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658A - 안전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658A
KR20220033658A KR1020200115622A KR20200115622A KR20220033658A KR 20220033658 A KR20220033658 A KR 20220033658A KR 1020200115622 A KR1020200115622 A KR 1020200115622A KR 20200115622 A KR20200115622 A KR 20200115622A KR 20220033658 A KR20220033658 A KR 20220033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safety
control system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왕선
조력연
이영두
김병영
손용식
조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1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658A/ko
Publication of KR2022003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안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은 안전 장치 관제, 출입 관제, 위험 지역 관제를 포함하는 인원 관제 서비스 및 화재 관재, 대기 관제, 물건 관제를 포함하는 시설 관제 서비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건설 현장에 배치된 센싱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정보에 따라 센싱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건설 현장에 배치된 센싱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관제 시스템 {SAFET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안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합 안전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무를 위한 근로 현장은 다수의 위험이 존재하고, 근로 현장의 근로자들은 이러한 다수의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건설 공무를 위한 근로 현장에서는 근로자들의 작은 부주의만으로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큰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안전 예방이 중요한 관리 사항이다. 이러한, 안전 예방을 위하여 건설 공무를 위한 근로 현장에는 관리자가 존재하나, 소수의 관리자가 모든 근로자를 상시 관리할 수 없으며, 관리자는 근로자의 관리 이외에도 시설 관리를 포함한 다른 공무가 존재한다.
최근 기술 발달에 따라, 건설 현장의 관리자를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보조 수단이 등장하였다. 다만, 종래의 보조 수단들은 오작동 등으로 인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다수의 보조 수단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관리자의 시간과 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늘어가는 안전 예방에 대한 요구와 건설 공무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 처리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통합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에 따르면, 건설 공무를 위한 근로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안전 예방, 건설 공무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 처리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전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은 안전 장치 관제, 출입 관제, 위험 지역 관제를 포함하는 인원 관제 서비스 및 화재 관재, 대기 관제, 물건 관제를 포함하는 시설 관제 서비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건설 현장에 배치된 센싱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센싱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설 현장에 배치된 상기 센싱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액세스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건설 현장에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센싱 장치는 각각 이미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전류 측정 센서 또는 음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 장치 관제는 상기 센싱 장치가 근로자를 감지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근로자 및 상기 근로자의 주변을 촬상하도록 상기 센싱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 인식을 수행하여 안전모, 안전화, 안전 조끼 및 안전대를 포함하는 안전 장치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 관제는 근로자 인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근로자의 얼굴, 홍채 또는 지문을 촬상하도록 상기 센싱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기저장된 근로자의 인식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 인식을 수행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행된 근로자 인식을 바탕으로 획득한 정보를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RP)과 연동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 현황 또는 급여 관리를 포함하는 인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험 지역 관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 인식 및 상황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객체 인식 및 상황 분석을 통해 영역별 실시간 위험 지수를 획득하며, 상기 영역별 실시간 위험 지수를 바탕으로 근로자에게 위험을 안내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근로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IPS(Indoor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상기 근로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재 관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불꽃 감지, 연기 감지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재 발생 사실을 사용자 또는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기 관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공기 구성을 분석하여 유해가스의 발생, 습도 및 공기질에 문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문제 발생 사실을 사용자 또는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설 공무를 위한 근로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안전 예방, 건설 공무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 처리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전 관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 저장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센싱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 및 전자 장치(200)를 포함하는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도시되어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현장에 배치된 센싱 장치(300)를 제어하고, 센싱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인원 관제 서비스 및 시설 관제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종합 관제 시스템일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를 이용하여 인원 및 시설을 관제하여 안전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제공하는 안전 관제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안전 준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기저장된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고, 건설 현장의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기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빅데이터 또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 및 식별된 상황에 따른 안전 관련 통계 및 분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 모델은 수학적 모델로서 생물의 신경 네트워크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여 생성된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근로자의 상황에 따른 안전 준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근로자가 위험에 노출된 상황임을 식별할 수 있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이에 따른 안전 준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융합 또는 통합하는 센서 융합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융합 기술은 복수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통합 또는 융합함으로써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할 수 없는 새로운 정보를 얻거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정보를 상호 보완하는 형태로 이용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을 정확하게 식별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센싱 장치(300)는 건설 현장의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센싱 정보는 건설 현장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유해가스 정보, 공기질(대기질) 등을 포함하는 환경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근로자의 위치 정보, 근로자 수, 근로자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원 정보일 수 있고, 건설 현장에 위치하는 각종 기기의 상태 정보, 물건 정보, 안전 장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객체 정보일 수 있다.
센싱 장치(300)는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객체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장치(300)는 건설 현장의 대기 온도, 유해 가스, 공기 구성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장치(300)는 센서를 이용하여 열, 빛, 온도, 압력, 소리 등의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여 객체 및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장치(300)는 라이다(Lidar) 센서, 레이더(Radar)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카메라, CCTV, 이미지 센서, 음향 센서, 전류 측정 센서, 온도 센서, 대기 분석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0)의 유형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모리(110)는 서버(100)의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서버(100)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1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3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서버(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안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10)는 안전 장치 관제, 출입 관제, 위험 지역 관제를 포함하는 인원 관제 서비스 및 화재 관재, 대기 관제, 물건 관제를 포함하는 시설 관제 서비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수의 서비스에 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서버(100)가 전자 장치(200) 또는 외부 기기와 유선 혹은 무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120)가 전자 장치(200)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것은 제3 기기(예컨대, 중계기, 허브, 액세스 포인트, 서버, 게이트웨이 등)을 거쳐서 통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키오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전자 장치(200)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적외선 모듈(미도시) 및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LoRA WAN(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 및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서버(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3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서버(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서버(100) 자체의 동작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또는 건설 현장에 배치된 센싱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2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200)의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거하는 방법을 통하여 전자 장치(200)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센싱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장치(300)가 음향 경보기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음향 경보기의 출력을 설정하고, 설정된 출력으로 동작하도록 전자 장치(200) 또는 센싱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메모리(210), 통신 인터페이스(220), 프로세서(230), 디스플레이(240) 및 입력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200)의 유형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메모리(210), 통신 인터페이스(220) 및 프로세서(23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도 2에서 설명한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및 프로세서(13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210)는 전자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전자 장치(200)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1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10)는 안전 장치 관제, 출입 관제, 위험 지역 관제를 포함하는 인원 관제 서비스 및 화재 관재, 대기 관제, 물건 관제를 포함하는 시설 관제 서비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수의 서비스에 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전자 장치(200)가 서버(100) 또는 센싱 장치(3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전자 장치(200)가 외부 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서버(100)로부터 복수의 서비스의 동작 방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WiFi P2P(Point to Point) 또는 WiFi Mesh를 이용하여 센싱 장치(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10), 통신 인터페이스(220), 디스플레이(240) 및 입력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3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210)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메모리(21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통신 인터페이스(220)를 이용하여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1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건설 현장에 배치된 센싱 장치(300)로부터 센싱 정보를 입력 받고 이에 대응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센싱 장치(300)로부터 센싱 정보를 입력 받으면, 복수의 서비스 중 센싱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서버(1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30)는 서버(100)로부터 저장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정보는 건설 현장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유해가스 정보, 공기질(대기질) 등을 포함하는 환경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근로자의 위치 정보, 근로자 수, 근로자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원 정보일 수 있고, 건설 현장에 위치하는 각종 기기의 상태 정보, 물건 정보, 안전 장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객체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된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기초로 건설 현장에 배치된 센싱 장치(300) 또는 주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장치는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각종 기기로,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전자 장치(20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는 각종 전자 기기(예컨대, 경보기, 스피커, 디스플레이 장치, 공조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가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한 서비스의 제공 방법이 시설 관제 서비스에 관한 정보이면, 프로세서(230)는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화재 관제, 대기 관제, 물건 관제 등을 수행하도록 센싱 장치(300) 또는 주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240)는 전자 장치(20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6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터치 패널과 함께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뿐이고, 디스플레이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50)는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입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등을 이용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 받기 위한 터치 패널,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기 위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입력 인터페이스(250)는 전자 장치(200)와 무선 통신 방식이 가능한 외부 장치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도 있다. 일 실시 예로, 외부 장치는 리모컨(remote control), 가상 키보드,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 저장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대한 정보(50)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 또는 전자 장치(200)는 안전 관제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50)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50)는 인원 관제 서비스에 관한 정보(51) 및 시설 관제 서비스에 관한 정보(5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원 관제 서비스에 관한 정보(51)는 안전 장치 관제, 출입 관제 및 위험 지역 관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원 관제 서비스는 근로자와 관련된 관리 또는 통제에 대한 서비스일 수 있다.
안전 장치 관제는 근로자가 안전모, 안전화, 안전 조끼, 안전대 등을 포함하는 안전 장치의 착용 여부를 관제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300)가 근로자를 감지하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를 이용하여 근로자 및 근로자의 주변을 촬상하도록 센싱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 인식을 수행하고, 수행된 객체 인식을 바탕으로 안전 장치의 착용 여부를 관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특정 근로자가 안전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근로자가 안전 장치를 착용하지 않았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제는 근로자의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지문 인식 등을 포함하는 근로자 인식을 수행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관제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근로자의 얼굴 정보, 홍채 정보 또는 지문 정보 등 근로자의 인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300)로부터 근로자 인식 요청을 수신하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얼굴, 홍채 또는 지문을 촬상하도록 센싱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근로자의 인식 정보와 비교하여 근로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근로자 인식을 바탕으로, 특정 근로자의 출입을 관제할 수 있다.
위험 지역 관제는 중장비 인근에 근로자가 존재하는 경우, 근로자에게 낙상 위험 또는 폭발 위험이 존재할 경우, 이를 사용자 또는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관제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30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 인식 및 상황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수행된 객체 인식 및 상황 분석을 통해 영역별 실시간 위험 지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근로자가 위험 지수가 높은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 또는 근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설 관제 서비스에 관한 정보(52)는 화재 관제, 대기 관제 및 물건 관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설 관제 서비스는 시설과 관련된 관리 또는 통제에 대한 서비스일 수 있다.
화재 관제는 건설 현장에 발생한 불꽃, 연기, 온도와 관련된 문제를 관제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불꽃, 연기, 온도를 분석하여 건설 현장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300) 또는 주변 장치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근로자에게 알릴 수 있다.
대기 관제는 건설 현장에 유해가스, 습도, 공기질과 관련된 문제를 관제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공기질(대기질) 또는 공기 구성을 분석하여 유해가스의 발생, 습도, 공기질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문제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300) 또는 주변 장치를 이용하여 문제 발생을 근로자에게 알릴 수 있다.
물건 관제는 건설 현장의 물건에 대한 도난 관리, 파손 관리, 규격 관리와 관련된 문제를 관제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에는 건설 현장의 물건에 대한 가용 범위, 규격, 사용 방법 등에 관한 물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건설 현장의 물건을 인식할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물건 정보를 바탕으로 인식된 물건에 도난 관리, 파손 관리, 규격 관리를 관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근로자가 특정 물건을 소지한 채 가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특정 물건에 도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특정 물건에 대한 도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건 관제는 굴착용 기계, 항타 및 항발용 기계, 크레인 등의 중장비 또는 건설 기계에 대한 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중장비 또는 건설 기계가 넘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 이를 식별하여 사용자 또는 근로자에게 식별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인원 관제 서비스에 관한 정보(51) 및 시설 관제 서비스에 관한 정보(52)는 다양한 관제 방식에 따라 사용자 또는 근로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개별 관제, 부분 관제 및 통합 관제를 포함하는 관제 방식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별 관제 및 통합 관제는 복수의 서비스의 연계와 관련된 것으로, 예를 들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인원 관제와 시설 관제를 연계하여 관제하는 경우는 통합 관제일 수 있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제공하는 인원 관제와 시설 관제를 각각 개별적으로 관제하는 경우는 개별 관제일 수 있다. 또한, 부분 관제는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중 일부만 이용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플랫폼 이용 방식에 따라 로컬 저장, 분산 저장 및 클라우드 방식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분석 및 처리할 수 있다. 로컬 저장 방식은 건설 현장에 배치된 전자 장치(200)에서 센싱 정보를 분석 및 처리되는 방식이고, 분산 저장 방식은 서버(100)에 빅데이터가 분산 저장되어, 서버(100)에서 센싱 정보를 분석 및 처리하는 방식이고, 클라우드 방식은 전자 장치(200)에서 처리된 센싱 정보가 분석 및 처리되어 서버(100)로 전송되고, 전자 장치(200)는 서버(1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복수의 서비스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웹 기반, 모바일 기반 또는 PC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서비스를 이메일, SMS, 출력 장치(예컨대,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안전 관제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50)는 도 4에 제시된 인원 관제 서비스 및 시설 관제 서비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이외에 추가적인 서비스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가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60)를 제공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맞춤형 서비스(60)는 건설 공종, 건설 형태, 안전 니즈 등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인원 관제 서비스 및 시설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건설 공종, 건설 형태, 안전 니즈 등에 대한 사용자 요구를 획득할 수 있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획득된 사용자 요구에 대응되는 인원 관제 서비스 및 시설 관제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건설 공종, 건설 형태, 안전 니즈, 빈번 사고, 관제 범위, 연계 서비스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200)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사용자 요구로 식별하고, 사용자 요구에 대응되는 인원 관제 서비스 및 시설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건설 공종에서 골조 공사를 선택하고, 건설 형태에서 빌딩형을 선택하고, 안전 니즈에서 화재 집중 관제 및 인원 안전 집중 관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빈번 사고별 항목, 관전 범위별 항목 및 연계 서비스별 항목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각 항목에서 선택된 사용자 요구를 바탕으로 대응되는 인원 관제 서비스 및 시설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도 5에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인원 관제 서비스 중 안전모 및 안전화에 대한 안전 장치 관제, 홍채 인식을 이용한 출입 관제, 중장비 인근에 대한 위험 지역 관제, 시설 관제 서비스 중 불꽃 및 연기 감지를 통한 화재 관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에서 서버(100)는 전자 장치(2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전자 장치(200)는 부여된 액세스 권한에 기초하여 센싱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의 서비스 이용 방법과 관련된 정보가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판매 방식 임대형 판매형
월/연 일시불
분납 할부
가격 구조 프리미엄/미디엄 보급형
제공 방식 로컬저장 클라우드
[표 1]을 참조하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서버(100) 및 전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판매 방식, 가격 구조 및 제공 방식에 따라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의 서버(100) 또는 전자 장치(200)를 임대형 또는 판매형으로 이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월별 또는 연별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의 이용 요금을 납부하거나, 일시불로 이용 요금을 납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용 요금의 납부 방식도 분납 또는 할부로 납부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안전 관제 시스템(10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가격 구조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프리미엄 또는 미디엄 버전의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을 선택할 수 있으며, 보급형 버전의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을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가격 구조에 따라 제공되는 결정되는 서비스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안전 관제 시스템(10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로컬 저장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컬 저장 방식은 온-디바이스 형태로, 복수의 서비스가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서버(100)를 이용하지 않고 전자 장치(200)만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방식은 전자 장치(200)와 서버(100) 간의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를 통하여 복수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서버(100) 및 전자 장치(200)를 모두 이용하는 형태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표 1은 안전 관제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의 연동 및 구현 서비스 요소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변경될 수 있으며, 도 5 및 표 1에 기재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및 이용 방식은 추가 및 확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센싱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와 센싱 장치(300)가 통신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전자 장치(200)는 센싱 장치(300)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0)는 건설 현장에 배치된 중계기를 이용하여 센싱 장치(300)와 무선 통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WiFi를 활용한 무선 통신으로 센싱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는데, 전자 장치(200)는 센싱 장치(300)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와 같거나 먼 경우, WiFi P2P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기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WiFi Mesh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와 센싱 장치(300) 사이의 거리가 500m보다 가까운 경우, 전자 장치(200)는 단거리 무선 통신에 유리한 WiFi Mesh를 이용하여 센싱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0)는 센싱 장치(300)와 500m 이내에 배치된 중계기를 이용하여, 중계기가 센싱 장치(300)와 WiFi Mesh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중계기가 전자 장치(200)와 WiFi P2P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건설 현장에서는 높은 시설(예컨대, 크레인 상단)에 위치한 센싱 장치(300) 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이 요구될 수 있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WiFi P2P 또는 WiFi Mesh를 활용하여 센싱 장치(300) 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출입 관제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치 추적 및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출입 관제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증된 근로자에 대한 위치 추적 및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출입 관제에 대한 서비스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설 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에 대한 근로자 인식을 수행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로부터 근로자의 ID 및 근로자에 대한 영상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근로자의 ID 식별 및 영상을 이중 분석하는 출입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출입된 근로자에 대한 위치 추적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WiFi,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IPS(Indoor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이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레이더(radar), 라이더(Lidar),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하여 ToF(Time of Flight)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근로자가 위험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근로자에게 안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영역별 실시간 위험 지수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업데이트할 수 있고, 고위험(예컨대, 크레인 인양 구간 등) 지역으로 근로자의 진입을 인식하는 경우,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근로자에게 고위험 지역 안전 안내 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근로자가 작업 규정(예컨대, 출입 권한, 안전 장치 착용 등)을 준수 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출입 관제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원 관리 및 출력 현황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81 및 82)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출입 관제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증된 근로자에 대한 위치 추적을 수행하여 해당 근로자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출입 관제에 대한 서비스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설 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에 대한 근로자 인식을 수행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센싱 장치(300)로부터 근로자의 ID 및 근로자에 대한 영상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근로자의 ID 식별 및 영상을 이중 분석하는 출입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현장의 영역별 근로자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현장의 2D 도면 또는 3D 도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2D 도면 또는 3D 도면 상에 근로자의 위치 또는 숫자를 표시하여 건설 현장의 영역별 또는 층별 근로자의 인원수를 도 8에 도시된 화면(8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출입 관제에 대한 서비스를 통해 인증된 근로자의 위치별 인원수를 실시간 출력 현황으로 나타내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출입 관제에 대한 서비스를 통하여 근로자의 출입 및 근로자의 정보를 획득하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업체별, 공종별, 위치별 근로자의 인원수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출력 현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업체별, 공종별, 위치별 근로자의 인원수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화면(82)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출력 현황을 업데이트하고, 출력 현황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인원 관리, 입출입 관리, 근태/급여 관리 등을 ERP와 연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건설 현장의 업체별 관리자가 인원 현황(예컨대, 입출입 근태 관리, 인원 작업 내역 등)을 수기로 관리하였다. 이러한 수기 관리는 기록의 불편함, 오류 확인의 어려움 및 비효율적인 인력 운용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획득한 근로자의 정보를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RP)과 연동하여 근로자들의 근태 현황, 급여관리 등을 자동 또는 자율로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장할 수 있고, 인원 식별자(ID) 및 출입 관제(예컨대, 얼굴 인식, 홍채 인식 또는 지문 인식)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근로자 정보에 대한 신뢰도도 도모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인력 운용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건설 영역별 실시간 위험 지수를 제공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이 건설 영역별 실시간 위험 지수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위험 지역 관제 중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지역 관제는 위험 지역에 근로자가 존재하는 경우, 근로자에게 위험이 발생할 수 있음을 근로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제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30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 인식 및 상황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기저장된 빅데이터 또는 기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가설 공사, 굴착 공사, 흙막이 가시설, 강구조물 공사 등 수행중인 작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를 인공지능 모델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분석 결과를 통해 건설 영역별 실시간 위험 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공종별(예컨대, 낙상, 타격, 화재, 폭파 위험 등)에 대한 사고 패턴 및 과거 사례를 분석하여 현재 영상과의 부합 정도를 판단할 수 있고, 부합 정도에 따른 위험 지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영역별로 위험 정보(예컨대, 누전, 시설 파손, 가스 누출, 수리 정보 등)에 따라 실시간 위험 지수를 식별할 수 있고, 인근 근로자 또는 작업 예정 근로자에게 위험 지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업체별 안전 장구 착용 및 미착용 통계를 이용하여 업체별 안전 지수를 식별할 수도 있으며, 진행 중인 공사 종류, 온도 및 날씨, 시간대, 인원 식별 정보 등을 활용하여 위험 지수를 식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근로자가 위험 지수가 높은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하는 경우,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근로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음을 사용자 또는 근로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서버
200: 전자 장치
300: 센싱 장치
1000: 안전 관제 시스템

Claims (10)

  1. 안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안전 장치 관제, 출입 관제, 위험 지역 관제를 포함하는 인원 관제 서비스 및 화재 관재, 대기 관제, 물건 관제를 포함하는 시설 관제 서비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건설 현장에 배치된 센싱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센싱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설 현장에 배치된 상기 센싱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안전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액세스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안전 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건설 현장에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센싱 장치는 각각 이미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전류 측정 센서 또는 음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안전 관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 관제는,
    상기 센싱 장치가 근로자를 감지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근로자 및 상기 근로자의 주변을 촬상하도록 상기 센싱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 인식을 수행하여 안전모, 안전화, 안전 조끼 및 안전대를 포함하는 안전 장치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인 안전 관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제는,
    근로자 인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근로자의 얼굴, 홍채 또는 지문을 촬상하도록 상기 센싱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기저장된 근로자의 인식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 인식을 수행하는 서비스인 안전 관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행된 근로자 인식을 바탕으로 획득한 정보를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RP)과 연동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 현황 또는 급여 관리를 포함하는 인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전 관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지역 관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 인식 및 상황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객체 인식 및 상황 분석을 통해 영역별 실시간 위험 지수를 획득하며, 상기 영역별 실시간 위험 지수를 바탕으로 근로자에게 위험을 안내하는 서비스인 안전 관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근로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IPS(Indoor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상기 근로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안전 관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관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불꽃 감지, 연기 감지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재 발생 사실을 사용자 또는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인 안전 관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관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공기 구성을 분석하여 유해가스의 발생, 습도 및 공기질에 문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문제 발생 사실을 사용자 또는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인 안전 관제 시스템.
KR1020200115622A 2020-09-09 2020-09-09 안전 관제 시스템 KR20220033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22A KR20220033658A (ko) 2020-09-09 2020-09-09 안전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22A KR20220033658A (ko) 2020-09-09 2020-09-09 안전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658A true KR20220033658A (ko) 2022-03-17

Family

ID=8093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622A KR20220033658A (ko) 2020-09-09 2020-09-09 안전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6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KR101907964B1 (ko)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in et al. IoT-based detecting, locating and alarming of unauthorized intrusion on construction sites
US20200202281A1 (en) Using smart cards to reduce risks of work accidents
RU2728801C1 (ru) Самоконтроль для средства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CN109074689B (zh) 用于被动建筑信息发现的系统和方法
US117275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fencing within a controlled environment
KR20190058283A (ko)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US20160350583A1 (en) Image search system and image search method
CN111611439B (zh) 消防安全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9984518B2 (e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remote locations
US20190213525A1 (en) Compliance scoring system and method for hydrocarbon wellsites
US20210004911A1 (en) Sensor-based monitoring system
NO20180028A1 (en) Integration of heads up display with data processing
JP6242923B2 (ja) 報告書作成システム
CN109102144B (zh) 作业风险可能性等级的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539595A (zh) 处置告警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2367397A (zh) 外勤作业的监控预警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50341375A1 (en) Presenting locations of users and status of devices
KR20220033658A (ko) 안전 관제 시스템
CN112488609A (zh) 电力工具管理系统、方法、设备和存储介质
KR20230068809A (ko) 이종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반 위험 상황 인지 방법 및 장치
CN114358698A (zh) 一种智能工具房控制系统
US20200400959A1 (en) Augmented reality monitoring of border control systems
WO20212247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om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