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050A - 정부 채권들에 의해 지원되는 토큰화된 자산 및 연관된 토큰 거래들의 아이덴티티 및 위험 스코어링 - Google Patents

정부 채권들에 의해 지원되는 토큰화된 자산 및 연관된 토큰 거래들의 아이덴티티 및 위험 스코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050A
KR20220035050A KR1020217043389A KR20217043389A KR20220035050A KR 20220035050 A KR20220035050 A KR 20220035050A KR 1020217043389 A KR1020217043389 A KR 1020217043389A KR 20217043389 A KR20217043389 A KR 20217043389A KR 20220035050 A KR20220035050 A KR 20220035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et
instructions
digital wallet
user
risk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일스 파스키니
니틴 아가르왈
Original Assignee
마일스 파스키니
니틴 아가르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일스 파스키니, 니틴 아가르왈 filed Critical 마일스 파스키니
Publication of KR2022003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itialising or reload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6Balancing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3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wherein the sending and receiving network entities apply symmetric encryption, i.e. same key used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18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 H04L9/0637Modes of operation, e.g. cipher block chaining [CBC], electronic codebook [ECB] or Galois/counter mode [G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04L9/3239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involving non-keyed hash functions, e.g. modification detection codes [MDCs], MD5, SHA or RIPE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정부 발행 부채에 의해 담보설정된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제1 입도 파라미터들은 제1 디지털 월렛의 제1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다. 제1 제한적 사용 키는 제1 입도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생성되며 제2 디지털 월렛의 소유자에게 제공된다. 제2 제한된 사용 키는,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제2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제2 입도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생성된다. 블록체인 월렛으로부터의 정보는 제2 제한된 사용 키를 사용하여 액세스되며, 정보는 제2 입도 파라미터들에 의해 결정된 상세성 레벨(level of detail)에서 제2 디지털 월렛 소유자의 ID 분류 및 위험 스코어 중 하나 이상에 관한 것이다. 그런 다음, 제1 디지털 월렛과 제2 디지털 월렛 간의 거래를 진행하라는 표시가 제1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부 채권들에 의해 지원되는 토큰화된 자산 및 연관된 토큰 거래들의 아이덴티티 및 위험 스코어링
[0001] 본 출원은, "TOKENIZED ASSET BACKED BY GOVERNMENT BONDS AND RISK SCORING OF ASSOCIATED TOKEN TRANSACTIONS"란 명칭으로 2019년 6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2/859,665호를 우선권으로 이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의 개시내용은 모든 목적들을 위해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0002]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암호화폐(cryptocurrency) 시스템들과 같은 가치를 교환하기 위한 방법들 및 분산 디지털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0003] 암호화폐는 교환 매체로서 이용되도록 설계된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이다. 기존 암호화폐들은, 강력한 암호기법(cryptography)을 사용하여 금융 거래들을 보호하고, 추가 유닛들의 생성을 제어하고 그리고 자산들의 이체를 조회한다. 한 형태의 암호화폐들은, 중앙집중 디지털 통화(centralized digital currency) 및 중앙 은행 시스템들과는 달리, 탈중앙 제어(decentralized control)를 사용한다.
[0004] 비트코인(Bitcoin) 및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암호화폐들이 인기를 얻고 있지만, 이들은 여전히 상품들이나 서비스들에 대해 상인들에게 널리 수락되지 않는다. 암호화폐를 지불의 형태로 수락하기로 선택한 상인은,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다른 판매자들에게 결제하거나 또는 암호화폐를 법정 화폐(legal tender)로 교환해야 할 수 있다는 위험을 감수하고 그리고 상대방의 아이덴티티를 알지 못한다거나 상대방의 거래 위험 이력을 알지 못한다는 위험을 감수한다. 그러한 교환이 가능하더라도, 암호화폐의 가치에 있어서의 변동성은 그것을 수락하기로 선택한 상인들이 떠맡게 되는 또 다른 위험이 된다.
[0005] 종래의 암호화폐들의 환율 변동성을 고려하여, 대체 암호화폐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일 예로서,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은, 암호화폐 토큰의 인지된 가치가 아닌, 다른 것에 고정된(pegged) 가치를 갖는 암호화폐이다. 스테이블 코인은 일부 "스테이블" 자산 또는 자산 바스켓(basket of assets)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블 코인은, 법정 화폐인 명목 화폐(legal tender fiat currency)에, 금과 같은 교환 트레이드 일반재(exchange traded commodity)에, 또는 일부 다른 자산에 고정될 수 있다.
[0006] 스테이블 코인들의 중요한 단점은, 이들이 트레이딩을 위해 탈중앙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지만, 스테이블 코인을 지원하는 자산들이 중앙에서 소유되거나 제어된다는 점이다. 스테이블 코인이 명목 화폐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은행이나 다른 금융 기관은 일반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의 미지급 공급을 지원하기에 충분한 일정 금액의 명목 화폐를 보유한다. 그러나, 이는 스테이블 코인을 지원하거나 아니면 활용하는 자산들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중앙집중화하여, 도산 위험들을 초래하고 "탈중앙" 암호화폐들의 주요 매력들 중 하나를 훼손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블 코인을 뒷받침하는(underpinning) 명목 화폐를 보유한 은행이나 다른 금융 기관이 도산할 경우에, 스테이블 코인 보유자들은 손실을 입게 된다. 마지막으로, 많은 은행들은, 스테이블 코인 거래들의 일반적인 익명성(anonymous nature) 때문에, 스테이블 코인들에 관여하게 되는 것을 꺼린다.
[0007] 본원에서 개시되는 시스템 및 방법들은, 사용자들이 블록체인에서 추적된 그들의 거래들을 식별하게 되고, 조회하게 되고 및 스코어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에서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한다.
[0008] 본원에서는, 국가 부채(sovereign debt)(또는 "스테이블 코인")에 의해 지원되는 토큰화된 암호 자산(tokenized crypto asset)이 네트워크에서 상대방들과의 트레이딩의 위험을 스코어링하고 그렇지 않으면 평가하도록 구성된 제어된 네트워크에서 트레이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스테이블 코인은, 정부 발행 명목 화폐(예를 들어, USD, EUR)에 고정되고 동일한 통화(예를 들어, US 트레저리 채권들 또는 ECB(European Central Bank) 채권들)로 표시된 정부 부채를 구매 및 보유함으로써 담보설정된다. 즉, USD의 스테이블 코인은 미국 정부 부채 증서에 의해 지원되고, EUR-고정 스테이블 코인들은 ECB 부채에 의해 지원되는 식이다. 정부 채권들은 규제 대상 금융 기관들에 보관된다. 토큰화된 암호 자산이 임의의 한 은행에 의해 지원되거나 보유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 정부 부채에 의해 지원되기 때문에, 토큰화된 암호 자산의 안정성은 명목 화폐로 담보를 보유하는 단일 은행의 안정성보다는 정부 부채의 안정성에 더 유사하다. 은행들은 도산할 수 있으며, 은행의 명목 지폐(fiat money) 또는 창고의 금과 같은 자산에 의해 지원되는 임의의 탈중앙 토큰화된 자산에 대한 위험을 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금들을 보유하고 있는 은행은 파산하게 되거나, 그의 면허가 박탈되거나 또는 정부들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다. 토큰화된 암호 자산에 대한 담보를 정부 트레저리 채권(government treasury bond)들 같은 국가 부채에 둠으로써, 이러한 은행 관련 위험들이 제거된다.
[0009] 유동성 수요들을 관리하기 위해, 토큰화된 암호 자산의 총 미납 가치 중 특정 비율이, 오로지 고정된 명목 화폐로 다시 상환(redemption)을 요청하는 토큰 보유자들에게 일일 정산 요건들을 행하게 하는 목적으로만, 전세계의 은행 계정들에 보유된다. 일 구현에서, 유동성 계산들은 명목 화폐 일일 정산 잔액(balance)(178)과 같은 일일 유동성 요건들 및 활용할 명목 정산 경로(fiat settlement route)들(최소 비용 라우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공 지능 기반 서비스에 의해 관리된다.
[0010] 시스템의 각각의 사용자에게는 공개(public) 및 비공개(private) 키 쌍을 포함하는 월렛 어드레스(wallet address)가 발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렛이 발행되고 그리고 수락된 표준들(예를 들어, 은행 보안법(BSA: Bank Secrecy Act) 표준들)을 따를 수 있는 경우, 사용자의 아이덴티티의 조회가 이루어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월렛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키 쌍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임의의 아이덴티티 문서들 및/또는 이용되는 수락가능한 아이덴티티 조회 방법들과 연관되며 그리고 또한, 사용자에 대한 위험 스코어와 연관되며 그리고 월렛 및 사용자와 연관된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0011] 실시예에서, 스마트 계약은, 월렛의 사용자가 토큰화된 자산과 동일한 통화로 명목 지폐를 제공하는 경우, 주어진 웰렛 어드레스에 신규 토큰들을 발행한다. 그런 다음, 이 명목 자금의 일부 또는 전부는 명목 화폐로 표시된 정부 발행 채권들을 구매하는 데 사용된다. 토큰은 전세계적 대체 암호 자산 거래소들에서 상장되고 트레이딩될 수 있다.
[0012] 일 구현에서, 웰렛 어드레스는 월렛과 연관된 위험 스코어를 나타내는 필드들 및 아이덴티티 조회와 연관된 플래그(flag)를 가질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덴티티 관련 플래그는, 그 조회가 예를 들어 유럽 중앙 은행 표준들과 BSA 표준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충족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월렛과 연관된 사용자와 트레이딩하려는 상대방들이, 사용자의 아이덴티티가 조회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며 그리고 월렛의 사용자와 연관된 거래들의 타입(예를 들어, 잠재적으로 위험하거나 양성(benign)일 수 있음)의 파악뿐만 아니라 위험 데이터, 아이덴티티 문서들(이를테면, 여권 사본들, 주소 증명(proof of address) 문서들)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아이덴티티 및 위험 스코어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그리고 제한된 사용 키를 생성하는 웰렛 사용자에 의해 리트리벌될 수 있으며, 이 제한된 사용 키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며 그리고 요약 데이터, 파일 액세스(이를테면, 아이덴티티 문서들의 사본들), 위험 스코어들 및 제한된 사용 키의 만료일을 포함하는 옵션들을 비롯한, 데이터의 리트리벌과 연관된 제한들을 결정한다. 개인 거래들, 판매자들, 금융 기관들, 및 정부 기관들과 같이, 월렛이 거래할 수 있는 상대방들에게 제한된 사용 키들이 제공된다.
[0013] 정해진 사용자에 대한 위험 스코어는 사용자의 액션들, 거래들, KYC(Know Your Customer) 및/또는 KYB(Know Your Business) 데이터 및 기준들뿐만 아니라, 지리적 및 다른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KYC 및/또는 KYB 문서들은, 문서들의 유효성의 스코어를 강화하기 위해 하나 초과의 출처(source)에 의해 조회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인들의 결과들은 월렛 어드레스와 연관된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KYC 및 KYB 데이터 조회 데이터는 또한, 거버넌스 모델(governance model)에 공개될 수 있으며 클래스 적합성(즉, BSA 준수, EEA 중앙 은행 준수, 중국 규제 준수 등)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아이덴티티 및 위험 스코어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그리고 제한된 사용 키를 생성하는 웰렛 사용자에 의해 리트리벌될 수 있으며, 이 제한된 사용 키는,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며 그리고 요약 데이터, 파일 액세스(이를테면, 아이덴티티 문서들의 사본들), 위험 스코어들 및 제한된 사용 키의 만료일을 포함하는 옵션들을 비롯한, 데이터의 리트리벌과 연관된 제한들을 결정한다. 개인 거래들, 판매자들, 금융 기관들, 및 정부 기관들과 같이, 월렛이 거래할 수 있는 상대방들에게 제한된 사용 키들이 제공된다.
[0014] 일 구현에서, 토큰 시스템의 사용자들은 최소 KYC 임계치가 충족되길 요구하며(기본 클래스 적합성), 그리고 임의의 시스템 참가자는 KYC 레벨(클래스 적합성) 및 정해진 월렛의 위험 스코어를 기반으로 다른 당사자들과 자신의 거래들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 있는 사람이 멕시코에 있는 사람에게 이체하길 원하는 경우, 상대방들은, 발신자와 수신자 둘 다가 그들 개개의 국가들의 KYC 요건들에 대한 클래스 적합성에 있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는 아래와 유사한 데이터를 갖는 월렛 어드레스 제한된 사용 키로부터 리트리브될 수 있다:
KYC: 조회됨
KYC 클래스 적합성: 미국 BSA, EEA 중앙 은행 등
위험 스코어: (0 내지 1000의 스코어), 1000이 가장 높은 위험임
이용가능한 문서들: 여권, 운전면허증, 공과금 명세서 등
문서 상세내용들(문서 번호, 만료일, 발행 기관, 개인 정보 등
[0015] 사용자들은, 데이터 파일들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제한된 사용 키를 상대방에게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프로필들의 KYC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상대방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위험 스코어 알고리즘이 (변경들을 관리하기 위한 온-체인 거버넌스(on-chain governance)와 함께) 공개될 것이고, 월렛 사용자로부터 제한된 사용 키를 제공받은 당사자들을 위해 공개 어드레스로부터 요약된 데이터가 이용가능할 수 있다.
[0016]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의 모든 참가자들은 (KYC 및 위험 스코어들과 함께) 그들의 공개 어드레스에 의해 식별가능할 수 있다. 시스템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참가자들과 연관된 데이터 및 액션들을 고려할 수 있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참가자의 위험 스코어를 결정할 수 있다. 위험 스코어들의 유지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신용(credibility)을 보장하고 그리고 네트워크가 불법 활동들(예를 들어, 테러리스트 조직들의 자금 세탁 및 조달)을 위해 사용되는 위험을 완화시킨다. 이는, 예를 들어, 낮은 위험 스코어를 원하는 참가자들이 그들의 월렛에 KYC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그리고 다른 조회된 그리고 낮은 위험 스코어 상대방들과 거래들을 수행하도록 유도한다. 위험 스코어는, 상대방들이 위험들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신용 평가 시스템들에서 FICO 스코어와 같은 이점들을 갖는다.
[0017] 위험 스코어 알고리즘은 바람직하게는 지리 및 거래 금액들을 고려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란(제재 국가)의 누군가에 의해 열린 월렛은 통상적으로 미국 시민에 의해 열린 월렛보다 더 높은 위험 스코어로 시작할 것이다.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는 국가의 사용자와 연관된 월렛에 매우 많은 액수를 지불하는 데 사용되는 월렛은, 미국에서 알려진 상대방에게 비교적 적은 금액들을 지불하는 데 사용되는 월렛보다 훨씬 더 높은 위험 스코어를 가질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유리한 위험 스코어를 유지하기 위해, 월렛의 사용자는, 비교적 위험 스코어들이 양호한 그리고 아이덴티티 조회가 조회되었던 다른 월렛들과만 거래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0018] 따라서, 각각의 월렛과 위험 스코어를 연관시키는 것의 결과로서, 지폐 보유 및 이체가 감사가능하고(auditable), 신뢰가능하고 그리고 보고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임의의 AML 문제들이 완화될 것이다.
[0019] 일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정부 발행 부채에 의해 담보설정된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발행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 시스템은,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분산 노드들을 포함하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transaction validation and recording network)와 통신하는 관리 플랫폼을 포함한다. 관리 플랫폼은, 적어도 스마트 계약 모듈, ID(identity) 및 위험 스코어 모듈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적어도 스마트 계약 모듈 및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디지털 월렛 및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디지털 월렛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명령들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금융 정보 및 사용자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1 디지털 월렛에 대한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며, 제1 월렛 메타데이터는 제1 위험 스코어 및 제1 ID 조회 분류(verification class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명령들은 또한,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 내의 블록체인에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 및 제1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입도 정보(granularity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한된 사용 키를 사용하여, 제2 디지털 월렛이, 입도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블록체인에 저장된 제1 월렛 메타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명령들은, 적어도 제1 디지털 월렛 및 제2 디지털 월렛을 수반하는 제1 거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및 (i)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거래 규칙들과 제1 월렛 메타데이터의 비교, 및 (ii) 입도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입도의 레벨에서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고려하여 제2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거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0020] 평가하기 위한 명령들은 또한,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제2 월렛 메타데이터를 제1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추가의 거래 규칙들과 비교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제1 거래 요청에 대응하는 제1 거래의 완료를 가능하게 하고 블록체인에 제1 거래를 기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21] 제1 거래 요청이 이체 요청에 대응하는 경우, 명령들은, 평가에 기반하여, 제1 디지털 월렛으로부터 제2 디지털 월렛으로 지정된 수의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이체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22] 명령들은, 적어도 제1 디지털 월렛을 수반하는 제2 거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제1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추가의 거래 규칙들에 기반하여 제2 거래 요청을 평가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거래 요청이 상환 요청에 대응하는 경우, 명령들은, 제2 거래 요청을 평가한 후, 제1 디지털 월렛으로부터 지정된 수의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상환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23] 명령들은, (i) 제1 거래 요청의 거부, (ii) 제1 거래 요청의 수락, 및 (iii) 제1 디지털 월렛으로부터 제2 디지털 월렛으로 지정된 수의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의 이체 완료 중 임의의 것에 기반하여, 제1 위험 스코어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24] 메모리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엔진에 대한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AI 엔진에 대한 명령들은, 시스템의 운영자와 연관된 계정에서, 시스템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부 발행 통화의 순 금액(net amount)을 결정하는 하는 것; 수신된 정부 발행 통화의 순 금액에 기반하여, 생성될 복수의 신규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결정하는 것; 복수의 신규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담보설정하기 위해, 구매될 필요가 있는 정부 발행 부채의 금액을 결정하는 것; 복수의 신규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생성하고 시스템의 사용자들과 연관된 디지털 월렛들에 발행하기 위한 것을 포함한다.
[0025] AI 엔진에 대한 명령들은, 시스템의 사용자들에 의해, 시스템의 운영자와 연관된 계정에서, 인출된 정부 발행 통화의 순 금액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인출된 정부 발행 통화의 순 금액에 기반하여, 처분될 복수의 기존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복수의 기존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의 파기와 관련하여 매도될 필요가 있는 정부 발행 부채의 금액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복수의 기존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처분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26] 명령들은, 제1 위험 스코어를 주기적으로 재계산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파라미터들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정부 발행 통화의 출처, 제1 사용자의 재산 출처(source of wealth) 및 제1 사용자의 어드레스 조회에 관한 제1 위험 스코어를 재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0027] 명령들은, (i) 사용자 파라미터들 중 임의의 것의 변경, (ii) 제1 디지털 월렛을 수반하는 거래의 완료 또는 시도, (iii) 제2 디지털 월렛에 대한 제2 위험 스코어 및 제2 ID 조회 분류를 포함하는 상대방 위험 정보(counter party risk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위험 스코어를 재계산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28] 제2 디지털 월렛은, 거래 적격성(transaction eligibility)에 관한 한 세트의 규칙들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추가로, 제1 위험 스코어 및 제1 ID 조회 분류가 한 세트의 규칙들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험 스코어 및 제1 ID 조회 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는, 제한된 사용 키 생성에 사용되는 입도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제2 사용자에 의한 검토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0029] 명령들은, 제1 디지털 월렛과 제2 디지털 월렛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래들에 기반하여,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제2 위험 스코어 및 제1 위험 스코어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30]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정부 발행 부채에 의해 담보설정된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발행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분산 노드들을 포함하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관리 플랫폼에 의해 구현된다. 관리 플랫폼은, 적어도 스마트 계약 모듈 및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관리 플랫폼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적어도 스마트 계약 모듈 및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더 포함한다. 방법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디지털 월렛 및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디지털 월렛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금융 정보 및 사용자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1 디지털 월렛에 대한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월렛 메타데이터는 제1 위험 스코어 및 제1 ID 조회 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월렛 메타데이터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 내의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제1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입도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한된 사용 키는, 제2 디지털 월렛이, 입도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블록체인에 저장된 제1 월렛 메타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방법은, 적어도 제1 디지털 월렛 및 제2 디지털 월렛을 수반하는 제1 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i)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거래 규칙들과 제1 월렛 메타데이터의 비교, 및 (ii) 입도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고려하여 제2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거래 요청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31] 본 개시내용은 또한, 정부 발행 부채에 의해 담보설정된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복수의 분산 노드들을 포함하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관리 플랫폼에 의해 구현된다. 관리 플랫폼은 적어도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관리 플랫폼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적어도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더 포함한다. 방법은, 제1 디지털 월렛의 제1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제한된 사용 키의 제1 입도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제한된 사용 키는 제1 디지털 월렛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방법은, 제1 제한된 사용 키를 제2 디지털 월렛의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제2 제한된 사용 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제한된 사용 키는,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제2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제2 입도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2 디지털 월렛에 의해 생성된다. 이 방법은 또한, 제2 제한된 사용 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월렛으로부터의 정보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정보는 제2 입도 파라미터들에 의해 결정된 상세성 레벨(level of detail)에서 제2 디지털 월렛의 소유자의 ID 분류 및 위험 스코어 중 하나 이상에 관한 것이다. 그런 다음, 제1 디지털 월렛과 제2 디지털 월렛 간의 거래를 진행하라는 표시가 제1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0032]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보다 충분히 인식된다.
[0033] 도 1은, 정부 채권들에 의해 지원되는 토큰화된 자산들을 제공하고 그리고 이러한 토큰화된 자산들을 수반하는 위험 스코어링 거래들을 위한 시스템의 주요 컴포넌트들의 하이-레벨 개요를 제공한다.
[0034] 도 2는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스마트 계약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될 시스템을 예시한다.
[0035]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사용자들을 온보딩(onboarding)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36] 도 4는 도 1의 시스템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토큰을 구매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37] 도 5는 도 1의 시스템 내에서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주조(minting)하거나 소각(burning)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0038] 도 6은 도 1의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토큰을 사용자가 이체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39]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ID 정보 및 위험 스코어를 관리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40] 도 8은, 각각의 잠재적 거래 당사자가 상대방의 디지털 월렛에 의해 생성된 제한된 사용 키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거래 상대방(counter party to a transaction)에 대한 식별 및 분류 정보 및 위험 스코어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41] 이제, 정부 채권들에 의해 지원되는 토큰화된 자산들을 제공하고 이러한 토큰화된 자산들을 수반하는 위험 스코어링 거래들을 위한 시스템(100)의 주요 컴포넌트들의 하이-레벨 개요를 제공하는 도 1에 주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개인들(102), 사업체들(103) 및 상인들(104)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 월렛 거래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AI-기반 관리 플랫폼(140)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플랫폼(140)은 월렛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들(107)과 통신하며, 월렛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들(107)은 디지털 월렛들(108)과 연관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월렛 인터페이스들(107)로 간단히 지칭될 수 있다. 시스템(100)의 동작 동안, 토큰화된 자산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디지털 월렛들(108) 사이에서 이체되고, 구매되고 그리고 상환될 수 있다.
[0042]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월렛들(108) 간의 토큰 거래들은 월렛 인터페이스들(107)과 함께 플랫폼(140)에 의해 조정된다. 개인(102)이 관여하는 토큰 거래들의 경우, 월렛 인터페이스(107N)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무선 또는 다른 네트워크들(미도시)을 통해 플랫폼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1)와 통신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109)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월렛 인터페이스(107N)가, 예를 들어, 노트북 또는 태블릿 컴퓨터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등과 같은 임의의 수의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사업체(103) 또는 상인(104)의 경우, 월렛 인터페이스(1071, 107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상인 연결 모듈(156) 또는 API와 통신하는 컴퓨팅 인프라스트럭처(예를 들어, 데스크톱 또는 노트북 컴퓨터, 서버,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또한, 토큰화된 자산들을 보유하는 것 또는 그러한 토큰화된 자산들과 연관되는 것을 지원하는, 정부 부채(170)를 보유하는 은행들(105) 및 다른 금융 기관들(106)과 인터페이싱한다.
[0043] AI-기반 관리 플랫폼(140)은 다수의 기능 모듈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AI-기반 관리 플랫폼(140)은 KYC(know your customer) 모듈(110),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114), 및 스마트 계약 모듈(118)을 포함한다. AI-기반 관리 플랫폼(140)은 토큰 발행자/스마트 계약/트레이드 관리자 모듈(144), 유동성 관리자 모듈(152), 및 은행/금융 기관 연결 인터페이스(160)를 더 포함한다.
[0044] 시스템(100)은, 사용자 디지털 월렛들(108)에 관한 메타데이터(170), 및 디지털 월렛들(108)의 경우 소유자들에 의해 지정된 거래 규칙들(122)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112)를 더 포함한다. 거래 규칙들(122)은 디지털 월렛들(108) 간의 거래를 가능하게 할 시에 스마트 계약 모듈(118) 및 거래 관리자(144)에 의해 활용된다. 데이터베이스(112)는 KYC 정보(174), 사용자들의 ID 분류들 및 위험 스코어들(176)을 더 포함한다. 디지털 월렛들(108)을 수반하는 거래들은, 복수의 분산 노드들(166)을 포함하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164) 내에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들(이후, "블록체인 월렛" 또는 "블록체인")로서 기록된다.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114)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이러한 거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각각의 디지털 월렛(108)에 대한 위험 스코어를 결정한다.
[0045] 일 실시예에서, 토큰화된 암호 자산은 정부 발행 명목 화폐(예를 들어, USD, EUR)에 고정된다. 토큰은, 고정된 명목 화폐로 다시 정산하기 위해 이동 중인 자금들을 제외하고, (토큰이 고정된 동일한 국가들로부터) 정부 트레저리 채권들(170)을 구매하고 보유함으로써 담보설정된다. 정부 채권들(170)은 규제 금융 기관들(106)에 보관된다. 유동성 수요들을 관리하기 위해, 명목 화폐(182)의 일정 퍼센트 담보가, 오로지 고정된 명목 화폐로 다시 상환을 요청하는 토큰 보유자들의 은행들(184)과의 일일 정산 거래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전세계의 기관들(105)의 은행 계정들에 보유된다. 유동성 계산들은 AI 엔진(148)에 의해 제공되는 AI-기반 서비스에 의해 관리된다. 일 구현에서, 이 AI 서비스는 (예를 들어, 최소 비용 라우팅 기법들의 사용을 통해) 활용할 일일 유동성 요건들 및 명목 정산 경로들을 결정한다.
[0046] 일 실시예에서, AI-기반 관리 플랫폼(140)은 클라우드-기반 플랫폼으로서 구현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은, 최소한의 관리 노력으로 또는 서비스 제공자 상호작용으로 신속하게 프로비저닝되고 그리고 릴리즈될 수 있는 구성가능한 컴퓨팅 리소스들(예를 들어, 네트워크들, 서버들,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들, 노드들 및 서비스들)의 공유 풀(shared pool)에 대한 주문형 네트워크 액세스(on-demand network access)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델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스토리지, 프로세싱, 대역폭 및 활성 사용자 계정들에 관련하여 일부 형태의 계측 능력(metering capability)을 활용함으로써 리소스 사용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경향이 있다.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탈중앙 네트워크를 손상시키는, 클라우드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PaaS(platform as a service), 클라우드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및 사용자 또는 네트워킹된 참여자 배치 탈중앙 노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들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40)은 Amazon® Web Service 클라우드를 통해 동작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랫폼(14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Microsoft® Azure 클라우드 또는 다른 제3자 클라우드와 같은 다른 클라우드 환경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AI-기반 관리 플랫폼(140)은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들을 사용하기보다는 온-프레미스(on premise) 서버들 및 다른 인프라스트럭처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독립 노드들의 탈중앙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프로비전을 비롯하여,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기반 리소스들의 결합을 포함하는 AI-기반 관리 플랫폼(140)의 하이브리드 구현들이 가능하다.
[0047]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계약 모듈(118)에 의해 저장된 메타데이터(170)는 사용자 ID, KYC 데이터 및 위험 스코어를 포함한다. 메타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해시되고 그리고/또는 암호방식으로 암호화될 것이며 그러한 메타데이터(170)가 속하는 디지털 월렛(108)의 소유자의 허가 없이는 어느 누구도 읽을 수 없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월렛(108)의 소유자는, 제공하는 월렛 소유자의 디지털 월렛(108)을 사용하여 생성된 제한된 사용 키를 상대방 월렛 소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대방(즉, 다른 디지털 월렛(108)의 소유자)에게 그러한 허가를 그랜트할 수 있다.
[0048] 이러한 제한된 사용 키는, ID 분류, 위험 스코어 및/또는 다른 정보에 대해 상대방에게 제공될 액세스 정도에 관한 월렛 사용자의 의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월렛(108)(이와 관련하여 제한된 사용 키가 생성됨)과 연관된 월렛 인터페이스(107)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를 통해, 월렛 소유자가 제한된 사용 키의 입도를 정의할 수 있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이러한 입도는, 예를 들어, 제한된 사용 키가 제공된 상대방 월렛 소유자에게 어떤 메타데이터(170)가 릴리즈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월렛 인터페이스(107)를 통해 정의되는 입도는 또한, 사용 한계들(예를 들어, 제한된 사용 키의 1회 사용(또는 1회 초과의 정의된 사용 횟수), 제한된 사용자 키의 만료일 등)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액세스가 제공되고 있는 디지털 월렛(108)의 소유자는, 이메일, 월렛 인터페이스들(107) 간의 앱-간(app-to-app) 통신을 거쳐 또는 다른 전자 통신을 통해, 제한된 사용 키를 상대방 월렛 소유자 키에 전달할 수 있다.
[0049] AI 엔진(148)은 명목 화폐와 정부 채권들(트레저리 기능들)의 밸런싱을 관리한다. 명목 화폐 요건들은, 정부 채권들을 명목 화폐로 전환하고 그리고 네트워크에 대한 정산 수요를 후원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기반한다. AI 엔진(148)은 또한, 사용자들에 의해 예치된 또는 상환된 명목화폐에 기반한 토큰들의 발행 및 소각을 위해 스마트 계약 모듈(118)과 조정한다.
[0050] KYC 모듈(110)은 월렛 소유자의 개인 또는 사업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스마트 계약들에 정의된 지리적 프로필들 및 루틴들을 기반으로 검증한다. 이는, 제출된 문서들(여권들, 공과금 명세서들, 법인 등기 문서들)의 검증, 공개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한 검증, 이미지 비교,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지문인식(fingerprinting), 디바이스 지문인식(즉, 모바일 폰의 IMEI)을 포함한다.
[0051] 이제, 스마트 계약 모듈(118)의 동작을 설명할 때 참조할 시스템(200)을 예시하는 도 2를 주목한다. 도 2의 시스템에서,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AI-기반 관리 플랫폼(140)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클라우드-기반 관리 플랫폼(240)에서 인스턴스화된다. 명료성을 위해, 관리 플랫폼(240)이 스마트 계약 모듈(118)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되지만, 플랫폼(140)의 다른 모듈들이 플랫폼(240) 내에 통합되지만 도 2에는 예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005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기반 관리 플랫폼(240)은 복수의 분산 노드(252)를 포함하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248)와 통신한다. 네트워크(248)의 노드들(252)은, 시스템(200)의 사용자들의 디지털 월렛들(108) 간의 거래들을 분산 장부(distributed ledger)에 기록한다. 각각의 사용자는 이러한 디지털 월렛 거래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월렛 인터페이스(107)로 구성된 컴퓨팅 장치(109)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외부 데이터, 기술 및 서비스 제공자들(264)은, 시스템(200)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월렛들을 발행받을 신규 사용자들에 의한 요청들을 평가하는 것과 관련하여 클라우드-기반 관리 플랫폼(240)에 다양한 검증 또는 체크 정보(265)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프로필 체크(266), 아이덴티티 체크(267), 재산 출처 체크(268) 및 자금 세탁 방지(AML:anti-money launder) 체크 또는 제재(sanction)들 체크(269)를 포함할 수 있다.
[0053]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계약 모듈(118) 및 거래 관리자(144)는 월렛 생성, 이체들 및 데이터 기록과 관련하여 일련의 검증들 및 제어들을 수행한다. 검증들 및 제어들은, 예를 들어, (1) 월렛 계정 생성; (2) 월렛 계정 검증(KYC), 즉 월렛에 대한 KYC 등록의 관리; (3) 월렛 데이터를 사용한 위험 스코어의 계산 및 월렛의 현재 위험 스코어 기록; (4) 사용자들 및 그의 거래들과 관련된 월렛의 거래 데이터의 업데이트; (5) 발신자와 수신자의 규칙들을 사용하여 2개의 월렛들 간의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의 이체 및 제어의 관리; (6) 토큰 이체들을 허용/방지하기 위한 월렛 소유자 규칙들의 관리(예를 들어, 상대방의 KYC 레벨에 관한 규칙들, 상대방의 위험 스코어, 이체량(volume of transfers), 이체 속도, 토큰 이체들의 최소 최대 크기, 월렛 사용자의 데이터 파일들의 관리); (7) 신규 토큰들의 발행(주조)의 관리 및 발행을 위한 트레저리 검증들; (8) 토큰들의 상환 및 회수(소각)의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0054]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월렛들(108) 간의 모든 거래들은 스마트 계약 모듈(118) 및 거래 관리자(144)에 의해 관리된다. 즉, 모든 월렛 거래들은, 플랫폼(240)을 통해 진행되고(flow) 그리고 스마트 계약 모듈(118)에 의해,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248) 내에 존재하는 블록체인 월렛에 기록된다. 이는 유리하게, 스마트 계약 모듈(118)이 각각의 거래 당사자에 의해 설정된 거래 규칙들(122)을 시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각각의 당사자가 그들의 거래 수락에 관련한 그들의 규칙들을 이행하는 것이 보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114)은, 플랫폼(240)에 의해 가능해지는 각각의 거래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실시간 기반으로 거래에 수반되는 디지털 월렛들(108)의 위험 스코어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55]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플랫폼(240)의 관여 없이, 직접 거래들이 디지털 월렛들(108) 사이에서 발생하도록 허용될 것이다. 이 경우, 거래에 수반되는 제1 및 제2 디지털 월렛들(108)과 연관된 월렛 인터페이스들(107)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248) 내의 블록체인 월렛에 거래를 기록하는 데 참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일반적으로 여전히, 블록체인 이력에 기록된 제1 및 제2 디지털 월렛들(108)의 블록체인 이력을 판독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이는,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114)이 이후 설명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 디지털 월렛들(108)과 연관된 위험 스코어를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0056] 디지털 월렛들(108) 간의 잠재적인 거래가 플랫폼(240)에 의해 가능해질 때, 스마트 계약(118)은, 잠재적인 거래의 적격성에 대한 초기 결정을 내리기 위해, 각각의 거래 당사자의 거래 규칙들(122)을 시행한다. 예를 들어, 잠재적 거래에 대한 제1 당사자의 제1 디지털 월렛(108)은, 제안된 거래에 대한 제2 당사자의 제2 디지털 월렛(108)의 위험 스코어 및/또는 ID 조회 분류에 관한 거래 규칙들(122)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당사자의 위험 스코어 및/또는 ID 조회 분류가 설정된 방식이 제1 당사자의 규칙들과 일치하는 경우, 스마트 계약(118)은, 제1 디지털 월렛(108)과 연관된 월렛 인터페이스(107)에 적절한 포지티브 표시를 제공(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거래 적격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녹색 체크마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당사자의 위험 스코어 및/또는 ID 조회 분류가 제1 당사자의 규칙들에 따라 설정되지 않은 경우, 스마트 계약(118)은 제1 디지털 월렛(108)과 연관된 월렛 인터페이스(107)에 적절한 네거티브 표시를 제공(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거래 부적격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적색 "X"들을 제공)할 수 있다.
[0057]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디지털 월렛들의 소유자들에 의해 설정된 거래 규칙들(122)의 평가에 기반하여) 제1 디지털 윌렛과 제2 디지털 월렛 사이에 제안된 거래가 진행하기에 적합하다는 스마트 계약(118)에 의한 발견은, 제안된 거래의 실행으로 자동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대신, 거래 적격성에 대한 이러한 포지티브 초기 결정은, 이러한 월렛들(108)의 사용자들에게 제안된 거래의 상대적 위험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및 제2 디지털 월렛들(108)의 월렛 인터페이스들(107)에 통신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월렛들(108)의 사용자들은, 제안된 거래에 대한 상대방에 관한, 블록체인 월렛 내에 기록된 보다 세분화된 정보(granular information)를 평가하고 싶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안된 거래 당사자가 이용가능한 정보의 입도는 거래 상대방에 의해 그러한 당사자에게 제공되는 제한된 사용 키에 의해 결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제안된 거래의 적격성에 대한 초기 결정을 내리기 위해 규칙들(122)을 적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제1 및 제2 디지털 월렛들(108)의 소유자들(즉, 제안된 거래에 대한 당사자들)은 각각, 거래 상대방에 의해 그러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한된 사용 키에 의해 결정되는 입도에서, 제안된 거래에 대한 상대방과 연관된, 블록체인 월렛 내의 정보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디지털 월렛들의 소유자들은, 제안된 거래에 대한 상대방에 의해 그러한 당사자에게 제공되는 제한된 사용 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월렛으로부터 각각의 당사자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만 기반하여, 제안된 거래의 진행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0058] 예시적인 예로서, 2개의 디지털 월렛들(108) 사이에 제안된 거래가 차량 판매와 관련된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디지털 월렛들(108) 중 하나 또는 둘 다와 연관된 규칙들(122)은, KYC 정보에 관한 데이터가 관할지 규칙들에 따라 수집되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특정 기준을 충족한다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스마트 계약(118)이 이것이 사실임을 확인하는 경우, 스마트 계약(118)은, 적용가능한 경우, 제안된 거래에 수반되는 디지털 월렛들 중 하나 또는 둘 다와 연관된 월렛 인터페이스(107)에 적절한 포지티브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판매자에 대응하는 당사자는, 상대방(즉, 차량 구매자)이 미국에서 ID 조회된 고객임을 결정할 수 있다. 상대방에 의해 차량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제한된 사용 키의 파라미터들에 의존하여,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판매자에게 상대방의 위험 스코어(예를 들어, 낮은, 중간 또는 높은 위험) 표시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상대방의 위험 스코어가 낮으면, 이는, 상대방이 (그 개개의 위험 스코어들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의심스러워 보이는 거래들을 수행하지 않았으며 파렴치한 당사자들과 거래하지 않았다는 것을 차량 판매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차량 판매자는, 상대방이 ID-조회되고 위험 스코어가 낮기 때문에, 상대방이 자금 세탁 위험을 제기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판매자는, 월렛 인터페이스(107)를 통해, 판매자가 상대방으로부터 차량 구매 가격을 받을 의향이 있다는 것을 스마트 계약(118)에 알릴 수 있다.
[0059] 한편, 차량 판매자가 상대방의 아이덴티티가 최신 것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또는 상대방이 높은 위험 스코어를 갖는다는 것을 결정할 경우, 판매자는 거래를 진행하는 것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판매자가 이러한 결정을 내릴 수 있었던 이유는, 스마트 계약 모듈(118)이, 상대방이 판매자의 하나 이상의 규칙들을 준수하지 않았음을 판매자의 월렛 인터페이스(107)에게 알렸기 때문에 그리고/또는 판매자가, 상대방에 의해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제한된 사용 키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블록체인 월렛으로부터 이 정보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0060] 일 실시예에서, 상대방 월렛 소유자는, 상대방 월렛 소유자에게 제공되는 제한된 사용 키에 의해 가능해지는 범위는 제외하고,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248) 내에 기록된, 블록체인 월렛 내에 포함된 다른 월렛 소유자에 대한 거래 정보에 액세스할 수 없을 것이다.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월렛 소유자는 연관된 월렛 인터페이스(107)를 통해 월렛 소유자의 디지털 월렛(108)에 의해 생성된 제한된 사용 키의 파라미터들을 맞춤조정(tailor)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된 사용 키는 QR 코드 형태일 수 있으며, 이 QR 코드는, QR 코드를 소유한 상대방에 의해 스캔될 때, 상대방의 월렛 인터페이스(107)를 통해, 녹색 체크마크를 또는 월렛 소유자의 아이덴티티가 조회되었으며 월렛 소유자의 위험 스코어가 낮다는 다른 표시를 제공한다. 다른 경우들에서, 월렛 소유자는 월렛 보유자에 관한 보다 세분화된 정보를 상대방에게 제공하도록 제한된 사용 키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된 사용 키는, 상대방이 제한된 사용 키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스캔할 때, 여권의 이미지 또는 관련된 상세 정보가 상대방의 월렛 인터페이스(107)에 제공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지털 월렛(108)의 소유자와의 거래를 고려하고 있는 은행은, 소유자에게, 월렛 소유자의 여권의 사본, ID 스코어, 위험 스코어, 및 월렛 소유자가 사업을 한 국가들을 은행에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월렛 소유자는, 월렛 인터페이스(107)를 통해 월렛 소유자의 디지털 월렛(108)에, 은행 직원이 월렛 소유자의 여권 이미지, 월렛 소유자의 ID 엔티티 스코어, 월렛 소유자가 사업을 한 국가들의 리스트, 및 월렛 소유자의 위험 스코어를 (은행의 월렛 인터페이스(107)를 통해) 보도록 허용하는 제한된 사용 키를 생성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잠재적 상대방(예를 들어, 은행 직원)의 대표자들은, 제한된 사용 키(예를 들어, QR 코드)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월렛에 저장된 월렛 소유자의 여권의 이미지, 신용 정보, ID 스코어 및/또는 ID 조회 상태 등을 리트리브할 것이다. 이 예에서, QR 코드는, 이러한 이미지들 및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그리고/또는 블록체인 월렛에 저장된 월렛 소유자의 여권의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파일로의 링크에 대한 액세스(여기서, 링크는 QR 코드를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음)를 허용하는 비공개 키로서 동작한다. 이 예에서, 제한된 사용 키는 또한, 일부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 또는 월렛 소유자가 플랫폼(240)을 통해 거래를 시작한 이후, 월렛 소유자와 거래들에 관여한 상대방들과 연관된 국가들의 리스트를 반환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월렛 소유자의 디지털 월렛(108)은 상대방에게 릴리즈되는 타입 및 입도 또는 아이덴티티 조회 및 위험 스코어 정보를 활성화시키는 제한된 사용 키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0061] 이제, 시스템(100)의 동작의 다양한 양상들을 나타내는 흐름도들인 도 3 내지 도 7을 주목한다.
[0062] 도 3은 시스템(100)에 사용자들을 온보딩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300)의 흐름도이다. 온보딩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로서, 사용자(102)는 월렛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한 요청을 플랫폼(140)에 전송한다(스테이지(302)). 요청에 대한 응답하여, 거래 관리자(144)는 메타데이터 및 KYC 스코어를 갖는 신규 월렛 어드레스를 생성한다(스테이지(304)). 그런 다음, KYC 체크가 (관할지 규칙들에 기반하여) 선호되는 방법들을 사용하여 완료된다(스테이지(306)).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 그리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검증들에 기반하여, 신규 디지털 월렛(108)에는 ID 조회 분류 및 위험 스코어가 할당된다(스테이지(308)).
[0063] 도 4는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토큰을 구매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400)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은행(184)은 초기에 명목 화폐(예를 들어, 미국 달러)를 파트너 은행(105)에 전송한다(스테이지(402)). 그런 다음, 파트너 은행(105)은, 예를 들어, 플랫폼(140)의 하나 이상의 운영자(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들과 연관된 플랫폼 트레저리 계정(190)으로 대응하는 금액의 명목 화폐를 전송한다(스테이지(404)). 그런 다음,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토큰들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ID 분류 및 위험 스코어를 체크한다(스테이지(408)), 즉,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토큰 구매 거래가 진행되도록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토큰들을 전송할 자격이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스테이지(412)),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토큰들을 트레저리 월렛(192)으로부터 디지털 월렛(108)으로 이체한다; 즉,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164) 내에 존재하는 블록체인 월렛에 토큰 이체를 기록한다(스테이지(416)). 사용자가 토큰들을 전송할 자격이 없는 것으로 결정되면(스테이지(412)),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거래를 거부하고(스테이지(420)), 트레저리 계정(190) 내의 명목 화폐는, 직접 또는 파트너 은행(105)을 통해, 사용자의 은행(184)으로 반환된다(스테이지(424)).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트레저리 계정(190)을 유지하는 금융 기관(106) 및 파트너 은행(105)은 동일한 기관일 수 있다.
[0064] 도 5는 시스템(100) 내에서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주조하거나 소각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500)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신규 토큰들을 주조하는 프로세스는, 플랫폼 트레저리 계정(190)의 사용자들로부터 명목 화폐(예를 들어, 미국 달러)를 수집하는 것으로 시작한다(스테이지(502)). 이것은, 예를 들어, 잠재적으로 플랫폼에 의해 활용되는 파트너 은행(105)을 거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은행들(184)의 사용자 계정들로부터 플랫폼 트레저리 계정(190)으로 명목 화폐를 이체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토큰들을 소각하는, 즉 처분하는 프로세스는, 사용자들에 의해 개시되는 거래들을 철회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플랫폼 트레저리 계정(190)으로부터 명목 화폐를 이체하는 것으로 시작된다(스테이지(502)). (신규 발행에 대해) 수신된 또는 인출된(토큰 소각된) 순 법정 화폐에 기반하여,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신규 토큰들을 주조해야 하는지 아니면 기존 토큰들을 소각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스테이지(506)). AI 엔진(148)은, 발행된 모든 토큰들을 100% 담보설정하기 위해, 매수될 또는 매도될 명목 화폐의 트레저리 채권 금액을 결정한다(스테이지(510)). 일 실시예에서, 매수될 또는 매도될 트레저리 채권 금액을 결정할 시에 AI 엔진(148)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은, 명목 USD에 대한 순 일일 유동성 요건들, 채권 만기, 신규 주조로부터 이용가능한 USD, 미국 경제의 거시 경제 전망 등을 포함한다. 일단 트레저리 채권들이 매수되거나 매도되면,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신규 토큰들을 주조하거나 기존 토큰들을 소각한다(스테이지(514)).
[0065] 도 6은 시스템(100)으로부터 획득된 토큰을 사용자가 이체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600)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프로세스(600)는, 사용자가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하나 이상의 토큰들을 상환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시작된다(스테이지(602)).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사용자가 토큰들을 명목 화폐로 상환할 자격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ID 분류 및 위험 스코어를 체크한다(스테이지(606)). 사용자가 토큰들을 상환할 자격이 있는 경우(스테이지(610)), 스마트 계약 모듈(118)은 사용자의 디지털 월렛(108)으로부터 트레저리 월렛(192)으로 토큰들을 이체하고 그리고 정산이 명목 화폐로 상환 사용자에게 트리거된다(스테이지(614)). 사용자가 토큰들을 상환할 자격이 없는 경우(스테이지(610)), 거래는 거부된다(스테이지(618)). 그런 다음, 이 거부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164) 내의 블록체인 월렛에 기록되고 그리고 사용자의 위험 스코어를 결정할 때,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114)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스테이지(622)).
[0066]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ID 정보 및 위험 스코어를 관리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700)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114)은 사용자의 위험 스코어를 주기적으로 그리고 잠재적으로는 사용자의 위험 스코어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각각의 이벤트 이후에 재계산하도록 구성된다(스테이지(702)). 프로세스(700)는 사용자의 위험 스코어의 재계산(예를 들어, 사용자에 관한 임의의 시스템 거래 또는 임의의 사용자 또는 다른 파라미터들의 변경)을 요구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스테이지(706)).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사용자 파라미터들, 소셜 스코어, 과거 거래들(예를 들어, 완료된 거래들, 및 월렛 소유자들 간에 정보는 교환되었지만 어떠한 거래도 완료되지 않은 제안된 거래들 둘 다), 및 금융 스코어가 위험 스코어를 컴퓨팅하는 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사용자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ID 조회, 어드레스 조회, 자금 출처, 재산 출처, 제재 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금융 스코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은행 계정, 신용 카드 및 직불 카드 및 다른 자산들의 조회에 기반할 수 있다.
[0067] 사용자의 위험 스코어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를 검출할 때(스테이지(706)), 사용자의 위험 스코어는 위에서 식별된 것들과 같은 정의된 세트의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재계산된다(스테이지(710)). 프로세스(700)는 또한, 사용자가 지난 X 개월(예를 들어, X=12) 내에 자신의 KYC 정보를 갱신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스테이지(714)). 사용자가 지난 X 개월 내에 자신의 KYC 정보를 갱신한 경우(스테이지(714)), 다른 관련 정보가 변경되지 않는 한 사용자에 대한 ID 분류 및 위험 스코어가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된다(스테이지(720)). 사용자가 지난 X 개월 내에 자신의 KYC 정보를 갱신하지 않았다면(스테이지(714)), 사용자의 ID 분류가 업데이트되고 위험 스코어에 대한 임의의 결과적인 변경들이 또한 수행된다(스테이지(724)).
[0068]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월렛(108)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는 추가적 데이터, 이를테면, 예를 들어, 예방 접종 증명서(immunization), 의료 기록들 또는 다른 잠재적으로 관련된 프로필 정보를 사용자의 KYC 정보(174) 및/또는 ID 분류 및 위험 스코어들(176)에 추가할 수 있다. 전문가들의 경우, 이 추가 프로필 정보는, 예를 들어, 전문 라이선스들에 관한 정보 및 이러한 라이선스들이 독립적으로 조회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0069] 도 8은, 각각의 잠재적 거래 당사자가, 상대방의 디지털 월렛에 의해 생성된 제한된 사용 키에 의해 결정되는 입도 레벨에서 거래 상대방에 대한 식별 및 분류 정보 및 위험 스코어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 프로세스(800)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800)는, 제1 디지털 월렛의 제1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제한된 사용 키의 입도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한다(스테이지(802)). 프로세스(800)는, 제2 디지털 월렛의 제2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제한된 사용 키의 입도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스테이지(806)). 제1 디지털 월렛을 사용하여 제1 제한된 사용 키가 생성되고, 제2 디지털 월렛을 사용하여 제2 제한된 사용 키가 생성된다(스테이지(810)). 제1 제한된 사용 키는 제2 디지털 월렛의 소유자에게 제공되고 그리고 제2 제한된 사용 키는 제1 디지털 월렛의 소유자에게 제공된다(스테이지(816)). 그 다음, 제1 제한된 사용 키는, 제1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입도 파라미터들에 의해 결정된 상세성 레벨에서 제1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ID 분류 및 위험 스코어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정보에 (예를 들어, 제2 디지털 월렛의 소유자를 대신하여) 액세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스테이지(820)).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제한된 사용 키는, 제2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입도 파라미터들에 의해 결정된 상세성 레벨에서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ID 분류 및 위험 스코어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정보에 (예를 들어, 제1 디지털 월렛의 소유자를 대신하여) 액세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스테이지(820)). 그런 다음, 제1 디지털 월렛과 제2 디지털 월렛 간의 거래를 진행할지 여부에 대한 표시들이 제1 월렛 인터페이스 및 제2 월렛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스테이지(826)).
[0070] 제1 디지털 월렛이나 제2 디지털 월렛의 소유자가 임의의 거래 규칙들을 지정하지 않았고, 따라서 스마트 계약 모듈(118)이 거래 적격성에 관한 판단을 내리는 데 활용할 거래 규칙들(122)이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디지털 월렛들의 소유자들은, 각각의 당사자에게 제공된 제한된 사용 키(들)에 의해 릴리즈된 메타데이터(170)의 육안 검사에 기반하여 스스로 결정을 내린다. 이 경우, 월렛 소유자는 거래들이 진행되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소유자의 월렛 및/또는 월렛 인터페이스에서, 이후 스마트 계약 모듈(118)에 의해 자동으로 시행될 수 있는 규칙들을 정의한다.
[0071] 본원에서는, 신규 사용자가 토큰화된 자산과 동일한 통화로 명목 지폐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스마트 계약으로부터 신규 토큰들을 발행함으로써 토큰화된 자산의 가격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그런 다음, 수신된 명목 지폐는 정부 발행 트레저리 채권들 또는 다른 정부 발행 부채를 구매하는 데 사용된다.
[0072] 토큰은 전세계적 대체 암호 자산 거래소들에서 상장되고 트레이딩될 수 있다. 토큰 시스템의 각각의 참가자에게는 공개 및 비공개 키 쌍을 포함하는 월렛 어드레스가 발행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키 쌍 및 생성된 제한된 사용 키들은 아이덴티티 문서들 및/또는 수락가능한 아이덴티티 조회 방법들 및 위험 데이터와 연관된다. 시스템은 월렛 보유자의 개인 또는 법인 아이덴티티 및 위험 스코어의 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위험 스코어는, 사전정의된 스케일의 단일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어, 월렛-관련 액션들, 거래들, KYC 또는 KYB, 지리적 및 다른 데이터 입력들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0073] KYC 및/또는 KYB 문서들은, 문서들의 유효성의 스코어를 강화하기 위해 하나 초과의 출처에 의해 조회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인들의 결과들은 월렛 어드레스와 연관된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0074] KYC 및 KYB 데이터 조회 데이터는, 거버넌스 모델에 공개될 수 있으며 클래스 적합성(즉, BSA 준수, EEA 중앙 은행 준수, 중국 규제 준수 등)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0075] 위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제한이 아닌 단지 예로서 제공되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이 특정 순서로 발생하는 특정 이벤트들을 표시하는 경우, 특정 이벤트들의 순서가 수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벤트들 중 특정 이벤트는 가능할 때 병렬 프로세스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록 상이한 디바이스들 내의 다양한 모듈들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들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될지라도, 그러한 모듈들은 또한 디바이스의 메모리(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위치/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액세스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명세서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이러한 모든 수정들 및 변동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0076] 본원에서 개요가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 또는 프로세스들은 다양한 운영 시스템들 또는 플랫폼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로서 코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툴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기입될 수 있으며,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 상에서 실행되는 실행가능 머신 언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서 컴파일될 수 있다.
[0077]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발명의 개념들이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상에서 실행될 때, 위에서 논의된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방법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로 인코딩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또는 다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예를 들어, 컴퓨터 메모리, 하나 이상의 플로피 디스크들, 콤팩트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자기 테이프들, 플래시 메모리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또는 다른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회로 구성들, 또는 다른 비-일시적 매체 또는 유형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는 매체들은 이송가능할 수 있어, 여기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컴퓨터들 또는 다른 프로세서들에 로딩될 수 있다.
[0078]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라는 용어들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상들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세서를 프로그램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코드 또는 세트의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을 지칭하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일 양상에 따라, 실행될 때, 본 발명의 방법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단일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상에 상주할 필요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상이한 컴퓨터들 또는 프로세서들 사이에 모듈 방식으로 분산되어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0079]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과 같은 다수의 형태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한 작업들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추상적 데이터 타입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객체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의 기능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하는 대로 결합 또는 분산될 수 있다.
[0080] 또한, 데이터 구조들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의 단순화를 위해, 데이터 구조들은 데이터 구조 내의 위치를 통해 관련된 필드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들은 마찬가지로, 필드들 사이의 관계를 전달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내의 위치들을 갖는 필드들에 대해 저장소를 할당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포인터들, 태그들, 또는 데이터 엘리먼트들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는 다른 메커니즘들의 사용을 통하는 것을 포함하여, 데이터 구조의 필드들 내의 정보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0081] 또한, 다양한 본 발명의 개념들은 하나 이상의 방법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의 예가 제공되었다. 방법의 일부로서 수행된 동작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순서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순차적인 동작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동작들이 예시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고, 이는 일부 동작들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실시예들이 구성될 수 있다.
[0082] 본원에서 정의되고 사용되는 모든 정의들은, 사전상의 정의(dictionary definition)들, 인용에 의해 포함된 문서들에서의 정의들, 및/또는 정의된 용어들의 일반적인 의미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0083]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들은, 명백하게 반대로 표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0084]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문구는, 그렇게 결합된 엘리먼트들, 즉, 일부 경우들에서는 결합적으로 존재하고 다른 경우들에는 분리되어 존재하는 엘리먼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으로 나열된 여러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하는데, 즉, 엘리먼트들 중 "하나 이상"이 그렇게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된 엘리먼트들과 관련이 있든 없든, "및/또는" 절로 구체적으로 식별되는 엘리먼트들 이외에, 다른 엘리먼트들이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포함하는"과 같은 개방형 언어(open-ended language)와 함께 사용될 때, "A 및/또는 B"에 대한 언급은, 일 실시예에서는, A만을(선택적으로 B 이외의 엘리먼트들을 포함); 다른 실시예에서는, B만을(선택적으로 A 이외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함);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A와 B 둘 다(선택적으로, 다른 엘리먼트들을 포함함)를 지칭하는 식일 수 있다.
[0085]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또는"은 위에서 정의된 "및/또는"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리스트에서 항목을 분리할 때, "또는" 또는 "및/또는"은 포괄적인 것(즉, 적어도 하나를 포함)이지만, 또한 다수의 또는 리스트의 엘리먼트들, 또는 선택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추가의 아이템들 중 1개 초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확히 반대로 표시된 용어들만이, 이를테면 "~중 단지 하나만" 또는 "~중 정확히 하나",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될 때, "~로 구성되는"은, 다수의 또는 리스트의 엘리먼트들 중 정확히 하나의 엘리먼트의 포함을 지칭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또는"이란 용어는, "~중 어느 하나", "~ 중 하나", "~ 중 하나만" 또는 "~중 정확히 하나"와 같은 독점성 용어가 앞에 올 때, 배타적 대안들(즉, "~ 둘 다가 아닌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을 표시하는 것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를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되는(consisting essentially of)"은, 청구항들에서 사용될 때, 특허법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다.
[0086] 본원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의 리스트를 참조로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는, 엘리먼트들의 리스트에 있는 엘리먼트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그러나 엘리먼트들의 리스트 내에 구체적으로 나열된 각각의 모든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그리고 엘리먼트들의 리스트에 있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결합들도 배제하지 않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정의는 또한,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가 참조하는 엘리먼트들의 리스트 내에서 구체적으로 식별된 엘리먼트들과 관련되든 아니면 관련되지 않든, 그러한 구체적으로 식별된 엔티티들 이외에 엘리먼트들이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게 허용한다. 따라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동등하게,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동등하게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보다 더 많은 A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B는 존재하지 않는(그리고 B 이외의 엘리먼트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를;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보다 더 많은 B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A는 존재하지 않는(그리고 A 이외의 엘리먼트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를;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보다 더 많은 A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그리고 하나보다 더 많은 B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그리고 다른 엘리먼트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0087] 상기 명세서뿐만 아니라 청구항들에서,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보유하는(carrying)", "가지는(having)", "함유하는(containing)", "수반하는(involving)", "보유하는(holding)", "구성된(composed of)" 등은 개방형, 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미국 특허청 특허 심사 절차 매뉴얼, 섹션 2111.03에 명시된 바와 같이, "~로 구성되는" 및 "~를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되는"이라는 연결구들만이 폐쇄형 또는 반-폐쇄형 연결구들이다.

Claims (24)

  1. 정부 발행 부채에 의해 담보설정된 스테이블 암호화폐(stable cryptocurrency)의 발행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분산 노드들을 포함하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transaction validation and recording network)와 통신하는 관리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플랫폼은,
    적어도 스마트 계약 모듈 및 ID(identity) 및 위험 스코어 모듈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적어도 상기 스마트 계약 모듈 및 상기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컴퓨터 프로세서들
    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디지털 월렛(digital wallet) 및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디지털 월렛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금융 정보 및 사용자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에 대한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제1 월렛 메타데이터는 제1 위험 스코어 및 제1 ID 조회 분류(verification class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 내의 블록체인에 상기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제1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입도 정보(granularity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한된 사용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이, 상기 입도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된 상기 제1 월렛 메타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적어도 상기 제1 디지털 월렛 및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을 수반하는 제1 거래 요청(transaction request)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및
    (i) 상기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거래 규칙들과 상기 제1 월렛 메타데이터의 비교, 및 (ii) 상기 입도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상기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거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평가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제1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추가의 거래 규칙들을 상기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제2 월렛 메타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거래 요청에 대응하는 제1 거래의 완료를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제1 거래를 기록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평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거래 요청을 거부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제1 거래 요청의 거부를 기록하기 위한 명령들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래 요청은 이체 요청(transfer request)에 대응하고, 그리고
    상기 명령들은, 평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으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으로 지정된 수의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tokens of the stable cryptocurrency)을 이체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추가로, KYC(know your customer) 모듈에 대한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KYC 모듈에 대한 명령들은,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금융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1 KYC(know your customer) 스코어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제1 KYC 스코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에 대한 제1 공개 어드레스(public address) 및 대응하는 비공개 키(private key)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KYC 모듈에 대한 명령들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관할지(jurisdiction)에 적용가능한 규칙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KYC 체크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규칙들은 거주 기반 KYC 법(residence-based KYC law)들 및 자금 세탁 방지(AML: anti-money laundering) 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을 수반하는 제2 거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제1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추가의 거래 규칙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거래 요청을 평가하기 위한 명령들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래 요청은 상환 요청(redemption request)에 대응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2 거래 요청을 평가한 후,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으로부터 지정된 수의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상환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i) 상기 제1 거래 요청의 거부, (ii) 상기 제1 거래 요청의 수락, 및 (iii)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으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으로 지정된 수의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의 이체 완료 중 임의의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위험 스코어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추가로, KYC(know your customer) 모듈에 대한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KYC 모듈에 대한 명령들은,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개인 및 금융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1 KYC(know your customer) 스코어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제1 세트의 규칙들이 추가로, 상기 제1 KYC 스코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제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추가로, AI(artificial intelligence) 엔진에 대한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AI 엔진에 대한 명령들은,
    상기 시스템의 운영자와 연관된 계정에서,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된 정부 발행 통화의 순 금액(net amount)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수신된 정부 발행 통화의 순 금액에 기반하여, 생성될 복수의 신규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복수의 신규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담보설정하기 위해, 구매될 필요가 있는 정부 발행 부채의 금액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복수의 신규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들과 연관된 디지털 월렛들에 발행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추가로, AI(artificial intelligence) 엔진에 대한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AI 엔진에 대한 명령들은,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들에 의해, 상기 시스템의 운영자와 연관된 계정에서, 인출된 정부 발행 통화의 순 금액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인출된 정부 발행 통화의 순 금액에 기반하여, 처분될 복수의 기존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복수의 기존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의 파기와 관련하여 매도될 필요가 있는 상기 정부 발행 부채의 금액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복수의 기존 스테이블 암호화폐 토큰들을 처분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위험 스코어를 주기적으로 재계산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정부 발행 통화의 출처, 상기 제1 사용자의 재산 출처(source of wealth)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어드레스 조회에 관한 상기 제1 위험 스코어를 재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위험 스코어를 주기적으로 재계산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위험 스코어를 재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금융 정보는 은행 계정 조회, 신용 카드 조회 및 자산 조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i)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들 중 임의의 것의 변경, (ii)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을 수반하는 거래의 완료 또는 시도, (iii)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에 대한 제2 위험 스코어 및 제2 ID 조회 분류를 포함하는 상대방 위험 정보(counter party risk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위험 스코어를 재계산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위험 스코어 및 상기 제1 ID 조회 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이,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으로부터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정부 발행 통화와 교환하여, 복수의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토큰들을 수신할 자격이 있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복수의 토큰들을 트레저리 월렛(treasury wallet)으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으로 이체하기 위한 명령들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디지털 월렛과 제2 디지털 월렛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래의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위험 스코어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은, 거래 적격성(transaction eligibility)에 관한 한 세트의 규칙들로 구성되고 그리고 추가로, 상기 제1 위험 스코어 및 상기 제1 ID 조회 분류가 상기 한 세트의 규칙들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험 스코어 및 상기 제1 ID 조회 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한된 사용 키 생성에 사용되는 입도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검토(review)를 위해 제공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디지털 월렛과 상기 제2 디지털 월렛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래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제2 위험 스코어 및 상기 제1 위험 스코어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디지털 월렛과 상기 제2 디지털 월렛 사이에서 제안된 거래의 거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제2 위험 스코어 및 상기 제1 위험 스코어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
  23. 정부 발행 부채에 의해 담보설정된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발행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분산 노드들을 포함하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관리 플랫폼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관리 플랫폼은, 적어도 스마트 계약 모듈 및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플랫폼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적어도 상기 스마트 계약 모듈 및 상기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디지털 월렛 및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디지털 월렛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금융 정보 및 사용자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에 대한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월렛 메타데이터는 제1 위험 스코어 및 제1 ID 조회 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 내의 블록체인에 상기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입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한된 사용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이, 상기 입도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된 상기 제1 월렛 메타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제1 디지털 월렛 및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을 수반하는 제1 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거래 규칙들과 상기 제1 월렛 메타데이터의 비교, 및 (ii) 상기 입도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입도 레벨에서 상기 제1 월렛 메타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거래 요청에 응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부 발행 부채에 의해 담보설정된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발행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24. 정부 발행 부채에 의해 담보설정된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분산 노드들을 포함하는 거래 검증 및 기록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관리 플랫폼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관리 플랫폼은, 적어도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플랫폼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적어도 상기 ID 및 위험 스코어 모듈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제1 디지털 월렛의 제1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제한된 사용 키의 제1 입도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월렛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제한된 사용 키를 생성하는 단계;
    제2 디지털 월렛의 소유자에게 상기 제1 제한된 사용 키를 제공하는 단계;
    제2 제한된 사용 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제한된 사용 키는, 상기 제2 디지털 월렛과 연관된 제2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제2 입도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에 의해 생성됨―;
    상기 제2 제한된 사용 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월렛으로부터의 정보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입도 파라미터들에 의해 결정된 상세성 레벨(level of detail)에서 상기 제2 디지털 월렛의 소유자의 ID 분류 및 위험 스코어 중 하나 이상에 관한 것임―; 및
    상기 제1 월렛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디지털 월렛과 상기 제2 디지털 월렛 간의 거래를 진행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부 발행 부채에 의해 담보설정된 스테이블 암호화폐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KR1020217043389A 2019-06-10 2020-06-10 정부 채권들에 의해 지원되는 토큰화된 자산 및 연관된 토큰 거래들의 아이덴티티 및 위험 스코어링 KR202200350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59665P 2019-06-10 2019-06-10
US62/859,665 2019-06-10
PCT/US2020/037016 WO2020252036A1 (en) 2019-06-10 2020-06-10 Tokenized asset backed by government bonds and identity and risk scoring of associated token transa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050A true KR20220035050A (ko) 2022-03-21

Family

ID=7365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389A KR20220035050A (ko) 2019-06-10 2020-06-10 정부 채권들에 의해 지원되는 토큰화된 자산 및 연관된 토큰 거래들의 아이덴티티 및 위험 스코어링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0977645B2 (ko)
EP (1) EP3980959A4 (ko)
JP (1) JP7381614B2 (ko)
KR (1) KR20220035050A (ko)
CN (1) CN114503145A (ko)
AU (1) AU2020291525A1 (ko)
BR (1) BR112021024811A2 (ko)
CA (1) CA3142933A1 (ko)
IL (1) IL288686A (ko)
MX (1) MX2021015238A (ko)
WO (1) WO2020252036A1 (ko)
ZA (1) ZA2021102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04263A1 (en) * 2018-06-18 2019-12-26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ledger based intercompany netting
CA3142933A1 (en) 2019-06-10 2020-12-17 Miles Paschini Tokenized asset backed by government bonds and identity and risk scoring of associated token transactions
US11080687B2 (en) * 2019-07-15 2021-08-03 Bloc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transaction settlement
US20210142299A1 (en) * 2019-11-13 2021-05-13 Ceres Coin LLC Stablecoin as a medium of exchange on a blockchain-based transaction network
US11379775B2 (en) * 2020-07-14 2022-07-05 BankCard Services, LLC Computer-bas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for automated and dynamic account analysis and methods thereof
CN113129017B (zh) * 2020-08-31 2022-06-2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共享方法、装置及设备
US20220253952A1 (en) * 2021-02-08 2022-08-11 CipherTrace, Inc. Systems and methods of forensic analysis of cryptocurrency transactions
US20230004423A1 (en) * 2021-04-07 2023-01-05 Reza Fatahi System and method for meta-transactional interoperability of decentralized computing networks
US20230046579A1 (en) * 2021-08-16 2023-02-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Informa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ata transmission among user profiles using a blockchain network
IT202100026213A1 (it) * 2021-10-13 2023-04-13 Blasis Luca De Sistema per la creazione e il trasferimento di moneta FIAT digitale basato su blockchain
WO2024049903A2 (en) * 2022-08-30 2024-03-07 Ascenditur v3, LLC Decentralized risk assessment framework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WO2024054665A1 (en) * 2022-09-09 2024-03-14 Object Layer Technology Corporation Targeted blockchain transactions based on specialized non-fungible token tracking, minting, and transaction system
JP7292767B1 (ja) 2022-09-12 2023-06-19 スラッシュ フィンテック 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4058952A1 (en) * 2022-09-12 2024-03-2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redemption of token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7545A2 (en) * 2013-03-21 2014-09-25 Zenmesh Private Limited Business transactions using trust based instrument
US20160117678A1 (en) * 2014-10-27 2016-04-28 Karmic Labs, Inc. Payment system
US20160239831A1 (en) * 2015-02-17 2016-08-18 Domus Semo Sancus Network based money and value transfer service with a digital wallet
US20160260091A1 (en) * 2015-03-04 2016-09-08 THC Farmaceuticals, Inc. Universal wallet for digital currency
US20180240107A1 (en) * 2015-03-27 2018-08-23 Black Gold Coi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US10079682B2 (en) * 2015-12-22 2018-09-18 Gemalto Sa Method for managing a trusted identity
WO2018232297A1 (en) * 2017-06-15 2018-12-20 Sweetbridge Solo-party collateralized liquidity
US10552556B2 (en) * 2017-08-03 2020-02-04 Liquineq AG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ance testing of scalable distributed network transactional databases
CN111357032A (zh) * 2017-08-25 2020-06-30 托肯Iq公司 用于价值转移的方法和装置
CN110019516B (zh) * 2017-11-10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管理方法、装置及系统
RU2020120214A (ru) * 2017-11-21 2021-12-22 Сикпа Холдинг Са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цифровых активов
US20190034936A1 (en) * 2017-12-29 2019-01-31 Intel Corporation Approving Transactions from Electronic Wallet Shares
US10373129B1 (en) * 2018-03-05 2019-08-06 Winklevoss Ip, Llc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stable value digital assets
CN108364173B (zh) * 2018-02-14 2021-01-19 北京三六五八网络科技有限公司 用于电商平台的数字资产处理方法及装置
US11126613B2 (en) * 2018-04-24 2021-09-21 Duvon Corporation Autonomous exchange via entrusted ledger immutable distributed database
KR101946557B1 (ko) * 2018-05-15 2019-05-03 한국마필거래소(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유전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328290B2 (en) * 2018-08-06 2022-05-10 Inveniam Capital Partners, Inc. Stable cryptocurrency coinage
US11514411B2 (en) * 2018-10-10 2022-11-29 Pontoro Inc. Multi-tier tokenization platform
US11861595B2 (en) * 2018-12-19 2024-01-02 Jpmorgan Chase Bank , N.A.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and use of a device wallet identifier
US11636537B2 (en) * 2019-03-26 2023-04-25 StreamSource Technologies System and methods of providing point-of-need financing
US11170376B2 (en) * 2019-05-29 2021-11-09 Vivigle, Inc. Informational and analytical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the level of trust, control and secure interaction of counterparties when using electronic currencies and contracts
CA3142933A1 (en) 2019-06-10 2020-12-17 Miles Paschini Tokenized asset backed by government bonds and identity and risk scoring of associated token trans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87891A1 (en) 2020-12-10
JP7381614B2 (ja) 2023-11-15
ZA202110267B (en) 2023-05-31
BR112021024811A2 (pt) 2022-02-22
US11669831B2 (en) 2023-06-06
EP3980959A1 (en) 2022-04-13
JP2022536485A (ja) 2022-08-17
US20210264408A1 (en) 2021-08-26
IL288686A (en) 2022-02-01
MX2021015238A (es) 2022-04-06
CN114503145A (zh) 2022-05-13
US10977645B2 (en) 2021-04-13
AU2020291525A1 (en) 2022-01-20
WO2020252036A1 (en) 2020-12-17
EP3980959A4 (en) 2023-07-05
CA3142933A1 (en)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9831B2 (en) Tokenized asset backed by government bonds and identity and risk scoring of associated token transactions
US20220122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US202103981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rivate sector monetary authority
US1141023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pliance aware tokenization and control of asset value
US202003946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rivate sector monetary authority
US11908012B2 (en) Global liquidity and settlement system
US118101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US11637693B2 (en) Distributed blockchain-type implementations configured to execute know-your-customer (kyc) verification for MANAGING tokenized digital assets and improved electronic walle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McLeod Taxing and regulating bitcoin: The government's game of catch up
US111703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ty verification of math-based currency account holders
AU20142282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rivate sector monetary authority
Ashfaq et al.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and the Global Financial System: Theory and Practice
WO20221471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