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89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899A
KR20220034899A KR1020227005593A KR20227005593A KR20220034899A KR 20220034899 A KR20220034899 A KR 20220034899A KR 1020227005593 A KR1020227005593 A KR 1020227005593A KR 20227005593 A KR20227005593 A KR 20227005593A KR 20220034899 A KR20220034899 A KR 20220034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display panel
area
overlapping
middl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280B1 (ko
Inventor
백상민
최금두
탁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3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영역을 커버하는 케이스 탑 다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미들 캐비닛, 및 상기 케이스 탑 다운 어셈블리 및 상기 미들 캐비닛에 체결되는 커버 보텀을 포함한다. 미들 캐비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장변 쪽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안착부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단변 쪽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한다.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의 끝단은 제1 중첩 영역에서 서로 중첩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모듈, 로봇,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장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장치, 5G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 등과 연계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너 영역에서 빛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의 다양한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이 배향된 액정패널 및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전계에 따라 액정의 편향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픽셀의 계조를 표현한다.
액정표시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이 액정패널이 아닌 다른 기구물의 틈새로부터 노출되는 빛샘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빛샘 현상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불편함을 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코너 영역에서 빛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간소화된 공정으로 미들 캐비닛을 제작하면서, 미들 캐비닛의 코너 영역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영역을 커버하는 케이스 탑 다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미들 캐비닛, 및 상기 케이스 탑 다운 어셈블리 및 상기 미들 캐비닛에 체결되는 커버 보텀을 포함한다. 미들 캐비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장변 쪽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안착부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단변 쪽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한다.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의 끝단은 제1 중첩 영역에서 서로 중첩된다.
상기 미들 캐비닛은 상기 제1 안착부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신장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신장된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지지부는 'T'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맞닿고, 상기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T'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맞닿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일체형의 평평한 지지부를 굽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지지부와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 일체형의 안착부를 이용하여 형성하되, 상기 일체형의 안착부가 커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굽어질 때 상기 중첩 영역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중첩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제1 높이이고, 상기 중첩 영역에서 제2 높이이며,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중첩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제1 높이이고, 상기 중첩 영역에서 제3높이일 수 있다.
상기 제2 높이 및 상기 제3 높이의 합은 상기 제1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중첩 영역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홀에 대응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단변 쪽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며, 제2 중첩 영역에서 상기 제1 안착부와 중첩되는 제3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부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부와 합착하는 폼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들 캐비닛은 코너 영역에서 안착부들이 중첩됨으로써, 안착부들 간의 틈새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미들 캐비닛은 추가적인 공정이나 추가적인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코너 영역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들 캐비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들 캐비닛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들 캐비닛의 제1 및 제2 안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들 캐비닛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비교 예에 따른 미들 캐비닛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나머지 도면에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한하여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A, B, (a), (b), 상측, 하측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제3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높이, 길이, 너비, 폭 등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혼용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SS1)의 영역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SS2)의 영역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LS1)의 영역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LS2)의 영역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및 2 장변들(LS1, LS2) 각각의 길이가 제 1 및 2 단변들(SS1, SS2) 각각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및 2 장변들(LS1, LS2) 각각의 길이는 제 1 및 2 단변들(SS1, SS2) 각각의 길이와 동일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장변들(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들(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및 제2 방향(DR1, 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면을 수평면으로 가정하여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forward direction) 또는 전면(front side or fron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rearward direction) 또는 후면(rear side or rea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라볼 때, 제1 장변(LS1) 쪽의 측면을 상측(upper side) 또는 상면(upp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의 측면을 하측(lower side) 또는 하면(low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의 측면을 우측(right side) 또는 우면(right surface)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 쪽의 측면을 좌측(left side) 또는 좌면(lef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단면도이다. 특히, 도 2 및 도 3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들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미들 케비닛이 형성된 표시장치의 끝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스 탑 다운 어셈블리(110), 디스플레이 패널(120), 미들 캐비닛(130), 가이드 패널 다운 어셈블리(140), 광학 시트(150), 반사판(160), 백라이트 유닛(170), 커버 보텀(180), 보강바(190)을 포함한다.
케이스 탑 다운 어셈블리(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하부에서 체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하면 및 상면에서 제2 장변(LS2) 측의 일부 영역을 감싼다. 케이스 탑 다운 어셈블리(110)는 커버 보텀(180)과도 체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R(적), G(녹), B(청) 또는 R(적), G(녹), B(청), W(백)의 서브픽셀로 이루어지는 픽셀들을 포함하고, 서브픽셀들의 계조를 조절하여 컬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121) 및 후면 기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121)은 컬러필터가 형성될 수 있고, R,G,B 또는 R,G,B,W의 서브픽셀로 이루어지는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122)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17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전면 기판으로 전달하거나 이를 차단할 수 있다.
미들 캐비닛(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측면 영역을 지지한다. 단면 상에서, 미들 캐비닛(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끝단을 안착하는 구조를 갖는다. 미들 캐비닛(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측면들 중에서 2개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들 캐비닛(13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3개의 측면, 예를 들어, 상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를 갖는다. 미들 캐비닛(130)은 폼 패드(foam pad)(101)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후면 기판(122)과 합착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 다운 어셈블리(140)는 미들 캐비닛(130)에 의해서 커버되지 않는 영역을 감싼다. 예를 들어, 미들 캐비닛(130)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제1 장변(LS1)과, 제1 및 제2 단변들(SS1,SS2)을 커버할 경우, 가이드 패널 다운 어셈블리(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제2 장변(LS2)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광학 시트(150)는 광원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50)는, 다수의 시트들(sheets)로 구성된 레이어(layer)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50)는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50)는 커버 보텀(180)과 미들 캐비닛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160)은 백라이트 유닛(170)에서 조사되는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판(160)은 백라이트 유닛(170)으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70)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후방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170)은 광을 출사하기 위한 광원(light sources)을 포함하고, 광원은 다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커버 보텀(18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품을 지지하며, 백라이트 유닛(170)을 탑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커버 보텀(180)은 광학 시트(150) 및/또는 미들 캐비닛(13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보텀(180)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바(19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보텀(180)과 백라이트 유닛(170) 사이에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미들 캐비닛의 제1 안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미들 캐비닛의 제2 안착부를 나타나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미들 캐비닛(130)은 제1 내지 제3 지지부들(136,137,138), 제1 내지 제3 안착부들(131,132,133)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지지부들(136,137,138)은 서로 직각으로 맞닿아서 'ㄷ'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1 지지부(13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장변(LS1)에 대응하고, 제2 지지부(137)는 제1 단변(SS1)에 대응하며, 제3 지지부(138)는 제2 단변(SS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지지부들(136,137,138)은 굴곡진 영역을 경계로 구분되는 명칭일 수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안착부들(131,132,133)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엣지 영역들 중에서 일부 영역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 안착부(131)는 제1 지지부(136)에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고, 제2 안착부(132)는 제2 지지부(137)에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며, 제3 안착부(133)는 제3 지지부(138)에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다. 제1 안착부(131)와 제1 지지부(136)의 단면은 'T'자 형태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안착부(132)와 제2 지지부(137)의 단면과 제3 안착부(133)와 제3 지지부(138)의 단면 또한 'T'자 형태일 수 있다.
제1 안착부(131)는 제1 높이(h1)를 갖는 비중첩 영역 및 제2 높이(h2)를 갖는 중첩 영역(OR1)을 포함한다. 제1 안착부(131)의 중첩 영역(OR1)에는 홀(134)이 형성된다.
제2 안착부(132)는 제1 높이(h1)를 갖는 비중첩 영역 및 제3 높이(h3)를 갖는 제1 중첩 영역(OR1)을 포함한다. 제2 안착부(132)의 제1 중첩 영역(OR1)에는 홀(134)에 삽입되는 돌기(135)가 형성된다. 제1 안착부(131)와 제2 안착부(132)는 홀(134)에 돌기(135)가 삽입되도록 중첩된다.
제1 안착부(131)의 제2 높이(h2) 및 제2 안착부(132)의 제3 높이(h3)의 합은 제1 높이(h1)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평행한 수평방향에서 바라보는 경우, 제1 안착부(131)의 상부면과 제2 안착부(132)의 상부면은 단차가 없고, 또한 제1 안착부(131)의 하부면과 제2 안착부(132)의 하부면은 단차가 없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 안착부(131) 및 제3 안착부(133)는 제2 중첩 영역(OR2)에서 중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미들 캐비닛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8은 제1 중첩 영역이 형성되는 코너부를 중심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압출 성형을 통해서 단면이 'T'자 형태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즉, 지지부(130a), 및 지지부(130a)의 일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안착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30b)는 후속 공정을 통해서 제1 내지 제3 안착부들(131,132,133)로 구분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안착부(130a)의 일면에, 단면이 'V'자 형태인 홈(VH)이 형성되도록 커팅(cutting) 공정을 진행한다. 이하, 홈(VH)이 형성되는 일면을 상부면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커팅 영역을 확장하도록 NC(Numerical control) 가공을 진행한다. NC 가공을 통해서 확장되는 제1 오목 부위(HM1)는 제1 중첩 영역에 해당한다.
도 8의 (d)를 참조하면, 제1 오목 부위(HM1)에 홀(134)을 형성한다.
도 8의 (e)를 참조하면, 제1 오목 부위(HM1)의 끝단을 커팅하여 안착부(130B)의 경계를 물리적으로 분리한다. 홀(134)을 포함하는 제1 오목 부위(HM1)는 제1 안착부(131)에 해당하고, 이와 맞닿는 영역은 제2 안착부(132)에 해당한다.
이어서, 제2 안착부(132)의 하부면에 NC 가공을 통해서 제2 오목 부위(HM2)를 형성한다. 제2 오목 부위(HM2)를 형성하는 과정은 제2 오목 부위(HM2)에 돌기(135)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2 오목 부위(HM2)는 제1 중첩 영역(OR1)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및 제2 안착부들(131,132)이 맞닿는 영역을 경계로 지지부(130a)를 굽히는 벤딩(bending) 공정을 수행한다. 벤딩 공정에서, 홀(134)이 형성된 제1 오목 부위(HM1)를 하부로 굽히면서, 돌기(135)가 형성된 제2 오목 부위(HM2)는 상부로 굽힘으로써, 돌기(135)가 제1 안착부(131)의 끝단에 걸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135)가 홀(134)에 삽입되도록 벤딩 공정을 수행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제1 중첩 영역(OR1)에서 제1 오목 부위(HM1)와 제2 오목 부위(HM2)를 중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2 중첩 영역(OR2)에서 제1 안착부(131)와 제3 안착부(133)가 중첩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에서 설명된 공정을 통해서, 미들 캐비닛(130)은 하나의 프레임을 벤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NC 가공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 의한 미들 캐비닛(130)은 제1 중첩 영역(OR1)에서 제1 및 제2 안착부들(131,132)이 중첩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170)으로부터의 광이 누출되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도 9에 도시된 비교 예와 더불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비교 예에 의한 미들 캐비닛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비교 예에 의한 미들 캐비닛(130)을 형성하기 위해서, 지지부(130a)와 안착부(130b)를 포함하는 단일의 프레임을 압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미들 캐비닛(130)의 벤딩 영역에서 안착부(130b)의 평면을 'V'커팅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어서 'V'커팅 된 영역이 서로 맞닿도록 벤딩 공정을 수행하여 미들 캐비닛(130)의 코너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비교 예에서는 벤딩 영역에서 안착부(130b)의 끝단이 서로 맞닿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틈새가 발생하고, 틈새를 통해서 빛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비교 예에 의한 미들 캐비닛(130)은 빛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용접 공정이나, 틈새를 덮기 위한 추가 구조물을 합착하는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에 반해서,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면, 추가적인 용접 공정이나 추가 구조물을 합착할 필요없이, 벤딩 과정에서 수행되는 간단한 NC 공정을 통해서 벤딩 영역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영역을 커버하는 케이스 탑 다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미들 캐비닛; 및
    상기 케이스 탑 다운 어셈블리 및 상기 미들 캐비닛에 체결되는 커버 보텀;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캐비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장변 쪽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단변 쪽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의 끝단은 제1 중첩 영역에서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캐비닛은
    상기 제1 안착부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신장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신장된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지지부는 'T'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맞닿고,
    상기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T'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맞닿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일체형의 평평한 지지부를 굽힘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지지부와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 일체형의 안착부를 이용하여 형성하되, 상기 일체형의 안착부가 커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굽어질 때 상기 중첩 영역에서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중첩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제1 높이이고, 상기 중첩 영역에서 제2 높이이며,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중첩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제1 높이이고, 상기 중첩 영역에서 제3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 및 상기 제3 높이의 합은 상기 제1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중첩 영역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홀에 대응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단변 쪽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며, 제2 중첩 영역에서 상기 제1 안착부와 중첩되는 제3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부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부와 합착하는 폼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7005593A 2019-10-28 2019-10-28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1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4238 WO2021085656A1 (ko) 2019-10-28 2019-10-2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899A true KR20220034899A (ko) 2022-03-18
KR102611280B1 KR102611280B1 (ko) 2023-12-08

Family

ID=7571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593A KR102611280B1 (ko) 2019-10-28 2019-10-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65387A1 (ko)
EP (1) EP4020072A4 (ko)
KR (1) KR102611280B1 (ko)
WO (1) WO2021085656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743A (ko) * 1999-04-30 2000-11-25 누마자와 히로오 액정 디스플레이의 실드용 프레임
KR20040006324A (ko) * 2002-07-11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40105475A (ko) * 2003-06-09 200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050099692A (ko) * 2004-04-12 2005-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형 몰드 프레임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110068A (ko) * 2008-04-17 200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68030A (ko) * 2014-12-04 2016-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이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90049987A (ko) * 2017-11-01 2019-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56519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9719A (en) * 1970-12-07 1972-05-02 American Air Filter Co Filter frame construction
KR101073037B1 (ko) * 2004-01-07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샤시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TWI339768B (en) * 2006-06-05 2011-04-01 Jochu Technology Co Ltd Flat panel display of bezel and maun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64191B1 (ko) * 2010-05-28 2017-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및 액정표시장치
KR101324777B1 (ko) * 2011-09-18 201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90609B1 (ko) * 2012-02-29 2018-08-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25028A (ko) * 2013-08-28 2015-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2163702B1 (ko) * 2014-05-26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941930B2 (ja) * 2016-10-26 2021-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468862B1 (ko) * 2017-12-27 2022-1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743A (ko) * 1999-04-30 2000-11-25 누마자와 히로오 액정 디스플레이의 실드용 프레임
KR20040006324A (ko) * 2002-07-11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40105475A (ko) * 2003-06-09 200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050099692A (ko) * 2004-04-12 2005-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형 몰드 프레임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110068A (ko) * 2008-04-17 200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68030A (ko) * 2014-12-04 2016-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이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90049987A (ko) * 2017-11-01 2019-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56519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280B1 (ko) 2023-12-08
EP4020072A4 (en) 2023-03-22
EP4020072A1 (en) 2022-06-29
WO2021085656A1 (ko) 2021-05-06
US20220365387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10777B (zh) 发光二极管面板与拼接显示装置
KR101647490B1 (ko) 곡면형 액정표시장치
US871480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558961B2 (en) Display device and lenticular sheet of the display device
US201502269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KR102444760B1 (ko) 디스플레이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228569B2 (en) Display device
US9140842B2 (en) Display device
JP2012150366A (ja) 導光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60124270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v receiver
WO2016181838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559519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5017614A (ja) 画像表示装置
US9116277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26112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28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131821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v receiver
KR1018546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12063466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0243825A (ja) 液晶表示装置
KR101961720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523535B1 (ko) 표시장치
KR10254698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72047B1 (ko) 액정표시장치
US11796861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