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360A - Cleaning apparatus for bidet nozzle - Google Patents

Cleaning apparatus for bidet nozz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360A
KR20220034360A KR1020200116634A KR20200116634A KR20220034360A KR 20220034360 A KR20220034360 A KR 20220034360A KR 1020200116634 A KR1020200116634 A KR 1020200116634A KR 20200116634 A KR20200116634 A KR 20200116634A KR 20220034360 A KR20220034360 A KR 20220034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inlet
bidet
water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6223B1 (en
Inventor
양건식
이돈웅
Original Assignee
양건식
이돈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건식, 이돈웅 filed Critical 양건식
Priority to KR102020011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223B1/en
Publication of KR2022003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2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of a bidet nozzle which allows to maintain a cleaning status of a nozzle that is one of essential components of a bidet. The provided cleaning apparatus of the bidet nozzle comprises: a body which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nozzle therein and has an inlet unit which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rough which the nozzle of the bidet comes in and out; and a water flow guide protrusion which protrudes toward an inner periphery of the body and guides water body sprayed from the nozzle to move in one direction to be formed as a rotating water flow or vortex.

Description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CLEANING APPARATUS FOR BIDET NOZZLE}Bidet nozzle cleaning device {CLEANING APPARATUS FOR BIDET NOZZLE}

본 발명은 비데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데의 필수 구성품 중의 하나인 노즐의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apparatus for a bidet nozzle that can maintain a clean state of the nozzle,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bidet.

오늘날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 육류 섭취량 증가, 서구화된 식생활, 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변비·치질 등 항문 질환의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생활습관의 변화에 대한 맞추어 개인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비데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Nowadays, the incidence of anal diseases such as constipation and hemorrhoids is increasing in modern people due to heavy work and stress, increased meat intake, westernized diet, and lack of exercise.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in lifestyle, the demand for bidets is rapidly increasing to maintain personal cleanliness.

비데는 용변 후 자동으로 항문 또는 국부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래 여성용 국부 세정기로서 개발되었으나 용변 후 항문을 휴지 등으로 닦는 대신 물로 세정하는 것이 위생상 훨씬 더 깨끗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최근에는 남녀노소 모두가 폭넓게 사용하게 되었다.A bidet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cleaning the anus or the local area after a bowel movement, and was originally developed as a local washer for women. has been widely used.

이와 같은 비데는 국부 및 항문을 물로 세정함으로써 세균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치질을 포함한 항문 관련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산부인과 질환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비만자 등의 용변시 편의성을 높여주는 등의 다양하고 폭넓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Such a bidet can prevent bacterial infection by washing the local area and anus with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al-related diseases including hemorrhoids, and is effective in obstetrics and gynecological diseases as well as defecation for the elderly or obese. It has various and wide functions such as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viewing.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7089호는 종래기술의 비데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037089 discloses a bidet of the prior art, an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am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데(10)는 크게 변기유니트(20)와, 냉/온수의 분사 및 건조용 바람의 송풍 및 온도와 시트(21)의 온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상기 변기유니트(20)에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정수 파이프(5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bidet 10 includes a toilet unit 20,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blowing of cold/hot water and drying wind and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at 21, and the toilet unit and a washing water pipe 50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20 .

상기 변기유니트(20)는 용변시 착좌 가능하도록 좌변기(5)의 상단에 장착되는 시트(21)와, 시트(21)를 덮도록 상기 시트(21)의 일단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커버(23)와, 커버(23)의 후면에 위치하는 통형의 하우징(25)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21)의 아래쪽에는 세정수의 분사를 위한 비데노즐유니트(30)가 설치된다.The toilet unit 20 includes a seat 21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toilet seat 5 so that it can be seated during the toilet, and a cover 23 rotatably coupled at one end of the seat 21 to cover the seat 21 . ) and a cylindrical housing 25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3 , and a bidet nozzle unit 30 for spraying washing water is installed under the seat 21 .

상기 비데노즐유니트의 비데노즐은 스텝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와 랙과의 치합관계를 통하여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되어 최적의 세정위치를 찾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소정의 본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배치된다. The bidet nozzle of the bidet nozzle unit moves forward or backward through the mes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ear and the rack rotated by the step motor to find the optimal cleaning position. When not in use, it is placed inside the predetermined body. do.

사용자가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 제어부의 세정버튼을 선택하여 가압하면 비데노즐이 세정수의 수압에 의하여 복원스프링에 저항하여 일정 거리 돌출된 후 선택된 기능에 알맞은 수압으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국부 또는 항문을 세정하고 훈풍에 의하여 최정적으로 건조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When the user selects and presses the cleaning button on the control unit after going to the toilet while seated on the seat, the bidet nozzle resists the restoration spring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and protrudes for a certain distance, and t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with water pressure suitable for the selected function. It works in such a way that it cleans the local or anus and then dries it optimally by blowing air.

이러한 비데노즐은 본체 내부의 노즐실린더 내부로부터 인출되고 왕복이동 하는 방식으로 수납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분사공이 구비된 노즐팁을 가진다. Such a bidet nozzle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nozzle cylinder inside the body and can be accommodated in a reciprocating manner, and has a nozzle tip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그런데, 위와 같은 일반적인 비데의 경우 비데노즐 부분이 세정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물때가 자주 발생하고 사용자의 항문에 근접하기 때문에 씻겨 내려가는 오물에 의하여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습기가 높은 화장실 환경에서 오물과 물때가 묻은 곰팡이가 발생하면 미관적으로도 좋지 않다. However, in the case of a general bidet as described above, scale frequently occurs because the bidet nozzle sprays washing water, and since it is close to the user's anu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contaminated by the filth washed down. In particular, if mold with dirt and scale occurs in a high-humidity bathroom environment, it is not aesthetically good either.

이러한 비데노즐에 대한 청결의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본격적인 대책이 나오고 있지 않다. No full-scale countermeasures have yet been taken for the cleanliness of these bidet nozzle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데 노즐 부분의 청소를 쉽게 하고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apparatus for a bidet nozzle that can easily clean a bidet nozzle and maintain a clean stat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노즐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일측에 비데의 노즐이 입출될 수 있는 입구부가 형성되는 바디(100) 및 상기 바디의 내주측으로 돌출되어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수체가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류안내돌기(130)를 포함하는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provides a space in which a nozzle can be accommodated, and a body 100 in which an inlet portion for entering and exiting a nozzle of a bidet is formed on one side, and protruding from the nozzle toward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Provided is a cleaning apparatus for a bidet nozzle including a water flow guide protrusion 130 that guides the sprayed water body so that it can be rotated while being moved to one side.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수체가 수류안내돌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일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노즐의 외면의 오물이 세척되어 입구부에서 수체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While the water body sprayed from the nozzle is moved to one side while rotating by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the dir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may be washed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ter body at the inlet.

상기 수류안내돌기는, 바디의 내면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flow guide project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spir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제1실시예로서, 상기 입구부의 면적이 바디 내부의 단면적보다 적도록 입구부의 일부를 막는 입구융기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구융기부가 노즐에서 분사된 수체가 바디 내부에 충전되어 상단측으로 월류하도록 하도록 입구부의 개방된 부위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As a first embodiment, the inlet portion further includes an inlet ridge 140 that blocks a portion of the inlet portion so that the area of the inlet portion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and the water body injected from the nozzle into the inlet ridge is filled inside the body and the upper end It is disposed below the open portion of the inlet to overflow to the side.

제2실시예로서, 상기 입구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노즐이 삽입되는 입구절개부(210)와, 수체가 배출되는 출수부(220)를 구비하는 캡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 second embodiment, the cap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cutout 210 disposed to cover the inlet and into which a nozzle is inserted, and a water outlet 220 from which water bodies are discharged.

상기 입구절개부는, 노즐이 삽입된 이후 노즐의 외면과 밀착되고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수류안내돌기에 의하여 일측으로 안내된 수체가 출수부로 배출되도록 실링하는 동시에, 노즐에 대해 바디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let cuto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after the nozzle is inserted, and seals so that the water body injected from the nozzle and guided to one side by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is discharged to the water outlet,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nozzle. perform the function

본 발명에 따라, 단순하고 경량의 장비로서 비데 노즐의 토출 수체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노즐에 묻은 오물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의 위생성이 향상되면서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mple and lightweight device, it is possible to naturally wash the dirt on the nozzle by using the discharge water body of the bidet nozzle, so that the hygiene of life is improved and convenient.

특히, 외부 동력이 필요 없기 때문에 장비가 단순하고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폐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솔이나 별도의 장비를 활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추가적인 장비의 세척이 불필요하여 경제적이며 청결한 환경의 조성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no need for external power, the equipment is simple and can be used and disposed of for one time, so it is economical and clean environment can be created because additional equipment washing is unnecessary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 brush or separate equipment in the prior art. .

또한, 사람이 손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이 단순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성은 극대화되며, 내부의 돌기의 구조를 통하여 수체의 흐름성을 세척에 최적화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ience is maximized because it can be washed naturally in a state of simple gripping without the need for human manipulation by hand. ha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도 1은 종래기술의 비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른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det of the prior art.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leaning a bidet nozzle according to a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cleaning a bidet nozz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n apparatus for cleaning a bidet nozz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bidet nozz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cleaning a bidet nozz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for explaining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invention, which limi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n't mean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element or device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비데 노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면서 비데 노즐이 입출될 수 있도록 입구부가 마련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주측에 돌출되어 비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수체가 이동하면서 회전 유동을 형성하도록 하는 수류안내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 및 이동되는 수류에 의하여 비데 노즐의 외면이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클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idet nozzle therein while providing an inlet part so that the bidet nozzle can enter and exit, and a water body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and discharged from the bidet nozzle rotates while moving Provided is a cleaning device that includes a water flow guide protrusion to form a flow, so that an outer surface of a bidet nozzle can be cleaned by the rotating and moving water flow.

본 발명에서는 변좌에 설치되는 비데의 노즐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노즐이 노출되는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는 용기 형태의 클리닝 장치를 제시하는데, 여기서 적용되는 비데의 유형이나 노즐의 형상 및 크기는 본 발명의 개념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즐이 소정의 가이드를 통하여 인입출되는 경우를 예로 드나, 노즐이 고정되는 방식이나 회전되는 방식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tainer-type cleaning device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 where the nozzle is exposed so that the nozzle of the bidet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wherein the type of bidet or the shape and size of the nozzle to be applied is It does not limi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nozzle is drawn in and out through a predetermined guide is taken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method in which the nozzle is fixed or rotated.

본 발명에서 클리닝 장치 내부를 유동하는 수체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을 의미하나, 세정력을 향상할 수 있는 세척액이나 혼합액 등도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수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body flowing inside the cleaning device refers to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washing liquid or a mixed liquid capable of improving cleaning power is also included in the water body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른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leaning a bidet nozzle according to a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디(100)는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형태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의 개방된 부위는 입구부(110)로, 타측의 폐쇄된 측은 저면부(120)로 정의한다. 이러한 바디(100)의 배치는 노즐의 삽입 방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입구부(110)가 배치되는 측을 일측으로, 저면부(120)가 배치되는 측을 타측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The body 100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with one end open and the other end closed, and the open portion of one side is defined as the inlet portion 110 , and the closed side of the other end is defined as the bottom portion 120 . The arrangement of the body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ertion method of the nozz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de on which the inlet part 110 is disposed is defined as one side, and the side on which the bottom part 120 is disposed is defined as the other side. to do it

이러한 바디(100)는 일측으로 이동 및 회전되는 수류의 분포 및 안내를 고려하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다각기둥 내지는 타원형 기둥 형상도 고려될 수 있다.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and guidance of the water flow that is moved and rotated to one side, the body 100 may preferably hav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a polygonal or elliptical columnar shape may also be considered.

상기 바디(100)의 입구부(110)와 저면부(120) 사이의 길이는 노즐이 삽입되어 유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세척이 필요한 노즐의 부위가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e length between the inlet part 110 and the bottom part 120 of the body 1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in which the part of the nozzle that needs cleaning is inserted so that the nozzle is inserted to guide the flow.

상기 바디(100)의 노즐이 삽입된 상태에서 노즐로부터 수류가 토출되는 측은 타측에 치우칠 수 있으며,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유동은 저면부(120)에 부딪힌 이후에 상승되며 이렇게 일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바디(100)의 내주측으로 돌출되는 수류안내돌기(130)에 의하여 회전 수류 내지는 와류로 변환되어 노즐의 외면의 오물을 제거하고 입구부(110)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저면부(120)의 형상은 반원형 내지는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저면부(120)는 원뿔형 내지는 다각뿔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In a state in which the nozzle of the body 100 is inserted, the side from which the water flow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may be biased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flow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rises after it collides with the bottom part 120, and in the process of moving to one side in this way By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130 protruding toward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100 , it is converted into a rotating water flow or a vortex to remove di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and discharge it toward the inlet 110 .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120 may preferably have a semicircular or rounded shape. In some cases, a cas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12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or a polygonal pyramid shape may be considered.

상기 수류안내돌기(130)는 바디(100)의 내벽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더 돌출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 수류안내돌기(130)의 피치에 따라 회전 및 상승(도시된 상태에서는 수평이동) 수류가 안내될 수 있다.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130 further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body 100 in the central direction, and as a preferred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spiral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pitch of the spiral water flow guide protrusion 130, rotation and rising (horizontal movement in the illustrated state) water flow may be guided.

상기 수류안내돌기(130)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들이 나선형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와류 형성을 고려하여 불규칙한 스폿형 돌기들이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130 may also be considered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arrang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arranged in a spiral. it could be

한편, 세척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상기 저면부(120)에는 수체가 접촉했을 때 용해되어 세정력을 발생할 수 있는 세정제(미도시)가 수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o further improve the cleaning power, the bottom part 120 may contain a cleaning agent (not shown) capable of generating cleaning power by dissolving when a water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it.

상기 구조에 따라 입구부(110)측으로부터 노즐의 단부가 삽입되어 저면부(120)측으로 이동하면서 삽입이 완료되고,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수체가 분사되면 저면부(120)에 부딪친 다음 수류안내돌기(130)를 따라 소정의 수류가 회전 및 일측으로 이동되어 입구부(110)로 출수되는 과정에서 노즐의 외면을 세척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the end of the nozzle is inserted from the inlet 110 side, and the insertion is completed while moving to the bottom 120 side. Next, a predetermined water flow is rotated and moved to one side along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130 to wash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while water is discharged to the inlet 110 .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cleaning a bidet nozz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의하여 바디(100)는 입구부(110)에서 노즐이 입출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내부에는 수체의 유동이 안내될 수 있는 공간과 구조를 마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노즐이 삽입된 상태는 생략하고 내부에 수체가 차있는 상태를 가정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0 provides a space for the nozzle to enter and exit from the inlet 110 , and provides a space and structure inside which the flow of the water body can be guid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tate in which the nozzle is inserted is omitted and a state in which the water body is filled is assumed.

노즐이 비데에서 완전하여 인출되어 작동하는 상태를 고려하면 바닥면에 대해서 수평하거나 단부측으로 갈수록 약간 하향 배치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100)는 내부에 노즐을 수용하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수평하거나 입구부(110)에서 저면부(120) 측으로 갈수록 다소 하향 배치되는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사항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Considering the state in which the nozzle is completely drawn out from the bidet and operated, it may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floor or may have an inclination arranged slightly downward toward the end side. Since the body 100 accommodates the nozzle therein, it may be horizontally or disposed in an inclined state in which it is disposed slightly downward from the inlet 110 to the bottom 120 side. In the drawings, the latter case is shown.

본 발명의 추가된 개념에서는 입구부(110)의 개방된 면적이 바디(100) 내부의 평단면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1실시예에서는 입구부(110)측에 입구의 면적을 다소 막는 형태로서 입구융기부(140)가 형성된다. In the added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area of the inlet 110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flat cross-section inside the body 100 . To this en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let ridge 140 is formed in the form of somewhat blocking the area of the inlet on the inlet 110 side.

상기 입구융기부(140)는 외곽이 호 형상을 가지는 벽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일시 저장되는 수체가 월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노즐에서의 토출압이 어느 정도 바디(100) 내부에 충전된 상태에서 입구부(110)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노즐 세정의 효과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입구융기부(140)는 노즐과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된 측인 입구부(11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수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let ridge 1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all having an arc shape, and the water body temporarily stored therein may overflow. In this case, since the discharge pressure from the nozzle can be discharged to the inlet 110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ressure is charged inside the body 100 to some extent, the effect of nozzle cleaning is expected to be higher. The inlet ridge 140 is disposed below the inlet 110, which is an open side in a state coupled to the nozzle, to store the water body.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of an apparatus for cleaning a bidet nozz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추가적인 개념에 따라 입구부(110)의 개방된 면적이 바디(100)의 내부 단면적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되 이를 탄성을 가지는 캡부(200)에 의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area of the inlet 110 is formed narrower than th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100 according to the above additional concept, and this is configured by the cap 200 having elasticity.

따라서, 상기 캡부(200)는 바디(100)의 입구부(110)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입구절개부(210)가 형성되어 노즐이 삽입 및 인출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실링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ap 200 may be coupled to the inlet 110 side of the body 100, and the inlet cutout 210 may be formed to provide some degree of sealing propert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withdrawing the nozzle. there is.

이를 위하여, 상기 캡부(200)는 유연성과 탄성복원력이 있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o this end, the cap 200 may b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 캡부(200)는 변형력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입구부(110)의 대부분을 덮는 형태로 배치되고, 소정의 입구절개부(210)가 형성되어 노즐이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절개부(210)는 소정의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노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ap 200 is disposed to cover most of the inlet 110 in a state where no deformation force is applied, and a predetermined inlet cutout 210 is formed so that the nozzle can be inserted and withdrawn. As shown, the inlet cutout 210 may preferabl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ncisions radially formed from a predetermined central point, and a case in which a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nozzle may be considered.

이러한 입구절개부(210)는 노즐의 삽입시 노즐 일측을 감싸기 때문에 내부에서 상승 또는 이동되는 수체가 노즐의 외주연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실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입구절개부(210) 외에 추가적인 개구인 출수부(220)가 형성되며, 이러한 출수부(220)는 노즐과 결합된 상태에서 입구절개부(210)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Since the inlet cutout 210 surrounds one side of the nozzle when the nozzle is inserted, it performs a sealing function so as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the water body rising or moving inside the nozzle to the outer periphery side of the nozzle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water outlet 220, which is an additional opening, is formed in addition to the inlet cutout 21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outlet 220 be disposed below the inlet cutout 210 in a state coupled to the nozzle. will be.

상기 출수부(220)는 호 형상을 가지는 절개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형태는 선택적이다. The water outlet 220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form of a cut line having an arc shape, but the shape is optional.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캡부(200)는 유연성과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입구절개부(210)는 노즐의 외면과 밀착되어 수체의 토출 압력을 보존하고 회전 및 상승 수류가 출수부(220)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내부 세정의 효과는 극대화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p 2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 restoring force, the inlet cutout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to preserve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water body, and rotation and rising water flow are generated from the water outlet ( 220), so the effect of internal cleaning will be maximized.

상기 캡부(200)의 외주측은 타측으로 다소 연장되어 링 형태를 이루고 바디(100)의 일단측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도 5 참조) 상기 캡부(200)는 전체적으로 변형 및 복원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링 부위가 캡부(200) 상단측 직경보다 작은 경우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ap part 200 is slightly extended to the other side to form a ring shape, and may be coup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side of the body 100. (See FIG. 5) The cap part 200 is deformed and restored as a whole. Since it has the ability, when the r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cap portion 20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이에 더하여, 상기 캡부(200)가 노즐과 클리닝 장치 전체를 어느 정도 결합시키기 때문에 손으로 파지하고 있지 않아도 노즐의 분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오물로 인한 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cap part 200 couples the nozzle and the entire cleaning device to some extent, cleaning can be performed naturally during the spraying process of the nozzle even if the nozzle is not gripped by hand. In this case,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hands due to dirt.

사용자는 입구절개부(210)에 노즐을 끼워 넣어 소정 깊이로 배치시키고, 클리닝 장치가 탄성력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노즐의 수체를 분사시켜 바디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세정이 이루어지면서 출수부(220)에서 수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 과정은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user inserts the nozzle into the inlet cutout 210 to place the nozzle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while the cleaning device maintains its overal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the water body of the nozzle is sprayed to naturally clean inside the body while the water outlet ( 220) so that the water body can be discharged. This operation process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bidet nozz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는 노즐(31)과 클리닝 장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nozzle 31 and the cleaning device are coupled.

일반적인 비데의 기능을 고려하면, 노즐(31)은 소정의 가이드(참조번호 미표시)에 단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길이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노즐 단부에 입구부(110) 내지 캡부(200)를 위치시킨다. 이 과정에서는 손으로 바디(100)의 외면을 파지하여 위치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만, 입구부(110)측에 접착테이프와 같이 별도의 부착수단이 추가로 배치되고 노즐에 인접된 비데의 부위나 수전 등에 부착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Considering the function of a general bidet, the nozzle 31 is in a state in which the remaining length except for the end is accommodated in a predetermined guide (reference number not shown). place it In this process, it will be necessary to hol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by hand to maintain the position. However, a case in which a separate attachment means such as an adhesive tape is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inlet 110 side and attached to a part of a bidet adjacent to the nozzle or a faucet may be considered.

바디(100) 내부에는 수류안내돌기(130)가 형성되고 파지 상태로 일측으로 이동하여 어느 정도 노즐(31)의 단부를 입구부(110) 내지는 캡부(200)의 입구절개부(210)에 삽입 또는 압입시킴으로써 작동을 준비할 수 있다. Inside the body 100,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130 is formed and moved to one side in a gripping state to insert the end of the nozzle 31 into the inlet part 110 or the inlet incision part 210 of the cap part 200 to some extent. Alternatively, it can be prepared for operation by press-fitting.

도 5의 (b)는 노즐(31)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체가 분사(a)되어 세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b)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water body is sprayed (a) and washed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of the nozzle 31 is completed.

도 5의 (a)와 같이 노즐(31)의 단부가 소정 깊이로 입구절개부(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비데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세정 작동을 시키면 가이드로부터 노즐(31)이 인출되어 바디(100) 내부의 타측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바디(100)의 길이는 노즐(31)이 인출되는 길이 및 저면부(120) 사이에서 유동이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형성될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100)의 내주측 단면의 형상 및 면적도 노즐(31)의 둘레의 길이와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when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bidet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nozzle 31 is inserted into the inlet cutout 210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nozzle 31 is drawn out from the guide. It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0 inside. The length of the body 100 will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from which the nozzle 31 is drawn out and the space in which the flow may occur between the bottom portion 120 . In addition, the shape and area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cross-section of the body 100 may als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and shap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nozzle 31 .

상기 노즐(31)의 인출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바디(100) 외면을 파지하고 인출되는 힘에 저항하여 바디(100)의 위치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노즐(31)이 완전하게 인출되고 적절한 깊이에 배치되면 캡부(200)와 노즐(31) 사이의 결합력에 의하여 위치는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을 것임은 상기한 바와 같다. In the process of drawing out the nozzle 31 ,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user to hol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body 100 by resisting the force drawn ou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ozzle 31 is completely drawn out and disposed at an appropriate depth, the position may be maintained to some extent b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p part 200 and the nozzle 31 .

저면부(120) 측에 인접된 노즐의 분사측에서 분사가 이루어지면 바디(100)의 내벽면 및 저면부(120)에 부딪친 수류가 일측으로 이동 내지는 상승하려고 한다. 이때, 수류안내돌기(130)는 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수체를 회전수류 내지는 와류로 방향을 분산시키고 이렇게 소용돌이치는 상승수류(b)가 노즐(31)의 외면을 세척하는 것이다. When the injection is made from the injection side of the nozzle adjacent to the bottom portion 120 side, the water flow that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120 of the body 100 moves to one side or tries to rise. At this time,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130 disperses the direction of the moving water body into a rotational water flow or a vortex flow, and the swirling upward water flow (b) washes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31 .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캡부(200)가 입구부(11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입구절개부(2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노즐(31)의 외면에 밀착되고 어느 정도의 실링성이 있기 때문에 배출되려는 수류는 개방되어 있는 출수부(220)로 안내된다. When the cap part 200 is coupled to the inlet part 11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31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inlet cutout 210 and has a certain degree of sealing property. The water flow to be discharged is guided to the open water outlet 220 .

이에 따라 바디(100) 내부에 완전하게 충전되어 있는 상태의 수체는 출수부(220)를 통해 변기로 오물을 함께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wate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100 is completely filled inside the body 100 can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filth into the toilet through the water outlet 220 .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는 단순하고 경량의 장비로서, 비데 노즐의 토출 수체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노즐에 묻은 오물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의 위생성이 향상되면서도 경제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cleaning device of the bidet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simple and lightweight equipment, and it can clean the dirt on the nozzle naturally by us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idet nozzle. There is an advantage.

특히, 외부 동력이 필요 없기 때문에 장비가 단순하고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폐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솔이나 별도의 장비를 활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추가적인 장비의 세척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청결하다. In particular, since no external power is required, the equipment is simple and disposable and can be disposed of, so it is clean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cleaning of equipment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brush or separate equipment.

또한, 사람이 손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이 단순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성은 극대화된다. In addition, convenience is maximized because it can be washed naturally in a simple gripping state without the need for human manipulation by hand.

또한, 내부의 돌기의 구조를 통하여 수체의 흐름성을 세척에 최적화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것이다. In addition, since it can be formed by optimizing the flowability of the water body for washing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internal protrusion, the washing efficiency will be further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31...노즐 100...바디
110...입구부 120...저면부
130...수류안내돌기 140...입구융기부
200...캡부 210...입구절개부
220...출수부
31...nozzle 100...body
110...Inlet part 120...Bottom part
130...Water flow guide projection 140...Inlet ridge
200...Cap 210...Inlet incision
220...outlet

Claims (5)

내부에 노즐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일측에 비데의 노즐이 입출될 수 있는 입구부가 형성되는 바디(100); 및
상기 바디의 내주측으로 돌출되어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수체가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수류 또는 와류로 형성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류안내돌기(13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수체가 수류안내돌기에 의하여 이동되는 과정에서 노즐의 외면의 오물이 세척되어 입구부에서 수체와 함께 배출되는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
The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nozzle can be accommodated, and an inlet part through which the nozzle of the bidet can be entered and exited on one side is formed; and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130 that protrudes toward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and guides the water body sprayed from the nozzle to be formed into a rotating water flow or vortex while moving to one side.
A cleaning device for a bidet nozzle in which the water body sprayed from the nozzle is moved by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and the dir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is washed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ter body at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안내돌기는,
바디의 내면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flow guide projection,
A cleaning device for a bidet nozzle that is spi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면적이 바디 내부의 단면적보다 적도록 입구부의 일부를 막는 입구융기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구융기부는,
노즐에서 분사된 수체가 바디 내부에 충전되어 상단측으로 월류하도록 하도록 입구부의 개방된 부위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n inlet ridge 140 that blocks a part of the inlet so that the area of the inlet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side of the body.
The inlet protuberance,
A cleaning device for a bidet nozzle disposed below the open part of the inlet so that the water body sprayed from the nozzle is filled in the body and overflows to the upp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노즐이 삽입되는 입구절개부(210)와, 수체가 배출되는 출수부(220)를 구비하는 캡부(200);를 더 포함하는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apparatus for a bidet nozzle further comprising: a cap part disposed to cover the inlet part and having an inlet cutout 210 into which a nozzle is inserted, and a water outlet part 220 from which water bodies are discharg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절개부는,
노즐이 삽입된 이후 노즐의 외면과 밀착되고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수류안내돌기에 의하여 일측으로 안내된 수체가 출수부로 배출되도록 실링하는 동시에, 노즐에 대해 바디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비데 노즐의 클리닝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let cutout,
After the nozzle is inserted,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and the water body injected from the nozzle and guided to one side by the water flow guide protrusion is sealed so that it is discharg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cleaning device.
KR1020200116634A 2020-09-11 2020-09-11 Cleaning apparatus for bidet nozzle KR102406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34A KR102406223B1 (en) 2020-09-11 2020-09-11 Cleaning apparatus for bidet nozz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34A KR102406223B1 (en) 2020-09-11 2020-09-11 Cleaning apparatus for bidet nozz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60A true KR20220034360A (en) 2022-03-18
KR102406223B1 KR102406223B1 (en) 2022-06-07

Family

ID=8093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34A KR102406223B1 (en) 2020-09-11 2020-09-11 Cleaning apparatus for bidet nozz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2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573B1 (en) * 2022-10-28 2023-02-17 임영균 Water jetting device that is easy to inhale and dischar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972A (en) * 2008-11-11 2010-05-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Bidet for toilet stool
JP2016070042A (en) * 2014-09-27 2016-05-09 林 秀樹 Brush for cleaning nozzle of shower toilet
JP3222874U (en) * 2019-06-20 2019-08-29 充夫 杉本 Cleaning nozzle clean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2874B2 (en) * 1991-05-08 2001-10-29 高木産業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dehumidifying and drying synthetic resin partic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972A (en) * 2008-11-11 2010-05-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Bidet for toilet stool
JP2016070042A (en) * 2014-09-27 2016-05-09 林 秀樹 Brush for cleaning nozzle of shower toilet
JP3222874U (en) * 2019-06-20 2019-08-29 充夫 杉本 Cleaning nozzle cleaning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573B1 (en) * 2022-10-28 2023-02-17 임영균 Water jetting device that is easy to inhale and discha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223B1 (en)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5781B2 (en) Structure of jet nozzle for bidet with enema function
KR200398076Y1 (en) Bidet
KR102406223B1 (en) Cleaning apparatus for bidet nozzle
KR200450106Y1 (en) assembled nozzle of bidet
WO2010134656A1 (en) Toilet bidet
KR20090055296A (en) Medical instrument for cleaning large intestine
WO2019225384A1 (en) Cleaning head and cleaning device
KR100758688B1 (en) Bidet with hose connection structure
JP3984060B2 (en) Scalp washer and anti-scattering hood for scalp washer
JP3150419U (en) Cleaning device for part of human body after defecation used for toilet seat
KR101470454B1 (en) Vaginal washer
KR20170037204A (en) Removal handbidet with an air compressor for spraying washing water
JP2001259488A (en) Discharge device
KR102622211B1 (en) Bidet
CN219887069U (en) Defecation device with blow-drying function
JP7439574B2 (en) Local cleaning device
JP3488356B2 (en) Portable washer
CN2341545Y (en) Warm water body cleaning device for toilet
JP3488355B2 (en) Portable washer
KR100822893B1 (en) Bidet for male
KR200284736Y1 (en) structure for nozzle of portable bidet
JP7340437B2 (en) Private cleaning device and flush toilet
KR200147653Y1 (en) Cleansing device for virgin
KR0132758Y1 (en) Device for washing nozzle for hot water washer
KR100787907B1 (en) Injection nozzle device of bid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