적보다 작으므로, 걸림 홈(115)과 클램핑 부재(33) 간의 걸림을 구현할 수 있어 기기 호스트(10)와 장착 부재(30)가 서로 조립 및 고정된다. 기기 호스트(10)의 탈착, 교체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 기기 호스트(10)를 병진 이동시켜 걸림 홈(115)의 제1 걸림 홈 본체(116)가 클램핑 부재(33)의 제1 클램핑부(331)에서 인출된 후, 걸림 홈(115)의 제2 걸림 홈 본체(117)가 클램핑 부재(33)의 제2 클램핑부(332)에서 인출되도록 하고, 걸림 홈(115)이 클램핑 부재(33)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때 양자는 서로 분리되며, 따라서 기기 호스트(10)는 장착 부재(30)로부터 분리된다. When mounting the device host 10, the second locking groove body 117 of the locking groove 115 is covered with the second clamping portion 332 of the clamping member 33 of the mounting member, and then the device host 10 is translated. It is moved so that the first locking groove body 116 of the locking groove 115 and the first clamping portion 331 of the clamping member 33 are locked to each other. Since the opening area of the first locking groove main body 116 is smaller than the outer contour area of the first clamping part 331, locking between the locking groove 115 and the clamping member 33 can be implemented, thereby allowing the device host 10 and The mounting members 30 are assembled and secured to each other. When detachment,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device host 10 is required, the device host 10 is moved in translation so that the first locking groove body 116 of the locking groove 115 is connected to the first clamping portion of the clamping member 33 ( After being pulled out from 331, the second locking groove body 117 of the locking groove 115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clamping portion 332 of the clamping member 33, and the locking groove 115 is pulled out from the clamping member 33. ), the two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device host 1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member 30.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램핑부(332)에는 상기 제1 클램핑부(331)의 일측 표면에 가이드 홈(333)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 홈(115)의 바닥 벽에는 상기 가이드 홈(333)과 협력하는 가이드부(118)가 설치된다. 기기 호스트(10)가 병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118)는 가이드 홈(333)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가이드 작용을 할 수 있다. In some selectable embodiments, the second clamping part 332 has a guide groove 333 formed concave inwar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lamping part 331, and the bottom wall of the locking groove 115 A guide portion 118 that cooperates with the guide groove 333 is installed. During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device host 10, the guide unit 118 may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333 to serve as a gu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홈(333)은 구면 홈일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118)는 구면 돌기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18)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홈(333)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다. 기기 호스트(10)가 병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118)를 통해 가이드 홈(333)과 구면으로 접촉함으로써 더 우수한 가이드 작용을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groove 333 may be a spherical groove, the guide portion 118 may have a spherical protrusion structure, and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118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uide groove 333. It's the sam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device host 10, a better guiding function can be achieved by contacting the guide groove 333 with a spherical surface through the guide portion 118.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18) 및 제2 클램핑부(332)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부재이다. 이와 같이, 걸림 홈(115)과 클램핑 부재(33)가 서로 걸려서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18) 및 제2 클램핑부(332) 중 적어도 하나는 압축 상태이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탄성 복원력은 장착 부재(30)와 기기 호스트(10) 사이에서 인장력을 형성하여 클램핑 부재(33)와 걸림 홈(115) 사이의 걸림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 홈(115)이 클램핑 부재(33)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탄성 복원력은 기기 호스트(10)가 장착 부재(30)로부터 인출하는 데에 더 편리하다. Optionally, at least one of the guide portion 118 and the second clamping portion 332 is an elastic member. 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groove 115 and the clamping member 33 are locked together, at least one of the guide portion 118 and the second clamping portion 332 is in a compressed state,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generated accordingly is By forming a tensile force between the mounting member 30 and the device host 10, the locking rigidity between the clamping member 33 and the locking groove 115 can be improved. When the locking groove 115 is pulled out from the clamping member 33,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more convenient for the device host 10 to be pulled out from the mounting member 30.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에서,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비한 제1 촬영 장치(20)를 운전자 행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기기 호스트(10) 내에 조립하고 양자를 일체로 직접함으로써,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장착에 필요한 차체 내부 점유 공간을 줄이고, 상이한 차종에 어댑트되어 사용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고 적용 범위가 넓은 등 이점을 구비한다. 기기 호스트(10)의 하우징(11)의 배면에 돌기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제1 촬영 장치(20)의 조절 각도를 보상할 수 있어 여러 가지 경사 정도의 앞 유리에 적용될 수 있다. 기기 호스트(10)는 앞 유리에 설치된 장착 부재(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기기 호스트(10)의 교체 및 보수하기 편리하다. In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20 with a drive recorder function is assembled into the device host 10 with a driver behavior detection function and both are integrated into one. , it has advantages such as reducing the space occupied inside the vehicle body required for mounting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being convenient to use and having a wide application range since it can be used by adapting to different types of vehicles. By forming a protruding surface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 of the device host 10, the adjustment angle of the first imaging device 20 can be compensat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windshields of various degrees of inclination. The device host 1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30 installed on the windshield, making it convenient to replace and repair the device host 10.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상기 실시예 및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에 적용되는 장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As shown in Figure 19,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unting method applied to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embodiments. The above method is,

상기 기기 호스트의 표면을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하고, 상기 제1 촬영 장치를 차량의 앞 유리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101을 포함한다. and step 101 of attaching the surface of the device host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rotating the first imaging device toward the outside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상기 방법을 통해 기기 호스트를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하여 앞 유리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제1 촬영 장치를 수용하고 제1 촬영 장치를 회전시켜 각도 조절에 편리하다. 제1 촬영 장치를 차량의 앞 유리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제1 촬영 장치가 주행 영상을 수집하는 데에 편리하며, 또한 차선 신호등 등을 이미징하여 보조 운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device host can be attached to the windshield of a vehicle to form a certain space between the windshield and the windshield, which is convenient for accommodating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rotating the first imaging device to adjust the angle. A drive recorder function can be implemented by pointing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toward the outside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is convenient for collecting driving images, and can also implement an auxiliary driving function by imaging lane traffic lights, etc. You can.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호스트의 표면을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호스트의 표면을 차량의 앞 유리의 맨 위 또는 맨 아래에 부착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기 호스트의 표면을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하여 내부 백미러 배면 영역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some optional embodiments, attaching the surface of the device host to the windshield of a vehicle may include attaching the surface of the device host to the top or bottom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or attaching the surface of the device host to the top or bottom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It further includes attaching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positioning it in the rear area of the interior rearview mirror.

나아가, 상기 장착 방법은 또한,Furthermore, the mounting method also includes: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를 센터페시아, 계기판 영역, A필러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장착하는 단계 102를 포함한다.It includes step 102 of mounting a second imaging device for collecting images within the vehicle at at least one of the center fascia, instrument panel area, and A-pillar.

상기 설치를 통해 상이한 차종에 따라 기기 호스트 및 제2 촬영 장치를 상이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승용차에 적용할 경우, 기기 호스트는 백미러에 대응하는 앞 유리의 맨 위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촬영 장치는 운전자 앞 측의 센터페시아/계기판 영역 또는 운전자 앞 측의 앞 유리의 맨 위에 장착될 수 있다. 경 트럭/일반 트럭/미니밴에 적용할 경우, 기기 호스트는 백미러에 대응하는 앞 유리의 맨 위 또는 맨 아래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촬영 장치는 운전자 앞 측의 센터페시아/계기판 영역 또는 운전자 좌측 프레임의 A필러에 장착될 수 있다. 대형 트럭/버스에 적용할 경우, 기기 호스트는 백미러에 대응하는 앞 유리의 맨 아래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촬영 장치는 운전자 앞 측의 센터페시아/계기판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installation, the device host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can be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different vehicle types. For example, when applied to a small passenger car, the device host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windshield corresponding to the rearview mirror,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may be mounted in the center fascia/instrument panel area in front of the driver or at the top of the windshield in front of the driver. Can be mounted on top. When applied to a light truck/general truck/minivan, the device host may be mount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windshield corresponding to the rearview mirror,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center fascia/instrument panel area in front of the driver or the driver. It can be mounted on the A-pillar of the left frame. When applied to a large truck/bus, the device host may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corresponding to the rearview mirror,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may be mounted in the center fascia/instrument panel area in front of the driver.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방법은 또한, In some optional embodiments, the mounting method also includes:

상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제1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제2 촬영 장치의 제2 연결 와이어를 상기 차량의 앞 유리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하고, 제1 연결 와이어 및 제2 연결 와이어의 인터페이스를 고정되게 연결하는 단계 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를 통해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와 제2 촬영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A first connection wire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nd a second connection wire of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are fixed along the edge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the inte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wire and the second connection wire is fixedly connected. Step 103 may be included. Through the above installatio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can be implemented.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실시예 및 실시형태에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1 and 9,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What should be explained is that the description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embodiments applies equally to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설치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에서,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비한 제1 촬영 장치를 제2 촬영 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기기 호스트 내에 조립하고, 양자를 일체로 직접함으로써,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장착에 필요한 차체 내부 점유 공간을 줄이고, 상이한 차종에 어댑트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하고 적용 범위가 넓은 등 장점을 구비한다. Through the above installation, in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with a drive recorder function is assembled into the device host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hotographic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By integrating both, it reduces the space occupied inside the vehicle body required for mounting visual processing devices on-board, can be adapted to different vehicle types, is convenient to use, and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은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 장치(200)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의 기기 호스트와 별도로 설치되며, 또한 상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의 프로세서와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기기 호스트와 제2 촬영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므로, 사이즈가 작은 경우 더 많은 장착 조건을 충족할 수 있고, 양자의 장착 위치가 유연하며, 각각의 교체 및 보수가 편리하다. 나아가, 기기 호스트와 제2 촬영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상이한 위치에 각각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일체로 설계된 제품에 비해 운전자에 대한 침범감을 줄여 운전자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로 기기 호스트는 자동차의 백미러 근처 앞 유리에 장착하여 백미러 뒤에 은폐할 수 있고; 제2 촬영 장치는 센터페시아 계기판, A필러 등과 같이 운전자 이미지 수집에 적합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내부 컴포넌트는 센터페시아 또는 프레임 연결 필러를 포함하고, 콜로이드 또는 조임 부재(fastener)를 통해 상기 제2 촬영 장치를 상기 센터페시아 또는 프레임 연결 필러에 장착할 수 있다. In some optional embodiments,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for collecting in-vehicle images, wherein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is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It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device host and maintains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rocessor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Since the device host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are installed separately, more mounting conditions can be met when the size is small, the mounting positions of both are flexible, and replacement and repair of each is convenient. Furthermore, since the device host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are installed separately, they can be flexibly installed in different locations, and interference with the driver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sense of intrusion on the driver compared to products designed as an integrated device. For example, in practice, the device host could be mounted on the windshield near the rearview mirror of a car, hiding it behind the rearview mirror;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may be mounted in a location suitable for collecting driver images, such as the center fascia, instrument panel, A-pillar, etc.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interior component includes a center fascia or a frame connection pillar,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center fascia or frame connection pillar through a colloid or fastener.

상기 기기 호스트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촬영 장치(200)에 의해 수집된 차량 내 영상에 기반하여 상응한 검출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2 촬영 장치(200)는 DMS운전자 모니터링 카메라 또는 OMS탑승자 모니터링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기기 호스트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촬영 장치(200)에 의해 수집된 운전자의 비디오 스트림에 기반하여 운전자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촬영 장치(200)에 의해 수집된 승객의 비디오 스트림에 기반하여 승객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뒷 줄, 조수석 등 기타 위치의 탑승자, 예를 들어 노인, 어린이 등 탑승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또한 남긴 물품 검사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캐빈의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촬영 장치는 캐빈의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 및 보조 운전 기능을 구비한 제1 촬영 장치를 캐빈의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하고, 탑승자 검출 기능을 구비한 제2 촬영 장치를 캐빈의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기계의 다용도(다용도 기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rocessor of the device host performs corresponding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in-vehicle image collected by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For example,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may be a DMS driver monitoring camera or an OMS passenger monitoring camera. The processor of the device host may perform driver behavior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driver's video stream collected by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Passenger behavior detection processing may also be performed based on the passenger's video stream collected by the second imaging device 200, for example, passengers in other positions such as the back row, passenger seat, etc., such as the elderly, children, etc. It is possible to monitor passengers, etc., and also implement inspection of items left behind.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cabin,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inside of the cabin. The first imaging device with a drive recorder function and auxiliary driving function is install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cabin,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with an occupant detection function is installed to face the inside of the cabin, thereby increasing the multi-purpose use of one machine. machine)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호스트(10)에는 제1 연결 와이어(1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와이어(12)에는 제1 연결 인터페이스(121)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촬영 장치(200)에는 상기 제1 연결 와이어(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 와이어(201)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와이어(201)에는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121)와 어댑트되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202)가 설치된다. 제2 촬영 장치(200)는 와이어로 기기 호스트(10)와 연결되는 바, 이는 첫째, 양자의 장착 위치 및 각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고, 둘째, 와이어의 설치를 통해 제2 촬영 장치(200)가 분리 및 교체 시 기기 호스트(10)를 함께 분리하게 되어 기기 호스트의 와이어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한다. In some optional embodiments, a first connection wire 12 is installed in the device host 10, and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121 is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wire 12. A second connection wire 20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wire 12 is installed in the second imaging device 200, and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wire 201. A second connection interface 202 adapted to is installed.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device host 10 by a wire, which firstly allows both mounting positions and angles to be satisfied simultaneously, and secondly,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can be connected to the device host 10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 wire. When disconnecting or replacing, the device host 10 is separated together, prevent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 the wires of the device host.

본 실시예에서,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100)의 기기 호스트(10)는 자동차 백미러 근처 앞 유리(90)에 장착되고, 제2 촬영 장치(200)는 앞 유리(90) 하방의 센터페시아 계기판에 장착되어 와이어를 통해 기기 호스트(10)와 연결되며, 제1 연결 와이어(12) 및 제2 연결 와이어(201)의 배선은 차량 내 내장 트림(interior trim)에 의해 은폐되고, 실제 상황에 따라 설치된다. 기기 호스트(10)의 보수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제1 연결 인터페이스(121)와 제2 연결 인터페이스(202)를 분리하기만 하면 되는 바, 즉 도시된 와이어 연결 위치에서 와이어를 풀어 기기 호스트(10)와 제2 촬영 장치(200)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서로 분리함으로써, 호스트 또는 전원 코드를 함께 분리 및 재장착할 필요가 없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이한 차종에 따라 기기 호스트 및 제2 촬영 장치는 상이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evice host 10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windshield 90 near the vehicle rearview mirror,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is located on the center fascia instrument panel below the windshield 90. It is mounted on and connected to the device host 10 through a wire, and the wiring of the first connection wire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wire 201 is concealed by the interior trim in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actual situation. It is installed. If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device host 10 is required, simply separate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21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202, that is, unwind the wire at the wire connection position shown and remove the device host 10. )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200 a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ere is no need to remove and reinstall the host or power cord together. What should be explained is that,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vehicles, the device host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may be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을 장착할 때 먼저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포장을 풀고 검사한 후, 기기 호스트에 SIM 카드, SD 카드, TF 카드 등을 장착한다. 다음 기기 위치를 정하고 차량 시동을 끈 후 차량 내 전원 총 스위치를 끄고 기기 호스트의 전원 코드를 차량 내 전원 공급 인터페이스에 연결한다. 다음 기기 호스트 및 제2 촬영 장치를 각각 원하는 위치에 장착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촬영 장치는 운전자 앞 측의 센터페시아 면에 장착하고, 3M 접착제 또는 셀프 태핑 스크류로 고정하여 제2 촬영 장치와 운전자 머리 사이의 거리가 70cm 내지 120cm 사이가 되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디버깅 도우미를 통해 운전자의 머리가 제2 촬영 장치의 이미징 중심 위치에 있고, 운전자의 목 이상 부분이 이미징에서 다른 물체로 덮여 있지 않음을 확인하여 검출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기기 호스트는 장착 부재를 통해 3M 접착제를 사용하여 앞 유리 중심 위치의 맨 위 또는 맨 아래에 고정될 수 있어 운전자의 시선을 저해하지 않고 와이퍼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보장한다. 다음 와이어 은폐 및 고정 처리를 수행하는 바, 예를 들어, 연결 와이어의 배선은 차량 내 내장 트림(예: 선바이저)에 의해 은폐된다. 마지막으로 차량 시동을 걸어 기기 호스트 및 제2 촬영 장치 전원이 켜지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는 휴대폰 디버깅 도우미를 사용하여 호스트 기기에 연결한 후 운전할 수 있다. When install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first unpack and inspect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then install a SIM card, SD card, TF card, etc. into the device host. Next,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evice, turn off the vehicle engine, turn off the power switch in the vehicle, and connect the power cord of the device host to the power supply interface in the vehicle. Next, the device host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are each mounted at desired locations.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is mounted on the center fascia surface in front of the driver and fixed with 3M adhesive or self-tapping screws to ensur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driver's head is between 70cm and 120cm. In addition, the debugging assistant can ensure detection accuracy by confirming that the driver's head is at the imaging center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and that parts of the driver's neck or higher are not covered by other objects in the imaging. The device host can be secur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windshield center position using 3M adhesive via mounting members, ensuring it does not impede the driver's line of sight and is not obscured by the wipers. The following wire concealment and fixing processing is performed, for example, the wiring of the connecting wire is concealed by interior trim (e.g., sun visor) in the vehicle. Finally, by starting the vehicle to turn on the host device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the driver can use the mobile phone debugging assistant to connect to the host device and then drive.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촬영 장치(200)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연결되는 장착 어셈블리(40) 및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렌즈 어셈블리(5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어셈블리(40)는 제1 장착 시트(42)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50)의 배면(즉, 렌즈 어셈블리(50)의 이미징면과 배향되는 면)에는 장착부(59)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59)는 상기 장착 어셈블리(40)의 제1 장착 시트(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렌즈 어셈블리(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착부(59)를 렌즈 어셈블리(50)의 배면에 설치함으로써, 제2 촬영 장치의 전체 높이 및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어 운전자에 대한 침범감을 감소시킨다. 10 to 18, in some optional embodiments, the second imaging device 200 includes a mounting assembly 40 connected to a component inside the vehicle body and a lens assembly 50 for collecting images within the vehicle. The mounting assembly 40 includes a first mounting sheet 42, and a mounting portion 59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50 (i.e., the surface oriented with the imaging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50). is installed, and the mounting portion 59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mounting sheet 42 of the mounting assembly 40. By installing the mounting portion 59 for rotating the lens assembly 50 on the rear of the lens assembly 50, the overall height and size of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feeling of intrusion on the driver.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어셈블리(40)는 제1 장착 시트(4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장착 시트(4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 시트(42)는 제2 방향(도 10에 도시된 X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장착 시트(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렌즈 어셈블리(50)는 기기 호스트(10)와 연결되는 제2 연결 와이어(201)에 설치될 수 있다.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mounting assembly 40 further includes a second mounting sheet 41 re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 The first mounting sheet 4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along a second direction (X direction shown in FIG. 10). The lens assembly 50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connection wire 201 connected to the device host 10.

상기 설치를 통해 장착 어셈블리(40)의 제2 장착 시트(41)는 제1 장착 시트(4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양자 사이의 각도는 회전 조절이 가능하여 제2 촬영 장치(200)에 필요한 상이한 장착 위치, 예를 들어 프레임의 A필러, 앞 유리 또는 센터페시아 계기판 등에 따라, 제2 장착 시트(41)를 분리하거나 제1 장착 시트(42)와 조립할 수 있다. 제2 촬영 장치(200)는 차종에 따라 적합한 장착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제2 장착 시트(41)를 제1 장착 시트(42)에서 분리할 수 있고, 제2 촬영 장치는 제1 장착 시트(42)를 통해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부 경우, 장착 어셈블리(40)의 제2 장착 시트(41)를 제1 장착 시트(42)와 조립할 수 있고, 제2 촬영 장치는 제2 장착 시트(41)를 통해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연결될 수 있다. Through the installation,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of the mounting assembly 4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nd the angle between the two is rotatably adjustable so that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Depending on the different mounting positions required, for example on the A-pillar of the frame, windshield or center fascia instrument panel, etc.,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can be separated or assembled with the first mounting sheet 42.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can freely select an appropriate mounting location and adjust its angle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For example, in some cases,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through the first mounting sheet 42. . In some other cases,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of the mounting assembly 40 can be assembled with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through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there is.

제2 촬영 장치(200)가 센터페시아 계기판에 장착되는 경우, 제품이 너무 높아 침범감이 나타나지 않도록, 제2 장착 시트(41)를 제1 장착 시트(42)에서 분리하고, 제1 장착 시트(42)만 브래킷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조임 또는 백젤 고정 등 방식으로 센터페시아 계기판에 장착될 수 있어, 제품의 높이를 낮추어 침범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착 시트(42)에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와의 연결을 위한 접착 콜로이드(420)가 설치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center fascia instrument panel,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ounting sheet 42 to prevent a feeling of invasion because the product is too high, and the first mounting sheet ( 42) can be used as a bracket, and as shown in Figures 12 and 13, it can be mounted on the center fascia instrument panel by tightening screws or fixing the back gel, there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product and reducing the feeling of intrusion. As shown in FIG. 14, an adhesive colloid 42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mounting sheet 42 for connection to internal components of the vehicle body.

일부 차종의 센터페시아 계기판 중앙에는 공조 파이프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드릴링이 위험하여 제2 촬영 장치(200)의 장착에 불편하다. 따라서 제2 장착 시트(41)를 제1 장착 시트(42)와 조립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착 시트(41)를 통해 제2 촬영 장치(200)를 프레임의 A필러 또는 앞 유리에 장착하고, 제1 장착 시트(42)의 각도를 조절하여 제2 촬영 장치(200)의 각도 보상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2 장착 시트(41)는 나사 조임 또는 백젤 고정 등 방식으로 프레임의 A필러 또는 앞유리에 장착될 수 있다. Since an air conditioning pip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enter fascia dashboard of some vehicle models, drilling is dangerous and it is inconvenient to install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Therefore,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can be assembled with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s shown in Figures 10 and 11,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A-pillar or windshield of the frame through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and the angle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is adjusted. Thus, angle compensation of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is performed. Optionally,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may be mounted on the A-pillar or windshield of the frame by screwing or fixing the back gel.

제2 촬영 장치(200)는 중소형 승합차 및 일반 승용차를 동시에 호환(compatible) 및 어댑트하여 장착할 수 있고, 제2 장착 시트(41) 및 제1 장착 시트(42)는 나사 조임 및 백젤 접착식 장착 방식으로 설계되어 표면 질감이 거칠고 접착제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드릴링 및 스크류 방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장착 표면이 분리가 어렵거나 드릴링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접착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econd imaging device 200 can be mounted on small and medium-sized vans and general passenger cars by compatible and adapting at the same time, and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and the first mounting sheet 42 can be mounted by screwing and back gel adhesive. If the surface texture is rough and adhesive is not suitable, drilling and screwing methods should be used. If the mounting surface is difficult to remove or is not suitable for drilling, adhesive methods can be used.

일부 선택 가능한 예에서, 제2 장착 시트(41)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411)를 포함할 수 있고, 클램핑부(411)는 요홈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촬영 장치(200)는 클램핑부(411)를 통해 프레임의 A필러에 클램핑된 후, 나사 조임, 백젤 고정 등 방식을 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제2 촬영 장치(200)가 보다 견고하게 장착된다. In some optional examples,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may include a clamping portion 411 that clamps the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s, and the clamping portion 411 may use a groove structure.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is clamped to the A-pillar of the frame through the clamping part 411 and then fixed using a combination of methods such as tightening screws and fixing the back gel, so that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is mounted more firmly.

도 10 및 도 14를 결부하면, 상기 렌즈 어셈블리(50)는 외부 하우징(51) 및 상기 외부 하우징(51) 내에 수용되고 설치되는 렌즈 모듈(52)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51)의 정면에는 관통 홀이 설치되며, 상기 렌즈 모듈(52)은 상기 관통 홀로부터 상기 하우징(51)에서 노출된다. 상기 장착부(59)는 상기 외부 하우징(51)의 배면에 설치되고, 운전자는 정면으로부터 렌즈 어셈블리 자체가 차지하는 면적만 볼수 있으므로 이물질감을 줄이고 운전자의 저항감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10 and 14, the lens assembly 50 includes an external housing 51 and a lens module 52 accommodated and installed within the external housing 5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nal housing 51 A through hole is installed, and the lens module 52 is exposed from the housing 51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mounting portion 59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external housing 51, and the driver can only see the area occupied by the lens assembly itself from the front, thereby reducing the feeling of foreign matter and effectively reducing the driver's sense of resistance.

외부 하우징(51)은 서로 조립되는 제1 외부 하우징(53)과 제2 외부 하우징(54)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외부 하우징(53)과 제2 외부 하우징(54)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며, 렌즈 모듈(52)은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수용되고 설치된다. 제1 외부 하우징(53)은 전면 하우징으로 이해할 수 있고, 제2 외부 하우징(54)은 후면 하우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렌즈 어셈블리(50)는 렌즈 시트(5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렌즈 시트(55)는 흑색 적외선 필터 렌즈 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 시트(55)는 제1 외부 하우징(53)에 설치된다. 렌즈 모듈(52)은 내장 형태로 외부 하우징(51) 내에 설치되어 렌즈가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렌즈 시트(55)는 필요한 광선이 유연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흑색 적외선 필터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렌즈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 외관을 은폐하는 작용을 한다. 이 밖에, 렌즈 시트(55)는 흑색 적외선 필터 재질을 사용하므로 쉽게 운전자의 주의력을 끌지 않아 운전자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고 안전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이며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external housing 51 may include a first external housing 53 and a second external housing 54 that are assembled together, and a receiving cavity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external housing 53 and the second external housing 54. is formed, and the lens module 52 is received and installed in the receiving cavity. The first external housing 53 can be understood as a front housing, and the second external housing 54 can be understood as a rear housing. Furthermore, the lens assembly 50 may further include a lens sheet 55, the lens sheet 55 may include a black infrared filter lens sheet, and the lens sheet 55 may include the first external housing 53. is installed in The lens module 52 is installed in the external housing 51 in an embedded form to prevent the lens from protruding from the external housing and affecting vision. The lens sheet 55 may be made of a black infrared filter material to allow necessary light to pass through flexibly, but the lens is not visible to the naked eye and serves to conceal its appearance. In addition, the lens sheet 55 uses a black infrared filter material, so it does not easily attract the driver's attention, thereby reducing the impact on the driver, effectively reducing safety risks, and improving driving safety.

도 10, 도 15 및 도 16을 결부하면,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50)의 장착부(59)는 제1 방향(도 10에 도시된 Y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장착 시트(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어셈블리(50)의 각도는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능한 연결 설치는 한편으로는 렌즈 어셈블리(50)를 장착 위치에서 더 나은 촬영 각도로 조절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렌즈 어셈블리(50)의 각도 조절을 통해 운전자가 카메라를 향할 때 감시당하는 저항감을 줄이고 침범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되므로 렌즈 어셈블리(50)가 상이한 두 방향으로 각도 조절을 구현할 수 있어 렌즈 어셈블리(50)를 수요에 따라 요구 사항에 맞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10, 15 and 16,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mounting portion 59 of the lens assembly 50 is configured to mount the first mounting sheet along a first direction (the Y direction shown in FIG. 10).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42).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angle of the lens assembly 50 can be adjusted. The rotatable connection installation allows, on the one hand, to adjust the lens assembly 50 to a better shooting angle in the mounting position, and on the other hand, adjusts the angle of the lens assembly 50 to reduce the resistance to being monitored when the driver points the camera. can reduce the feeling of invasion. Optionally, since the second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lens assembly 50 can implement angle adjustment in two different directions, allowing the lens assembly 50 to be adjusted to a position that meets requirements according to demand.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장착 시트(42)는 장착면(제1 장착 시트(42)의 상부 표면으로 이해할 수 있음) 및 제1 연결부(4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421)는 상기 장착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421)는 상기 장착면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장착면을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50)의 장착부(59)는 상기 장착면에 평행되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부(421)에 연결됨으로써, 렌즈 어셈블리(50)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장착 시트(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Optionally, the first mounting sheet 42 comprises a mounting surface (understood as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421,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21 is It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21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ur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ounting surface. The mounting portion 59 of the lens assembly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21 through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so that the lens assembly 50 is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long the first direction. )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렌즈 어셈블리(50)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장착 시트(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장착 시트(42)는 제2 방향을 따라 제2 장착 시트(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해 렌즈 어셈블리(50)는 상이한 두 방향, 즉 제2 방향 및 제1 방향을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렌즈 어셈블리(50)를 필요에 따라 요구 사항에 맞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The lens assembly 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mounting sheet 4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along the second direction. do. Through this, the lens assembly 50 can adjust its angle in two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lens assembly 50 can be adjusted to a position that meets requirements as needed.

나아가, 상기 제1 장착 시트(42)에는 제1 연결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50)의 장착부(59)는 상기 제1 연결부(421)과 협력하는 제2 연결부(56)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56)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4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렌즈 어셈블리(50)가 제1 방향을 따라 제1 장착 시트(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2 연결부(56)는 렌즈 어셈블리(5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어 운전자는 정면으로부터 렌즈 어셈블리 자체가 차지하는 면적만 볼수 있으므로 이물질감을 줄이고 운전자의 저항감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Furthermore, a first connection portion 421 is installed on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nd the mounting portion 59 of the lens assembly 50 has a second connection portion 56 that cooperates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421 alo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lens assembly 50 is attached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long the first direction. It is connected rotatably. Optionally,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6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lens assembly 50 so that the driver can only see the area occupied by the lens assembly itself from the front, thereby reducing the feeling of foreign matter and effectively reducing the driver's sense of resistance.

도 15를 결부하면, 상기 제1 연결부(421)는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표면(426) 및 제2 표면(427)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427)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50)를 멀리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표면(426) 및 상기 제2 표면(427)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장착 시트(42)에 대해 상기 렌즈 어셈블리(50)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제2 촬영 장치(200)의 전체 구조가 보다 컴팩트해지고, 제2 촬영 장치(200)의 전체 높이를 더 감소시켜 운전자에 대한 침범감 및 운전자의 저항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5,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21 includes a first surface 426 and a second surface 427 install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urface 427 is connected to the lens assembly 50. It is located on one side away from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426 and the second surface 427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lens assembly 50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so that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200 )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evice becomes more compact, and the overall height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200 can be further reduced to reduce the sense of intrusion on the driver and the driver's sense of resistance.

본 실시예에서, 제1 표면(426) 및 제2 표면(427)은 모두 제1 장착 시트(42)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또한 제1 표면(426) 및 제2 표면(427)은 제1 장착 시트(42)에 대해 상이한 경사 각도를 가지며, 제1 장착 시트(42)에 대한 제1 표면(426)의 경사 각도는 제1 장착 시트(42)에 대한 제2 표면(427)의 경사 각도보다 큰 바, 즉 제1 표면(426)과 제1 장착 시트(42) 사이의 협각은 제2 표면(427)과 제1 장착 시트(42) 사이의 협각보다 크며,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1 연결부(421)와 제1 장착 시트(42) 사이의 연결이 보다 견고하고, 또한 제품이 보다 디자인 감각을 갖도록 하여 제품의 미관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surface 426 and the second surface 427 are install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nd the first surface 426 and the second surface 427 are install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heet 42,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urface 426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surface 427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The bar is larger, that is,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surface 426 and the first mounting sheet 42 is larger than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second surface 427 and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nd the structure is narrow at the top and wide at the bottom. By form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21 and the first mounting sheet 42 can be more robust, and the aesthetics of the product can be effectively improved by giving the product a more design sense.

이 밖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50)의 외부 하우징(51)의 가장자리 라인 및 상기 제1 장착 시트(42)의 가장자리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호형이다. 렌즈 어셈블리(50)의 가장자리 라인 및 제1 장착 시트(42)의 가장자리 라인은 호형 흐름 라인으로 설계되어 캐빈의 내장 구조와 더 잘 매칭될 수 있어 운전자의 주의력을 쉽게 분산시키지 않으며,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 어셈블리(50)의 외부 하우징(51)의 상단면 가장자리 라인과 하단면 가장자리 라인은 모두 호형이고, 제1 장착 시트(42)의 네 모서리 위치는 모두 호형면으로 설계되어 운전자의 주의력을 쉽게 분산시키지 않으며,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제품이 보다 디자인 감각을 갖도록 하여 제품의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edge line of the outer housing 51 of the lens assembly 50 and the edge line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is arc-shaped. The edge line of the lens assembly 50 and the edge line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re designed as arc-shaped flow lines to better match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cabin, so that the driver's attention is not easily distracted and driving safety is improved. Let's do it.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edge lines of the outer housing 51 of the lens assembly 50 are all arc-shaped, and all four corner positions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re designed to be arc-shaped, so that the driver It does not easily distract the user's attention, improves driving safety, and also improves the aesthetics of the product by giving it a more design sense.

상기 제1 연결부(421) 및 상기 제2 연결부(56) 중 하나는 요홈 구조이고, 상기 제1 연결부(421) 및 상기 제2 연결부(56) 중 다른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요홈 구조와 어댑트되는 보스 구조이며, 상기 보스 구조는 상기 요홈 구조에 걸린다. 상기 요홈 구조 및 상기 보스 구조 중 하나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회전축(61)이 설치되고, 상기 요홈 구조 및 상기 보스 구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회전축(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요홈 구조 및 상기 보스 구조는 상기 제1 방향을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렌즈 어셈블리(50)가 제1 방향을 따라 제1 장착 시트(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6 has a groove structure, and the other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6 is adapted to the groove structure. It is a boss structure, and the boss structure is caught by the groove structure. A first rotation shaft 61 install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s installed in one of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boss structure, and the other one of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boss structur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61. Therefore,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boss structure relatively rotate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lens assembly 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long the first direction.

도 14를 결부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 촬영 장치(200)는 제1 연결 어셈블리(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어셈블리(60)는 상기 제1 회전축(61) 및 상기 제1 회전축(61)에 연결되는 제1 노브 부재(6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축(61)에는 제1 나사홈부(threaded portion)가 설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421)는 보스 구조이고, 제2 연결부(56)는 요홈 구조이며, 제1 회전축(61)은 요홈 구조 및 보스 구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 어셈블리(60)의 일부이다. 선택적으로, 제1 연결 어셈블리(60)는 나사일 수 있다. 상기 설치를 통해, 제1 회전축(61)을 통해 제1 연결부(421)와 제2 연결부(56) 사이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연결부(421)와 제2 연결부(56) 사이의 분리 가능한 연결도 구현할 수 있다. 14 ,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imag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assembly 60,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assembly 60 includes the first rotation shaft 61 and It includes a first knob member 62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61, and a first threaded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61. As shown in FIG. 14, the first connection part 421 has a boss structure, the second connection part 56 has a groove structure, and the first rotation axis 61 is a first connection par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boss structure. It is part of the connection assembly 60. Optionally, the first connection assembly 60 may be screwed. Through the above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rota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4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6 through the first rotation axis 61, as well as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4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6. Detachable connections can also be implemented.

상기 보스 구조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보스 구조를 관통하는 제1 연결홀(422)이 설치되고, 상기 요홈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요홈 구조를 관통하는 제2 연결홀(57)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연결홀(57) 및 상기 제1 연결홀(4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 나사홈부와 어댑트되는 제2 나사홈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축(61)의 제1 나사홈부는 상기 제2 연결홀(57) 및 상기 제1 연결홀(422) 내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노브 부재(62)는 상기 요홈 구조의 외측에 위치한다. A first connection hole 422 penetrating the boss structure along the first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boss structure,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422 penetrating the groove structure along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wall of the groove structure. A connection hole 57 is installed, and a second screw groove adapted to the first screw groove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57 and the first connection hole 422, and the first screw groove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hole 57. The first screw groove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61 is installed to penetrate in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57 and the first connection hole 422, and the first knob member 62 is located outside the groove structure. .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홀(422)과 제2 연결홀(57)에는 모두 제2 나사홈부가 설치된다. 제1 연결 어셈블리(60)의 제1 회전축(61)은 제2 연결홀(57) 및 제1 연결홀(422)을 관통하여 제1 연결 어셈블리(60)를 조임으로써 요홈 구조와 보스 구조가 서로 고정된다. In one embodiment, second screw grooves are installed in both the first connection hole 422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57. The first rotation axis 61 of the first connection assembly 60 penetrates the second connection hole 57 and the first connection hole 422 and tightens the first connection assembly 60, thereby forming a groove structure and a boss structure. It is fixed.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421)에는 상기 제1 연결홀(422)이 설치되고, 제2 연결부(56)의 요홈 구조의 하나의 측벽에는 제2 연결홀(57)이 설치되며, 제2 연결부(56)의 요홈 구조의 다른 한 측벽에는 제1 회전축(61)의 제1 나사홈부와 어댑트되는 고정 너트(58)가 설치된다. 제1 연결홀(422) 및 제2 연결홀(57)에는 제2 나사홈부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결 어셈블리(60)의 제1 회전축(61)은 제2 연결홀(57) 및 제1 연결홀(422)을 관통하여 제1 연결 어셈블리(60)와 고정 너트(58)를 서로 조임으로써 요홈 구조와 보스 구조가 서로 고정된다.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the first connection hole 422 is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421, and a second connection is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groove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56. A hole 57 is installed, and a fixing nut 58 that adapts to the first screw groove portion of the first rotation shaft 61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groove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6. The second screw groove may not be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hole 422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57. The first rotation axis 61 of the first connection assembly 60 penetrates the second connection hole 57 and the first connection hole 422 and tightens the first connection assembly 60 and the fixing nut 58 to each other.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boss structure are fixed to each other.

상기 설치를 통해, 제1 노브 부재(62)에 의해 제1 회전축(61)과 요홈 구조 및 보스 구조 사이의 조임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50)의 각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제1 노브 부재(62)를 회전시켜 제1 연결 어셈블리(60)를 풀어 제1 회전축(61)과 요홈 구조 및 보스 구조 사이가 서로 풀리도록 한 후, 제1 방향을 따라 요홈 구조를 회전시킴으로써, 렌즈 어셈블리(50)의 각도를 조절한다. 각도 조절 완료 후, 제1 노브 부재(62)를 회전시켜 제1 연결 어셈블리(60)를 조여 제1 회전축(61)과 요홈 구조 및 보스 구조 사이가 서로 견고하게 하고, 렌즈 어셈블리(50)를 상기 각도 위치에 유지시킨다. Through the above installation, the degree of tightening between the first rotation axis 61 and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boss structure can be adjusted by the first knob member 62.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ngle of the lens assembly 50, rotate the first knob member 62 to loosen the first connection assembly 60 so that the first rotation axis 61,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boss structure are released from each other. , the angle of the lens assembly 50 is adjusted by rotating the groove structure along the first direction. After completing the angle adjustment, the first knob member 62 is rotated to tighten the first connection assembly 60 so that the first rotation axis 61 and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boss structure are rigid to each other, and the lens assembly 50 is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lens assembly 50. Maintain it in an angular position.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장착 시트(41)에는 제3 연결부(41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 시트(42)에는 상기 제3 연결부(412)와 협력하는 제4 연결부(423)가 설치되며; 상기 제4 연결부(423)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연결부(4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부(41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착 시트(42)와 제2 장착 시트(41) 사이의 분리 가능한 연결 및 제1 장착 시트(42)와 제2 장착 시트(41)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 가능한 연결을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연결부(412)는 제2 장착 시트(41)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판(plate) 부재이다. 제4 연결부(423)는 제1 장착 시트(42)의 맨 아래에 설치된 블록형(block) 구조이다.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is provided with a third connecting portion 412 and the first mounting sheet 42 is provided with a fourth connecting portion 423 cooperating with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412. ) is installe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ccordingly, a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nd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and a rotatable conne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nd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are realized. .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412 is a plate member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423 has a block-type structu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도 10, 도 17 및 도 18을 결부하면, 제2 촬영 장치(200)는 제2 연결 어셈블리(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 어셈블리(70)는 제2 회전축(71) 및 상기 제2 회전축(71)에 연결되는 제2 노브 부재(7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축(71)에는 제3 나사홈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3 연결부(412) 및 상기 제4 연결부(423) 중 하나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치된 제2 회전축(71)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연결부(412) 및 상기 제4 연결부(423)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회전축(7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71)은 제3 연결부(412) 및 제4 연결부(423)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어셈블리(70)의 일부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연결 어셈블리(70)는 나사일 수 있다. 상기 설치를 통해, 제2 회전축(71)에 의해 제3 연결부(412)와 제4 연결부(423) 사이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 연결부(412)와 제4 연결부(423) 사이의 분리 가능한 연결도 구현할 수 있다. 10, 17, and 18, the second imag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includes a second rotation shaft 71 and It includes a second knob member 72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71, and a third screw groove is installed in the second rotation shaft 71. A second rotation shaft 71 installed in the second direction is installed in on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and on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The other on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71.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8, the second rotation axis 71 may be a part of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 Optionally,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may be screwed. Through the above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rotation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by the second rotation axis 71, as well as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Detachable connections can also be implemented.

상기 제3 연결부(412) 및 상기 제4 연결부(423) 중 하나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치된 제3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연결부(412) 및 상기 제4 연결부(423)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된 제4 연결홀이 설치되며; 상기 제4 연결홀 및 상기 제3 연결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3 나사홈부와 어댑트되는 제4 나사홈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3 나사홈부는 상기 제4 연결홀 및 상기 제3 연결홀 내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노브 부재(72)는 상기 제3 연결부(412) 및 상기 제4 연결부(423) 중 상기 제4 나사홈부가 설치되지 않은 연결부의 외측에 설치된다. A third connection hole installed in the second direction is installed in on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s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s 423, and in the other on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s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s 423. A fourth connection hole penetr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is provided; A fourth screw groove adapted to the third screw groove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ourth connection hole and the third connection hole, and the third screw groove is located in the fourth connection hole and the third connection hole.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and the second knob member 72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where the fourth screw groove is not install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연결홀은 제4 나사홈부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4 연결홀에는 제4 나사홈부가 설치된다. 제2 연결 어셈블리(70)의 제2 회전축(71)은 제3 연결홀 및 제4 연결홀을 관통하고, 제2 연결 어셈블리(70)를 제4 연결홀 내에서 조임으로써, 제3 연결부(412)와 제4 연결부(423)는 서로 고정된다.In one embodiment, the third connection hole may not be provided with a fourth screw groove, and the fourth connection hole may be provided with a fourth screw groove. The second rotation axis 71 of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penetrates the third connection hole and the fourth connection hole, and tightens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within the fourth connection hole, thereby forming a third connection portion 412. )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423 are fixed to each other.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연결홀 및 제4 연결홀은 제4 나사홈부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장착 시트(42)의 맨 아래에는 제4 연결부(423)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424)가 설치될 수 있고, 제1 연결 부재(424)에는 제3 나사홈부와 어댑트되는 제1 너트(425)가 설치되며, 제2 연결 어셈블리(70)의 제2 회전축(71)은 상기 제3 연결홀, 제4 연결홀 및 제1 연결 부재(424)를 관통한 후 제1 너트(425)에 고정되고 연결되므로, 제3 연결부(412)와 제4 연결부(423)는 서로 고정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third connection hole and the fourth connection hole may not be provided with a fourth screw groove portion. A first connection member 424 connected to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423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nd a third connection member 424 that adapts to the third screw groove portion may be installed. 1 A nut 425 is installed,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71 of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penetrates the third connection hole, the fourth connection hole,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424 and then connects the first nut ( Since it is fixed and connected to 425,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are fixed to each other.

상기 설치를 통해, 제2 노브 부재(72)를 통해 제2 회전축(71)과 제3 연결부(412) 및 제4 연결부(423) 사이의 조임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장착 시트(41)에 대한 제1 장착 시트(42)의 각도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제2 노브 부재(72)를 회전시켜 제2 연결 어셈블리(70)를 풀어 제2 회전축(71)과 제3 연결부(412) 및 제4 연결부(423) 사이가 서로 풀리도록 한 후, 제2 방향을 따라 제1 장착 시트(4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장착 시트(42)의 각도를 조절한다. 조절 완료 후, 제2 노브 부재(72)를 회전시켜 제2 연결 어셈블리(70)를 조여 제2 회전축(71)과 제3 연결부(412) 및 제4 연결부(423)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고, 제1 장착 시트(42)를 상기 각도 위치에 유지시킨다. Through the installation, the degree of tightness between the second rotation shaft 71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econd knob member 72.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ngle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with respect to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is loosened by rotating the second knob member 72 to connect the second rotating shaft 71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71. After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412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423 are released from each other, the angle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is adjusted by rotating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long the second direction. After completing the adjustment, the second knob member 72 is rotated to tighten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so that the second rotation shaft 71,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are fixed to each other. 1 Hold the mounting sheet 42 at the above angular position.

도 10, 도 17 및 도 18을 결부하면,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 어셈블리(70)는 가이드 부재(7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부재(73)에는 제5 나사홈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3 연결부(412) 및 상기 제4 연결부(423) 중 상기 제4 연결홀이 설치된 연결부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되는 호형 가이드 홀(74)이 설치되고, 상기 호형 가이드 홀(74)과 상기 제4 연결홀은 동축으로 설치된다. 상기 설치를 통해, 제1 장착 시트(42)가 제2 장착 시트(41)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 부재(73)는 제4 연결홀을 중심으로 호형 가이드 홀(74)을 따라 회전할 수 있어 제1 장착 시트(42)에 가이드 작용을 할 수 있다. 10, 17 and 18,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may further include a guiding member 73, wherein the guiding member 73 includes a fifth screw. The home section is installed. Among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423, an arc-shaped guide hole 74 penetr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fourth connection hole is installed, and the arc-shaped guide hole 74 and The fourth connection hole is installed coaxially. Through the above installation, when the first mounting sheet 42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the guide member 73 can rotate along the arc-shaped guide hole 74 around the fourth connection hole. It can serve as a guide to the first mounting sheet 42.

상기 제3 연결부(412) 및 상기 제4 연결부(423) 중 상기 제3 연결홀이 설치된 연결부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5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5 연결홀에는 상기 제5 나사홈부와 어댑트되는 제6 나사홈부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73)는 상기 호형 가이드 홀(74)을 관통하여 상기 제5 연결홀에 나사홈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연결부(412)에는 상기 제4 연결홀 및 상기 호형 가이드 홀(74)이 설치된다. Among the third connection parts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s 423, a fifth connection hole penetr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third connection hole is installed, and the fifth connection hole is provided with the fifth screw. A sixth screw groove adapted to the groove is installed, and the guide member 73 penetrates the arc-shaped guide hole 74 and is connected to the fifth connection hole through a screw groove.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connection hole and the arc-shaped guide hole 74 are installed in the third connection part 412.

제2 장착 시트(41)에 대한 제1 장착 시트(42)의 각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제2 노브 부재(72)를 회전시켜 제2 연결 어셈블리(70)를 풀어 제2 회전축(71)과 제3 연결부(412) 및 제4 연결부(423) 사이가 서로 풀리도록 하고, 가이드 부재(73)를 푼 후 제2 방향을 따라 제1 장착 시트(42)를 회전시켜 제1 장착 시트(42)의 각도를 조절한다. 각도 조절 과정에서, 가이드 부재(73)는 호형 가이드 홀(74)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이드 부재(73)는 나사일 수 있다. 각도 조절이 완료된 후, 제2 노브 부재(72)를 회전시켜 제2 연결 어셈블리(70)를 조임으로써 제2 회전축(71)과 제3 연결부(412) 및 제4 연결부(423) 사이가 서로 고정되게 하고, 가이드 부재(73)를 조여 제3 연결부(412)와 제4 연결부(423) 사이의 견고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써 제1 장착 시트(42)가 상기 각도 위치에 유지된다.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ngle of the first mounting sheet 42 with respect to the second mounting sheet 41,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is loosened by rotating the second knob member 72 to connect the second rotation shaft 71 and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3 The spac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412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423 is released from each other, the guide member 73 is loosened, and the first mounting sheet 42 is rotat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to install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djust the angle. During the angle adjustment process, the guide member 73 may rotate along the arc-shaped guide hole 74. Optionally, the guiding element 73 may be screw. After the angle adjustment is completed, the second rotation shaft 71,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423 are fixed to each other by rotating the second knob member 72 and tightening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By tightening the guide member 73, the rigidity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412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423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by maintaining the first mounting sheet 42 at the angular position.

도 17 및 도 18을 결부하면,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연결 어셈블리(70)는 제4 연결부(423)의 맨 아래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부재(7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연결 부재(75)에는 제5 나사홈부와 어댑트되는 제2 너트(76)가 설치되며, 가이드 부재(73)는 상기 호형 가이드 홀(74)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75)를 관통하여 제2 너트(76)에 나사 연결됨으로써 제4 연결부(423)와 서로 고정된다. 17 and 18, optionally, the second connection assembly 7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on member 75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423,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75 A second nut 76 adapted to the fifth screw groove is installed on the member 75, and the guide member 73 penetrates the arc-shaped guide hole 74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5 to form a second nut 76. By being screwed to the nut 76, it is fixed to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423.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상기 실시예 및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은,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중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비한 제1 촬영 장치를 제2 촬영 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기기 호스트 내에 조립하고, 양자를 일체로 직접함으로써,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장착에 필요한 차체 내부 점유 공간을 줄이고, 상이한 차종에 어댑트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하고 적용 범위가 넓은 등 장점을 구비한다. 기기 호스트와 제2 촬영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므로, 사이즈가 작은 경우 더 많은 장착 조건을 충족할 수 있고, 양자의 장착 위치가 유연하며, 각각의 교체 및 보수가 편리하다. 이 밖에, 현재 대부분의 차량 탑재 검출 기기는 호스트와 카메라가 일체로 통합되도록 설계되어 제품 사이즈가 큰 문제를 초래하여 운전자에게 강한 침범감을 준다. 본 발명은 기기 호스트와 제2 촬영 장치 별도로 설치하여 각각 상이한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운전자에 대한 침범감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 vehicle includ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embodiments. In the vehic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 drive recorder function among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s is assembled into a device host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both By integrating it, it has the advantages of reducing the space occupied inside the vehicle body required for mounting on-vehicle visual processing devices, being adaptable to different vehicle types, being convenient to use, and having a wide application range. Since the device host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are installed separately, more mounting conditions can be met when the size is small, the mounting positions of both are flexible, and replacement and repair of each is convenient. In addition, most current vehicle-mounted detection devices are designed so that the host and camera are integrated into one body, which causes a big problem with the product size and gives the driver a strong sense of intrus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duce the sense of intrusion on the driver by installing the device host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separately and mounting them at different locations.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Referring to FIG. 20,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method for visual processing of a vehicle. The method is:

단계 S201: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차량 내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제2 촬영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 호스트와 별도로 설치되어 통신하고 연결되며, 상기 기기 호스트는 주행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1 촬영 장치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단계; 및Step S201: Obtain an image in the vehicle collected by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wherein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is separately installed, communicates with, and is connected to a device host for performing a visual processing method for the vehicle, and the device host is driving. Partially accommodating a first imaging device for collecting images; and

단계 S202: 상기 차량 내 영상에 따라 상기 차량 탑승자의 행동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tep S202: Analyzing the behavior of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hicle image.

상기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을 통해 차량 내 인원에 대해 행동 검출 및 안전 보호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운전 행동의 안전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뒷줄, 조수석 등 위치의 기타 탑승자, 예를 들어 노인, 어린이 등과 같은 주요 탑승자를 모니터링하고, 남긴 물품 검사를 구현할 수 있다. Through the vehicle's visual processing method, behavioral detection and safety protection detection can be performed for personnel in the vehic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not only detect the safety of the driver's driving behavior, but also monitor other occupants in the back row, passenger seat, etc., major occupants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and implement inspection of items left behind.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내 영상은 운전자 행동 비디오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S202에서, 상기 차량 내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탑승자의 행동을 분석하는 것은, 상기 차량 탑승자의 행동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경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행동에 대한 분석 결과를 클라우드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optional embodiments, the in-vehicle video includes a driver behavior video, and in step S202, analyz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occupants based on the in-vehicle video includes analyz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occupants. performing alarm processing according to; Alternative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uploading analysis results of the behavior of the vehicle occupants to the cloud.

예를 들어, 운전자가 머리를 숙이거나, 하품을 하거나, 전화를 받는 등 행동을 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 영상에 따라 운전자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하고, 운전자의 상기 규정 위반 행동을 수집하면 경보, 음성 알림 등 해당 조작을 수행하여 주행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전자가 눈을 감거나, 머리를 숙이거나, 입을 벌리거나, 한 손으로 운전하거나, 휴대폰을 들고 있는 등 행동을 포함하는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에 기반하여 운전자 행동 검출 처리를 수행하여 분석을 통해 운전자의 행동이 졸음 운전하거나, 휴대폰을 놀거나, 하품을 하거나, 전화를 받는 등 행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의 상기 규정 위반 행동이 수집되면, 프로세서는 경보, 음성 알림 등 상응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주행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차량 탑승자의 행동에 대한 분석 결과를 클라우드에 업로드하고 저장하여 추후 참조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t can detect whether the driver lowers his head, yawns, or answers a phone call. Driver behavior det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vehicle video, and if the driver's behavior that violates the regulations is collected, corresponding operations such as alarms and voice notifications can be performed to improve driving safety. In one embodiment, processing driver behavior detection based on at least one video stream of the streams including actions such as the driver closing his eyes, lowering his head, opening his mouth, driving with one hand, holding a cell phone, etc. Through analysi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river's behavior is drowsy driving, playing on a cell phone, yawning, or answering the phone. When the driver's actions that violate the above regulations are collected, the processor can perform corresponding operations such as alarms and voice notifications, thereby improving driving safet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vehicle occupants' behavior can be uploaded and stored in the cloud and used for future reference.

설명해야 할 점은,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은 상기 실시예 및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에 기반할 수 있다.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은 기기 호스트, 주행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1 촬영 장치 및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 장치는 상기 기기 호스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기 호스트는 메인 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인 보드에는 차량 내 영상을 처리하는 프로세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내 영상에 기반하여 해당 검출 처리를 수행하고, 프로세서는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와 같이 저전력 칩을 사용할 수 있다. What should be explained is that the vehicle visual processing method may be based on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embodiments.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includes a device host, a first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driving images, and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images within the vehicle,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host. The device host may include a main board, and a processor for processing images within the vehicle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board, where the processor performs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image within the vehicle, and the processor is a single-chip microcomputer. You can use a low-power chip like this.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as shown in Figure 21, the method includes:

단계 S301: 상기 제1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주행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기기 호스트와 통신 연결되는 단계: 및Step S301: Obtaining a driving image collected by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wherein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device host for communication: and

단계 S302: 상기 주행 영상에 대해 분석 처리를 수행하거나 및/또는 상기 주행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tep S302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nalysis processing on the driving image and/or storing the driving image.

선택적으로, 기기 호스트에는 또한 제1 촬영 장치 및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영상 비디오를 기록 및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메모리 카드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영상 비디오/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안전 알림과 같은 관련 처리를 수행하며, 클라우드 플랫폼에 경보 정보를 동기적으로 업로드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운전자의 운전 행동의 안전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뒷줄, 조수석 등 위치의 기타 탑승자, 예를 들어 노인, 어린이 등과 같은 주요 탑승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레코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보조 운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device host may also be installed with a memory card that serves to record and store images and videos collected by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The processor may analyze the visual video/image collected by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perform related processing such as safety aler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nd synchronously upload alert information to the cloud platform. The method can not only detect the safety of the driver's driving behavior, but also monitor other occupants in the back row, passenger seat, etc., such as key occupants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Additionally, a drive recorder function can be implemented and an auxiliary driv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본 명세서의 각 실시예는 모두 점진적으로 설명되며, 각 실시예 사이에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서로 참조할 수 있으며, 각 실시예는 모두 다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치중하여 설명한다.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described gradually, identical or similar parts between each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nd each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emphasis on differences from other embodiments.

상기 설명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일부 개선 및 수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및 수식 역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로 간주되어야 함에 유의해야 한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some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t must be

Claims (29)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로서,
기기 호스트; 및
주행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1 촬영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기기 호스트는,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에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s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device host; and
Including a first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driving images,
The device host is,
A housing mounted on a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a processor installed within the housing; an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connected to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images in the vehicle,
The first imaging device is partially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기기 호스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mounting member for connecting to the vehicle body internal component, wherein the mounting memb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evice host.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에는 상기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접착 및 연결되는 접착 콜로이드가 설치되거나; 및/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장착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mou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colloid that adheres to and connects to the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s; and/or,
At least one protrus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member.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에는 클램핑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클램핑 부재와 어댑트되는 걸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2,
A clamp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and a locking groove that adapts to the clamping memb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제1 클램핑부 및 제2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핑부는 상기 장착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상기 제1 클램핑부가 상기 장착 부재를 멀리하는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클램핑부의 외부 윤곽 면적은 상기 제1 클램핑부의 외부 윤곽 면적보다 크며;
상기 걸림 홈은 제1 걸림 홈 본체 및 상기 제1 걸림 홈 본체와 연통되게 설치된 제2 걸림 홈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 홈 본체의 홈 구조는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어댑트되며, 상기 제2 걸림 홈 본체의 홈 구조는 상기 제2 클램핑부와 어댑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lamping member includes a first clamping portion and a second clamping portion, the first clamp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the second clamping portion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away from the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clamp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The outer contour area of the second clamp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outer contour area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The locking groove includes a first locking groove body and a second locking groove body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locking groove body, and the groove structure of the first locking groove body adapts to the first clamping portion, The groove structure of the second locking groove body is adapted to the second clamping part.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핑부에는 상기 제1 클램핑부를 멀리하는 일측 표면에 가이드 홈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 홈의 바닥 벽(bottom wal)에는 상기 가이드 홈과 협력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clause 5,
In the second clamping part, a guide groove is formed concavely inward on one surface away from the first clamping part, and a guide part that cooperates with the guide groove is installed on the bottom wall of the locking groove.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구면 홈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구면 돌기 구조이며,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홈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고; 및/또는,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guide groove is a spherical groove, the guide portion has a spherical protrusion structure, and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guide groove. and/or,
At least one of the guide part and the second clamping part is an elastic member.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개구가 개설되고,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노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n opening is opened in the housing, and the first imaging device is expos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and/or,
The first imaging devic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조립되는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제1 개구부(opening)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제2 개구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는 접합되어 상기 개구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하나에 상기 개구가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clause 8,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portion and a second housing portion assembled with the first housing portion, a receiving cavity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the second housing portion, and the first imaging device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housing. Partially received and installed within the cavity;
A first opening is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a second opening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opening and the first opening are joined to form the opening; or the opening is opened in one of the first housing part and the second housing part.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 표면은 상기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 표면 및 상기 제1 하우징 표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표면에 상기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부가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2 개의 돌기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 표면은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하우징 표면 및 제2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 표면은 상기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하우징 표면에는 상기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clause 9,
The second housing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surfac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first housing portion; The protruding surface includes a first housing surfac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and a second housing surface oblique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urface, and the opening or the second opening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surface; or,
The second hous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two protruding surfaces that protrude outwardly from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surfaces include a first housing surface and a second housing surface that are oblique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housing surface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and the second housing surface is provided with the opening or the second open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표면과 상기 제2 하우징 표면 사이의 협각 범위는 140° 내지 160°이거나; 및/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1 촬영 장치의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는 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clause 10,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housing surface and the second housing surface ranges from 140° to 160°; and/or,
The rotatable angle range of the first imag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s 0 to 80°.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호스트 내에 설치된 메인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보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Further comprising a main board installed in the device host, and the processor is installed on the main board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주체부 및 상기 주체부 내에 장착되어 설치되는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주체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및/또는,
지지(support)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and a lens assembly mounted withi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or,
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ixedly connected within the housing, and the first imaging devic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개구가 개설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개구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개구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의 양측에 각각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상기 제1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1 협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상기 제2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2 협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wherein an opening is opened in the housing,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re fixed to the housing from both sides of the opening; The first imaging device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or,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being fixed to the housing from both sides of the opening;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a first cooperation part that adapts to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rotating part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A second cooperation part is formed that adapts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second rotating part.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제1 브래킷 부재 및 상기 제1 브래킷 부재와 접합되는 제2 브래킷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래킷 부재에 상기 제1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1 호형(부채꼴) 협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래킷 부재에 상기 제1 회전부의 외형과 어댑트되는 제2 호형 협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호형 협력부와 상기 제1 호형 협력부는 접합되어 상기 제1 협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clause 14,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bracket member and a second bracket member joined to the first bracket member, and a first arc-shaped (fan-shaped) cooperation portion adapted to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to the first bracket member. is formed, and a second arc-shaped cooperation part that adapts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first rotating part is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member, and the second arc-shaped cooperation part and the first arc-shaped cooperation part are joined to form the first cooperation part.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협력부의 내벽 및/또는 상기 제2 협력부의 내벽(inner wall)에 고무 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협력부 내벽의 고무 링에 인접(abut)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협력부 내벽의 고무 링에 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
According to clause 15,
A rubber ring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operation part and/or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ooperation part, and the first rotating part is adjacent to the rubber ring of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operation part, and/or The second rotating portion is adjacent to the rubber ring of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ooperation portion.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장착 방법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표면을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하고, 상기 제1 촬영 장치를 차량의 앞 유리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장착 방법.
A method of mount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Attaching the surface of the housing to the windshield of a vehicle and rotating the first imaging device toward the outside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 method of mount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표면을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을 상기 차량 앞 유리의 맨 위 또는 맨 아래에 부착하는 단계; 또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을 상기 차량의 앞 유리에서 내부 백미러 배면(back)에 위치하는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장착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step of attaching the surface of the housing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ttaching a surface of the housing to the top or bottom of the vehicle windshield; or,
Attaching the surface of the housing to an area located on the back of the inside rearview mirror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 method of mount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7항에 있어서,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를 상기 차량의 센터페시아, A필러 또는 계기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제1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제2 촬영 장치의 제2 연결 와이어를 상기 차량의 앞 유리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하고, 상기 제1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제2 연결 와이어의 인터페이스를 고정되게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장착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Mounting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images within a vehicle on at least one of a center fascia, an A-pillar, or an instrument panel area of the vehicle; and
A first connection wire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nd a second connection wire of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are fixed along the edge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the inte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wire and the second connection wire is fix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 method of mount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Compris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20항에 있어서,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촬영 장치와 상기 기기 호스트는 별도로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0,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images within the vehicle, wherein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device host are installed separately to main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호스트에는 제1 연결 와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와이어에는 제1 연결 인터페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촬영 장치에는 상기 제1 연결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 와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와이어에는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와 어댑트되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1,
A first connection wire is installed in the device host, and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is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wire; A second connection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wire is installed in the second imaging device, and a second connection interface adapted to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is installed on the second connection wire.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 장치는 상기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연결되기 위한 장착 어셈블리 및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어셈블리는 제1 장착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배면에는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1,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includes a mounting assembly for connecting to the vehicle body internal component and a lens assembly for collecting images within the vehicle, the mounting assembly includes a first mounting sheet, and a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lens assembly. is installed, and the mounting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mounting sheet.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회전하여 연결되거나; 및/또는,
상기 장착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장착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 시트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회전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3,
the mounting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eet along a first direction; and/or,
The mounting assembly further includes a second mounting shee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eet, wherein the first mounting shee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sheet along a second direction.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차량으로서,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s a vehicle,
Comprising a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4.
A vehicle characterized by: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기기의 하우징은 돌기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 표면은 차체 내부 컴포넌트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 표면 및 상기 제1 하우징 표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 표면은 접착 콜로이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 및 장착되고, 상기 제2 하우징 표면에는 개구가 개설되며,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 표면의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차량의 캐빈 외부를 향해 설치되거나; 및/또는,
상기 차량 탑재 시각 처리 시스템은 차량 내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 장치와 상기 기기 호스트는 별도로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며, 상기 제2 촬영 장치는 상기 차량의 캐빈 내부를 향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use 25,
The housing of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rotruding surface; The protruding surface includes a first housing surface mounted on a vehicle body interior component and a second housing surface oblique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urface, the first housing surface being attached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rough an adhesive colloid, and is mounted,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first imaging device is expos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in th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or,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is install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abin of the vehicle; and/or,
The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images within the vehicle,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device host are installed separately to main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vehicle. installed towards the inside of the cabin of
A vehicle characterized by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 호스트와 별도로 설치되어 통신 연결되는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차량 내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기기 호스트는 주행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제1 촬영 장치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기기 호스트와 통신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 영상에 따라 상기 차량 탑승자의 행동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
As a visual processing method for a vehicle,
Obtain images in the vehicle collected by a second photographing device that is installed and communicated separately with the device host for performing the visual processing method of the vehicle, and the device host partially uses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for collecting driving images. receiving the device, and connecting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to the device host for communication; and
Comprising the step of analyz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occupants according to the video within the vehicle.
A visual processing method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자의 행동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경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행동에 대한 분석 결과를 클라우드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27,
performing alarm processing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of the behavior of the vehicle occupants; and/o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upload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behavior of the vehicle occupants to the cloud.
A visual processing method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장치에 의해 수집된 주행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영상에 대해 분석 처리를 수행하거나 및/또는 상기 주행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각 처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27 or 28,
Obtaining a driving image collected by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analysis processing on the driving image and/or storing the driving image.
A visual processing method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27003905A 2020-09-09 2021-03-31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KR2022003540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1965421.5 2020-09-09
CN202010942803.4 2020-09-09
CN202021965769.4 2020-09-09
CN202021965421.5U CN212782102U (en) 2020-09-09 2020-09-09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equipment,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CN202021965769.4U CN212782103U (en) 2020-09-09 2020-09-09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equipment,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CN202010942803.4A CN112009389A (en) 2020-09-09 2020-09-09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equipment, system, mounting method, processing method and vehicle
PCT/CN2021/084692 WO2022052452A1 (en) 2020-09-09 2021-03-31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403A true KR20220035403A (en) 2022-03-22

Family

ID=8063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905A KR20220035403A (en) 2020-09-09 2021-03-31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551242A (en)
KR (1) KR20220035403A (en)
WO (1) WO2022052452A1 (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2552B2 (en) * 2015-03-11 2018-10-30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camera viewing through windshield
CN204667481U (en) * 2015-06-09 2015-09-23 隆小光 Drive recorder
CN206162724U (en) * 2016-09-28 2017-05-10 深圳君安软件技术有限公司 Car machine record appearance
CN109249860A (en) * 2018-09-30 2019-01-22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Vehicle-mounted vision-aided system and vehicle
CN110667483A (en) * 2019-09-29 2020-01-10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Camera mechanism and vehicle event data recorder
CN112009389A (en) * 2020-09-09 2020-12-01 上海商汤临港智能科技有限公司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equipment, system, mounting method, processing method and vehicle
CN212782103U (en) * 2020-09-09 2021-03-23 上海商汤临港智能科技有限公司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equipment,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2452A1 (en) 2022-03-17
JP2022551242A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5300B1 (en) Blind spot viewing system
JP5580435B2 (en) Device for securing left and right rear vision of automobile
WO2011132344A1 (en) Method of mounting camera unit, and camera unit
CN106255618A (en) There is the motor vehicles of the rear-view mirror device without rearview mirror
JP2004082829A (en) On-vehicle camera
CN112896051B (en) Can eliminate panorama electron rear-view mirror of car vision blind area
CN112009391B (en) Vehicle-mounted camera device, mounting method, vehicle and vis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209738969U (en) Bonding type supporting structure and bonding type automobile front binocular camera
CN112009389A (en)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equipment, system, mounting method, processing method and vehicle
KR100807812B1 (en) direction indicator having the camera installed on side panel of the automobile
CN201300775Y (en) Backsight pick-up device installed on rearview mirror outside vehicle
CN212782103U (en)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equipment,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KR20220035403A (en)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JP2005112052A (en) Cabin module and inner mirror
WO2022033336A1 (en) Vehicle
CN111758252B (en) Vehicle-mounted monitoring device
WO2022033338A1 (en) Vehicle
CN213056935U (en) Vehicle-mounted camera device,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CN213056934U (en) Support structure, camera device, vehicle-mounted vision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WO2022033339A1 (en) Vehicle
KR20220074923A (en) Vehicle-mounted visual processing
JP2007050868A (en) Vehicle body integrated type tv camera and its mounting vehicle body structure
CN210174775U (en) Vehicle and control system
CN205800936U (en) A kind of novel rear view mirror
JP7063775B2 (en) Imaging unit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