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791A - System for non-thermal sterilized cold brew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cold brew tea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non-thermal sterilized cold brew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cold brew tea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791A
KR20220032791A KR1020200114547A KR20200114547A KR20220032791A KR 20220032791 A KR20220032791 A KR 20220032791A KR 1020200114547 A KR1020200114547 A KR 1020200114547A KR 20200114547 A KR20200114547 A KR 20200114547A KR 20220032791 A KR20220032791 A KR 20220032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water
ozone
nozzl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민경
홍명기
홍순민
Original Assignee
정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경 filed Critical 정민경
Priority to KR102020011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791A/en
Publication of KR2022003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7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3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terilisation or pasteuris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manufacturing unheated sterilized cold brew tea, comprising: a frame; an extracting tank; a storing tank; a supplying line; a controlling valve; and an ozone generating device. The frame has a first nozzle arranged therein f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to an upper part. The extracting tank is arranged inside the frame, has a second nozzle f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for extraction mounted on an upper end or the inside, and has a plurality of extracting holes formed for allowing an extracting liquid to pass through on a lower surface. The storing tank is arranged in a lower part of the extracting tank inside the frame, and accommodates the extracting liquid generated in the extracting tank. The supplying line supplies the sterilized water to the first nozzle and the second nozzle. The controlling valve selectively controls the supply of the sterilized water of the supplying line. The ozone generating device generates ozone water by providing ozone to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economic feasibility of a cold brew product.

Description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non-thermal sterilized cold brew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cold brew tea using the same}System for non-thermal sterilized cold brew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cold brew te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대량으로 고품질 콜드브루 차를 제조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상온 유통이 가능한 시스템 및 새로운 콜드브루 차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proposes a system and a new cold brew tea manufacturing method that not only manufacture high-quality cold brew tea in large quantities, but also can be distributed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차류는 대부분 뜨거운 물을 부어 찻잎을 우려내어 맛과 향이 추출된 물을 음용하게 된다.Most of the tea is brewed by pouring hot water and brewing the tea leaves to drink the water from which the taste and aroma have been extracted.

커피의 경우 열수추출을 이용할 경우 커피의 진한 향과 맛을 우려내는 반면 과도한 카페인과, 커피의 풍미에서 관능을 저해하는 떫거나 씁쓸한 맛도 함께 추출하게 되며, 커피의 폴리페놀 등과 같은 항산화 물질의 성분을 온전히 추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콜드브루(cold brew) 추출방식은 상온의 차가운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추출하는 것으로 한 방울씩 떨어뜨려 추출하는 점적식과 커피 가루가 든 용기를 통째로 물에 넣어 우려내는 침출식이 있다.In the case of coffee, when hot water extraction is used, the strong aroma and taste of coffee are brewed, while excessive caffeine and astringent or bitter taste that inhibits the sensory from the flavor of coffee are also extract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be completely extracted. In contrast, the cold brew extraction method is extracted using cold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콜드 브루 방식의 차는 주로 커피에 적용되고 있으나 녹차나 홍차 등 다른 전통적 차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최근 열수추출 방식의 커피나 차에 대응하여 소비자에게 선호되는 제품으로 새로운 음료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2016년 기준 커피 판매 시장 규모는 6조 4,041억원으로 2014년에 비해 30.6% 성장하였는데, 커피 판매 시장 성장에는 커피전문점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반면 제조기업에서 만들어 판매하는 완제품 커피 판매 시장의 성장세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편이다. 고급커피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해외 원두 커피시장의 성장률이 급증하고 있고, 원두커피 시장 성장률이 인스턴트 커피 시장의 성장률을 넘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2017년 스타벅스에서 콜드 브루 커피 출시 1년 3개월 만에 1,000만잔 이상이 판매됐으며, 던킨도너츠에서는 출시 2달만에 100만잔을 돌파하고 있고, 한국야쿠르트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에선 꾸준히 콜드 브루 시장에 진입 및 경쟁이 치열한 상태이다. Cold brew tea is mainly applied to coffee, but it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traditional teas such as green tea or black tea. As of 2016, the size of the coffee sales market was KRW 6.4 trillion, a 30.6% increase compared to 2014, and coffee shop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rowth of the coffee sales market. is rather gentle. As the growth rate of the overseas coffee bean market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demand for high-quality coffee, and the growth rate of the coffee bean market is expected to exceed that of the instant coffee market, Starbucks launched cold brew coffee in 2017. More than 10 million cups were sold at Dunkin' Donuts, surpassing 1 million cups within two months of launch.

콜드브루 커피는 음용이 편하고, 깔끔한 맛의 좋은 선호도로 인해 국내외 음료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되는데, 콜드브루 방식의 제조 특성상 긴 시간 동안(평균 8시간 이상) 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커피 제조는 주로 밤 시간대를 이용하는 것이 업계의 일반적인 상황이다. 그런데, 기존의 콜드브루 생산 방식은 소형 유리병에 점적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여 생산량이 적고 제조 시간은 과다하여 소비자의 선호도에 부합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유리병과 점적구 등의 추출 장치는 물의 양 변화로 인하여 물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추출이 멈추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점적 과정에서 커피 분말의 일부분만이 추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추출이 배제되어 균일한 맛과 향의 커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였다. Cold brew coffee is easy to drink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beverage market due to its good preference for clean taste. It is a common situation in the industry to mainly use the night time zone. However, the existing cold brew production method extracts coffee in a drip method in a small glass bottle, so there is a fundamental limitation in that the production amount is small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excessive, so that it cannot meet the preferences of consumers. In addition, in the extraction apparatus such as a glass bottle and a dropper, a water clogging phenomenon occurs due to a change in the amount of water, and extraction is frequently stopped. also. During the dripping process, only a part of the coffee powder was extracted and the remaining part was excluded from extraction, so it was often not possible to obtain coffee with a uniform taste and aroma.

이러한 기술적 문제들은 콜드브루 커피의 생산량 감소로 이어지며, 콜드브루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어 소비자에게 고품질의 커피를 제종하는데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콜드브루 제조 시스템의 기술적 한계와 더불어, 음료회사의 커피 완제품과 달리 콜드브루 커피는 상온 보관의 어려움이 있고 냉장 상태에서도 장기 보관 시 품질 변화로 인하여 유통기한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었다. These technical problems lead to a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cold brew coffee, and are a factor in raising the price of cold brew, becoming an obstacle to making high-quality coffee for consumers. In addition to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the cold brew manufacturing system, cold brew coffee, unlike finished coffee products of beverage companies, has difficulties in storing it at room temperatur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extending the shelf life due to quality changes during long-term storage even in refrigerated conditions.

종래에 커피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콜드브루 방식을 이용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10-1512564호에 따르면, 베이스에 올려지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커피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 바닥면에는 추출된 원액을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망이 형성된 커피탱크 및 상기 커피탱크의 상단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커피탱크에 채워져 있는 커피로 스프레이 형태로 분사시키는 노즐을 포함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In the related art, various techniques using a cold brew method have been proposed in relation to a coffee manufacturing method. For example, according to Patent Registration No. 10-1512564, it is mounted on the base and the upper end is open, a space for storing coffee is formed inside, and at least one outlet network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undiluted solution is formed on the lower bottom surface. A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that includes a formed coffee tank and a nozzl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ffee tank and spray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coffee filled in the coffee tank in the form of a spray.

또한, 등록특허 10-1828858호에 따르면, 용수를 공급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조; 상기 냉각조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여 용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킨 산소수를 생성하는 산소공급유닛; 상기 냉각조에 연결되어 산소수를 분사하는 자연압 또는 저압으로 분사하는 저압산소수 배출장치를 구비하고 밀폐된 내부에는 분쇄한 원두커피 분말이 충진되며 개방된 하부로는 분말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분말커피를 통과한 추출원액은 통과시키는 추출조; 상기 추출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추출원액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연결되어 진공압을 작용하여 추출 속도를 높이는 진공유닛으로 구성되는 고농도 콜드브루 커피 대량 추출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Patent Registration No. 10-1828858, a cooling tank for cooling by receiving water; an oxygen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cooling tank and supplying oxygen to generate oxygen water in which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water is increased; It is connected to the cooling tank and has a low pressure oxygen water discharge device that sprays oxygen water at a natural pressure or a low pressure, and the ground coffee powder is filled in the sealed inside, and powdered coffee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pen lower part. Extraction tank through which the extracted stock solution is passed through; a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raction tank to store the extract stock solution; A high-concentration cold brew coffee mass extraction device is proposed, which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consists of a vacuum unit that increases the extraction speed by applying vacuum pressure.

또한, 등록특허 10-1943753에 따르면, 물을 공급받아, 투입된 추출 대상체로부터 추출액을 추출하는 추출 탱크; 상기 추출 탱크로부터 상기 추출액을 이송받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탱크; 및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추출액을 순환시킬 수 있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 탱크는, 상기 추출 탱크를 덮는 제 1 덮개부; 상기 제 1 덮개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추출 대상체를 교반기에 의해 교반할 수 있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추출액을 1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제 1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덮개부는, 다수의 제 1 관통홀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홀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질소 공급용 배관 삽입 및 물 공급용 배관이 삽입되는 상온 추출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Patent No. 10-1943753, an extraction tank for extracting the extract from the input extraction target by receiving water; a storage tank capable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extract solution from the extraction tank; and a pump capable of circulating the extract stored in the storage tank, wherein the extraction tank includes: a first cover part covering the extraction tank; a stirring unit provided under the first cover unit and capable of stirring the extraction target by a stirrer; and a first storage unit located under the stirring unit and capable of primarily storing the extract, wherein the first cov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n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By using at least a part, a room temperature extraction device is proposed in which a pipe for nitrogen supply and a pipe for water supply are inserted.

이러한 종래 기술은 콜드브루 방식의 상온 추출 커피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일부분 기여할 수도 있으나, 고품질이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장기 보관으로 상온 유통을 보장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This prior art may contribute in part to solving the problems of cold brew coffee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but it does not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that can ensure high quality and mass production and long-term storage to ensure room temperature distribution.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맛과 향이 뛰어나면서도 균일한 품질로 콜드브루 차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under the technical background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mass-producing cold brew tea with excellent taste and aroma and uniform qua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점적식 추출방식이 가지고 있는 시간적/공간적 작업 생산성 저하를 해소하고 풍미가 뛰어난 콜드브루 차 생산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cold brew tea with excellent flavor and solving the temporal/spatial productivity degradation of the existing drip extraction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량으로 콜드브루 차를 제조하면서도 상온 유통 및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새로운 콜드브루 차 추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cold brew tea extraction system so that cold brew tea can b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nd can be distributed at room temperature and stored for a long time.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In addition, 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esent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부품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부에 살균용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1 노즐이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 또는 내부에 추출용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2노즐이 장착되며 하면에는 추출액이 통과하는 복수의 추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추출조, 상기 프레임 내부의 추출조 하부에 배치되고 추출조에서 생성되는 추출액을 수용하는 저장조, 상기 제1 노즐 및 제2 노즐에 멸균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및 상기 공급라인의 멸균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밸브, 외부에서 공급된 물에 오존을 제공하여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 발생기, 오존 발생기를 통해 생성된 오존수를 저장하는 멸균수 저장 탱크, 및 상기 공급라인에 멸균수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in which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disposed and a first nozzle for supplying sterilizing water for steriliza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the frame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is disposed at the top or inside An extraction tank equipped with a second nozzle for supplying sterile water for extraction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through which the extraction liquid passes on the lower surface, a storage tank disposed below the extraction tank inside the frame and accommodating the extraction liquid generated in the extraction tank; A supply line f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a control valv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upply of sterilized water to the supply line, an ozone generator for generating ozone water by supplying ozone to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zone It provides a non-heating sterilization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a sterile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ozone water generated through a generator, and a pump for supplying sterile water to the supply li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의 바닥면은 추출액 통과공이 배치되어 있는 제1 영역과 통과공이 없는 제2 영역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추출조의 바닥면은 중앙에 추출액 통과공이 배치된 제1 영역이 형성되고, 제1 영역의 외곽으로 통과공이 없는 제2 영역이 배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raction tank is formed by dividing a first area in which the extraction liquid passage hole is disposed and a second area in which there is no passage hole, for example, 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raction tank may be formed such that a first region in which an extract passage hole is disposed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there is no passage hole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regi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멸균수 저장 탱크의 상단에는 오존의 배출부가 마련되고, 오존 배출부에 연결되며 배오존을 파괴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ozone outle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erilized water storage tank, and it is connected to the ozone outlet and further includes a filter for destroying the ozone.

또한, 상기 오존 발생기에 공급되는 외부의 물은 정수 필터를 거쳐 오존 발생기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external water supplied to the ozone generator may be delivered to the ozone generator through a water filt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는 프레임 내부에 거치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저장조는 이동식 트레이에 안치되어 프레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tank may be disposed in a stationary manner inside the frame, and the storage tank may be placed in a movable tray and disposed inside the frame.

본 발명은 또한, 상부에 살균용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1 노즐이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 또는 내부에 추출용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2노즐이 장착되며 하면에는 추출액이 통과하는 복수의 추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추출조, 상기 프레임 내부의 추출조 하부에 배치되고 추출조에서 생성되는 추출액을 수용하는 저장조, 상기 제1 노즐 및 제2 노즐에 멸균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및 상기 공급라인의 멸균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밸브, 외부에서 공급된 물에 오존을 제공하여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오존수를 제1 노즐을 통해 공급하여 전체 시스템을 살균하고 상기 오존수를 제2 노즐을 통해 공급하여 추출조 내의 차 분말을 상온 추출하는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노즐을 통해 오존수를 분사하고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추출조에 저장되는 건조 상태의 차 분말을 젖음 상태로 변화시키는 제1 공정과, 제1 노즐을 통해 오존수를 분사하고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추출조 내에 젖음 상태로 유지된 차 분말로부터 액상의 차 추출액을 얻는 제2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즐을 통해 추출조 내로 분사되는 오존수는 0.1 ~ 1.0 ℓ/min 의 유량으로 공급되는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rame on which a first nozzle for supplying sterilizing water for steriliza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a second nozzl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frame and equipped with a second nozzle for supplying sterile water for extraction at the upper end or inside,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 solution An extraction tank hav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to pass through, a storage tank disposed below the extraction tank inside the frame and accommodating the extract generated in the extraction tank, and a supply line for supplying sterile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and a control valve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upply of sterilized water to the supply line, and an ozone generator that provides ozone to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ozone water, and supplies the ozone water through a first nozzle to sterilize the entire system and supplying the ozone water through a second nozzle to extract the tea powder in the extraction tank at room temperature. The first process of changing the dry tea powder stored in the extraction tank to a wet state by repeatedly spraying and stopping the ozone water through the first nozzle, and repeating the spraying and stopping of the ozone water through the first nozzle to the extraction tank and a second process of obtaining a liquid tea extract from the tea powder maintained in a wet state, wherein ozone water injected into the extraction tank through the first nozzle is supplied at a flow rate of 0.1 to 1.0 ℓ/min. A method for preparing brew tea is provided.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공정은 제1 노즐을 통해 0.5 ~ 2분간 분사하고, 1 ~ 5분 동안 정지하는 과정을 2 ~ 10회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제2 공정은 제1 노즐을 통해 0.5 ~ 3분간 분사하고, 1 ~ 5분 동안 정지하는 과정을 50 ~ 200회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cess is sprayed through the first nozzle for 0.5 to 2 minutes, and the process of stopping for 1 to 5 minutes is repeatedly performed 2 to 10 times, and the second process is 0.5 to through the first nozzle It is preferable to repeatedly perform the process of spraying for 3 minutes and stopping for 1 to 5 minutes 50 to 200 times.

본 발명에 따르면, 비가열 살균 기술을 융합한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부응하고 상온 추출 음료시장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fused with non-heating sterilization technology to meet consumer preferences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room temperature extraction beverage market.

또한, 본 발명은 오존을 이용한 멸균수를 제조하여 차 추출 공간 내 미생물 제어에 사용하는 한편, 추출된 차의 상온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sterilized water using ozone and uses it to control microorganisms in the tea extraction space, while allowing the extracted tea to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특히, 본 발명은 식품, 미생물 관점에서 제어되고 설계된 하나의 연속된 공정으로 고품질 차를 대량으로 제조하며, 후살균 과정없이도 장기간 상온 유통 가능하며, 기존의 대규모 공간이 요구되는 생산 시스템을 개선하여 동일 면적 내지 공간 대비 10배 이상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콜드브루 제품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a large amount of high-quality tea in one continuous process controlled and designed from the viewpoint of food and microorganisms, can be distributed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period without post-sterilization, and is the same by improving the existing production system that requires a large-scale space. It can be mass-produced 10 times or more compared to the area or space,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cold brew products.

이러한 결과 콜드브루 제품의 품질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단가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및 해외 판매 채널 확대가 가능하고, 관련 업계의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expand domestic and overseas sales channels by enhancing the quality competitiveness of cold brew products and securing unit price competitiveness, and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의 오존 멸균수 공급 과정을 보인 모식도
도 4는 추출조에 저장된 차 분말에 스프레이 분사되는 멸균수를 보인 모식도
도 5a 및 5b는 추출조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a 및 6c는 과추출 및 미추출 예를 보인 사진
도 7a 및 7c는 추출조 바닥 구조의 예를 보인 사진
도 8a 및 8b는 추출조 바닥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및 사진
도 9는 저장조의 이동 트레이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복수의 추출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복수 추출조 시스템의 오존 멸균수 공급 과정을 보인 모식도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supplying ozone sterilized water in the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erilized water sprayed to the tea powder stored in the extraction tank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xtraction tank;
6a and 6c are photos showing examples of over-extraction and non-extraction
7a and 7c are photos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tank
8a and 8b are a plan view and a photograph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ttom structure of the extraction tank;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tray of the storage tank;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tanks;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supplying ozone sterilized water in a condensate extraction tank system;

본 발명은 대량으로 고품질의 콜드브루 차를 제조하는 한편, 비가열 살균에 의한 멸균수를 사용하여 장기간 상온 유통이 가능한 새로운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oducing high-quality cold brew tea in large quantities, while using sterilized water by non-heating sterilization to distribute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콜드브루 추출 방식에는 한 방울씩 떨어뜨려 추출하는 점적식과 커피가루가 든 용기를 통째로 물에 넣어 우려내는 침출식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점적식 추출방식을 개선하여 스프레이 방식으로 차 분말에 균일하게 수분을 공급하여 점적 면적을 확대하면서 차 분말에 침적되는 추출수의 흐름 및 추출조 내에서 추출수 머무름 시간을 제어하여 대량 추출되는 차 원액의 향미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There are two types of cold brew extraction method: a drip method, which is extracted by dropping a drop, and a leaching method, in which a whole container of coffee powder is placed in water and brewed. While expanding the drip area by supplying it, the flow of the extract water deposited on the tea powder and the retention time of the extract water in the extraction tank are controlled so that the flavor of the tea undiluted solution extracted in large quantities is not deteriorated.

콜드 드립 커피의 생산은 대부분 상온에서 8시간에서 10시간의 장시간 동안 이루어져 미생물로부터 안전하지 않아 상온 유통이 어려우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CIP(cleaning in place)와 Semi-Aceptic 기술이 적용되어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안전하고 추출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roduction of cold drip coffee is mostly made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of 8 to 10 hours, so it is not safe from microorganisms, so it is difficult to distribute it at room temperature. It is safe from contamina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monitor the extraction status in real time.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은 대량으로 콜드브루 차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국부적인 과추출이나 비추출 현상을 방지를 위하여 스프레이 타입 분사방식을 도입하는 한편, 추출 과정의 표준화를 모색하고 추출조 내 추출수의 머무름 시간(flow rate)을 조절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추출되는 차 분발의 종류에 따라 추출수의 투입량과 추출 시간을 조절하는 한편 추출조의 형태를 특화시킴으로써 차 본래의 맛과 향을 발현시키면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The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spray-type spraying method to prevent local over-extraction or non-extraction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cold brew tea in large quantities, while seeking standardization of the extraction process, and By controlling the retention time (flow rate) of the extraction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this purpose, by adjusting the amount of extraction water and extraction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tea powder to be extracted, while specializing the shape of the extraction tank, mass production is possible while expressing the original taste and aroma of tea.

콜드브루는 찬 물(주로 상온의 물)로 오랜 시간을 들여 커피가루에서 커피 원액을 우려내는 방식 혹은 그 방식으로 우려낸 커피를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의 추출 방법을 콜드브루로 정의하며 커피를 포함한 녹차, 홍차, 곡류 차, 각종 약초 등을 이용한 전통차의 상온 추출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이 방식으로 제조된 차를 콜드브루 차로 정의한다. 다만,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스팅된 커피 분말을 이용한 상온 추출을 예로 들어 콜드브루 차 제조 과정을 설명한다. Cold brew refers to a method of brewing a coffee extract from coffee powder for a long time with cold water (mainly room temperature water) or coffee brewed in that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method in this way is defined as cold brew, It is used as a method applied to room temperature extraction of traditional tea using green tea, black tea, grain tea, various medicinal herbs, etc. including coffee, and tea prepared in this way is defined as cold brew tea. However,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brew tea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room temperature extraction using roasted coffee powder.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점적방식의 추출기술 개선과 대량 생산에 적합한 품질관리를 위한 추출 공정 개선, 비가열 살균기술을 융합하여 고품질의 콜드브루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developed a system capable of manufacturing high-quality cold brew products by fusion of drip extraction technology improvement, extraction process improvement for quality control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nd non-heating sterilization technology.

도 1a 및 1b, 도 2는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100)의 외관 및 주요 구성 부품을 보이고 있다. 시스템의 외관 형태를 부여하면서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110)에는 다수의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 뿐만 아니라 측벽이 결합되어 외부에 대해 비노출 형태로 마감되는 것도 가능하며, 오존수에 의한 내부 살균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식성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A, 1B, and 2 show the appearance and main components of the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frame 110 that divides the internal space while giv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system. As shown, the frame is not only open-type, but also can be finished in a non-exposed form with a side wall coupled to the outside, and is preferably made of a corrosion-resistant metal so that corrosion does not occur even for internal sterilization by ozone water.

프레임 내부 상부에는 살균용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1 노즐(1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노즐에는 후술하는 오존 발생기로부터 생성되는 오존수가 공급되어 시스템 내부를 주기적으로 살균함으로써 미생물의 번식을 막고 전체 시스템의 멸균 상태를 유지한다. A first nozzle 112 for supplying sterilizing water for steriliza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Ozone water generated from an ozone generator to be described l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nozzle to periodically sterilize the inside of the system, thereby preven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maintaining the sterilization state of the entire system.

프레임의 내부에는 차 분말의 추출 과정이 이루어지는 추출조(120)와 추출액을 저장하는 저장조(130)가 수직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추출조는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제1 노즐과 저장조 사이에 배치되며, 추출조의 상단 또는 내부에는 추출용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2노즐(도 4의 122 참조)이 장착되어 있다. 추출조는 다량의 차 분말이 담겨질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면에는 추출액이 통과하는 복수의 추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추출조는 멸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차 분말의 안정적인 추출이 가능하도록 내식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출 과정에서 과추출 또는 국부적인 비추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형태 및 추출공의 배치 등이 제어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An extraction tank 120 for extracting tea powder and a storage tank 130 for storing the extract are vertically arranged inside the frame. The extraction tank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nozzle and the storage tank in the frame, and a second nozzle (see 122 in FIG. 4 ) for supplying sterile water for extraction is mounted on the top or inside of the extraction tank. The extraction tank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large amount of tea powder can be contained, and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through which the extract pass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 extraction tank is preferably formed of corrosion-resistant metal to enable stable extraction of tea powder while maintaining sterility, and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extraction holes need to be controlled so that over-extraction or local non-extraction does not occur during the extraction process an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저장조는 프레임 내부의 추출조 하부에 배치되고 추출조에서 생성되는 추출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추출조 하부와 연결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추출액을 저장한 후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이동 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The storage tank is disposed under the extraction tank inside the frame and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tank to receive the extraction liquid generated in the extraction tank, and store the extract solution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then easily remove it from the frame A separate moving means for discharging may be further provided.

시스템의 적절한 위치, 예를 들어 프레임 후방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Win)에 오존을 제공하여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 발생기(200)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오존은 마이크로 플라즈마 발생기에 의해 공기를 불어넣어 상온에서 발생하는 에어 오존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인 마이크로 플라즈마는 직경이 수십 ~ 수천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크기를 갖는 플라즈마로서 주입 기체의 플라즈마 발생을 위하여 높은 전압이 요구되지 않고 약 2000V 미만에서 우수한 저온 플라즈마(cold plasma)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열을 위한 대형 냉각 장치나 방열판이 필요 없으며, 이러한 오존 발생기는 장치 규모가 크지 않아 본 발명의 시스템을 경량화시키는데 유리하고 친환경적 살균이 가능하며 에너지 소모가 적어 안전하고 콜드브루 차의 상온 추출에 적합하다. An ozone generator 200 for generating ozone water by providing ozone to water (Win)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mount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of the system, for example, at the rear of the frame. Ozone used in the cold brew tea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lver is air ozone generated at room temperature by blowing air by a microplasma generator. Microplasma, which is atmospheric pressure low-temperature plasma, is a plasma having a size of several tens to several thousand micrometers in diameter, and a high voltage is not required for plasma generation of the injected gas, and excellent cold plasma can be generated at less than about 2000V. .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large cooling device or a heat sink for heat dissipation, and the ozone generator is advantageous in lighten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evice size is not large, eco-friendly sterilization is possible, energy consumption is low, and it is safe and suitable for extraction of cold brew tea at room temperature. Do.

오존 발생기를 통해 생성된 오존수는 멸균수 저장 탱크(140)에 저장되며, 펌프(150)를 통해 멸균수를 전술한 각 노즐에 공급한다. The ozone water generated through the ozone generator is stored in the sterilized water storage tank 140 , and the sterilized water is supplied to each of the above-mentioned nozzles through the pump 150 .

오존 멸균수를 시스템 살균 및 추출조 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멸균수 저장 탱크로부터 펌프를 거쳐 연장되는 공급라인(160)이 배치되며, 공급라인은 상기 제1 노즐 및 제2 노즐에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2공급라인(162) 및 제1공급라인(161)으로 분기되고, 각각의 공급라인에는 멸균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밸브(163, 164)가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된다. In order to supply ozone sterilized water into the system sterilization and extraction tank, a supply line 160 extending from a sterilized water storage tank through a pump is disposed, and the supply line supplies sterilized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It is branched into the second supply line 162 and the first supply line 161, and at least one control valve 163, 164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upply of sterile water is connected to each supply line.

본 발명의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멸균수 저장 탱크의 상단에는 오존의 배출부(142)가 마련되고, 오존 배출부에 연결되며 배오존을 파괴하는 필터(도 3의 220 참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non-heating sterilization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zone discharge unit 14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erilized water storage tank, and a filter that is connected to the ozone discharge unit and destroys the ozone (see 220 in FIG. 3 ) ) is preferably further included.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오존발생기의 제어, 외부 물의 공급, 펌프 및 노즐, 각종 밸브의 온/오프 선택 등을 통한 살균 공정 및 추출 공정의 통합적 제어를 위하여, 프레임의 적절한 위치에 제어부나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the frame for integrated control of the sterilization process and extraction process through the control of the ozone generator, supply of external water, on/off selection of pumps and nozzles, and various valves. A control unit or a display can be mounted.

도 3은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의 오존 멸균수 공급 과정을 보인 모식도이다. 외부의 물이 인입구(Win)를 통해 공급되면 오존 발생기(200)로 전달되기 전에 정수 필터(210)를 거칠 수 있다. 오존 발생기에서 생성된 에어 오존과 물이 혼합되면서 오존수(WO)가 발생되고, 이 오존수는 멸균수 저장 탱크(140)에 일차적으로 수용된다. 이 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노즐(112)과 추출조의 제2 노즐(122)에 공급된다(W1, W2). 각 노즐로 오존 멸균수가 공급되기 위해 공급라인 상에는 제어밸브(163, 164)가 배치되어 유량을 단속한다. 오존 멸균수의 공급과 별도로, 멸균수 저장 탱크의 오존수에서 분리되는 오존(O3)은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배오존 파괴 필터(220)를 거침으로써 무해한 상태로 배출된다.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supplying ozone sterilized water in the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ternal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inlet Win, it may go through the water filter 210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ozone generator 200 . Ozone water (WO) is generated as the air ozone and water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are mixed, and the ozone water is primarily accommodated in the sterile water storage tank 140 . After that, if necessary, the first nozzle 112 and the second nozzle 122 of the extraction tank are selectively supplied (W1, W2). In order to supply ozone sterilized water to each nozzle, control valves 163 and 164 are disposed on the supply line to regulate the flow rate. Separately from the supply of ozone sterilized water, ozone (O3) separated from the ozone water in the sterilized water storage tank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콜드브루 커피의 유통을 위해 가열살균공정을 통한 미생물 살균을 시행하면 콜드브루 커피의 향미 변화가 발생하여 품질저하가 발생하며, 이러한 콜드브루 커피의 향미 저하는 제품의 차별화를 잃어 시장확대의 큰 걸림돌로 작용한다. 반면, 본 발명의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은 추출 전 및 추출 중, 추출 후 등 모든 공정 단계에서 오존수를 활용한 CIP (Cleaning in Place) 및 오존수 분무를 이용한 COP (Cleaning out of Place)가 가능하여 무균 부스 안에서 처리하는 충전방식과 유사하게 콜드브루 차에 대한 Semi-Aceptic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식품 및 미생물 관점에서 단일 공정으로 안전하게 고품질의 상온 추출 차를 제조할 수 있고, 후살균 공정없이 1년 이상의 장기 상온 유통이 가능하다. When microbial sterilization through heat steri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distribution of cold brew coffee, the flavor of cold brew coffee changes and quality deteriorates. acts as On the other hand, in the non-heating sterilization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IP (Cleaning in Place) using ozone water and COP (Cleaning out of Place) using ozone water spray in all process steps such as before, during, and after extrac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emi-Aceptic system for cold brew tea similar to the filling method handled in an aseptic booth. As a result, from the viewpoint of food and microorganisms, it is possible to safely manufacture high-quality, extracted tea at room temperature in a single process, and long-term distribution at room temperature for more than one year without a post-sterilization process is possible.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조를 일부 다르게 구성한 것으로, 추출조(120)에 저장된 차 분말(P)에 스프레이 분사되는 멸균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노즐은 추출조 내부에 배치되고 총 4개의 노즐이 포함되어 있으며, 노즐을 통해 오존 멸균수가 차 분말의 상부로 균일하게 분사된다. 추출조에서 차 분말에 공급된 오존 멸균수로 차의 상온 추출이 진행되고 추출액은 하부의 저장조로 배출되는데 추출액을 확인하기 위해 추출조나 저장조에는 육안 식별용 윈도우(131)가 장착될 수 있다. 4 schematically shows the sterilized water sprayed onto the tea powder P stored in the extraction tank 120 as a partially different configuration of the syste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is disposed inside the extraction tank and includes a total of four nozzles, and the ozone sterilized water is uniformly sprayed onto the upper portion of the tea powder through the nozzle. Room temperature extraction of tea is carried out with ozone sterilized water supplied to the tea powder in the extraction tank, and the extraction liquid is discharged to the lower storage tank. In order to check the extraction liquid, a window 131 for visual identif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extraction tank or the storage tank.

본 발명은 점적식 추출을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개선하고 추출조의 용량을 크게 하여 기존 콜드브루 설비를 이용한 추출 시 애로사항을 해결한다. 복수의 노즐을 통해 스프레이 타입의 균일한 분사 방식을 이용하여 콜드브루 커피 등의 추출 효율을 높이는 한편, 단일 유리 용기 내에 점적식 추출 시 발생되는 과추출을 방지하고 추출조에서 대량의 차 분말에 대해 충분한 머무름 시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한 결과로, 상온수로 차를 추출하는데 통상적으로 소요되는 8 ~ 12 시간 기준으로, 기존 설비에서는 대략 1리터 정도의 추출액을 얻는데 그쳤지만 본 발명의 경우 60리터 이상의 대량 추출액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추출 효율 증대로 기존의 소용량 상온 추출기구 6개 면적에 대해, 본 발명의 시스템 1대로 최소 10배 이상의 제조 용량 증대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향후 콜드브루 제조 공장의 공간 효율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difficulties in extraction using the existing cold brew facility by improving the drip extraction method and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extraction tank. By using a spray-type uniform spraying method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cold brew coffee, etc. is increased, while over-extraction that occurs during drip extraction in a single glass container is prevented and a large amount of tea powder in the extraction tank is removed. Ensure sufficient retention time. As a result of implementing such a system, based on the 8 to 12 hours normally required to extract tea with room temperature water, the existing facility only obtained about 1 liter of extract,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rge amount of extract of more than 60 liters. there has been This increase in extraction efficiency has resulted in at least a 10-fold increase in the production capacity with 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rea of 6 existing small-capacity room temperature extraction apparatuse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pace efficiency of cold brew factories in the future. .

본 발명에 있어서, 오존 멸균수는 추출조 내의 차 분말에 분사되어 젖음 과정(불림 과정)과 추출 과정을 진행시키는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오존 멸균수의 유량, 분사 압력, 분사 시간 등이 상온 추출된 차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며, 분사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ozone sterilized water is sprayed on the tea powder in the extraction tank to proceed with the wetting process (soaking process) and the extraction process. It affects the quality of tea, and the inj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더불어 추출조의 내부 구조는 차 분말에 분사되는 오존 멸균수의 추출조 내 머무름 시간 및 흐름 속도에 중요하다. 도 5a 및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조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대략 원통형 구조의 추출조(120)가 도시되어 있고 상단에는 덮개(121)가 장착되며 덮개 상면에는 다수의 통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은 예를 들어 오존 멸균수 분사 노즐의 입구로 사용될 수 있는데, 분사 노즐이 추출조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추출조의 덮개 중앙에 하나의 통과공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추출조는 밀폐를 위하여, 상부 덮개 및 하부 본체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분리 래치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추출조의 측면에는 거치 손잡이(120a)가 장착되어 추출조의 이동이나 프레임 내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추출조의 하부에는 복수의 추출공(124)이 형성되어 있고, 추출조에 담기는 차 분말이 오존 멸균수에 의해 상온 추출되어 추출액이 상기 추출공을 통해 추출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traction tank is important for the retention time and flow rate in the extraction tank of the ozone sterilized water sprayed on the tea powder.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extrac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n extraction tank 120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tructure is shown, a cover 121 is mounted on the upper en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a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formed The through hole may be used, for example, as an inlet of the ozone sterilized water spray nozzle, and when the spray nozzle is mounted inside the extraction tank, only on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of the extraction tank. In addition, for sealing, the extraction tank may be fixed by a separation latch so that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body are firmly coupled. A mounting handle 120a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brewing tank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brewing tank or mounting in the frame.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124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xtraction tank, the tea powder contained in the extraction tank is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by ozone sterilized water, and the extrac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xtraction tank through the extraction holes.

추출조 자체의 형태나 추출공의 수 내지 사이즈(직경), 추출공의 배치 형태는 차 분말의 상온 추출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대량 추출에 있어서 차 분말의 과추출이나 비추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shape of the extraction tank itself, the number or size (diameter) of the extraction holes, and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extraction holes affect the extraction of tea powder at room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was confirmed to be closely related.

고품질의 상온 추출 관련하여, 차 분말 분쇄 사이즈나 차 분말의 탬핑 상태 및 추출조의 구조가 차의 추출량 및 추출속도, 추출 농도 등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특히 추출조 하부면의 기공 사이즈 및 기공 수, 기공의 배치 구조가 추출수의 배출 유량(flow rate) 내지 유속에 주요 요인이 되었다. 추출조에 오존 멸균수가 장시간 유지되어 차 분말이 오래 침수되면 침출 방식에서와 유사하게 차 추출물에 오일 성분이 많아져 초콜릿 덩어리처럼 진득진득해지고 추출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오존 멸균수의 흐름이 과하여 일부 차 분말에 대해서만 빨리 추출되면 추출조 내의 차 분말에 젖음 제외 부분이 발생되어 전체적인 추출 효율이 저하되었다. 도 6a 내지 6c는 과추출 및 미추출 예를 보이고 있다. In relation to high-quality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the size of the tea powder, the tamping condition of the tea powder, and the structure of the extraction tank act as factors that change th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rate, extraction concentration, etc. of tea, especially the pore size and por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tank The arrangement of water and pores became a major factor in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extract water. It was found that when the ozone sterilized water was maintained in the extraction tank for a long time and the tea powder was submerged for a long time, similar to the leaching method, the oil component in the tea extract increased and became thick like a chocolate lump, and the extraction efficiency was decreased. In addition, if the flow of ozone sterilized water was excessive and only some tea powders were extracted quickly, wetted parts were generated in the tea powder in the extraction tank, and the overall extraction efficiency was lowered. 6a to 6c show examples of over-extraction and non-extraction.

이러한 현상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오존 멸균수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추출조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도 7a 내지 7c는 바닥 구조를 다르게 형성한 추출조의 예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추출조 바닥 구조를 다르게 변형시키고 추출 효율을 비교하여 추출 효율과 관련된 적합한 구조를 확인하였다. For this phenomenon, it was not sufficient to control the pressure of ozone sterilized water sprayed through the nozzle, and it was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extraction tank. 7a to 7c show an example of an extraction tank having a different bottom structure.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tank was differently modified and the extraction efficiency was compared to confirm a suitable structure related to the extraction efficienc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의 바닥면은 추출액 통과공이 배치되어 있는 제1 영역과 통과공이 없는 제2 영역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추출조의 바닥면은 중앙에 추출액 통과공이 배치된 제1 영역이 형성되고, 제1 영역의 외곽으로 통과공이 없는 제2 영역이 배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8a는 추출도 바닥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로서, 중앙에 복수의 추출공을 포함하는 추출액 통과부(124a)가 있고, 그 주변으로 추출공이 없는 환형의 추출액 비통과부(124b)가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8b에는 실제 제작된 추출조의 바닥면 형태를 보이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raction tank is formed by dividing a first area in which the extraction liquid passage hole is disposed and a second area in which there is no passage hole, 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raction tank has an extraction liquid passage hole in the center An arranged first region may be formed, and a second region having no through hole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region. 8A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xtraction floor structure, in which there is an extract liquid passing part 124a includ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in the center, and an annular extract liquid non-passing part 124b having no extraction holes is disposed around it. you can see what happened 8B shows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ctually manufactured extraction tank.

이와 같이 추출액 통과부와 추출액 비통과부를 영역으로 구분하여 배치한 추출조의 바닥면 구조는 추출조 내에서 차 분말의 상온 추출에 관여하는 오존 멸균수의 흐름 및 추출조 내의 머무름 시간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과추출이나 국부적인 비추출을 방지하였다. 추출조 바닥면 구조는 통과부와 비통과부를 환형의 구조로 배치하는 것 외에도 바닥면을 각도에 따라 별개의 섹터로 구분하고 각 섹터에 통과부와 비통과부를 번갈아 배치하거나, 기본적으로 환형의 배치 구조에서 추출공 사이즈를 달리한 통과부와 비통과부를 교대로 번갈아 배치하는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raction tank, in which the extraction liquid passing part and the extract liquid non-passing part are divided into regions, are properly maintained by maintaining the flow of ozone sterilized water involved in the extraction of tea powder at room temperature in the extraction tank and the retention time in the extraction tank. Over-extraction or local non-extraction was prevented. In the extraction tank bottom structure, in addition to disposing the passing part and the non-passing part in an annular structure, the bottom surface is divided into separate sectors according to the angle, and the passing part and the non-passing part are alternately arranged in each sector, or basically an annular arrangement In the structure, it can be variously changed by alternately arranging passing parts and non-passing parts with different extraction hole sizes.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은. 오존수를 제1 노즐을 통해 공급하여 전체 시스템을 살균하고 상기 오존수를 제2 노즐을 통해 공급하여 추출조 내의 차 분말을 상온 추출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콜드브루 차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대량으로 상온 추출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제1 노즐을 통해 오존수를 분사하고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추출조에 저장되는 건조 상태의 차 분말을 젖음 상태로 변화시키는 제1 공정과, 제1 노즐을 통해 오존수를 분사하고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추출조 내에 젖음 상태로 유지된 차 분말로부터 액상의 차 추출액을 얻는 제2 공정을 포함하여 추출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ld brew tea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zon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nozzle to sterilize the entire system, and the ozon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nozzle to extract the tea powder in the extraction tank at room temperature. In such a system, in order to perform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in large quantities while maintaining the quality of cold brew tea,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spray ozone water through the first nozzle and stop it, thereby changing the dry tea powder stored in the extraction tank to a wet state. It is preferable to proceed with the extraction process including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of obtaining a liquid tea extract from the tea powder maintained in a wet state in the extraction tank by repeating spraying and stopping the ozone water through the first nozzle.

본 발명의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추출조에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공급되는 오존 멸균수의 공급 유량이 중요하며, 제1 노즐을 통해 추출조 내로 분사되는 오존수는 0.1 ~ 1.0 ℓ/min 의 유량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각 추출 공정 단계별로 오존 멸균수의 분사 조건 및 시간을 변화시켜 차 분말의 상온 추출에 최적화된 분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공정은 제1 노즐을 통해 0.5 ~ 2분간 분사하고, 1 ~ 5분 동안 정지하는 과정을 2 ~ 10회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제2 공정은 제1 노즐을 통해 0.5 ~ 3분간 분사하고, 1 ~ 5분 동안 정지하는 과정을 50 ~ 200회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 공정에서 오존 멸균수의 분사 방식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추출조의 구조 최적화와 더불어 추출조 내의 오존 멸균수의 머무름 시간을 제어할 수 있고, 차 분말의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하게 되어 대량 추출에도 불고하고 기존의 소량 추출 방식에 버금가거나 그 이상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non-heating sterilization cold brew te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flow rate of ozone sterilized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on tank by spraying is basically important, and the ozone water injected into the extraction tank through the first nozzle is 0.1 to 1.0 ℓ It is preferably supplied at a flow rate of /mi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injection conditions and time of ozone sterilized water for each extraction process step to proceed with injection optimized for extraction of tea powder at room temperature. Specifically, in the first process, the process of spraying for 0.5 to 2 minutes through the first nozzle and stopping for 1 to 5 minutes is repeatedly performed 2 to 10 times, and the second process is 0.5 to 3 through the first nozzle The process of spraying for minutes and stopping for 1 to 5 minutes can be repeatedly performed 50 to 200 times. In this way,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injection method of the sterilized ozone water in the extrac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tention time of the sterilized ozone water in the extraction tank as well as to optimize the structure of the extraction tank as described above. Bulgogi can keep the flavor comparable to or better than the existing small-batch extraction method.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공정 효율 및 작업 개선을 위해 상기 추출조는 프레임 내부에 거치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저장조는 이동식 트레이에 안치되어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저장조(130)의 이동용 트레이(170)를 보인 사시도로서, 트레이 하면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171)가 장착되어 있고, 트레이의 일측에는 이동 손잡이(172)가 장착되어 있다. 트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의 프레임 내에 저장조를 장입하거나 추출액 저장 완료 후 저장조를 배출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작업자의 노동 강도도 절감시킬 수 있다. 이동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륜은 저장조 하부에 장착되도록 저장조 구조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process efficiency and ope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raction tank is mounted in a frame and the storage tank is placed in a movable tray and disposed inside the fram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170 for movement of the storage tank 130, a wheel 171 for movement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and a movement handle 172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tray. By using the tray, it is easy to load the storage tank in the frame of the system or discharge the storage tank after the extraction liquid storage is completed,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abor intensity of the operator. If the transfer tray is not used, the transfer wheel may change the structure of the storage tank so that it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tank.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 유리병 형태의 소량 추출 시스템과 비교할 때 10 배 이상의 추출 효율을 달성할 수 있고 공간 활용성도 뛰어나며, 나아가 하나의 오존발생기로 복수의 추출조를 포함하는 복합 시스템을 구현하기에도 적합하다. 도 10은 복수의 추출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이다. 하나의 프레임(110) 내에 공간이 구획되어 제1추출조(120a)와 제2추출조(120b)가 나란히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각각의 추출조 하부에는 별개로 저장조가 배치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상단 전면에는 제어부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면 패널(111)이 설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ld brew tea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extraction efficiency 10 times or more compared to the existing small-volume extraction system in the form of a glass bottle, and has excellent space utilization, and furthermore, a plurality of extraction tanks with one ozone generator It is also suitable for implementing a complex system includin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tanks. It can be seen that a space is partitioned within one frame 110 so that the first extraction tank 120a and the second extraction tank 120b are arranged side by side. A storage tank may be separately disposed under each extraction tank, and a front panel 111 including a control unit or a display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frame.

이와 같은 복수 추출조는 하나의 오존 발생기에서 오존수를 공급받아 각각 별개로 추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복수 추출조 시스템의 오존 멸균수 공급 과정을 보인 모식도이다. Such a plurality of extraction tanks may receive ozone water from one ozone generator and separately perform the extraction process.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supplying ozone sterilized water in a condensate extraction tank system.

외부의 물이 인입구(Win)를 통해 공급되고 정수 필터(210)를 거쳐 오존 발생기(200)로 전달되어, 오존 발생기에서 생성된 에어 오존과 물이 혼합되며 오존수(WO)가 발생되어 멸균수 저장 탱크(140)에 저장된다. 오존 멸균수는 제1펌프(150a) 및 제2펌프(150b)에 의해 각각 가속되어 각 추출조(120a, 120b)로 공급될 수 있으며(W1a, W1b), 각 추출조와 관련된 추출 공간에 대한 제1 노즐과 제2 노즐에 선택적으로 오존 멸균수가 공급되기 위해 개별 공급라인 상에는 제어밸브가 배치된다. 멸균수 저장 탱크의 오존수에서 분리되는 오존(O3)은 하나의 필터(220)를 거쳐 배오존이 파괴되어 무해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 시스템은 오존발생기, 멸균수 저장 탱크 등을 한 세트만 구비하면서 추출조와 관련된 구성요소를 복수로 포함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용량을 확장시키되 시스템의 공간 구성은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특히, 각 추출 공정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데 효과적이다. External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inlet (Win) and passed through the water filter 210 to the ozone generator 200, the air ozone and water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are mixed, and ozone water (WO) is generated to store sterilized water It is stored in the tank 140 . The ozone sterilized water may be respectively accelerated by the first pump 150a and the second pump 150b and supplied to the respective extraction tanks 120a and 120b (W1a, W1b), and a first for the extraction space associated with each extraction tank. A control valve is disposed on each supply line to selectively supply ozone-sterilized water to the first nozzle and the second nozzle. Ozone (O3) separated from the ozone water in the sterile water storage tank may be discharged in a harmless state by passing through one filter 220 to destroy the ozone. Such a complex system is By includ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related to the extraction tank while having only one set of an ozone generator, a sterile water storage tank, etc., it is advantageous to expand the capacity of the entire system while reducing the spac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In particular, it is effective to integrally monitor and control each extraction process.

본 발명의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 및 상온 추출 방법은 콜드브루 커피 등의 상온 추출 차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추출공정의 개선으로 품질 표준화를 앞당길 수 있다. 또한, 상온 추출 기술과 비가열 살균 기술을 융합하여 추출 공간 내 미생물 제어. 커피 추출 시 온도, 당도, pH 등을 모니터링하여 커피 생산이 원활히 진행되는지 모니터링하여 커피의 품질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콜드 브루 커피뿐만 아니라 원재료의 종류에 따라 추출시간이나 온도 등의 조건을 바꾸어 열에 민감한 차(Tea)류나 약제의 추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and room temperature extra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of room temperature extraction tea such as cold brew coffee, and quality standardization can be accelerated by improving the extraction process. In addition, by fusion of room temperature extraction technology and non-heating sterilization technology, microorganisms in the extraction space are controlled. By monitoring the temperature, sugar content, pH, etc. during coffee extrac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quality of coffee by monitoring whether coffee production is proceeding smoothly.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cold brew coffee but also to the extraction of heat-sensitive teas or pharmaceuticals by changing conditions such as extraction time and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type of raw material.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take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claims. may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100: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 110:프레임
111:전면 패널 112:제1 노즐
120:추출조 120a:거치 손잡이
121:덮개 121a:통공
122:제2 노즐 124:추출공
124a:추출액 통과부 124b:추출액 비통과부
130:저장조 131:윈도우
140:오존수 저장 탱크 150:공급 펌프
160:공급 라인 161:제1공급라인
162:제2공급라인 163,164:제어밸브
170:트레이 171:이동륜
172:이동 손잡이 200:오존 발생기
210:정수 필터 220:오존 배출 필터
100: cold brew tea making system 110: frame
111: front panel 112: first nozzle
120: extraction tank 120a: mounting handle
121: cover 121a: through hole
122: second nozzle 124: extraction hole
124a: extract liquid passing part 124b: extract liquid non-passing part
130: storage tank 131: window
140: ozone water storage tank 150: supply pump
160: supply line 161: first supply line
162: second supply line 163, 164: control valve
170: tray 171: moving wheel
172: moving handle 200: ozone generator
210: water filter 220: ozone exhaust filter

Claims (5)

다수의 부품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부에 살균용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1 노즐이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 또는 내부에 추출용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2노즐이 장착되며 하면에는 추출액이 통과하는 복수의 추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추출조,
상기 프레임 내부의 추출조 하부에 배치되고 추출조에서 생성되는 추출액을 수용하는 저장조,
상기 제1 노즐 및 제2 노즐에 멸균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및 상기 공급라인의 멸균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밸브,
외부에서 공급된 물에 오존을 제공하여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 발생기,
오존 발생기를 통해 생성된 오존수를 저장하는 멸균수 저장 탱크, 및
상기 공급라인에 멸균수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
A frame in which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disposed is provided and a first nozzle for supplying sterilizing water for steriliza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An extraction tank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equipped with a second nozzle for supplying sterile water for extraction at the top or inside, and hav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through which the extract passes on the lower surface;
a storage tank disposed under the extraction tank inside the frame and accommodating the extraction liquid generated in the extraction tank;
A supply line f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and a control valv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upply of sterilized water to the supply line;
An ozone generator that generates ozone water by supplying ozone to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sterile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ozone water generated through the ozone generator, and
including a pump for supplying sterile water to the supply line
Unheated sterilized cold brew tea mak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의 바닥면은 추출액 통과공이 배치되어 있는 제1 영역과 통과공이 없는 제2 영역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raction tank is a non-heating sterilized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rea in which the extraction liquid passage hole is arranged and the second area without the passage hole are formed separat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는 프레임 내부에 거치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저장조는 이동식 트레이에 안치되어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rewing tank is installed in a stationary manner inside the frame, and the storage tank is placed on a movable tray and disposed inside the frame.
상부에 살균용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1 노즐이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 또는 내부에 추출용 멸균수를 공급하는 제2노즐이 장착되며 하면에는 추출액이 통과하는 복수의 추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추출조,
상기 프레임 내부의 추출조 하부에 배치되고 추출조에서 생성되는 추출액을 수용하는 저장조,
상기 제1 노즐 및 제2 노즐에 멸균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및 상기 공급라인의 멸균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밸브,
외부에서 공급된 물에 오존을 제공하여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오존수를 제1 노즐을 통해 공급하여 전체 시스템을 살균하고 상기 오존수를 제2 노즐을 통해 공급하여 추출조 내의 차 분말을 상온 추출하는 콜드브루 차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노즐을 통해 오존수를 분사하고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추출조에 저장되는 건조 상태의 차 분말을 젖음 상태로 변화시키는 제1 공정과,
제1 노즐을 통해 오존수를 분사하고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추출조 내에 젖음 상태로 유지된 차 분말로부터 액상의 차 추출액을 얻는 제2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즐을 통해 추출조 내로 분사되는 오존수는 0.1 ~ 1.0 ℓ/min 의 유량으로 공급되는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방법.
A frame in which the first nozzle for supplying sterilizing water for steriliza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An extraction tank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equipped with a second nozzle for supplying sterile water for extraction at the top or inside, and hav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through which the extract passes on the lower surface;
a storage tank disposed under the extraction tank inside the frame and accommodating the extraction liquid generated in the extraction tank;
A supply line f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and a control valv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upply of sterilized water to the supply line;
It includes an ozone generator that generates ozone water by providing ozone to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cold brew tea manufacturing system for sterilizing the entire system by supplying the ozone water through a first nozzle and extracting the tea powder in the extraction tank at room temperature by supplying the ozone water through a second nozzle.
A first step of changing the dry tea powder stored in the extraction tank to a wet state by repeating spraying and stopping the ozone water through the first nozzle;
a second process of obtaining a liquid tea extract from the tea powder maintained in a wet state in the extraction tank by repeating spraying and stopping the ozone water through the first nozzle,
The ozone water injected into the extraction tank through the first nozzle is supplied at a flow rate of 0.1 to 1.0 ℓ/min.
How to make unheated sterilized cold brew tea.
제4항에 있어서,
제1 공정은 제1 노즐을 통해 0.5 ~ 2분간 분사하고, 1 ~ 5분 동안 정지하는 과정을 2 ~ 10회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제2 공정은 제1 노즐을 통해 0.5 ~ 3분간 분사하고, 1 ~ 5분 동안 정지하는 과정을 50 ~ 200회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열 살균 콜드브루 차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process is sprayed through the first nozzle for 0.5 to 2 minutes, and the process of stopping for 1 to 5 minutes is repeatedly performed 2 to 10 times, the second process is sprayed through the first nozzle for 0.5 to 3 minutes, A method of manufacturing unheated sterilized cold brew tea,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stopping for 1 to 5 minutes is repeatedly performed 50 to 200 times.

KR1020200114547A 2020-09-08 2020-09-08 System for non-thermal sterilized cold brew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cold brew tea using the same KR202200327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47A KR20220032791A (en) 2020-09-08 2020-09-08 System for non-thermal sterilized cold brew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cold brew tea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47A KR20220032791A (en) 2020-09-08 2020-09-08 System for non-thermal sterilized cold brew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cold brew tea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791A true KR20220032791A (en) 2022-03-15

Family

ID=8081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547A KR20220032791A (en) 2020-09-08 2020-09-08 System for non-thermal sterilized cold brew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cold brew tea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79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982B2 (en) Vacuum brewed beverage machine
US11421192B2 (en) Vacuum infusion method
CN101179972B (en) Beverage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
EP2948030B1 (en) Vacuum brewed beverage machine and vacuum brewing method
US9402405B2 (en) Liquid infusion process and method of brewing a beverage
US10617130B2 (en)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hot or cold liquid and semi-liquid products
KR101790083B1 (en) Water pressure type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coffee
JP6113169B2 (en) Dispenser for hot and cold beverages
CN109890255A (en) The system of liquid food or beverage products is formed in a controlled manner
KR101711850B1 (en)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MX2012013951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EP3618671B1 (en) Process of preparation of tea
WO2016054050A1 (en) Vacuum infusion machine and vacuum infusion method
WO2022002219A1 (en) Extract liqui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container-packaged beverage containing same
KR20220032791A (en) System for non-thermal sterilized cold brew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cold brew tea using the same
CN106472778A (en) Liquid coffee manufacture method
CN104936488B (en) Distribute the disposable heat exchanger used in method and this method containing milk composition
US8132499B2 (en) Heated substance reservoir baffle
KR101798784B1 (en) A 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with fog spray method
CN211770260U (en) Intelligent refined-brewing secondary-dispensing wine selling system
KR20230093289A (en) extraction cell
CN108935714A (en) A kind of production technology of bottled Walnut Milk
KR102437738B1 (en)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CN114591793A (en) Intelligent refined-brewing secondary-dispensing wine selling system
KR20220055829A (en) Hybrid type coffee brewing device for high-volume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