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154A -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 및 관련된 이식 부속물 - Google Patents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 및 관련된 이식 부속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154A
KR20220034154A KR1020227003913A KR20227003913A KR20220034154A KR 20220034154 A KR20220034154 A KR 20220034154A KR 1020227003913 A KR1020227003913 A KR 1020227003913A KR 20227003913 A KR20227003913 A KR 20227003913A KR 20220034154 A KR20220034154 A KR 20220034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implantation
anterior
distal end
verteb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웨나엘 로익 한네만
자크 사마니
도미니크 콩스탕 부샤
Original Assignee
이노스피나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스피나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이노스피나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22003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0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apophyseal or facet joints, i.e. between adjacent spinous or transverse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5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49Connectors, not bearing on the vertebrae, for linking longitudinal elements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4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fac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61B17/7076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for driving, positioning or assembling spinal clamps or bone anchor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 A61B17/8894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holding the implant into or through which the screw is to be inser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1Cross-sections or two-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112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002/30131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horseshoe- or crescent- or C-shaped or U-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41Sharp anchoring protrusions for impaction into the bone, e.g. sharp pins,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2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 A61F2002/462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with linear motion along or rotating motion about the instrument axis or the implantation direction, e.g. telescopic, along a guiding rod, screwing inside the instru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은 길이방향 축선(AL)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이식물 본체(10)를 포함하고, 이식물 본체는 후방 단부(20)를 갖는 후방 부분(2), 두 인접하는 척추골(VE)의 두 극상 돌기(AE) 사이에 연장되도록 성형되고 후방 부분(2)을 연장하는 중심 부분(3), 및 유선형 전방 단부(40)까지 테이퍼져 있으면서, 후방 부분(3)의 반대편에서 중심 부분(3)을 연장하는 전방 부분(4)을 연속적으로 포함하고, 이식물 본체(10)는 척추골 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는 전방면(11)을 가지며, 이에는 이식 부속물의 이식 프롱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후방 단부(20)로부터 전방 단부(40)까지 곡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곡선 형상의 전방 홈(5)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 및 관련된 이식 부속물
본 발명은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 및 이러한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을 이식하기 위한 부속물에 관한 것이다.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은 2개의 인접하는 척추골의 극상 돌기 사이에 위치되는 이식물이다. 이러한 이식물에 의해, 2개의 서로 인접하는 극상 돌기가 서로에 대해 벌어질 수 있는데, 즉 극상 돌기 사이에 틈 또는 간격이 얻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예컨대 요추 통증의 치료에도 이용될 수 있다.
최신 기술, 특히 US 2012/0265246 문헌에 알려져 있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은 이식물 본체를 포함하고, 이는 2개의 서로 인접하는 극상 돌기 사이에 연장되는 중심 부분, 전방 부분을 포함하고, 전방 부분은, 극상 돌기를 척추골로부터 멀어지게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고 두 척추골 사이에 길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는 프로파일 형상 및 이식물 본체를 통과해 형성된 직선형 안내 구멍의 형태로 된 안내 채널을 가지며, 이 안내 채널은 이식물 본체의 전후방 단부 상으로만 열려 있고 안내 바늘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식물을 두 척추골 사이에 이식하기 위해 외과적 중재시술이 필요하다. 이 중재시술은 경피적이거나 개방형일 수 있고, US 2012/0265246 문헌에서 처럼 환자의 측방 접근을 통해 수행되는데, 하지만 등측 접근도 고려될 수 있고 이때 다른 모델의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이 사용된다. 어떤 경우든, 이러한 중재시술은 정확한 이식 위치를 찾고 그 위치까지 길을 확보하기 위해 상당한 기구를 필요로 한다.
사실, US 2012/0265246 문헌에 따르면, 특히 이식물을 그의 이식 동안에 안내하기 위해 이식물에 형성된 직선형 안내 구멍 안으로 끼워 맞춤되도록 되어 있는 안내 바늘이 사용되며, 그를 따라 두 종류의 도구가 척추골간 공간에의 접근을 막는 조직을 치울 수 있고 또한 더 양호한 이식을 위해 극상 돌기를 부분적으로 또는 임시로 움직일 수 있다. 제 1 도구는 스크류 형상을 갖는 또는 매끄러운 프로파일 형상을 갖는 헤드 및 안내 바늘을 따르는 슬립을 갖는다. 제 1 도구는 극돌기간 인대를 절단하면서 극상 돌기를 임시로 멀어지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단 이 제 1 틈새가 얻어지면, 제 2 도구가 안내 바늘을 따라 삽입되고, 제2 도구는 제 1 도구와 동일한 전체 형상을 갖지만, 더 큰 치수를 가지며, 그래서 더 많은 조직을 치울 수 있고 또한 이식 위치를 더 많이 준비할 수 있다. 위치가 완전히 확보되거나 이식물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치수를 가질 때까지 여러 개의도구가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런 다음에 이식물은 안내 바늘 따라 미끄러져 확보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 공지된 그리고 설명된 방법은 제약적인데, 왜냐하면 이식물을 배치하기 위해 여러 개의 작업을 필요로 하고 이식 전에 다수의 도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측방 접근에 의한 수술은 종종 전신 마취 하에서 실행되며, 이는 길고 복잡한 시술을 암시하고 환자에게는 넓은 개구가 생긴다. 더욱이, 피부와 삽입 부위 사이의 거리 때문에 부적절한 위치의 위험이 크다.
최신 기술은 또한 US8672977 문헌의 교시로 설명될 수 있고, 이 문헌에는, 관절 연결식 이식물 본체를 포함하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이 개시되어 있고, 이식물 본체는 복수의 연속적인 그리고 서로 연결된 세그먼트가 제공되어 있어, 처음에 선형 구성이고(이식물의 삽입을 위해) 그런 다음에 만곡 구성으로 된다(일단 2개의 서로 인접하는 극상 돌기 사이에 이식되면). 따라서, 휴지(rest)시에, 이 이식물 본체는 선형 구성으로 있고, 세그먼트에 형성되어 있는 정렬 구멍의 형태로 되어 있는 채널을 통과하는 가요성 수축 요소와 교차된다. 휴지시에, 이들 구멍은 정렬되고 채널은 가요성 수축 요소의 도입을 위해 선형적으로 되고, 가요성 수축 요소는 이식물 본체를 선형 구성에서 만곡 구성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이식물 본체의 전방부에 있는 세그먼트를 끌어 당기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 US8672977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이식물은 관절 연결식 본체로 형성되는 단점을 갖는데, 이 본체는 선형 구성으로부터 만곡 구성으로 전환되고, 만곡 구성은 감소된 기계적 강도를 주고, 2개의 서로 인접하는 극상 돌기의 벌어짐을 보장하기에 필연적으로 덜 신뢰적이다. 더욱이, 이식 동안에 선형 구성에서 만곡 구성으로 전환될 때, 이식물 본체의 세그먼트 사이에 물질이 재밍되는 위험이 있고, 그 세그먼트는 처음에 서로 이격되어 있고 그런 다음에 접촉하며, 이는 환자에서 집기(pinch) 및 손상을 야기할 수 있고 또한 이식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삽입 동안에 더 신뢰적이고 덜 외상적인 비관절 연결식 이식물 본체의 사용을 유지함으로써 관절 연결식 이식물 본체를 제거하고자 한다.
또한 US9101409에는, 축대칭 쉘형 이식물 본체를 포함하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 이식물은 후방 부분, 정교한 중심 부분 및 유선형 전방 부분을 포함하고, 축방향 구멍이 이식물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가로지르도록 이식물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고, 이 축방향 구멍은, 이 축방향 구멍의 후방부에 제공되는 육각형 오리피스 안으로 끼워맞춤되는 육각형 헤드로서 푸시어 스크류드라이버에 의해 측방 접근을 통해 이식물 본체를 직선형 안내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도록 되어 있고, 그래서 이식물은 측방향 밀기와 회전을 조합한 운동을 통해 제자리에 세팅되고, 이는 "스크류잉"에 의한 이식과 동등하다. 이식물 본체는 또한 전방 부분의 절반, 중심 부분의 전체 및 후방 부분의 절반에 걸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홈을 가지며, 그러한 홈은 매우 얇고, 이식물의 삽입 동안에 이식물의 수축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환자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이식물에 가요성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US9101409 문헌의 이식물은, 그러한 스트레스를 줄이기에 불충분할 수 있는 홈에도 불구하고, 측방 접근을 통한 그의 이식에 의해, 본질적으로 블라인드로 그래서 비신뢰적인 방식으로 수행되는 이식 절차의 복잡성 및 환자의 외상에 대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스크류잉"에 의한 이식은 조직과 극상 돌기에 비틀림을 유도하는데, 이는 외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US2012/0226313 문헌에는, 아치형 이식물 본체를 포함하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는데, 그 이식물에는 2개의 차단 플라테저(plateger)를 수용하는 측방 슬롯 및 그 두 차단 플라테저 중의 하나에 클램핑력을 가하도록 후방부에 있는 스크류가 제공되어 있고, 두 차단 플라테저에 의해, 2개의 서로 인접하는 극상 돌기가 우측 및 좌측으로 벗어나고 이식물 본체는 이들 두 극상 돌기 사이에 수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이식물은 함께 조립될 3개의 요소(이식물 본체와 2개의 차단 플라테저)로 구성되는 이식물의 경우에 제한된 기계적 신뢰성을 갖는다. 이 이식물은 이식 부속물과 상호 협력하고, 이 부속물은, 펀치에 중심을 두고 다른 요소에 대한 지지부로서 역할하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이 플랫폼은 다른 요소에 대한 지지부로서 역할하며, 여러 개의 절개부를 포함함에 따라 외상적인 외양은 물론 모든 작동에 걸친 그러한 플랫폼의 불안정성과 관련된 주요 문제가 있고, 한 절개부는 이식물 본체를 통과하고 다른 절개부는 2개의 차단 스크류를 통과한다. 다른 요소는 90도의 아치형을 갖는 만곡 로드 및 만곡 안내 튜브로 이루어지고, 만곡 로드는 플랫폼에 회전 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레버 아암에 고정되고, 그 안내 튜브는 만곡된 채널을 형성하고 또한 플랫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아암에 고정된다. 이식 동안에, 일단 플랫폼이 제자리에 배치되면, 그의 안정성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만곡된 로드는 그의 팁을 두 극상 돌기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플랫폼에서 회전하고, 그런 다음에, 만곡 안내 튜브는 만곡 채널에 있는 만곡 로드에 의해 안내되면서 플랫폼에서 회전된다. 그 후에, 만곡 로드가 제거되고, 그래서, 두 극상 돌기 사이에 위치될 때까지, 만곡 안내 튜브의 만곡 채널 내부에서 이식물 본체를 밀 수 있다. 마지막으로, 2개의 안내 핑거가 역시 플랫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2개의 다른 만곡 튜브 안으로 슬라이딩할 것이다. US2012/0226313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이식 방법은, 앞에서 언급된 플랫폼의 안정성의 부족 및 만곡 로드와 3개의 만곡 튜브의 외상적인 삽입을 포함하는 여러 단점을 가지며, 이는 삽입에 긴 이동이 관련되므로 이식이 필연적으로 외상적이도록 치수를 주는 90도의 만곡된 형상을 갖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주 등측 및 보조 측방 접근을 통해 이식하는, 즉 등 축선(또는 척추골 칼럼의 축선)에 대해 약간 편심적인 등측 접근을 포함하는 더 간단한 방법에 적합한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을 제공함으로써 위의 단점 모두 또는 일부분을 극복하고자 한다. 사실, 환자에 개구를 만드는 것은 필요한 최소 부분에서 등에 수행되며, 그 부분은 이식물의 삽입 면적 및 이식물의 크기와 이식 도구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이로써, 국부 마취하에서 그래서 전신 마취를 사용하는 큰 외과적 중재시술 없이 이식물의 신뢰적이고 정확한 이식이 가능하게 되며, 그리하여 수술후 합병증의 위험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에 특히 적합하고 주 등측 접근을 통해 더 간단한 2개의 서로 인접하는 척추골의 극상 돌기 사이(척추골 끝판 사이가 아님)에의 이식을 위한 방법에 적합한 이식 부속물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대상은,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이며, 이는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이식물 본체를 포함하고, 이식물 본체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 후방 단부를 갖는 후방 부분,
- 두 인접하는 척추골의 두 극상 돌기 사이에 연장되도록 성형되고, 상기 후방 부분을 연장하는 중심 부분, 및
- 유선형 전방 단부까지 테이퍼져 있으면서, 상기 후방 부분의 반대편에서 상기 중심 부분을 연장하는 전방 부분
을 연속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이식물 본체는,
- 상기 척추골 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는 전방면, 및
- 상기 이식물 본체에서 그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까지 형성되어 있고, 이식 부속물의 이식 스핀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안내 채널을 가지며,
상기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은, 안내 채널은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까지 곡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안내 채널은 곡선 형상의 전방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방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측에서 이식물 본체의 상기 전방면 안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그러한 전방 홈 덕분에, 본 발명에 따른 이식물은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만곡되어 있는 이식 스핀들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식물은 주 등측 접근을 사용하는 중재시술을 가능하게 하며, 이 중재시술은 종래 기술의 직선형 안내 구멍으로 실행하는 것은 어렵고 심지어는 불가능하다. 사실, 그의 곡선 형상은 등측 축선에 대해 약간 편심적인 동측 개구를 이용하여 척추골 사이에의 직관적이고 점진적인 삽입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하여 결정된 이식 부위에서의 직접적인 이식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에서, 이하의 용어가 정의된다:
- "전방"은, 가장 먼저 환자의 본체에 침투하는 이식물 본체의 부분이다.
- "후방"은, 마지막으로 환자의 본체에 침투하는 이식물 본체의 부분이다.
- "유선형"은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부로부터 전방부까지 얇아지는 전방 단부의 형상을 말한다.
- "곡선 방향"은, 관통 채널의 방향이 직선이 아닌 곡선, 예컨대 주어진 곡률 반경에 걸쳐 있는 원호의 곡선을 따르는 것을 말한다.
- "전방면"은, 척추골 쪽을 향하는 면을 나타내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말한다.
- "후방면"은, 등의 피부 측에서 척추골의 반대 쪽을 향하는 면을 나타내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말한다.
- "하측면"은 밑에 있는 척추골(하부 척추골)의 극상 돌기 쪽을 향하는 면을 나타내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말한다.
- "상측면"은 위쪽 척추골(정상 척추골)의 극상 돌기 쪽을 향하는 면을 나타내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식물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적으로 고려되는 이하의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특징에 따르면, 전방 홈은 전방면 안으로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이식물 본체의 전방면에서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까지 연속적으로(다시 말해, 중단 또는 단절 없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식물 본체는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그래서, 휴지(rest) 위치(이식 전) 및 이식 위치에서(일단 두 극상 돌기 사이에 이식되면), 상기 전방 홈은 동일한 곡률을 따라 곡선형으로 되어 있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방 홈은 주어진 곡률 반경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곡률 중심은 상기 전방면의 반대편에서 이식물 본체의 후방면과 대향하여 위치된다.
원호의 곡선 방향에 대응하는 볼록한 형상은, 이식물이 이식물의 삽입 전체에 걸쳐 그 이식물의 가요적인 무이음 안내 경로를 따라 수직 배향으로부터 수평 배향으로 전환될 수 있게 하므로 유리하다.
한 가능성에 따르면, 전방면은 곡률 반경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식물의 안내는 역시 곡선형인 이 전방면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가능성에 따르면, 전방 홈은 내부에서 깊이에 있어서 전방면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바닥 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상기 바닥 벽은 주어진 곡률 반경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식물의 안내는 역시 곡선형인 이 바닥벽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한 변형예에 따르면, 바닥 벽과 전방면은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가지며, 바닥 벽의 곡률 반경은 전방면의 곡률 반경 보다 작다.
다른 가능성에 따르면, 전방 홈은 외부에서 상기 곡률 반경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유지 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이 유지 립은 상기 바닥 벽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또한 전방 홈의 내부와 비교하여 좁은 공간의 경계를 정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홈은 "C"형 단면을 가지며, "C"의 말단부에는 유지 립이 있고, 이 유지 립은 이식물을 유지하는, 다시 말해, 삽입 동안에 이식 스핀들에서 빠질 위험이 없이 이식물을 이식 스핀들 상에 유지시키는 기능을 보장할 것이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 곡률 반경은 20 내지 300 밀리미터이다.
그러한 곡률 반경으로 제공되는 이점은, 주 등측 접근(등측 축선에 대해 약간 편심적인 등측 개구를 가짐)을 사용하는 외과적 중재시술을 용이하게 해주고 또한 절개의 크기를 제한한다는 것이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 후방 부분은, 이식 부속물의 이식물 홀더에 제공되어 있는 상보적인 피봇 수단에 대해 상기 이식물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어 있는 횡축선 주위의 피봇 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이 피봇 수단에 의해 이식물은 그의 삽입 동안에 쉽게 회전할 수 있을 것이고, 이식물의 삽입은 적어도 하나의 곡선 성분을 갖는 삽입 경로를 따라 행해지고, 이로써, 이식물이 경로의 이 곡선 성분 전체를 따라 이 이식물 홀더에 의해 연결되고 유지될 것이기 때문에 이 삽입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한 특징에 따르면, 후방 부분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측방면, 즉 상측면과 하측면을 가지며, 상기 피봇 수단은 오목부의 형태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횡축선 상에 중심을 두는 원호로 성형되어 있는 돌출부의 형태로 상기 서로 반대편에 있는 측방면에 제공된다.
따라서, 피봇 수단은 형상 끼워맞춤으로 작동하고, 이식물 홀더에 제공되어 있는 상보적인 피봇 수단은, 이식물과 이식물 홀더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한 연결을 위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 전방 부분은 팁으로 테이퍼져 있는 전방 단부 쪽으로 수렴하는 예리한 가장자리에 의해 서로에 직접 연결되는 면을 포함한다.
예리한 가장자리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은, 극돌기간 인대를 쉽게 천공하고 자를 수 있으며 또한 이식물을 위한 길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변형예에 따르면, 전방 부분의 팁과 면은 절두 원추형, 피라미드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부피를 규정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제공되는 이점은, 컴팩트하게 유지되면서 인대 부위을 천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변형예에서, 예리한 가장자리는 간단한 기계 가공을 사용하는 프로파일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변형예에서, 예리한 가장자리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예리한 가장자리는 직선형이고, 이로써 인대 부위의 깔끔한 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후방 부분은, 상기 중심 부분과의 접속부에서, 후방 부분의 하측 또는 이 하측의 반대편에 있는 후방 부분의 상측에서 돌출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판을 포함한다.
또한, 각 차단 판은 후방 부분의 전방부에서 또한 그래서 중심 부분의 후방부에서 후방 부분과 중심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고, 극상 돌기에 접촉하여 삽입 경로에 있는 이식물을 멈추고 두 극상 돌기 사이에서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는 판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식물의 이식 동안에, 차단 판은 이식물의 의도치 않은 제거를 피하기 위해 인접 극상 돌기에 각각 가압됨으로써 이식물이 극돌기간 공간 밖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후방 부분은, 상기 중심 부분과의 접속부에서, 후방 부분의 하측에서 돌출해 있는 차단 판 및 후방 부분의 상측에서 돌출해 있는 다른 차단 판을 포함한다.
한 변형예에 따르면, 두 차단 판은 공면적이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두 차단 판은 동일하고 길이방향 축선을 포함하는 중간면에 대해 대칭적이다.
한 가능성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차단 판은,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직교하는 또는 60 내지 120도의 각도로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는 평면에서 후방 부분의 해당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각 차단 판이 이식물 본체의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후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을 때, 물론 그 차단 판은 대응하는 극상 돌기에 정착된다.
다른 가능성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차단 판은 후방 부분에 고정되거나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고정 차단 판의 이점은, 쉽고 저렴한 설계의 이식물 본체를 갖는다는 것이다.
차단 판이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차단 판은 이식물 본체의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개 위치와 바람직하게는 후방 부분의 고려되는 측에 접해서 이식물 본체의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다른 가능성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차단 판은 상기 전방 단부의 방향으로 향하는 전방면을 가지며, 이 전방면에는, 극상 돌기에의 정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착 릴리프(anchoring relief), 예컨대 스파이크 형태의 정착 릴리프가 제공되어 있다.
이 전방면은 극상 돌기 중의 하나와 대향하여 있게 되며, 정착 릴리프(들)는 이식물의 최종 위치에서 이 극상 돌기에서의 안정적인 정착을 제공할 것이다.
한 변형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차단 판은 여러 개의 정착 릴리프를 갖는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크는 이식물의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차단 판의 전방면은, 뼈와 이식물 본체 사이의 접착을 촉진시켜 주는 골유착 재료, 예컨대 다공성 재료로 코팅된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 중심 부분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측방면, 즉 상측면과 하측면을 가지며, 상기 측방면은 두 극상 돌기 사이에 끼워 맞춤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오목한 측방면을 규정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다.
중심 부분의 상측면은 밑에 있는 척추골의 극상 돌기에 지탱되고 중심 부분의 하측면은 밑에 있는 척추골의 극상 돌기에 지탱되도록 되어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 두 면의 오목한 형상에 의해, 두 극상 돌기의 기부에 일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에 대한 인접하는 극상 돌기들 사이의 약한 벌어짐을 보장하여 이 레벨에서의 척추 전만을 감소시키는 약간의 탄성 변형이 촉진된다.
한 변형예에 따르면, 이식물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적합적인 살균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이식물 본체는 티타늄, 티타늄계 합금, 강, 생체 적합성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을 두 인접하는 척추골의 두 극상 돌기 사이에 안내하고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에 관한 것으로, 이 이식 부속물은,
- 서로 반대편에 있는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을 갖는 이식물 홀더(원위 부분에는 상기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을 지지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지지 수단이 제공되어 있음); 및
- 팁 형상의 자유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갖는 이식 스핀들을 포함하고,
원위 단부 부분은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그 원위 단부 부분에는 만곡 안내 레일이 제공되어 있고, 이 만곡 안내 레일은, 안내 레일을 전방 홈 내부에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원위 단부 부분의 후방면을 따른 상기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의 슬라이딩 안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의 전방 홈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안내 레일은 자유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은 척추골의 두 극상 돌기 사이의 직관적이고 점진적인 삽입을 가능하게 해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적인 경로를 따라 이 만곡 이식 스핀들의 안내 레일에 의해 안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전방 홈으로, 이식물은 만곡 이식 스핀들 상에 위치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어, 곡선형 경로(만곡 이식 스핀들의 형상 때문에 가능함)를 따르는 주 등측 접근을 사용하는 중재시술이 가능하며 또한 등측 개구를 이용하여, 등축 축선에 대해 약간 편심적일 수 있고, 그래서 결정된 이식 부위에의 직접적인 이식이 용이해 진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이식 부속물 덕분에, 이식 스핀들은 그의 원위 단부 부분 상에서 만곡되어 향하게 되며, 이는 주 등측 접근을 사용하는 외과적 중재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식물에 대한 전방 위치 덕분에, 이식 스핀들은 척추골 채널에 존재하는 신경 요소를 보호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식 스핀들은 자유로운 팁형 원위 단부에서 끝나는 가느다란 특히 곡선형의 본체를 형성하고, 그래서, 조직을 통과해 길을 내어, 환자의 몸 안으로 뚫고 들어가, 두 극상 돌기 사이에 있는 극돌기간 공간과 대향하는 적절한 위치까지 갈 수 있고, 이는 외과 분야에서 스핀들의 통상적인 기능임을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이 이식 스핀들은 앞에서 설명한 상세를 갖는데, 즉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레일이 존재하며, 이 슬라이딩은 반드시 이식 스핀들 상에서 수행되며(다시 말해, 이식물은 이식 스핀들의 외부에 있음), 이식 스핀들의 내부에 있지 않은데, 왜냐하면, 외과 분야에서, 스핀들은 이식물이 미끄러질 수 있는 채널 또는 튜브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식 스핀들 상에 제공되는 안내 레일은 곡선형 이식 경로를 따라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지만, 또한 이식물이 안내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식물의 측방향 변위를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기능도 갖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유리하게, 이식 스핀들의 만곡 원위 단부 부분의 위치 결정은 극돌기간 공간의 레벨에서 가능한 한 가장 앞에서 행해질 것인데, 왜냐하면 중재시술의 끝에서 이식물의 최적 상황은 극돌기간 공간의 전방 부분에 대응하기 때문이며, 이는 뼈가 가장 넓고 또한 가장 중실인 부위이다. 따라서, 안내 홈의 곡선 방향은, 이식 스핀들이 극돌기간 공간에 접근하도록 만족스러운 받음각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근위"라는 용어는, 이식물의 삽입 동안에 의사의 손에 가장 가까운 부분 또는 단부를 말하고, "원위"라는 용어는, 이식물의 삽입 동안에 의사의 손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또는 다시 말해 중재시술의 끝에서 환자에 가장 가까운 부분 또는 단부를 말한다.
한 특징에 따르면, 이식 스핀들은 중실이며, 튜브 또는 채널을 형성하지 않는다.
한 가능성에 따르면, 이식 스핀들의 원위 단부 부분은 60 내지 120도의 각도 섹터에 걸쳐 원호로 만곡되어 있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 이식 스핀들의 원위 단부 부분은 20 내지 300 밀리미터의 곡률 반경에 걸쳐 원호로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곡률 반경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은, 주 등측 접근을 사용하는 외과적 중재시술을 용이하게 해주고 또한 절개의 크기를 제한한다는 것이다.
다른 가능성에 따르면, 이식 스핀들은, 원위 단부 부분을 자유 근위 단부까지 연장하는 근위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안내 레일은, 원위 단부 부분으로부터, 근위 단부 부분에서 상기 자유 근위 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길이방향 레일에 의해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은 근위 단부의 레벨에서 길이방향 레일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어, 만곡 안내 레일 안으로 들어가 슬라이딩하고 곡선 경로를 따르기 위해 만곡 원위 단부 부분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안내 레일과 길이방향 레일은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이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끼워 맞춤될 수 있는 하나의 연속적인 레일을 형성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다시 말해, 안내 레일과 길이방향 레일은, 직선형이고 그런 다음에 곡선형인 전체 이식 경로를 따라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이식 스핀들 상에 함께 제공되며, 이 안내 레일과 길이방향 레일은 또한 반드시 이식물이 안내 레일과 길이방향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식물의 측방향 변위를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 가능성에 따르면, 근위 단부 부분과 길이방향 레일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직선형인데, 다시 말해, 이 근위 단부 부분은 직선형이고 그리고/또는 이 길이방향 레일은 직선형이다.
따라서,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은, 처음에 선형 성분을 가지며(길이방향 레일 상에서 미끄러짐) 그런 다음에 마지막으로 곡선형 성분을 갖는(만곡 안내 레일 상에서 미끄러짐) 삽입 경로를 따를 것이며, 이로써, 이식물은 수직 배향(환자의 외부에 있음)에서 수평 배향(극돌기간 공간에서 환자의 내부에 있음)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 특징에 따르면, 안내 레일은 이식 스핀들의 원위 단부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안내 레일은 이식물이 이식 스핀들 상에서(그리고 튜브 또는 채널의 내부가 아닌) 슬라이딩하도록 이식 스핀들의 외부에 형성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식 스핀들의 자유로운 팁형 원위 단부는 9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60도 이하, 혹시 45도 이하의 팀 각도를 갖는다.
사실, 작은 팁 각도는 조직을 통과하는 이식 스핀들의 침투를 촉진시킨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 이식 스핀들의 원위 단부 부분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측방면, 즉 상측면과 하측면을 가지며, 안내 레일은 각각의 측방면에 형성되어 있는 두 노치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노치는 전술한 유지 립을 각각 수용하고 그래서 전체 거리에 걸친 안정적이고 신뢰적인 안내를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 특징에 따르면, 이식 스핀들의 원위 단부 부분은 후방면의 반대편에 있는 전방면을 가지며, 이 전방면을 따라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이 슬라이딩하고 또한 전방면 상에는 제 1 피봇 안내 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이식 부속물은 원위 부분을 갖는 주 지지부를 포함하고, 그 원위 부분에는, 정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착 릴리프, 및 원위 단부 부분의 삽입 동안에 이식 스핀들을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제 1 피봇 안내 수단과 상호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피봇 안내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이 주 지지부는 두 극상 돌기 사이를 지나는 중간면에 위치되는 영역에서 척추골에 정착될 것이고, 그 후에 이 주 지지부는, 이식 스핀들의 회전 또는 경사 운동을 사용하여, 이식 스핀들의 원위 단부 부분이 두 극상 돌기 사이에 끼워 맞춤되도록 그 이식 스핀들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 제 1 피봇 안내 수단과 제 2 피봇 안내 수단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아치형 레일과 아치형 슬라이드를 각각 포함한다.
한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피봇 안내 수단과 제 2 피봇 안내 수단은 60 내지 120도의, 특히 90도 범위의 피봇 각도에 걸쳐 상기 이식 스핀들을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 지지부는 그립핑 헤드가 제공되어 있는 홀딩 그립에 연결되는 근위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홀딩 그립의 주 기능은, 의사에 의한 그립핑을 가능하게 하고 그래서 주 지지부를 박아 넣기 위해 특히 누름력, 필요시에는 충격력을 그립핑 헤드에 가하여 주 지지부를 척추골에 정착시키기 위해 의사에게 주 지지부의 셋업 및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 변형예에 따르면, 홀딩 그립은 주 지지부와는 별개이고, 주 지지부 또는 홀딩 그립에 고정되고 주 지지부는 단일체로 일체적으로 만들어 진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 지지부는 주 지지부의 원위 부분의 원위면 안으로 개방되어 있는 원위 구멍을 가지며, 이식 부속물은 척추골에의 정착을 위한 팁형 원위 단부가 제공되어 있는 위치 결정 펀치를 포함하고, 위치 결정 펀치는 위치 결정 펀치를 원위 구멍 안에 삽입하여 주 지지부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위치 결정 펀치는, 의사에 의해 결정되고 실질적으로 두 극상 돌기 사이를 지나는 중간면에 위치되는 정확한 지점에서 척추골에 정착될 것이며, 주 지지부를 원하는 부위에 위치시키도록 그 주 지지부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 이식물 홀더의 원위 부분에 제공되는 상기 지지 수단은, 횡축선 주위로의 상기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식물의 후방 부분의 피봇 수단과 상호 협력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상보적인 피봇 수단을 포함한다.
한 가능성에 따르면, 지지 수단은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을 갖는 2개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고, 이 지지 요소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축선 상에 중심을 두는 원호로 성형되고 상보적인 피봇 수단을 형성하는 오목부 또는 돌출부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은 두 각각의 지지 요소의 내측면들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으면서 그 내측면들 사이에 쐐기 박음된다.
더욱이, 피봇 수단은 형상 끼워맞춤으로 작동하고, 이식물 홀더에 제공되어 있는 상보적인 피봇 수단은, 이식물과 이식물 홀더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한 연결을 위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다른 가능성에 따르면, 두 지지 요소는 서로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며, 이를 위해,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그래서 두 지지 요소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의 지지를 허용하는 부착 구성과 이식물 홀더로부터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의 해제를 허용하는 분리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일단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이 두 극상 돌기 사이에 배치되면,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을 제자리에 두고, 두 지지 요소를 서로로부터 분리시켜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을 해제하여 이식물 홀더를 제거하기만 하면 된다.
한 가능성에 따르면,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은, 각각의 지지 요소에 제공되는 상측 슬라이드 및 상측 레일로 형성된다
다른 가능성에 따르면, 상측 슬라이드 및 상측 레일 둘 모두는 아치형이고,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이식물 홀더의 원위 부분의 전방면과 후방면 사이에 연장되어, 지지 요소를 횡축선 주위로 다른 지지 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함께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피봇 안내 수단을 형성한다.
따라서, 두 지지 요소 사이의 분리는 이식물을 방해함이 없이 회전으로 행해진다.
다른 가능성에 따르면, 이식물 홀더의 원위 부분과 근위 부분은 2개의 로드에 의해 연결되며, 로드는 각각의 지지 요소에 체결되는 원위 단부 및 원위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근위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체결되는 근위 단부를 갖는다.
유리하게, 로드의 원위 단부는 이식물의 각각의 차단 판에 지탱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지 요소로부터 돌출하는 각각의 말단부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식 부속물은 이식물 홀더의 근위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격기를 포함한다.
한 특징에 따르면, 충격기는 충격 로드를 포함하고, 이 충격 로드에는, 이식물 홀더의 근위 부분에 체결되는 원위 단부, 및 이 원위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그립이 체결되는 근위 단부가 제공되어 있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충격기는, 상기 그립과 이식물 홀더의 근위 부분 사이에서 상기 충격 로드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격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는 비한정적인 실시 형태의 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의 일 예의 후방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식물의 정면도(전방측)이다.
도 3은 도 1의 이식물의 저부도(내부 정면측)이다.
도 4는 도 1의 이식물의 전방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식물의 배면도(후방측)이다.
도 6은 도 1의 이식물의 후방측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이식물의 전방측을 도시한다.
도 8은 2개의 극상 돌기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도 1의 이식물의 사시도(등측 및 후방측에서 본 도)이다.
도 9는 2개의 극상 돌기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도 1의 이식물의 사시도(전방측 및 후방측에서 본 도)이다.
도 10은 2개의 극상 돌기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도 1의 이식물의 후방측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식 부속물의 위치 결정 펀치를 삽입하는 제 1 단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식 부속물의 주 지지부를 삽입하는 제 2 단계를 도시한다.
도 13은 2개의 개별적인 관점에서 본, 도 12의 주 지지부의 원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주 지지부에 홀딩 그립을 연결하는 제 3 단계 및 본 발명에 따른 이식 부속물의 이식 스핀들을 삽입하는 제 4 단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홀딩 그립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제 4 단계 동안에 이식 스핀들의 원위 단부 부분이 안내되는 주 지지부의 원위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여러 관점에 따라 그리고 완전히(좌측면도) 또는 부분적으로(3개의 우측면도) 나타낸 도 14의 이식 스핀들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정적 주 지지부에 대해 이식 스핀들을 회전(또는 경사)시키는 제 5 단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의 이식물을 지지하는 부속 홀더 및 이식물 홀더에 장착되는 충격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식 부속물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이식물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이식물 홀더의 원위 부분의 사시도로, 그 이식물 홀더의 두 지지 요소는 부착 구성(좌측) 및 분리 구성(우측)으로 있다.
도 22는 도 19의 부속물 홀더와 충격기 세트를 삽입하는 제 6 단계를 도시하고, 부속물 홀더는 도 1의 이식물을 지지한다.
도 23은 주 지지부의 원위 부분 및 도 19의 이식물 홀더에 의해 지탱되는 이식물이 슬라이딩하는 이식 스핀들의 원위 단부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4는 주 지지부의 원위 부분 및 도 19의 이식물 홀더에 의해 지탱되는 이식물이 슬라이딩하는 이식 스핀들의 원위 단부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5는 두 극상 돌기 사이에 있는 극돌기간 공간의 방향으로 이식 스핀들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도 1의 이식물을 미는 제 7 단계의 시작을 도시한다.
도 26은 도 25의 제 7 단계의 시작시에 이식 스핀들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이식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7은 이식 스핀들 상에서 슬라이딩했고 그래서 두 극상 돌기 사이에 위치되는 도 1의 이식물을 미는 제 7 단계의 끝을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의 제 7 단계의 끝에 있는 이식 스핀들 상에 있는 이식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9는 충격기를 이식물 홀더에서 제거하는 제 8 단계를 도시한다.
도 30은 2개의 지지부 단부를 분리 구성으로 전환시켜 이식물 홀더를 잠금 해제시키는 제 9 단계를 도시한다.
도 31은 도 30의 제 9 단계 동안에 이식물과 이식물 홀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제 9 단계 다음에 이식물 홀더를 제거한 후에 이식 스핀들을 제거하는 제 10 단계를 도시한다.
간단히 하기 위해,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보장하는 요소는 상이한 실시 형태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질 것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이식물(1)을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이식물(1)은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적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이식물 본체(10)를 포함하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이다. 더 구체적으로, 이 이식물(1)은 일체적으로 그리고 이 이식물 본체(10)로만 형성된다.
이 이식물 본체(10)는 길이방향 축선(AL)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 축선(AL)을 따라 다음을 연속적으로 포함한다:
- 후방 단부(20)를 갖는 후방 부분(2),
- 두 인접하는 척추골(VE)의 두 극상 돌기(AE)(도 8 내지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음) 사이에 연장되도록 성형되고, 후방 부분(2)을 연장시키는 중심 부분(3), 및
- 유선형 전방 단부(40)까지 테이퍼져 있으면서, 후방 부분(3)의 반대편에서 중심 부분(3)을 연장시키는 전방 부분(4).
따라서, 중심 부분(3)은 후방 부분(2)을 전방 부분(4)에 연결하고, 이 중심 부분(3)은 후방 부분(2)과 전방 부분(4)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중심 부분(3)은 전방 부분(2)과 비교할 때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있어 중심 부분(3)은 그의 삽입 경로 전체에 걸쳐, 특히 이 삽입 경로의 곡선 성분 전체에 걸쳐 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삽입되면, 이식물 본체(1)의 이 가요성에 의해, 주어진 범위 내에서 두 인접하는 척추골 사이의 운동성이 보존될 수 있다. 중심 부분(3)의 이 탄성(상이한 강성/가요성을 갖는 2개의 "영역"을 갖는 이식물 본체(10)를 갖는 데에 기여함)은 예컨대 기하학적 수정(예컨대, 격자형 구조) 및/또는 상이한 재료의 사용으로 얻어질 수 있다.
후방 부분(2)은 반디스크형의 대략적인 형상을 가지며, 그의 후방 단부(20)는 둥글게 되어 있거나 또는 길이방향 축선(AL)에 수직인 횡축선(AT)에 중심을 두고 있는 반원통형이다.
이 후방 부분(2)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측방면(21, 22), 즉 반디스크형의 대략적인 형상을 갖는 상측면(21)과 하측면(22)을 가지며, 횡축선(AT) 주위로의 회전을 위한 수단이 이들 두 측방면(21, 22)에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피봇 수단은 각각의 측방면(21, 22)에 형성되는 오목부(23)의 형태로 제공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축선(AT) 상에 중심을 두는 원호로 성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목부(23)는 180°보다 작은 각도 섹터,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20 내지 175°의 각도 섹터에 걸쳐 있는 원호형 오목부의 형태이다.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들 오목부(23)는 이식물 홀더(9)에 제공되어 있는 상보적인 돌출부(941, 951)와 상호 협력하여, 이식물 본체(10)가 이 이식물 홀더(9) 상에서 횡축선(AT) 주위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해준다.
후방 부분(2)과 중심 부분(3) 사이의 연결부에서, 후방 부분(2)은, 후방 부분(2)의 하측(하측면(22)과 동일한 측)에서 돌출되어 있는 차단 판(24) 및 후방 부분(2)의 상측(상측면(21)과 동일한 측)에서 돌출되어 있는 다른 차단 판(24)을 포함한다.
두 차단 판(24)은, 길이방향 축선(AL)을 포함하고 횡축선 (AT)에 직교하는 중간면(PM)에 대해 대칭이고, 차단 판(24)은 하측면(22)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고 다른 차단 판(24)은 상측면(21)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들 차단 판(24)은, 길이방향 축선(AL)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 또는 더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축선(AL)에 대해 60 내지 120도의 각도로 경사진 평면에서 공면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식물 본체(10)는 이 중간면(PM)에 대해 대칭적이다.
두 차단 판(24)은 각각의 측방면(21 22)에 대해 또한 중심 부분(3)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한다. 두 차단 판(24)은 이식물 본체(10)와 체결되고 일체적으로 되어 있다. 미도시 변형예에서, 차단 판(24)은 각각의 측방면(21, 22)에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는 차단 판(24)은 측방면(21, 22)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두 차단 판(24) 각각은 전방 단부(40) 쪽으로 향하는 전방면(240) 및 전방면(240)의 반대편에 있고 후방 단부(20) 쪽으로 향하는 후방면(241)을 갖는다.
두 차단 판(24)의 전방면(240) 각각에는, 극상 돌기(AE)에의 정착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구성된 정착 릴리프를 형성하는 여러 개의 스파이크(25)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스파이크(25)는 길이방향 축선(AL)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두 차단 판(24)의 후방면(241)은 매끄럽다.
중심 부분(3)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측방면(31, 32), 즉 상측면(31)과 하측면(32)을 가지며, 이들 면은 두 극상 돌기(AE) 사이에 끼워 맞춤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오목한 측방면(31, 32)을 규정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중심 부분(3)은 극상 돌기(AE)의 형상과 맞도록 그의 중심부에서 얇게 되어 있다. 두 차단 판(24)은 각각의 측방면(31, 32)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한다.
전방 부분(4)은 인대 영역에 구멍을 뚫도록 되어 있는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목적으로, 전방 부분은 팁으로 테이퍼져 있는 전방 단부(40) 쪽으로 수렴하는 예리한 직선형 가장자리에 의해 서로에 직접 연결되는 평평한 면을 포함한다.
이식물 본체(10)는 또한 척추골(VE) 쪽으로 향하게 되는 전방면(11) 및 이 전방면(11)의 반대편에 있는 후방면(12)을 갖는다.
전방면(11)은 20 내지 300 밀리미터의 곡률 반경(RC)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곡률 중심은 이식물 본체(10)의 후방면(12)을 향하여 위치된다. 그리고, 후방면(12)은 중심 부분(3)의 레벨에 있는 볼록한 형상 및 전방 부분(4)의 레벨에 있는 평평한 면 형상을 갖는다.
이식물 본체(10)는 또한 전방면(11)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홈(5)을 가지며, 이 전방 홈은,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후에 설명하는 이식 부속물의 이식 스핀들(8)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안내 채널을 형성하도록 후방 단부(20)에서 전방 단부(40)까지 이식물 본체(10)를 완전히 가로지른다.
도 4 및 7에 명확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전방 홈(5)은 이식물 본체(10)의 전방면(11)에서 후방 단부(20)에서 전방 단부(40)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전방면(11) 안으로 연속적으로 열려 있다.
이 전방 홈(5)은 곡률 반경(RC)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그래서 원호형 곡선 방향을 따라 후방 단부(20)에서 전방 단부(40)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전방 홈(5)은 중간면(PM)에서 연장되어 있고 이 중간면(PM)에 대해 대칭이다.
이식물 본체(10)에 대해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 이식물 본체(10)는 결코 관절 연결식 본체를 형성하지 않는데, 다시 말해, 휴지(rest) 위치(도 1 내지 7에 나타나 있는 위치)와 이식 위치(도 8 내지 10 및 27 내지 32에 나타나 있는 위치)에서 전방 홈(5)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선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이 이식물 본체(10)는 관절식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전방 홈(5)은 내부에서 바닥 벽(5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이 바닥 벽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단부(20)에서 전방 단부(40)까지 일정한 주어진 깊이(PR) 만큼 깊이에 있어서 전방면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다.
이 바닥 벽(50)은 전방면(11)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는 곡률 중심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이는 이 전방면(11)의 곡률 반경(RC) 보다 작은 곡률 반경(RP)(미도시)을 갖는다. 깊이(PR)는 곡률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측정되며, 그래서 RC = RC + PR 이다.
이 전방면(5)은 내부에서 중간면(PM)에 평행한 2개의 측방벽(51, 52)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원호형이다. 두 측방벽(51, 52) 사이의 간격은 전방 홈(5)의 폭(LA)의 경계를 정한다.
전방 홈(5)은 외부에서, 전방면(11)의 레벨에서 곡률 반경(RC)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유지 립(5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이들 유지 립(53)은 각각의 측방벽(51, 52)으로부터 돌출하며, 더욱이, 유지 립은 바닥 벽(50)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전방 홈(5)의 내부와 비교하여 좁은 공간의 경계를 정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다시 말해, 두 유지 립(53) 사이의 간격(EC)은 전방 홈(5)의 폭(LA) 보다 작다. 이들 유지 립(53)은 전방 홈(5)이 열려 있는 전방 면(11)과 일체적으로 되어 있다.
유지 립(53) 각각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률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립 두께 또는 높이(HL)를 갖는다. 따라서, 전방 홈(5)은 유지 립(53)과 바닥 벽(50) 사이의 홈 높이(HR)(마찬가지로 곡률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측정됨)를 가지며, 그래서 PR = HR + HL 이다.
더욱이, 전방 홈(5)은,
- 길이방향 축선(AL)에 평행한 제 1 디렉터와 제 2 디렉터를 고려하여(제 1 디렉터는 바닥 벽(50)의 최저점(실질적으로 후방 단부(20)와 전방 단부(40) 사이의 중간에 있음)을 통과하고 제 2 디렉터는 유지 립(53)의 최상점(후방 단부(20) 또는 전방 단부(40)의 레벨에 있음)을 통과함), 전방 홈(5)은 영이 아닌 중간 높이(HI)를 가지며(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중간 높이는 길이방향 축선(AL)과 횡축선(AT)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제 1 디렉터와 제 2 디렉터 사이에 측정되는 거리에 대응함); 그리고
- 길이방향 축선(AL)에 평행한 제 3 디렉터를 고려하여(제 3 디렉터는 유지 립의 최저점(실질적으로 후방 단부(20)와 전방 단부(40) 사이의 중간에 있음)을 통과함), 유지 립(53)은 전체 높이(HG)(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전체 높이는 길이방향 축선(AL)과 횡축선(AT)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제 2 디렉터와 제 3 디렉터 사이에 측정되는 거리에 대응함)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구조는 길이방향(다시 말해 직선형) 경로를 따르는 길이방향 레일(89) 상에서 그리고 곡선형 또는 아치형 경로를 따르는 곡선형 안내 레일(83)(뒤에서 설명함) 상에서 이식물(1)이 슬라이딩하게 하는 데에 유리하다.
전방 홈(5)은 그의 두 각각의 단부에서 후방 단부(20) 상으로 열려 있는 후방 입구부(54) 및 전방 단부(40) 상으로 열려 있는 전방 입구부(55)를 갖는다.
도 11 내지 32를 참조하는 이하의 설명은, 이식물(1)을 서로 인접하는 척추골(VE)의 두 극상 돌기(AE) 사이에 안내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이식 부속물, 및 이러한 이식 부속물에 의해 이식물(1)을 이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이식 부속물은, 주 등측 접근을 사용하여 이식물(1)을 이식할 수 있도록 함께 상호 협력하는 여러 개의 개별적인 기능 부품을 포함하는 키트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식 부속물의 이들 상이한 부품은 이식 방법의 실행에서 사용되는 것과 관련하여 점진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사전에,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의사는 척추골 칼럼(CV)의 축선(AC)(등측 축선이라고도 함)에 대한 측방향 거리(DL)에서 척추골(VE)의 측방 부분(PL)에 위치되는 기준점을 결정하며, 그러한 측방향 거리(DL)는 수술 전에 미리 결정되고, 예컨대 5 내지 70 밀리미터이다. 이 기준점은 실질적으로 두 극상 돌기(AE) 사이를 지나는 중간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 이식 방법은, 측방향 거리(DL) 만큼 등측 축선에 대해 약간 편심적인 등측 접근을 포함하기 때문에, 주 등측 접근 방법이라고 불린다.
기준점을 결정하는 이 사전 단계는 예컨대 수술전 스캐너의 사용을 통해 충분히 사전에 수행될 수 있고, 수술전 스캐너는 목표 극돌기간 공간의 폭을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이 폭에 따라 이식물(1)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후에, 의사는 기준점 위쪽에서 척추골 칼럼(CV)의 축선(AC)에 대해 측방향 거리(DL)에서 절개를 수행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단계에서, 의사는 스페이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직, 근육, 인대 등과 같은 상이한 요소들을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등측 접근을 통해 이식 부속물의 일 부품을 형성하는 위치 결정 펀치(6)를 기준점에 정착할 때까지 삽입한다.
이 위치 결정 펀치(6)는 팁형 원위 단부(61)를 갖는 가느다란 직선형 로드이다. 이 위치 결정 펀치(6)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위치 결정 펀치(6)는 원형, 정사각형, 다각형 단면 등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그 형상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팁형 원위 단부(61)는 척추골(PE) 측방향 부분(PL)에서 기준점에 정착된다.
이 위치 결정 펀치(6)는 또한 원위 단부(61)의 반대편에서 근위 단부(62)를 가지며, 위치 결정 펀치(6)는 이 근위 단부(62)가 환자의 등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충분히 길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제 2 단계에서, 의사는 화살표(GU)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 지지부(7)를 위치 결정 펀치(6)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삽입하고, 이 주 지지부(7)는 이식 부속물의 다른 부품이다.
이 주 지지부(7)는 관형의 가느다란 본체의 형태로 되어 있고, 서로 반대편에 있는 원위 부분(71)과 근위 부분(72)을 갖는다. 원위 부분(71)은 제자리에 있을 때 척추골 쪽으로 향하는 원위면(710)을 가지며, 이로부터 여러 개의 스파이크(711)가 돌출되며, 이 스파이크는 척추골(VE) 측방향 부분(PL) 상에의 정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정착 릴리프를 형성한다. 근위 부분(72)은 원위면(710)의 반대편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근위면(720)을 갖는다.
주 지지부(7)는 원위면(710) 안으로 열려 있는 원위 구멍(73)(도 13에 나타나 있음)을 가지며, 또한 그의 근위 면(720) 안으로 열려 있는 근위 구멍(730)(도 12에 나타나 있음)을 가지며, 이들 두 구멍(73, 730)은, 막혀 있거나 서로의 안으로 열려 있는 2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주 지지부(7)는 위치 결정 펀치(6) 보다 길고 원위 구멍(73)은 위치 결정 펀치(6) 보다 실질적으로 더 길다. 따라서, 위치 결정 펀치(6)는 위치 결정 펀치(6)를 원위 구멍(73) 안에 삽입하여 주 지지부(7)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성형된다.
주 지지부(7)는 근위면(720)의 레벨에서의 끼워맞춤으로 근위 단부(62)의 레벨에서 외부로부터 도입되고, 그런 다음에, 스파이크(711)가 척추골(VE) 측방 부분(PL)과 접촉할 때까지 주 지지부(7)는 위치 결정 펀치(6)를 따라 슬라이딩한다(화살표(GU)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 지지부(7)의 원위 부분(71)은 원위면(710)의 방향으로 넓어지며, 극상 돌기(AE)의 방향으로 향하고 만곡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전방면(712)을 가지며, 도브테일 단면을 갖는 오목한 아치형 레일(74)이 그 전방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제 3 단계에서, 의사는 홀딩 그립(75)을 주 지지부(7)의 근위 부분(72)에 연결하고, 구체적으로, 홀딩 그립(75)을 주 지지부(7)의 근위면(720)에 고정시킨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홀딩 그립(75)은 전술한 제 2 단계 동안에 주 지지부(7)에 이미 연결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하고, 그래서, 의사가 주 지지부(7)/홀딩 그립(75) 세트를 적절히 잡아 위치 결정 펀치(6) 상에서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주 지지부(7)의 삽입 전에 홀딩 그립(75)은 주 지지부(7)에 이미 체결된다.
이 홀딩 그립(7)은 본체(76)를 포함하고, 이 본체는 일측에서 그립핑 헤드(77)에 의해 연장되어 있고 다른 측에서는 연결을 위해 주 지지부(7)의 근위 구멍(730) 안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피팅 핀(78)에 의해 연장된다. 그립핑 헤드(77)에는, 홀딩 그립(7)의 수동 그립핑을 가능하게 해주는 2개의 측방 날개부(770)가 제공되어 있다.
유리하게, 그립핑 헤드(77)는 본체(76) 상에 90도 회전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고, 90도 회전 후에 그립핑 헤드(77)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 잠금시킬 수 있게 해주는 잠금 시스템을 갖는다. 또한, 이 잠금 시스템은, 두 측방 날개부(770) 사이의 중간에서 본체(70)와 정렬되어 그립핑 헤드(77)에 위치되는 잠금 해제 버튼(771)을 포함하고, 이 버튼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또한 그 반대로 전환시키기 위해 그립핑 헤드(77)의 회전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그 후에, 의사는, 홀딩 그립(75)의 덕분에, 누름력, 및 혹시 바람직하게는 반복적인 충격력을 그립핑 헤드(77)에 가해 주 지지부(7)를 박아 넣음으로써 주 지지부(7)를 척추골(VE) 측방 부분(PL) 안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주 지지부(7)를 누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제 4 단계에서, 의사는 이식 부속물의 다른 부품인 이식 스핀들(8)을 삽입한다.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러한 이식 스핀들(8)은 주 지지부(7)에 미리 장착될 수 있고, 그래서 의사는 주 지지부(7)/홀딩 그립(75)/이식 스핀들(8) 세트를 함께 하나의 단일 단계로 삽입할 수 있다.
이식 스핀들(8)은 자유로운 팁형 원위 단부(810)까지 연장되어 있는 원위 단부 부분(81)을 가지며, 또한 자유로운 근위 단부(820)까지 원위 단부 부분(81)을 연장시키는 근위 단부 부분(82)을 갖는다.
도 16 및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유로운 팁형 원위 단부(810)는 90도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45도 보다 작은 팁 각도를 갖는다.
원위 단부 부분(81)은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만곡된 안내 레일이 이 원위 단부 부분(81)에 제공된다. 이 안내 레일(83)은 이식물(1)의 전방 홈(5)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곡률 반경(RC)을 가지고 있어,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식물(1)의 슬라이딩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근위 단부 부분(82)은 직선 형상을 갖는다.
원위 단부 부분(81)의 곡률은, 이 원위 단부 부분(81)이 근위 단부 부분(82)에 대해 90도 범위의, 다소 30도 범위의 각도 섹터에 걸쳐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원위 단부 부분(81)은 90도 범위의 그러한 각도 섹터에 걸쳐 주어진 곡률 반경(RC)에 대해 원호로 만곡되어 있다.
이식 스핀들(8)은 그의 원위 단부(810)에서 근위 단부(820)까지 그의 길이의 전체에 걸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식 스핀들(8)은,
- 제자리에 배치될 때 주 지지부(7) 쪽을 향하는 전방면(87);
- 삽입 동안에 전방면(87)의 반대편에서 이식물(1) 쪽을 향하는 후방면(84); 및
-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측방면(85)(상측면과 하측면)을 갖는다.
안내 레일(83)은 원위 단부 부분(81)의 레벨에서 각각의 측방면(85)에 형성되어 있는 두 노치(830)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안내 레일(83)은 원위 단부(810)까지 연장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노치(830)는 원위 단부(810)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안내 레일(83)은 주어진 곡률 반경(RC)에 대해 90도의 범위, 다소 30도의 각도 섹터에 걸쳐 원호로 만곡되어 있다.
더욱이, 안내 레일(83)은 원위 단부 부분(81)으로부터, 근위 단부 부분(82)에 형성되어 있고 근위 단부(820)까지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레일(89)에 의해 연장된다. 이 길이방향 레일(89)은 직선형 레일이고, 근위 부분(82)의 레벨에서 각각의 측방면(85)에 형성되어 있고 노치(830)를 연장하는 2개의 노치(890)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식 스핀들(8)은, 역시 아치형인 원위 단부 부분(81)을 따르는 아치형 안내 레일(83) 및 역시 직선형인 근위 단부 부분(82)을 따르는 직선형 길이방향 레일(89)을 연속적으로 갖는다.
더욱이, 원위 단부 부분(81)은 전방면(87)에 형성되어 있는 아치형 슬라이드(86)를 갖는다. 이 아치형 슬라이드(86)는 90도의 범위, 다소 30도의 각도 섹터에 걸쳐 원위 단부(810)까지 연장되어 있다.
특히, 이 아치형 슬라이드(86)는 원위 단부 부분(81)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고 근위 단부 부분(82)의 시작부에서 멈춘다. 미도시 변형예에서, 이 아치형 슬라이드(86)는 원위 단부 부분(81)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또한 근위 단부 부분(82)에 걸쳐 근위 단부(820)까지 연장되어 있고, 예컨대, 그의 제조 동안에, 이식 스핀들(8)이 먼저 압출되고 그런 다음에 만곡된다.
이 아치형 슬라이드(86)는 주 지지부(7)의 원위 부분(71)의 전방면(712)에 제공되어 있는 아치형 레일(74)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이 아치형 레일(74) 및 아치형 슬라이드(86)는 각각 제 1 피봇 안내 수단 및 제 2 피봇 안내 수단을 형성하고, 이들 피봇 안내 수단은 원위 단부 부분(81)이 두 극상 돌기(AE) 사이에 삽입되는 동안에 이식 스핀들(8)을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함께 협력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식 스핀들(8)을 삽입하는 제 4 단계에서, 아치형 슬라이드(86)가 아치형 레일(74)과 결합할 때까지, 이식 스핀들(8)은, 주 지지부(7)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그의 근위 단부 부분(82) 및 주 지지부(7)의 원위 부분(71)의 전방면(712) 쪽으로 향하는 원위 단부(810)를 갖는 원위 단부 부분(81)으로 삽입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식 스핀들(8)은 비경사 위치(도 14에 나타나 있음)에서 이미 주 지지부(7)에 미리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며, 그래서 의사는 홀딩 그립(75)에 작용을 가하여 위치 결정 펀치(6) 상에서 전체 슬라이딩을 행하여, 주 지지부(7)/홀딩 그립(75)/이식 스핀들(8) 세트를 함께 삽입한다(하나의 단일 도입 단계에서).
그러나, 의사가 예컨대 스크레이퍼와 같은 스크레이핑 도구를 이용하여 측방 접근의 축선(이식물(1)의 축선(AL))에서 더 많은 조직을 멀리 이동시켜야 한다면, 이 경우에, 이식 스핀들(8)은 조직의 벌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 지지부(7)에 직접 장착되지 않을 것이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제 5 단계에서, 근위 단부 부분(82)이 주 지지부(7)에 가압되고 원위 단부 부분(81)이 두 극상 돌기(AE)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될 때까지, 의사는 화살표(PG)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식 스핀들(8)을 정착된 정적 주 지지부(7)에 대해 회전(또는 경사)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식 스핀들(8)의 이 회전은 아치형 슬라이드(86)와 아치형 레일(74) 사이의 상호 협력 덕분에 이루어진다. 이식 스핀들(8)의 회전은 90도 범위의 각도에 걸쳐 수행된다.
아치형 슬라이드(86)와 아치형 레일(74)의 도브테일 상보적인 형상으로 인해, 이식 스핀들(8)의 원위 단부 부분(81)이 주 지지부(7)에서 떨어질 위험이 없이, 아치형 슬라이드(86)와 아치형 레일(74) 사이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제 6 단계에서, 의사는 부속물 홀더(9)와 충격기(13)를 포함하는 세트를 삽입하고, 부속물 홀더(9)와 충격기(13) 역시 이식 부속물의 부품이다.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부속물 홀더(9)는, 서로 반대편에 있고 두 평행 로드(93)로 연결되는 원위 부분(91)과 근위 부분(92)을 갖는다.
원위 부분(91)에는, 이식물(1)을 지지하도록 성형된 지지 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이들 지지 수단은, 서로 대향하고 각각 돌출부(941, 951)를 갖는 내측면(940, 950)을 갖는 2개의 지지 요소(94, 95)를 포함한다.
이들 돌출부(941, 951)는 횡축선(AT) 상에 중심을 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호로 성형되어 있고, 이식물(1)이 이 이식물 홀더(9) 상에서 횡축선(AT) 주위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이식물(1)의 후방 부분(2)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23)와 상보적인 피봇 수단을 형성한다.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돌출부(941, 951)는 180도 보다 작은 각도 섹터에 걸쳐, 예컨대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20도와 175도 사이에 포함되는 각도 섹터에 걸쳐 원호로 성형된 돌출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더욱이, 지지 요소(94, 95)는 또한 각각의 아치형 면(943, 953)을 가지며, 이들 면은 각각의 내측면(940, 950)에 인접하고, 횡축선(AT) 상에 중심을 두는 원호로 성형되어 있고, 이들 두 아치형 면(943, 953)은, 이식물(1)을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또한 이식물의 삽입 동안에 이식물(1)에 누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식물(1)의 후방 단부(20)의 둥근 형상에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941, 951)는, 돌출부(941, 951)가 오목부(23)에 끼워 맞춤된 상태에서 내측면(940, 950) 사이에 쐐기 박음되는 후방 부분(2)을 가지며 또한 아치형 면(943, 953)에 지탱되는 둥근 후방 단부(20)를 갖는 이식물(1)을 지탱한다.
두 로드(93)는 각각의 지지 요소(94, 95)에 체결되는 원위 단부를 갖는다. 더욱이, 2개의 지지 요소(94, 95)는 분리 가능하게 서로에 부착되며, 이를 위해, 이들 지지 요소(94, 95)에는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이 제공되며, 그래서 두 지지 요소(94, 95)는,
- 이식물(1)을 지지할 수 있는 부착 구성(도 21에서 좌측)과,
-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식물(1)을 해제할 수 있고 그래서 이식물 홀더(9)를 제거할 수 있는 분리 구성(도 21에서 우측)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은, 각각의 지지 요소(94, 95)에 제공되고 그 반대도 가능한 상측 슬라이드(942)와 상측 레일(952)로 형성된다.
이 상측 슬라이드(942) 및 상측 레일(952) 둘 모두는 아치형이고 도브테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원위 부분(91)의 전방면과 후방면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고, 전방면은 제자리에 있을 때 이식 스핀들(8) 쪽을 향하고, 전방면의 반대편에 있는 후방면은 제자리에 있을 때 극상 돌기(AE) 쪽을 향한다.
이 상측 슬라이드(942)와 상측 레일(952)은, 지지 요소(94)를 횡축선(AT) 주위로 다른 지지 요소(9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함께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피봇 안내 수단을 형성한다.
부착 구성에서, 상측 레일(952)은 상측 슬라이드(942) 내부에 일체적으로 포개지거나 수용되며, 두 지지 요소(94, 95)는 서로에 부착되고 이식물(1)을 그의 돌출부(941, 951) 상에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로드(93)의 원위 단부는 각각의 지지 요소(94, 95)로부터 돌출하는 각각의 말단부(930)를 가지며, 이들 말단부(930)는, 이식물(1)을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또한 이식물의 삽입 동안에 이식물(1)에 누름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식물(1)의 각각의 차단 판(24)의 후방면(241)에 지탱되도록 되어 있다(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착 구성으로부터 분리 구성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상측 레일(952)이 상측 슬라이드(942)로부터 완전히 나올 때까지, 지지 요소(94, 95) 중의 하나를 횡축선(AT) 주위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고, 이는 이식물(1)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식물 홀더(9)의 원위 부분(91)의 전방면은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식 스핀들(8)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홈(96)을 갖는다. 이 홈(96)은, 서로 대향하고 각각의 지지 요소(94, 95)에 형성되는 2개의 절반 홈으로 형성된다.
두 로드(93) 각각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이 형상은, 각 로드(93)는 또한 직사각형, 정사각형, 다각형 단면 등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두 로드(93)는 원위 단부의 반대편에서, 근위 부분(92)에 제거 가능하게 체결되는 근위 단부를 갖는다. 이 근위 부분(92)은 두 로드(93)의 근위 단부를 서로에 연결하는 일체적인 본체의 형태로 되어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근위 부분(92)은 필요시에 두 로드(93)의 근위 단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충격기(13)는 두 로드(93)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근위 부분(92)에 체결되는 원위 단부가 제공되는 충격 로드(14)를 포함한다. 이 충격 로드(14)에는 원위 단부의 반대편에서 근위 단부가 제공되어 있고, 이에는 충격기(13)의 수동 그립핑을 가능하게 해주는 2개의 측방 날개부로 형성되는 그립(15)이 체결되어 있다. 충격기(13)는 그립(15)과 이식물 홀더(9)의 근위 부분(92) 사이에 충격 로드(14)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격 슬리브(16)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충격기(13) 덕분에, 의사는 누름력을 바람직하게는 반복적으로 가하여 이식물(1)을 두 극상 돌기(AE)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해 이식물 홀더(9)와 이식물(1)에 누름을 가할 수 있고, 누름력은 한손으로 그립(15)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충격 그립(16)에 슬라이딩 운동을 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그래서 근위 부분(92)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며, 이 충격력은 로드(93)를 통해 지지 요소(94, 95)에 가해지며, 최종적으로 말단부(930) 및 아치형 면(943, 953)을 통해 이식물에 전달된다.
제 6 단계의 시작시에, 이식물(1)은, 그의 전방 입구부(55)로 전방 홈(5)을 길이방향 레일(89)에 결합시키면서, 또한 척추골(VE) 측방 부분(PL)의 방향으로 향하는 그의 전방 단부(40)로 근위 단부(820)의 레벨에서 후방면(84)을 따라 이식 스핀들(8)의 길이방향 레일(89)에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전방 홈(5)의 유지 립(53)은 이식 스핀들(8)의 각각의 측방면(85)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890) 내부에 끼워 맞춤된다. 유지 립(53)은 이식물(1)이 이식 스핀들(8)에서 떨어질 위험이 없이 전방 홈(5)과 길이방향 레일(89) 사이의 접촉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전방 홈(5)과 그의 유지 립(53)의 아치형 형상 때문에, 길이방향 레일(86)은 아치형 안내 레일(83) 보다 더 넓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 그리고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 레일(89)의 노치(890)는 폭(LR)을 가지며, 이 노치는 LR 보다 작은 폭(LC)을 갖는 노치(830)에 의해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 레일(89)의 각 노치(890)는 후방면(84)의 레벨에서, 두께(ER)를 갖는 노치 가장자리(891)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유사하게,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치형 안내 레일(83)의 각 노치(830)는 후방면(84)의 레벨에서, 두께(EC)를 갖는 노치 가장자리(831)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EC는 ER 보다 크고, LR + ER = LC + EC 이다. 따라서, 각 노치 가장자리(891)는 대응하는 노치 가장자리(831)에 의해 연장되고, 하나는 다른 하나 쪽으로 넓어져 있다.
두께(ER)는 전방 홈(5)의 중간 높이(HI)와 실질적으로 같고(도 5 참조) 폭(LR)은 전방 홈(5)의 유지 립(53)의 전체 높이(HG)와 실질적으로 같음(도 5 참조)을 유의해야 하며, 그래서 이식물(1)은, 노치(890)에서 슬라이딩하는 전방 홈(5)의 유지 립(53)으로 길이방향 레일(89)을 따라 직선형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노치 가장자리(891)는 이 중간 높이(HI)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방향 간격에서 슬라이딩한다.
더욱이, 두께(EC)는 전방 홈(5)의 홈 높이(HR)와 실질적으로 같고(도 5 참조) 폭(LC)은 전방 홈(5)의 유지 립(53)의 립 높이(HL)와 실질적으로 같으며(도 5 참조), 그래서 이식물(1)은 노치(830)에서 슬라이딩하는 전방 홈(5)의 유지 립(53)으로 아치형 경로(안내 레일(83)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는 이식물(1)의 전방면(11)의 곡률 중심 상에 중심을 둠)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 6 단계 동안에, 그러므로 의사는, 전방 홈(5)이 아치형 안내 레일(83)에 도달할 때까지, 충격기(13)를 이용하여 이식물 홀더(9)를 눌러, 도 22에서 화살표(EN)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식물 홀더(9)와 이식물(1)을 길이방향 레일(89)을 따라 그래서 이식 스핀들(8)의 근위 단부 부분(82)을 따라 하강시킨다.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립핑 헤드(77)가 두 로드(93) 사이를 지날 수 있도록 의사는 잠금해제 버튼(771)을 누른 후에 홀딩 그립(75)의 그립핑 헤드(77)를 사전에 90도 회전시켰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25 내지 28에 도시되어 있는 제 7 단계에서, 도 27 및 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식물(1)이 두 극상 돌기(AE) 사이의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의사는 충격기(13)를 이용하여 이식물 홀더(9)를 계속 눌러, 원위 단부 부분(81)의 아치형 안내 레일(83)(후방면(84)과 대향함) 및 곡선형 경로를 따라 이식물(1)을 슬라이딩시키며, 그 곡선형 경로에 의해, 이식물(1)은 90도 범위의 각도에 걸쳐 회전하고 두 극상 돌기(AE) 사이의 극돌기간 공간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제 7 단계에서, 전방 홈(5)의 유지 립(53)은, 노치(890)를 통과한 후에 노치(830) 내부에 끼워 맞춤된다. 이들 유지 립(53)은, 이식물(1)이 이식 스핀들(8)에서 떨어질 위험이 없이, 전방 홈(5)과 안내 레일(83) 사이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식물(1)의 이 곡선형 변위 동안에, 오목부(23)와 상호 협력하는 돌출부(941, 951) 덕분에 이 이식물(1)은 이식물 홀더(9)에 대해 회전하고, 주 지지부(7)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초기 배향으로부터 주 지지부(7)에 실질적으로 수직인최종 배향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이식물 홀더(9)는, 홀딩 그립(75) 위를 지나는 그의 근위 부분(92)으로, 도 25에 화살표(BA)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식물(1)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회전한다(또는 경사짐). 이 삽입 동안에, 이식물(1)의 전방 부분(4)의 유선형 형상에 의해, 두 극상 돌기(AE)가 벌어져 그의 중심 부분(3)이 두 극상 돌기(AE) 사이에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일단 이식물(1)이 제자리에 있으면, 의사는 제어 라디오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시에, 의사는 이식물 홀더(9)와 이식물(1)을 상승시키기 위해 충격 헤드(15)를 끌어 당겨 이식물(1)을 제거할 수 있다. 이식물이 적절히 배치되면, 의사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 8 단계로 이어진다.
도 29에 도시되어 있는 제 8 단계에서, 의사는 이식물 홀더(9)에서 충격기(13)를 제거하고, 이러한 목적으로, 의사는 로드(93)의 근위 부분(92)을 떼어내고 그립(15)을 끌어 당겨 이 충격기(13)를 제거한다.
도 30에서 도시되어 있는 제 9 단계에서, 의사는 두 지지 요소(94, 95)를 분리 구성으로 전환시켜 이식물 홀더(9)를 잠금 해제시킨다.
이러한 목적으로, 의사는 로드(93)를 끌어당겨, 도 3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레일(952)이 상측 슬라이드(942) 밖으로 완전히 나올 때까지, 도 30 및 31에서 화살표(MA)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요소(94)를 다른 지지 요소(95)에 대해 회전시킨다.
따라서, 의사는 계속해서, 지지 요소(94)가 부착되어 있는 한 로드(93)를 끌어 당기고 그 후에 다른 지지 요소(95)가 부착되어 있는 다른 로드(93)를 끌어 당김으로써, 이식물(1)에서 분리된 이식물 홀더(9)를 완전히 제거한다.
도 32에 도시되어 있는 제 10 단계에서, 의사는 이식 스핀들(8)을 제거하고, 이러한 목적으로, 의사는 화살표(BR)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식 스핀들(8)을 정착된 정적 주 지지부(7)에 대해 회전(또는 경사)시켜 근위 단부 부분(82)을 주 지지부(7)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이며 또한 원위 단부 부분(81)을 이식물(1)의 전방 홈(5) 밖으로 나오게 한다(그의 후방 입구로(54)로).
이식 스핀들(8)의 이 회전은 주 지지부(7)에 이식될 때 수행되는 회전과 반대의 회전으로 90도 범위의 각도에 걸쳐 수행된다.
따라서, 의사는 계속해서, 이식 스핀들(8)을 완전히 제거하고, 그런 다음에 홀딩 그립(75)의 그립핑 헤드(77)를 이용하여 주 지지부(7)를 끌어 당겨 주 지지부(7)를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의사는 위치 결정 펀치(6)를 제거한다.
이 레벨에서, 이식물(1)만 도 8 내지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극상 돌기(AE) 사이에 배치되고, 의사는 특히 스프레더를 제거하고 절개 부위를 폐쇄함으로써 중재시술을 마무리할 수 있다.

Claims (39)

  1.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로서, 길이방향 축선(AL)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이식물 본체(10)를 포함하고, 이식물 본체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AL)을 따라,
    - 후방 단부(20)를 갖는 후방 부분(2),
    - 두 인접하는 척추골(VE)의 두 극상 돌기(AE) 사이에 연장되도록 성형되고, 상기 후방 부분(2)을 연장하는 중심 부분(3), 및
    - 유선형 전방 단부(40)까지 테이퍼져 있으면서, 상기 후방 부분(3)의 반대편에서 상기 중심 부분(3)을 연장하는 전방 부분(4)
    을 연속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이식물 본체(10)는,
    - 상기 척추골(VE) 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는 전방면(11), 및
    - 상기 이식물 본체(10)에서 그의 후방 단부(20)로부터 전방 단부(40)까지 형성되어 있고, 이식 부속물의 이식 스핀들(8)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안내 채널을 가지며,
    상기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에서, 상기 안내 채널은 후방 단부(20)로부터 전방 단부(40)까지 곡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안내 채널은 곡선 형상의 전방 홈(5)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방면(11)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측에서 이식물 본체(10)의 상기 전방면(11) 안으로 개방되어 있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홈(5)은 전방면(11) 안으로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이식물 본체(10)의 전방면(11)에서 상기 후방 단부(20)로부터 전방 단부(40)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물 본체(10)는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그래서, 휴지(rest) 위치 및 이식 위치에서, 상기 전방 홈(5)은 동일한 곡률을 따라 곡선형으로 되어 있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홈(5)은 주어진 곡률 반경(RC)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곡률 중심은 상기 전방면(11)의 반대편에서 이식물 본체(10)의 후방면(12)과 대향하여 위치되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11)은 상기 곡률 반경(RC)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홈(5)은 내부에서 깊이에 있어서 전방면(11)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바닥 벽(5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상기 바닥 벽(50)은 주어진 곡률 반경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홈(5)은 외부에서 상기 곡률 반경(RC)을 갖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유지 립(5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이 유지 립(53)은 상기 바닥 벽(50)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또한 전방 홈(5)의 내부와 비교하여 좁은 공간의 경계를 정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반경(RC)은 20 내지 300 밀리미터인,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부분(2)은, 이식 부속물의 이식물 홀더(9)에 제공되어 있는 상보적인 피봇 수단(941, 951)에 대해 상기 이식물 본체(1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방향 축선(AL)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어 있는 횡축선(AT) 주위의 피봇 수단(23)을 갖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부분(2)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측방면(21, 22), 즉 상측면(21)과 하측면(22)을 가지며, 상기 피봇 수단은 오목부(23)의 형태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횡축선(AT) 상에 중심을 두는 원호로 성형되어 있는 돌출부의 형태로 상기 서로 반대편에 있는 측방면(21, 22)에 제공되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부분(4)은 팁으로 테이퍼져 있는 전방 단부(40) 쪽으로 수렴하는 예리한 가장자리에 의해 서로에 직접 연결되는 면을 포함하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부분(2)은, 상기 중심 부분(3)과의 접속부에서, 후방 부분(2)의 하측 또는 이 하측의 반대편에 있는 후방 부분(2)의 상측에서 돌출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판(24)을 포함하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부분(2)은, 상기 중심 부분(3)과의 접속부에서, 후방 부분(2)의 하측에서 돌출해 있는 차단 판(24) 및 후방 부분(2)의 상측에서 돌출해 있는 다른 차단 판(24)을 포함하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 판(24)은, 상기 길이방향 축선(AL)에 직교하는 또는 60 내지 120도의 각도로 길이방향 축선(AL)에 대해 경사져 있는 평면에서 후방 부분(2)의 해당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 판(24)은 상기 전방 단부(40)의 방향으로 향하는 전방면(240)을 가지며, 이 전방면에는, 극상 돌기(AE)에의 정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착 릴리프(anchoring relief)(25), 예컨대 스파이크 형태의 정착 릴리프가 제공되어 있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3)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측방면(31, 32), 즉 상측면(31)과 하측면(32)을 가지며, 상기 측방면은 두 극상 돌기(AE) 사이에 끼워 맞춤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오목한 측방면(31, 32)을 규정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을 두 인접하는 척추골(VE)의 두 극상 돌기(AE) 사이에 안내하고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로서,
    - 서로 반대편에 있는 원위 부분(91) 및 근위 부분(92)을 갖는 이식물 홀더(9) - 상기 원위 부분(91)에는 상기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을 지지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지지 수단(94, 95)이 제공되어 있음 -; 및
    팁 형상의 자유 원위 단부(810)까지 연장되어 있는 원위 단부 부분(81)을 갖는 이식 스핀들(8)을 포함하고,
    상기 원위 단부 부분(81)은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그 원위 단부 부분에는 만곡 안내 레일(83)이 제공되어 있고, 이 만곡 안내 레일은, 안내 레일(83)을 전방 홈(5) 내부에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원위 단부 부분(81)의 후방면(84)을 따른 상기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의 슬라이딩 안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의 전방 홈(5)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내 레일(83)은 자유 원위 단부(810)까지 연장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스핀들(8)은 중실인, 이식 부속물.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스핀들(8)의 원위 단부 부분(81)은 60 내지 120도의 각도 섹터에 걸쳐 원호로 만곡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스핀들(8)의 원위 단부 부분(81)은 20 내지 300 밀리미터의 곡률 반경에 걸쳐 원호로 만곡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스핀들(8)은, 원위 단부 부분(81)을 자유 근위 단부(820)까지 연장하는 근위 단부 부분(82)을 포함하고, 안내 레일(83)은, 원위 단부 부분(81)으로부터, 근위 단부 부분(82)에서 상기 자유 근위 단부(820)까지 형성되어 있는 길이방향 레일(89)에 의해 연장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단부 부분(82)과 길이방향 레일(89)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직선형인, 이식 부속물,
  23.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83)은 이식 스핀들(8)의 원위 단부 부분(81)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스핀들(8)의 원위 단부 부분(81)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측방면(85), 즉 상측면과 하측면을 가지며, 안내 레일(83)은 각각의 측방면(85)에 형성되어 있는 두 노치(830)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
  25. 제 17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스핀들(8)의 원위 단부 부분(81)은 후방면(84)의 반대편에 있는 전방면(87)을 가지며, 이 전방면을 따라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이 슬라이딩하고 또한 상기 전방면 상에는 제 1 피봇 안내 수단(86)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이식 부속물은 원위 부분(71)을 갖는 주 지지부(7)를 포함하고, 그 원위 부분에는, 정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착 릴리프(711), 및 원위 단부 부분(81)의 삽입 동안에 이식 스핀들(8)을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제 1 피봇 안내 수단(86)과 상호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피봇 안내 수단(74)이 제공되어있는, 이식 부속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봇 안내 수단과 제 2 피봇 안내 수단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아치형 레일(74)과 아치형 슬라이드(86)를 각각 포함하는, 이식 부속물.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봇 안내 수단과 제 2 피봇 안내 수단은 60 내지 120도의 피봇 각도에 걸쳐 상기 이식 스핀들을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
  28. 제 2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지부(7)는 그립핑 헤드(77)가 제공되어 있는 홀딩 그립(75)에 연결되는 근위 부분(72)을 갖는, 이식 부속물.
  29.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지부(7)는 주 지지부(7)의 원위 부분(71)의 원위면(710) 안으로 개방되어 있는 원위 구멍(73)을 가지며, 이식 부속물은 척추골(VE)에의 정착을 위한 팁형 원위 단부(61)가 제공되어 있는 위치 결정 펀치(6)를 포함하고, 위치 결정 펀치(6)는 위치 결정 펀치(6)를 원위 구멍(73) 안에 삽입하여 주 지지부(7)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
  30.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식물 홀더(9)의 원위 부분(91)에 제공되는 상기 지지 수단(94, 95)은, 횡축선(AT) 주위로의 상기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식물의 후방 부분(2)의 피봇 수단(23)과 상호 협력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상보적인 피봇 수단(941, 951)을 포함하는, 이식 부속물.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940, 950)을 갖는 2개의 지지 요소(94, 95)를 포함하고, 이 지지 요소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축선(AT) 상에 중심을 두는 원호로 성형되고 상보적인 피봇 수단을 형성하는 오목부 또는 돌출부(941, 951)가 각각 제공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지지 요소(94, 95)는 서로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며, 이를 위해,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942, 952)이 제공되어 있고, 그래서 두 지지 요소(94, 95)는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의 지지를 허용하는 부착 구성과 이식물 홀더(9)로부터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1)의 해제를 허용하는 분리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는, 이식 부속물.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942, 952)은, 각각의 지지 요소(94, 95)에 제공되는 상측 슬라이드(942) 및 상측 레일(952)로 형성되는, 이식 부속물.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슬라이드(942) 및 상측 레일(952) 둘 모두는 아치형이고,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이식물 홀더(9)의 원위 부분(91)의 전방면과 후방면 사이에 연장되어, 지지 요소(94)를 횡축선(AT) 주위로 다른 지지 요소(9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함께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피봇 안내 수단을 형성하는, 이식 부속물.
  35. 제 3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물 홀더(9)의 원위 부분(91)과 근위 부분(92)은 2개의 로드(93)에 의해 연결되며, 로드(93)는 각각의 지지 요소(94, 95)에 체결되는 원위 단부 및 원위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근위 부분(92)에 제거 가능하게 체결되는 근위 단부를 갖는, 이식 부속물.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93)의 원위 단부는, 이식물(1)의 각각의 차단 판(24)에 지탱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지 요소(94, 95)로부터 돌출하는 각각의 말단부(930)를 갖는, 이식 부속물,
  37. 제 17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물 홀더(9)의 근위 부분(92)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격기(13)를 포함하는 이식 부속물.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기(13)는 충격 로드(14)를 포함하고, 이 충격 로드에는, 이식물 홀더(9)의 근위 부분(92)에 체결되는 원위 단부, 및 이 원위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그립(15)이 체결되는 근위 단부가 제공되어 있는, 이식 부속물.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기(13)는, 상기 그립(15)과 이식물 홀더(9)의 근위 부분(92) 사이에서 상기 충격 로드(14)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격 슬리브(16)를 더 포함하는, 이식 부속물.
KR1020227003913A 2019-07-08 2020-07-07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 및 관련된 이식 부속물 KR202200341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1907608 2019-07-08
FR1907608A FR3098385B1 (fr) 2019-07-08 2019-07-08 Implant vertébral interépineux et ancillaire de pose associé
FR1907609A FR3098388B1 (fr) 2019-07-08 2019-07-08 Ancillaire de pose d’un implant
FRFR1907609 2019-07-08
PCT/EP2020/069143 WO2021005070A2 (fr) 2019-07-08 2020-07-07 Implant vertébral interépineux et ancillaire de pose associ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154A true KR20220034154A (ko) 2022-03-17

Family

ID=7213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913A KR20220034154A (ko) 2019-07-08 2020-07-07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 및 관련된 이식 부속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249243A1 (ko)
EP (1) EP3996613A2 (ko)
JP (1) JP2022540823A (ko)
KR (1) KR20220034154A (ko)
CN (1) CN114126546A (ko)
AU (1) AU2020310527A1 (ko)
BR (1) BR112022000276A2 (ko)
CA (1) CA3143594A1 (ko)
FR (2) FR3098388B1 (ko)
IL (1) IL289288A (ko)
WO (1) WO2021005070A2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2673B2 (en) * 2003-09-10 2007-08-07 Warsaw Orthopedic,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serting spinal implants
US20080082172A1 (en) * 2006-09-29 2008-04-03 Jackson Roger P Interspinous process spacer
WO2009019669A1 (en) * 2007-08-09 2009-02-12 Nonlinear Technologies Ltd. Device and method for spinous process distraction
US8192466B2 (en) 2008-08-27 2012-06-05 Alphatec Spine, Inc. Conical interspinous apparatus and a method of performing interspinous distraction
WO2011006081A1 (en) * 2009-07-09 2011-01-13 R Tree Innovations, Llc Flexible inter-body implant
JP5272279B2 (ja) * 2010-03-09 2013-08-28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棘突起間インプラント
US8562650B2 (en) * 2011-03-01 2013-10-22 Warsaw Orthopedic, Inc. Percutaneous spinous process fusion plate assembly and method
US20130190820A1 (en) * 2012-01-25 2013-07-25 Warsaw Orthopedic, Inc. Spinous process implant with gear teeth
FR3003159B1 (fr) * 2013-03-14 2015-04-03 Osd Orthopaedic & Spine Dev Ancillaire rachidien et son mode d'emploi assurant l'insertion, le positionnement et le guidage d'un implant intersomatique par technique mini invasive
WO2016137983A1 (en) * 2015-02-24 2016-09-01 X-Spine Systems, Inc. Modular interspinous fixation system with threaded component
AU2016262505B2 (en) * 2015-05-11 2021-03-11 Providence Medical Technology, Inc. Bone screw and implant deliv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98385B1 (fr) 2023-05-12
CN114126546A (zh) 2022-03-01
BR112022000276A2 (pt) 2022-02-22
US20220249243A1 (en) 2022-08-11
EP3996613A2 (fr) 2022-05-18
JP2022540823A (ja) 2022-09-20
FR3098388B1 (fr) 2023-06-23
IL289288A (en) 2022-02-01
FR3098385A1 (fr) 2021-01-15
AU2020310527A1 (en) 2022-01-27
WO2021005070A3 (fr) 2021-04-15
FR3098388A1 (fr) 2021-01-15
CA3143594A1 (fr) 2021-01-14
WO2021005070A2 (fr)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39790B2 (en) Expandable spinal interbody spacer and method of use
US11944551B2 (en) Expandable vertebral implant
US11684486B2 (en) Spinal plate
US11679004B2 (en) Sagittal balance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6918771B2 (ja) 椎間スペーサー及びプレート
US6527773B1 (en) Cervical dowel and insertion tool
US95921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djacent bone portions
US9439778B2 (en) Device for inserting an intervertebral implant into a body and system including an intervertebral implant and a device for inserting same
AU744101B2 (en) Methods and instruments for interbody fusion
US7264589B2 (en) Method for humerus retraction
US20180064555A1 (en) Expandable interbody implant
US11517452B2 (en)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80045968A1 (en) Instruments and Methods for Spinal Surgery
US20100160985A1 (en) Spinal implant apparatus, method and system
JP6767967B2 (ja) 椎間インプラント及び関連する使用方法
WO200901500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ploying biological implants
EP3470022B1 (en) Intervertebral spacer and inserter
KR20220034154A (ko) 극돌기간 척추골 이식물 및 관련된 이식 부속물
US20230137358A1 (en) Expandable interbody implant and breakoff screw
WO2003043505A1 (en)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disc space dist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