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315A -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315A
KR20220033315A KR1020200115568A KR20200115568A KR20220033315A KR 20220033315 A KR20220033315 A KR 20220033315A KR 1020200115568 A KR1020200115568 A KR 1020200115568A KR 20200115568 A KR20200115568 A KR 20200115568A KR 20220033315 A KR20220033315 A KR 20220033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number
virtual channel
virtual
inpu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상
김덕열
황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0011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315A/ko
Publication of KR2022003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1Recovering the multiplex stream from a specific network, e.g. recovering MPEG packets from ATM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복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물리 자원을 공유하는 독립된 가상화 객체 단위로 각각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복수의 가상화 객체 중 일부의 가상화 객체에 사업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실제 채널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화 객체 중 다른 가상화 객체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가상 채널번호를 할당하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리모컨 입력 신호의 채널번호에 가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가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채널번호를 상기 실제 채널번호로 인식하여 상기 실제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가상화 객체를 실행하고, 상기 가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채널번호를 상기 가상 채널번호로 인식하여 상기 가상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가상화 객체를 실행하며, 상기 가상 채널번호는, 상기 실제 채널번호와 동일한 번호 자원을 사용하되 상기 가상 채널 식별자가 추가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IPTV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CHANNEL}
본 발명은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셋톱박스(Set-top box, STB)와 같은 IPTV 디바이스는 임베디드 리눅스(Embedded Linux) 상에 앱(APP)을 실행하여 IPTV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최근에는 스마트 TV나 OTT(Over The Top Service) 전용 단말을 사용해서 다양한 앱을 실행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고, Netflix와 같은 OTT 오리지널 컨텐츠를 시청하려는 사용자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기있는 작가의 웹툰이나 인기 유튜버의 개인방송 시청, 큰 화면 TV에서 실감나는 게임 플레이, 스마트폰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TV에 연결되어 있는 고품질의 오디오 장치를 사용하여 감상, TV 화면으로 화상회의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IPTV 사업자가 임베디드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앱들을 STB에 설치한 후 STB 단말과 함께 배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는 제한된 종류의 앱들만 지원하기 때문에 다양한 써드파티(3rd Party) 개발사의 앱들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OTT 앱, 게임 앱, 통신 앱 등 다양한 앱들을 제공하는 안드로이드를 리눅스 STB상에서 가상화해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가상화를 적용하여 다양한 앱들이 STB에서 실행되는 것이 가능해지더라도, 사방키와 숫자키로 구성된 리모컨을 사용해서 TV 화면에 출력된 메뉴 화면을 따라 들어가며 앱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사용자 경험이다.
종래 기술로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1627212(2016.05.30)는 가상 채널을 사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사진 슬라이드쇼를 수행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이 특허문헌은 채널 공간(Channel Space)을 실제 채널과 가상 채널이 함께 사용한다. 즉, IPTV 단말에서 가상 채널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채널 변경 권한을 가진 IPTV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IPTV 단말에 가상 채널을 할당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리모컨의 채널 버튼(+)을 눌러서 KBS2(Ch.7) → 가상채널(Ch.8) → KBS1(Ch.9)로 채널 재핑(Channel Zapping)함으로써 실제 채널과 가상채널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컨 버튼(8)을 눌러서 가상 채널에서 출력되는 개인 컨텐츠를 시청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가상 채널번호와 실제 채널번호를 분리하지 않으므로, IPTV 서비스가 사용중인 채널번호는 가상 채널번호로 할당할 수 없다.
그런데, 기존 IPTV 서비스가 사용중인 채널 공간에서는 이미 모든 번호가 특정 방송이나 광고용으로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특허문헌의 내용을 적용하고자 할 경우, 가상 채널 할당으로 인해 이미 Ch.8에 할당되어 있던 홈쇼핑 광고를 시청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채널번호 자체를 재편성하는 방식도 있지만, 이는 사업자의 동의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사실상 사용자가 임의로 채널번호를 등록 또는 재편해서 사용하기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모컨을 사용하는 기존의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면서도 가상화된 다양한 앱들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는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디바이스는 복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물리 자원을 공유하는 독립된 가상화 객체 단위로 각각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가상화 객체 중 일부의 가상화 객체에 사업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실제 채널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화 객체 중 다른 가상화 객체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가상 채널번호를 할당하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리모컨 입력 신호의 채널번호에 가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가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채널번호를 상기 실제 채널번호로 인식하여 상기 실제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가상화 객체를 실행하고, 상기 가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채널번호를 상기 가상 채널번호로 인식하여 상기 가상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가상화 객체를 실행하며, 상기 가상 채널번호는, 상기 실제 채널번호와 동일한 번호 자원을 사용하되 상기 가상 채널 식별자가 추가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제1 가상화 객체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채널 재핑(Zapping)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채널 재핑 입력에 따라 증가된 가상 채널번호 또는 감소된 가상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제2 가상화 객체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컨 입력 신호에 가상 채널 식별자만 포함되어 있으면, 제1 입력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제1 입력 대기 타이머가 만료할때까지 채널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가상 채널번호가 할당된 가상화 객체 리스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컨 입력 신호에 가상 채널 식별자만 포함되어 있으면, 제2 입력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제2 입력 대기 타이머가 만료할때까지 채널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실제 채널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홈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입력 대기 타이머는, 상기 제1 입력 대기 타이머보다 더 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상화 객체는, 동일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가상화 객체들로 그룹핑되거나 또는 동일한 카테고리 별로 그룹핑되고, 상기 가상 채널번호는, 가상 채널 식별자, 그룹핑 식별자, 그리고 가상화 객체 식별자가 순차적으로 나열된 번호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데스크탑 PC 바탕화면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더블클릭 해서 앱을 실행하는 것처럼 TV 리모컨을 사용해서 앱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특히, 기존 리모컨에 별도의 버튼을 추가하지 않고도, 그리고 리모컨을 사용하는 기존의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면서도 가상화 기능을 통해 구현된 앱들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는 가상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 화면의 전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의 등록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의 등록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디바이스의 가상 채널 제공 방법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송 또는 제공"은 직접적인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를 통해 또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전송 또는 제공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 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 흐름도에서, 동작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여러 동작들이 병합되거나, 어느 동작이 분할될 수 있고, 특정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디바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의 구성도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 화면의 전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의 등록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의 등록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가상화를 통해 다양한 IPTV 서비스 앱들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다. IPTV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되고, 리모컨(300)을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이하, '리모컨 입력 신호'로 통칭함)를 수신한다.
IPTV 디바이스는 스마트(Smart) TV, IPTV, STB(Set-Top B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PTV 디바이스(100)는 리모컨 입력 신호를 해석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들어, IPTV 디바이스(100)는 특정 IPTV 서비스 앱을 실행하거나 채널 재핑(channel zapping)을 하거나 볼륨을 조절하는 등 리모컨 입력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채널 재핑, 채널 변경/선택 등을 통해 원하는 IPTV 서비스를 시청/감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IPTV 디바이스(100)가 출력하는 IPTV 서비스 앱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IPTV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별개로 도시하였으나, 일체형일 수 있다.
IPTV 디바이스(100)는 IPTV 서비스, OTT(Over-The-Top) 서비스, VAS(Value-Added Service) 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IPTV 서비스는 통신 사업자 또는 IPTV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예컨대 실시간 방송, VOD(video on demand) 콘텐츠, 인터넷 검색 서비스,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음원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OTT 서비스, VAS 서비스는 써드파티(3rd party)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예컨대 훌루, 넷플릭스, 티빙과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문서작성 프로그램, 화상통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IPTV 서비스, OTT 서비스, VAS 서비스로 구분하지 않고 이들을 모두 IPTV 서비스라 통칭한다. 이러한 IPTV 서비스는 독립된 서비스 앱 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IPTV 디바이스에서 실행된다.
IPTV 디바이스(100)는 IPTV 서비스를 가상화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가상화 기능은 도커(Docker)와 같은 최신 가상화 기술인 컨테이너(Container)로 제공되거나 또는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과 같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를 사용하여 가상머신(VM, Virtual Machin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IPTV 디바이스(100)에 적용되는 가상화 기능은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용 환경에 따라 컨테이너 또는 가상머신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이 적용된 IPTV 디바이스(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동작은 가상머신 기반의 가상화 기술 뿐만 아니라 어떠한 가상화 기술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IPTV 디바이스(100)는 하드웨어 계층(110), 호스트 OS(Operating System, 운영 시스템) 계층(120) 및 가상화 계층(130)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계층(110)은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장치, 입출력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입출력 장치는 리모컨(300)으로부터 리모컨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호스트 OS 계층(120)으로 출력하고, 호스트 OS 계층(120)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호스트 OS 계층(120)은 프로세스 스케줄링, 메모리 관리, 네트워크 연결, 사용자 인증, 접근 권한 통제 등의 필수 기능을 제공한다. 호스트 OS 계층(120)은 가상화 계층(130)의 컨테이너(131, 133, 135)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드웨어 계층(110)으로 전달하고 하드웨어 계층(110)으로부터 입력되는 리모컨 입력 신호를 가상화 계층(130)으로 전달한다. 이때, 리모컨 입력 신호의 전달은 호스트 OS 계층(120)에서 실행되는 입력 제어부(121)에 의해 이루어진다.
호스트 OS 계층(120)은 입력 제어부(121) 및 채널 DB(123)를 포함한다.
채널 DB(123)는 채널번호와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실제 채널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정보는 디폴트로 저장이 되어 있다. 가상 채널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정보는 초기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저장이 되고, 이후 추가/갱신/변경될 수 있다.
입력 제어부(121)는 리모컨 입력 신호를 해석하고 그에 따른 디바이스 동작을 처리하는데, 이러한 동작은 현재 리모컨에 의해 동작하는 모든 IPTV 디바이스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과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상화 계층(130)은 복수의 컨테이너(131, 133, 135) 및 컨테이너 매니저(137)를 포함하고, 복수의 컨테이너(131, 133, 135)를 분리된 실행 환경으로 제공한다.
복수의 컨테이너(131, 133, 135)는 물리 자원을 공유하는 독립된 가상화 객체 단위로서, 독립된 서비스 앱을 실행한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서 가상화 객체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 #0(131)은 리눅스(Linux) OS에서 동작하는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IPTV 앱은 KT 셋톱박스, SKT 셋톱박스, LGU+ 셋톱박스 등에 임베디드된 IPTV 서비스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1(133)은 안드로이드(Android) OS(Operating System)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앱으로서, Netflix 앱, Disney+ 앱, YouTube 앱, TuxKart Game 앱, 네이버 웹툰 앱 등과 같은 OTT 서비스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2(135)는 윈도우(Windows) OS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앱으로서, TV 대화면으로 파워포인트 프리젠테이션을 보기 위한 오피스 PPT(PowerPoint) 앱, 원격회의를 위한 화상통화(Skype)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앱들은 각각 독립된 컨테이너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컨테이너에서 별개의 서비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컨테이너 #0(131)은 IPTV 디바이스(100)의 보급 당시 임베디드(embedded) 되어 있는 디폴트(default) 컨테이너이고, 컨테이너 #1(133) 및 컨테이너 #2(135)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한 부가(additional, supplementary) 컨테이너일 수 있다.
컨테이너 매니저(137)는 컨테이너 #0(131), 컨테이너 #1(133) 및 컨테이너 #2(135)의 생성, 생성, 이주(Migration), 복사(Copy), 삭제 등과 같은 컨테이너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을 관리한다.
컨테이너 매니저(137)는 호스트 OS 계층(120)의 입력 제어부(121)의 요청을 처리한 후 그 처리 결과를 응답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 #0(131)에는 실제 채널이 할당되고, 컨테이너 #1(133) 및 컨테이너 #2(135)에는 실제 채널과 구분된 가상 채널이 할당된다.
실제 채널과 가상 채널은 동일한 번호 자원을 사용하되 채널번호에 가상 채널을 의미하는 접두숫자(예, 0)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로 구분된다. 예를들어, 채널 공간이 3자리수(0~999)의 번호 자원으로 정해진다면, 실제 채널번호는 사업자에 의해 설정된 '0~999'까지의 번호 자원 중에서 선택된 숫자로 구성되고 가상 채널번호는 '0~999'까지의 번호 자원의 앞에 가상 채널 식별자인 접두숫자(예, '0')가 추가된다. 예컨대, '11'은 MBC 방송 채널번호이고, '011'은 Netflix 앱을 나타내는 가상 채널번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가상 채널을 나타내는 식별자인 접두숫자를 '0' 이외의 다른 숫자로 설정해서 실제 채널번호와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0'을 가상 채널번호의 접두숫자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가상 채널번호는 '가상 채널 식별번호+컨테이너 식별번호+앱 식별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컨테이너 #1(133)의 식별번호는 '1' 이고, 컨테이너 #2(135)의 식별번호는 '2'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 식별자는 동일한 OS를 사용하는 컨테이너에 공통으로 할당된다. 즉, 컨테이너 식별자는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컨테이너들의 대표 식별자, 윈도우 OS를 사용하는 컨테이너들의 대표 식별자로 정의할 수도 있다.
앱 식별번호는 각 컨테이너 별로 '0~9' 중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컨테이너 #1(133)에는 식별자가 '1'로 할당되고, 각각의 앱 컨테이너들에는 '1~9'중에서 할당되므로, Netflix 앱의 채널번호는 '011'이고 Disney+ 앱의 채널번호는 '012'이고 YouTube 앱의 채널번호는 '013'으로 할당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윈도우 OS를 사용하는 컨테이너 #2(135)에는 식별자가 '2'로 할당되고 각각의 앱 컨테이너들에는 '1~9'중에서 할당되므로, Skype 화상통화 앱의 채널번호는 '021', 오피스 PPT 앱의 채널번호는 '021'로 할당될 수 있다.
호스트 OS 계층(120)의 입력 제어부(121)는 하드웨어 계층(110)으로부터 전달받은 리모컨 입력 신호에 포함된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131, 133, 135)를 채널 DB(123)로부터 확인하고, 리모컨 입력 신호를 확인한 컨테이너(131, 133, 135)로 분배한다.
입력 제어부(121)는 리모컨 입력 신호가 채널 선택 신호가 아닌 TV 제어 신호일 경우, 예컨대, 볼륨 조절을 요청하는 볼륨 업(+)/볼륨 다운(-) 신호인 경우, 컨테이너 매니저(137)로부터 현재 화면을 출력하고 있는 컨테이너(131, 133, 135)를 확인한다. 그리고 입력 제어부(121)는 현재 화면을 출력하고 있는 컨테이너(131, 133, 135)에게 리모컨 입력 신호를 전달한다. 예를들어, 현재 사용자가 IPTV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입력 제어부(121)는 컨테이너 #0(131)에게 리모컨 입력 신호를 전달한다. 사용자가 카트라이더 게임(TuxKart)을 즐기고 있는 경우라면 입력 제어부(121)는 컨테이너 #1(133)에게 전달한다.
채널번호는 실제 채널번호와 가상 채널번호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입력 제어부(121)는 리모컨 입력 신호가 실제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지 또는 가상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지 구분한다.
입력 제어부(121)는 리모컨 입력 신호에 가상 채널을 지시하는 식별자, 즉, '0'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실제 채널번호로 인식하고 컨테이너 #0(131)에게 리모컨 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입력 제어부(121)는 리모컨 입력 신호에 가상 채널을 지시하는 식별자, 즉, '0'이 포함되어 있으면, 가상 채널번호로 인식하고 가상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1(133) 또는 컨테이너 #2(135)에게 리모컨 입력 신호를 전달한다. 리모컨 입력 신호를 전달받은 컨테이너(131, 133, 135)는 하드웨어 계층(110)의 입출력 장치에 실행 화면 및 오디오를 출력한다. 예를들어, 입력 제어부(121)는 가상채널 번호 '011'이 입력된 경우, '011'이 할당된 Netflix 앱을 실행한다.
입력 제어부(121)는 리모컨 입력 신호가 채널 선택 신호일 경우, 리모컨 입력 신호의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컨테이너(131, 133, 135)에게 리모컨 입력 신호를 출력하여 화면 출력 및 오디오 출력을 요청한다. 그러면, 리모컨 입력 신호를 전달받은 컨테이너(131, 133, 135)는 하드웨어 계층(110)의 입출력 장치에 실행 화면 및 오디오를 출력한다.
입력 제어부(121)는 리모컨 입력 신호에 앱 번호 없이 2자리 숫자로 구성된 가상 채널 번호가 입력될 경우, 예컨대, 가상 채널 식별자인 '0'과 컨테이너 식별자인 '1'이 입력된 경우, 컨테이너 #1(133)의 기본 화면, 예를들어, 안드로이드 홈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제어부(121)는 리모컨 입력 신호가 채널 재핑을 요청하는 채널 업(Up) 또는 채널 다운(Down) 신호일 경우, 현재 화면 출력 중인 채널번호보다 큰 채널번호 또는 작은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컨테이너(131, 133, 135)를 채널 DB(123)로부터 확인하여 확인한 컨테이너(131, 133, 135)에게 리모컨 입력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상 채널에 진입한 상태에서 채널 버튼(+/-)을 눌러서 채널 재핑할 경우에는 현재 가상채널에 이웃한 가상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011'을 눌러서 Netflix 앱 화면이 출력되는 상황에서 채널 버튼(+)를 누를 경우, 가상 채널 '012'에 매핑된 Disney+ 앱 화면이 출력되고, 다시 채널 버튼(+)를 누를 경우에는 가상채널 '013'에 매핑된 유투브 앱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만약, 매핑된 앱이 없는 가상 채널번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 제어부(121)는 검은 화면 또는 매핑되지 않은 가상 채널이라는 안내 문구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미 실행 화면 및 오디오를 출력중인 컨테이너(131, 133, 135)가 있다면, 입력 제어부(121)는 이미 실행 화면을 출력중인 컨테이너(131, 133, 135)에게 출력을 중지하도록 요청하고 동시에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131, 133, 135)에게 리모컨 입력 신호를 전달하여 실행 화면의 출력을 요청한다. 예를들어, '11'번 MBC 방송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011'번 Netplix 앱 채널이 선택되면, 입력 제어부(121)는 컨테이너 #0(131)의 화면 출력을 중지시키고 컨테이너 #1(133)에게 리모컨 입력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채널 재핑의 경우, 이미 방송 화면을 출력 중인 컨테이너(131, 133, 135)의 출력을 중지시키고 이동한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131, 133, 135)의 출력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가상 채널을 실제 채널과 마찬가지로 리모컨(300)의 사방키를 이용하여 채널 재핑을 할 수 있고 리모컨(300)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직접 채널번호를 입력하여 원하는 IPTV 앱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제어부(121)는 가상채널 번호 입력이 일정 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경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채널 선택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이미 매핑되어 있는 가상 채널들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IPTV 방송 화면(P11)이 출력된 상태에서 가상채널 입력을 의미하는 버튼(0)이 입력된 후 일정 시간(T1) 이내에 컨테이너 번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입력 제어부(121)는 1(Android), 2(Windows), 3(Linux) 등 선택 가능한 컨테이너 번호가 나열된 화면(P13)을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1'을 입력하여 Android 컨테이너를 선택한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앱 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입력 제어부(121)는 1(Netflix), 2(Disney+), 3(YouTube) 등 선택 가능한 앱 번호가 나열된 화면(P15)을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3'을 선택하면 입력 제어부(121)는 가상채널 '013'에 매핑된 YouTube 앱 화면(P17)을 출력한다.
만약, 가상채널 입력을 의미하는 버튼 '0'이 입력된 후 또 다른 일정 시간(T2, where T1 < T2)이 지날 때까지 리모컨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입력 제어부(121)는 실제채널 번호로 인식하여 IPTV 방송의 채널 '0'번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채널 번호는 컨테이너별로 가상채널 번호들이 그룹화되고, 채널재핑으로 이동 가능한 가상채널들도 컨테이너별 가상채널 그룹내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앱들에 대한 카테고리별로 가상채널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가상채널 번호는 '가상 채널 식별자+카테고리 번호+앱 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IPTV 방송 화면(P21)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300)에서 '0'을 입력하여 가상채널로 진입하면, 입력 제어부(121)는 화상통화(1), 컨텐츠 감상(2), 게임(3) 등 카네고리별 가상채널 번호 안내 화면(P23)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리모컨(300)에서 '1'을 입력하여 화상통화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입력 제어부(121)는 카카오톡 페이스톡(1), 구글 듀오(2), MS Skype(3) 등 사용 가능한 화상통화 앱 안내 화면(P25)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리모컨(300)에서 '3'을 입력하여 Skype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물론, 가상채널 번호 '013'을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바로 해당 앱을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컨테이너 별로 가상 채널을 운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카테고리 별로 가상 채널을 운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제어부(121)는 리모컨(300)의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가상채널 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고, 새로운 가상채널을 등록하거나 기존에 등록했던 가상채널을 삭제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Netflix 화면(P31)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300)에서 사전에 약속된 특정 버튼을 입력하면 입력 제어부(121)는 Netflix 화면(P31)의 일정 영역에 가상 채널 리스트 화면(P33)을 출력한다. 그리고 입력 제어부(121)는 컨테이너 리스트 화면(P33)에서 선택된 가상 채널에 새로운 앱을 등록하거나 다른 앱이 등록된 가상 채널에 현재 출력 중인 앱을 등록한 후 등록 완료 화면(P 35)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채널 리스트 중에서 아직 매핑이 되지 않아서 비어있는 가상채널 번호에 현재 다른 채널번호가 매핑된 Netflix 앱을 등록할 수도 있고, 다른 앱에 매핑되어 있는 가상채널 번호에 Netflix 앱을 덮어쓰기 형태로 매핑시킬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IPTV 방송 홈 화면(P41)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전에 정의된 리모컨의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입력 제어부(121)는 가상 채널 등록 메뉴(P43)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가상 채널 등록 메뉴(P43)를 클릭하면, 입력 제어부(121)는 채널 별로 매핑된 컨테이너 및 앱이 나열된 리스트(P45)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리스트(P45)에 비어있는 채널에 특정 앱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도 있고, 특정 가상채널 번호와 특정 컨테이너에서 실행 가능한 특정 앱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IPTV 디바이스(100)가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디바이스의 가상 채널 제공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제어부(121)가 리모컨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S101).
입력 제어부(121)는 리모컨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채널 선택/변경 신호인지 판단한다(S103).
채널 선택/변경 신호가 아니라면, 입력 제어부(121)는 화면 출력 중인 컨테이너(131, 133, 135)에게 리모컨 입력 신호를 출력한다(S105).
채널 선택/변경 신호라면, 입력 제어부(121)는 채널번호 입력인지 또는 채널 업/다운 신호인지 판단한다(S107).
입력 제어부(121)는 채널 업/다운 신호로 판단되면, 현재 화면 출력 중인 컨테이너의 채널번호보다 더 높은 채널번호 또는 더 낮은 채널번호의 컨테이너를 호출하여 화면을 전환한다(S109).
입력 제어부(121)는 채널번호 입력 신호로 판단되면, 채널번호에 가상 채널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11).
입력 제어부(121)는 채널번호에 가상 채널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실제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를 호출하여 화면을 출력한다(S113).
입력 제어부(121)는 채널번호에 가상 채널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가상 채널 식별번호만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15).
가상 채널 식별번호에 이어서 컨테이너 식별번호와 앱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입력 제어부(121)는 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를 호출하여 화면 출력을 요청한다(S117).
그러나, 가상 채널 식별번호만 포함되어 있으면, 입력 제어부(121)는 입력 대기 타이머1(T1)과 입력 대기 타이머2(T2)를 구동한다(S119).
입력 제어부(121)는 입력 대기 타이머1(T1)이 만료하는지 판단(S121)하여 만료하면 채널번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123).
채널번호가 입력되면, 입력 제어부(121)는 입력된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를 호출하여 화면 출력을 요청한다(S125). 채널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입력 제어부(121)는 채널 선택 화면을 출력(S127)한다.
이어서, 입력 제어부(121)는 입력 대기 타이머2(T2)가 만료하는지 판단(S129)하고, 만료하면 채널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S131).
입력 제어부(121)는 채널이 선택되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컨테이너를 호출하여 화면 출력을 요청한다(S133). 반면, 채널이 선택되지 않으면, 실제 채널 홈 화면을 출력한다(S13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PTV 방송 시청을 위한 실제채널 공간과 가상채널 공간을 별도로 분리하고, 리모컨에 특정 버튼을 추가하지 않고도 실제 채널 공간과 가상 채널 공간 사이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재핑버튼 또는 가상 채널 식별자가 추가된 채널번호 입력으로 실제채널과 가상 채널 사이를 전환할 뿐만 아니라 가상 채널 간에도 채널 재핑이 가능하게 되므로, 리모컨을 사용하는 기존의 사용자 경험을 가상채널 공간에서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복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물리 자원을 공유하는 독립된 가상화 객체 단위로 각각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가상화 객체 중 일부의 가상화 객체에 사업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실제 채널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화 객체 중 다른 가상화 객체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가상 채널번호를 할당하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리모컨 입력 신호의 채널번호에 가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가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채널번호를 상기 실제 채널번호로 인식하여 상기 실제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가상화 객체를 실행하고, 상기 가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채널번호를 상기 가상 채널번호로 인식하여 상기 가상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가상화 객체를 실행하며,
    상기 가상 채널번호는,
    상기 실제 채널번호와 동일한 번호 자원을 사용하되 상기 가상 채널 식별자가 추가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디바이스.
  2.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제1 가상화 객체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채널 재핑(Zapping)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채널 재핑 입력에 따라 증가된 가상 채널번호 또는 감소된 가상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제2 가상화 객체를 실행하는, IPTV 디바이스.
  3. 제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컨 입력 신호에 가상 채널 식별자만 포함되어 있으면, 제1 입력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제1 입력 대기 타이머가 만료할때까지 채널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가상 채널번호가 할당된 가상화 객체 리스트 화면을 출력하는, IPTV 디바이스.
  4. 제3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컨 입력 신호에 가상 채널 식별자만 포함되어 있으면, 제2 입력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제2 입력 대기 타이머가 만료할때까지 채널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실제 채널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홈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입력 대기 타이머는, 상기 제1 입력 대기 타이머보다 더 긴 시간으로 설정되는, IPTV 디바이스.
  5.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가상화 객체는,
    동일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가상화 객체들로 그룹핑되거나 또는 동일한 카테고리 별로 그룹핑되고,
    상기 가상 채널번호는,
    가상 채널 식별자, 그룹핑 식별자, 그리고 가상화 객체 식별자가 순차적으로 나열된 번호 형태인, IPTV 디바이스.
KR1020200115568A 2020-09-09 2020-09-09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 KR20220033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68A KR20220033315A (ko) 2020-09-09 2020-09-09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68A KR20220033315A (ko) 2020-09-09 2020-09-09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15A true KR20220033315A (ko) 2022-03-16

Family

ID=8093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568A KR20220033315A (ko) 2020-09-09 2020-09-09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3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230B2 (en) Passive data collection from third-party channel applications
US11800192B2 (en) Bullet scre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20127887A (ko) 생방송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US20150082239A1 (en) Remote Virtualization of Mobile Apps with Transformed Ad Target Preview
EP3541043A1 (en) Account login method and apparatus
KR10210516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20633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ing Gesture Recognition Applications across Devices
KR20110083176A (ko) 클라우드 자원을 다수의 디바이스 자원과 결합하여 제공하는 자원분배장치 및 방법
WO2016074326A1 (zh) 一种频道切换的方法、装置和系统
TW202147146A (zh) 頁面展示方法、裝置及電子設備
CN103854200A (zh) 移动互联网内容资源的推广系统及方法
CN104035953A (zh) 用于跨不同装置的无缝内容导航的方法和系统
KR102091608B1 (ko)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TWI597662B (zh) 電視系統中的儲存媒體及其應用程式管理方法
KR20170021494A (ko) 통합 채널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7285914B2 (ja) 再生装置の動作を変更するリモコン信号の検出に応答した置換メディアコンテンツ再生の変更
KR20220033315A (ko) 가상 채널을 제공하는 iptv 디바이스
CN109948082B (zh) 直播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1137802B1 (ko) Pip 제어 가능한 iptv용 셋톱박스 및 그 제어방법
CN115364477A (zh) 云游戏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027056B (zh) 一种桌面配置方法、服务器及客户端
KR20110096871A (ko) 클라우드 자원을 다수의 디바이스 자원과 결합하여 제공하는 자원제공방법 및 자원분배장치
US20180262811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on method
CN112905096A (zh) 显示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2125789B1 (ko) 케이블 셋탑용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케이블 셋탑용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