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389A -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389A
KR20220034389A KR1020200116685A KR20200116685A KR20220034389A KR 20220034389 A KR20220034389 A KR 20220034389A KR 1020200116685 A KR1020200116685 A KR 1020200116685A KR 20200116685 A KR20200116685 A KR 20200116685A KR 20220034389 A KR20220034389 A KR 20220034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distribution line
state
section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077B1 (ko
Inventor
김우현
채우규
김석웅
김욱원
이학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11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0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6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s, i.e. with interconnec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06Calibration or setting o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02H3/042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combined with means for locating the fau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에는 복수의 차단기가 각각 구비되는 배전선로에 대하여, 각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을 통해 배전 선로의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배전선로의 보호하되, 배전선로의 조류 정보를 계측하여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부, 및 고장 검출부에 의해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각 차단기에 각각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및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및 투입을 제어하고, 각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 및 개방 경험 횟수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상태 및 투입 상태를 유지 또는 전환하는 방식으로 배전선로에 발생한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고장 구간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분리하여 배전선로를 보호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 전력회사의 배전선로 중 99% 이상이 수지상 방식으로 운영 중이며, 다른 배전선로와 연계하여 운전하고 있으나 평상시에는 연계 스위치를 개방하여 운전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지상 방식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고장 전류가 단방향으로만 흐르기 때문에 과전류계전기 기반 보호협조를 통해 간단히 처리가 가능하며, 분산전원의 영향으로 고장전류가 역방향으로 흐르면 방향성 계전기를 통해 원활히 고장구간 처리를 할 수 있다. 수지상 방식은 가장 단순한 운전 방식이나, 통신이 가능한 원격 연계스위치를 이용하더라도 선로에 정전 발생 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구간을 타 선로로 연계할 때 3~5분 정도의 정전이 발생하고 있다.
기존에 수지상으로 운전하던 다수의 배전선로를 상시 상호 연계하여 운전하는 방식을 네트워크 배전방식이라 칭한다. 현재 연구개발 중인 네트워크 배전계통 방식의 경우, 통신기반 보호협조를 통해 건전구간의 정정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수분→1초 이내)할 수 있다. 또한, 배전선로를 최대 7~8회선까지 연계함으로써, 부하 평준화를 통해 설비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로 전압강하가 해소되며, 한 선로에 집중된 분산전원의 영향을 여러 선로가 분담하여 선로 추가 증설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가 양방향이 되기 때문에 기존 수지상 선로의 보호방식을 적용해서는 고장해소가 어렵고, 운영 난이도가 올라가는 단점이 있다.
네트워크 방식은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양방향 전류로 인해 설계 및 운영이 기존 수지상 방식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통신기반 보호협조 알고리즘'을 활용함이 필요하다. 통신기반 보호협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방식은 선로고장 발생 위치에 따라 보호기기가 경험하는 고장전류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기존 분산전원을 고려하기 위한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로 고장을 처리할 수 없다. 그러나 보호기기간 통신(N:N)을 이용하여 고장경험 정보를 공유하고, 고장을 제거하기 위하여 동작해야 할 보호기기가 선정이 되면 고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여 건전구간에 정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3104호(2005.03.09)에 개시되어 있다.
통신을 이용하면 보호협조 알고리즘의 구현이 간단해지고 고속도 차단이 가능해지지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설계 및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현재 사용 중인 통신단말장치(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를 지능형 전자 장치(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ED)로 전반적인 교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네트워크 배전용 통신기반 보호협조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TCP/IP를 활용하므로, 통신선의 물리적인 절단(주변 공사 중 포크레인 등의 공사설비로 통신선을 건드린 경우), 태풍 및 지진 등 자연재해로 인한 통신선 절단, 또는 통신단말 장치의 자체 고장발생 시 고장처리가 불가능한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네트워크 배전계통의 차단기 간의 상호 통신 의존성을 제거하여, 상호 통신 방식의 적용없이 소정의 차단기 재폐로 시퀀스를 통해 배전계통의 자가회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에는 복수의 차단기가 각각 구비되는 배전선로에 대하여, 각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을 통해 상기 배전 선로의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로서, 상기 배전선로의 조류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부, 및 상기 고장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각 차단기에 각각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및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및 투입을 제어하고, 각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 및 개방 경험 횟수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상태 및 투입 상태를 유지 또는 전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배전선로에 발생한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고장 구간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개방 대기시간은 차단기가 해당 구간의 고장을 경험한 이후 개방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이고, 상기 재투입 대기시간은 차단기가 개방된 이후 재투입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고장 구간 분리부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각 구간별로 각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각각의 개방 대기시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개방시키는 개방 동작을 수행하되,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차단기에 대하여 상기 개방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고장 구간 분리부는, 상기 개방된 하나 이상의 차단기의 개방 경험 횟수에 따라 그 상태를 제어하되,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해당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해당 차단기를 재투입하고,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그 상태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고장 구간 분리부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차단기는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고장 구간 분리부는, 상기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된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미리 설정된 상태 전환 대기시간 동안 고장 상태로 유지되면 해당 차단기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고장 구간 분리부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해당 차단기에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이내에 해당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정상 상태로 회복된 경우, 해당 차단기를 제2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하되, 상기 제2 투입 유지 상태는 일정 시간 동안 차단기의 투입 상태가 강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에는 복수의 차단기가 각각 구비되는 배전선로는 다중 연계 배전선로의 1회선을 구성하고, 상기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는 상기 다중 연계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에는 복수의 차단기가 각각 구비되는 배전선로에 대하여, 각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을 통해 상기 배전 선로의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으로서, 배전선로 보호 장치가, 상기 배전선로의 조류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각 차단기에 각각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및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및 투입을 제어하고, 각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 및 개방 경험 횟수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상태 및 투입 상태를 유지 또는 전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배전선로에 발생한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해당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차단기에 대하여, 각 구간별로 각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각각의 개방 대기시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된 하나 이상의 차단기의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해당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해당 차단기를 재투입하는 단계, 및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해당 차단기의 상태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차단기는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된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미리 설정된 상태 전환 대기시간 동안 고장 상태로 유지되면 해당 차단기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해당 차단기에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이내에 해당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정상 상태로 회복된 경우, 해당 차단기를 제2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투입 유지 상태는 일정 시간 동안 차단기의 투입 상태가 강제 유지되는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차단기 간 별도의 통신 방식의 적용 없이, 차단기의 개방 대기시간, 재투입 대기시간, 고장 경험 횟수 및 개방 경험 회수와 같은 파라미터에 따라 차단기의 상태를 제어하여 고장 구간을 분리함으로써, 통신 기반의 네트워크 배전계통 대비 설계, 유지, 보수 상의 시간적 및 비용적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이 자동으로 분리되어 건전구간에 정전이 발생하지 않아 전력공급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에서 1회선에 해당하는 배전선로의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에서 1회선에 해당하는 배전선로의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는 고장 검출부(100) 및 고장 구간 분리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는 디지털 기반의 변전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ED)로 구현될 수 있다. 편의상 상기 하위 구성(100, 200)을 본 실시예의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내에서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내에서 기능적으로 통합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는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에는 복수의 차단기가 각각 구비되는 배전선로에 대하여, 각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을 통해 상기 배전 선로의 고장 구간을 분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배전선로의 예시를 보이고 있으며,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배전선로가 4개의 구간(레벨 1 내지 4)으로 구분되어 각 구간에 4개의 차단기가 구분되는 예시로서 도시하였으나, 구간 및 차단기의 수는 실제적인 적용 방식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전선로는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말단 차단기까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구간에는 차단기(즉, 리클로져(Recloser))가 각각 구비된다. 도 2에는 변전소로부터 가장 말단에 위치한 구간의 연계용 차단기(즉, 다회로 차단기)를 레벨 1로 부여하였으며, 변전소 인출단에 접근할수록 각 구간의 차단기를 레벨을 증가시켜 변전소 인출단에 최인접한 차단기를 레벨 4로 부여하였다. 각 차단기는 그 레벨 별로 시간-전류 커브의 레버(Lever)값이 다르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벨이 낮을수록 더 낮은 레버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는 1회선에 해당하는 배전선로의 예시로서, 본 실시예의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는 도 2의 배전선로가 1회선을 구성하는 다중 연계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도 3 내지 도 12 참조).
위 설명을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장 검출부(100)는 배전선로의 조류 정보를 계측하여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조류 정보는 배전선로의 전압, 전류 및 조류 방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장 검출부(100)는 배전선로로부터 계측된 전압, 전류 및 조류 방향이 정상 상태에서의 기준값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배전선로의 조류 정보를 계측하여 고장을 검출하는 방식은 종래 지능형 전자 장치의 기능에 해당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고장 구간 분리부(200)는 고장 검출부(100)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각 차단기에 각각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및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및 투입을 제어하고, 각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 및 개방 경험 횟수에 따라 각 차단기의 투입 상태 및 개방 상태를 유지 또는 전환하는 방식으로 배전선로에 발생한 고장 구간을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과 같이, 고장 구간 분리부(200)는 고장 구간을 분리하기 위해 차단기가 고장 전류를 픽업하면 고장 구간 분리에 필요한 차단기만 1회 재폐로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고장 경험 횟수(정확히는, 고장 전류 경험 횟수), 개방 경험 횟수, 개방 대기시간, 재투입 대기시간, 상태 전환 대기시간과 같은 파라미터를 토대로 차단기의 개방 및 투입을 제어하고, 또한 차단기의 개방 상태 및 투입 상태를 유지 또는 전환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제어에 따라 최종적으로 고장 구간 양단의 차단기만 개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파라미터를 정의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파라미터 부호 설명
개방 대기시간 tTrip 차단기가 해당 구간의 고장을 경험한 이후(즉,고장 전류를 감지한 이후) 개방되기까지의 대기시간(=지연시간)
재투입 대기시간 tReclosing 차단기가 개방된 이후 재투입되기까지의 대기시간
상태 전환 대기시간 tTrans 제1 투입 유지 상태에서 고장전류 지속 시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되기까지의 대기시간
제1 투입 유지 상태 close_L 투입 상태에서 잠금이 된 상태. 제1 투입 유지 상태에서 상태 전환 대기시간의 카운팅이 시작되고 정상전류가 지정시간 이상 유지 시 제1 투입 유지 상태가 해제된 후 초기 상태로 전환됨. 반면, 정상전류가 흐르지만 지정시간이 경과하기 전 다시 고장전류가 흐를 경우 상태 전환 대기시간 초기화.
제2 투입 유지 상태 close_L2 투입 상태에서 잠금이 된 상태. 차단기가 고장전류를 경험한 후 트립신호가 발생하기 전에 (3상 전류가 모두 부하 방향이면서) 정상상태 회복하여 일정시간(예: 0.15초) 이상 유지되면 제2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되고 어떠한 경우라도 이 상태를 유지하며 일정시간(예: 5초) 후 자동 해제
개방 유지 상태 open_L 개방 상태에서 잠금이 된 상태. 해당 상태에서는 운영자가 직접 개입해야 투입 가능
고장 경험 횟수 Fault_count 고장 경험 횟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
개방 경험 횟수 Open_count 개방 경험 횟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
도 2의 예시에서, 각 구간별 위 파라미터의 설정값의 예시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간 개방 대기시간
( t Trip ) [s]
재투입
대기시간
( t Reclosing ) [s]
상태 전환
대기시간
( t Trans ) [s]
고장 경험 횟수
(Fault_count) [n]
개방 경험 횟수
(Open_count) [n]
CB 0.8 X X X 1
Level 4 0.6 0.1 0.5 5 2
Level 3 0.4 0.1 0.6 4 2
Level 2 0.2 0.1 0.7 3 2
Level 1 0.1 0.8 0.8 2 2
* 시간-전류 곡선의 레버값만 정해주면, 아래와 같이 모두 자동으로 설정됨.
* Fault count는 각 level 수치에 1을 가산한 값으로 설정
* Open count는 CB 구간만 1회, 나머지는 모두 2회로 설정
* tTrip은 시간-전류 커브에 의해 정해지며, tTrip의 최고값을 level①의 tReclosing로 설정하고 나머지구간의 tReclosing는 모두 최단시간으로 설정
* tTring의 최고값을 level①의 tTrans로 설정하고, 나머지 구간의 tTrans는 단계적으로 감소하게 설정
* CB는 tTrip과 Open count만 설정
위 예시와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고장 구간 분리부(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고장 구간 분리부(200)는 고장 검출부(100)에 의해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해당 차단기에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이내에 해당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정상 상태로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고장 구간 분리부(200)는 차단기를 통해 고장 전류가 픽업되면 해당 차단기의 개방 대기시간 이내에 해당 구간이 정상 상태로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정상 상태로 회복된 후 일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해당 차단기를 제2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투입 유지 상태는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정 시간(예: 5초) 동안 차단기의 투입 상태가 강제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고장 구간 분리부(200)는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각 구간별로 각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각각의 개방 대기시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개방시키는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차단기에 대하여 상기한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고장 구간 분리부(200)는 개방 대기시간 이내에서 해당 구간이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경우, 해당 구간의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가 기준치 미만이면 해당 차단기를 개방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해당 구간의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해당 차단기를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시로서 설명하면, 도 3과 같은 정상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D/L#1의 레벨 2 구간 내지 레벨 3 구간 사이에서 1선 지락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 구간이 고장 전류를 겅험하게 된다. 이 경우, 도 5와 같이 개방 대기시간이 가장 짧은(0.1초) 레벨 1 구간의 다회로 차단기가 우선적으로 개방되며, D/L#2,3,4의 차단기들은 고장 전류를 경험한 이후 각각의 개방 대기시간 이내에 3상 모두 정상 상태로 회복을 했기 때문에 제2 투입 유지 상태가 되어 일정 시간(예: 5초) 동안 투입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D/L#1에서 전류가 부하 방향이며(대용량의 분산전원 고려) 고장 전류를 지속 경험하는 차단기 중 개방 대기시간이 가장 짧은(0.4초) 레벨 3 구간의 차단기 1-2가 개방된다. 현 상태에서 다회로 차단기 및 차단기 1-2는 고장 경험이 1회로서 고장 경험 횟수가 표 2의 기준치 미만이므로 상기와 같은 개방 동작이 수행된다.
고장 구간 분리부(200)는 상기 과정을 통해 개방된 하나 이상의 차단기의 개방 경험 횟수에 따라 그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해당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해당 차단기를 재투입하고,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그 상태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시로서 설명하면, 도 6에 따라 다회로 차단기 및 차단기 1-2가 개방된 상태에서, 각 차단기의 개방 경험 횟수는 표 2의 기준치 미만이므로 다회로 차단기 및 차단기 1-2는 각각의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재투입된다. 이때, 다회로 차단기보다 차단기 1-2의 재투입 대기시간(0.1초)이 더 짧으므로 도 7과 같이 우선적으로 재투입이 되며, 이에 따라 고장 전류를 다시 경험하게 된다. 이후, 도 8과 같이 다회로 차단기가 재투입 대기시간(0.8초) 경과로 재투입되고 고장 전류를 다시 경험하게 된다. 그 결과, 차단기 1-2는 재투입 후 고장 전류 경험, 개방 대기시간(0.4초) 초과로 2차 개방되어 개방 경험 횟수가 표 2의 기준치 이상이 되어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되고, 다회로 차단기는 고장 경험 횟수가 표 2의 기준치 이상이 되어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다회로 차단기가 재투입된 시점(본 예시에서는 개방 대기시간(0.1초) + 재투입 대기시간(0.8초) = 0.9초)에서는 역조류라도 각 차단기에는 동일하게 개방 대기시간이 적용되므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벨 2 구간의 차단기 1-3이 개방 대기시간(0.2초)이 경과한 후 개방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고장 구간 분리부(200)는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고장 경험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차단기는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된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미리 설정된 상태 전환 대기시간 동안 고장 상태로 유지되면 해당 차단기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시로서 설명하면, 도 9에 따라 레벨 2 구간의 차단기 1-3이 개방된 상태에서 차단기 1-3의 재투입 대기시간(0.1초)가 경과하면 도 10과 같이 차단기 1-3은 재투입되어 고장 전류를 다시 경험하게 되며, 고장 경험 횟수가 표 2의 기준치 이상이 되므로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된다. 이어서, 차단기 1-3의 상태 전환 대기시간(0.7초) 동안 해당 구간이 고장 상태로 유지되면 상태 전환 대기시간 경과 후 차단기 1-3은 도 11과 같이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D/L#1의 레벨 2 구간 내지 레벨 3 구간 사이에서 1선 지락사고가 발생한 경우 그 양단에 있는 차단기 1-2 및 차단기 1-3이 개방 유지 상태로 되어 배전선로의 자가회복이 완료된다. 도 12는 전술한 자가회복 프로세스 예시의 타임 시퀀스를 보이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을 설명하며, 위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시계열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배전선로의 조류 정보를 계측하여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한다(S100).
S100 단계에서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각 차단기에 각각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및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및 투입을 제어하고, 각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 및 개방 경험 횟수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상태 및 투입 상태를 유지 또는 전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배전선로에 발생한 고장 구간을 분리한다(S200).
S20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트립 신호 발생 전(즉, 차단기의 투입 전) 해당 구간이 정상 상태로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1).
S201 단계에서 해당 구간이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경우,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해당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
이어서,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차단기에 대하여, 각 구간별로 각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각각의 개방 대기시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개방시킨다(S203).
이어서,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S203 단계에서 개방된 이상의 차단기의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
S20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해당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해당 차단기를 재투입한다(S205). 재투입된 차단기는 이후 S100 단계 이전의 초기 상태로 전환된다.
S20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해당 차단기의 상태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한다(S206).
한편, S202 단계의 판단 이후,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차단기는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하고(S207), 미리 설정된 상태 전환 대기시간 동안 고장 상태로 유지되면(S208, S209, S210) 해당 차단기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한다(S206). 이 경우, 상태 전환 대기시간 동안 고장 상태를 판단하는 S209 단계에서 정상 상태로 회복된 경우,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정상 상태가 일정 시간(예: 1초)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1), 정상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해당 차단기를 초기 상태로 전환하고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으면 카운팅된 상태 전환 대기시간을 초기화하고 S208 단계로 복귀하여 상태 전환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를 재판단한다.
한편, S201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차단기에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이내에 해당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정상 상태로 회복된 경우, 배전선로 보호 장치는 해당 차단기를 제2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한다(S212). 제2 투입 유지 상태는 일정 시간(예: 5초) 이후 해제되며 해당 차단기는 초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차단기 간 별도의 통신 방식의 적용 없이, 차단기의 개방 대기시간, 재투입 대기시간, 고장 경험 횟수 및 개방 경험 회수와 같은 파라미터에 따라 차단기의 상태를 제어하여 고장 구간을 분리함으로써, 통신 기반의 네트워크 배전계통 대비 설계, 유지, 보수 상의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배전계통의 고장구간이 자동으로 분리되어 건전구간에 정전이 발생하지 않아 전력공급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고장 검출부
200: 고장 구간 분리부

Claims (15)

  1.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에는 복수의 차단기가 각각 구비되는 배전선로에 대하여, 각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을 통해 상기 배전 선로의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로서,
    상기 배전선로의 조류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부; 및
    상기 고장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각 차단기에 각각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및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및 투입을 제어하고, 각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 및 개방 경험 횟수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상태 및 투입 상태를 유지 또는 전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배전선로에 발생한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고장 구간 분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대기시간은 차단기가 해당 구간의 고장을 경험한 이후 개방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이고, 상기 재투입 대기시간은 차단기가 개방된 이후 재투입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구간 분리부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각 구간별로 각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각각의 개방 대기시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개방시키는 개방 동작을 수행하되,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차단기에 대하여 상기 개방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구간 분리부는, 상기 개방된 하나 이상의 차단기의 개방 경험 횟수에 따라 그 상태를 제어하되,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해당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해당 차단기를 재투입하고,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그 상태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구간 분리부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차단기는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구간 분리부는, 상기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된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미리 설정된 상태 전환 대기시간 동안 고장 상태로 유지되면 해당 차단기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구간 분리부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해당 차단기에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이내에 해당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정상 상태로 회복된 경우, 해당 차단기를 제2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하되, 상기 제2 투입 유지 상태는 일정 시간 동안 차단기의 투입 상태가 강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에는 복수의 차단기가 각각 구비되는 배전선로는 다중 연계 배전선로의 1회선을 구성하고, 상기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는 상기 다중 연계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장치.
  9.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에는 복수의 차단기가 각각 구비되는 배전선로에 대하여, 각 차단기의 투입 및 개방을 통해 상기 배전 선로의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으로서, 배전선로 보호 장치가,
    상기 배전선로의 조류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각 차단기에 각각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및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및 투입을 제어하고, 각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 및 개방 경험 횟수에 따라 각 차단기의 개방 상태 및 투입 상태를 유지 또는 전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배전선로에 발생한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대기시간은 차단기가 해당 구간의 고장을 경험한 이후 개방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이고, 상기 재투입 대기시간은 차단기가 개방된 이후 재투입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해당 차단기의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차단기에 대하여, 각 구간별로 각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각각의 개방 대기시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된 하나 이상의 차단기의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해당 차단기에 대하여 설정된 재투입 대기시간에 따라 해당 차단기를 재투입하는 단계; 및
    개방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해당 차단기의 상태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정상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하여, 고장 경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차단기는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된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미리 설정된 상태 전환 대기시간 동안 고장 상태로 유지되면 해당 차단기를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이 검출된 이후 해당 차단기에 설정된 개방 대기시간 이내에 해당 차단기가 속한 구간이 정상 상태로 회복된 경우, 해당 차단기를 제2 투입 유지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투입 유지 상태는 일정 시간 동안 차단기의 투입 상태가 강제 유지되는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보호 방법.
KR1020200116685A 2020-09-11 2020-09-11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2485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85A KR102485077B1 (ko) 2020-09-11 2020-09-11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85A KR102485077B1 (ko) 2020-09-11 2020-09-11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89A true KR20220034389A (ko) 2022-03-18
KR102485077B1 KR102485077B1 (ko) 2023-01-06

Family

ID=8093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85A KR102485077B1 (ko) 2020-09-11 2020-09-11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99944A (zh) * 2022-04-14 2022-08-12 昂顿科技(上海)有限公司 通讯管理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60A (ko) * 2004-12-13 2006-06-1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더 에이전트를 이용한 비접지 배전 계통 고장 구간 분리및 복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41097A (ko) * 2005-10-14 2007-04-1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지 배전계통에서의 지락고장구간 검출 및 분리장치 및방법
KR20180090106A (ko) * 2017-02-02 2018-08-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 관리 시스템의 고장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60A (ko) * 2004-12-13 2006-06-1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더 에이전트를 이용한 비접지 배전 계통 고장 구간 분리및 복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41097A (ko) * 2005-10-14 2007-04-1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지 배전계통에서의 지락고장구간 검출 및 분리장치 및방법
KR20180090106A (ko) * 2017-02-02 2018-08-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 관리 시스템의 고장 관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99944A (zh) * 2022-04-14 2022-08-12 昂顿科技(上海)有限公司 通讯管理机
CN114899944B (zh) * 2022-04-14 2023-07-18 昂顿科技(上海)有限公司 通讯管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077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8804B2 (en) Faul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US8072727B2 (en) Fault testing faul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US6341054B1 (en)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network
MX2008008859A (es) Aparato y metodo para la interrupcion de corriente de falla.
EP2622699B1 (en) Integrated photovoltaic source circuit combiner and protection subsystem
AU784515B2 (en) One or all phases recloser control
US6671151B2 (en) Network protector re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ircuit breaker employing two trip characteristics
KR20220034389A (ko) 배전선로의 보호 장치 및 방법
CN111641193B (zh) 一种自适应双母线失灵保护方法及装置
AU784514B2 (en) Only picked up phases recloser control
JPH0564355A (ja) ネツトワーク配電用逆電力保護方法
CN104158160A (zh) E型基于柱上开关的10kv配电线路及故障检测方法
CN108695812A (zh) 一种空气开断路器的分合闸监控装置
CN112510658B (zh) 一种高供电可靠性的多电源点10kV线路馈线自动化方法
KR20220069596A (ko) 배전 계통의 고장 구간 분리 방법 및 장치
CN116667293A (zh) 一种基于自适应和后加速保护的馈线自动化方案设计
Apostolov Improving power quality by optimizing the protection of distribution systems
Hindle et al. Modernising the old transmission protection interfaces-integrated bay solutions to conventional plant
JPS61164424A (ja) ネツトワ−ク制御装置
JPH04133623A (ja) 開閉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